KR101767736B1 - Binding For Snowboard - Google Patents
Binding For Snowboar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7736B1 KR101767736B1 KR1020150119340A KR20150119340A KR101767736B1 KR 101767736 B1 KR101767736 B1 KR 101767736B1 KR 1020150119340 A KR1020150119340 A KR 1020150119340A KR 20150119340 A KR20150119340 A KR 20150119340A KR 101767736 B1 KR101767736 B1 KR 1017677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nding
- gear
- binding
- wire
- base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0—Snowboard binding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0—Snowboard bindings
- A63C10/02—Snowboard binding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the shoe holde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0/00—Snowboard bindings
- A63C10/16—Systems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r position of the bindings
Landscapes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바인딩을 장착 및 탈착할 수 있고, 바인딩의 구속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은, 부츠를 고정시키는 바인딩외피;와, 스노우보드 데크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과, 바인딩외피의 내부에 삽입되어, 바인딩외피에 부츠에 대한 구속력을 발생시키는 와이어;와, 와이어의 구속력을 해제시키는 릴리즈와이어;와, 베이스플레이트의 뒤꿈치 부분에 삽입되어 설치되되, 왕복운동을 일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와이어를 권취시키는 와인딩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nding for snow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nding for snowboard which can easily mount and detach a binding and can easily adjust the binding force of the binding. A binding for a snow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inding sheath for fixing a boot, a base plate fixed to the snowboard deck, and a binding sheath inserted into the binding sheath to generate a binding force on the binding sheath And a winding assembly inserted into the heel portion of the base plate for converting the reciprocating motion into a rotational motion in one direction to wind the wire, .
Description
본 발명은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바인딩을 장착 및 탈착할 수 있고, 용이하게 바인딩의 구속력을 조절할 수 있는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nding for snow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nding for snowboard which can easily mount and detach a binding and can easily control the binding force of the binding.
스노우보드는 눈 위에서 즐기는 겨울 스포츠의 일종으로, 양발을 하나의 데크에 고정한 상태로 무게 중심을 이동하여 회전하면서 설사면을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이다. 스노우보드에는, 데크에 사용자의 부츠를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고정을 해제하는 바인딩의 설치를 필요로 한다.Snowboarding is a type of winter sports that you enjoy on your snow, slipping down the diarrhea while moving your weight center with your feet on one deck. Snowboarding requires the installation of a binding that selectively secures or unlocks the user's boot to the deck.
종래 기술에 따른 스트랩 방식의 바인딩은 장착과 탈착을 위해 앉았다 일어서는 자세를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할 뿐 아니라, 다수의 스트랩을 체결하고 푸는 과정을 필요로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가 있다. 특히, 스노우보딩 시에는 두터운 외투와 장갑을 착용하게 되어, 활동에 제약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바인딩의 장착과 탈착 작업은 더욱 번거롭고 불편하게 된다.
The strap-type bind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of cumbersome and inconvenient that it requires not only repeatedly performing a sitting up and standing postur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but also a process of fastening and loosening a plurality of straps. Particularly, in snowboarding, a thick coat and gloves are worn, so that there are restrictions on the activity, and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binding becomes more complicated and inconvenient.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8174호에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이 개시되어 있다.Conventionally,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38174 discloses a binding for snowboards.
도 1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8174호의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binding for a snowboard of Korean Patent No. 10-1438174.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8174호의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은, 베이스에 고정된 측벽(16)과, 측벽에서 연장된 가이드와, 가이드에 부착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가동측벽(40)과, 가동측벽에 일단부가 힌지 연결되는 하이백(56)과, 하이백 후면에 힌지연결되는 레버(64)와, 폐회로를 이루며 상기 부재 내부를 경유하는 제1와이어(72) 및 제2와이어(74) 및 제3와이어(86)와, 레버를 하이백 후면에 밀착시키게 하는 제4와이어(90)와, 측벽 내부에 위치하는 변위조절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Korean Patent No. 10-1438174 discloses a binding for a snowboard comprising a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8174호의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은, 상기 레버(64)를 하이백(56)에 밀착시킴으로써, 상기 제1와이어(72) 및 제2와이어(74) 및 제3와이어(86)에 인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편리하게 바인딩을 장착할 수 있다. 탈착 시에는 상기 레버(64)를 하이백(56)으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상기 제1와이어(72) 및 제2와이어(74) 및 제3와이어(86)에 발생한 인장력을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측벽(16)에 구비된 변위조절부를 통하여 와이어에 발생하는 인장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Korean Patent No. 10-1438174 discloses a binding for a snowboard in which the
하지만,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38174호의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은, 레버(64)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바인딩의 장착과 탈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와이어에 발생하는 인장력의 세기를 조절하기가 불편하고, 인장력의 조절폭도 적은 단점이 있다. 상기 변위조절부는 외부에서 즉각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고, 변위의 폭이 적어서 와이어의 인장력을 폭넓게 조절하기 어렵다.
However, Korean Patent No. 10-1438174 has a merit that the binding for snowboarding can be easily carried out by simply operating the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5943호에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이 개시되어 있다.Conventionally,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7-0025943 discloses binding for snowboards.
도 2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5943호의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측면도이다.2 is a side view of a binding for a snowboard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025943.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5943호의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은, 부츠(B)를 안착시키는 베이스플레이트(102)와, 부츠(B)의 후면을 받치는 하이백(104)과, 접촉부재(112) 및 고정부재(114) 및 결착수단(116) 및 피복재(118) 및 와이어(W)로 이루어지는 스트랩(110)과, 스트랩의 내부에 구비되는 와이어를 권취시키는 조임수단(120)을, 포함한다.2, the binding for snowboards of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7-0025943 includes a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5943호의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은, 상기 조임수단(120)을 돌리면 내부에 설치된 권취장치에 의해 와이어(W)에 인장력이 발생하게 되고, 스트랩(110)과 베이스플레이트(102)를 밀착시켜 부츠(B)를 고정시키게 된다.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7-0025943 discloses a binding for a snowboard in which a tensile force is generated on a wire W by a winding device installed inside when the
하지만,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25943호의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은, 조임수단(120)을 돌림으로써 와이어에 인장력이 발생하게 되어 바인딩의 장착과 탈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조임수단(120)을 돌리는 횟수와 돌리는 강도를 통해 인장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부츠, 전체를 감싸는 구조가 아니라 부츠의 발등 부위에만 인장력이 발생되는 구조로 부츠의 고정성이 떨어지고, 상기 조임수단(120)이 바인딩 외부로 돌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미관성과 사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binding for snowboards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7-0025943, since the pulling force is generated on the wire by turning the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바인딩의 장착과 탈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nding for a snowboard which can easily mount and detach a binding.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바인딩의 구속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nding for a snowboard which can easily adjust the binding force of the bin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바인딩 외부로 돌출되는 부위가 없어 미관성과 사용성이 뛰어난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nding for a snowboard which is excellent in aesthetic appearance and usability because there is no part protruding outside the bind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은, 부츠를 고정시키는 바인딩외피;와, 스노우보드 데크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과, 바인딩외피의 내부에 삽입되어, 바인딩외피에 부츠에 대한 구속력을 발생시키는 와이어;와, 와이어의 구속력을 해제시키는 릴리즈와이어;와, 베이스플레이트의 뒤꿈치 부분에 삽입되어 설치되되, 왕복운동을 일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와이어를 권취시키는 와인딩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inding for a snow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inding sheath for fixing a boot, a base plate fixed to the snowboard deck, and a binding sheath inserted into the binding sheath to generate a binding force on the binding sheath And a winding assembly inserted into the heel portion of the base plate for converting the reciprocating motion into a rotational motion in one direction to wind the wire,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와인딩조립체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부에 외력을 가하면 돌출된 부위가 베이스플레이트의 내부로 인입되고 외력을 해제시키면 자체적인 탄성력에 의해 원상복귀됨으로써, 상하로의 왕복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와인딩푸쉬버튼;과, 측면부에 톱니바퀴가 구비된 막대 형상으로, 와인딩푸쉬버튼의 하부에 고정되어, 와인딩푸쉬버튼을 따라 상하로의 왕복운동을 수행하게 되는 와인딩기어암;과, 베이스플레이트의 내부 양측부에 회전축을 형성하며 결합되되, 와인딩기어암의 왕복운동을 수용하여 왕복회전운동을 수행하게 되는 봉 형상의 회전로드;와, 회전로드와 같은 회전축 상에 위치하여 회전운동을 하고, 일방향으로의 회전운동만 수용하게 되는 제1레칫기어로 회전로드와 연결되어, 회전로드의 왕복회전운동을 일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와이어를 권취하게 되는 와인딩보빈;과, 회전로드와 같은 회전축 상에 위치하고, 베이스플레이트의 내부 측부에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되며, 타방향으로의 회전운동만 수용하게 되는 제2레칫기어로 와인딩보빈과 연결되어, 와인딩보빈이 와이어를 권취한 후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권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와인딩프레임;과, 베이스플레이트의 내부 측부와 와인딩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제1레칫기어 및 제2레칫기어가 맞물리게끔, 와인딩프레임에 회전축의 외측부에서 중앙부로의 외력을 발생시키는 프레임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winding assembly of a binding for a snow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an upper surface of a base plat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the projected portion is drawn into the base plate, A winding push button that can be reciprocated upward and downward by being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an elastic force such as an elastic force that is applied to the winding push button, A rod-shaped rotary rod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of the base plate for receiving a reciprocating motion of the winding gear arm and reciprocatingly rotating; A first ratchet gear which is located on a rotating shaft such as a rotating rod and rotates and receives only rotational motion in one direction, A winding bobbin connected to the rotary rod and adapted to rotate the reciprocating rotary motion of the rotary rod into a one-directional rotary motion to wind the wire; and a rotary bobbin located on the rotary shaft such as the rotary rod, A winding frame which is connected to the winding bobbin by a second ratcheting gear which is adapted to receive rotation only in the other direction so as to prevent the winding bobbin from being unwound by the tension of the wire after winding the wire, And a frame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rotating frame and the winding frame to generate an external force from the outer side to the center of the rotary shaft of the winding fram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ratchet gears engage wit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회전로드는, 회전로드와 같은 회전축 상에 위치하여 고정되고, 와인딩기어암의 톱니바퀴에 대응하는 톱니바퀴가 외주부에 구비된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와인딩기어암에서 발생하는 왕복운동을 왕복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와인딩기어;와, 회전로드와 같은 회전축 상에 위치하여 고정되고, 회전로드와 와인딩기어에서 발생한 왕복회전운동 중 일방향의 회전운동을 와인딩보빈에 전달시키는 제1A레칫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tating rod of the binding for snow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circular rod having a circumferential portion corresponding to a toothed wheel corresponding to a toothed wheel of the winding gear arm, And a rotating gear which is fixed on a rotating shaft such as a rotating rod and rotates in one direction during a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generated from the rotating rod and the winding gear, To the winding bobbin, to the winding bobbi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와인딩보빈은, 제1A레칫기어와 접하는 면에, 제1A레칫기어에 대응하는 제1B레칫기어;와, 와인딩프레임과 접하는 면에, 타방향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는 제2A레칫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nding bobbin of the binding for snowboar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linkage gear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el tooth on the surface contacting the first A-reel tooth, And a second A / R gear that restricts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A / R gea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와인딩프레임은, 제2A레칫기어와 접하는 면에, 제1A레칫기어에 대응하는 제2B레칫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nding frame of the binding for snowboar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econd B-ratcheting gear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el tooth on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econd A-reel hub gea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릴리즈와이어는, 일단부가 와인딩프레임의 프레임스프링이 설치되는 측면에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바인딩외피의 외부에 위치하되, 릴리즈와이어에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릴리즈버튼;을 포함하여, 릴리즈버튼을 당김으로써, 와인딩프레임이 프레임스프링이 설치된 측부로 이동하게 되어, 제1레칫기어 및 제2레칫기어를 결합해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release wire of the binding for a snow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end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winding frame where the frame spring is installed and the other end located outside the binding sheath, By pulling the release button including the releasable release button, the winding frame is moved to the side where the frame spring is install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reheat gears can be disengaged .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은, 바인딩의 장착과 탈착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Therefore, the binding for the snowboar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mount and detach the bind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은, 바인딩의 구속력을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Further, the binding for snowboar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asily adjust the binding force of the bind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은, 바인딩 외부로 돌출되는 부위가 없어 미관성과 사용성이 뛰어나게 된다.In addition, the binding for snowboar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aesthetics and usability since there is no part protruding outside the binding.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와인딩조립체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와인딩조립체의 작동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와인딩조립체의 정면도이다.1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binding for a snowboard.
2 is a side view of another prior art binding for a snowboard.
3 is a side view of a binding for a snow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winder assembly of a binding for a snow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winding assembly of a binding for a snow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of a winding assembly of a binding for a snow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Fur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the examples described below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at there are stat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Also, the terms " part, "" unit," " module, "and the like, which ar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Software. ≪ / RTI >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측면도이다.3 is a side view of a binding for a snow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은, 부츠를 고정시키는 바인딩외피(100);와, 스노우보드 데크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200);과, 바인딩외피(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바인딩외피(100)에 부츠에 대한 구속력을 발생시키는 와이어(300);와, 와이어(300)의 구속력을 해제시키는 릴리즈와이어(400);와, 베이스플레이트(200)의 뒤꿈치 부분에 삽입되어 설치되되, 왕복운동을 일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와이어(300)를 권취시키는 와인딩조립체(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the binding for snowboar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와인딩조립체(500)는, 베이스플레이트(200)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부에 외력을 가하면 돌출된 부위가 베이스플레이트(200)의 내부로 인입되고 외력을 해제시키면 자체적인 탄성력에 의해 원상복귀됨으로써, 상하로의 왕복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와인딩푸쉬버튼(510);과, 와이어(300)를 권취하게 되는 와인딩보빈(5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릴리즈와이어(400)는, 릴리즈와이어(400)에 인력을 발생시키면 와이어(300)가 권출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와인딩조립체(500)에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바인딩외피(100)의 외부에 위치하되, 릴리즈와이어(400)에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릴리즈버튼(410);을 포함하여, 릴리즈버튼(410)을 당김으로써 와이어(300)가 권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은, 베이스플레이트(200)의 뒤꿈치 부분에 설치되는 와인딩조립체(500)의 와인딩푸쉬버튼(510)을 반복적으로 누르게 되면, 와인딩조립체(500)가 와인딩푸쉬버튼(510)의 왕복운동을 와인딩보빈(540)에 일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전달하게 되고, 와인딩보빈(540)이 와이어(300)를 권취하게 되어 바인딩에 구속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와인딩푸쉬버튼(510)은 베이스플레이트(200)의 뒤꿈치 부분에 설치되는 바, 손으로 버튼을 조작하기보다는 부츠를 신은 발의 뒤꿈치로 와인딩푸쉬버튼(510)을 조작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과 발의 뒤꿈치를 이용해 바인딩을 장착하는 조작법은, 두터운 외투와 장갑을 착용하여 활동에 제약이 발생하게 되어, 바인딩의 장착과 탈착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하게 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해준다. 또, 와인딩푸쉬버튼(510)을 누르는 횟수와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바인딩의 구속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은, 상기 릴리즈버튼(410)을 통하여 릴리즈와이어(400)에 인력을 발생시키면, 와이어(300)가 권출되게 되어, 바인딩의 탈착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binding for snowboar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ulling force is generated on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와인딩조립체의 조립 사시도이다.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winder assembly of a binding for a snow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와인딩조립체(500)는, 상기 와인딩푸쉬버튼(510);과, 측면부에 톱니바퀴가 구비된 막대 형상으로, 와인딩푸쉬버튼(510)의 하부에 고정되어, 와인딩푸쉬버튼(510)을 따라 상하로의 왕복운동을 수행하게 되는 와인딩기어암(520);과, 베이스플레이트(200)의 내부 양측부에 회전축을 형성하며 결합되되, 와인딩기어암(520)의 왕복운동을 수용하여 왕복회전운동을 수행하게 되는 봉 형상의 회전로드(530);과, 회전로드(530)와 같은 회전축 상에 위치하여 회전운동을 하고, 일방향으로의 회전운동만 수용하게 되는 제1레칫기어(532,541)로 회전로드(530)와 연결되어, 회전로드(530)의 왕복회전운동을 일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와이어(300)를 권취하게 되는 와인딩보빈(540);과, 회전로드(530)와 같은 회전축 상에 위치하고, 베이스플레이트(200)의 내부 측부에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되며, 타방향으로의 회전운동만 수용하게 되는 제2레칫기어(542,551)로 와인딩보빈(540)과 연결되어, 와인딩보빈(540)이 와이어(300)를 권취한 후 와이어(300)의 장력에 의해 권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와인딩프레임(550);과, 베이스플레이트(200)의 내부 측부와 와인딩프레임(550) 사이에 설치되어, 제1레칫기어(532,541) 및 제2레칫기어(542,551)가 맞물리게끔, 와인딩프레임(550)에 회전축의 외측부에서 중앙부로의 외력을 발생시키는 프레임스프링(5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 the binding assembly 500 for a binding for a snow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nding push button 510, a rod-like shape provided with a toothed wheel on a side surface thereof, A winding gear arm 520 which is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utton 510 to perform a reciprocation movement up and down along the winding push button 510 and a rotary shaft formed on both inner sides of the base plate 200 A rod 530 coupled to the rotating gear 530 to receive a reciprocating motion of the winding gear arm 520 to perform a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The first and second ratchet gears 532 and 541 are connected to the rotary rod 530 to receive the rotary motion in only one direction to convert the reciprocating rotary motion of the rotary rod 530 into one- A winding bobbin 540 to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ng rod 530, Is connected to the winding bobbin (540) by a second ratcheting gear (542, 551) which is located on the rotating shaft, is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base plate (200) A winding frame 550 which prevents the wire 540 from being unwound by the tension of the wire 300 after the wire 300 is wound and a winding frame 550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base plate 200 and the winding frame 550 And a frame spring 560 installed in the winding frame 550 to generate an external force from the outside to the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ratcheting gears 532 and 541 and the second ratcheting gears 542 and 551 engage with each other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회전로드(530)는, 회전로드(530)와 같은 회전축 상에 위치하여 고정되고, 와인딩기어암(520)의 톱니바퀴에 대응하는 톱니바퀴가 외주부에 구비된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와인딩기어암(520)에서 발생하는 왕복운동을 왕복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와인딩기어(531);와, 회전로드(530)와 같은 회전축 상에 위치하여 고정되고, 회전로드(530)와 와인딩기어(531)에서 발생한 왕복회전운동 중 일방향의 회전운동을 와인딩보빈(540)에 전달시키는 제1A레칫기어(532);와, 제1레칫기어(532,541) 사이에 위치하여 제1레칫기어(532,541)가 벌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제1레칫기어스프링(5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와인딩보빈(540)은, 제1A레칫기어(532)와 접하는 면에, 제1A레칫기어(532)에 대응하는 제1B레칫기어(541);와, 와인딩프레임(550)과 접하는 면에, 타방향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는 제2A레칫기어(5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nd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와인딩프레임(550)은, 제2A레칫기어(542)와 접하는 면에, 제1A레칫기어(532)에 대응하는 제2B레칫기어(5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inding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와인딩조립체(500)는, 상기 와인딩푸쉬버튼(510)에 왕복운동이 발생하면 와인딩기어암(520)에 왕복운동을 발생시키고, 와인딩기어암(520)의 왕복운동에 의해 와인딩기어(531)와 와인딩기어(531)가 고정결합된 회전로드(530)에 왕복회전운동이 발생하게 된다. 회전로드(530)의 왕복회전운동은 제1A레칫기어(532)에 의해 와인딩보빈(540)에 전달되게 되는데 이 전달작용은 제1A레칫기어(532)와 제1B레칫기어(541)의 결합에 의해 일어나게 된다. 상기 제1A레칫기어(532)와 제1B레칫기어(541)는 일방향의 회전운동만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칫기어이므로, 와인딩보빈(540)은 회전로드(530)와 제1A레칫기어(532)와는 다르게 일방향의 회전만 하게 된다. 그럼으로 인해 와인딩보빈(540)은 일방향으로 와이어(300)를 권취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winding push-
그리고, 와인딩보빈(540)은 제1B레칫기어(541)의 타측면에 제2A레칫기어(542)를 구비하여, 와인딩프레임(550)의 제2B레칫기어(551)와 결합되게 된다. 상기 제2A레칫기어(542)와 제2B레칫기어(551)는 제1A레칫기어(532)와 제1B레칫기어(541)와는 다른 회전방향만을 수용하는 레칫기어로 형성되어, 제1A레칫기어(532)와 제1B레칫기어(541)의 결합에 의해 일방향만으로 회전하는 와인딩보빈(540)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와인딩보빈(540)은, 와인딩프레임(550)의 제2B레칫기어(551)와 제2A레칫기어(542)에 의해 와이어(300)를 권취한 후, 와이어(300)가 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winding
이러한 작용은 베이스플레이트(200)의 내부 측부와 와인딩프레임(550) 사이에 설치되는 프레임스프링(560)이 제1레칫기어(532,541) 및 제2레칫기어(542,551)가 맞물리게끔, 와인딩프레임(550)에 회전축의 외측부에서 중앙부로 외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This action is such that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와인딩조립체의 작동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winding assembly of a binding for a snow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와인딩조립체(500)는, 와인딩푸쉬버튼(510)과 와인딩기어암(520)과 와인딩기어(531)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5, a
상기 와인딩푸쉬버튼(510)은, 상부에 외력을 가하면 돌출된 부위가 베이스플레이트(200)의 내부로 인입되고 외력을 해제시키면 자체적인 탄성력에 의해 원상복귀되는 구조로 구비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상으로 와인딩푸쉬버튼(510)을 구비하고, 와인딩푸쉬버튼(510)의 일단부에 힌지를 형성시킨 후 힌지에 토션스프링(511)을 설치해, 외력을 가했다 해제시키면 원상복귀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실시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실시들이 가능함은 물론인 사실이다.
The winding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와인딩조립체의 정면도이다.6 is a front view of a winding assembly of a binding for a snow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와인딩조립체(500)는, 와인딩푸쉬버튼(510)과 와인딩기어암(520)과 회전로드(530)와 와인딩보빈(540)과 와인딩프레임(550)과 프레임스프링(560)을 포함한다.6, the binding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제1A레칫기어(532) 및 제1B레칫기어(541)와, 제2A레칫기어(542)및 제2B레칫기어(551)는 와인딩프레임(550)의 측부에 위치하는 프레임스프링(560)의 탄성력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이는 와이어(300)를 권취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어(300)를 권출시켜 바인딩에 구속력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프레임스프링(560)의 탄성력을 해제시켜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프레임스프링(560)의 탄성력을 해제시켜 와이어(300)를 권출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은, 릴리즈와이어(400)를 구비하고 있다. In order to release the elastic force of the
상기 릴리즈와이어(400)는, 일단부가 와인딩프레임(550)의 프레임스프링(560)이 설치되는 측면에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바인딩외피(100)의 외부에 위치하되, 릴리즈와이어(400)에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릴리즈버튼(410);을 포함하여, 릴리즈버튼(410)을 당김으로써, 와인딩프레임(550)이 프레임스프링(560)이 설치된 측부로 이동하게 되어, 제2A레칫기어(542)와 제2B레칫기어(551)를 결합해제시킬 수 있다. 제2A레칫기어(542)와 제2B레칫기어(551)가 결합해제되면, 제1A레칫기어(532)와 제1B레칫기어(541) 사이에 위치하는 제1레칫기어스프링(533)에 가해지는 반력이 제거됨으로써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어 제1A레칫기어(532)와 제1B레칫기어(541) 또한 결합해제 되게 된다.릴리즈와이어(400)는 프레임스프링(560)의 탄성력의 영향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그로 인해, 제2A레칫기어(542)와 제2B레칫기어(551)가 결합해제되고, 제1A레칫기어(532)와 제1B레칫기어(541)도 제1레칫기어스프링(533)에 의해 결합해제되게 되는 것이다.One end of the
제1레칫기어(532,541)와 제2레칫기어(542,551)가 결합해제됨에 따라, 와인딩보빈(540)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되고 바인딩에 구속력으로 작용하던 와이어(300)의 인장력은 와인딩보빈(540)을 회전시키는 인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와인딩보빈(540)은 와이어(300)를 권출시키게 되고, 바인딩의 구속력도 해제되게 된다.As the first and second ratcheting gears 532 and 541 and the second ratchet gears 542 and 551 are disengaged, the winding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의 릴리즈와이어(400)는, 릴리즈와이어(400)의 타단부에 구비된 릴리즈버튼(410)을 당김으로써, 용이하게 바인딩을 탈착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용 바인딩은, 부츠에 대한 구속력을 발생시키는 와이어;와, 왕복운동을 일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와이어를 권취시키는 와인딩조립체;를 포함하여, 용이하게 바인딩을 장착 및 탈착할 수 있고, 용이하게 바인딩의 구속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inding for snowboar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 for generating a binding force to the boot, and a winding assembly for converting the reciprocating motion into a rotational motion in one direction to wind the wire , It is possible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binding,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binding force of the binding.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merely illustrative of some of the technical ideas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not for purposes of limiting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바인딩외피
200...베이스플레이트
300...와이어
400...릴리즈와이어
410...릴리즈버튼
500...와인딩조립체
510...와인딩푸쉬버튼
511...토션스프링
520...와인딩기어암
530...회전로드
531...와인딩기어
532...제1A레칫기어
533...제1레칫기어스프링
540...와인딩보빈
541...제1B레칫기어
542...제2A레칫기어
550...와인딩프레임
551...제2B레칫기어
560...프레임스프링100 ... binding sheath
200 ... base plate
300 ... wire
400 ... release wire
410 ... release button
500 ... winding assembly
510 ... winding push button
511 ... torsion spring
520 ... winding gear arm
530 ... rotating rod
531 ... winding gear
532 ... 1st Alechet gear
533 ... first tooth gear spring
540 ... winding bobbin
541 ... 1st B gear tooth gear
542 ... 2nd Alechet gear
550 ... winding frame
551 ... 2nd B gear tooth gear
560 ... frame spring
Claims (6)
스노우보드 데크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바인딩외피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바인딩외피에 상기 부츠에 대한 구속력을 발생시키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구속력을 해제시키는 릴리즈와이어;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뒤꿈치 부분에 삽입되어 설치되되, 왕복운동을 일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와이어를 권취시키는 와인딩조립체;포함하고,
상기 와인딩조립체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부에 외력을 가하면 돌출된 부위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내부로 인입되고 외력을 해제시키면 자체적인 탄성력에 의해 원상복귀됨으로써, 상하로의 왕복운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와인딩푸쉬버튼;
측면부에 톱니바퀴가 구비된 막대 형상으로, 상기 와인딩푸쉬버튼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와인딩푸쉬버튼을 따라 상하로의 왕복운동을 수행하게 되는 와인딩기어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내부 양측부에 회전축을 형성하며 결합되되, 상기 와인딩기어암의 왕복운동을 수용하여 왕복회전운동을 수행하게 되는 봉 형상의 회전로드;
상기 회전로드와 같은 회전축 상에 위치하여 회전운동을 하고, 일방향으로의 회전운동만 수용하도록 제1A레칫기어와 제1B레칫기어로 이루어지는 제1레칫기어에 의해 상기 회전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회전로드의 왕복회전운동을 일방향의 회전운동으로 변환시켜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게 되는 와인딩보빈;
상기 회전로드와 같은 회전축 상에 위치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내부 측부에 회전이 불가능하게 고정되며, 타방향으로의 회전운동만 수용하도록 제2A레칫기어와 제2B레칫기어로 이루어지는 제2레칫기어에 의해 상기 와인딩보빈과 연결되어, 상기 와인딩보빈이 상기 와이어를 권취한 후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권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와인딩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내부 측부와 상기 와인딩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레칫기어의 제1A레칫기어와 제1B레칫기어 및 상기 제2레칫기어의 제2A레칫기어와 제2B레칫기어가 맞물리게끔, 상기 와인딩프레임에 회전축의 외측부에서 중앙부로의 외력을 발생시키는 프레임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스노우보드용 바인딩.
A binding sheath to secure the boot;
A base plate secured to the snowboard deck;
A wire inserted into the binding sheath to generate a binding force on the binding sheath against the boot;
A release wire releasing the binding force of the wire; And
And a winding assembly inserted into the heel portion of the base plate to convert the reciprocating motion into a rotational motion in one direction to wind the wire,
The winding assembly includes:
The protruding portion is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portion, the protruded portion is drawn into the base plat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the protruded portion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its own elastic force, Can be a winding push button;
A winding gear arm fixed to a lower portion of the winding push button to perform a reciprocating motion along the winding push button;
A rod-shaped rotary rod coupled to the inner side of the base plate to form a rotary shaft, and reciprocatingly receiving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winding gear arm;
The first rotary gear is connected to the rotary rod by a first ratchet gear including a first A-reel tooth and a first B-to-Litch gear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rotary axis as the rotary rod and to receive rotational motion in only one direction, A winding bobbin for converting the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of the winding bobbin into a rotational motion in one direction to wind the wire;
The second ratchet gear including a second A-reel tooth and a second B-reel tooth so as to be rotatably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base plate and to receive only rotational movement in the other direction, A winding frame connected to the winding bobbin to prevent the winding bobbin from being wound by the tension of the wire after winding the wire; And
A first B-ratchet gear and a first B-ratchet gear of the first ratchet gear and a second A-to-Leche gear of the second ratchet gear and a second B-to-Leche gear of the first ratchet gear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 frame spring for generating an external force from the outside to the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in the winding frame.
상기 회전로드는,
상기 회전로드와 같은 회전축 상에 위치하여 고정되고, 상기 와인딩기어암의 톱니바퀴에 대응하는 톱니바퀴가 외주부에 구비된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와인딩기어암에서 발생하는 왕복운동을 왕복회전운동으로 변환시키는 와인딩기어; 및
상기 회전로드와 같은 회전축 상에 위치하여 고정되고, 상기 회전로드와 상기 와인딩기어에서 발생한 왕복회전운동 중 일방향의 회전운동을 상기 와인딩보빈에 전달시키는 상기 제1레칫기어의 제1A레칫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스노우보드용 바인딩.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rod
And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having an outer peripheral portion provided with a toothed wheel corresponding to a toothed wheel of the winding gear arm, the reciprocating motion generated in the winding gear arm being reciprocatingly rotated, A winding gear for converting the winding gear into a gear; And
And a first A-reel tooth of the first re-entrant gear which is positioned and fixed on a rotating shaft such as the rotating rod and transmits a rotational motion in one direction during reciprocating rotational motion generated from the rotating rod and the winding gear to the winding bobbin Wherein the binding is for a snowboard.
상기 와인딩보빈은
상기 제1A레칫기어와 접하는 면에, 제1A레칫기어에 대응하는 상기 제1B레칫기어; 및
상기 와인딩프레임과 접하는 면에, 타방향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는 상기 제2레칫기어의 제2A레칫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스노우보드용 바인딩.
The method of claim 3,
The winding bobbin
The first B-latched gear corresponding to the first A-latec gear; And
And a second A-reel tooth of the second toroidal gear which restricts rotational movement in the other direction on a surface contacting the winding frame.
상기 와인딩프레임은
상기 제2A레칫기어와 접하는 면에, 상기 제2A레칫기어에 대응하는 제2B레칫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스노우보드용 바인딩.
5. The method of claim 4,
The winding frame
And a second B-latched gear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latechuck on a side contacting the second A-reel hub gear.
상기 릴리즈와이어의 일단부에는 상기 와인딩프레임의 상기 프레임스프링이 설치되는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릴리즈와이어의 타단부에는 상기 바인딩외피의 외부에 위치하되, 상기 릴리즈와이어에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릴리즈버튼;을 포함하여,
상기 릴리즈버튼을 당김으로써, 상기 와인딩프레임이 상기 프레임스프링이 설치된 측부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제1레칫기어의 제1A레칫기어와 제1B레칫기어 및 상기 제2레칫기어의 제2A레칫기어와 제2B레칫기어를 결합해제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을 하는 스노우보드용 바인딩.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end of the release wire is connected to a side surface of the winding frame on which the frame spring is installed,
And a release button located at the other end of the release wire, the releasing button being located outside the binding shell and capable of generating a force on the release wire,
By pulling the release button, the winding frame is moved to the side where the frame spring is installed, so that the first A-reel tooth of the first reecrd gear and the second A-reel tooth of the first B- And the 2B dovetail gear can be disengag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9340A KR101767736B1 (en) | 2015-08-25 | 2015-08-25 | Binding For Snowboar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9340A KR101767736B1 (en) | 2015-08-25 | 2015-08-25 | Binding For Snowboar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4283A KR20170024283A (en) | 2017-03-07 |
KR101767736B1 true KR101767736B1 (en) | 2017-08-14 |
Family
ID=5841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9340A Expired - Fee Related KR101767736B1 (en) | 2015-08-25 | 2015-08-25 | Binding For Snowboar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7736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05329A (en) * | 2005-04-27 | 2006-11-09 | K-2 Corp | Binding and binding of snowboard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1233B1 (en) | 2005-08-29 | 2008-06-26 | 주식회사 엘림코퍼레이션 | Binding of snow board boots |
KR101438174B1 (en) | 2013-09-27 | 2014-09-11 | 주식회사 버즈런 | Binding for snowboard |
-
2015
- 2015-08-25 KR KR1020150119340A patent/KR10176773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05329A (en) * | 2005-04-27 | 2006-11-09 | K-2 Corp | Binding and binding of snowboar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24283A (en) | 2017-03-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330788A (en) | Binding adjust instrument for ski boot | |
ITTV20070190A1 (en) | CLOSING DEVICE FOR SPORT FOOTWEAR | |
US5509873A (en) | Exercise device with adjustable resistance | |
US6770014B2 (en) | Resistance type exercise device | |
KR101053551B1 (en) | Shoelace Fasteners | |
JP2017513679A (en) | Wire tightening device | |
EP0398119B1 (en) | Fastening and adjusting device, particularly for ski boots | |
KR102199257B1 (en) | Clamping device | |
JPS6040010A (en) | Actuator device for instep presser | |
CN106132490B (en) | Exercise device | |
KR20100111031A (en) | Apparatus for fastening shoe strip | |
KR101559109B1 (en) | Wrist supports for bowling | |
JPS62170202A (en) | Multifunction operation apparatus for ski boots | |
JP2009535087A (en) | Shoelace tightening device | |
KR101871890B1 (en) | Apparatus for fastening wire | |
KR101768182B1 (en) | Automatic shoelace fastner | |
KR101767736B1 (en) | Binding For Snowboard | |
US7383848B2 (en) | Forearm walking crutch | |
CN116369635A (en) | Clutch rope winding device | |
KR101667378B1 (en) | Forearm Trainer of Adjustable Type | |
KR101998160B1 (en) | Shoelace fastener | |
JP6511596B2 (en) | POWER GENERATOR AND POWER GENERATOR | |
CN219047578U (en) | Clutch rope winding device | |
CN112660944B (en) | Rope locking device | |
KR20200058235A (en) | A muscle junction part compression strap with variable compression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8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