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3061B1 - 광각 렌즈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각 렌즈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3061B1 KR101763061B1 KR1020160012197A KR20160012197A KR101763061B1 KR 101763061 B1 KR101763061 B1 KR 101763061B1 KR 1020160012197 A KR1020160012197 A KR 1020160012197A KR 20160012197 A KR20160012197 A KR 20160012197A KR 101763061 B1 KR101763061 B1 KR 1017630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angle
- refractive power
- wide
- focal lengt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5499 meniscu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05—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having F-Theta characteristic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7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having an element with variable optical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는 도 1에 따른 광각 렌즈 시스템의 광선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광각 렌즈 시스템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도 3에 따른 광각 렌즈 시스템의 광선 흐름을 나타낸 도면.
RDY | THI | RMD | GLA |
OBJ | INFINITY | INFINITY | |
1 | INFINITY | 0.000000 | |
2 | 303.60811 | 15.169511 | 766533.499797 |
3 | 71.06356 | 45.851385 | |
4 | -703.44817 | 15.169511 | 496997.816084 |
5 | 73.48277 | 60.042001 | 914661.288593 |
STO | 7867.13947 | 7.888146 | |
7 | INFINITY | 3.579426 | |
8 | -854.41936 | 42.173557 | 694166.553278 |
9 | -41.60261 | 15.169511 | 803422.258213 |
10 | -515.46003 | 1.820341 | |
11 | INFINITY | 8.640021 | |
12 | -292.59335 | 37.011543 | 772500.496243 |
13 | -128.18543 | 1.820341 | |
14 | -6015.79320 | 35.457305 | 772500.496243 |
15 | -295.30622 | 9.753553 | |
16 | 404.63178 | 33.862099 | 811991.438924 |
17 | 404.63178 | 35.909404 | |
18 | INFINITY | 31.855973 | BSC7_HOYA |
19 | INFINITY | 85.151854 | |
IMG | INFINITY |
RDY | THI | RMD | GLA |
OBJ | INFINITY | INFINITY | |
1 | INFINITY | 0.000000 | |
2 | 384.74749 | 15.160557 | 763268.502125 |
3 | 78.14663 | 70.397539 | |
4 | -709.56095 | 12.128446 | 496997.816084 |
5 | 96.42507 | 63.785742 | 913599.303783 |
STO | -1479.70627 | 16.828115 | |
7 | INFINITY | 8.309050 | |
8 | -501.47600 | 40.657398 | 704725.547214 |
9 | -56.09406 | 12.128446 | 816202.240145 |
10 | -637.40854 | 36.249731 | 854572.394508 |
11 | -145.87648 | 7.709508 | |
12 | 1883.61234 | 32.007398 | 772500.496243 |
13 | -432.10.203 | 28.220946 | |
14 | 255.74915 | 29.366834 | 534975.563820 |
15 | 404.76374 | 38.255617 | |
16 | INFINITY | 31.837170 | BSC7_HOYA |
17 | INFINITY | 73.156078 | |
IMG | INFINITY | -0.691926 |
110 : 제1 렌즈
120, 120' : 제2 렌즈
130 : 제3 렌즈
140 : 조리개
150 : 제4 렌즈
160, 160' : 제5 렌즈
170, 170' : 제6 렌즈
180, 180' : 광 제어부
181, 181' : 제7 렌즈
182 : 제8 렌즈
183 : 필터
190 : 상면
Claims (16)
- 물체측에서 상면(190)으로 순서대로 설치되며,
물체측면이 볼록하고, 상측면이 오목한 음의 굴절력을 갖는 매니스커스 형상의 제1 렌즈(110);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120)와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130)가 접합하여 배치되고, 굴절력의 합이 양의 값을 갖는 제2 렌즈군;
입사동을 결정하는 조리개(140);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4 렌즈(150)와, 제5 렌즈(160)와, 제6 렌즈(170)가 배치되며, 상기 제4 렌즈(150)와 제5 렌즈(160)는 각 면의 곡률 중심이 물체쪽으로 위치되고, 굴절률의 합이 양의 값인 제3 렌즈군; 및
상기 제3 렌즈(130)와 상면(190) 사이에 양의 굴절력을 갖도록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고, 중심 광속 이외의 주변광을 제어하는 광 제어부(180)를 포함하며,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광각 렌즈 시스템.
4.5 < OAL/F < 5.5
11 < Fno * OAL/F <16
여기서, OAL은 광각렌즈 시스템의 물체 측 첫 번째 면으로부터 상면까지의 거리이고, Fno는 풀 개방시의 F 수이며, F는 유효초점거리이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각 렌즈 시스템은 렌즈가 광축을 기준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된 광각 카메라 렌즈의 화각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광각 렌즈 시스템.
130° < θ < 170°
여기서 θ는 물체측 입사 화각이다.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각 렌즈 시스템은 다음 두 조건을 만족하는 광각 렌즈 시스템.
0 ≤ L3T/F < 0.5 ,
0 ≤ L4T/F + L5T/F < 0.2
여기서 제3 렌즈와 제4 렌즈 간격은 L3T 이고, 제4 렌즈와 제5 렌즈 사이의 간격은 L4T, 제5 렌즈와 제6 렌즈 사이의 간격은 L5T 이며, F는 유효초점거리이다.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각 렌즈 시스템의 제3 렌즈(130)의 상측면과 제4 렌즈(150)의 물체면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광각 렌즈 시스템.
| Sag1/F | < 0.03
여기서 F는 유효초점거리이고, Sag1은 렌즈의 정점과 유효경 간의 광축 Z축 좌표 값의 차이이며, 유효경은 최외각 광선과 렌즈면과 만나는 지점이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110)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광각 렌즈 시스템.
-2 < f1/F < 0
여기서, f1은 제1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F는 유효초점거리이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군의 접합렌즈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광각 렌즈 시스템.
| vd2 - vd3 | > 30
여기서, 제2 렌즈의 아베값이 vd2, 제3 렌즈 아베값이 vd3 이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군은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5 렌즈(160)와,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6 렌즈(170)가 배치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렌즈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어부(180)는 양의 굴절력을 갖는 2매 ~ 4매의 렌즈군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렌즈 시스템.
- 물체측에서 상면(190)으로 순서대로 설치되고,
물체측면이 볼록하고 상측 면이 오목한 음의 굴절력을 갖는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1 렌즈(110);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2 렌즈(120')와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3 렌즈(130)가 접합하여 배치되고, 굴절력의 합이 양의 값을 갖는 제2 렌즈군;
입사동을 결정하는 조리개(140);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4 렌즈(150)와,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제5 렌즈(160')와,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6 렌즈(170')가 3중 접합하여 배치되고, 곡률의 중심 방향이 물체쪽이며, 굴절률의 합이 양인 제3 렌즈군; 및
상기 제3 렌즈(130)와 상면(190) 사이에 양의 굴절력을 갖도록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고, 중심 광속 이외의 주변광을 제어하는 광 제어부(180')를 포함하며,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광각 렌즈 시스템.
-2< F1/F < 0
2< F2/F < 3
2.5 < F3/F < 4
여기서, F1은 제1 렌즈의 유효 초점거리이고, F2는 제2 렌즈군의 초점거리이며, F3은 제3 렌즈군의 초점거리이고, F는 유효초점거리이다.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각 렌즈 시스템은 렌즈가 광축을 기준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된 광각 카메라 렌즈의 화각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광각 렌즈 시스템.
130° < θ < 170°
여기서 θ는 물체측 입사 화각이다.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각 렌즈 시스템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광각 렌즈 시스템.
0 ≤ L3D/F <0.5
여기서, 제3 렌즈와 제4 렌즈의 간격은 L3D 이고, F는 유효초점거리이다.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각 렌즈 시스템의 제3 렌즈(130)의 상측면과 제4 렌즈(150)의 물체면은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광각 렌즈 시스템.
| Sag1/F | < 0.03
여기서 F는 유효초점거리이고, Sag1은 렌즈의 정점과 유효경 간의 광축 Z축 좌표 값의 차이이며, 유효경은 최외각 광선과 렌즈면과 만나는 지점이다.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150)는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광각 렌즈 시스템.
-0.67 < L4R/F < -0.4
여기서, L4R는 제4 렌즈의 상면(190) 방향 곡률이고, F는 유효초점거리이다.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제어부(180')는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7 렌즈(181')와 양의 굴절력을 갖는 제8 렌즈(182')를 포함하고,
상기 제7 렌즈(181')와 제8 렌즈(182')는 모두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광각렌즈 시스템.
-0.036 < CS/F < 0.036
여기서, CS는 렌즈 곡률의 역수 값이고, F는 유효초점거리이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2197A KR101763061B1 (ko) | 2016-02-01 | 2016-02-01 | 광각 렌즈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2197A KR101763061B1 (ko) | 2016-02-01 | 2016-02-01 | 광각 렌즈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63061B1 true KR101763061B1 (ko) | 2017-08-01 |
Family
ID=5965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2197A Expired - Fee Related KR101763061B1 (ko) | 2016-02-01 | 2016-02-01 | 광각 렌즈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306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967076A (zh) * | 2022-06-01 | 2022-08-30 | 苏州东方克洛托光电技术有限公司 | 一种指纹成像光学系统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026014A (ja) | 2012-07-25 | 2014-02-06 | Canon Inc |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
JP2014197131A (ja) | 2013-03-29 | 2014-10-16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
-
2016
- 2016-02-01 KR KR1020160012197A patent/KR101763061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4026014A (ja) | 2012-07-25 | 2014-02-06 | Canon Inc |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
JP2014197131A (ja) | 2013-03-29 | 2014-10-16 | キヤノン株式会社 | 撮像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967076A (zh) * | 2022-06-01 | 2022-08-30 | 苏州东方克洛托光电技术有限公司 | 一种指纹成像光学系统 |
CN114967076B (zh) * | 2022-06-01 | 2024-04-09 | 苏州东方克洛托光电技术有限公司 | 一种指纹成像光学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11478B1 (ko) | 촬상 광학계 | |
US7697221B2 (en) | Imaging lens and imaging device | |
US7453654B2 (en) | Imaging lens | |
KR100708276B1 (ko) | 광각 촬상 렌즈 | |
US9690080B2 (en) | Wide angle lens | |
JP4613111B2 (ja) | 光学装置 | |
JP6889721B2 (ja) | 広角レンズ | |
JP6449083B2 (ja) | 撮像レンズ系及び撮像装置 | |
KR102016724B1 (ko) | 촬상 광학계 | |
JP6634273B2 (ja) |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 |
WO2017204364A1 (ja) | 撮像レンズ系及び撮像装置 | |
TWI512329B (zh) | 變焦鏡頭 | |
JP2017102182A (ja) |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 |
WO2018066641A1 (ja) | 撮像レンズ系及び撮像装置 | |
KR102246993B1 (ko) | 촬상 광학계 | |
JP2019035989A (ja) | 撮像レンズ系及び撮像装置 | |
JP2016114648A (ja) | 結像光学系 | |
JP2016095542A (ja) | 接合レンズ | |
JP5825845B2 (ja) | 撮像レンズ | |
JP2019207427A (ja) | 撮像レンズ系及び撮像装置 | |
CN106483635B (zh) | 摄像镜头以及摄像装置 | |
JP2016188893A (ja) | 撮像レンズ系及び撮像装置 | |
JP7193362B2 (ja) | 撮像レンズ及び撮像装置 | |
KR101763061B1 (ko) | 광각 렌즈 시스템 | |
JP2017016148A (ja) | 接合レン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7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