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55314B1 - 교통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교통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5314B1
KR101755314B1 KR1020150109927A KR20150109927A KR101755314B1 KR 101755314 B1 KR101755314 B1 KR 101755314B1 KR 1020150109927 A KR1020150109927 A KR 1020150109927A KR 20150109927 A KR20150109927 A KR 20150109927A KR 101755314 B1 KR101755314 B1 KR 101755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formation collecting
link
group
spe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6618A (ko
Inventor
임지현
정재현
박성환
이범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09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5314B1/ko
Publication of KR20170016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6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5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53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8G1/0141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traffic information disse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1/00Measuring average value of speed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5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responding to signals from another vehicle, e.g. emergency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그룹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속도 정보가 수신되면,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가 속하는 그룹을 각각 확인하고,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그룹의 정보와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교통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로의 링크별 및 시간별로 교통 정보를 생성하되, 다양한 종류의 정보 수집 장치의 특성을 고려하여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를 그룹으로 구분하고 링크를 이동하는 정보 수집 장치의 그룹별 특성을 고려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교통 정보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도로의 교통 흐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교통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and method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본 발명은 통신이 가능한 정보 수집 장치에서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교통 정보를 외부 장치에 제공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도로 이용자들에게 실시간으로 구간별 교통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운행 및 시간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일부 도로에 교통량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이 최대한 분산되도록 한다.
이러한 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교통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구간별 차량의 속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구간별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정보를 제공한다.
여기서 구간별 차량의 속도 정보는 구간 검지 방식 또는 지점 검지 방식에 의해 검지된 속도 정보이다.
이 중 지점 검지 방식은 도로 상에 설치된 지점 검지기(예: 루프(Loop)검지기, 속도 감지기 등)를 이용하여 지점 검지기를 통과한 차량의 속도 및 시간 정보 등을 교통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에는 지점의 속도를 구간의 속도로 변환 시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도로의 바닥면에 속도 감지 센서가 설치되면 과적차량에 의하여 센서가 파손되거나 기타 외력에 의하여 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도로 공사 시 지점 검지기를 재설치 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되며, 그에 따른 비용 증가도 발생한다.
또한 교통 정보 수집에 적합한 구간을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설치된 지점 검지기도 재 설치하거나 새로 설치여야 함으로써, 구간 변경이 자유롭지 않으며, 지점 검지기를 설치할 수 있는 도로에도 제약이 있다.
그리고 구간 검지 방식은 차량을 이용한 방식으로, 도로를 주행하면서 차량에서 획득된 정보, 즉 도로 구간에 대한 주행 시간, 주행 거리 및 속도 정보를 무선 통신이나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교통정보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에는 구간별 교통 정보를 수집하는 차량의 속성(예를 들어, 택시, 트럭, 개인용 차량)의 차이로 인하여 수집된 교통 정보의 정확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일 측면은 그룹으로 구분된 정보 수집 장치에서 전송한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그룹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속도 정보가 수신되면,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가 속하는 그룹을 각각 확인하고,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그룹의 정보와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교통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저장부는, 복수의 링크에 각각 대응하는 그룹의 순위를 저장하고, 제어부는,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가 위치하는 링크를 각각 확인하고, 확인된 각각의 링크의 그룹의 순위를 확인하고, 각각의 링크의 교통 정보를 생성하되, 링크별로 그룹의 순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수집 장치를 각각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저장부는, 복수의 링크에 각각 대응하는 유효수를 저장하고, 제어부는, 각각의 링크의 교통 정보 생성 시, 링크 별로 유효수에 대응하는 수의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저장부는, 복수의 링크 및 시간에 각각 대응하는 그룹의 순위를 저장하고, 제어부는, 위치 정보가 수신된 시점의 시간을 확인하며, 확인된 시간에 기초하여 각각의 링크에 대응하는 그룹의 순위를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저장부는, 복수의 링크 및 시간에 각각 대응하는 유효수를 저장하고, 제어부는, 각각의 링크의 교통 정보 생성 시, 시간 및 링크 별로 유효수에 대응하는 수의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부는, 시간 및 링크별로 선택된 정보 수집 장치의 속도 정보를 합산하고 유효수를 이용하여 평균 속도를 산출하고 시간 및 링크별로 산출된 평균속도를 이용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부는, 동일 그룹 내의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수가 선택될 정보 수집 장치의 수를 초과하면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 중 동일 링크를 이동한 순서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만큼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그룹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가 속하는 그룹을 각각 확인하고,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속도 정보를 획득하고,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그룹의 정보와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교통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저장부는, 복수의 링크에 각각 대응하는 그룹의 순위를 저장하고, 제어부는,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가 위치하는 링크를 각각 확인하고, 확인된 각각의 링크의 그룹의 순위를 확인하고, 각각의 링크의 교통 정보를 생성하되, 링크별로 그룹의 순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 수집 장치를 각각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저장부는, 복수의 링크에 각각 대응하는 유효수를 저장하고, 제어부는, 각각의 링크의 교통 정보 생성 시, 링크 별로 유효수에 대응하는 수의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저장부는, 복수의 링크 및 시간에 각각 대응하는 그룹의 순위를 저장하고, 제어부는, 위치 정보가 수신된 시점의 시간을 확인하며, 확인된 시간에 기초하여 각각의 링크에 대응하는 그룹의 순위를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저장부는, 복수의 링크 및 시간에 각각 대응하는 유효수를 저장하고, 제어부는, 각각의 링크의 교통 정보 생성 시, 시간 및 링크 별로 유효수에 대응하는 수의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부는,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속도 정보가 수신되면,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그룹의 정보와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저장부는, 링크별 및 시간별 기준 속도 정보를 저장하고, 제어부는, 링크별 및 시간별로 복수의 그룹에서 각각 획득한 속도 정보와 기준 속도 정보를 비교한 오차에 기초하여 링크별 및 시간별로 그룹의 순위를 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복수의 그룹은, 개인용 차량이 속하는 제1그룹과, 제1상용차량이 속하는 제2그룹과, 제1상용차량보다 크기가 큰 제2상용차량이 속하는 제3그룹과, 차량용 단말기가 속하는 제4그룹과, 사용자용 단말기가 속하는 제5그룹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은,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에서 전송된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및 속도 정보가 수신되면,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가 속하는 그룹을 각각 확인하고,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가 위치하는 링크를 각각 확인하고, 확인된 각 링크의 그룹의 순위를 확인하고, 각 링크의 그룹의 순위에 기초하여 링크별로 교통 정보 생성에 이용될 적어도 하나의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하고, 링크별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링크별 교통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에 전송한다.
링크별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하는 것은, 링크 별로 미리 설정된 유효수에 대응하는 수의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링크별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하는 것은, 링크 별 그룹의 순위에 기초하여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그룹에 속하는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하되 유효수만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링크별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하는 것은, 동일 그룹 내의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수가 선택될 정보 수집 장치의 수를 초과하면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 중 동일 링크를 이동한 순서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만큼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은 위치 정보가 수신된 시점의 시간을 확인하고, 확인된 시간에 기초하여 각각의 링크에 대응하는 그룹의 순위를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링크별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하는 것은, 시간 및 링크 별로 미리 설정된 유효수를 확인하고, 링크별 그룹의 순위 및 유효수에 기초하여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한다.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시간 및 링크별로 선택된 정보 수집 장치의 속도 정보를 합산하고, 유효수를 이용하여 평균 속도를 산출하고, 시간 및 링크별로 산출된 평균속도를 이용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교통 정보 제공 방법은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 중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위치 정보의 변화에 기초하여 속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로의 링크별 및 시간별로 교통 정보를 생성하되, 다양한 종류의 정보 수집 장치의 특성을 고려하여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를 그룹으로 구분하고 링크를 이동하는 정보 수집 장치의 그룹별 특성을 고려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교통 정보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도로의 교통 흐름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의 정보 수집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의 정보 수집 장치 중 차량과 제2단말기의 예시도이다.
도 4는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의 정보 수집 장치 중 차량의 내부에 마련된 제1단말기의 예시도이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의 정보 수집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의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의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8은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에 마련된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링크 구분 예시도이다.
도 9는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에 마련된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정보 수집 장치의 그룹 구분 예시도이다.
도 10은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에 마련된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링크별 그룹의 우선 순위 지정 예시도이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에 마련된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12는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에 마련된 교통 정보 제공 장치에서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1)의 제어 구성도로, 교통 정보 시스템(1)은 정보 수집 장치(100),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 및 서비스 장치(300)를 포함한다.
정보 수집 장치(100)는 차량의 속도 정보를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에 전송하는 장치이다.
정보 수집 장치(100)는 자신의 식별 정보(ID) 및 도로의 위치 정보를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에 함께 전송할 수 있다.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는 정보 수집 장치(100)에서 전송된 식별 정보, 차량의 속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링크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링크별 교통 정보를 서비스 장치(300)에 전송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링크는, 도로 상에서 어느 하나의 구간을 의미한다.
도로의 구간은 복수 개로 구분될 수 있고, 각 구간은 도로의 종류, 도로의 위치(예, 지역 등) 및 도로의 길이에 기초하여 구분될 수 있다.
즉 도로는 복수 개의 링크로 구분될 수 있다.
아울러 각 링크를 이루는 한 구간의 길이는,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서비스 장치(300)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에서 전송한 링크별 교통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링크별 교통 정보를 조합하여 전체 도로의 교통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링크별 교통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서비스 장치(300)는 웹 사이트의 서버일 수 있고, 내비게이션 장치일 수 있으며, 내비 서버 또는 내비게이션 기능의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앱 서버일 수 있다.
즉, 차량용 단말기인 제1단말기와 사용자용 단말기인 제2단말기는, 정보 제공 장치로 이용될 수도 있고, 서비스 장치로도 이용될 수 있으며, 정보 제공 장치와 서비스 장치로 모두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300)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EB, IVR(Interactive Voice Response) 및 SMS(Short Message Service) 등의 방법으로 무선 통신이 가능한 사용자용 단말기 등에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교통 정보 시스템의 정보 수집장치(100)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고,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수집 장치(1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위치 수신이 가능하며, 차량의 속도 획득이 가능한 장치로, 차량(100a)과, 차량에 배치될 수 있는 제1단말기(100b) 및 제2단말기(100c)일 수 있다.
차량(100a)은 사람 또는 화물을 운송할 목적으로 차륜을 구동시켜 도로 위를 주행하는 장치로, 주행 중 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속도 정보와, 속도를 검출한 시점의 위치 정보를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에 전송한다.
차량(100a)은, 개인용 차량 및 상용 차량으로 구분될 수 있고, 상용 차량은 사람의 수송에 사용되되 크기가 소형인 제1상용차량과, 사람 또는 물건의 수송에 사용되되 제1상용차량보다 대형인 제2상용차량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상용차량은 택시나 밴일 수 있고, 제2상용차량은 트럭이나 버스일 수 있다.
제1단말기(100b)는 차량(100a)의 내부에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차량용 단말기일 수 있다.
제1단말기(100b)는 차량에 배치된 상태에서 차량의 속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속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통신을 이용하여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에 전송한다.
이때 제1단말기(100b)는 자신의 식별 정보(ID)를 함께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단말기(100b)는 내비게이션 장치일 수 있다.
제2단말기(100c)는 사용자용 단말기로 차량에 탑승하는 사용자에 의해 차량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단말기(100c)는 차량에 배치된 상태에서 차량의 속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속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통신을 이용하여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에 전송한다.
이때 제2 단말기(100c)는 자신의 식별 정보(ID)를 함께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단말기(100c)는 스마트 폰, 태블릿, 노트북 및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일 수 있다.
정보 수집 장치(100)의 예를 도 3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1)의 정보 수집 장치(100) 중 차량(100a)과, 차량에 배치되는 제2단말기(100c)의 예시도이고, 도 4는 정보 수집 장치(100) 중 차량(100a)의 내부에 장착된 제1단말기(100b)의 예시도이다.
차량(100a)은 내장과 외장을 갖는 차체(Body)와, 차체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주행에 필요한 기계 장치가 설치되는 차대(Chassis)를 포함한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외장(110)은 프론트 패널(111), 본네트(112), 루프 패널(113), 리어 패널(114), 트렁크(115), 전후좌우 도어(116), 전후좌우 도어(116)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윈도우 글래스(117)를 포함한다.
그리고 차체의 외장은 프론트 패널, 본네트, 루프 패널, 리어 패널, 트렁크, 전후좌우 도어의 윈도우 글래스 사이의 경계에 마련된 필러(118)와,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19)를 더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내장(120)은 탑승자가 앉는 시트(121)와, 대시 보드(122)와, 대시 보드 상에 배치되고 타코미터, 속도계, 냉각수 온도계, 연료계, 방향전환 지시등, 상향등 표시등, 경고등, 안전벨트 경고등, 주행 거리계, 주행 기록계, 자동변속 선택레버 표시등, 도어 열림 경고등, 엔진 오일 경고등, 연료부족 경고등이 배치된 계기판(즉 클러스터, 123)과, 차량 방향을 조작하는 스티어링 휠(124)과, 공기조화기의 송풍구와 조절판이 배치되고 오디오 기기가 배치된 센터 페시아(125)를 포함한다.
시트(121)는 운전자가 앉는 운전석(121a), 동승자가 앉는 조수석(121b), 차량 내 후방에 위치하는 뒷좌석을 포함한다.
센터 페시아(125)는 오디오 기기, 공기 조화기 및 히터를 제어하기 위한 헤드유닛(126)과, 송풍구, 시거잭, 멀티단자(127)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멀티단자(127)는 USB 포트, AUX단자를 포함하고, SD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헤드 유닛(126)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차량(100a)은 각종 기능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차대는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주행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연료 장치, 전후좌우 차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차량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에어백 제어 장치, 차량 자세 안정제어장치(ESC: Electronic Stability Control) 등 여러 가지 안전장치들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100a)은 동력 발생 장치, 동력 전달 장치, 주행 장치, 조향 장치, 제동 장치, 현가 장치, 변속 장치, 연료 장치 및 여러 가지 안전 장치들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onic Control Unit)을 포함한다.
이러한 차량(100a)은 시동모터(미도시)에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시동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차량(100a)은 시동 버튼이 온 되면 시동모터(미도시)를 동작시키고 시동 모터의 동작을 통해 동력 발생장치인 엔진(미도시)을 구동시킨다.
차량(100a)은 차량용 단말기, 오디오 기기, 실내 등, 시동 모터, 그 외 전자 장치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차량(100a)은 위치 수신부, 속도 검출부 및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정보 수집 장치인 차량은 GPS 수신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차량(100a)은 식별 정보(ID)를 저장하고 있고, 식별 정보(ID)와 함께 현재의 위치 정보와 차량의 속도 정보를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에 전송한다.
차량(100a)에는 차량용 단말기인 제1단말기(100b)가 배치될 수 있다.
차량용 단말기인 제1단말기(100b)는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DMB 기능, 라디오 기능을 수행한다.
차량(100a)에는 사용자용 단말기인 제2단말기(100c)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2단말기(100bc)는 멀티단자(127)에는 유선 연결될 수 있다.
제2단말기(100c)는 내비게이션 기능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정보 수집 기능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단말기(100b)와 제2단말기(100c)는 식별 정보(ID)를 포함하고, 식별 정보(ID)와 함께 위치 정보 및 속도 정보를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에 전송한다.
차량(100a), 제1단말기(100b) 및 제2단말기(100bc)는 수집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에 등록될 수 있다.
즉 차량(100a), 제1단말기(100b) 및 제2단말기(100bc)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에 수집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 등록된 경우,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에 각종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정보 수집 장치(100)는 차량이 주정차 상태일 때 정보의 전송을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정보 수집 장치(100)는 제2단말기일 경우,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한 상태가 아닌 상태이면 정보의 전송을 차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상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다.
또한 제1단말기(100b)는 차량이 주정차된 상태에서 속도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제2단말기(100c)는 차량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속도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제2단말기(100c)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에 수집된 정보 제공을 위한 장치로 등록된 경우, 도보 또는 건물 내부에 머무는 상태에서도 수집된 속도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1)의 정보 수집 장치(100) 중 차량(100a)의 제어 구성도이다.
차량(100a)은 제1위치 수신부(130), 속도 검출부(140), 제1제어부(150), 제1저장부(160) 및 제1통신부(170)를 포함한다.
아울러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구성부와의 구별을 위해 차량의 제어 구성부에 제1을 기재하도록 한다.
제1위치 수신부(130)는 GPS 수신기를 포함하고, 복수의 위성에서 제공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는 복수의 GPS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복수의 GPS위성의 위치 신호에 대응하는 거리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획득하는 소프트웨어와, 획득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속도 검출부(140)는 차량의 속도를 검출한다.
이러한 속도 검출부(140)는 전후좌우 휠의 속도를 감지하는 휠 속도 센서와, 차량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제어부(150)는 전후좌우 휠 속도 센서에서 검출된 휠 속도에 기초하여 차량의 속도 정보를 획득한다.
제1제어부(150)는 가속도 센서에서 검출된 가속도에 기초하여 차량의 속도 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고, 전후좌우 휠 속도 센서에서 검출된 휠 속도와 가속도 센서에서 검출된 가속도에 기초하여 차량의 속도 정보를 획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제어부(150)는 시동이 온 되어 차량의 주행이 시작되면 차량의 위치 정보와, 차량의 속도 정보 및 식별 정보의 전송을 제어한다.
이때 제1제어부(150)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고, 실시간으로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며, 입력부(128)에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1제어부(150)는 차량에 마련된 전자 제어 유닛(ECU)일 수 있다.
제1저장부(160)는 차량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의 정보를 저장한다.
제1통신부(170)는 제1제어부(150)의 명령에 기초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와, 차량의 속도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외부의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에 전송한다.
제1통신부(170)는 내부의 각종 전자 장치들 사이의 통신, 제1단말기(100b)와의 통신 및 제2 단말기(100c)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통신부(170)는 유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통신부(170)는 캔 통신 모듈, 와이파이 통신 모듈, USB 통신 모듈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 DMB 등의 TPEG, SXM, RDS와 같은 브로드캐스팅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1)의 정보 수집 장치(100) 중 제1단말기(100b)의 제어 구성도이다.
제2단말기(100c)의 경우, 제1단말기(100b)와 제어 구성이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아울러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구성부와의 구별을 위해 차량의 제어 구성부에 제1을 기재하도록 한다.
제1단말기(100b)는 제1위치 수신부(130), 제1제어부(180), 제1저장부(160), 제1통신부(17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190)를 포함한다.
제1위치 수신부(130)는 GPS 수신기를 포함하고, 복수의 위성에서 제공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수신기는 복수의 GPS 위성의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복수의 GPS위성의 위치 신호에 대응하는 거리 및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위치를 획득하는 소프트웨어와, 획득된 차량의 위치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제1제어부(180)는 획득된 위치 정보와, 위치 정보가 획득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차량의 위치 정보와, 차량의 속도 정보 및 식별 정보의 전송을 제어한다.
아울러 제1제어부(180)는 차량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고, 차량의 위치 정보, 시간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는 차량의 위치 정보가 수신된 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차량의 위치 정보와 획득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 정보를 획득하거나 차량의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1제어부(180)는 전원이 온되면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되 미리 설정된 주기로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고, 실시간으로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190)에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기초하여 정보의 전송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저장부(160)는 차량의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의 정보를 저장한다.
제1통신부(170)는 제1제어부(180)의 명령에 기초하여 차량의 위치 정보와, 차량의 속도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외부의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에 전송한다.
제1통신부(170)는 차량(100a) 및 제2 단말기(100c)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통신부(170)는 유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통신부(170)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 USB 통신 모듈 및 블루투스 통신 모듈, DMB 등의 TPEG, SXM, RDS와 같은 브로드캐스팅 통신 모듈, CDMA, W-CDMA, LTE등의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90)는 사용자로부터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동작 정보를 출력하는 것으로, 입력부와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90)의 입력부는 사용자의 동작 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동작 명령을 제1제어부(180)에 전송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90)의 입력부는 정보 전송 명령 및 정보 전송 차단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입력부는 동작 온 오프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고, 내비게이션 기능 수행 시 목적지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DMB 기능 수행 시 채널 정보 및 볼륨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90)의 입력부는 전원 온오프를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전원 온오프 버튼과, 볼륨 조절을 위한 조절 버튼, 번호, 한/영 등의 문자가 인쇄된 버튼,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한 명령을 갖는 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이 버튼은 물리적 버튼으로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90)의 표시부는 제1단말기(100b)에서 수행되는 기능의 영상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는 제1단말기(100b)에서 내비게이션 기능 시 지도 영상과 경로 정보를 표시하고, DMB 기능 시 방송 영상을 표시하며, 라디오 기능 시 채널 및 볼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90)의 입력부는 터치 패널로 구현 가능하고, 표시부는 LCD, PDP, OLED 등의 평판 표시 패널로 구현 가능하다. 즉 제1단말기(100b)의 입력부와 표시부는 터치 패널과 평판 표시 패널이 일체로 형성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 가능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90)를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 시 입력부의 각종 버튼은, 표시부에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고, 이때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명령에 대응하는 터치 신호를 발생시킨다.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는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100)로부터 속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장치로, 도 7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의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구성도로, 제2통신부(210), 제2제어부(220) 및 제2저장부(230)를 포함한다.
아울러 정보 수집 장치의 제어 구성부와의 구별을 위해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구성부에 제2를 기재하도록 한다.
제2통신부(210)는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100)로부터 식별정보, 속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정보, 속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제2제어부(220)에 전송한다.
제2제어부(220)는 수신된 식별 정보, 속도 정보 및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제어부(220)는 정보 수집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수집 장치가 속하는 그룹을 확인하고, 정보 수집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수집 장치가 위치하는 링크를 확인하며, 위치 정보가 수신된 시점의 시간을 확인하고, 확인된 링크 및 시간에 기초하여 속도 정보를 전송한 정보 수집 장치가 속하는 그룹의 우선 순위를 확인한다.
이러한 제2제어부(220)는 동일 링크 및 동일 시간에 속도 정보를 전송한 모든 정보 수집 장치의 그룹을 확인하고, 확인된 그룹의 우선 순위를 확인하며, 링크 및 시간에 대응하는 미리 설정된 유효수를 확인한다.
제2제어부(220)는 속도 정보를 전송한 모든 정보 수집 장치를 확인된 그룹의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나열하고, 나열된 정보 수집 장치들 중 미리 설정된 유효 수만큼의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정보 수집 장치의 속도 정보 및 유효수를 이용하여 링크의 평균 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 속도를 해당 링크의 교통 정보로 생성한다.
아울러, 제2제어부(220)는 동일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 나열 시, 해당 링크를 먼저 지나간 순서대로 나열한다.
제2제어부(220)는 동일 구간의 상하향 선의 링크 구별 시, 시간에 따른 위치 정보의 변화에 기초하여 차량 또는 단말기의 이동 방향을 획득하고 획득된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상향선의 링크인지, 하향선의 링크인지를 인식할 수 있다.
아울러 제2제어부(220)는 정보수집 장치에서 위치 정보만 전송되는 경우, 위치 정보가 수신된 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위치 정보와 획득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정보 수집 장치의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2제어부(220)는 정보수집 장치에서 위치 정보와 시간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수신된 위치 정보와 수신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2제어부(220)는 어느 하나의 링크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유효수 미만의 정보 수집 장치가 이동한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어느 하나의 링크를 이동한 정보 수집 장치의 수와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평균 속도를 교통 정보로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제어부(220)는 어느 하나의 링크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유효수 미만의 정보 수집 장치가 이동한 경우,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어느 하나의 링크에서의 차량의 평균 속도를 교통 정보로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저장부(230)는 도로의 링크의 식별 정보(ID)와, 도로의 링크별 위치 정보와,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식별 정보와,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의 정보를 저장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는 복수의 링크로 구분되되 상향선과 하향선의 링크로 구분될 수 있고, 복수의 링크는 식별 정보를 각각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의 하향 선의 링크는 제1링크(L11), 제2링크(L12), 제3링크(L13)를 포함할 수 있고, 도로의 상향 선의 링크는 제4링크(L21), 제5링크(L22), 제3링크(L23)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동일 링크는 복수의 차로를 포함할 수 있고, 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동일 링크 내 복수의 차로에서 이동하는 정보 수집 장치로부터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제2저장부(230)는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가 각각 속하는 그룹 정보를 저장한다.
이때 제2저장부(230)는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식별 정보와, 복수의 식별 정보에 각각 매칭된 그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은, 개인용 차량이 속하는 제1그룹과, 택시와 같은 소형의 상용 차량이 속하는 제2그룹과, 트럭과 같은 대형의 상용 차량이 속하는 제3그룹과, 내비게이션 장치와 같은 차량용 단말기가 속하는 제4그룹과, 사용자용 단말기가 속하는 제5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저장부(230)는 링크별 그룹의 우선 순위를 저장하되, 시간별로 우선 순위를 저장한다.
즉, 제2저장부(230)는 링크별 및 시간별로 복수 그룹의 우선 순위를 저장한다.
제2저장부(230)는 복수의 링크 및 복수의 시간에 대응하는 유효수를 각각 저장한다. 즉 제2저장부(230)는 링크별 및 시간별 미리 설정된 유효수를 저장한다.
이하에서 링크별 및 시간별로 복수 그룹의 우선 순위를 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는 복수의 링크를 각각 주행하는 테스트 차량으로부터 속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속도 정보를 시간별로 구분하여 링크별 및 시간별 기준 속도 정보를 저장한다.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는 복수의 링크를 각각 통과하는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100)로부터 속도 정보와 식별 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수신된 각각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가 속하는 그룹을 각각 확인하며, 수신된 속도 정보를 시간별로 구분하여 링크별 및 시간별로 정보 수집 장치의 속도 정보를 저장하되 그룹별로 저장한다.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는 동일한 시간 대에 동일한 링크를 통과한 테스트 차량의 기준 속도 정보와, 동일한 시간 대에 동일한 링크를 통과한 제1, 2, 3, 4, 5 그룹에 속한 정보 수집 장치의 속도 정보를 각각 비교하여 우선 순위를 정하고, 링크별 및 시간별로 그룹의 우선 순위를 저장한다.
즉,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는 기준 속도 정보와의 오차가 작은 그룹의 순위를 높게 정하고, 오차가 커질수록 그룹의 순위를 낮춘다.
좀 더 구체적으로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는 동일한 시간대에 동일한 링크를 통과하는 제1그룹에 속하는 차량에서 획득한 차량의 속도 정보와, 제2그룹에 속하는 차량에서 획득한 차량의 속도 정보와, 제3그룹에 속하는 차량에서 획득한 차량의 속도 정보와, 제4그룹의 단말기에서 획득한 속도 정보와, 제5그룹의 단말기에서 획득한 속도 정보를, 동일한 시간 대에 동일한 링크를 통과한 테스트 차량의 기준 속도 정보와 각각 비교하여 복수 그룹의 우선 순위를 정한다.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는 동일한 시간 대에 동일한 링크를 통과하는 각 그룹의 정보 수집 장치가 복수 대이면 각 그룹의 평균 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 그룹의 평균 속도 정보와 테스트 차량의 기준 속도 정보를 비교하여 우선 순위를 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는 제1링크를 제1시간 대에 통과하는 제1그룹에 속하는 차량들의 제1평균 속도를 구하고, 제1링크를 제1시간 대에 통과하는 제2그룹에 속하는 차량들의 제2평균 속도를 구하고, 제1링크를 제1시간 대에 통과하는 제3그룹에 속하는 차량들의 제3평균 속도를 구하고, 제1링크를 제1시간 대에 통과하는 제4그룹에 속하는 단말기들의 제4평균 속도를 구하고, 제1링크를 제1시간 대에 통과하는 제5그룹에 속하는 단말기들의 제5평균 속도를 구한다.
여기서 제5그룹의 단말기들에서 전송된 속도 정보는, 보행 중의 속도 정보일 수도 있다.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는 제1링크를 제1시간 대에 주행하는 테스트 차량의 기준 속도와 제1평균속도를 비교하여 오차를 산출하고, 기준 속도와 제2평균속도를 비교하여 오차를 구하며, 기준 속도와 제3평균속도를 비교하여 오차를 구하고, 기준 속도와 제4평균속도를 비교하여 오차를 구하며, 기준 속도와 제5평균속도를 비교하여 오차를 구한 후 각 오차를 크기 순으로 나열하고 오차가 가장 작은 그룹을 제1순위, 다음으로 오차가 작은 그룹을 제2순위, 그 다음으로 오차가 작은 그룹을 제3순위, 그 다음으로 오차가 작은 그룹을 제4순위, 마지막으로 오차가 가장 큰 그룹을 제5순위로 정한다.
즉 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링크별 및 시간별로 그룹의 우선 순위를 저장한다.
이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링크(L11)는 도심에 위치한 도로이고, 제2링크(L12)는 지방 도로이며, 제3링크(L13)는 통신이 용이하지 않은 도로라고 가정한다.
제1링크(L11)에서 오전(AM) 4시의 복수 그룹의 순위를 살펴보면, 제1순위는 제1그룹, 제2순위는 제4그룹, 제3순위는 제5그룹, 제4순위는 제2그룹, 제5순위는 제3그룹이다.
제2링크(L12)에서 오전(AM) 4시의 복수 그룹의 순위를 살펴보면, 제1순위는 제3그룹, 제2순위는 제1그룹, 제3순위는 제4그룹, 제4순위는 제5그룹, 제5순위는 제2그룹이다.
제3링크(L13)에서 오전(AM) 4시의 복수 그룹의 순위를 살펴보면, 제1순위는 제5그룹, 제2순위는 제1그룹, 제3순위는 제4그룹, 제4순위는 제2그룹, 제5순위는 제3그룹이다.
즉, 제1링크(L11)는 도심에 위치한 도로이기 때문에 기준 속도 정보와 비교 시 개인용 차량의 속도 정보의 오차가 가장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오전 4시 제1링크(L11)에서는 제1그룹이 가장 높은 순위를 갖는다.
그리고 제2링크(L12)는 지방 도로이기 때문에 제한 속도가 낮고 이로 인해 기준 속도 정보와 비교 시 느린 속도로 주행하는 트럭의 속도 정보의 오차가 가장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오전 4시 제2링크(L12)에서는 제3그룹이 가장 높은 순위를 갖는다.
제3링크(L13)는 통신이 용이하지 않은 도로이기 때문에 기준 속도 정보와 비교 시 사용자용 단말기인 제2단말기의 속도 정보의 오차가 가장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오전 4시 제3링크(L13)에서는 제5그룹이 가장 높은 순위를 갖는다.
이와 같이 시간 및 링크의 특성에 기초하여 정보 수집 장치의 그룹의 순위를 정하고, 우선 순위가 높은 그룹에서 전송한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교통 정보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에서 교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11은 실시 예에 따른 교통 정보 시스템에 마련된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제어 순서도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는 정보 수집 장치(100)에서 전송된 식별 정보, 속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401)한다.
여기서 각종 정보를 전송하는 정보 수집 장치(100)는 개인용 차량, 상용 차량, 차량용 단말기 및 사용자용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는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수집 장치가 위치하는 링크를 각각 확인하며, 정보를 전송한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를 링크별로 분리한다.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는 동일 링크에 위치하는 정보 수집 장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정보 수집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정보 수집 장치가 속하는 그룹을 각각 확인한다.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는 동일 링크에 위치하는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를 그룹별로 분리(402)한다.
즉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는 지도의 모든 링크에 대해 링크 별로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를 그룹별로 분리한다.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는 현재 시간을 확인하고, 확인된 시간에 기초하여 링크별 복수의 그룹의 순위를 확인하고, 링크별 유효수를 확인한다.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는 시간별 및 링크별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속도 정보를 전송한 모든 정보 수집 장치를 나열한다.
아울러,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는 동일 그룹에 속하는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 나열 시, 해당 링크를 먼저 지나간 순서대로 나열한다.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는 나열된 정보 수집 장치들 중 미리 설정된 유효 수만큼의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정보 수집 장치의 속도 정보 및 유효수를 이용하여 링크의 평균 속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 속도를 해당 링크의 교통 정보로 생성(403)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동일 링크를 통과한 제1순위의 그룹에 속한 정보 수집 장치의 수가 미리 설정된 유효수보다 작은지 판단하고, 제1순위의 그룹에 속한 정보 수집 장치의 수가 미리 설정된 유효수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제1순위의 그룹과 제2순위의 그룹에 속한 정보 수집 장치를 합산한 수가 미리 설정된 유효수보다 작은지 판단한다.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는 제1순위와 제2순위의 그룹에 속한 정보 수집 장치의 수가 미리 설정된 유효수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제1, 2, 3 순위의 그룹에 속한 정보 수집 장치의 합산 수가 미리 설정된 유효수보다 작은지 판단하고, 제1, 2, 3순위의 그룹에 속한 정보 수집 장치의 합산 수가 미리 설정된 유효수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제1, 2, 3, 순위의 그룹에 속한 정보 수집 장치의 합산 수가 미리 설정된 유효수보다 작은지 판단한다.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는 제1, 2, 3, 3순위의 그룹에 속한 정보 수집 장치의 합산 수가 미리 설정된 유효수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제1, 2, 3, 4, 5 순위의 그룹에 속한 정보 수집 장치의 합산 수가 미리 설정된 유효수보다 작은지 판단한다.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는 제1순위의 그룹에 속한 정보 수집 장치의 수가 미리 설정된 유효수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제1순위의 그룹에 속한 정보 수집 장치 중 동일 링크를 먼저 이동한 정보 수집 장치 순서부터 미리 설정된 유효수만큼의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한다.
아울러, 교통 정보 제공 장치(200)는 제1, 2순위의 그룹에 속한 정보 수집 장치의 수가 미리 설정된 유효수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제1순위의 그룹에 속한 정보 수집 장치를 모두 선택하고, 미리 설정된 유효수와 제1순위의 그룹에 속한 정보 수집 장치의 수를 차감하여 부족한 수를 확인하고, 부족한 수의 정보 수집 장치를 제2순위의 그룹에 속한 정보 수집 장치에서 선택하되, 동일 링크를 먼저 이동한 정보 수집 장치 순서부터 부족한 수만큼을 선택한다.
즉 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동일 그룹 내의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수가 선택될 정보 수집 장치의 수를 초과하면 동일 그룹 내의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 중 동일 링크를 이동한 순서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만큼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링크(L11)에서 제1순위가 제1그룹, 제2순위가 제4그룹, 제3순위가 제5그룹이라고 가정하고 미리 설정된 유효수가 10이라고 가정한다.
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제1링크를 이동한 제1, 2, 3순위의 그룹에 속하는 정보 수집 장치의 수가 미리 설정된 유효수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제1, 2, 3순위의 그룹에 속하는 정보 수집 장치를 나열하고, 각 정보 수집 장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수에 기초하여 유효수 이하인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한다.
즉 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제1순위의 제1그룹에 속하는 정보 수집 장치 P1(1), P1(2), P1(3), P1(4), 제2순위의 제4그룹에 속하는 정보 수집 장치 P4(5), P4(6), P4(7), 제3순위의 제5그룹에 속하는 정보 수집 장치 P5(8), P5(9), P5(10)를 선택한다.
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정보 수집 장치P1(1), P1(2), P1(3), P1(4)의 속도 정보와, 정보 수집 장치 P4(5), P4(6), P4(7)의 속도 정보와, 정보 수집 장치 P5(8), P5(9), P5(10)의 속도 정보를 합산하고 합산된 수를 유효 수로 나누어 평균 속도를 산출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한다.
즉 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제1링크(L11)에서의 차량의 평균 속도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제1링크(L11)의 교통 정보=
Figure 112015075517061-pat00001
여기서 Pn은 그룹명이고, (m)은 카운트된 수로 유효수 이하의 수이다.
아울러 sPn(m)은 그룹별 정보 수집 장치 하나의 속도 정보이다.
그리고 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생성된 교통 정보를 미리 등록된 서비스 장치(300)에 출력(404)한다.
여기서 미리 등록된 서비스 장치(300)에 교통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서비스 장치(300)에 교통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도로의 링크, 시간, 속도 정보를 수집하는 장치의 특성을 고려하여 도로의 링크별 및 시간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교통 정보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아울러 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어느 하나의 링크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유효수 미만의 정보 수집 장치가 이동한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어느 하나의 링크를 이동한 정보 수집 장치의 수와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평균 속도를 교통 정보로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교통 정보 제공 장치는 어느 하나의 링크에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유효수 미만의 정보 수집 장치가 이동한 경우,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어느 하나의 링크에서의 차량의 평균 속도를 교통 정보로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1: 교통 정보 시스템 100: 정보 수집 장치
100a: 차량 100b: 제1단말기
100c: 제2 단말기 130: 위치 수신부
140: 속도 검출부 150, 180: 제1제어부
160: 제1저장부 170: 제1통신부
190: 사용자 인터페이스 200: 교통 정보 제공 장치
210: 제2통신부 220: 제2제어부
230: 제2저장부 300: 서비스 장치

Claims (23)

  1.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그룹 정보를 저장하고, 복수의 링크에 각각 대응하는 그룹의 순위, 상기 복수의 링크에 각각 대응하는 유효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식별 정보, 속도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가 위치하는 링크를 각각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각각의 링크의 그룹의 순위 및 유효수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가 속하는 그룹을 각각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링크와 그룹의 정보, 상기 각각의 링크의 그룹의 순위 및 상기 각각의 링크의 유효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속도 정보 중 링크별 유효수에 대응하는 정보 수집 장치의 속도 정보를 링크별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링크별 정보 수집 장치의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링크별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교통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는, 개인용 차량, 상용 차량, 차량용 단말기, 사용자용 단말기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가 수신된 시점의 시간을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시간에 기초하여 각각의 링크에 대응하는 그룹의 순위를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링크의 시간별 유효수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각의 링크의 교통 정보 생성 시, 상기 복수의 링크의 시간별 유효수에 대응하는 수의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링크의 시간별로 상기 선택된 정보 수집 장치의 속도 정보를 합산하고 상기 유효수를 이용하여 평균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시간 및 링크별로 산출된 평균속도를 이용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일 그룹 내의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수가 선택될 정보 수집 장치의 수를 초과하면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 중 동일 링크를 이동한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될 수만큼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
  8.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그룹 정보를 저장하고 복수의 링크에 각각 대응하는 그룹의 순위, 상기 복수의 링크에 각각 대응하는 유효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가 위치하는 링크를 각각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각각의 링크의 그룹의 순위 및 유효수를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가 속하는 그룹을 각각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속도 정보를 각각 획득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링크와 그룹의 정보, 상기 각각의 링크의 그룹의 순위 및 상기 각각의 링크의 유효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속도 정보 중 링크별 유효수에 대응하는 정보 수집 장치의 속도 정보를 링크별로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링크별 정보 수집 장치의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교통 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그룹은, 개인용 차량이 속하는 제1그룹과, 제1상용 차량이 속하는 제2그룹과, 상기 제1상용차량보다 크기가 큰 제2상용차량이 속하는 제3그룹과, 차량용 단말기가 속하는 제4그룹과, 사용자용 단말기가 속하는 제5그룹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정보가 수신된 시점의 시간을 확인하며, 상기 확인된 시간에 기초하여 각각의 링크에 대응하는 그룹의 순위를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복수의 링크의 시간별 유효수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각의 링크의 교통 정보 생성 시, 상기 복수의 링크의 시간별 유효수에 대응하는 수의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속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그룹의 정보와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링크별 및 시간별 기준 속도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링크별 및 시간별로 복수의 그룹에서 각각 획득한 속도 정보와 상기 기준 속도 정보를 비교한 오차에 기초하여 상기 링크별 및 시간별로 그룹의 순위를 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
  15. 삭제
  16.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에서 전송된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및 속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가 속하는 그룹을 각각 확인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가 위치하는 링크를 각각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각 링크의 그룹의 순위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각각의 링크의 유효수를 확인하고,
    상기 각 링크의 그룹의 순위 및 유효수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된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속도 정보 중 링크별 유효수에 대응하는 정보 수집 장치의 속도 정보를 선택하고,
    상기 링크별로 정보 수집 장치의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링크별로 정보 수집 장치의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링크별 교통 정보를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는, 개인용 차량, 상용 차량, 차량용 단말기, 사용자용 단말기 중 적어도 두 개를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교통 정보 제공 방법.
  17. 삭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별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하는 것은,
    상기 링크 별 그룹의 순위에 기초하여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그룹에 속하는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하되 상기 유효수만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교통 정보 제공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별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하는 것은,
    동일 그룹 내의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의 수가 선택될 정보 수집 장치의 수를 초과하면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 중 동일 링크를 이동한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될 수만큼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교통 정보 제공 방법.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가 수신된 시점의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시간에 기초하여 각각의 링크에 대응하는 그룹의 순위를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교통 정보 제공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별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하는 것은,
    상기 각각의 링크의 시간별로 미리 설정된 유효수를 확인하고,
    상기 각각의 링크의 시간별 그룹의 순위 및 상기 유효수에 기초하여 정보 수집 장치를 선택하는 것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교통 정보 제공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각각의 링크의 시간별로 상기 선택된 정보 수집 장치의 속도 정보를 합산하고,
    상기 유효수를 이용하여 평균 속도를 산출하고,
    상기 각각의 링크의 시간별로 산출된 평균속도를 이용하여 교통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교통 정보 제공 방법.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보 수집 장치 중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위치 정보의 변화에 기초하여 속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교통 정보 제공 장치의 교통 정보 제공 방법.
KR1020150109927A 2015-08-04 2015-08-04 교통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Active KR101755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927A KR101755314B1 (ko) 2015-08-04 2015-08-04 교통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927A KR101755314B1 (ko) 2015-08-04 2015-08-04 교통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618A KR20170016618A (ko) 2017-02-14
KR101755314B1 true KR101755314B1 (ko) 2017-07-07

Family

ID=58121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927A Active KR101755314B1 (ko) 2015-08-04 2015-08-04 교통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531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140B1 (ko) * 2002-12-30 2005-11-29 에스케이 주식회사 교통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교통정보 제공장치
KR100804800B1 (ko) 2006-11-03 2008-02-20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교통 정보 생성 시스템 및 교통 정보 생성 방법
JP2008158562A (ja) 2006-12-20 2008-07-10 Toyota Motor Corp 交通情報配信センタ、車両用プローブ装置、交通情報システム及び交通情報配信センタの交通情報配信方法
JP2013210905A (ja) * 2012-03-30 2013-10-10 Aisin Aw Co Ltd プローブ情報統計システム、プローブ情報統計方法およびプローブ情報統計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2140B1 (ko) * 2002-12-30 2005-11-29 에스케이 주식회사 교통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교통정보 제공장치
KR100804800B1 (ko) 2006-11-03 2008-02-20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교통 정보 생성 시스템 및 교통 정보 생성 방법
JP2008158562A (ja) 2006-12-20 2008-07-10 Toyota Motor Corp 交通情報配信センタ、車両用プローブ装置、交通情報システム及び交通情報配信センタの交通情報配信方法
JP2013210905A (ja) * 2012-03-30 2013-10-10 Aisin Aw Co Ltd プローブ情報統計システム、プローブ情報統計方法およびプローブ情報統計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6618A (ko) 201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5115B2 (en) Terminal device, vehicle, personal mobility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9605970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river assistance
CN108734980A (zh) 车辆路线控制
US9711050B2 (en) Smart vehicle
US9836056B2 (en) Smart vehicle
US10318828B2 (en) Vehicle behavior analysis
US20140195125A1 (en) Motor vehicle
CN106575480B (zh) 信息处理系统、终端装置、程序、移动终端装置、计算机可读取的非易失性的有形记录介质
US8918279B2 (en) Route search device, route search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60357187A1 (en) Smart vehicle
US110511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20170114148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N106251424A (zh) 信息收集系统、车载装置以及服务器
JP4639720B2 (ja) 車両用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センタ
JP2009075647A (ja) 統計処理サーバ、プローブ情報統計方法及びプローブ情報統計プログラム
JP5683722B2 (ja) センター側システム及び車両側システム
CN115083186A (zh) 实时动态交通速度控制
CN110723149A (zh) 车辆控制装置和包括该车辆控制装置的车辆
KR102538544B1 (ko) 지오-펜스 기반 차량 과속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220397415A1 (en) V2x message-based tracker application
US11284262B2 (en) Apparatus for testing hacking of vehicle electronic device
CN110276974A (zh) 远程终点下车导航引导
EP1944190A1 (en) Instrument panel for motor vehicles, installable in particular on cars, trucks, motorcycles or the like
US10685563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lerting, and responding to an emergency vehicle
JP2020520025A (ja) 追越確率コレクションを生成する方法、自動車の制御装置を動作させる方法、追越確率コレクション装置および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7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