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52777B1 - 정수 및 폐수 처리용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기 응집제를 이용한 폐수 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정수 및 폐수 처리용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기 응집제를 이용한 폐수 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777B1
KR101752777B1 KR1020170041838A KR20170041838A KR101752777B1 KR 101752777 B1 KR101752777 B1 KR 101752777B1 KR 1020170041838 A KR1020170041838 A KR 1020170041838A KR 20170041838 A KR20170041838 A KR 20170041838A KR 101752777 B1 KR101752777 B1 KR 101752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low
basicity
salt
coagula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석
오영택
이형준
Original Assignee
대경폴리켐 주식회사
미주엔비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경폴리켐 주식회사, 미주엔비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경폴리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1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77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11/00Compound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7/00Compounds of aluminium
    • C01F7/48Halides, with or without other cations besides aluminium
    • C01F7/56Chlo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3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 C02F1/524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using inorganic agents using basic salts, e.g. of aluminium and ir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50Agglomerated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응집제를 안정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산화알루미늄과 산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극저염기도(0~3%)의 알루미늄염화물을 제조하고 다시 염기도 상승제로서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칼슘의 혼합물과 반응시켜 저염기도(5~25%) 수준의 폴리염화알루미늄계 응집제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응집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지는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는 요구되는 저염기도의 PAC계 무기 응집제를 제조함에 있어서 1차로 극저염기도 수준(염기도 0~3%)의 PAC계 화합물을 제조하고 여기에 염기도 조절제로서 기존의 염기도 저하제가 아닌 염기도 상승제(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칼슘의 혼합물)를 투입함에 의해 소량으로도 염기도 상승이 가능하여 공정의 컨트롤이 용이하고, 얻어지는 저염기도의 PAC계 응집제가 잔류하는 2가 금속 이온(free ion)으로 인해 인 및 불소 음이온과의 결합력이 높아져서 저염기도 PAC계 무기 응집제의 응집 효율을 보조할 수 있으므로 응집 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정수 및 폐수 처리용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기 응집제를 이용한 폐수 정화 방법{Preparing method of poly aluminum chloride inorganic coagulant with low basicity for waste water treatment and purification method of waste water using the inorganic coagulant prepared by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 및 폐수 처리용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기 응집제를 이용한 폐수 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정수처리 및 오폐수에서의 인 및 불소에 대한 응집 성능이 우수하고 장기 보관 안정성이 우수하며, 상대적으로 소량 사용하더라도 응집 효과가 우수하므로 슬러지 발생량을 줄일 수 있으며 슬러지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과 동시에 고농도화에 따른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 저염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의 제조 기술에 관한 것이다.
수처리용 알루미늄계 응집제(coagulant)로는 황산알루미늄(Alum), 폴리염화알루미늄(Poly Aluminum Chloride: PAC), 폴리염화규산알루미늄(Poly Aluminum Chloride Silicate: PACS), 폴리황산알루미늄실리케이트(Poly Aluminum Sulfate Silicate: PASS) 등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상기 황산알루미늄은 단분자 응집제로서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고분자 응집제에 비해 응집 효과가 낮고 처리후 처리수의 알칼리도와 pH 저하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고분자 형태인 PAC, PACS, PASS 등의 무기 고분자 응집제인데 이들은 양이온의 전하량이 +7가로서 +3가에 불과한 황산알루미늄 단분자에 비해 응집력이 상당히 크다는 장점이 있다. 이들은 대개 염기도가 40% 이상으로 큰 것이 특징이다.
그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염화알루미늄(PAC)은 수산화알루미늄과 염산을 반응시켜 제조되는 다염기성 염화알루미늄으로서 일반식 [Al2(OH)nCl6 -n]m (0<n<6, m≤10)으로 표시되며, 수용액에서는 아코착이온([Al(H2O)6])을 가지는 배위화합물이기 때문에 수산기를 가교로 해서 다핵착체가 되고 핵은 증가해서 거대화한 무기 고분자 화합물을 형성한다.
폴리염화알루미늄(PAC)은 종래부터 수처리용 응집제로 주로 사용되어 왔다. 특히, 정수 처리시의 거대한 분자를 응집하기 위한 응집제로 주로 사용되었으며, 이에 따라 염기도를 45% 이상으로 확보하기 위한 여러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염기도란 응집제 단위 분자에 존재하는 Al 금속의 수에 대한 OH의 수의 비율로 표시된다.
염기도(%) = (단위 분자당 OH의 수/3× 단위 분자당 Al금속의 수)× 100
일반적으로 염기도가 증가할수록 응집 성분의 분자량이 커지기 때문에 침전 성능이 향상되고 정수 처리 후 소석회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자체적으로 침전을 일으켜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염기도를 증가시키는 것은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정수처리 및 오폐수 등을 처리함에 있어 인과 유기물 등에 대한 응집 성능이 높게 유지되는 동시에 장기간 저장 안정성도 우수하여 자체 침전물이 석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관한 다수의 기술이 개발되어 특허로서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9236호는 수산화알루미늄과 염산을 반응시켜 염기도가 약 35~45%인 1차 반응물을 생성하고 이와 같이 얻어진 1차 반응물(알루미늄염화물)에 염기도 조절제로서 염산을 추가로 반응시켜 염기도가 10~20%로 낮게 조절된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기술은 염기도가 10~20%로 낮은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가 응집성능이 우수하면서 장기간 저장 안정성도 높으며, 정수처리 및 하폐수에 존재하는 유기물 및 인의 제거 효과가 우수하여 녹조 현상 등의 부영양화를 방지하는데 우수하다는 점을 장점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 기술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되는 무기 응집제는 다량을 사용해야 방류 기준에 적합한 기준까지의 제거효율을 갖는 응집 효과가 발생하므로 다량의 슬러지(sludge)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이에 따라 슬러지의 처리 비용이 지나치게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7887호는 수산화알루미늄과 염산을 반응시켜 염기도가 0.1~35%인 1차 반응물을 생성하고 이와 같이 얻어진 1차 반응물(알루미늄염화물)에 알루미늄황산염을 반응시켜 알루미늄 염화물 속에 황산 이온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에 의해 폴리염화알루미늄을 안정화시키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이 기술은 정수처리, 하수 및 폐수의 응집 반응시 중요한 인자로서 작용하는 알루미늄과 염기도 및 황산이온의 적정한 비율을 유지하여 인 제거 능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종래의 폴리염화알루미늄(PAC)계 응집제에 비하여 소량을 투입하더라도 인의 제거 성능을 월등히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장점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1차 반응에서 염산을 수산화알루미늄에 반응시킴에 의해 중염기도(약 35%)를 갖는 불안정한 PAC 응집제에 알루이늄 이온과 황산 이온을 투입하여 안정화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일 뿐 저염기도 PAC계 응집제를 제조하는 기술과는 관련성이 없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6747호에서는 1차로 수산화알루미늄과 염산을 반응시켜 알루미늄염화물을 제조한 후 여기에 금속염화물(MCl2)를 첨가하여 반응시킴에 의해 저염기도 PAC계 무기 응집제를 제조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이 기술에서는 금속염화물을 염기도 조절제로 첨가하여 저염기도 PAC계 무기 응집제를 제조할 경우 Al 당량 대비 인과의 반응을 극대화할 수 있어 정수처리 및 오폐수 중의 인에 대한 응집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소량 사용하여도 2가 양이온으로 인해 인의 응집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알루미늄염화물을 16% 이하의 염기도를 갖도록 하기 위해 금속염화물을 반응시킴에 있어 가혹한 조건이 필요하여 반응의 조절이 쉽지 않고 염기도를 16% 이하로 낮추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기존의 기술들은 대부분 응집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고염기도의 PAC계 무기 응집제를 제조하기 위한 기술이거나, 이러한 기술의 열악한 저장 안정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염기도의 PAC계 무기 응집제에 관한 기술인 경우에도 일단 염산을 사용하여 중염기도(약 35~45%)의 염기도를 갖는 PAC를 제조한 후에, 여기에 다시 염기도 조절제(또는 염기도 저하제)를 사용하여 약 15% 정도의 저염기도를 갖는 PAC계 무기 응집제를 제조하는 기술이었다. 이와 같은 기존의 저염기도 PAC계 무기 응집제의 제조 방법은 염기도를 올렸다가 다시 내리는 공정을 진행해야 하므로 공정 제어가 쉽지 않고 응집 효율도 만족할 만하게 크게 발휘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어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기타 관련 선행기술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특1998-0009116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4191호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2478호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271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상황을 고려하여 새로이 개발된 것으로서, 정수처리 및 오폐수 중에 존재하는 인의 제거를 위하여 저염기도의 폴리염화알루미늄(PAC)계 무기 응집제를 제조함에 있어, 종래와 같이 1차로 염기도를 중염기도 정도로 올린 후 다시 저염기도로 내리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극저염기도 수준으로 1단계 공정을 실시한 후 여기에 염기도 상승제를 투입하여 저염기도 수준으로 올리는 공정에 의해 요구되는 저염기도의 PAC계 무기 응집제를 제조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수산화알루미늄(Al(OH)3)과 염산을 100 : 300~4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고, 상기 얻어진 혼합액을 90 ~ 150 ℃에서 1 ~ 5시간 동안 반응시켜, 산화알루미늄(Al2O3) 12~14 중량%, 염기도 0 ~ 3%의 하기 화학식 1을 갖는 알루미늄염화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화학식 1]
Al2(OH)0~0.18Cl5.82~6
(2) 상기 얻어진 알루미늄염화물에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칼슘이 1:0.5~2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100 : 5 ~ 25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반응시킴에 의해 하기 화학식 2를 갖는 산화알루미늄(Al2O3) 10~13 중량%, 염기도 5~25%를 갖는 폴리염화알루미늄계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화학식 2]
[Al2Mgx1Cax2(OH)yClz]m (식에서 6+2(x1+x2)=y+z, 0<x1<1.0, 0<x2<1.0, 0.3≤y≤1.5, 1≤m≤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응집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있어서, 상기 (1)단계의 염산은 염산 단독이거나, 황산, 질산, 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25 중량% 이하에서 염산과 혼합된 염산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의 반응은 90 ~ 150 ℃에서 1 ~ 5시간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응집제를 사용하여 정수, 폐수 또는 하수 시설의 인 화합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및 폐수 정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응집제는 정수 및 폐수 1톤에 대하여 0.01~2.0 kg의 중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응집제를 사용하여 폐수 또는 하수 시설의 불소 화합물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정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응집제는 폐수 1톤에 대하여 0.01~2.0 kg의 중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처리, 하수 및 폐수 처리용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기 응집제를 이용한 폐수 정화 방법의 특징 및 장점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존 정수처리, 하수 및 폐수 정화 시설에서 사용되던 고염기도의 PAC계 응집제를 사용하여 인을 제거할 경우 수산기(OH)의 의한 가교 현상으로 다핵 체제가 되고 핵이 증대되어 거대화된 무기 고분자 화합물을 형성함으로써 Al 당량 대비 인과의 반응이 적어지므로 인 제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고, 고염기도의 PAC계 응집제는 자체적으로 침전을 일으켜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저염기도의 PAC계 응집제는 폐수 중의 인을 제거할 경우 낮은 염기의 저분자 물질이므로 Al 당량 대비 인과의 반응을 극대화할 수 있어 폐수 중의 인 제거 효율이 매우 우수한 장점을 가지며, 저염기도를 가지므로 상온, 상압 조건에서 장기 보관하더라도 석출물이 석출되지 않는 등 자체 저장 안정성도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요구되는 저염기도의 PAC계 무기 응집제를 제조함에 있어서 1차로 극저염기도 수준(염기도 0~3%)의 PAC계 화합물을 제조하고 여기에 염기도 조절제로서 기존의 염기도 저하제가 아닌 염기도 상승제(Mg(OH)2 및 Ca(OH)2)를 투입함에 의해 소량으로도 염기도 상승이 가능하여 공정의 컨트롤이 용이하고, 얻어지는 저염기도의 PAC계 응집제가 잔류하는 2가 금속 이온(free ion)으로 인해 인 및 불소 음이온과의 결합력이 높아져서 저염기도 PAC계 무기 응집제의 응집 효율을 보조할 수 있으므로 응집 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염기도 상승제로 사용하는 Mg(OH)2 및 Ca(OH)2의 경우 기존의 염기도 조절제에 비해 경제성이 띄어나고,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으며, 수처리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방안으로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고염기도의 무기 응집제를 사용할 경우 응집제의 고분자화를 유도하므로 응집 성능이 좋아진다는 것은 앞에 설명한 것과 같다. 그러나 고염기도의 응집제는 고분자 상태의 알루미늄염으로 제조하지 못할 경우 제품 중에 Al(OH)2 + 이온을 많이 보유하게 되어 쉽게 Al(OH)3 형태로 침전을 형성하므로 불안정해진다. 이러한 침전 현상은 고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가 갖는 근본적인 문제점이다. 현재까지 개발되거나 시판된 대부분의 제품은 약 3~4개월 후부터는 침전 현상이 발생하므로 제품의 사용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고염기도 응집제를 사용하는 기술이 아니라 오히려 염기도 16% 이하의 저염기도 응집제를 사용하는 기술이다. 저염기도 응집제는 고염기도 응집제에 비하여 응집 효율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으나, 핵 성장이 크지 않으므로 Al 당량 대비 인과의 반응성이 좋아 당량에 따른 인 제거 효율은 더 크다고 할 수 있으며, 특히 자체적으로 응집하여 침전하지 않으므로 장기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기존의 염기도 약 15% 정도의 저염기도 PAC계 응집제를 제조하는 기술들은 대부분 수산화알루미늄과 염산을 반응시켜 염기도가 35~45%에 달하는 1차 알루미늄염화물을 생성하고 이와 같이 얻어지는 생성물의 염기도를 낮추기 위하여 염기도 저하제로서 염산이나 금속염소화물을 가하여 반응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중염기도 수준의 PAC 화합물을 제조한 후 이를 다시 저염기도 수준으로 염기도를 내려야 하므로 공정의 컨트롤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기존 기술들의 문제점 내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PAC)계 응집제는 하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즉,
(1) 수산화알루미늄(Al(OH)3)과 염산을 100 : 300~4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고, 상기 얻어진 혼합액을 90 ~ 150 ℃에서 1 ~ 5시간 동안 반응시켜, 산화알루미늄(Al2O3) 12~14 중량%, 염기도 0 ~ 3%의 하기 화학식 1을 갖는 알루미늄염화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화학식 1]
Al2(OH)0~0.18Cl5.82~6
(2) 상기 얻어진 알루미늄염화물에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칼슘이 1:0.5~2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100 : 5 ~ 25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반응시킴에 의해 하기 화학식 2를 갖는 산화알루미늄(Al2O3) 10~13 중량%, 염기도 5~25%를 갖는 폴리염화알루미늄계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화학식 2]
[Al2Mgx1Cax2(OH)yClz]m (식에서 6+2(x1+x2)=y+z, 0<x1<1.0, 0<x2<1.0, 0.3≤y≤1.5, 1≤m≤1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수산화알루미늄(Al(OH)3)과 염산을 혼합, 교반하여 혼합액을 제조한다. 구체적으로 본 단계에서는 수산화알루미늄 100 중량부 대비 염산(30~35%) 300~400 중량비를 교반하여 혼합한다.
본 단계에서 상기 염산은 염산 단독이거나, 황산, 질산, 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25중량% 이하에서 염산과 혼합된 염산 혼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어서, 얻어진 혼합액을 일정 온도 조건하에서 반응시켜 알루미늄염화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반응 조건은 약 90 ~ 150℃에서 약 1 ~ 5시간 동안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반응에 의하여 Al2O3의 함량이 약 12~14 중량%로 조절되며 염기도 0~3%를 갖는 하기 화학식 1의 알루미늄염화물을 제조할 수 있다.
[화학식 1]
Al2(OH)0~0.18Cl5.82~6
이어서, 상기 얻어진 알루미늄염화물에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칼슘의 혼합물(혼합 중량비율 1:0.5~2)을 혼합, 교반하여 반응시킴에 의해 하기 화학식 2을 갖는 염기도 25% 이하, 더욱 구체적으로는 염기도 5~25%를 갖는 폴리염화알루미늄(PAC)을 제조한다.
[화학식 2]
[Al2Mgx1Cax2(OH)yClz]m (식에서 6+2(x1+x2)=y+z, 0<x1<1.0, 0<x2<1.0, 0.3≤y≤1.5, 1≤m≤10)
이때, 상기 화학식 2의 폴리염화알루미늄의 Al2O3의 함량은 약 10~13 중량%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얻어지는 염기도 5~25%이하를 갖는 저염기도 PAC계 응집제는 자체 침전 현상이 줄어 안정성이 향상되고 잔류되는 마그네슘 2가 양이온(free ion)으로 인해 음이온 상태로 존재하는 인 및 불소에 대한 제거 효율이 종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저염기도 PAC계 응집제에 비하여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단계 반응, 즉 상기 제1단계에서 얻어진 알루미늄염화물과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칼슘 혼합물의 반응은 비교적 온화한 조건에 진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각각 약 90~150 ℃에서 약 1~5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비교적 가혹하지 않은 조건에서 반응이 진행되므로 반응의 조절이 쉽고, 이에 따라 저염기도 PAC의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단계 및 제2단계에서의 반응은 5,000~50,000 rpm의 교반속도로 유지되는 균질화반응기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균질화반응기를 통하여 반응시킬 경우 액체 입자들이 기계적으로 미세하게 분산되어 산성 물질과 염기성 물질 간의 침전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로 균일하게 반응이 일어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저염기도의 PAC계 무기 응집제를 사용하여 정수처리, 폐수 또는 하수 시설의 인 및 불소 화합물을 제거할 경우 PAC계 무기 응집제 자체와의 반응 및 잔류 2가 양이온(free ion)과의 반응에 의해 응집 효율이 향상되고 플럭의 감소로 막 여과 부하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막 세척에 따른 수고와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저염기도의 PAC계 무기 응집제의 최적 사용량은 정수, 폐수 또는 하수의 인 및 불소 함유량에 따라 달라지나, 보통 폐수 1톤에 대하여 0.01~2.0 kg의 중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예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응집제 제조
수산화알루미늄(Al(OH)3) 26 kg과 염산(HCl 35%) 95 kg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약 95 ℃에서 약 3 시간 동안 반응시켜서 Al2O3 11 중량%, 염기도 약 1.5%인 폴리염화알루미늄 121 kg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염기도 약 1.5%의 폴리염화알루미늄 용액 121kg을 온도 약 100 ℃로 유지한 채 교반하며 수산화마그네슘과 수산화칼슘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29kg을 5분간 천천히 투입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후에 물로 희석하여 용액 상태의 용액 상태의 응집제 150kg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응집제 150kg를 2시간 동안 서서히 교반 숙성시켜 최종 응집제를 제조하였다. 최종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화알루미늄(Al2O3) 농도가 10.5 중량% 이고, 15%의 염기도를 가지는 폴리염화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인 것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2] 응집제 제조
수산화알루미늄(Al(OH)3) 27 kg과 염산(HCl 35%) 99 kg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약 95 ℃에서 약 4 시간 동안 반응시켜서 Al2O3 11 중량%, 염기도 0.5%인 폴리염화알루미늄 126 kg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염기도 0.5%의 폴리염화알루미늄 용액 126kg을 온도 100 ℃로 유지한 채 교반하며 수산화마그네슘과 수산화칼슘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24kg을 5분간 천천히 투입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후에 물로 희석하여 용액 상태의 응집제 150kg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응집제 150kg를 2시간 동안 서서히 교반 숙성시켜 최종 응집제를 제조하였다. 최종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화알루미늄(Al2O3) 농도가 11 중량% 이고, 15%의 염기도를 가지는 폴리염화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인 것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3] 응집제 제조
수산화알루미늄(Al(OH)3) 27 kg과 염산(HCl 35%) 101 kg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약 120 ℃에서 약 2 시간 동안 반응시켜서 Al2O3 11 중량%, 염기도 약 3%인 폴리염화알루미늄 128 kg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염기도 약 3%의 폴리염화알루미늄 용액 128 kg을 온도 약 125 ℃로 유지한 채 교반하며 수산화마그네슘과 수산화칼슘이 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 22kg을 5분간 천천히 투입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후에 물로 희석하여 용액 상태의 응집제 150kg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응집제 150kg를 2시간 동안 서서히 교반 숙성시켜 최종 응집제를 제조하였다. 최종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화알루미늄(Al2O3) 농도가 11.5 중량% 이고, 15%의 염기도를 가지는 폴리염화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인 것을 확인하였다.
[ 비교예 1] 응집제 제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9236호의 방법)
수산화알루미늄(Al(OH)3) 30 kg과 염산(HCl 35%) 60 kg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16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켜서 Al2O3 20 중량%, 염기도 40%인 폴리염화알루미늄 90kg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염기도 40%의 폴리염화알루미늄 용액 90kg을 온도 80℃로 유지한 채 교반하며 염산(HCl 35%) 40kg을 5분간 천천히 투입하면서 반응시켰다. 반응 후에 물로 희석하여 용액 상태의 응집제 150kg을 얻었다. 최종 생성물을 분석한 결과 산화알루미늄(Al2O3) 농도가 12 중량% 이고, 15%의 염기도를 가지는 폴리염화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인 것을 확인하였다.
[ 비교예 2] 응집제 제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46747호의 방법)
수산화알루미늄(Al(OH)3) 30 kg과 염산(HCl 35%) 87 kg을 혼합하고 교반하여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액을 160℃에서 3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염화마그네슘 2.5kg과 물 30kg으로 희석하여 Al2O3 12 중량%, 염기도 15%이며, 마그네슘 이온 농도가 0.6%인 저염기성 폴리염화알루미늄 150kg을 얻었다.
[성능 평가]
1. 응집제의 안정성 평가
저온 항온기에서(20℃)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무기 응집제의 안정성 평가를 최대 6개월간 1개월 단위로 육안으로 관찰하여 침전물 발생 여부를 체크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1개월 후 O O O O O
2개월 후 O O O O O
3개월 후 O O O O O
4개월 후 O O O O O
5개월 후 O O O O O
6개월 후 O O O O
O: 침전 없음. △: 침전 소량 발생, X:침전 다량 발생
상기 표 1의 응집제 안정성 평가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실시예 1~3)는 기존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비교예 1~2) 대비하여 동등 수준으로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2. 인 응집 성능 평가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 무기 응집제로써 응집 비교 실험 JAR-TEST 200RPM 15분, 100RPM 15분 교반 및 30분 침전시킨 후, 아스코르빈산 환원법(PO4 3- - P)(수질오염공정시험법)을 이용하여 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원수의 인 측정 결과는 2.154 ppm(PO4 3- - P)이었다)
응집제투입량(ppm) 인 잔류량(ppm) (PO4 3- - P)
실시예1 40 0.410
실시예2 40 0.399
실시예3 40 0.405
비교예1 40 0.492
비교예2 40 0.452
상기 표 2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3의 경우가 비교예 1~2의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인의 응집 효율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3. 불소 응집 성능 평가
상기 실시예 1~3 및 비교예 1~2에서 제조된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 무기 응집제로써 불소농도 53 ppm, pH 6.8, 수온 5.1℃인 원수를 이용하여 불소처리 효율을 측정하였다. 응집제 투입량은 모두 503 ppm으로 동일하게 하였고, 실험시 pH 조절은 25% 가성소다를 사용하였으며, 잔류 불소량과 불소 제거 효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잔류 불소 측정 방법은 수질 오염 공정시험법인 란탄-알리자린 콤프렉손법을 사용하였다.
잔류불소량(ppm) 불소 제거 효율(%)
실시예1 15.3 71.3
실시예2 15.0 71.7
실시예3 15.4 70.9
비교예1 18.6 64.9
비교예2 17.3 67.2
상기 표 3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3의 경우가 비교예 1~2의 경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잔류 불소에 대한 응집 효율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4. 막 부하 검사
일반적인 하수 처리장에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무기 응집제를 사용하여 여과지에 끈적이는 점성 물질이 발생되는 정도를 육안으로 측정하여 여과막의 역세에 의한 세척 용이 여부를 관찰하였다.
응집제 투입량을 40ppm으로 유지할 경우 실시예 1~3 및 비교예 2 모두 끈적이는 점성이 크게 높지 않고 발생하더라도 여과지를 쉽게 세척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나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비교예 1의 경우 동등 수준의 인 응집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응집제의 사용량을 대폭 증량해야 하므로 이 경우에는 끈적이는 점성이 크게 증가하여 세척하기 어렵고 여과막의 수명도 짧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비교예 1의 경우 다량의 응집제를 사용해야 응집효율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응집제 과다 사용으로 인한 플럭 발생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상기 응집 효율 및 응집제 안정성 평가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는 응집 효율과 응집제의 안정성 모두 매우 우수하여 정수처리 및 하수, 폐수 처리용으로 사용하기 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7)

  1. (1) 수산화알루미늄(Al(OH)3)과 염산을 100 : 300~4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액을 제조하고, 상기 얻어진 혼합액을 90 ~ 150 ℃에서 1 ~ 5시간 동안 반응시켜, 산화알루미늄(Al2O3) 12~14 중량%, 염기도 0 ~ 3%의 하기 화학식 1을 갖는 알루미늄염화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및
    [화학식 1]
    Al2(OH)0~0.18Cl5.82~6
    (2) 상기 얻어진 알루미늄염화물에 수산화마그네슘 및 수산화칼슘이 1:0.5~2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100 : 5 ~ 25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반응시킴에 의해 하기 화학식 2를 갖는 산화알루미늄(Al2O3) 10~13 중량%, 염기도 5~25%를 갖는 폴리염화알루미늄계 화합물을 제조하는 제2단계;
    [화학식 2]
    [Al2Mgx1Cax2(OH)yClz]m (식에서 6+2(x1+x2)=y+z, 0<x1<1.0, 0<x2<1.0, 0.3≤y≤1.5, 1≤m≤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응집제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단계의 염산은 염산 단독이거나, 황산, 질산, 인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25 중량% 이하에서 염산과 혼합된 염산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응집제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의 반응은 90 ~ 150 ℃에서 1 ~ 5시간 수행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응집제의 제조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041838A 2017-03-31 2017-03-31 정수 및 폐수 처리용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기 응집제를 이용한 폐수 정화 방법 Active KR101752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838A KR101752777B1 (ko) 2017-03-31 2017-03-31 정수 및 폐수 처리용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기 응집제를 이용한 폐수 정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838A KR101752777B1 (ko) 2017-03-31 2017-03-31 정수 및 폐수 처리용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기 응집제를 이용한 폐수 정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2777B1 true KR101752777B1 (ko) 2017-06-30

Family

ID=59279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838A Active KR101752777B1 (ko) 2017-03-31 2017-03-31 정수 및 폐수 처리용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기 응집제를 이용한 폐수 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7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994B1 (ko) 2019-10-10 2020-05-26 고도화학(주) 강산성 차염소산수를 사용한 저염기도 응집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2291774B1 (ko) * 2021-04-14 2021-08-24 미주엔비켐 주식회사 산화알루미늄 농도 17%를 갖는 폴리염화알루미늄 응집제의 제조방법
KR20220095338A (ko) 2020-12-29 2022-07-07 케이지케미칼 주식회사 부유 고형물 및 총 인 제거성능이 향상된 폴리염화알루미늄계 수처리용 응집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8805B1 (ko) * 2022-05-18 2022-09-01 주식회사 에스엠씨엔지니어링 불소이온 함유 폐수의 정화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601B1 (ko) 2007-04-10 2007-08-13 코맥스화학 (주) 고염기성 폴리염화알루미늄의 제조방법
KR101409870B1 (ko) 2013-11-29 2014-06-19 주식회사 이에프티 고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 응집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KR101640368B1 (ko) 2015-09-25 2016-07-18 한승우 저염기도를 유지하는 응집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 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601B1 (ko) 2007-04-10 2007-08-13 코맥스화학 (주) 고염기성 폴리염화알루미늄의 제조방법
KR101409870B1 (ko) 2013-11-29 2014-06-19 주식회사 이에프티 고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 응집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KR101640368B1 (ko) 2015-09-25 2016-07-18 한승우 저염기도를 유지하는 응집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 처리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994B1 (ko) 2019-10-10 2020-05-26 고도화학(주) 강산성 차염소산수를 사용한 저염기도 응집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20220095338A (ko) 2020-12-29 2022-07-07 케이지케미칼 주식회사 부유 고형물 및 총 인 제거성능이 향상된 폴리염화알루미늄계 수처리용 응집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1774B1 (ko) * 2021-04-14 2021-08-24 미주엔비켐 주식회사 산화알루미늄 농도 17%를 갖는 폴리염화알루미늄 응집제의 제조방법
KR102438805B1 (ko) * 2022-05-18 2022-09-01 주식회사 에스엠씨엔지니어링 불소이온 함유 폐수의 정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1774B1 (ko) 산화알루미늄 농도 17%를 갖는 폴리염화알루미늄 응집제의 제조방법
KR101752777B1 (ko) 정수 및 폐수 처리용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기 응집제를 이용한 폐수 정화 방법
KR101752276B1 (ko) 정수 및 폐수 처리용 저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계 무기 응집제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무기 응집제를 이용한 폐수 정화 방법
KR101113178B1 (ko) 염기성 폴리염화알루미늄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염기성 폴리염화알루미늄
KR101409870B1 (ko) 고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 응집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KR101640368B1 (ko) 저염기도를 유지하는 응집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 처리방법
CN112850867B (zh) 一种深度除氟药剂及其制备方法
KR101146747B1 (ko) 폐수 정화용 무기 응집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폐수 정화 방법
KR20150091929A (ko) 불소 제거능력이 향상된 수처리용 응집제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수처리용 응집제
KR20130055321A (ko) 활성규산이 혼합된 염기성 수처리용 응집제의 제조방법
KR101252710B1 (ko) 수처리용 고염기도 폴리염화알루미늄칼슘계 무기 응집제 및 그 제조 방법
KR102154483B1 (ko) 우수한 수처리 효율 및 안정성을 갖는 수처리용 응집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727055B1 (ko) 저염기도 염화알루미늄계 고분자 응집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44024B1 (ko) 용해성 cod를 제거하는 폐수처리방법 및 이를 위한 폐수처리제 조성물
KR101128864B1 (ko) 수 처리용 무기응집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48601B1 (ko) 고염기성 폴리염화알루미늄의 제조방법
CN114684903A (zh) 无机-有机强化除磷絮凝剂的制备方法和废水处理方法
CN113104900A (zh) 一种复合型聚合氯化铝铁絮凝除磷剂及其制备方法
CN118878033A (zh) 一种基于聚合氯化铝的净水剂及其制备方法
KR101157887B1 (ko) 인 제거 능력이 향상된 수처리용 응집제의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수처리용 응집제
KR101216181B1 (ko) Mbr 공정에 적합한 인 제거용 응집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CN105776475A (zh) 一种复合聚硅酸铝净水剂
KR20220095338A (ko) 부유 고형물 및 총 인 제거성능이 향상된 폴리염화알루미늄계 수처리용 응집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215975294U (zh) 一种纳滤浓水和氯化钠蒸发母液的处理装置
KR102451936B1 (ko) 단분자성 염화알루미늄계 무기응집제, 그의 제조방법 및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6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