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48915B1 - 신규 음이온 중합 개시제 및 이를 이용한 공역디엔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규 음이온 중합 개시제 및 이를 이용한 공역디엔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8915B1
KR101748915B1 KR1020140168701A KR20140168701A KR101748915B1 KR 101748915 B1 KR101748915 B1 KR 101748915B1 KR 1020140168701 A KR1020140168701 A KR 1020140168701A KR 20140168701 A KR20140168701 A KR 20140168701A KR 101748915 B1 KR101748915 B1 KR 101748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jugated diene
an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polymerization initiator
methylbenze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4724A (ko
Inventor
조대준
김민수
최원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40168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8915B1/ko
Priority to EP15862544.2A priority patent/EP3095799B1/en
Priority to US15/118,707 priority patent/US9745393B2/en
Priority to JP2016550849A priority patent/JP6604961B2/ja
Priority to PCT/KR2015/011396 priority patent/WO2016085134A1/ko
Publication of KR20160064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4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8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891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36/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136/02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136/04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08F136/06Butadi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28Oxygen or compounds releasing free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12/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1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1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112/06Hydrocarbons
    • C08F1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36/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36/02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F36/04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at least one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the radical having only two carbon-to-carbon double bonds conjug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4/00Polymerisation catalysts
    • C08F4/42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 C08F4/44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 C08F4/46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selected from alkali metals
    • C08F4/48Metals; Metal hydrides; Metallo-organic compounds; Use thereof as catalyst precursors selected from light metals, zinc, cadmium, mercury, copper, silver, gold, boron, gallium, indium, thallium, rare earths or actinides selected from alkali metals selected from lith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ization Catalyst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테르기 산소원자 함유 알킬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유기금속 화합물과의 반응 생성물인 음이온 중합 개시제, 및 이를 이용한 공역디엔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112014115965387-pat00007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5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탄화수소기이며, 2개의 치환기가 하나의 지방족 및 방향족 환을 형성할 수 있으며, R6은 탄소수 1 내지 14의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5 내지 14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며, n은 0 내지 12이다.

Description

신규 음이온 중합 개시제 및 이를 이용한 공역디엔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Novel initiator in anionic polymeriza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a conjugated diene polym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 음이온 중합 개시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공역디엔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공역디엔계 단량체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공중합체를 통상적인 음이온 중합으로 제조시 유기 리튬을 음이온 중합 개시제로 이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음이온 중합시에는 개시제의 응집(Aggregation)을 방지하고 반응성을 높이기 위하여 테트라히드로퓨란이나 디메틸에테르 등의 극성용매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JP 2746053 B2은 중합 개시제로 sec-부틸리튬을 이용하고, 중합 용매로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을 첨가한 혼합 용매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poly)(p-tert-부톡시 스틸렌(butoxy styrene))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제조방법은 극성 용매의 첨가로 인하여 노르말 헥산 회수공정시 분리 공정을 위한 추가 설비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음이온 중합시에 부틸리튬은 높은 음이온 반응성으로 인해 고분자 주쇄에 있는 H를 추출(Abstraction)하여 브랜치(Branch) 구조의 생성과 같은 부반응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JP 2746053 B2
본 발명은 음이온 중합 개시에 사용시 별도의 극성용매와의 혼용이 필요없거나, 극성 첨가제의 사용을 저감할 수 있는 음이온 중합 개시제를 제조하고, 이를 음이온 중합의 단량체 개시제로 이용하는 공역디엔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테르기 산소원자 함유 알킬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유기금속 화합물과의 반응 생성물인 음이온 중합 개시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4115965387-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5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탄화수소기이며, 2개의 치환기가 하나의 지방족 및 방향족 환을 형성할 수 있으며, R6은 탄소수 1 내지 14의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5 내지 14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며, n은 0 내지 12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이온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는 공역디엔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음이온 중합개시제는 리튬 양이온에 배위할 수 있는 산소원자 함유 알킬기가 개시제의 구조에 화학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극성용매의 부가적인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규 음이온 중합개시제는 상대적으로 반응성이 낮고 벌키(Bulky)한 벤질(Benzyl) 음이온을 이용함으로써 부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상적인 음이온 중합의 문제점인 극성용매 혼용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개시제의 높은 무극성 용매 해리성으로 인해 높은 활성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테트라히드로퓨란이나 디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 형태를 가지는 극성용매와의 혼용으로 인한 용매 분리 공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친환경타이어 보강제로 실리카를 사용하는 추세로 실리카와의 분산향상을 목적으로 공역디엔계 고무에 실리카 친화성 극성기를 도입하는 고무변성이 주류가 되고 있는 관점에서 본 발명의 산소원자 함유 개시제를 이용한 공역디엔계 고무는 보강재 실리카의 분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테르기 산소원자 함유 알킬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유기금속 화합물과의 반응 생성물인 음이온 중합 개시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4115965387-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5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탄화수소기이며, 2개의 치환기가 하나의 지방족 및 방향족 환을 형성할 수 있으며, R6은 탄소수 1 내지 14의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5 내지 14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며, n은 0 내지 12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에테르기 산소원자 함유 알킬기를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예를 들어 1-(메톡시메틸)-2-메틸벤젠 또는 1-(t-부톡시메틸)-2-메틸벤젠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브로모알킬벤젠에 알콕사이드를 가하여 알콕시알킬벤젠으로 합성할 수 있다. 이 후,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n-부틸리튬과 같은 유기 리튬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별도의 정제 과정 없이도 고순도의 개시제가 제조된다.
[반응식 1]
Figure 112014115965387-pat00003
상기 유기금속 화합물은 유기알칼리 금속 화합물, 또는 유기리튬 화합물, 유기나트륨 화합물, 유기칼륨 화합물, 유기루비듐 화합물 및 유기세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기금속 화합물은 유기리튬 화합물인 메틸리튬, 에틸리튬, 이소프로필리튬, n-부틸리튬, sec-부틸리튬, tert-부틸리튬, n-데실리튬, tert-옥틸리튬, 페닐리튬, 1-나프틸리튬, n-에이코실리튬, 4-부틸페닐리튬, 4-톨릴리튬, 사이클로헥실리튬, 3,5-디-n-헵틸사이클로헥실리튬 및 4-사이클로펜틸리튬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금속 화합물은 알킬리튬인 n-부틸리튬, sec-부틸리튬 또는 이들의 혼합일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유기금속 화합물은 나프틸나트륨, 나프틸칼륨, 리튬 알콕사이드, 나트륨 알콕사이드, 칼륨 알콕시드, 리튬 술포네이트, 나트륨 술포네이트, 칼륨 술포네이트, 리튬 아미드, 나트륨 아미드 및 칼륨 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또한 다른 유기금속 화합물과 병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음이온 중합 개시제는 에테르기가 개시제의 구조에 화학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음이온 중합시 극성 용매를 첨가할 필요가 없어 극성 용매의 부가적인 사용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에테르기가 개시제의 구조에 화학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노르말 헥산과 같은 무극성 용매에 대한 높은 해리성으로 인하여, 높은 활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이온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는 공역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공역디엔계 단량체, 또는 공역디엔계 단량체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용매 하에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테르기 산소원자 함유 알킬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유기금속 화합물과의 반응 생성물인 음이온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여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역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4115965387-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5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탄화수소기이며, 2개의 치환기가 하나의 지방족 및 방향족 환을 형성할 수 있으며, R6은 탄소수 1 내지 14의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5 내지 14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며, n은 0 내지 12이다.
상기 공역디엔계 단량체는 일례로 1,3-부타디엔, 2,3-디메틸-1,3-부타디엔, 피페릴렌, 3-부틸-1,3-옥타디엔, 이소프렌 및 2-페닐-1,3-부타디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일례로 스티렌, α-메틸스티렌, 3-메틸스티렌, 4-메틸스티렌, 4-프로필스티렌, 1-비닐나프탈렌, 4-사이클로헥실스티렌, 4-(p-메틸페닐)스티렌 및 1-비닐-5-헥실나프탈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수 있고, 또 다른 일례로 스티렌 또는 α-메틸스티렌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공역디엔계 단량체의 단독 중합 또는 공중합에 적용될 수 있는 용매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탄화수소, 또는 n-펜탄, n-헥산, n-헵탄, 이소옥탄, 사이클로헥산, 톨루엔, 벤젠 및 크실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테르기 산소원자 함유 알킬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유기금속 화합물과의 반응 생성물은 상기 단량체 총 100g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mmol, 0.05 내지 5 mmol, 0.1 내지 2 mmol 또는 0.1 내지 1 mmol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테르기 산소원자 함유 알킬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유기금속 화합물과의 반응 생성물의 함량이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최적의 중합체를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중합체의 제조방법은 중합 시 극성첨가제를 더 첨가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극성 첨가제를 더 첨가하는 이유는 극성첨가제가 공역디엔계 단량체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반응속도를 조절하기 때문이다.
상기 극성첨가제는 염기이거나, 또는 에테르, 아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테트라히드로퓨란, 디테트라히드로프릴프로판, 디에틸에테르, 시클로아밀에테르, 디프로필에테르, 에틸렌디메틸에테르, 에틸렌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3차 부톡시에톡시에탄 비스(2-디메틸아미노에틸)에테르, (디메틸아미노에틸) 에틸에테르,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및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테트라히드로프로필프로판, 트리에틸아민 또는 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일 수 있다.
상기 극성첨가제는 투입되는 단량체 총 100 g을 기준으로 0.001 내지 50 g, 0.001 내지 10 g, 0.005 내지 1 g, 또는 0.005 내지 0.1 g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극성첨가제는 투입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테르기 산소원자 함유 알킬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유기금속 화합물과의 반응 생성물 총 1 mmol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0 g, 0.005 내지 1 g, 또는 0.005 내지 0.1 g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역디엔계 단량체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공중합시키는 경우 이들의 반응 속도 차이로 인해 대체로 블록 공중합체가 제조되기 쉬우나, 상기 극성첨가제를 첨가하는 경우 반응 속도가 느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반응 속도를 증가시켜 이에 상응하는 공중합체의 미세구조, 예를 들어 랜덤 공중합체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중합은 일례로 음이온 중합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상기 중합은 음이온에 의한 성장반응에 의해 활성 말단을 얻는 리빙 음이온 중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은 일례로 승온 중합 또는 정온 중합일 수 있다.
상기 승온 중합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테르기 산소원자 함유 알킬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유기금속 화합물과의 반응 생성물을 투입한 이후 임의로 열을 가해 반응 온도를 높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중합방법을 의미하고, 상기 정온 중합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테르기 산소원자 함유 알킬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유기금속 화합물과의 반응 생성물을 투입한 이후 임의로 열을 가하지 않는 중합방법을 의미한다.
상기 중합 온도는 일례로 -20 내지 200 ℃, 0 내지 150 ℃ 또는 10 내지 12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역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은 일례로 회분식(배치식), 또는 1종 이상의 반응기를 포함하는 연속식 중합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술한 공역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공역디엔계 중합체가 제공된다.
상기 공역디엔계 중합체는 1,000 내지 2,000,000 g/mol, 바람직하게는 10,000 내지 1,000,000 g/mol, 더 바람직하게는 100,000 내지 1,000,000 g/mol의 수평균분자량(Mn)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역디엔계 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이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변성반응이 가장 우수하거나, 좋은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역디엔계 중합체는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의 분자량 분포(Mw/Mn, MDW)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공역디엔계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가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무기물 입자와의 혼용이 탁월해서 물성이 향상되고, 가공성이 매우 향상될 수 있다.
상기 공역디엔계 중합체는, 비닐 함량이 1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비닐 함량은 비닐기를 갖는 단위체의 함량, 또는 공역디엔계 단량체 100 중량%에 대하여 1,4-첨가가 아닌 1,2-첨가된 공역디엔계 단량체의 함량을 의미한다.
상기 공역디엔계 중합체의 비닐 함량이 이러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가 상승되어 타이어에 적용시 주행저항 및 제동력과 같은 타이어에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료소모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합성예 1>
제1 단계: 1-( 메톡시메틸 )-2-메틸벤젠의 제조
50 mL의 Schlenk 플라스크에 1-(브로모메틸)-2-메틸벤젠 (0.5 g, 2.7 mmol)에 10 mL의 무수 테트라히드로푸란을 가하여 용해시킨 후, 3 당량의 소듐 메톡사이드 (0.44 g, 8.1 mmol)를 가하여 상온에서 질소 분위기하에 14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후, 20 mL의 증류수를 가하고 에틸아세테이트 (20 mL × 3)으로 결과물을 추출하였다. 그 후, 유기층은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다음 글라스필터를 이용하여 고체를 제거하였다. 유기용매는 감압하여 제거하였으며, 무색의 오일인 1-(메톡시메틸)-2-메틸벤젠을 87% (0.32 g)의 수율로 얻었다.
1H-NMR (500MHz, 용매 CDCl3): δ 7.34-7.30 (m, 1H), 7.21-7.15 (m, 3H), 4.47 (s, 2H), 3.41 (s, 3H), 2.34 (s, 3H)
13C NMR (125 MHz, 용매 CDCl3): δ 136.6, 136.1, 130.2, 128.5, 127.8, 125.8, 73.1, 58.2, 18.7
제2 단계: 개시제 리튬 1-( 메톡시메틸 )-2-메틸벤젠의 제조
50 mL의 저장용 플라스크에 상기의 1-(메톡시메틸)-2-메틸벤젠을 넣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10 mL의 무수 노르말 헥산을 가하고, 이 용액을 -78℃로 냉각한 후, 여기에 2.5 M의 n-부틸리튬을 적가하고, 1시간 동안 온도를 유지하며 교반하였다. 그 후 냉각조를 제거시키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연노란색 용액 상태의 개시제를 제조하였다.
<합성예 2>
제1 단계: 1-( t - 부톡시메틸 )-2-메틸벤젠의 제조
소듐 메톡사이드 대신에 3 당량의 포타슘 tert-부톡사이드 (0.91 g, 8.1 mmol)을 사용한 것 이외는 합성예 1의 제1 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무색의 오일인 1-(t-부톡시메틸)-2-메틸벤젠을 94%(0.45 g)의 수율로 얻었다.
1H-NMR (500MHz, 용매 CDCl3): δ 7.40-7.36 (m, 1H), 7.15-7.11 (m, 3H), 4.43 (s, 2H), δ 2.34 (s, 3H), 1.31 (s, 9H)
13C NMR (125 MHz, 용매 CDCl3): δ 137.6, 136.2, 130.0, 128.3, 127.3, 125.9, 73.29, 62.3, 27.6, 18.8
제2 단계: 개시제 리튬 1-( t - 부톡시메틸 )-2-메틸벤젠의 제조
반응물로 1-(t-부톡시메틸)-2-메틸벤젠을 사용한 것 이외는 합성예 1의 제2 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연노란색 용액 상태의 개시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2 L 스테인레스 반응기에 스티렌 6 g과 무수 노르말 헥산 300 g을 넣은 후 교반시키면서 승온하여 반응기 내부온도를 50℃로 조절하였다. 온도가 50℃에 도달하면 상기 합성예 1에 의해 제조된 개시제(리튬 기준으로 1.0 mmol)를 반응기에 투입하여 단열 승온 반응을 진행시켰다. 반응이 10 분 경과 후, 메탄올 100 g을 반응기에 투입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중합물에 대한 분석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스티렌 대신에 부타디엔 (7. 5 g)과 노르말 헥산 (42. 5 g)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중합물을 제조하였다. 중합물에 대한 분석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개시제로 2.5 M의 노르말 부틸리튬 헥산용액(0.4 mL, 1.0 mmol)을 사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중합반응을 진행시켰다. 반응이 10 분 경과 후, 메탄올 100 g을 반응기에 투입하여 반응을 종료시켰다. 중합물에 대한 분석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스티렌 대신에 부타디엔 (7. 5 g)과 노르말 헥산 (42. 5 g)을 사용한 것 이외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중합반응을 진행시켰다. 중합물에 대한 분석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중량평균분자량(Mw), 수평균분자량(Mn) 및 분자량분포도(MWD)>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중합물에 대해 40 ℃ 조건하에서 GPC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때 컬럼(Column)은 Polymer Laboratories사의 PLgel Olexis 컬럼 두 자루와 PLgel mixed-C 컬럼 한 자루를 조합하였고, 새로 교체한 컬럼은 모두 mixed bed 타입의 컬럼을 사용하였다. 또한, 분자량 계산시 GPC 기준물질(Standard material)로서 PS(Polystyrene)를 사용하였다.
개시제 스티렌(g) 부타디엔(g) 수율(%) GPC (x103)
Mn MWD
실시예1 합성예1 6 - 90.5 12.3 1.14
실시예2 합성예1 - 7.5 81.9 29.1 1.11
비교예1 n-BuLi 6 - 83.7 12.2 1.10
비교예2 n-BuLi - 7.5 75.1 17.5 1.09
동일 조건하에서 합성예1의 개시제를 사용한 실시예1의 스티렌 중합의 경우, 비교예 1에 비해 높은 수율을 나타냈으며, 합성예 1의 개시제를 사용한 실시예2의 부타디엔 중합의 경우, 비교예 2에 비해 높은 수율과 더불어 높은 분자량이 얻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8)

1-(메톡시메틸)-2-메틸벤젠 또는 1-(t-부톡시메틸)-2-메틸벤젠과 n-부틸리튬과의 반응 생성물인 음이온 중합 개시제.
삭제
삭제
공역디엔계 단량체, 또는 공역디엔계 단량체와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용매 하에서 1-(메톡시메틸)-2-메틸벤젠 또는 1-(t-부톡시메틸)-2-메틸벤젠과 n-부틸리튬과의 반응 생성물인 청구항 1에 기재된 음이온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여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역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중합 개시제는 상기 단량체 총 100g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mmol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역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의 제조방법은 극성첨가제가 더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역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극성첨가제는 음이온 중합 개시제 총 1 mmol을 기준으로 0.001 내지 10 g으로 투입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공역디엔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삭제
KR1020140168701A 2014-11-28 2014-11-28 신규 음이온 중합 개시제 및 이를 이용한 공역디엔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Active KR101748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701A KR101748915B1 (ko) 2014-11-28 2014-11-28 신규 음이온 중합 개시제 및 이를 이용한 공역디엔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EP15862544.2A EP3095799B1 (en) 2014-11-28 2015-10-27 Method for preparing novel an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conjugate diene system copolymer using same
US15/118,707 US9745393B2 (en) 2014-11-28 2015-10-27 Method for preparing novel an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conjugate diene system copolymer using same
JP2016550849A JP6604961B2 (ja) 2014-11-28 2015-10-27 新規陰イオン重合開始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共役ジエン系共重合体の製造方法
PCT/KR2015/011396 WO2016085134A1 (ko) 2014-11-28 2015-10-27 신규 음이온 중합 개시제 및 이를 이용한 공역디엔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701A KR101748915B1 (ko) 2014-11-28 2014-11-28 신규 음이온 중합 개시제 및 이를 이용한 공역디엔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4724A KR20160064724A (ko) 2016-06-08
KR101748915B1 true KR101748915B1 (ko) 2017-06-19

Family

ID=56074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701A Active KR101748915B1 (ko) 2014-11-28 2014-11-28 신규 음이온 중합 개시제 및 이를 이용한 공역디엔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745393B2 (ko)
EP (1) EP3095799B1 (ko)
JP (1) JP6604961B2 (ko)
KR (1) KR101748915B1 (ko)
WO (1) WO20160851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831B1 (ko) * 2017-12-05 2024-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2665727B1 (ko) * 2017-12-05 2024-05-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KR102617160B1 (ko) * 2017-12-05 2023-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변성 공액디엔계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고무 조성물
EP3680229B1 (en) * 2018-06-20 2023-08-02 Lg Chem, Ltd. Modification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10711084B1 (en) * 2019-05-03 2020-07-14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In-chain functionalized elastomer, rubber composition and pneumatic tire
US11180636B2 (en) * 2019-05-03 2021-11-2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Functionalized initiator, method of making initiator and functionalized elastom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87210A (ja) * 2011-10-19 2013-05-13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タイヤサイドウォール用変性共役ジエン系重合体組成物
JP5698560B2 (ja) 2011-02-22 2015-04-08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変性共役ジエン系共重合体、その製造方法、及び変性共役ジエン系共重合体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24099A (en) 1965-03-24 1967-06-06 Phillips Petroleum Co Polymerization using a catalyst comprising an alkyllithium and a benzyl mercaptan
EP0210016B1 (en) 1985-07-12 1992-01-22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merization process and initiator system therefor
US5057583A (en) 1985-07-12 1991-10-15 The Dow Chemical Company Polymerization process and initiator system therefor
US4696986A (en) * 1986-08-12 1987-09-2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odifier for lithium catalysts
US5274106A (en) 1991-12-30 1993-12-28 Bridgestone Corporation Amino-substituted aryllithium compounds as anionic polymerization initiators
JP2746053B2 (ja) 1993-04-12 1998-04-28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ポリ(p−tert−ブトキシスチレン)の製造方法
US5654371A (en) * 1994-05-13 1997-08-05 Fmc Corporation Anionic polymerization process using functionalized initiators
US5567815A (en) 1994-07-18 1996-10-22 Bridgestone Corporation Teritary amine containing antonic initiators used in preparing polymer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JP2004244594A (ja) * 2003-02-17 2004-09-02 Asahi Kasei Corp 環状共役ジエン系共重合体
JP5572098B2 (ja) 2008-11-07 2014-08-13 日本曹達株式会社 官能基を有する重合体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スターポリマー
JP5812764B2 (ja) 2011-08-25 2015-11-17 日本ポリエチレン株式会社 金属錯体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α−オレフィン重合体の製造方法およびα−オレフィンと(メタ)アクリル酸エステル共重合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98560B2 (ja) 2011-02-22 2015-04-08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変性共役ジエン系共重合体、その製造方法、及び変性共役ジエン系共重合体組成物
JP2013087210A (ja) * 2011-10-19 2013-05-13 Asahi Kasei Chemicals Corp タイヤサイドウォール用変性共役ジエン系重合体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35619A (ja) 2017-11-30
WO2016085134A1 (ko) 2016-06-02
EP3095799A4 (en) 2017-05-03
US20170066854A1 (en) 2017-03-09
EP3095799A1 (en) 2016-11-23
US9745393B2 (en) 2017-08-29
JP6604961B2 (ja) 2019-11-13
EP3095799B1 (en) 2018-09-19
KR20160064724A (ko) 201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8293B1 (ko) 신규 음이온 중합 개시제 및 이를 이용한 공역디엔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1748915B1 (ko) 신규 음이온 중합 개시제 및 이를 이용한 공역디엔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2172741B1 (ko) 고 비닐 블록 공중합을 위한 극성 개질제 시스템
JP2005509066A (ja) 線状のブロック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485605B2 (ja) 重合体の製造方法
JP3431284B2 (ja) ブロック共重合体の製造方法
KR20000012973A (ko) 공액디엔 중합체의 수소화 방법
US20120245295A1 (en) Preparation method of vinyl aromatic hydrocarbon-conjugated diene block copolymer using coupling reaction with improved ion stability
CN115989246A (zh) 包含具有含硼官能团的改性聚合物的聚合物组合物及其制造方法
CN102532354A (zh) 钕系均相稀土催化剂、其制备方法及其应用
US6800689B2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mer rubber and oil extended polymer rubber
ITMI970171A1 (it) Copolomerizzazione anionica di dieni coniugati e vinil areni in presenza di alchil eteri del tetraidropiranil metanolo
US11542355B2 (en) Polar modifier systems for high vinyl block copolymerization
CN104558410A (zh) 一种阴离子聚合用结构调节剂和一种阴离子聚合方法
JP7583840B2 (ja) ホウ素含有官能基を有する水添共役ジエン変性重合体を含む水添重合体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518005B2 (ja) 共役ジエン系重合体の製造方法
JP2759812B2 (ja) 共役ジエン系重合体の製造方法および共役ジエン重合用触媒
CN116715790A (zh) 一种高侧基含量的共轭二烯聚合物的制备方法
KR100356533B1 (ko) 공액디엔 중합체의 선택적 수소화 방법
JPS59176311A (ja) ポリブタジエンの製造方法
JP2021505718A (ja) 変性重合開始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2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11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6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