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975B1 - 포고핀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포고핀 - Google Patents
포고핀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포고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6975B1 KR101746975B1 KR1020150180006A KR20150180006A KR101746975B1 KR 101746975 B1 KR101746975 B1 KR 101746975B1 KR 1020150180006 A KR1020150180006 A KR 1020150180006A KR 20150180006 A KR20150180006 A KR 20150180006A KR 101746975 B1 KR101746975 B1 KR 1017469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sacrificial
- plating
- plating layer
- film open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G01R1/06722—Spring-loade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55—Material aspects
- G01R1/06761—Material aspects related to lay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easuring instruments, e.g. of probe tip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3—Contacting devices, e.g. sockets, burn-in boards or mounting fixtur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metry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핀을 도시한 일측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eh 3 f는 본 발명에 따른 포고핀의 제조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1: 제1 측면코일부 12: 제2 측면코일부
13: 연결코일부 20: 제1 단자
22: 제1 가이드편 30: 제2 단자
32: 제2 가이드편 100: 캐리어
110: 제1 희생용 도금층 112: 제1 포토레지스트층
114: 제1 고탄성 도금층 116: 제2 희생용 도금층
118: 제2 포토레지스트층 120: 제3 희생용 도금층
122: 제3 포토레지스트층 124: 제2 고탄성 도금층
126: 제4 희생용 도금층 128: 제4 포토레지스트층
130: 제5 희생용 도금층 140: 제5 포토레지스트층
142: 제3 고탄성 도금층
Claims (9)
- 캐리어(100)상에 공간확보를 위한 희생용 도금과 포고핀(1) 형성을 위한 고탄성도금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제1단계; 및 에칭(Etching)액을 이용해 상기 희생도금을 에칭하여 제거하는 제2단계;를 수행하여,
코일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제1 및 제2 측면코일부(11,12)와 상기 제1 및 제2 측면코일부(11,12)의 양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코일부(13)로 이루어지는 코일형 스프링(10)과; 상기 코일형 스프링(10)의 일단과 타단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단자(20,30)로 구성되는 포고핀(1)을 제조하며;
상기 제1단계는, 캐리어(100) 일면에 제1 희생용 도금층(110)을 형성하고 상기 코일형 스프링(10)의 제1 측면코일부(11)를 형성하기 위해 제1 포토레지스트층(112)을 형성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제1 필름개구부(112a)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필름개구부(112a)에 제1 고탄성 도금층(114)을 형성한 후, 제1 포토레지스트층(112)을 박리하여 상기 제1 희생용 도금층(110)과 제1 고탄성 도금층(114)을 노출시키는 제1_1단계;
상기 제1 희생용 도금층(110)과 제1 고탄성 도금층(114)의 노출면에 제2 희생용 도금층(116)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고탄성 도금층(114)과 제2 희생용 도금층(116)을 평탄화(Planarization)하며 노출시키는 제1_2단계;
상기 제1 고탄성 도금층(114) 및 제2 희생용 도금층(116)의 노출면에 제2 포토레지스트층(118)을 형성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제2 필름개구부(118a)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필름개구부(118a)에 제3 희생용 도금층(120)을 형성한 후, 제2 포토레지스트층(118)을 박리하여 상기 제1 고탄성 도금층(114)과 제2 및 제3 희생용 도금층(116,120)을 노출시키는 제1_3단계;
상기 제1 고탄성 도금층(114)과 제2 및 제3 희생용 도금층(116,120)의 노출면에 상기 코일형 스프링(10)의 연결코일부(13)와, 제1 및 제2 단자(20,30)를 형성하기 위해 제3 포토레지스트층(122)을 형성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제3 필름개구부(122a)를 형성하고, 상기 제3 필름개구부(122a)에 제2 고탄성 도금층(124)을 형성한 후, 상기 제3 포토레지스트층(122)을 박리하여 상기 제2 고탄성 도금층(124)과 제2 및 제3 희생용 도금층(116,120)을 노출시키는 제1_4단계;
상기 제2 고탄성 도금층(124)과 제2 및 제3 희생용 도금층(116,120)의 노출면에 제4 희생용 도금층(126)을 형성한 후, 상기 제2 고탄성 도금층(124)과 제4 희생용 도금층(126)을 평탄화(Planarization)하며 노출시키는 제1_5단계;
상기 제2 고탄성 도금층(124)과 제4 희생용 도금층(126)의 노출면에 제4 포토레지스트층(128)을 형성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제4 필름개구부(128a)를 형성하고, 상기 제4 필름개구부(128a)에 제5 희생용 도금층(130)을 형성한 후 박리하여 상기 제2 고탄성 도금층(124)과 제4 및 제5 희생용 도금층(126,130)을 노출시키는 제1_6단계;
상기 제2 고탄성 도금층(124)과 제4 및 제5 희생용 도금층(126,130)의 노출면에 코일형 스프링(10)의 제2 측면코일부(12)를 형성하기 위해 제5 포토레지스트층(140)을 형성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제5 필름개구부(140a)를 형성하고, 상기 제5 필름개구부(140a)에 제3 고탄성 도금층(142)을 형성하는 제1_7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제3 고탄성 도금층(142)을 평탄화(Planarization)하고, 상기 제5 포토레지스트층(140)을 박리하고 에칭(Etching)액을 이용해 상기 제1 내지 제5 희생용 도금층(110,116,120,126,130)을 에칭하여 제거하는 단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핀의 제조방법.
- 캐리어(100)상에 공간확보를 위한 희생용 도금과 포고핀(1) 형성을 위한 고탄성도금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제1단계; 및 에칭(Etching)액을 이용해 상기 희생도금을 에칭하여 제거하는 제2단계;를 수행하여,
코일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제1 및 제2 측면코일부(11,12)와 상기 제1 및 제2 측면코일부(11,12)의 양단을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코일부(13)로 이루어지는 코일형 스프링(10)과; 상기 코일형 스프링(10)의 일단과 타단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단자(20,30)로 구성되는 포고핀(1)을 제조하며;
상기 포고핀(1)은 상기 제1 단자(20)에 일단부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타단부는 상기 코일형 스프링(1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1 가이드편(22)과; 상기 제2 단자(30)에 일단부는 일체로 구비되며 타단부는 상기 코일형 스프링(10)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 가이드편(22)이 안내되는 제2 가이드편(3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단계는, 캐리어(100) 일면에 제1 희생용 도금층(110)을 형성하고 상기 코일형 스프링(10)의 제1 측면코일부(11)를 형성하기 위해 제1 포토레지스트층(112)을 형성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제1 필름개구부(112a)를 형성하고, 상기 제1 필름개구부(112a)에 제1 고탄성 도금층(114)을 형성한 후, 제1 포토레지스트층(112)을 박리하여 상기 제1 희생용 도금층(110)과 제1 고탄성 도금층(114)을 노출시키는 제1_1단계;
상기 제1 희생용 도금층(110)과 제1 고탄성 도금층(114)의 노출면에 제2 희생용 도금층(116)을 형성한 후, 상기 제1 고탄성 도금층(114)과 제2 희생용 도금층(116)을 평탄화(Planarization)하며 노출시키는 제1_2단계;
상기 제1 고탄성 도금층(114) 및 제2 희생용 도금층(116)의 노출면에 제2 포토레지스트층(118)을 형성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제2 필름개구부(118a)를 형성하고, 상기 제2 필름개구부(118a)에 제3 희생용 도금층(120)을 형성한 후, 제2 포토레지스트층(118)을 박리하여 상기 제1 고탄성 도금층(114)과 제2 및 제3 희생용 도금층(116,120)을 노출시키는 제1_3단계;
상기 제1 고탄성 도금층(114)과 제2 및 제3 희생용 도금층(116,120)의 노출면에 상기 코일형 스프링(10)의 연결코일부(13)와, 제1 및 제2 단자(20,30)와, 제1 및 제2 가이드편(32,42)을 형성하기 위해 제3 포토레지스트층(122)을 형성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제3 필름개구부(122a)를 형성하고, 상기 제3 필름개구부(122a)에 제2 고탄성 도금층(124)을 형성한 후, 상기 제3 포토레지스트층(122)을 박리하여 상기 제2 고탄성 도금층(124)과 제2 및 제3 희생용 도금층(116,120)을 노출시키는 제1_4단계;
상기 제2 고탄성 도금층(124)과 제2 및 제3 희생용 도금층(116,120)의 노출면에 제4 희생용 도금층(126)을 형성한 후, 상기 제2 고탄성 도금층(124)과 제4 희생용 도금층(126)을 평탄화(Planarization)하며 노출시키는 제1_5단계;
상기 제2 고탄성 도금층(124)과 제4 희생용 도금층(126)의 노출면에 제4 포토레지스트층(128)을 형성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제4 필름개구부(128a)를 형성하고, 상기 제4 필름개구부(128a)에 제5 희생용 도금층(130)을 형성한 후 박리하여 상기 제2 고탄성 도금층(124)과 제4 및 제5 희생용 도금층(126,130)을 노출시키는 제1_6단계;
상기 제2 고탄성 도금층(124)과 제4 및 제5 희생용 도금층(126,130)의 노출면에 코일형 스프링(10)의 제2 측면코일부(12)를 형성하기 위해 제5 포토레지스트층(140)을 형성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제5 필름개구부(140a)를 형성하고, 상기 제5 필름개구부(140a)에 제3 고탄성 도금층(142)을 형성하는 제1_7단계;로 구성되며,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제3 고탄성 도금층(142)을 평탄화(Planarization)하고, 상기 제5 포토레지스트층(140)을 박리하고 에칭(Etching)액을 이용해 상기 제1 내지 제5 희생용 도금층(110,116,120,126,130)을 에칭하여 제거하는 단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핀의 제조방법.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5 희생용 도금층(110,116,120,126,130)은 전해 동(Cu)도금을 수행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핀의 제조방법.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고탄성 도금층(114,124,142)은 니켈-코발트(Ni-Co), 니켈-철(Ni-Fe), 니켈-망간(Ni-Mn) 도금 중에 어느 하나를 수행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핀의 제조방법.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100)는 세라믹이나 유리 절연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핀의 제조방법.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_1단계는 스퍼터링(Sputtering) 공정을 수행하여 표면에 금속 박막을 형성한 후, 전해 동(Cu)도금을 수행하여 상기 제1 희생용 도금층(110)을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핀의 제조방법.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측면코일부(11,12)는 일측과 타측에 사선방향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배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측면코일부(11,12)에 연결되는 연결코일부(13)는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고핀의 제조방법.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의해 제조된 포고핀.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0006A KR101746975B1 (ko) | 2015-12-16 | 2015-12-16 | 포고핀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포고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80006A KR101746975B1 (ko) | 2015-12-16 | 2015-12-16 | 포고핀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포고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46975B1 true KR101746975B1 (ko) | 2017-06-13 |
Family
ID=5921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80006A Active KR101746975B1 (ko) | 2015-12-16 | 2015-12-16 | 포고핀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포고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6975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78982B2 (ja) | 2001-02-12 | 2009-06-17 | フォームファクタ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基板上に超小型電子ばね構造体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 |
JP2009216552A (ja) | 2008-03-11 | 2009-09-24 | Japan Electronic Materials Corp |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の製造方法 |
KR100952138B1 (ko) * | 2009-06-01 | 2010-04-09 | 주식회사 코디에스 | 프로브 조립체 제조방법 |
JP2011232181A (ja) * | 2010-04-28 | 2011-11-17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プローブピン用コンタクト、プローブピンおよび電子デバイス用接続治具 |
-
2015
- 2015-12-16 KR KR1020150180006A patent/KR10174697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278982B2 (ja) | 2001-02-12 | 2009-06-17 | フォームファクタ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基板上に超小型電子ばね構造体を作製するための方法 |
JP2009216552A (ja) | 2008-03-11 | 2009-09-24 | Japan Electronic Materials Corp |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の製造方法 |
KR100952138B1 (ko) * | 2009-06-01 | 2010-04-09 | 주식회사 코디에스 | 프로브 조립체 제조방법 |
JP2011232181A (ja) * | 2010-04-28 | 2011-11-17 |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 プローブピン用コンタクト、プローブピンおよび電子デバイス用接続治具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43999B1 (ko) | 인쇄회로기판용 상호 접속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구비한 상호 접속 조립체 | |
US6576485B2 (en) | Contact structur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probe contact assembly using same | |
KR102018784B1 (ko) | 미세 전극 회로 검사용 핀 제조 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제조된 미세 전극 회로 검사용 핀 | |
KR100502125B1 (ko) | 접점 구조물의 제조방법 | |
EP1744167B1 (en) | Sheet-like probe, method of producing the probe, and application of the probe | |
KR101766261B1 (ko) | 프로브 핀 및 그의 제조 방법 | |
KR101278713B1 (ko) | 프로브 카드 및 제조방법 | |
TWI421504B (zh) | 測試用的測試探針以及其製造方法 | |
US20110043238A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needle for probe card using fine processing technology, needle manufactured by the method and probe card comprising the needle | |
JP2014112046A (ja) | プローブ、プローブ組立体及びプローブカード | |
CN101750523A (zh) | 弹性测试探针及其制作方法 | |
KR101535179B1 (ko) | 반도체소자 테스트 소켓용 컨택터 및 그 제조방법 | |
KR101746975B1 (ko) | 포고핀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포고핀 | |
KR20130104856A (ko) | 반도체 테스트용 콘텍터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30618B1 (ko) | 컨택트 장치 제조 방법 및 컨택트 장치 | |
KR101514636B1 (ko) | 외팔보 구조물을 이용한 반도체소자 테스트 소켓용 컨택터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420170B1 (ko) | 외팔보 구조물을 이용한 반도체소자 테스트 소켓용 컨택터 및 그 제조 방법 | |
KR100827994B1 (ko) | 이종 도금 결합방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고강도 탐침 구조물 및 그 제작 방법 | |
US20100281679A1 (en) | Fabricating method for multi-layer electric probe | |
KR101846303B1 (ko) | 양방향 도전성 모듈, 반도체 테스트 소켓, 그리고 그 제조방법 | |
KR100842395B1 (ko) | 무전해도금법을 이용한 프로브카드용 탐침구조물 제조 방법 | |
KR100877076B1 (ko) | 유리잉크 코팅법을 이용한 프로브카드용 탐침의 절연방법 | |
US11191170B2 (en) | Silicone contact element | |
KR20090083530A (ko) | 통전핀,그의 통전핀 제조방법 | |
CN112285395A (zh) | 一种探针卡及其制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4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