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46604B1 - 커피 성분을 구비한 위생흡수용품 - Google Patents

커피 성분을 구비한 위생흡수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604B1
KR101746604B1 KR1020160033565A KR20160033565A KR101746604B1 KR 101746604 B1 KR101746604 B1 KR 101746604B1 KR 1020160033565 A KR1020160033565 A KR 1020160033565A KR 20160033565 A KR20160033565 A KR 20160033565A KR 101746604 B1 KR101746604 B1 KR 101746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heet
odor control
soluble
coffee bea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3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호
최성혜
이응곤
Original Assignee
(주) 신우피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우피앤씨 filed Critical (주) 신우피앤씨
Priority to KR1020160033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60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 A61F2013/843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with plant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투과시키는 물 투과성 시트; 상기 물 투과성 시트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물 투과성 시트를 투과한 물을 흡수하는 흡수체; 및 상기 흡수체 아래에 마련되고, 방수 소재로 이루어진 물 불투과성 시트;를 포함하는 위생흡수용품으로서, 상기 물 투과성 시트와 흡수체의 사이에는 냄새 제어 시트가 더 개재되고, 상기 냄새 제어 시트는 커피 원두 추출물이 함유된 수용성 시트와 상기 수용성 시트에 분산되어 있는 분쇄된 커피 원두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흡수용품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위생흡수용품은 외부로부터 체액이 유입되면 냄새 제어 시트의 수용성 성분인 커피 원두 추출물이 빠른 시간 내에 체액의 물 성분에 용해되어 향과 항균력을 즉각 발산한다. 냄새 제어 시트에 분산된 분쇄된 커피 원두들은 다량의 기공을 갖고 있으므로, 수용성 성분이 용해되어 흡수체에 흡수된 후에도 흡수체의 표면에 잔류하여 체액의 냄새를 잡아주는 소취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시트 제형으로 제조된 냄새 제어 시트는 커피 원두 추출물 및 분쇄된 커피 원두를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분산시켜 착용감이 우수하도록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 내에 내재된 커피 성분들은 향 성분이 오랫동안 보존되므로, 커피 성분을 기재의 표면에 도포한 위생흡수용품보다 커피 방향성분의 경시적 보존 안정성이 양호하다.

Description

커피 성분을 구비한 위생흡수용품{HYGIENE ABSORBENT ARTICLE HAVING COFFEE COMPONENT}
본 발명은 인간이나 애완동물 등의 배출물을 위생적으로 흡수하기 위한 위생흡수용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커피 성분을 함유한 위생흡수용품에 관한 것이다.
생리대, 아기용 기저귀, 실금 가먼트, 애완동물 배변패드 등과 같은 위생흡수용품은 소변 또는 생리혈과 같은 체액을 물 투과성 시트(예: 몸쪽 라이너, 서지층 등)를 거쳐서 그 아래에 위치한 흡수체에 흡수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흡수체의 아래에는 방수 소재로 이루어진 물 불투과성 시트(예: 외부 커버)를 배치하여 유입된 체액이 위생흡수용품의 외부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방지한다. 이러한 구성의 위생흡수용품은 부가적으로 흡수분산체 등을 더 구비하기도 한다.
위생흡수용품은 고령화 사회로의 변화에 따라 치매노인, 거동이 불편한 환자 또는 요실금 환자 등으로 점차 인간에 대한 사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애완동물들에 대해서도 그러하다.
여러가지 이유로 위생흡수용품에는 냄새 제어제가 혼입되어 왔다(한국 특허공보 10-1296014). 예를 들어, 맥도날드(MacDonald)의 미국 공개특허공보 2003/0203009는 금속 이온으로 개질된 고표면적 입자로부터 형성된 냄새 제어제를 기술한다. 또한, 방향 또는 소취 성분을 갖는 한약재를 냄세 제어제로서 적용한 위생흡수용품이 개발 및 시판되었다. 최근에는 커피가 갖는 향과 항균력에 주목하여 커피 추출물 또는 분쇄된 커피 원두를 냄새 제어제로서 위생흡수용품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있다.
이러한 냄새 제어제는 냄새를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긴 하지만, 이 냄새 제어제를 위생흡수용품에 혼입하려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되어 있지 않은 입자들을 소변 또는 다른 체액으로부터의 냄새를 효능 있게 흡착하기 위해 요망되는 위치에 효과적으로 배치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위생흡수용품의 특성상 원하는 효과의 즉효성이 요구되며, 장시간 동안의 보존 안정성이 필요하기도 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커피 원두를 냄새 제어제로 이용할 때 향과 항균력의 발현 즉효성과 소취성이 개선되며, 향 보존성은 물론 착용성이 개선된 위생흡수용품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위생흡수용품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투과시키는 물 투과성 시트; 상기 물 투과성 시트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물 투과성 시트를 투과한 물을 흡수하는 흡수체; 및 상기 흡수체 아래에 마련되고, 방수 소재로 이루어진 물 불투과성 시트;를 포함하는 위생흡수용품으로서, 상기 물 투과성 시트와 흡수체의 사이에는 냄새 제어 시트가 더 개재되고, 상기 냄새 제어 시트는 커피 원두 추출물이 함유된 수용성 시트와 상기 수용성 시트에 분산되어 있는 분쇄된 커피 원두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위생흡수용품에 있어서, 상기 커피 원두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1,3-부틸렌글라이콜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이고, 상기 분쇄된 커피 원두는 분쇄한 커피 원두 그대로를, 또는 용매로 커피 원두를 추출한 후 남은 찌꺼기를 건조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생흡수용품에 있어서, 수용성 시트는 수용성 고분자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수용성 고분자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잔탄(Xanthan),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및 플루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생흡수용품에 있어서, 수용성 시트는 가소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가소제로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다가알코올, 피마자 오일, 수소화 피마자 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생흡수용품에 있어서, 냄새 제어 시트 중의 커피 원두 추출물의 바람직한 함량은 커피 원두 추출물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 중량%이고, 상기 냄새 제어 시트 중의 분쇄된 커피 원두의 바람직한 함량은 분쇄된 커피 원두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이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위생흡수용품에 구비된 냄새 제어 시트는 커피 원두 추출물 및 분쇄된 커피 원두가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어 착용감이 우수하다, 또한, 시트 내에 내재된 커피 성분들은 제형의 특성상 향 성분이 오랫동안 보존되므로, 커피 성분을 기재의 표면에 도포한 위생흡수용품보다 커피 방향 성분에 대한 경시적 보존성이 양호하다.
둘째, 냄새 제어 시트를 구성하는 수용성 시트는 생리혈이나 오줌 등에 포함된 체액(물)에 용해되는 수용성의 성질을 갖는다. 즉, 체액(물)과 접촉되면 시트 제형이 붕괴되며, 시트에 내재된 성분들이 분산되어 체액과 접촉하게 된다.
수용성 시트에 함유된 커피 원두 추출물은 커피 원두로부터 물 등의 용매에 의해 이미 추출된 성분이므로, 수용해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본 발명의 위생흡수용품에 생리혈이나 오줌 등에 포함된 체액(물)이 유입되면 커피 원두 추출물이 빠른 시간 내에 체액(물)에 다시 용해된다. 이에 따라, 수용성 시트에 갇혀있던 커피의 향과 항균 성분이 빠르게 발산된다. 즉, 수용성 시트 내의 커피 원두 추출물의 향과 항균성분이 즉각적으로 발산되어 냄새 제어 성능 및 항균력이 빠르게 발현된다.
셋째, 분쇄된 커피 원두는 커피 원두 추출물 등의 수용성 성분이 흡수체에 흡수된 이후에도 흡수체의 표면에 잔류하게 되어 체액의 냄새를 잡아주는 소취기능을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생흡수용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위생흡수용품에 구비된 냄새 제어 시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생흡수용품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위생흡수용품은 일반적인 위생흡수용품이 구비하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투과시키는 물 투과성 시트(101)와, 물 투과성 시트(101)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물 투과성 시트(101)를 투과한 물을 흡수하는 흡수체(105)와, 흡수체(105)의 아래에 마련되고, 방수 소재로 이루어진 물 불투과성 시트(107);를 포함한다.
물 투과성 시트(101)는 흡수체(105)를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커버링하는 최외곽의 시트로서, 체액을 흡수체(105)로 용이하게 전달하도록 예컨대, 부직포와 같은 물(액체) 투과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물 투과성 시트(101)는 인간이나 애완용 동물의 몸에 직접 접촉하는 시트로서, 체액의 누출을 추가로 방지하기 위하여 측부의 가장자리가 탄성을 갖도록 제조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물 투과성 시트(101)의 바로 아래에는 물 투과성 시트(101)의 체액 투과 및 분산 기능을 더욱 보강할 수 있는 부직포로 된 보강 흡수 분산층이 구비될 수 있다(미도시).
흡수체(105)는 물 투과성 시트(101)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물 투과성 시트(101)를 투과한 물을 흡수하는 기능을 하는 흡수위생용품의 코어부이다.
흡수체(105)는 일반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펄프만으로, 또는 (플러스) 펄프와 고흡수성 수지 입자(super absorbent polymer particle)의 혼합물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흡수체(105)는 물 투과성 시트(101)의 면과 부합되도록 평평한 형상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흡수체(105)는 상면이 개방되고 가늘고 긴 형상을 갖는 트렌치 구조의 채널을 하나 이상 구비하도록 그 형상을 제조할 수 있다.
위생흡수용품은 생리대, 기저귀, 애완동물 배변패드 등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생리혈이나 소변 등의 체액이 제품 바깥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흡수체(105)의 아래에 마련되는 물 불투과성 시트(107)는 배출된 체액이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물(액체, 체액)이 투과할 수 없는 방수 소재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위생흡수용품은 물 투과성 시트(101)와 흡수체(105)의 사이에 냄새 제어 시트(103)가 더 개재된다. 냄새 제어 시트는 별도로 제조된 후, 물 투과성 시트(101), 흡수체(105) 및 물 불투과성 시트(107)와 함께 통상적인 방법으로 적층하여 흡수위생용품으로 제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위생흡수용품에 구비된 냄새 제어 시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새 제어 시트(103)는 흡수체(105) 위에 위치하는데, 커피 원두 추출물이 함유된 수용성 시트(115)에 분쇄된 커피 원두들(113)이 분산되어 형성된 시트이다. 도면에는 분쇄된 커피 원두(113)이 미량 함유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다량 함유되도록 제조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수용성 시트(115)는 수용성 성분인 원두 추출물 자체의 고형물로, 또는 필요에 따라 시트 제형을 유지하기 위한 부성분을 포함하는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분쇄된 커피 원두들(113)은 수용성 시트(115)에 잘 분산되어 냄새 제어 시트(103)를 구성한다. 수용성 시트(115) 제조시 필요에 따라 천궁, 박하, 삼백초, 익모초, 어성초, 옻, 녹차, 국화, 쑥, 당귀 등의 한약재의 추출물을 더 첨가할 수 있으며, 이들의 분말 또는 황토 등의 냄새 제어 입자들을 분쇄된 커피 원두(113)과 함께 수용성 시트에 더 분산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위생흡수용품에 있어서, 커피 원두 추출물은 분쇄된 커피 원두(생두가 아니라 볶은 원두를 의미한다)를 용매로 처리하여 분리한 물질을 의미한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용매로서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물, 저급 알코올, 1,3-부틸렌글라이콜, 에틸아세테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1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커피 원두를 1회 이상 추출하여 커피 원두의 용매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용매 추출물을 열풍건조하거나, 감압증류한 후 동결건조 또는 분무 건조하여 건조 추출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쇄된 커피 원두를 건조 중량 대비 5 내지 30배의 부피의 용매를 가하여, 냉각기가 달린 추출기에서 92 내지 100℃로 1 내지 5시간 동안 가열한 후 여과포로 여과하여 용매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용매 추출물에 대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2회 이상 추출된 용매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한편, 분쇄된 커피 원두는 분쇄된 커피 원두 그 자체나, 분쇄된 커피 원두의 분말을 전술한 용매로 추출한 후 남은 찌꺼기를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커피 원두는 기공들을 많이 갖고 있으므로 소취성능이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용매 추출된 커피 원두 찌꺼기는 수용성 성분이 빠져 나가서 기공이 더 많게 되므로, 소취력 효과가 더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생흡수용품에 있어서, 수용성 시트의 제형 제조가 용이하면서 물을 포함한 체액에 의해 커피 성분이 빠르게 방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수용성 고분자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친수성이며 물에 대한 용해성이 좋은 수용성 고분자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잔탄(Xanthan),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및 플루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냄새 제어 시트가 굴곡면에 따라 유연하게 구부러지게 하기 위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polypropylene glycol),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과 같은 고분자 글리콜류, 글리세린과 같은 다가 알코올, 피마자 오일(castor oil), 수소화 피마자 오일(hydrogenated castor oil) 등과 같은 오일류의 가소제를 첨가할 수 있다. 특히 글리세린을 사용하면 흡수성이 강하여 보습제 기능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더욱 바람직하다.
전술한 부성분 외에도, 본 발명의 냄새 제어 시트(103)를 제조시,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아라비아 검과 같은 에멀젼화제, 증점제 등을 첨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위생흡수용품에 구비된 냄새 제어 시트(103)는 예를 들어 커피 원두 추출물의 용액(필요에 따라 전술한 부성분을 함유한다)에 분쇄된 커피 원두(113)을 분산시킨 슬러리를 기재 위에 도포한 다음 이를 건조 및 탈리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위생흡수용품에 구비된 냄새 제어 시트(103)를 구성하는 수용성 시트(115)는 생리혈이나 오줌 등에 포함된 체액(물)에 용해되는 수용성의 성질을 갖는다. 즉, 체액(물)과 접촉되면 시트 제형이 붕괴되며, 시트에 내재된 성분들이 분산되어 체액과 접촉하게 된다.
수용성 시트(115)에 함유된 커피 원두 추출물은 커피 원두로부터 물 등의 용매에 의해 이미 추출된 성분이므로, 수용해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본 발명의 위생흡수용품에 생리혈이나 오줌 등에 포함된 체액(물)이 유입되면 커피 원두 추출물이 빠른 시간 내에 체액(물)에 다시 용해된다. 이에 따라, 커피 향의 발산이 빠르게 이루어지며,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커피 추출물에 포함된 항균성분의 항균력도 빠르게 발현된다. 더불어, 분쇄된 커피 원두(113)은 커피 원두 추출물 등의 수용성 성분이 흡수체(105)에 흡수된 이후에도 흡수체(105)의 표면에 잔류하게 되는데,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체액의 냄새를 잡아주는 소취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흡수위생용품에 구비된 냄새 제어 시트(103)는 커피 원두 추출물 및 분쇄된 커피 원두들(113)이 잘 분산된 시트이다.
커피 원두 추출물의 고형분이나 분쇄된 커피 원두(113)를 본 발명과 같이 스스로 그 형태가 유지될 수 있는(self-support) 독립적인 시트 제형으로 포함시켜 제조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분쇄된 커피 원두를 흡수위생용품의 흡수체의 표면에 산포하는 방법을 적용하는 경우), 분쇄된 커피 원두의 분포를 균일하게 제어하기 어렵고, 산포시 분쇄물들이 비산하여 이물질로 오인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도포층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기 어려워서 착용감이 떨어질 수 있다. 반면, 본원에 따라 시트 제형으로 제조하여 적용시 위와 같은 문제점의 개선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냄새 제어 시트(3) 내에 내재된 커피 성분들은 시트 제형의 특성상 향 성분이 오랫동안 보존되므로(특히, 수용성 고분자 등 부성분을 사용하는 경우 더욱 그러하다), 커피 성분을 기재의 표면에 도포한 위생흡수용품보다 커피 방향 성분에 대한 경시적 보존성이 양호하게 된다.
본 발명의 위생흡수용품에 있어서, 냄새 제어 시트 중의 커피 원두 추출물의 바람직한 함량은 커피 원두 추출물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0 중량%이고, 상기 냄새 제어 시트 중의 분쇄된 커피 원두의 바람직한 함량은 분쇄된 커피 원두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이다.
본 발명의 위생흡수용품에 있어서, 냄새 제어 시트 중에 수용성 고분자를 더 첨가하는 경우 그 함량은 0.1 내지 2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냄새 제어 시트 중에 가소제를 더 첨가하는 경우 그 함량은 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된 커피 원두의 입경은 한정되지 않으나, 10 ~ 1000 mesh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냄새 제어 시트의 두께는 한정되지 않으나, 0.1 ~ 3.0 mm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위생흡수용품에 구비되는 냄새 제어 시트의 보다 구체적인 제조예를 예를 들어 상술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CMC) 10g과 아라비아 검 (gum Arabic) 10g을 커피 원두 물 추출물(건조중량 : 5.6 g) 70ml에 첨가하였다.
2. 시트르산(citric acid) 2g,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 2g을 증류수 10ml + 글리세린 7ml에 첨가하고 용해시킨 다음, 전술한 1의 결과물과 혼합하였다.
3.    나프리 1g 과 미세하게 분쇄한 분쇄된 커피 원두 (입경 30 mesh) 15g을 2번 결과물에 첨가한 다음, 충분히 저어서 미세한 기포를 생성시켰다.
4.  상기 4의 결과물을 PP film으로 된 기재 위에 코팅하고 80℃/30min 동안 열풍건조시켜 두께 1.5 mm의 시트 제형으로 제조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1: 물 투과성 시트 103: 냄새 제어 시트
105: 흡수체 107: 물 불투과성 시트
113: 분쇄된 커피 원두 115: 커피 원두 추출물을 함유한 수용성 시트

Claims (7)

  1.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을 투과시키는 물 투과성 시트;
    상기 물 투과성 시트의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물 투과성 시트를 투과한 물을 흡수하는 흡수체; 및
    상기 흡수체 아래에 마련되고, 방수 소재로 이루어진 물 불투과성 시트;를 포함하는 위생흡수용품으로서,
    상기 물 투과성 시트와 흡수체의 사이에는 스스로 그 형태가 유지될 수 있는 독립적인 시트 제형의 냄새 제어 시트가 더 개재되고,
    상기 냄새 제어 시트는 커피 원두 추출물이 함유된 수용성 시트와 상기 수용성 시트에 분산되어 있는 분쇄된 커피 원두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흡수용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피 원두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1,3-부틸렌글라이콜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것이고, 상기 분쇄된 커피 원두는 분쇄된 커피 원두를 용매로 추출한 후 남은 찌꺼기가 건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흡수용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시트는 수용성 고분자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흡수용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고분자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잔탄(Xanthan),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및 플루란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흡수용품.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시트는 가소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흡수용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제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다가알코올, 피마자 오일 및 수소화 피마자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흡수용품.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냄새 제어 시트 중의 커피 원두 추출물의 함량은 커피 원두 추출물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2 내지 20 중량%이고, 상기 냄새 제어 시트 중의 분쇄된 커피 원두의 함량은 분쇄된 커피 원두의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흡수용품.
KR1020160033565A 2016-03-21 2016-03-21 커피 성분을 구비한 위생흡수용품 Active KR101746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565A KR101746604B1 (ko) 2016-03-21 2016-03-21 커피 성분을 구비한 위생흡수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3565A KR101746604B1 (ko) 2016-03-21 2016-03-21 커피 성분을 구비한 위생흡수용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604B1 true KR101746604B1 (ko) 2017-06-13

Family

ID=59218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3565A Active KR101746604B1 (ko) 2016-03-21 2016-03-21 커피 성분을 구비한 위생흡수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6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527A (ko) * 2019-04-18 2020-10-2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피 찌꺼기를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생 제품
KR102837904B1 (ko) * 2023-03-17 2025-07-2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운 계란 껍질과 커피 찌꺼기와 같은 부산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탈취 시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4399A (ja) * 2000-02-01 2001-08-07 Nippon Kyushutai Gijutsu Kenkyusho:Kk 水崩壊性高吸水性複合体及び吸収体物品
JP2008142464A (ja) * 2006-12-13 2008-06-26 Uni Charm Corp 抗菌性シートおよび吸収性物品
JP2013233311A (ja) 2012-05-09 2013-11-21 Unicharm Corp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4399A (ja) * 2000-02-01 2001-08-07 Nippon Kyushutai Gijutsu Kenkyusho:Kk 水崩壊性高吸水性複合体及び吸収体物品
JP2008142464A (ja) * 2006-12-13 2008-06-26 Uni Charm Corp 抗菌性シートおよび吸収性物品
JP2013233311A (ja) 2012-05-09 2013-11-21 Unicharm Corp 吸収性物品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527A (ko) * 2019-04-18 2020-10-28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피 찌꺼기를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생 제품
KR102351279B1 (ko) * 2019-04-18 2022-01-13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커피 찌꺼기를 포함하는 탈취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위생 제품
KR102837904B1 (ko) * 2023-03-17 2025-07-23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구운 계란 껍질과 커피 찌꺼기와 같은 부산물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탈취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44904C (zh) 痔疮处理垫
JP5368829B2 (ja) 吸収性物品
RU2714308C2 (ru) Дезодор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JP4620662B2 (ja) 皮膚に優しい使い捨て製品
EP1444969B1 (en) Absorbent article
JP5176061B2 (ja) ストーマ装具用消臭剤組成物及びストーマ装具
CN106063743A (zh) 中草药无纺布及其制备方法
KR101746604B1 (ko) 커피 성분을 구비한 위생흡수용품
JP4209062B2 (ja) シクロデキストリンを含有した吸収性物品
KR101742280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펄프 위생흡수용품의 제조방법
KR101337816B1 (ko) 여성용 일회용 흡수용품
JP2016532486A (ja) 悪臭低減組成物を含む物品
JP5470515B2 (ja) 排泄物処理用品のための消臭剤組成物及び排泄物収容装具
JP3699298B2 (ja) 衛生用品
KR102383114B1 (ko)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
KR102140737B1 (ko) 피톤치드가 담지된 기능성 스마트 생리대
JP5806716B2 (ja) β−グルクロニダーゼ阻害剤
JP2004255164A (ja) 吸収性物品
KR101746603B1 (ko) 방향성 식물 성분을 구비한 위생흡수용품
KR20190120679A (ko) 생체적합성 흡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생리대
US1729752A (en) Deodorant composition
JP6820108B2 (ja) 臭気抑制組成物を含む物品
JP5674283B2 (ja) β−グルクロニダーゼ阻害剤
CN206365983U (zh) 艾草卫生巾
KR101989570B1 (ko) 항균 및 소취 효과가 있는 기능성 요실금 팬티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