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46531B1 - Vehicle rain sensor and vehicle wiper driving device - Google Patents

Vehicle rain sensor and vehicle wiper driv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531B1
KR101746531B1 KR1020160135601A KR20160135601A KR101746531B1 KR 101746531 B1 KR101746531 B1 KR 101746531B1 KR 1020160135601 A KR1020160135601 A KR 1020160135601A KR 20160135601 A KR20160135601 A KR 20160135601A KR 101746531 B1 KR101746531 B1 KR 101746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iper
image
value
rain sens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6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기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디텍
Priority to KR1020160135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53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531B1/en
Priority to PCT/KR2017/007751 priority patent/WO2018074707A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06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 B60S1/0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 B60S1/0818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 B60S1/082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the drive electrically driven including control systems responsive to external conditions, e.g. by detection of moisture, dirt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r type of detection means
    • B60S1/0833Optical rain sensor
    • B60S1/0844Optical rain sensor including a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30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 G06T7/33Determination of transform parameters for the alignment of images, i.e. image registration using feature-based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4Image subtr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윈드쉴드의 이미지를 소정의 주기로 순차 획득하여 제1시점과 제2시점에서의 이미지를 차분한 차분 이미지를 순차 출력하는 이미지 센싱유닛과, 상기 이미지 센싱유닛에서 출력된 차분 이미지를 근거로 차량의 와이퍼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센싱유닛은, 수광 소자와, 상기 수광 소자의 각 픽셀에 연결되며 각 픽셀별로 출력치의 차분값을 출력하는 복수의 차동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인 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의 와이퍼 구동 장치를 개시한다.An image sensing unit sequentially acquiring images of a windshield of a vehicle in a predetermined cycle and sequentially outputting a difference image obtained by subtracting an image at a first viewpoint and a second viewpoint,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signal for operating a wiper of the vehicle, wherein the image sensing unit comprises: a light receiving element; a plurality of differential amplifiers connected to each pixel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a wiper drive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the same.

Description

차량용 레인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의 와이퍼 구동 장치{VEHICLE RAIN SENSOR AND VEHICLE WIPER DRIVING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ular rain sensor and a vehicle wiper drive apparatus having the same. [0002] VEHICLE RAIN SENSOR AND VEHICLE WIPER DRIVING DEVICE [

본 발명은 차량의 윈드쉴드의 빗방울을 감지하는 차량용 레인센서 및 그 감지 결과를 이용하여 와이퍼를 동작을 제어하는 차량용 와이퍼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ain sensor for a vehicle that senses raindrops of a windshield of a vehicle and a wiper drive device for a vehicle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iper using the detection result.

최근 들어 운전자 보조 시스템, 충돌 경고 시스템, 전자동 온도제어 시스템 등의 차량의 자동화/지능화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으며, 차량 주행시 비 또는 눈이 내리는 것을 감지하여 와이퍼의 동작을 제어하는 기술 또한 이러한 기술들 중 하나이다.In recent years, vehicle automation / intelligent technologies such as driver assistance systems, collision warning systems, and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systems have been rapidly developed. Technique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wipers by detecting rain or snowing when driving a vehicle have also been developed. It is one.

기상 상태 또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차량의 윈드쉴드를 가리는 빗방울의 양 또한 변하기 때문에, 이에 맞추어 와이퍼의 동작 주기 또는 속도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기술의 자동화를 위해 빗방울의 양을 감지하는 레인센서를 이용하여 감지된 빗방울의 양에 따라 와이퍼의 동작(동작 주기, 속도 등)을 제어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Since the amount of raindrops covering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also changes depending on the weather condition or the speed of the vehicl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operation period or speed of the wipers accordingly. In order to automate such a technique, a rain sensor (Operation cycle, speed, etc.) of the wiper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raindrop sensed by using the wiper.

레인센서는 LED 등의 신호광을 윈드쉴드에 비스듬히 입사시키고, 반대쪽에 설치된 광센서(Light Detector)에서 이를 감지하는 광 방식 구조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빗방울이 있을 경우 반사율에 변화가 일어나 광센서에서 감지하는 광량에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이용한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윈드쉴드 표면에서 반사되는 반사광의 영향이 크므로 노이즈가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하여 이것이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며, 복잡한 구성의 광학계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In general, a light sensor is used in which a signal from a LED or the like is obliquely incident on a windshield, and a light sensor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detects the light sensor. This is a method using a change in the reflectance when there is a raindrop and a change in the amount of light sensed by the optical sensor.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noise is generated due to the influence of reflected light reflected from the windshield surface, which affects the accuracy and requires a complicated optical system.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카메라 등의 이미지 촬영 수단을 이용한 방식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는 촬영 수단이 윈드쉴드를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토대로 빗방울 유무 및 양을 감지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 또한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빗방울 양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계산의 대상이 되는 이미지 데이터량이 증가하고 복잡한 계산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존재하는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고 있는 실정이다.  In order to overcome such disadvantages, a method using an image capturing means such as a camera has been proposed, which is a method of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raindrops based on image information taken by a photographing means of a windshield. However, in order to cope with the amount of raindrops changing in real ti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mount of image data to be calculated increases and complicated calculation is required. Therefore,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solve this problem.

등록특허공보 제10-0660561호 (2006.12.15)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660561 (December 15, 2006)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06776호 (2012.09.26)Publish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2012-0106776 (September 26, 201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계산에 필요한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고 기존 기술 대비 간단한 계산을 통해 빗방울 양의 센싱이 가능한 레인 센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ain sensor capable of reducing the amount of data required for calculation and capable of sensing raindrops through simple calculations based on existing technologie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s disclosed. Other objects,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possible.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윈드쉴드의 이미지를 소정의 주기로 순차 획득하여 제1시점과 제2시점에서의 이미지를 차분한 차분 이미지를 순차 출력하는 이미지 센싱유닛과, 상기 이미지 센싱유닛에서 출력된 차분 이미지를 근거로 차량의 와이퍼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센싱유닛은, 수광 소자와, 상기 수광 소자의 각 픽셀에 연결되며 각 픽셀별로 출력치의 차분값을 출력하는 복수의 차동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인 센서를 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sensing apparatus comprising: an image sensing unit for successively acquiring images of a windshield of a vehicle at a predetermined cycle and successively outputting a difference image obtained by subtracting an image at a first viewpoint and a second viewpoint,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signal for operating a wiper of the vehicle on the basis of the difference image output from the light receiving element, wherein the image sensing unit comprises: a light receiving element; And a plurality of differential amplifiers that output a plurality of differential amplifiers.

본 발명의 차량용 레인 센서에 따르면, 상기 수광 소자는 상기 윈드쉴드의 표면에 초점이 포커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rai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can be configured to focus the focus on the surface of the windshield.

본 발명의 차량용 레인 센서에 따르면, 상기 수광 소자로서 광역역광보정(Wide Dynamic Range) 이미지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rai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de dynamic range image sensor can be used as the light receiving element.

본 발명의 차량용 레인 센서에 따르면, 상기 차동 증폭기는 각 픽셀에서 발생되는 전기 신호로부터 제2시점과 제1시점에서의 전압차에 대응하는 차분값을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ular rai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tial amplifier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 dif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time point and the first time point, from an electric signal generated in each pixel.

본 발명의 차량용 레인 센서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이미지 센싱유닛에서 출력되는 차분값의 개수를 근거로 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rai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can generate an output signal based on the number of difference values output from the image sensing unit.

본 발명의 차량용 레인 센서에 따르면, 상기 컨트롤러는 차분값이 출력되는 픽셀수를 전체 픽셀수로 나눈 값을 연산하여 별도의 저장 공간에 저장하고, 저장 공간에 저장된 저장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저장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다음 주기의 연산값과 누적 합산되도록 상기 저장 공간에 누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rain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calculate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number of pixels for outputting the difference value by the total number of pixels and stores the value in a separate storage space. If the stored valu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 output signal can be generated. If the stored value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controller may accumulate the accumulated value in the storage space so as to accumulate the calculated value in the next period.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차량용 레인센서와, 차량의 와이퍼를 왕복 이동시키는 와이퍼 구동기와, 상기 차량용 레인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와이퍼 구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와이퍼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차량의 와이퍼 구동 장치를 개시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le wiper drive apparatus including a vehicle rain sensor, a wiper driver for reciprocating a wiper of the vehicle, and a wiper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wiper driver in accordance with an output signal of the vehicle rain sensor .

본 발명의 차량의 와이퍼 구동 장치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레인센서는 차량의 상부 방향을 지향하도록 차량의 대시보드나 룸미러에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wiper driv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hicle rain sensor may be installed in a dashboard or a room mirror of the vehicle so as to direct the vehicle upward.

본 발명의 차량의 와이퍼 구동 장치에 따르면, 상기 차량용 레인센서의 출력신호는 펄스파 형태로 출력되며, 상기 와이퍼 컨트롤러는 1 펄스당 상기 와이퍼를 기설정된 횟수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상기 와이퍼 구동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vehicle wiper dr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put signal of the vehicle rain sensor is outputted in the form of a pulsed wave, and the wiper controller operates the wiper driver to reciprocate the wipe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per pulse .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순차 획득한 이미지 간의 차분 이미지를 빗방울 감지에 이용하며, 이러한 차분 이미지는 검출 대상(즉, 비, 눈, 이물질 등)이 아닌 이미지는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계산에 필요한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differential image between successively acquired images is used for raindrop detection, and since this differential image does not include an image other than a detection target (i.e., rain, snow, foreign matter, etc.) The amount of data required can be reduced.

또한, 이러한 작은 사이즈의 데이터를 이용한 간단한 계산만으로 빗방울 양에 대한 감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mount of raindrops can be obtained by simple calculation using such small-sized data.

또한, 레인센서의 이미지 센싱 유닛에 차동 증폭기를 적용하여 컨트롤러의 처리 없이 회로 구성만으로 차분 이미지를 얻을 수 있으므로, 컨트롤러의 계산 부하를 경감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since the differential amplifier is applied to the image sensing unit of the rain sensor, the difference image can be obtained only by the circuit configuration without the processing of the controller, thereby reducing the calculation load of the controller.

또한, 기존의 방식에서는 이미지 취득시 빗방울 이외의 배경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이에 대한 복잡한 처리가 필요하지만, 이미지 센싱 유닛의 수광 센서의 초점을 윈드쉴드 표면에 맞춤으로써, 빗방울의 모양을 정확하게 얻을 수 있으며, 초점에 어긋난 배경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처리 데이터에서 제외하기 용이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method, a complicated process is required because images other than raindrops are included in the image acquisition. However, by focusing the light receiving sensor of the image sensing unit on the surface of the windshield, the shape of the raindrop can be accurately obtained ,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ata on the out-of-focus background image can be easily excluded from the process data.

또한, 광역역광보정(Wide Dynamic Range) 기능이 적용된 이미지 센싱 유닛(100)을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노출 조정이 필요하지 않은 이점이 있다.Further, by using the image sensing unit 100 to which the wide dynamic range correction function is appli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no separate exposure adjustment is requir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와이퍼 구동 장치를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레인센서의 내부 구조의 일 예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레인센서의 설치 위치 및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차분 이미지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차분 이미지를 예시한 촬영 이미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이미지 센싱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도 5의 차동 증폭기 중 하나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와이퍼 구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9는 도 8의 출력 신호의 일 형태 및 그에 따른 와이퍼 구동 제어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iper drive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a rain senso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position and a form of a rain senso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cept of a differential imag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hotographed image illustrating a differential imag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sensing unit shown in Fig. 1; Fig.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one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s of Fig. 5; Fig.
8 is a flowchart showing a vehicle wiper driv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one example of an output signal of FIG. 8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wiper drive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레인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의 와이퍼 구동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vehicle rain sensor and a wiper driving apparatus for a vehicle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와이퍼 구동 장치를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iper driv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와이퍼 구동 장치는 차량용 레인센서(100), 와이퍼 구동기(300), 와이퍼 컨트롤러(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vehicle wiper driv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hicle rain sensor 100, a wiper driver 300, and a wiper controller 200.

차량용 레인센서(100)는 차량의 윈드쉴드(10)의 빗방울을 감지하여 와이퍼 구동을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와이퍼(30, 도 9 참조)는 차량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윈드쉴드(10) 표면의 빗방울, 눈, 이물질 등을 닦아낸다. The vehicle rain sensor 100 senses raindrops of the windshield 10 of the vehicle and outputs a signal for driving the wiper. The wiper 30 (see FIG. 9) is installed in the frame of the vehicle and wipes off raindrops, snow, foreign matter, and the like on the surface of the windshield 10.

차량용 레인센서(100)는 이미지 센싱유닛(110) 및 컨트롤러(120)를 포함한다. The vehicle rain sensor 100 includes an image sensing unit 110 and a controller 120. [

이미지 센싱유닛(110)은 차량의 윈드쉴드(10)의 이미지를 소정의 주기로 순차 획득하여, 제1시점과 제2시점에서의 이미지를 차분한 차분 이미지(차분 화상, 차분 영상)를 순차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이미지 센싱유닛(110)의 구성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image sensing unit 110 sequentially acquires the image of the windshield 10 of the vehicle at a predetermined cycle and sequentially outputs a difference image (differential image, differential imag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image at the first and second points of time .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sensing unit 11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컨트롤러(120)는 이미지 센싱유닛에서 출력된 차분 이미지를 근거로 차량의 와이퍼(30)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The controller 120 outputs a signal for operating the wiper 30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ifferential image output from the image sensing unit.

와이퍼 구동기(300)는 와이퍼(30)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기로서, 모터 및 동력전달 수단 등으로 구성 가능하다. 와이퍼(30) 및 와이퍼 구동기(300)는 공지의 구성을 따르며,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wiper driver 300 is a driver for reciprocating the wiper 30, and can be configured by a motor and a power transmission means. The wiper 30 and the wiper driver 300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their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와이퍼 컨트롤러(200)는 차량용 레인센서(100)의 출력 신호,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20)의 출력 신호에 따라 와이퍼 구동기(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와이퍼 컨트롤러(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와이퍼 구동기(300)는 와이퍼(30)의 동작 주기, 속도 등을 변화시키도록 동작한다. 와이퍼 컨트롤러(200)는 차량의 전자부품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차량 메인 컨트롤러와 별도의 구성을 가질 수도 있고, 차량 메인 컨트롤러에 그 기능이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The wiper controller 2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iper driver 300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 of the rain sensor 100 for the vehicle, specifically, the output signal of the controller 120. The wiper driver 300 operates to change an operation cycle, a speed, and the like of the wiper 3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wiper controller 200. The wiper controller 200 may have a configuration separate from the vehicle mai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s of the vehicle, and the function may be included in the vehicle main controller.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레인센서의 내부 구조의 일 예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용 레인센서의 설치 위치 및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rain senso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position and a shape of a rain senso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용 레인센서(100)는 이미지 센싱유닛(110), 컨트롤러(120) 등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101)을 포함한다. 하우징(101)의 내부에는 이미지 센싱유닛(110), 컨트롤러(120) 등의 전자 소자가 실장되는 회로기판(102)이 설치되며, 하우징(101)의 개구부에는 집광렌즈(103)가 이미지 센싱유닛(100)의 수광부와 마주하게 설치될 수 있다. 2, a vehicle rain sensor 100 includes a housing 101 for receiving an image sensing unit 110, a controller 120, and the like. A circuit board 102 on which electronic elements such as an image sensing unit 110 and a controller 120 are mounted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01 and a condenser lens 103 is mounted on an opening of the housing 101,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of the light source 100 may be installed.

도 3의 (a)를 참조하면, 차량용 레인센서(100)는 그 수광부가 차량의 상부 방향을 지향하도록 차량의 대시보드(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는 반대편 차량의 헤드 라이트 빛에 의한 영향이나 차량 주행에 따른 이미지 변화를 줄임으로써 보다 정확한 차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함이다. 태양 빛이나 도로 조명 등으로 인한 영향은 이미지 센싱 유닛(100)에 광역역광보정(Wide Dynamic Range)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윈드쉴드(10)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배경 이미지는 선명하지 않아 빗방울 등의 감지 물질과 비교하여 구별하기 용이하다.3 (a), the vehicle rain sensor 100 can be installed on the dashboard 10 of the vehicle so that the light receiving portion thereof is orient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vehicle. This is to obtain a more accurate differential image by reducing the influence of the headlight light of the opposite vehicle or the image change due to the driving of the vehicle. The influence of sunlight, road illumination, etc. can be compensated by applying a wide dynamic range function to the image sensing unit 100. Further, since the focus is on the windshield 10, the background image is not clear and it is easy to distinguish it from a sensing material such as a raindrop.

도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차량용 레인센서(100)를 대시보드(10) 뿐만 아니라 룸미러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에도 수광부를 상부 방향으로 지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the rain sensor 100 for a vehicle in the dummy board 10 as well as the room mirror. In such a case, the light sensor may be oriented in the upward direction.

한편 도 3의 (b)와 같이 차량용 레인센서(100)의 수광부가 수평방향(또는 수직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경사진 방향을 향해 지향하도록 레인센서(100)를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also possible to dispose the rain sensor 100 such that the light receiving portion of the rain sensor 100 for a vehicle is oriented in a direction inclin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or vertical direction) .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차분 이미지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the concept of a difference imag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의 하나의 사각형은 픽셀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에 따르면 9개(3×3)의 픽셀을 갖는 이미지 프레임을 예시하고 있다.One rectangle in Fig. 4 represents a pixel, which illustrates an image frame having nine (3 x 3) pixels.

이미지 센싱유닛(110)은 이미지를 소정의 주기로 순차 획득하며, 이러한 주기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예를 들어 1초당 하나의 이미지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획득하도록 설정 가능하다.The image sensing unit 110 sequentially acquires images in a predetermined cycle, and this cycle is arbitrarily settabl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set to sequentially acquire one image frame per second.

도 4는 제1시점에서의 이미지(F1)과 한 주기 이후의 제2시점에서의 이미지(F2)를 각각 예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제2시점의 이미지(F2)와 제1시점의 이미지(F1)와 비교하였을 때 하나의 픽셀에 변화가 발생한 것이 예시되어 있다.4 illustrates an image F1 at a first time point and an image F2 at a second time point after one cycle, respectively. According to this, it is exemplified that a change occurs in one pixel when compared with the image F2 at the second time point and the image F1 at the first time point.

이미지 센싱유닛(110)은 제1시점의 이미지(F1)과 제2시점에서의 이미지(F2)를 차분한 차분 이미지(F2-F1)를 출력한다. 도 4에 따르면 화소 데이터에 변화가 발생한 픽셀만이 차분 이미지(F2-F1)에 남아 있게 되며,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픽셀은 차분 이미지(F2-F1)에 표시되지 않는다. 즉, 변화가 발생하지 않은 픽셀과 관련된 데이터들은 차분 처리 과정에서 제거되는 것이며, 이미지 센싱 유닛(110)에서 컨트롤러(120)로 전달되는 데이터량을 그만큼 줄일 수 있게 된다. The image sensing unit 110 outputs a difference image F2-F1 obtained by subtracting the image F1 at the first time point and the image F2 at the second time point. According to Fig. 4, only the pixel in which the pixel data has changed remains in the difference image F2-F1, and the pixel in which the change has not occurred is not displayed in the difference image F2-F1. That is, the data related to the pixels that have not changed are removed in the differential processing, and the amount of data transferred from the image sensing unit 110 to the controller 120 can be reduced accordingly.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차분 이미지를 예시한 촬영 이미지이다.5 is a photograph image illustrating a difference imag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이미지 센싱유닛(110)이 제1시점에서 실제 촬영한 이미지(F1)와, 그 다음 주기의 제2시점에서 실제 촬영한 이미지(F2) 및 제1 및 제2시점의 이미지를 차분한 차분 이미지(F2-F1)를 나타내고 있다. 촬영 이미지는 제2시점에서 이물이 추가된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앞선 설명과 같이 차분 이미지(F2-F1)에서 변화가 발생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배경 건물)이 제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FIG. 5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image sensing unit 110 cal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image F1 actually photographed at the first time point, the image F2 actually photographed at the second time point of the next cycle and the image of the first and second time points, Image F2-F1. The photographed image indicates that the foreign object has been added at the second time point,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emaining portion (background building) excluding the portion where the change has occurred in the difference image F2-F1 is removed as described above.

이미지 센싱유닛(110)은 상기와 같은 차분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즉, 이미지 센싱유닛(110)은 제1, 2, 3, 4, … 시점의 이미지(F1, F2, F3, F4, …)를 순차 획득하여, 각 시점 사이의 차분 이미지들(F2-F1, F3-F2, F4-F3, …)를 순차 출력한다.The image sensing unit 110 sequentially outputs the differential image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image sensing unit 110 includes first, second, third, fourth, ... Sequentially obtain differential images F2-F1, F3-F2, F4-F3, ... between the respective viewpoints by successively acquiring images F1, F2, F3, F4,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이미지 센싱 유닛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도 5의 차동 증폭기 중 하나의 구성 및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Fig. 6 is a schematic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mage sensing unit shown in Fig. 1, and Fig.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one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s of Fig.

도 6과 같이, 이미지 센싱유닛(110)은 수광 소자(111) 및 이와 연결된 복수의 차동 증폭기(112)를 포함한다.6, the image sensing unit 110 includes a light receiving element 111 and a plurality of differential amplifiers 112 connected thereto.

수광 소자(111)는 빛을 수광하여 윈드쉴드(30)의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전기 소자이며, CCD(Charge Coupled Device),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소자(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수광 소자(111)로서 광역역광보정(Wide Dynamic Range) 기능을 갖는 이미지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야간 또는 강한 빛의 입광시 등 환경 변화에 대한 견고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light receiving element 111 is an electric element that receives light and converts the image of the windshield 30 into an electric signal and is used as an element such as a CCD (Charge Coupled Device) or a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 As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11, an image sensor having a wide dynamic range function may be used. This makes it possible to improve the robustness against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nighttime or strong light incidence.

수광 소자(111)는 윈드쉴드(10)의 표면에 초점이 포커싱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통해 윈드쉴드(10) 표면의 빗방울의 모양을 정확하게 얻을 수 있으며, 초점에 어긋난 배경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를 처리 데이터에서 용이하게 제외할 수 있다.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11 is configured to focus the focus on the surface of the windshield 10. Accordingly, the shape of the raindrop on the surface of the windshield 10 can be accurately obtained, and the data on the background image deviated from the focus can be easily excluded from the processed data.

차동 증폭기(112)는 수광 소자(110)의 각 픽셀, 구체적으로 각 픽셀의 포토다이오드(PD)에 연결되며, 각 차동 증폭기(112)는 각 픽셀별로 전기신호의 출력치(예를 들면, 전압값)의 차분값을 출력한다. 참고로 도 6은 9개(3×3)의 픽셀을 갖는 수광 소자(111)를 예시하고 있으며, 그와 동일한 개수인 9개의 차동 증폭기(112)가 구비된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The differential amplifier 112 is connected to each pixel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110, specifically, the photodiode PD of each pixel, and each differential amplifier 112 outputs an output value of the electric signal (for example, Value). For reference, FIG. 6 illustrates a light receiving device 111 having nine (3 × 3) pixels, and illustrates a configuration including nine differential amplifiers 112 of the same number.

도 7을 참조하면, 차동 증폭기(112)의 하나의 입력단에 해당 픽셀의 제1시점에서의 전기 신호가 입력되고, 다른 하나의 입력단에 해당 픽셀의 제2시점에서의 전기 신호가 입력된다. 차동 증폭기(112)의 출력단에서는 제2시점과 제1시점에서의 전기 신호의 출력치의 차분값, 예를 들어 전압차에 대응하는 차분값이 출력되게 된다. 그리고 각 차동 증폭기(112)의 출력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을 조합하여 차분 이미지를 획득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7, an electric signal at a first time point of the pixel is input to one input terminal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112, and an electric signal at a second time point of the pixel is input to the other input terminal.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output values of the electric signals at the second time point and the first time point, for example, the dif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the voltage difference, is outputted at the output terminal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 112. [ The signals output from the output terminals of the differential amplifiers 112 are combined to obtain a differential image.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와이퍼 구동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ehicle wiper driv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이미지 센싱유닛(110)은 제1시점의 이미지(F1)와 제2시점의 이미지(F2)를 순차적으로 획득한다(S11, S12). 그리고 제1시점과 제2시점에서의 이미지를 차분한 차분 이미지(F2-F1)을 출력한다(S20).Referring to FIG. 8, the image sensing unit 110 sequentially acquires the image F1 of the first viewpoint and the image F2 of the second viewpoint S11 and S12. The difference image (F2-F1) obtained by subtracting the image at the first and second points is outputted (S20).

컨트롤러(120)는 이미지 센싱유닛(110)에서 출력되는 차분값의 개수를 근거로 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20 may generate an output signal based on the number of differential values output from the image sensing unit 110. [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20)는 차분값이 출력되는 픽셀수를 전체 픽셀수로 나눈 값을 연산한다(S30). 그리고 이러한 연산값을 별도의 저장 공간(예를 들어, 메모리 등의 기억수단)에 저장한다(S40).Specifically, the controller 120 calculate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number of pixels for which the difference value is output by the total number of pixels (S30). The calculated values are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space (for example, storage means such as a memory) (S40).

다음으로 컨트롤러(120)는 저장 공간에 저장된 저장값과 기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한다(S50). 그 결과 저장 공간에 저장된 저장값이 기설정된 임계값(예를 들어, 30%) 이상이면 출력신호를 생성한다(S60). 즉, 전체 수광 영역 중 변화한 영역이 일정 비율 이상인 경우, 이것을 빗방울이 윈드쉴드(10)의 전체 영역 중 일정 비율 이상으로 가리는 것으로 판단하여, 와이퍼(30)를 동작시키는 신호를 발생하게 하는 것이다.Next, the controller 120 compares the stored valu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S50). As a result, if the storage valu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for example, 30%), an output signal is generated (S60). That is, when the changed area of the entire light receiving area is equal to or larger than a predetermined ratio, it is determined that the raindrop covers the entire area of the windshield 10 at a predetermined ratio or more, thereby generating a signal for operating the wiper 30.

컨트롤러(120)는 저장값과 임계값의 비교 결과 저장값이 임계값보다 작으면 저장값이 다음 주기의 연산값과 누적 합산되도록 저장값을 저장 공간에 누적시킨다(S70). 이러한 경우 저장공간에 누적 합산된 저장값은 임계값 이상이 될 때까지 누적 합산되어 갱신된다. 컨트롤러(120)는 누적 합산된 저장값이 임계값 이상이 되는 경우 출력신호를 생성한다. The controller 120 accumulates the stored value in the storage space so that the stored value is cumulatively added to the calculated value in the next cycle if the stored value of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stored value and the threshold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S70). In this case, the accumulated values accumulated in the storage space are cumulatively added and updated until the value exceeds the threshold value. The controller 120 generates an output signal when the cumulatively accumulated value becomes equal to or greater than a threshold value.

도 9는 도 8의 출력 신호의 일 형태 및 그에 따른 와이퍼 구동 제어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form of the output signal of FIG. 8 and a wiper drive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와 같이, 차량용 레인센서(100)의 출력신호는 펄스파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도 9의 (a)는 비가 적게 오는 경우를 나타내고, (b)는 비가 많이 오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As shown in Fig. 9, the output signal of the rain sensor 100 for a vehicle may be output in a pulsed wave form. FIG. 9A shows the case where the rain is low, and FIG. 9B shows the case where the rain is heavy.

도 9의 (a)와 같이 비가 적게 오는 경우, 차량용 레인센서(100)의 컨트롤러(120)는 누적합산된 저장값이 임계값 이상이 되는 경우에만 펄스 신호를 발생시키며, 비가 적게 오는 경우 신호 발생 주기가 상대적으로 긴 것을 보이고 있다. 9 (a), the controller 120 of the rain sensor 100 for a vehicle generates a pulse signal only when the cumulative accumulated value become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and when the ratio is low, And the cycle is relatively long.

와이퍼 컨트롤러(200)는 1 펄스당 와이퍼(30)를 기설정된 횟수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와이퍼 구동기(3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9는 1 펄스당 와이퍼(30)를 1회 왕복시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르면 누적 합산된 저장값이 임계값 이상이 될 때마다 와이퍼(30)가 1회 왕복 이동하게 된다.The wiper controller 200 may operate the wiper driver 300 to reciprocate the wiper 30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per pulse. 9 shows that the wiper 30 is reciprocated once per pulse. The wiper 30 reciprocates once every accumulated cumulative stored value exceeds the threshold value.

도 9의 (b)와 같이 비가 많이 오는 경우, 획득한 차분 이미지마다 그 연산값이 임계값 이상이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차분 이미지의 획득 주기마다 출력 신호가 생성되게 된다. 이 경우가 와이퍼(30)의 최소 동작 주기가 되며, 와이퍼(30)가 가장 빈번하게 왕복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In the case of a large amount of rain as shown in FIG. 9 (b), there may occur a case where the computed value of each obtained differential image becomes equal to or larger than a threshold value. In this case, an output signal is generated every acquisition period of the differential image. This case is the minimum operation period of the wiper 30, and the wiper 30 most frequently reciprocates.

이와 같이 출력 펄스 신호의 횟수에 따라 와이퍼(30)의 동작 횟수 또는 주기를 제어하는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간단한 제어 로직을 통해 비가 내리는 양에 따른 와이퍼 동작의 자동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By applying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number of operations or the cycle of the wiper 30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output pulse signals,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wiper opera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rain through simple control logic.

이상에서 설명한 차량용 레인센서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의 와이퍼 구동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vehicle rain sensor and the wiper drive apparatus for a vehicle having the sam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the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윈드쉴드 20: 대시보드
30: 와이퍼 100: 차량용 레인센서
110: 이미지 센싱유닛 111: 수광 소자
112: 차동 증폭기 120: 컨트롤러
200: 와이퍼 컨트롤러 300: 와이퍼 구동기
10: Windshield 20: Dashboard
30: Wiper 100: Rain sensor for vehicle
110: Image sensing unit 111: Light receiving element
112: differential amplifier 120: controller
200: Wiper controller 300: Wiper driver

Claims (10)

차량의 윈드쉴드의 이미지를 소정의 주기로 순차 획득하여, 제1시점과 제2시점에서의 이미지를 차분한 차분 이미지를 순차 출력하는 이미지 센싱유닛; 및
상기 이미지 센싱유닛에서 출력된 차분 이미지를 근거로 차량의 와이퍼를 동작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센싱유닛은,
수광 소자; 및
상기 수광 소자의 각 픽셀에 연결되며, 각 픽셀별로 출력치의 차분값을 출력하는 복수의 차동 증폭기를 포함하며,
상기 차동 증폭기는 각 픽셀에서 발생되는 전기 신호로부터 제2시점과 제1시점에서의 전압차에 대응하는 차분값을 출력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이미지 센싱유닛에서 출력되는 차분값의 개수를 근거로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인 센서.
An image sensing unit sequentially acquiring images of a windshield of a vehicle at predetermined periods and sequentially outputting a difference imag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images at the first and second points of time; And
And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signal for operating a wiper of the vehicle based on the differential image output from the image sensing unit,
The image sensing unit includes:
Receiving element; And
And a plurality of differential amplifiers connected to each pixel of the light receiving element and outputting a difference value of an output value for each pixel,
Where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outputs a difference value corresponding to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second point and the first point, from the electric signal generated in each pixel,
Wherein the controller generates an output signal based on the number of difference values output from the image sens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 소자는 상기 윈드쉴드의 표면에 초점이 포커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인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is configured to focus the focus on the surface of the windshie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 소자는 광역역광보정(Wide Dynamic Range) 이미지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인 센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ight receiving element is a wide dynamic range image sensor.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차분값이 출력되는 픽셀수를 전체 픽셀수로 나눈 값을 연산하여 별도의 저장 공간에 저장하고, 저장 공간에 저장된 저장값이 기설정된 임계값 이상이면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인 센서.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number of pixels in which the difference value is output by the total number of pixels is calculated and stored in a separate storage space and an output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stored valu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value.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저장값이 상기 임계값보다 작으면 다음 주기의 연산값과 누적 합산되도록 상기 저장 공간에 누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레인 센서.
7. The apparatus of claim 6,
If the stored value is smaller than the threshold value, accumulates the accumulated value in the storage space so as to be cumulatively added to the calculated value of the next period.
제1항을 따르는 차량용 레인센서;
차량의 와이퍼를 왕복 이동시키는 와이퍼 구동기; 및
상기 차량용 레인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와이퍼 구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와이퍼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차량의 와이퍼 구동 장치.
A vehicular rain sensor according to claim 1;
A wiper driver for reciprocating the wiper of the vehicle; And
And a wiper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of the wiper driver in accordance with an output signal of the vehicle rain senso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레인센서는 차량의 상부 방향을 지향하도록 차량의 대시보드 또는 룸미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와이퍼 구동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vehicle rain sensor is installed on a dashboard or a room mirror of the vehicle so as to be directed in an upper direction of the vehic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레인센서의 출력신호는 펄스파 형태로 출력되며,
상기 와이퍼 컨트롤러는 1 펄스당 상기 와이퍼를 기설정된 횟수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상기 와이퍼 구동기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와이퍼 구동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output signal of the vehicle rain sensor is output in the form of a pulse wave,
Wherein the wiper controller operates the wiper driver to reciprocate the wipe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per pulse.
KR1020160135601A 2016-10-19 2016-10-19 Vehicle rain sensor and vehicle wiper driving device Active KR10174653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601A KR101746531B1 (en) 2016-10-19 2016-10-19 Vehicle rain sensor and vehicle wiper driving device
PCT/KR2017/007751 WO2018074707A1 (en) 2016-10-19 2017-07-19 Rain sensor for vehicle and windshield wiper driving device of vehicle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601A KR101746531B1 (en) 2016-10-19 2016-10-19 Vehicle rain sensor and vehicle wiper driv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6531B1 true KR101746531B1 (en) 2017-06-14

Family

ID=59217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601A Active KR101746531B1 (en) 2016-10-19 2016-10-19 Vehicle rain sensor and vehicle wiper driving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6531B1 (en)
WO (1) WO2018074707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59344A (en) * 2020-04-21 2020-08-21 汉腾汽车有限公司 Automatic windscreen wiper system based on image recognition
CN114670787B (en) * 2022-03-07 2023-10-20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Control method of vehicle and windscreen wiper and related equip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6201A (en) * 2000-01-28 2001-07-31 Nissan Shatai Co Ltd Raindrop detecting device for vehicle
JP2005504963A (en) * 2001-10-04 2005-02-17 ジェンテ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Moisture sensor using stereo image formation by image sensor
JP2006292543A (en) 2005-04-11 2006-10-26 Denso Corp Rainfall sensor
JP2013031053A (en) 2011-07-29 2013-02-07 Ricoh Co Ltd Image pickup device and object detection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and optical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3027A (en) * 1997-09-16 1999-07-13 Gentex Corporation Moisture sensor and windshield fog detector using an image sensor
DE102009000003A1 (en) * 2009-01-02 2010-07-08 Robert Bosch Gmbh Camera arrangement for detecting a wheel condition of a vehicle window
CN104080663B (en) * 2012-08-06 2017-06-20 康蒂特米克微电子有限公司 Apparatus for recognizing rainfall and method for recognizing rainfall using camer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6201A (en) * 2000-01-28 2001-07-31 Nissan Shatai Co Ltd Raindrop detecting device for vehicle
JP2005504963A (en) * 2001-10-04 2005-02-17 ジェンテ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Moisture sensor using stereo image formation by image sensor
JP2006292543A (en) 2005-04-11 2006-10-26 Denso Corp Rainfall sensor
JP2013031053A (en) 2011-07-29 2013-02-07 Ricoh Co Ltd Image pickup device and object detection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and optical filt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74707A1 (en) 201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72322C (en) front camera
US7646889B2 (en) Rain sensor
US11676394B2 (en) Processing device for conversion of images
JP4248558B2 (en) Road marking line detection device
JP4262072B2 (en) Auxiliary equipment control equipment for automobiles
JP6390512B2 (en) In-vehicle camera device
KR20200112854A (en) Solid-state imaging device, imag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solid-state imaging device
CN110121659B (en) System for characterizing the surroundings of a vehicle
KR20150038032A (en) Stereo gated imaging system and method
EP2856207A1 (en) Gated imaging using an adaptive depth of field
CN112740659A (en) Solid-state imaging element and imaging device
KR20090067230A (en) Camera Control Method for Vehicle Number Recognition
JP4798945B2 (en) Imaging device
EP2109061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vehicle
JP2009157085A (en) Exposure controller and exposure control program
CN113646660A (en) Distance measuring device
KR101746531B1 (en) Vehicle rain sensor and vehicle wiper driving device
JP2007293672A (en) VEHICL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DIRTY OF VEHICLE PHOTOGRAPHING APPARATUS
JP2019102888A (en) Camera module
US6979808B2 (en) Autofocus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20220224824A1 (en) Vehicular camera with focus drift mitigation system
JP6759460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JP6003396B2 (en) Imaging device, in-vehicle monitoring device, and object detection method
JP4247547B2 (en) Exposure amoun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camera
KR101750419B1 (en) Integated sensor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6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