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5097B1 - Connector assembly - Google Patents
Connector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5097B1 KR101745097B1 KR1020150083327A KR20150083327A KR101745097B1 KR 101745097 B1 KR101745097 B1 KR 101745097B1 KR 1020150083327 A KR1020150083327 A KR 1020150083327A KR 20150083327 A KR20150083327 A KR 20150083327A KR 101745097 B1 KR101745097 B1 KR 1017450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r
- protrusion
- locking
- housing
- connec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 신뢰성과 결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로 구성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된 외팔보 형태의 체결 레버와, 상기 제1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체결 레버의 탄성 변형을 허용 또는 제한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잠금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잠금수단은,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슬라이더의 하면에 형성된 걸림돌기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체결 레버의 탄성 변형을 허용 또는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고정돌기에 걸릴 경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이 제한된다. 즉,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체결 레버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위치에서 고정되거나 상기 체결 레버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는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ssembly capable of preventing arbitrary disconnection of a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in a combined state, and improving assembly reliability and coupling reliability. The structure of the connector is composed of a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The plug connector includes a first housing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a cantilever-shaped locking lever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movably installed in the first housing to elastically deform the locking lever A first slider for limiting or permitting movement of the slider, and a first locking means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slider. At this time, the first locking means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er. The movement of the slider is restricted when the locking protrusion is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during the movement of the slider in order to allow or restrict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locking lever. That is, the slider may be fixed at a position that allows elastic deformation of the lock lever, or may be fixed at a position that limits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lock lev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 위치 확정 구조가 적용된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 신뢰성과 결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assembly to which a connector position determining structure is applied, more specifically, to a connector assembly capable of preventing arbitrary disconnection of a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in a combined state, .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기기의 내부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부품이다. 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된 커넥터를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라 하고, 기기의 패널에 설치된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라 한다.Generally, a connector is an electrical component that electrically connects a power source and an apparatus, an apparatus and an apparatus, and an internal unit of the apparatus. The connector provided at the end of the cable is referred to as a plug connector, and the connector provided on the panel of the apparatus is referred to as a receptacle connector.
리셉터클 커넥터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커넥터의 결합 시 플러그 커넥터가 수용공간에 삽입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내부에는 전류 및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핀(pin) 단자 또는 소켓(socket) 단자가 마련된다.A receptacle space is formed in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when the connector is engaged. In addition, a pin terminal or a socket terminal is provided inside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for transmitting a current and a signal.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는 전기적 연결과 기계적 결합을 통해 전류 및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종래의 커넥터에는 기계적 결합을 위하여 다양한 결합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을 강화함과 동시에 정합 여부를 작업자에게 알릴 수 있는 커넥터 위치 확정 구조(Connector Position Assurance; CPA) 구조가 적용되기도 한다.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can carry electrical signals and signals through electrical and mechanical coupling. Various coupling structures are applied to conventional connectors for mechanical coupling. In recent years,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CPA) structure, in which the coupling between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is enhanced and the operator is informed of the matching, may be applied.
위치 확정 구조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 시 청각적 신호 또는/및 촉각적 신호를 통해 작업자가 정합 여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커넥터의 정합 시 청각적 신호 또는/및 촉각적 신호를 발생시키되 부정합 시 청각적 신호 또는/및 촉각적 신호를 생략함으로써 작업자가 정합 또는 부정합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position determining structure allows the operator to recognize whether the plug is matched through an audible signal and / or a tactile signal when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are coupled. For example, an acoustic signal and / or a tactile signal may be generated at the time of connector matching, but an acoustic signal and / or a tactile signal may be omitted at mismatch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recognize matching or mismatching.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064995호(2010.06.15.)에는 탄성부재와 지지부재로 구성된 위치 확정 부재를 구비한 커넥터 결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0-0064995 (June 15, 2010) discloses a connector coupling device having a positioning member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and a support member.
커넥터 결합장치를 살펴보면, 암커넥터(20)의 결합부(220)에 설치된 탄성부재(230)와, 탄성부재(23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40)로 구성되고, 수커넥터(10)와 암커넥터(20)의 결합 시 탄성부재(230)의 일부가 가이드구멍(211)에 삽입되어 커넥터(10,20)를 고정한다.The connector coupling device includes an
그런데 종래의 커넥터 결합장치가 구비된 커넥터(10,20)를 분리할 경우 탄성부재(23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40)를 먼저 제거해야 하는데, 핀셋 등과 같은 뾰족한 도구를 사용해야만 지지부재(240)의 제거가 가능하므로 작업이 매우 복잡하다. 또한, 커넥터(10,20)를 결합 또는 분리 시 탄성부재(230)와 지지부재(240)를 결합부(220)에 설치하거나 제거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탄성부재(230)와 지지부재(240)를 분실할 우려가 있다.
However, when separating the connectors 10 and 20 provided with the conventional connector coupling device, the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조립 신뢰성과 결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assembly capable of preventing arbitrary disconnection of a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로 구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된 외팔보 형태의 체결 레버와, 상기 제1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체결 레버의 탄성 변형을 허용 또는 제한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잠금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잠금수단은,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슬라이더의 하면에 형성된 걸림돌기로 구성된다.The plug connector includes a first housing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a cantilever-shaped locking lever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movably installed in the first housing to elastically deform the locking lever A first slider for limiting or permitting movement of the slider, and a first locking means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slider. At this time, the first locking means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lider.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체결 레버의 탄성 변형을 허용 또는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고정돌기에 걸릴 경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이 제한된다. 즉,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체결 레버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위치에서 고정되거나 상기 체결 레버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는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다.The movement of the slider is restricted when the locking protrusion is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during the movement of the slider in order to allow or restrict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locking lever. That is, the slider may be fixed at a position that allows elastic deformation of the lock lever, or may be fixed at a position that limits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lock lever.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잠금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에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와의 결합을 안내하는 제1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일의 벽면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에는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돌기가 형성된다.Meanwhile,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second locking means for restricting movement of the slider. That is, a first rail for guiding engagement with the receptacle connecto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 guide groov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slider is formed on a wall surface of the first rail, A guide protrusion moving along the guide groove is formed.
상기 제2잠금수단은, 상기 안내홈에 형성된 멈춤돌기와,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에 형성된 잠금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멈춤돌기에 걸릴 경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한다.
The second locking means includes a detent protrusion formed in the guide groove and a lock protrusion formed on a front end of the slider. When the locking protrusion is caught by the detent protrusion during the movement of the slider, do.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 시 체결 레버의 탄성에 의해 결합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플러그 커넥터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체결 레버가 탄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슬라이더는 제1잠금수단 및 제2잠금수단에 의해 체결 레버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는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으므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engagement state is maintained by the elasticity of the lock lever when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are engage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lamping lever from being elastically deformed by moving the slider movably installed in the plug connector. Particularly, since the slider can be fixed at the position where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lock lever is restricted by the first locking means and the second locking means,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더를 사용하여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 시 요구되는 삽입력을 저하시킬 수 있고,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조립 신뢰성과 결합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lower the insertion force required when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are coupled using the slider, maintain the state of engagement between the plug connector and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improve the assembling reliability and the coupling relia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가 분해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 중 잠금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isassembled state;
4 illustrates a locking means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7 are views showing a coupling process of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어셈블리(100,200)는, 플러그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100)가 삽입되는 리셉터클 커넥터(200)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구조에 대한 이해가 쉽도록 리셉터클 커넥터(200)가 위치된 방향(도면상 좌측)을 전방이라 하고, 플러그 커넥터(100)가 위치된 방향(도면상 우측)을 후방이라 하겠다.1 and 2, a
플러그 커넥터(100)는 리셉터클 커넥터(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하우징(110)을 포함하고, 리셉터클 커넥터(200)는 제1하우징(110)을 수용하는 제2하우징(210)을 포함한다. 이때,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커넥터(100,200)의 결합 시 연결되어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소켓 단자(120)와 핀 단자(220)가 각각 설치된다.The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210)에는 커넥터(100,200)의 결합방향을 안내하는 레일(130, 230)이 형성된다. 제1하우징(110)의 상면에는 체결 레버(140)가 마련되고, 체결 레버(140)의 양측에는 제1레일(132)이 형성되며, 제1레일(132)의 외측에는 제3레일(134)이 각각 형성된다. 제2하우징(210)의 천장에는 좌우로 이격되며 평행하게 배치된 제2레일(232)이 형성되고, 제2레일(232)의 외측에는 제4레일(234)이 각각 형성된다. 커넥터(100,200)의 결합 시 제2레일(232)은 체결 레버(140)와 제1레일(132) 사이로 삽입되고, 제4레일(234)은 제1레일(132)과 제3레일(134) 사이로 삽입된다.
체결 레버(140)는 커넥터(100,200)의 결합 시 정합 여부의 확인을 위한 것임과 동시에 결합된 커넥터(100,2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체결 레버(140)는 전단이 제1하우징(110)의 상면에 고정되고 후단에 자유단인 외팔보 형태, 즉 탄성 변형이 가능한 외팔보 형태를 갖는다. 체결 레버(140)의 후단에는 커넥터(100,200)의 분리를 위한 파지부(144)가 형성되고, 파지부(144)의 하면에는 체결 레버(140)의 고정블록(158)이 삽입되는 고정홈(146)이 형성된다.The
체결 레버(140)는 커넥터(100,200)의 결합과정과 분리과정에서 변형과 복원을 반복하며 커넥터(100,200)를 고정시키거나 고정 해제시킨다. 예를 들어, 커넥터(100,200)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체결돌기(142)가 제2하우징(210)에 접촉될 경우 변형되었다가, 커넥터(100,200)가 완전하게 결합되어 체결돌기(142)가 체결공(240)에 삽입되면 복원(탄성에 의한 복원)된다. 또한, 커넥터(100,200)를 분리하기 위해 파지부(144)를 가압하면 체결돌기(142)가 체결공(240)에서 이탈되도록 변형된다.The
한편, 체결 레버(140)는 커넥터(100,200)의 결합과정 중 복원되는 단계에서 제2하우징(210)과 접촉하여 타격음을 발생시킨다. 이 타격음은 커넥터(100,200)가 완전하게 결합되었음을 알려주는 청각적 신호(정합 신호)로서, 작업자는 타격음을 통해 커넥터(100,200)의 정합 여부를 인지하게 된다.Meanwhile, the
다른 한편, 체결돌기(142)는 제1하우징(110)과 제2하우징(210)의 결합 시 체결공(240)에 삽입되어 커넥터(100,2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 레버(140)의 변형을 허용 또는 제한함으로써 의도되지 않은 외력에 의해 커넥터(100,2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0)는 슬라이더(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더(150)는, 제1하우징(110)의 상면에 접촉되는 수평부재(152)와, 수평부재(152)의 양측에 평행하게 배치된 보조부재(154)와, 수평부재(152) 및 보조부재(154)의 후단에 형성된 수직부재(15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수평부재(152)와 수직부재(156) 사이에는 체결 레버(140)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는 고정블록(158)이 형성되고, 보조부재(154)의 측면에는 슬라이더(15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159)가 형성된다.To this end, the
상술한 슬라이더(150)는 체결 레버(140)의 후방에 위치되되 제1하우징(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제1하우징(110)의 상면에 형성된 제1레일(132)의 내측면에는 슬라이더(15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136)이 형성되고, 슬라이더(150)의 안내돌기(159)가 안내홈(136)에 삽입되도록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15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고정블록(158)이 고정홈(146)에 삽입되어 체결 레버(140)가 탄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반면, 슬라이더(15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고정블록(158)이 고정홈(146)에서 이탈하여 체결 레버(140)가 탄성 변형되는 것을 허용한다.The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0)는, 슬라이더(150)가 임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커넥터(100,200)의 결합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1잠금수단(160)과 제2잠금수단(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2 및 도 4 참조).The
제1잠금수단(160)은, 슬라이더(150)의 하면에 형성된 걸림돌기(162a,162b)와, 제1하우징(110)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돌기(164a,164b)로 구성된다. 또한, 제2잠금수단(170)은, 안내홈(136)에 형성된 멈춤돌기(172)와, 슬라이더(150)의 보조부재(154) 전단 측면에 형성된 잠금돌기(174)와, 슬라이더(150)의 보조부재(154) 전단 상면에 형성된 제1가압돌기(176)와, 제2하우징(210)의 제2레일(232)의 후단에 형성된 제2가압돌기(도 3의 178)로 구성된다.The first locking means 160 includes locking
슬라이더(150)의 하면(수평부재(152)의 하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우로 이격된 제1안착홈(166a)과 제2안착홈(166b)이 형성된다. 제1안착홈(166a)의 전단에는 제1걸림돌기(162a)가 형성되고, 제2안착홈(166b)의 중단에는 제2걸림돌기(162b)가 형성된다. 제1걸림돌기(162a)는 전면과 후면이 경사면인 이등변삼각형 블록 형상이고, 제2걸림돌기(162b)는 전면이 경사면이고 후면은 수직면인 직각삼각형 블록 형상을 갖는다.A
고정돌기(164a,164b)는 슬라이더(150)의 설치 시 제1안착홈(166a)과 제2안착홈(166b)에 각각 삽입되는 제1고정돌기(164a)와 제2고정돌기(164b)로 구성되되, 제1고정돌기(164a)가 제2고정돌기(164b)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이때, 제1고정돌기(164a)와 제2고정돌기(164b)는 전면이 수직면이고 후면은 경사면인 직각삼각형 블록 형상, 즉 제2걸림돌기(162b)와 대응되는 직각삼각형 블록 형상을 갖는다.The fixing
멈춤돌기(172)는 전면이 경사면이고 후면은 수직면인 직각삼각형 블록 형상이고, 잠금돌기(174)는 멈춤돌기(172)와 대응되는 직각삼각형 블록 형상(전면이 수직면이고 후면은 경사면인 직각삼각형 블록 형상)이다. 또한, 제1가압돌기(176)와 제2가압돌기(178)는 서로 대응되는 이등변삼각형 블록 형상이다.The locking
상술한 구성의 제1잠금수단(160)은 슬라이더(150)의 이동을 제한하여 체결 레버(140)에 의한 결합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더(150)가 후방에 위치된 경우, 제1고정돌기(164a)와 제2고정돌기(164b) 사이에 제1걸림돌기(162a)와 제2걸림돌기(162b)가 위치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1걸림돌기(162a)는 제1고정돌기(164a)의 후방에 위치되고, 제2걸림돌기(162b)는 제2고정돌기(164b)의 전방에 위치된다. 이때, 제2걸림돌기(162b)와 제2고정돌기(164b)는 수직면끼리 접촉된 상태이므로 슬라이더(150)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 반면, 제1걸림돌기(162a)와 제1고정돌기(164a)는 경사면끼리 접촉된 상태이므로 슬라이더(15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지만, 제2잠금수단(170)의 멈춤돌기(172)와 잠금돌기(174)가 수직면끼리 접촉된 상태이므로 슬라이더(15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없다.The first locking means 160 of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restricts the movement of the
반면, 커넥터(100,200)를 결합시켜 제1하우징(110)이 제2하우징(210)의 내부로 삽입되면, 제1가압돌기(176)가 제2가압돌기(178)와 접촉하여 보조부재(154)를 변형시킨다. 따라서 멈춤돌기(172)에 의해 고정되었던 잠금돌기(174)가 이탈하며 슬라이더(150)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한다. 이 상태에서 슬라이더(150)를 가압하면(전방으로 밀면) 멈춤돌기(172)에 의한 간섭 없이 슬라이더(15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걸림돌기(162a)와 제1고정돌기(164a)는 경사면끼리 접촉된 상태이므로 작동저항 없이 슬라이더(150)를 이동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도 7은 플러그 커넥터(100)와 리셉터클 커넥터(200)가 완전하게 결합된 상태이고, 슬라이더(15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체결 레버(140)의 변형을 제한한 상태이다. 또한, 슬라이더(150)가 제1잠금수단(160) 및 제2잠금수단(170)에 의해 이동이 제한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00)를 후방으로 당기더라도 커넥터(100,200)가 분리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슬라이더(150)가 체결 레버(140)의 변형을 방지하므로 의도하지 않은 외력이 슬라이더(150)에 인가되더라도 커넥터(100,200)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7 shows a state in which the
한편, 커넥터(100,20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슬라이더(150)를 먼저 이동시켜야 한다. 즉,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으로 슬라이더(150)를 가압하면(후방으로 당기면) 보조부재(154)가 변형되며 슬라이더(150)의 이동을 허용한다. 이때, 멈춤돌기(172)와 잠금돌기(174)는 경사면끼리 접촉된 상태이므로 슬라이더(150)에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면 보조부재(154)를 변형시킨다. 특히, 슬라이더(150)의 이동 중 제1가압돌기(176)가 제2가압돌기(178)에 접촉되므로, 잠금돌기(174)가 멈춤돌기(172)에서 벗어날 때까지 보조부재(154)를 변형된 상태로 유지시킨다.Meanwhile, in order to separate the
여기서, 슬라이더(150)가 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걸림돌기(162a)가 제1고정돌기(164a)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나, 제1걸림돌기(162a)의 경사면이 제1고정돌기(164a)에 접촉된 상태이므로 작동저항 없이 슬라이더(150)를 이동시킬 수 있다.In this state, when th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not only in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also in the scope of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플러그 커넥터 110: 제1하우징
120: 소켓 단자 130: 레일
140: 체결 레버 150: 슬라이더
160: 제1잠금수단 170: 제2잠금수단
200: 리셉터클 커넥터 210: 제2하우징
220: 핀 단자 230: 레일
240: 체결공100: plug connector 110: first housing
120: socket terminal 130: rail
140: fastening lever 150: slider
160: first locking means 170: second locking means
200: receptacle connector 210: second housing
220: Pin terminal 230: Rail
240: fastening hole
Claims (9)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결합을 안내하는 제1레일이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레일의 벽면에는 슬라이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측면에는 상기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돌기가 형성된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에 마련된 외팔보 형태의 체결 레버;
상기 제1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체결 레버의 탄성 변형을 허용 또는 제한하는 슬라이더;
상기 제1하우징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돌기와, 상기 슬라이더의 하면에 형성된 걸림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고정돌기에 걸릴 경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잠금수단; 및
상기 안내홈에 형성된 멈춤돌기와,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에 형성된 잠금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더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멈춤돌기에 걸릴 경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잠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제1하우징을 수용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제2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체결 레버와 상기 제1레일 사이로 삽입되는 제2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전단에는 제1가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레일에는 제2가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가압돌기와 상기 제2가압돌기의 접촉 시 상기 잠금돌기가 상기 멈춤돌기에서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A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plug connector and a receptacle connector,
Wherein the plug connector comprises:
A guide rail for guiding movement of the slider is formed on a wall surface of the first rail and a guide groov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slider is formed on a side wall of the guide rail, A first housing having a guide protrusion that moves along the first housing;
A cantilevered locking lev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 slider movably installed in the first housing to allow or restrict elastic deformation of the locking lever;
A first locking means formed of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nd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lider and restricting movement of the slider when the locking protrusion is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in a process of moving the slider; And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the guide groove and a locking protrusion formed on a front end of the slider and a second locking means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slider when the locking protrusion is caught by the detent protrusion during the movement of the slider In addition,
Wherein the receptacle connector includes a second housing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first housing therein and a second rail inserted between the locking lever and the first rail is formed in the second housing,
A first pressing protrusion is formed on a front end of the slider, a second press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second rail, and when the first press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pressing protrusion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locking protrusion is detached from the stopping protrusion Characterized by a connector assembly.
상기 슬라이더의 하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시 상기 고정돌기가 상기 안착홈을 따라 이동하되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고정돌기에 걸릴 경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ating groove extending in a front-rear direction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lider, the seating groove is formed in the seating groove,
Wherein when the slider is moved, the fixing protrusion moves along the mounting groove, and the movement of the slider is restricted when the fixing protrusion is caught by the fixing protrusion.
상기 안착홈은 평행하게 배치된 제1안착홈과 제2안착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제1안착홈과 상기 제2안착홈에 각각 삽입되는 제1고정돌기와 제2고정돌기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1안착홈과 상기 제2안착홈에 각각 형성된 제1걸림돌기와 제2걸림돌기로 구성되되,
상기 제1고정돌기가 상기 제2고정돌기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1걸림돌기가 상기 제2걸림돌기보다 전방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fixing recess comprises a first fixing protrusion and a second fixing protrusion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first mounting recess and the second mounting recess, respectively, and the mounting recess comprises a first mounting groove and a second mounting groove arranged in parallel, Wherein the locking protrusions comprise a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a second locking protrusion respectively formed in the first seating groove and the second seating groove,
Wherein the first fixing projection is located forward of the second fixing projection and the first locking projection is located forward of the second locking projection.
상기 제1고정돌기와 상기 제2고정돌기는 후면이 경사면인 직각삼각형 블록이고, 상기 제1걸림돌기는 전면과 후면이 경사면인 이등변삼각형 블록이며, 상기 제2걸림돌기는 전면이 경사면인 직각삼각형 블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are right-angled triangular blocks each having an oblique rear face,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being an isosceles triangle block having a front face and a rear face sloped, and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being a right- Characterized by a connector assembl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3327A KR101745097B1 (en) | 2015-06-12 | 2015-06-12 | Connector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3327A KR101745097B1 (en) | 2015-06-12 | 2015-06-12 | Connector assemb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7158A KR20160147158A (en) | 2016-12-22 |
KR101745097B1 true KR101745097B1 (en) | 2017-06-12 |
Family
ID=57723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3327A Active KR101745097B1 (en) | 2015-06-12 | 2015-06-12 | Connector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509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820184B1 (en) * | 2023-08-09 | 2025-06-13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Connector Apparatus with Double Locking Structure and Head Lamp includ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91476B1 (en) | 2008-12-05 | 2014-05-07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
-
2015
- 2015-06-12 KR KR1020150083327A patent/KR101745097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7158A (en) | 2016-1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041017A (en) | Perfect coupling confirming mechanism for an electric connector | |
KR100987482B1 (en) | Connector and how to assemble the connector | |
US10170857B2 (en) |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 |
KR101998077B1 (en) | Connector Apparatus with CPA | |
TWI655811B (en) | Electric connector assembly and electric connector | |
WO2018221312A1 (en) | Connection device | |
JP5900684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2012037652A (en) | Optical connector, removing jig, and removing structure of optical connector | |
KR101707147B1 (en) | Connector assembly | |
JP5510346B2 (en) | connector | |
CN101552408B (en) | Connector having a locking mechanism | |
EP2710684A1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or for such assembly | |
US20200321731A1 (en) | Connector | |
KR101500214B1 (en) | Connector for vehicle | |
KR101745097B1 (en) | Connector assembly | |
CN106887726A (en) | Clamping device, electri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EP2693245B1 (en) | Connector | |
US11114801B2 (en) | Connector | |
JP2016012472A (en) | connector | |
KR101360809B1 (en) | Connector assembly | |
KR101839388B1 (en) | Lever type connector | |
CN215070740U (en) | connector assembly | |
KR20100022841A (en) | connector | |
JP3256782B2 (en) | Connector with lock mechanism | |
US11133622B2 (en) | Connector with connection detection memb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