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388B1 - Lever type connector - Google Patents
Lever type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9388B1 KR101839388B1 KR1020110110505A KR20110110505A KR101839388B1 KR 101839388 B1 KR101839388 B1 KR 101839388B1 KR 1020110110505 A KR1020110110505 A KR 1020110110505A KR 20110110505 A KR20110110505 A KR 20110110505A KR 101839388 B1 KR101839388 B1 KR 1018393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connector
- lever
- fixing
- fing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레버타입 커넥터는 제1커넥터(50), 제2 커넥터(60) 그리고 레버(7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커넥터(5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52)의 내부공간(55) 내면에는 연동돌기(56)와 해제리브(58)가 형성된다. 상기 제2커넥터(6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하우징(62)의 양측 외면에는 회전중심축(66)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회전중심축(66)이 형성된 외면에는 또한 고정돌기(6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68)는 상기 레버(70)의 고정핑거(78)를 걸어 레버(70)의 임의의 회전을 방지한다. 상기 레버(70)는 상기 제2하우징(62)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되는 장착판(72)을 서로 연결하는 손잡이(74)를 구비하고, 상기 장착판(72)에는 상기 연동돌기(56)가 안내되는 가이드채널(76)이 형성된다. 상기 장착판(72)의 일측에서는 고정핑거(78)가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회전중심축(66)과 상기 레버(70)의 손잡이(74)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제2하우징(62)의 외면에 형성된 상기 고정돌기(68)에 걸어진다. 상기 고정핑거(78)의 선단에는 상기 제2하우징(62)의 외면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해제리브(58)를 안내하는 가이드곡면(80)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타입 커넥터의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60) 사이의 결합과 분리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ver type connector. The lever typ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nnector (50), a second connector (60), and a lever (70). An interlocking protrusion 56 and an unlocking rib 58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55 of the first housing 52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nector 50. A rotation center shaft 66 is formed to protrude from both outer sides of the second housing 62 form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connector 60. An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center shaft 66 is provided with fixing projections 68 Are protruded and formed. The fixing protrusions 68 engage the fixing fingers 78 of the lever 70 to prevent any rotation of the lever 70. The lever 70 has a handle 74 for connecting the mounting plates 72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housing 62. The mounting plate 72 is provided with the interlocking protrusions 56 A guided guide channel 76 is formed. A fixing finger 78 is extended from one side of the mounting plate 72 and extends from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62 corresponding to a position between the rotation center shaft 66 and the handle 74 of the lever 70 Is fixed to the fixing protrusion (68) formed on the base plate. A guide curved surface 80 for guiding the release rib 58 is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fixed finger 78 on a surface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6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ngagement and dis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nector (50) and the second connector (60) of the lever type connector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Description
본 발명은 레버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버의 고정상태를 보다 원활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레버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커넥터는 하우징의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대 커넥터와 결합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터미널의 갯수가 많아지게 되면 커넥터 사이의 결합에 많은 결합력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는 레버타입 커넥터가 사용된다.The connector is configured such that a terminal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engages with the mating connector to perform an electrical connection. At this time, if the number of the terminals is increased, much coupling force is required for coupling between the connecto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lever type connector using a leverage principle is used.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조립체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커넥터(1)는 그 외관과 골격을 제1하우징(1')이 형성하고, 상기 제1하우징(1')의 내부에는 내부공간(3)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3)에는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의 일단이 구비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ior art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The
상기 내부공간(3)의 양측 내면에는 연동돌기(5)가 구비된다. 상기 연동돌기(5)는 제1하우징(1')의 내부공간(3) 내면에 서로 마주보게 돌출되어 형성된다.Interlocking protrusions (5) are provided on inn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inner space (3). The interlocking
제2커넥터(7)는 상기 제1커넥터(1)와 결합되는 것으로, 이 역시 외관과 골격을 제2하우징(7')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7')은 상기 제1하우징(1')의 내부공간(3)으로 삽입되어 터미널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e
상기 제2하우징(7')의 외면에는 회전중심(9')을 중심으로 레버(9)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레버(9)에는 회전중심(9')에서 길게 연장된 위치에 손잡이(10)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중심(9')을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10)의 반대쪽에는 상기 연동돌기(5)를 안내하는 가이드채널(11)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11)에 상기 연동돌기(5)가 안내되어 이동되면 상기 제1하우징(1')의 내부로 제2하우징(7')이 들어가면서 터미널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면부호 13은 와이어커버이다.A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제2커넥터(7)를 상기 제1커넥터(1)에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제2하우징(7')을 제1하우징(1')의 내부공간(3) 입구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레버(9)의 가이드채널(11)입구가 상기 제1하우징(1')의 연동돌기(5)와 대응되는 위치에 있어야 한다.In this conventional technique, the second housing 7 'is positioned at the inlet of the
상기 연동돌기(5)가 상기 가이드채널(11)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레버(9)를 상기 회전중심(9')을 중심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손잡이(10)를 회전시킨다. 상기 레버(9)가 회전되면 상기 가이드채널(11)을 따라 상기 연동돌기(5)가 이동되는데, 상기 연동돌기(5)는 상기 제1하우징(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하우징(7')이 상기 제1하우징(1')의 내부공간(3)으로 이동하게 된다.After the interlocking
상기 레버(9)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연동돌기(5)가 상기 가이드채널(11)의 끝부분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커넥터(1)와 제2커넥터(7) 사이의 결합이 완성된다.When the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lever type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레버(9)는 상기 제2하우징(7')에 임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하지만, 이와 같이 되면 레버(9)의 위치가 일정하지 않게 되어 제1커넥터(1)와의 결합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레버(9)의 위치를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Th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레버타입 커넥터에서 레버가 제2커넥터에 장착될 때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레버가 고정된 위치가 제1커넥터와의 결합시에 제2커넥터가 회전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ever type connector in which a lever can be fixed at a specific position when the lever is mounted on a second connector, The second connector is not rotated when the first connector is coupled with the first connect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레버타입 커넥터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될 때, 제2커넥터에 고정되어 있는 레버의 해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release of the lever fixed to the second connector when the first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engaged in the lever type connecto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후로 관통하여 제1터미널이 안착되는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고 선단으로 개방되게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내면에 연동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제2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양측면에 회전중심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중심축이 형성된 양측면에 각각 고정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커넥터와, 상기 제2하우징의 회전중심축이 삽입되는 회전중심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동돌기가 안내되는 가이드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에 위치되는 장착판과 상기 장착판에서 연장된 위치에 형성되는 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장착판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걸어지는 고정핑거가 구비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핑거가 걸어지는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제2하우징의 회전중심축과 상기 레버의 손잡이의 사이에 해당되는 제2하우징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terminal seating portion through which a first terminal is seated, A second housing inserted into an inner space of the first connector forms an outer tube and a rotation center shaf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housing, And a rotation center hole into which the rotation center shaft of the second housing is inserted and a guide channel through which the rotation protrusion is guided are formed, A mounting plate loca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handle formed in a position extending from the mounting plate, and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mounting plate Wherein the fixing protrusion on which the fixing finger is hooked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handle of the lever, Respectively.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공간 내면에는 상기 제1커넥터의 내부공간으로 상기 제2커넥터의 제2하우징이 삽입될 때, 상기 고정핑거가 상기 고정돌기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해제리브가 구비된다.An inner sp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housing is provided with a release rib that separates the fixing finger from the fixing protrusion when the second housing of the second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onnector.
상기 해제리브의 선단에는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핑거의 선단을 안내한다.An inclined portion is formed at the tip of the release rib to guide the tip of the fixed finger.
상기 고정핑거의 선단에는 상기 해제리브의 선단에 안내되는 가이드곡면이 형성된다.A guide curved surface guided by the tip end of the release rib is formed at the tip of the fixed finger.
상기 가이드곡면은 상기 고정핑거의 선단중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The guide curved surface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stationary finger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상기 고정핑거는 상기 장착판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데,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과 마주보는 면에서는 상기 고정핑거와 장착판의 표면이 서로 같은 평면이고 상기 장착판의 외면보다는 상기 고정핑거의 외면이 덜 돌출된다.Wherein the fixing finger is thinner than the mounting plate such that the surface of the fixing finger and the mounting plate are flush with each other on the surface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finger Lt; / RTI >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후로 관통하여 제1터미널이 안착되는 터미널안착부가 형성되고 선단으로 개방되게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내면에 연동돌기와 해제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제2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양측면에 회전중심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중심축이 형성된 양측면에 각각 고정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커넥터와, 상기 제2하우징의 회전중심축이 삽입되는 회전중심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동돌기가 안내되는 가이드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제2하우징의 양측 외면에 위치되는 장착판과 상기 양측의 장착판을 연결하도록 장착판에서 연장되어 연장된 위치에 형성되는 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장착판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걸어지는 고정핑거가 구비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핑거가 걸어지는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제2하우징의 회전중심축과 상기 레버의 손잡이의 사이에 해당되는 제2하우징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핑거의 선단에는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과 마주보는 면에 상기 해제리브가 안내되는 가이드곡면이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device including a terminal seating portion through which a first terminal is seated and which is passed through forward and backward, an inner space formed to open at a front end thereof, A second housing inserted into an inner space of the first connector forms an outer tube, a rotation center shaf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first and second housing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otation center shaft And a guide groove in which a rotation center hole is formed in which the rotation center shaft of the second housing is inserted and in which the linking protrusion is guided, are form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second housing And a handle formed at an extended position extending from the mounting plate to connect the mounting plate and the mounting plates of both sides, Wherein the fixing protrusion to which the fixing finger is hooked comprises a lever which is extended from one side and is provided with a fixing finger to be hooked on the fixing protrusion, And a guide curved surface on which the release rib is guided is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stationary finger at a surface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상기 해제리브는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공간 내면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선단에 경사부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The release rib extends parallel to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housing and is formed with an inclined portion at an end thereof.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lever-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서는 레버가 제2커넥터에 장착되어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제1커넥터의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레버의 고정핑거가 고정된 위치가 레버의 회전중심에 대해 상기 레버의 손잡이와 같은 방향에 있도록 하였으므로, 상기 제2커넥터가 제1커넥터에 삽입되도록 레버와 제2커넥터에 힘을 가할 때, 제2커넥터가 일직선방향으로 제1커넥터로 삽입되므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이 보다 원활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ver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or in a state where the lever is fixed to the second connector, the fixed position of the lever is fixed to the lever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handle of the lever The second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or in a straight line direction when the lever and the second connector are inserted so that the second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or. There is an effect to be smooth.
그리고, 상기 레버를 상기 제2커넥터에 고정시킨 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리브는 상기 고정핑거 선단의 가이드곡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상기 고정핑거가 고정돌기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핑거가 급격하게 탄성변형되지 않고 가이드곡면의 안내에 따라 점진적으로 탄성변형되므로 커넥터의 결합동작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The releasing rib releasing the state where the lever is fixed to the second connector is guided along the guide curved surface of the fixed finger tip so that the fixed finger moves away from the fixing protrusion. Therefore, since the fixing finger is elastically deformed gradually according to the guide of the guide curved surface without being suddenly elastically deformed, the coupling operation of the connector is smooth.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레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main part of a lever-type connector according to a related ar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lever-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ever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lever-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들에 따르면, 본 발명의 레버타입 커넥터는 제1커넥터(50), 제2커넥터(60) 및 레버(7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커넥터(50)는 제1하우징(52)이 외관과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52)은 절연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것으로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터미널안착부(54)가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안착부(54)의 내부에는 제1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안착되고 상기 터미널안착부(54)의 후단으로 상기 제1터미널에 연결된 와이어(도시되지 않음)가 연장된다. 상기 제1하우징(52)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According to the drawings, the lever typ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제1하우징(52)의 내부에는 선단으로 개방되게 내부공간(55)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55)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커넥터(60)의 제2하우징(62)과 레버(70)의 일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내부공간(55)의 내면에는 연동돌기(56)가 형성된다. 상기 연동돌기(56)는 봉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내부공간(55)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연동돌기(56)는 아래에서 설명될 레버(70)의 가이드채널(76)을 따라 안내되는 것이다.An
상기 내부공간(55)에는 또한 해제리브(58)가 형성된다. 상기 해제리브(58)는 상기 연동돌기(56)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공간(55)의 내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해제리브(58)는 상기 내부공간(55)의 내면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형성된다. 물론, 상기 해제리브(56)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내부공간(55)의 내면과 연결되는 연결판부(59)가 있다. 상기 해제리브(56)의 선단에는 경사부(58')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부(58')는 아래에서 설명될 레버(70)의 고정핑거(78)의 선단과 접촉되는 부분이다.The
상기 제2커넥터(60)의 외관과 골격을 제2하우징(62)이 형성한다. 상기 제2하우징(62)도 절연성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1하우징(52)의 내부공간(55)에 들어갈 수 있는 형상과 크기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2하우징(62)을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제2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는 터미널안착부(64)가 형성된다.The second housing (62) forms an outer appearance and a skeleton of the second connector (60). The
상기 제2하우징(62)의 양측면에는 각각 회전중심축(66)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회전중심축(66)은 상기 레버(70)의 회전을 위한 중심이된다. 상기 회전중심축(66)이 형성된 제2하우징(62)의 양측면에는 또한 고정돌기(6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기(68)는 상기 제2하우징(62)의 양측면에 직립되게 돌출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레버(70)의 고정핑거(78)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돌기(68)의 위치는 상기 회전중심축(66)을 기준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레버(70)의 손잡이(74)의 위치와 같은 쪽에 있는 것이 좋다.On both sides of the
다음으로, 상기 제2하우징(62)의 외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60)의 결합과 분리시에 지렛대 역할을 하는 레버(7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레버(70)도 역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Next, the structure of the
상기 레버(70)에는 각각 상기 제2하우징(62)의 양측면에 장착되는 장착판(72)이 나란히 구비된다. 상기 장착판(72)은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상기 제1하우징(52)의 내부공간(55) 내에 아래에서 설명될 손잡이(74)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반원판형상이나, 그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장착판(72)에는 각각 상기 제2하우징(62)의 회전중심축(66)이 위치되는 회전중심공(7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중심공(72')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판(72)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각각 장착판(72)의 내면에 오목하게 들어간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상기 장착판(72)의 일측에서 길게 연장되어 손잡이(74)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74)는 상기 양측의 장착판(72)을 연결하게 구성되고, 작업자가 손으로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된 부분이다.A
상기 장착판(72)에는 가이드채널(7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76)은 상기 연동돌기(56)가 위치되어 안내되는 것으로, 상기 레버(7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채널(76)을 따라 연동돌기(56)가 이동하면서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60) 사이의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채널(76)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는 곡선형상으로 된다. 상기 가이드채널(76)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판(72)의 외면에 요입된 형태의 채널로 만들어져 있다. 하지만 상기 가이드채널(76)이 상기 장착판(72)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상기 가이드채널(76)이 완전히 상기 장착판(72)을 관통하면 장착판(72)의 강도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완전히 관통되지 않고 적어도 일부라도 연결된 상태가 되는 것이 좋다.A guide channel (76) is formed in the mounting plate (72). The
상기 장착판(72)의 일측에는 고정핑거(7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핑거(78)는 상기 손잡이(74)의 연장방향과 대략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핑거(78)는 상기 장착판(72)에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레버(70)를 제2하우징(62)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돌기(68)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도 3에는 상기 고정돌기(68)에 상기 고정핑거(78)가 걸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A fixing
상기 고정핑거(78)는 상기 장착판(72)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만들어지는 것이 필요하다. 이는 고정핑거(78)가 상기 고정돌기(68)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탄성변형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핑거(78)의 외면이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판(72)의 외면보다는 낮은 위치에 있도록 된다. 즉, 장착판(72)의 내면과 상기 고정핑거(78)의 내면은 같은 평면이고 외면은 서로 다른 평면으로 되도록 하였다. It is necessary that the fixing
상기 고정핑거(78)의 선단에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곡면(80)이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곡면(80)은 상기 고정핑거(78)의 선단중 상기 제2하우징(62)의 외측면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곡면(80)은 따라서 상기 고정핑거(78)와 제2하우징(62)의 외면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여 상기 해제리브(58)가 원활하게 이들 사이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해제리브(58)를 가이드곡면(80)이 안내함에 의해 고정핑거(78)의 탄성변형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4, a guid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레버타입 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lever-typ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레버(70)는 상기 회전중심공(72')에 상기 제2하우징(62)의 회전중심축(66)이 삽입된 상태로 제2하우징(62)의 외면에 상기 장착판(72)이 장착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70)가 상기 회전중심축(66)을 중심으로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고정핑거(78)의 선단이 상기 고정돌기(68)의 일측에 걸어져 회전하지 않도록 된다. 이때, 상기 레버(70)가 상기 고정돌기(68)에 상기 고정핑거(78)가 걸어짐에 의해 그 방향으로의 회전은 되지 않지만, 반대방향으로의 회전이 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회전중심공(72')과 회전중심축(66)에 회전범위를 규제하는 구조를 둠에 의해 조절할 수 있다.The
상기와 같이 레버(70)가 상기 제2하우징(62)에서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된 상태에서 상기 제1하우징(52)의 내부공간(55)으로 삽입된다. 즉, 상기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60)의 결합을 위해 상기 제1하우징(52)의 내부공간(55)으로 상기 레버(70)가 장착된 상태의 제2하우징(62)을 삽입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레버(70)에 힘이 가해질 수 있는데, 상기 레버(70)의 손잡이(74)에 작업자가 힘을 가하더라도 상기 레버(70)의 선단에 있는 고정핑거(78)가 상기 제2하우징(62)의 고정돌기(68)에 걸어져 있어서 레버(70)에 가해지는 힘은 상기 제2하우징(62)을 제1하우징(52)의 내부공간(55)으로 제2하우징(62)이 직선운동하도록 하는 힘으로 된다.The
이는 상기 고정핑거(78)의 선단이 지지되는 고정돌기(68)의 위치가 상기 회전중심공(72')과 상기 손잡이(74)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만약에 상기 고정돌기(68)가 상기 회전중심공(72')을 중심으로 상기 손잡이(74)의 반대쪽에 있다면, 상기 회전중심축(66)을 중심으로 상기 손잡이(74)에 가해진 힘이 상기 제2하우징(62)을 회전시키는 힘으로 작용하여 상기 제2하우징(62)이 상기 제2하우징(52)의 내부로 삽입되는 동작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This is because the position of the fixing
한편, 상기 제1하우징(52)의 내부공간(55)으로 제2하우징(62)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해제리브(58)가 상기 레버(70)의 고정핑거(78)를 상기 제2하우징(62)의 고정돌기(68)에서 해제시킨다. 즉, 상기 제2하우징(62)이 내부공간(55)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기 해제리브(58)가 상기 고정핑거(78)의 선단과 제2하우징(62)의 외면 사이로 들어가서 상기 고정핑거(78)의 선단을 탄성변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핑거(78) 선단의 가이드곡면(80)에 의해 상기 제2하우징(62)의 외측면과 상기 고정핑거(78)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곡면(80)에 의해 상기 고정핑거(78) 선단의 탄성변형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Meanwhile,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상기 고정핑거(78)의 선단이 상기 해제리브(58)의 경사부(58')에 안내되면서 상기 고정핑거(78)가 들어져 상기 고정돌기(68)에서 해제되고 상기 레버(70)는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참고로 상기 고정핑거(78)가 탄성변형될 때, 상기 고정핑거(78)의 두께가 상기 장착판(72)의 두께보다 얇으므로 탄성변형가능한 공간이 확보되고 또한 탄성변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The tip of the fixing
상기 레버(70)가 회전되면 상기 제1하우징(52)의 연동돌기(56)가 상기 레버(70)의 장착판(72)에 형성된 가이드채널(76)을 따라 안내되면서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60)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When the
상기 가이드채널(76)을 따라 상기 연동돌기(56)가 안내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60)의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이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of the
한편, 상기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60) 사이의 결합을 분리할 때는 상기 레버(70)의 손잡이(74)에 결합시와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해 레버(7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레버(70)의 가이드채널(76)을 따라 상기 연동돌기(56)가 안내되면서 분리가 이루어진다.When separating the coupling between the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may be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동돌기(56)가 내부공간(55)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 각각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연동돌기(56)를 어느 일측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레버(70)의 장착판(72)에 형성되는 가이드채널(76)도 대응되는 위치에만 있으면 된다.For examp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interlocking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핑거(78)의 선단에 형성된 가이드곡면(80)은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이드곡면(80)은 고정핑거(78)의 탄성변형을 점진적으로 일어나도록 하여 제1커넥터(50)와 제2커넥터(60)의 결합과 분리동작이 보다 원활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고정핑거(78)의 선단이 고정돌기(68)에 걸어지는 위치에 의해서만도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달성되기 때문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curved
50: 제1커넥터 52: 제1하우징
54: 터미널안착부 55: 내부공간
56: 연동돌기 58: 해제리브
58': 경사부 59: 연결판부
60: 제2커넥터 62: 제2하우징
64: 터미널안착부 66: 회전중심축
68: 고정돌기 70: 레버
72: 장착판 72': 회전중심공
74: 손잡이 76: 가이드채널
78: 고정핑거 80: 가이드곡면50: first connector 52: first housing
54: terminal seating portion 55: inner space
56: cooperating projection 58: releasing rib
58 ': inclined portion 59: connecting plate portion
60: second connector 62: second housing
64: terminal seating portion 66: rotation center axis
68: Fixing projection 70: Lever
72: mounting plate 72 ': center of rotation
74: handle 76: guide channel
78: fixed finger 80: guide curved surface
Claims (8)
상기 제1커넥터의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제2하우징이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양측면에 회전중심축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중심축이 형성된 양측면에 각각 고정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커넥터와,
상기 제2하우징의 회전중심축이 삽입되는 회전중심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동돌기가 안내되는 가이드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에 위치되는 장착판과 상기 장착판에서 연장된 위치에 형성되는 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장착판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고정돌기에 걸어지는 고정핑거가 구비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핑거가 걸어지는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제2하우징의 회전중심축과 상기 레버의 손잡이의 사이에 해당되는 제2하우징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공간 내면에는 상기 제1커넥터의 내부공간으로 상기 제2커넥터의 제2하우징이 삽입될 때, 상기 고정핑거가 상기 고정돌기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해제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핑거의 선단에는 상기 해제리브의 선단에 안내되는 가이드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곡면은 상기 고정핑거의 선단중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핑거는 상기 장착판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데, 상기 제2하우징의 외면과 마주보는 면에서는 상기 고정핑거와 장착판의 내면이 서로 같은 평면이되, 반대쪽에 해당하는 상기 장착판의 외면보다는 상기 고정핑거의 외면이 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타입 커넥터.
A first connector formed with a terminal seat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first terminal is seated, a first housing formed with an inner space to be open to the front end and a cooperativ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Wherein a second housing inserted into an inner space of the first connector forms an outer tube, a rotation center axis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housing, and a fixing protrusion is protruded from both sides of the rotation center shaft, Wow,
A mounting plate having a rotation center hole into which a rotation center shaft of the second housing is inserted and a guide channel through which the linking protrusion is guided, the mounting plate being position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And a lever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mounting plate and provided with a fixing finger for hooking the fixing protrusion,
The fixing protrusion on which the fixing finger is hooked is protruded from an outer surface of a second housing corresponding to a rotation center axis of the second housing and a handle of the lever,
And an unlocking rib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housing to separate the fixing finger from the fixing protrusion when the second housing of the second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connector,
A guide curved surface guided by the tip end of the release rib is formed at the tip of the fixed finger,
Wherein the guide curved surface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stationary finger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The fixing finger is thinner than the mounting plate. On the surface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finger and the mounting plate are flush with each other. On the other hand, Wherein an outer surface of the fixed finger protrudes less.
The lever typ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clined portion is formed at the tip of the release rib to guide the tip of the fixed fing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0505A KR101839388B1 (en) | 2011-10-27 | 2011-10-27 | Lever type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0505A KR101839388B1 (en) | 2011-10-27 | 2011-10-27 | Lever type conne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6127A KR20130046127A (en) | 2013-05-07 |
KR101839388B1 true KR101839388B1 (en) | 2018-03-19 |
Family
ID=48657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0505A Active KR101839388B1 (en) | 2011-10-27 | 2011-10-27 | Lever type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3938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21403B1 (en) * | 2015-11-03 | 2022-07-15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assembly |
US10236629B2 (en) | 2017-05-08 | 2019-03-19 | Aptiv Technologies Limited |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ractable terminal-stabilizer |
KR102242060B1 (en) * | 2019-11-28 | 2021-04-20 | 주식회사 경신 | Lever type connecto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98978A (en) | 2001-03-29 | 2002-10-11 | Molex Japan Co Ltd | Lever connector |
US20090163061A1 (en) * | 2007-12-20 | 2009-06-25 | Yazaki Corporation | Lever type connector |
-
2011
- 2011-10-27 KR KR1020110110505A patent/KR10183938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98978A (en) | 2001-03-29 | 2002-10-11 | Molex Japan Co Ltd | Lever connector |
US20090163061A1 (en) * | 2007-12-20 | 2009-06-25 | Yazaki Corporation | Lever type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6127A (en) | 2013-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85726B2 (en) | Terminal and connector assembly | |
US9203186B2 (en) | Lever-type connector, wire cover | |
US8439695B2 (en) | Lever type electrical connector | |
JP3987736B2 (en) | Lever type connector | |
JP5945964B2 (en) | connector | |
JP2009532846A (en) | Electronic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 | |
JP5007215B2 (en) | Lever type connector | |
JP2006172825A (en) | connector | |
JP4247920B2 (en) | Lever connector | |
KR101632557B1 (en) | Lever type connector | |
CN101232136A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20170051901A (en) | Connector assembly | |
CN103688421B (en) | Electric coupler component | |
KR101530431B1 (en) | Connector device | |
KR101839388B1 (en) | Lever type connector | |
JP5035359B2 (en) | Lever type connector | |
KR20140064289A (en) | Lever type connector | |
KR101899841B1 (en) | Connector assembly | |
JP2008103224A (en) | Lever connector | |
JP2015046245A (en) | Relay terminal, and relay connector | |
KR20130003377U (en) | Lever type connector | |
KR20210064553A (en) | Lever typ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ing the same | |
KR100955054B1 (en) | Connector assembly and joining method | |
CN101295830A (en) | L-shaped contact piece | |
JP2008262718A (en) |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10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10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9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3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