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36516B1 - Multilayered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ed wiring board - Google Patents

Multilayered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ed wiring 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516B1
KR101736516B1 KR1020127003210A KR20127003210A KR101736516B1 KR 101736516 B1 KR101736516 B1 KR 101736516B1 KR 1020127003210 A KR1020127003210 A KR 1020127003210A KR 20127003210 A KR20127003210 A KR 20127003210A KR 101736516 B1 KR101736516 B1 KR 101736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conductive bump
wiring board
film
conduct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32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52284A (en
Inventor
요시타카 후쿠오카
고 토이다
사토미 쿠마쿠라
Original Assignee
나믹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믹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나믹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2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22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51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H05K3/462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layers or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44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building the multilayer layer by layer, i.e. build-up multilayer circuits
    • H05K3/4652Adding a circuit layer by laminating a metal foil or a preformed metal foil pattern
    • H05K3/4655Adding a circuit layer by laminating a metal foil or a preformed metal foil pattern by using a laminate characterized by the insulating lay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2Fillers; Particles; Fibers; Reinforcement materials
    • H05K2201/0203Fillers and particles
    • H05K2201/0206Materials
    • H05K2201/0209Inorganic, non-metallic part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20Details of printed circuits not provided for in H05K2201/01 - H05K2201/10
    • H05K2201/2036Permanent spacer or stand-off in a printed circuit or printed circuit assembl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6Lamination
    • H05K2203/061Lamination of previously made multilayered subassembli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H05K3/4614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the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the circuit boards being made during lamin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11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 H05K3/4614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the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the circuit boards being made during lamination
    • H05K3/4617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laminating two or more circuit boards the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the circuit boards being made during lamination characterized by laminating only or mainly similar single-sid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46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 H05K3/4644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building the multilayer layer by layer, i.e. build-up multilayer circuits
    • H05K3/4647Manufacturing multilayer circuits by building the multilayer layer by layer, i.e. build-up multilayer circuits by applying an insulating layer around previously made via stu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roduction Of Multi-Layered Print Wiring Board (AREA)
  • Printing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Between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전자 부품의 실장에 이용하는 다층 배선판의 제조에서는 종래, B2it등의 도전성 범프를 이용하여 층간의 접속을 행하는 다층 배선 기술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기판의 휘어짐에 의해 다층 배선간의 합선이 발생하거나, 혹은, 도전성 범프와 배선과의 사이에서 접속 불량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절연성 필러를 포함하는 절연성 바니스를 코팅함으로써, 절연성 피막을 형성했다. 기판에 휘어짐이 있는 경우에도, 다층 배선간의 절연성을 유지하는 것, 배선 접속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 및 제조 수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the manufacture of a multilayer wiring board for use in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s, a multilayer wiring technique for connecting layers between layers using conductive bumps such as B 2 it has been us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a short circuit occurs between multilayer wirings due to warping of the substrate, or connection failure occurs between the conductive bumps and the wirings. Therefore, an insulating varnish containing an insulating filler was coated to form an insulating film. Even when the substrate is warp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insulating property between the multilayer wirings,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wiring connection, and to improve the production yield.

Description

다층 배선판 및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 {MULTILAYERED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ED WIRING BOARD}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 wiring board,

본 발명은 전자 부품을 실장하기 위한 다층 배선판 및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도전성 범프로 이루어진 비아를 구비한 고밀도 배선이 가능한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 wiring board for mount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capable of high density wiring with a via made of conductive bumps.

특허문헌 1:일본등록특허 제 3167840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No. 3167840

특허문헌 2:일본공개특허 2007-13208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7-13208

특허문헌 3:일본공개특허 2006-183072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6-183072

특허문헌 4:일본공개특허 2002-353617호 공보Patent Document 4: JP-A-2002-353617

최근, 전자기기의 소형 경량화, 고속화 및 다기능화에 따라, 전자기기에 탑재되는 배선판에 관해서도 고밀도 실장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다층 배선판의 개발이 진행되어 있다. 이 다층 배선판에서는 복수의 절연성 기재와 복수의 도전성 패턴을 교대로 적층하여 쌓음으로써, 전자 부품이 실장된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demand for high-density mounting of wiring boards mounted on electronic equipment in accordance with the size and weight reduction, the high speed, and the multifunctionality of electronic devices. In order to cope with this demand, development of a multilayer wiring board is underway. In this multilayer wiring board, a plurality of insulating base materials and a plurality of conductive patterns are alternately stacked and stacked to mount electronic parts.

대표적인 다층 배선판의 제조 기술로서 마츠시타 전자부품의 ALIVH나 도시바 및 다이니혼 인쇄의 B2it가 알려져 있다.As a typical technique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ALIVH of Matsushita Electronics Co., B 2 it of Toshiba and Dainippon Printing are known.

ALIVH(Any Layer Interstitial Via Hole structure multi layered printed wiring board)는 절연기재에 층간 접속구멍을 형성하고, 이 구멍 부분에 도전성 재료를 메우는 기술이다. 처음에, 프리프레그(배선판의 재료가 되는 절연성 기재 시트)에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미세한 비아 홀을 형성한다. 형성된 비아 홀을 도전 페이스트로 충전함으로써, 비아(층간 접속부)를 형성한다. 프리프레그상에 동박을 적층 열프레스한다. 또, 포토리소그래피 및 에칭에 의해 도전성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배선판 부재를 얻는다. 이 배선판 부재를 적층열프레스 함으로써, 다층 배선판을 제조한다.ALIVH (multi-layered inter-layer printed wiring board) is a technology for forming an interlayer connection hole in an insulating substrate and filling the hole with a conductive material. Initially, a fine via hole is formed by irradiating laser light to the prepreg (insulating substrate sheet to be a material of the wiring board). The formed via-holes are filled with conductive paste to form vias (interlayer connection portions). The copper foil is laminated and thermally pressed on the prepreg. In addition, a conductive pattern is formed by photolithography and etching to obtain a wiring board member. This wiring board member is laminated and hot-pressed to produce a multilayer wiring board.

ALIVH에서는 비아 홀 상에 배선이나 전자 부품을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배선길이의 단축 및 전자 부품의 고밀도 실장이 가능하다.In ALIVH, wiring and electronic components can be placed on the via-ho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wiring length and to mount the high-density electronic component.

그러나, 비아 홀의 수가 증가하면, 레이저광 조사의 가공 시간이 증가한다. 이 때문에, 제조 코스트가 높아진다, 또한, 적층열 프레스에 의해 접착되는 동박의 비아에 대한 밀착 강도가 높지 않다. 이 때문에, 낙하 시험시에 오픈 불량이 발생하기 쉽고, 신뢰성이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the number of via holes increases, the processing time of laser light irradiation increases. As a resul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and the adhesion strength to the vias of the copper foil bonded by the laminated hot press is not high.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open failure tends to occur at the time of drop test, and reliability is low.

B2it(Buried Bump Interconnection Technology)에서는 도체판 위에, 산 모양 또는 대략 원추형의 도전성 범프를 형성한다. 그 후, 절연성 프리프레그 기재를 가열 연화 시킨다. 프레스에 의해 이 절연성 프리프레그 기재에 범프를 관통시킨다. 이에 의해, 도전성 범프로 이루어지는 비아를 형성한다. B2it에 관련된 기술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Buried Bump Interconnection Technology (B 2 it) forms a conductive or bumpy conductive bump on a conductive plate. Thereafter, the insulating prepreg base material is heat-softened. The bumps are passed through the insulating prepreg base material by a press. As a result, vias made of conductive bumps are formed. B 2 it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산 모양의 도체 범프를 합성 수지계 지지체에 그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시킨다. 그 후, 층간 배선을 형성한다.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 mountain-shaped conductor bump is passed through the synthetic resin-based support member along its thickness direction. Thereafter, an interlayer wiring is formed.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도체판 위에 형성한 대략 원추형의 도체 범프위에 미경화의 절연재료 기재를 배설한다. 그 후, 이 기재를 가압하여 범프를 관통시킨다. 나아가, 도체판을 패터닝 한다. 이에 의해, 기판 유니트를 제작한다. 이 기판 유니트를 여러장 적층하고, 가압 가열하여, 경화시킨다.In the techniqu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an uncured insulating material base is disposed on a substantially conical conductor bump formed on a conductor plate. Thereafter, this substrate is pressed to penetrate the bumps. Further, the conductor plate is patterned. Thus, a substrate unit is manufactured. A plurality of such substrate units are stacked and heated under pressure to be cured.

B2it에서는 ALIVH와 마찬가지로, 비아 홀 위에 홈을 형성하는 일 없이, 배선 및 전자 부품을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배선길이의 단축 및 고밀도 실장이 가능하다. 또, ALIVH와 달리, 비아가 일괄 형성된다. 이 때문에, 비아 홀의 수가 증가하여도 제조 코스트는 증가하지 않는다. 도전성 범프는 프리프레그 적층 전에 인쇄에 의해 동박 위에 형성된다. 이 때문에, B2it에는 동박에 대한 범프의 밀착성도 좋다는 장점이 있다.In B 2 it, wirings and electronic parts can be arranged without forming grooves on the via-holes like ALIVH. Therefore, shortening of the wiring length and high-density mounting are possible. Also, unlike ALIVH, vias are formed collectively. Therefore, even if the number of via holes is increased, the manufacturing cost does not increase. The conductive bumps are formed on the copper foil by printing before the prepreg is laminated. Therefore, B 2 it has an advantage that the adhesion of the bump to the copper foil is also good.

한편, B2it에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B 2 it has the following problems.

(1) 도전성 범프의 관통시 및 다층 배선판을 형성하기 위한 적층 열프레스시에, 어스펙트비가 높은 도전성 범프 및 프리프레그에 커다란 압력이 가해진다. 현재 상태로서는 비아의 면내 밀도는 약 30만개/m2이다. 장래에는 비아의 면내 밀도는 100만개/m2정도가 되리라 예상하고 있다. 이 경우, 지극히 큰 압력이 도전성 범프나 프리프레그에 가해진다. 이 때문에, 도전성 범프나 프리프레그의 파손에 의한 불량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B2it에서는 고밀도화를 실현하는 것이 곤란하다.(1) A large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nductive bumps and prepregs having high aspect ratios at the time of penetration of the conductive bumps and lamination heat press for forming the multilayer wiring board. At present, the in-plane density of vias is about 300,000 sheets / m 2 .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in-plane density of vias will be about 1 million sheets / m 2 . In this case, a very large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nductive bump or prepreg. As a result, the defective ratio due to breakage of the conductive bump or the prepreg is increas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chieve high density in B 2 it.

(2) B2it에서는 도전성 범프에 기계적 강도가 필요하다. 이 때문에, 그 외경을 100㎛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고밀도 실장을 실현하기 위해, 도전성 범프의 바닥면 직경이 30㎛~50㎛가 되도록 도전성 범프의 미세화가 진행되어 있다. 그러나, B2it에서는 범프의 어스펙트비가 높고, 또한 프리프레그의 박막화에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미세화가 곤란하다.(2) In B 2 it, mechanical strength is required for the conductive bump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t the outer diameter to 100 mu m or more. In order to realize a high density mounting, the conductive bumps are made finer so that the bottom surface diameter of the conductive bumps is 30 to 50 mu m. However, in B 2 it, the aspect ratio of the bump is high, and further, the thickness of the prepreg is limited.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miniaturize.

(3) 도전성 범프의 어스펙트비(높이/외경)를 0.8~1.0 이상으로 하지 않으면 도전성 범프가 프리프레그를 관통하지 않는다. 또한, 프리프레그의 일반적인 재료인 유리 클로스 함침 절연 수지 기재를 얇게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다(~30㎛ 이상). 또한 도전성 범프의 관통 특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프리프레그의 두께의 약 3배의 도전성 범프 높이가 필요하다. 그 때문에, 상술한 관통 가능한 어스펙트비를 확보하면, 도전성 범프의 바닥면 직경의 미세화에 한계(min. 72~90㎛)가 발생한다. 또한, 프리프레그의 두께 및 프레스 공정의 온도를 적절히 조정하지 않으면, 도전성 범프가 프리프레그를 관통하지 않는다. 따라서, B2it에서는 도전성 범프의 형성, 관통 공정 및 적층 열프레스 공정 등, 의 제조 조건의 마진이 작다. 이 때문에, 수율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3) The conductive bump does not penetrate the prepreg unless the aspect ratio (height / outer diameter) of the conductive bump is 0.8 to 1.0 or more. In addition, there is a limit (~ 30 占 퐉 or more) to thinning the glass cloth-impregnated insulation resin base material which is a general material of the prepreg. Further, in order to improve the penetr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onductive bump, a conductive bump height of about three times the thickness of the prepreg is required. Therefore, securing the aforementioned penetrability aspect ratio causes a limit (min. 72 to 90 m) in the fineness of the bottom surface diameter of the conductive bump. Further, unless the thickness of the prepreg and the temperature of the press process are appropriately adjusted, the conductive bumps do not penetrate the prepreg. Therefore, in B 2 it, the margin of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such as the formation of the conductive bumps, the penetration process, and the lamination heat press process is small.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yield is low.

(4) 미세한 외경을 갖는 높은 어스펙트의 도전성 범프를 인쇄 형성 가능한 도전 페이스트의 개발은 지극히 어렵다.(4)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develop a conductive paste capable of printing and printing high-aspect conductive bumps having a fine outer diameter.

(5) 경화전 상태의 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프리프레그 시트를 가열 연화하고, 돌기 모양의 도전성 범프에 가압함으로써, 이 시트에 범프를 관통시키는 공정에도 문제가 있다. 즉, 상기 프리프레그 시트는 섬유 필라멘트 다발로 유리 클로스 기재를 종횡으로 엮음으로써 얻어지는 구조체이다. 이 때문에, 도전성 범프가 필라멘트 다발의 교차부에 해당되는 경우와 필라멘트 다발과 필라멘트 다발과의 사이에 해당되는 경우와의 사이의, 관통의 저항차가 크다. 저항이 큰 부분일수록, 절연성 수지 프리프레그 시트와 도전성 범프와의 계면부에 있어서, 절연성 수지 및/또는 유리 클로스의 파쇄잔부가 생겨 버린다. 이들 절연성 수지 및/또는 유리 클로스의 파쇄잔부는 후속 공정에서의 도전성 범프와 배선판의 도체층과의 적층 가압시에, 접촉 저항치의 증대 내지는 도통 불량을 일으킨다. 이 때문에, 파쇄잔부는 배선판의 수율을 저하시키고 있었다.(5)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e step of heating and softening the prepreg sheet made of the insulating resin in the state before curing and pressing the conductive prepreg into protruding conductive bumps, thereby penetrating the bump. That is, the prepreg sheet is a structure obtained by weaving a glass cloth base material horizontally and horizontally with a bundle of fiber filaments. Therefore, there is a large res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case where the conductive bump corresponds to the intersection of the filament bundle and the case where the conductive bump corresponds to the case between the filament bundle and the filament bundle. The greater the resistance, the more the insulating resin and / or the glass cloth are broken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insulating resin prepreg sheet and the conductive bump.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insulating resin and / or the glass cloth cause the increase of the contact resistance value or the conduction failure when the conductive bumps and the conductor layer of the wiring board are laminated and pressed in a subsequent step. For this reason, the remainder of the fracture lowered the yield of the wiring board.

도 14(a) 내지 (d)는 종래의 프리프레그 시트에 범프를 관통시키는 B2it 방식의 다층 배선판 부재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순서를 나타낸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처음에, 제 1 도전성박(501) 위에 도전성 페이스트의 인쇄공정에 의해 대략 원추형의 도전성 범프(502)를 형성한다. 이로써 중간물이 얻어진다(도 14(a)). 이어서, 이 중간물을 경화전 상태의 절연성 수지인 프리프레그 시트(503)와 대향시킨다(도 14(b)). 이어서, 가열하에서 프리프레그 시트(503)를 용해 직전까지 승온시켜 연화시킨다. 도전성 범프(502)의 선단부를 프리프레그 시트(503)로부터 돌출시킨다(도 14(c)). 이어서, 도전성 범프(502)의 선단부가 돌출되어 있는 프리프레그 시트(503) 위에, 제 2의 도전성박(505)를 붙인다(도 14(d)). 도 14(e)는 이러한 방법에 따라 제작된 다층 배선판 부재인 도전성 범프(502) 상부의 수평 단면도이다. 프리프레그 시트에 포함되는 유리섬유 기재의 파단 찌꺼기(508)가, 범프면(507) 내에 남아있는 것이 관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작된 복수의 다층 배선판 부재를 적층 및 가압함으로써, 다층 배선판이 형성된다. 종래의 B2it 방식의 다층 배선판 부재의 제조방법에서는 파편쓰레기가 범프면 내에 남는다. 이 때문에, 층간 배선의 전기적 접속 불량이 생기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14 (a) to 14 (d) are cross-sectional views an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rocess sequence show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a B 2 it-type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for passing bumps through a conventional prepreg sheet. First, the conical conductive bump 502 is formed on the first conductive foil 501 by a printing process of a conductive paste. As a result, an intermediate product is obtained (Fig. 14 (a)). Subsequently, this intermediate material is opposed to the prepreg sheet 503 which is an insulating resin before curing (Fig. 14 (b)). Subsequently, the prepreg sheet 503 is heated to a temperature just before dissolution to soften it under heating. The tip of the conductive bump 502 is protruded from the prepreg sheet 503 (Fig. 14 (c)). Then, a second conductive foil 505 is attached to the prepreg sheet 503 having the tip of the conductive bump 502 protruded (Fig. 14 (d)). 14 (e)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nductive bump 502, which is a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is method. It is observed that the rubbing residue 508 of the glass fiber base material contained in the prepreg sheet remains in the bump surface 507. [ A plurality of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s manufactured in this manner are laminated and pressed to form a multilayer wiring board. In the conventional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ed circuit board member of the B 2 it system, the piece of debris is left in the bump surface. For this reason,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electrical connection failure of the interlayer wiring tends to occur.

한편, 특허문헌 4에는 B2it와 같은 관통법을 이용하지 않고, 도체 범프로이루어지는 비아를 형성하는 종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서는 제 1 금속박 위에 형성된 도체 범프군 위에, 커튼 코터법에 의해 절연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다. 또, 그 위에 제 2의 금속박을 겹쳐서 프레스한다. 절연성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법으로서 커튼 코터법 이외에도, 스프레이법 및 절연성 수지 조성물을 열연화성 필름상으로 하여 도체 범프상에서 피막 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 개시된 방법에서는 도체 범프에 기계적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상기의 B2it에 있어서의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고점도의 절연성 수지를 커튼 코터법에서는 액체인 채로, 스프레이법에서는 액체방울상으로 하여 도체 범프위에 도포한다. 이 때문에, 도체 범프의 선단부에 절연성 수지가 부착하기 쉽거나, 도체 범프와 제 2의 금속박과의 접촉 불량 발생율이 높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열연화성의 필름을 도체 범프 위에 피막하는 경우, 도체 범프의 선단부가 노출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층간접속을 형성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On the other hand, Patent Document 4 discloses a prior art in which vias made of conductive bumps are formed without using through-holes such as B 2 it. In this technique, the insulating resin composition is coated on the conductive bump group formed on the first metal foil by the curtain coater method. Further, a second metal foil is overlaid on the second metal foil. As a method of applying the insulating resin composition, there is disclosed a spraying method and a method of coating an insulating resin composition on a conductive bump using a hot-rolled film as a film, in addition to a curtain coating method. In the method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4, no mechanic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nductor bumps. Therefore, the problem of B 2 it can be avoided. However, this method is applied on a conductor bump by using a high-viscosity insulating resin as a liquid in a curtain coater method and a liquid drop in a spray method.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ulating resin tends to adhere to the tip portion of the conductor bump, or the rate of occurrence of poor contact between the conductor bump and the second metal foil is high. In addition, when the film having the hot-melting property is coated on the conductor bumps, the tip portion of the conductor bump is not expos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terlayer connection can not be formed.

또한, 종래의 다층 배선 기판의 제조방법에는 코어 기판의 휘어짐에 의해, 다층 배선간에 접속 불량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도 8(b) 및 (c)는 종래의 다층 배선의 제조방법에 의해 발생한 배선간의 접속 불량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b)에 있어서, 배선이 표면에 형성된 제1의 코어 기판(213)과 제 2의 코어 기판(208)이 절연성 수지층(211)을 사이에 두고 서로의 배선면이 마주보도록 적층되어 있다. 배선(212)의 일부의 영역과 배선(209)의 일부의 영역과는 도전성 범프(21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코어 기판에 커다란 휘어짐이 있는 경우, 예를 들면 도 8(b)에 나타내듯이, 중앙부가 볼록해지는듯한 휘어짐이 있는 경우, 절연성 수지층(211)에 의해 이간되어 있어야할 배선층이, 서로 접촉함으로써, 배선 쇼트가 발생하고 있다. 한편, 도 8(c)에 나타내듯이, 배선(215)와 배선(218)이 서로 접촉하지 않고 절연성 수지층(217)에 의해 절연되어 있는 경우,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어야할 주변부의 도전성 범프(216)과 대향하는 배선이 접촉하지 않아, 배선 오픈(open)이 발생하고 있다. 종래의 다층 배선 기판의 제조방법에서는 기판의 휘어짐에 의한 배선 접속 불량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다층 배선판의 제조 수율을 충분히 높게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Further,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there is a problem that defective connection occurs between multilayer wirings due to warping of the core board. 8 (b) and 8 (c)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connection failure between wirings generated by a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wiring. 8 (b), the first core substrate 213 and the second core substrate 208 each having wiring on its surface are stacked so that the wiring surfaces of the first core substrate 213 and the second core substrate 208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the insulating resin layer 211 therebetween have. A part of the wiring 212 and a part of the wiring 209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conductive bump 210. [ In the case where the core substrate has a large warp,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b), in the case where warp is likely to be convex at the center portion, the wiring layers, which should be separated by the insulating resin layer 211, A wiring short occurs. 8 (c), when the wiring 215 and the wiring 218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but are insulated by the insulating resin layer 217, the conductive bumps 216 ) Are not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wiring is open.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wiring connection failure occurs due to warping of the substrate.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yield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can not be made sufficiently high.

본 발명의 목적은 다층 배선판용 부재 및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부재에 의하면, 다층 배선판의 미세화, 고밀도화 및 박형다층화를 실현 가능하고, 또한 다층 배선판의 층간 절연성도 양호해진다. 또한 이 제조방법에 의하면, 층간 미세 도전성 범프에 의한 접속 신뢰성이 높은 배선판을 공급할 수 있으며, 더욱이 제조 수율이 높고, 제조 코스트도 낮아진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mber for a multilayer wiring board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According to this member, the multilayer wiring board can be miniaturized, densified and thinned, and the interlaminar insulation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is also improved. Further, according to this manufacturing method, it is possible to supply a wiring board having high connection reliability by the interlayer fine conductive bump, and further, the manufacturing yield is high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also low.

본 발명 (1)은 제 1의 도체층과 제 2의 도체층과의 사이에 형성된 도전성 범프군과, 상기 도전성 범프군 주위에 형성되어, 합선 방지용 절연성 필러를 포함하는 절연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배선판이다.The present invention (1)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conductive bump group formed between the first 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or layer, and an insulating layer formed around the conductive bump group and including an insulating filler for short circuit prevention Layer wiring board.

본 발명 (2)는 제 1의 도체층과 제 2의 도체층과의 사이에 형성된 도전성 범프군과, 상기 도전성 범프군 주위에 형성되어, 절연성 필러를 포함하는 절연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절연성 필러의 평균 입경이 적층 열프레스 후의 상기 도전성 범프군의 평균 높이의 20%이상, 1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배선판이다.The present invention (2)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conductive bump group formed between the first 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or layer, and an insulating layer formed around the conductive bump group and including an insulating filler, Is an average height of not less than 20% and not more than 100% of an average height of the group of conductive bumps after lamination hot pressing.

본 발명 (3)은 상기 절연층이, 절연성 필러를 포함하는 절연성 수지 배합액의 수지를 실질적으로 경화 반응시키지 않는 조건에서, 용제를 휘발 시키는 것에 의해 막두께를 감소시킨 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 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발명 (1) 또는 상기 발명 (2)의 다층 배선판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3), the insulating layer is a layer formed by reducing the film thickness by volatilizing the solvent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resin of the insulating resin composition liquid containing the insulating filler is not substantially cured, and then curing (1) or (2).

본 발명 (4)는 상기 절연성 필러가 실리카, 실리콘카바이드, 알루미나, 질화 알루미늄, 지르코니아 비즈, 글래스 비즈, 아크릴 비즈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의 재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발명 (1) 내지 상기 발명 (3)의 다층 배선판이다.The invention (4)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ulating filler is one or a plurality of materials selected from silica, silicon carbide, alumina, aluminum nitride, zirconia beads, glass beads and acrylic beads. ).

본 발명 (5)는 상기 절연성 필러의 상기 절연성 수지 배합액에 대한 첨가량이 1 vol%이상, 30 vol%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발명 (1) 내지 상기 발명 (4)의 다층 배선판이다.The present invention (5) is the multilayer wiring boar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 inventions (1) to (4), wherein the amount of the insulating filler added to the insulating resin blend solution is 1 vol% or more and 30 vol% or less.

본 발명 (6)은 상기 절연성 수지 배합액이 에폭시 수지, 비스말레이미드트리아진수지, 폴리이미드수지, 아크릴수지, 페놀수지, 올리고페닐렌에테르수지, 폴리에테르수지 및 멜라민수지를 이용한 배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발명 (1) 내지 상기 발명 (5)의 다층 배선판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6), the liquid mixture of the insulating resin is a mixture liquid containing an epoxy resin, bismaleimide triazine resin, polyimide resin, acrylic resin, phenol resin, oligophenylene ether resin, polyether resin and melamine resin (1) to (5).

본 발명 (7)은 상기 도전성 범프군의 높이 h2와 상기 절연층의 두께 t3이, h2 = t3의 관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발명 (1) 내지 상기 발명 (6)의 다층 배선판이다.The present invention (7) is the multilayer wiring boar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inventions (1) to (6),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h2 of the conductive bump group and the thickness t3 of the insulating layer satisfy the relationship h2 = t3.

본 발명 (8)은 상기 도전성 범프군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열경화성수지에 열가소성수지를 10 wt%이상, 30 wt%이하의 혼합비로 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발명 (1) 내지 상기 발명 (7)의 다층 배선판이다. The present invention (8)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n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conductive bump group is made of a material obtained by adding a thermoplastic resin to a thermosetting resin at a mixing ratio of 10 wt% or more and 30 wt% or less. Layer wiring board of the invention (7).

본 발명 (9)는 적어도, 도체층 위에 돌기형상의 도전성 범프군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도체층 위 및 상기 도전성 범프군 위에, 절연성 필러 및 휘발성 용제를 포함하는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포함으로써, 유동성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휘발성 용제를 휘발시키는 것 및 상기 유동성 피막을 막 두께 감소시킴으로써,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절연성 미경화피막 위에 도체층 또는 코어 기판을 적층한 후, 상기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경화 반응시킴으로써, 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forming at least a protruding conductive bump group on a conductor layer; and applying an insulating filler and an insulating resin composition liquid containing a volatile solvent onto the conductive layer and the conductive bump group, A step of forming an insulating uncured film by laminating a conductive layer or a core substrate on the insulating uncured film by volatilizing the volatile solvent and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fluidized film, And a step of curing the insulating uncured coating to form an insulating layer.

본 발명 (10)은 적어도, 제 1의 코어 기판위에 돌기형상의 도전성 범프군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도전성 범프군 위에 절연성 필러 및 휘발성 용제를 포함하는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포함으로써, 유동성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휘발성 용제를 휘발시키는 것 및 상기 유동성 피막을 막(膜) 감소시킴으로써,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절연성 미경화피막위에 도체층 또는 제 2의 코어 기판을 적층한 후, 상기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경화 반응시킴으로써 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10)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t least: forming a protruding conductive bump group on a first core substrate; and applying an insulating resin composition liquid containing an insulating filler and a volatile solvent onto the conductive bump group Forming an insulating uncured film by evaporating the volatile solvent and reducing the film of the fluidic coating; and forming a conductor layer or a second core substrate on the insulating uncured film by stacking And a step of forming an insulating layer by curing the insulating uncured coating film.

본 발명 (11)은 적어도, 제 1의 코어 기판 위에 돌기형상의 도전성 범프군을 형성하는 공정과, 도체층 또는 제 2의 코어 기판 위에 절연성 필러 및 휘발성 용제를 포함하는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포함으로써, 유동성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휘발성 용제를 휘발시키는 것 및 상기 유동성 피막을 막 두께 감소시킴으로써, 절연성 미경화피막으로 하는 공정과, 상기 제 1의 코어 기판과 상기 절연성 미경화피막이 형성된, 도체층 또는 제 2의 코어 기판을 적층 열프레스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11)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a step of forming protruding conductive bump groups on a first core substrate; and a step of applying an insulating resin composition liquid containing an insulating filler and a volatile solvent onto the conductor layer or the second core substrate A step of forming a flowable film, a step of volatilizing the volatile solvent, and a step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flowable film to form an insulating uncured film, and a step of forming the insulating core- Layer or a second core substrate in a multilayer wiring board.

본 발명 (12)는 적어도, 제 1의 코어 기판위에 배치된 제 1의 도체층 위에 절연성 필러 및 휘발성 용제를 포함하는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포함으로써, 유동성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휘발성 용제를 휘발시키는 것 및 상기 유동성 피막을 막 두께 감소시킴으로써,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제 2의 도체층 또는 제 2의 코어 기판 위에, 돌기형상의 도전성 범프군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의 코어 기판과 상기 돌기형상의 도전성 범프군이 형성된 제2의 도체층 또는 제 2의 코어 기판을 적층 열프레스 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12)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a step of forming a fluid coating by applying an insulating resin blend liquid containing an insulating filler and a volatile solvent onto a first conductor layer disposed on the first core substrate; Volatilizing the fluidic coating, and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fluidic coating to form an insulating uncured coating, a step of forming protruding conductive bump groups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or the second core substrate, 1, and a second conductor layer or a second core substrate on which the protruding conductive bump group is formed.

본 발명 (13)은 제 1의 도체층 위에 도전성 범프군을 형성하는 것, 절연성 필러 및 휘발성 용제를 포함하는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포함으로써, 유동성 피막을 형성하는 것 및 상기 휘발성 용제를 휘발시키는 것 및 상기 유동성 피막을 막 두께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되는 다층 배선판용 부재를 하나 또는 복수 형성하고, 그 후 코어 기판 위에 상기 다층 배선판용 부재를 적층 열프레스하는 것 및 상기 다층 배선판용 부재 위에, 제 2의 도체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정을 1회 또는 여러 차례 반복함으로써, 다층 배선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13)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ive bump group is formed on the first conductor layer, the fluidizable coating is formed by applying an insulating resin compound liquid containing an insulating filler and a volatile solvent, and the volatile solvent is volatilized And a step of forming one or a plurality of members for a multilayer wiring board formed by forming an insulating uncured film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fluidic coating and then laminating hot pressing the member for the multilayer wiring board on the core board, And the step of forming a second conductor layer on the wiring board member is repeated once or several times to form a multilayer wiring board.

본 발명 (14)는 제 1의 도체층 위에 도전성 범프군을 형성하는 것, 절연성 필러 및 휘발성 용제를 포함하는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포함으로써, 유동성 피막을 형성하는 것 및 상기 휘발성 용제를 휘발시키는 것 및 상기 유동성 피막을 막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절연성 미경화피막으로 함으로써 형성되는 다층 배선판용 부재를 하나 또는 복수 형성하고, 그 후, 코어 기판 위에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다층 배선판용 부재를 일괄하여 적층 열프레스함으로써, 다층 배선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14)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ive bump group is formed on the first conductor layer, the fluidizable coating is formed by applying an insulating resin blend liquid containing an insulating filler and a volatile solvent, and the volatile solvent is volatilized And one or a plurality of members for a multilayer wiring board formed by forming the insulating uncured film by film reduction of the fluidic coating are formed and then one or a plurality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s are collectively laminated on the core board, Thereby form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본 발명 (15)은 상기 절연성 수지 배합액중의 불휘발성 성분의 함유량이, 10중량%~80중량%인 상기 발명 (9) 내지 상기 발명 (14)의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 inventions (9) to (14), wherein the content of the nonvolatile component in the insulating resin mixed solution is 10 wt% to 80 wt%.

본 발명 (16)은 상기 절연층의 건조/고화 온도가 60℃이상, 16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발명 (9) 내지 상기 발명 (15)의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이다.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rocess for produc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according to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ninth to fifteenth inventions, wherein the drying / solidifying temperature of the insulating layer is 60 ° C or more and 160 ° C or less.

본 발명 (17)은 상기 도전성 범프군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열경화성수지에 열가소성수지를 10 wt%이상, 30 wt%이하의 혼합비로 첨가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발명 (9) 내지 상기 발명 (16)의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이다.The invention (17)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n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conductive bump group is made of a material obtained by adding a thermoplastic resin to a thermosetting resin at a mixing ratio of 10 wt% to 30 wt% Layered wiring board according to the invention (16).

본 발명 (18)은 상기 적층 열프레스의 온도가 절연성 수지의 경화 반응이 개시하는 온도 이하, 또한 절연성 수지의 열용해 점도가 내려가는 온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발명 (9) 내지 상기 발명 (17)의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이다.
The present invention (18)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laminated thermal press is not more than a temperature at which the curing reaction of the insulating resin starts, and a temperature at which the thermal dissolution viscosity of the insulating resin is lowered, Layer wiring board.

본 발명의 효과를 이하에 나타낸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1. B2it와의 비교1. Comparison with B 2 it

도전성 범프 관통 프로세스가 없다. 이 때문에, 기계적 압력이 부재에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There is no conductive bump penetration process. For this reason, no mechanic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member. therefore,

절연층을 얇게 할 수 있으므로, 도전성 범프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또, 도전성 범프의 어스펙트비가 작아도, 비아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전성 범프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30~50㎛의 외경을 갖는 도전성 범프를 갖는 고밀도 다층 배선판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장래, 100만개/m2의 도전성 범프 밀도에도 대응 가능하다.Since the insulating layer can be made thin, the height of the conductive bump can be reduced. Also, even if the aspect ratio of the conductive bump is small, vias can be formed. As a result, the size of the conductive bump can be reduced. As a result, it becomes possible to manufacture a high-density multilayer wiring board having conductive bumps having an outer diameter of 30 to 50 mu m. In the future, the present invention can cope with a conductive bump density of 1 million / m 2 .

도전성 범프의 어스펙트비를 높게 할 필요가 없다. 이 때문에, 특수한 도전 페이스트를 이용하지 않아도, 혹은 도전성 범프를 형성하기 위한 페이스트 도포 공정을 여러번 반복하지 않아도, 도전성 범프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재료 코스트나 제조 코스트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not necessary to increase the aspect ratio of the conductive bump. For this reason, it is possible to form the conductive bump without using a special conductive paste or repeating the paste applying process for forming the conductive bump several times. Therefore, the material cost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도전성 범프, 배선 및 절연성 피막의 손상에 의한 불량율이 저감한다.The defect rate due to the damage of the conductive bump, the wiring, and the insulating film is reduced.

제조 조건의 마진이 넓어진다. 이 때문에, 양호한 층간 접속을 형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도전성 범프의 어스펙트비가 작아도 제조 수율이 향상한다.The margin of manufacturing conditions is widened. Therefore, the manufacturing yield is improved even when the aspect ratio of the conductive bump required to form a good interlayer connection is small.

2. ALIVH와의 비교2. Comparison with ALIVH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 천공 기술을 이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구멍 부분의 형상적 불균일성을 배제할 수 있다. 레이저 천공법에 의한 형상적 불균일성은 제조 공정에 있어서, 구멍 부분과 비아 도전제와의 밀착 불량을 초래한다. 이 밀착 불량은 배선판내로의 액체 또는 습기의 침투를 일으켜, 다양한 결함 원인의 하나가 된다. 그에 대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도전성 범프와 절연성 피막과의 계면이 도전성 범프의 주위에 저점도의 유동성수지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이 때문에, 비아에 상당하는 도전성 범프와 절연성 피막과의 밀착성 및 배선판의 신뢰성이 지극히 높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aser drilling technique is not used. Therefore, the shape irregularity of the hole portion can be excluded. The shape nonuniformity by the laser drilling method causes poor adhesion between the hole portion and the via conductive agen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is adhesion failure causes penetration of liquid or moisture into the wiring board, which is one of the various causes of defects.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face between the conductive bump and the insulating film is formed by applying a low-viscosity fluid resin around the conductive bump. Therefore, the adhesion between the conductive bump corresponding to the via and the insulating film and the reliability of the wiring board are extremely high.

복수의 비아를 일괄하여 제작하는 방식이다. 이 때문에, 비아의 수가 증가해도 제조 코스트는 증가하지 않는다.A plurality of vias are collectively fabricated.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does not increase even when the number of vias increases.

3. 관통홀 도금 방식과의 비교3. Comparison with through-hole plating method

본 발명은 비아의 공간 이용 효율이 높기 때문에 미세화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구조는 층간 접속구멍을 도전성 부재로 메우는 구조이다. 이 때문에, 방열 효과가 높고, 고속 CPU 등 발열량이 많은 디바이스의 실장에 매우 적합하다. 패임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비아 위에도 배선 및 다른 비아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표층 비아 위에 부품을 실장하는 일도 가능하다. 따라서, 실장 밀도를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miniaturization because of the high space utilization efficiency of vias.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interlayer connection holes are filled with a conductive member. Therefore, it is highly suitable for mounting a device having a high heat dissipation effect and a high heating value such as a high-speed CPU. It is possible to form wirings and other vias on the vias as well. It is also possible to mount components on the surface layer via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mounting density.

4. 절연성 수지 조성물을 커튼 코터법에 의해 도포하는 방식과의 차이점4. Difference from the method of applying the insulating resin composition by the curtain coater method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비교적 저농도의 수지 배합액을 도포함으로써, 피막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피막의 막두께를 감소시켜 도전성 범프를 노출시키는 방식이다. 이 때문에, 도전성 범프 선단부에 절연성 수지가 남지 않는다. 그 때문에, 확실한 층간 접속의 형성 및 비아 저항의 저감이 가능하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exposing the conductive bumps by reducing the film thickness of the film by forming a film by applying a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of the resin compounding liquid. Therefore, the insulating resin is not left in the tip portion of the conductive bump.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orm a reliable interlayer connection and reduce the via resistance.

5. 본 발명에서는 도전성 범프의 상단면 형상을 중심각이 180° 이하의, 완만한 원호로 하여도 비아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법에서 이용되고 있는 두정부의 면적이 작은 도전성 범프와는 달리, 비아의 단면적이 크다. 또, 비아와 배선과의 접촉부에 있어서의, 절연성 물질의 잔류량을 줄일 수 있다. 이 때문에, 비아와 배선과의 접촉 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비아 저항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5.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orm vias even when the shape of the top surface of the conductive bumps is a gentle arc having a center angle of 180 deg. Or less. Unlike the conductive bumps having small areas of the two sides used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sectional area of the vias is large. In addition, the residual amount of the insulating material at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via and the wiring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via and the wiring can be increas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ia resistance.

6. 본 발명에서는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구비한 배선판 부재를 적층함으로써, 다층 배선판을 제조한다. 이 때문에,6. In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layer wiring board is manufactured by laminating a wiring board member provided with an insulating uncured coating. For this reason,

절연성 피막과 도전성 패턴과의 밀착 강도가 높아진다. 이 때문에, 배선이 박리하기 어려워진다.The adhesion strength between the insulating film and the conductive pattern is increased. As a result, the wiring becomes difficult to peel off.

인접하는 절연성 피막간의 밀착 강도가 높아진다. 이 때문에, 강고한 다층 배선판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e adhesion strength between the adjacent insulating coatings is increas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rigid multilayer wiring board.

절연성 피막에 유연성이 있다. 이 때문에, 하지(下地)에 요철이 있어서, 피막성이 좋기 때문에 표면이 평탄하게 된다.The insulating film has flexibility. For this reason, there is unevenness in the base (ground), and the surface is flat because of good coatability.

도전성 범프와 이에 접촉하는 배선과의 밀착 강도가 높아진다. 이 때문에, 비아 저항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adhesion strength between the conductive bump and the wiring that contacts the conductive bump increas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via resistance.

7. 후막 프로세스와 도전성 박막의 에칭 프로세스를 조합함으로써, 고밀도 다층 배선판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7. By combining the thick film process and the conductive thin film etch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high-density multilayer wiring board.

8. 실장 밀도가 높은 다층 배선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소형경량화, 다기능화에 기여한다.8. A multilayer wiring board with high mounting density can be provided. This contributes to making the electronic device smaller and lighter and more multifunctional.

9. 비유전률, 유전손실이 낮은 절연성 재료에 의해 절연 피막을 형성한다. 이 때문에, 전기신호 전반특성이 뛰어난 실장 배선판을 제작할 수 있다. 특히, ADFLEMA(나믹스사 상품명)의 OPE계를 이용하는 경우, 비유전률 및 유전정접이 낮아진다. 이 때문에 전기신호 전반특성이 뛰어난 실장 배선판을 제작할 수 있다. 또, 용제의 함유량이 많기 때문에, 용이하게 얇은 절연성 피막을 형성할 수 있다.9. Insulating film is formed by insulating material with low dielectric constant and low dielectric loss. Therefore, a mounting wiring board having excellent overall electric signal characteristics can be manufactured. In particular, when an OPE system of ADFLEMA (trade name of Namix Co.) is used, the dielectric constant and dielectric tangent are lower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wiring board having excellent overall electric sign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since the content of the solvent is large, a thin insulating film can be easily formed.

10. 도전성이 높은 배선 재료를 이용해, 배선 및 도전성 범프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열처리의 온도를 낮게 하고, 배선 막 두께를 얇게 하며, 또한, 배선폭을 가늘게 해도 전기신호 전반특성이 뛰어난 실장 배선판을 제작할 수 있다.10. Use a highly conductive wiring material to form wiring and conductive bump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wiring board with excellent electric signal characteristics even when the temperature of the heat treatment is reduced, the wiring film thickness is reduced, and the wiring width is reduced.

11. 일괄 적층에 의해 다층 배선판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순차 적층에 의해 다층 배선판을 제조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제조 공정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조 코스트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배선판 부재에 가해지는 열이력이 적다. 이 때문에, 부재 및 이들 부재에 의해 형성된 다층 배선판의 신뢰성이 높아진다.11. A multilayer wiring board can be manufactured by batch lamin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manufacturing steps compared with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by sequential lamin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Further, the thermal history applied to the wiring board member is small. Therefore, the reliability of the member and the multilayer wiring board formed by these members is enhanced.

12. 절연성 피막 재료에 절연성 필러를 분산하고 있다. 이에 의해, 코어 기판의 휘어짐에서 기인하는 쇼트나 오픈 등의 배선 접속 불량율을 저감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 수율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12. An insulating filler is dispersed in an insulating film material.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iring connection defect rate, such as shorting or opening, caused by the warp of the core substra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duction yield.

[도 1](a) 내지 (d)는 본 발명의 다층 배선판 부재의 제조방법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제 1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공정순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d)는 본 발명의 다층 배선판 부재의 제조방법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제 2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공정순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i)는 본 발명의 다층 배선판 부재의 제조방법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제 3 구체예를 나타내는 공정순서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i)는 본 발명의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제 1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공정순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d)는 본 발명의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제 2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공정순서 단면도이다.
[도 6](a) 및 (b)은 본 발명의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제 3 구체예를 나타내는 공정순서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d)는 각각, 본 발명의 다층 배선판 부재의 제조방법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하도 프로세스 혹은 상도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c)는 본 발명의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과 종래의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을 비교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도통 안정성의, 필러 유무에 대한 의존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a) 내지 (c)는 도전성 범프에 의한 도통성의, 필러 직경에 대한 의존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d) 내지 (f)는 도전성 범프에 의한 도통성의, 필러 첨가량에 대한 의존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a) 및 (b)는 각각, 도전성 범프의 막 두께(높이) 혹은 저항값의, 도전성 범프중에 첨가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양에 대한 의존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a) 내지 (c)는 본 발명의 다층 배선판 부재에 따른 사이즈 파라미터의 정의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3]비아 저항 측정용의 테스트 패턴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14](a) 내지 (d)는 종래의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순서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e)는 종래의 다층 배선판의, 도전성 범프의 상부의 수평 단면도이다.
* 도면부호의 간략한 설명 *
1,11,21 : 도전성박
2,12,22 : 도전성 범프
3,13,23 : 유동성 피막
5,15,27 : 절연성 미경화피막
4,14,24 : 절연성 필러
25 : 완전 경화에 이르지 않은 절연성 경화피막
51,53,57,58,59, 60 : 다층 배선판 부재
52 : 코어 기판
55,61 : 도전성박
54,62 : 레지스트 패턴
56,63 : 배선
66 : 다층 배선판
71,79 : 도전성박
72,73,74,76,77,78 : 다층 배선판 부재
75 : 코어 기판
80 : 절연성 필러
81,82 : 다층 배선판 부재
83 : 배선
84 : 레지스트 패턴
85 : 배선 기판
91, 95,96,100 : 코어 기판
92,97 : 절연성 미경화피막
93,98 : 절연성 필러
94,99 : 도전성 범프
121,123,125,127,129.133 : 다층 배선판 부재
122,126,131, 137 : 코어 기판
124,128,134,140 : 도전성박
130, 132,135,139 : 도전성 범프
136,138 : 절연성 미경화피막
201,207,208,213,214,219 : 코어 기판
202,206,209,212,215,218 : 배선
204,211,217 : 절연성 수지층
205 : 절연성 필러
203,210,216 : 도전성 범프
221 ; 도전성 범프
222 : 유동성 피막
223 : 절연성 미경화피막
231,232 : 측정 단자
233 : 제2층 배선
234 : 제일층 배선
235 : 비아
236 : 절연성 피막
501,505 : 도전성박
502 : 도전성 범프
503,506 ; 프리프레그 시트
508 : 파단 찌꺼기
507 : 도전성 범프면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a) to FIG. 1 (d)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eps of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to (d)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eps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Figs. 3 (a) to 3 (i)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third specific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a) to (i) are 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eps of a process for produc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 to Fig. 5 (d)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second specific example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a multilayer wir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a) and 6 (b)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eps of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a) to (d)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a undercoating process or a topcoating process,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8 (a) to (c) are cross-sectional views for comparing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Fig. 9 is a graph showing the dependency of conduction stability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ller.
10 (a) to (c) are graphs showing the dependency of the conductivity by the conductive bump on the filler diameter. (d) to (f) are graphs showing the dependency of the conductivity by the conductive bump and the filler addition amount.
11A and 11B are graphs showing the dependence of the film thickness (height) or resistance value of the conductive bump on the amou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added in the conductive bump.
12 (a) to (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definition of the size parameter according to the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test pattern for measuring via resistance.
[Fig. 14] (a) to (d) are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erspective view of a process sequence of a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e) is a horizontal sectional view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nductive bump of the conventional multilayer wiring board.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1,11,21: Conductive foil
2, 12, 22: conductive bump
3, 13, 23:
5, 15, 27: Insulating uncured film
4, 14, 24: Insulating filler
25: Insulation curing film not fully cured
51, 53, 57, 58, 59, 60:
52: core substrate
55,61: conductive foil
54,
56, 63: Wiring
66: Multilayer wiring board
71,79: Conductive foil
72, 73, 74, 76, 77, 78:
75: core substrate
80: Insulating filler
81, 82: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83: Wiring
84: Resist pattern
85: wiring board
91, 95, 96, 100: core substrate
92,97: Insulating uncured film
93,98: Insulating filler
94,99: Conductive bump
121, 123, 125, 127, 129.133:
122, 126, 131, 137: core substrate
124, 128, 134, 140:
130, 132, 135, 139: conductive bump
136, 138: Insulating uncured film
201, 207, 208, 213, 214,
202, 206, 209, 212, 215,
204, 211, 217: insulating resin layer
205: Insulating filler
203, 210, 216: conductive bump
221; Conductive bump
222: fluid film
223: Insulating non-cured film
231,232: Measurement terminal
233: Second layer wiring
234: First layer wiring
235: Via
236: insulating film
501, 505: conductive foil
502: Conductive bump
503,506; Prepreg sheet
508: Breaking residue
507: conductive bump face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best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다층 배선판 부재, 다층 배선판, 복합 다층 배선판)(A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a multilayer wiring board, a composite multilayer wiring board)

다층 배선판의 제조에 있어서는 다층 배선판을 구성하는 부품인 다층 배선판 부재(배선판용 부재, 또는 단순히, 배선판 부재)를 형성한다. 그러한 후, 이러한 복수의 다층 배선판 부재를 적층하고, 가열하에서 프레스하여 다층 배선판을 형성한다. 특히,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해 제조된 도전성 범프 밀도가 높은 다층 배선판 부재를 포함하는 표면 회로층과, 도전성 범프 밀도가 낮은 코어 기판을 적층함으로써, 얻어지는 다층 배선판을 복합 다층 배선판이라 부른다. 혹은, 코어 기판을 포함하는 복합 다층 배선판을 간단히 다층 배선판이라 부르는 경우도 있다. 코어 기판은 물리적 강성을 담당한다. 또한, 코어 기판에는 그만큼 미세하지 않은 전원 배선이나 접지 배선 등의 회로가 형성된다. 코어 기판의 표면 회로층에는 미세 배선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여 표면 회로층을 구성하는 다층 배선판 부재를 제조함으로써, 제조 코스트가 낮은 후막 프로세스와 미세 가공이 가능한 도전성 박막의 에칭 프로세스를 조합하여, 실장 밀도가 높은 복합 다층 배선판을 형성할 수 있다.In the production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a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a wiring board member, or simply, a wiring board member) which is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multilayer wiring board is formed. Then, such a plurality of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s are laminated and pressed under heating to form a multilayer wiring board. In particular, a multilayer wiring board obtained by laminating a surface circuit layer includ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having a high density of conductive bumps manufactured by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re substrate having a low conductive bump density is referred to as a composite multilayer wiring board. Alternatively, the composite multi-layer wiring board including the core substrate may be simply referred to as a multi-layer wiring board. The core substrate is responsible for physical stiffness. On the core substrate, a circuit such as power supply wiring or ground wiring which is not so small is formed. Fine wiring is formed on the surface circuit layer of the core substrate. A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constituting a surface circuit layer is manufactured by using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composite multilayer wiring board having a high mounting density by combining a thick film process with a low manufacturing cost and an etching process with a conductive thin film capable of micromachining .

(일괄 적층, 순차 적층, 코어/코어 적층)(Batch lamination, sequential lamination, core / core lamination)

일괄 적층이라 불리는 방법은 배선을 갖춘 다층 배선판 부재를 형성한 후, 복수의 다층 배선판 부재를 한 번에 적층 열프레스함으로써 다층 배선판을 제조하는 방법, 또는 복수의 다층 배선판 부재와 코어 기판을 한 번에 적층 열프레스함으로써 복합 다층 배선판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한편, 순차 적층이라 불리는 방법에서는 배선을 구비한, 또는 구비하지 않은 다층 배선판 부재를 형성하고, 그 위에 도전성박을 붙인다. 에칭에 의해 배선을 형성한 후, 그 위에, 다음의 다층 배선판 부재를 얹어, 적층 열프레스를 실시한다는 공정을 순차 반복한다. 이에 의해, 다층 배선판 또는 복합 다층 배선판을 제조한다.A method called batch lamination is a method in which a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having wiring is formed and then a plurality of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s are laminated and hot pressed at one time to produce a multilayer wiring board or a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s and a core substrate are laminated Laminated hot press to produce a composite multi-layer wiring board. On the other hand, in a method called sequential lamination, a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with or without wiring is formed, and a conductive foil is stuck thereon. The wiring is formed by etching, and then the following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is placed thereon, followed by lamination hot pressing. Thereby, a multilayer wiring board or a composite multilayer wiring board is manufactured.

일괄 적층은 공정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제조 코스트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배선판 부재에 가해지는 열이력이 적다. 이 때문에, 부재 및 이들 부재에 의해 형성된 다층 배선판의 신뢰성이 높다는 이점이 있다. 종래의 B2it에서는 일괄 적층을 실시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기술에서는 일괄 적층에 의한 다층 배선판의 제조를 쉽게 실시 가능하다.Since the batch lamination can reduce the number of step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Further, the thermal history applied to the wiring board member is small.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liability of the member and the multilayer wiring board formed by these members is high. In the conventional B 2 it,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batch lamination. According to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layer wiring board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the batch lamination.

한편, 순차 적층은 배선 패턴에 의한 얼라인먼트가 불필요하고, 도전성 범프의 얼라인먼트만 실시하면 된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다층 배선판 부재를 적층할 때마다, 에칭이나 적층 열프레스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공정수가 증가한다. 이에 의해, 제조 코스트가 비싸고, 열이력이 많아진다. 이 때문에, 부재의 신뢰성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quential lamination is advantageous in that alignment by a wiring pattern is unnecessary, and alignment of the conductive bumps only needs to be performed. However, each time the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is laminated, it is necessary to perform etching or laminated thermal press. This increases the number of processes. As a result,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and the thermal history is increas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of the member is lowered.

코어/코어 적층에서는 코어 기판과 코어 기판과의 사이에 1층의 절연성 피막을 배치한다. 그리고, 도전성 범프에 의해, 코어 기판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In the core / core lamination, a single-layer insulating film is disposed between the core substrate and the core substrate. The conductive bumps electrically connect the core substrates.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은 그 실시의 형태의 변형예로서 일괄 적층, 순차 적층 및 코어/코어 적층을 포함한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ch lamination, a sequential lamination and a core / core lamination as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배선판용 부재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member for wiring board)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배선판용 부재의 제조방법에서는 대략 원뿔대 모양, 또는 대략 원주상 등의 돌기형상 도전성 범프가 층간 접속부재로서 이용된다. 또, 지지 부재위에 고밀도로 형성된, 도전성 범프(도전성 범프군)의 위 및 주위에,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포한다. 이에 의해, 유동성 피막을 형성한다. 그 후, 절연성 수지 배합액의 수지를 실질적으로 경화 반응시키지 않는 조건에서, 용제를 휘발시킴으로써, 상기 유동성 피막을 고화시킴과 동시에, 막 두께 감소시킨다. 이에 의해, 이 유동성 피막을 절연성 피막으로 한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member for a wiring boar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ing conductive bumps such as a truncated cone or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re used as interlayer connecting members. The insulating resin compounding liquid is applied on and around the conductive bumps (conductive bump group) formed at high density on the supporting member. Thus, a fluid coating is formed. Thereafter, the solvent is volatiliz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resin of the insulating resin blend liquid is not substantially subjected to the curing reaction, thereby solidifying the fluidized film and decreasing the film thickness. This makes the fluid coating film an insulating coating.

종래에는 도전성 범프를 노출시키지 않고 다층 배선판 부재를 적층 프레스하면, 층간의 전기적 접속을 실현할 수 없다, 라고 생각되어졌다. 그러나, 본원의 발명자 등은 도전성 범프를 노출시키는 것은 필수가 아니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본원의 발명자 등은 배선판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절연성수지를 미경화피막인 상태에서 적층하고, 이것을 열프레스 함으로써, 다층 배선판 혹은 복합 다층 배선판을 제작하는 것 및 이 방법에 의하면, 층간의 전기적 접속을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실현 가능한 것을 처음으로 알아냈다. 이 방법으로 제조된, 다층 배선판 혹은 복합 다층 배선판의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이 양호하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또, 본원 발명에 따른 다층 배선판에서는 도전성 범프를 노출시키는 경우, 공정수는 증가하지만, 도전성 범프를 노출시키지 않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밀도 실장에 대응 가능하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전성 범프를 노출시키는 경우와 비교해 배선간의 도통 안정성은 한층 더 향상한다. 도전성 범프를 노출시키는 경우, 상기 유동성 피막의 용제의 적어도 일부를 증발시킴으로써, 상기 절연성 피막의 막 두께를 감소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도전성 범프의 선단부를 상기 절연성 피막 위로 돌출시킨다는 공정이 추가된다. 도전성 범프 위에 단순히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얇게 바르는 것 만으로는 도전성 범프의 선단부에 수지 배합액이 남는다. 도전성 범프의 높이보다 두껍게 수지 배합액을 도포하고나서 용제를 증발시키면, 재현성 좋게 도전성 범프를 노출할 수 있다.In the past, it has been thought that i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s are laminated and pressed without exposing the conductive bumps,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layers can not be realized. However,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it is not essential to expose the conductive bump. That is,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ve found that a multilayer wiring board or a composite multilayer wiring board is manufactured by laminating an insulating resin for electrically separating a wiring board in the state of uncured coating and hot pressing the same, For the first time with high stability. It has also been confirme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or the composite multilayer wiring board manufactured by this method is good. Further, in the multilayer wir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ductive bumps are exposed, the number of processes increases, but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cope with high-density packaging, as in the case where the conductive bumps are not exposed. The conduction stability between the wirings is further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conductive bumps are exposed. When the conductive bump is exposed, the film thickness of the insulating film is reduced by evaporating at least a part of the solvent of the fluid film. Thereby, a step of protruding the tip of the conductive bump onto the insulating film is added. The resin compounding liquid remains at the tip of the conductive bump only by thinly applying the insulating resin compounding liquid on the conductive bump. The conductive bump can be exposed with good reproducibility by applying the resin compounding liquid thicker than the height of the conductive bump and evaporating the solvent.

덧붙여 본원 명세서에서는 수지 배합액의 도포후이면서, 막두께 감소전의 절연성 피막을 유동성 피막이라고 부른다. 한편, 막두께 감소후 이면서, 경화 반응 개시전의 절연성 피막을 절연성 미경화피막이라 부른다. 이에 의해, 양자를 구별한다.Incidentally,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insulating coating before application of the resin blend solution and before the film thickness is reduced is referred to as a fluid coating. On the other hand, the insulating film before the initiation of the curing reaction is called the insulating uncured film while the film thickness is decreased. By this, they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서는 B2it와 같은 관통에 의해, 도전성 범프의 선단을 절연성 피막 위에 돌출시키는 제조방법과는 달리, 절연성 피막을 도전성 범프 주위에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도전성 범프 및 절연성 피막에 대해 기계적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은 절연성 피막의 기계적 내구성 면에서, 도전성 범프의 고밀도화에 대응 가능하다. 또, 도전성 범프의 바닥면 직경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전성 범프의 어스펙트비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도전성 범프 형상의 설계 마진 및 제조 조건의 마진을 크게 취할 수 있다. 따라서, 다층 배선판의 제조 수율이 향상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manufacturing method of protruding the tip of the conductive bump on the insulating film by penetration like B 2 it, in the step of forming the insulating film around the conductive bump, mechanical pressure is applied to the conductive bump and the insulating film It does no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cope with high density of conductive bumps in terms of mechanical durability of the insulating film.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diame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uctive bump.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spect ratio of the conductive bump. Therefore, the design margin of the conductive bump shape and the margin of the manufacturing conditions can be increased. Thus, the production yield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is improved.

여기서, 본 발명의 다층 배선판용 부재는 용제에 용해한 수지를 범프군의 주위에 캐스팅시킴으로써, 도전성 범프 주변을 충분히 적신 후, 건조/고화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절연성 미경화피막인 것에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도전성 범프와 수지와는 긴밀한 밀착 구조를 갖는다. 한편, 종래의, 예를 들어 B2it에 있어서의 절연성 수지는 일반적으로 B스테이지라 불리는 용제를 증발시킨 고체 시트이다. B2it에서는 이 고체 시트를 열로 연화시킴으로써, 이 시트에 도전성 범프를 관통시킨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관통은 억지스러운 파단에 의한 천공이다. 이 때문에, 범프 주변에 틈새가 생기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비해, 도전성 범프와 수지와의 밀착 신뢰성이 떨어진다.Here, the member for a multilayer wiring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 insulating uncured film obtained by sufficiently wetting the periphery of the conductive bump by casting a resin dissolved in a solvent around the bump group, followed by drying / solidifying. Therefore, the conductive bump and the resin have a close contact structure. On the other hand, a conventional insulating resin in B 2 it, for example, is a solid sheet in which a solvent called a B stage is generally evaporated. In B 2 it, this solid sheet is softened by heat so that the conductive bump penetrates the sheet. In this method, the penetration is a perforation due to an intractable fracture. Therefore, a gap may be formed around the bumps. Therefore, the adhesion reliability between the conductive bump and the resin is lowered compared with the present invention.

(절연성 필러의 분산)(Dispersion of insulating filler)

앞서 기술한 기판의 휘어짐에 의한, 층간 배선 접속 불량이라고 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의 발명자 등은 다층 기판의 층간 절연막 중에, 절연성의 필러를 분산시키는 것이 지극히 유효하다는 것을 찾아냈다.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ve found that it is extremely effective to disperse an insulating filler in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of a multilayer substrate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of interlayer interconnection connection defect due to warping of the substrate.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배선판은 제 1의 도체층과 제 2의 도체층과의 사이에 형성된 도전성 범프군과 상기 도전성 범프군 주위에 형성된, 도통성 안정화를 위한 절연성 필러를 포함하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절연성 필러의 평균 입경은 적층 열프레스 후의 도전성 범프군의 평균 높이의 20%이상, 100%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multilayer wir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ductive bump group formed between the first conductor layer and the second conductor layer and an insulating layer formed around the conductive bump group and including an insulating filler for stabilizing conductivity .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insulating fill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0% or more and 100% or less of the average height of the conductive bump group after laminated hot pressing.

도 8(a)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배선 기판의 단면도이다. 코어 기판(201)과 코어 기판(207)이, 절연성 필러(205)를 분산한 절연성 수지층(204)를 통해 적층되어 있다. 코어 기판(201)측의 배선과 코어 기판(207)측의 배선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일부의 배선 영역은 도전성 범프(203)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코어 기판에는 예를 들면, 중앙부에서 돌출한 형상의 커다란 휘어짐이 있다. 그 때문에, 코어 기판 주변부에서는 코어 기판간의 거리가 크다. 이 때문에, 기판 주변부에 있어서의 층간 접속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코어 기판을 충분히 근접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절연성 필러가 분산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도 8(b)에 나타내었듯이, 기판 중앙부의 배선이 쇼트해 버린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면, 절연성 수지층(204)에, 가압에 대한 변형이 적은 실리카 등의 절연성 필러가 분산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8(a)에 나타내었듯이, 기판 중앙부에 있어서도, 배선의 쇼트가 발생하기 어렵다.8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layer wir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substrate 201 and the core substrate 207 are laminated via the insulating resin layer 204 in which the insulating filler 205 is dispersed. The wiring on the core substrate 201 side and the wiring on the core substrate 207 side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Some of the wiring region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conductive bumps 203. In the core substrate, for example, there is a large warp in a shape protruding from the central portion.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core substrates at the periphery of the core substrate is large. Therefore, in order to realize the interlayer connection at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substrate, the core substrate must be brought close enough. When the insulating filler is not dispersed, as shown in Fig. 8 (b), the wiring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bstrate is short-circuit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ulating resin layer 204 is dispersed in the insulating filler such as silica, which is hardly deformed by pressing. Therefore, as shown in Fig. 8 (a), shorting of the wiring is unlikely to occur even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bstrate.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배선판은 합선 방지용 절연성 필러를 포함하는 절연층을 구성 요소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합선 방지용 절연층'은 복수의 도체 간의 합선을 방지하는 것만이 아니라, 다층 배선판에 있어서의 층간의 전기접 접속에 이용되는 도전성 범프에 의한 상하 방향의 도통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 및 합선 방지를 위해서, 절연층의 두께를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이용된다.As described above, the multilayer wir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ulating layer including the insulating filler for short circuit prevention is a constituent element. This 'short-circuit prevention insulating layer' not only prevents short-circuit between a plurality of conductors but also prevents short-circuit continuity caused by conductive bumps used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layers in the multilayer wiring board, For the purpose of securing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박막 프로세스와 후막 프로세스)(Thin film process and thick film process)

일반적으로 다층 배선판의 제조에 이용되는 가공 기술은 박막 프로세스와 후막 프로세스와로 분류된다.In general, the processing techniques used in the manufacture of multilayer wiring boards are classified as thin film processes and thick film processes.

박막 프로세스는 진공 프로세스나 습식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하는 가공 기술이다. 박막 프로세스에 이용되는 막 형성 기술로서는 증착, 스패터, CVD, PVD, 도금 등을 들 수 있다. 또, 패턴 형성 기술로서는 포토리소그래피, 드라이 에칭 등의 기술을 들 수 있다. 배선판 또는 프린트 배선판이라 불리는 실장 배선판에 관해서는 일반적으로, 50㎛/50㎛ 레벨 이하의 미세한 배선/스페이스폭의 가공에, 세미 애디티브 수법 등의 박막 프로세스가 이용되고 있었다. 이 프로세스에 의하면, 미세한 패턴의 가공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프로세스에는 제조 코스트가 비싸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The thin film process is a processing technology centered on vacuum process or wet process. Examples of the film forming technique used in the thin film process include vapor deposition, sputtering, CVD, PVD, plating and the like. Examples of the pattern forming technique include photolithography and dry etching. As for a wiring board called a wiring board or a printed wiring board, a thin film process such as a semiadditive method has generally been used for processing a fine wiring / space width of 50 μm / 50 μm or less. According to this process, fine pattern processing is possibl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in this process.

이에 대해, 후막 프로세스는 대표적으로는 스크린 인쇄 등의 인쇄를 중심으로 하는 가공 기술이다. 후막 프로세스는 드라이 프로세스이면서 대기하에서의 프로세스이다. 후막 프로세스는 박막 프로세스보다 제조 코스트를 저감 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On the other hand, the thick film process is typically a processing technique centered on printing such as screen printing. The thick film process is a dry process and a process under the atmosphere. The thick film proces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compared to the thin film process.

예를 들면, 100㎛ 이하의 배선폭을 갖는 배선 밀도가 높은 다층 배선판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동시에, 층간 접속 비아인 돌기형상의 도전성 범프의 바닥면 직경을 100㎛ 이하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법인 절연성 수지의 프리프레그 시트를 도전성 범프에서 관통하는 제조방법에서는 현상의 프리프레그의 두께가 최저라도 30㎛ 이상이다. 도전성 범프에 의해 그 두께를 안정적으로 관통하기 위해서는 도전성 범프의 높이를 프리프레그의 두께의 약 3배 이상으로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도전성 범프 직경의 미세화를 위해서는 도전성 범프의 어스펙트비를 크게 하지 않을 수 없어, 100㎛Φ이하의 미세한 도전성 범프의 형성은 지극히 어려웠다. 종래, 100㎛ 이하의 비아 직경 및 배선폭을 갖는 고밀도 배선판을실현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제조 코스트 및 제조 설비 투자액이 고가인 박막 프로세스(예를 들면, 세미 애디티브법에 따른 미세 배선 패턴의 형성, 포토 비아법에 따른 미세 비아의 형성이 이용되고 있었다.For example, in order to fabricate a multilayer wiring board having a wiring density of 100 占 퐉 or less and having a high wiring density, it is necessary to set the bottom diameter of the projecting conductive bump, which is an interlayer connection via, to 100 占 퐉 or less. However, in the conventional production method of penetrating the prepreg sheet of the insulating resin through the conductive bumps, the thickness of the prepreg at the development is at least 30 탆 or more. In order to stably penetrate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bump by the conductive bump, it is necessary to make the height of the conductive bump at least about three times the thickness of the prepreg. Therefore, in order to miniaturize the diameter of the conductive bump,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aspect ratio of the conductive bump, and formation of the minute conductive bump of 100 탆 or less is extremely difficult. Conventionally, in order to realize a high-density wiring board having a via diameter and a wiring width of 100 mu m or less, a thin film process (for example, formation of a fine wiring pattern according to the semiadditive method, Formation of a minute via according to the photovia method has been used.

(유기 배선판)(Organic wiring board)

일반적으로, 다층 배선판은 기판 재료에 의해, 유기 배선판과 무기 배선판으로 분류된다. 본 발명은 절연성 기판의 재료로서 유기 재료를 이용하는 유기 배선판을 대상으로 한다.Generally, the multilayer wiring board is classified into an organic wiring board and an inorganic wiring board by a substrate material.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n organic wiring board using an organic material as a material of an insulating substrate.

(절연층, 도체층에 관한 용어의 정의)(Definition of Terminology for Insulating Layer and Conductor Layer)

본원 명세서에서는 절연층에 관한 용어를 이하와 같이 정의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relating to an insulating layer are defined as follows.

절연성 수지를 용제에 용해시킨 상태의 액체를 '절연성 수지 배합액'이라고 부른다. 이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부재 위에 도포한 후, 용제를 휘발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막을 '절연성 미경화피막'이라 부른다. 이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가열해, 절연성 미경화피막에 포함되는 수지를 경화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막을 '절연성 피막'이라고 부른다. 도체층 또는 코어 기판에 적층된 상태의 절연성 피막을 '절연층'이라고 부른다.A liquid in which the insulating resin is dissolved in a solvent is referred to as an " insulating resin blend liquid ". The film obtained by applying this insulating resin compounding liquid onto a member and then volatilizing the solvent is called an " insulating uncured film ". The film obtained by heating the insulating uncured coating film and curing the resin contained in the insulating uncured coating film is referred to as an " insulating film. &Quot; The insulating film in a state of being laminated on a conductor layer or a core substrate is called an " insulating layer ".

또, '도체층'은 금속 등의 도전성이 높은 층을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도체 패턴층, 평탄화층, 도체 패드층을 포함한다.The term "conductor layer" refers to a layer having high conductivity such as metal, and includes, for example, a conductor pattern layer, a planarization layer, and a conductor pad layer.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다층 배선판 부재 및 그 제조방법][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층 배선판 부재의 제조방법의 제 1 구체예)(First Specific Example of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도 1(a) 내지 (d)는 본 발명의 다층 배선판 부재의 제조방법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제 1 구체예를 나타내는 공정순서 단면도이다. 우선, 동박 등의 도전성박(1)을 준비한다(도 1(a)). 이어서, 도전성박(1) 위의 소정 위치에, 도전성 범프(2)를 형성한다(도 1(b)). 도전성 범프(2)의 형상은 대략 원뿔대형, 또는 대략 원주상 등, 저부의 직경보다 선단부 단면의 직경이 작은 형상이라고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범프는 예를 들면, 도전성 페이스트의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된다. 도전성 범프(2)의 재료가 되는 도전성 페이스트로서는 예를 들면, 액상수지 안에 금속 알갱이(은, 금, 동, 솔더 등)을 분산시키고, 필요에 따라 휘발성 용제를 혼합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 것을 이용한다. 도전성 범프는 소정의 형상 및 소정의 높이가 되도록 인쇄된다. 1회의 스크린 인쇄에서는 필요한 높이를 얻을 수 없는 경우, 필요에 따라서 마스크의 형상을 변화시키면서, 반복 인쇄를 실시해도 좋다. 이어서, 절연성 필러(4)를 분산시킨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전성 범프(2)의 위 및 주위에 도포하는 것에 의해, 유동성 피막(3)을 형성한다(도 1(c)). 이어서, 유동성 피막(3)을 건조시켜 용제를 증발시킨다. 이에 의해, 절연성 미경화피막(5)를 얻는다. 이에 의해, 다층 배선판의 부품이 되는 배선판 부재가 완성한다(도 1(d)). 도 1(d)에 나타내었듯이, 제 1의 구체예에서는 절연성 미경화피막(5)는 도전성 범프(2)의 높이보다 두껍다. 이것은 도 1(d)의 단계에 있어, 도전성 범프를 노출시키는 것은 필요없는 것을 나타낸다.1 (a) to 1 (d)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eps of the first embodiment in accordance with the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 conductive foil 1 such as a copper foil is prepared (Fig. 1 (a)). Then, conductive bumps 2 are form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n the conductive foil 1 (Fig. 1 (b)).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conductive bump 2 is a shape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ttom portion, such as a substantially conical shape or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he conductive bump is formed, for example, by screen printing of a conductive paste. As the conductive paste to be the material of the conductive bump 2, for example, those obtained by dispersing metal particles (silver, gold, copper, solder, etc.) in a liquid resin and mixing the volatile solvent as necessary are used. The conductive bumps are print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and a predetermined height. If necessary height can not be obtained in one screen printing, repeated printing may be performed while changing the shape of the mask if necessary. Next, a liquid coating film 3 is formed by coating an insulating resin compound liquid in which the insulating filler 4 is dispersed on and around the conductive bump 2 (Fig. 1 (c)). Subsequently, the fluid coating 3 is dried to evaporate the solvent. Thus, an insulating uncured film 5 is obtained. As a result, a wiring board member to be a component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is completed (Fig. 1 (d)). 1 (d), in the first specific example, the insulating uncured film 5 is thicker than the conductive bump 2. This indicates that, in the step of FIG. 1 (d), it is not necessary to expose the conductive bump.

(다층 배선판 부재의 제조방법의 제 2의 구체예)(Second Specific Example of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도 2(a) 내지 (d)는 본 발명의 다층 배선판 부재의 제조방법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제 2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공정순서 단면도이다. 우선, 동박 등의 도전성박(11)을 준비한다(도 2(a)). 이어서, 도전성박(11) 위의 소정 위치에, 도전성 범프(12)를 형성한다(도 2(b)). 도전성 범프(12)의 형상은 대략 원뿔대 모양, 또는 대략 원주상 등, 저부의 직경보다 선단부 단면의 직경이 작은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범프는 예를 들면, 도전성 페이스트의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된다. 도전성 범프(12)의 재료가 되는 도전성 페이스트로서는 예를 들면, 액상수지 안에 금속 알갱이(은, 금, 동, 솔더 등)을 분산시켜, 필요에 따라 휘발성 용제를 혼합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 것을 이용한다. 도전성 범프는 소정의 형상 및 소정의 높이가 되도록 인쇄된다. 1회의 스크린 인쇄에서는 필요한 높이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 필요에 따라서 마스크의 형상을 변화시키면서, 반복 인쇄를 실시해도 좋다. 이어서, 절연성 필러(14)를 분산시킨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전성 범프(12)의 위 및 주위에 도포하는 것에 의해, 유동성 피막(13)을 형성한다(도 2(c)). 이어서, 예를 들면 건조로에서 가열함으로써, 유동성 피막(13)에 포함되는 휘발 성분을 소정량 증발시킨다. 이에 의해, 유동성 피막(13)의 막 두께를 감소시켜, 절연성 미경화피막(15)를 얻는다. 이에 의해, 다층 배선판의 부품이 되는 배선판 부재가 완성한다(도 2(d)). 이 때, 유동성 피막(13)의 막 두께가 감소하고, 그 결과, 도전성 범프(12)의 선단부가 노출하도록, 절연성 수지 배합액에 포함되는 휘발 성분의 양 및 가열 조건을 조정한다.Figs. 2 (a) to 2 (d)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eps of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 conductive foil 11 such as a copper foil is prepared (Fig. 2 (a)). Next, conductive bumps 12 are form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n the conductive foil 11 (Fig. 2 (b)).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ductive bumps 12 have a shape such as a truncated con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or the like, and the diameter of the distal end section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ttom. The conductive bump is formed, for example, by screen printing of a conductive paste. As the conductive paste to be the material of the conductive bumps 12, for example, those obtained by dispersing metal particles (silver, gold, copper, solder or the like) in a liquid resin and mixing the volatile solvent as necessary are used. The conductive bumps are print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and a predetermined height. In a case where a necessary height is not obtained in one screen printing, it is also possible to perform repetitive printing while changing the shape of the mask as necessary. Next, a liquid coating film 13 is formed by coating an insulating resin mixture liquid in which the insulating filler 14 is dispersed on and around the conductive bumps 12 (Fig. 2 (c)). Next, a predetermined amount of volatil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fluid coating film 13 is evaporated, for example, by heating in a drying furnace. Thereby, the film thickness of the fluid coating film 13 is reduced to obtain the insulating uncured film 15. As a result, a wiring board member to be a component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is completed (Fig. 2 (d)). At this time, the amount of the volatile component contained in the insulating resin blend liquid and the heating conditions are adjusted so that the film thickness of the fluid coating film 13 decreases, and as a result, the front end of the conductive bump 12 is exposed.

(다층 배선판 부재의 제조방법의 제 3 구체예)(Third Specific Example of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도 3(a) 내지 (i)는 본 발명의 다층 배선판 제조방법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제 3 구체예를 나타내는 공정순서 단면도이다. 우선, 동박 등의 도전성박(21)을 준비한다(도 3(a)). 이어서, 도전성박(21) 위의 소정 위치에, 도전성 범프(22)를 형성한다(도 3(b)). 도전성 범프(22)의 형상은 대략 원뿔대 모양, 또는 대략 원주상 등, 저부의 직경보다 선단부 단면의 직경이 작은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범프는 예를 들면, 도전성 페이스트의 스크린 인쇄에 의해 형성된다. 도전성 범프(22)의 재료가 되는 도전성 페이스트로서는 예를 들면, 액상수지 안에 금속 알갱이(은, 금, 동, 솔더 등)을 분산시켜, 필요에 따라 휘발성의 용제를 혼합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 것을 이용한다. 도전성 범프는 소정의 형상 및 소정의 높이가 되도록 인쇄된다. 1회의 스크린 인쇄에서는 필요한 높이를 얻을 수 없는 경우, 필요에 따라서 마스크의 형상을 변화시키면서, 반복 인쇄를 실시해도 좋다. 이어서, 절연성 필러(24)를 분산시킨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전성 범프(22)의 위 및 주위에 도포하는 것에 의해, 유동성 피막(23)을 형성한다(도 3(c)). 이어서, 예를 들면 건조로에서 가열함으로써, 유동성 피막(23)에 포함되는 휘발 성분을 소정량 증발시킨다. 이에 의해, 유동성 피막(23)의 막 두께 감소시켜, 절연성 미경화피막(25)를 얻는다(도 3(d)). 이 때, 유동성 피막(23)의 막 두께가 감소하고, 그 결과, 도전성 범프(22)의 선단부가 노출하도록, 절연성 수지 배합액에 포함되는 휘발 성분의 양 및 가열 조건을 조정한다. 막 두께 감소 공정에 있어서의 가열에 의해, 절연성 미경화피막(23)의 유동성이 변화한다. 이에 의해, 절연성 피막(25)가 형성된다. 절연성 피막(25)의 가열 조건은 경화 반응이 개시하지만, 완전 경화에는 이르지 않은 정도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절연성 피막을 적층했을 때의 밀착성을 열화시키는 일 없이, 이면에 도전성 패턴을 형성할 때의, 배선판의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이어서, 막 두께가 감소한 절연성 피막(25) 및 도전성 범프(22) 위에, 보호막(26)을 라미네이트에 의해 형성한다(도 3(e)). 보호막(26)은 도전성 범프(22)의 선단부에 의해 함몰되는 유기 수지 필름(예를 들면, 크레랩(krewrap), 파이렌(Pylen), 나일론, PET, PPT, 또는 PI)로 이루어진다. 보호막(26)는 후속 공정인 이면에 있어서의 도전성 패턴의 인쇄시에, 도전성 범프(22)를 변형이나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이어서, 절연성 피막(25)의 이면의 도전성박(21) 위에, 예를 들면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이어서, 습식 에칭에 의해,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도전성박(21)을 에칭한다. 이에 의해, 레지스트 패턴을 제거하고, 배선(27)을 형성하여, 보호막(26)을 박리한다(도 3(g)). 이어서,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전성 범프(22)의 위 및 주위에 도포하는 것에 의해, 유동성 피막(28)을 형성한다(도 3(h)). 이어서, 예를 들면 건조로에서 가열함으로써, 유동성 피막(28)에 포함되는 휘발 성분을 소정량 증발시킨다. 이에 의해, 유동성 피막(28)의 막 두께 감소시켜, 절연성 미경화피막(29)를 얻는다. 이에 의해, 배선판 부재가 완성한다(도 3(i)). 절연성 피막(29)가 미경화피막이다. 이 때문에, 절연성 피막(29)와 절연성 피막(29)에 접하도록 적층되는 부재와의 밀착성이 개선된다.3 (a) to 3 (i)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eps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 conductive foil 21 such as a copper foil is prepared (Fig. 3 (a)). Then, conductive bumps 22 are form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n the conductive foil 21 (Fig. 3 (b)). The conductive bump 22 preferably has a shape such as a truncated con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or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of the distal end face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ttom. The conductive bump is formed, for example, by screen printing of a conductive paste. As the conductive paste to be the material of the conductive bumps 22, for example, those obtained by dispersing metal particles (silver, gold, copper, solder, etc.) in a liquid resin and mixing volatile solvents as necessary are used. The conductive bumps are print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shape and a predetermined height. If necessary height can not be obtained in one screen printing, repeated printing may be performed while changing the shape of the mask if necessary. Next, a liquid coating film 23 is formed by coating an insulating resin mixture liquid in which the insulating filler 24 is dispersed on and around the conductive bumps 22 (Fig. 3 (c)). Subsequently, for example, by heating in a drying furnace, a predetermined amount of volatil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fluid coating film 23 is evaporated. Thereby, the film thickness of the fluid coating film 23 is reduced to obtain the insulating uncured film 25 (Fig. 3 (d)). At this time, the amount of the volatile component contained in the insulating resin mixture liquid and the heating conditions are adjusted so that the film thickness of the fluid film 23 decreases and as a result, the tip of the conductive bump 22 is exposed. By the heating in the film thickness reducing step, the fluidity of the insulating uncured coating film 23 is changed. Thus, the insulating coating 25 is formed.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ing condition of the insulating film 25 is adjusted to such an extent that the curing reaction starts but does not reach full curing. This makes it easy to handle the wiring board when the conductive pattern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without deteriorating the adhesion when the insulating coating is laminated. Then, a protective film 26 is formed on the insulating film 25 and the conductive bump 22 with reduced film thickness by lamination (Fig. 3 (e)). The protective film 26 is made of an organic resin film (for example, krewrap, Pylen, nylon, PET, PPT, or PI) which is recessed by the tip of the conductive bump 22. The protective film 26 is formed in order to protect the conductive bumps 22 from deformation or damage during the printing of the conductive pattern on the rear side, which is a subsequent process. Then, a resist pattern is formed on the conductive foil 21 on the back surface of the insulating film 25 by, for example, photolithography. Subsequently, the conductive foil 21 is etched by wet etching using the resist pattern as a mask. Thus, the resist pattern is removed, wiring lines 27 are formed, and the protective film 26 is peeled off (FIG. 3 (g)). Subsequently, a liquid coating film 28 is formed by applying a liquid mixture of the insulating resin onto and around the conductive bumps 22 (Fig. 3 (h)). Subsequently, a predetermined amount of volatil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fluid coating 28 is evaporated, for example, by heating in a drying furnace. Thereby, the film thickness of the fluid coating film 28 is reduced to obtain the insulating uncured film 29. This completes the wiring board member (Fig. 3 (i)). The insulating coating 29 is an uncured coating. Therefore, the adhesion between the insulating coating 29 and the member to be laminated so as to contact the insulating coating 29 is improved.

[제조방법, 재료 등에 관한 상세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Manufacturing Method, Material, etc.]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다층 배선판 부재를 구성하는 도전성 범프, 절연성 피막 및 배선에 관한, 매우 적합한 제조방법, 재료 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a highly suitable manufacturing method, materials, and the like regarding the conductive bumps, the insulating film and the wiring constituting the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도전성 범프의 형성)(Formation of conductive bump)

1. 도전성 페이스트의 조정 공정1. Adjustment process of conductive paste

사용되는 도전성 페이스트는 수지 조성물 및 도전성 입자를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키는 것에 의해 조정된다.The conductive paste to be used is adjusted by dissolving or dispersing the resin composition and the conductive particles in a solvent.

2. 도전성 페이스트의 인쇄 및 건조/고화 공정2. Printing and drying / solidification process of conductive paste

도전성 범프는 예를 들면, 스크린 인쇄법을 이용해 형성된다. 즉, 도전성 범프는 소정의 마스크를 이용해 도전성 페이스트를 배선판 위 혹은 지지 기판 위에 인쇄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소정의 높이 및 어스펙트비를 갖는 도전성 범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필요에 따라서 상이한 마스크를 이용하면서, 여러 차례의 인쇄를 실시해도 좋다.The conductive bumps are formed by, for example, a screen printing method. That is, the conductive bumps are formed by printing a conductive paste on a wiring board or a supporting substrate using a predetermined mask. In order to form the conductive bumps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nd aspect ratio, printing may be performed a plurality of times using different masks as necessary.

(절연성 피막의 형성)(Formation of insulating film)

1. 절연성 수지 배합액의 조제 공정1. Preparation process of insulating resin blend liquid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키는 것에 의해,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조정한다.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유기용매를 이용한다. 유기용매의 예로서는 케톤계 용매, 방향족계 용매를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로서는 메틸에틸케톤 및 메틸이소부틸케톤, 후자로서는 톨루엔 및 크실렌을 들 수 있다.The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is dissolved or dispersed in a solvent to adjust the liquid composition of the insulating resin. As the solvent, for example, an organic solvent is used. Examples of the organic solvent include a ketone solvent and an aromatic solvent. Examples of the former include methyl ethyl ketone and methyl isobutyl ketone, and the latter examples include toluene and xylene.

동시에, 절연성 필러를 용매중에 분산시킨다. 절연성 필러는 용매중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성 수지 조성물에 대한 절연성 필러의 첨가량은 10vol%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e same time, the insulating filler is dispersed in the solvent. The insulating filler is preferably uniformly dispersed in the solvent. The addition amount of the insulating filler to the insulating resin composition is preferably 10 vol% or more.

용매의 사용량에 대해서는 용매의 증발에 의해 도전성 범프의 노출을 적절히 행하기 위해서, 절연성 수지 배합액중의 휘발 성분의 함유량이, 적정한 범위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N. V.(불휘발성 수지성분의 함유량)이 10중량%~80중량%의 범위가 되도록, 수지를 용매로 희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절연성 수지 배합액의 점도는 100~600 mPaㆍS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도가 너무 작으면, 수지 배합액의 도포시에, 수지 배합액이 흘러내리기 때문에, 수지 배합액을 도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긴다. 점도가 너무 크면, 도포 표면의 평탄성이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Regarding the amount of the solvent used, it is preferable to adjust the content of the volatile component in the insulating resin mixed solution to be within an appropriate range in order to expose the conductive bump appropriately by evaporation of the solvent.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dilute the resin with a solvent such that NV (content of the nonvolatile resin component) is in the range of 10 wt% to 80 wt%. The viscosity of the insulating resin blend liquid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00 to 600 mPa 占 퐏. If the viscosity is too small,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resin compounding liquid can not be applied because the resin compounding liquid flows down during application of the resin compounding liquid. If the viscosity is too large, there arises a problem that the flatness of the applied surface is deteriorated.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배선판의 절연성 피막의 제조에 이용하는 에폭시수지 및 올리고페닐렌에테르수지는 모두 상온에서는 고체이고, 100℃정도까지의 온도에서 열연화성을 나타내는 수지이다. 분말 또는 필름상의, 고체의 재료를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하여 필요에 따라 가열하는 것에 의해, 수지 배합액(액체)를 얻는다. 수지 배합액을 기판에 도포한 후, 건조하여 상온으로 되돌린다. 이에 의해, 수지 배합액이 피막(고체)로 변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배선판의 제조에는 특히, 건조/고화 온도가 60℃이상, 160℃이하의 범위에 머물도록 하는 용제와 수지와의 조합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poxy resin and the oligophenylene ether resin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insulating film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ll solid at room temperature and exhibit a hot-rolling property at a temperature up to about 100 캜. The solid material in the form of powder or film is dissolved or dispersed in a solvent and heated as necessary to obtain a resin blend liquid (liquid). After the resin compounding liquid is applied to the substrate, it is dried and returned to room temperature. Thereby, the resin blend liquid changes into a film (solid). In the production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articularly preferable to use a combination of a solvent and a resin so that the drying / solidifying temperature stays in the range of 60 ° C or higher and 160 ° C or lower.

2. 절연성 수지 배합액의 코팅 공정2. Coating Process of Insulating Resin Blend

얻어진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전성 범프를 갖는 지지체 위에 코팅하는 것에 의해, 절연성 피막을 형성한다. 코팅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닥터 블레이드법, 커튼 코터법, 마이크로 그라비아법, 슬롯 다이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코팅 공정에서는 절연성 피막을 도전성 범프의 높이보다 두껍게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범프의 높이보다 두껍게 코팅한 후, 도전성 범프의 높이보다 얇아질 때까지 절연성 피막을 막 두께 감소시키면, 재현성 좋게, 도전성 범프를 균일하게 노출시킬 수 있다.The obtained insulating resin mixed solution is coated on a support having conductive bumps to form an insulating film. The coat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use a doctor blade method, a curtain coater method, a micro gravure method, and a slot die method. In the coating step, it is preferable to coat the insulating film thicker than the conductive bump. If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film is reduced until the height of the conductive bump is thinner than the height of the conductive bump after coating the conductive bump to a height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conductive bump, the conductive bump can be uniformly exposed with good reproducibility.

3. 용매 증발 공정3. Solvent Evaporation Process

용매 증발 공정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배선판 부재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실시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용매 증발을 실시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보다 높은 배선 접속 안정성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코팅한 절연성 피막을 가열, 또는 자연 건조시키는 것에 의해, 절연성 피막중의 휘발 성분을 증발시킨다. 이에 의해, 절연성 피막의 막 두께를 감소시킨다. 용제의 종류, 건조기의 배기풍속, 풍량 등에 맞춰, 소정 온도에 대한 처리 시간을 적절히 조정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소정 온도에 대한 처리 시간은 80~120℃, 1~30분 정도로 설정된다.The solvent evaporation process is not necessarily performed in the production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is possible to obtain higher wiring connection stability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solvent evaporation is not performed. More specifically, the coated insulating film is heated or naturally dried to evaporate the volatile component in the insulating film. This reduces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film.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adjust the processing time for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the solvent, the air flow rate of the dryer, the air flow rate,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processing time for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set at about 80 to 120 DEG C for about 1 to 30 minutes.

(적층 열프레스) (Laminated thermal press)

일괄 적층의 경우, 복수의 배선판 부재와 코어 기판을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렬하면서 적층한다. 그 후, 이들을 가열하에서 프레스 함으로써, 다층 배선판을 형성한다. 한편, 순차 적층의 경우, 코어 기판에 대해, 복수의 배선판 부재를 한 장씩 적층하면서, 열프레스를 실시한다. 가열 조건은 다층 배선판을 구성하는 열경화성수지의 내열온도 이하이면서, 또한, 이 열경화성수지가 완전 경화할 것 같은 온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프레스의 조건은 적절히 설정될 수 있다. 가열 온도는 절연성 수지의 경화 반응 개시 온도 이하이면서, 열용해 점도가 내려가는 온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가열 프레스의 조건은 절연성 필러가 도전성 범프 위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적층 열프레스 공정에서, 도전성 범프에 크랙이 생기지 않고, 전기적 접속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듯한 조건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 조건은 온도 170~210℃, 실제 압력 5~15 kgf/cm2여도 좋다. 이 적층 열프레스에서는 미경화 필름의 최저 용해 점도를 비교적 높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가열 프레스에 있어서 수지가 흐르지 않는다. 따라서, 경화 전후의 수지의 두께를 거의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경화 후의 수지의 두께의 균일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batch lamination, a plurality of the wiring board members and the core board are laminated while aligning them as required. Thereafter, they are pressed under heating to form a multilayer wiring boar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sequential lamination, a plurality of wiring board members are stacked one by one on the core board while hot pressing is performed. The heating condition is preferably set to a temperature that is not higher than the heat-resistant temperature of the thermosetting resin constituting the multilayer wiring board, and is such that the thermosetting resin is completely cured. The conditions of the heating press can be appropriately set.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ting temperature is not more than the curing reaction initiation temperature of the insulating resin but not more than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thermal dissolution viscosity is lowere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dition of the hot press be such that even when the insulating filler is present on the conductive bump, cracks do not occur in the conductive bump in the laminated hot pressing step, and sufficient electrical connection can be ensured. For example, this condition may be a temperature of 170 to 210 ° C and an actual pressure of 5 to 15 kgf / cm 2 . In this laminated thermal press, the lowest melt viscosity of the uncured film can be relatively increased. Therefore, the resin does not flow in the hot press. Therefore, the thickness of the resin before and after curing can be made substantially constant. In addition, the uniformity of the thickness of the resin after curing can be improved.

[재료][material]

(도전성 범프 재료)(Conductive bump material)

도전성 페이스트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면,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멜라민수지 등의 열경화성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경화성수지는 유동성을 갖기때문에, 쉽게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열경화성수지를 후속 공정에서 가열 경화함으로써, 이 열경화성수지에 기계적 강도를 갖도록 할 수 있다.As the resin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conductive paste, it is preferable to use a thermosetting resin such as a phenol resin, an epoxy resin or a melamine resin. Since the thermosetting resin has fluidity, it can be easily molded. Therefore, the thermosetting resin can be mechanically hardened by heating and curing in a subsequent step.

수지 조성물을 용해 또는 분산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유기용매를 이용한다. 유기용매로서는 방향족계 용매, 예를 들면, 톨루엔, 크실렌, 케톤계 용매를 들 수 있다. 케톤계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을 들 수 있다. 수지 배합액중에 분산하는 도전성 입자로서는 Ag, Cu, Au, Ni의 어느 것이거나, 또는 그들의 적어도 2종 이상이 혼합된 것, 혹은, 그들의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solvent for dissolving or dispersing the resin composition, for example, an organic solvent is used. Examples of the organic solvent include aromatic solvents, for example, toluene, xylene, and ketone solvents. Examples of the ketone solvent include methyl ethyl ketone and methyl isobutyl ketone. As the conductive particles dispersed in the resin compounding liquid, it is preferable to use Ag, Cu, Au, or Ni, or a mixture of at least two or more thereof, or a compound thereof.

또, 도전성 범프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의 재료로서는 상기 열경화성수지에, 열가소성수지를 10wt% 이상, 30wt% 이하의 혼합비로 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층 배선 기판의 적층 열프레스 공정에 있어서, 도전성 범프에 있어서의 크랙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a material of the resin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conductive bump, it is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obtained by adding a thermoplastic resin to the thermosetting resin at a mixing ratio of 10 wt% or more and 30 wt% or less.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of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cracks in the conductive bumps in the lamination hot pressing step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절연성 피막 재료)(Insulating film material)

근년의 고도 정보화 사회에서는 대용량의 정보를 고속으로 전송하기 위해서, 전자기기의 동작 주파수의 고속화가 해마다 진행되고 있다. 전자기기에 탑재되는 다층 배선판에 관해서도, 배선판을 구성하는 절연성 피막의 재료로서 비유전률 및 유전손실이 낮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BACKGROUND ART In recent years, in the highly information-oriented society, speeding up of the operating frequency of electronic devices is progressing year by year in order to transmit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at a high speed. As for the multilayer wiring board mounted on an electronic device, it is required to use a material having a low dielectric constant and a low dielectric loss as a material of the insulating film constituting the wiring board.

또한, 전자기기의 소형화 및 박형화에 수반해, 배선판의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 때문에, 절연성 피막의 재료는 높은 재현성을 갖고, 얇은 절연성 피막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조 코스트 저감을 위해, 후막 프로세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박막화가 가능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ith the downsizing and thinning of electronic devices, it is required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wiring boar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terial of the insulating coating is a material which has high reproducibility and is capable of forming a thin insulating coating. Further, in order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it is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capable of being thinned even when a thick film process is used.

본 발명의 다층 배선판의 제조에 있어서의 절연성 부재의 재료로서는 비유전률 및 유전정접이 낮은 열경화성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에폭시수지, 비스말레이미드트리아진수지, 폴리이미드수지, 아크릴수지, 페놀수지, 올리고페닐렌에테르수지, 폴리에테르수지, 멜라민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material of the insulating member in the production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thermosetting resin having a low dielectric constant and a low dielectric tangent. For example, epoxy resin, bismaleimide triazine resin, polyimide resin, , A phenol resin, an oligophenylene ether resin, a polyether resin, and a melamine resin.

열경화성수지의 재료로서는 경화 후의 비유전률이, 5GHz에 있어서, 2.0~3.0의 범위에 있을 것, 혹은, 유전정접이, 5GHz에 있어서, 0.001~0.005의 범위에 있을 것의 어느 것인가를 만족하는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material of the thermosetting resin, a material that satisfies any of the following conditions: the relative dielectric constant after curing is in the range of 2.0 to 3.0 at 5 GHz, or the dielectric loss tangent is in the range of 0.001 to 0.005 at 5 GHz .

<에폭시수지>≪ Epoxy resin &

또, 상기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로서는 국제공개 제 2005/100435호에 기재된 에폭시수지 조성물도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에폭시수지 조성물은 1개 이상의 하이드록시기 및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중량 평균 분자량 1,500~70,000의 직쇄상 에폭시수지(A)와, 페놀성 하이드록시기의 적어도 일부를 지방산으로 에스테르화 하여 얻어지는 변성 페놀노볼락(B)를 함유한다. 또한, 이 에폭시수지 조성물에서는 상기 변성 페놀노볼락(B)의 함유량이, 상기 직쇄상 에폭시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해서 30~200 중량부이다. 이 에폭시수지 조성물은 유전특성(예를 들면, 저유전율, 저유전정접)이 뛰어나다.As the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an epoxy resin composition described in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05/100435 can be suitably used. Specifically, the epoxy resin composition comprises a linear epoxy resin (A)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500 to 70,000, which has at least one hydroxyl group and at least two epoxy groups, and at least part of the phenolic hydroxyl group is esterified (B), which is obtained by subjecting the modified phenol novolak to a polymerization reaction. In this epoxy resin composition, the content of the modified phenol novolak (B) is 30 to 2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linear epoxy resin (A). This epoxy resin composition has excellent dielectric properties (for example, low dielectric constant and low dielectric loss tangent).

직쇄상 에폭시수지(A)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500~70,000이다.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linear epoxy resin (A) is 1,500 to 70,000.

직쇄상 에폭시수지(A)의 수평균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3,700~74,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500~26,000이다.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linear epoxy resin (A) is preferably from 3,700 to 74,000, more preferably from 5,500 to 26,000.

직쇄상 에폭시수지(A)의 에폭시 당량은 5000 g/eq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epoxy equivalent of the linear epoxy resin (A) is preferably 5000 g / eq or more.

덧붙여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중량 평균 분자량 및 수평균 분자량은 겔 침투크로마토그래피법(GPC)에 의해, 표준 폴리스티렌에 의한 검량선을 이용한 값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are values obtain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using a calibration curve of standard polystyrene.

특히 바람직한 직쇄상 에폭시수지(A)에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수평균 분자량이 2~3의 범위에 있다.Particularly preferable linear epoxy resin (A)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 to 3.

직쇄상 에폭시수지(A)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하기의 식 (1)에서 나타내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하기의 식 (2)에서 나타내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As the linear epoxy resin (A), for example,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is preferable, and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2) is more preferable.

[화 1]However,

Figure 112012009566351-pct00001

Figure 112012009566351-pct00001

상기 식 중, X 및 Y는 각각, 단결합, 탄소수 1~7의 탄화수소기,-O-,-S-,-SO2-,-CO- 또는 하기의 식에서 나타내는 기이다. X 및 Y가 여러 개 있는 경우, 이것들은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다.X and Y each represent a single bond, a hydrocarbon group having 1 to 7 carbon atoms, -O-, -S-, -SO 2 -, -CO-, or a group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X and Y, these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화 2][Figure 2]

Figure 112012009566351-pct00002
Figure 112012009566351-pct00002

여기서, 상기 식 중 R2는 탄소수 1~10의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다. R2가 여러개 있는 경우는 이것들은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다. R3는 수소 원자, 탄소수 1~10의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다. q는 0~5의 정수이다.Wherein R 2 is a hydrocarbon group of 1 to 10 carbon atoms or a halogen atom. When there are several R 2 s , these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R 3 is a hydrogen atom, a hydrocarbon group of 1 to 10 carbon atoms or a halogen atom. q is an integer of 0 to 5;

상기 식 (1)~(2)중, R1 및 R4는 각각, 탄소수 1~10의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 원자이다. R1 및 R4가 여러개 있는 경우, 이것들은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다.In the formulas (1) to (2), R 1 and R 4 are each a hydrocarbon group of 1 to 10 carbon atoms or a halogen atom. When there are several R 1 and R 4, they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p 및 s는 각각, 0~4의 정수이다. 이것들은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다.p and s are each an integer of 0 to 4; These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상기 식 (1) 중 n은 평균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n은 25~500이다.In the above formula (1), n represents an average value. This n is 25 to 500.

상기 식 (2) 중 t는 평균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 t는 10~250이다.In Equation (2), t represents an average value. This t is 10 to 250.

직쇄상 에폭시수지 (A)는 상기 식 (1)에 있어서의 p가 0인 화합물, 즉, 식(1')로 나타내는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More preferably, the linear epoxy resin (A) i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wherein p is 0, that i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

[화 3][Figure 3]

Figure 112012009566351-pct00003
Figure 112012009566351-pct00003

상기 식 중 X 및 n은 각각, 상기 식 (1) 중의 X 및 n과 동일하다.Wherein X and n are the same as X and n in the formula (1), respectively.

상술한 직쇄상 에폭시수지(A)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좋다. 또, 2종 이상의 직쇄상 에폭시수지(A)가 병용되어도 좋다.The above-mentioned straight-chain epoxy resin (A) may be used alone. Two or more kinds of linear epoxy resins (A) may be used in combination.

상기 페놀성 하이드록시기의 적어도 일부를 지방산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어지는 변성 페놀노볼락(B)의 매우 적합한 예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의 식 (3)에서 나타내는 변성 페놀노볼락을 들 수 있다.As a very suitable example of the modified phenol novolak (B) obtained by fatty acid esterifica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phenolic hydroxyl group, for example, the modified phenol novolak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can be mentioned.

[화 4][Figure 4]

Figure 112012009566351-pct00004
Figure 112012009566351-pct00004

상기 식 (3)중, R5는 탄소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있다. R5는 바람직하게는 메틸기이다. 복수의 R5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다.In the formula (3), R 5 represents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R 5 is preferably a methyl group. The plurality of R 5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R6는 탄소수 1~5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페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아랄킬기, 알콕시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있다. 복수의 R6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다.R 6 represents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 phenyl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an aralkyl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an alkoxy group or a halogen atom. The plural R < 6 > 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R7는 탄소수 1~5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페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아랄킬기, 알콕시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내고 있다. 복수의 R7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다.R 7 represents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 phenyl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an aralkyl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an alkoxy group or a halogen atom. The plural R < 7 > 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g는 0~3의 정수를 나타내고 있다. 복수의 g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다.and g represents an integer of 0 to 3. The plurality of g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h는 0~3의 정수를 나타내고 있다. 복수의 h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다.and h represents an integer of 0 to 3. The plural h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n:m은 1:1~1.2:1이며, 약 1:1인 것이 바람직하다.n: m is 1: 1 to 1.2: 1, and preferably about 1: 1.

n와 m과의 합계는 예를 들면 2~4로 할 수 있다.The sum of n and m may be, for example, 2 to 4.

상기 식 (3)에 있어서의 n 및 m은 반복 단위의 평균치이다. 반복 단위의 순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 순서는 블럭이어도 랜덤이어도 좋다.In the above formula (3), n and m are average values of repeating units. The order of repeating units is not limited. This order may be block or random.

바람직한 변성 페놀노볼락(B)로서는 하기의 식 (3')에서 나타내지는 변성 페놀노볼락을 들 수 있다.As the preferred modified phenol novolak (B), modified phenol novolak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3 ') may be mentioned.

[화 5][Figure 5]

Figure 112012009566351-pct00005
Figure 112012009566351-pct00005

상기 식 (3') 중, R5, n 및 m은 각각, 상기 식 (3)의 R5, n 및 m과 같다.In the formula (3 '), R 5, n and m are each the same as R 5, n and m in the formula (3).

특히 바람직한 변성 페놀노볼락은 상기 식(3')에 있어서의 R5가 메틸기인, 아세틸화 페놀노볼락이다.Particularly preferred modified phenol novolacs are acetylated phenol novolacs wherein R 5 in the formula (3 ') is a methyl group.

이러한 변성 페놀노볼락은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좋다. 또, 2종 이상의 변성 페놀노볼락을 병용해도 좋다.Such modified phenol novolak may be used alone. Two or more kinds of modified phenol novolak may be used in combination.

상기 (B) 성분의 함유량은 상기 (A)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서 30~2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B) 성분의 함유량이 이 범위이면, 유전특성, 필름 형성성, 경화 반응성이 뛰어나다. 상기 (B) 성분의 함유량은 상기 (A)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서, 50~180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component (B) is preferably 30 to 20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nent (A). When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B) is within this range, excellent dielectric properties, film formability, and curing reactivity are obtained.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B) is more preferably 50 to 18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nent (A).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양태의 하나는 덧붙여, (C)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함유한다. 에폭시수지중에 하이드록시기가 있는 경우, 그 하이드록시기, 혹은, 에폭시수지가 개환했을 때에 생성되는 하이드록시기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중의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반응한다. 이에 의해, 우레탄 결합이 형성된다. 이 때문에, 경화후의 폴리머 가교 밀도가 상승하여, 분자의 운동성이 더욱 저하하고, 또한 극성이 큰 하이드록시기가 감소한다. 이 때문에, 비유전률을 보다 낮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전정접을 낮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에폭시수지는 큰 분자간력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에폭시수지를 필름화하는 경우, 성막을 균일하게 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 에폭시수지를 필름화하여도, 필름 강도가 약하고, 필름 형성시에 크랙이 들어가기 쉬운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배합함으로써, 이러한 결점을 제외시킬 수 있다.On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epoxy resin composition further includes (C) an isocyanate compound. When a hydroxy group is present in the epoxy resin, the hydroxy group or the hydroxyl group generated when the epoxy resin is ring-opened react with the isocyanate group in the isocyanate compound. Thereby, a urethane bond is formed. As a result, the crosslinking density of the polymer after curing is increased, the mobility of the molecule is further lowered, and the hydroxyl group having a larger polarity is decreased. Therefore, the dielectric constant can be lowered and the dielectric loss tangent can be lowered. Furthermore, epoxy resins have large intermolecular forces. For this reason, when the epoxy resin is made into a film, it is difficult to make film formation uniform. In addition, even if the epoxy resin is made into a film, the film strength is weak, and cracks tend to enter easily during film formation. However, by incorporating an isocyanate compound, such drawbacks can be eliminated.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 메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 디이소시아네이트, p-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다이머산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라이신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 메탄 트리이소시아네이트, 트리(이소시아네이트 페닐) 트리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좋다. 또, 2종 이상의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병용하여도 좋다.Examples of the isocyanate compound include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isocyanate groups. Examples of the isocyanate compound include hexamethylene diisocyanate,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tolylene diisocyanate, isophorone diisocyanate, dicyclohexylmethane diisocyanate, tetramethylxylene diisocyanate, xylene diisocyanate, naphthalene diisocyanate, (Isocyanate phenyl) tri (meth) acrylate such as trimethyl hexamethylene diisocyanate, tolylene diisocyanate, p-phenylene diisocyanate, cyclohexylene diisocyanate, dimer acid diisocyanate, hydrogenated xylene diisocyanate, lysine diisocyanate, triphenylmethane triisocyanate, Phosphate and the like. These may be used alone. Two or more of the above isocyanate compounds may be used in combination.

이들 중에서,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 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f these, hexamethylene diisocyanate and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are preferably used.

또,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는 환화 반응에 의해 형성된 이소시아누레이트환을 갖는 프리폴리머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3량체를 포함하는 프리폴리머도 포함된다.The isocyanate compound includes a prepolymer having an isocyanurate ring formed by a cyclization reaction. For example, a prepolymer containing a trimer of an isocyanate compound is also included.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특히, 상술한 직쇄상 에폭시수지(A)와 조합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에폭시수지의 개환반응에 수반되어 생성된 하이드록시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와의 반응에 더해, 직쇄상 에폭시수지(A) 중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시기와 이소시아네이트기가 반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보다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isocyanate compound is preferably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above-mentioned linear epoxy resin (A). In this case, in addition to the reaction between the hydroxy group and the isocyanate group generated by the ring-opening reaction of the epoxy resin, the hydroxyl group present in the linear epoxy resin (A) may react with the isocyanate group. Therefore, a larger effect can be obtained.

상기 (C) 성분의 함유량은 100 중량부의 상기 (A) 성분에 대한 상기 (C) 성분의 함유량은 100~40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350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C) 성분의 함유량이 이 범위이면, 경화할 때에 생기는 발포가 억제된다. 이 때문에, 균일한 필름을 얻기 쉽고, 경화후에 크랙이 생기기 어려우며, 또한 유전특성(예를 들면, 낮은 유전율, 낮은 유전정접)도 뛰어나다.The content of the component (C) is preferably 100 to 40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300 to 3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nent (A). When the content of the component (C) is within this range, foaming that occurs upon curing is suppressed. Therefore, it is easy to obtain a uniform film, cracks are hardly generated after curing, and dielectric characteristics (for example, low permittivity and low dielectric loss tangent) are excellent.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의 바람직한 양태의 하나는 더욱이 (D) 디비닐 벤젠을 함유 한다. 디비닐 벤젠을 함유시키는 것은 가교 성분의 용해 온도의 저온화, 성형시의 유동성 향상, 경화 온도의 저온화, 상용성의 향상에 이바지한다.On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epoxy resin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D) divinylbenzene. The inclusion of divinylbenzene contributes to lowering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crosslinking component, improving the fluidity at the time of molding, lowering the curing temperature, and improving the compatibility.

상기 (D) 성분의 함유량은 상기 (A)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해서, 40~18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component (D) is preferably 40 to 18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nent (A).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은 임의의 성분으로서의 경화촉진제를 함유하여도 좋다.The epoxy resin composition may contain a curing accelerator as an optional component.

경화촉진제로서는 에폭시수지 조성물의 경화촉진제로서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경화촉진제로서는 예를 들면, 2-메틸 이미다졸, 2-에틸-4-메틸 이미다졸 등의 복소환화합물 이미다졸류, 트리페닐 포스핀, 테트라페닐 포스포늄 테트라페닐 보레이트 등의 인 화합물류, 2,4,6-트리스(디메틸 아미노 메틸) 페놀, 벤질 디메틸 아민 등의 제 3급 아민류, 1,8-디아자바이 사이클로(5,4,0)운데센이나 그 염 등의 BBU류, 아민류, 이미다졸류를 에폭시, 요소, 산 등으로 어닥트(adductus) 시킨 어닥트형 촉진제류 등을 들 수 있다.As the curing accelerator, a known curing accelerator of the epoxy resin composition can be used. As the curing accelerator, for example, heterocyclic compound imidazoles such as 2-methylimidazole and 2-ethyl-4-methylimidazole, phosphorus compounds such as triphenylphosphine and tetraphenylphosphonium tetraphenylborate, 2 , Tertiary amines such as 4,6-tris (dimethylaminomethyl) phenol and benzyldimethylamine, BBUs such as 1,8-diazabicyclo (5,4,0) undecene and its salts, amines, And adduct type accelerators in which adducts of dazols with epoxy, urea, and acid are listed.

상기 (A) 성분 100 중량부에 대한 경화촉진제의 함유량은 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curing accelerator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nent (A) is preferably 1 to 10 parts by weight.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은 임의의 성분으로서의 중합 개시제를 함유해도 좋다.The epoxy resin composition may contain a polymerization initiator as an optional component.

중합 개시제로서는 공지의 중합 개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과산화 벤조일, 아조비스 이소부틸로 니트릴, t-부틸 파옥시 벤조에이트, 1,1,3,3-테트라 메틸 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을 들 수 있다.As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known polymerization initiators can be used. Examples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benzoyl peroxide, azobisisobutyronitrile, t-butyl peroxybenzoate, and 1,1,3,3-tetramethylbutylperoxy-2-ethylhexanoate. have.

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상기 (A) 성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1~1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e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preferably 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nent (A).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점착성 부여제, 난연화제, 소포제, 유동 조정제, 분산조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좋다.The epoxy resin composition may contain additives such as a tackifier, a flame retarder, a defoaming agent, a flow control agent, and a dispersion aid, if necessary.

또,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탄성률의 향상, 팽창 계수의 저하, 혹은, 유리 전이 온도(Tg치)의 변경 등을 목적으로 하여, 필요에 따라, (A) 성분 이외의 에폭시수지를 함유해도 좋다.The epoxy resin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A) an epoxy resin composition, if necessar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modulus of elasticity, lowering the expansion coefficient, or changing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value) May contain an epoxy resin other than the above components.

(A) 성분 이외의 에폭시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A형 에폭시수지, 비스페놀F형 에폭시수지, 지환식 에폭시수지, 비페닐 에폭시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좋고 또, 2종 이상의 에폭시수지를 병용해도 좋다.Examples of the epoxy resin other than the component (A) include a bisphenol A type epoxy resin, a bisphenol F type epoxy resin, an alicyclic epoxy resin, and a biphenyl epoxy resin. These may be used singly or two or more kinds of epoxy resins may be used in combination.

또,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지방산 에스테르화 되어있지 않은 페놀노볼락, 크레졸노볼락수지, 페놀다핵체 등의 공지의 에폭시수지 경화제를 함유해도 좋다.The epoxy resin composition may contain a known epoxy resin curing agent such as phenol novolak, cresol novolak resin, phenol polynuclear resin, etc., which is not converted into a fatty acid ester, so long a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페놀다핵체로서는 예를 들면, 3~5핵체 정도 등의 페놀류를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phenol polynucleer include phenols such as about 3 to 5 nuclei.

상기 에폭시수지 조성물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용매의 존재하 또는 비존재하에 있어서, (A)와 (B)를 프로펠라 교반기, 밴 버리식 믹서, 유성식 믹서, 가열 진공 혼합 니더 등에 의해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above epoxy resin composition can be produced by a known method. For example, (A) and (B) can be mixed with a propeller stirrer, a Banbury mixer, a planetary mixer, a heated vacuum mixing kneader or the lik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olvent.

또, 예를 들면, 수지 성분을 소정의 용제농도로 용해하고, 그들을 25~60℃로 가온된 반응솥에 소정량 투입해, 상압 혼합을 30분~6시간 실시할 수 있다. 그 후, 진공하(최대 1Torr)에서, 5분~60분, 더욱 혼합 교반 할 수 있다.In addition, for example, resin components may be dissolved in a predetermined solvent concentration, and they may be put into a reaction kettle heated to 25 to 60 占 폚 and mixed at a normal pressure for 30 minutes to 6 hours. Thereafter, mixing and stirring can be further carried out under vacuum (maximum 1 Torr) for 5 minutes to 60 minutes.

<OPE수지><OPE resin>

또한, 상기 열경화성수지 조성물로서는 올리고 페닐렌 에테르계수지 배합물도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A) 성분은 열경화성의 수평균 분자량 1000 이상 3000 이하인, 양쪽 말단에 관능기를 가진 올리고 페닐렌 에테르이다. 또, (B) 성분으로서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를 주체로 하는 하드 세그먼트 블럭부와 공역 디엔을 주체로 하는 소프트 세그먼트 블럭부를 포함하는 블럭 공중합체이며, 또한, 용제를 배합시킨 절연성 수지 배합액의 용제를 경화반응이 생기지않도록, 휘발시키는 것에 의해 얻어진, 올리고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 배합물을 들 수 있다.As the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an oligophenylene ether resin compound combination can also be suitably used. Specifically, the component (A) is an oligophenylene ether having a thermosetting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 or more and 3000 or less and a functional group at both terminals. The component (B) is a block copolymer including a hard segment block mainly composed of a vinyl aromatic hydrocarbon and a soft segment block composed mainly of a conjugated diene. The solvent for the insulating resin composition liquid in which the solvent is blended is hardened And an oligophenylene ether-based resin blend obtained by volatilization so that no reaction occurs.

여기서, 상기 절연성 수지 배합액에서는 (A) 성분 100부에 대해서, (B) 성분이 67부 이상 150부 이하이다. 더욱이, 상기 절연성 미경화피막의 (B) 성분은 고무 및/또는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 블럭 공중합체, 스틸렌-이소프렌-스틸렌 블럭 공중합체, 스틸렌-에틸렌/부타디엔-스틸렌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이다.Here, in the liquid composition for insulating resin, (B) is 67 parts or more and 150 parts or less with respect to 100 parts of component (A). Further, the component (B) of the insulating uncured film may be at least one thermoplastic elastomer selected from a rubber and / or a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a styrene-isoprene-styrene block copolymer, and a styrene-ethylene / butadiene- to be.

상기 열경화성수지 조성물에 이용되는 열경화성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양쪽 말단에 스틸렌 관능기, 비닐기, 글리시딜기, 아미노기, 하이드록시기, 카르복시기 등의 관능기를 갖는 열경화성 올리고 페닐렌 에테르수지 혹은 에폭시수지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양쪽 말단에 스틸렌 관능기를 갖는 열경화성 올리고 페닐렌 에테르수지 혹은 에폭시수지는 유전특성(예를 들면, 낮은 유전율, 낮은 유전정접), 저흡수성, 도막 형성성 등이 뛰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Examples of the thermosetting resin used in the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include a thermosetting oligophenylene ether resin or an epoxy resin having functional groups such as a styrene functional group, a vinyl group, a glycidyl group, an amino group, a hydroxyl group and a carboxyl group at both terminals . Among these, thermosetting oligophenylene ether resins or epoxy resins having styrene functional groups at both terminals are preferable because they have excellent dielectric properties (for example, low dielectric constant, low dielectric loss tangent), low water absorption, and film formability.

상기 열경화성수지 조성물은 특히, 본원의 출원인이 기존에 출원한, 특원 2006-215464호 명세서에 기재된 올리고 페닐렌 에테르계 수지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100 중량부의 수평균 분자량 500~5000의, 양쪽 말단에 스틸렌 관능기를 갖는 열경화성 올리고 페닐렌 에테르(A)와, 50~250 중량부의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와 공역 디엔 모노머에서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블럭 공중합체(B)를 함유하는 열경화성수지 조성물은 유전특성(예를 들면, 저유전율, 저유전정접), 저탄성, 도막 형성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매우 적합하다.The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is preferably an oligophenylene ether resin composition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06-215464 fil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Specifically, for example, a thermosetting oligophenylene ether (A) having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 to 5,000 and a styrene functional group at both terminals of 100 parts by weight,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50 to 250 parts by weight of a vinyl aromatic hydrocarbon monomer Since the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the block copolymer (B) containing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conjugated diene monomer has excellent dielectric properties (for example, low dielectric constant, low dielectric loss tangent), low elasticity and film formability, It is very suitable.

상기 열경화성 올리고 페닐렌 에테르(A)로서는 예를 들면, 특개 2006-2811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2,2', 3,3', 5,5'-헥사메틸 비페닐-4,4'-디올-2,6-디메틸 페놀 중축합물과 클로로 메틸 스틸렌과의 반응 생성물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thermosetting oligophenylene ether (A) include 2,2 ', 3,3', 5,5'-hexamethylbiphenyl-4,4'-diol described in JP-A-2006-28111 -2,6-dimethylphenol polycondensate and chloromethylstyrene.

이러한 열경화성 올리고 페닐렌 에테르(A)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OPE-2st 2200(미츠비시가스화학사 제품)을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thermosetting oligophenylene ether (A) can be prepared by a known method.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may also be used. For example, OPE-2st 2200 (manufactured by Mitsubishi Gas Chemical) can be suitably used.

열경화성 올리고 페닐렌 에테르 (A)는 그 수평균 분자량이 5,000을 넘으면, 휘발성 용제에 용해하기 어려워진다. 한편, 수평균 분자량이 500 미만이면, 가교 밀도가 너무 높아지기때문에, 경화물의 탄성률이나 가효성에 악영향이 생긴다. 그 때문에, 열경화성 올리고 페닐렌 에테르(A)의 수평균 분자량은 500~5,000이며, 1,000~3,000인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thermosetting oligophenylene ether (A) exceeds 5,000, it is difficult to dissolve in the volatile solvent. On the other hand, if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is less than 500, the crosslinking density becomes excessively high, so that the modulus of elasticity and the aging property of the cured product are adversely affected. Therefore, the thermosetting oligophenylene ether (A) has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 to 5,000, preferably 1,000 to 3,000.

상기 블럭 공중합체(B)는 비닐 방향족 탄화수소를 주체로하는 하드 세그먼트 블럭부와 공역 디엔을 주체로 하는 소프트 세그먼트 블럭부를 포함하는 블럭 공중합체이다.The block copolymer (B) is a block copolymer comprising a hard segment block composed mainly of a vinyl aromatic hydrocarbon and a soft segment block composed mainly of a conjugated diene.

상기 블럭 공중합체 (B)로서는 예를 들면, 스틸렌-부타디엔-스틸렌 블럭 공중합체, 스틸렌-이소프렌-스틸렌 블럭 공중합체, 스틸렌-에틸렌/부타디엔-스틸렌 블럭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Examples of the block copolymer (B) include a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a styrene-isoprene-styrene block copolymer, and a styrene-ethylene / 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블럭 공중합체 (B)는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또, 시판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TR2003(JSR사 제품)를 아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block copolymer (B) can be produced by a known method.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may also be used. For example, TR2003 (manufactured by JSR Corporation) can be suitably used.

상기 열경화성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블럭 공중합체 (B)의 함유량은 열경화성 올리고 페닐렌 에테르(A) 100중량부에 대해서, 50~250중량부이며, 65~200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80~150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블럭 공중합체(B)의 함유량이 이 범위이면, 필름 형성능, 열경화성 올리고 페닐렌 에테르(A)와의 상용성이 좋아진다.The content of the block copolymer (B) in the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is 50 to 250 parts by weight, preferably 65 to 20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80 to 15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thermosetting oligophenylene ether (A) It is more desirable to be negative. When the content of the block copolymer (B) is within this range, the film formability and compatibility with the thermosetting oligophenylene ether (A) are improved.

상기 올리고 페닐렌 에테르 수지조성물에 이용되는 휘발성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계 용제;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등의 케톤계 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은 1종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다. 2종 이상의 휘발성 용제를 병용해도 좋다.Examples of the volatile solvent used in the oligophenylene ether resin composition include aromatic solvents such as toluene and xylene; and ketone solvents such as methyl ethyl ketone and methyl isobutyl ketone. These may be used singly. Two or more kinds of volatile solvents may be used in combination.

휘발성 용제의 함유량은 조성물의 점도가 상기 범위가 되도록 적절히 조정되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휘발성 용제는 수지 성분이 15~45중량%가 되도록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35중량%가 되도록 사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조성물중의 수지 성분은 그 비율이 이 범위이면, 섬유질 기재에 함침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기포를 줄일 수 있다. 이러한 저농도의 상기 수지에서는 종래의 종형 함침장치에서는 원하는 수지 부착량을 얻기 위해서 바니스 부착량을 많게해야만 한다. 그렇게하면, 기판이 수직 방향으로 진행할 때에, 함침한 수지가 늘어져 버린다. 이 때문에, 불균일한 세로 줄무늬가 형성되기때문에, 흉한 수지얼룩이 형성된다. 또한 도포막 내부에 용제가 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표면만이 건조하다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 때문에, 균일한 미경화 상태를 얻을 수 없다.The content of the volatile solvent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so that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is in the above rang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volatile solvent is preferably used in an amount of 15 to 45%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15 to 35% by weight. When the ratio of the resin component in the composition is within this range, it becomes easy to impregnate the fibrous substrate. Therefore, air bubbles can be reduced. With such a low-concentration resin, the conventional vertical impregnation apparatus must have a large amount of varnish adhered thereto in order to obtain a desired resin adherence amount. Then, when the substrate advanc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impregnated resin is stretched. Because of this, uneven vertical stripes are formed, and thus, uneven resin spots are formed. In addition, although the solvent remains in the coating film, only the surface is dry. Therefore, a uniform uncured state can not be obtained.

상기 올리고 페닐렌 에테르 수지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무기 필러, 점착성 부여제, 난연화제, 소포제, 유동 조정제, 성막 보조제, 분산조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The oligophenylene ether resin composition may contain additives such as an inorganic filler, a tackifier, a flame retardant, a defoaming agent, a flow control agent, a film forming auxiliary agent, and a dispersion auxiliary agent to the extent that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또, 상기 올리고 페닐렌 에테르 수지조성물은 경화 촉매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올리고 페닐렌 에테르 수지조성물은 가열만으로 경화될 수 있다.The oligophenylene ether resin composition may contain a curing catalyst. The oligophenylene ether resin composition can be cured only by heating.

상기 올리고 페닐렌 에테르 수지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제조방법이어도 좋다. 상기 올리고 페닐렌 에테르 수지조성물은 예를 들면, 상술한 각 성분을 교반기에 의해 충분히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The production method of the oligophenylene ether resin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 known production method. The above-mentioned oligophenylene ether resin composition can be produced, for example, by thoroughly mixing the above-mentioned respective components with a stirrer.

<ADFLEMA><ADFLEMA>

절연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ADFLEMA(나믹스 주식회사제 상품명)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DFLEMA는 OPE 수지의 1종인 올리고 페닐렌 에테르와 스틸렌 부타디엔계의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수지이다. ADFLEMA 제품은 미경화 상태의 필름이다. 그러나, 그것이 열경화했을 경우의 비유전률 및 유전정접률 ε=2.0~3.0, 유전정접 tanδ=0.001~0.005이며, 이것들은 모두 작은 값이다. 이 때문에, ADFLEMA 제품은 뛰어난 고주파 특성을 갖는다. 또, ADFLEMA 제품에서는 2~90㎛정도의 두께의 박막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ADFLEMA 제품은 휘발성의 용매를 예를 들면 70%정도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코팅하여 가열 또는 건조함으로써, ADFLEMA 제품의 막 두께를 예를 들면 70%,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ADFLEMA 제품은 막 두께 감소에 의한 도전성 범프의 노출 공정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층 배선판의 제조에 매우 적합하다.As the insulating resin, for example, ADFLEMA (trade name, manufactured by Nemix Co., Ltd.) is preferably used. ADFLEMA is a resin containing an oligo-phenylene ether, which is one type of OPE resin, and a styrene-butadiene-based elastomer. The ADFLEMA product is an uncured film. However, the relative permittivity and dielectric constant? When it is thermally cured are 2.0 to 3.0 and dielectric tangent tan? = 0.001 to 0.005, all of which are small values. Because of this, ADFLEMA products have excellent high-frequency characteristics. In the ADFLEMA product, it is possible to form a thin film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 to 90 mu m. ADFLEMA products also contain about 70% volatile solvents. For this reason, by coating or heating or drying, the film thickness of the ADFLEMA product can be reduced by, for example, 70%. Therefore, the ADFLEMA product is very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exposure process of the conductive bump by the film thickness reduction.

<절연성 수지에 포함되는 섬유기재>&Lt; Fibrous base material included in insulating resin &

본 발명의 다층 배선판용 부재에 이용되는 절연성 수지는 섬유기재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절연성 수지 배합액이 섬유기재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배합액의 점도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도전성 범프 주위 및 기판 표면에 대한 피복성이 높아진다. 또한 막 두께 감소 공정에 있어서, 도전성 범프의 두부에 있어서의 배합액의 잔사를 줄일 수 있다. 그에 대해, 절연성 수지 배합액에 유리섬유 촙프드(chopped) 등의 섬유기재를 배합하면, 균일한 분산 슬러리를 얻는 것이 지극히 어렵다. 게다가 만약 그것이 생겼다고 해도, 도포시에, 도전성 범프 정상부에 섬유 촙프드의 브릿지가 생기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덧붙여, 유전특성이 떨어지는 유리 섬유 기재를 도입하는 것은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와는 양립될 수 없는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insulating resin used in the member for a multilayer wiring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include a fiber substrate. In this case, since the insulating resin blend liquid does not contain the fiber base, the viscosity of the blend liquid can be reduced. As a result, the coverage around the conductive bumps and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becomes high. Further, in the film thickness reducing step, the residue of the compounding liquid in the head portion of the conductive bump can be reduced. On the other hand,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obtain a uniform dispersion slurry by blending a fiber base material such as glass fiber chopped into the insulating resin blend liquid. Moreover, even if it does occur, it is inevitable that the bridge of the fiber amplifier is formed at the top of the conductive bump at the time of application. Incidentally, introducing a glass fiber base material having a low dielectric property can not be compatible with the effect obtained by the present invention.

<절연성 필러>&Lt; Insulating filler &

본 발명의 다층 배선판용 부재에 이용되는 절연성 필러는 높은 전기적 절연성을 갖추고 있는 것, 적층 열프레스에 의해 변형하지 않는 것, 다층 배선 기판의 층간 절연을 유지 가능한 강도를 갖고 있는 것 및 용매에 균일하게 분산하는 재료로부터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성 필러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카, 실리콘카바이드, 알루미나, 질화 알루미늄, 지르코니아 비즈, 글래스 비즈, 아크릴 비즈 중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의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sulating filler used in the member for a multilayer wiring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high electrical insulating property, is not deformed by a laminated thermal press, has a strength capable of maintaining interlayer insulation of a multilayer wiring board, And it is preferably formed from a dispersing material. As the material of the insulating filler, it is preferable to use, for example, one or a plurality of materials selected from silica, silicon carbide, alumina, aluminum nitride, zirconia beads, glass beads and acrylic beads.

절연성 필러는 분말 또는 입자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성 필러의 평균 입경은 도전성 범프 높이의 20%이상이고, 10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도전성 범프의 바닥면 직경의 5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insulating filler is preferably powdery or particulate.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insulating filler is preferably 20% or more of the conductive bump height, preferably 100% or less, and more preferably 50% or less of the bottom diameter of the conductive bump.

(배선 재료)(Wiring material)

다층 배선판의 배선에 관해서는 도전성박을 에칭함으로써 도전성 패턴을 형성해도 좋고, 도전 페이스트를 인쇄함으로써 도전성 패턴을 형성해도 좋다.As for the wiring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the conductive pattern may be formed by etching a conductive foil, or a conductive pattern may be formed by printing a conductive paste.

도전 페이스트를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면,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멜라민수지 등의 열경화성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경화성수지는 유동성을 가져, 용이하게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후속 공정으로 가열 경화함으로써, 기계적 강도를 갖게하는 것이 가능하다.As the resin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conductive paste, it is preferable to use a thermosetting resin such as phenol resin, epoxy resin, or melamine resin. The thermosetting resin has fluidity and can be easily molded,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mechanical strength by heating and curing in a subsequent step.

수지 조성물을 용해 또는 분산하는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유기용매가 이용된다. 유기용매로서는 방향족계 용매, 예를 들면, 톨루엔, 크실렌, 케톤계 용매를 들 수 있다. 케톤계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을 들 수 있다. 수지 배합액중에 분산하는 도전성 입자로서는 Ag, Cu, Au, Ni의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적어도 2종 이상이 혼합된 것, 혹은, 그들의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the solvent for dissolving or dispersing the resin composition, for example, an organic solvent is used. Examples of the organic solvent include aromatic solvents, for example, toluene, xylene, and ketone solvents. Examples of the ketone solvent include methyl ethyl ketone and methyl isobutyl ketone. As the conductive particles dispersed in the resin mixture liquid, it is preferable to use any one of Ag, Cu, Au, and Ni, or a mixture of at least two or more thereof, or a compound thereof.

도전성 페이스트는 예를 들면, 수지 중에 도전성 입자(예를 들면, Ag, Cu, Au, Ni의 어느 하나, 혹은, 그들의 적어도 2종 이상이 혼합된 것)를 분산시키고, 추가로 휘발성의 용제를 혼합시킨 것을 조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The conductive paste may be prepared by, for example, dispersing conductive particles (for example, any one of Ag, Cu, Au, Ni, or a mixture of at least two thereof) in a resin and further mixing a volatile solvent And the like.

<열경화형 도전 페이스트>&Lt; Thermal curing type conductive paste &

또, 배선재료로서 열경화형 도전 페이스트를 이용해도 좋다. 이 경우, 100~200℃의 저온 열처리에서도, 충분히 낮은 저항을 갖는 배선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열경화형 도전 페이스트를 이용하는 경우, 배선의 두께는 1~2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ossible to use a thermosetting conductive paste as the wiring material.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orm a wiring having a sufficiently low resistance even in a low-temperature heat treatment at 100 to 200 ° C. In the case of using the thermosetting conductive paste, the thickness of the wiring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1 to 20 mu m.

<은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전 페이스트>&Lt; Conductive paste containing silver fine particles &

또, 도전성 페이스트의 재료로서 특허문헌 3에 개시된 도전 페이스트를 이용해도 좋다. 특허문헌 3에 개시된 은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전 페이스트(재료)는 유기용매의 존재 또는 비존재하에 있어서, 카르본산의 은염과 지방족 아민을 혼합하고, 환원제를 첨가하여, 반응 온도 20~80℃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진 반응물로부터 회수된, 도전 페이스트이다.The conductive past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may be used as the conductive paste material. The conductive paste (material) containing silver fine particle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is prepared by mixing a silver salt of carboxylic acid and an aliphatic amin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rganic solvent, adding a reducing agent, And is recovered from the reaction product obtained by the above method.

도전 페이스트에 포함되는 은미립자는, The silver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conductive paste are,

(a) 일차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40~350 nm이며,(a) the primary particles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40 to 350 nm,

(b) 결정자 직경이 20~70 nm이며, 또한(b) the crystallite diameter is 20 to 70 nm, and

(c) 결정자 직경에 대한 평균 입자 직경의 비가 1~5인 것이 바람직하다.(c) the ratio o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to the crystallite diameter is preferably 1 to 5.

또, 도전성 페이스트에 포함되는 은 미립자는,Further, the silver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conductive paste may be,

(a) 일차 입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50~80nm이고,(a) the primary particles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50 to 80 nm,

(b) 결정자 직경이 20~50 nm이며, 또한(b) the crystallite diameter is 20 to 50 nm, and

(c) 결정자 직경에 대한 평균 입자 직경의 비가 1~4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and (c) the ratio of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to the crystallite diameter is 1 to 4.

이 도전 페이스트 재료는 200℃ 이하의 저온의 열처리에서도, 충분히 커다란 도전성을 나타낸다. 이 도전 페이스트 재료는 유기 배선판의 내열 온도이하의 저온에서도 경화 가능하고, 저온 경화함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도체 저항이 낮은(약 10×10-5Ωㆍcm 이하) 도전성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선의 막 두께를 얇게함과 아울러, 배선폭을 가늘게 해도, 배선 지연의 증가를 억제 또는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입자 직경이 작기 때문에, 세선을 스크린 인쇄할 때에도, 막힘이 일어나기 어렵다. 이 도전 페이스트 재료의 입자 직경은 다른 도전성 미립자를 포함하는 도전 페이스트(예를 들면, 나노 입자를 포함하는 도전 페이스트)의 입자 직경과 비교해, 크다. 이 때문에, 이 도전 페이스트 재료는 막 두께 1㎛~10㎛의 배선을 형성하는데에 매우 적합하다. 또, 이 도전 페이스트 재료를 이용함으로써, 재료 코스트를 보다 낮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허문헌 3에 개시된 도전 페이스트를 이용하는 경우, 배선의 두께는 5㎛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conductive paste material exhibits sufficiently high conductivity even at a low temperature of 200 DEG C or less. This conductive paste material can be cured even at a low temperature below the heat resistance temperature of the organic wiring board, and a conductive pattern having a relatively low conductor resistance (about 10 x 10-5 ? Cm or less) can be formed despite the low temperature cur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reduce an increase in wiring delay even if the film thickness of the wiring is made thin and the wiring width is made narrow. Since the particle diameter is small, clogging is unlikely to occur even when screen printing is performed on the fine lines.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conductive paste material is larger than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conductive paste containing other conductive fine particles (for example, a conductive paste containing nanoparticles). Therefore, this conductive paste material is very suitable for forming wiring with a thickness of 1 탆 to 10 탆. Further, by using this conductive paste material,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material cost to a lower level. In the case of using the conductive past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the thickness of the wiring is preferably 5 占 퐉 or less.

[경화도][Degree of hardening]

(도전성 범프의 경화도)(Degree of hardening of conductive bump)

제조 공정의 도중 단계에서, 다층 배선판 부재를 구성하는 도전성 범프 및 절연성 피막의 경화 상태는 이하의 조합으로부터 선택 가능하다.In the middle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curing state of the conductive bump and the insulating film constituting the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can be selected from the following combinations.

(1) 도전성 범프:완전 경화 상태, 절연성 피막:미경화 상태(1) Conductive bump: fully cured state, insulating film: uncured state

(2) 도전성 범프:미경화와 완전 경화의 중간 상태, 절연성 피막:미경화 상태(2) Conductive bump: intermediate state between uncured and completely cured, insulating film: uncured state

여기서, '미경화와 완전경화의 중간 상태'란 적절한 열처리에 의해, 어느 정도 경화되고 있으나, 완전한 경화에 이르지 않은 듯한 수지 상태이다. Here, the 'intermediate state between uncured and fully cured' is a resin state which is hardened to some extent but not completely hardened by an appropriate heat treatment.

종래의 B2it 기술에 있어서의 절연성 피막에서는 일반적으로 B스테이지라 불리는 경화 상태에 있는 절연성 필름을 열에 의해 연화시켜, 이것에 도전성 범프를 관통시키고 있었다. 이 기술에서는 도전성 범프의 관통에 의해 비아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도전성 범프는 소정의 값 이상의 어스펙트비를 필요로 한다. 또한 도전성 범프는 소정의 값 이상의 경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도전성 범프를 완전 경화 상태로 할 필요가 있었다.In the insulating film in the conventional B 2 it technology, the insulating film in a cured state, which is generally called a B stage, is softened by heat, and the conductive bumps are penetrated through the insulating film. In this technique, vias are formed by the penetration of conductive bumps. For this reason, the conductive bumps require an aspect ratio of at least a predetermined value. Further, the conductive bumps need to have a hardness of at least a predetermined value.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make the conductive bump completely cured.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은 도전성 범프의 관통을 실시하지 않는다. 이 기술에서는 도전성 범프 위에 절연성 피막을 형성하고, 절연성 피막의 막 두께를 감소시켜서,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형성한다. 그 후, 도전성 범프와 제 2의 도체층 또는 코어 기판을 접합한다. 이 때문에, 도전성 범프의 경도는 관통법에 필요한 정도의 경도일 필요는 없다. 도전성 범프의 경도는 그 형태를 어느 정도 유지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도전성 범프의 경도는 완전 경화, 또는 미경화와 완전 경화의 중간 상태로 임의 설정할 수 있다. 또, 절연성 미경화피막은 본 발명에서는 미경화이며, 엄밀하게 말하면, 절연성 미경화피막의 적어도 표면이, 미경화이다. 각 부재의 경도는 인쇄 또는 도포 후에 있어서의, 건조, 가열 등의 공정에 있어서, 처리 온도 또는 처리 시간을 컨트롤 하는 것에 의해, 임의의 경도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부재의 재료 등에 의해, 온도, 시간 등의 최적 조건은 변화한다. 구체적 재료별 최적 조건은 미리 실험 등에 의해 구해두면 된다.However,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perform the penetration of the conductive bump. In this technique, an insulating film is formed on a conductive bump and a film thickness of the insulating film is reduced to form an insulating uncured film. Thereafter, the conductive bump and the second conductor layer or the core substrate are bonded. Therefore, the hardness of the conductive bump does not need to be as much as necessary for the through-hole method. It is sufficient that the hardness of the conductive bump can maintain its shape to some extent. The hardness of the conductive bump can be set to a completely cured state or an intermediate state between uncured and fully cured state. The insulating uncured film is unc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strictly speaking, at least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uncured film is uncured. The hardness of each member can be controlled to an arbitrary hardness by controlling the treatment temperature or the treatment time in a process such as drying or heating after printing or coating. Optimum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and time vary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member. The optimum condition for each specific material can be obtained by experiment or the like in advance.

구체적인 도전성 범프의 경도의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Examples of the concrete hardness of the conductive bump are shown below.

종래의 도전성 범프는 프리프레그를 관통하기 위해서, 관통 공정(온도 조건은 80℃~120℃)의 단계에서, 완전 경화 상태로 할 필요가 있었다. 도전성 범프의 경도는 35~40인 것이 필요했다.In order to penetrate the prepreg, the conventional conductive bump needs to be in a completely cured state at the stage of the penetration step (temperature condition: 80 ° C to 120 ° C). It was necessary that the hardness of the conductive bump was 35 to 40.

본 발명의 기술에 의해, 도전성 범프를 미경화와 완전 경화의 중간 상태로 하는 경우, 예를 들면, 110에서 140℃의 사이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전성 범프를 이용하고, 그 경도를 15~30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ductive bumps are in an intermediate state between uncured and fully cured, conductive bump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for example, 110 to 140 DEG C are used, 15 to 30.

도전성 범프를 미경화와 완전 경화와의 중간 상태로 하는 것의 효과는 이하와 같다.The effect of bringing the conductive bump into an intermediate state between uncured and fully cured is as follows.

1. 도전성 범프와 도전성 범프에 접촉하는 배선 패턴과의 밀착성, 도전성이, 도전성 범프가 완전 경화인 경우보다 우수하다. 도전성 범프가 완전 경화 상태가 아닌 경우, 적층 프레스 공정에 있어서, 소정의 가열 조건에서, 도전성 범프의 소성변형이 일어나기 쉽다. 그 때문에, 도전성 범프와 도전성 범프에 접촉하는 배선 부재와의 밀착성이 향상한다. 동시에, 접촉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비아 저항이 저감함과 아울러, 전기적 접속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동시에, 도전성 범프를 형성하는 도전 페이스트 중의, 바인더 성분이 압축되어 절연성 미경화피막 중으로 밀려난다. 이 때문에, 도전 페이스트중에 분산된 도전입자와 도전성 범프에 접촉하는 배선부재와의 결합이 강고하게 된다. 이 때문에, 도전입자가 치밀화된다. 그 후의 수축에 의해, 도전성 범프중의 도전입자가 재배열되고 그 결과, 도전성이 한층 향상한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1. The adhesion between the conductive bump and the wiring pattern contacting the conductive bump and the conductivity are superior to the case where the conductive bump is completely cured. When the conductive bump is not in the fully cured state, plastic deformation of the conductive bump tends to occur under a predetermined heating condition in the laminated press process. As a result, the adhesion between the conductive bump and the wiring member contacting the conductive bump improves. At the same time, since the contact area is increased, the via resistance is reduced and the reliability of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improved. At the same time, the binder component in the conductive paste forming the conductive bump is compressed and pushed into the insulating uncured film. Therefo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ductive particles dispersed in the conductive paste and the wiring member contacting the conductive bump becomes strong. For this reason, the conductive particles are densified. Thereafter, contraction causes the conductive particles in the conductive bumps to be rearranged, and as a result, the conductivity is further improved.

2. 적층 프레스 공정에 있어서, 종래보다 훨씬 적은 프레스 압력으로, 다층 배선판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부재에 생겨나는 뒤틀림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부재의 신뢰성이 향상한다.2. In the multilayer press process, it is possible to form a multilayer wiring board at a much lower pressing pressure than in the past. As a result, the warp caused on the member is reduced. This improves the reliability of the member.

3.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절연성 수지 배합액의 막 두께 감소를 이용해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형성한다. 그 후, 도전성 범프와 제 2의 도체층 또는 코어 기판을 접합한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은 프리프레그를 관통하는 듯한 힘은 도전성 범프에는 인가되지 않는다. 또, 막두께 감소의 건조/고화 온도 조건을 도전성 범프의 경화 상태에 영향을 주지않는 범위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도전성 범프에 있어서의 인쇄 직후의 형상이, 그대로 안정적으로 유지된다.3.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insulating uncured film by reducing the film thickness of the insulating resin blend liquid. Thereafter, the conductive bump and the second conductor layer or the core substrate are bonded. Therefore, a force that seems to penetrate through the prepreg as in the prior art is not applied to the conductive bump. Also, by setting the drying / solidifying temperature condition for reducing the film thickness to a range that does not affect the curing state of the conductive bump, the shape immediately after printing in the conductive bump is stably maintained.

4. 도전성 범프와 배선패턴을 밀착시키는 경우, 도전성 범프의 선단부가 매끄럽게 소성변형한다.4. When the conductive bump and the wiring pattern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tip of the conductive bump is plastically deformed smoothly.

상기의 도전성 범프의 경도는 미소 경도계 MXT50(마츠자와세이키(주))에서, 시험온도 23℃, 시험하중 25Kgf, 하중 유지시간 15초로 측정되었다.The hardness of the conductive bump was measured at a test temperature of 23 占 폚, a test load of 25 Kgf, and a load holding time of 15 seconds in a microhardness meter MXT50 (Matsuzawa Seiki).

(절연성 피막의 경화도)(Degree of curing of insulating film)

본 발명의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도중 공정에 있어서, 도전성 범프 주변에 형성하는 절연성 피막이, '미경화'라 불리우는 경화전의 상태가 된다. 그리고, 가열 프레스 공정에 있어서, 절연성 피막이, '완전 경화' 또는 '경화'라 불리는 상태가 되도록, 가열 조건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ulating film formed around the conductive bump in the middle step is in a state before curing, which is called &quot; uncured &quot;.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heating conditions so that the insulating film is in a state called &quot; completely cured &quot; or &quot; cured &quot; in the hot pressing step.

본 발명의 다층 배선판 부재에 있어서의 절연성 피막의 재료로서 매우 적합한 에폭시수지계, 또는 OPE수지계는 구체적으로는 본원의 명세서의 단락 (0026) 또는 (0027)에 기재된 재료를 말한다. 절연성 피막이 에폭시수지계인 경우, 130~180℃이고 10분~1시간인 범위의 가열 조건에서, 절연성 피막이, '미경화'와 '완전경화'의 중간의 경화도가 된다. 절연성 피막이 올리고 페닐렌 에테르 수지계인 경우, 130~200℃이고 10분~1시간 범위의 가열 조건에서, 절연성 피막이, '미경화'와 '완전경화'의 중간의 경화도가 된다. 이 상태의 절연성 경화피막을 본원의 명세서에서는 '절연성 미경화피막'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가열 조건보다 저온 또는 단시간으로 가열했을 경우, 절연성 피막은 미경화 상태가 된다. 이러한 가열 조건보다 고온 또는 장시간으로 가열했을 경우, 절연성 피막은 보다 완전 경화에 가까운 상태가 된다. 예를 들면, 올리고 페닐렌 에테르 수지계의 경우, 160℃의 가열이어도, 가열 시간이 5분 정도이면, 경화 반응은 불충분하다. 이 때문에, 절연성 피막은 미경화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한다.The epoxy resin system or the OPE resin system which is very suitable as the material of the insulating film in the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refers to the material described in paragraph (0026) or (0027)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the insulating film is an epoxy resin system, the insulating film has a degree of curing intermediate between "uncured" and "completely cured" under a heating condition of 130 to 180 ° C. for 10 minutes to 1 hour. When the insulating film is an oligo-phenylene ether resin system, the insulating film has a degree of curing intermediate between "uncured" and "completely cured" under heating conditions of 130 to 200 ° C. and 10 minutes to 1 hour. The insulating cured coating in this state is referred to as an &quot; insulating uncured coating &quot;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When the film is heated at a lower temperature or a shorter time than the heating condition, the insulating film is in an uncured state. When heated to a higher temperature or a longer time than such a heating condition, the insulating film becomes more fully cur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n oligophenylene ether resin system, even if heating is carried out at 160 ° C, if the heating time is about 5 minutes, the curing reaction is insufficient. For this reason, the insulating film maintains a state close to uncured.

절연성 피막을 미경화피막으로 하는 경우, 절연성 피막에 접해 형성되는 부재(예를 들면, 도전성 패턴과 같은 도전성 피막, 혹은 상층 또는 하층의 절연성 피막)과 절연성 피막과의 밀착 강도가 강해진다. 그 이유는 절연성 피막이, 가교전의 분자량이 낮은 수지인 것, 이 때문에, 열유동성이 있는 상태에서, 양자가 접촉하는 것, 그 결과, 밀착 상대에 대한 절연성 피막의 젖음이 좋아지는 것에 있다. 그 때문에, 배선이 박리하기 어려워지고 및 배선판이 강고한 것이 된다, 라는 효과가 생긴다. 게다가 경화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하지의 실장 부품에 의한 요철을 틈새 없이 메우는 것이 가능하다. 배선판 표면의 평탄화에 관해서도,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When the insulating film is formed as an uncured film, the adhesion strength between a member formed in contact with the insulating film (for example, a conductive film such as a conductive pattern or an insulating film of an upper layer or a lower layer) and the insulating film are strengthene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insulating film is a resin having a low molecular weight before crosslinking, and therefore, bot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state of having heat fluidity, and as a result, the insulating film is wetted to the adherend. As a resul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iring becomes difficult to peel off and the wiring board becomes strong. In addition, since the degree of hardening is low, it is possible to fill the irregularities due to the mounting parts of the base without gaps. A high effect can be obtained also in the planarization of the surface of the wiring board.

한편, 미경화피막은 기계적 강도가 떨어진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피막 위에 인쇄에 의해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 취급이 용이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도전성 패턴을 형성하는 측의 피막을 적절한 조건에서 가열하는 것 및 이 피막을 완전 경화 상태로 변화시키고 나서, 추가로 그 위에 미경화피막을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경화피막과 완전 경화피막을 적층함으로써, 밀착성, 평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전성 패턴 가공 공정에 있어서의,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ncured coating film has a low mechanical strength. For this reason, for example, when a conductive pattern is formed on a coating film by printing, there is a possibility that handling is not easy. In such a case, it is preferable to heat the coating on the side where the conductive pattern is formed under appropriate conditions, and to laminate the uncured coating film thereon after changing the coating to a fully cured state. By laminating the uncured film and the fully cured film, the adhesion and flatness can be improved. Further, the workability in the conductive pattern processing step can be improved.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에폭시계에 있어서는 용도에 따라서는 가열 유동성이 지나치게 있다. 이 때문에, 이전 단계에서, 가열 경화를 약간 진행함으로써 유동 점도를 올리고 나서(프리베이킹 하고나서), 가압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있다.For example, in the epoxy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the heat fluidity is excessively high. For this reason, in the previous step,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flow viscosity by slightly accelerating the heating and hardening (after pre-baking) and press laminate.

[부재의 형상, 사이즈 파라미터][Shape of member, size parameter]

(사이즈 파라미터의 정의)(Definition of size parameter)

도 12 (a) 내지 (c)는 본 발명의 다층 배선판 부재에 따른 사이즈 파라미터의 정의를 설명하는 도이다.12 (a) to 12 (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definition of the size parameter according to the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a)는 도전성 범프(221)위에, 유동성 피막(222)를 도포에 의해 형성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다층 배선판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2 (b) 및 (c)는 유동성 피막(222)를 막 두께 감소시킴으로써, 절연성 미경화피막(223)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다층 배선판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전성 범프의 노출에서는 전형적으로는 도 12 (b)와 같이, 도전성 범프의 머리가 완전히 노출한다. 그러나, 최악의 경우, 도 12 (c)와 같이, 도전성 범프의 머리의 일부에, 절연성 피막이 남는다.12 (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obtained by forming a fluidic coating 222 on a conductive bump 221 by coating. 12 (b) and 12 (c)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obtained by forming the insulating uncured coating 223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fluidic coating 222. FIG. Exposure of the conductive bump typically exposes the head of the conductive bump, as shown in Figure 12 (b). However, in the worst case, as shown in Fig. 12 (c), an insulating film remains on part of the head of the conductive bump.

여기서, t1은 유동성 피막(222)의 두께이다. t2는 절연성 미경화피막(223)의 두께이다. h1는 도전성 범프(221)의 두께이다. 또, a1은 도전성 범프의 바닥면 직경(바닥면의 직경)이다. θ1은 도전성 범프(221)의 상단면의 중심각이다. 또, 도 12 (c)에 나타낸 최악의 경우에 있어서, Sb1은 범프의 바닥면적이며, Se1은 도전성 범프의 머리에 있어서의 도전성 범프(221)의 노출 면적이다. 도전성 범프의, 바닥 면적에 대한 노출 면적비는 Se1/Sb1×100(%)으로 정의된다.Here, t1 is the thickness of the fluid coating 222. and t2 is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uncured film 223. and h1 is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bump 221. A1 is the diame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uctive bump (diameter of the bottom surface). and? 1 is a central angle of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conductive bump 221. In the worst case shown in Fig. 12C, Sb1 is the bottom area of the bump, and Se1 is the exposed area of the conductive bump 221 in the head of the conductive bump. The exposed area ratio of the conductive bump to the bottom area is defined as Se1 / Sb1 x 100 (%).

또,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적층 열프레스 후의 도전성 범프의 높이는 h2, 적층 열프레스 후의 절연층의 두께는 t3이라고 정의한다. t3은 5㎛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ough not shown, the height of the conductive bump after laminated hot pressing is defined as h2, and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after laminated hot pressing is defined as t3. t3 is preferably 5 mu m or more.

(도전성 범프의 형상)(The shape of the conductive bump)

도전성 범프의 형상은 저부의 직경보다 선단부 단면의 직경이 작은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형상은 예를 들면, 원추형, 대략 원뿔대 모양, 산 모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전성 범프의 상단면 형상은 180° 이하의 중심각 θ1을 갖는 완만한 원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전성 범프의 선단부 단면이란, 도전성 범프 선단을 상부에 배치했을 경우의, 도전성 범프의 수평 방향의 단면이다. 도전성 범프의 상단면이란, 도전성 범프의 수직 방향의 단면이다. 본 발명의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에서는 도전성 범프는 프리프레그를 관통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선단이 뾰족한 형상일 필요는 없다. 도전성 범프의 선단부를 완만한 원호로 하는 것에 의해, 비아의 단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비아 저항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conductive bump is such that the diameter of the distal end section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bottom section. This shape is preferably, for example, a conical shape, a substantially truncated conical shape, or a mountain shape.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top surface of the conductive bump is a gentle arc having a center angle &amp;thetas; 1 of 180 DEG or less. Here, the tip end section of the conductive bump is a horizontal section of the conductive bump when the tip of the conductive bump is disposed on the top. The top surface of the conductive bump is a vertical cross section of the conductive bump.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ductive bump need not penetrate the prepreg, the conductive bump need not have a sharp tip. By making the tip end of the conductive bump a gentle arc, the sectional area of the via can be increased, and the via resistance can be reduced.

도전성 범프의 상단면을 180°를 넘는 중심각을 갖는 원호로 하는 경우, 도전성 범프의 선단부가 움푹 패인 형상이 된다. 이 때문에, 절연성 미경화수지가 홈부에 남아 버린다. 이 때문에, 비아의 접속 불량이나 비아 저항의 증가 등의 불편함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다층 배선판 부재에서는 도전성 범프의 상단면이, 180° 이하의 중심각을 갖는 완만한 원호형상이다. 이 때문에, 절연성 미경화수지가 도전성 범프의 선단부에 남지 않는다. 따라서, 비아의 확실한 접속 및 비아 저항의 저감에 효과가 있다. 또한 도전성 범프의 선단이 뾰족하지 않다. 이 때문에, 일괄 적층 열프레스를 실시해도, 비아 선단부가 부서지거나 접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비아와 상층의 도전성 부재와의, 확실한 전기적 접속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ductive bump is formed as an arc having a central angle exceeding 180 degrees, the tip of the conductive bump becomes a recessed shape. For this reason, the insulating uncured resin remains in the groove portion. For this reason, inconveniences such as connection failure of the via and increase of the via resistance occur. In the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ductive bump has a gentle circular arc shape having a central angle of 180 DEG or less. Therefore, the insulating uncured resin is not left at the tip of the conductive bump.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reliably connect the vias and reduce the via resistance. Further, the tips of the conductive bumps are not sharp. Therefore, even if a batch laminated thermal press is performed, the tip of the via is not broken or folded. Therefore, reliabl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via and the conductive member on the upper layer can be realized.

(도전성 범프의 노출)(Exposure of conductive bumps)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포해, 가열 또는 건조에 의해 막두께 감소를 실시하면, 절연성 미경화피막과 도전성 범프의 경계에 있어, 도 12 (c)에 나타내었듯이, 도전성 범프의 상면에, 다소의 절연성 물질이 남는 일이 있다. 도전성 범프 상면에 있어서의, 도전성 범프가 절연성 물질의 잔사 등에 의해 덮혀있지 않은 부분의 비율을 도전성 범프의, 바닥 면적에 대한 노출 면적비로 나타내는 경우, 본 발명의 기술을 이용하면, 이 노출 면적비를 2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비아의 단면적을 실질적으로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아 저항의 저감에 효과가 있다.When the insulating resin compounding liquid is applied and the film thickness is reduced by heating or drying, as shown in Fig. 12 (c) at the boundary between the insulating uncured film and the conductive bump, There is something left of the material. When the ratio of the portion of the conductive bump on which the conductive bump is not covered by the residue of the insulating material or the like is expressed by the ratio of the area of the conductive bump to the area of the bottom of the conductive bump using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 Or mor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via can be substantially increased, which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via resistance.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다층 배선판 및 그 제조방법][Multilayer wiring boar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이하에, 배선판 부재 및 코어 기판을 이용해 다층 배선판을 제조하는 방법의 구체예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이용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은 여기서 설명하는 다층 배선판 기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코어 기판을 대신하여, 도전성박, 절연성 기판, 또는 다층 배선판 부재를 사용하는 방법이다.A specific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using a wiring board member and a core substrat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Fi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using a conductive foil, an insulating board, or a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in place of the core board in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substrate described herein.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의 제 1의 구체예)(First Example of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 Wiring Board)

제 1의 구체예에서는 도 4 (a) 내지 (i)를 이용해, 적층 방식의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을 차례로 설명한다. 코어 기판으로서 도금 관통홀 방식에 의해 제조된, 프린트 다층 배선판을 이용한 예를 나타낸다. 처음에, 코어기판(52)의 상면과 하면과의 각각에,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배선판 부재의 제조방법의 제 2의 구체예(도 (2))에 의해 제조된, 다층 배선판 부재(51) 및(53)을 위치정렬하여(도 4(a)), 적층 열프레스를 실시한다. 이에 의해, 절연성 미경화피막이었던 다층 배선판 부재의 절연성 피막을 경화피막으로 한다(도 4(b)). 이어서, 다층 배선판 부재(51) 및 (53) 위에, 예를 들면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레지스트 패턴(54)를 형성한다(도 4(c)). 이어서, 습식 에칭에 의해, 레지스트 패턴(54)를 마스크로 해, 도전성박(55)를 에칭 한다. 그리고, 레지스트 패턴(54)를 제거한다. 이에 의해, 배선(56)이 형성된다(도 4(d)). 이어서, 다층 배선판(51),(53) 및 배선(56)의 상면에,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배선판 부재의 제조방법의 제 2의 구체예(도 2)에 의해 제조된, 다층 배선판 부재(57) 및 (58)을 위치정렬하여(도 4(e)), 적층 열프레스를 실시한다. 이에 의해, 절연성 미경화피막이었던, 다층 배선판 부재의 절연성 피막을 경화피막으로 한다(도 4(f)). 이어서, 다층 배선판 부재(59) 및 (60) 위에,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레지스트 패턴(62)를 형성한다(도 4(g)). 이어서, 습식 에칭에 의해, 레지스트 패턴(62)를 마스크로 해, 도전성박(61)을 에칭한다. 그리고, 레지스트 패턴(62)를 제거한다. 이에 의해, 배선(63)이 형성되고 그 결과, 다층 배선판(66)이 완성된다.(도 4(h)).In the first specific exampl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ultilayer wiring board in the lamination system will be described in turn with reference to Figs. 4 (a) to 4 (i). An example using a printed multilayer wiring board manufactured by a plated through hole method as a core substrate is shown. A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51 manufactured by a second specific example (FIG. 2)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each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core substrate 52, And 53 are aligned (Fig. 4 (a)), and laminated thermal press is performed. Thus, the insulating coating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which was the insulating uncured coating was used as the cured coating (Fig. 4 (b)). Then, a resist pattern 54 is formed on the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s 51 and 53 by, for example, photolithography (FIG. 4 (c)). Subsequently, the conductive foil 55 is etched by wet etching using the resist pattern 54 as a mask. Then, the resist pattern 54 is removed. Thus, the wiring 56 is formed (Fig. 4 (d)). Next, a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57 (FIG. 2) manufactured by a second specific example (FIG. 2) of the method for produc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s 51 and 53 and the wiring 56 (Fig. 4 (e)), and laminated hot pressing is performed. Thus, the insulating coating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which was the insulating uncured coating, is used as the cured coating (Fig. 4 (f)). Then, a resist pattern 62 is formed on the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s 59 and 60 by photolithography (FIG. 4 (g)). Subsequently, the conductive foil 61 is etched by wet etching using the resist pattern 62 as a mask. Then, the resist pattern 62 is removed. Thus, the wiring 63 is formed, and as a result, the multilayer wiring board 66 is completed (Fig. 4 (h)).

도 4에 나타내는 순차 적층 방식의 복합 다층 배선판 기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다층 배선판으로서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제조방법을 이용해 제작한, 기판부재를 이용하는 것, 혹은, 코어 기판으로서 도전성 범프에 의해 층간 접속된, 프린트 다층 배선판을 이용하는 것, 이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In the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multi-layered wiring board substrate of the sequential lamination type shown in Fig. 4, a multi-layered wiring board using a substrate member manufactur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shown in Figs. 1 and 3, It is needless to say that it is possible to use a printed multilayer wiring board which is interlayer-connected by conductive bumps.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의 제 2의 구체예)(Second Specific Example of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 Wiring Board)

제 2의 구체예에서는 도 5(a) 내지 (d)를 이용해, 일괄 적층 방식의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코어 기판으로서 도전성 범프를 이용해 제조된, 프린트 다층 배선판을 이용한 예를 나타낸다.In the second specific example, a manufacturing method of a multilayer wiring board of a batch lamination type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 to 5 (d). Layer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ed using conductive bumps as a core substrate.

일반적으로, 도금 관통홀 방식에 의해 제조된, 코어 기판의 실장밀도는 낮다. 이 때문에, B2it등의 종래법에 의해 제조된 기판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처음에,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배선판 부재의 제조방법의 제 3 구체예(도 3)에 의해, 코어 기판(75)의 상면 및 하면에 제조된, 다층 배선판 부재에, 미리, 예를 들면, 포토리소그래피법 및 에칭에 의해 배선패턴이 형성된, 다층 배선판 부재(74),(73),(76) 및 (77) 및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배선판 부재의 제조방법의 제 1의 구체예(도 1)에 의해 제조된, 다층 배선판 부재를 위치정렬한다(도 5(a)). 이어서, 적층 열프레스를 실시해, 절연성 미경화피막이었던, 다층 배선판 부재의 절연성 피막을 경화피막으로 한다(도 5(b)). 이어서, 도전성박(71) 위에, 예를 들면 포토리소그래피법에 의해, 레지스트 패턴(84)를 형성한다(도 5(c)). 습식 에칭에 의해, 레지스트 패턴(84)를 마스크로 하여, 도전성박(71)을 에칭한다. 그리고, 레지스트 패턴(84)를 제거한다. 이에 의해, 배선(83)이 형성된다(도 5(d)). 그 결과, 다층 배선판(87)가 완성한다. Generally, the mounting density of the core substrate manufactured by the through-hole plating method is low.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substrate manufactured by a conventional method such as B 2 it. 3) of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ed circuit board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layered circuit board member manufactur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re substrate 75 is preliminarily formed of, for example, (FIG. 1)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s 74, 73, 76, and 77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wiring patterns are formed by lithography and etching, (See Fig. 5 (a)). Subsequently, laminated hot pressing is performed to form a cured coating of the insulating coating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which was the insulating uncured coating (Fig. 5 (b)). Then, a resist pattern 84 is formed on the conductive foil 71 by, for example, photolithography (FIG. 5 (c)). The conductive foil 71 is etched by wet etching using the resist pattern 84 as a mask. Then, the resist pattern 84 is removed. Thus, a wiring 83 is formed (Fig. 5 (d)). As a result, the multilayer wiring board 87 is completed.

도 5에 나타낸 일괄 적층 방식의 다층 배선판 기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다층 배선판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조방법을 이용해 제작된, 기판부재를 이용하는 것, 혹은, 코어 기판으로서 도금 관통홀 방식에 의해 제조된, 프린트 다층 배선판을 이용하는 것, 이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ed circuit board substrate of the laminated type shown in Fig. 5, a multilayered circuit board using a substrate member manufactured using the manufacturing method shown in Figs. 1 and 2, Needless to say, it is possible to use a printed multilayer wiring board manufactured by a through hole method.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의 제 3 구체예, 제4 구체예)(Third Specific Example and Fourth Specific Example of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 Wiring Board)

제 3 구체예, 제4 구체예에서는 도 6(a) 및 (b)를 이용해, 코어/코어 적층 방식의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코어 기판으로서 도전성 범프를 이용해 제조된, 프린트 다층 배선판을 이용한 예를 나타낸다.In the third specific example and the fourth specific example, a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ore / core lamination type multilayer wiring board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 and 6 (b). Layer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ed using conductive bumps as a core substrate.

제 3 구체예에서는 처음에, 코어 기판(95)의 상면에, 도전성 범프(94)를 형성한다. 그 후, 절연성 필러(93)이 분산된,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전성 범프(94)의 위 및 주위에 도포한다. 이에 의해 유동성 피막이 형성된다. 이 유동성 피막을 건조함으로써, 용제를 증발시킨다. 이에 의해, 절연성 미경화피막(92)가 형성된다. 이어서, 코어 기판(91)을 위치정렬하여(도 6(a)), 적층 열프레스를 실시한다. 이에 의해, 절연성 미경화피막이었던 다층 배선판 부재의 절연성 피막이, 경화피막이 된다. 그 결과, 다층 배선판이 완성한다.In the third embodiment, first, the conductive bump 9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e substrate 95. Thereafter, an insulating resin compounding liquid in which the insulating filler 93 is dispersed is applied on and around the conductive bumps 94. Whereby a fluid coating is formed. By drying the fluid coating, the solvent is evaporated. Thus, the insulating uncured film 92 is formed. Then, the core substrate 91 is aligned (Fig. 6 (a)), and laminated hot press is performed. As a result, the insulating film of the multilayered circuit board member which is the insulating uncured film becomes a cured film. As a result, the multilayer wiring board is completed.

제4 구체예에서는 처음에, 코어 기판(100)의 상면에, 도전성 범프(99)가 형성된다. 다른 하나의 코어 기판(96)의 상면에, 절연성 필러(98)이 분산된,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포한다. 이에 의해, 유동성 피막이 형성된다. 이 유동성 피막을 건조함으로써, 용제를 증발시킨다. 이에 의해, 절연성 미경화피막(97)이 형성된다. 이어서, 코어 기판(96)과 도전성 범프(99)와를 위치정렬하여(도 6(b)), 적층 열프레스를 실시한다. 이에 의해, 절연성 미경화피막이었던 다층 배선판 부재의 절연성 피막이, 경화피막이 된다. 그 결과, 다층 배선판이 완성한다.In the fourth embodiment, first, the conductive bumps 99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e substrate 100. An insulating resin compounding liquid in which an insulating filler 98 is dispersed is appli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core substrate 96. Thereby, a fluid film is formed. By drying the fluid coating, the solvent is evaporated. Thus, the insulating uncured coating film 97 is formed. Then, the core substrate 96 and the conductive bumps 99 are aligned with each other (Fig. 6 (b)), and laminated hot pressing is performed. As a result, the insulating film of the multilayered circuit board member which is the insulating uncured film becomes a cured film. As a result, the multilayer wiring board is completed.

도 6에 나타낸 코어/코어 적층 방식의 다층 배선판 기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코어 기판으로서 도금 관통홀 방식에 의해 제조된, 프린트 다층 배선판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Needless to say,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ed circuit board substrate of the core / core lamination system shown in Fig. 6, a printed multilayered circuit board manufactured by a plated through hole method can be used as the core substrate.

[상도 공법 및 하도 공법][Sangdo construction method and under construction method]

다층 배선 기판을 제조하는 공정에서는 적층 열프레스 전에 절연성 수지층 및 도전성 범프를 배치하는 공법에는 상도 공법 및 하도 공법이 있다.In the step of manufacturing the multilayer wiring board, the insulating method and the conductive method are disposed on the insulating resin layer and the conductive bump before the laminated thermal press.

도 7 (a) 및 (b)는 하도 공법을 실시하는 경우의, 적층전의 다층 배선판의 단면도이다. 하도 공법은 도전성 범프의 가공되는 측에, 절연성 배합액을 코팅하는 공법이다. 도 7(a)에서는 코어 기판(122)에 대향하도록 도전성 범프 및 절연성재를 구비한, 다층 배선판 부재를 위치정렬한 도면이 나타나있다. 도 7 (b)에서는 코어 기판(126) 위에 형성된, 도전성 범프 및 절연성재를 구비한 다층 배선 부재 위에, 도전성박(124) 및 (128)이 배치되어 있다.Figs. 7 (a) and 7 (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multilayer wiring board prior to lamination when a sublimation method is performed. The undercoating method is a method of coating an insulating compounding liquid on the side where the conductive bump is processed. In Fig. 7 (a), there is shown a positional alignment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s including the conductive bumps and the insulating material so as to face the core board 122. Fig. In Fig. 7 (b), the conductive foils 124 and 128 are disposed on the multilayer wiring member having the conductive bump and the insulating material, which are formed on the core substrate 126. Fig.

도 7 (c) 및 (d)는 상도 공법을 실시하는 경우의, 적층전의 다층 배선판의 단면도이다. 상도 공법은 도전성 범프의 가공되는 측과는 반대측에, 절연성 배합액을 코팅하는 공법이다. 도 7 (c)에서는 도전성 범프(130) 및 (132)가 형성된, 제 1의 코어 기판(131)에 대향하는 도체층 또는 제 2의 코어 기판위에, 절연성 필러 및 휘발성 용제를 포함하는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포함으로써, 유동성 미경화피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휘발성 용제를 휘발시키는 것 및 상기 유동성 피막을 막 두께 감소시킴으로써,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의 코어 기판 및 상기 절연성 미경화피막이 형성된, 도체층 또는 제 2의 코어 기판을 적층 열프레스 하는 공정과에 의해, 상기 도전성 범프가 형성된, 제 1의 코어 배선판의 도체층과 상기 절연성 미경화피막이 형성된, 도체층 또는 제 2의 코어 기판의 도체층과의 전기적 접속을 상기 도전성 범프에서 형성하는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이 나타나 있다. 도 7 (d)에서는 제 1의 코어 기판 위에 배치된 제 1의 도체층 위에 절연성 필러 및 휘발성 용제를 포함하는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포함으로써, 유동성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휘발성 용제를 휘발시키는 것 및 상기 유동성 피막을 막 두께 감소시킴으로써,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제 2의 도체층 또는 제 2의 코어 기판 위에, 돌기형상의 도전성 범프군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 1의 코어 기판과 상기 절연층을 적층 열프레스 하는 공정과,에 의해, 상기 절연성 미경화피막이 형성된, 제 1의 코어 배선판의 도체층과, 상기 도전성 범프가 형성된, 도체층 또는 제 2의 코어 기판의 도체층과의 전기적 접속을 상기 도전성 범프에서 형성하는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이 나타나 있다.7 (c) and 7 (d)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prior to lamination in the case of performing the topography method. The topography method is a method of coating an insulating compounding liqui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here the conductive bumps are processed. 7C, an insulating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n insulating filler and a volatile solvent is formed on a conductor layer or a second core substrate facing the first core substrate 131 on which the conductive bumps 130 and 132 are formed A step of forming an insulating uncured film by forming a fluid uncured film by volatilizing a volatile solvent and a volatile solvent by applying a liquid, and a step of forming a dielectric uncured film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fluidized film, And a step of laminating hot pressing the conductor layer or the second core substrate on which the uncured film is formed to form a conductor layer of the first core wiring board and the conductor layer on which the insulating uncured film is formed, In the conductive bump,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onductor layer of the core substrate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Fig. 7 (d) shows a step of forming a fluid coating by applying an insulating resin blend liquid containing an insulating filler and a volatile solvent onto a first conductor layer disposed on the first core substrate, and a step of evaporating the volatile solvent Forming an insulating uncured film by reducing the film thickness of the fluidic coating; forming a protruding conductive bump group on the second conductive layer or the second core substrate; A step of laminating hot pressing the core substrate and the insulating layer to form a conductor layer of the first core wiring board on which the insulating uncured coating is formed and a conductor layer of the conductor layer or the second core substrate on which the conductive bump is formed Layer is formed in the conductive bump.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다층 배선판용 부재의 제조방법 및 도 (4) 내지 (6)에 나타낸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에서는 모두, 하도 공법인 경우의 공정순서 단면도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나, 상도 공법에 의해, 다층 배선판용 부재 및 다층 배선판을 제조하는 경우에서도, 하도 공법을 적용했을 경우와 같은 뛰어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ember for a multilayer wiring board shown in Figs. 1 to 3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shown in Figs. 4 to 6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of steps in the case of a subbing method. However, it is needless to say that even when a member for a multilayer wiring board and a multilayer wiring board are manufactured by a top-surface-forming method, an excellent effect as in the case of applying the underlaying method can be obtained.

[비아 저항의 측정 방법][Method of measuring via resistance]

도전성 범프 등의 기술로 형성된 다층 배선판의 비아의 전기 저항은 일반적으로, 데이지 체인이라 불리는 테스트 패턴을 이용해 측정된다. 도 13 (a) 및 (b)는 비아 저항 측정용 테스트 패턴의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테스트 패턴은 제 1층 배선(234), 비아(235), 제 2층 배선(233), 측정 단자(231) 및 (232)에 의해 구성된다. 제 1층 배선(234)는 절연성 피막(236)의 아래쪽 면에 형성된 배선이다. 제 2층 배선(233)은 절연성 피막(236의 상면에 형성된 배선이다. 측정 단자(231)과 측정 단자(232)와의 사이에는 여러개의 비아(235)가 제 1층 배선(234)의 배선 패턴 및 제 2층 배선(233)의 배선 패턴을 통해, 직렬로 접속 되고 있다. 비아 저항은 측정 단자(231) 및 측정 단자(232)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것 및 테스트 패턴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것에 의해 구해진다. 구체적으로는 단자간의 저항으로부터, 배선 저항을 뺀다. 그 결과를 비아의 갯수로 나눈다는 것에 의해, 한 개당 비아 저항을 산출한다. 일반적으로, 배선 저항 및 비아 저항의 값은 통상의 전자 부품인 저항과 비교해, 지극히 낮다. 이 때문에, 비아 저항을 고정밀도로 산출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비아를 직렬로 접속한 패턴을 준비하여, 측정을 실행해야한다. 일반적으로는 수십 개에서 수백 개의 비아를 직렬로 늘어놓아 얻어지는 패턴이 이용된다. 배선 저항에 대해서는 미리, 배선 재료의 고유 저항 혹은 배선의 시트 저항의 데이터가 있으면, 배선의 사이즈에 근거해, 이론적으로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아수가 상이한 복수의 패턴을 측정함으로써, 비아 저항과 배선 저항을 독립적으로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a via of a multilayer wiring board formed by a technique such as a conductive bump is generally measured using a test pattern called a daisy chain. 13 (a) and 13 (b) are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test pattern for via resistance measurement. The test pattern is constituted by the first layer wiring 234, the via 235, the second layer wiring 233, and the measurement terminals 231 and 232. The first layer wiring 234 is a wiring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sulating film 236. The second layer wiring 233 is a wiring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sulating film 236. A plurality of vias 235 are formed between the measuring terminal 231 and the measuring terminal 232, Via the wiring pattern of the first layer wiring 233 and the second layer wiring 233. Via resistance is determined by applying a predetermined voltage to the measurement terminal 231 and the measurement terminal 232 and measuring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est pattern The wiring resistance is subtracted from the resistance between the terminals and the result is divided by the number of vias to calculate the via resistance per unit. In order to calculate the via resistance with high precis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attern in which a plurality of vias are connected in series to perform measurement, and in general, The wiring resistance can be calculated theoretically based on the size of the wirings if there is data on the resistivity of the wiring material or the sheet resistance of the wiring in advance. It is also possible to independently measure the via resistance and the wiring resistance by measuring a plurality of patterns having different numbers.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덧붙여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Incident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도통 안정성의 필러 의존성][Filler dependency of conduction stability]

다층 배선판의 층간의 도통 안정성에 대한 절연성 수지에 분산되어 있는 절연성 필러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기판 위에 형성된, 도통 테스트용 패턴의 전기 저항을 측정했다.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insulating filler dispersed in the insulating resin against the conductivity stability between the layers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the electric resistance of the pattern for conductivity test formed on the substrate was measured.

도 (9)는 데이지 체인의 전기 저항의, 절연성 필러 유무에 대한 의존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왼쪽의 그래프가 절연성 필러가 없는 경우의 그래프이다. 오른쪽의 그래프가 절연성 필러가 있는 경우의 그래프이다. 절연성 필러로서는 실리카(D50=10㎛Φ를 사용했다. 적층 열프레스의 인가 압력은 50~500 kgf/cm2로 했다. 그래프의 가로축은 데이지 체인의 접속 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추출 전극의 번호이다. 이 번호는 기판중의 측정 위치의 상이함에 대응한다. 이들 그래프에 나타낸 것처럼, 절연성 필러가 없는 경우, 기판내에서의 층간 접속저항의 분산상태가 크고, 도통 안정성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절연성 필러가 있는 경우, 기판내에서의 층간 접속저항의 분산상태가 작고, 도통 안정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9 is a graph showing the dependence of the electrical resistance of the daisy chain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insulating filler. The graph on the left is a graph when there is no insulating filler. The graph on the right is a graph when there is an insulating filler. As the insulating filler used was silica (D50 = 10㎛Φ. Is the laminated heat press pressure was set to 50 ~ 500 kgf / cm 2. The horizontal axis of the graph is the number of the extraction electrode for measuring the connection resistance of the daisy chain. As shown in these graphs, it can be seen that, in the absence of the insulating filler, the dispersed state of the interlayer connection resistance in the substrate is large and the conduction stability is low. ,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insulating filler is present, the dispersion state of the interlayer connection resistance in the substrate is small and the conduction stability is high.

절연성 수지중의 절연성 필러의 혼합비를 변화시키면서 평가한 결과, 절연성 필러의 혼합비는 1vol% 이상, 50vo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았다. 이 혼합비는 나아가 1vol% 이상, 30vol%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았다. 저접속 저항을 고려했을 경우, 이 혼합비는 1vol% 이상, 20vol%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적합했다.The insulating filler in the insulating resin was evaluated while changing the mixing ratio thereof.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ixing ratio of the insulating filler was preferably 1 vol% or more and 50 vol% or less. It has been found that the mixing ratio is preferably 1 vol% or more and 30 vol% or less. When considering the low connection resistanc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mixing ratio is 1 vol% or more and 20 vol% or less.

도 10 (a) 내지 (f)는 도전성 범프의 전기 저항을 세로축에, 기판내의 위치를 가로축에 표시한 그래프이다. 도 10(a), (b), (c)는 각각, 절연성 필러의 직경이, 0-4㎛Φ, 5-20㎛Φ, 25-50㎛Φ의 경우에 대응한다. 절연층재에 대한 절연성 필러의 첨가량은 10vol%이다. 적층 프레스 후의 도전성 범프의 바닥면 평균 직경은 100㎛Φ이고 그 평균 높이는 20㎛이다.10 (a) to 10 (f) are graphs showing electric resistance of the conductive bump on the ordinate axis and the position in the substrate on the abscissa axis. 10 (a), 10 (b) and 10 (c) correspond to the case where the diameter of the insulating filler is 0-4 탆, 5-20 탆, and 25-50 탆, respectively. The addition amount of the insulating filler to the insulating layer material is 10 vol%. The average diame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uctive bumps after laminated press is 100 mu m phi and the average height thereof is 20 mu m.

이러한 도에서 알 수 있듯이, 절연성 필러의 직경이, 도전성 범프의 높이의 20%보다 작은 경우, 절연성 필러가 너무 작기 때문에, 배선간 쇼트가 발생하기 쉬워지는 것 및 도전성 범프 위에 절연성 필러가 잔존하기 쉬워지는 것, 이라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도통 안정성이 낮아진다. 절연성 필러의 직경이, 도전성 범프의 높이의 20%이상, 100%이하인 경우, 배선간 쇼트 및 오픈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도통 안정성이 높아진다. 절연성 필러의 직경이, 도전성 범프의 높이의 100%보다 큰 경우, 절연성 필러가 너무 크기 때문에, 도전성 범프와 이것에 접속해야 할 배선과의 사이의, 틈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도통 안정성이 낮아진다.As can be seen from this figure, when the diameter of the insulating filler is smaller than 20% of the height of the conductive bump, the insulating filler is too small, so that a short circuit is likely to occur between the wirings and the insulating filler tends to remain on the conductive bump The problem of losing occurs. Therefore, conduction stability is lowered. If the diameter of the insulating filler is 20% or more and 100% or less of the height of the conductive bump, problems such as short-circuiting and opening between wirings are less likely to occur. Therefore, conduction stability is improved. When the diameter of the insulating filler is larger than 100% of the height of the conductive bump, a gap between the conductive bump and the wiring to be connected thereto occurs because the insulating filler is too large. Therefore, conduction stability is lowered.

또, 도 10(d), (e), (f)는 각각, 절연성 재료에 대한 절연성 필러의 첨가량이, 0vol% 및 25-30vol%, 1-20vol%, 10-15vol%인 경우에 대응한다. 절연성 필러의 첨가량이 0vol%인 경우, 기판의 휘어짐의 영향에 의해, 도통성이 분산됨과 동시에, 저항의 절대치도 10Ω이상으로 커진다. 한편, 상기 첨가량이 25vol% 이상인 경우, 전기 저항의 절대치 및 분산이, 첨가량이 0vol%인 경우에 비해, 개선된다. 첨가량이 30vol%인 경우, 도전성 범프에 의한 도통성이 10Ω이하가 된다. 이 값은 다층 배선판의 사용상, 문제 없는 레벨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도 10(d)). 한편, 절연성 필러량이 1-20vol%인 경우, 휘어짐은 한층 더 개선되는 경향이 있다. 전기 저항의 절대치 및 분산은 한층 더 현저하게 저감된다. 절연성 필러량이 10-15vol%인 경우, 전기 저항이 100 mΩ이하가 되고, 편차도 극히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10 (d), 10 (e), and 10 (f) correspond to the case where the addition amount of the insulating filler to the insulating material is 0 vol% and 25 to 30 vol%, 1-20 vol%, and 10-15 vol% . When the addition amount of the insulating filler is 0 vol%, the conductivity is dispersed by the influence of the warpage of the substrate,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resistance becomes 10 Ω or more. On the other hand, when the addition amount is 25 vol% or more, the absolute value and dispersion of electric resistance are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addition amount is 0 vol%. When the addition amount is 30 vol%, the conductivity due to the conductive bump becomes 10? Or less. It can be seen that this value is a problem-free level in use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Fig. 10 (d)).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sulating filler amount is 1-20 vol%, the warpage tends to be further improved. The absolute value and the dispersion of the electric resistance are further remarkably reduced. When the amount of the insulating filler is 10-15 vol%, it is understood that the electric resistance becomes 100 m? Or less and the deviation also becomes extremely small.

[도통 안정성의 도전성 범프 높이 의존성][Dependence of conduction stability on the conductive bump height]

도전성 범프로 접속된, 2층의 배선간의 도통 안정성의, 도전성 범프 형상 및 사이즈에 대한 의존성을 평가했다. 절연층 안에는 입경이 D50이고 약 10㎛Φ인 절연성 필러를 분산했다. 절연층의 두께는 약 10㎛였다. 평가 시료로서 준비한 도전성 범프는 바닥면 직경이 50㎛Φ, 80㎛Φ, 100㎛Φ의 3 종류, 높이가 높은 것과 낮은 것의 2 종류로, 전부 6 종류였다. 도전성 범프의 바닥면 직경이 80㎛Φ 혹은 100㎛Φ인 시료에서는 도전성 범프 높이가 안정적으로, 절연층의 두께보다 높았다. 또, 도전성 범프 바닥면 직경이 50㎛Φ인 시료에서도, 도전성 범프의 높이가 높은 시료에서는 도전성 범프 높이는 안정적으로, 절연층의 두께보다 높았다. 그러나, 도전성 범프 바닥면 직경이 50㎛Φ로 도전성 범프의 높이가 낮은 시료는 도전성 범프의 높이의 분산이 컸다. 또, 절연층의 두께보다 높은 도전성 범프와 낮은 도전성 범프가 혼재하고 있었다.The dependence of the conduction stability between two wiring layers connected with the conductive bump on the shape and size of the conductive bump was evaluated. In the insulating layer, an insulating filler having a particle size of D50 and about 10 mu m phi was dispersed.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was about 10 mu m. The conductive bumps prepared as the evaluation sample were three types of 50 mu m in diameter, 50 mu m in diameter, 80 mu m in diameter and 100 mu m in diameter. In the samples of the conductive bumps having the bottom surface diameter of 80 占 퐉 or 100 占 퐉?, The height of the conductive bumps was stably higher than that of the insulating layer. In a sample having a conductive bump bottom diameter of 50 占 퐉, the height of the conductive bump was stably higher than that of the insulating layer in a sample having a high conductive bump height. However, in a sample in which the conductive bump bottom diameter was 50 占 퐉 and the height of the conductive bump was low, the dispersion of the height of the conductive bump was large. In addition, the conductive bumps having a thickness larger than that of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low conductive bumps were mixed.

이들 시료의 도통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바닥면 직경이 80㎛Φ 혹은 100㎛Φ로 도전성 범프의 높이가 높은 시료 혹은 낮은 시료와, 바닥면 직경이 50㎛Φ로 도전성 범프의 높이가 높은 시료와에서는 양호한 도통 안정성을 얻을 수 있었다. 그에 대해, 바닥면 직경이 50㎛Φ로 도전성 범프의 높이가 낮은 시료에서는 양호한 도통 안정성을 얻을 수 없었다.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conduction stability of these samples, it was found that a sample having low or high conductivity bumps with a bottom diameter of 80 占 퐉 or 100 占 퐉 and a sample having a low bottom diameter of 50 占 퐉 and a high conductive bump height Good conduction stability was obtained. On the other hand, good conduction stability could not be obtained in a sample having a bottom surface diameter of 50 占 퐉 and a height of a conductive bump being low.

[도통 안정성의 도전성 범프 높이 의존성][Dependence of conduction stability on the conductive bump height]

도 11(a) 및 (b)는 각각, 도전성 범프의 막 두께(높이) 및 저항값의, 도전성 범프중에 첨가되는 열가소성수지의 첨가량에 대한 의존성의 그래프이다. 도 11(a) 및 (b)로부터, 열가소성수지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적층 열프레스 후의 도전성 범프의 막 두께는 얇아지는 것, 도전성 범프가 가로방향(XY방향)으로 퍼지는 것 및 도전성 범프의 저항값이 내려서 안정되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배선 패턴의 라인/스페이스를 고려하면, 도전성 범프의 가로방향의 확대가 증가함으로써, 특히 예를 들면 85℃, 85%, 50V 인가의 고온 고습 바이어스 시험 등에 의해, XY방향에서 합선이 생길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전성 범프 재료에 대한 열가소성수지의 첨가량은 10wt% 이상, 30wt% 이하인 것이 매우 적합하다라고 하는 것을 알았다.Figs. 11 (a) and 11 (b) are graphs showing the dependence of the film thickness (height) and resistance value of the conductive bumps on the addition amou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added in the conductive bumps. 11A and 11B show that as the amou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to be added increases, the film thickness of the conductive bump after lamination heat press becomes thin, the conductive bump spreads in the lateral direction (XY direction) The resistance value was lowered and stabilized. However, in consideration of the line / space of the wiring pattern, the extension of the conductive bump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ncreases, and in particular, a short circuit may occur in the X and Y directions due to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bias test with 85 deg. C, 85% . Therefore, it has been found that the addition amount of the thermoplastic resin to the conductive bump material is 10 wt% or more and 30 wt% or less.

[에폭시수지를 적용한 범프의 노출에 대한 평가][Evaluation on Exposure of Bump Using Epoxy Resin]

절연성 배합액에 에폭시수지를 적용함으로써, 도전성 범프의 노출에 대한 평가용 시료를 제작했다. 시료의 제작 및 평가에서는 도전성 범프가 형성된 지지 기판 위에, 에폭시수지를 포함하는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포하고, 이를 건조했다. 그 후, 막 두께의 변화를 측정해, 도전성 범프의 외관을 관찰했다.By applying an epoxy resin to the insulating compounding liquid, a sample for evaluation of exposure of the conductive bump was produced. In the production and evaluation of samples, an insulating resin compounding liquid containing an epoxy resin was applied onto a support substrate on which conductive bumps were formed and dried. Thereafter, the change in the film thickness was measured, and the appearance of the conductive bump was observed.

(도전성 페이스트의 조정)(Adjustment of conductive paste)

도전성 페이스트는 수지 성분, 도전성 성분 및 용제를 이하의 조건에서 배합하는 것에 의해 조정되었다.The conductive paste was prepared by blending the resin component, the conductive component and the solvent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수지 성분:Resin component:

비페닐형 액상 에폭시수지:2~10중량%Biphenyl type liquid epoxy resin: 2 to 10 wt%

에폭시/페놀 수지:1~10중량%Epoxy / phenol resin: 1 to 10 wt%

비페닐형 에폭시수지:5중량% 이하Biphenyl type epoxy resin: 5% by weight or less

첨가제 :5중량% 이하Additive: 5% by weight or less

도전성 성분:Ag분말 (비늘모양의 분말 중량:구상 분말 중량=1:1)을 80중량% 이상 배합했다.Conductive component: 80 wt% or more of Ag powder (weight of scaly powder: spherical powder = 1: 1) was blended.

용제:메틸 에틸 케톤을 가해, 점도를 조정했다.Solvent: Methyl ethyl ketone was added to adjust the viscosity.

(절연성 수지 배합액의 조정)(Adjustment of Insulating Resin Blend Solution)

절연성 수지 배합액은 수지 성분 및 용제를 이하의 조건으로 배합하는 것에 의해 조정되었다.The insulating resin compounding liquid was adjusted by blending the resin component and the solvent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수지 성분(에폭시수지):Resin component (epoxy resin):

(A) YX695BH30(재팬 에폭시레진(주)제 상품명):100 중량부(A) YX695BH30 (trade name, manufactured by Japan Epoxy Resins Co., Ltd.): 100 parts by weight

(B) 에피큐어 DC808(재팬 에폭시레진(주)제 상품명):154 중량부(B) Epicure DC808 (trade name, manufactured by Japan Epoxy Resin Co., Ltd.): 154 parts by weight

(C) 콜로네이트2507(일본 폴리우레탄 공업(주)제 상품명):312 중량부(C) Colonate 2507 (trade name, manufactured by Nippon Polyurethane Industry Co., Ltd.): 312 parts by weight

(D) 2 E4MZ(이미다졸계 가교촉매, 시코쿠 화성(주)제 상품명):9. 6 중량부(D) 2 E4MZ (imidazole-based crosslinking catalyst, trade name, manufactured by Shikoku Chemical Industry Co., Ltd.): 9. 6 parts by weight

DVB-960 (신일철화학(주)제 상품명):98. 6 중량부DVB-960 (trade name, manufactured by Shin-Etsu Chemical Co., Ltd.): 98. 6 parts by weight

퍼 옥타 O(일본유지(주)제 상품명):9. 6 중량부Perocta O (trade name, manufactured by Nippon Oil Corporation): 9. 6 parts by weight

(E) 절연성 필러 실리카 D50=10㎛Φ 10VOL%(E) Insulating filler silica D50 = 10 탆 Φ 10 VOL%

용제:메틸 에틸 케톤을 더해, 점도를 조정했다.Solvent: Methyl ethyl ketone was added to adjust the viscosity.

(도전성 범프의 형성)(Formation of conductive bump)

PET로 이루어지는 지지 기판위에, 스크린 인쇄에 의해,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했다. 이에 의해, 돌기형상의 도전성 범프가 형성되었다. 도전성 범프의 바닥면의 직경은 80㎛~110㎛, 높이는 25㎛~40㎛였다.On the support substrate made of PET, a conductive paste was applied by screen printing. As a result, protruding conductive bumps were formed. The diame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uctive bump was 80 占 퐉 to 110 占 퐉 and the height was 25 占 퐉 to 40 占 퐉.

(절연성 수지 배합액의 도포 및 건조)(Application and Drying of Insulating Resin Blend)

도전성 범프가 형성된 지지 기판 위에, 닥터 블레이드법에 의해,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포했다. 도포 조건은 클리어런스 50㎛~100㎛ 및 도포 속도 1m/min였다. 이에 의해, 두께 30㎛~100㎛의 절연성 피막이 형성되었다. 그 후, 절연성 피막의 두께를 측정한 후, 시료를 건조로에 투입했다. 시료를 100℃에서, 3분간, 건조시켰다. 이에 의해, 도막의 용제를 증발시켜, 절연성 미경화피막의 두께를 감소시켰다.On the support substrate on which the conductive bumps were formed, the insulating resin composition liquid was applied by the doctor blade method. The coating conditions were a clearance of 50 mu m to 100 mu m and a coating speed of 1 m / min. As a result, an insulating film having a thickness of 30 mu m to 100 mu m was formed. Thereafter,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film was measured, and then the sample was placed in a drying furnace. The sample was dried at 100 DEG C for 3 minutes. As a result, the solvent of the coating film was evaporated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uncured coating film.

시료의 건조 후, 절연성 피막의 두께를 측정했다. 또한 도전성 범프의 노출상태를 관찰했다.After the sample was dried,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film was measured. The exposed state of the conductive bump was also observed.

(유전특성의 측정)(Measurement of dielectric property)

제작된 에폭시수지에 대해, 유전특성을 측정했다.The dielectric properties of the prepared epoxy resin were measured.

경화 후의 유전특성은The dielectric properties after curing

비유전률 2.71 / 1GHz, 2.68 / 5GHzRelative dielectric 2.71 / 1GHz, 2.68 / 5GHz

유전정접 0.019 / 1GHz, 0.0098 / 5GHz 였다.Dielectric loss tangent 0.019 / 1 GHz, and 0.0098 / 5 GHz.

[OPE수지를 적용한 도전성 범프의 노출에 대한 평가][Evaluation on Exposure of Conductive Bump Using OPE Resin]

절연성 피막에 OPE수지를 적용함으로써, 도전성 범프의 노출에 대한 평가용 시료를 제작했다. 시료의 제작 및 평가에서는 도전성 범프가 형성된 지지 기판위에, OPE수지를 포함하는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포해, 이것을 건조했다. 그 후, 막 두께의 변화를 측정하고, 도전성 범프의 외관을 관찰했다.By applying the OPE resin to the insulating film, a sample for evaluation of exposure of the conductive bump was produced. In the production and evaluation of samples, an insulating resin compound liquid containing OPE resin was applied to a support substrate on which conductive bumps were formed, and this was dried. Thereafter, the change of the film thickness was measured, and the appearance of the conductive bump was observed.

(도전성 페이스트의 조정)(Adjustment of conductive paste)

도전성 페이스트는 수지 성분, 도전성 성분 및 용제를 이하의 조건으로 배합하는 것에 의해 조정되었다.The conductive paste was prepared by blending the resin component, the conductive component and the solvent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수지 성분:Resin component:

비페닐형 액상 에폭시수지:2~10중량%Biphenyl type liquid epoxy resin: 2 to 10 wt%

에폭시/페놀수지:1~10중량%Epoxy / phenol resin: 1 to 10 wt%

비페닐형 에폭시수지:5중량% 이하Biphenyl type epoxy resin: 5% by weight or less

첨가제:5중량% 이하Additive: 5% by weight or less

도전성 성분:Ag분말(비늘모양의 분말 중량:구상 분말 중량=1:1)을 80중량% 이상 배합했다.Conductive component: 80 wt% or more of Ag powder (weight of scaly powder: spherical powder = 1: 1) was blended.

용제:메틸 에틸 케톤을 가해, 점도를 조정했다.Solvent: Methyl ethyl ketone was added to adjust the viscosity.

(절연성 수지 배합액의 조정)(Adjustment of Insulating Resin Blend Solution)

절연성 수지 배합액은 수지 성분 및 용제를 이하의 조건에서 배합하는 것에 의해 조정되었다.The insulating resin compounding liquid was adjusted by blending the resin component and the solvent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수지 성분(OPE수지):Resin component (OPE resin):

(A) OPE-2 st2200 (미츠비시 가스화학(주)제 상품명):5~40 중량%(A) OPE-2 st2200 (trade name of Mitsubishi Gas Chemical Co., Ltd.): 5 to 40 wt%

(B) TR2003 (JSR(주)제 상품명):5~40 중량%(B) TR2003 (trade name, manufactured by JSR Corporation): 5 to 40 wt%

용제:톨루엔:20~90 중량%Solvent: toluene: 20 to 90 wt%

(C) 절연성 필러 실리카 D50=10㎛φ 10VOL%(C) Insulating filler silica D50 = 10 mu m phi 10 vol%

(도전성 범프의 형성)(Formation of conductive bump)

PET로 이루어진 지지 기판 위에, 스크린 인쇄에 의해,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했다. 이에 의해, 돌기형상의 도전성 범프가 형성되었다. 도전성 범프의 바닥면의 직경은 80㎛~110㎛, 높이는 16㎛~40㎛였다.On the support substrate made of PET, a conductive paste was applied by screen printing. As a result, protruding conductive bumps were formed. The diame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ductive bump was 80 占 퐉 to 110 占 퐉 and the height was 16 占 퐉 to 40 占 퐉.

(절연성 수지 배합액의 도포 및 건조)(Application and Drying of Insulating Resin Blend)

도전성 범프가 형성된 지지 기판 위에, 닥터 블레이드법에 의해,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포했다. 도포 조건은 클리어런스 20㎛~100㎛ 및 도포 속도 1 m/min였다. 이에 의해, 두께 20㎛~100㎛의 절연성 피막이 형성되었다. 그 후, 절연성 피막의 두께를 측정한 후, 시료를 건조로에 투입했다. 시료를 100℃에서, 3분간, 건조시켰다. 이에 의해, 도막의 용제를 증발시키고, 절연성 피막의 두께를 감소시켰다.On the support substrate on which the conductive bumps were formed, the insulating resin composition liquid was applied by the doctor blade method. The coating conditions were a clearance of 20 mu m to 100 mu m and a coating speed of 1 m / min. As a result, an insulating film having a thickness of 20 mu m to 100 mu m was formed. Thereafter,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film was measured, and then the sample was placed in a drying furnace. The sample was dried at 100 DEG C for 3 minutes. As a result, the solvent of the coating film was evaporated, and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coating was reduced.

시료를 건조 후, 절연성 피막의 두께를 측정했다. 또한 도전성 범프의 노출상태를 관찰했다.After the sample was dried,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film was measured. The exposed state of the conductive bump was also observed.

(유전특성의 측정)(Measurement of dielectric property)

제작된 OPE수지에 대해, 유전특성을 측정했다.The dielectric properties of the fabricated OPE resin were measured.

경화 후의 유전특성은The dielectric properties after curing

비유전률 2.40/5 GHzRelative dielectric constant 2.40 / 5 GHz

유전정접 0.0019/5 GHz이었다.
Dielectric loss tangent 0.0019 / 5 GHz.

이상에서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은 고밀도 실장에 대응한 다층 배선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층간 접속의 안정성을 향상하는 것이 가능하고, 고수율 및 저비용의 다층 배선판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엘렉트로닉스 분야에 크게 기여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ayer wiring board corresponding to high density mounting.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tability of interlayer connection, and to provide a high-yield and low-cost multilayer wiring board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ibutes greatly to the field of electronics.

Claims (18)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적어도, 도체층 위에 돌기형상의 도전성 범프군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도체층 위 및 상기 도전성 범프군 위에, 절연성 필러 및 휘발성 용제를 포함하는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포함으로써, 유동성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휘발성 용제를 휘발시키는 것 및 상기 유동성 피막을 막 두께 감소시킴으로써,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절연성 미경화피막위에 도체층 또는 코어 기판을 적층한 후, 상기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경화 반응시킴에 의해, 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성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상기 도전성 범프군의 높이보다도 두껍게 도포하여 유동성 피막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도포된 유동성 피막을 상기 도전성 범프군의 높이보다 얇게 될 때까지 막 두께를 감소시켜,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형성하며,
상기 도전성 범프군을 구성하는 도전성 범프의 상단면의 형상이, 중심각이 180°이하의 원호상인,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
At least a step of forming protruding conductive bump groups on conductor layers,
A step of forming a fluid coating film on the conductive layer and on the conductive bump group by applying an insulating resin compounding liquid containing an insulating filler and a volatile solvent,
Volatilizing the volatile solvent and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fluid coating to form an insulating uncured coating;
And a step of forming an insulating layer by laminating a conductor layer or a core substrate on the insulating uncured coating film followed by curing reaction of the insulating uncured coating film,
In the step of forming the fluid film, the liquid composition of the insulating resin is applied to a thickness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conductive bump group to form a fluid film,
Wherein the step of forming the insulating uncured coating film reduces the thickness of the applied fluid coating film to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conductive bump group to form an insulating uncured coating film,
Wherein the top surface of the conductive bumps constituting the conductive bump group is in an arcuate shape with a central angle of 180 DEG or less.
적어도, 제 1의 코어 기판위에 돌기형상의 도전성 범프군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도전성 범프군 위에 절연성 필러 및 휘발성 용제를 포함하는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포함으로써, 유동성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휘발성 용제를 휘발시키는 것 및 상기 유동성 피막을 막 감소시킴으로써,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절연성 미경화피막 위에 도체층 또는 제 2의 코어 기판을 적층한 후, 상기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경화 반응시킴으로써 절연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성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상기 도전성 범프군의 높이보다도 두껍게 도포하여 유동성 피막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도포된 유동성 피막을 상기 도전성 범프군의 높이보다 얇게 될 때까지 막 두께를 감소시켜,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형성하며,
상기 도전성 범프군을 구성하는 도전성 범프의 상단면의 형상이, 중심각이 180°이하의 원호상인,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
At least a step of forming protruding conductive bump groups on the first core substrate,
A step of forming a fluid film by applying an insulating resin compound liquid containing an insulating filler and a volatile solvent onto the conductive bump group,
A step of forming an insulating uncured film by volatilizing the volatile solvent and reducing the film of the fluidized film, a step of laminating a conductor layer or a second core substrate on the insulating uncured film, To form an insulating layer,
In the step of forming the fluid film, the liquid composition of the insulating resin is applied to a thickness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conductive bump group to form a fluid film,
Wherein the step of forming the insulating uncured coating film reduces the thickness of the applied fluid coating film to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conductive bump group to form an insulating uncured coating film,
Wherein the top surface of the conductive bumps constituting the conductive bump group is in an arcuate shape with a central angle of 180 DEG or less.
적어도, 제 1의 코어 기판위에 돌기형상의 도전성 범프군을 형성하는 공정과
도체층 또는 제 2의 코어 기판위에 절연성 필러 및 휘발성 용제를 포함하는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포함으로써, 유동성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휘발성 용제를 휘발시키는 것 및 상기 유동성 피막을 막 두께 감소시킴으로써, 절연성 미경화피막으로 하는 공정과,
상기 제 1의 코어 기판과 상기 절연성 미경화피막이 형성된, 도체층 또는 제 2의 코어 기판을 적층 열프레스 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성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상기 도전성 범프군의 높이보다도 두껍게 도포하여 유동성 피막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도포된 유동성 피막을 상기 도전성 범프군의 높이보다 얇게 될 때까지 막 두께를 감소시켜,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형성하며,
상기 도전성 범프군을 구성하는 도전성 범프의 상단면의 형상이, 중심각이 180°이하의 원호상인,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
At least a step of forming protruding conductive bump groups on the first core substrate,
A step of forming a fluid coating film by applying an insulating resin composition liquid containing an insulating filler and a volatile solvent onto the conductor layer or the second core substrate,
Volatilizing the volatile solvent and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fluid coating to form an insulating uncured coating,
And a step of laminating hot pressing the conductor layer or the second core substrate on which the first core substrate and the insulating uncured film are formed,
In the step of forming the fluid film, the liquid composition of the insulating resin is applied to a thickness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conductive bump group to form a fluid film,
Wherein the step of forming the insulating uncured coating film reduces the thickness of the applied fluid coating film to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conductive bump group to form an insulating uncured coating film,
Wherein the top surface of the conductive bumps constituting the conductive bump group is in an arcuate shape with a central angle of 180 DEG or less.
삭제delete 제 1의 도체층 위에 도전성 범프군을 형성하는 것, 절연성 필러 및 휘발성 용제를 포함하는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포함으로써, 유동성 피막을 형성하는 것 및 상기 휘발성 용제를 휘발시키는 것 및 상기 유동성 피막을 막 두께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되는 다층 배선판용 부재를 하나 또는 복수 형성하고, 그 후,
코어 기판위에 상기 다층 배선판용 부재를 적층 열프레스 하는 것 및 상기 다층 배선판용 부재 위에, 제 2의 도체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공정을 1회 또는 여러 차례 반복함으로써 다층 배선판을 형성하고,
상기 유동성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상기 도전성 범프군의 높이보다도 두껍게 도포하여 유동성 피막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도포된 유동성 피막을 상기 도전성 범프군의 높이보다 얇게 될 때까지 막 두께를 감소시켜,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형성하며,
상기 도전성 범프군을 구성하는 도전성 범프의 상단면의 형상이, 중심각이 180°이하의 원호상인,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
Form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bump group on the first conductor layer; applying an insulating resin compounding liquid containing an insulating filler and a volatile solvent to form a fluid coating; volatilizing the volatile solvent; One or a plurality of members for a multilayer wiring board formed by forming an insulating uncured film by reducing the thickness are formed,
A multilayer wiring board is formed by repeating a process including laminating hot pressing the member for a multilayer wiring board on a core substrate and forming a second conductor layer on the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 once or several times,
In the step of forming the fluid film, the liquid composition of the insulating resin is applied to a thickness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conductive bump group to form a fluid film,
Wherein the step of forming the insulating uncured coating film reduces the thickness of the applied fluid coating film to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conductive bump group to form an insulating uncured coating film,
Wherein the top surface of the conductive bumps constituting the conductive bump group is in an arcuate shape with a central angle of 180 DEG or less.
제 1의 도체층 위에 도전성 범프군을 형성하는 것, 절연성 필러 및 휘발성 용제를 포함하는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도포함으로써, 유동성 피막을 형성하는 것 및 상기 휘발성 용제를 휘발시키는 것 및 상기 유동성 피막을 막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절연성 미경화피막으로 함으로써 형성되는 다층 배선판용 부재를 하나 또는 복수 형성하고, 그 후,
코어 기판 위에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다층 배선판용 부재를 일괄해 적층 열프레스 함으로써, 다층 배선판을 형성하고,
상기 유동성 피막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절연성 수지 배합액을, 상기 도전성 범프군의 높이보다도 두껍게 도포하여 유동성 피막을 형성하고,
상기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도포된 유동성 피막을 상기 도전성 범프군의 높이보다 얇게 될 때까지 막 두께를 감소시켜, 절연성 미경화피막을 형성하며,
상기 도전성 범프군을 구성하는 도전성 범프의 상단면의 형상이, 중심각이 180°이하의 원호상인,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
Form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bump group on the first conductor layer; applying an insulating resin compounding liquid containing an insulating filler and a volatile solvent to form a fluid coating; volatilizing the volatile solvent; To form an insulating uncured film, thereby forming one or a plurality of members for a multilayer wiring board,
One or a plurality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members are collectively laminated and hot pressed on the core substrate to form a multilayer wiring board,
In the step of forming the fluid film, the liquid composition of the insulating resin is applied to a thickness larger than the height of the conductive bump group to form a fluid film,
Wherein the step of forming the insulating uncured coating film reduces the thickness of the applied fluid coating film to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conductive bump group to form an insulating uncured coating film,
Wherein the top surface of the conductive bumps constituting the conductive bump group is in an arcuate shape with a central angle of 180 DEG or less.
제 9항, 제 10항, 제 11항, 제 13항 및 제 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수지 배합액중의 불휘발성 성분의 함유량이 10중량%~80중량%인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The multilayer wiring boar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10, 11, 13, and 14, wherein the content of the nonvolatile component in the insulating resin mixed solution is 10 wt% to 80 wt% &Lt; / RTI &gt;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건조/고화 온도가 60℃이상, 16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 wiring board according to claim 9 or 10, wherein the drying / solidifying temperature of the insulating layer is 60 占 폚 or more and 160 占 폚 or less. 제 9항, 제 10항, 제 11항, 제 13항 및 제 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범프군을 구성하는 수지 조성물이 열경화성수지에, 열가소성수지를 10wt% 이상, 30wt% 이하의 혼합비로 첨가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The conductive bump group as set forth in any one of claims 9, 10, 11, 13, and 14, wherein the resin composition constituting the conductive bump group comprises a thermosetting resin, a thermoplastic resin in an amount of 10 wt%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제 11항, 제 13항 및 제 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열프레스의 온도가 절연성 수지의 경화 반응이 개시하는 온도 이하이면서, 절연성 수지의 열용해 점도가 내려가는 온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배선판의 제조방법.The laminated thermal pres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1, 13 and 14,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laminated thermal press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curing reaction of the insulating resin starts,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multilayer wiring board.
KR1020127003210A 2009-08-07 2010-07-30 Multilayered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ed wiring board Active KR10173651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84992 2009-08-07
JP2009184992A JP4825286B2 (en) 2009-08-07 2009-08-07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 wiring board
PCT/JP2010/062870 WO2011016394A1 (en) 2009-08-07 2010-07-30 Multilayered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ed wiring boar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2284A KR20120052284A (en) 2012-05-23
KR101736516B1 true KR101736516B1 (en) 2017-05-16

Family

ID=43544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3210A Active KR101736516B1 (en) 2009-08-07 2010-07-30 Multilayered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ed wiring board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825286B2 (en)
KR (1) KR101736516B1 (en)
CN (1) CN102474993B (en)
TW (1) TWI538579B (en)
WO (1) WO2011016394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33767A1 (en) * 2011-03-31 2012-10-04 ナミックス株式会社 Thermally conductive composition and thermal conductor
JP2013151638A (en) * 2011-12-27 2013-08-08 Yamaichi Electronics Co Ltd Coverlay film, flexible wiring board,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13193253A (en) * 2012-03-16 2013-09-30 Yamaichi Electronics Co Ltd Electromagnetic shielding coverlay film, flexible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3596359A (en) * 2012-08-13 2014-02-19 广达电脑股份有限公司 Printed circuit board structure
JP6345384B2 (en) * 2012-10-15 2018-06-20 日立化成株式会社 Resin composition for printed wiring board, resin film for printed wiring board,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6126834B2 (en) * 2012-12-20 2017-05-10 ナミックス株式会社 Pre-feed type liquid resin composition for semiconductor encapsulation and semiconductor device
KR102142521B1 (en) * 2013-12-26 2020-08-07 삼성전기주식회사 Rigi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13602B1 (en) * 2014-12-23 2021-02-05 주식회사 두산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and plate body comprising the same
KR101974763B1 (en) * 2015-01-13 2019-05-02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Multilayer board
TWI601104B (en) 2015-04-02 2017-10-0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Display panel
JP6728760B2 (en) * 2016-02-25 2020-07-22 味の素株式会社 Resin sheet with support
TWI752057B (en) * 2016-07-20 2022-01-11 日商昭和電工材料股份有限公司 Composite film for electronic equipment, printed wiring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using high-frequency signal
JP6880585B2 (en) * 2016-07-20 2021-06-02 昭和電工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Composite films for electronic devices, printed wiring board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that use signals in the high frequency band
CN107889378A (en) * 2017-10-20 2018-04-06 泰州市博泰电子有限公司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for millimeter wave hybrid circuit
TWI667946B (en) * 2018-05-29 2019-08-01 夏爾光譜股份有限公司 Soft circuit board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0769586B (en) * 2018-07-27 2025-07-18 广州方邦电子股份有限公司 Electromagnetic shielding film, circuit board and preparation method of electromagnetic shielding film
TWI738520B (en) * 2020-09-22 2021-09-01 神雲科技股份有限公司 Design method for ground vias of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and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CN114390777B (en) * 2020-10-21 2023-09-05 环达电脑(上海)有限公司 Method for designing ground via hole of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and multilayer printed circuit board
JP7534243B2 (en) * 2021-03-19 2024-08-14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Multilayer substrate, integrated magnetic device,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layer substrate
CN118895086A (en) * 2024-04-10 2024-11-05 华为技术有限公司 A film-forming composition and its applic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5680A (en) * 1996-01-05 2000-11-21 アライドシグ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Printed circuit multilaye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2353617A (en) * 2001-05-23 2002-12-06 Kyocera Chemical Corp Printed wiring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4247668A (en) * 2003-02-17 2004-09-02 Hitachi Chem Co Ltd Lamination forming mid wiring member, wiring board,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0295B2 (en) * 1995-01-23 2004-12-15 京セラケミカル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rinted wiring board
US6147870A (en) * 1996-01-05 2000-11-1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Printed circuit assembly having locally enhanced wiring density
WO1998047331A1 (en) * 1997-04-16 1998-10-22 Kabushiki Kaisha Toshiba Wiring board, wiring board fabrication method, and semiconductor package
JP4319277B2 (en) * 1998-12-25 2009-08-26 株式会社東芝 Battery separator and polymer battery
JP3262106B2 (en) * 1999-06-25 2002-03-04 日本電気株式会社 Copper foil with resin and printed circuit board using the same
JP2004104030A (en) * 2002-09-12 2004-04-02 Sumitomo Bakelite Co Ltd Production of multilayer wiring board, and multilayer wiring board
JP2004335505A (en) * 2003-04-30 2004-11-25 Ibiden Co Ltd Multilayered printed wiring board
JP4892924B2 (en) * 2005-10-21 2012-03-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Multilayer printed wiring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112827B2 (en) * 2007-11-21 2013-01-09 ナミックス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fiber-reinforced uncured film and fiber-reinforced uncured fil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5680A (en) * 1996-01-05 2000-11-21 アライドシグ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Printed circuit multilayer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2353617A (en) * 2001-05-23 2002-12-06 Kyocera Chemical Corp Printed wiring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4247668A (en) * 2003-02-17 2004-09-02 Hitachi Chem Co Ltd Lamination forming mid wiring member, wiring board,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38579B (en) 2016-06-11
JP2011040493A (en) 2011-02-24
KR20120052284A (en) 2012-05-23
CN102474993A (en) 2012-05-23
CN102474993B (en) 2014-10-15
WO2011016394A1 (en) 2011-02-10
JP4825286B2 (en) 2011-11-30
TW201127233A (en) 2011-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516B1 (en) Multilayered wiring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layered wiring board
TWI494337B (en) Epoxy resin composition for circuit board, prepreg, laminate, resin sheet, laminated base material for printed wiring board, printed wiring board and semiconductor device
JP5771987B2 (en) Multilayer circuit board, insulating sheet, and semiconductor package using multilayer circuit board
TWI443015B (en) Insulative resin sheet laminate, multi-layered printed wiring board consisting of the insulative resin sheet laminate
TWI416673B (en) Connection structure for flip-chip semiconductor package, build-up layer material, sealing resin composition, and circuit substrate
TWI413220B (en) Semiconductor package, core layer material, buildup layer material, and sealing resin composition
WO2009123285A1 (en) Flux activator, adhesive resin composition, adhesive paste, adhesive film,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ion method, and semiconductor device
KR100432105B1 (en) Resin Compound, and Adhesive Film, Metal-clad Adhesive Film, Circuit Board, and Assembly Structure, Using the Resin Compound
JP5200405B2 (en) Multilayer wiring board and semiconductor package
JP5309352B2 (en) Interlayer insulation sheet for electronic component built-in module, electronic component built-in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lectronic component built-in module
KR20130069908A (e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JP2009212101A (en) Member for multilayer wiring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layer wiring board
JP2009212099A (en) Member for multilayer wiring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layer wiring board
JP2004349672A (en) Filler material, multilayer wiring substrat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layer wiring substrate
JP7225553B2 (en) Resin sheet for forming solder resist
JP2011187999A (en) Multilayer wiring board
JP2017084949A (en) Resin composition for circuit board, prepreg, metal-clad laminate sheet, circuit board, and semiconductor package
JP2005220341A (en) Filler, wiring board using the same, and producing method for the wiring board
JP2002368416A (en) Printed wiring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009212095A (en) Member for multilayer wiring boar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70028262A (en) Resin sheet and electronic apparatus
WO2023153445A1 (en) Member for forming wiring, method for forming wiring layer using member for forming wiring, and formed wiring member
WO2023152838A1 (en) Member for forming wiring, method for forming wiring layer using member for forming wiring, and wiring forming member
JP2025024831A (en) Adhesive film, adhesive film with metal layer, member for forming wiring, method for forming wiring layer, and member for forming wiring
JP2004356368A (en) Tape with adhesive for semiconductor, copper-clad laminate using the same, substrate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semicondu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2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