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3532B1 - 전기 커넥터, 접속 대상물 유닛, 접속 대상물 유닛 집합체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접속 대상물 유닛, 접속 대상물 유닛 집합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3532B1 KR101733532B1 KR1020150038693A KR20150038693A KR101733532B1 KR 101733532 B1 KR101733532 B1 KR 101733532B1 KR 1020150038693 A KR1020150038693 A KR 1020150038693A KR 20150038693 A KR20150038693 A KR 20150038693A KR 101733532 B1 KR101733532 B1 KR 1017335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contact portion
- contact
- fitted
- electrical connec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 H01M2/30—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8—Coupling parts 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1/00—One pol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해결 수단) 핀 커넥터(6)는, 핀 콘택트(20)와 핀 하우징(21)을 구비한다. 핀 콘택트(20)는, 상 소켓 커넥터(10)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상 접촉부(31)와, 하 소켓 커넥터(11)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하 접촉부(32)와, 배터리(2)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전극 접촉부(30)를 구비한다. 상 접촉부(31)의 판두께 방향과 하 접촉부(32)의 판두께 방향은, 전극 접촉부(30)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상 소켓 커넥터(10)를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하 소켓 커넥터(11)를 핀 커넥터(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상이한 방향이다.
Description
도 2는 커넥터 조립체가 부착된 배터리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3은 복수의 배터리가 서로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4는 핀 커넥터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5는 핀 커넥터의 일부 절결(cut-away)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6은 핀 커넥터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7은 핀 커넥터의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8은 핀 커넥터의 또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9는 핀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0은 핀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1은 핀 콘택트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2는 핀 콘택트의 다른 각도로부터 본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3은 상 하우징 분할체의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4는 상 하우징 분할체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5는 상 하우징 분할체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6은 핀 커넥터의 평면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7은 케이블의 단부에 부착된 소켓 커넥터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8은 케이블의 단부에 부착된 소켓 커넥터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제1 실시 형태).
도 19는 핀 콘택트의 사시도이다(제2 실시 형태).
도 20은 핀 콘택트의 사시도이다(제3 실시 형태).
도 21은 핀 콘택트의 사시도이다(제4 실시 형태).
도 22는 특허문헌 1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2 : 배터리(접속 대상물)
3 : 케이블(제1 전선, 제2 전선)
4 : 배터리 본체
4a : 상면
4b : 정면
4c : 배면
4d : 하면
4e : 측면
5 : 전극
6 : 핀 커넥터(전기 커넥터)
7 : 소켓 커넥터(제1 커넥터, 제2 커넥터)
10 : 상 소켓 커넥터(제1 커넥터)
11 : 하 소켓 커넥터(제2 커넥터)
12 : 상 케이블(제1 전선)
13 : 하 케이블(제2 전선)
20 : 핀 콘택트(콘택트)
21 : 핀 하우징(하우징)
22 : 나사
23 : 상 하우징 분할체(제1 하우징 분할체)
24 : 하 하우징 분할체(제2 하우징 분할체)
30 : 전극 접촉부(제3 접촉부)
31 : 상 접촉부(제1 접촉부)
31b : 측단면
31a : 선단면
31c : 접촉면
32 : 하 접촉부(제2 접촉부)
32a : 선단면
32b : 측단면
32c : 접촉면
33 : 부착구멍
34 : 상 접속 부분(제1 접속 부분)
35 : 하 접속 부분(제2 접속 부분)
40 : 베이스
41 : 내측 커버부(제1 내측 커버부, 제2 내측 커버부)
42 : 외측 커버부(제1 외측 커버부, 제2 외측 커버부)
43 : 커버 지지부
44 : 접속 부분 커버부(제1 접속 부분 커버부, 제2 접속 부분 커버부)
45 : 삽입구멍
46 : 나사구멍
47 : 선단면 커버부(들보체)
48 : 측단면 커버부(들보체)
49 : 보강 빔부
50 : 접촉부 삽입 공간
51 : 커넥터 삽입 공간(공간)
52 : 대측벽
53 : 소측벽(측벽)
54 : 핀측 로크부(제1 빠짐방지부, 제2 빠짐방지부)
55 : 보강 리브
60 : 소켓 콘택트
61 : 소켓 하우징
62 : 압착부
63 : 접촉 스프링편
64 : 지지부
65 : 하우징 본체
65a : 개구
66 : 개구 제한부
66a : 스프링편 대향부
67 : 소켓측 로크부
70 : 커버부(제1 커버부, 제2 커버부)
71 : 접속 대상물 유닛
72 : 접속 대상물 유닛 집합체
80 : 후 접촉부(제1 접촉부)
81 : 전 접촉부(제2 접촉부)
82 : 후 접촉부(제1 접촉부)
83 : 전 접촉부(제2 접촉부)
84 : 상 접촉부(제1 접촉부)
85 : 전 접촉부(제2 접촉부)
C1 : 중심축
C2 : 중심축
C80 : 중심축
C81 : 중심축
M : 금속판
Q : 가상 연장선
W : 치수
Claims (12)
- 접속 대상물에 부착되고, 제1 전선에 부착된 제1 커넥터와 끼워맞춤하고, 제2 전선에 부착된 제2 커넥터와 끼워맞춤함으로써,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을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에 부착되고,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한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전기 커넥터로부터의 빠짐방지로서의 제1 빠짐방지부와,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한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전기 커넥터로부터의 빠짐방지로서의 제2 빠짐방지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1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제2 접촉부와,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제3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과 상기 제2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은, 상기 제3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이고,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상이한 방향이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접촉부를 덮는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접촉부를 덮는 제2 커버부를 갖고,
상기 제1 커버부는, 상기 제1 접촉부의 선단면과 양측단면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들보체에 의해 구성된 제1 내측 커버부와, 상기 제1 내측 커버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커넥터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 외측 커버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커버부는, 상기 제2 접촉부의 선단면과 양측단면을 따라 연장되는 복수의 들보체에 의해 구성된 제2 내측 커버부와, 상기 제2 내측 커버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커넥터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외측 커버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반대의 방향인 전기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상기 제3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평행인 전기 커넥터.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2 접촉부의 중심축의 가상 연장선으로부터 벗어나 있고,
상기 제1 접촉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상기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고,
상기 제2 접촉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상기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전기 커넥터. - 접속 대상물에 부착되고, 제1 전선에 부착된 제1 커넥터와 끼워맞춤하고, 제2 전선에 부착된 제2 커넥터와 끼워맞춤함으로써,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을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에 부착되고,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한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전기 커넥터로부터의 빠짐방지로서의 제1 빠짐방지부와,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한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전기 커넥터로부터의 빠짐방지로서의 제2 빠짐방지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1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제2 접촉부와,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제3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과 상기 제2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은, 상기 제3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이고,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상이한 방향이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접촉부를 덮는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접촉부를 덮는 제2 커버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커버부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분할체와, 상기 제2 커버부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 분할체를 포함하는 적어도 2개의 부품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1 하우징 분할체는, 상기 제2 접촉부와 상기 제3 접촉부의 접속 부분으로서의 제2 접속 부분을 덮는 제1 접속 부분 커버부를 갖고,
상기 제2 하우징 분할체는, 상기 제1 접촉부와 상기 제3 접촉부의 접속 부분으로서의 제1 접속 부분을 덮는 제2 접속 부분 커버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반대의 방향인 전기 커넥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상기 제3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평행인 전기 커넥터.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2 접촉부의 중심축의 가상 연장선으로부터 벗어나 있고,
상기 제1 접촉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상기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고,
상기 제2 접촉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상기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전기 커넥터. - 접속 대상물에 부착되고, 제1 전선에 부착된 제1 커넥터와 끼워맞춤하고, 제2 전선에 부착된 제2 커넥터와 끼워맞춤함으로써, 상기 제1 전선 및 상기 제2 전선을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에 부착되고,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한 상기 제1 커넥터의 상기 전기 커넥터로부터의 빠짐방지로서의 제1 빠짐방지부와,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한 상기 제2 커넥터의 상기 전기 커넥터로부터의 빠짐방지로서의 제2 빠짐방지부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1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제1 접촉부와,
상기 제2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제2 접촉부와,
상기 접속 대상물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한 평판 형상의 제3 접촉부를 갖고,
상기 제1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과 상기 제2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은, 상기 제3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이고,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상이한 방향이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접촉부를 덮는 제1 커버부와, 상기 제2 접촉부를 덮는 제2 커버부를 갖고,
상기 제1 빠짐방지부는, 상기 제1 커버부의, 상기 제1 접촉부의 측단면에 대향하는 측벽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빠짐방지부는, 상기 제2 커버부의, 상기 제2 접촉부의 측단면에 대향하는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반대의 방향인 전기 커넥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과,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은, 상기 제3 접촉부의 판두께 방향에 대하여 평행인 전기 커넥터.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2 접촉부의 중심축의 가상 연장선으로부터 벗어나 있고,
상기 제1 접촉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1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상기 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고,
상기 제2 접촉부의 중심축은,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전기 커넥터에 끼워맞춤하는 상기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전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4-071467 | 2014-03-31 | ||
JP2014071467A JP6247585B2 (ja) | 2014-03-31 | 2014-03-31 | 電気コネクタ、接続対象物ユニット、接続対象物ユニット集合体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3852A KR20150113852A (ko) | 2015-10-08 |
KR101733532B1 true KR101733532B1 (ko) | 2017-05-08 |
Family
ID=54167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38693A Active KR101733532B1 (ko) | 2014-03-31 | 2015-03-20 | 전기 커넥터, 접속 대상물 유닛, 접속 대상물 유닛 집합체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431760B2 (ko) |
JP (1) | JP6247585B2 (ko) |
KR (1) | KR101733532B1 (ko) |
CN (1) | CN104953417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948048B2 (en) * | 2015-05-15 | 2018-04-17 | Yazaki North America, Inc. | Splitter terminal and connector |
CN105977743B (zh) * | 2016-07-09 | 2018-08-07 |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研究所 | 双头高压转换连接器 |
TWM551769U (zh) * | 2017-07-28 | 2017-11-11 | Amphenol Fiber Optic Tech (Shenzhen) | 電源適配裝置 |
USD840342S1 (en) * | 2017-07-31 | 2019-02-12 | Tectonica Australia Pty Ltd | Cabling hub |
JP6878322B2 (ja) * | 2018-01-16 | 2021-05-26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外部接続バスバーの接続構造および外部接続バスバーの接続方法 |
JP7398412B2 (ja) * | 2021-07-28 | 2023-12-14 | 矢崎総業株式会社 | 電気接続構造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87823A (ja) | 2005-09-22 | 2007-04-05 | Sumitomo Wiring Syst Ltd | バッテリー接続用のヒューズユニット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209874A (ja) * | 1982-05-31 | 1983-12-06 | 日新電機株式会社 | 圧着端子 |
JPS59105776U (ja) * | 1982-12-29 | 1984-07-16 | 松下電工株式会社 | 蓄電池接続装置 |
US5221219A (en) * | 1990-03-27 | 1993-06-22 |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 Battery terminal connector |
JP3118549B2 (ja) * | 1991-11-08 | 2000-12-18 |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 バッテリー用電気接続具 |
US5645448A (en) * | 1995-10-16 | 1997-07-08 | Yazaki Corporation | Battery connecting module with fuse mounting |
JP3516259B2 (ja) * | 1999-05-18 | 2004-04-05 | 矢崎総業株式会社 | 電源直付け用大電流ヒューズ |
US6302709B1 (en) * | 2000-06-05 | 2001-10-16 | Power-One, Inc. | Multiple function high current interconnect with integrated bus bar |
JP3845266B2 (ja) * | 2001-05-01 | 2006-11-15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ヒューズユニット |
DE102004052476B4 (de) * | 2003-10-31 | 2007-08-09 | Yazaki Corp. | Sicherungsanordnung |
US7663466B1 (en) * | 2007-09-21 | 2010-02-16 | Yazaki North America, Inc. | Corner-mounted battery fuse |
JP4959507B2 (ja) * | 2007-10-31 | 2012-06-27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の組み付け構造 |
US7990738B2 (en) * | 2008-04-02 | 2011-08-02 | Littelfuse, Inc. | Master fuse module |
JP5441247B2 (ja) * | 2009-04-27 | 2014-03-12 | 矢崎総業株式会社 | 電線タイプヒュージブルリンク用分配端子及び電線タイプヒュージブルリンク用分配端子を用いたヒューズ接続構造 |
JP5418846B2 (ja) * | 2010-02-03 | 2014-02-19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過電流遮断素子付き端子 |
JP5681521B2 (ja) * | 2010-04-06 | 2015-03-11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ヒューズユニット |
US8628875B2 (en) * | 2010-04-16 | 2014-01-14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module with multi-level connector |
CN201725937U (zh) * | 2010-05-19 | 2011-01-26 | 佳颖精密企业股份有限公司 | 电池连接器结构 |
JP5352723B1 (ja) * | 2012-09-05 | 2013-11-27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
2014
- 2014-03-31 JP JP2014071467A patent/JP6247585B2/ja active Active
-
2015
- 2015-03-20 KR KR1020150038693A patent/KR101733532B1/ko active Active
- 2015-03-20 CN CN201510121379.6A patent/CN104953417B/zh active Active
- 2015-03-24 US US14/667,212 patent/US9431760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87823A (ja) | 2005-09-22 | 2007-04-05 | Sumitomo Wiring Syst Ltd | バッテリー接続用のヒューズユニッ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431760B2 (en) | 2016-08-30 |
CN104953417A (zh) | 2015-09-30 |
US20150280361A1 (en) | 2015-10-01 |
KR20150113852A (ko) | 2015-10-08 |
JP6247585B2 (ja) | 2017-12-13 |
JP2015195095A (ja) | 2015-11-05 |
CN104953417B (zh) | 2017-06-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3532B1 (ko) | 전기 커넥터, 접속 대상물 유닛, 접속 대상물 유닛 집합체 | |
JP5563241B2 (ja) | 電気コネクタ | |
JP3158697U (ja) | 電気コネクタ | |
EP1883132A1 (en) | Terminal block with U-shaped conducting part of connecting electric wires | |
WO2014030626A1 (ja) | 電子部品、電子部品と端子金具との接続構造、電子部品を有する電気接続箱 | |
JP7154782B2 (ja) | 可動コネクタ | |
WO2014030627A1 (ja) | 電子部品組立体、電子部品組立体と端子金具との接続構造、電子部品組立体を有する電気接続箱 | |
US7485015B2 (en) |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spring connection terminal | |
US9508964B2 (en) | Structure for holding voltage detecting terminal | |
CN104253337A (zh) | 连接器以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件及插口件 | |
US20170310036A1 (en) | Power-source connector including terminal-contact prevention mechanism and power-source connector device including the same | |
JP2014072167A (ja) | 組立体 | |
JP2010157368A (ja) | 電気コネクタ | |
JP5414836B2 (ja) | コネクタ | |
JP5800624B2 (ja) | 電気接続箱のバスバー端部構造 | |
JP6278861B2 (ja) | コネクタ | |
JP6571627B2 (ja) | 導電モジュール及び電池パック | |
WO2012063714A1 (ja) | スペーサ装置 | |
JP7248453B2 (ja) | ジョイントコネクタ | |
EP2897228A1 (en) | Terminal device and electric outlet using same | |
CN110168819B (zh) | 接头连接器 | |
WO2015166662A1 (ja) | 電気コネクタ | |
JP2902313B2 (ja) | プリント配線板接続用コネクタ | |
JP7041114B2 (ja) |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 |
JP2019003833A (ja) | 電気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