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29515B1 -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 - Google Patents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515B1
KR101729515B1 KR1020150052307A KR20150052307A KR101729515B1 KR 101729515 B1 KR101729515 B1 KR 101729515B1 KR 1020150052307 A KR1020150052307 A KR 1020150052307A KR 20150052307 A KR20150052307 A KR 20150052307A KR 101729515 B1 KR101729515 B1 KR 101729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gle crystal
ingot
silicon
growing
crystal ingo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2453A (ko
Inventor
홍영호
박현우
손수진
김남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Priority to KR1020150052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515B1/ko
Priority to JP2018504631A priority patent/JP2018510839A/ja
Priority to US15/564,045 priority patent/US10344395B2/en
Priority to PCT/KR2016/003841 priority patent/WO2016167542A1/ko
Publication of KR20160122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2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51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15/00Single-crystal growth by pulling from a melt, e.g. Czochralski method
    • C30B15/10Crucibles or containers for supporting the melt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15/00Single-crystal growth by pulling from a melt, e.g. Czochralski method
    • C30B15/14Heating of the melt or the crystallise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15/00Single-crystal growth by pulling from a melt, e.g. Czochralski method
    • C30B15/20Controlling or reg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15/00Single-crystal growth by pulling from a melt, e.g. Czochralski method
    • C30B15/30Mechanisms for rotating or moving either the melt or the crystal
    • C30B15/305Stirring of the melt
    • CCHEMISTRY; METALLURGY
    • C30CRYSTAL GROWTH
    • C30BSINGLE-CRYSTAL GROWTH; UNIDIRECTIONAL SOLIDIFICATION OF EUTECTIC MATERIAL OR UNIDIRECTIONAL DEMIXING OF EUTECTOID MATERIAL; REFINING BY ZONE-MELTING OF MATERIAL; PRODUCTION OF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FTER-TREATMENT OF SINGLE CRYSTALS OR A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APPARATUS THEREFOR
    • C30B29/00Single crystals or homogeneous polycrystalline material with defined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ir shape
    • C30B29/02Elements
    • C30B29/06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365Forming inorganic semiconduc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518Deposited layers
    • H01L21/02587Structure
    • H01L21/0259Microstructure
    • H01L21/02598Microstructure monocrystalli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실시예는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에 있어서, 잉곳과 도가니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최대발열위치를 MGP(maximum gauss position)보다 하부에 위치시키는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METHOD FOR GROWING SILICON SINGLE CRYSTAL INGOT}
실시예는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리콘 단결정 잉곳에서 직경 방향과 반경 방향의 산소 농도의 균일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통상적인 실리콘 웨이퍼는, 단결정 잉곳(Ingot)을 만들기 위한 단결정 성장 공정과, 단결정 잉곳을 슬라이싱(Slicing)하여 얇은 원판 모양의 웨이퍼를 얻는 슬라이싱 공정과, 상기 슬라이싱 공정에 의해 얻어진 웨이퍼의 깨짐, 일그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그 외주부를 가공하는 그라인딩(Grinding) 공정과, 상기 웨이퍼에 잔존하는 기계적 가공에 의한 손상(Damage)을 제거하는 랩핑(Lapping) 공정과, 상기 웨이퍼를 경면화하는 연마(Polishing) 공정과, 연마된 웨이퍼를 연마하고 웨이퍼에 부착된 연마제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정 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단결정 성장은 플로우팅존(floating zone : FZ) 방법 또는 초크랄스키(Czochralski : CZ, 이하 CZ라 칭한다) 방법을 많이 사용하여 왔다. 이들 방법 중에서 가장 일반화되어 있는 방법이 CZ 방법이다.
CZ 방법에서는 석영 도가니에 다결정 실리콘을 장입하고, 이를 흑연 발열체에 의해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용융 결과 형성된 실리콘 용융액에 종자결정을 담그고 계면에서 결정화가 일어날 때 종자결정을 회전하면서 인상시킴으로써 단결정의 실리콘 잉곳을 성장시킨다.
실리콘 단결정의 성장 과정에서 성장 이력에 따른 결정 결함 및 원하지 않는 불순물로서 특히 산소가 실리콘 단결정에 포함되게 된다. 이렇게 함입된 산소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공정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산소 침전물(oxygen precipitates)로 성장하게 되는데, 이 산소 침전물은 실리콘 웨이퍼의 강도를 보강하고 금속 오염 원소를 포획하는 등 내부 게터링(Internal Gettering) 사이트로서 작용하는 등 유익한 특성을 보이기도 하지만, 반도체 소자의 누설전류 및 불량(fail)을 유발하는 유해한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실리콘 단결정 잉곳으로부터 제조된 웨이퍼의 산소 농도가 길이 방향 및 반경 방향에서 고를 필요가 있으며, 실리콘 단결정 잉곳을 성장시킬 때 공정 변수인 시드(seed) 회전속도, 도가니 회전속도, 융액(melt) 표면과 열차폐체(heat shield)간의 간격인 멜 트 갭(melt gap), 잉곳의 인상속도(pull speed), 핫 존(hot zone)의 디자인 변경, 질소나 탄소 등의 제3의 원소 도핑 등을 통해 산소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제조된 실리콘 단결정 잉곳으로부터 구하여진 웨이퍼의 경우 특히 가장 자리에 환형으로 산소 농도가 불균일한 영역이 발견되고 있으며, 상술한 내부 게터링 특성의 불균일에 기인할 수 있다.
실시예는 실리콘 단결정의 성장시에 길이 방향 및 반경 방향의 산소 농도의 균일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실시예는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에 있어서, 잉곳과 도가니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최대발열위치를 MGP(maximum gauss position)보다 하부에 위치시키는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을 제공한다.
확산 경계층이 잉곳의 반경 방향의 가장 자리에 고르게 분포할 수 있다.
확산 경계층은, 성장 중인 상기 잉곳의 가장 자리로부터 12 밀리미터 이내에 분포할 수 있다.
실리콘 융액 내에서 깊이 방향으로 상기 실리콘 융액의 흐름이 일정할 수 있다.
최대발열위치를 상기 MGP보다 100 내지 200 밀리미터 하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술한 공정으로 실리콘 단결정 잉곳을 성장시킬 때, 실리콘 융액의 흐름이 일정하여 확산 경계층이 잉곳의 가장 자리에 분포하고 제조된 실리콘 웨이퍼의 산소 농도가 일정하여 비저항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단결정 잉곳 제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시에 최대 가우스 지점(Maximum Gauss Position)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최대발열위치와 실시예에 따른 최대발열위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에서 실리콘 융액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에서 실리콘 융액의 흐름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는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에서 산소 농도의 균일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에서 산소 농도의 균일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고,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제1" 및 "제2," "상부" 및 "하부"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 각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단결정 잉곳 제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단결정 잉곳 제조 장치(100)는 챔버(110), 도가니(120), 히터(130), 인상수단(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른 단결정 성장장치(100)는 챔버(110)와, 상기 챔버(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실리콘 용융액을 수용하는 도가니(120)와, 상기 챔버(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가니(120)를 가열하는 히터(130) 및 종자결정(152)이 일단에 결합된 인상수단(150)을 포함할 수 있다.
챔버(110)는 반도체 등의 전자부품 소재로 사용되는 실리콘 웨이퍼(wafer)용 단결정 잉곳(Ingot)을 성장시키기 위한 소정의 공정들이 수행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챔버(110)의 내벽에는 히터(130)의 열이 상기 챔버(110)의 측벽부로 방출되지 못하도록 복사 단열체(140)가 설치될 수 있다.
실리콘 단결정 성장 시의 산소 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석영 도가니(120)의 회전 내부의 압력 조건 등 다양한 인자들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는 산소 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실리콘 단결정 성장 장치의 챔버(110) 내부에 아르곤 가스 등을 주입하여 하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도가니(120)는 실리콘 용융액을 담을 수 있도록 상기 챔버(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석영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가니(120)의 외부에는 도가니(1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흑연으로 이루어지는 도가니 지지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가니 지지대는 회전축(미도시) 상에 고정 설치되고, 이 회전축은 구동수단(미도시)에 의해 회전되어 도가니(120)를 회전 및 승강 운동시키면서 고-액 계면이 동일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히터(130)는 도가니(120)를 가열하도록 챔버(110)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히터(130)는 도가니 지지대를 에워싸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히터(130)는 도가니(120) 내에 적재된 고순도의 다결정 실리콘 덩어리를 용융하여 실리콘 용융액으로 만들게 된다.
실시예는 실리콘 단결정 잉곳 성장을 위한 제조방법으로는 단결정인 종자결정(seed crystal, 152)을 실리콘 용융액에 담근 후 천천히 끌어올리면서 결정을 성장시키는 쵸크랄스키(Czochralsk:CZ)법을 채용할 수 있다.
쵸크랄스키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종자결정(152)으로부터 가늘고 긴 결정을 성장시키는 네킹(necking)공정을 거치고 나면, 결정을 직경방향으로 성장시켜 목표직경으로 만드는 숄더링(shouldering)공정을 거치며, 이후에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결정으로 성장시키는 바디 그로잉(body growing)공정을 거치며, 일정한 길이만큼 바디 그로잉이 진행된 후에는 결정의 직경을 서서히 감소시켜 결국 용융 실리콘과 분리하는 테일링(tailing)공정을 거쳐 단결정 성장이 마무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리콘 용융액에는 P-타입의 도펀트인 B(보론)이, N-타입의 도펀트인 As(비소), P(인), Sb(안티몬) 등이 도핑될 수 있다. 이때, 고농도의 도펀트가 투입될 경우, 도펀트의 농도에 따라 V/G(growth rate/temperature gradient) 즉, 온도 구배에 대한 잉곳의 성장 속도가 변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잉곳의 특히 바디(body) 영역 내에서 산소 농도가 변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잉곳의 성장시에 잉곳과 도가니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최대발열위치가 MGP(maximum gauss position)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히터를 배치하여, 잉곳의 길이 방향과 반경 방향(면내 방향)에서의 산소 농도를 일정하게 하여 생산되는 웨이퍼의 비저항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시에 최대 가우스 지점(Maximum Gauss Position)의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서 최대 가우스 지점(MGP)는 도가니 내부의 영역인 'A'와 상부 챔버의 영역인 'B'의 경계면의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데, MGP는 상술한 경계면으로부터 'A' 방향으로 'a' 그리고, 'B' 방향으로 'b'의 범위 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데, 이때 히터의 최대 발열 위치는 상술한 MGP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종래의 최대발열위치와 실시예에 따른 최대발열위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보다 최대발열위치를 하부에 위치하고, 특히 최대발열위치를 MGP보다 100 밀리미터 내지 200 밀리미터 하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실리콘 융액의 흐름(flow)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최대발열위치가 MGP보다 200 밀리미터 이상 하부에 위치하면 실리콘 융액 상부의 흐름이 난류(turbulence)가 될 수 있고, 0 내지 100 밀리미터 하부에 위치하면 실리콘 융액 하부의 흐름이 난류가 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최대발열위치를 MGP보다 100 밀리미터 내지 200 밀리미터 하부에 위치시켜서, 실리콘 융액의 깊이 방향으로의 흐름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에서 실리콘 융액 내의 확산 경계층이 잉곳의 반경 방향의 가장 자리에 고르게 분포할 수 있는데, 확산 경계층은 실리콘 융액의 온도를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1700 캘빈(Kelvin) 정도에서 확산 경계층은 성장 중인 상기 잉곳의 가장 자리로부터 12 밀리미터 이내에 분포할 수 있으며, 최대 직경이 320 밀리미터일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에서 실리콘 융액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에서 실리콘 융액의 흐름의 패턴이 유지되나, 종래 기술의 경우 실리콘 융액의 흐름의 패턴 유지가 어려울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에서 실리콘 융액의 흐름의 패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에서 확산 경계층이 잉곳의 가장 자리로 유지되어 실리콘 융액의 속도 변화가 억제되어 산소 농도가 깊이 방향으로 2200 밀리미터까지 균일하나, 종래 기술의 경우 실리콘 융액의 흐름이 일정하지 않아 산소 농도가 깊이 방향으로 2000 밀리미터에서 불균일할 수 있다.
도 6a는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에서 산소 농도의 균일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에서 산소 농도의 균일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성장된 잉곳에서 제조된 실리콘 웨이퍼는 직경 180 밀리미터와 220 밀리미터의 비저항이 각각 0.09와 0.11로, 종래 기술에 따른 방법으로 성장된 잉곳에서 제조된 실리콘 웨이퍼가 직영 110 밀리미터와 180 밀리미터에서 각각 0.16과 0.19인 것보다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상술한 공정으로 실리콘 단결정 잉곳을 성장시킬 때, 실리콘 융액의 흐름이 일정하여 확산 경계층이 잉곳의 가장 자리에 분포하고 제조된 실리콘 웨이퍼의 산소 농도가 일정하여 비저항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실리콘 단결정 잉곳 제조 장치
110: 챔버 120: 도가니
130: 히터 150: 인상 수단
152: 종자결정

Claims (5)

  1.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에 있어서,
    잉곳과 도가니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최대발열위치를 MGP(maximum gauss position)보다 100 밀리미터 내지 200 밀리미터 하부에 위치시키는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확산 경계층이 잉곳의 반경 방향의 가장 자리에 고르게 분포하는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경계층은, 성장 중인 상기 잉곳의 가장 자리로부터 12 밀리미터 이내에 분포하는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실리콘 융액 내에서 깊이 방향으로 상기 실리콘 융액의 흐름이 일정한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1700 캘빈(Kelvin)의 온도에서 상기 확산 경계층의 최대 직경이 300 밀리미터인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
KR1020150052307A 2015-04-14 2015-04-14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 Active KR101729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307A KR101729515B1 (ko) 2015-04-14 2015-04-14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
JP2018504631A JP2018510839A (ja) 2015-04-14 2016-04-12 シリコン単結晶インゴットの成長装置及び方法
US15/564,045 US10344395B2 (en) 2015-04-14 2016-04-12 Apparatus and method for growing silicon single crystal ingot
PCT/KR2016/003841 WO2016167542A1 (ko) 2015-04-14 2016-04-12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307A KR101729515B1 (ko) 2015-04-14 2015-04-14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2453A KR20160122453A (ko) 2016-10-24
KR101729515B1 true KR101729515B1 (ko) 2017-04-24

Family

ID=57127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307A Active KR101729515B1 (ko) 2015-04-14 2015-04-14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44395B2 (ko)
JP (1) JP2018510839A (ko)
KR (1) KR101729515B1 (ko)
WO (1) WO20161675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42845B2 (ja) * 2020-11-25 2023-09-12 株式会社Sumco シリコン単結晶の製造方法
CN117364225B (zh) * 2023-12-07 2024-02-23 天通控股股份有限公司 一种晶体与坩埚同向旋转的长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9864B1 (ko) 1995-06-01 2000-01-15 와다 다다시 단결정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379798B1 (ko) * 2012-05-23 2014-04-01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단결정 실리콘 잉곳 성장 장치 및 방법
JP2014214067A (ja) * 2013-04-26 2014-11-17 信越半導体株式会社 シリコン単結晶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6736B2 (ja) * 1990-06-21 1996-10-23 信越半導体株式会社 シリコン単結晶引上方法
JPH08231294A (ja) 1995-02-24 1996-09-10 Toshiba Ceramics Co Ltd 水平磁界下シリコン単結晶引上方法
JPH09208385A (ja) 1996-01-30 1997-08-12 Mitsubishi Materials Corp シリコン単結晶の育成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3321297A (ja) 2002-04-25 2003-11-11 Shin Etsu Handotai Co Ltd シリコン単結晶の製造方法及びシリコン単結晶ウェーハ
JP4457584B2 (ja) 2003-06-27 2010-04-28 信越半導体株式会社 単結晶の製造方法及び単結晶
KR100831044B1 (ko) 2005-09-21 2008-05-21 주식회사 실트론 고품질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장치, 그 장치를 이용한성장방법
JP2008019129A (ja) 2006-07-13 2008-01-31 Sumco Corp 単結晶製造装置、単結晶の製造方法および単結晶
JP4853237B2 (ja) * 2006-11-06 2012-01-11 株式会社Sumco エピタキシャルウェーハの製造方法
JP2008214118A (ja) 2007-03-01 2008-09-18 Shin Etsu Handotai Co Ltd 半導体単結晶の製造方法
KR100954291B1 (ko) * 2008-01-21 2010-04-26 주식회사 실트론 고품질의 반도체 단결정 잉곳 제조장치 및 방법
JP5228671B2 (ja) 2008-07-24 2013-07-03 株式会社Sumco シリコン単結晶の育成方法
KR101105475B1 (ko) * 2009-02-04 2012-01-13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공정 변동이 최소화된 단결정 제조방법
US20150147258A1 (en) * 2012-05-23 2015-05-28 LG SILTRON INCORPORATION a corporation Single crystal silicon ingot and wafe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growing said ingot
KR20150007885A (ko) * 2013-07-12 2015-01-2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형광체 및 이를 구비한 발광 소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9864B1 (ko) 1995-06-01 2000-01-15 와다 다다시 단결정의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379798B1 (ko) * 2012-05-23 2014-04-01 주식회사 엘지실트론 단결정 실리콘 잉곳 성장 장치 및 방법
JP2014214067A (ja) * 2013-04-26 2014-11-17 信越半導体株式会社 シリコン単結晶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67542A1 (ko) 2016-10-20
JP2018510839A (ja) 2018-04-19
US20180094359A1 (en) 2018-04-05
KR20160122453A (ko) 2016-10-24
US10344395B2 (en) 201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213B1 (ko)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
KR101303422B1 (ko) 단결정 잉곳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결정 잉곳과 웨이퍼
JP4853237B2 (ja) エピタキシャルウェーハの製造方法
US11702760B2 (en) N-type silicon single crystal production method, n-type silicon single crystal ingot, silicon wafer, and epitaxial silicon wafer
US9469917B2 (en) Dopant feeder of ignot growing apparatus
WO2002002852A1 (fr) Plaquette en silicium monocristallin et procede de fabrication
KR101446846B1 (ko) 실리콘 단결정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29515B1 (ko)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방법
JP2004315258A (ja) 単結晶の製造方法
JP2014189468A (ja) シリコン単結晶製造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シリコン単結晶製造方法
CN114808112A (zh) 一种单晶生长方法及晶圆
KR101741101B1 (ko) 실리콘 단결정 잉곳 및 그 제조방법
JP5668786B2 (ja) シリコン単結晶の育成方法及びシリコンウェーハの製造方法
JP6672481B2 (ja) 単結晶シリコンの半導体ウェハ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単結晶シリコンの半導体ウェハを製造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単結晶シリコンの半導体ウェハ
KR101020429B1 (ko) 비저항 특성이 균일한 단결정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결정
KR101572098B1 (ko) 단결정 잉곳 제조 방법 및 장치
JP2009274903A (ja) シリコン単結晶及びシリコンウェーハの製造方法並びに該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シリコンウェーハ
KR20190100653A (ko)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형상 보정 방법
JP4655861B2 (ja) 電子デバイス用基板の製造方法
KR101625431B1 (ko) 쵸크랄스키법을 이용한 실리콘 단결정의 성장 방법 및 실리콘 단결정 잉곳
KR101506876B1 (ko) 실리콘 단결정 잉곳의 성장 장치
CN117836475A (zh) 生产外延涂覆的单晶硅半导体晶圆的方法
KR101472354B1 (ko) 실리콘 단결정의 성장 방법 및 실리콘 단결정 잉곳
KR101193678B1 (ko) 대구경 단결정 잉곳 제조방법
KR20150081741A (ko) 에피텍셜 웨이퍼 및 에피텍셜용 웨이퍼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