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262B1 - 쐐기 봉 스크린을 활용한 협잡물처리기 - Google Patents
쐐기 봉 스크린을 활용한 협잡물처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9262B1 KR101729262B1 KR1020160065696A KR20160065696A KR101729262B1 KR 101729262 B1 KR101729262 B1 KR 101729262B1 KR 1020160065696 A KR1020160065696 A KR 1020160065696A KR 20160065696 A KR20160065696 A KR 20160065696A KR 101729262 B1 KR101729262 B1 KR 1017292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charged
- outlet
- screw
- sand
- filtr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27—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filtering surfaces, which are neither cylindrical nor planar, e.g. helical su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9/00—Combinations with other devices, e.g. fans, expansion chambers, diffusors, water loc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04B2001/2091—Configuration of solids outl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내지 5는 각각 도 1의 개략적인 측면도, 평면도, 정면도 및 후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공정 모식도(청구항 2),
도 7 내지 9는 각각 도 6의 개략적인 측면도, 평면도 및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공정 모식도(청구항 3),
도 11과 12는 각각 도 10의 개략적인 측면도 및 평면도,
도 13은 도 10의 개략적 정면도(흡입공정 위주로 표시, 이후 단계는 도 4 참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공정 모식도(청구항 4),
도 15는 도 14의 개략적 측면도(지하 설치분 위주로 표시 이후 단계는 도 2 참조),
도 16은 도 14의 개략적 평면도(지하 설치분 위주로 표시 이후 단계는 도 3 참조),
도 17은 도 14의 개략적 정면도(지하 설치분 위주로 표시, 이후 단계는 도 4 참조),
도 18은 도 14의 개략적 후면도(지하 설치분 위주로 표시, 이후 단계는 도 5 참조).
13: 스크류 14: 전동장치 15: 배출구
2: 자갈 드럼스크린 21: 여과물질 출구 22: 여과드럼
221: 여과공 222: 스크류 23: 회전테
24: 받침 롤러 25: 전동장치 26: 주름 혹 컨베어
261: 주름 측판 262: 혹 판 263: 롤러
264: 전동장치(컨베어) 3: 흡입조 30: 침사 컨베어
31: 경사판 32: 홈통 33: 스크류
34: 전동장치 35: 희석수 공급관 36: 흡입펌프
37: 흡입구 38: 연결관 300: 유입 컨베어
301: 컨베어 배출구 302: 희석수 공급관 4: 쐐기봉 스크린
41: 여과 드럼 411: 쐐기봉 412: 여과 드럼의 출구
42: 유입관 43: 커버 44: 이송조 45: 이송펌프
46: 세척펌프 461: 세척 수관 462: 세척 노즐
463: 세척수조 47: 전동장치 5: 사이클론 세정기
51: 유입구 52: 상부 출구 53: 하부 출구
6: 스크류 데칸터 61: 유입구 62: 탈리액 배출구
63: 탈수 모래 배출구 64: 모래 이송 컨베어 65: 전동장치
7: 스크류 프레스 71: 스크류 72: 다공 실린더
73: 협잡물 배출구 74: 탈리액 탱크 75: 전동장치
76: 반송펌프 761: 반송라인 77: 배출 컨베어
Claims (4)
- 정화조 오니, 가축분뇨, 하수초침 침전물 중 어느 하나의 피처리액을 처리하는 협잡물 처리장치로서,
상기 정화조 오니, 가축분뇨, 하수초침 침전물 중 어느 하나의 피처리액이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입구보다 낮게 위치한 출구와,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에는, 쐐기형상의 종단면을 가진 다수의 쐐기봉(411)들이 원주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되,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틈새가 점점 벌어지도록 배치된 쐐기봉 여과체를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구성된 회전 여과 드럼(41)을 3°이하 각도로 출구측이 낮도록 경사지게 구비하며, 그리고 내부 일측에는 상기 여과 드럼(41)의 외주면을 타격, 살수하는 왕복동식 세척장치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입구의 유입관(42)으로 유입된 피처리물이 상기 여과 드럼(41)의 출구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액체성분은 상기 쐐기봉 여과체의 틈새로 빠져나가 하방에 구비된 이송조(44)로 낙하되도록 하고, 상기 쐐기봉 여과체에 걸러진 여과물질은 상기 여과드럼(41)의 출구로 이송되어 배출되게 하는 쐐기봉 스크린(4);
원통부 및 그 원통부의 하단부에 원추대 형상의 원추부를 구비하고, 그 상부에는 원통 상면의 중앙부에 일정 깊이의 관을 삽입하여 이루어진 상부 출구(52)와 그 하부에는 하부 출구(53)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송조(44)로 낙하된 액체인 여과액을 이송펌프(45)에 의해 투입받아, 회전 원심력을 이용하여 모래를 분리·세척하여, 상기 하부 출구(53)로는 세척된 모래를 배출하고 상기 상부 출구(52)로는 액체성분을 배출하는 사이클론 세정기(5);
그 내부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회전하는 수평 탈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사이클론 세정기(5)의 하부 출구(53)로부터 배출되는 배출물질을 상기 수평탈수기로 유입받아, 그 유입받은 배출물질을 원심분리 방법에 의해 탈수하고 그 탈리액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스크류 데칸터(6);
그 내부에 회전 스크류(71)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스크류(71)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공간의 부피가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된 다공 실린더(72)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크류 프레스(7)로서, 상기 쐐기봉 스크린(4)에서 걸러져 상기 여과 드럼(41)의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모래와 협잡물을, 상기 다공 실린더(72)의 일측 주면 상부를 일부 절개하여 이루어진 유입공간을 통하여 상기 다공 실린더(72) 내부로 투입받아 점차 작아지는 공간으로 이송되며 압착 탈수되게 하여, 탈수된 물질은 단부에 구비된 배출구(73)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탈수공들을 빠져나온 탈리액은 일측에 구비된 반송펌프(76)에 의해 상기 이송조(44)로 반송되도록 하는 스크류 프레스(7); 및
상기 스크류 데칸터(6)에서 탈수, 배출되어 경사 설치된 모래 이송 컨베어(64)를 통하여 이송된 모래와, 상기 스크류 프레스(7)로부터 배출된 탈수된 물질인 고형물질을 받아 외부로 이송하는 배출 컨베어(7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 봉 스크린을 활용한 협잡물 처리장치. - 하수 침사제거기에 의해 인양된 인양침사의 피처리물을 처리하는 협잡물 처리장치로서,
외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피처리물을 이송시킬 수 있는 유입 컨베어(300);
상기 유입 컨베어(300)의 끝부분에 구비되어, 이송시킨 침사를 배출하는 컨베어 배출구(301); 및
상기 컨베어 배출구(301)의 일측에 구비되되, 상기 컨베어 배출구(301)를 통해 배출되기 전의 침사의 농도를 희석시키는 희석수가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된 희석수 공급관(30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희석수에 의해 희석된 피처리물이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입구보다 낮게 위치한 출구와,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에는, 쐐기형상의 종단면을 가진 다수의 쐐기봉(411)들이 원주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되,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틈새가 점점 벌어지도록 배치된 쐐기봉 여과체를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구성된 회전 여과 드럼(41)을 3°이하 각도로 출구측이 낮도록 경사지게 구비하며, 그리고 내부 일측에는 상기 여과 드럼(41)의 외주면을 타격, 살수하는 왕복동식 세척장치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입구의 유입관(42)으로 유입된 피처리물이 상기 여과 드럼(41)의 출구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액체성분은 상기 쐐기봉 여과체의 틈새로 빠져나가 하방에 구비된 이송조(44)로 낙하되도록 하고, 상기 쐐기봉 여과체에 걸러진 여과물질은 상기 여과 드럼(41)의 출구로 이송되어 배출되게 하는 쐐기봉 스크린(4);
원통부 및 그 원통부의 하단부에 원추대 형상의 원추부를 구비하고, 그 상부에는 원통 상면의 중앙부에 일정 깊이의 관을 삽입하여 이루어진 상부 출구(52)와 그 하부에는 하부 출구(53)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송조(44)로 낙하된 액체인 여과액을 이송펌프(45)에 의해 투입받아, 회전 원심력을 이용하여 모래를 분리·세척하여, 상기 하부 출구(53)로는 세척된 모래를 배출하고 상기 상부 출구(52)로는 액체성분을 배출하는 사이클론 세정기(5);
그 내부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회전하는 수평 탈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사이클론 세정기(5)의 하부 출구(53)로부터 배출되는 배출물질을 상기 수평탈수기로 유입받아, 그 유입받은 배출물질을 원심분리 방법에 의해 탈수하고 그 탈리액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스크류 데칸터(6);
그 내부에 회전 스크류(71)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스크류(71)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공간의 부피가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된 다공 실린더(72)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크류 프레스(7)로서, 상기 쐐기봉 스크린(4)에서 걸러져 상기 여과 드럼(41)의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모래와 협잡물을, 상기 다공 실린더(72)의 일측 주면 상부를 일부 절개하여 이루어진 유입공간을 통하여 상기 다공 실린더(72) 내부로 투입받아 점차 작아지는 공간으로 이송되며 압착 탈수되게 하여, 탈수된 물질은 단부에 구비된 배출구(73)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탈수공들을 빠져나온 탈리액은 일측에 구비된 반송펌프(76)에 의해 상기 이송조(44)로 반송되도록 하는 스크류 프레스(7); 및
상기 스크류 데칸터(6)에서 탈수, 배출되어 경사 설치된 모래 이송 컨베어(64)를 통하여 이송된 모래와, 상기 스크류 프레스(7)로부터 배출된 탈수된 물질인 고형물질을 받아 외부로 이송하는 배출 컨베어(7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 봉 스크린을 활용한 협잡물 처리장치. - 하수 침사제거기의 인양침사를 피처리물로 하여 처리하는 협잡물 처리장치로서,
하부를 일 방향으로 좁고 길게 한 사각 호퍼(Hopper)형 용기 형상이고, 그 바닥에는 구유(Trough) 형상의 수평 홈통(32)이 구비되고, 그 수평 홈통(32)의 내부에는 수평 홈통(32)과 동심(同心)으로 회전하는 스크류(33)가 구비되고, 위로부터 낙하 유입되는 피처리물이 상기 스크류(33)의 시작부위에 낙하되도록 경사진 경사판(31)이 상기 스크류(33)의 상부에 구비되고, 유입되는 상기 피처리물에 희석수를 공급하는 희석수 공급관(35)이 구비된 흡입조(3);
상기 스크류(33)의 끝부분에 그 흡입구(37)를 위치시킨 흡입펌프(36)에 의해 상기 스크류(33)로부터 배출되는 피처리액을 유입받는 입구와, 상기 입구보다 낮게 위치한 출구와,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에는, 쐐기형상의 종단면을 가진 다수의 쐐기봉(411)들이 원주를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되,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틈새가 점점 벌어지도록 배치된 쐐기봉 여과체를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구성된 회전 여과 드럼(41)을 3°이하 각도로 출구측이 낮도록 경사지게 구비하며, 그리고 내부 일측에는 상기 여과 드럼(41)의 외주면을 타격, 살수하는 왕복동식 세척장치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입구의 유입관(42)으로 유입된 피처리물이 상기 여과 드럼(41)의 출구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액체성분은 상기 쐐기봉 여과체의 틈새로 빠져나가 하방에 구비된 이송조(44)로 낙하되도록 하고, 상기 쐐기봉 여과체에 걸러진 여과물질은 상기 여과 드럼(41)의 출구로 이송되어 배출되게 하는 쐐기봉 스크린(4);
원통부 및 그 원통부의 하단부에 원추대 형상의 원추부를 구비하고, 그 상부에는 원통 상면의 중앙부에 일정 깊이의 관을 삽입하여 이루어진 상부 출구(52)와 그 하부에는 하부 출구(53)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송조(44)로 낙하된 액체인 여과액을 이송펌프(45)에 의해 투입받아, 회전 원심력을 이용하여 모래를 분리·세척하여, 상기 하부 출구(53)로는 세척된 모래를 배출하고 상기 상부 출구(52)로는 액체성분을 배출하는 사이클론 세정기(5);
그 내부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회전하는 수평 탈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사이클론 세정기(5)의 하부 출구(53)로부터 배출되는 배출물질을 상기 수평탈수기로 유입받아, 그 유입받은 배출물질을 원심분리 방법에 의해 탈수하고 그 탈리액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스크류 데칸터(6);
그 내부에 회전 스크류(71)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스크류(71)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공간의 부피가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된 다공 실린더(72)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크류 프레스(7)로서, 상기 쐐기봉 스크린(4)에서 걸러져 상기 여과 드럼(41)의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모래와 협잡물을, 상기 다공 실린더(72)의 일측 주면 상부를 일부 절개하여 이루어진 유입공간을 통하여 상기 다공 실린더(72) 내부로 투입받아 점차 작아지는 공간으로 이송되며 압착 탈수되게 하여, 탈수된 물질은 단부에 구비된 배출구(73)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탈수공들을 빠져나온 탈리액은 일측에 구비된 반송펌프(76)에 의해 상기 이송조(44)로 반송되도록 하는 스크류 프레스(7); 및
상기 스크류 데칸터(6)에서 탈수, 배출되어 경사 설치된 모래 이송 컨베어(64)를 통하여 이송된 모래와, 상기 스크류 프레스(7)로부터 배출된 탈수된 물질인 고형물질을 받아 외부로 이송하는 배출 컨베어(7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 봉 스크린을 활용한 협잡물 처리장치. - 차량으로 운송된 하수관거 준설토의 피처리물을 처리하기 위한 협잡물 처리장치로서,
바닥부위에 구비된 긴 구유 형상의 홈통(12)과, 그 홈통(12)의 내부에 비치된 수평 회전 스크류(13)와, 상부가 개방된 전체 부분에 격자상 안정망(11)을 구비하여 투입·저장 기능을 갖는 저장조(1);
그 원주면은 다수의 관통된 여과공(221)들이 형성된 다공판이고, 그 내주면에는 스크류(222)가 중심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수평 회전 여과 드럼(22)을 구비하여, 상기 저장조(1)의 홈통(12)에 구비된 스크류 배출구(15)로부터 배출되는 피처리물을 일측에서 유입받아 그 피처리물이 상기 수평 회전 여과 드럼(22)에서 이송됨에 따라, 상기 여과공(221)들을 통해 피처리물에 포함된 물과 모래는 빠져나가고, 상기 여과공(221)보다 큰 자갈은 상기 수평 회전 여과 드럼(22)의 타측에 구비된 여과물질 출구(21)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자갈 드럼 스크린(2); 및
상기 자갈 드럼 스크린(2)의 여과물질 출구(21)를 통해 배출되는 자갈을 받아 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이송하는 주름 혹 컨베어(26)를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자갈 드럼 스크린(2)의 여과공(221)을 통과한 물과 모래가 공급되는 흡입조(3)로서, 하부를 일 방향으로 좁고 길게 한 사각 호퍼(Hopper)형 용기 형상이고, 그 바닥에는 구유(Trough) 형상의 수평 홈통(32)이 구비되고, 그 수평 홈통(32)의 내부에는 수평 홈통(32)과 동심(同心)으로 회전하는 스크류(33)가 구비되고, 위로부터 낙하 유입되는 피처리물이 상기 스크류(33)의 시작부위에 낙하되도록 경사진 경사판(31)이 상기 스크류(33)의 상부에 구비되고, 유입되는 상기 피처리물에 희석수를 공급하는 희석수 공급관(35)이 구비된 흡입조(3);
상기 스크류(33)의 끝부분에 그 흡입구(37)를 위치시킨 흡입펌프(36)에 의해 상기 스크류(33)로부터 배출되는 피처리액을 유입받는 입구와, 상기 입구보다 낮게 위치한 출구와, 상기 입구와 출구 사이에는, 쐐기형상의 종단면을 가진 다수의 쐐기봉(411)들이 원주를 따라 상호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되,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그 틈새가 점점 벌어지도록 배치된 쐐기봉 여과체를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으로 구성된 회전 여과 드럼(41)을 3°이하 각도로 출구측이 낮도록 경사지게 구비하며, 그리고 내부 일측에는 상기 여과 드럼(41)의 외주면을 타격, 살수하는 왕복동식 세척장치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입구의 유입관(42)으로 유입된 피처리물이 상기 여과 드럼(41)의 출구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액체성분은 상기 쐐기봉 여과체의 틈새로 빠져나가 하방에 구비된 이송조(44)로 낙하되도록 하고, 상기 쐐기봉 여과체에 걸러진 여과물질은 상기 여과 드럼(41)의 출구로 이송되어 배출되게 하는 쐐기봉 스크린(4);
원통부 및 그 원통부의 하단부에 원추대 형상의 원추부를 구비하고, 그 상부에는 원통 상면의 중앙부에 일정 깊이의 관을 삽입하여 이루어진 상부 출구(52)와 그 하부에는 하부 출구(53)를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이송조(44)로 낙하된 액체인 여과액을 이송펌프(45)에 의해 투입받아, 회전 원심력을 이용하여 모래를 분리·세척하여, 상기 하부 출구(53)로는 세척된 모래를 배출하고 상기 상부 출구(52)로는 액체성분을 배출하는 사이클론 세정기(5);
그 내부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회전하는 수평 탈수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사이클론 세정기(5)의 하부 출구(53)로부터 배출되는 배출물질을 상기 수평탈수기로 유입받아, 그 유입받은 배출물질을 원심분리 방법에 의해 탈수하고 그 탈리액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는 스크류 데칸터(6);
그 내부에 회전 스크류(71)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 스크류(71)의 진행방향으로 갈수록 공간의 부피가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되며, 그 외주면에는 다수의 탈수공이 형성된 다공 실린더(72)를 포함하여 구성된 스크류 프레스(7)로서, 상기 쐐기봉 스크린(4)에서 걸러져 상기 여과 드럼(41)의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모래와 협잡물을, 상기 다공 실린더(72)의 일측 주면 상부를 일부 절개하여 이루어진 유입공간을 통하여 상기 다공 실린더(72) 내부로 투입받아 점차 작아지는 공간으로 이송되며 압착 탈수되게 하여, 탈수된 물질은 단부에 구비된 배출구(73)로 배출되도록 하고, 상기 탈수공들을 빠져나온 탈리액은 일측에 구비된 반송펌프(76)에 의해 상기 이송조(44)로 반송되도록 하는 스크류 프레스(7); 및
상기 스크류 데칸터(6)에서 탈수, 배출되어 경사 설치된 모래 이송 컨베어(64)를 통하여 이송된 모래와, 상기 스크류 프레스(7)로부터 배출된 탈수된 물질인 고형물질을 받아 외부로 이송하는 배출 컨베어(7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 봉 스크린을 활용한 협잡물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5696A KR101729262B1 (ko) | 2016-05-27 | 2016-05-27 | 쐐기 봉 스크린을 활용한 협잡물처리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65696A KR101729262B1 (ko) | 2016-05-27 | 2016-05-27 | 쐐기 봉 스크린을 활용한 협잡물처리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29262B1 true KR101729262B1 (ko) | 2017-04-21 |
Family
ID=5870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65696A Active KR101729262B1 (ko) | 2016-05-27 | 2016-05-27 | 쐐기 봉 스크린을 활용한 협잡물처리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9262B1 (ko)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7717B1 (ko) | 2018-02-05 | 2018-10-31 | 주식회사 동신기공 |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 |
CN109225685A (zh) * | 2018-09-26 | 2019-01-18 | 苏州星亿机械有限公司 | 洁净型卧式刮刀卸料离心机 |
CN113263619A (zh) * | 2021-06-21 | 2021-08-17 | 哈尔滨金英建材有限公司 | 一种瓷砖用填缝剂及制备装置与制备方法 |
KR102362382B1 (ko) | 2021-08-13 | 2022-02-14 |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 협잡물 여과 및 모래탈수 효과가 증진된 협잡물처리기 |
KR102383787B1 (ko) * | 2021-08-20 | 2022-04-08 |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 협잡물 여과 및 모래탈수 성능이 증진된 협잡물처리기 |
CN115121037A (zh) * | 2022-06-15 | 2022-09-30 | 珠海科创环境资源有限公司 | 一种固液分离污泥处理装置 |
KR20230062971A (ko) * | 2021-11-01 | 2023-05-09 | 씨제이대한통운 (주) | 슬러지 배출이 용이한 원추메시망이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 |
CN117339275A (zh) * | 2023-12-05 | 2024-01-05 | 德州高通机械有限公司 | 一种水利工程用泥砂分离装置 |
CN118561346A (zh) * | 2024-05-24 | 2024-08-30 | 无棣县芦家河子供水服务有限公司 | 一种水资源净化处理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8711B1 (ko) * | 2007-12-26 | 2008-07-28 |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 유지성분 제거기능을 갖는 협잡물처리장치 |
KR101431161B1 (ko) * | 2014-05-30 | 2014-08-19 |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 모래 및 협잡물 여과, 탈수 장치 |
KR101495905B1 (ko) * | 2014-11-03 | 2015-02-26 |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 모래여과의 안정성이 향상된 협잡물 처리기 |
-
2016
- 2016-05-27 KR KR1020160065696A patent/KR10172926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8711B1 (ko) * | 2007-12-26 | 2008-07-28 |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 유지성분 제거기능을 갖는 협잡물처리장치 |
KR101431161B1 (ko) * | 2014-05-30 | 2014-08-19 |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 모래 및 협잡물 여과, 탈수 장치 |
KR101495905B1 (ko) * | 2014-11-03 | 2015-02-26 |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 모래여과의 안정성이 향상된 협잡물 처리기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97717B1 (ko) | 2018-02-05 | 2018-10-31 | 주식회사 동신기공 |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 |
CN109225685A (zh) * | 2018-09-26 | 2019-01-18 | 苏州星亿机械有限公司 | 洁净型卧式刮刀卸料离心机 |
CN113263619A (zh) * | 2021-06-21 | 2021-08-17 | 哈尔滨金英建材有限公司 | 一种瓷砖用填缝剂及制备装置与制备方法 |
KR102362382B1 (ko) | 2021-08-13 | 2022-02-14 |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 협잡물 여과 및 모래탈수 효과가 증진된 협잡물처리기 |
KR102383787B1 (ko) * | 2021-08-20 | 2022-04-08 |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 협잡물 여과 및 모래탈수 성능이 증진된 협잡물처리기 |
KR20230062971A (ko) * | 2021-11-01 | 2023-05-09 | 씨제이대한통운 (주) | 슬러지 배출이 용이한 원추메시망이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 |
KR102644074B1 (ko) * | 2021-11-01 | 2024-03-07 | 씨제이대한통운 (주) | 슬러지 배출이 용이한 원추메시망이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 시스템용 드럼스크린 장치 |
CN115121037A (zh) * | 2022-06-15 | 2022-09-30 | 珠海科创环境资源有限公司 | 一种固液分离污泥处理装置 |
CN115121037B (zh) * | 2022-06-15 | 2023-10-13 | 珠海科创环境资源有限公司 | 一种固液分离污泥处理装置 |
CN117339275A (zh) * | 2023-12-05 | 2024-01-05 | 德州高通机械有限公司 | 一种水利工程用泥砂分离装置 |
CN117339275B (zh) * | 2023-12-05 | 2024-01-30 | 德州高通机械有限公司 | 一种水利工程用泥砂分离装置 |
CN118561346A (zh) * | 2024-05-24 | 2024-08-30 | 无棣县芦家河子供水服务有限公司 | 一种水资源净化处理装置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9262B1 (ko) | 쐐기 봉 스크린을 활용한 협잡물처리기 | |
KR101431161B1 (ko) | 모래 및 협잡물 여과, 탈수 장치 | |
KR100904283B1 (ko) | 협잡물 고도 처리장치 | |
US5641397A (en) | Device for separating inorganic material polluted by organic material from a fluid | |
EP1030951B1 (en) | A mobile unit and method for purifying sludge and waste water | |
CN101484227A (zh) | 用于浆料脱水的装置和方法 | |
US4999115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separating solids from liquids | |
CN113354142B (zh) | 一种絮凝分级脱水装置 | |
CN103517746A (zh) | 漂浮固体分离 | |
US20140190897A1 (en) | Enhanced separation of nuisance materials from wastewater | |
KR101658523B1 (ko) | 오염토양 선별 및 세척처리 정화시스템 | |
KR20120011990A (ko) | 브러쉬형 미세 협잡물처리기 | |
JP2013140021A (ja) | 放射性物質汚染土砂の洗浄、減容化方法 | |
KR102111034B1 (ko) | 준설토 처리 장치 | |
RU2571112C2 (ru) | Моб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 |
JP5067809B2 (ja) | 沈砂洗浄装置 | |
RU2330734C1 (ru) | Установка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нефтезагрязненных почв, грунтов и нефтешламов | |
GB2290985A (en) |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urifying water | |
CN106830594B (zh) | 污泥处理系统 | |
US3392114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ntaminating pulp and paper machine effluent | |
CN210656630U (zh) | 一种撬装式石油化工油泥处理装置 | |
CN219050637U (zh) | 一种泥水分离装置 | |
US4200530A (en) | Rotary filter | |
US5169004A (en) |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eating building rubble | |
KR101002418B1 (ko) | 협잡물 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6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1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1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4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