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905B1 - 모래여과의 안정성이 향상된 협잡물 처리기 - Google Patents
모래여과의 안정성이 향상된 협잡물 처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95905B1 KR101495905B1 KR20140151216A KR20140151216A KR101495905B1 KR 101495905 B1 KR101495905 B1 KR 101495905B1 KR 20140151216 A KR20140151216 A KR 20140151216A KR 20140151216 A KR20140151216 A KR 20140151216A KR 101495905 B1 KR101495905 B1 KR 1014959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ubber tube
- low
- filtration
- sand
- liqui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5—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screw fil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1/00—Types of filters having loose filtering material
- B01D2101/04—Sand or gravel filt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yclones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개략적 측면도,
도 3은 도 1의 개략적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1의 개략적 정면도 및 배면도,
도 6은 도 1의 저속 사이클론 배출량 조절장치 정면 상세도,
도 7은 도 1의 저속 사이클론 배출량 조절장치 평면 상세도,
도 8은 도 1의 저속 사이클론 배출량 조절장치 측면 상세도,
도 9는 도 6의 누르개 작동상태 정면 상세도,
도 10은 도 7의 누르개 작동상태 평면 상세도.
13: 회전여과원통 14: 원판 15: 저장 탱크
16: 유입슈트 17: 이송 펌프 2: 저속 사이클론
21: 배출량 조절장치 211: 모래 배출구 212: 고무관
213: 수나사 214: 암나사 215: 누르개
216: 받침판 217: 회전 방지봉 218: 감속모터
3: 웨지 바 드럼 여과기 31: 웨지 바 여과체 32: 드럼
33: 세척수조 34: 세척 펌프 35: 세척노즐
36: 호퍼 37: 처리수 배출구 4: 스크류 프레스
41: 슈트 42: 나선익 43: 축
44: 실린더 441: 탈수공 45:원추대
46: 반송 탱크 47: 반송 펌프 5: 컨베이어
Claims (4)
- 폐기액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투입구(11)를 일측 상부에 구비한 유입슈트(16)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11)를 거쳐 상기 유입슈트(16)에 유입된 폐기액을, 주면에 여과틈새가 형성된 회전여과원통(13)의 외주면에 접촉시켜 5㎜ 이상 또는 6㎜ 이상 되는 중, 대형 협잡물은 여과되어 접촉면의 반대편에서 낙하 배출되게 하고, 상기 여과 틈새를 통과한 여과액은 하방으로 낙하 되게 한 로타리 스크린(1);
상기 로타리 스크린(1)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로타리 스크린(1)의 여과액을 일시 저장하는 저장 탱크(15);
상기 저장 탱크(15)로부터 여과액을 유입받아, 모래 성분은 그 하부로 배출하고, 여과액은 그 상부로 배출하는 저속 사이클론(2);
상기 저장 탱크(15)에 저장된 여과액을 상기 저속 사이클론(2)으로 압송하는 이송 펌프(17);
상기 저속 사이클론(2)의 여과액을 유입받아 종단면이 쐐기(Wedge) 형상인 웨지 바 여과체(31)로 미세협잡물을 여과하는 웨지 바 드럼여과기(3);
상기 로타리 스크린(1)과 상기 저속 사이클론(2)과 상기 웨지 바 드럼 여과기(3)로부터 각각 배출되는 여과물질들을, 내부에 회전 나선익(42)을 구비하여 점진적으로 축소되는 공간을 형성한 다공 실린더(44)로 모두 유입받아, 상기 공간을 통과하며 압착 탈수 되게 한 스크류 프레스(4);
상기 스크류 프레스(4) 하부에 설치되어 스크류 프레스(4)의 탈리액을 일시 저장하는 반송 탱크(46)와 여기에 저장된 탈리액을 상기 로타리 스크린(1)으로 반송하는 반송 펌프(47);
상기 스크류 프레스(4)로부터 배출된 탈수 협잡물을 전달받아 이를 외부로 반출하는 컨베이어(5); 및 상기 웨지 바 드럼 여과기(3)로부터 배출되는 액체성분을 모아 처리수 배출구(37)를 통해 외부로 배출 되게 한 호퍼(36)를 포함하여 구성된 협잡물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저속 사이클론(2)은, 그 하단 중앙에 모래를 배출하는 모래 배출구(211)을 구비하되, 그 모래 배출구(211)의 적어도 일부분은 탄성을 지닌 고무관(212)으로 구비되고, 상기 고무관(212)의 일측에는 그 고무관(212)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받침판(216)이 구비되고 상기 고무관(212)의 타측에는, 구동부와 누르개(215)를 포함하여 구성된 고무관(212) 누름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무관(212) 누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어,
상기 저속 사이클론(2) 내부로 유입되는 피처리액의 농도가 사전 설정된 기준 이상의 농도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누르개(215)가 상기 고무관(212)을 눌러 그 고무관(212)의 통과면적을 축소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여과의 안정성이 향상된 협잡물 처리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누르개(215)가 상기 고무관(212)을 눌러 통과면적을 축소시키는 경우, 그 고무관(212)의 통과면적이 누르기 전 통과면적의 70~80% 범위 내의 값으로 축소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여과의 안정성이 향상된 협잡물 처리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 사이클론(2)에 피처리액을 투입하는 상기 이송 펌프(17)의 동작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부를 동작시켜 상기 누르개(215)가 상기 고무관(212)을 눌러 그 고무관(212)의 통과면적을 축소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여과의 안정성이 향상된 협잡물 처리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누르개가 상기 고무관(212)을 눌러 그 통과면적을 축소시키는 경우, 누르기 전 통과면적의 20~30% 범위내의 값으로 축소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여과의 안정성이 향상된 협잡물 처리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151216A KR101495905B1 (ko) | 2014-11-03 | 2014-11-03 | 모래여과의 안정성이 향상된 협잡물 처리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40151216A KR101495905B1 (ko) | 2014-11-03 | 2014-11-03 | 모래여과의 안정성이 향상된 협잡물 처리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95905B1 true KR101495905B1 (ko) | 2015-02-26 |
Family
ID=52594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40151216A Active KR101495905B1 (ko) | 2014-11-03 | 2014-11-03 | 모래여과의 안정성이 향상된 협잡물 처리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95905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9262B1 (ko) * | 2016-05-27 | 2017-04-21 |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 쐐기 봉 스크린을 활용한 협잡물처리기 |
KR102088362B1 (ko) * | 2019-10-14 | 2020-03-12 |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 소화효율 증대에 기여하는 협잡물처리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80074A (ko) * | 2005-07-08 | 2005-08-11 | 동 석 강 |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
KR100848711B1 (ko) | 2007-12-26 | 2008-07-28 |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 유지성분 제거기능을 갖는 협잡물처리장치 |
KR100904283B1 (ko) | 2009-03-05 | 2009-06-25 |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 협잡물 고도 처리장치 |
-
2014
- 2014-11-03 KR KR20140151216A patent/KR10149590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80074A (ko) * | 2005-07-08 | 2005-08-11 | 동 석 강 |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
KR100848711B1 (ko) | 2007-12-26 | 2008-07-28 |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 유지성분 제거기능을 갖는 협잡물처리장치 |
KR100904283B1 (ko) | 2009-03-05 | 2009-06-25 |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 협잡물 고도 처리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9262B1 (ko) * | 2016-05-27 | 2017-04-21 |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 쐐기 봉 스크린을 활용한 협잡물처리기 |
KR102088362B1 (ko) * | 2019-10-14 | 2020-03-12 | 한국환경기계주식회사 | 소화효율 증대에 기여하는 협잡물처리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95906B1 (ko) | 협잡물 탈수성능을 향상시킨 협잡물 처리기 | |
KR100904283B1 (ko) | 협잡물 고도 처리장치 | |
KR101496402B1 (ko) | 고농축 폐기액의 처리가 가능한 협잡물 처리기 | |
KR101729262B1 (ko) | 쐐기 봉 스크린을 활용한 협잡물처리기 | |
KR101925321B1 (ko) | 고액 분리장치 | |
KR101458499B1 (ko) | 스크류 프레스형 슬러지 탈수장치 | |
KR101431161B1 (ko) | 모래 및 협잡물 여과, 탈수 장치 | |
KR102268655B1 (ko) | 협잡물 종합처리기 | |
GB2438076A (en) | Rotary screen drum | |
KR20200026457A (ko) | 슬러지 농축탈수장치 | |
KR101495905B1 (ko) | 모래여과의 안정성이 향상된 협잡물 처리기 | |
US20150251112A1 (en) | Splice systems and methods for ropes | |
EP1882508A2 (de)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mit Grob-, Fein- und Feinststoffen verschmutztem Abwasser sowie ein Filter für die Filtration von mit Grob-, Fein- und Feinstoffen verschmutztem Abwasser | |
KR20120011990A (ko) | 브러쉬형 미세 협잡물처리기 | |
KR100949823B1 (ko) | 수처리장치 | |
KR102400051B1 (ko) | 침사처리 성능이 증진된 협잡물처리기 | |
KR101957225B1 (ko) |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 |
KR101629954B1 (ko) | 분뇨 및 축분뇨용 협잡물 종합처리장치 | |
US3392114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econtaminating pulp and paper machine effluent | |
EP1205225A1 (de) | Verfahren und Filtervorrichtung zur Reinigung einer verschmutzten Kühlschmierflüssigkeit | |
KR102374650B1 (ko) | 쐐기봉을 활용한 협잡물처리기 | |
KR100754247B1 (ko) | 협잡물 종합처리기 | |
KR100620438B1 (ko) | 상향식 오폐수 처리 장치 | |
KR102383787B1 (ko) | 협잡물 여과 및 모래탈수 성능이 증진된 협잡물처리기 | |
CH475169A (de) | Trenn- und Reinigungseinrichtung für ein Flüssigkeitsgemisch, das auch Feststoffe enthäl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411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2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