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27034B1 -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7034B1
KR101727034B1 KR1020100021708A KR20100021708A KR101727034B1 KR 101727034 B1 KR101727034 B1 KR 101727034B1 KR 1020100021708 A KR1020100021708 A KR 1020100021708A KR 20100021708 A KR20100021708 A KR 20100021708A KR 101727034 B1 KR101727034 B1 KR 101727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ver
outdoor
control unit
distribution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1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02616A (en
Inventor
박희
강성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21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7034B1/en
Priority to CN201110035626.2A priority patent/CN102192557B/en
Priority to EP11157169.1A priority patent/EP2365254A3/en
Priority to US13/044,817 priority patent/US20110219799A1/en
Publication of KR20110102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6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034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40Fluid line arrangements
    • F25B41/42Arrangements for diverging or converging flows, e.g. branch lines or jun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26Refrigerant piping
    • F24F1/30Refrigerant piping for use inside the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24F3/06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with a plurality of evaporators or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06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two pipes connecting the outdoor side to the indoor side with multiple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07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ree pipes connecting the outdoor side to the indoor side with multiple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B2313/023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ultiple in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3Expansion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실내기 및 실외기를 연결하는 배관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분배 유닛을 통한 각 냉매 배관의 연결 작업이 용이하며, 복수의 실내기와 분배 유닛이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별도의 케이블로 연결되지 않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which can minimize the length of piping connecting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outdoor units, facilitate connection work of respective refrigerant pipes through a distribution unit, And the unit is not connected with a separate cabl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control signal.

Figure R1020100021708
Figure R1020100021708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er}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실내기 및 실외기를 연결하는 배관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분배 유닛을 통한 각 냉매 배관의 연결 작업이 용이하며, 복수의 실내기와 분배 유닛이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별도의 케이블로 연결되지 않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ir conditioner which can minimize the length of piping connecting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outdoor units, facilitate connection work of respective refrigerant pipes through a distribution unit, And the unit is not connected with a separate cabl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control signal.

공기조화장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반대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실외 열교환기-팽창밸브-실내 열교환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장치이다.The air conditioner is a cooling / heating system that sucks indoor air and heat-exchanges the refrigerant with low-temperature refrigerant, and then discharges the indoor air into the room by a repetitive action to cool the room or to heat the room by the opposite action. An expansion valve, and an indoor heat exchanger to form a series of cycles.

그리고, 최근의 공기조화장치는 공조공간의 냉난방 외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링하여 공조공간 내부로 재공급하는 공기정화기능과 다습한 공기를 순환시킴과 동시에 제습과정을 수행한 뒤 제습된 공기를 공조공간으로 재공급하는 제습기능 등 여러가지 부가기능을 겸하고 있다.In addition, the recent air conditioner has an air purifying function for sucking and filtering the contaminated air in the room in addition to the cooling and heating of the air conditioning space, and for re-supplying the filtered air to the inside of the air conditioning space, And a dehumidifying function for re-supplying air to the air conditioning space.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크게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장치 및 실외기와 실내기가 일체로 구비되는 일체형 공기조화장치로 나눌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be divided into a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 in which an outdoor unit and an indoor unit are separately installed, and an integrated air conditioner in which an outdoor unit and an indoor unit are integrally provided.

또한, 최근에는 하나의 실외기에 복수 개의 실내기를 연결하여 실외기를 공유하는 멀티 공기조화장치가 사용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 multi-type air conditioner has been used in which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re connected to one outdoor unit to share an outdoor unit.

이와 같은 멀티 공기조화장치는 종래의 하나의 실외기와 하나의 실내기를 구비하는 분리형 공기조화장치를 여러 대 설치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실내기를 추가할 수도 있다.Such a multi-type air conditioner can provide a plurality of separate type air conditioners having one outdoor unit and one indoor unit, and can add an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실외기는 실외기가 설치되는 공조공간 외부의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실외 열교환기와 압축기 등을 구비한다.The outdoor unit constituting the air conditioner is provided with an outdoor heat exchanger and a compressor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refrigerant and air outside the air conditioning space where the outdoor unit is installed.

따라서, 각각의 실내기를 순환한 냉매는 동일한 실외기로 수집되고, 다시 압축과정과 응축과정(실내의 냉방시)을 거쳐 실내기로 분배되는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frigerant circulated through each indoor unit is collected by the same outdoor unit, and the process of distributing the refrigerant to the indoor unit through the compression process and the condensation process (indoor cooling) may be repeated.

복수 개의 실내기 및 각각의 실내기에 연결되는 하나의 실외기를 구비하는 멀티 공기조화장치는 실외기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각각의 실내기와 실외기를 개별적으로 연결해야 하므로, 배관이 복잡해지고, 실외기와 공조공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배관의 길이도 실외기 개수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A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an outdoor unit connected to each of the indoor units is advantageous in that the number of the outdoor units can be reduced. However, since the indoor units and the outdoor units are individually connected, the piping becomes complicated, The length of the piping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outdoor units.

특히, 멀티 공기조화장치의 실외기는 전면 또는 후면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후면 또는 전면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따라서, 실외기의 설치공간에서 실외기의 설치방향은 특정된다. 그리고, 실외기는 실내기와 연결되는 냉매관이 연결되는 실내측 연결부가 그 측면 등에 구비되지만, 실외기의 설치방향과 공조공간의 위치에 따라서, 다수의 배관이 함께 실내측 연결부에 연결되기 위하여 실외기의 전면 또는 후면으로 우회하여 배관을 배치하여야 되는 경우가 있다.Particularly, the outdoor unit of the multi-type air conditioner sucks air from the front or rear surface and discharges heat-exchanged air to the rear surface or the front surface. Therefore,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outdoor unit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outdoor unit is specified. The outdoor unit is provided with a room side connection portion to which a refrigerant pipe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is connected. However,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direction of the outdoor unit and the location of the air conditioning space, Or it may be necessary to dispose the piping to the rear side.

따라서, 실내기의 개수가 많은 경우,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배관의 길이와 부피가 커지고, 실외기 설치공간의 미관을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Therefore, when the number of the indoor units is large, the length and the volume of the piping connecting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become large, which is a factor that hinders the appearance of the outdoor unit installation space.

그리고, 상기 냉매배관이 실외기를 우회하여 설치되는 경우, 모든 실내기와 실외기를 연결하는 냉매배관이 함께 절곡되어 모든 냉매배관에서 냉매의 유동저항이 발생하고 그로 인해 공기조화장치의 에너지효율이 저감되는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When the refrigerant pipe is installed to bypass the outdoor unit, the refrigerant pipe connecting all of the indoor units and the outdoor unit is folded together to cause the flow resistance of the refrigerant in all the refrigerant pipes, thereby reducing the energy efficiency of the air conditioner. May also occur.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실내기 및 실외기를 연결하는 배관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분배 유닛에 대한 각 냉매 배관의 연결 작업이 용이하며, 작업 공수 및 체결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conditioner capable of minimizing the length of piping connecting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outdoor units, facilitating connection work of each refrigerant piping to a distribution unit, and reducing the number of work operations and fastening parts And to solve the problem.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실내기와 분배 유닛이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별도의 케이블로 연결될 필요가 없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a distribution unit need not be connected by separate cabl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signals.

또한, 본 발명은 분배 유닛의 조립 과정이 용이하며, 작업 공수 및 조립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which can easily process a dispensing unit and can reduce the number of workpieces and assembled parts.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메인 제어부와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갖는 실외기; 실내 열교환기를 갖는 복수의 실내기; 및 각 실내기와 실외기와 각각 연결되며, 전자팽창밸브가 장착된 액상 및 기상 냉매관 조립체와 각 냉매관 조립체를 둘러싸는 커버 어셈블리 및 상기 메인 제어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갖는 서브 제어부를 포함하는 분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팽창밸브는 실외기의 메인 제어부 또는 분배 유닛의 서브 제어부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조절되는 공기조화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utdoor unit including a main control unit, an outdoor heat exchanger, and a compressor; A plurality of indoor units having an indoor heat exchanger; And a sub-control unit connected to each of the indoor units and the outdoor units, the sub-control unit having a liquid-phase and gas-phase refrigerant tube assembly equipped with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a cover assembly surrounding each refrigerant tube assembly,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 the main control unit Unit, and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is selectively controlled by a main control unit of the outdoor unit or a sub-control unit of the distribution unit.

또한, 상기 각 냉매관 조립체는 실외기 측 연결부를 갖는 주 배관과 주 배관으로부터 각각 분지되며, 전자팽창밸브가 각각 장착된 복수의 분지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refrigerant tube assemblies may include a plurality of branch pipes respectively branched from a main pipe having an outdoor unit side connection portion and a main pipe and each equipped with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또한, 상기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각 냉매관 조립체의 실내측 연결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관통홀이 형성된 제 1커버; 및 상기 제 1커버와 대향되고, 외주면에 서브 제어부가 장착되는 제 2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cover assembly may include: a first cover having first and second through-holes for exposing the interior connection portion of the respective refrigerant tube assemblies to the outside; And a second cover opposed to the first cover and having a sub-control part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또한, 상기 제 2커버에는 내부의 각 분지 배관의 전자팽창밸브와 외부의 서브 제어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cover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passing a cable connecting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of each branch pipe and an external sub-control unit.

또한, 상기 제 2커버는 분배 유닛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측면을 형성하며, 상기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제 2커버와 연결되며, 분배 유닛의 어느 한 측면을 형성하는 제 3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커버에는 상기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부 영역이 개방된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over further includes at least two side surfaces of the distribution unit, and the cover assembly further includes a third cover connected to the second cover, the third cover forming either side of the distribution unit, The second cover may be formed with a slit with a partially open area to form the open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제 2커버 및 제 3커버 중 어느 한 커버에 체결되며, 설치면에 분배 유닛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장착 브라켓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mounting brackets fastened to any one of the second cover and the third cover and fixing the dispensing unit to the mounting surface.

또한, 어느 한 장착 브라켓은 제 2커버 및 제 3커버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에 함께 체결될 수 있다.Also, any one of the mounting brackets can be fastened together in the fastening holes for fastening the second cover and the third cover.

또한, 상기 제 1커버는 폭 방향을 따라 제 1관통홀이 형성된 제 1영역 및 제 2관통홀이 형성된 제 2영역으로 구획되고, 인접하는 2개의 제 1관통홀 사이에 제 2관통홀이 각각 위치될 수 있다.The first cover is divided into a first region having a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region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a second through hole is formed between the adjacent two first through holes Lt; / RTI >

또한,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제 2커버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통신부가 실장된 기판 및 상기 기판을 둘러싸는 제어부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b-control unit may include a substrate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ver and having a communication unit mounted thereon, and a control unit housing surrounding the substrate.

또한, 상기 분배 유닛은 상기 실외기 내부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tribution unit may be detachably mounted inside the outdoor unit.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복수 개의 실내기 및 실외기를 연결하는 배관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분배 유닛에 대한 각 냉매 배관의 연결 작업이 용이하며, 작업 공수 및 체결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length of the piping connecting the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outdoor units, facilitates connection of the refrigerant pipes to the distribution unit, The number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복수의 실내기와 분배 유닛이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별도의 케이블로 연결될 필요가 없다.Further,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a distribution unit need not be connected by separate cabl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signal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분배 유닛의 조립 과정이 용이하며, 작업 공수 및 조립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Further, the air conditio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dispensing unit, and can reduce the number of work processes and assembled par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실내기, 실외기 및 분배 유닛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분배 유닛의 다양한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들.
도 5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분배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indoor unit, an outdoor unit, and a distribution unit constitut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various mounting positions of a distribution unit constitut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to 1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distribution unit constituting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luded to provide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is appl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ize and shape of each constituent member shown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have.

한편,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On the other hand,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a first or a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constituent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may refer to a constituent element from another constituent element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crimin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메인 제어부,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및 송풍팬을 구비하는 실외기, 복수 개의 실내기 및 각 실내기와 실외기와 각각 연결되며, 전자팽창밸브가 장착된 액상 냉매관 조립체와 기상 냉매관 조립체와 각 냉매관 조립체를 둘러싸는 커버 어셈블리 및 상기 메인 제어부와의 통신을 위한 서브 제어부를 포함하는 분배 유닛을 포함한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control unit, a compressor, an outdoor unit having an outdoor heat exchanger and a blower fan, a plurality of indoor units, and a liquid refrigerant tube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And a dispensing unit including a subassembly, a gaseous refrigerant tube assembly, a cover assembly surrounding each refrigerant tube assembly, and a sub-controller for communication with the main controller.

여기서, 상기 전자팽창밸브는 실외기의 메인 제어부 또는 분배 유닛의 서브 제어부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조절된다.Here,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is selectively controlled by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outdoor unit or the sub control unit of the distribution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실내기, 실외기 및 분배 유닛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분배 유닛의 다양한 설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indoor unit, an outdoor unit, and a distribution unit constituting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various arrangements of the distribution unit constituting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실내기(300A 내지 300E), 압축기(미도시) 및 실외기 하우징(110)을 포함하는 실외기(100), 및, 상기 실내기(300A 내지 300E)에 연결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실내기 연결부 및 상기 실외기(100)되는 실외기 연결부 및 분배유닛 하우징을 구비하는 분배유닛(200)을 포함하고, 상기 분배유닛(200)은 상기 실외기 하우징(110) 내부의 장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door unit 100 including at least one indoor unit 300A to 300E, a compressor (not shown) and an outdoor unit housing 110, and a plurality of indoor units 300A to 300E And a distribution unit (200) having at least one indoor unit connection unit and an outdoor unit connection unit and a distribution unit housing, wherein the distribution unit (200) is detachably mounted in a mounting space inside the outdoor unit housing As shown in FIG.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조화장치의 실내기(미도시)가 설치된 공조공간의 위치와 공기조화장치의 실외기(100)가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air conditioner may be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depending on the position of an air conditioning space provided with an indoor unit (not shown) of the air conditioner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outdoor unit 100 of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실외기(100)는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한 후 열교환된 공기를 특정한 방향(실외 열교환기에서 송풍팬 방향으로)으로 토출하게 되며, 실내기와 연결되는 연결부 역시 실외기 하우징의 특정한 부분에 구비되고, 모든 실내기를 실외기와 각각의 배관으로 연결하는 경우, 실외기가 설치되는 공간의 미관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유닛(200)을 매개로 실외기(100)와 각각의 실내기를 연결하면 실외기(100)와 분배유닛(200)의 거리에 비례하는 만큼의 배관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The outdoor unit 100 sucks outdoor air and performs heat exchange, and then discharges the heat-exchanged air in a specific direction (from the outdoor heat exchanger to the blower fan). The connection unit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is also provided at a specific portion of the outdoor unit housing. When the indoor unit is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by the respective pipes, the aesthetics of the space where the outdoor unit is installed may be damaged. Therefore, the outdoor unit 100 and each indoor unit The length of the pipe proportion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outdoor unit 100 and the distribution unit 200 can be reduced.

그러나, 실외기(200)의 설치위치와 각각의 실내기가 장착되는 공조공간의 거리가 짧은 경우, 분배유닛(200)을 매개로 연결될 필요가 없는 경우도 가정할 수 있다. 즉, 각각의 실내기와 연결되는 각각의 소켓을 구비하는 실내기 연결부가 실외기 본체에 구비되는 것이 더 유리할 수 있다.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assume that there is no need to be connected through the distribution unit 200 whe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outdoor unit 200 and the air-conditioning space in which each indoor unit is installed are short. That is, it may be more advantageous that the outdoor unit main body is provided with the indoor unit connection portion including the respective socket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indoor units.

이 경우, 굳이 별도의 분배유닛을 실외기 외부의 설치공간에 설치하는 것은 비효율적인 방법이 된다.In this case, it is inefficient to install a separate distribution unit in the installation space outside the outdoor unit.

따라서, 복수 개의 실내기를 구비하는 멀티 공기조화장치의 실외기는 각각의 실내기를 연결하기 위한 실내기 연결부를 실외기 자체에 구비하여야 하거나, 별도의 분배유닛을 항상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실외기에 분배유닛과의 연결을 위한 분배유닛 연결부만을 구비하는 종래의 방식은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어렵다.Accordingly, in the outdoor unit of the multi-type air conditioner having a plurality of indoor units, the indoor unit connection unit for connecting the indoor units must be provided in the outdoor unit itself, or the outdoor unit must be connected to the distribution unit The conventional method including only the distribution unit connection part for the user is difficult to meet the needs of various users.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실외기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 또는 매립되는 분배유닛(200)을 구비한다.Accordingly,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distribution unit 200 detachably mounted or embedded in the outdoor unit.

종래의 멀티 공기조화장치는 외부에 분배유닛을 매개로 실외기와 실내기가 연결되는 경우라도, 실외기 및 분배유닛 그리고 분배유닛 및 각각의 실내기를 냉매관과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 케이블을 구비하여야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각각의 실외기는 각각의 실내기와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 케이블로 직접 연결하고, 상기 분배유닛(200)의 서브 제어부(400)와 실외기(100)만 연결하면 된다.Even when the outdoor unit and the indoor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distribution unit, the conventional multi-type air conditioner must include a communication cabl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control signals to / from the outdoor unit and the distribution unit, In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utdoor unit is directly connected to a transmission / reception cabl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control signals to / from each indoor unit. When only the sub-control unit 400 of the distribution unit 200 and the outdoor unit 100 are connected do.

즉, 분배유닛(200)과 각각의 실내기는 별도의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 케이블에 의하여 연결되지 않아도 된다.That is, the distribution unit 200 and each indoor unit need not be connected by a communication cabl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a separate control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분배 유닛(200)의 효과 중 하나는 실외기(100)와 분배유닛(200)을 연결하는 냉매 배관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공기조화장치의 설치비용을 줄이고 미관상의 효과를 얻는 것이다. One of the effects of the distribution unit 200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length of the refrigerant pipe connecting the outdoor unit 100 and the distribution unit 200 to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air conditioner To obtain a cosmetic effect.

따라서, 냉매배관의 길이는 짧을수록 유리하지만,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 케이블은 냉매배관과 달리 길이에 따라 설치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것이 아니며, 차라리 제어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 케이블은 연결부위를 최소화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Therefore, the length of the refrigerant pipe is advantageous as the length of the refrigerant pipe is short. However, unlike the refrigerant pipe, the transmission / reception cable for transmitting /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does not greatly increase the installation cost according to the length. Rather, It may be advantageous to minimize.

또한, 실내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분배유닛에 구비되는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제어부의 부피 등이 증가하게 되므로, 분배유닛 내부에서 제어부를 위하여 할애해야 하는 부피 역시 증가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ystem in which th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indoor unit is provided in the distribution unit, the volume of the control unit increases, so that the volume to be allocated for the control unit in the distribution unit also increases.

따라서,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분배유닛의 크기 자체가 커지므로, 분배유닛을 사용하는 효용이 감소될 수 있으며, 실외에 분배유닛을 설치하는 경우, 빗물 또는 습기 등을 차단하기 위한 구조 역시 고려되어야 하므로 분배유닛 전체의 크기는 더 증가하게 된다.Accordingly, since the size of the distribution unit itself increases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system, the utility of using the distribution unit can be reduced, and when a distribution unit is installed outdoors, a structure for blocking rainwater, moisture, The size of the entire dispensing unit is further increased.

즉, 분배 유닛에 장착된 상기 서브 제어부는 실외기(100)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 제어부와 별도로 상기 분배유닛(200) 내부에 구비되는 전자 팽창밸브 또는 밸브 등을 제어하기 위하여 마련된다.That is, the sub-control unit mounted on the distribution unit is provided to control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a valve, or the like provided in the distribution unit 200 separately from the main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outdoor unit 100. [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들이다.FIG. 3 and FIG. 4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실외기(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실외기 하우징(110)과 상기 실외기 하우징(110) 내부에 각각 장착된, 압축기(170) 및 실외 열교환기(140)를 포함한다.The outdoor unit 100 includes an outdoor unit housing 110 forming an outer appearance and a compressor 170 and an outdoor heat exchanger 140 installed inside the outdoor unit housing 110.

또한, 실외기 하우징(110) 내부에는 상기 압축기(170) 및 실외 열교환기(140)와 분배 유닛(200)의 실외기 측 연결부(250)를 각각 연결하기 위한 배관 연결부(1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배관 연결부(150)는 상기 분배 유닛(20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The outdoor unit housing 110 may include a pipe connection unit 150 for connecting the compressor 170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140 to the outdoor unit side connection unit 250 of the distribution unit 200, The pipe connection unit 150 may b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distribution unit 200.

상기 실외기 하우징(110)은 실외 공기의 유동을 위한 개방구가 실외기 하우징(110)의 앞뒤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분배 유닛(200)의 장착을 위한 장착공간은 상기 실외 열교환기(140)를 통과한 흡입공기의 유로를 차단하지 않는 영역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openings for the outdoor air flow are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outdoor unit housing 110, the mounting space for mounting the dispensing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outdoor unit housing 110 through the suction heat exchanger And is preferably provided in an area where the air flow path is not blocked.

따라서, 상기 장착공간은 상기 실외기 하우징(110) 내부의 공간 중 실외기 하우징(110)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 근방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공간은 상기 압축기(170) 근방의 공간일 수 있다.Therefore, the mounting space may be provided near any one of the side surfaces of the outdoor unit housing 110 in the space inside the outdoor unit housing 110. The mounting space may be a space near the compressor 170.

그리고, 실외기(100)에 구비된 압축기(170)의 위치 역시 실외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구비된다.The position of the compressor 170 provided in the outdoor unit 100 is also provided at a position not obstructing the flow of outdoor air.

상기 실외기 하우징(110) 내부의 공간 중 압축기(170)와 실외 열교환기(140) 등의 배치 또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는 상기 실외기 하우징(110)의 측면 가장자리 영역일 수 있으며, 상기 분배유닛(200)에 복수 개의 실내기 측 연결부(270)를 구비하기 위하여 상기 분배유닛(200)은 적당한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분배유닛(200)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은 상기 실외기 하우징(110) 내부의 공간 중 실외기 하우징(110)의 측면 근방의 영역일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compressor 170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140 or the position where the air flow is not disturbed may be a side edge area of the outdoor unit housing 110,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ribution unit 200 has a proper length in order to provide a plurality of indoor unit side connection parts 270 in the unit 200. The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distribution unit 200 is mounted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may be an area near the side surface of the outdoor unit housing 110 in the interior space.

또한, 실외기 하우징(110)에는 상기 장착공간 근방에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분배 유닛(200)의 실내기 측 연결부(270)가 외부로 노출된다.In addition, an opening (not shown) is formed in the outdoor unit housing 110 near the mounting space, and the indoor unit side connecting portion 270 of the distribution unit 20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커버 부재(미도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conditioner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not shown)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그리고, 상기 분배유닛(200)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을 상기 실외기 하우징(110) 공간 중 실외기 하우징(110)의 측면 근방의 영역으로 결정하면, 상기 실외기(100) 내부와의 연결을 위한 분배유닛(200)의 실외기 측 연결부(250) 역시 상기 압축기(170) 또는 실외 열교환기(140)와 배관길이를 최소화하며 연결될 수 있다.When the installation space in which the distribution unit 200 is installed is determined as a region near the side of the outdoor unit housing 110 in the space of the outdoor unit housing 110, the distribution unit 200 for connection to the inside of the outdoor unit 100 200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compressor 170 or the outdoor heat exchanger 140 while minimizing the piping length.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상기 분배유닛(200)의 실외기 측 연결부(250)(미부호)와 상기 실외기(100)의 배관연결부(150)는 상기 분배유닛(200)의 상부에서 체결될 수 있다.The outdoor unit side connection part 250 (not shown) of the distribution unit 200 shown in FIGS. 3 and 4 and the pipe connection part 150 of the outdoor unit 100 can be fastened at the upper part of the distribution unit 200 have.

또한, 상기 배관연결부(150)는 분배 유닛(200)의 액상 냉매관 조립체 및 기상 냉매관 조립체의 실외기 측 연결부(250)와 각각 연결되기 위한 고압 소켓(151) 및 저압 소켓(155)을 포함할 수 있다.The piping connection part 150 includes a high pressure socket 151 and a low pressure socket 155 for respectively connecting to the liquid refrigerant tube assembly of the distribution unit 200 and the outdoor unit side connection part 250 of the gaseous refrigerant tube assembly .

상기 분배유닛(200)의 구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도 5 이하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각의 소켓 등의 명칭은 공기조화장치의 냉방시를 기준으로 한다.The structure of the distribution unit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names of the respective sockets and the like refer to the cooling of the air conditioner.

도 5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분배 유닛(200)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5 to 1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distribution unit 200 constituting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도 5은 분배 유닛(200)과 실외기 하우징(110) 내부에 마련된 장착 부재(120)를 나타낸다.5 shows the distribution unit 200 and the mounting member 120 provided inside the outdoor unit housing 110. As shown in Fig.

도 4 및 도 5을 참조하면, 상기 분배 유닛(200)은 실외기 하우징(11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실외기 하우징(110) 내부의 분배 유닛(200)의 장착 공간에는 장착 부재(120)가 마련될 수 있다.4 and 5, the distribution unit 20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housing 110, and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distribution unit 200 inside the outdoor unit housing 110 may be mounted Member 120 may be provided.

상기 장착부재(120)는 별도의 체결 부재없이 분배 유닛(200)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일 실시태양으로, 분배 유닛(200)의 하부면 및 2개 이상의 측면의 하부 영역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The mounting member 120 may have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supporting the dispensing unit 200 without a separate fastening member, and in one embodiment, the lower surface of the dispensing unit 200 and the lower surface of two or more sides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부재(120)는 분배 유닛(200)의 하부면이 안착되기 위한 수평부(121)와 수평부의 양 종단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복수의 수직부(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배 유닛(200)은 상기 수평부(121)와 복수의 수직부(122)로 이루어진 공간 내에 착탈 가능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ounting member 120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121 for receiving the lower surface of the distribution unit 200 and a plurality of vertical portions 122 each extending vertically at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ortion And the dispensing unit 200 may be detachably mounted in a space formed by the horizontal part 121 and the plurality of vertical parts 122. [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분배 유닛(200)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7는 상기 분배 유닛(200)의 각 구성 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분배 유닛의 각 냉매관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tribution unit 200 constituting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tribution unit 200 in which each component is engaged,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each refrigerant tube assembly of the distribution unit.

또한, 도 11 및 도 12는 전술한 분배 유닛(200)의 제 1커버 및 커버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들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구성하는 실외기, 실내기 및 분배유닛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11 and 1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first cover and a cover assembly of the distribution unit 200 described above.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utdoor unit, the indoor unit, and the distribution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분배 유닛(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외기 하우징(110) 내부의 장착공간에 배치되며, 어느 한 실내기 및 실외기(100)와 각각 연결되기 위한 액상 냉매관 조립체(200A)와 기상 냉매관 조립체(200B) 및 각 냉매관 조립체(200A, 200B)의 실내기 측 연결부(270)(270-1 내지 270-5)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제 1커버(211) 및 상기 제 1커버(211)와 연결되며, 각 냉매관 조립체(200A, 200B)를 둘러싸는 커버 어셈블리(212 내지 214)를 포함한다.The distribution unit 200 includes a liquid refrigerant tube assembly 200A disposed in a mounting space inside the outdoor unit housing 110 and connected to the indoor unit and the outdoor unit 100, A first cover 211 for exposing the indoor unit side connection portions 270 (270-1 to 270-5) of the refrigerant tube assemblies 200A and 200B to the outside, And cover assemblies 212-214 enclosing each of the refrigerant tube assemblies 200A, 200B.

여기서, 상기 제 1커버(211) 및 커버 어셈블리(212 내지 214)는 분배 유닛(200)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부에 각 냉매관 조립체가 수용된 분배 유닛 하우징(210)을 구성한다.The first cover 211 and the cover assemblies 212 to 214 form an appearance of the distribution unit 200 and constitute a distribution unit housing 210 in which each refrigerant tube assembly is housed.

또한, 제 1커버(211)는 일부 영역이 상기 실외기 하우징(110)의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실외기 하우징(110)의 개구부를 향하여 액상 및 기상 냉매관 조립체(200A, 200B)의 실내기 측 연결부(270)(270-1 내지 270-5)를 외부로 각각 노출시키기 위한 제 1관통홀(215) 및 제 2관통홀(216)이 각각 형성된 제 1영역(211a)과 제 2영역(211b)를 구비한다.The first cover 211 is disposed such that a part of the first cover 21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of the outdoor unit housing 110 and the liquid and gaseous refrigerant tube assemblies 200A and 200B are directed toward the opening of the outdoor unit housing 110, A first region 211a and a second region 211b each having a first through hole 215 and a second through hole 216 for exposing the indoor unit side connection portions 270 (270-1 through 270-5) Area 211b.

여기서, 상기 제 1커버(211)는 제 1영역(211a)과 제 2영역(211b)이 단차지도록 형성되며, 제 1영역(211a)이 제 2영역(211b)보다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거나, 제 2영역(211b)이 제 1영역(211a)보다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cover 211 is formed so that the first area 211a and the second area 211b are stepped and the first area 211a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area 211b, The second region 211b may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first region 211a.

즉, 실외기 하우징(110)의 개구부를 통하여 분배 유닛(200)의 실내기 측 연결부(270)(270-1 내지 270-5)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작업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실내기 측과의 배관 연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액상 냉매관 조립체(200A)의 실내기 측 연결부(271-1 내지 271-5)와 기상 냉매관 조립체(200B)의 실내기 측 연결부(275-1 내지 275-5)가 제 1커버(211)의 단차진 각 영역(211a, 211b)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므로, 인접하는 실내기 측 연결부(270)에 간섭받지 않고 용이하게 연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indoor unit side connection portions 270 (270-1 to 270-5) of the distribution unit 200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of the outdoor unit housing 110, the operator can connect the indoor unit side And the indoor unit side connecting portions 271-1 to 271-5 of the liquid refrigerant tube assembly 200A and the indoor unit side connecting portions 275-1 to 275-5 of the gaseous refrigerant tube assembly 200B 1 cover 211, the connection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without being interfered by the adjacent indoor unit-side connection portions 270. [0051] As shown in FIG.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 1커버(211)는 폭 방향을 따라 제 1영역(211a) 및 제 2영역(211b)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각 영역(211a, 211b)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 1관통홀(215) 및 제 2관통홀(216)이 각각 형성되며, 인접하는 2개의 제 1관통홀(215) 사이에 제 2관통홀(216)이 각각 위치될 수 있다.11, the first cover 211 may be divided into a first region 211a and a second region 211b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each region 211a and 211b may have a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15 and second through holes 216 may be formed respectively and a second through hole 216 may be formed between adjacent two first through holes 215.

도 6 및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커버 어셈블리는 제 1커버(211)와 연결되어 분배 유닛 하우징(210)을 구성하며, 상기 커버 어셈블리는 제 1커버(211)와 연결되며, 내부에 각 냉매관 조립체(200A, 200B)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호 조립되는 복수의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6 and 11 to 13, the cover assembly is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211 to constitute a distribution unit housing 210. The cover assembly is connected to the first cover 211,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vers assembled together to form a space portion capable of accommodating each of the refrigerant tube assemblies 200A and 200B.

일 실시태양으로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제 1커버(211)와 연결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분배 유닛 하우징(210)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 2커버(212)와 상기 제 1 및 제 2커버(211, 212)와 각각 연결되며, 분배 유닛 하우징(210)의 어느 한 측면 및 하부면을 형성하는 제 3커버(213) 및 상기 각 커버와 연결되며, 분배 유닛 하우징(21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제 4커버(214)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ver assembly is coupled to the first cover 211 and includes a second cover 212 defining at least two sides of the distribution unit housing 210 and a second cover 212, 212 and a third cover 213 which forms a sid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distribution unit housing 210 and a third cover 213 which i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covers and which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 distribution unit housing 210. [ 4 cover 214 as shown in FIG.

여기서, 제 4커버는 수밀성 및 기밀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4커버에는 각 냉매관 조립체(200A, 200B)의 실외기 측 연결부(250: 251, 255)가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제 1 및 제 2삽입홀(214a, 214b)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ourth cover is preferably injection-molded so as to improve watertightness and airtightness, and the fourth cover is provided with openings 250 (251, 255) of the refrigerant tube assemblies 200A, The first and second insertion holes 214a and 214b may be formed.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각 냉매관 조립체의 세부 구성(200A, 200B)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분배유닛(200)의 긴 사각기둥 형태의 분배유닛 하우징(210)을 구비하고, 그 측면 중 어느 하나에 복수 개의 실내기와 연결을 위한 실내기 측 연결부(270)가 구비된다. Referring to the detailed drawings 200A and 200B of each refrigerant tube assembly, a distribution unit housing 210 in the shape of a long rectangular column of the distribution unit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nd an indoor unit side connection unit 270 for connection to a plurality of indoor units is provided in any one of the indoor units.

도면에 도시된 분배유닛(200)은 총 5개의 실내기와 연결될 수 있도록 실내기 측 연결부(270: 270-1, 270-2, 270-3, 270-4, 270-5)가 5개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실내기 측 연결부(270)의 개수는 압축기의 용량 등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압축기 등의 용량이 더 크다면 상기 실내기 연결부의 개수는 더 증가될 수 있다.The distribution unit 200 shown in the figure is provided with five indoor unit connection units 270 (270-1, 270-2, 270-3, 270-4, and 270-5) so as to be connected to a total of five indoor units / RTI > The number of the indoor unit side connection portions 270 may vary depending on the capacity of the compressor or the like. If the capacity of the compressor or the like is larger, the number of the indoor unit connection portions can be further increased.

상기 분배유닛 하우징(210) 중 상기 실내기 측 연결부(270)가 노출되는 제 1커버(211)와 대향하는 제 2커버(212)의 일 측면에는 상기 분배 유닛(200) 내부에 구비되는 전자 팽창밸브 등을 제어하기 위한 서브 제어부(400)가 장착될 수 있다.The second cover 212 faces the first cover 211 of the distribution unit housing 210 through which the indoor unit side connection unit 270 is ex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cover 212,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And a sub-control unit 400 for controlling the sub-control unit 400 and the like.

상기 서브 제어부(400)는 실외기(100)의 메인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가 실장된 기판(410) 및 상기 기판을 둘러싸는 제어부 하우징(420)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b-control unit 400 may include a substrate 410 on which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ng with a main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outdoor unit 100 is mounted, and a control unit housing 420 surrounding the substrate.

상기 서브 제어부(400)는 실외기(100) 내부에 구비되는 메인 제어부와 별도로 상기 분배유닛(200) 내부에 구비되는 전자 팽창밸브 또는 밸브 등을 제어하기 위하여 마련된다.The sub-control unit 400 is provided to control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a valve, or the like provided in the distribution unit 200 separately from the main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outdoor unit 100.

상기 제어부 하우징(420) 내부에 구비되는 기판(410)에는 분배유닛(200) 내부에 구비되어 냉매의 유량을 조절 또는 감압(또는 팽창) 시키는 전자 팽창 밸브 또는 밸브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회로 등이 실장될 수 있다.An electronic circuit or the like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or a valve provided inside the distribution unit 200 to regulate or reduce (or expand)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is provided on the substrate 410 provided in the control housing 420 Can be mount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분배유닛(200)의 제어부 하우징(410) 내부에 구비되는 기판(410)은 분배유닛 내부의 전자 팽창밸브 등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ubstrate 410 provided in the control housing 410 of the distribution unit 200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control only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or the like inside the distribution unit.

그리고, 상기 분배유닛(200)이 상기 실외기(100) 외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분배유닛 하우징(210)에 상기 제어부 하우징(420)을 추가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When the distribution unit 200 is installed outside the outdoor unit 100, the control unit housing 420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distribution unit housing 210.

그러나, 상기 분배유닛(200)이 상기 실외기(100) 내부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 하우징(420)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다. 상기 분배유닛 하우징(210) 내부의 밸브 등이 직접 실외기에 구비된 공기조화장치의 메인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However, when the distribution unit 200 is installed in the outdoor unit 100, it is not necessary to separately provide the control unit housing 420. A valve or the like inside the distribution unit housing 210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air conditioner provided in the outdoor unit.

따라서, 상기 제어부 하우징(420)은 착탈 가능하게 상기 분배유닛 하우징(210)에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rol unit housing 420 is detachably mounted to the distribution unit housing 210.

상기 제어부 하우징(420)이 상기 분배유닛(2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분배유닛 하우징(210) 및 상기 제어부 하우징(420)은 분배유닛 내부에 구비된 전자 팽창밸브 등과 상기 서브 제어부(400)를 연결하기 위한 개구부(219)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control housing 420 is mounted on the distribution unit 200, the distribution unit housing 210 and the control housing 420 ar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and the sub control unit 400, And openings 219 for connection may be provided at corresponding positions.

상기 개구부(219)는 커버 어셈블리의 어느 한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미려한 외관 연출 및 케이블 길이의 단축을 위하여 상기 제어부 하우징(420)이 장착되는 제 2커버에 마련될 수 있다.The opening 219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assembly, but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cover on which the control unit housing 420 is mounted to provide a beautiful external appearance and shorten the cable length.

또한, 케이블 연결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개구부(219)는 일부 영역이 개방된 슬릿일 수 있다. 따라서, 분배 유닛(200) 내부의 전자팽창밸브 등과 연결된 케이블을 상기 슬릿 내부에 배치시키고, 제 2커버(212)를 제 3커버(213)에 체결하여 분배 유닛 하우징(200)을 조립할 수 있다.Further, in order to increase convenience of cable connection, the opening 219 may be a slit in which a part of the area is opened. Therefore, the distribution unit housing 200 can be assembled by disposing a cabl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or the like inside the distribution unit 200 in the slit and fastening the second cover 212 to the third cover 213. [

또한, 상기 분배유닛 하우징(210) 및 상기 제어부 하우징(420) 사이에는 실링부재 등이 구비되어 실외에 분배유닛이 설치되는 경우에도, 빗물 또는 습기 등의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Also, a sealing member or the like is provided between the distribution unit housing 210 and the control unit housing 420 to prevent foreign matter such as rainwater or moisture from penetrating even when a distribution unit is installed outdoors.

또한, 분배유닛(200)이 실외기(100)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설치 장소 또는 설치 방향의 제한이 있을 수 있으므로, 탄력적으로 분배유닛(200)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분배유닛의 액상 냉매관 조립체의 주 배관(220)과 기상 냉매관 조립체의 주 배관(280)에 각각 적어도 1개 이상의 확관부(222, 282)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distribution unit 200 is installed outside the outdoor unit 100, there may be restrictions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r installation direction. Therefore, in order to install the distribution unit 200 resiliently, At least one or more expansion parts 222 and 282 may be provided in the main pipe 220 of the gas-phase refrigerant pipe assembly and the main pipe 280 of the gas-phase refrigerant pipe assembly, respectively.

상기 확관부는 상기 분배유닛 하우징(2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 상기 기상 냉매관 조립체의 주 배관(280) 및 상기 액상 냉매관 조립체의 주배관(220)의 내측 직경이 확대된 부분을 의미한다.The expansion unit includes a main pipe 280 of the gaseous coolant pipe assembly that extends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distribution unit housing 210 and an expanded portion of the main pipe 220 of the liquid coolant pipe assembly it means.

상기 확관부(222, 282)는 직경이 확대되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확관부 부위를 절단하여 다른 냉매배관 등과 연결되는 부분이다.The expanded portions 222 and 282 are portions where the diameter is enlarged and are connected to other refrigerant pipes by cutting the expanded portion.

상기 확관부(222, 282)는 상기 액상 냉매관 조립체의 주 배관(220)과 기상 냉매관 조립체의 주 배관(280) 중 상기 분배유닛 하우징(210)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The expansion portions 222 and 282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main piping 220 of the liquid refrigerant tube assembly and the main piping 280 of the gaseous refrigerant tube assembly that extend vertically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istribution unit housing 210 have.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분배유닛(200)은 상기 실외기의 배관연결부(150)와 상기 분배유닛(200)의 실외기 측 연결부(250)를 수평방향으로 장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실외기의 배관연결부(150)를 수평방향으로 구비하고, 상기 분배유닛(200)의 액상 냉매관 조립체의 주 배관(220)과 상기 기상 냉매관 조립체의 주 배고관(280)의 단부에 구비되는 실외기 측 연결부(250) 역시 상기 실외기의 배관연결부(150)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각 주 배관을 절곡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4 and 6, the distribution unit 200 includes a pipe connection part 150 of the outdoor unit and a connection part 250 of an outdoor unit of the distribution unit 200, A connection portion 150 is provi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n outdoor unit side connection portion (not shown) provided at an end of the main piping 220 of the liquid refrigerant pipe assembly of the distribution unit 200 and the main discharge pipe 280 of the gas- 250 may also be configured to bend the main piping so as to be mount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iping connection part 150 of the outdoor unit.

그러나, 이와 같은 연결구조는 상기 분배유닛이 상기 실외기 내부에 장착되는 경우를 가정한 구조일 수 있다. However, such a connection structure may be a structure in which the distribution unit is mounted inside the outdoor unit.

그러나, 분배유닛(200)이 실외기 내부가 아닌 별도의 설치장소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분배유닛의 실외측 연결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구조를 가질 필요가 없다.However, when the distribution unit 200 is mounted in a separate installation site other than the inside of the outdoor unit, the outdoor connection unit of the distribution unit does not need to have a bent structure as shown in Fig.

또한, 확관부를 형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직경이 비슷한 배관을 용접하는 작업의 난이도는 어느 하나의 배관이 타배관에 삽입된 상태로 용접되는 경우보다, 작업효율 또는 연결부위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fficulty in the welding of pipes having similar diameters in the state where the pipe-tube portions are not formed may lower the working efficiency or the reliability of the connecting portion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any one pipe is welded in the other pipe .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분배유닛 내부배관의 일부를 도시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도 8은 상기 실외기 측에서 공급되는 냉매를 분배 또는 감압(팽창)시키는 액상 냉매관 조립체(200A)를 중심으로 하는 배관구조를 도시하고, 도 9는 기상 냉매관 조립체(200B)를 중심으로 하는 배관구조를 도시한다.8 and 9 illustrate a part of the piping in the distribution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8 shows a refrigerant pipe assembly for distributing or reducing (expanding)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outdoor unit side. FIG. 9 shows a piping structure around the gas-phase refrigerant tube assembly 200A, and FIG. 9 shows a piping structure around the gas-phase refrigerant tube assembly 200B.

설명의 편의상 냉방시를 기준으로 실외기 측에서 공급되는 냉매를 분배 또는 감압(팽창)하여 실내기로 공급되는 배관들의 집합, 즉 액상 냉매관 조립체를 고압부(200A)로 명명하며, 냉방시를 기준으로 실내기 측에서 회수되는 냉매를 수집하여 실외기 측으로 공급되는 역할을 수행하는 냉매관의 집합, 즉 기상 냉매관 조립체(200B)를 저압부(200B)로 명명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et of pipes to be supplied to the indoor unit by distributing or reducing (expanding) the refrigerant supplied from the outdoor unit on the basis of the time of cooling is referred to as a high-pressure unit 200A, The gaseous refrigerant tube assembly 200B collecting the refrigerant recovered from the refrigerant pipe 200B and supplying the refrigerant to the outdoor unit side is referred to as a low pressure unit 200B.

고압부(200A)는 주된 냉매관이고, 실외기 측 연결부(250)를 제공하는 주 배관(220)의 그 일단에 전술한 실외측 고압소켓(251)이 구비되어 상기 압축기 측의 배관연결부(150)를 구성하는 고압소켓(151)과 체결될 수 있다.The high pressure portion 200A is a main refrigerant tube and the outdoor side high pressure socket 251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main piping 220 that provides the outdoor unit side connection portion 250 to connect the piping connection portion 150 on the compressor side And can be fastened to the high-voltage socket 151 constituting it.

상기 액상 냉매관(220)의 타단에는 분배기(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배기(240)는 각각의 실내측 연결부로 공급되는 냉매를 감압 또는 팽창시키기 위하여 구비되는 각각의 제1 내지 제5 전자팽창밸브(260-1, 260-2, 260-3, 260-4, 260-5)에 냉매를 분배한다.A distributor 240 may be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liquid coolant pipe 220. The distributor 240 includes first to fifth electronic expansion valves 260-1, 260-2, 260-3, 260-4, 260-2, 260-3, 260-3, 260-3, 260-4, 260-5.

상기 분배기(240)에는 각각의 제1 내지 제5 전자팽창밸브(260-1, 260-2, 260-3, 260-4, 260-5)로 냉매를)안내하는 제1 내지 제5 액상 분지 배관(241-1, 241-2, 241-3, 241-4, 241-5)을 구비한다.The distributor 240 is connected to the first to fifth liquid phase branching pipes 260-1, 260-2, 260-3, 260-4, and 260-5 for guiding the refrigerant to the respective first to fifth electronic expansion valves 260-1, 260-2, And pipes 241-1, 241-2, 241-3, 241-4, and 241-5.

제1 내지 제5 액상 분지 배관(241-1, 241-2, 241-3, 241-4, 241-5)은 상기 분배기(240)에서 분지되며, 각각의 상기 전자 팽창밸브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to fifth liquid branch pipes 241-1, 241-2, 241-3, 241-4, and 241-5 are branched at the distributor 24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electronic expansion valves.

상기 제1 내지 제5 액상 분지 배관(241-1, 241-2, 241-3, 241-4, 241-5)을 통해서 공급되는 냉매는 각각의 제1 내지 제5 전자팽창밸브(260-1, 260-2, 260-3, 260-4, 260-5)에서 감압 또는 팽창되어, 실내측 연결부(270)를 구성하는 각각의 제1 내지 제 5 실내측 고압소켓(271-1, 271-2, 271-3, 271-4, 271-5)를 통해 각각의 공조공간에 구비된 제1 내지 제5 실내기(300A, 300B, 300C, 300D, 300E) 측으로 공급된다.The refrigerant supplied through the first to fifth liquid branch pipes 241-1, 241-2, 241-3, 241-4, and 241-5 is supplied to each of the first to fifth electronic expansion valves 260-1 , 260-2, 260-3, 260-4, and 260-5, so that the first to fifth indoor-side high-voltage sockets 271-1 and 271- 300B, 300C, 300D, and 300E provided in the respective air conditioning spaces through the first to fifth indoor units 300, 300, 300, 300, and 300, respectively.

이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 5 실내기 측 고압소켓(271-1, 271-2, 271-3, 271-4, 271-5, 실내기 측 연결부(270))과 상기 제1 내지 제5 전자팽창밸브(260-1, 260-2, 260-3, 260-4, 260-5)를 각각 연결시키는 제1 내지 제5 액상 연결관(265-1, 265-2, 265-3, 265-4, 265-5)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to fifth indoor unit side high voltage sockets 271-1, 271-2, 271-3, 271-4, 271-5, and the indoor unit side connecting portion 270) 265-2, 265-3, and 265-4 that connect the valves 260-1, 260-2, 260-3, 260-4, and 260-5, respectively, , 265-5).

그리고, 각각의 제1 내지 제5 전자팽창밸브(260-1, 260-2, 260-3, 260-4, 260-5)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제1 내지 제5 전자팽창밸브(260-1, 260-2, 260-3, 260-4, 260-5)로 전달되기 위하여, 제1 내지 제5 전자팽창밸브(260-1, 260-2, 260-3, 260-4, 260-5) 각각은 제1 내지 제5 통신선 연결부(265-1, 265-2, 265-3, 265-4, 265-5)를 구비할 수 있다.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respective first to fifth electronic expansion valves 260-1, 260-2, 260-3, 260-4, and 260-5 are input to the first to fifth electronic expansion valves 260 260-2, 260-3, 260-4, and 260-5 so as to be transmitted to the first to eighth expansion valves 260-1, 260-2, 260-3, 260-4, -5 may include first to fifth communication line connection units 265-1, 265-2, 265-3, 265-4, and 265-5.

상기 실외기 내부에 구비된 공기조화장치의 메인 제어부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는 통신선으로 상기 제1 내지 제5 통신선 연결부(265-1, 265-2, 265-3, 265-4, 265-5)를 통해 각각의 통신선 연결부(265-1, 265-2, 265-3, 265-4, 265-5)에 전달되고, 각각의 제1 내지 제5 전자팽창밸브(260-1, 260-2, 260-3, 260-4, 260-5)를 제어하여 냉매의 유량 조절과 팽창(감압)을 제어하게 된다.The control signal provid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of the air conditioner provided in the outdoor unit is transmitted to the first to fifth communication line connection units 265-1, 265-2, 265-3, 265-4, 265-2, 265-3, 265-4, and 265-5 through the respective communication line connecting portions 265-1, 265-2, 265-3, 265-4, and 265-5, and the respective first through fifth electronic expansion valves 260-1, -3, 260-4, and 260-5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and control expansion (decompression) of the refrigerant.

상기 기상 냉매관 조립체(200B)는 주 배관(280)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간격으로 상기 실내기 측 연결부(270)를 구성하는 실내기 측 저압소켓(275) 측으로 분지되는 복수 개의 기상 분지 배관(277)을 포함할 수 있다. The gaseous coolant tube assembly 200B includes a plurality of vapor branch pipes 277 branched from the main pipe 28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oward the indoor side low pressure socket 275 constituting the indoor unit side connection portion 270 .

도 9에 도시된 저압부(200B)는 각각의 공조공간에 구비된 제1 내지 제5 실내기(300A, 300B, 300C, 300D, 300E)에서 회수되는 냉매가 냉매배관을 통해 제1 내지 제 5 실내기 측 저압소켓(275-1, 275-2, 275-3, 275-4, 275-5) 및 제1 내지 제5 기상 분지 배관(277-1, 277-2, 277-3, 277-4, 277-5)를 통해서 회수되면, 이를 수집하여 상기 실외기 측 고압소켓(255)로 수렴시키는 주 배관(280)을 구비한다. The low pressure portion 200B shown in FIG. 9 is configured such that the refrigerant recovered from the first to fifth indoor units 300A, 300B, 300C, 300D, and 300E provided in the respective air conditioning spaces flows through the refrigerant pipes, 275-2, 275-3, 275-4, and 275-5 and the first to fifth vapor-phase branch pipes 277-1, 277-2, 277-3, 277-4, And a main pipe 280 for collecting the collected water and collecting the collected water through the outdoor unit side high pressure socket 255.

상기 주 배관(280)에는 별도의 분배기 등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나, 난방운전시를 고려하여 각각의 제1 내지 제5 기상 분지 배관(277-1, 277-2, 277-3, 277-4, 277-5)과 주 배관(280)를 연결하는 분배기를 구비할 수도 있다.The main piping 280 may not include a separate distributor. However, in consideration of the heating operation, each of the first to fifth vapor-phase branch pipes 277-1, 277-2, 277-3, 277-4 , 277-5 and a main piping 280. The main piping 280,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분배유닛 내부의 각 냉매관 조립체(200A, 200B)가 제 1커버(211)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FIG. 10 shows a state in which the refrigerant tube assemblies 200A and 200B inside the distribution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assembled to the first cover 211. FIG.

각 냉매관 조립체(200A, 200B)는 실외기 측 연결부(250)(251, 255)를 갖는 주 배관(220, 280)과 각 주 배관으로부터 분지되며, 제 1커버(211)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279, 278)를 갖는 복수의 분지 배관을 포함한다.Each of the refrigerant pipe assemblies 200A and 200B is branched from the main pipes 220 and 280 having the outdoor unit side connection portions 250 and 251 and 255 and the main pipe, (279, 278).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제 1커버(211)에는 각 분지 배관의 체결부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217, 218)이 복수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11,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17 and 218 are formed in the first cover 211 for fastening the fastening portions of the branch pipes.

또한, 제 1커버(211)의 각 관통홀(215, 216)은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각 관통홀(215, 216) 내에 배치되는 각 분지 배관은 이에 대응되는 각 관통홀(215, 216)의 다각형 형상에 대응되는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Each of the through holes 215 and 216 of the first cover 211 may have a polygonal shape and each branch pipe disposed in each of the through holes 215 and 216 may have a corresponding through hole 215, 216 having a polyg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polygonal shape.

따라서, 각 분지 배관(215, 216)의 실내기 측 연결부(270)는 냉매 배관을 통하여 각 실내기와 연결되는 경우에 각 관통홀(215, 216) 내에 끼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연결 과정에서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다.Accordingly, when the indoor unit side connecting portions 270 of the branch pipes 215 and 216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indoor units through the refrigerant pipe, they can be held in the through holes 215 and 216, No flow occurs.

또한, 각 분지 배관의 체결부(278, 279)와 제 1커버(211)는 하나의 체결수단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수단은 스크류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astening portions 278 and 279 of each branched pipe and the first cover 211 may be fastened by one fastening means, and the fastening means may be a screw.

즉, 각 분지배관을 하나의 스크류로 제 1커버에 체결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공수를 줄이고, 체결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That is, since each branch pipe can be fastened to the first cover with a single screw, the number of workings can be reduced and the number of fastening parts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분배 유닛(200)은 분배 유닛 하우징(210)에 체결되는 복수의 장착 브라켓(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pensing unit 20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mounting brackets 500 fastened to the dispensing unit housing 210.

상기 장착 브라켓(500)은 분배 유닛(200)을 실외기 외부의 설치 벽면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mounting bracket 500 functions to fix the dispensing unit 200 to the wall surface of the exterior of the outdoor unit.

상기 장착 브라켓(500)은 커버 어셈블리의 제 2커버(212) 및 제 3커버(213) 중 어느 한 커버에 체결될 수 있으며, 제 2커버(212) 및 제 3커버(213)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에 함께 체결될 수 있다.The mounting bracket 500 may be fastened to one of the second cover 212 and the third cover 213 of the cover assembly and may be fastened to the second cover 212 and the third cover 213 And can be fastened together in the fastening holes.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esented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nd additions should be consider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100: 실외기 200: 분배유닛
300A 내지 300E: 실내기
100: outdoor unit 200: distribution unit
300A to 300E: indoor unit

Claims (10)

메인 제어부와 실외 열교환기 및 압축기를 갖는 실외기;
실내 열교환기를 갖는 복수의 실내기; 및
각 실내기와 실외기와 각각 연결되며, 전자팽창밸브가 장착된 액상 및 기상 냉매관 조립체와 각 냉매관 조립체를 둘러싸는 커버 어셈블리 및 상기 메인 제어부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를 갖는 서브 제어부를 포함하는 분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전자팽창밸브는 실외기의 메인 제어부 또는 분배 유닛의 서브 제어부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조절되고,
상기 커버 어셈블리는, 상기 각 냉매관 조립체의 실내측 연결부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관통홀이 형성된 제 1커버; 상기 제 1커버와 대향되고, 외주면에 서브 제어부가 장착되는 제 2커버; 및 상기 제 2커버와 연결되며, 분배 유닛의 어느 한 측면을 형성하는 제 3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 2커버에는 내부의 각 분지 배관의 전자팽창밸브와 외부의 서브 제어부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부 영역이 개방된 슬릿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An outdoor unit having a main control unit, an outdoor heat exchanger, and a compressor;
A plurality of indoor units having an indoor heat exchanger; And
And a sub-control unit connected to each of the indoor units and the outdoor units, the sub-control unit including a liquid-phase and gas-phase refrigerant tube assembly with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a cover assembly surrounding the refrigerant tube assembly,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 the main control unit. / RTI >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is selectively controlled by a main control unit of an outdoor unit or a sub control unit of a distribution unit,
The cover assembly may include: a first cover having first and second through-holes for exposing an interior connection portion of each refrigerant tube assembly to the outside; A second cover opposed to the first cover and having a sub-control part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third cover connected to the second cover and defining either side of the distribution unit,
Wherein the second cover is formed with a slit that is open at a part of its periphery in order to form an opening for passing a cable connecting the electronic expansion valve of each branch pipe and an external sub-control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냉매관 조립체는 실외기 측 연결부를 갖는 주 배관과 주 배관으로부터 각각 분지되며, 전자팽창밸브가 각각 장착된 복수의 분지 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of the refrigerant tube assemblies includes a plurality of branch pipes each branched from a main pipe having an outdoor unit side connection portion and a main pipe and each equipped with an electronic expansion valv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커버는 분배 유닛의 적어도 2개 이상의 측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cover forms at least two side surfaces of the distribution un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커버 및 제 3커버 중 어느 한 커버에 체결되며, 설치면에 분배 유닛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장착 브라켓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mounting brackets fastened to any one of the second cover and the third cover for fixing the dispensing unit to the mounting surface.
제 6 항에 있어서,
어느 한 장착 브라켓은 제 2커버 및 제 3커버의 체결을 위한 체결홀에 함께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one of the mounting brackets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for fastening the second cover and the third cover toge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커버는 폭 방향을 따라 제 1관통홀이 형성된 제 1영역 및 제 2관통홀이 형성된 제 2영역으로 구획되고, 인접하는 2개의 제 1관통홀 사이에 제 2관통홀이 각각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cover is divided into a first area having a first through hole and a second area having a second through hole along the width direction, and the second through hole is positioned between the adjacent two first through holes Wherein the air conditioner is an air conditio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제어부는 상기 제 2커버의 외주면에 장착되며, 통신부가 실장된 기판 및 상기 기판을 둘러싸는 제어부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b-control unit includes a substrate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over and having a communication unit mounted thereon, and a control unit housing surrounding the substr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유닛은 상기 실외기 내부에 분리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tribution unit is detachably mounted inside the outdoor unit.
KR1020100021708A 2010-03-11 2010-03-11 Air conditioner Expired - Fee Related KR101727034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708A KR101727034B1 (en) 2010-03-11 2010-03-11 Air conditioner
CN201110035626.2A CN102192557B (en) 2010-03-11 2011-01-28 Air conditioner
EP11157169.1A EP2365254A3 (en) 2010-03-11 2011-03-07 Air conditioner
US13/044,817 US20110219799A1 (en) 2010-03-11 2011-03-10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1708A KR101727034B1 (en) 2010-03-11 2010-03-11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616A KR20110102616A (en) 2011-09-19
KR101727034B1 true KR101727034B1 (en) 2017-04-14

Family

ID=44278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1708A Expired - Fee Related KR101727034B1 (en) 2010-03-11 2010-03-11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10219799A1 (en)
EP (1) EP2365254A3 (en)
KR (1) KR101727034B1 (en)
CN (1) CN102192557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1457B2 (en) 2012-02-09 2014-08-27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Air conditioner
JP6146693B2 (en) * 2013-03-28 2017-06-1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Cover structure for refrigerant branch unit of air conditioner
JP6164459B2 (en) * 2013-03-28 2017-07-1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Cover structure for refrigerant branch unit of air conditioner
JP6197988B2 (en) * 2013-03-28 2017-09-20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Cover structure for refrigerant branch unit of air conditioner
CN104424364B (en) * 2013-08-19 2018-10-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ally routing air conditioner connecting pipe
CN104422042B (en) * 2013-08-19 2019-04-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Method and device for enabling air conditioner connecting pipe to run
JP5783235B2 (en) * 2013-12-11 2015-09-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Refrigerant flow path switching unit and flow path switching collective unit
JP6116491B2 (en) * 2014-01-16 2017-04-19 三菱電機株式会社 Branching device
JP5884855B2 (en) * 2014-05-30 2016-03-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Refrigerant flow path switching unit
JP6264249B2 (en) * 2014-09-26 2018-01-2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JP6547956B2 (en) * 2015-12-28 2019-07-2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JP6728871B2 (en) * 2016-03-29 2020-07-2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JP2017180887A (en) * 2016-03-29 2017-10-05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2017180888A (en) * 2016-03-29 2017-10-05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JP6696261B2 (en) * 2016-03-29 2020-05-20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JP2018009707A (en) * 2016-07-11 2018-01-18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Refrigerant flow passage switching unit and air conditioner with the same
JP6456880B2 (en) * 2016-07-11 2019-01-23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Refrigerant switching unit
CN107036186A (en) * 2017-04-18 2017-08-11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A kind of domestic air conditioner system
JP6945515B2 (en) * 2018-11-06 2021-10-06 株式会社鷺宮製作所 Temperature type expansion valve unit and refrigeration cycle system equipped with it
KR102596984B1 (en) * 2019-01-31 2023-11-02 삼성전자주식회사 Outdoor unit of airconditioner
JP7295477B2 (en) * 2021-03-31 2023-06-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air condition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1469A1 (en) * 2000-12-15 2002-07-1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Flexible and compact motor control module based on the can communication network
US20090211288A1 (en) * 2008-02-25 2009-08-27 Carrier Corporation Combination microchannel condenser and radiator mounting arrangement
US20090255284A1 (en) * 2006-04-28 2009-10-15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7239A (en) * 1979-01-05 1981-03-24 Partin James R Earth coil heating and cooling system
JPS6334459A (en) * 1986-07-29 1988-02-15 株式会社東芝 Air conditioner
JP3655681B2 (en) * 1995-06-23 2005-06-02 三菱電機株式会社 Refrigerant circulation system
TW339401B (en) * 1997-02-28 1998-09-01 Sanyo Electric Co Coolant branching device for an air conditioner
JP3175676B2 (en) * 1997-12-05 2001-06-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Refrigerant branch unit
JP2002013763A (en) * 2000-04-24 2002-01-18 Daikin Ind Ltd Air conditioner branch unit
KR20050019677A (en) * 2003-08-20 2005-03-03 캐리어엘지 유한회사 Refrigerator with separable refrigerating machine
CN2703986Y (en) * 2003-12-26 2005-06-08 上海日立电器有限公司 Refrigerant flow distribution device of domestic central air-conditioner group
US7400239B2 (en) * 2004-09-03 2008-07-15 Simply Automated, Incorporated Universal control apparatus and methods
JP3885817B2 (en) * 2005-04-19 2007-02-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Branch refrigerant relay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4721943B2 (en) * 2006-04-04 2011-07-13 三洋電機株式会社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JP2009229012A (en) * 2008-03-24 2009-10-08 Daikin Ind Ltd Refrigerating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91469A1 (en) * 2000-12-15 2002-07-11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Flexible and compact motor control module based on the can communication network
US20090255284A1 (en) * 2006-04-28 2009-10-15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er
US20090211288A1 (en) * 2008-02-25 2009-08-27 Carrier Corporation Combination microchannel condenser and radiator mounting arran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5254A3 (en) 2014-12-17
US20110219799A1 (en) 2011-09-15
EP2365254A2 (en) 2011-09-14
CN102192557A (en) 2011-09-21
KR20110102616A (en) 2011-09-19
CN102192557B (en) 2014-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034B1 (en) Air conditioner
EP2815187B1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EP3379156B1 (en) Air conditioner
EP3059509B1 (en) Outdoor unit
KR20110102613A (en) Air conditioner
EP2886970B1 (en) Indoor unit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US8826689B2 (en) Air conditioner and outdoor unit
EP3260785B1 (en) Outdoor unit
KR20080075258A (en) Air conditioner
JP5123018B2 (en) Air conditioner
US6148630A (en) Easy installation single-unit air conditioner
US7007498B2 (en) HVAC cabinet with configurable duct connections
US11859852B2 (en) Air conditioner with modular makeup air assembly
KR20110102615A (en) Air conditioner
KR101662079B1 (en) Air conditioning machine
CN217952506U (en) Air condensing units and air conditioner
CN220728360U (en) Integrated air conditioner
KR101667044B1 (en) Indoor unit of air-conditioner
KR20110102612A (en) Air conditioner
KR101565406B1 (en) Air conditioner
CN113819515B (en) Modular room air conditioner
KR20190003071A (en) An out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KR200146100Y1 (en) Dust collector fixing device of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100565513B1 (en) Valve Support for Multi Air Conditioners
US20190078816A1 (en) Convertible case horizontal refrigeration co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3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3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