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25688B1 -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688B1
KR101725688B1 KR1020150176891A KR20150176891A KR101725688B1 KR 101725688 B1 KR101725688 B1 KR 101725688B1 KR 1020150176891 A KR1020150176891 A KR 1020150176891A KR 20150176891 A KR20150176891 A KR 20150176891A KR 101725688 B1 KR101725688 B1 KR 101725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peed signal
vehicle speed
delay
rotation spe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6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광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6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68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6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excessive wheel slip during vehicle deceleration, e.g. ABS
    • B60T8/1761Brake regulation specially adapted to prevent excessive wheel slip during vehicle deceleration, e.g. ABS responsive to wheel or brake dynamics, e.g. wheel slip, wheel acceleration or rate of change of brake fluid pressure
    • B60T8/17616Microprocessor-based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3Eliminating or reducing the effect of unwanted signals, e.g. due to vibrations or electrical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9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speed sens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40Failsafe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 B60T2270/416Wheel speed sensor fail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B60Y2400/3032Wheel speed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각 휠의 회전속도 신호를 감지하는 휠 속도센서, 상기 휠 속도센서로부터 감지된 각 휠의 회전속도 신호를 디지털 차속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차속신호 처리장치 및 상기 차속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차속신호의 지연시간을 각 휠의 회전속도(RPM) 값에 따라 조절하는 지연 회로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APPARATUS FOR PROCESSING WHEEL SPEED SENSOR INPUT SIGNAL OF VEHICLE AND METHOD THEROF}
본 발명은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안정된 브레이크 성능을 확보하기 위한 ABS 시스템(Anti-lock Brake System) 또는 구동륜의 과도한 슬립을 억제하여 자동차의 방향 안전성과 구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TCS 시스템(Traction Control System) 등의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 브레이크 시스템에서는 휠 속도센서(Wheel Speed Sensor)로부터 검출된 휠 속도를 기본정보로 하여 차량의 제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휠 속도센서의 노이즈(Noise) 여부를 정확히 검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상, 휠 속도센서는 바퀴와 일체로 구성되어 회전하는 로터(Rotor)와 폴피스(Poleplece)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로터는 외주면에 톱니형상의 치차(tooth)가 형성되어 회전 시 이 치차가 폴피스에 자계변화를 일으킨다. 이러한 자계변화를 펄스 형태의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검출하게 되면 휠 속도를 구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휠 속도센서의 톤 휠(Tone Wheel)이 회전할 경우 센서가 휠의 치차를 감지하여 구형파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구형파는 일정한 주기로 발생되는 것이 아니고 해당 휠 속도에 따라 다른 주기를 갖게 된다. 특히, 휠의 회전속도가 낮은 경우에 휠 속도센서는 긴 주기의 구형파를 발생시킨다.
이렇게 휠 속도센서에서 전송되는 다른 주기의 구형파는 마이크로 제어 유닛(Microprocessor Control Unit, MCU)으로 입력되고, 상기 마이크로 제어 유닛(MCU)은 구형파의 턴-온(turn-on)/턴-오프(turn-off) 시점을 이용하여 휠 속도를 측정한다.
그러나, 종래의 휠 속도센서는 여러 지연시간이 더해져서 최종 제어기인 마이크로프로세스 제어 유닛(MCU)의 입력포트로 입력되는데, 이러한 지연시간은 정확하게 회전속도(RPM) 값에 비례하거나 반비례하지 않아 회전속도(RPM)를 이용하여 회전각도로 변환하여 사용하여야만 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소프트웨어(SW) 리소스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든 회전속도(RPM)에 동일한 지연 회전각을 갖도록 휠의 회전속도(RPM)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보상해 줌으로써, 기존의 마이크로프로세스 제어 유닛(MCU)이 회전속도(RPM)에 따른 지연시간을 회전각도로 변환하는 과정을 없앨 수 있으며, 좀 더 효율적인 리소스(Resource)를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휠 속도의 오차에 따른 에러율을 효과적으로 줄여줄 수 있도록 한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각 휠의 회전속도 신호를 감지하는 휠 속도센서, 상기 휠 속도센서로부터 감지된 각 휠의 회전속도 신호를 디지털 차속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차속신호 처리장치 및 상기 차속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차속신호의 지연시간을 각 휠의 회전속도(RPM) 값에 따라 조절하는 지연 회로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지연 회로부는, 상기 지연시간을 기 설정된 기준 회전속도 값에 기초하여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연 회로부는, 상기 기준 회전속도 값에 기초하여 보정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보정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지연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연 회로부는, 상기 차속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차속신호에 대응되는 회전속도 값이 상기 기준 회전속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지연시간을 기 설정된 보정시간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차속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차속신호에 대응되는 회전속도 값이 상기 기준 회전속도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지연시간을 상기 보정시간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에 따르면, 모든 회전속도(RPM)에 동일한 지연 회전각을 갖도록 휠의 회전속도(RPM)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보상해 줌으로써, 기존의 마이크로프로세스 제어 유닛(MCU)이 회전속도(RPM)에 따른 지연시간을 회전각도로 변환하는 과정을 없앨 수 있으며, 좀 더 효율적인 리소스(Resource)를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휠 속도의 오차에 따른 에러율을 효과적으로 줄여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실행 엔진)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되는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으며, 몇 가지 대체 실시 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또한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필요에 따라 해당하는 기능의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장치는 크게, 휠 속도센서(100), 차속신호 처리장치(200) 및 지연 회로부(30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휠 속도센서(100)는 차량의 각 휠(wheel)의 회전속도 신호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휠 속도센서(100)는 차량의 각 휠에 설치되어 각 휠의 휠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전우륜의 휠속도, 전좌륜의 휠속도, 후우륜의 휠속도 및 후좌륜의 휠속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휠 속도센서(10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그 외주부에 소정 간격으로 톱니형상의 치차(tooth)가 설치된 원판체로 구성되고, 바퀴와 일체로 회전하게 되는 로터(Rotor)와, 상기 로터와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바퀴의 회전에 수반하여 각 치차가 대응할 때마다 이들과의 거리변화를 검출하고, 이를 정현파의 검출신호로서 출력하는 폴피스(Poleplece)로 이루어진다.
한편, 휠 속도센서(100)는 차륜의 회전에 따라 출력 전류를 변화하는 유도 센서(Inductive sensor)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국한하지 않으며, 휠 속도센서(100)는 일단이 접지(Ground)되고 타단이 차량의 배터리(Battery) 측에 연결되는 것으로, 센서 출력은 그라운드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배제할 수 있으며, 이는 통상 차륜에 설치되어 차륜의 회전속도에 따라 출력 전류가 변화하는 센서 특성을 가지는 홀 센서(Hall IC)를 적용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홀 센서는 차륜에 장착된 톤 휠(tone wheel)의 산과 골의 위치 변화로 일정한 전류를 출력하는데, 하이 레벨의 전류는 약 11.8mA∼16.8mA이고 로우 레벨의 전류는 약 5.9mA∼8.4mA 범위 내에서 출력한다.
차속신호 처리장치(200)는 휠 속도센서(100)로부터 감지된 각 휠의 회전속도 신호를 제공받아 디지털 차속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휠 속도센서(100)로부터 출력되는 회전속도 신호인 사인파는 아날로그 값으로써 마이크로프로세스 제어 유닛(Microprocessor Control Unit, MCU)에서는 인식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센서 인터페이스 회로부인 차속신호 처리장치(200)에 의해 A/D(Analog/Digital)변환된 후 마이크로프로세스 제어 유닛(MCU)에 입력된다.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스 제어 유닛(MCU)에서는 차속신호 처리장치(200)로부터 디지털 값으로 변환된 구형파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카운팅(counting)함으로써 휠 속도를 검출하게 된다.
이러한 차속신호 처리장치(200)는,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통상적으로 센서 출력의 노이즈를 필터링하는 필터부와, 소정의 기준전압을 출력하는 기준전압과, 필터링 된 센서출력과 기준전압을 입력받아 구형 펄스의 속도 검출신호를 형성하여 출력하는 파형정형부와, 필터링 된 센서 출력의 일단을 입력받아 그 출력 특성을 조절하기 위해 히스테리스 전압을 조절하는 히스테리시스 조절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휠 속도센서(100)에 의하여 검출된 정현파의 검출신호는 증폭부에 의하여 증폭됨과 동시에 상기 파형정형부에 의하여 파형 정형되어 펄스신호로 변환된다. 이 펄스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스 제어 유닛(MCU)에 입력된다.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스 제어 유닛(MCU)은 이 펄스신호에 기초하여 휠 속도를 산출하게 된다.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스 제어 유닛(MCU)은 소정주기마다 펄스신호를 샘플링(sampling)하여 그 펄스의 상승 및 에지 방향을 검출하고, 이 펄스신호의 상승 및 에지 방향을 근거로 하여 휠 속도를 산출한다.
그리고, 지연 회로부(300)는 차속신호 처리장치(20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차속신호의 지연시간을 각 휠의 회전속도(RPM) 값에 따라 조절하여 마이크로프로세스 제어 유닛(MCU)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지연 회로부(300)는 상기 지연시간을 기 설정된 기준 회전속도 값에 기초하여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연 회로부(300)는 상기 기준 회전속도 값에 기초하여 보정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보정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지연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연 회로부(300)는 상기 차속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차속신호에 대응되는 회전속도 값이 상기 기준 회전속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지연시간을 기 설정된 보정시간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차속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차속신호에 대응되는 회전속도 값이 상기 기준 회전속도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지연시간을 상기 보정시간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기준 회전속도 및 보정시간은 차량의 최고 회전속도(RPM) 값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방법은, 먼저, 휠 속도센서(100)를 통해 차량의 각 휠의 회전속도 신호를 감지한다(S100).
이후에, 차속신호 처리장치(200)를 통해 상기 단계 S100에서 감지된 각 휠의 회전속도 신호를 디지털 차속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S200).
그런 다음, 지연 회로부(300)를 통해 상기 단계 S200에서 출력된 디지털 차속신호를 바탕으로 모든 회전속도(RPM) 값에서 기 설정된 지연 회전각도로 동일하게 지연시켜 출력되도록 회전속도(RPM) 값에 따라 지연시간을 조절한다(S300). 즉, 지연 회로부(300)는 차속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차속신호의 지연시간을 각 휠의 회전속도(RPM) 값에 따라 조절한다.
이때, 상기 단계 S300에서, 지연 회로부(300)는 상기 지연시간을 기 설정된 기준 회전속도 값에 기초하여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 S300에서, 지연 회로부(300)는 상기 기준 회전속도 값에 기초하여 보정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보정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지연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S300에서, 지연 회로부(300)는 상기 차속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차속신호에 대응되는 회전속도 값이 상기 기준 회전속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지연시간을 기 설정된 보정시간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차속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차속신호에 대응되는 회전속도 값이 상기 기준 회전속도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지연시간을 상기 보정시간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든 회전속도(RPM)에서 지연각도가 1°이고, 지연시간이 10㎲로 일정하다고 가정하면, 치차(tooth)가 60개인 휠이 1000RPM으로 회전할 경우 지연시간이 10㎲의 지연 회전각도는 0.06°이다, 만약 회전속도가 2000RPM이라면 이는 1000RPM보다 2배 빠르므로 지연 회전각도는 0.12°이다.
여기서, 기준 회전속도(RPM)를 6000RPM으로 가정한다면, 6000RPM 에서는 0.36°의 최대 회전각도가 지연된다. 이 때, 모든 회전속도(RPM)에 대한 지연 회전각도를 기준 회전속도의 지연 회전각도(0.36°)와 동일하게 하기 위해, 지연 회로부(300)에서는 1000RPM에서 지연시간을 50㎲더해주고, 2000RPM에서는 40㎲의 지연시간을 더해준다. 이에 따라 모든 회전속도에 대하여 지연 회전각은 동일하게 0.36°가 된다. 이 때 50㎲ 및 40㎲는 지연 회로부(300)가 기준 회전속도 값인 6000RPM의 지연 회전각도(0.36°)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보정시간이 된다.
만약 휠의 회전속도가 기준 회전속도인 6000RPM보다 큰 8000RPM이라면, 지연 회로부(300)는 8000RPM에 대응되는 지연시간을 위와 같이 계산되는 보정시간(20㎲)만큼 감소시킬 수 있다. 즉, 기준 회전속도 값인 6000RPM의 지연 회전각도(0.36°)에 기초하여, 현재 회전속도인 8000RPM에 대응되는 보정시간(20㎲)을 결정한 뒤, 상기 보정시간(20㎲)을 이용하여 8000RPM에 대응되는 지연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은 모든 회전속도(RPM)에 동일한 지연 회전각을 갖도록 휠의 회전속도(RPM)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보상해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의 마이크로프로세스 제어 유닛(MCU)이 회전속도(RPM)에 따른 지연시간을 회전각도로 변환하는 과정을 없앨 수 있고, 좀 더 효율적인 리소스(Resource)를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휠 속도의 오차에 따른 에러율을 효과적으로 줄여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컨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롬(ROM), 램(RAM), 시디-롬(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이동식 저장장치, 비휘발성 메모리(Flash Memory),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에 속한다.
100 : 휠 속도센서,
200 : 차속신호 처리장치,
300 : 지연 회로부

Claims (8)

  1. 차량의 각 휠의 회전속도 신호를 감지하는 휠 속도센서;
    상기 휠 속도센서로부터 감지된 각 휠의 회전속도 신호를 디지털 차속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차속신호 처리장치; 및
    상기 차속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차속신호의 지연시간을 상기 디지털 차속신호에 대응되는 회전속도 값에 따라 조절하는 지연 회로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회로부는, 상기 지연시간을 기 설정된 기준 회전속도 값에 기초하여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회로부는, 상기 기준 회전속도 값에 기초하여 보정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보정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지연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회로부는, 상기 차속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차속신호에 대응되는 회전속도 값이 기준 회전속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지연시간을 기 설정된 보정시간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차속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차속신호에 대응되는 회전속도 값이 상기 기준 회전속도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지연시간을 상기 보정시간만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장치.
  5. (a) 휠 속도센서를 통해 차량의 각 휠의 회전속도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b) 차속신호 처리장치를 통해 상기 단계(a)에서 감지된 각 휠의 회전속도 신호를 디지털 차속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c) 지연 회로부를 통해 상기 단계(b)에서 출력된 디지털 차속신호의 지연시간을 상기 디지털 차속신호에 대응되는 회전속도 값에 따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지연 회로부는, 상기 지연시간을 기 설정된 기준 회전속도 값에 기초하여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지연 회로부는, 상기 기준 회전속도 값에 기초하여 보정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보정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지연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방법.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에서, 상기 지연 회로부는, 상기 차속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차속신호에 대응되는 회전속도 값이 기준 회전속도 값보다 큰 경우, 상기 지연시간을 기 설정된 보정시간만큼 감소시키고, 상기 차속신호 처리장치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차속신호에 대응되는 회전속도 값이 상기 기준 회전속도 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지연시간을 상기 보정시간만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방법.
KR1020150176891A 2015-12-11 2015-12-11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Active KR101725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891A KR101725688B1 (ko) 2015-12-11 2015-12-11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6891A KR101725688B1 (ko) 2015-12-11 2015-12-11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688B1 true KR101725688B1 (ko) 2017-04-11

Family

ID=58580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6891A Active KR101725688B1 (ko) 2015-12-11 2015-12-11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6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259A (ko) * 1995-12-29 1997-07-22 전성원 차량 변속기의 주행 정보 처리 방법
JPH1134842A (ja) * 1997-07-17 1999-02-09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259A (ko) * 1995-12-29 1997-07-22 전성원 차량 변속기의 주행 정보 처리 방법
JPH1134842A (ja) * 1997-07-17 1999-02-09 Toyota Central Res & Dev Lab Inc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制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6000B1 (en) Rotation detecting sensor
US8164324B2 (en) Rotation sensor
US9076272B2 (en) Wheel speed sensor and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EP2644437A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motor
JP4979544B2 (ja) 車両速度検出装置
JP5917294B2 (ja) モータ駆動回路
CN107453669B (zh) 电机转子位置检测方法、装置及电动汽车
KR101714271B1 (ko) 차량의 휠 속도센서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58482B1 (ko) 긴급제동 발생시 3상 모터 제어를 위한 확장된 전류 검출 방법
JP2019115094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回転異常検出方法
CN104883158A (zh) 电动汽车加速踏板信号的滤波方法及滤波装置
CN107856740A (zh) 一种方向盘转向角度的计算方法和系统
KR101725688B1 (ko) 차량의 휠 속도센서 입력신호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CN108528272B (zh) 电动汽车电机控制方法、装置及电动汽车
EP2869077B1 (en) Offset compensation for zero-crossing detection
JP4229965B2 (ja) ブレーキ制御方法およびブレーキ制御装置
US6967476B2 (en) Method and assembly for determining rational speed with variable switching hysteresis
US201701798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tor stability
US20100036629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cognizing Pulses
KR101760153B1 (ko) 아날로그 신호의 분석 방법
US10797625B2 (en) Detection device and detection method for detecting number of revolutions of sensorless EPB motor
KR101422919B1 (ko) 모터 구동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052455A (ko) 휠속도 센서의 오류검출 방법
KR101405263B1 (ko) 휠 속도 감지 장치 및 그 감지 방법
JP5715808B2 (ja) モータ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