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25433B1 - 네비게이션 카테터 - Google Patents

네비게이션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433B1
KR101725433B1 KR1020150153084A KR20150153084A KR101725433B1 KR 101725433 B1 KR101725433 B1 KR 101725433B1 KR 1020150153084 A KR1020150153084 A KR 1020150153084A KR 20150153084 A KR20150153084 A KR 20150153084A KR 101725433 B1 KR101725433 B1 KR 101725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wire
handle
drug
optical fi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3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중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에스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에스엠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에스엠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53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433B1/ko
Priority to US14/958,314 priority patent/US20170120004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43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04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 A61B1/00009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of image signals during a use of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63Optical arrangements
    • A61B1/00165Optical arrangements with light-conductive means, e.g. fibre op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2Constructional details of control elements, e.g.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5Constructional details of insertion parts, e.g. vertebr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7Constructional details of force transmission elements, e.g. contro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1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haracterised by internal passages or accessories therefor
    • A61B1/015Control of fluid supply or evac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2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a proximal camera, e.g. a CCD cam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661Endoscope light sources
    • A61B1/0669Endoscope light sources at proximal end of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6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 A61B1/0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illuminating arrangements using light-conductive means, e.g. optical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4/00Computer-aided surgery; Manipulators or robo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urgery
    • A61B34/20Surgical navigation systems; Devices for tracking or guiding surgical instruments, e.g. for frameless stereot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4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introduction into the body, e.g. by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6Devices, other than using radiation, for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 Determining position of diagnostic devices within or on the body of the patient
    • A61B5/065Determining position of the probe employing exclusively positioning means located on or in the probe, e.g. using position sensors arranged on the pro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6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for measuring dimensions inside body cavities, e.g. us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Measur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36Handl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61Image-producing devices, e.g. surgical cameras
    • A61B2090/3614Image-producing devices, e.g. surgical cameras using optical fib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evalua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e.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61B5/0215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by means inserted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46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 A61B5/6847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brought in contact with an internal body part, i.e. invasive mounted on an invasive device
    • A61B5/6852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61M2025/015Details of the distal fixation of the movable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30Blood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Dentis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obot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튜브를 수술 또는 검사위치로 보다 정확하게 조향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핸들(100)과, 핸들(100)에 연결된 상태로 신체의 내부로 삽입되기 위한 튜브(200)와, 튜브(200)를 절곡시켜서 튜브(200)의 방향을 조작하도록 튜브(200)의 일측을 밀면서 타측을 당기는 튜브방향조작수단(300)과, 튜브(200)의 끝단으로 단부가 노출되도록 튜브(200)에 내장된 상태로 빛을 전달하기 위한 광섬유(400)와, 튜브(200)의 단부를 마감하도록 튜브(200)의 단부에 결합되는 캡(5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네비게이션 카테터{NAVIGATION CATHETER}
본 발명은 신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튜브를 수술 또는 검사위치로 보다 정확하게 조향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테터(Catheter)는 주로 외과 수술시 체강 또는 장기 내로 삽입하기 위한 튜브형의 기구이며, 프로브(Probe)라고도 한다. 카테터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재질, 크기, 형태로 이루어진다. 카테터는 고무, 플라스틱 또는 금속제로 이루어진다. 카테터는, 체강 또는 장기 등의 각종 신체 기관 내의 내용물을 배출하거나 신체 기관내로 약제나 세정액의 주입하거나 신체 기관 내를 검사하기 위한 용도로 주로 사용된다.
종래의 카테터는 가늘고 긴 튜브로 이루어지고, 튜브 내부에 약물 주입이 가능한 약물 주입용 카테터와, 튜브 내부에 플라스틱 광섬유(Plastic Optical Fiber)를 삽입하여 신체 기관 내부를 촬영할 수 있는 검사용 카테터로 크게 구분된다. 종래의 카테터는 튜브가 매우 가늘고 긴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나의 튜브를 통해 약물 주입과 검사를 동시에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약물 주입용 카테터와 검사용 카테터를 별도로 구비해야 하고, 두 개를 번갈아 순차적으로 사용해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수술 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하나의 튜브를 통해 약물 주입과 검사가 모두 가능하게 할 경우, 튜브의 크기가 확대되어, 수술 부위가 커질 뿐만 아니라, 카테터의 조작성이 저하되어 수술의 정확도가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인 한국등록특허 10-1219710호에서는 추간판 이상 검사 프로브 및 검사 장치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신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튜브를 수술 또는 검사위치로 보다 정확하게 조향할 수 있는 네비게이션 카테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카테터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핸들(100)과, 핸들(100)에 연결된 상태로 신체의 내부로 삽입되기 위한 튜브(200)와, 튜브(200)를 절곡시켜서 튜브(200)의 방향을 조작하도록 튜브(200)의 일측을 밀면서 타측을 당기는 튜브방향조작수단(300)과, 튜브(200)의 끝단으로 단부가 노출되도록 튜브(200)에 내장된 상태로 빛을 전달하기 위한 광섬유(400)와, 튜브(200)의 단부를 마감하도록 튜브(200)의 단부에 결합되는 캡(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튜브방향조작수단(300)은 튜브(200)에 서로 대응되게 내장된 상태로 일단이 튜브(200)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핸들(100)의 내측에 각각 위치되는 와이어(310)와, 와이어(310)들의 타단이 연결되어, 하나의 와이어(310)가 당겨지게 함과 동시에 당겨지는 다른 와이어(310)가 밀려지게 하는 와이어조작부(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와이어조작부(320)는 와이어(310)들의 타단이 서로 대응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하나의 와이어(310)를 당기거나 밀면서 대응되는 와이어(310)를 밀거나 당기는 조작손잡이(321)와, 조작손잡이(321)의 시소운동을 지지하도록 핸들(100)에 구비되는 회전지지부(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와이어(310)들은 튜브(200)에서 4방향으로 분산되게 내장된 상태로 각각의 일단이 튜브(200)의 끝단에 각각 분산되게 고정되고, 각각의 타단이 조작손잡이(321)에 4방향으로 분산되게 연결되고, 조작손잡이(321)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링형태의 몸체(323)와, 몸체(323)의 내측에 4방향으로 분산되게 형성되어 와이어(310)들의 타단이 각각 고정되는 돌출편(3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회전지지부(322)는 돌출편(324)들이 고정되는 암형회전지지부(325)와, 암형지지부(325)가 4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수형회전지지부(3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광섬유(400)는 출사되는 빛의 각도가 확대되도록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는 광각확대부(430)를 포함하며, 광각확대부(430)는 광섬유(400)의 입구측에 연결되어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이 집광되도록 광이 입력되는 입구측이 광이 출력되는 출구측보다 넓게 형성되는 깔때기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튜브(200)에 내장되어 신체의 내부로 약물을 공급하는 약물공급수단(600)을 포함하며, 약물공급수단(600)은 튜브(200)에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약물이 끝단을 통해 배출되는 약물공급관(610)과, 약물공급관(610)으로 약물을 펌핑하여 공급하는 약물펌프(620)와, 신체상태를 측정하는 신체상태측정부(630)와, 신체상태측정부(630)에서 측정되는 신체상태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신체상태가 기준값을 초과하거나 초과하지 못함에 따라 약물의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약물펌프(620)를 저속이나 고속으로 조작하는 펌프조작부(6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신체상태측정부(630)는 약물공급관(610)에 근접되도록 튜브(200)의 단부에 구비되어 신체에 삽입된 튜브(200)의 끝단 앞에서 흐르는 혈액의 압력을 측정하는 혈압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광섬유(400)를 통해 피사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재(700)와, 다수의 가로줄과 다수의 세로줄이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모니터(10)의 화면에 현시되는 격자프레임(800)과, 거리측정부재(700)에서 측정된 거리 및 격자프레임(800)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크기를 측정하는 크기산출부(900)를 포함하며, 크기산출부(900)는 격자프레임(800)에 포위되는 피사체의 외측에 근접되는 가로격자들 및 세로격자들을 인식하는 격자인식부(910)와, 격자인식부(910)에서 인식된 가로격자들의 간격을 계산하여 가로값을 계산하고, 세로격자들의 간격을 계산하여 세로값을 계산하는 계산부(920)와, 거리측정부재(700)에서 측정되는 거리값이 커지는 만큼씩 계산부(920)에서 계산된 가로값 및 세로값을 축소시키고, 거리측정부재(700)에서 측정되는 거리값이 작아지는 만큼씩 계산부(920)에서 계산된 가로값 및 세로값을 증대시키는 계산값조절부(9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카테터에 의하면, 신체의 내부로 삽입되는 튜브를 수술 또는 검사위치로 보다 정확하게 조향할 수 있어서, 수술 또는 검사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카테터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내부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튜브방향조작수단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광섬유에 적용되는 광각확대부의 실시예들을 보인 도면.
도 6(a)(b)는 본 발명에 의해 조직의 크기가 측정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7(a)(b)는 본 발명에 의해 조직이 모니터(10)에 현시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요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카테터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핸들(100)과, 튜브(200)와, 튜브방향조작수단(300)과, 광섬유(400)와, 캡(500)을 포함한다.
핸들(100)은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것이며, 내부에 부품들이 설치되기 위해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형태로 구성된다.
튜브(200)는 핸들(100)에 연결된 상태로 신체의 내부로 삽입되기 위한 것으로, 후술되는 방향조작수단(300)의 와이어(310), 광섬유(500), 약물 및 검사기구 등이 각각 통과하도록 복수의 채널(Channel)들이 양단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면서 핸들(20)에 일단이 연통되게 결합된다. 이러한, 튜브(200)는 신체의 내부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가늘고 길게 형성되되, 직경이 약 2.5mm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채널들은 튜브(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통로이다.
튜브방향조작수단(300)은 튜브(200)의 단부를 절곡시켜서 튜브(200)의 방향을 조작하도록 튜브(200)의 일측을 밀면서 타측을 당기는 것으로, 튜브(200)에 서로 대응되게 내장된 상태로 일단이 튜브(200)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핸들(100)의 내측에 각각 위치되는 와이어(310)와, 와이어(310)들의 타단이 연결되어, 하나의 와이어(310)가 당겨지게 함과 동시에 당겨지는 다른 와이어(310)가 밀려지게 하는 와이어조작부(320)를 포함한다.
와이어(310)는 튜브(200)의 채널에 내장되게 설치되어 외압에 의해 밀리면 튜브(200)의 끝단을 밀게 되고, 외압에 의해 당겨지면 튜브(200)의 끝단을 당기게 된다. 그리고, 외압에 의해 휘어지도록 연질의 합성수지와 같은 선으로 구성되거나, 금속와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튜브(200)의 상부에 위치되는 와이어(310)가 당겨지면서 튜브(200)의 하부에 위치되는 와이어(310)가 밀려지면 튜브(200)의 끝단이 상방으로 휘어질 수 있다.
와이어조작부(320)는 와이어(310)들의 타단이 서로 대응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하나의 와이어(310)를 당기거나 밀면서 대응되는 와이어(310)를 밀거나 당기는 조작손잡이(321)와, 조작손잡이(321)의 시소운동을 지지하도록 핸들(100)에 구비되는 회전지지부(322)를 포함한다.
와이어(310)들은 튜브(200)에서 4방향으로 분산되게 내장된 상태로 각각의 일단이 튜브(200)의 끝단에 각각 분산되게 고정되고, 각각의 타단이 조작손잡이(321)에 4방향으로 분산되게 연결된다.
조작손잡이(321)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링형태의 몸체(323)와, 몸체(323)의 내측에 4방향으로 분산되게 형성되어 와이어(310)들의 타단이 각각 고정되는 돌출편(324)을 포함한다.
회전지지부(322)는 돌출편(324)들이 고정되는 암형회전지지부(325)와, 암형지지부(325)가 4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수형회전지지부(326)를 포함한다.
몸체(323)는 링형태로 구성되어 핸들(10)의 외측에 위치된다.
돌출편(324)들은 몸체(323)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대략 '+'형태를 이루면서 핸들(10)의 내측으로 관통되어 회전지지부(322)의 암형회전지지부(325)에 고정된다.
암형지지부(325)는 내측에 대략 반구형태의 홈이 형성되고, 수형회전지지부(326)는 끝단에 구형태의 돌기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수형회전지지부(326)를 기준으로 암형지지부(325)가 4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지지부(322)는 볼조인트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작손잡이(321)의 한쪽을 뒤쪽으로 당기면 회전지지부(322)에서 시소운동되는 조작손잡이(321)의 반대쪽은 앞쪽으로 이동된다. 즉, 조작손잡이(321)는 회전지지부(322)를 축으로 시소운동하게 된다. 이때, 뒤쪽으로 이동되는 조작손잡이(321)에 연결된 와이어(310)도 뒤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이와 반대로 앞쪽으로 이동되는 조작손잡이(321)에 연결된 와이어(310)는 앞쪽으로 밀려지게 된다. 이에 의해, 튜브(200)의 끝단이 와이어(310)가 당겨지는 쪽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조작손잡이(321)를 이용하여 와이어(310)들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어서 튜브(200)의 휘어짐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와이어(310)가 2개, 4개, 8개, 16개로 구성되어서 튜브(200)에 분산되게 배치되면서 조작손잡이(321)에 연결되면, 튜브(200)가 2방향, 4방향, 8방향, 16방향으로 정밀하게 휘어질 수 있다.
광섬유(Plastic Optical Fiber, POF)(400)는 튜브(200)의 끝단으로 단부가 노출되도록 튜브(200)에 내장된 상태로 빛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조명빛이 전달될 수 있고 카메라가 연결되어서 촬영할 수 있다. 이러한, 광섬유(400)는 튜브(200)의 다른 채널에 내장되게 설치되어 끝단이 튜브(200)의 단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어서, 광섬유(400)에 연결되는 카메라를 통해 신체의 내부가 촬영될 수 있고, 광섬유(400)에 연결되는 조명을 통해 촬영되는 신체에 조명광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광섬유(400)는 출사되는 빛의 각도가 확대되도록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는 광각확대부(430)를 포함한다.
광각확대부(430)는 광섬유(400)의 입구측에 연결되어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이 집광되도록 광이 입력되는 입구측이 광이 출력되는 출구측보다 넓게 형성되는 깔때기형태의 커플러로 구성되어 광원과 광섬유(40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광각확대부(430)는 광섬유(400)의 입구측의 내주면이 출구측의 내주면보다 확장되도록 가공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a)에서와 같이, 조명용 광섬유(420)의 입구측을 통해 입사각이 좁은 대략 직선형태의 광이 입력되어서 출구측을 통해 입력된 만큼의 직선형태의 광이 출력될 수 있다. 즉, 좁은 광각(a1)으로 광이 출력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5(b)에서와 같이, 광각확대부(430)인 커플러를 통해 광이 집광되어서 광섬유(400)의 입구측을 통해 입력되면 출구측을 통해 집광된 만큼의 광이 확장된 광각으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각확대부(430)인 커플러의 내측에 형성되는 경사면에 의해 광이 약120도 각도로 입사되면서 집광되어서 광섬유(400)의 입구측으로 입력되면 광섬유(400)의 출구측으로도 약120도 각도의 광각(a2)으로 확대된 광이 출력될 수 있다.
이와 또 달리, 도 5(c)에서와 같이, 광각확대부(430)가 광섬유(400)의 입구측 내주면에 점점 확장되게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광이 확장된 광각(a3)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섬유(400)가 조명용 광섬유(420)로 구성되면서 광각확대부(430)가 적용되는 경우 넓은 각도로 확대된 조명을 보다 넓은 범위의 신체조직에 제공할 수 있고, 광섬유(400)에 광각확대부(430)가 적용되는 경우 화각이 확대되어 보다 넓은 범위에 조명이 제공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넓은 범위의 신체조직이 촬영될 수 있다.
캡(500)은 튜브(200)의 단부를 마감하도록 튜브(200)의 단부에 결합되며, 와이어(310) 및 광섬유(400)가 각각 장착되도록, 튜브(200)의 채널에 대응되는 장착구가 형성된다.
광섬유(400)들은 캡(500)의 전면으로 노출되게 구비되며, 캡(500)과 광섬유(400)의 전면은 소정의 곡률을 갖고 전방으로 돌출되는 곡면을 이루도록 함께 폴리싱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캡(500)이 튜브(200)의 단부에 장착되고, 와이어(310)가 캡(500)에 고정되기 때문에, 보다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여 반복적인 사용에도 와이어(310)의 단부가 분리 또는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310)와 광섬유(400)들이 튜브(200)에 직접 결합되지 않고, 튜브(200)의 단부에서 캡(500)에 고정됨에 따라 보다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튜브(200)를 신체 내부로 삽입한 후, 사용자는 와이어조작부(320)를 조작하여 튜브(200)의 단부가 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조작부(320)의 조작손잡이(321)를 시소운동시켜서 튜브(200)를 상하좌우방향 중 어느 한 방향을 향하하게 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단순한 조작에 의해 튜브(200)의 단부가 원하는 위치를 향하도록 보다 정확하게 조작이 가능해지므로, 검사나 수술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튜브(200)의 단부가 원하는 위치를 향하는 상태에서 광섬유(400)를 통해 신체의 내부가 촬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200)에 내장되어 신체의 내부로 약물을 공급하는 약물공급수단(600)을 포함한다.
이러한, 약물공급수단(600)은 튜브(200)에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약물이 끝단을 통해 배출되는 약물공급관(610)과, 약물공급관(610)으로 약물을 펌핑하여 공급하는 약물펌프(620)와, 신체상태를 측정하는 신체상태측정부(630)와, 신체상태측정부(630)에서 측정되는 신체상태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신체상태가 기준값을 초과하거나 초과하지 못함에 따라 약물의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약물펌프(620)를 저속이나 고속으로 조작하는 펌프조작부(640)를 포함한다.
약물공급관(610)은 튜브(200)의 또 다른 채널에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약물을 신체의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약물은 신체의 조직을 세척하여 가시성을 높일 수 있는 식염수이거나, 신체의 조직을 치료하는 치료약일 수 있다.
약물펌프(620)는 준비된 약물을 약물공급관(610)에 강제로 공급할 수 있다.
신체상태측정부(630)는 약물공급관(610)에 근접되도록 튜브(200)의 단부에 구비되어 신체에 삽입된 튜브(200)의 끝단 앞에서 흐르는 혈액의 압력을 측정하는 혈압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신체상태측정부(630)에 의해 신체의 내부압력이 측정될 수 있다.
펌프조작부(640)는 약물펌프(620)가 작동되어 약물이 공급되도록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컨트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피험자의 신체에서 측정되는 정상 혈압보다 약간 낮은 압력으로 기준값이 설정될 수 있고, 피험자의 상태에 따라 임의로 설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튜브(200)가 신체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약물펌프(620)가 작동되면 약물공급관(610)을 통해 튜브(200)의 끝단으로 약물이 분사되면, 튜브(200)의 끝단에 위치되는 신체의 조직이 세척되므로 튜브(200)의 끝단으로 노출된 광섬유(400)를 통한 가시성이 확보될 수 있다. 이때, 신체상태측정부(630)에 의해 신체의 혈압이 측정되므로, 이를 근거로 하여 혈압보다 낮은 압력으로 약물이 분사된다. 즉, 분사되는 약물에 의해 신체의 내부압력의 상승을 최소화하면서 신체의 내부조직이 세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400)를 통해 피사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재(700)와, 다수의 가로줄과 다수의 세로줄이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모니터(10)의 화면에 현시되는 격자프레임(800)과, 거리측정부재(700)에서 측정된 거리 및 격자프레임(800)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크기를 측정하는 크기산출부(900)를 포함한다.
거리측정부재(700)는 광섬유(400)에 빛을 제공하는 발광부(710)와, 발광부(710)에서 제공되어서 광섬유(400)를 통해 피사체에 조사된 후에 반사되는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720)와, 수광부(720)의 수광상태에 따라 피사체에서 수광부(720)까지의 거리 및 광섬유(400)의 길이를 근거로 하여 피사체에서 광섬유(400)의 끝단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산출부(730)를 포함한다.
거리산출부(730)는 피사체에서 수광부(720)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고, 산출된 거리에서 광섬유(400)의 길이를 제외하여 피사체에서 광섬유(400)의 끝단까지의 거리값을 산출한다.
격자프레임(800)은 가로줄과 세로줄이 모니터(10)의 화면에 바둑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로줄들이나 세로줄들의 간격은 10~100나노크기로 설정될 수 있어서 미세한 크기의 조직에 대한 정밀한 크기가 측정될 수 있다.
크기산출부(900)는 격자프레임(800)에 포위되는 피사체의 외측에 근접되는 가로격자들 및 세로격자들을 인식하는 격자인식부(910)와, 격자인식부(910)에서 인식된 가로격자들의 간격을 계산하여 가로값을 계산하고, 세로격자들의 간격을 계산하여 세로값을 계산하는 계산부(920)와, 거리측정부재(700)에서 측정되는 거리값이 커지는 만큼씩 계산부(920)에서 계산된 가로값 및 세로값을 축소시키고, 거리측정부재(700)에서 측정되는 거리값이 작아지는 만큼씩 계산부(920)에서 계산된 가로값 및 세로값을 증대시키는 계산값조절부(930)를 포함한다.
격자인식부(910)는 피사체인 조직의 최외곽에 위치되는 가로격자들 및 세로격자들을 인식한다.
계산부(920)는 가로격자들의 간격 및 세로격자들의 간격을 계산하므로 사용자가 이를 통해 전체적인 넓이를 확인할 수 있다.
계산값조절부(930)는 측정되는 거리의 증감에 따라 가로값 및 세로값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므로 사용자가 실제크기에 해당하는 조직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계산값조절부(930)는 가로값 및 세로값이 모니터(10)의 화면을 통해 수치로 현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광섬유(400)의 끝단이 피사체인 조직에 멀어진 거리(a)에서는 모니터(10)에 보여지는 조직의 외측에 위치되는 가로격자들의 간격(c) 및 세로격자들의 간격(d)이 작아지고, 광섬유(400)의 끝단이 피사체인 조직에 가까워진 거리(b)에서는 모니터(10)에 보여지는 조직의 외측에 위치되는 가로격자들의 간격(e) 및 세로격자들의 간격(f)이 커진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모니터(10)를 통해 조직의 정확한 실제크기를 확인할 수 있어서 조직검사나 치료에 정확한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튜브를 이용하여 약물 주입 및 촬영이 모두 가능하여 사용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검사시간이 단축될 수 있어서, 카테터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핸들 200 : 튜브
300 : 튜브방향조작수단 310 : 와이어
320 : 와이어조작부 321 : 조작손잡이
322 : 회전지지부 323 : 몸체
324 : 돌출편 325 : 암형회전지지부
326 : 수형회전지지부 400 : 광섬유
430 : 광각확대부 500 : 캡
600 : 약물공급수단 610 : 약물공급관
620 : 약물펌프 630 : 신체상태측정부
640 : 펌프조작부 700 : 거리측정부재
710 : 발광부 720 : 수광부
730 : 거리산출부 800 : 격자프레임
900 : 크기산출부 910 : 격자인식부
920 : 계산부 930 : 계산값조절부
10 : 모니터

Claims (9)

  1.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핸들(100)과,
    핸들(100)에 연결된 상태로 신체의 내부로 삽입되기 위한 튜브(200)와,
    튜브(200)를 절곡시켜서 튜브(200)의 방향을 조작하도록 튜브(200)의 일측을 밀면서 타측을 당기는 튜브방향조작수단(300)과,
    튜브(200)의 끝단으로 단부가 노출되도록 튜브(200)에 내장된 상태로 빛을 전달하기 위한 광섬유(400)와,
    튜브(200)의 단부를 마감하도록 튜브(200)의 단부에 결합되는 캡(500)을 포함하고,
    튜브방향조작수단(300)은
    튜브(200)에 서로 대응되게 내장된 상태로 일단이 튜브(200)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핸들(100)의 내측에 각각 위치되는 와이어(310)와,
    와이어(310)들의 타단이 연결되어, 하나의 와이어(310)가 당겨지게 함과 동시에 당겨지는 다른 와이어(310)가 밀려지게 하는 와이어조작부(320)를 포함하고,
    와이어조작부(320)는
    와이어(310)들의 타단이 서로 대응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하나의 와이어(310)를 당기거나 밀면서 대응되는 와이어(310)를 밀거나 당기는 조작손잡이(321)와,
    조작손잡이(321)의 시소운동을 지지하도록 핸들(100)에 구비되는 회전지지부(322)를 포함하고,
    와이어(310)들은 튜브(200)에서 4방향으로 분산되게 내장된 상태로 각각의 일단이 튜브(200)의 끝단에 각각 분산되게 고정되고, 각각의 타단이 조작손잡이(321)에 4방향으로 분산되게 연결되고,
    조작손잡이(321)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링형태의 몸체(323)와,
    몸체(323)의 내측에 4방향으로 분산되게 형성되어 와이어(310)들의 타단이 각각 고정되는 돌출편(3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카테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핸들(100)과,
    핸들(100)에 연결된 상태로 신체의 내부로 삽입되기 위한 튜브(200)와,
    튜브(200)를 절곡시켜서 튜브(200)의 방향을 조작하도록 튜브(200)의 일측을 밀면서 타측을 당기는 튜브방향조작수단(300)과,
    튜브(200)의 끝단으로 단부가 노출되도록 튜브(200)에 내장된 상태로 빛을 전달하기 위한 광섬유(400)와,
    튜브(200)의 단부를 마감하도록 튜브(200)의 단부에 결합되는 캡(500)을 포함하고,
    튜브방향조작수단(300)은
    튜브(200)에 서로 대응되게 내장된 상태로 일단이 튜브(200)의 단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핸들(100)의 내측에 각각 위치되는 와이어(310)와,
    와이어(310)들의 타단이 연결되어, 하나의 와이어(310)가 당겨지게 함과 동시에 당겨지는 다른 와이어(310)가 밀려지게 하는 와이어조작부(320)를 포함하고,
    와이어조작부(320)는
    와이어(310)들의 타단이 서로 대응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하나의 와이어(310)를 당기거나 밀면서 대응되는 와이어(310)를 밀거나 당기는 조작손잡이(321)와,
    조작손잡이(321)의 시소운동을 지지하도록 핸들(100)에 구비되는 회전지지부(322)를 포함하고,
    회전지지부(322)는
    돌출편(324)들이 고정되는 암형회전지지부(325)와,
    암형지지부(325)가 4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수형회전지지부(3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카테터.
  6.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핸들(100)과,
    핸들(100)에 연결된 상태로 신체의 내부로 삽입되기 위한 튜브(200)와,
    튜브(200)를 절곡시켜서 튜브(200)의 방향을 조작하도록 튜브(200)의 일측을 밀면서 타측을 당기는 튜브방향조작수단(300)과,
    튜브(200)의 끝단으로 단부가 노출되도록 튜브(200)에 내장된 상태로 빛을 전달하기 위한 광섬유(400)와,
    튜브(200)의 단부를 마감하도록 튜브(200)의 단부에 결합되는 캡(500)을 포함하고,
    광섬유(400)를 통해 피사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부재(700)와,
    다수의 가로줄과 다수의 세로줄이 등간격으로 이격되어 모니터(10)의 화면에 현시되는 격자프레임(800)과,
    거리측정부재(700)에서 측정된 거리 및 격자프레임(800)을 이용하여 피사체의 크기를 측정하는 크기산출부(900)를 포함하며,
    크기산출부(900)는
    격자프레임(800)에 포위되는 피사체의 외측에 근접되는 가로격자들 및 세로격자들을 인식하는 격자인식부(910)와,
    격자인식부(910)에서 인식된 가로격자들의 간격을 계산하여 가로값을 계산하고, 세로격자들의 간격을 계산하여 세로값을 계산하는 계산부(920)와,
    거리측정부재(700)에서 측정되는 거리값이 커지는 만큼씩 계산부(920)에서 계산된 가로값 및 세로값을 축소시키고, 거리측정부재(700)에서 측정되는 거리값이 작아지는 만큼씩 계산부(920)에서 계산된 가로값 및 세로값을 증대시키는 계산값조절부(9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카테터.
  7. 청구항 1,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튜브(200)에 내장되어 신체의 내부로 약물을 공급하는 약물공급수단(600)을 포함하며,
    약물공급수단(600)은
    튜브(200)에 내장되어 외부로부터 주입되는 약물이 끝단을 통해 배출되는 약물공급관(610)과,
    약물공급관(610)으로 약물을 펌핑하여 공급하는 약물펌프(620)와,
    신체상태를 측정하는 신체상태측정부(630)와,
    신체상태측정부(630)에서 측정되는 신체상태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신체상태가 기준값을 초과하거나 초과하지 못함에 따라 약물의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약물펌프(620)를 저속이나 고속으로 조작하는 펌프조작부(6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카테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신체상태측정부(630)는 약물공급관(610)에 근접되도록 튜브(200)의 단부에 구비되어 신체에 삽입된 튜브(200)의 끝단 앞에서 흐르는 혈액의 압력을 측정하는 혈압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카테터.
  9. 청구항 1, 청구항 5 및 청구항 6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광섬유(400)는 출사되는 빛의 각도가 확대되도록 입사되는 광을 집광하는 광각확대부(430)를 포함하며,
    광각확대부(430)는 광섬유(400)의 입구측에 연결되어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이 집광되도록 광이 입력되는 입구측이 광이 출력되는 출구측보다 넓게 형성되는 깔때기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카테터.
KR1020150153084A 2015-11-02 2015-11-02 네비게이션 카테터 Expired - Fee Related KR101725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084A KR101725433B1 (ko) 2015-11-02 2015-11-02 네비게이션 카테터
US14/958,314 US20170120004A1 (en) 2015-11-02 2015-12-03 Catheter navig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084A KR101725433B1 (ko) 2015-11-02 2015-11-02 네비게이션 카테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433B1 true KR101725433B1 (ko) 2017-04-11

Family

ID=58580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084A Expired - Fee Related KR101725433B1 (ko) 2015-11-02 2015-11-02 네비게이션 카테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120004A1 (ko)
KR (1) KR10172543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4815B2 (ko) * 1974-05-29 1977-11-10
JPS5544411B2 (ko) * 1977-07-22 1980-11-12
JP2013138864A (ja) * 2011-12-30 2013-07-18 Biosense Webster (Israel) Ltd 複数の牽引ワイヤを備えた医療装置制御ハンドル
JP5244815B2 (ja) * 2007-10-31 2013-07-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薬液投与システム
JP5544411B2 (ja) * 2006-04-26 2014-07-09 イルミンオス・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骨に補強材を配送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20140120669A (ko) * 2013-04-04 2014-10-14 주식회사 지에스엠코리아 조향 성능이 향상된 카테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4305B2 (en) * 2002-12-17 2009-12-15 Given Imaging,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ize analysis in an in vivo imaging system
US20090185392A1 (en) * 2003-03-26 2009-07-23 Optim, Inc. Detachable illumination system
US7335159B2 (en) * 2004-08-26 2008-02-26 Scimed Life Systems, Inc. Endoscope having auto-insufflation and exsufflation
US7615067B2 (en) * 2006-06-05 2009-11-10 Cambridge Endoscopic Devices, Inc. Surgical instrument
US9101735B2 (en) * 2008-07-07 2015-08-11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Catheter control systems
AU2015240552B2 (en) * 2014-04-04 2019-04-0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system and related methods for diagnosis and treatme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4815B2 (ko) * 1974-05-29 1977-11-10
JPS5544411B2 (ko) * 1977-07-22 1980-11-12
JP5544411B2 (ja) * 2006-04-26 2014-07-09 イルミンオス・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骨に補強材を配送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5244815B2 (ja) * 2007-10-31 2013-07-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薬液投与システム
JP2013138864A (ja) * 2011-12-30 2013-07-18 Biosense Webster (Israel) Ltd 複数の牽引ワイヤを備えた医療装置制御ハンドル
KR20140120669A (ko) * 2013-04-04 2014-10-14 주식회사 지에스엠코리아 조향 성능이 향상된 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20004A1 (en) 201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67840A1 (en) Endoscopic system for enhanced visualization
JP6456691B2 (ja) 最適化された可視化のための内視鏡装置及び同内視鏡装置のためのキャップ
US4848323A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examining and/or illuminating a body cavity
US7479106B2 (en) Automated control of irrigation and aspiration in a single-use endoscope
US20160287054A1 (en) Endoscope
CN104902828A (zh) 副鼻窦入路系统
CN104873167A (zh) 一种用于经皮肾镜手术的软性可弯曲电子肾镜及其使用方法
CN109938679B (zh) 带有护套管的内窥镜
KR101509625B1 (ko) 조향 성능이 향상된 카테터
KR101725433B1 (ko) 네비게이션 카테터
KR101331523B1 (ko) 양방향 조향이 가능한 카테터
CN102100533A (zh) 一体化红外线热扫描膀胱镜系统
CN218960672U (zh) 光学-光声-超声复合内窥镜、光源装置和内窥镜系统
CN102133082A (zh) 一体化红外线热扫描宫腔镜系统
JPH02295530A (ja) 内視鏡カテーテル及びその使用方法
CN204445794U (zh) 内窥镜和内窥镜延伸成像装置
CN107095638A (zh) 一种内窥镜
CN117222369A (zh) 用于伸展内窥镜的装置、系统和方法
CN208926315U (zh) 一种镜鞘可自由弯曲的内窥镜
CN101803904A (zh) 一体化硬质超声膀胱镜系统
CN201899472U (zh) 一体化红外线热扫描宫腔镜系统
CN207979652U (zh) 一种内窥镜
KR101542308B1 (ko) 코 자침 내시경
RU55265U1 (ru) Аноскоп операционный
US3326208A (en) Endoscope instrument and obturator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