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179B1 -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 - Google Patents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5179B1 KR101725179B1 KR1020150161860A KR20150161860A KR101725179B1 KR 101725179 B1 KR101725179 B1 KR 101725179B1 KR 1020150161860 A KR1020150161860 A KR 1020150161860A KR 20150161860 A KR20150161860 A KR 20150161860A KR 101725179 B1 KR101725179 B1 KR 1017251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pact
- shock
- absorbing portion
- absorbing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29920006328 Styro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03 anti-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96 hollow spac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97 foam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6 head m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9 sus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이러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된 모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에 있어서, 구멍이 관통 형성된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복수 개의 메인 충격흡수부; 메인 충격흡수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착용자의 머리 측면을 보호하는 한 쌍의 측면 충격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메인 충격흡수부는 제1 충격흡수부, 제2 충격흡수부, 제3 충격흡수부 및 제4 충격흡수부로 이루어져 중앙부의 둘레를 따라 차례대로 형성되되, 메인 충격흡수부는, 중앙부의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이격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대칭리브와, 한 쌍의 대칭리브 사이를 연결하는 대칭연결리브를 포함하며, 대칭연결리브의 일측에는, 모체와 밀착되도록 상향 돌출되어 메인 충격흡수부와 간격을 유지하는 다각 기둥 형상의 메인 충격방지부재가 형성되고, 대칭연결리브의 타측에는, 모체와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헤드밴드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복수 개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된 체결부재가 형성되고,
측면 충격흡수부는 충격방지판과, 충격방지판과 중앙부의 사이를 연결하며 단차지게 형성되는 연결리브로 이루어지되, 충격방지판에는, 충격방지판이 유연성있게 구부러지도록 관통 형성되는 보조홀; 보조홀의 일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충격방지부재와, 보조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충격방지부재로 이루어져, 모체와 밀착되도록 상향 돌출되어 측면 충격흡수부와의 간격을 유지하는 측면 충격방지부재;로 이루어지고, 제1 충격방지부재의 높이는, 제2 충격방지부재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며,
제1 충격흡수부 또는 제4 충격흡수부 중 일측에는 고정홀이 관통 형성된 고정띠가 형성되고, 고정띠가 형성된 제1 충격흡수부 또는 제4 충격흡수부를 제외한 제1 충격흡수부 또는 제4 충격흡수부 중 일측에는, 고정홀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되, 고정띠에는, 모체와 밀착되도록 상향 돌출되어 고정띠와 간격을 유지하는 다각 기둥 형상의 후면 충격방지부재가 형성되며,
메인 충격흡수부의 대칭리브에는, 메인 충격방지부재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상향 돌출되는 원통 형상의 보조 충격방지부재가 형성되되, 제1 충격흡수부와 제4 충격흡수부에 형성된 보조 충격방지부재의 개수 합이 제2 충격흡수부와 제3 충격흡수부에 형성된 보조 충격방지부재의 개수 합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2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체와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의 결합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충격방지부재 및 제2 충격방지부재의 상세도.
12a: 핀 12b: 걸림편
100: 메인 충격흡수부 100a: 제1 충격흡수부
100b: 제2 충격흡수부 100c: 제3 충격흡수부
100d: 제4 충격흡수부 102: 중앙부
102a: 구멍 110: 대칭리브
112: 보조 충격방지부재 114: 고정돌기
120: 결착부재 122: 결착홀
122a: 제1 결착홀 122b: 제2 결착홀
122c: 슬라이딩로드 124: 단턱
130: 대칭연결리브 132: 메인 충격방지부재
134: 체결부재 134a: 체결공
200: 측면 충격흡수부 210: 충격방지판
212: 측면 충격방지부재 212a: 제1 충격방지부재
212b: 제2 충격방지부재 214: 보조홀
220: 연결리브 300: 고정띠
310: 고정홀 312: 후면 충격방지부재
Claims (7)
- 착용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반구형으로 형성된 모체의 내부에 결합되는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에 있어서,
구멍이 관통 형성된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착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복수 개의 메인 충격흡수부; 및
상기 메인 충격흡수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착용자의 머리 측면을 보호하는 한 쌍의 측면 충격흡수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메인 충격흡수부는 제1 충격흡수부, 제2 충격흡수부, 제3 충격흡수부 및 제4 충격흡수부로 이루어져 상기 중앙부의 둘레를 따라 차례대로 형성되되,
상기 메인 충격흡수부는, 상기 중앙부의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갈수록 이격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한 쌍의 대칭리브와, 상기 한 쌍의 대칭리브 사이를 연결하는 대칭연결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대칭연결리브의 일측에는, 상기 모체와 밀착되도록 상향 돌출되어 상기 메인 충격흡수부와 간격을 유지하는 다각 기둥 형상의 메인 충격방지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대칭연결리브의 타측에는, 상기 모체와 상기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의 사이에 위치되는 헤드밴드의 높낮이가 조절되도록, 복수 개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된 체결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충격흡수부는 충격방지판과, 상기 충격방지판과 상기 중앙부의 사이를 연결하며 단차지게 형성되는 연결리브로 이루어지되,
상기 충격방지판에는,
상기 충격방지판이 유연성있게 구부러지도록 관통 형성되는 보조홀; 및
상기 보조홀의 일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1 충격방지부재와, 상기 보조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충격방지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모체와 밀착되도록 상향 돌출되어 상기 측면 충격흡수부와의 간격을 유지하는 측면 충격방지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충격방지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2 충격방지부재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며,
상기 제1 충격흡수부 또는 제4 충격흡수부 중 일측에는 고정홀이 관통 형성된 고정띠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띠가 형성된 제1 충격흡수부 또는 제4 충격흡수부를 제외한 상기 제1 충격흡수부 또는 제4 충격흡수부 중 일측에는, 상기 고정홀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고정띠에는, 상기 모체와 밀착되도록 상향 돌출되어 상기 고정띠와 간격을 유지하는 다각 기둥 형상의 후면 충격방지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 충격흡수부의 대칭리브에는, 상기 메인 충격방지부재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상향 돌출되는 원통 형상의 보조 충격방지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제1 충격흡수부와 상기 제4 충격흡수부에 형성된 보조 충격방지부재의 개수 합이 상기 제2 충격흡수부와 상기 제3 충격흡수부에 형성된 보조 충격방지부재의 개수 합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체의 내면에는 핀과, 상기 핀의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편으로 이루어진 돌기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대칭리브 단부에는 상기 돌기부재에 탈착 가능하도록 관통 형성되는 결착홀로 이루어진 결착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결착홀은,
상기 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핀이 수용되는 제1 결착홀;
상기 제1 결착홀의 일측에 연통되고, 상기 핀의 직경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핀을 고정하는 제2 결착홀; 및
상기 핀이 상기 제1 결착홀과 상기 제2 결착홀 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결착홀과 상기 제2 결착홀의 사이에 상기 제2 결착홀보다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는 슬라이딩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6704 | 2015-06-18 | ||
KR20150086704 | 2015-06-1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9974A KR20160149974A (ko) | 2016-12-28 |
KR101725179B1 true KR101725179B1 (ko) | 2017-04-11 |
Family
ID=5772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1860A Active KR101725179B1 (ko) | 2015-06-18 | 2015-11-18 |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5179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591984B1 (ja) * | 2013-07-19 | 2014-09-17 | 株式会社谷沢製作所 | ヘルメット |
JP2015025226A (ja) * | 2013-07-29 | 2015-02-05 | 株式会社谷沢製作所 | ヘルメット用ハンモック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860000692Y1 (ko) * | 1984-07-02 | 1986-04-24 | 최용근 | 충격흡수용 안전모의 내피 |
KR100537220B1 (ko) | 2004-01-14 | 2005-12-20 | 주식회사 산청 | 안전모 내피와 그 제조방법 |
-
2015
- 2015-11-18 KR KR1020150161860A patent/KR10172517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591984B1 (ja) * | 2013-07-19 | 2014-09-17 | 株式会社谷沢製作所 | ヘルメット |
JP2015025226A (ja) * | 2013-07-29 | 2015-02-05 | 株式会社谷沢製作所 | ヘルメット用ハンモック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9974A (ko) | 2016-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878202B2 (ja) | 産業用安全帽 | |
US9314062B2 (en) | Shock absorbing layer with independent elements, and protective helmet including same | |
US20130232669A1 (en) | Fastener for Low Profile Protective Helmet Internal Suspension Padding | |
KR20130062076A (ko) | 2중 충격 감쇄형 안전모 | |
JP7373356B2 (ja) | 保護帽 | |
JP5591984B1 (ja) | ヘルメット | |
KR101725179B1 (ko) | 안전모 충격흡수용 내부재 | |
US10595577B1 (en) | Lewis helmet | |
JP6236243B2 (ja) | ヘルメット用ハンモック | |
US20160242486A1 (en) | Impact diverting helmet system | |
KR101590581B1 (ko) | 접이식 헬멧 | |
JP5540138B2 (ja) | ヘルメット | |
JP5307573B2 (ja) | ヘルメット装着具 | |
JP6335043B2 (ja) | 産業用安全帽 | |
JP7327035B2 (ja) | ヘルメット | |
JP7363020B2 (ja) | 衝撃を吸収する構造、およびヘルメット | |
JP6236566B2 (ja) | ヘルメット用ハンモック | |
JP6236244B2 (ja) | ヘルメット用ヘッドバンド | |
JP6236567B2 (ja) | ヘルメット用ハンモック | |
JP6247143B2 (ja) | ヘルメット | |
JP5475370B2 (ja) | ヘルメット及びヘルメット用ライナー | |
JP5694589B2 (ja) | ヘルメット | |
JP3219387U (ja) | 産業用ヘルメット | |
JP7203404B2 (ja) | ヘルメットの衝撃吸収構造 | |
JP6474224B2 (ja) | ヘルメ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