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25069B1 - 전계 발광 소자 - Google Patents

전계 발광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069B1
KR101725069B1 KR1020117029243A KR20117029243A KR101725069B1 KR 101725069 B1 KR101725069 B1 KR 101725069B1 KR 1020117029243 A KR1020117029243 A KR 1020117029243A KR 20117029243 A KR20117029243 A KR 20117029243A KR 101725069 B1 KR101725069 B1 KR 101725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optically transparent
electrode
counter electrode
outcoup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9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7313A (ko
Inventor
허버트 에프. 보어너
디트리히 베르트람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20027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7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06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6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lective mea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8Terminals, e.g. bond pa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41Short-circuit preven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40)과, 이 기판(40) 상부에 있는 기판 전극(20), 상대 전극(30) 및 전계 발광층 스택을 구비한 층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계 발광 소자(10)에 관한 것이다. 전계 발광층 스택은 기판 전극(20)과 상대 전극(30)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 발광층(50)을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가 상기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 발광층(50)에 의해 발생된 광의 아웃커플링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기판 전극(20)의 상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전계 발광 소자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계 발광 소자{ELECTROLUMINESCENT DEVICE}
본 발명은 기판과, 이 기판 상부에 있는 기판 전극, 상대 전극 및 전계 발광층 스택 - 이 전계 발광층 스택은 기판 전극과 상대 전극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 발광층을 구비함 - 을 구비한 층 시스템을 포함하며 광의 아웃커플링이 증가한 전계 발광 소자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광의 아웃커플링이 증가한 전계 발광 소자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인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유리 기판, 투명한 기판 전극 예컨대 인듐 주석 산화물(ITO), 전계 발광층 스택 및 반사성 상대 전극을 포함한다. 소자로부터 발생된 광은 유리 기판을 통해 방출된다. 기판 전극, 전계 발광층 스택 및 유리의 굴절률은 각각 보통 1.9 내지 2.0, 1.7 내지 1.9 및 약 1.5이다.
기판, 층 및 보통 공기인 환경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OLED에서 발생된 광의 대부분은 기판으로부터 외부로 빠져나갈 수 없다. 전형적으로, 발생된 광은 다음의 분율로 같이 분할된다. 광의 30%는 유기층과 ITO에 의해 형성된 광 가이드 안에 포획되고, 약 20%는 금속 음극과의 상호 작용 중에 손실되며, 약 50%가 유리 기판에 들어가 20%만이 유리 기판으로부터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개선된 광 아웃커플링을 위한 서로 다른 수단들 즉 광 산란 성질을 갖는 층들이 이미 공지되어 있지만, 유감스럽게도 서로 다른 단점이 있다.
일예로서, EP 1 734 792 A1은 광 산란 및 광 반사 성질을 갖는 반사성 전극을 포함하는 전계 발광 소자를 개시한다. 유감스럽게도, 전술한 기판 전극의 구조는 nm 범위 내로 제한되고 전술한 광 아웃커플링의 낮은 개선으로만 제한된다.
EP 1 763 081 A2는 기판 내부에 포획된 광을 다른 전파 방향으로 기판 표면으로 반사하여 광을 환경으로 출력(couple out)하기 위해 불투명한 반사 재료가 매립된 다수의 오목부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을 구비한 OLED를 개시한다. 유감스럽게도, 상기 불투명한 반사 재료에 매립하기 위해 오목부를 갖는 기판의 제작은 복잡하고 고가이다. 더욱이 기판 상부의 층 내부에 포획된 방출 광의 양은 이 방안으로는 출력(couple out)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단점을 제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광의 아웃커플링을 갖는 전계 발광 소자를 개시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성의 광 아웃커플링 수단을 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기판과, 이 기판 상부에 있는 기판 전극, 상대 전극 및 전계 발광층 스택 - 이 전계 발광층 스택은 기판 전극과 상대 전극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 발광층을 구비함 - 을 구비한 층 시스템을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가 이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은 유기 전계 발광층에 의해 발생된 광의 아웃커플링을 증가시키도록 기판 전극의 상부에 제공되고, 전계 발광층 스택 및/또는 상대 전극 쪽을 향한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의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은, 알루미늄, 유전체 거울 또는 그 조합으로 된 반사 수단으로 덮이는 전계 발광 소자에 의해 달성된다. 이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전계 발광 소자를 제작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전계 발광 소자와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종속항에서 정의된다. 전계 발광 소자와 관련하여 기재된 특징과 세부 내용은 방법에도 역시 적용되며 그 역도 또한 같다.
본 발명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은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 발광층에 의해 발생된 광의 아웃커플링을 증가시키도록 기판 전극의 상부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를 개시한다.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는 아웃커플링 본체와 기판 전극의 광학적 성질을 방해하지 않는 접착제와 같은 얇은 접착 수단에 의해 기판 전극에 부착될 수 있다. 광학적으로 투명한 본체는 거시적인 경질체일 수 있다. 광학적으로 투명한 본체는 본체를 기판 전극에 부착하기 전에 투명한 재료 예컨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도적인 사상은 기판 전극의 상부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를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광학적 아웃커플링 본체는 기판 전극과 전계 발광층 스택 - 전계 발광층 스택은 적어도 하나의 전술한 유기 전계 발광층을 포함함 - 사이에 배치된다. 이 배치체는 ITO 코팅된 기판을 간단히 사용할 수 있게 하고, ITO 코팅은 기판에 증착되어 담체 재료를 형성하는 기판 전극을 형성한다. 이 ITO 코팅된 기판은 전계 발광 소자를 위한 표준 기판으로서 제공되며, 높은 유용성과 저가를 나타낸다.
이어서,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 발광층을 포함하는 전계 발광층 스택과 상대 전극이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 또는 아웃커플링 본체에 부착되고,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로 덮이지 않은 기판 전극 표면의 일부에도 부착된다.
기판 전극과 상대 전극 사이에 전압이 가해지면, 전류가 전극으로부터 주입되고, 전계 발광층 스택이 기판 전극의 표면에 직접 증착된 영역에서 광을 방출하도록 전계 발광층 스택이 여기된다. 그 결과,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는 전계 발광층 스택 내의 전류 주입을 방지하는 격리체를 형성한다.
적어도 하나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의 용이한 적용의 장점과 조합하여, 배치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의 날카로운 가장자리의 영역에서 국부적으로 강화된 전기장의 출현이 방지된다.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의 비전도성 거동에 기인해, 기판 전극과 상대 전극 사이에 전압이 가해질 때 전기장의 국부적인 강화가 방지된다.
일 실시예에서,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는 아웃커플링 손실을 일으키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와 기판 사이의 반사율 전이를 방지하기 위해 높은 굴절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기판의 굴절률과 대등한 높은 굴절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리 기판의 굴절률의 전형적인 값은 1.51 내지 1.54이고, 기판 전극은 1.9 내지 2.0이며, 아웃커플링 본체는 1.5 내지 1.6이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는 기판 전극의 상부에 접착된다.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를 기판 전극의 상부에 접착하기 위해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간단하고 용이한 제작 공정이 접착제의 사용에 의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를 기판 전극의 상부에 배치하기 위한 접착제를 제공하며, 이 접착제는 높은 광학적 투명도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를 기판 전극의 상부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를 형성하며, 높은 굴절률을 특징으로 하며, 이 굴절률은 기판 재료의 굴절률과 적어도 동일하지만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의 굴절률 이하이다. 따라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와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 사이의 광학적 전이는 최적화되고, 기판 재료 내의 광이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를 통과해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삭제
전계 발광층 스택 및/또는 상대 전극 쪽을 향한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의 표면은 바람직하게 은, 알루미늄, 유전체 거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된 반사 수단으로 덮인다. 해당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적절한 반사 재료를 생각할 수 있다. 덮인 표면은 광을 기판을 통과하여 기판을 통해 환경으로 출력(coupling out)되도록 기판 쪽으로 반사하는 거울로서 작용한다. 이 실시예에서, 광은 상대 전극 전면의 유기 전계 발광 스택을 통과하지 않고 아웃커플링 본체의 뒷면에서 직접 반사된다. 이것은 흡수에 의한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반사 원리는 아웃커플링 본체의 3차원 형태에 의해 만족된다. 기판 재료 내부에서 도파된 광의 광학적 아웃커플링의 개선은 상대 전극 쪽을 향한 아웃커플링 본체의 후측 또는 상대 전극 자체에서의 반사에 기인한 광선의 방향의 변화에 기초한다. 프리즘형 아웃커플링 본체의 상부 각도는 기판/공기 계면에서 처음에 전반사되는 광선이 공기 중으로 나갈 수 있는 각도에서 이 기판/공기 계면 쪽으로 방향 전환되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계 발광(EL)층 스택의 개념은 기판과 상대 전극 사이에 준비된 모든 층을 나타낸다. EL층 스택의 일 실시예에서, EL층은 기판과 상대 전극 사이에 준비된 적어도 하나의 광 방출형 유기 전계 발광층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층 스택은 기판과 상대 전극 사이에 준비된 여러 개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여러 개의 층은 하나 이상의 정공 수송층, 전자 차단층, 전자 수송층, 정공 차단층, 발광층과 같은 유기층 또는 유기 및 비유기층의 조합일 수 있다. 비유기층은 층 스택 및/또는 전하 주입층 내부의 2 이상의 발광층의 경우에 추가의 전극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기판 전극 및/또는 상대 전극은 ITO, 알루미늄, 은, 도핑된 ZnO 또는 산화층으로 이루어진 재료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판의 개념은 전계 발광 소자의 서로 다른 층들이 증착되는 기저 재료를 나타낸다. 정상적으로, 기판은 투명하며 유리로 만들어진다. 더욱이 기판은 투명하고, 바람직하게는 은, 금, 유리 또는 세라믹으로 이루어진 재료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것은, 습기 및/또는 산소가 전계 발광 소자 층 스택에 들어가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도록 적절한 습기 및 산소 장벽을 갖는 투명한 폴리머 시트 또는 박판일 수도 있다. 금속 박판과 같은 불투명한 재료를 기판으로 사용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기판은 예컨대 광 아웃커플링 증대와 같은 광학적 목적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해 추가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은 보통 평탄하지만 원하는 모든 3차원 형태로 형상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판 전극의 개념은 기판의 상부에 증착된 전극을 나타낸다. 보통 기판 전극은 이동성 원자 또는 이온이 유리로부터 전극으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선택적으로는 SiO2 또는 SiO의 언더코팅을 갖는 투명한 ITO(인듐 주석 산화물)으로 구성된다. ITO 전극을 갖는 유리 기판에서, ITO는 보통 양극이지만, 특별한 경우에 음극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전형적으로 대략 8nm 내지 15nm의 두께를 갖는 얇은 Ag 또는 Au 층들이 단독 또는 ITO와 조합되어 기판 전극으로 사용된다. 만일 금속 박판이 기판으로 사용된다면, 이것은 양극 또는 음극인 기판 전극의 역할도 한다. 상부의 개념은 열거된 층들의 순서를 나타낸다. 이 개념은 서로의 상부로서 나타낸 층 사이의 추가의 층의 가능성을 포함한다. 예컨대 광 아웃커플링을 증대시키도록 기판 전극과 기판 사이에 추가의 광학적 층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대 전극의 개념은 기판으로부터 떨어진 전극을 나타낸다. 이것은 보통 불투명하고 전극이 반사성을 갖도록 충분한 두께의 Al 또는 Ag 층으로 만들어지며, 두께는 전형적으로 Al의 경우 100nm이고 Ag의 경우 100nm 내지 200nm에 달한다. 이것은 보통 음극이지만 양극으로 바이어스될 수도 있다. 상부 방출형 또는 투명한 전계 발광 소자를 위해, 상대 전극은 투명해야 한다. 투명한 상대 전극은 대략 5nm 내지 15nm의 두께를 갖는 얇은 Ag 또는 Al 층이나 이전에 증착된 다른 층의 상부에 증착된 ITO 층으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한 기판, 투명한 기판 전극 및 보통 반사성을 갖는 불투명한 상대 전극의 조합을 갖고 기판을 통해 광을 방출하는 전계 발광 소자는 "하부 방출형"이라 부른다. 추가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계 발광 소자의 경우, 특정한 실시예에서, 기판과 상대 전극 양쪽은 내부 전극이 양극 또는 음극으로 구동될 때 모두 양극이거나 모두 음극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불투명한 기판 전극과 투명한 상대 전극의 조합을 갖고 상대 전극을 통해 광을 방출하는 전계 발광 소자는 "상부 방출형"이라 부른다.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한 전계 발광 소자의 개념은 기판, 기판 전극, 상대 전극 및 봉지 수단이 투명한 전계 발광 소자를 나타낸다. 여기서, 전계 발광 소자는 하부 및 상부 방출형 양쪽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만일 가시 영역의 광의 투과가 50%보다 크고 나머지가 흡수 또는 반사된다면 층, 기판 또는 전극은 투명하다고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만일 가시 영역의 광의 투과가 10% 내지 50%이고 나머지가 흡수 또는 반사된다면 층, 기판 또는 전극은 반투명하다고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있어서, 광이 450nm와 650nm 사이의 파장을 가질 때 이를 가시광이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이 전계 발광 소자의 유기 전계 발광층에 의해 방출될 때 이를 인공광이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만일 전기 저항이 100000 Ohm 미만이라면 전계 발광 소자의 층, 연결부 또는 구성 요소는 전기 전도성을 갖는다고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동 전자 요소는 저항기, 커패시터 및 유도자를 포함한다. 게다가, 본 발명에 있어서, 능동 전자 요소는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및 모든 형태의 집적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계 발광 소자의 층, 기판, 전극 또는 구성 요소는 만일 그 계면의 입사광이 반사 법칙에 따라 되돌아간다면 즉 거시적인 입사각이 거시적인 반사각과 동일하다면 반사성을 갖는다고 한다. 또한 거울면 반사라는 용어가 이 경우에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전계 발광 소자의 층, 기판, 전극 또는 구성 요소는 만일 그 계면의 입사광이 반사 법칙에 따라 되돌아가지 않는다면 즉 거시적인 입사각이 복귀 광의 거시적인 각과 동일하지 않다면 산란성을 갖는다고 한다. 또한 복귀광은 소정 각도로 분포된다. 산란 대신, 확산 반사라는 용어도 역시 사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무수 및/또는 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물을 사용하지 않는 및/또는 무수의 개념은 전계 발광 소자의 평균 수명 동안 수분 함량에 기인한 어떠한 열화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층 스택 안으로의 물의 확산에 기인한 유기 전계 발광층의 눈에 보이는 열화는, 성장하는 검은 점의 형태 또는 가장자리로부터의 방출 영역의 축소의 형태를 할 수 있다. 물을 사용하지 않는 및/또는 무수의 개념은 전도성 접착제 자체뿐만 아니라 접착제를 손상시키지 않고 유기 전계 발광층에 의해 흡수될 수 있는 물의 양에도 의존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계 발광 소자는 수분 및/또는 산소 장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분 및/또는 산소의 층 스택 안으로의 유해한 확산을 방지하는 층은 수분 및/또는 산소 장벽이라 한다. 방출광의 현저한 수명 감소가 관찰될 수 있다면 확산은 유해하다. 최신 기술에 따른 표준 OLED 소자는 100,000 시간 이상 정도의 보관 수명을 달성한다. 현저한 감소는 약 2 이상의 인자의 감소된 수명을 나타낸다.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는 유리, 플라스틱 또는 다른 모든 광학적으로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직사각형, 삼각형, 프리즘형, 포물선형, 반원형 또는 예컨대 타원형일 수 있는 단면을 갖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는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된다. 아웃커플링 요소를 기판 전극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접착제 덕분에 아웃커플링 본체는 기판 전극의 표면으로부터 아웃커플링 본체의 상측으로 완만하고 평탄한 전이부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복수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가 이들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 사이에 중간 공간을 갖고 기판 전극의 상부에 배치되어,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격자, 육각형 격자 또는 불규칙 격자로서 형성되는 격자 구조체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아웃커플링 본체는 대칭적인 어레이를 형성하며, 어레이는 바람직하게는 육각형 어레이이다. 아웃커플링 본체의 배치체는 전계 발광 소자의 전체 방출 범위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유리하게도, 아웃커플링 본체를 기판 전극의 표면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와 조합된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와, 특히, 복수의 아웃커플링 본체로 형성된 격자는 보호 수단을 형성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접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기판 전극에 그림자 가장자리의 출현을 방지하도록 전계 발광층 스택 쪽을 향한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의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다. 이것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 둘레의 층 결함에 기인한 단락의 위험을 방지하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의 상부의 인접층을 제공한다. 또한 완만한 구조체는 전술한 2개의 전극 사이에 전압이 가해질 때 전기장의 강화를 방지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계 발광 소자는 상대 전극을 전기 전력원에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접촉 수단을 포함하며, 전기적 비전도성 보호 수단은 접촉 수단 아래의 영역을 적어도 충분히 덮도록 배치된다. 전술한 전기적 접촉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은 단락 위험이 최소인 3차원 접촉 방식이 제공된다는 장점을 야기한다. 접촉 수단은 상대 전극과 기판 전극 사이의 모든 단락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의 충분히 위쪽에 부착되어야 한다.
보통 전도성 접착제는 전도성 박편 또는 입자 형태의 전도성 충전재를 갖는 유기 접착제로 구성된다. 접착제의 경화 중에, 접착제는 일정한 수축을 보여 충전재 입자들의 일부가 하부층 안으로 압입됨으로써 기판 전극과 상대 전극 사이의 단락을 일으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비전도성인 보호 수단을 기판 전극과 상대 전극 사이에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상대 전극을 전원에 접촉시키기 위해 공지된 모든 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접촉 수단이 상대 전극에 부착된 영역이 단락의 원인일 수 있으므로 보호 수단은 이 부착 영역 전체를 덮어야 하지만, 보호 수단은 접촉 수단의 영역보다 클 수도 있다. 상대 전극과 기판 전극 사이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수단은 접촉 수단이 기판 전극과 전기적인 접촉을 할 수 없도록 하는 두께 및/또는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호 수단은 비전도성 접착제 및 비전도성의 투명한 광학적 아웃커플링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보통 광학적 아웃커플링 본체는 원하는 보호를 달성하도록 충분히 두껍고 경질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전기 비전도성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전도성 접착제를 접촉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에 의해 달성되는 추가의 장점은 전계 발광 소자를 위한 기판 전극의 역할을 하는 단지 하나의 인접한 전극을 갖는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공지된 OLED에서, 기판의 전극은 2개의 전기적으로 개별적인 구역으로 적어도 구조화된다. 하나는 기판 전극의 역할을 하고 다른 하나는 상대 전극에 연결된다. 따라서 기판과 상대 전극 양쪽은 단일 평면에서 기판의 가장자리로 이어져, 표준 수단에 의해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2차원 접촉 방식의 단점은 기판 전극은 물론 상대 전극이 접촉을 위해 OLED의 주변부를 공유해야 함으로써 기판의 전극이 적어도 2개의 공통 요소를 갖지 않은 구역으로 분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소자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기판 전극과 제2 전극이 상대 전극과 접촉되어야 한다. 개시된 3차원 접촉은 2차원 접촉의 이와 같은 심각한 단점을 제거한다.
상대 전극과 기판 전극 사이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수단은 접촉 수단이 기판 전극과 전기적인 접촉을 할 수 없도록 하는 두께 및/또는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보호 수단은 비전도성 접착제 및 비전도성의 투명한 광학적 아웃커플링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보통 광학적 아웃커플링 본체는 원하는 보호를 달성하도록 충분히 두껍고 경질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전기 비전도성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전계 발광 소자는 적어도 전계 발광층 스택을 봉지하기 위해 배치되는 봉지 수단을 포함하며, 전기적 접촉 수단은 상대 전극을 봉지 수단에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해 봉지 수단과 상대 전극 사이에 바람직하게 배치된다. 봉지 수단은 전계 발광 소자의 층들의 전체 스택 또는 층들의 전체 스택의 일부를 형성하는 단지 복수의 층들만을 봉지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봉지 수단은 기밀 요소로서 제공되어, 적어도 유기 전계 발광층과 상대 전극을 덮는다. 기밀 봉지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물 또는 산소와 같은 환경 인자가 봉지된 층을 손상시키는 것이 방지된다. 봉지 수단은 기밀 뚜껑(lid)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뚜껑은 유리 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계 발광 소자에 공급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층들이나 그 일부에 의해 봉지 수단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층들은 규소, 산화규소, 질화규소, 산화알루미늄 또는 실리콘 옥시나이트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거명된 모든 봉지 수단은 기계적 및/또는 환경적 인자들이 전계 발광 소자의 층 스택에 불리한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한다. 예로서, 봉지 수단은 금속, 유리, 세라믹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만들 수 있다. 봉지 수단은 전도성 또는 비전도성 접착제, 용융된 글라스 프릿 또는 금속 솔더에 의해 기판에 부착된다. 따라서 전계 발광 소자에 기계적 안정성을 제공할 수도 있으며, 층들과 봉지 수단 사이에 부착된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는 상대 전극과 접촉하기 위해 전기 전도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기판 전극의 측방향 연장부 내부에서 전압 강하를 최소화하도록 기판 전극에 부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분로 수단이 포함되며, 전기 분로 수단은 기판 전극의 표면에 배치되며, 전술한 아웃커플링 본체는 전기 분로 수단이 기판 전극과 광학적 아웃커플링 본체 사이에 배치되도록 전기 분로 수단을 덮는다. 따라서 광학적 아웃커플링 본체는 높은 굴절률을 특징으로 하는 전술한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에 의해 기판 전극에 접착될 수 있다. 전기 분로 수단은 와이어, 금속 띠 또는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진 군 중 적어도 하나의 요소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전기 분로 수단은 전기 분로 수단의 영역의 일부로 제한된 전기적 전도성 접착제에 의해 기판 전극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전기 분로 수단은 적어도 종단점과 아마도 중간의 일부 지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접착제 내의 접착제 구조체가 전기적 전도성 접착제의 사용에 의해 전기 분로 수단을 기판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해 적용될 수 있지만, 광학적 아웃커플링 본체와 기판 전극 사이의 나머지 영역은 높은 굴절률과 투명성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비전도성 접착제로 채워진다. 전술한 전기 분로 수단을 샌드위치 방식으로 광학적 아웃커플링 본체와 기판 전극의 표면 사이에 배치하기 위해, 광학적 아웃커플링 본체는 와이어, 금속 띠 또는 박판을 수용하기 위한 일종의 오목부를 바닥면에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광 아웃커플링이 증가된 전계 발광 소자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이 방법은 적어도, 적어도 하나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를 기판 전극의 상부에 제공하는 단계와, 전계 발광층 스택 및/또는 상대 전극 쪽을 향한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의 표면을 바람직하게는 은, 알루미늄, 유전체 거울 또는 그 조합으로 된 반사 수단으로 덮는 단계와,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와 기판 전극의 표면 양쪽 상에 전계 발광층 스택과 상대 전극을 부착하는 후속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이 방법은 투명한 접착제에 의해 기판 전극의 상부에 접착된 적어도 하나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에서 구현된다. 접착제는 기판 전극에 그림자 가장자리의 출현을 방지하도록 전계 발광층 스택 쪽을 향한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의 표면의 상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착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기판에 그림자 가장자리의 출현을 방지하도록 전계 발광층 스택 쪽을 향한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의 표면의 상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착된다.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비전도성 접착제의 부착은 기판 전극의 표면과 아웃커플링 본체의 상측 사이에 완만하고 평탄한 전이부를 형성한다. 접착제를 부착하면, 전계 발광층 스택과 상대 전극의 인접 층들이 준비될 수 있는 아웃커플링 본체의 표면으로의 완만한 전이부에 의해 기판 전극 상부의 전술한 층들의 증착 공정이 개선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그림자 가장자리는 그림자 가장자리 둘레에 더 적은 양의 재료가 증착되거나 아무런 재료도 증착되지 않게 한다. 비전도성 접착제를 이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아웃커플링 본체의 영역 내의 전기장의 국부적인 강화가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전계 발광 소자 및/또는 그 방법은 물론 청구된 구성 요소 및 설명되는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구성 요소는 크기, 형태 또는 재료 선택에 관해서는 어떠한 특별한 예외도 없다. 해당 분야에 공지된 선택 기준과 같은 기술적인 개념은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의 추가의 세부 내용, 특징 및 장점은 종속항들과 본 발명에 따른 전계 발광 소자의 복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일 뿐인 각각의 도면의 후속하는 설명에서 개시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실시예를 아래의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제1 반사 원리에 따라 기판 전극에 부착된 아웃커플링 본체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예이고,
도 2는 제2 반사 원리에 따라 기판 전극에 부착된 아웃커플링 본체를 구비한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예이고,
도 3은 아웃커플링 본체와 전기 분로 수단을 구비한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예이고,
도 4는 아웃커플링 본체와, 상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위한 전기 접촉 수단을 구비한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예의 상세한 단면도이며,
도 5는 광학적 아웃커플링 본체와 분로 수단을 구비한 전계 발광 소자의 실시예의 측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계 발광 소자(10)가 도시된다. 전계 발광 소자(10)는 기판 전극(20)과 상대 전극(30), 그리고 본 실시예와 후속의 실시예에서 전계 발광층 스택을 나타내는 유기 전계 발광층(50)을 포함한다. 유기 전계 발광층(50)은 기판 전극(20)과 상대 전극(30) 사이에 배치되어 전술한 층 스택을 형성한다. 이들 층은 기판(40)에 배치되어 전계 발광 소자(10)의 담체 재료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기판 전극(20)은 투명하고 전도성을 가진 재료인 ITO의 대략 100nm 두께의 층으로 형성된다. 이 기판 전극(20)에 유기 전계 발광층(50)이 증착된다. 만일 기판 전극(20)과 상대 전극(30) 사이에 전압이 가해진다면, 유기 전계 발광층(50) 내부의 유기 분자들 중의 일부가 방출되어 인공광의 방출을 일으키는데, 이 광은 전계 발광층(50)에 의해 방출된다. 상대 전극(30)은 알루미늄 층에 의해 형성되어 인공광을 기판 전극(20)과 기판(40)을 통해 반사하는 거울로서 작용한다. 광을 주변으로 방출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기판(40)은 유리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전계 발광 소자(10)는 하부 방출형 OLED이다. 후속하는 도면에 도시된 전계 발광 소자(10)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구성요소들은 그 정확한 축적대로 도시되지 않았다. 특히 전극(20, 30)과 유기 전계 발광층(50)과 기판(40)의 두께는 정확한 축적을 나타내지 않는다. 모든 도면은 본 발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전계 발광 소자(10)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를 포함한다.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는 서로 다른 가능한 복수의 형태 중에서 하나의 실시예만을 나타내는 고유한 공간적인 기하학적 형상 즉 삼각형 또는 프리즘 형태를 갖는다.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는 유기 전계 발광층(50) - 예시적으로 유기 전계 발광점(50')으로 도시됨 - 에 의해 발생된 광의 개선된 아웃커플링을 야기한다.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는 전계 발광 소자(10)의 기판(40)의 굴절률과 거의 동일하거나 더 큰 굴절률을 갖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유기 전계 발광점(50')에 의해 방출되어 광 아웃커플링 본체(71)에 들어간 광은 아웃커플링 본체(71)의 상측에서 기판 전극(20) 쪽으로 다시 반사된다. 반사된 광은 이제 기판(40)의 바닥면을 통과할 수 있는 방향을 갖는다. 따라서, 전술한 아웃커플링 본체(71)에 의해, 전계 발광 소자(10)에서 방출되는 광의 일부는 증가한다. 광 아웃커플링 본체(71)의 상면에서 광의 반사를 확보하기 위해, 광 아웃커플링 본체(71)는 반사 수단(72)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계 발광층 스택을 대표하는 유기 전계 발광층(50)과 상대 전극(30)은 기판 전극(20)의 표면과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의 상측에 부착된다. 전술한 표면 상부의 유기 전계 발광층(50)과 상대 전극(30)의 부착은 해당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당업자)에게 공지된 진공 증착 공정에 기초한다. 접착제(70)는 전기 전도성을 가질 수 있는 금속 커버 요소 또는 표면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기판 전극(20)과 반사 수단(72) 사이의 전류 흐름을 방지한다.
도 2는 광 아웃커플링 본체(71)에 들어가는 광의 반사가 아웃커플링 본체 뒤의 상대 전극(30)에서 발생하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광은 광 아웃커플링 본체(71)에 들어가서 상측에서 다시 광 아웃커플링 본체(71)를 나와 상대 전극(30) 쪽으로 전파되어 상대 전극(30)의 내부 반사면(73)에서 반사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아웃커플링 본체(71)는 투명한 접착제(70)를 이용하여 기판 전극(20)에 부착된다. 접착제(70)는 아웃커플링 본체(71)의 배치체 아래에서 기판 전극(20)의 표면을 덮고 아웃커플링 본체(71)의 부근 영역 안으로 연장된다. 아웃커플링 본체(71)의 기판면과 상측 사이의 전이 구역에 접착제(70)가 존재하므로 아웃커플링 본체와 기판 전극 사이에 평탄하고 완만한 전이부가 생긴다. 전술한 접착제의 존재 때문에 그림자 효과가 방지되며, 적어도 유기 전계 발광층(50)과 상대 전극(30)을 각각 포함하는 층 시스템의 증착은 개선된 신뢰성을 갖고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계 발광 소자(1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며, 기판 전극(20)의 표면에 부착된 전기 분로 수단(122)을 덮은 광 아웃커플링 본체(71)를 보여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전기 분로 수단(122)의 배치는 전술한 기판 전극(20)과 전술한 광 아웃커플링 본체(71) 사이에서 샌드위치 방식으로 수행된다. 더욱이 전기 비전도성 접착제(70)와 조합된 광 아웃커플링 본체(71)는 보호 수단(70)을 형성하여 전기 분로 수단(122)과 상대 전극(30) 사이의 단락을 방지한다.
도 4는 접촉 수단(60)을 포함하는 전계 발광 소자(10)의 배치체를 보여준다. 전계 발광 소자(10)는 상대 전극(30)을 전기 전력원에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해 배치된 적어도 하나 또는 복수의 도시된 접촉 수단(6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접촉 수단(60)은 상대 전극(30)으로부터 전원으로 향한 경로의 일부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상대 전극(30)에 부착된 접촉 수단(60)으로서 접촉 포스트가 사용되었다. 그와 같은 접촉 포스트는 상대 전극(30)에 기계적으로 부착되고 종종 상대 전극(30)과 기판 전극(20) 사이에 단락을 야기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접촉 수단(60)이 상대 전극(30)에 부착된 전도성 접착제인 것을 개시한다.
접촉 수단(60)은 상대 전극(30) 및 도시된 봉지 수단(90)과 직접적으로 전기 접촉되어 배치된 전기 전도성 접착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봉지 수단(90)을 통해 상대 전극(30)을 전기 전력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은 수월하다. 사용자는 전기 전도 수단을 봉지 수단(90)에 부착하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봉지 수단(90)과 상대 전극(30) 사이의 전도성 접착제는 전류를 상대 전극(30)으로 이르게 한다.
전도성 접착제가 전기적 접촉 수단(60)을 형성하도록 사용되는 경우, 개시된 전계 발광 소자(1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접착제(70)와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에 의해 형성되는 보호 수단(7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으로 비전도성인 보호 수단(70)은 접촉 수단(60) 아래의 영역을 적어도 완전히 덮도록 배치된다. 보호 수단(70)은 기판 전극(20) 상에 배치되며, 전기 분로 수단(122)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로서 구현된 보호 수단(70)과 기판 전극(20)을 분로하기 위한 기판 전극(20)의 표면 사이에 샌드위치 방식으로 배치된다. 이 배치체는 접촉 수단(60) 아래의 영역을 보호하며, 광 아웃커플링 시스템과 분로 시스템도 역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 수단(70)을 사용하는 이 배치체는 세 가지 목적 즉 분로 수단(122)을 충분히 덮는 것, 전기적 접촉 수단(60) 아래의 영역을 충분히 덮는 것, 보호 수단(70)을 형성하는 전기 비전도성 접착제를 요하는 것을 충족시킨다. 더욱이 유기 전계 발광층(50)에 의해 방출된 광의 광 아웃커플링이 개선된다.
도 5는 전계 발광 소자(10)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과 단면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분로 수단(122)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를 구비한 배치체와 적어도 유기 전계 발광층(50)과 상대 전극(30)을 구비한 층 시스템 밖으로 이어질 수 있다. 전기 분로 수단(122)은 기판 전극(20)의 표면에 부착되며, 전술한 층들의 배치체 옆에 구체적으로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의 배치체 옆에서 측방으로 연장된다. 상대 전극(30)은 예시적으로만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수단(93)에 의해 접촉된다. 전기 분로 수단(122)은 유기 전계 발광 소자(10)의 방출 범위에 걸쳐 전압을 균등화하기 위해 양단과 그 길이를 따른 몇 개의 점에서 접촉 수단(74)을 통해 기판 전극(20)과 접촉될 수 있다. 특히 전기 분로 수단(122)을 부착함으로써 전계 발광 소자(10)의 중심의 전압은 동작 중에 전계 발광 소자(10)의 방출 범위의 외부 구역의 전압과 정렬된다.
설명한 실시예는 층 스택 내부에 유기 전계 발광층(50)을 예로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범위 내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계 발광층 스택은 유기 전계 발광층(50) 이외에 정공 수송층, 정공 차단층, 전자 수송층, 전자 차단층, 전하 주입층, 추가의 전도층 등과 같은 층을 포함할 수 있다.
10: 전계 발광 소자
20: 기판 전극
30: 상대 전극
40: 기판
50: 유기 전계 발광층 또는 전계 발광층 스택
50': 유기 전계 발광점
60: 전기적 접촉 수단
70: 접착제, 보호 수단
71: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
72: 반사 수단
73: 반사면
74: 접촉 수단
90: 봉지 수단
93: 연결 수단
93': 연결 수단
122: 전기 분로 수단
170: 게터
180: 산란 수단

Claims (16)

  1. 기판(40)과, 상기 기판(40) 상부에 있는 기판 전극(20), 상대 전극(30) 및 전계 발광층 스택을 구비한 층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계 발광 소자(10)로서 - 상기 전계 발광층 스택은 상기 기판 전극(20)과 상기 상대 전극(30)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 발광층(50)을 구비함 -,
    적어도 하나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가, 상기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고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 발광층(50)에 의해 발생된 광의 아웃커플링을 증가시키도록, 상기 기판 전극(20)의 상부에 제공되고,
    상기 기판(40) 및 상기 기판 전극(20)은 투명하고 상기 상대 전극(30)은 불투명하고,
    상기 전계 발광층 스택 및 상기 상대 전극(30) 중 적어도 하나 쪽을 향한 상기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의 표면은 상기 기판을 통과하도록 상기 기판 쪽으로 상기 광을 반사하기 위한 반사 수단(72)으로 덮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소자(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는 적어도 상기 기판(40)의 굴절률과 대등한 굴절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소자(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는 직사각형, 삼각형, 프리즘형, 포물선형, 반원형 또는 타원형인 단면을 갖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는 바람직하게는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소자(10).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는 접착제(70)에 의해 상기 기판 전극(20)의 상부에 접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소자(1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70)는 적어도 상기 기판(40)의 굴절률과 대등한 굴절률을 갖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7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소자(10).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70)는 전기 비전도성이어서 기판 전극(20)과 상대 전극(30) 사이의 전기 접촉을 방지하는 보호 수단(7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소자(10).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70)는 상기 기판 전극(20)에 그림자 가장자리의 출현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계 발광층 스택 쪽을 향한 상기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의 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소자(10).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계 발광 소자(10)는 상기 상대 전극(30)을 전기 전원에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접촉 수단(60)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적 접촉 수단(60)은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소자(10).
  9. 제8항에 있어서, 봉지 수단(90)이 적어도 상기 전계 발광층 스택을 봉지하기 위해 배치되며, 상기 전기적 접촉 수단(60)은 상기 상대 전극(30)을 상기 봉지 수단(90)에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봉지 수단(90)과 상기 상대 전극(30)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소자(10).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분로 수단(122)이 상기 기판 전극(20)의 측방향 연장부 내부에서 전위를 정렬하기 위해 상기 기판 전극(20)에 부착되며, 상기 전기 분로 수단(122)은 상기 기판 전극(20)의 표면에 배치되며, 상기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는 상기 전기 분로 수단(122)이 상기 기판 전극(20)과 상기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전기 분로 수단(122)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소자(10).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복수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가 상기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 사이에 중간 공간을 갖고 상기 기판 전극(20)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소자(10).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는 바람직하게는 직사각형 격자, 육각형 격자 또는 불규칙 격자로서 형성되는 격자 구조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계 발광 소자(10).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수단(72)은 은, 알루미늄, 유전체 거울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는 전계 발광 소자(10).
  14. 광의 아웃커플링이 증가된 전계 발광 소자(10)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전계 발광 소자(10)는 투명한 기판(40)과, 상기 투명한 기판(40) 상부에 있는 투명한 기판 전극(20), 불투명한 상대 전극(30) 및 전계 발광층 스택을 구비한 층 시스템을 포함하며 - 상기 전계 발광층 스택은 상기 기판 전극(20)과 상기 상대 전극(30)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유기 전계 발광층(50)을 구비함 -,
    상기 방법은, 적어도
    a) 적어도 하나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를 상기 기판 전극(20)의 상부에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전계 발광층 스택 및 상기 상대 전극(30) 중 적어도 하나 쪽을 향한 상기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의 표면을 반사 수단(72)으로 덮는 단계; 및
    c)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와 상기 기판 전극(20)의 표면 양쪽 상에 상기 전계 발광층 스택과 상기 상대 전극(30)을 부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는 접착제(70)에 의해 상기 기판 전극(20)의 상부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70)는 상기 기판 전극(20)에 그림자 가장자리의 출현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계 발광층 스택 쪽을 향한 상기 광학적으로 투명한 아웃커플링 본체(71)의 표면의 상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17029243A 2009-05-08 2010-04-30 전계 발광 소자 Active KR101725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59731.0 2009-05-08
EP09159731 2009-05-08
PCT/IB2010/051896 WO2010128439A1 (en) 2009-05-08 2010-04-30 Electroluminescen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7313A KR20120027313A (ko) 2012-03-21
KR101725069B1 true KR101725069B1 (ko) 2017-04-26

Family

ID=42375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9243A Active KR101725069B1 (ko) 2009-05-08 2010-04-30 전계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647239B2 (ko)
EP (1) EP2427926B1 (ko)
JP (1) JP5676571B2 (ko)
KR (1) KR101725069B1 (ko)
CN (1) CN102422452B (ko)
RU (1) RU2527323C2 (ko)
TW (1) TWI535330B (ko)
WO (1) WO2010128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68965A2 (en) 2011-11-11 2013-05-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lighting apparatus
JP2013140679A (ja) * 2011-12-28 2013-07-18 Ricoh Opt Ind Co Ltd 有機el光源
FR2986909B1 (fr) * 2012-02-10 2014-11-21 Saint Gobain Electrode supportee transparente pour oled
JP5758366B2 (ja) 2012-09-24 2015-08-05 株式会社東芝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発光装置
JP5723344B2 (ja) * 2012-09-25 2015-05-27 株式会社東芝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発光装置
TWI674671B (zh) * 2013-05-28 2019-10-11 日商新力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電子機器
TWI565116B (zh) * 2015-01-12 2017-01-01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structure
FR3041204B1 (fr) * 2015-09-14 2017-09-15 Valeo Vision Gestion de la tension directe d'une source lumineuse led a micro- ou nano-fils
US12250864B2 (en) 2021-07-30 2025-03-11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6391A (ja) 1998-07-16 2000-02-02 Toray Ind Inc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31355A (ja) 2001-07-10 2003-01-31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プレイパネル
WO2006038648A1 (ja) * 2004-10-06 2006-04-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マイクロレンズ、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0706A (en) * 1996-12-18 1999-06-08 Ultra Silicon Technology (Uk) Limited Laterally transmitting thin film electroluminescent device
JP2002110361A (ja) 2000-09-27 2002-04-12 Seiko Epson Corp 発光装置
KR100437886B1 (ko) 2001-09-25 2004-06-30 한국과학기술원 고발광효율 광결정 유기발광소자
JP3910864B2 (ja) 2002-03-04 2007-04-25 ローム株式会社 有機el表示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64864B1 (ko) * 2002-04-25 2005-01-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6841802B2 (en) * 2002-06-26 2005-01-11 Oriol, Inc. Thin film light emitting diode
US7492092B2 (en) 2002-12-17 2009-02-17 Seiko Epson Corporation Self-emitting element, display pane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lf-emitting element
US6975067B2 (en) * 2002-12-19 2005-12-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encapsulation method
JP2004226673A (ja) * 2003-01-23 2004-08-12 Toyota Industries Corp 有機電界発光装置
JP2004296219A (ja) 2003-03-26 2004-10-21 Fuji Photo Film Co Ltd 発光素子
KR100818133B1 (ko) * 2003-10-02 2008-03-31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전계 발광 소자
ES2380972T3 (es) 2004-03-26 2012-05-22 Rohm Co., Ltd. Elemento orgánico emisor de luz
JP4634129B2 (ja) * 2004-12-10 2011-02-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光散乱膜,及びそれを用いる光デバイス
JP2007080579A (ja) 2005-09-12 2007-03-29 Toyota Industries Corp 面発光装置
US7564063B2 (en) 2006-03-23 2009-07-21 Eastman Kodak Company Composite electrode for light-emitting device
KR101326135B1 (ko) 2006-11-27 2013-1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08090493A1 (en) 2007-01-22 2008-07-31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Light emitting device
US7897482B2 (en) 2007-05-31 2011-03-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6391A (ja) 1998-07-16 2000-02-02 Toray Ind Inc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031355A (ja) 2001-07-10 2003-01-31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プレイパネル
WO2006038648A1 (ja) * 2004-10-06 2006-04-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マイクロレンズ、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27926B1 (en) 2015-09-30
WO2010128439A1 (en) 2010-11-11
RU2011149795A (ru) 2013-06-20
JP5676571B2 (ja) 2015-02-25
RU2527323C2 (ru) 2014-08-27
JP2012526348A (ja) 2012-10-25
CN102422452B (zh) 2015-03-25
TWI535330B (zh) 2016-05-21
US20170194603A1 (en) 2017-07-06
TW201106773A (en) 2011-02-16
EP2427926A1 (en) 2012-03-14
CN102422452A (zh) 2012-04-18
KR20120027313A (ko) 2012-03-21
US10217966B2 (en) 2019-02-26
US20120056231A1 (en) 2012-03-08
US9647239B2 (en) 201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069B1 (ko) 전계 발광 소자
US8508122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TWI526116B (zh) 電致發光裝置
KR101668471B1 (ko) 캡슐화된 전기 발광 장치
CN102308410B (zh) 电致发光器件
KR101689338B1 (ko) 전장 발광 장치
US9466806B2 (en) Electroluminesc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4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