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24798B1 -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 트렁크 개폐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 트렁크 개폐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798B1
KR101724798B1 KR1020140109123A KR20140109123A KR101724798B1 KR 101724798 B1 KR101724798 B1 KR 101724798B1 KR 1020140109123 A KR1020140109123 A KR 1020140109123A KR 20140109123 A KR20140109123 A KR 20140109123A KR 101724798 B1 KR101724798 B1 KR 101724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vehicle
user
opening
emg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3192A (ko
Inventor
이종복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09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798B1/ko
Priority to US14/555,971 priority patent/US9489786B2/en
Priority to DE102014225841.3A priority patent/DE102014225841B4/de
Priority to CN201410797813.8A priority patent/CN105756470B/zh
Publication of KR20160023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79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enabling tracking or indicating pres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89Electromyography [EM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968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hape of the data carri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182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un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무거운 짐을 들고 있는지 여부에 따른 사용자의 근전도(EMG) 신호를 발생시키고, 트렁크에서 이를 무선 방식 등으로 수신하여 비접촉식 등으로 트렁크를 개폐할 수 있는 트렁크 개폐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 트렁크 개폐 제어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Vehicle Trunk Open/Close using Wearable Device}
본 발명은 차량 트렁크 개폐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무거운 짐을 들고 있는 경우에도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해 상황을 인식하여 손쉽게 비접촉식 등으로 차량의 트렁크를 열거나 닫을 수 있는 트렁크 개폐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거운 짐을 들고 차량에 접근하여 트렁크 안에 물건을 적재(load)하고자 할 때, 일반적으로 바닥에 짐을 내려놓고 트렁크를 연후 그 안으로 짐을 옮겨 싣게 된다. 또한, 반대로 짐을 트렁크에서 하적(unload)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트렁크에서 짐을 빼어 바닥에 내려 놓은 후 트렁크를 닫게 된다. 이와 같이 트렁크에 적재(load) 또는 하적(unload) 시에 무거운 짐을 바닥에 내려 놓는 과정에 의해 사용자의 허리 등 신체를 해칠 우려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차량 후방에 차량 감지기나 초음파 센서 등을 설치하여 차량 뒤에 접근한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차량 트렁크를 자동 개방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도 주로 개방에 관련되고 닫기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가 무거운 짐을 들고 일정 제스처를 취할 때 사람의 무게 중심 이동으로 신체를 해칠 위험성이 없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무거운 짐을 들고 있는지 여부에 따른 사용자의 근전도(EMG) 신호를 발생시키고, 트렁크에서 이를 무선 방식 등으로 수신하여 비접촉식 등으로 트렁크를 개폐할 수 있는 트렁크 개폐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일면에 따른 차량 트렁크를 개폐하기 위한 트렁크 개폐 제어 방법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근전도 센서를 이용해 사용자 신체의 반응도에 대한 근전도 신호를 발생시켜 전송하는 단계; 및 차량에서, 수신하는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와 상기 사용자의 차량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차량 트렁크의 오픈(open) 또는 클로즈(close)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트렁크 개폐 제어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 트렁크에 물건을 적재(load) 또는 상기 차량 트렁크로부터 물건을 하적(unload) 시에, 해당 물건의 무게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팔에 착용된 상기 근전도 센서로부터의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차량 트렁크를 오픈 또는 클로즈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전도 센서와 상기 근전도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에서, 차량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근전도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근전도 센서와 상기 근전도 신호를 인체 통신으로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에서, 차량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근전도 신호를 인체 통신으로 수신할 수 있다.
차량에서, 상기 근전도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자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의 헬스 케어 처리를 위한 입력 신호 또는 방향 지시를 위한 입력 신호로 이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차량 트렁크의 오픈 또는 클로즈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트렁크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보다 크면 상기 차량 트렁크를 오픈하고, 소정의 주기로 측정한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상기 임계값 보다 크면 상기 차량 트렁크의 오픈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차량 트렁크의 오픈 후 상기 주기로 측정한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상기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사용자가 차량 후미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 이상으로 이동할 때 상기 차량 트렁크를 클로즈할 수 있다.
상기 차량 트렁크의 오픈 또는 클로즈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트렁크가 열린 상태에서 소정의 주기로 측정한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보다 크면 상기 차량 트렁크의 오픈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주기로 측정한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상기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사용자가 차량 후미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 이상으로 이동할 때 상기 차량 트렁크를 클로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차량 트렁크를 개폐하기 위한 트렁크 개폐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근전도 센서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신체의 반응도에 대한 근전도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차량으로부터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거리 감지부; 및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와 상기 사용자의 차량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차량 트렁크의 오픈(open) 또는 클로즈(close)를 제어하는 트렁크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트렁크 개폐 제어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 트렁크에 물건을 적재(load) 또는 상기 차량 트렁크로부터 물건을 하적(unload) 시에, 해당 물건의 무게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팔에 착용된 상기 근전도 센서로부터의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차량 트렁크를 오픈 또는 클로즈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근전도 센서와 상기 근전도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근전도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근전도 센서와 상기 근전도 신호를 인체 통신으로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근전도 신호를 인체 통신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상기 트렁크 개폐 제어 시스템은, 상기 근전도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연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의 헬스 케어 처리를 위한 입력 신호 또는 방향 지시를 위한 입력 신호로 이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트렁크 제어부는, 상기 차량 트렁크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보다 크면 상기 차량 트렁크를 오픈하고, 소정의 주기로 측정한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상기 임계값 보다 크면 상기 차량 트렁크의 오픈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트렁크 제어부는, 상기 차량 트렁크의 오픈 후 상기 주기로 측정한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상기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사용자가 차량 후미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 이상으로 이동할 때 상기 차량 트렁크를 클로즈할 수 있다.
상기 트렁크 제어부는, 상기 차량 트렁크가 열린 상태에서 소정의 주기로 측정한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보다 크면 상기 차량 트렁크의 오픈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트렁크 제어부는, 상기 주기로 측정한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상기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사용자가 차량 후미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 이상으로 이동할 때 상기 차량 트렁크를 클로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렁크 개폐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적재(load)를 위하여 차량 트렁크에 접근한 사용자의 근전도(EMG) 신호가 일정값 이상이면 트렁크를 자동 개방 후, 적재가 끝나면 근전도 신호의 세기와 사용자의 트렁크로부터의 거리 등을 판단해 트렁크를 닫을 수 있으며, 하적(unload) 시에는 사용자가 차량 트렁크로부터 물건을 하적 동안 근전도 신호가 일정값 이상이면 트렁크의 개방상태를 유지한 후, 하적이 끝나면 근전도 신호의 세기와 사용자의 트렁크로부터의 거리 등을 판단해 트렁크를 닫을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특정 제스처에 상관없이 비접촉식으로 편리하게 차량 트렁크를 개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제어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제어 시스템에서 차량 트렁크에 물건 적재 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제어 시스템에서 차량 트렁크에서 물건 하적 시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제어 시스템에서 근전도 센서와 차량 트렁크 간의 동작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때, 각각의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다. 또한, 이미 공지된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 개시된 내용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며, 그 설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며, 따라서 각각의 도면에 그려진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여기에 기재되는 내용들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제어 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제어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신체(팔, 다리, 허리, 어깨, 심장 부위 등 근육의 수축 이완으로 근전도 신호 발생이 가능한 모든 부위)에 용이하게 착용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및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 트렁크를 개폐하기 위한 트렁크 제어 모듈(120)을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근전도 센서(111), 통신모듈(112) 등을 포함하며, 트렁크 제어 모듈(120)은 통신부(121), 트렁크 제어부(122), 거리 감지부(123), 연동부(12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제어 시스템(100)의 위와 같은 각부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간략히 설명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사용자가 무거운 짐을 들고 있는지 여부에 따른 사용자의 근전도(EMG)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사용자 신체의 반응도에 대한 근전도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근전도 기기(electromyography)인 근전도 센서(111)와 근전도 신호를 차량으로 송신하기 위한 통신모듈(112)을 포함한다.
통신모듈(112)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예, 블루투스, 지그비,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등)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동통신 방식(예, WiFi, WCDMA, WiBro 방식 등) 등 무선으로 필요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장치이다. 통신모듈(112)은 인체 통신 방식(신체의 미세한 전류를 이용하는 통신 방식)으로 필요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유닛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통신모듈(112)은 이와 같은 무선 방식이나 인체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든 통신 방식을 통합한 모듈일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벨트, 팔찌, 밴드, 시계 형태 등 사용자의 신체(팔, 다리, 허리, 어깨, 심장 부위 등 근육의 수축 이완으로 근전도 신호 발생이 가능한 모든 부위)에 용이하게 착용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근전도 센서(111)는 사용자 신체의 반응도에 대한 근전도 신호를 발생시키며, 사용자가 무거운 짐을 들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팔, 다리, 허리, 어깨, 심장 부위 등에 접촉되도록 신체에 착용된 근전도 센서(111)는 근육의 수축 이완을 감지하여 해당 상태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람 신체 근육의 동작에 따라 근전도 센서(111)는 신경의 지배를 받고 있는 근육에 흐르는 미세한 전기적 변화를 감지하여 전기적 활성도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는 잘 알려져 있으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근전도 센서(111)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신체의 반응도에 대한 근전도 신호는 통신모듈(112)을 통하여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무선 방식에 의해 차량으로 전송되거나 인체 통신 방식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엉덩이 등 신체 부위가 차량에 터치될 때 전송되는 방식에 의해 차량으로 전송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 발생된 위와 같은 근전도 신호는 차량에 설치된 트렁크 제어 모듈(120)의 통신부(121)를 통하여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예, 블루투스, 지그비,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등)이나, 이동통신 방식(예, WiFi, WCDMA, WiBro 방식 등), 또는 인체 통신 방식 등으로 수신될 수 있다.
거리 감지부(123)는 차량에 접근한 사용자와 차량 간의 거리를 감지한다. 이때, 거리 감지를 위하여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더 센서 등을 이용하여 입사파와 반사파의 시간 차이를 기초로 해당 거리를 산출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트렁크 제어부(122)는 위와 같이 수신된 근전도 신호의 세기와 사용자의 차량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차량 트렁크의 오픈(open) 또는 클로즈(close)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 트렁크에 물건을 적재(load)하는 동안에 소정의 주기로 체크한 근전도 신호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으로 나타나면 차량 트렁크의 오픈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적재 완료되고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면 차량 트렁크가 클로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차량 트렁크를 오픈한 상태에서 차량 트렁크로부터 물건을 하적(unload)하는 동안에는 소정의 주기로 체크한 근전도 신호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으로 나타나면 차량 트렁크의 오픈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하적이 완료되고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면 차량 트렁크가 클로즈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이러한 적재와 하적 시의 동작을 위한 적재 모드와 하적 모드가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적재 시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에서 적재 모드를 선택(예, 버튼 선택 등)할 수 있고, 트렁크 제어부(122)는 적재 시의 위와 같은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하적 시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에서 하적 모드를 선택(예, 버튼 선택 등)할 수 있고, 트렁크 제어부(122)는 하적 시의 위와 같은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연동부(124)는 위와 같은 근전도 신호를 다른 전자 장치로 유선 또는 무선(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이동통신 방식 등) 방식으로 전송하여 헬스 케어 또는 내비게이션 서비스와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응용을 위한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일 수도 있으며 이때 스마트폰에서 헬스 케어 응용서비스가 가능한 경우에, 근전도 신호가 헬스 케어 처리를 위한 입력 신호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응용을 위한 전자 장치는 내비게이션 단말일 수도 있으며 이때 내비게이션 단말에서 방향 지시에 따른 내비게이션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에, 근전도 신호가 방향 지시를 위한 입력 신호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2이상 복수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만일 웨어러블 디바이스(110)가 2개 사용되고 각각을 양팔에 착용 후 왼팔 또는 오른팔에서의 근전도 신호에 따라 좌우 방향 지시 입력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트렁크 개폐 제어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차량 트렁크에 물건을적재(load) 또는 하적(unload) 시에 해당 물건의 무게에 따라 사용자의 팔에 착용된 근전도 센서(111)로부터의 근전도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차량 트렁크를 오픈 또는 클로즈함으로써, 사용자의 특정 제스처에 상관없이 비접촉식으로 편리하게 차량 트렁크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제어 시스템(100)에서 차량 트렁크에 물건 적재하거나 하적 시의 동작을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제어 시스템(100)에서 차량 트렁크에 물건 적재 시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차량 트렁크에 적재를 위하여 도 4와 같이 무거운 짐을 들고 차량에 접근한다(S210). 이때 차량 트렁크가 닫혀있다고 가정한다(S220).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근전도 센서(111)에서 발생된 근전도 신호를 통신모듈(112)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예, 블루투스, 지그비,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등)이나, 이동통신 방식(예, WiFi, WCDMA, WiBro 방식 등), 또는 인체 통신 방식 등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트렁크 제어부(122)는 통신부(121)을 통하여 근전도 신호를 수신한다.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적재 시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에서 적재 모드를 선택(예, 버튼 선택 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트렁크 제어부(122)는 적재 모드에 따라 하기와 같이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거리 감지부(123)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더 센서 등을 이용하여 차량에 접근한 사용자와 차량 간의 거리를 감지하며, 트렁크 제어부(122)는 근전도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 거리 감지부(123)의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더 센서 등의 설치 방법에 따라, 거리 감지부(123)는 차량의 후미, 측방, 전방 등으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트렁크 제어부(122)는 차량 트렁크가 닫힌 상태에서 측정한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소정의 임계값 보다 크면(S230) 소정의 액츄에이터를 구동하여 차량 트렁크의 걸림부분을 해제해 차량 트렁크를 오픈한다(S240). 이때 거리 감지부(123)가 감지한 차량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예, 뒷 범퍼 등 미리 정한 차량 후미일 수 있음)가 미리 정한 임계거리 이하일 때 트렁크 제어부(122)는 차량 트렁크를 오픈할 수도 있다.
이후 사용자는 물건을 차량 트렁크 안에 적재하기 시작하며, 다른 물건을 더 적재하기 위하여 주위의 물건을 쌓아 놓은 곳에 왔다 갔다 하면서 계속 적재할 수도 있다(S250). 이때 트렁크 제어부(122)는 차량 트렁크가 열린 후 소정의 주기로 측정한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해당 임계값 보다 크면 계속하여 차량 트렁크의 오픈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S260).
이와 같이 차량 트렁크가 열린 상태에서 물건을 모두 적재한 후에는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의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을 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소정의 주기로 측정한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해당 임계값 이하로 작아지면 트렁크 제어부(122)는 바로 차량 트렁크를 클로즈할 수도 있다. 다만, 사용자가 차량 트렁크 안을 살펴 보거나 차량 트렁크 주위에서 다른 필요한 작업을 하면서 차량 트렁크 안의 물건을 다시 꺼내는 등 차량 트렁크가 열려 있는 상태를 원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전도 신호의 세기만을 측정하여 차량 트렁크를 바로 클로즈하는 것보다, 이것과 함께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면 차량 트렁크를 클로즈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해당 임계값 이하로 작아지더라도, 사용자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차량으로부터 멀어지거나 운전석으로 이동하여 차량 후미로부터 멀어져(S270) 거리 감지부(123)가 감지한 차량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예, 뒷 범퍼 등 미리 정한 차량 후미로부터의 거리일 수 있음)가 미리 정한 임계거리 이상일 때 트렁크 제어부(122)는 차량 트렁크를 클로즈할 수 있다(S28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 개폐 제어 시스템(100)에서 차량 트렁크에서 물건 하적 시의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차량 트렁크 안에 있는 물건을 하적하기 위하여 차량에 접근한다(S310). 이때 이미 차량 트렁크가 열려있거나, 사용자가 차량에 설치된 버튼이나 전자 도어락을 이용하거나, 또는 키 등을 이용하여 차량 트렁크를 열게 된다고 가정한다(S320).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근전도 센서(111)에서 발생된 근전도 신호를 통신모듈(112)을 통하여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예, 블루투스, 지그비,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 등)이나, 이동통신 방식(예, WiFi, WCDMA, WiBro 방식 등), 또는 인체 통신 방식 등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트렁크 제어부(122)는 통신부(121)을 통하여 근전도 신호를 수신한다. 필요한 경우 사용자는 하적 시에 웨어러블 디바이스(110)에서 하적 모드를 선택(예, 버튼 선택 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트렁크 제어부(122)는 하적 모드에 따라 하기와 같이 동작을 지원할 수 있다.
거리 감지부(123)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더 센서 등을 이용하여 차량에 접근한 사용자와 차량 간의 거리를 감지하며, 트렁크 제어부(122)는 근전도 신호의 세기를 측정한다. 거리 감지부(123)의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레이더 센서 등의 설치 방법에 따라, 거리 감지부(123)는 차량의 후미, 측방, 전방 등으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차량 트렁크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가 물건을 차량 트렁크 안으로부터 빼내어 하적하기 시작하며, 빼낸 물건을 주위에 쌓아 놓고 다른 물건을 더 빼내어 하적하기 왔다 갔다 하면서 일정 시간 하적을 계속할 수도 있다(S330). 이때 트렁크 제어부(122)는 차량 트렁크가 열린 후 소정의 주기로 측정한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해당 임계값 보다 크면 계속하여 차량 트렁크의 오픈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S340).
이와 같이 차량 트렁크가 열린 상태에서 물건을 모두 하적한 후에는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로부터의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을 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소정의 주기로 측정한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해당 임계값 이하로 작아지면 트렁크 제어부(122)는 바로 차량 트렁크를 클로즈할 수도 있다. 다만, 사용자가 차량 트렁크 안을 살펴 보거나 차량 트렁크 주위에서 다른 필요한 작업을 하면서 차량 트렁크 안의 물건을 더 꺼내거나 다시 적재하는 등 차량 트렁크가 열려 있는 상태를 원할 수 있다. 따라서, 근전도 신호의 세기만을 측정하여 차량 트렁크를 바로 클로즈하는 것보다, 이것과 함께 사용자가 차량으로부터 멀어지면 차량 트렁크를 클로즈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해당 임계값 이하로 작아지더라도, 사용자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차량으로부터 멀어지거나 운전석으로 이동하여 차량 후미로부터 멀어져(S350) 거리 감지부(123)가 감지한 차량로부터 사용자까지의 거리(예, 뒷 범퍼 등 미리 정한 차량 후미로부터의 거리일 수 있음)가 미리 정한 임계거리 이상일 때 트렁크 제어부(122)는 차량 트렁크를 클로즈할 수 있다(S280).
한편, 위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연동부(124)는 위와 같은 근전도 신호를 다른 전자 장치로 유선 또는 무선(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이동통신 방식 등) 방식으로 전송하여 헬스 케어 또는 내비게이션 서비스와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응용을 위한 전자 장치는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이때 스마트폰에서 헬스 케어 응용서비스가 가능한 경우에, 근전도 신호가 헬스 케어 처리를 위한 입력 신호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서 근전도 신호로부터 심박 수, 맥박 수 등 헬스 케어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수집 정보를 의료 기관 (서버) 등으로 전송하고 의료 기관으로부터 소정의 헬쓰 케어 서비스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 또는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연동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이와 같은 응용을 위한 전자 장치는 내비게이션 단말일 수도 있으며 이때 내비게이션 단말에서 방향 지시에 따른 내비게이션 서비스가 가능한 경우에, 근전도 신호가 방향 지시를 위한 입력 신호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110)는 2이상 복수개가 사용될 수 있으며, 만일 웨어러블 디바이스(110)가 2개 사용되고 각각을 양팔에 착용 후 왼팔 또는 오른팔에서의 근전도 신호에 따라 좌우 방향 지시 입력이 발생하면, 내비게이션 단말의 TBT(Turn by Turn) 서비스 등에서 운전자의 좌우 회전 상태에 따라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단말은 회전이 필요한 시점에 운전자의 좌우 회전 상태와 비교하여 다르게 되면 강한 진동 등으로 좌회전 필요 시점 또는 우회전 필요 시점 등에 대한 올바른 주행 방향성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트렁크 개폐 제어 시스템(100)은 적재(load)를 위하여 차량 트렁크에 접근한 사용자의 근전도(EMG) 신호가 일정값 이상이면 트렁크를 자동 개방 후, 적재가 끝나면 근전도 신호의 세기와 사용자의 트렁크로부터의 거리 등을 판단해 트렁크를 닫을 수 있다. 또한, 하적(unload) 시에는 사용자가 차량 트렁크로부터 물건을 하적 동안 근전도 신호가 일정값 이상이면 트렁크의 개방상태를 유지한 후, 하적이 끝나면 근전도 신호의 세기와 사용자의 트렁크로부터의 거리 등을 판단해 트렁크를 닫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트렁크 개폐 제어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특정 제스처에 상관없이 비접촉식, 인체 통신 등으로 편리하게 차량 트렁크를 개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웨어러블 디바이스(110)
근전도 센서(111)
통신모듈(112)
트렁크 제어 모듈(120)
통신부(121)
트렁크 제어부(122)
거리 감지부(123)
연동부(124)

Claims (18)

  1. 차량 트렁크를 개폐하기 위한 트렁크 개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차량 트렁크에 물건을 적재(load) 또는 상기 차량 트렁크로부터 물건을 하적(unload) 시에, 해당 물건의 무게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팔에 착용된 근전도 센서로부터의 근전도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고, 사용자 신체의 반응도에 대한 상기 근전도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차량에서, 수신하는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와 상기 사용자의 차량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차량 트렁크의 오픈(open) 또는 클로즈(close)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차량 트렁크가 오픈 상태에서 물건을 적재 또는 하적한 후에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의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을 넘지 못하도록 하여 차량의 트렁크를 즉시 오픈 또는 클로즈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전도 센서와 상기 근전도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에서, 차량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근전도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근전도 센서와 상기 근전도 신호를 인체 통신으로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에서, 차량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근전도 신호를 인체 통신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차량에서, 상기 근전도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자 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전자 장치에서의 헬스 케어 처리를 위한 입력 신호 또는 방향 지시를 위한 입력 신호로 이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트렁크의 오픈 또는 클로즈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트렁크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보다 크면 상기 차량 트렁크를 오픈하고, 소정의 주기로 측정한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상기 임계값 보다 크면 상기 차량 트렁크의 오픈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트렁크의 오픈 후 상기 주기로 측정한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상기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사용자가 차량 후미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 이상으로 이동할 때 상기 차량 트렁크를 클로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트렁크의 오픈 또는 클로즈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트렁크가 열린 상태에서 소정의 주기로 측정한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보다 크면 상기 차량 트렁크의 오픈 상태를 유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로 측정한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상기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사용자가 차량 후미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 이상으로 이동할 때 상기 차량 트렁크를 클로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제어 방법.
  10. 차량 트렁크를 개폐하기 위한 트렁크 개폐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근전도 센서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신체의 반응도에 대한 근전도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부;
    상기 사용자의 차량으로부터의 거리를 감지하기 위한 거리 감지부;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와 상기 사용자의 차량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차량 트렁크의 오픈(open) 또는 클로즈(close)를 제어하되, 상기 차량 트렁크가 오픈 상태에서 물건을 적재 또는 하적한 후에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의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을 넘지 못하도록 하여 차량의 트렁크를 즉시 오픈 또는 클로즈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트렁크 제어부; 및
    상기 근전도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연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의 헬스 케어 처리를 위한 입력 신호 또는 방향 지시를 위한 입력 신호로 이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제어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차량 트렁크에 물건을 적재(load) 또는 상기 차량 트렁크로부터 물건을 하적(unload) 시에, 해당 물건의 무게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팔에 착용된 상기 근전도 센서로부터의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차량 트렁크를 오픈 또는 클로즈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제어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근전도 센서와 상기 근전도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근전도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제어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근전도 센서와 상기 근전도 신호를 인체 통신으로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된 상태에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근전도 신호를 인체 통신으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제어 시스템.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제어부는,
    상기 차량 트렁크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보다 크면 상기 차량 트렁크를 오픈하고, 소정의 주기로 측정한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상기 임계값 보다 크면 상기 차량 트렁크의 오픈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제어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제어부는,
    상기 차량 트렁크의 오픈 후 상기 주기로 측정한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상기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사용자가 차량 후미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 이상으로 이동할 때 상기 차량 트렁크를 클로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제어 시스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제어부는,
    상기 차량 트렁크가 열린 상태에서 소정의 주기로 측정한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임계값 보다 크면 상기 차량 트렁크의 오픈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제어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트렁크 제어부는,
    상기 주기로 측정한 상기 근전도 신호의 세기가 상기 임계값 이하이면 상기 사용자가 차량 후미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 이상으로 이동할 때 상기 차량 트렁크를 클로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렁크 개폐 제어 시스템.
KR1020140109123A 2014-08-21 2014-08-21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 트렁크 개폐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ctive KR1017247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123A KR101724798B1 (ko) 2014-08-21 2014-08-21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 트렁크 개폐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14/555,971 US9489786B2 (en) 2014-08-21 2014-11-28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runk of vehicle to be opened or closed using wearable device
DE102014225841.3A DE102014225841B4 (de) 2014-08-21 2014-12-15 Verfahren und System zum Steuern eines zu öffnenden oder zu schließenden Kofferraums eines Fahrzeugs mit Verwendung einer tragbaren Vorrichtung
CN201410797813.8A CN105756470B (zh) 2014-08-21 2014-12-18 使用可穿戴装置控制车辆行李箱打开或关闭的方法和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123A KR101724798B1 (ko) 2014-08-21 2014-08-21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 트렁크 개폐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192A KR20160023192A (ko) 2016-03-03
KR101724798B1 true KR101724798B1 (ko) 2017-04-07

Family

ID=55273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123A Active KR101724798B1 (ko) 2014-08-21 2014-08-21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 트렁크 개폐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89786B2 (ko)
KR (1) KR101724798B1 (ko)
CN (1) CN105756470B (ko)
DE (1) DE102014225841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5208A (zh) * 2017-12-12 2018-05-04 邓正珊 一种汽车后备箱控制手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44943B1 (en) * 2015-06-04 2017-08-29 Matthew Kenyon Hiatt Bracelet with clock and remote key fob
CN109154177A (zh) * 2016-05-18 2019-01-04 大陆汽车有限责任公司 门操作系统
CN106445123A (zh) * 2016-09-09 2017-02-22 华中科技大学 一种人机交互装置及方法
DE102016218351A1 (de) 2016-09-23 2018-04-1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System zum Steuern einer Tür eines Kraftfahrzeugs
US10625749B2 (en) * 2017-08-29 2020-04-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ttachable vehicle control
CN108612430B (zh) * 2018-04-10 2022-06-24 上海博泰悦臻网络技术服务有限公司 基于大数据的后备箱控制方法、系统及云端服务器
CN111197445A (zh) * 2018-11-20 2020-05-26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车辆后备箱的开启方法、装置及具有其的车辆
CN111779405A (zh) * 2019-04-04 2020-10-16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车尾门的智能开启方法、系统及车辆
EP3859113B1 (en) * 2020-01-30 2023-08-09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A system for automatically closing a trunk lid of a vehicle
CN112145009B (zh) * 2020-09-29 2022-04-08 阿波罗智联(北京)科技有限公司 车窗升降控制方法和装置、用于控制车窗升降的系统
CN114852190A (zh) * 2022-04-12 2022-08-05 深圳市道通合创新能源有限公司 一种汽车充电口盖的控制方法、装置、电动汽车及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3331A (ja) 1995-10-26 2004-01-08 Valeo Securite Habitacle 自動車における開閉自在な部材を解錠または解放するための装置
KR101428240B1 (ko) 2012-12-04 2014-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핸즈프리 파워 테일게이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0919B1 (ko) 1993-10-11 1999-02-18 전성원 트렁크 후드 자동 개폐 장치
KR980009004A (ko) 1996-07-30 1998-04-30 양재신 트렁크 개폐장치
WO2001013778A2 (en) 1999-08-20 2001-03-01 Riso Ronald R Emg control of prosthesis
DE102004041709C5 (de) 2004-08-28 2009-11-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 mit automatisch öffnender Klappe
KR100725540B1 (ko) * 2005-10-28 2007-06-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물기를 이용한 이동기기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70064083A (ko) * 2005-12-16 2007-06-20 (재)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 근전도를 이용한 차량 제어 장치 및 방법
WO2009132766A1 (de) * 2008-04-29 2009-11-0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r tür oder klappe eines fahrzeugs
US8170656B2 (en) 2008-06-26 2012-05-01 Microsoft Corporation Wearable electromyography-based controllers for human-computer interface
WO2011030491A1 (ja) * 2009-09-09 2011-03-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方法
JP2011152896A (ja) * 2010-01-28 2011-08-11 Bosch Corp 緊急制動装置
KR101249274B1 (ko) * 2011-08-24 2013-11-11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생체신호 자가진단 시스템
KR20120062115A (ko) 2010-12-06 2012-06-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트렁크 자동 열림 제어 방법
KR20120131499A (ko) * 2011-05-25 2012-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체통신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03902U (ko) 2011-12-21 2013-07-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차량 트렁크 자동 오픈장치
KR20140023538A (ko) 2012-08-16 2014-02-2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트렁크 자동 열림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484551B1 (ko) 2013-03-05 2015-01-20 한국과학기술원 질소산화물 가스센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3331A (ja) 1995-10-26 2004-01-08 Valeo Securite Habitacle 自動車における開閉自在な部材を解錠または解放するための装置
KR101428240B1 (ko) 2012-12-04 2014-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핸즈프리 파워 테일게이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5208A (zh) * 2017-12-12 2018-05-04 邓正珊 一种汽车后备箱控制手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756470A (zh) 2016-07-13
DE102014225841A1 (de) 2016-02-25
CN105756470B (zh) 2018-08-31
US20160055696A1 (en) 2016-02-25
US9489786B2 (en) 2016-11-08
DE102014225841B4 (de) 2024-06-20
KR20160023192A (ko)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798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차량 트렁크 개폐 제어 방법 및 시스템
USRE49812E1 (en) Electronic apparatus, angular velocity acquisi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the same
US20160199002A1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6688160B (zh) 用于确保电池驱动的对象、尤其是电动车的、非接触的充电过程/放电过程的方法和系统
JP6754314B2 (ja) 報知システム及び報知方法
US10084350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NL2011786C2 (en) Luggage item.
CN104346297A (zh) 操作移动装置的方法及其电子装置和计算机可读介质
KR102231877B1 (ko) 무선 충전 시 로드 변화 감지 방법 및 무선 전력 송신기
CN106164399B (zh) 无钥匙进入装置
KR20170095041A (ko) 낙상 알림과 응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낙상 알림 방법
CN113490968B (zh) 用来阻止中继攻击的数字钥匙和系统
KR101733731B1 (ko) 초음파 영상 디바이스 및 그의 제어 방법
CN106659384A (zh) 环形皮肤传感器
KR20160078711A (ko) 웨어러블 전자기기
JP2016013112A (ja) 計測装置、計測方法及び計測プログラム
CN110427104A (zh) 一种手指运动轨迹校准系统及方法
KR101741074B1 (ko) 차량 사고 녹화 장치 및 그것의 방법
JP6782184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及び車両制御方法
US20110295080A1 (en) Physiology Condition Detection Device and the System Thereof
US20200297316A1 (en) Wireless transducer charging for handheld ultrasound systems
US10362620B2 (en) Electronic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WO2017110543A1 (ja) 乗員情報取得システム
JP202205127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101856419B1 (ko) 개인 소지물건 분실방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