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049B1 - An interactive communication featured drone system - Google Patents
An interactive communication featured dron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4049B1 KR101724049B1 KR1020160121388A KR20160121388A KR101724049B1 KR 101724049 B1 KR101724049 B1 KR 101724049B1 KR 1020160121388 A KR1020160121388 A KR 1020160121388A KR 20160121388 A KR20160121388 A KR 20160121388A KR 101724049 B1 KR101724049 B1 KR 1017240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ones
- module
- control
- outputting
-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6854 communic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title abstract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7175 bidirectional communic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OWZREIFADZCYQD-NSHGMRRFSA-N deltamethrin Chemical compound CC1(C)[C@@H](C=C(Br)Br)[C@H]1C(=O)O[C@H](C#N)C1=CC=CC(OC=2C=CC=CC=2)=C1 OWZREIFADZCYQD-NSHGMRRF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RZVHIXYEVGDQDX-UHFFFAOYSA-N 9,10-anthraqui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O)C3=CC=CC=C3C(=O)C2=C1 RZVHIXYEVGDQD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5925 Dipter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87 Su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9 erad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6 wave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00—Dropping, ejecting, releasing or receiving articles, liquids, or the like, in fligh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17/00—Parachutes
- B64D17/80—Parachutes in association with aircraft, e.g. for braking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2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in aircraft; 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02—Aircraft characterised by the type or position of power plants
- B64D27/30—Aircraft characterised by electric power plants
- B64D27/35—Arrangements for on-board electric energy production, distribution, recovery or storage
- B64D27/353—Arrangements for on-board electric energy production, distribution, recovery or storage using solar ce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 or ligh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025/325—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specially adapted for helicopters
-
- B64C2201/141—
-
- B64C2201/146—
-
- B64D2211/00—
-
- B64D2700/62184—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1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autonomous, i.e. by navigating independently from ground or air stations, e.g. by using inertial navigation systems [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201/00—UAVs characterised by their flight controls
- B64U2201/20—Remot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통법규 위반, 중국 어선 불법 조업 및 각종 재난 지역에서 단속 및 재난 구조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에 신호 출력부 및 정보 입력부를 함께 설치함으로써, 단속 또는 구조 대상과의 실시간 의사소통을 통해 사건 현장의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서로 정확한 의사 전달을 통해 단속 또는 구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es system capable of two-way communication capable of carrying out an interception and disaster relief mission in violation of traffic regulations, illegal fishing operations of Chinese fishing vessels and various disaster areas,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on system having a signal output unit and an information input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on system capable of two-way communication capable of more accurately grasping the situation of an incident site through real-time communication with the interception or rescue object and enhancing the interception or rescue efficiency through accurate communication.
드론(Drone, 무인 비행기)은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이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모양의 군사용 무인항공기(UAV : unmanned aerial vehicle/uninhabited aerial vehicle)의 총칭이며,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드론은 교통단속, 재난구조업무, 항공촬영, 저고도 정찰수색, 경량화물운송 등에서 활용되고 있다.Drone (Drone) is a generic term for unmanned aerial vehicle (UAV) and helicopter-shaped airplanes capable of flying and manipulating by induction of radio waves without pilots. have. For example, drones are used in traffic control, disaster relief work, aerial photography, low-altitude reconnaissance search, and light cargo transportation.
교통단속에 이용하는 일례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4128호에는 입력된 목표 지점, 복귀 지점 및 정지비행 고도에 대한 비행 제어 정보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 비행하고, 교통 신호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교통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속도 위반 및 신호 위반을 단속하고, 위반 대상 차량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기 위한 무인 항공기; 및 상기 비행 제어 정보가 입력받아 상기 무인 항공기로 전송하고, 상기 무인 항공기의 비행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무선 제어하며, 상기 무인 항공기로부터 촬영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식 교통 단속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An example of the use of traffic control is as follows. In Korean Patent No. 10-1594128, automatic or manual flight i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flight control information about the inputted target point, return point and stopping flight altitude, An unmanned airplane for controlling a speed violation and a signal violation of a vehicle on the basis of the vehicle, photographing a violation target vehicle, and transmitting the photographed image; And a terminal for receiving the flight control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information to the unmanned airplane, automatically or manually controlling the flight of the unmanned airplane, and receiving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from the unmanned airplane, Lt; / RTI >
해상 구조에 이용하는 일례를 살펴보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72445호(해상 인명구조용 무인비행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73038호 (수상인명구조를 위한 에어백과 에어백 낙하장치를 갖춘 공중부양 비행로봇)을 살펴보면, 해양에서 드론에 에어백을 설치하여 인명을 구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Korean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16-0072445 (Unmanned Aerial Vehicle), Korean Patent No. 10-1373038 (Aerial Flotage with Airbag & Robot), there is disclosed a technique of installing an airbag in the drones in the ocean to rescue human life.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22516호에는 기체의 사방으로 다수의 아암이 구비되고, 각 아암에는 비행에 필요한 날개와 모터가 구비된 멀티로터형 무인비행기; 물에 빠진 조난자가 떠 있도록 부력을 가지며, 상부 양쪽에는 원호상으로 고정돌기 및 고정홈을 갖는 한 쌍의 고정부재가 구비된 튜브; 그리고 상기 기체 하부의 양쪽 다리마다 구비된 수평바에는 상기 각 고정부재의 고정돌기 및 고정홈과 맞물리도록 원호상으로 연결홈 및 연결돌기를 갖는 연결부재가 구비되는데, 상기 각 연결부재는 각각의 서보모터로 정역회전되고 상기 튜브가 자중에 의해 조난자에게 낙하되도록 한 무인비행기를 이용하며, 상기 고정부재들은 중앙으로 축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축구멍에 끼워지는 중심축이 상기 연결부재들의 중앙에 베어링을 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양쪽 다리들의 수평바마다 체결되는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연결부재가 놓이도록 상기 중심축의 상단이 고정되며, 상기 연결부재들은 위쪽으로 종동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고정되는 상기 서버모터들에는 상기 종동기어와 치합되는 구동기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기를 이용한 인명구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Als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22516 discloses a multi-rotor type unmanned airplan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arms on four sides of a gas, each arm having wings and a motor necessary for flight; A tube having buoyancy to float the victim in the water and having a pair of fixing members having fixing projections and fixing grooves on an arc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The horizontal bars provided on both leg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se include a connecting member having a connecting groove and a connecting protrusion in an arc shape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fixing protrusions and the fixing grooves of the fixing members, And the center of the fix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shaft hole and a center shaft fitted to the shaft hole is provided with a bearing at the center of the connecting members. The upper ends of the central shafts are fixed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s are placed inside the housing fastened to the horizontal bars of both legs. The connecting members are provided with a driven gear upwardly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Wherein the server motors are provided with a driving gear which is engaged with the driven gear. A life-saving device is disclosed using the same.
그러나 지금까지 단속 현장, 재난 구조, 인명 구조 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드론은 일방적으로 안내, 경고 방송만을 하거나, 영상 촬영과 같은 제한된 범위 내에서 상대방의 의사를 수신하기 때문에 현장 상황을 정확히 판단하기 어려웠고, 활용 범위 또한 매우 좁은 범위에 한정되어 활용되는 문제가 있어 왔고, 단속 또는 구조에 특화된 기능 강화, 자체 생존성 강화 및 자동 프로그램운용 등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However, until now, drone used in control site, disaster rescue, rescue site, etc. have been difficult to accurately judge the situation of the site because it is unilaterally guided, warning only, The range has also been limited to a very narrow range, and there has been a need for strengthening functions for self-regulation or structure, strengthening self-survival, and automatic program operation.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론에 신호 출력부 및 정보 입력부를 함께 설치함으로써, 단속 또는 구조 대상과의 실시간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건 현장의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쌍방간 정확한 의사 전달을 가능하게 지원함으로써 단속 또는 구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gnal output unit and an information input unit toge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ron system capable of two-way communication that can more accurately grasp the situation and enable accurate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parties, thereby enhancing the crackling or rescue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헥사콥터 이상의 드론을 채택하고 비상제어모듈을 설치함으로써, 사건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프로펠러 고장 등의 비상 상황에서도 정상적인 비행을 할 수 있도록 생존성이 향상된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a method for enabling two-way communication with improved survivability so that a normal flight can be carried out even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propeller breakdown that may occur at an incident site by adopting a drone of a hexacopter or more and installing an emergency control module Drones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어모듈을 통해 단속 또는 구조 대상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자동 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 패널 또는 충전 모듈이 구비된 통신중계기를 통해 장거리 비행 및 통신을 할 수 있는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flight control of a vehicle, To provide a two-way communicable drones system.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드론시스템은, 드론, 무선조정기 및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한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드론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적어도 6개의 프로펠러를 구비하되 상기 프로펠러들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해 작동중인 프로펠러들을 제어하여 정상 비행할 수 있게 하는 비상제어모듈을 구비한 제어부 및, 경고 또는 안내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와, 외부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부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로 구성하되, 시각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파를 출력하는 전파 발진부, 빛을 출력하는 광출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부는 드론 주변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로 구성하되,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또는 음성을 수신하는 입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외국인과도 쌍방향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음성 신호를 외국 언어로 번역하는 번역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드론, 무선조정기 및 사용자 단말기는 서로 무선접속하여 제어신호와 정보를 실시간 통신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모듈;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The dr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dron system capable of two-way communication including a dron, a wireless remote controller and a user terminal,
A control unit having an emergency control module having at least six propellers and controlling propellers operating in response to the failure of at least one of the propellers, And an input unit for receiving external information,
The out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speaker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a display panel for outputting a visual signal, a radio wave oscillating unit for outputting a radio wave, and an optic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light,
The in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photograph or an image,
At least one of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voice signal and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voice includes a translation module for translating a voice signal into a foreign language so as to enabl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a foreigner,
The drones, the wireless regulator, and the user terminal are each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connecting with each other and realizing communication of control signals and information in real time,
Wherein the user terminal displays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 의하면, 드론에 신호 출력부 및 정보 입력부를 함께 설치함으로써, 단속 대상과의 실시간 의사소통을 통해 단속 현장의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서로 정확한 의사 전달을 통해 단속 또는 구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drones system capable of two-way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drones are provided with the signal output unit and the information input unit, so that the situation of the control spot can be grasped more accurately through real- ,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terception or rescue through accurate communic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 의하면, 헥사콥터 이상의 드론을 채택하고 비상제어모듈을 설치함으로써, 사건 현장에서 불시에 발생할 수 있는 프로펠러 고장 등의 비상 상황에서도 정상적인 비행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rones system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opting the drones of hexacopters or more and installing the emergency control module, normal flight can be performed even i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propeller failure There is an eff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에 의하면, 제어모듈을 통해 단속 대상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자동 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광 패널 또는 충전 모듈이 구비된 통신중계기를 통해 장거리 비행 및 통신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drones system capabl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automatic flight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from the object to be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module, but also the long distance Flight and communication can be effected.
상기와 같은 기술을 통해 드론 자체의 생존성을 크게 강화시킬 수 있으며, 특정 목적을 부여할 경우 드론이 스스로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Through the above-described technique, the survival of the drone itself can be greatly enhanced, and the drone can be automatically operated by itself if a specific purpose is given.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solution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드론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드론에 낙하산 및 에어백 모듈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시스템에 통신중계기를 통해 드론이 제어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통신중계기에 드론이 안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components of a drones system capable of bidirection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one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parachute and an airbag module are mounted on the drone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one is controlled by a communication repeater to a dr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on is seated in a communication rep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속 범위는 지상과 해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지상에서 자동차 과속 등의 교통법규 위반이나, 해상에서의 중국 어선 불법 조업, 해안가 통제 지역에서의 낚시, 수영 등의 단속 등 협의의 단속 뿐만 아니라, 화재, 선박 침몰, 산악 지역에서의 실족, 추락, 길을 잃는 등의 재난 및 사고 발생시 정보 수집, 안내, 경고, 통제 등 방재 활동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조류 퇴치 등 야생 동물과 관련된 활동도 포함할 수 있다.First of all, the scope of the enforc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lude both ground and sea,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iolation of traffic regulations such as automobile speeding on the ground, illegal fishing of Chinese fishing vessels at sea, fishing in swimming- It may include disaster prevention activities such as information gathering, guidance, warning, and control in case of disasters and accidents such as fire, ship sinking, slip in mountain area, falling down, Furthermore, wildlife-related activities such as algae eradication may be inclu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드론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어부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단속용 드론 시스템은 크게 드론(100)과, 상기 드론(100)과 접속하여 비행을 제어하는 무선조정기(160)와, 상기 입력부(120)를 통해 얻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사용자 단말기(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드론(100)에는 경고 또는 안내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110)와, 외부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120)가 설치됨으로써, 드론 시스템을 운용하는 측과, 단속 또는 구조 대상자와의 상호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1 to 3, a drones system for intermittent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발명의 무선조정기(160)는 상기 드론(100)과 무선 접속하여 드론의 비행 및 이착륙 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사용자 단말기(170)에서 디스플레이하는 정보는 음성 정보, 영상 정보, 비행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피커를 구비한 터치 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상기 드론(100), 무선조정기(160) 및 사용자 단말기(170)에는 서로 무선접속하여 제어신호와 정보를 실시간 통신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모듈(131, 161, 171)을 각각 구비한다.The
각 무선통신모듈(131, 161, 171)은 음성 송수신에는 400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5km 이내의 음성 송출 거리를 가지며, 드론 조정을 위해서는 2.4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2km 이내의 조정범위를 가지고, 영상 송수신에는 5.8Ghz 대역의 주파수를 활용하여 2km 이내의 수신 거리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Each of the
그리고 상기 무선통신모듈(131, 161, 171)은 드론이 조정범위를 초과하여 비행하는 경우, 자동으로 LTE기저대역으로 자동변조되도록 하여 드론의 장거리 무선 조정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drones fly over the adjustment range, the
본 발명의 드론(100)은 6개 이상의 프로펠러(101)를 구비하는 헥사콥터, 옥토콥터 등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6개 이상의 어느 하나의 프로펠러가 작동하지 않는 상황에서도 나머지 프로펠러만으로 균형을 잃지 않고 비행할 수 있도록 비상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날개가 6개 미만이면 비상시 동체 균형을 잡기가 매우 어렵고 자세제어 장치는 더욱 커지기 때문에 사건 현장에서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상황 통제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The
이러한 비상 제어를 위해 상기 드론에는 상기 프로펠러들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해 작동중인 프로펠러들을 제어하여 정상 비행할 수 있게 하는 비상제어모듈(132)을 구비한 제어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3축 자일로 등을 통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The dron further includes a
그리고 상기 드론(100)은 운용시간의 극대화 및 생존성 강화를 위해 경량화 및 강도가 향상된 카본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염분이 많은 해상 및 장마 등 악천후에 드론이 자주 노출되는 경우 알루미늄이나 철 등 금속은 표면이 부식되는 결과를 가져오고 결과적으로 내구성 및 안전성에서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상기 드론(100)에는 비행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충전식 배터리팩(105)과, 착륙시 지면에 접촉하는 착륙용 받침대(103)가 마련됨으로써 사건 현장에서 자체적으로 충전하여 다시 활동할 수 있도록 하여 단속 또는 구조시 현장 상황을 끊기지 않고 송수신하도록 지원함으로써 신속한 사건해결을 가능하게 지원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출력부(110)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111)와, 시각 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13)과, 전파를 출력하는 전파 발진부(115)와, 빛을 출력하는 광출력장치(117)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The
상기 스피커(111)는 지향성 스피커를 사용하여 음성 신호의 의미를 보다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3)은 시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서, 터치 패널 또는 LED 모듈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The
상기 시각 신호는 단속 대상인 운전자 등에 대한 경고 또는 명령의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안내하는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기호, 문자, 도형, 사진 및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The time signal is for delivering a visual warning of a warning or a command message to the driver or the like to be interrupted, and may b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symbols, letters, figures, photographs and images.
구체적으로, 상기 기호는 단속 대상인 차량을 갓길에 정차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화살표 "→" 또는 선박의 엔진을 정지하도록 경고하는 "×" 등인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상기 문자는 "정차" 또는 "엔진 정지"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호와 문자 등은 조합하여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시각적 표시와 함께 음성을 통해 단속 차량 운전자에게 일정한 행위를 병행 요구함으로써 고속도로에서의 사고를 방지하면서 안전하게 단속활동을 할 수 있게 지원한다.Specifically, the symbol may be an arrow "", which can lead a vehicle to be controlled to stop on the shoulder, or" X ", which warns the ship to stop the engine, Quot; stop "and the like, and these symbols and characters can be combined and displayed together. Interviews with visual displays and voice calls to the driver of the vehicle by asking for certain activities in parallel to prevent accidents on the highway, and to help control the activities of safety.
상기 시각 신호가 화살표와 같은 기호인 경우에는 터치 패널보다는 강한 빛을 방출할 수 있는 LED 모듈에서 시각 신호를 구현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When the time signal is a symbol like the arrow, it is more preferable to implement the time signal in the LED module capable of emitting stronger light than the touch panel.
상기 전파 발진부(115)는 단속 대상인 조류, 야생동물, 해충 등을 퇴치할 수 있도록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비행장에서의 여객기 이착륙시 문제되는 조류의 충돌을 사전 예방할 수 있으며, 멧돼지 등 농촌에서 크게 문제되고 있는 야생동물이나, 여름철 모기 등을 퇴치할 수 있다. The radio
상기 광출력장치(117)는 빛을 방사하여 야간에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해주는 조명 역할은 물론, 빛의 장단을 이용하여 모스 부호 등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The
본 발명의 입력부(120)는 단속자와 단속 대상과의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하도록 정보를 입력하게 해 주는데,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121)와, 드론 주변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12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The
상기 카메라(121)는 사진, 영상 등을 촬영하여 단속 대상 차량, 선박 등의 움직임을 파악하는 한편, 운전자 등의 수신호, 동작 등을 통해 쌍방향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으로서, 적외선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The
상기 마이크(123)는 단속 또는 구조 대상인 자동차 운전자, 조난자 등과 음성으로 대화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The
그리고 출력부(110)의 디스플레이 패널(113)에서 단속자의 실시간 영상이 송출되고, 입력부(120)의 카메라(121)를 통해 운전자를 촬영하는 경우, 단속자와 운전자는 서로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 소통을 할 수 있게 된다.When a real-time image of a driver is sent out from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신호의 출력부(110)와 함께 정보의 입력부(120)를 함께 운용하도록 설계함으로써, 단속 또는 구조 대상과의 실시간 의사소통을 통해 단속 현장의 상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서로 정확한 의사 전달을 통해 단속 또는 구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designing to operate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110) 또는 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외국인과도 쌍방향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음성 신호를 외국 언어로 번역하는 번역 모듈(133)을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상기 번역 모듈(133)은 스마트폰 통역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할 수 있는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1621호에 개시된 통역 시스템인 것을 예시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우리나라 공해상에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중국 불법 어선들을 단속하는게 매우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예를 들어, 상기 번역 모듈(133)에서는 마이크(123)를 통해 중국 선원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기(170)에서 우리나라 말로 번역해 음성 또는 문자로 출력할 수 있고, 해양 경찰이 사용자 단말기(170) 등에 마련된 마이크를 통해 음성 신호를 송출하면 드론(100)에 마련된 스피커(111)에서 중국어로 번역, 출력하게 된다.For example, in the
한편, 상기 드론(100)에 탑재된 제어부(130)에는 상기 무선조정기(160)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비행하는 수동 비행 모드(134a)와, 자동으로 비행하도록 하는 자동 비행 모드(134b)가 입력된 제어 모듈(134)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예를 들어, 해상에서 중국어선을 단속하는 경우, 통제실이 마련된 육지, 또는 선박에서 드론(100)을 단속 지역으로 날려보내게 되는데, 드론(100)이 이륙하는 시점에서부터 단속 대상인 중국어선을 찾을 때까지는 무선조정기(160)를 이용하여 수동 비행 모드(134a) 상태에서 비행하고, 중국어선을 발견한 시점부터는 상기 제어 모듈(134)을 통해 자동 비행 모드(134b)로 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Chinese line is intercepted at sea, a drones (100) are blown off from the land where the control room is provided or from the ship to the control area. When the drone (100) May fly in the
상기 자동 비행 모드(134b)를 구현하기 위해, 상기 드론(100)에는 레이저 거리측정기(106)가 설치되어야 하며, 단속 대상인 중국어선과의 거리 측정이 필요하다.In order to implement the
또한, 사용자 단말기(170)의 터치 패널에 표시된 영상의 단속 대상을 터치하면, 상기 제어 모듈(134)에서는 레이저 거리측정기(106)로 하여금 단속 대상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거리를 측정함과 동시에 상기 드론(100)이 레이저가 반사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유도한다. 따라서 상기 드론(100)은 단속 대상인 중국어선과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추적하는 자동 비행 모드(134b)로 비행하게 된다.When the user touches the object to be interrupted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panel of the
그러나 레이저 방식 외에도 적외선 유도방식, 레이더 유도방식, 이미지 추적방식 등ㅇ을 채용하여 단속 대상을 자동으로 추적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However, in addition to the laser system, infrared ray induction system, radar guidance system, image tracking system, etc. can be adopted to automatically track the objects to be controlled.
또한, 상기 제어 모듈(134)은 배터리팩(105)에 남아 있는 전력과 드론과 통제실까지의 거리를 계산하여 배터리가 방전되기 전에 드론(100)이 미리 설정된 위치로 회항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충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건 현장에서 드론의 자체 생존성을 크게 높이고 사건 해결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The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배터리팩(105)을 비행 중 충전할 수 있도록 드론(100) 상면에 태양광 패널(140)과, 충전모듈(141)을 설치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현재 드론(100)은 비행시간 및 비행거리가 짧고, 원거리 비행을 위해서는 고가의 드론이 필요한데, 상기 태양광 패널(140) 및 충전모듈(141)을 설치함으로써 비행 거리 및 시간을 현저히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상기 무선충전 기술과 같이 활용시 기상 상태와 무관하게 생존성이 크게 증가된 드론 운용이 가능하다. The
도 4는 본 발명의 드론에 낙하산 및 에어백 모듈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parachute and an airbag module are mounted on the dron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드론(100)의 하부에는 에어백 모듈(145)이 설치된 한 쌍의 착륙용 받침대(103)가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4 together, a pair of landing cradles 103 equipped with an
상기 에어백 모듈(145)은 추락 또는 정상 비행이 어려울 때 탄성 또는 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작동 기체를 공급하는 작동기체 팽창장치(146) 및, 상기 작동 기체가 공급되면 팽창하는 에어백(147)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The
상기 에어백 모듈(145)은 특히 해상에서 단속 임무를 수행할 때 배터리 부족, 기체 파손 등의 다양한 이유로 드론이 추락할 경우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The
그리고 상기 에어백 모듈(145)에는 배터리 부족, 기체 파손 등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작동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드론 내부의 전기 배선, 전기 회로 등은 해수가 침투되지 않도록 방수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한편, 에어백 모듈(145)과 함께 드론(100)의 상부에는 낙하산(109)을 설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드론(100)이 회전하면서 추락하는 경우 드론 상부 먼저 지면에 닿게 되면 하부의 에어백 모듈(145)은 충격 흡수에 도움이 되지 못하는데, 이 경우 상기 낙하산(109)은 추락 속도를 줄여줌으로써, 드론을 효율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When the
그리고 제어부(130)에는 드론이 해상에서 추락하는 경우에는 에어백 모듈(145)만 작동하도록 하고, 지상에서 추락하는 경우에는 낙하산(109)만 작동하도록 입력된 스위칭 모듈(135)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제어 모듈(134)에는 상기 에어백 모듈(145)과, 상기 낙하산(109)이 동시에 작동하도록 제어한다.The
상기 드론(100)은 비상 착륙 또는 추락시 자기 위치를 외부로 자동 발신하는 전파추적기(107) 또는 GPS 모듈(136)을 탑재함으로써, 드론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드론 시스템에 통신중계기를 통해 드론이 제어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블럭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통신중계기에 드론이 안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FIG.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one is controlled by a communication repeater in the dro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drone is seated in the communication repe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무선조정기(160)에 의해 육지에서도 원거리 해상의 드론(100)을 조정하고 입출력 정보를 원활하게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해상에 설치하는 통신중계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5 and 6,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repeater 15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 relay ") 150 installed in the sea so as to smoothly transmit and receive I / O information by adjusting the
일반적으로 드론(100) 조정을 위해서는 2.4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데, 이 경우 조정 거리는 2km 내외로 제한되는데, 이 경우 원거리 비행을 위해서 상기 통신중계기(150)가 필요하다.In general, the frequency of the 2.4 GHz band is used for the adjustment of the
그리고 상기 통신중계기(150)는 크게 부력 몸체(151)와, 송수신 중계모듈(153), 닻(155)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부력 몸체(151)는 고무 튜브나, 합성수지 발포 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상기 송수신 중계모듈(153)은 부력 몸체(151)에 설치되며, 지상 또는 선박의 통제실, 무선조정기(160), 사용자 단말기(170)와, 드론(100)을 무선 접속시켜주는 역할을 한다.The transmission /
상기 닻(155)은 상기 부력 몸체(151)를 해상에서 수중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상기 부력 몸체(151)는 상기 드론(100)이 착륙할 수 있는 착륙 공간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드론(100)의 배터리팩(105)을 무선 충전할 수 있는 충전 모듈(152)이 내부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이때 해상에서 단속 임무를 수행하는 드론(100)의 배터리가 부족해지면, 상술한 제어 모듈(134)의 자동 비행 모드(134b)를 통해 부력 몸체의 착륙 공간으로 회항할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battery of the
상기 통신중계기(150)에는 해상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수단(157)을 더 구비할 수 있다. The
상기 이동 수단(157)은 수상 모터인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무선조정기(160)로 수동 조정되거나, 미리 정해진 경로를 자동 주행하도록 입력된 제어 모듈(158)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ving means 157 may be a water motor, and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module 158 that is manually adjusted by th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드론 101 : 프로펠러
103 : 받침대 105 : 충전식 배터리팩
106 : 레이저 거리측정기 107 : 전파추적기
109 : 낙하산 110 : 출력부
111 : 스피커 113 : 디스플레이 패널
115 : 전파 발진부 117 : 광출력장치
120 : 입력부 121 : 카메라
123 : 마이크 130 : 제어부
131 : 무선통신모듈 132 : 비상제어모듈
133 : 번역 모듈 134 : 제어모듈
134a : 수동 비행 모드 134b : 자동 비행 모드
135 : 스위칭 모듈 136 : GPS 모듈
140 : 태양광 패널 141 : 충전모듈
145 : 에어백 모듈 146 : 작동기체 팽창장치
147 : 에어백 150 : 통신중계기
151 : 부력 몸체 152 : 충전 모듈
153 : 송수신 중계모듈 155 : 닻
157 : 이동 수단 158 : 제어모듈
160 : 무선조정기 161 : 무선통신모듈
170 : 사용자 단말기 171 : 무선통신모듈100: Drones 101: Propeller
103: pedestal 105: rechargeable battery pack
106: laser range finder 107: radio tracker
109: Parachute 110: Output section
111: speaker 113: display panel
115: radio wave oscillation unit 117: optical output device
120: input unit 121: camera
123: microphone 130:
131: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32: emergency control module
133: Translation module 134: Control module
134a:
135: switching module 136: GPS module
140: solar panel 141: charging module
145: airbag module 146: working gas expansion device
147: air bag 150: communication repeater
151: Buffer body 152: Charging module
153: Transmission / reception relay module 155: Anchor
157: moving means 158: control module
160: wireless remote controller 161: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70: User terminal 171: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laims (8)
상기 드론은 적어도 6개의 프로펠러를 구비하되 상기 프로펠러들 중 적어도 하나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해 작동중인 프로펠러들을 제어하여 정상 비행할 수 있게 하는 비상제어모듈을 구비한 제어부 및, 경고 또는 안내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출력부와, 외부정보를 수신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부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로 구성하되, 시각신호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전파를 출력하는 전파 발진부, 빛을 출력하는 광출력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부는 드론 주변의 음성을 수신하는 마이크로 구성하되, 사진 또는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또는 음성을 수신하는 입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외국인과도 쌍방향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음성 신호를 외국 언어로 번역하는 번역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드론, 무선조정기 및 사용자 단말기는 서로 무선접속하여 제어신호와 정보를 실시간 통신할 수 있도록 무선통신모듈;을 각각 구비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1. A two-way communicable drones system comprising a drones, a radio coordinator and a user terminal,
A control unit having an emergency control module having at least six propellers and controlling propellers operating in response to the failure of at least one of the propellers, And an input unit for receiving external information,
The out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speaker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a display panel for outputting a visual signal, a radio wave oscillating unit for outputting a radio wave, and an optical output unit for outputting a light,
The input unit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photograph or an image,
At least one of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voice signal and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voice includes a translation module for translating a voice signal into a foreign language so as to enabl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with a foreigner,
The drones, the wireless regulator, and the user terminal are each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for wirelessly connecting with each other and realizing communication of control signals and information in real time,
Wherein the user terminal is configured to display information received via an input unit.
상기 드론에는 비행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조정기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비행하는 수동 비행 모드와, 자동으로 비행하도록 하는 자동 비행 모드가 입력된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ones are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flight,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ontrol module to which a manual flight mode in which the controller manually flies using the wireless regulator and an automatic flight mode in which the controller automatically flies the controller are input.
상기 드론에는 레이저 거리측정기가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신된 영상을 표시하는 터치 패널로 구성되어,
상기 터치 패널에 표시된 영상의 단속 대상을 터치하면, 상기 제어부는 레이저 거리측정기로 하여금 단속 대상과의 거리를 측정함과 동시에 상기 단속 대상과 드론은 소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추적 비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모듈을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aser distance meter is installed on the drones,
Wherein the user terminal comprises a touch panel for displaying an image received through the camera,
When the user touches the object to be interrupted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panel,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laser distance meter to measure the distance to the object to be interrupted, and to control the control object Wherein the drone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상기 드론 상부면에는 배터리팩과, 상기 배터리팩을 충전할 수 있는 태양광 패널 및 충전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dron further comprises a battery pack, a solar panel capable of charging the battery pack, and a charging module.
상기 드론의 하부에는 한 쌍의 착륙용 받침대가 설치되며,
상기 착륙용 받침대에는 에어백 모듈이 각각 설치되되,
상기 에어백 모듈은 추락 또는 정상 비행이 어려울 때 탄성 또는 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작동 기체를 공급하는 작동기체 팽창장치 및, 상기 작동 기체가 공급되면 팽창하는 에어백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air of landing cradles are install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drones,
Wherein the landing cradle is provided with an airbag module,
Wherein the airbag module comprises an operating gas expander for supplying an operating gas to provide elasticity or buoyancy when it is difficult to fall or a normal flight and an airbag that expands when the operating gas is supplied Dron system.
상기 드론 상부에는 낙하산이 더 설치되되, 상기 에어백 모듈과, 상기 낙하산이 동시에 작동하도록 입력된 제어모듈이 더 포함되며,
상기 드론이 비상 착륙 또는 추락시 자기 위치를 외부로 자동 발신하는 전파추적기 또는 GPS 모듈을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쌍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드론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drones further include a parachute, wherein the airbag module and the control module are input to allow the parachute to operate simultaneously,
Wherein the drones are equipped with a radio tracker or a GPS module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the self-position to the outside when the drones are in an emergency landing or fall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1388A KR101724049B1 (en) | 2016-09-22 | 2016-09-22 | An interactive communication featured dron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1388A KR101724049B1 (en) | 2016-09-22 | 2016-09-22 | An interactive communication featured drone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24049B1 true KR101724049B1 (en) | 2017-04-06 |
Family
ID=58583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1388A Active KR101724049B1 (en) | 2016-09-22 | 2016-09-22 | An interactive communication featured drone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24049B1 (en)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820198A (en) * | 2018-07-10 | 2018-11-16 | 开封市宝琳机械有限公司 | Multifunctional rescue robot based on eight-rotary wing aircraft |
KR101923314B1 (en) * | 2017-06-21 | 2018-11-28 | 정웅연 | Unmanned air wehicle for tunnel structure investigation, and system using the same |
CN109204799A (en) * | 2018-09-30 | 2019-01-15 | 江苏省生态环境评估中心(江苏省排污权登记与交易管理中心) | The original place gas-dynamic monitoring device and its application method of reconnaissance are transported and visualized based on unmanned plane |
KR20190087058A (en) * | 2018-01-16 | 2019-07-24 |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Unmanned 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
KR102042050B1 (en) * | 2018-06-08 | 2019-11-07 | (주) 다음기술단 | Apparatus for Inspection and Crackdown Vehicle Using Drone |
CN110924341A (en) * | 2019-12-20 | 2020-03-27 | 烟台海德专用汽车有限公司 | A garbage cleaning system, cleaning equipment and cleaning method |
CN113534195A (en) * | 2020-04-20 | 2021-10-22 | 孙丽 | Tracking and positioning device for lost unmanned aerial vehicle |
CN115367127A (en) * | 2022-08-24 | 2022-11-22 | 湖南省蓝鹰科技有限公司 | A drone with positioning function |
CN117775341A (en) * | 2024-02-28 | 2024-03-29 | 利华兴业(大连)新能源有限公司 | A battery replacement device for drone |
KR102723408B1 (en) * | 2024-02-21 | 2024-10-29 | (주) 원탑이엔씨 | Command delivery system for operating payload in commercial drones where software modification is not possible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3038B1 (en) | 2012-12-27 | 2014-03-11 | 김영진 | For water rescue levitation flying robot equipped with airbags and airbag dropping device |
KR101522516B1 (en) | 2015-01-04 | 2015-05-21 | 최종필 | The life-saving apparatus using drones |
KR101594128B1 (en) | 2015-08-27 | 2016-02-15 | (주)삼성정보통신 | A movable system for enforcing traffic |
KR20160020828A (en) * | 2014-08-14 | 2016-02-24 | 노은경 | Flight record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20160071027A (en) * | 2014-12-11 | 2016-06-21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The capture device is equipped with unmanned flight system and Capture method using the same |
KR20160072445A (en) | 2014-12-15 | 2016-06-23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Drone for saving a life on the sea |
US9384668B2 (en) * | 2012-05-09 | 2016-07-05 | Singularity University | Transportation using network of unmanned aerial vehicles |
KR20160103586A (en) * | 2015-02-24 | 2016-09-02 | 주식회사 공간정보 |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For Broadcasting Distress Research And Emergency Guide |
-
2016
- 2016-09-22 KR KR1020160121388A patent/KR10172404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384668B2 (en) * | 2012-05-09 | 2016-07-05 | Singularity University | Transportation using network of unmanned aerial vehicles |
KR101373038B1 (en) | 2012-12-27 | 2014-03-11 | 김영진 | For water rescue levitation flying robot equipped with airbags and airbag dropping device |
KR20160020828A (en) * | 2014-08-14 | 2016-02-24 | 노은경 | Flight recording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20160071027A (en) * | 2014-12-11 | 2016-06-21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The capture device is equipped with unmanned flight system and Capture method using the same |
KR20160072445A (en) | 2014-12-15 | 2016-06-23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Drone for saving a life on the sea |
KR101522516B1 (en) | 2015-01-04 | 2015-05-21 | 최종필 | The life-saving apparatus using drones |
KR20160103586A (en) * | 2015-02-24 | 2016-09-02 | 주식회사 공간정보 |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For Broadcasting Distress Research And Emergency Guide |
KR101594128B1 (en) | 2015-08-27 | 2016-02-15 | (주)삼성정보통신 | A movable system for enforcing traffic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3314B1 (en) * | 2017-06-21 | 2018-11-28 | 정웅연 | Unmanned air wehicle for tunnel structure investigation, and system using the same |
KR20190087058A (en) * | 2018-01-16 | 2019-07-24 |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Unmanned 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
KR102058055B1 (en) * | 2018-01-16 | 2020-01-22 |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 Parking Control System Using Unmanned 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
KR102042050B1 (en) * | 2018-06-08 | 2019-11-07 | (주) 다음기술단 | Apparatus for Inspection and Crackdown Vehicle Using Drone |
CN108820198A (en) * | 2018-07-10 | 2018-11-16 | 开封市宝琳机械有限公司 | Multifunctional rescue robot based on eight-rotary wing aircraft |
CN109204799A (en) * | 2018-09-30 | 2019-01-15 | 江苏省生态环境评估中心(江苏省排污权登记与交易管理中心) | The original place gas-dynamic monitoring device and its application method of reconnaissance are transported and visualized based on unmanned plane |
CN109204799B (en) * | 2018-09-30 | 2023-11-10 | 生态环境部南京环境科学研究所 | In-situ gas dynamic monitoring device based on drone transportation and visual point selection and its use method |
CN110924341A (en) * | 2019-12-20 | 2020-03-27 | 烟台海德专用汽车有限公司 | A garbage cleaning system, cleaning equipment and cleaning method |
CN113534195A (en) * | 2020-04-20 | 2021-10-22 | 孙丽 | Tracking and positioning device for lost unmanned aerial vehicle |
CN115367127A (en) * | 2022-08-24 | 2022-11-22 | 湖南省蓝鹰科技有限公司 | A drone with positioning function |
KR102723408B1 (en) * | 2024-02-21 | 2024-10-29 | (주) 원탑이엔씨 | Command delivery system for operating payload in commercial drones where software modification is not possible |
CN117775341A (en) * | 2024-02-28 | 2024-03-29 | 利华兴业(大连)新能源有限公司 | A battery replacement device for dron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4049B1 (en) | An interactive communication featured drone system | |
US11891158B2 (en) | Unmanned aerial vehicle search and rescue system | |
US11814173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 |
US10668997B2 (en) | Unmanned aerial vehicle search and rescue system | |
CN203753400U (en) | Unmanned scouting and rescuing aircraft for fire fighting | |
CN105517664B (en) | Unmanned vehicle docking system and method | |
US7611092B2 (en) | Internet linked environmental data collection system and method | |
JP6445510B2 (en) | Unmanned air transport storage device, vehicle, and method for storing unmanned air transport | |
US20200287619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pilotless device | |
JP2018177135A (en) | Drone sharing service platform | |
US12227274B2 (en) | Unmanned aerial vehicle search and rescue system | |
CN205386298U (en) | Two detecting device's fire control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 |
WO2009153588A1 (en) | Compact unmanned aerial vehicle | |
RU2698893C1 (en) | Search and rescue method | |
RU2381959C1 (en) | Aircraft system of rescue operations support | |
JP2019053765A (en) | System and method for UAV docking | |
CN212935938U (en) | Water area emergency rescue command system | |
CN105717919B (en) | A kind of scenic spot tour guide's salvage system based on dirigible | |
JP6393157B2 (en) | Spacecraft search and recovery system | |
KR101668640B1 (en) | Unmanned air vehicle for Rescue request using mobile phone | |
RU2723201C1 (en) | Aircraft-type unmanned aerial vehicle for detection of missing person | |
KR20120036684A (en) | An intelligent aviation robot using gps | |
CN107908163A (en) | A kind of unmanned plane Reconnaissance system based on unmanned naval vessels | |
KR20190102487A (en) | Drone containment and method using marine light buoy | |
CN109835473A (en) | A kind of micro-unmanned airborne real time monitoring reconnaissance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9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3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124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1112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