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23171B1 - 버너 - Google Patents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171B1
KR101723171B1 KR1020160119423A KR20160119423A KR101723171B1 KR 101723171 B1 KR101723171 B1 KR 101723171B1 KR 1020160119423 A KR1020160119423 A KR 1020160119423A KR 20160119423 A KR20160119423 A KR 20160119423A KR 101723171 B1 KR101723171 B1 KR 101723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se body
coupled
ring
bur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베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베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베아
Priority to KR1020160119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171B1/ko
Priority to CN201710840380.3A priority patent/CN107842852B/zh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2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solely by flame
    • F24C3/027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0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 F24C3/103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of electric igni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2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4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18Liquid-fuel supply arrangements forming parts of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5/0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 F24C5/20Stoves or ranges for liquid fuels with special adaptation for travelling, e.g.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버너헤드부를 통해 화력을 제공하는 버너에 있어서, 베이스바디; 상기 베이스바디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타공이 형성되는 빈 통 형상의 사이드바디부; 상기 사이드바디부의 결합위치를 고정시키며, 상기 버너헤드부의 상측에 피가열체가 안착 지지되게 하는 받침레그부; 및 상기 버너헤드부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유닛;을 포함하는 버너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버너{BURNER}
본 발명은 캠핑 등의 야외 활동을 하면서 취사를 위해 사용하는 버너에 관한 것이다.
버너는 일반적으로 가스나 액체 연료에 대한 연소 기구로서 연료와 공기를 혼합한 후 이를 분사하여 연소시킴으로써 취사 등에 필요한 화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런 버너는 화력이 발생하는 헤드부의 직경에 따라 대구경, 소구경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종래 버너의 바디는 수용 공간을 갖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가열 과정에서 음식물의 국물 등이 바디 내부에 튀거나 그 밖의 버너의 사용에 따라 오염 이물질이 바디 내부에 고착되는 것에 대해 청소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구경 헤드를 채택한 버너는 화력을 집중시키기 어렵고, 헤드와 연료가 분사되는 노즐 사이의 간격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며, 분사되는 연료에 혼합되는 공기가 충분하게 유입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파크가 발생되는 점화프러그의 전극부는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물리적인 충격 등에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이유로 쉽게 고장나거나 예측할 수 없는 안전 사고에 대한 위험을 증가시켰다. 또한, 버너의 헤드가 대구경인 경우 버너가 차지하는 부피가 커져 휴대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2112 (등록일자 2013년 7월26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9493 (등록일자 2015년 8월27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6151 (등록일자 2012년 2월27일)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2975 (등록일자 2012년 10월5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 후 바디 내부에 묻은 오염 이물질에 대한 청소 등의 유지 관리가 용이한 버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손상되기 쉬운 플러그유닛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버너가 차지하는 부피를 최소화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특히 대구경의 버너헤드를 갖는 버너에 대해 그 화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버너헤드부를 통해 화력을 제공하는 버너에 있어서, 베이스바디; 상기 베이스바디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타공이 형성되는 빈 통 형상의 사이드바디부; 상기 사이드바디부의 결합위치를 고정시키며, 상기 버너헤드부의 상측에 피가열체가 안착 지지되게 하는 받침레그부; 및 상기 버너헤드부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유닛;을 포함하는 버너를 제공한다.
상기 사이드바디부는 원통 형상을 갖는 사이드바디; 및 상기 사이드바디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사이드바디부의 상기 결합위치를 구속하는 바디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레그부는 레그플레이트; 상기 레그플레이트에 고정 결합되고 일단에 구속돌편이 형성되는 높이플레이트; 및 상기 높이플레이트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받침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링은 상기 사이드바디와 결합되는 제1링; 및 상기 구속돌편이 통과하는 홈과, 상기 홈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링에서 내측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바디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플러그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유닛은 점화플러그; 및 스파크가 발생하는 상기 점화플러그의 일 단부를 에워싸도록 결합되는 플러그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플레이트는 일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받침레그부와 결합되는 결합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면에 결합되는 점화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화스위치는 상기 베이스바디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힌지 회동할 수 있다.
상기 버너헤드부는 복수 개의 화구가 형성되는 접시 형상의 헤드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플레이트는 바닥면이 상기 베이스바디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료공급유닛은 상기 베이스바디의 상면에 배치되는 너트형노즐부; 및 상기 너트형노즐부의 상측에 배치되되,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개구면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형노즐부의 상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벤츄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는 바디를 베이스바디와 이에 착탈 가능한 사이드바디부로 각각 분리 형성하여 사후 바디 내부에 묻은 오염 이물질에 대한 청소 등이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플러그유닛에서 스파크가 발생하는 부분을 외부 충격 등의 물리적 작용에 대해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점화스위치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특히 대구경의 버너헤드를 갖는 버너에 대해 그 화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이드바디부에 대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사이드바디부가 착탈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플러그유닛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
도 6은 도 1의 연료공급유닛 중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이드바디부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사이드바디부(20)가 착탈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는 베이스바디(10), 사이드바디부(20), 받침레그부(30), 연료공급유닛(40), 버너헤드부(50), 플러그유닛(60), 점화스위치(70), 지지레그부(80) 등을 포함한다.
베이스바디(10)는 금속 재질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버너의 주요 구성 요소에 대한 배치 설계를 함에 있어 그 기준이 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바디(10)는 원형의 얇은 플레이트 형상이고, 휨 변형 등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단차를 갖는 음각부가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바디(10)의 테두리에는 사이드바디부(20)가 안착되는 링홈부(11)가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바디(10)에는 연료공급유닛(40), 플러그유닛(60), 점화스위치(70), 지지레그부(80) 등이 배치 결합될 수 있도록 각 구성 요소에 적합한 형상의 결합타공이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바디부(20)는 베이스바디(10)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타공(23)이 형성되는 빈 통 형상을 갖는다. 즉, 종래 버너의 바디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던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는 분리형 바디를 채택하였다. 그 결과, 버너의 사용에 따라 바디 내부에 묻는 오염 이물질에 대한 청소 등의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구체적으로 사이드바디부(20)는 원통 형상을 갖는 사이드바디(21)와 사이드바디(21)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며 사이드바디부(20)의 결합위치를 구속하는 바디링(22)을 포함한다. 베이스바디(10)에 사이드바디(21)가 결합되면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이드바디(21)는 바람막이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타공(23)을 통해 내외부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순환될 수 있도록 하여 방열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디링(22)은 사이드바디(21)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는 제1링(22a)과 제1링(22a)에서 내측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링(22b)을 포함한다. 즉, 제1링(22a)과 제2링(22b)은 상호 수직 관계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링(22a)은 사이드바디(21)의 상단이 삽입되면서 끼워지면 그 접촉되는 면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그 위치가 쉽게 변경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사이드바디(21)에 고정 결합된다. 또한, 제2링(22b)에는 사이드바디부(20)를 베이스바디(10)로부터 착탈시킬 때 받침레그부(30)에 형성되는 후술할 구속돌편(35)이 통과하는 홈(25)과 홈(25)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고정돌기(26)가 형성된다.
받침레그부(30)는 사이드바디부(20)의 결합위치를 고정시키고 버너헤드부(50)의 상측에 피가열체가 안착 지지되게 한다. 그리고, 이런 받침레그부(30)는 레그플레이트(31)와, 레그플레이트(31)에 고정 결합되고 일단에 구속돌편(35)이 형성되는 높이플레이트(32) 및 높이플레이트(32)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받침플레이트(33)를 포함한다.
받침레그부(30)는 피가열체의 안정적인 안착을 위해 예를 들어, 삼발이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레그플레이트(31)는 스크류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통해 받침레그부(30)가 베이스바디(1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높이플레이트(32)는 레그플레이트(31)의 상면과 피가열체 사이에 이격 공간 즉, 미리 설정되는 높이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높이플레이트(32)에 형성되는 구속돌편(35)은 사이드바디부(20)가 베이스바디(1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사이드바디부(20)를 락킹시킨다. 따라서, 사이드바디부(20)를 베이스바디(10)로부터 탈착시키고자 할 때에는 먼저 락킹을 해제하는 과정이 선행된다. 또한, 높이플레이트(32)에는 받침플레이트(33)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미도시)가 더 형성된다.
받침플레이트(33)는 힌지 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그 결과, 받침플레이트(33)는 펼쳐질 때 스토퍼에 의해 제한되는 최대 위치에서 피가열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받침플레이트(33)는 사이드바디부(20)가 베이스바디(10)에 장착되거나 탈착될 때 사이드바디부(20)가 받침레그부(30)를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받침플레이트(33)는 각각 회동하여 전체적으로 오므려진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사이드바디부(20)를 베이스바디(10)에 장착할 때, 구속돌편(35)에 대응하는 홈(25)의 위치가 정렬되도록 사이드바디부(20)의 결합 위치를 조정한 후, 그 결합 방향으로 사이드바디부(20)를 이동시켜 사이드바디부(20)가 베이스바디(10)의 링홈부(11)에 수용되도록 한다. 그 다음, 고정돌기(26)가 구속돌편(35)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사이드바디부(20)를 회전시킨다.
이 때, 고정돌기(26)가 구속돌편(35)에 걸려 사이드바디부(20)의 회동이 제한되면 회전 방향으로 더 가압하여 고정돌기(26)가 일시적인 탄성 변형에 의해 구속돌편(35)을 지나갈 수 있도록 한다. 그 결과, 사이드바디부(20)는 구속돌편(35)에 의해 락킹된다. 한편, 락킹을 해제하는 방법은 전술한 락킹의 역순으로 진행되는 바,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도 1의 플러그유닛(60)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러그유닛(60)은 베이스바디(10)의 상면에 고정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플러그유닛(60)은 점화플러그(62)와 스파크가 발생하는 점화플러그(62)의 일 단부를 에워싸도록 결합되는 플러그플레이트(63)를 포함한다. 이런 플러그플레이트(63)는 점화플러그(62)에서 스파크가 발생되는 전극부가 외부 물리적 힘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플러그플레이트(63)는 일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받침레그부(30)와 결합되는 결합링(64)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플러그플레이트(63)는 결합링(64)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플러그플레이트(63)는 어느 일 측면이 전면 또는 일부면 개구될 수 있다. 이는, 전극부가 버너헤드부(50)를 향해 스파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플러그유닛(60)은 점화플러그(62)의 결합 상태를 지지하는 플러그지지부재(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점화스위치(70)는 베이스바디(10)의 하면에 결합된다. 점화스위치(70)는 누름 가압에 의해 작동하는 버튼식스위치(71)와 버튼식스위치(71)가 베이스바디(10)에 결합되게 하는 점화플레이트(72)를 포함한다. 이 때, 점화스위치(70)는 베이스바디(10)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힌지 회동한다. 그 결과, 버너가 차지하는 부피는 줄어들어 버너를 더욱 효과적으로 휴대할 수 있다.
버너는 버너헤드부(50)를 통해 피가열체에 화력을 제공한다. 버너헤드부(50)는 복수 개의 화구가 형성되는 접시 형상의 헤드플레이트(51)를 포함하며, 헤드플레이트(51)는 바닥면이 베이스바디(10)를 향해 배치된다. 그 결과, 버너헤드부(50)에서 발생하는 불꽃은 버너헤드부(50)의 상측 어느 한 곳으로 집중될 수 있다. 이는 버너의 화력을 증가시킨다. 또한, 버너헤드부(50)는 헤드플레이트(51)가 안착되는 헤드바디(52)와 상기 헤드플레이트(51)의 하면에 배치되는 헤드메쉬망(미도시)을 더 포함한다.
도 6은 도 1의 연료공급유닛(40) 중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버너헤드부(50) 측으로 연료를 공급 분사하는 연료공급유닛(40)은 너트형노즐부(41)와 벤츄리부(4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너트형노즐부(41)는 베이스바디(10)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면에는 기화된 연료가 분사되는 분사공이 형성되는 노즐(41a)과 노즐(41a)을 고정시키는 노즐너트(41b)로 구성된다.. 벤츄리부(42)는 너트형노즐부(41)의 상측에 배치되되,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개구면이 형성되고 너트형노즐부(41)의 상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런 벤츄리부(42)의 구조적 형상은 너트형노즐부(41)의 상면과 버너헤드부(50)의 하면 사이의 간격을 어느 정도 확보하면서도 외부 공기가 원활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벤츄리부(42)는 너트형노즐부(41)에서 분사되는 연료의 이동 방향으로 단면적이 가변되는 형상의 관을 포함하여 연료의 분사 효율을 향상시킨다.
너트형노즐부(41)는 노즐바디(43)를 포함한다. 그리고, 노즐바디(43)의 일 측면에는 노즐바디파이프(44)가 연결되고, 타 측면에는 노즐바디파이프(44)를 통해 노즐바디(43) 측으로 공급되는 연료가 쉽게 기화될 수 있도록 하는 히트파이프(45)가 연결된다. 히트파이프(45)는 버너헤드부(50)의 외측에 배치되며, 특히 버너헤드부(50)와 인접하는 절곡 부분이 가열된다. 그리고, 히트파이프(45)를 경유하면서 예열을 통해 온도가 상승한 연료는 너트형노즐부(41)를 통해 분사된다.
또한, 노즐바디파이프(44)에는 호스어셈블리(46)가 연결되고 호스어셈블리(46)에는 밸브(47)가 연결되어 외부 연료저장원에서 연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밸브(47)에는 연료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와이어핸들(48)이 결합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바디(10)의 하면에는 지지레그부(80)가 힌지 결합되어 있다. 지지레그부(80)는 베이스바디(10)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면서도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지지레그부(80)는 견고한 지지 구조를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베이스바디 20: 사이드바디부
30: 받침레그부 40: 연료공급유닛
50: 버너헤드부 60: 플러그유닛
70: 점화스위치 80: 지지레그부
11: 링홈부 21: 사이드바디
22: 바디링 23: 타공
22a; 제1링 22b: 제2링
25: 홈 26: 고정돌기
31: 레그플레이트 32: 높이플레이트
33: 받침플레이트 35: 구속돌편
62: 점화플러그 63: 플러그플레이트
64: 결합링 71: 버튼식스위치
72: 점화플레이트 51: 헤드플레이트
52: 헤드바디
41: 너트형노즐부 42: 벤츄리부
43: 노즐바디 44: 노즐바디파이프
45: 히트파이프 46: 호스어셈블리
47: 밸브 48: 와이어핸들
65: 플러그지지부재 27: 멈춤돌기
41a: 노즐 41b: 노즐너트

Claims (9)

  1. 버너헤드부를 통해 화력을 제공하는 버너에 있어서,
    베이스바디;
    상기 베이스바디의 상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측면에 복수 개의 타공이 형성되는 빈 통 형상의 사이드바디부;
    상기 사이드바디부의 결합 위치를 고정시키며, 상기 버너헤드부의 상측에 피가열체가 안착 지지되게 하는 받침레그부; 및
    상기 버너헤드부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받침레그부는 상기 베이스바디에 결합된 상기 사이드바디부를 락킹시키거나 락킹 해제시키는 버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바디부는 원통 형상을 갖는 사이드바디; 및
    상기 사이드바디의 상단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사이드바디부의 상기 결합위치를 구속하는 바디링;을 포함하는 버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레그부는 레그플레이트;
    상기 레그플레이트에 고정 결합되고 일단에 구속돌편이 형성되는 높이플레이트; 및
    상기 높이플레이트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는 받침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버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링은
    상기 사이드바디와 결합되는 제1링; 및
    상기 구속돌편이 통과하는 홈과, 상기 홈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링에서 내측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링;을 포함하는 버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바디의 상면에 고정 결합되는 플러그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유닛은 점화플러그; 및
    스파크가 발생하는 상기 점화플러그의 일 단부를 에워싸도록 결합되는 플러그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버너.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플레이트는 일 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받침레그부와 결합되는 결합링;을 더 포함하는 버너.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바디의 하면에 결합되는 점화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점화스위치는 상기 베이스바디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가변되도록 힌지 회동하는 버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너헤드부는 복수 개의 화구가 형성되는 접시 형상의 헤드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헤드플레이트는 바닥면이 상기 베이스바디를 향해 배치되는 버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공급유닛은 상기 베이스바디의 상면에 배치되는 너트형노즐부; 및
    상기 너트형노즐부의 상측에 배치되되,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개구면이 형성되고 상기 너트형노즐부의 상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벤츄리부;를 포함하는 버너.
KR1020160119423A 2016-09-19 2016-09-19 버너 Active KR101723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423A KR101723171B1 (ko) 2016-09-19 2016-09-19 버너
CN201710840380.3A CN107842852B (zh) 2016-09-19 2017-09-18 燃烧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423A KR101723171B1 (ko) 2016-09-19 2016-09-19 버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171B1 true KR101723171B1 (ko) 2017-04-05

Family

ID=58587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423A Active KR101723171B1 (ko) 2016-09-19 2016-09-19 버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3171B1 (ko)
CN (1) CN107842852B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602B1 (ko) 2019-08-29 2020-12-07 김임형 다용도 가스스토브
KR102248356B1 (ko) 2020-10-08 2021-05-04 김주학 휴대용 가스버너의 냄비바닥 밀림방지용 받침대
KR102248357B1 (ko) * 2020-10-08 2021-05-06 김주학 점화 안정성이 확보된 휴대용 가스버너의 점화장치
CN112781081A (zh) * 2021-02-08 2021-05-11 浙江中冠燃具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燃气野营炉
KR102354459B1 (ko) 2021-09-06 2022-01-20 김주학 가열조리용기와의 불꽃거리 확장조절을 위한 가스버너의 받침브라켓 높이확장조절장치
KR102623252B1 (ko) 2022-07-22 2024-01-11 주식회사 가스콤 이중 화구를 갖는 휴대용 가스버너
KR20240106188A (ko) 2022-12-29 2024-07-08 주식회사 가스콤 가스버너 헤드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가스버너
KR20240150043A (ko) 2023-04-07 2024-10-15 주식회사 가스콤 휴대용 가스버너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888Y2 (ja) * 1989-03-31 1995-09-20 株式会社ユニフレーム 携帯用燃焼装置
KR20040062975A (ko) 2001-11-29 2004-07-0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핑거프린트 데이타베이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90475A (ko) * 2005-02-07 2006-08-11 정유진 가열 보조 유니트
KR101093578B1 (ko) * 2011-06-14 2011-12-15 김상필 가스용기의 호환성이 향상된 휴대용 버너장치
KR101116151B1 (ko) 2010-03-23 2012-03-06 주식회사 코베아 휴대용 버너
KR101292112B1 (ko) 2013-03-26 2013-08-08 주식회사 코베아 호스 버너
KR101354103B1 (ko) * 2012-09-24 2014-02-05 캠프랑 주식회사 휴대용 가스버너의 파이롯트 점화장치
KR101549493B1 (ko) 2014-12-19 2015-09-03 주식회사 코베아 연료조절부를 구비한 버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61570Y (zh) * 1996-06-07 1997-09-03 林幸助 煤气炉炉体与炉身的连接结构
CN201779712U (zh) * 2010-07-29 2011-03-30 李春芳 新型组合式炉头
CN103574684A (zh) * 2013-10-30 2014-02-12 昆山富凌灶具有限公司 一种双侧带孔防风支架新型节能炉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888Y2 (ja) * 1989-03-31 1995-09-20 株式会社ユニフレーム 携帯用燃焼装置
KR20040062975A (ko) 2001-11-29 2004-07-0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핑거프린트 데이타베이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90475A (ko) * 2005-02-07 2006-08-11 정유진 가열 보조 유니트
KR101116151B1 (ko) 2010-03-23 2012-03-06 주식회사 코베아 휴대용 버너
KR101093578B1 (ko) * 2011-06-14 2011-12-15 김상필 가스용기의 호환성이 향상된 휴대용 버너장치
KR101354103B1 (ko) * 2012-09-24 2014-02-05 캠프랑 주식회사 휴대용 가스버너의 파이롯트 점화장치
KR101292112B1 (ko) 2013-03-26 2013-08-08 주식회사 코베아 호스 버너
KR101549493B1 (ko) 2014-12-19 2015-09-03 주식회사 코베아 연료조절부를 구비한 버너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602B1 (ko) 2019-08-29 2020-12-07 김임형 다용도 가스스토브
KR102248356B1 (ko) 2020-10-08 2021-05-04 김주학 휴대용 가스버너의 냄비바닥 밀림방지용 받침대
KR102248357B1 (ko) * 2020-10-08 2021-05-06 김주학 점화 안정성이 확보된 휴대용 가스버너의 점화장치
CN112781081A (zh) * 2021-02-08 2021-05-11 浙江中冠燃具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燃气野营炉
KR102354459B1 (ko) 2021-09-06 2022-01-20 김주학 가열조리용기와의 불꽃거리 확장조절을 위한 가스버너의 받침브라켓 높이확장조절장치
KR102623252B1 (ko) 2022-07-22 2024-01-11 주식회사 가스콤 이중 화구를 갖는 휴대용 가스버너
KR20240106188A (ko) 2022-12-29 2024-07-08 주식회사 가스콤 가스버너 헤드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가스버너
KR20240150043A (ko) 2023-04-07 2024-10-15 주식회사 가스콤 휴대용 가스버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42852A (zh) 2018-03-27
CN107842852B (zh) 2020-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171B1 (ko) 버너
TWI512242B (zh) 軟管燃燒器
JP5784171B2 (ja) 折り畳み式支持部を備えたホースバーナー
CN107940453B (zh) 燃烧器及燃气灶具
KR101425387B1 (ko) 버너장치
JP5998165B2 (ja) ガスコンロ
KR20160023677A (ko) 풍로버너
KR200476819Y1 (ko) 휴대용 고 화력 토치램프
KR100879732B1 (ko) 가스버너
CN204574039U (zh) 内焰式聚能立管燃烧系统
JP5370502B2 (ja) コンロ装置及びコンロ装置を利用する暖房機
CN204513404U (zh) 一种用于内焰式聚能立管燃烧系统的隔热圈
TWM248971U (en) Burning device
CN204574040U (zh) 内焰式聚能立管引射燃气燃烧器
KR101423098B1 (ko) 연소조절이 가능한 휴대형 석유버너
KR101909011B1 (ko) 적열식 휴대용 가스레인지
KR101831144B1 (ko) 직접착화식 구이용 화덕장치
KR100922379B1 (ko) 가스 버너
KR100764622B1 (ko) 고화력 가스버너
KR102752692B1 (ko) 받침대를 구비한 가스버너
KR200315932Y1 (ko) 가스레인지용 버너
KR101038157B1 (ko) 가스레인지의 국물유입 방지구조
KR100500544B1 (ko) 가스레인지의 버너헤드캡 결합구조
KR200456480Y1 (ko) 가스렌지용 에어분사장치
JP3351462B2 (ja) 内部炎孔バ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