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20984B1 - 커튼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커튼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0984B1
KR101720984B1 KR1020100112719A KR20100112719A KR101720984B1 KR 101720984 B1 KR101720984 B1 KR 101720984B1 KR 1020100112719 A KR1020100112719 A KR 1020100112719A KR 20100112719 A KR20100112719 A KR 20100112719A KR 101720984 B1 KR101720984 B1 KR 101720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cushion
airbag cushion
airbag
infl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2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1332A (ko
Inventor
전종협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12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984B1/ko
Priority to CN201110331663.8A priority patent/CN102463960B/zh
Publication of KR20120051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1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98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roof frame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2Curtain-type airbags deploying mainly in a vertical direction from their top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42Tear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0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 B60R2021/0246Self-supporting restraint systems, e.g. restraining arms, plates or the like mounted on sid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에어백 쿠션의 차실내측으로 전개되는 성능이 향상되는 커튼 에어백 장치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장치는,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가 유입되는 입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를 통해 상기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되는 에어백 쿠션과, 상기 에어백 쿠션이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입구부가 외측으로 빠져나와 상기 인플레이터와 연결되는 램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커튼 에어백 장치{Curtain airbag apparatus}
본 발명은 커튼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커튼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자동차 사고시에 인플레이터로부터 가스를 유입받아 에어백 쿠션이 팽창함으로써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장치인 에어백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백 장치는 필요에 따라 자동차의 각 부위에 설치되는데,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어 있는 운전석 에어백 장치와, 조수석에 앉은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글로브 박스 상측에 장착되어 있는 조수석 에어백 장치와, 탑승자의 측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루프 사이드 패널을 따라 장착되어 있는 커튼 에어백 장치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중에서, 상기 커튼 에어백 장치는 상기 루프 사이드 패널을 따라 자동차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어서 자동차 사고시에 에어백 쿠션이 도어와 탑승자 사이로 전개된다.
상기 커튼 에어백 장치는 상기 에어백 쿠션을 접은 후 풀리지 않도록 직물로 된 쿠션 커버로 감싸서 쿠션조립체를 만든 후 상기 루프 사이드 패널에 장착되어 지는데, 상기 에어백 쿠션 및 쿠션 커버가 모두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장착형상을 잡아주기 위해서, 강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의 램프(ramp)를 마련하여 그 램프의 내측에 상기 쿠션조립체를 설치하게 된다.
상기 램프는 상기와 같이 상기 쿠션조립체의 장착형상을 잡아주는 동시에, 필라트림의 상측에 배치되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이 상기 필라트림에 걸리지 않고 차실내로 올바르게 전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그런데, 상기 램프는 상기 루프 사이드 패널에 고정 설치되지 않고, 상기 쿠션조립체의 외측에 걸려있는 구조로 인해, 상기 에어백 쿠션내로 가스가 유입되어 상기 에어백 쿠션이 팽창될 때 유동됨으로서, 상기 에어백 쿠션이 상기 필라트림에 걸리지 않고 차실내로 올바르게 전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램프가 유동되면서 상기 필라트림에 부딪쳐서 깨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램프의 유동을 방지하여 상기 램프가 에어백 쿠션을 차실내로 올바르게 전개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커튼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장치는,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와, 상기 인플레이터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가 유입되는 입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를 통해 상기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되는 에어백 쿠션과, 상기 에어백 쿠션이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입구부가 외측으로 빠져나와 상기 인플레이터와 연결되는 램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에어백 장치는, 가스가 유입되는 에어백 쿠션의 입구부가 램프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빠져나와 인플레이터와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에어백 쿠션이 팽창될 때 상기 램프의 유동이 방지되어, 상기 램프가 상기 에어백 쿠션을 차실내로 올바르게 전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램프가 유동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램프가 유동되면서 필라트림에 부딛쳐서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장치가 차체 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장치 중 램프의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장치가 차체 패널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장치 중 램프의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장치는 차체 패널(10)에 자동차 전후방향으로 길게 장착된다. 여기서, 차체 패널(10)은 루프패널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루프 사이드 패널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상기 커튼 에어백 장치는 상기 루프 사이드 패널에 직접 장착될 필요는 없으며, 상기 루프 사이드 패널 인근에 장착되어 상기 자동차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면 가능하다.
상기 자동차에는 상기 루프 사이드 패널의 하측에 비필라 패널(12)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당업계에서 상기 루프 사이드 패널은 상기 비필라 패널(12)을 기준으로 전방을 에이필라 패널로 지칭하고, 상기 비필라 패널(12)을 기준으로 후방을 씨필라 패널이라 지칭한다.
또한, 상기 자동차의 실내에는 비필라 패널(12)을 실내측에서 가리기 위한 의장품인 필라트림(50)이 배치된다. 필라트림(50)은 차체 패널(10)로부터 차실내측으로 이격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장치는, 차체 패널(10)과 필라트림(50)과의 사이에서 필라트림(50)의 상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자동차의 실내에는 루프 패널이 차실내에서 보이지 않도록 가리는 헤드라이너(40)가 배치된다. 헤드라이너(40)는 상기 루프 패널을 전체적으로 덮고 양측이 필라트림(50)의 상측까지 덮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장치는, 헤드라이너(40)에 가리어져서 차실내측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상기 커튼 에어백 장치는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80)와, 인플레이터(80)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되어서 승객을 보호하는 에어백 쿠션(30)을 포함한다.
인플레이터(80)는 클램프(85)를 통해 차체 패널(10)에 고정된다.
에어백 쿠션(30)에는 인플레이터(80)와 연결되는 입구부(32)가 형성된다. 에어백 쿠션(30)은 입구부(32)를 통해 인플레이터(80)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유입받아 팽창 전개된다.
에어백 쿠션(30)은 자동차에 장착되기 위해 접혀진 후 풀리지 않도록 직물로 된 쿠션 커버(35)로 감싸져서, 쿠션 커버(35)와 함께 쿠션조립체(70)를 이룬다. 이하, 쿠션조립체(70)는 접혀진 에어백 쿠션(30)과 그것을 감싼 쿠션 커버(35)를 의미한다.
쿠션 커버(35)에는 접혀진 에어백 쿠션(30)이 팽창될 때 발생되는 팽창력에 의해 찢어지는 테어라인(35a)이 형성된다. 테어라인(35a)은 쿠션 커버(35)에 복수의 미세한 홀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에어백 쿠션(30)의 팽창력에 의해 테어라인(35a)이 찢어짐으로서, 에어백 쿠션(30)은 쿠션 커버(35)를 뚫고 나와 차실내측으로 전개될 수 있다.
그런데, 에어백 쿠션(30) 및 쿠션 커버(35)는 모두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대로 상기 자동차에 전후방향으로 길게 장착되게 된다면 처짐이 발생하는 등 장착형상이 정형화되지 못하게 되어, 에어백 쿠션(30)의 전개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튼 에어백 장치는, 쿠션조립체(70)가 상기 자동차에 장착된 후 형상을 잡아주기 위한 램프(20)를 더 포함한다.
램프(20)는 쿠션조립체(70)가 상기 자동차에 장착된 후 형상을 잡아줄 수 있는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램프(20)는 차체 패널(10)과 필라트림(50) 사이에서 필라트림(50)의 상측에 배치된다.
램프(20)는 대략 내부가 빈 사각통 형상에서 상기 차실내측을 향하는 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램프(20)에는 상기 차실내측을 향하는 면이 개구되어 개구부(27)가 형성된다.
쿠션조립체(70)는 개구부(27)로 삽입되어 램프(20)의 내측에 배치된다.
램프(20)는 에어백 쿠션(30)이 팽창 전개될 때 필라트림(50)의 상측에 걸리지 않고 전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즉, 에어백 쿠션(30)은 접혀져서 램프(2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가, 입구부(32)를 통해 인플레이터(80)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면 펼쳐지면서 팽창된다. 이때, 발생되는 에어백 쿠션(30)의 팽창력에 의해 쿠션 커버(35)의 테어라인(35a)이 찢어지고, 에어백 쿠션(30)은 쿠션 커버(35)를 뚫고 나와 램프(20)의 개구부(27)로 빠져 나오면서, 헤드라이너(40)를 밀어 내고 필라트림(50)의 상측으로 전개되어, 차실내의 승객의 머리부를 보호한다.
에어백 쿠션(30)의 상측에는 램프(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빠져나와 차체 패널(10)에 고정되는 마운팅 탭(34)이 형성된다.
램프(20)에는 상측에 마운팅 탭(34)이 빠져나오는 탭 홀(23)이 형성된다.
에어백 쿠션(30)은 램프(20)의 내측에 배치되고, 마운팅 탭(34)이 탭 홀(23)을 통해 램프(20)의 외측으로 빠져나와서 체결부재(60)로 차체 패널(10)에 고정된다. 램프(20)는 차체 패널(10)에 고정되지 않고, 에어백 쿠션(30)의 마운팅 탭(34)이 내측에서 외측으로 빠져나와 차체 패널(10)에 고정되는 것에 의해 쿠션조립체(70)의 외측에 걸쳐져 있는 구조로 배치된다.
따라서, 에어백 쿠션(30)으로 가스가 유입되어 에어백 쿠션(30)이 팽창될 때, 램프(20)가 유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램프(20)가 유동되면 에어백 쿠션(30)이 필라트림(50)에 걸리지 않고 전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에어백 쿠션(30)이 팽창될 때 램프(20)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백 쿠션(30)의 입구부(32)는 램프(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빠져나와 인플레이터(80)와 연결된다.
즉, 램프(20)에는 에어백 쿠션(30)의 마운팅 탭(34) 및 입구부(32)가 모두 빠져나오게 되고, 이로 인해 램프(20)는 마운팅 탭(34) 및 입구부(32)에 의해 2점에서 쿠션조립체(70)에 지지되므로, 에어백 쿠션(30)이 팽창될 때 램프(2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램프(20)에는 상측에 에어백 쿠션(30)의 입구부(32)가 빠져나오는 입구부 홀(21)이 형성된다. 즉, 쿠션 커버(35)가 접혀진 에어백 쿠션(30)을 감싼 후, 에어백 쿠션(30)에 형성된 입구부(32) 및 마운팅 탭(34)은 쿠션 커버(35)에 형성된 홀들을 통해 쿠션 커버(35)의 외부로 빠져 나온다. 이후, 에어백 쿠션(30)을 감싼 쿠션 커버(35)가 램프(20)를 전후로 관통하여 램프(20)의 내측에 배치된 후, 입구부(32)는 입구부 홀(21)을 통과하여 램프(20)의 외측으로 빠져나오고, 마운팅 탭(34)은 탭 홀(23)을 통과하여 램프(20)의 외측으로 빠져나온다.
상기 커튼 에어백 장치는 상기 자동차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므로, 램프(20)를 상기 자동차의 좌우 양측에 공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탭 홀(23)은 입구부 홀(21)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형성된다. 즉, 입구부 홀(21)은 램프(20)의 상측 중 중앙부에 형성되고, 탭 홀(23)은 입구부 홀(21)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될 수 있도록 전방에 하나가 형성되고 후방에 하나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자동차의 우측에 램프(20)를 사용할 경우에는 마운팅 탭(34)이 입구부 홀(21)을 기준으로 전방에 형성된 탭 홀(23)로 빠져나와서 차체 패널(10)에 고정되었다면, 상기 자동차의 우측에 램프(20)를 사용할 경우에는 마운팅 탭(34)이 입구부 홀(21)을 기준으로 후방에 형성된 탭 홀(23)로 빠져나와서 차체 패널(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램프(20)를 우측과 대칭되게 배치하여서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램프(20)에 삽입 배치된 쿠션 커버(35)가 개구부(27)로 빠져 나오지 않도록, 램프(20)에는 개구부(27)를 사이에 두고, 상측에 쿠션 커버(35)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22)가 형성되고, 하측에 쿠션 커버(35)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25)가 형성된다.
상부 지지부(22)는 쿠션 커버(35) 중 상기 차실내측을 향하는 면의 외측에 접촉되게 램프(20)의 상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쿠션 커버(35)의 상부를 지지하고, 하부 지지부(25)는 상기 차실내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쿠션 커버(35)의 하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에어백 쿠션(30)이 팽창시에 하부 지지부(25)가 처지면서 에어백 쿠션(30)을 필라트림(50)의 상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램프(20)에는 하부 지지부(25)의 하측면이 절개되어 노치부(28)가 형성된다.
에어백 쿠션(30)이 팽창 전개될 때 하부 지지부(25)는 노치부(28)의 크기만큼 벌어질 수 있도록, 노치부(28)는 하부 지지부(25)의 하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지지부(25)는 에어백 쿠션(30)이 팽창될 때 노치부(28)의 크기만큼 벌어져서 에어백 쿠션(30)을 필라트림(50)의 상측으로 안내하여서, 에어백 쿠션(30)이 필라트림(50)에 걸리지 않고 필라트림(50)의 상측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한다.
하부 지지부(25)가 쿠션 커버(35)의 하부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 지지부(25)에는 보강리브(26)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 지지부(25)에 보강리브(26)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노치부(28)는 보강리브(26)의 하측면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부(28)는 하부 지지부(25)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지만, 도 3에서와 같이 램프(20) 중 차체 패널(10)을 향하는 면 일부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커튼 에어백 장치는, 가스가 유입되는 에어백 쿠션(30)의 입구부(32)가 램프(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빠져나와 인플레이터(80)와 연결되기 때문에, 에어백 쿠션(30)이 팽창될 때 램프(20)의 유동이 방지되어, 램프(20)가 에어백 쿠션(30)을 차실내로 올바르게 전개될 수 있도록 가이드해 줄 수 있다.
또한, 램프(20)가 유동되지 않기 때문에, 램프(20)가 유동되면서 필라트림(50)에 부딛쳐서 깨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차체 패널 20: 램프
21: 입구부 홀 22: 상부 지지부
23: 탭 홀 25: 하부 지지부
26: 보강리브 27: 개구부
28: 노치부 30: 에어백 쿠션
32: 입구부 34: 마운팅 탭
35: 쿠션 커버 35a: 테어라인
50: 필라트림 80: 인플레이터

Claims (11)

  1.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
    상기 인플레이터와 연결되어 상기 가스가 유입되는 입구부가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입구부를 통해 상기 가스가 유입되면 팽창되며, 차체 패널에 고정되는 마운팅 탭이 상측에 형성된 에어백 쿠션;
    상기 에어백 쿠션이 접혀진 후 상기 접혀진 에어백 쿠션을 감싸고, 상기 입구부 및 상기 마운팅 탭이 외측으로 빠져나오는 홀들이 형성된 쿠션 커버; 및
    상기 에어백 쿠션을 감싼 상기 쿠션 커버가 전후로 관통하여 내측에 배치되고, 차실내측을 향하는 면에 개구된 개구부가 형성되며, 팽창된 상기 에어백 쿠션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빠져나오는 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램프의 상측에는, 상기 입구부가 상기 인플레이터와 연결되기 위해 외측으로 빠져나오는 입구부 홀과, 상기 마운팅 탭이 상기 차체 패널에 고정되기 위해 외측으로 빠져나오는 탭 홀이 각각 형성되는 커튼 에어백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탭 홀은 상기 입구부 홀을 기준으로 양쪽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커튼 에어백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체 패널로부터 차실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필라트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램프는 상기 차체 패널과 상기 필라트림 사이에서 상기 필라트림의 상측에 배치되는 커튼 에어백 장치.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쿠션 커버는 상기 접혀진 에어백 쿠션을 감싸서 상기 개구부로 삽입되어 상기 램프의 내측에 배치되는 커튼 에어백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쿠션 커버가 상기 개구부로 빠져 나오지 않도록, 상기 램프에는 상기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상측에 상기 쿠션 커버의 상부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가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쿠션 커버의 하부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가 형성되는 커튼 에어백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부는 상기 쿠션 커버 중 상기 차실내측을 향하는 면의 외측에 접촉되고,
    상기 하부 지지부는 상기 차실내측으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커튼 에어백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이 팽창시에 상기 하부 지지부가 처지면서 상기 에어백 쿠션을 상기 필라트림의 상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지지부의 하측면이 절개되어 노치부가 형성된 커튼 에어백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부에는 보강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의 하측면이 절개되어 상기 노치부가 형성된 커튼 에어백 장치.
KR1020100112719A 2010-11-12 2010-11-12 커튼 에어백 장치 Active KR101720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719A KR101720984B1 (ko) 2010-11-12 2010-11-12 커튼 에어백 장치
CN201110331663.8A CN102463960B (zh) 2010-11-12 2011-10-27 帘式安全气囊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2719A KR101720984B1 (ko) 2010-11-12 2010-11-12 커튼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1332A KR20120051332A (ko) 2012-05-22
KR101720984B1 true KR101720984B1 (ko) 2017-03-29

Family

ID=46068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2719A Active KR101720984B1 (ko) 2010-11-12 2010-11-12 커튼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0984B1 (ko)
CN (1) CN1024639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3206B (zh) * 2012-12-11 2016-02-03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顶盖内衬和侧气帘的支撑构件
JP6439193B2 (ja) * 2016-07-14 2018-12-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サイド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KR20180066903A (ko) * 2016-12-09 2018-06-20 (주)대한솔루션 Fmh 충격 흡수 성능을 개선한 자동차용 커튼 에어백 램프 브래킷
KR102731795B1 (ko) * 2019-09-26 2024-11-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장치의 램프 및 이를 구비한 커튼 에어백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6750A (ja) 1999-04-15 2000-10-24 Honda Motor Co Ltd 乗員拘束装置
JP2004098783A (ja) 2002-09-06 2004-04-02 Honda Motor Co Ltd 乗員拘束装置
KR100633415B1 (ko) 2005-10-11 2006-10-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탑승자의 머리 보호를 위한 커튼형 에어백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201B1 (ko) * 2000-12-15 2003-07-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커튼 에어백
JP4622412B2 (ja) * 2004-09-21 2011-02-02 タカタ株式会社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及び車両
KR100757153B1 (ko) * 2005-12-12 2007-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커튼에어백의 간섭을 방지하는 필러 램프 구조
US7735853B2 (en) * 2006-11-22 2010-06-15 Honda Motor Co., Ltd. Side curtain air bag deflector bracket
KR100895128B1 (ko) * 2007-09-28 2009-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사이드 커튼 에어백 유닛
KR101430192B1 (ko) * 2008-05-19 2014-08-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커튼 에어백 모듈
JP5098850B2 (ja) * 2008-06-27 2012-12-1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ピラーガーニッシュ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6750A (ja) 1999-04-15 2000-10-24 Honda Motor Co Ltd 乗員拘束装置
JP2004098783A (ja) 2002-09-06 2004-04-02 Honda Motor Co Ltd 乗員拘束装置
KR100633415B1 (ko) 2005-10-11 2006-10-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탑승자의 머리 보호를 위한 커튼형 에어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463960B (zh) 2016-08-03
KR20120051332A (ko) 2012-05-22
CN102463960A (zh) 201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2148B1 (ko) 측면 충격 보호 장치
US7854448B2 (en) Airbag arrangement
JP6142298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KR102269369B1 (ko) 사이드 에어백 설치 구조
KR102648736B1 (ko) 자동차용 에어백 장치, 그리고 에어백 장치용 에어백 쿠션
US20160144819A1 (en) Curtain airbag apparatus
KR102227852B1 (ko) 커튼 에어백 장치 및 그것의 제조방법
KR101720984B1 (ko) 커튼 에어백 장치
KR102195363B1 (ko) 차량의 운전석 에어백
KR101862783B1 (ko) 커튼 에어백 장치
JP2008114739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を備えた車両の後部構造
JP6417028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用ストラップの保持部材、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並びに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の設置構造
KR100986352B1 (ko) 차량용 커튼에어백의 테더홀더 어셈블리
KR20140054996A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1644376B1 (ko) 후석승객보호용 정면에어백장치
KR102366814B1 (ko) 커튼 에어백 및 커튼 에어백의 전개 방법
KR100736007B1 (ko) 커튼 에어백 모듈
KR102321096B1 (ko) 무릎 에어백 장치
JP3750575B2 (ja) 乗員拘束装置
JP3714048B2 (ja) 車両の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010155573A (ja) 乗員保護装置、及び車両
JP5843432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KR20130095027A (ko) 커튼 에어백 장치
KR20170008385A (ko) 무릎 에어백 장치
KR20160061188A (ko) 차량의 조수석 에어백 쿠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0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11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