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347B1 - Copper based sintered alloy with wear resistance - Google Patents
Copper based sintered alloy with wear resistan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7347B1 KR101717347B1 KR1020150049463A KR20150049463A KR101717347B1 KR 101717347 B1 KR101717347 B1 KR 101717347B1 KR 1020150049463 A KR1020150049463 A KR 1020150049463A KR 20150049463 A KR20150049463 A KR 20150049463A KR 101717347 B1 KR101717347 B1 KR 1017173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pper
- alloy
- sample
- balance
- dispers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6—Alloys based on copper with nickel or cobalt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00—Making non-ferrous alloys
- C22C1/04—Making non-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 C22C1/0425—Copper-based alloys
-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202/00—Physical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전체 조성이, 질량비로, Ni: 2.0~16.0%, Si: 0.2~4.0%, 및 잔부가 Cu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기공과, 구리 혹은 구리-니켈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기지와, 기지 중에 분산되는 입상의 니켈 규화물로 이루어지는 금속 조직을 나타냄과 더불어, 니켈 규화물은 2㎛ 이상의 크기인 것을 포함하는 내마모성 소결 구리 합금이다.Wherein the total composition comprises, by mass ratio, 2.0 to 16.0% of Ni, 0.2 to 4.0% of Si, and the balance of Cu and inevitable impurities, the base consisting of pores and a copper or copper-nickel alloy, And the nickel suicide is a wear-resistant sintered copper alloy containing at least 2 mu m in size.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마모성이 뛰어난 구리계 소결 합금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열 전도성이 뛰어난 구리계 소결 합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pper-based sintered alloy excellent in abrasion resist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pper-based sintered alloy excellent in thermal conductivity.
자동차용 엔진 등에 이용되는 밸브 가이드는, 밸브의 축부를 지지하고, 밸브의 왕복 운동을 지지하기 위한 부품이며, 고속으로 왕복 운동하는 밸브와 슬라이드하기 위한 뛰어난 내마모성이 요구된다. 밸브 가이드용 재료로는, 종래, 주철이나 고력(高力) 황동이 이용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내마모성이 뛰어난 철계 소결 합금(일본국 특허공고 소 55-034858호 공보, 특허 제 2680927호 공보, 특허 제 4323467호 공보 등)이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BACKGROUND ART A valve guide used in an automotive engine or the like is a component for supporting a shaft portion of a valve and supporting a reciprocating motion of the valve and is required to have a valve reciprocating at a high speed and excellent abrasion resistance for sliding. Conventionally, cast iron and high-strength brass have been used as the material for the valve guide. In recent years, however, iron-based sintered alloys excellent in abrasion resistance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s. 55-034858, 2680927, 4323467, etc.) are widely used.
해마다 높아지는 환경 의식 중, 한층 더 엔진의 연비 향상이 요구되고 있고, 엔진의 연비 향상 수법의 하나로서, 엔진의 고압축비화가 검토되고 있다. 즉, 압축비가 높으면 높을수록, 배기량과 투입 연료량이 같아도 피스톤을 눌러내리는 압력이 커지기 때문에 연비는 향상된다. 또, 일반적으로, 같은 계열의 엔진이라도 높은 압축비의 엔진은 낮은 압축비의 엔진보다 고출력·고토크가 된다.Among the environmental awareness increasing year by year, further improvement of the fuel economy of the engine is demanded, and as a method of improving the fuel economy of the engine, the high compression ratio of the engine is examined. That is, the higher the compression ratio is, the more the fuel pressure is increased because the piston is pressed down even if the amount of exhaust gas is equal to the amount of the input fuel. In general, even if the engine of the same series is used, an engine with a high compression ratio has a higher output and a higher torque than an engine with a low compression ratio.
그러나, 종래의 밸브 가이드용 철계 소결 합금은, 열 전도성이 약 25W/(m·K)로 낮고, 슬라이드 상대가 되는 밸브의 열을 밸브 가이드를 통하여 방산하는 능력이 낮다. 이 때문에, 연소실에 노출되는 밸브의 베벨부의 열이 방산하기 어려워, 연소실 내의 열이 가득 차기 쉬워지고, 연비 향상을 위한 압축비를 높이면, 노킹이 발생하기 쉬워진다.However, the conventional iron-based sintered alloy for valve guides has a low thermal conductivity of about 25 W / (m · K), and has a low ability to dissipate the heat of the valve relative to the slide through the valve guide. Therefore, heat in the beveled portion of the valve exposed to the combustion chamber is difficult to dissipate, heat in the combustion chamber tends to fill up, and knocking tends to occur if the compression ratio for improving fuel economy is increased.
또한, 주조로 제조한 구리계 합금(고력 황동)은, 높은 열 전도성을 가지지만, 내마모성이 낮기 때문에, 부하가 작은 엔진밖에 적용할 수 없다.Further, a copper-based alloy (high-strength brass) produced by casting has high thermal conductivity, but has low abrasion resistance, so that it can not be applied to only an engine with a small load.
이 때문에, 열 전도성을 높여 슬라이드 상대인 밸브로부터 열을 방산하는 능력이 높고, 또한 압축비를 높여도 노킹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밸브와의 슬라이드 환경에 있어서 충분한 내마모성을 가지는 구리계 합금의 밸브 가이드용 소결 합금에의 요망이 강해지고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hermal conductivity, to have a high ability to dissipate heat from the valve relative to the slide, to prevent knocking even when the compression ratio is increased, and to provide a copper alloy valve A demand for a guide sintered alloy is becoming stronger.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철계 소결 합금보다 높은 열 전도성과, 종래의 고력 황동보다 높은 내마모성을 겸비한 밸브 가이드용의 소결 합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intered alloy for a valve guide which has higher thermal conductivity than conventional iron-based sintered alloys and has higher abrasion resistance than conventional high-strength brass.
본 발명은, 구리계 소결 합금을 베이스로 함으로써, 소결 합금의 열 전도성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구리계 소결 합금의 기지 중에 경질 입자를 분산시킴으로써 내마모성을 향상시킨 것을 골자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improving the thermal conductivity of a sintered alloy by using a copper-based sintered alloy as a base and improving wear resistance by dispersing hard particles in a matrix of a copper-based sintered alloy.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내마모성 구리계 소결 합금은, 전체 조성이, 질량비로, Ni: 2.0~16.0%, Si: 0.2~4.0%, 및 잔부가 Cu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기공과, 구리 혹은 구리-니켈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기지와, 상기 기지 중에 분산되는 입상의 니켈 규화물로 이루어지는 금속 조직을 나타냄과 더불어, 상기 니켈 규화물은 2㎛ 이상의 크기의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wear-resistant copper-based sintered alloy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tal composition of 2.0 to 16.0% of Ni, 0.2 to 4.0% of Si, and the balance of Cu and inevitable impurities in a mass ratio, Or a copper-nickel alloy, and a granular nickel silicide dispersed in the matrix, and the nickel silicide has a size of 2 탆 or more.
상기의 내마모성 구리계 소결 합금에 있어서는, 2㎛ 이상의 크기의 니켈 규화물이, 금속 조직 중의 면적율로 2% 이상인 것을 바람직한 양태로 한다. 또, 전체 조성에 있어서의 Ni와 Si의 비율이 Ni: 1에 대하여 Si: 0.05~0.35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바람직한 양태로 한다.In the above-described abrasion resistant copper-based sintered alloy, it is preferable that nickel silicide having a size of 2 탆 or more is 2% or more in area ratio in the metal structure.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ratio of Ni to Si in the entire composition is in the range of 0.05 to 0.35 in terms of Ni: 1.
상기의 내마모성 구리계 소결 합금에 있어서는, 기지 중에, 총량으로서 5.0질량% 이하의 철계 경질상, 코발트계 경질상 및 합금철 중 1종 이상을 더 분산시킴으로써, 내마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또, 기공 중에 전체 조성 중의 C량으로서 3.0질량% 이하의 흑연상을 더 분산시킴으로써 슬라이드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abrasion-resistant copper-based sintered alloy, the abrasion resistance can be further improved by further dispersing at least one of iron-based hard phase, cobalt-based hard phase and alloy iron in a total amount of 5.0% by mass or less, By further dispersing 3.0% by mass or less of black toner in the pore as C content in the whole composition, the slide property can b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의 내마모성 구리계 소결 합금은, 기지가 구리계 소결 합금이므로, 열 전도성이 뛰어남과 더불어, 기지 중에 경질 입자가 분산됨으로써 내마모성이 향상된 것이며, 밸브 가이드로서 사용한 경우에, 슬라이드 상대가 되는 밸브와 양호한 슬라이드를 유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슬라이드 상대가 되는 밸브의 열을 밸브 가이드를 통하여 방산할 수 있어, 엔진의 압축비를 높여도 노킹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 때문에 엔진의 연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가진다.The wear-resistant copper-based sintered allo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pper-based sintered alloy, so that it has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and hard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matrix to improve abrasion resistance. When used as a valve guide, A good slide can be maintained and the heat of the valve serving as a slide partner can be dissipated through the valve guide so that the occurrence of knocking can be prevented even if the compression ratio of the engine is increased. And has an excellent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내마모성 소결 합금의 금속 조직을 나타내는 도면 대용 사진이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 is a photograph showing a metal structure of a wear resistant sintered alloy of the present invention.
Cu는 열 전도율이 398W/(m·K)이며, Fe의 84W/(m·K)에 비해 4.7배의 높은 열 전도율을 나타낸다. 또, 구리 합금은, Cu에 비하여 열 전도율이 저하하지만, Fe 및 종래의 철계 소결 합금(약 25W/(m·K))에 비해 높은 열 전도율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소결 합금의 열 전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지를 구리 혹은 구리 합금으로서 구성한다.Cu has a thermal conductivity of 398 W / (m · K) and a thermal conductivity of 4.7 times that of 84 W / (m · K) of Fe. The copper alloy has a lower thermal conductivity than Cu, but exhibits a higher thermal conductivity than Fe and the conventional iron-based sintered alloy (about 25 W / (m · K)). For this reason, in order to improv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sintered alloy, the base is made of copper or a copper alloy.
한편, 구리 및 구리 합금은, Fe 및 종래의 철계 소결 합금에 비해 내마모성이 낮기 때문에, 기지만으로는 내마모성이 불충분하다. 이 때문에, 기지 중에 경질 입자를 분산시킴으로써 내마모성을 향상시킨다. 경질 입자는, 기지 중에 균일하게 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리 합금 기지 중에서 석출 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copper and copper alloys have a low abrasion resistance as compared with Fe and conventional iron-based sintered alloys, and therefore wear resistance is insufficient only by known. Therefore, by dispersing the hard particles in the matrix, the abrasion resistance is improved. The hard particles are preferably uniformly dispersed in the matrix, and preferably precipitated and dispersed in a copper alloy matrix.
이러한 관점으로부터 검토를 진행시킨바, Cu와 합금화하는 원소로서 Ni가 적합하고, 기지 중에 석출 분산시키는 경질 입자를 니켈 규화물로 하면, 높은 열 전도율과 내마모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을 찾아냈다. 이하에, 본 발명의 내마모성 구리계 소결 합금의 성분에 대하여 한정 이유를 설명한다.From these points of view,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Ni is suitable as an element to be alloyed with Cu, and that a high thermal conductivity and wear resistance can be secured by using nickel silicide as the hard particles precipitated and dispersed in the matrix. The reasons for limiting the components of the wear-resistant copper-based sintered allo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Ni는, Cu에 고용하여 기지를 강화하는 작용이 있다. 또한, Ni는, 후술하는 Si와 니켈 규화물(Ni2Si)을 형성하여 기지 중에 석출 분산함으로써, 구리계 소결 합금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이 있다. Ni량이 2.0질량%를 만족하지 않으면, 상기 효과가 부족해져, 구리계 소결 합금의 내마모성이 낮아진다. 한편, Ni량이 16.0질량%를 초과하면, Cu에 고용하는 Ni량이 과다하게 되거나, 석출되는 니켈 규화물량이 과다하게 되어, 구리계 소결 합금의 열 전도율의 저하가 현저해진다. 이 때문에, 전체 조성에 있어서의 Ni량을 2.0~16.0질량%로 한다.Ni has the function of hiring to Cu, strengthening the base. Further, Ni has an effect of improving abrasion resistance of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by forming Si and nickel silicide (Ni 2 Si) described later and precipitating and dispersing in the matrix. If the amount of Ni is less than 2.0 mass%, the above-mentioned effect becomes insufficient and the abrasion resistance of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becomes low. On the other hand, if the amount of Ni exceeds 16.0 mass%, the amount of Ni dissolved in Cu becomes excessive, and the amount of precipitated nickel silicide becomes excessive, whereby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becomes remarkable. Therefore, the amount of Ni in the whole composition is 2.0 to 16.0 mass%.
Si는, Ni와 니켈 규화물(Ni2Si)을 형성하여 기지 중에 석출 분산하고, 구리계 소결 합금의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첨가한다. 또, Si는 Cu의 액상 발생 온도를 낮게 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소결을 촉진하여 구리계 소결 합금을 치밀화하여, 구리계 소결 합금의 강도의 향상에 기여한다. Si량은, 0.2질량%를 만족하지 않으면, 석출 분산하는 니켈 규화물의 양이 부족해져, 구리계 소결 합금의 내마모성이 낮아진다. 한편, Si량이 4.0질량%를 초과하면, 구리계 소결 합금의 기지 중에 석출 분산하는 니켈 규화물의 양이 과다하게 되어, 구리계 소결 합금의 열 전도율이 현저하게 저하한다. 이 때문에, 전체 조성에 있어서의 Si량을 0.2~4.0질량%로 한다.Si is added to improve the wear resistance of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by forming Ni and nickel silicide (Ni 2 Si) to precipitate and disperse in the matrix. Since Si has an effect of lowering the liquid phase generation temperature of Cu, sintering is promoted to densify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thereby contributing to improvement of the strength of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If the amount of Si is less than 0.2 mass%, the amount of nickel suicide to precipitate and disperse becomes insufficient, and the wear resistance of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becomes low. On the other hand, if the amount of Si exceeds 4.0 mass%, the amount of nickel suicide precipitated and dispersed in the matrix of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becomes excessive,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remarkably decreases. Therefore, the amount of Si in the whole composition is set to 0.2 to 4.0 mass%.
상기의 Ni와 Si의 비율은, Ni에 대하여 Si가 부족한 경우, 혹은 Si에 대하여 Ni가 부족한 경우, 석출 분산하는 니켈 규화물의 양이 부족해져 내마모성이 낮아짐과 더불어, 구리계 소결 합금의 기지에 고용되는 Ni 혹은 Si의 양이 많아져, 구리계 소결 합금의 열 전도율이 저하한다. 이 관점에서, 전체 조성에 있어서의 Ni와 Si의 비율은, Ni: 1에 대하여 Si: 0.05~0.3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amount of Ni is insufficient for Ni or the amount of Ni is insufficient for Si, the amount of nickel suicide precipitated and dispersed is insufficient to lower the abrasion resistance, and at the same time, The amount of Ni or Si increases,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decreases. From this viewpoint,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of Ni to Si in the whole composition is set to be Si: 0.05 to 0.35 relative to Ni: 1.
구리계 소결 합금의 기지 중에 석출 분산하는 니켈 규화물은, 미세한 것이면, 상대재가 되는 밸브와의 슬라이드시에, 기지마다 소성 유동해 버려, 내마모성 향상의 효과가 부족해진다. 이 때문에, 니켈 규화물은, 입상으로 함과 더불어, 2㎛ 이상의 크기의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니켈 규화물의 크기는, 니켈 규화물의 1입자에 있어서의 최대 직경이다. 2㎛ 이상의 크기의 니켈 규화물은, 내마모성의 관점에서 금속 조직 중의 면적율로 2%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ickel silicide which precipitates and disperses in the matrix of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when it is fine, is plastically flowed to the base at the time of sliding with the valve which is a counter material, an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ear resistance is insufficient. For this reason, the nickel suicide should be in the form of a granule and contain a material having a size of 2 mu m or more. The size of the nickel silicide referred to here is the maximum diameter of one nickel silicide particle. The nickel silicide having a size of 2 mu m or more is preferably 2% or more in terms of the area ratio in the metal structure from the viewpoint of abrasion resistanc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내마모성 구리계 소결 합금은, 전체 조성이, 질량비로, Ni: 2.0~16.0%, Si: 0.2~4.0%, 및 잔부가 Cu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 금속 조직은, 소결 합금의 제조에 있어서 불가피 기공과, 구리 혹은 구리 니켈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기지와, 이 기지 중에 분산하여, 입상이며 2㎛ 이상의 크기의 것을 포함하는 니켈 규화물로 이루어지는 금속 조직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ear-resistant copper-based sintered allo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2.0 to 16.0% of Ni, 0.2 to 4.0% of Si, and Cu and inevitable impurities in the total composition in mass ratio. The metal structure is a metal structure composed of inevitable pores, a base made of copper or a copper-nickel alloy in the production of a sintered alloy, and a nickel metal silicide dispersed in the base and having a grain size of 2 탆 or more .
또한, 기공은 소결 합금에 있어서 불가피한 것이지만, 소결 합금의 강도나 열 전도율을 저하시키는 것이므로, 가능한한 적은 것이 바람직하고, 구리계 소결 합금의 밀도로서 7.5Mg/㎥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rosity is unavoidable in the sintered alloy, but it is preferably as small as possible because it lowers the strength and thermal conductivity of the sintered alloy,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density of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is 7.5 Mg / m 3 or more.
본 발명의 내마모성 구리계 소결 합금은, 다음과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The wear-resistant copper-based sintered allo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duced as follows.
(1) 구리 분말과 니켈 분말, (2) 구리-니켈 합금 분말, (3) 구리 분말과 구리-니켈 합금 분말 중 어느 하나에, 실리콘(Si) 분말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원료 분말이, 질량비로, Ni: 2.0~16.0%, Si: 0.2~4.0%, 및 잔부가 cu 및 불가피 불순물의 조성이 되도록 조정한다.(Si) powder is added to any one of (1) copper powder and nickel powder, (2) copper-nickel alloy powder, and (3) copper powder and copper-nickel alloy powder, 2.0 to 16.0% of Ni, 0.2 to 4.0% of Si, and the balance of cu and unavoidable impurities in the composition ratio by mass.
이와 같이 조정된 원료 분말을, 대략 원통의 밸브 가이드 형상으로 500~700MPa 정도의 성형 압력으로 성형하여, 밸브 가이드 형상의 성형체로 한다. 구리 분말이나 구리-니켈 합금 분말은 비교적 연질이기 때문에, 이 정도의 성형 압력으로 7.5Mg/㎥ 이상으로 할 수 있다.The raw material powder thus adjusted is molded into a substantially cylindrical valve guide shape at a molding pressure of about 500 to 700 MPa to obtain a valve guide shaped article. Since the copper powder or the copper-nickel alloy powder is relatively soft, it can be set to 7.5 Mg / m < 3 > or more at such a molding pressure.
얻어진 성형체를 소결로에 투입하여, 비산화성 분위기 중 900~1050℃ 정도의 온도로 가열하여 소결을 행하고, 통상의 냉각 속도(5~15℃/분 정도)로 냉각함으로써, 본 발명의 금속 조직을 가지는 구리계 소결 합금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니켈 규화물은, 소결의 냉각시에 생성하여 석출하여 입상이고 또한 2㎛ 이상의 크기를 포함하는 것이 된다. 이 때문에, 용체화 처리나 시효 처리는 불필요하다.The obtained formed body is put into a sintering furnace and sintered by heating at a temperature of about 900 to 1050 DEG C in a non-oxidizing atmosphere, and cooled at a normal cooling rate (about 5 to 15 DEG C / minute) Copper-based sintered alloy can be obtained. Here, the nickel suicide is produced and precipitated at the time of cooling the sintering, and is granular and has a size of 2 탆 or more. Therefore, the solution treatment and the aging treatment are unnecessary.
본 발명의 내마모성 구리계 소결 합금의 금속 조직의 일례를 도 1에 나타낸다. 도 1의 구리계 소결 합금은 전체 조성이, Ni: 10질량%, Si: 2질량% 및 잔부가 Cu 및 불가피 불순물이며, 소결체 밀도가 7.8Mg/㎥의 것이다. 도 1 중 엷은 회색의 부분이 구리 합금 기지이며, 진한 회색의 부분이 니켈 규화물 입자이다. 도 1에 있어서, 금속 조직에 차지하는 최대 직경이 2㎛ 이상의 니켈 규화물 입자는, 8면적%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의 구리계 소결 합금의 열 전도율은 99W/(m·K)이며, 종래의 철계 소결 합금(약 25W/(m·K))의 약 4배의 열 전도율을 나타낸다.Fig. 1 shows an example of the metal structure of the wear-resistant copper-based sintered allo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of Fig. 1 has a total composition of 10% by mass of Ni, 2% by mass of Si and the balance of Cu and inevitable impurities, and the sinter density is 7.8 Mg / m3. In Fig. 1, the light gray portion is a copper alloy base, and the dark gray portion is a nickel silicide particle. In Fig. 1, nickel silicide particles having a maximum diameter of 2 mu m or more in the metal structure are 8 area%.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of Fig. 1 has a thermal conductivity of 99 W / (mK) and a thermal conductivity of about four times that of a conventional iron-based sintered alloy (about 25 W / (mK)).
상기에 의해 제조되는 본 발명의 내마모성 구리계 소결 합금은, 열 전도율이 높고, 또한 내마모성이 뛰어난 것이 되는데, 한층 더 내마모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싶은 경우, 기지 중에, 총량으로서 5.0질량% 이하의 철계 경질상, 코발트계 경질상 및 합금철 중 1종 이상을, 제2 경질상으로서, 더 분산시킴으로써, 내마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기지 중에 분산되는 이들 경질상의 양이, 총량으로 5질량%를 초과하면, 구리계 소결 합금의 열 전도율의 저하가 현저해지기 때문에, 총량으로 5질량% 이하에 머물러야 한다.The wear-resistant copper-based sintered alloy of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d by the above is high in thermal conductivity and excellent in abrasion resistance. When it is desired to further improve the abrasion resistance, the iron-based hardness The wear resistance can be further improved by further dispersing at least one of the cobalt-based hard phase and the alloy iron as the second hard phase. However, if the total amount of these hard phases dispersed in the matrix exceeds 5% by mass,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is markedly lowered. Therefore, the total amount of the hard phases should be 5% by mass or less.
상기의 경질상 중, 철계 경질상으로는, 철계 합금 기지 중에 탄화물 입자가 석출 분산되는 경질상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A) 질량비로, Cr: 4~25%, C: 0.25~ 2.4%, 및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철계 합금 중에 Cr의 탄화물 입자가 분산되는 경질상, (B) 질량비로, Cr: 4~25%, C: 0.25~2.4%와, Mo: 0.3~3.0%, V: 0.2~2.2% 중 적어도 1종 이상, 및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철계 합금 중에 Cr, Mo, V의 탄화물 입자 및/또는 이들 원소의 복합 탄화물 입자가 분산되는 경질상, 및 (C) 질량비로, Mo: 4~8%, V: 0.5~3%, W: 4~8%, Cr: 2~6%, C: 0.6~1.2%, 및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철계 합금 중에 Mo, V, W, Cr의 탄화물 입자 및/또는 이들 원소의 복합 탄화물 입자가 분산되는 경질상이 바람직하다.Among the above hard phases, a hard phase in which carbide particles precipitate and disperses in an iron-based alloy base is preferable as the iron hard phase. Specifically, (A) a hard phase consisting of Cr: 4 to 25%, C: 0.25 to 2.4%, and the balance Fe and inevitable impurities in the mass ratio, and the carbide particles of Cr are dispersed in the iron- ) Of at least one of Cr and Cr, 0.25 to 2.4% of Cr, 0.3 to 3.0% of Mo and 0.2 to 2.2% of V, and the balance of Fe and inevitable impurities, Mo: 4 to 8%, V: 0.5 to 3%, W: 4 to 8% by mass, and the hard phase in which the carbide particles of Cr, Mo and V and / or the composite carbide particles of these elements are dispersed in the alloy, V, W, and Cr carbide grains and / or complex carbide grains of these elements in the iron-based alloy, and the balance of Fe and inevitable impurities. Is preferably dispersed.
또, 철계 합금 기지 중에 몰리브덴 규화물 입자가 분산되는 경질상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D) 질량비로, Si: 0.5~10%, Mo: 10~50%, 및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철계 합금 중에 몰리브덴 규화물 입자가 분산되는 경질상, 및 (E) 질량비로, Si: 0.5~10%, Mo: 10~50%와, Cr: 0.5~10%, Ni: 0.5~10%, Mn: 0.5~5% 중 적어도 1종 이상, 및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철계 합금 중에 몰리브덴 규화물 입자가 분산되는 경질상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a hard phase in which molybdenum silicide particles are dispersed in an iron-based alloy matrix is preferable. Specifically, (D) 0.5 to 10% of Si, 10 to 50% of Si, and Fe and inevitable impurities 0.5 to 10% of Mo, 10 to 50% of Mo, 0.5 to 10% of Cr, 0.5 to 10% of Ni, and 0.5 to 10% of Mo are contained in the molten steel, and the molybdenum silicide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iron- Mn: 0.5 to 5%, and the balance of Fe and inevitable impurities, and the molybdenum silicide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iron-based alloy.
또한, 코발트계 경질상으로는, 코발트계 합금 기지 중에 몰리브덴 규화물 입자가 분산되는 경질상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F) 질량비로, Si: 1.5~3.5%, Cr: 7~11%, Mo: 26~30%와, 및 잔부가 Co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코발트계 합금 중에 몰리브덴 규화물 입자가 분산되는 경질상이 바람직하다.As the cobalt-based hard phase, a hard phase in which molybdenum silicide particles are dispersed in a cobalt-based alloy matrix is preferable. Specifically, (F) 1.5 to 3.5% of Si, 7 to 11% of Cr, To 30%, and the balance of Co and inevitable impurities, and the molybdenum silicide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cobalt-based alloy.
그리고, 합금철로는 페로몰리브덴, 페로크롬, 페로텅스텐이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G) 질량비로, Mo: 55~65%, C: 4% 이하, Si: 2% 이하, 및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페로몰리브덴 경질상, (H) 질량비로, Cr: 50~75%, C: 1% 이하, Si: 8% 이하, 및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페로크롬 경질상, (I) 질량비로, W: 75~85%, C: 0.5% 이하, Si: 0.5% 이하, 및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페로텅스텐 경질상이 바람직하다.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use ferromolybdenum, ferrochrome, and ferro-tungsten as the alloy steel, and more specifically, in the mass ratio of (G), 55 to 65% of Mo, 4% or less of C, (H) a ferrochromic hard phase comprising 50 to 75% of Cr, 1% or less of C, 8% or less of Si, and the balance of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at a mass ratio (H) I) a ferro-tungsten hard phase comprising 75 to 85% of W, 0.5% or less of C, 0.5% or less of Si, and the balance of Fe and unavoidable impurities.
이들 경질상은, 경질상 조성의 분말을, 원료 분말에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기의 성형 및 소결을 행함으로써, 구리계 소결 합금의 기지 중에 분산시킬 수 있다.These hard phases can be dispersed in the base of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by adding the powder of the hard phase composition to the raw powder and mixing and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molding and sintering.
또, 본 발명의 내마모성 구리계 소결 합금에 있어서는, 원료 분말에 3.0질량% 이하의 흑연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기공 중에 전체 조성 중의 C량으로서 3.0 질량% 이하의 흑연상을 더 분산시킬 수 있다. 흑연은 벽개성이 뛰어나 고체 윤활제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흑연을 기공 중에 흑연상으로서 분산시킴으로써, 상대재가 되는 밸브와의 슬라이드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in the wear resistant copper-based sintered alloy of the present invention, graphite powder of not more than 3.0% by mass can be further dispersed in the pores in the pores by adding 3.0% by mass or less of graphite powder to the raw powder. Graphite has excellent wall properties and acts as a solid lubricant. By dispersing such graphite in the form of graphite in pores,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sliding property with the valve which is a counter material.
실시예 Example
[제1 실시예] [First Embodiment]
구리 분말, 니켈 분말, 실리콘 분말 및 Ni량이 20질량%이고 잔부가 Cu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구리-니켈 합금 분말을 준비하고, 표 1에 나타내는 비율로 첨가, 혼합한 원료 분말을, 성형 압력 600MPa의 성형 압력으로, 외경 18mm, 내경 10mm, 높이 100mm의 원통 형상으로 성형하고, 얻어진 성형체를 소결로에 투입하여, 비산화성 분위기 중, 소결 온도 1000℃에서 소결을 행하고, 냉각 속도 12℃/분에서 냉각하여 시료 번호 01~21의 구리계 소결 합금 시료를 제작했다. 이들 시료의 전체 조성을 표 1에 함께 나타낸다.Nickel alloy powder in which copper powder, nickel powder, silicon powder and an amount of Ni of 20 mass% and the balance of Cu and inevitable impurities were prepared, and the raw powder added and mixed in the ratios shown in Table 1 were mixed at a molding pressure of 600 MPa The obtained molded body was put into a sintering furnace, sintered at a sintering temperature of 1000 占 폚 in a non-oxidizing atmosphere, and cooled at a cooling rate of 12 占 폚 / min. To prepare a copper-based sintered alloy sample of Sample Nos. 01 to 21. Table 1 shows the total composition of these samples.
비교를 위해, 종래의 고력 황동으로서, 전체 조성이, 질량비로, Zn: 40%Zn, Mn: 2%, A1: 1.5%, Si: 0.6%, Pb: 0.6% 및 잔부가 Cu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용제의 고력 황동을, 외경 18mm, 내경 10mm, 높이 100mm의 원통 형상으로 기계 가공을 행한 것을 시료 번호 22의 시료로서 준비했다.For comparison, a conventional high-strength brass as a whole was composed of Zn: 40% Zn, Mn: 2%, A1: 1.5%, Si: 0.6%, Pb: 0.6% and the balance Cu and inevitable impurities High-strength brass of the obtained solvent was machined in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of 18 mm, an inner diameter of 10 mm and a height of 100 mm as a sample of Sample No. 22.
또한, 종래의 밸브 가이드용 철계 소결 합금으로서, 철분말에 철-인 합금 분말, 구리-주석 합금 분말, 흑연 분말을 준비하고, 성형 압력 600MPa의 성형 압력으로, 외경 18mm, 내경 10mm, 높이 100mm의 원통 형상으로 성형하고, 얻어진 성형체를 소결로에 투입하여, 비산화성 분위기 중, 소결 온도 1000℃에서 소결을 행하여, 냉각 속도 12℃/분에서 냉각하고, 전체 조성이, 질량비로, Cu: 4.5%, Sn: 0.5%, P: 0.28%, C: 2.4% 및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철계 소결 합금을 시료 번호 23의 시료로서 준비했다.In addition, iron-phosphorus alloy powder, copper-tin alloy powder and graphite powder were prepared at the end of iron powder as a conventional iron-based sintered alloy for valve guides, and powder having an outer diameter of 18 mm, an inner diameter of 10 mm and a height of 100 mm The resulting compact was sintered at a sintering temperature of 1000 占 폚 in a non-oxidizing atmosphere and cooled at a cooling rate of 12 占 폚 / min to obtain a steel sheet having a total composition of 4.5% Cu, , Sn: 0.5%, P: 0.28%, C: 2.4% and the balance of Fe and inevitable impurities was prepared as a sample of Sample No. 23.
시료 01~21의 구리계 소결 합금 시료에 대하여, JIS Z 2505로 규정된 소결체 밀도 측정 방법(수중 중량법)에 준하여 소결체 밀도의 측정을 행했다. 또, 현미경을 이용해 소결체의 금속 조직 단면(×340)을 관찰하고, 주식회사 이노텍 제 QuickGrain Standard를 이용해 금속 조직 단면 중에 차지하는 2㎛ 이상의 니켈 규화물의 비율(면적%)을 구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함께 나타낸다.The sintered product density of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samples of Samples 01 to 21 was measured in accordance with the sintered product density measurement method (underwater weight method) prescribed by JIS Z 2505. The cross section (x 340) of the metal structure of the sintered body was observed using a microscope, and the ratio (area%) of the nickel silicide of 2 탆 or more occupied in the cross section of the metal structure was obtained using QuickGrain Standard manufactured by Innotek Corporation. These results are shown together in Table 1.
또한, 모든 시료(시료 번호 0l~23)에 대하여, 열 전도율을 측정함과 더불어, 마모 시험을 행하여 마모량의 측정을 행했다. 이들 결과를 표 1에 함께 나타낸다. 또한, 마모 시험은, 원통 형상의 소결체를 세로형 밸브 가이드 마모 시험기에 부착하여 마모 시험을 행했다. 마모 시험에서는, 축선을 연직 방향으로 설정한 피스톤의 하단부에 밸브 스템을 부착하여 밸브를 소결체 내경에 삽입 통과하고, 3MPa의 횡가중을 피스톤에 가하면서, 500℃의 배기 가스 분위기 중에서 밸브를 왕복운동시켰다. 이때의 스트로크 속도는 3000회/분, 스트로크 길이는 8mm로 했다. 30시간의 왕복운동 후, 소결체의 내주면의 마모량(㎛)을 측정했다.Further, for all the samples (sample Nos. 0 to 23), the thermal conductivity was measured, and the abrasion test was carried out to measure the abrasion amount. These results are shown together in Table 1. In the abrasion test, a cylindrical sintered body was attached to a vertical valve guide abrasion tester to perform abrasion test. In the abrasion test, a valve stem was attach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piston whose axis was se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alve was inserted into the inner diameter of the sintered body, and the valve was reciprocated in an exhaust gas atmosphere at 500 캜 . At this time, the stroke speed was 3000 rpm and the stroke length was 8 mm. After the reciprocating motion for 30 hours, the wear amount (mu m)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ntered body was measured.
또한, 열 전도율의 평가에 있어서는, 종래의 밸브 가이드용 철계 소결 합금으로서 준비한 시료 번호 23의 철계 소결 합금 시료의 열 전도율의 2배 이상의 값을 나타내는 것을 합격으로서 평가했다. 또한, 마모량의 평가에 있어서는 종래의 고력 황동으로서 준비한 시료 번호 22의 고력 황동 시료의 마모량의 6할 이하의 값을 나타내는 것을 합격으로서 평가했다.Further, in evaluating the thermal conductivity, it was evaluated as acceptable that the value of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iron-based sintered alloy sample of the sample No. 23 prepared as the conventional iron-based sintered alloy for valve guides was twice or more. Further, in the evaluation of the amount of wear, it was evaluated as acceptable that the wear amount of the high-strength brass sample of Sample No. 22 prepared as the conventional high-strength brass was 60% or less.
표 1의 시료 번호 01~10의 구리계 소결 합금 시료에서, 전체 조성 중의 Ni량의 영향을 조사할 수 있다. 또, 표 1의 시료 번호 06, 11~20의 구리계 소결 합금 시료에서, 전체 조성 중의 Si량의 영향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표 1의 시료 번호 06의 구리계 소결 합금 시료와 시료 번호 21의 구리계 소결 합금 시료를 비교함으로써 Ni의 첨가 형태의 영향에 대하여 조사할 수 있다.In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samples of Sample Nos. 01 to 10 of Table 1, the influence of the amount of Ni in the whole composition can be investigated. In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samples of Samples Nos. 06 and 11 to 20 of Table 1, the influence of the amount of Si in the entire composition can be examined. Further, by comparing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sample of Sample No. 06 in Table 1 with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sample of Sample No. 21, the influence of the addition form of Ni can be investigated.
[Ni량의 영향][Influence of Ni amount]
시료 번호 01의 시료는 Ni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며, 니켈 규화물(Ni2Si)은 석출하지 않고, Si의 전량이 Cu 기지에 고용한다. 이 때문에, 마모량이 645㎛로 큰 값으로 되어 있다. 열 전도율은 68W/(m·K)이며, 시료 번호 23의 종래의 철계 소결 합금 시료보다 약 2.5배 향상되어 있다.Sample No. 01 does not contain Ni, and nickel silicide (Ni 2 Si) does not precipitate, and the entire amount of Si is dissolved in the Cu base. For this reason, the amount of wear is as large as 645 mu m. The thermal conductivity is 68 W / (m · K), which is about 2.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iron-based sintered alloy sample of Sample No. 23.
시료 번호 02의 시료는 Ni를 2질량% 함유하므로, Ni가 Si와 결합하여 니켈 규화물(Ni2Si)이 기지 중에 석출 분산되는 결과, 내마모성이 향상하고, 마모량이 352㎛로, 시료 번호 22의 종래의 고력 황동 시료의 57%에까지 저감되어 있다. 이 때의 2㎛ 이상의 크기의 니켈 규화물이, 금속 조직에 차지하는 면적율은 2.1%로 되어 있다. 또한, Si가 니켈 규화물로서 석출하고, 구리 합금 기지에 고용하는 Si가 감소함으로써, 열 전도율도 121W(m·K)로 매우 높은 열 전도율을 나타낸다.Since the sample of the sample No. 02 contains 2 mass% of Ni, Ni is bonded to Si and the nickel suicide (Ni 2 Si) precipitates and disperses in the matrix. As a result, the abrasion resistance is improved and the wear amount is 352 탆. And is reduced to 57% of the conventional high-strength brass samples. At this time, the nickel silicide having a size of 2 탆 or more occupies 2.1% in the area of the metal structure. In addition, Si precipitates as nickel silicide, and the amount of Si dissolved in the copper alloy base decreases, so that the thermal conductivity also shows a very high thermal conductivity of 121 W (m 占)).
또한, 시료 번호 03~10의 시료에서, Ni량이 증가함에 따라, 석출되는 니켈 규화물의 양이 증가함과 더불어, 2㎛ 이상의 크기의 니켈 규화물이 금속 조직에 차지하는 면적율이 증가하여, 구리계 소결 합금의 내마모성이 향상된다. 이 때문에, 마모량은 Ni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저하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Further, in the samples of Sample Nos. 03 to 10, as the amount of Ni increased, the amount of deposited nickel silicide was increased, and the area ratio of the nickel silicide having a size of 2 탆 or more to the metal structure was increased, Wear resistance is improved. Therefore, the wear amount tends to decrease as the amount of Ni increases.
한편, Ni량이 증가하면 기지 중에 석출되는 니켈 규화물의 양이 증가하기 때문에, 구리 합금 기지의 비율이 저하한다. 이 때문에 열 전도율은, Ni량의 증가에 따라서 저하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Ni량이 18질량%의 시료 번호 10인 시료는 열 전도율의 저하가 현저하고, 시료 번호 23의 종래의 철계 소결 합금 시료의 2배를 만족하지 않는 값으로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Ni is increased, the amount of nickel silicide precipitated in the matrix increases, so that the proportion of the copper alloy base decreases. For this reason, the thermal conductivity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with increasing amount of Ni, and the sample with sample No. 10 having an amount of Ni of 18 mass% showed a remarkable deterioration in thermal conductivity, and the sample of the conventional sample of iron-based sintered alloy The value is not satisfied.
이상에서, 내마모성 구리계 소결 합금의 Ni량을, 2.0~16.0질량%의 범위로 함으로써, 열 전도율의 향상과 내마모성의 향상(마모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As described above, it was confirmed that by increasing the Ni content of the abrasion-resistant copper-based sintered alloy to 2.0 to 16.0 mas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improve the abrasion resistance (abrasion loss).
[Si량의 영향][Influence of Si amount]
시료 번호 11의 시료는, Si를 포함하지 않는 시료이며, 니켈 규화물(Ni2Si)은 석출하지 않고, Ni의 전량이 Cu 기지에 고용한다. 이 때문에, 마모량이 534㎛로 큰 값을 나타냄과 더불어, 열 전도율은 33W/(m·K)로, 시료 번호 23의 종래의 철계 소결 합금 시료의 2배를 만족하지 않는 값을 나타내고 있다.Sample No. 11 is a sample containing no Si, and nickel silicide (Ni 2 Si) does not precipitate, and the entire amount of Ni is dissolved in the Cu base. For this reason, the wear amount shows a large value of 534 占 퐉,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is 33 W / (m 占 K), which is a value that does not satisfy the double value of the conventional iron-based sintered alloy sample of the sample No. 23.
시료 번호 12의 시료는 Si를 0.2질량%를 함유하므로, Ni가 Si와 결합하여 니켈 규화물(Ni2Si)이 기지 중에 석출 분산하는 결과, 내마모성이 향상되고, 마모량이 370㎛로, 시료 번호 22의 종래의 고력 황동 시료의 약 60%에까지 저감되어 있다. 이 때의 2㎛ 이상의 크기의 니켈 규화물이, 금속 조직에 차지하는 면적율은 2.0%로 되어 있다. 또한, Ni가 니켈 규화물로서 석출하고, 구리 합금 기지에 고용하는 Ni가 감소함으로써, 열 전도율도 55W/(m·K)로 시료 번호 23의 종래의 철계 소결 합금 시료의 2.2배로 향상되어 있다.The sample of the sample No. 12 contains 0.2 mass% of Si, so that the Ni is bonded to Si and the nickel suicide (Ni 2 Si) precipitates and disperses in the matrix. As a result, the wear resistance is improved and the wear amount is 370 탆. To about 60% of the conventional high-strength brass samples. The area ratio occupied by the nickel silicide having a size of 2 탆 or more in the metal structure at this time is 2.0%. In addition, Ni precipitates as nickel silicide, and Ni dissolved in the copper alloy base decreases,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is also improved to 2.2 times that of the conventional iron-based sintered alloy sample of Sample No. 23 at 55 W / (m · K).
시료 번호 13~15, 06, 16~20의 시료에서, Si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석출되는 니켈 규화물의 양이 증가함과 더불어, 2㎛ 이상의 크기의 니켈 규화물이 금속 조직에 차지하는 면적율이 증가하여, 구리계 소결 합금의 내마모성이 향상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마모량은 Si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저하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In the samples Nos. 13 to 15, 06 and 16 to 20, the amount of nickel silicide precipitated as the amount of Si increases, and the area ratio of the nickel silicide having a size of 2 탆 or more in the metal structure increases, The wear resistance of the sintered alloy is improved. Therefore, the wear amount tends to decrease as the amount of Si increases.
또한, 열 전도율은 Si량이 3.0질량%까지는 Si량의 증가에 따라서 저하하지만, Si량이 3.0질량%를 초과하면 반대로 저하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구리 합금 기지 중에 고용하는 Ni량이 감소함에 의한 열 전도율 향상과, 구리 합금 기지 중에 니켈 규화물이 석출함에 의한 열 전도율 저하의 밸런스에 의한 것으로, Si량이 3.0질량%까지는 전자의 효과가 크고 열 전도율이 증가하지만, Si량이 3.0질량%를 초과하면 후자의 영향이 커져 열 전도율의 저하가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때문에, Si량이 4질량%를 초과하는 시료 번호 20의 시료에서는, 열 전도율의 저하가 현저하고, 시료 번호 23의 종래의 철계 소결 합금 시료의 2배를 만족하지 않는 값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thermal conductivity decreases with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Si up to 3.0 mass%, but decreases with the amount of Si exceeding 3.0 mass%. This is because of the balance between the improvement of the thermal conductivity due to the reduction of the amount of Ni contained in the copper alloy base and the balance of the decrease of the thermal conductivity due to the precipitation of nickel silicide in the copper alloy base. When the amount of Si is 3.0 mass% However, if the amount of Si exceeds 3.0% by mass, the latter influence becomes large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is considered to be lowered. For this reason, in the sample of the sample No. 20 in which the amount of Si is more than 4% by mass, the thermal conductivity is remarkably lowered, and the value is not satisfied twice the conventional iron-based sintered alloy sample of the sample No. 23.
이상에서, 내마모성 구리계 소결 합금의 Si량을, 0.2~4.0질량%의 범위로 함으로써, 열 전도율의 향상과 내마모성의 향상(마모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As described above, it was confirmed that by increasing the Si content of the wear-resistant copper-based sintered alloy in the range of 0.2 to 4.0 mas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improve the abrasion resistance (abrasion loss).
[Ni의 첨가 형태의 영향][Effect of addition type of Ni]
시료 번호 06의 구리계 소결 합금 시료는, Ni를 니켈 분말의 형태로 부여한 예이며, 시료 번호 21의 구리계 소결 합금 시료는, Ni를 구리-니켈 합금 분말의 형태로 부여한 예이다. 어떠한 시료나 Ni: 10질량%, Si: 2질량% 및 잔부가 Cu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조성이며, Ni의 첨가 형태만이 다른 시료이다. 이들 시료를 비교하면, 열 전도율 및 마모량은 거의 동일한 값이며, Ni의 첨가 형태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sample of Sample No. 06 is an example in which Ni is added in the form of nickel powder, and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sample of Sample No. 21 is an example of Ni in the form of copper-nickel alloy powder. 10% by mass of Ni, 2% by mass of Si and the balance of Cu and inevitable impurities, and only the addition form of Ni is another sample. When these samples are compared, it can be seen that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wear amount are almost the same value, and the addition form of Ni is not affected.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제1 실시예에서 이용한 구리 분말, 니켈 분말, 및 실리콘 분말과, 표 2에 나타내는 조성(원소 기호의 전에 기재한 수치는 질량%)의 경질상 형성 분말을 준비하여, 표 2에 나타내는 비율로 첨가하여 혼합한 원료 분말을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성형, 소결하여 시료 번호 24~38의 구리계 소결 합금 시료를 제작했다. 이들 시료의 전체 조성을 표 3에 나타낸다.The copper powder, nickel powder and silicon powder used in Example 1 and the hard phase forming powders of the compositions shown in Table 2 (numerical values of the element symbol are expressed in% by mass) were prepared and added in the ratios shown in Table 2 The raw material powders thus mixed were molded and sinte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to prepare samples of copper-based sintered alloys of Sample Nos. 24 to 38. Table 3 shows the total composition of these samples.
이들 시료에 대하여,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열 전도율과 내마모성의 측정을 행했다. 그 결과를 표 3에 함께 나타낸다. 또한, 표 2 및 표 3에는 제1 실시예의 시료 번호 06, 22 및 23의 시료의 값을 함께 나타냈다.These samples were measured for thermal conductivity and abrasion resistance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xample. The results are also shown in Table 3. Tables 2 and 3 together show the values of the samples of Sample Nos. 06, 22 and 23 of the first embodiment.
표 2 및 표 3의 시료 번호 06~31의 구리계 소결 합금 시료에서, 제2 경질상의 양의 영향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표 2 및 표 3의 시료 번호 28, 32~38의 구리계 소결 합금 시료를 비교함으로써 제2 경질상의 종류의 영향에 대하여 조사할 수 있다.In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samples of Samples Nos. 06 to 31 of Table 2 and Table 3, the influence of the amount of the second hard phase can be investigated. In addition, by comparing copper-based sintered alloy samples of sample Nos. 28 and 32 to 38 of Tables 2 and 3, it is possibl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kind of the second hard phase.
[제2 경질상의 양의 영향][Influence of the amount of the second hard phase]
제2 경질상을 포함하지 않는 시료 번호 06의 시료에 대하여, 제2 경질상을 포함하는 시료 번호 24~31의 시료에서는, 어느 것이나 마모량이 작아지고 있어, 제2 경질상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서 마모량이 저하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제2 경질상을 포함하는 시료 번호 24~31의 시료에서는, 어느것이나 제2 경질상을 포함하지 않는 시료 번호 06의 시료에 대하여 열 전도율이 저하함과 더불어, 제2 경질상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서 열 전도율이 저하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문에, 제2 경질상량이 5질량%를 초과하는 시료 번호 31의 시료에서는 열 전도율의 저하가 현저하고, 시료 번호 23의 종래의 철계 소결 합금 시료의 2배를 만족하지 않는 값으로 되어 있다.With respect to the sample No. 06 which does not include the second hard phase, the samples of the samples Nos. 24 to 31 including the second hard phase have a reduced amount of wear, and as the amount of the second hard phase increases, And the like. On the other hand, in the samples Nos. 24 to 31 including the second hard phas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sample of the sample No. 06 which does not contain the second hard phase was lowered and the amount of the second hard phase was increased The thermal conductivity tends to decrease. For this reason, in the sample of the sample No. 31 in which the second hard phase amount is more than 5 mass%, the decrease of the thermal conductivity is remarkable, and the value is not satisfied twice the conventional iron-based sintered alloy sample of the sample No. 23.
이상에서, 제2 경질상을 분산시킴으로써 내마모성의 향상(마모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데, 그 양은 5.0질량% 이하에 머물러야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As described above, it was confirmed that the abrasion resistance can be improved (the abrasion loss can be reduced) by dispersing the second hard phase, but the amount should be 5.0 mass% or less.
[제2 경질상의 종류의 영향][Influence of kind of the second hard phase]
시료 번호 28, 32~38의 시료는, 제2 경질상의 종류가 상이한 것이다. 여기서, 시료 번호 28의 시료는 (G) 페로몰리브덴 경질상의 예, 시료 번호 32의 시료는 (H) 페로크롬 경질상의 예, 시료 번호 33의 시료는 (I) 페로텅스텐 경질상의 예이다. 또한, 시료 번호 34의 시료는 (A) 철계 합금 중에 Cr의 탄화물 입자가 분산되는 경질상의 예, 시료 번호 35의 시료는 (B) 철계 합금 중에 Cr, Mo, V의 탄화물 입자 및/또는 이들 원소의 복합 탄화물 입자가 분산되는 경질상의 예, 시료 번호 36의 시료는 (C) 철계 합금 중에 Mo, V, W, Cr의 탄화물 입자 및/또는 이들 원소의 복합 탄화물 입자가 분산되는 경질상의 예이다. 그리고, 시료 번호 37의 시료는 (E) 철계 합금 중에 몰리브덴 규화물 입자가 분산되는 경질상의 예이며, 시료 번호 38의 시료는 (F) 코발트계 합금 중에 몰리브덴 규화물 입자가 분산되는 경질상의 예이다.The samples of sample Nos. 28 and 32 to 38 differ in the type of the second hard phase. Here, the sample of the sample No. 28 is an example of the (G) ferromolybdenum hard phase, the sample of the sample No. 32 is an example of the (H) ferrochrome hard phase, and the sample of the sample No. 33 is the (I) ferro tungsten hard phase. The sample of the sample No. 34 is a hard phase sample in which the carbide particles of Cr are dispersed in the (A) iron-based alloy, the sample of the sample No. 35 is the sample of the carbide particles of Cr, Mo, V and / (C) is an example of a hard phase in which carbide grains of Mo, V, W and Cr and / or complex carbide grains of these elements are dispersed in an iron-based alloy (C). The sample of the sample No. 37 is an example of a hard phase in which molybdenum silicide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E) iron-based alloy, and the sample of the sample No. 38 is an example of the hard phase in which the molybdenum silicide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F) cobalt-based alloy.
이들 시료 번호 28, 32~38의 시료는, 모두 제2 경질상을 포함하지 않는 시료 번호 06의 시료에 비해 마모량이 작아지고 있어, 구리계 소결 합금의 내마모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 확인되었다.It was confirmed that the samples of the sample Nos. 28 and 32 to 38 were less abrasive than the sample of the sample No. 06 which did not contain the second hard phase,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of the abrasion resistance of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제1 실시예에서 이용한 구리 분말, 니켈 분말, 및 실리콘 분말과 흑연 분말을 준비하고, 표 4에 나타내는 비율로 첨가하여 혼합한 원료 분말을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으로 성형, 소결하여 시료 번호 24~36의 구리계 소결 합금 시료를 제작했다. 이들 시료에 대하여,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하여 열 전도율과 내마모성의 측정을 행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함께 나타낸다. 또한, 표 4에는 제1 실시예의 시료 번호 06, 22 및 23의 시료의 값을 함께 나타냈다.The copper powder, the nickel powder, the silicon powder and the graphite powder used in the first embodiment were prepared and added in the proportions shown in Table 4, and the mixed raw powder was molded and sinte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in Example 1 to obtain Sample No. 24 To 36 samples of copper-based sintered alloy were prepared. These samples were measured for thermal conductivity and abrasion resistance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xample. The results are shown together in Table 4. In Table 4, the values of the samples of Sample Nos. 06, 22 and 23 of the first embodiment are also shown.
표 4의 시료 번호 06, 39~44의 구리계 소결 합금 시료에서, 흑연상의 양의 영향을 조사할 수 있다.The influence of the amount of the graphite phase can be investigated in the samples of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s of the sample Nos. 06 and 39 to 44 in Table 4. [
[흑연상의 양의 영향][Influence of amount of graphite phase]
C를 함유하지 않고 흑연상을 포함하지 않는 시료 번호 06의 시료에 대하여, C를 함유하여 흑연상을 포함하는 시료 번호 39~43의 시료는, C량 즉 흑연상량이 3.0질량%까지는 C량의 증가에 따라서 마모량이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지만, C량이 3.0질량%를 초과하는 시료 번호 44의 시료에서는, 마모량이 반대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흑연 분말은 소결에 있어서의 구리계 소결 합금의 치밀화를 저해하기 때문에, C량 즉 흑연상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소결체 밀도가 저하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C량이 3.0질량%를 초과하면 마모량이 반대로 증가하는 경향은, 소결체 밀도의 저하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즉, 소결체 밀도의 저하는 기지 강도의 저하로 연결되므로, C량이 3.0질량%를 초과하는 시료 번호 44의 시료에서는, 기지 강도의 저하의 영향에 의해 마모량이 증가한 것으로 생각된다.The samples of Sample Nos. 39 to 43 containing C and containing graphite were found to have a C content, that is, a C content up to 3.0% by mass, in the samples of Sample No. 06 containing no C and containing no graphite The amount of abrasion tends to decrease with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C, while the amount of abrasion tends to increase in the case of Sample No. 44 in which the amount of C exceeds 3.0 mass%. In addition, since the graphite powder inhibits the densification of the copper-based sintered alloy in sintering, the density of the sintered body tends to decrease as the amount of C, that is, the amount of graphite, increases. If the C content exceeds 3.0 mass%, the tendency that the amount of wear increases inversely is considered to be caused by the lowering of the density of the sintered body. In other words, since the decrease in density of the sintered body leads to the deterioration of the known strength, it is considered that the sample of Sample No. 44 in which the C content exceeds 3.0 mass% is increased in wear due to the influence of the deterioration of the known strength.
또, C량 즉 흑연상량의 증가에 따르는 소결체 밀도의 저하에 의해, 열 전도율은 C량의 증가에 따라서 저하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C량이 3.0질량%를 초과하는 시료 번호 44의 시료에서는 열 전도율의 저하가 현저하고, 시료 번호 23의 종래의 철계 소결 합금 시료의 2배를 만족하지 않는 값으로 되어 있다.Further, the thermal conductivity tends to decrease with the increase of the amount of C due to the decrease of the density of the sintered body due to the increase of the amount of C, that is, the amount of the graphite, and in the sample of the sample No. 44 in which the amount of C exceeds 3.0 mass% And a value which is twice as large as that of the conventional iron-based sintered alloy sample of the sample No. 23 is obtained.
이상에서, C를 함유시켜 흑연상을 분산시킴으로써 내마모성의 향상(마모량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데, C량은 3.0질량% 이하에 머물러야 하는 것이 확인되었다.As described above,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of C should be kept at 3.0% by mass or less although the abrasion resistance can be improved (abrasion loss can be reduced) by containing C and dispersing the black toner image.
본 발명의 내마모성 구리계 소결 합금은, 열 전도율과 내마모성을 겸비한 것이며, 엔진의 압축비를 높여도 노킹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엔진의 연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므로, 고연비 엔진용 밸브 가이드에 매우 적합한 것이다.The wear-resistant copper-based sintered allo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heat conductivity and wear resistance, and knocking can be prevented even if the compression ratio of the engine is increased, thereby contributing to improvement in fuel economy of the engine. It is very suitable.
Claims (7)
상기 2㎛ 이상의 크기의 니켈 규화물이, 금속 조직 중의 면적율로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가이드용 내마모성 구리계 소결 합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nickel suicide having a size of 2 mu m or more is 2% or more in area ratio in the metal structure.
전체 조성에 있어서의 Ni와 Si의 비율이 Ni: 1에 대하여 Si: 0.05~0.35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가이드용 내마모성 구리계 소결 합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f Ni to Si in the whole composition is from 0.05 to 0.35 of Si relative to Ni: 1. 2. A wear-resistant copper-based sintered alloy according to claim 1,
전체 조성 중에, Sn, P, Co 중 1종 이상을 총량으로 3.0질량% 이하 더 함유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가이드용 내마모성 구리계 소결 합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lloy composition further contains at least 3.0 mass% of at least one of Sn, P and Co in the total composition.
상기 기지 조직 중에, 하기 (A)~(I) 중 적어도 1종이, 총량으로서 5.0질량% 이하, 분산되고, 전체 조성 중에, 선택된 성분을 더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마모성 구리계 소결 합금.
(A) 질량비로, Cr: 4~25%, C: 0.25~2.4%, 및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철계 합금 중에 Cr의 탄화물 입자가 분산되는 경질상
(B) 질량비로, Cr: 4~25%, C: 0.25~2.4%와, Mo: 0.3~3.0%, V: 0.2~2.2% 중 적어도 1종 이상, 및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철계 합금 중에 Cr, Mo, V의 탄화물 입자 및/또는 이들 원소의 복합 탄화물 입자가 분산되는 경질상
(C) 질량비로, Mo: 4~8%, V: 0.5~3%, W: 4~8%, Cr: 2~6%, C: 0.6~1.2%, 및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철계 합금 중에 Mo, V, W, Cr의 탄화물 입자 및/또는 이들 원소의 복합 탄화물 입자가 분산되는 경질상
(D) 질량비로, Si: 0.5~10%, Mo: 10~50%, 및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철계 합금 중에 몰리브덴 규화물 입자가 분산되는 경질상
(E) 질량비로, Si: 0.5~10%, Mo: 10~50%와, Cr: 0.5~10%, Ni: 0.5~10%, Mn: 0.5~5% 중 적어도 1종 이상, 및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철계 합금 중에 몰리브덴 규화물 입자가 분산되는 경질상
(F) 질량비로, Si: 1.5~3.5%, Cr: 7~11%, Mo: 26~30%와, 및 잔부가 Co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고, 코발트계 합금 중에 몰리브덴 규화물 입자가 분산되는 경질상
(G) 질량비로, Mo: 55~65%, C: 4% 이하, Si: 2% 이하, 및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페로몰리브덴 경질상
(H) 질량비로, Cr: 50~75%, C: 1% 이하, Si: 8% 이하, 및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페로크롬 경질상
(I) 질량비로, W: 75~85%, C: 0.5% 이하, Si: 0.5% 이하 및 잔부가 Fe 및 불가피 불순물로 이루어지는 페로텅스텐 경질상Wherein a total composition is composed of a base composed of 2.0 to 16.0% of Ni, 0.2 to 4.0% of Si, and the balance of Cu and inevitable impurities and composed of pores and a copper or copper-nickel alloy in a mass ratio, And the nickel suicide has a size of 2 탆 or more,
Wherein at least one of (A) to (I) below is dispersed in a total amount of 5.0% by mass or less in the matrix, and further contains a selected component in the whole composition.
(A) a hard phase consisting of Cr: 4 to 25%, C: 0.25 to 2.4%, and the balance Fe and inevitable impurities, in which iron carbide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iron-
(B) at least one or more of Cr: 4 to 25%, C: 0.25 to 2.4%, Mo: 0.3 to 3.0% and V: 0.2 to 2.2%, and the balance of Fe and inevitable impurities , A hard phase in which carbide particles of Cr, Mo, V and / or complex carbide particles of these elements are dispersed in an iron-based alloy
(C), and the balance of Fe and inevitable impurities is composed of 4 to 8% of Mo, 0.5 to 3% of V, 4 to 8% of W, 2 to 6% of Cr, 0.6 to 1.2% A hard phase in which the carbide grains of Mo, V, W, Cr and / or complex carbide grains of these elements are dispersed in the iron-
(D) a hard phase in which molybdenum silicide particles are dispersed in an iron-based alloy, the balance being composed of Si: 0.5 to 10%, Mo: 10 to 50%, and the balance of Fe and inevitable impurities
At least one of 0.5 to 10% of Si, 10 to 50% of Mo, 0.5 to 10% of Cr, 0.5 to 10% of Ni, 0.5 to 5% of Mn, Fe and inevitable impurities, and the molybdenum silicide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iron-based alloy,
Wherein the molybdenum silicide particles are dispersed in the cobalt-based alloy, wherein the molar ratio of Si: 1.5 to 3.5%, Cr: 7 to 11%, Mo: 26 to 30% Prize
(G) mass ratio of ferromolybdenum hard phase consisting of 55 to 65% of Mo, 4% or less of C, 2% or less of Si and the balance of Fe and inevitable impurities
(H) a ferrochrome hard phase comprising 50 to 75% of Cr, 1% or less of C, 8% or less of Si, and the balance of Fe and inevitable impurities
(I) a ferro-tungsten hard phase consisting of 75 to 85% of W, 0.5% or less of C, 0.5% or less of Si, and the balance of Fe and inevitable impurities
전체 조성 중에, C: 3.0질량% 이하를 더 함유함과 더불어, 상기 기공 중에 흑연상이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가이드용 내마모성 구리계 소결 합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further contains C: 3.0% by mass or less in the whole composition, and a graphite phase is dispersed in the pores.
밀도가 7.5kg/㎥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가이드용 내마모성 구리계 소결 합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 density of 7.5 kg / m < 3 > or mo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9463A KR101717347B1 (en) | 2015-04-08 | 2015-04-08 | Copper based sintered alloy with wear resista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49463A KR101717347B1 (en) | 2015-04-08 | 2015-04-08 | Copper based sintered alloy with wear resistan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0454A KR20160120454A (en) | 2016-10-18 |
KR101717347B1 true KR101717347B1 (en) | 2017-03-16 |
Family
ID=57244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49463A Active KR101717347B1 (en) | 2015-04-08 | 2015-04-08 | Copper based sintered alloy with wear resistan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734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802079B2 (en) * | 2017-02-03 | 2020-12-16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members |
JP6868412B2 (en) * | 2017-02-03 | 2021-05-12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Sliding members, sliding member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sliding members |
JP6675370B2 (en) * | 2017-11-09 | 2020-04-01 |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 Hardfacing alloys and hardfacing members |
CN116200617A (en) * | 2022-12-16 | 2023-06-02 | 航天科工(长沙)新材料研究院有限公司 | Copper-nickel alloy powder suitable for additive manufacturing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55490A (en) * | 2001-07-12 | 2008-10-23 | Komatsu Ltd | Copper based sintered contact material and double-layered sintered contact member |
JP2012041639A (en) | 2003-07-31 | 2012-03-01 | Komatsu Ltd | Sintered sliding member and working implement-connecting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4927B2 (en) | 1972-07-10 | 1979-01-18 | ||
JPS5534858A (en) | 1978-09-04 | 1980-03-11 | Hitachi Ltd | Open ventilation type rotary motor with inertia separator |
DE102005063325B4 (en) * | 2005-05-13 | 2008-01-10 | Federal-Mogul Wiesbaden Gmbh & Co. Kg | Slide bearing composite, use and manufacturing process |
JP5525986B2 (en) * | 2009-12-21 | 2014-06-18 | 日立粉末冶金株式会社 | Sintered valve gui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2015
- 2015-04-08 KR KR1020150049463A patent/KR10171734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255490A (en) * | 2001-07-12 | 2008-10-23 | Komatsu Ltd | Copper based sintered contact material and double-layered sintered contact member |
JP2012041639A (en) | 2003-07-31 | 2012-03-01 | Komatsu Ltd | Sintered sliding member and working implement-connect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20454A (en) | 2016-10-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102161B (en) | Sintered valve guide and a method of making same | |
JP5371182B2 (en) | Cu-Ni-Sn based copper-based sintered alloy having excellent friction and wear resistance and bearing material made of the alloy | |
JP4584158B2 (en) | Valve seat material made of iron-based sintered alloy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
WO2009122985A1 (en) | Iron-base sintered alloy for valve sheet and valve sheet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 |
JP6871361B2 (en) | Valve seat made of iron-based sintered alloy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 |
CN108026800B (en) | Sintered valve seat | |
KR101717347B1 (en) | Copper based sintered alloy with wear resistance | |
US5870989A (en) | Abrasion resistant valve seat made of sintered alloy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
EP3026141A1 (en) | Valve guide made from sintered allo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
JP2000297356A (en) | High temperature wear resistant sintered alloy | |
JP2015193886A (en) | Iron-based sinter alloy material for valve sea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 |
EP2511388B1 (en) | Sintered sliding member | |
EP0711845B1 (en) | Wear-resistant sintered ferrous alloy for valve seat | |
JP6315241B2 (en) | Wear-resistant copper-based sintered alloy | |
EP1347067B1 (en) | Iron-based sintered alloy for use as valve seat | |
JP6635664B2 (en) | Hard powder for Fe-based sintering and Fe-based sintered body using the same and having excellent wear resistance | |
EP3636369B1 (en) | Method of producing a valve guide made of an iron-based sintered alloy | |
JP2021139365A (en) | Valve guide | |
JP4303172B2 (en) | Ferrous sintered alloy valve seat | |
KR940002687B1 (en) | Copper-base sintered alloy | |
JP2010144235A (en) | Wear-resistant sintered allo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JPS61291954A (en) | Sintering material having wear resistance and corrosion resistance at high temperature and its manufacture | |
JPH10102220A (en) | Valve seat made of fe-base sintered alloy excellent in wear resistance | |
EP0277239A1 (en) | Abrasion-resistant sintered alloy and process for its production | |
JP5358131B2 (en) | Wear-resistant sintered allo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