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16092B1 - 인몰드 라벨 및 입체 형상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몰드 라벨 및 입체 형상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092B1
KR101716092B1 KR1020160084012A KR20160084012A KR101716092B1 KR 101716092 B1 KR101716092 B1 KR 101716092B1 KR 1020160084012 A KR1020160084012 A KR 1020160084012A KR 20160084012 A KR20160084012 A KR 20160084012A KR 101716092 B1 KR101716092 B1 KR 101716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mold
pressure vessel
dimensional
prefor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4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우홍
Original Assignee
변우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60084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092B1/ko
Application filed by 변우홍 filed Critical 변우홍
Priority to PCT/KR2016/011414 priority patent/WO2018008802A1/ko
Publication of KR101716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riority to CN201710511399.3A priority patent/CN107571480B/zh
Priority to US15/640,607 priority patent/US10688708B2/en
Priority to PCT/KR2017/007123 priority patent/WO2018008956A1/ko
Priority to AU2017293720A priority patent/AU2017293720B2/en
Priority to RU2018109567A priority patent/RU2730527C2/ru
Priority to MX2018003888A priority patent/MX2018003888A/es
Priority to JP2018542099A priority patent/JP6684916B2/ja
Priority to EP17824512.2A priority patent/EP336645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2/00Pressure vessels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40Details of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05Means for the attachment of labels, cards, coupo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2Lab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러한 한계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압력 용기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입체적으로 형성하고, 그 위에 입체감이 나도록 라벨을 변형시킴으로써 이를 바라보는 사람의 관심을 주목시킬 수 있는 인몰드 라벨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구부와, 입구부와 연통되며 블로윙 방식으로 팽창하여 형성되고 입구부의 직경에 비해서 크게 형성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입체감을 부여하도록 몸체부 외주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내측 방향으로 리세스 처리된 입체부와; 몸체부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인몰드 라벨링 방식으로 부착되고, 입체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되어 입체부의 윤곽에 맞게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내측 방향으로 리세스 모양을 형성하는 라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을 형성하는 인몰드 라벨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몰드 라벨 및 입체 형상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A manufacturing method of a pressure container comprising in-mold label and three-dimensional shape }
본 발명은 인몰드 라벨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프리폼에 대한 블로윙 작업을 통하여 인몰드 라벨링이 된 압력 용기의 외주면에 입체적인 형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압력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탄산음료 등과 같은 내부 압력이 있는 유체를 담기 위해서 내부 압력을 버틸 수 있는 용기를 압력 용기라고 한다.
이러한 압력용기의 경우 보통 프리폼(free form)을 제작하고, 추가적으로 이에 대해서 공기를 주입하는 블로윙(blowing) 작업을 통해서 용기를 제작한다.
한편, 압력용기에 라벨을 붙이기 위해서 금형 내부에 라벨을 부착한 뒤에 프리폼을 팽창시켜서 용기의 표면에 자연스럽게 부착되도록 하는데, 이를 인몰드 라벨링 공법이라고 한다.
그런데, 인몰드 라벨 공법을 이용하여 라벨이 부착된 압력 용기를 제작하는 경우, 일본 특허공개 2006-276646호와 같이, 그 외주면이 평면적이어서, 이러한 압력 용기를 이용하여 제품을 출시하는 경우, 천편일률적인 외형 디자인 밖에 나올 수 없어서 소비자의 시선을 끄는데 한계가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플라스틱 용기에 입체 형상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에, 용기 외면에 입체 형상을 형성하고, 라벨을 씌우고, 이를 열수축 방식으로 구현하였으나, 이러한 경우, 입체부분을 덮어야할 라벨의 부분(홀로그램, 글자 부분)의 경계와 입체 부분의 경계가 맞지 않아서 미감이 제대로 구현될 수 있는 용기를 생산하기 어려웠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한계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압력 용기의 외면의 적어도 일부를 입체적으로 형성하고, 그 위에 입체감이 나도록 라벨을 변형시킴으로써 이를 바라보는 사람의 관심을 주목시킬 수 있는 인몰드 라벨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구부와, 입구부와 연통되며 블로윙 방식으로 팽창하여 형성되고 입구부의 직경에 비해서 크게 형성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에 입체감을 부여하도록 몸체부 외주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내측 방향으로 리세스 처리된 입체부와; 몸체부의 외주면 중 적어도 일부에 인몰드 라벨링 방식으로 부착되고, 입체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되어 입체부의 윤곽에 맞게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거나 내측 방향으로 리세스 모양을 형성하는 라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감을 형성하는 인몰드 라벨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를 제공한다.
상기 입구부 및 몸체부의 재질은 PET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벨은 기재부와, 기재부 내면에 마련되어 소정 온도 이상에서 융착되는 접착층과, 기재부 외면에 마련되어 상기 입체부의 돌출되거나 리세스 처리된 부분에 대응되는 문양이나 패턴 또는 그림 또는 글자 또는 숫자가 인쇄된 인쇄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체부의 돌출된 부분이나 리세스 처리된 부분의 경계부와, 상기 라벨의 인쇄층의 문양이나 패턴 또는 그림 또는 글자 또는 숫자의 경계부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문양이나 패턴 또는 그림 또는 글자 또는 숫자가 인쇄된 인쇄층의 적어도 일부는 홀로그램 처리가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문양이나 패턴 또는 그림 또는 글자 또는 숫자가 인쇄된 인쇄층의 적어도 일부는 반사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벨은 인몰드 방식으로 몸체부에 부착되기 전에는 입체감이 없는 평면 형태로 구현되고, 인몰드를 통한 부착과정에서 용기의 입체부가 형성되면서 상기 라벨에 입체 형상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의 표면에 형성할 입체형상에 대응되는 입체홈이 형성되는 금형을 개방하는 단계와; 금형 내면에 라벨을 부착하되, 라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입체홈을 덮도록 라벨을 금형 내면에 부착하는 단계와; 금형의 캐비티 아래에 용기의 프리폼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금형을 폐쇄하고, 프리폼에 소정 범위의 압력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프리폼을 팽창시키는 단계와; 팽창된 프리폼과 라벨이 상호 부착되면서, 프리폼의 표면에 부착된 라벨이 팽창되는 프리폼의 표면과 함께 공기 압력에 의하여 입체홈에 맞게 입체감 있는 형상으로 변형되는 단계와; 금형끼리 이격시키고, 입체감 있는 형상 및 이에 맞게 변형된 라벨이 부착된 용기를 금형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라벨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라벨은 기재부와, 기재부 내면에 마련되어 소정 온도 이상에서 융착되는 접착층과, 기재부 외면에 마련되어 상기 입체부의 돌출되거나 리세스 처리된 부분에 대응되는 문양이나 패턴 또는 그림 또는 글자 또는 숫자가 인쇄된 인쇄층을 포함하되, 라벨을 금형 내면에 부착하는 단계는 인쇄층이 입체홈에 맞게 위치하도록 라벨을 금형에 부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형의 표면 온도를 40~80℃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의 주입 압력 범위를 30~40 bar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압력 용기에 입체적인 형상 및 색감, 질감을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압력 용기를 사용하는 제품의 광고 홍보 효과를 제고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다양한 형태의 패턴이나 글자, 문양, 숫자, 그림들을 금형 캐비티 내부에 형성함으로써 다양한 입체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종래 입체 형상의 경우, 열수축 방식을 통하거나, 직접 부착방식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는데, 용기의 입체 형상 부분과, 입체 형상을 커버해야할 라벨의 인쇄면(글자, 그림, 패턴, 문양, 숫자 등)의 경계가 맞지 않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 인몰드 라벨 및 블로윙 방식을 통하여 큰 힘으로 입체 형상이 형성됨과 동시에 입체 형상 부분에 라벨의 대응 부분이 정확하게 밀착되게 함으로써 심미감과 배치 정확도를 구현하는 압력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장점이 있다.
도1은 입체적인 글자가 형성되는 인몰드 라벨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압력용기에서 압력 용기 몸체부와 라벨을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압력용기의 측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압력 용기의 평단면도이다.
도5는 도1의 압력 용기에서 라벨을 떼어낸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6은 입체적인 그림이 형성되는 인몰드 라벨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7은 도6의 압력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8은 도8의 압력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입체부가 형성된 인몰드 라벨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가 제작되는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인몰드 라벨(200)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100)는 입구부(110)와, 입구부(110)보다 직경이 큰 몸체부(120)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부(120)의 외주면에는 라벨(200)이 부착되어 있으며, 라벨(200)의 테두리에는 인몰드 라벨링이 되면서 형성되는 단차부(121)가 형성된다.
이는 압력용기(100)의 팽창과정에서 라벨(200)과 접촉하면서 라벨(200)이 부착되는 부분과, 라벨(200)이 부착되지 않은 부분간에 단차가 형성되는 것이며, 라벨(200)이 부착되지 않은 부분이 라벨(200)이 부착된 부분보다 약간 밖으로 돌출되어 있는 형태가 된다.
라벨(200)은 기재부(201)와, 기재부(201) 외면에 마련되어 압력 용기(100) 외주면에 형성되는 입체부(도2참조, 122)에 위치하며 입체부(122)의 형상에 맞게 돌출되거나 리세스 처리되어 입체감을 형성하는 인쇄층(202)이 마련된다.
기재부(201)의 후면에는 접착층(도5참조, 203)이 형성되며 이 접착층(203)은 인몰드 라벨링 공정 중에 표면 온도가 높은 팽창된 프리폼(압력 용기를 형성할 프리폼)의 표면과 융착되어 라벨(200)을 압력 용기(100) 표면에 부착시킨다.
라벨(200)이 압력 용기(100)의 몸체부(120)에 부착된 상태를 보면 압력 용기(100)의 몸체부 표면에 형성된 입체부(122)에 라벨(200)의 인쇄층(202)이 위치하기 때문에 인쇄층(202)이 외측면으로 도드라져 보이게 된다.
특히 인쇄층(202)이 눈에 띠는 반사층이나 홀로그램층으로 되어 있는 경우, 이를 보는 사람의 시각의 방향에 따라서 비춰지는 색상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바라보는 사람의 관심이나 시선을 주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1에서 음영으로 처리된 부분은 인쇄층(202) 중 홀로그램층 또는 반사층으로 처리된 부분이며, 이러한 부분의 경우, 3D 입체 구조를 보다 현저하게 부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2는 라벨(200)을 압력 용기(100)의 몸체부(120)에서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압력 용기(100)에 부착되는 라벨(200)은 원래 3차원 구조로 형성되기 보다는 평면적인 2차원 구조로 형성된다.
다만, 압력 용기(100) 몸체부(120)의 입체부(122) 위에 덮여질 부분에 대해서는 인쇄층(202)을 형성하고, 이 부분에 반사층이나 홀로그램 층을 처리하거나 또는 기재부(201)의 표면 색상과 다른 색상이나 패턴, 문양, 숫자, 글자, 그림 등이 형성되도록 한다.
원래 2차원적인 형태의 라벨(200)이 인몰드 라벨링에 의하여 압력 용기(100)의 몸체부(120)의 입체부(122)가 형성되면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하여 변형되어 3차원적인 구조로 변한다.
압력 용기(100)의 몸체부(120)의 표면에 입체부(122)가 형성되고, 입체부(122)는 몸체부(122)의 다른 표면보다 외부로 돌출되거나 리세스 처리되어서 다른 표면과의 경계가 명확해진다.
그리고, 입체부(122)의 경계와 라벨(200)의 인쇄층(202)의 경계는 상호 일치되거나 거의 유사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입체부(122)의 윤곽이 라벨(200)의 인쇄층(202)에서 그대로 드러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라벨(200)이 부착될 지점의 테두리에 보이는 선은 단차부(121)를 나타내며, 이러한 단차부(121)는 인몰드 라벨링 과정에서 라벨링이 되는 부분과 라벨링이 되지 않은 부분과의 경계를 형성한다.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3차원 입체구조가 형성되며 라벨링이 된 압력 용기(100)를 옆에서 보면, 입체부(122) 및 입체부(122)를 덮고 있는 인쇄층(202)이 외측으로 도드라져 보이게 되고, 이는 입체부(122)가 없는 표면과의 시각적인 윤곽 차이를 현저하게 유발시킨다.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 용기(100)에 형성되는 입체부(122)는 다른 부분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되어 다른 부분에 비해서 도드라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입체부(122)에서도 다양한 정도로 돌출되는 부분이 형성되는데, 이 부분이 글자, 숫자, 그림, 모양, 패턴, 문양 등을 형성하여 이를 바라보는 사람들의 주목을 끌 수 있다.
이러한 입체부(122) 위에 라벨(200)이 부착되고, 그러한 라벨(200)의 표면에 인쇄층(202)이 매칭되게 위치하고, 입체부(122)에 의하여 돌출됨으로써, 형상적인 면 뿐만 아니라 색상이나 반사율, 홀로그램을 통해서 더욱더 시선을 끌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인쇄층(202)의 경계면은 입체부(122)의 경계면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겠지만, 압력 용기(100)에 입체부(122)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은, 블로윙 작업에 사용되는 금형 내부에 입체부(122)에 정확히 매칭되는 입체홈(도9, 322)이 형성되기 때문이며, 라벨(200)의 인쇄층(202)은 정확하게 이러한 입체홈(322)을 가리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이 상태에서 프리폼(도9, PF)이 팽창하면, 입체홈(322)을 향해서 팽창하는 부분이 라벨(200)을 입체홈(322) 내면으로 밀면서 입체부(122)를 형성하는 동시에 라벨에서도 입체적인 형상이 나타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5는 입체 용기(100)와 라벨(200)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라벨(200)이 입체용기(100)에 부착된 상태에서 변형이 된 이후에 라벨(200)을 떼어내면 열변형 및 물리적인 변형에 의하여 라벨(200)의 인쇄층(202)에 해당하는 부분이 압력 용기(100)의 입체부(122)의 형상에 맞게 입체적이 형상으로 변형된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라벨(200)은 원래 2차원적인 구조로서 평면을 형성하고 있고, 기재부(201)의 외면에는 평면의 인쇄층(202)이, 기재부(201)의 내면에는 접착층(203)이 형성된다.
도 6 내지 도8은 압력 용기(10)에 그림(예, 용 모양)이 입체적인 형태로 표현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5는 글자를 입체적인 형상으로 표현한 것이 가능함을 나타낸 것이라면, 도6 내지 도8은 글자 이외에도 복잡한 형태의 그림이나 패턴이 가능함을 내기 위하여 제공된 것이다.
여기서도 원래의 라벨0)에는 용 모양이 2차원적인 평면적 형태로 인쇄된다.
그러나, 블로윙 공정에 사용될 금형 캐비티 내면에 용 모양의 입체홈이 형성되고, 그 입체홈 위에 용 모양의 그림이 정확하게 매칭되게 부착된 이후에, 프리폼이 공기 주입에 의하여 팽창되면 용 모양의 입체홈으로 이동하는 프리폼의 표면의 팽창에 의하여 용기의 표면에 입체홈 형태의 입체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에 의하여 용모양의 그림이 있는 인쇄층(1202)도 정확하게 입체감을 가지며 3차원 형태로 변환될 수 있다.
도9(a) 내지 도9(d)는 본 발명에 따른 인몰드 라벨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가 제작되는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9(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 용기(100)의 형상을 제작하기 위한 금형(310, 320)을 상호 이격시킨다.
금형 중 어느 하나(320)의 캐비티 내면에는 입체부(도2참조, 122)를 형성하기 위한 입체홈(322)이 형성되어 있다.
금형(310, 320)에는 라벨(200)이 부착되는 경우, 라벨(200)을 진공흡착하기 위한 흡착 유로(311, 321)가 형성된다.
금형(310, 320)이 열려진 상태에서 금형(310, 320)의 위에 있는 라벨 공급 장치(400) 수직 암(4001)에 하강하여 라벨(200)을 금형(310, 320) 내부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라벨 공급 장치(400) 수직암(401)에는 수평 방향으로 신축가능하게 움직이는(또는 텔레스코픽 다단 방식으로 움직이는) 파이프(403)가 마련된다.
파이프(403)에도 진공 흡착력이 있어서 라벨(200)이 파이프(403)에 부착된 상태가 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파이프(403)가 각각의 금형 내면을 이동하면 파이프(403)에 부착된 라벨(200)이 금형 내부에 부착된다.
금형(310, 320) 내면에 진공 흡입압에 의하여 라벨(200)이 부착되면, 파이프 (403)내면의 진공압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파이프(403)가 원상복귀하면, 라벨(200)은 캐비티 내면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입체홈(322)의 경계면과 라벨(200)의 인쇄층(도2참조, 202)의 경계면이 일치되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벨(200)은 2차원적인 평면이기 때문에, 입체홈(322)의 내면에는 들어가지 않고 입체홈(322)을 덮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프리폼(700)이 립 플레이트(600)에 거꾸로 배치된 상태로 열려진 금형(310, 320) 사이로 들어온다.
그리고, 금형(310, 320)의 상부에는 나중에 압력 용기(100)의 바닥면을 형성하기 위한 바닥 형성부(500)가 배치된다.
그리고 도9(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금형(310, 320)이 닫히고, 바닥 형상부(500)도 금형(310, 320)의 상부를 밀폐한다.
이 상태에서 금형(310, 320)의 하부는 립 플레이트(600)에 의하여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프리폼(700)을 팽창시키기 위한 블로윙 작업을 위해서 공기 주입 장치의 파이프(800)가 립 플레이트(600)의 하부에서 들어와서 프리폼(700) 내부에 들어온다.
이 상태에서 공기가 주입되면, 도9(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폼(700)이 팽창하여 밀폐된 금형(310, 320) 캐비티 내면의 형상에 맞게 변형된다.
특히, 프리폼(700)의 표면 중 일부가 입체홈(322)을 향해서 이동하는 경우에, 표면 일부는 입체홈(322)을 덮고 있는 라벨(200)을 가압하고, 라벨(200)을 입체홈(322) 형상에 맞게 변형시킨다.
도4 및 도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라벨(200)의 내면에는 접착층(203)이 형성되고, 이 접착층(203)은 일정 온도 (예, 50℃) 이상의 분위기에서 녹아서 밀착될 수 있기 때문에, 뜨거운 프리폼(700)의 표면 온도 및 금형(310, 320)의 온도에 의하여 프리폼(700)의 표면과 밀착되면 녹아서 라벨(200)을 압력 용기(100) 표면에 단단하게 고정시킨다.
그리고, 입체홈(322)에 의하여 압력 용기 표면에 입체부(도2참조, 122)가 형성되되, 그 입체부(122)는 라벨(200)에 의하여 덮여서 라벨(200)과 함께 형상적으로, 시각적으로 입체적인 특징을 압력 용기에 부여할 수 있다.
여기서 입체적인 형상을 구현하기 위한 압력 용기(100)의 형성을 위해서 주입되는 공기의 압력은 30~40 bar 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만 한정되지 않고 더 늘어날 수 있다.
그리고, 라벨(200)이 압력 용기(100) 표면에 단단하게 부착하도록 접착층(202)이 용이하게 융착될 수 있게, 금형(310,320)의 표면 온도를 40~80℃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 온도는 위 온도 범위를 벗어나 상황에 따라 조절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압력 용기를 구성하는 재질은 플라스틱 수지인데, 특히 압력용기에 적합한 PET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0: 압력 용기 110: 입구부
120: 몸체부 121: 단차부
122: 입체부 200: 라벨
201: 기재부 202: 인쇄층
203: 접착층 310, 320: 금형
322: 입체홈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PET 용기의 표면에 형성할 입체형상에 대응되는 입체홈이 형성되는 금형을 가열하는 단계와;
    금형을 개방하는 단계와;
    금형 내면에 라벨을 부착하되, 라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입체홈을 덮도록 라벨을 금형 내면에 부착하는 단계와;
    금형의 캐비티 내부에 용기의 PET 프리폼을 위치시키는 단계와;
    금형을 폐쇄하고, 금형 외부에 위치하는 공기 주입 장치의 파이프를 PET프리폼 내부에 삽입시키면서 PET 프리폼 에 소정 범위의 압력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프리폼을 팽창시키는 단계와;
    팽창된 PET 프리폼과 라벨이 상호 부착되면서, PET 프리폼의 표면에 부착된 라벨이 팽창되는 프리폼의 표면과 함께 공기 압력에 의하여 입체홈에 맞게 입체감 있는 형상으로 변형되는 단계와;
    금형끼리 이격시키고, 입체감 있는 형상 및 이에 맞게 변형된 라벨이 부착된 PET 용기를 금형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라벨 및 입체 형상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은 기재부와, 기재부 내면에 마련되어 소정 온도 이상에서 융착되는 접착층과, 기재부 외면에 마련되어 상기 입체 형상의 돌출되거나 리세스 처리된 부분에 대응되는 문양이나 패턴 또는 그림 또는 글자 또는 숫자가 인쇄된 인쇄층을 포함하되,
    라벨을 금형 내면에 부착하는 단계는
    인쇄층이 입체홈에 맞게 위치하도록 라벨을 금형에 부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라벨 및 입체 형상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금형의 표면 온도를 40~80℃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몰드 라벨 및 입체 형상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공기의 주입 압력 범위를 30~40 bar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인몰드 라벨 및 입체 형상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160084012A 2016-07-04 2016-07-04 인몰드 라벨 및 입체 형상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Active KR101716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012A KR101716092B1 (ko) 2016-07-04 2016-07-04 인몰드 라벨 및 입체 형상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PCT/KR2016/011414 WO2018008802A1 (ko) 2016-07-04 2016-10-12 인몰드 라벨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1710511399.3A CN107571480B (zh) 2016-07-04 2017-06-28 具有模内标签及立体形状的压力容器的制造方法
US15/640,607 US10688708B2 (en) 2016-07-04 2017-07-03 Manufacturing method of pressure container comprising in-mold label and three-dimensional shape
PCT/KR2017/007123 WO2018008956A1 (ko) 2016-07-04 2017-07-04 인몰드 라벨 및 입체 형상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EP17824512.2A EP3366452B1 (en) 2016-07-04 2017-07-04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sure vessel having in-mold label and stereoscopic shape
AU2017293720A AU2017293720B2 (en) 2016-07-04 2017-07-04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sure vessel having in-mold label and stereoscopic shape
RU2018109567A RU2730527C2 (ru) 2016-07-04 2017-07-04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емкости со стереоскопическим эффектом и этикеткой, нанесенной путем деформации
MX2018003888A MX2018003888A (es) 2016-07-04 2017-07-04 Metodo de fabricacion de un contenedor a presion que incluye etiquetado en el molde y una porcion tridimensional.
JP2018542099A JP6684916B2 (ja) 2016-07-04 2017-07-04 インモールドラベル及び立体形状を有する圧力容器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4012A KR101716092B1 (ko) 2016-07-04 2016-07-04 인몰드 라벨 및 입체 형상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092B1 true KR101716092B1 (ko) 2017-03-13

Family

ID=58411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4012A Active KR101716092B1 (ko) 2016-07-04 2016-07-04 인몰드 라벨 및 입체 형상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6092B1 (ko)
WO (1) WO201800880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1830B2 (ja) * 1988-11-17 1994-08-17 東洋製罐株式会社 ラベル付中空容器の製法
JPH0632340Y2 (ja) * 1989-11-01 1994-08-24 ライオン株式会社 ラベル付容器の製造装置
JP3109726B2 (ja) * 1987-06-11 2000-11-20 凸版印刷株式会社 ラベル付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6569276B2 (en) * 1998-03-27 2003-05-27 Custom-Pak, Inc. Method for enhancing the three-dimensional effect of a raised plastic surface using in-mold label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525B1 (ko) * 2012-11-08 2013-07-16 정동영 라벨지가 일체로 부착된 사출성형품 제조방법 및 사출성형품 라벨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9726B2 (ja) * 1987-06-11 2000-11-20 凸版印刷株式会社 ラベル付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61830B2 (ja) * 1988-11-17 1994-08-17 東洋製罐株式会社 ラベル付中空容器の製法
JPH0632340Y2 (ja) * 1989-11-01 1994-08-24 ライオン株式会社 ラベル付容器の製造装置
US6569276B2 (en) * 1998-03-27 2003-05-27 Custom-Pak, Inc. Method for enhancing the three-dimensional effect of a raised plastic surface using in-mold labe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08802A1 (ko)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84916B2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及び立体形状を有する圧力容器の製造方法
US6490093B2 (en) Method of protecting ink and providing enhanced bonding during molding of lenticular lens sheets in plastic objects
CN111645301B (zh) 兼具立体凹凸图案和油墨印刷图案的塑料包装瓶生产方法
JP2003011213A (ja) 側部ゲート付き射出成形用金型を真空助成と共に用いる成形システム及び方法及びそれを用いて得られる射出吹込み成形された物品
US9682502B2 (en) In-mold label forming surfaces for molded articles
CN103429412B (zh) 制作装饰眼镜框架的工艺和设备
KR101789008B1 (ko) 인몰드 라벨 및 입체 형상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KR101716092B1 (ko) 인몰드 라벨 및 입체 형상을 구비하는 압력 용기의 제조 방법
JP5105328B2 (ja) ブロー成形容器の加飾方法
US2016031822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ecorative molded article
JP2011068026A (ja) インサート成形による加飾成形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184123B1 (ko) 선택적 융착을 통한 소프트 연질 라벨 부착 시스템
KR101722887B1 (ko) 열전사 방식 및 인몰드 방식에 의하여 부착된 인쇄층을 구비하는 pet 용기 및 이의 제조 방법
TWM494693U (zh) 中空吹氣成型單元用立體識別裝置
JP2017213747A (ja) 加飾合成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TWI568569B (zh) Stereo identification device for hollow blow molding unit
CN101898483B (zh) 透明塑材水球容器的射出吹气成形制法及其水球容器成品
JP2002154153A (ja) ブロー成形用インモールドラベル
CA2881242A1 (en) In-mold label forming surfaces for molded articles
ZA200304260B (en) Method of protecting ink and providing enhanced bonding during molding of Lenticular lens sheets in plastic objects.
AU2001269807A1 (en) Method of protecting ink and providing enhanced bonding during molding of lenticular lens sheets in plastic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