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13753B1 -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753B1
KR101713753B1 KR1020150130421A KR20150130421A KR101713753B1 KR 101713753 B1 KR101713753 B1 KR 101713753B1 KR 1020150130421 A KR1020150130421 A KR 1020150130421A KR 20150130421 A KR20150130421 A KR 20150130421A KR 101713753 B1 KR101713753 B1 KR 101713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exhaust pipe
chamber
mounting hole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0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753B1/ko
Priority to US14/944,850 priority patent/US9605582B1/en
Priority to DE102015223430.4A priority patent/DE102015223430B4/de
Priority to JP2015234749A priority patent/JP6613121B2/ja
Priority to CN201610085605.4A priority patent/CN106523111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75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6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01N13/1822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for fixing exhaust pipes or devices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Spring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Abstract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은 중앙에 작용홀이 형성되는 메인 바디; 차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브라켓의 연결로드가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홀; 배기 파이프에 구비된 행거 로드가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타측에 형성되는 장착홀; 상기 메인 바디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홀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내부에 윤활유가 충진되는 챔버; 상기 배기 파이프가 유동될 경우, 상기 행거 로드에 의해 상기 챔버에 충진된 윤활유를 상기 장착홀의 내주면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는 피스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EXHAUST PIPE UNIT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기 파이프를 차체에 연결하고, 배기 파이프의 유동 시에 접촉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에서 연소 후에 발생되는 배기가스는 배기 어셈블리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여기서, 배기 어셈블리는 엔진의 배기 매니폴드와 연결되며, 차체의 하부에서 차량의 후방까지 연결되는 다수개의 배기 파이프와, 배기 파이프들의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촉매 변환기, 센터 소음기, 및 메인 소음기를 포함한다.
상기 촉매 변환기는 차체의 하부 중앙을 기준으로 엔진 측에 배치되어 배기 파이프와 연결되며,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한 가스를 산화 환원반응을 통하여 무해한 가스로 변환하게 된다.
상기 센터 소음기는 차체 하부 중앙을 기준으로 차량 후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촉매 변환기에 배기 파이프를 통해 연결된다. 메인 소음기는 상기 센터 소음기와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머플러에 배기 파이프를 통해 연결되며, 배기가스 배출 시에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배기 어셈블리에서 상기 배기 파이프는 차체와 행거 러버를 통해 연결되며, 차체의 하부에 고정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행거 러버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행거 러버의 일단부에는 차체에 장착되는 브라켓의 연결로드가 연결되고, 행거 러버의 타단부에는 배기 파이프에 구비된 행거 로드가 연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행거 러버의 경우, 행거 로드가 장착된 접촉면에서 배기 파이프에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접촉 소음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고무 소재의 행거 러버가 행거 로드와의 빈번한 마찰로 인해 전체적인 내구성이 저하되고, 이와 동시에, 접촉 소음이 차체로 전달됨에 따라, 차량의 승차감이 저하되는 단점도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기 파이프를 차체에 안정적으로 연결하고, 배기 파이프의 유동 시에는 접촉 소음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은 중앙에 작용홀이 형성되는 메인 바디; 차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브라켓의 연결로드가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홀; 배기 파이프에 구비된 행거 로드가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타측에 형성되는 장착홀; 상기 메인 바디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홀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내부에 윤활유가 충진되는 챔버; 및 상기 배기 파이프가 유동될 경우, 상기 행거 로드에 의해 상기 챔버에 충진된 윤활유를 상기 장착홀의 내주면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장착홀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챔버와 연통되는 연결유로가 상기 메인 바디의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장착홀에 대응하여 상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바디의 폭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윤활유는 상기 피스톤의 폭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유로를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장착홀의 내주면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에서 폭 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연결유로; 및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에서 폭 방향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연결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에는 폭 방향 양측 외주면에 상기 챔버와 내부에서 연결되는 충진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진유로의 일단은 상기 챔버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 바디의 외주면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디는 그 재질이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용홀은 상기 연결홀과 상기 장착홀의 사이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에 의하면, 배기 파이프를 차체에 안정적으로 연결하고, 배기 파이프의 유동 시에는 배기 파이브의 행거 로드 사이에 윤활유가 공급되도록 하여 접촉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 파이프의 행거 로드와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의 사이에서 접촉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과 행거 로드 사이에 마찰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100)은,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미도시)과 배기 파이프(14)를 통해 연결되는 촉매 변환기(12), 센터 소음기(16), 및 메인 소음기(미도시)를 포함하는 배기 어셈블리(10)를 차체(미도시)의 하부에 장착한다.
여기서, 차체의 하부에는 연결로드(4)가 형성된 브라켓(2)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 파이프(14)에는 행거 로드(15)가 구비된다.
이러한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100)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10), 연결홀(120), 장착홀(130), 챔버(140), 및 피스톤(150)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메인 바디(110)는 중앙에 작용홀(112)이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 바디(110)는 그 재질이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용홀(112)은 배기 파이프(14)의 유동 시에 상기 메인 바디(110)의 변형을 유도함으로써, 충격 하중을 흡수한다.
이러한 작용홀(112)은 상기 연결홀(120)과 상기 장착홀(130)의 사이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홀(120)은 차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브라켓(2)의 연결로드(4)와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110)의 길이방향으로 일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연결홀(120)은 차체의 하부를 향하는 일단부에 2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홀(130)은 배기 파이프(14)에 구비된 행거 로드(15)가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110)의 길이방향으로 타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장착홀(130)에는 상기 행거 로드(15)가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140)는 상기 메인 바디(110)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홀(130)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내부에 윤활유가 충진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바디(110)의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장착홀(130)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챔버(140)와 연통되는 연결유로(142)가 상기 메인 바디(110)의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142)는 제1 연결유로(142a)와 제2 연결유로(142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연결유로(142a)는 상기 메인 바디(110)의 내부에서 폭 방향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연결유로(142b)는 상기 메인 바디(110)의 내부에서 폭 방향 타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바디(110)에는 폭 방향 양측 외주면에 상기 챔버(140)와 내부에서 연결되는 충진유로(144)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진유로(144)의 일단은 상기 챔버(140)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 바디(110)의 외주면과 연통된다.
즉, 상기 챔버(140)의 내부에 윤활유인 그리스(Grease)를 충진할 경우, 별도의 윤활유 주입장치가 상기 메인 바디(110)의 외주면 양측과 연통된 상기 충진유로(144)의 일단으로 윤활유를 주입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윤활유는 상기 충진유로(144)를 통하여 상기 챔버(140)의 내부에 충진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150)은 상기 배기 파이프(14)가 유동될 경우, 상기 행거 로드(15)에 의해 상기 챔버(140)에 충진된 윤활유를 상기 장착홀(130)의 내주면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챔버(140)의 내부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피스톤(150)은 상기 장착홀(130)에 대응하여 상기 챔버(140)의 내부에서 상기 메인 바디(110)의 폭 방향 중앙에 배치된다. 이러한 피스톤(150)은 상기 메인 바디(110)의 폭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150)은 상기 배기 파이프(14)의 유동에 따라 이동하는 상기 행거 로드(15)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윤활유는 상기 피스톤(150)의 폭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제1 연결유로(142a) 또는 상기 제2 연결유로(142b)를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장착홀(130)의 내주면에 도포될 수 있다.
즉, 상기 행거 로드(15)가 상기 메인 바디(110)의 폭 방향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피스톤(150)이 상기 행거 로드(15)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윤활유는 상기 챔버(140)로부터 상기 피스톤(150)의 이동 방향 측에 구비된 상기 제1 연결유로(142a) 또는 상기 제2 연결유로(142b)로 유입되고, 상기 행거 로드(15)와 접촉되는 상기 장착홀(130)의 내주면으로 도포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의 작동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의 작동 상태도이다.
먼저, 배기 파이프(14)가 유동되지 않을 경우, 상기 행거 로드(15)는, 도 5의 (S1)과 같이, 상기 장착홀(130)에 장착된 초기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150)은 상기 챔버(140)의 내부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챔버(140)에 충진된 윤활유는 상기 제1, 제2 연결유로(142a, 142b)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도 5의 (S2)와 같이, 상기 배기 파이프(14)가 도면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유동될 경우, 상기 행거 로드(15)는 제2 연결유로(142b)를 향하여 이동되어 상기 장착홀(130)의 내주면에 접촉된다.
그러면, 상기 피스톤(150)은 상기 행거 로드(15)에 의해 상기 챔버(140)의 내부에서 상기 제2 연결유로(142b)를 향하여 이동된다. 이에 따라, 윤활유는 상기 챔버(140)의 내부에서 상기 제2 연결유로(142b)로 유입되어 상기 장착홀(130)의 내주면으로 도포된다.
상기 제2 연결유로(142b)를 통해 도포된 윤활유는 상기 행거 로드(15)와 상기 장착홀(130)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마찰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즉, 상기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100)은 상기 배기 파이프(14)의 유동 시, 상기 행거 로드(15)가 상기 장착홀(130)에 직접 접촉되면서 마찰에 의해 접촉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100)을 적용하면, 상기 배기 파이프(14)를 차체에 안정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배기 파이프(14)의 유동 시에는 배기 파이프(14)의 행거 로드(15)와 상기 장착홀(130) 사이에 윤활유가 공급되도록 하여 접촉 소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 파이프(14)의 행거 로드(15)와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100)의 사이에서 접촉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행거 로드(15)와 장착홀(130) 사이에 마찰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1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
110 : 메인 바디
112 : 작용홀
120 : 연결홀
130 : 장착홀
140 : 챔버
142 : 연결유로
142a : 제1 연결유로
142b : 제2 연결유로
144 : 충진유로

Claims (9)

  1. 중앙에 작용홀이 형성되는 메인 바디;
    차체의 하부에 장착되는 브라켓의 연결로드가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홀;
    배기 파이프에 구비된 행거 로드가 연결되도록 상기 메인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타측에 형성되는 장착홀;
    상기 메인 바디의 내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장착홀의 내주면에 연결되고, 내부에 윤활유가 충진되는 챔버;
    상기 배기 파이프가 유동될 경우, 상기 행거 로드에 의해 상기 챔버에 충진된 윤활유를 상기 장착홀의 내주면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챔버의 내부에 구비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에는 일단이 상기 장착홀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챔버와 연통되는 연결유로가 상기 메인 바디의 폭 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상기 장착홀에 대응하여 상기 챔버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메인 바디의 폭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는
    상기 피스톤의 폭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연결유로를 통해 선택적으로 상기 장착홀의 내주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에서 폭 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연결유로; 및
    상기 메인 바디의 내부에서 폭 방향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연결유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에는
    폭 방향 양측 외주면에 상기 챔버와 내부에서 연결되는 충진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유로의 일단은 상기 챔버와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메인 바디의 외주면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는
    그 재질이 고무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홀은
    상기 연결홀과 상기 장착홀의 사이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
KR1020150130421A 2015-09-15 2015-09-15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 Active KR101713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421A KR101713753B1 (ko) 2015-09-15 2015-09-15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
US14/944,850 US9605582B1 (en) 2015-09-15 2015-11-18 Exhaust pipe mounting unit for vehicle
DE102015223430.4A DE102015223430B4 (de) 2015-09-15 2015-11-26 Auspuffrohr-Anbringungseinheit für Fahrzeuge
JP2015234749A JP6613121B2 (ja) 2015-09-15 2015-12-01 車両用排気パイプマウンティングユニット
CN201610085605.4A CN106523111B (zh) 2015-09-15 2016-01-29 车辆用排气管安装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421A KR101713753B1 (ko) 2015-09-15 2015-09-15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753B1 true KR101713753B1 (ko) 2017-03-08

Family

ID=58160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421A Active KR101713753B1 (ko) 2015-09-15 2015-09-15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605582B1 (ko)
JP (1) JP6613121B2 (ko)
KR (1) KR101713753B1 (ko)
CN (1) CN106523111B (ko)
DE (1) DE10201522343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01739B2 (ja) * 2016-05-27 2018-10-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及び排気管支持部材
US10343513B2 (en) * 2016-12-05 2019-07-09 Kubota Corporation Work vehicle
JP2018179053A (ja) * 2017-04-06 2018-11-15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インシュレータ
JP7058136B2 (ja) 2018-02-09 2022-04-21 倉敷化工株式会社 排気管支持装置
CN114228882A (zh) * 2020-09-07 2022-03-25 英业达科技有限公司 减震运输工具与减震块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801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배기파이프 지지용 구조물
KR19990031480U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차량용 배기 파이프 행거
KR20070034286A (ko) * 2005-09-23 2007-03-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배기계의 행거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3030U (ko) 1986-09-25 1988-04-09
US4746104A (en) * 1986-12-08 1988-05-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Hydraulic exhaust pipe hanger mount
KR19980051801A (ko) 1996-12-23 1998-09-25 박병재 차량용 에이비에스(abs) 제어 장치
KR100228208B1 (ko) 1997-10-13 1999-11-01 홍건희 타이어 트레드용 고무조성물
KR100283673B1 (ko) 1998-11-30 2001-03-02 전주범 구간분할에 의한 피크성 잡음 검출방법
KR20010011898A (ko) 1999-07-31 2001-02-15 윤종용 화면의 귀선발생 방지를 위한 자동 세트 초기화방법
DE10013121C1 (de) * 2000-03-17 2001-01-25 Sgf Gmbh & Co Kg Aufhängevorrichtung für eine schwingende Last, insbesondere für eine Abgasanlage eines Kraffahrzeugs
US6364266B1 (en) * 2000-04-04 2002-04-02 Barton L. Garvin Universal electrical wire hanger
US6402119B1 (en) * 2000-10-26 2002-06-11 Schlegel Systems, Inc. Textile-reinforced rubber exhaust system hanger
JP2002264667A (ja) 2001-03-08 2002-09-18 Suzuki Motor Corp 排気パイプの支持構造
JP2003269537A (ja) * 2002-03-12 2003-09-25 Toyo Tire & Rubber Co Ltd 排気管用支持装置
KR100569967B1 (ko) 2004-08-09 2006-04-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배기계 행어의 스톱러버 장치
DE102005015796B3 (de) * 2005-04-06 2006-12-21 SGF SüDDEUTSCHE GELENKSCHEIBENFABRIK GMBH & CO. KG Aufhängung für eine schwingende Last, insbesondere für eine Abgasanlage eines Kraftfahrzeugs
DE202005008665U1 (de) * 2005-06-03 2005-09-08 Wegu Gmbh & Co. Kg Elastische Schlaufe, insbesondere zur Aufhängung der Abgasanlage eines Kraftfahrzeugs
KR20070045515A (ko) 2005-10-27 2007-05-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계 고정장치
KR100803850B1 (ko) 2006-07-31 2008-02-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머플러의 설치구조
KR100848733B1 (ko) * 2006-11-07 2008-07-25 지엠대우오토앤테크놀로지주식회사 자동차의 배기장치 행거러버
JP4484245B2 (ja) * 2006-12-28 2010-06-16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マフラーハンガ
JP4959453B2 (ja) * 2007-07-17 2012-06-20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排気管支持装置
KR101034062B1 (ko) * 2009-11-10 2011-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배기계 행거
JP6340284B2 (ja) * 2014-08-19 2018-06-06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インシュレータ
CN204415129U (zh) * 2015-01-14 2015-06-24 杭州千岛湖永通电缆有限公司 一种线缆运输车主消声器后吊挂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801U (ko) * 1996-12-31 1998-10-07 박병재 배기파이프 지지용 구조물
KR19990031480U (ko) * 1997-12-31 1999-07-26 정몽규 차량용 배기 파이프 행거
KR20070034286A (ko) * 2005-09-23 2007-03-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배기계의 행거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13121B2 (ja) 2019-11-27
US9605582B1 (en) 2017-03-28
DE102015223430B4 (de) 2023-10-12
CN106523111A (zh) 2017-03-22
CN106523111B (zh) 2020-03-24
US20170074150A1 (en) 2017-03-16
DE102015223430A1 (de) 2017-03-16
JP2017056929A (ja) 2017-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753B1 (ko) 차량용 배기 파이프 마운팅 유닛
US9291229B2 (en) Shock absorber
US9925685B2 (en) Chainsaw
TWI405916B (zh) buffer
WO2016131234A1 (en) Fluid damper assembly having multi-functional bushing
KR20150133292A (ko) 완충기
KR101428277B1 (ko) 엔진마운트 장치
EP3162519B1 (en) Chainsaw
US20160195155A1 (en) Hydraulically damping rubber bearing
KR100622384B1 (ko) 머플러 행거 로드의 브라켓 장착구조
JP4898596B2 (ja) 空圧緩衝器
KR100747033B1 (ko) 차량용 클러치 페달 진동저감장치
ITTO960005A1 (it) Attuatore idraulico, in particolare per il ribaltamento di una cabina di guida di un veicolo industriale.
JP2000120757A (ja) 液圧緩衝器
KR100525766B1 (ko) 프론트 머플러
JP4476688B2 (ja) 単筒型油圧緩衝器
JP2010014196A (ja) 単筒型油圧緩衝器
FR3100854B1 (fr) Amortisseur inertiel pour vehicule automobile
JP2008232343A (ja) 油圧緩衝器
CN203347903U (zh) 一种排气软管及生产该软管的紧压机床
JP4657519B2 (ja) 緩衝装置
JP4667331B2 (ja) 空圧緩衝器
JP2010014195A (ja) 単筒型液圧緩衝器
ITRM20070460A1 (it) Forcella anteriore.
KR20050045007A (ko) 배기계의 행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3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