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13280B1 - 전기 에너지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에너지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280B1
KR101713280B1 KR1020110019092A KR20110019092A KR101713280B1 KR 101713280 B1 KR101713280 B1 KR 101713280B1 KR 1020110019092 A KR1020110019092 A KR 1020110019092A KR 20110019092 A KR20110019092 A KR 20110019092A KR 101713280 B1 KR101713280 B1 KR 101713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wires
contact
layer
contact layer
semiconductor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9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0294A (ko
Inventor
김성민
차승남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9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280B1/ko
Priority to US13/396,208 priority patent/US8975805B2/en
Priority to CN201210037452.8A priority patent/CN102655206B/zh
Priority to JP2012032795A priority patent/JP6049271B2/ja
Priority to EP12157643.3A priority patent/EP2495777B1/en
Publication of KR20120100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0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28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3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mechan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generators or sens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H02N2/186Vibration harves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3Ceramic composi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3Ceramic compositions
    • H10N30/8548Lead-based oxides
    • H10N30/8554Lead-zirconium titanate [PZT] bas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7Macromolecular composi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piezoelectric, electrostrictive or magnetostrictive element covered by groups H10N30/00 – H10N35/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전기에너지 발생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전기에너지 발생장치는, 압전 특성을 가지는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나노와이어와, 이 나노와이어들의 일단에 형성되는 층으로, 상기 나노와이어들과 p-n 접합을 형성하는 반도체층과, 나노와이어들의 타단에 접하는 층으로, 금속-절연체 전이(MIT) 특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진 컨택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에너지 발생장치{Electrical energy generator}
전기에너지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태양광 및 기계적 진동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는 태양광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로서, p형 반도체 물질과 n형 반도체 물질을 이용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태양전지에 빛을 비추게 되면 그 내부에서 전자와 정공들이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발생된 전자 및 정공들이 n형 전극 및 p형 전극으로 이동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게 된다. 최근에는 태양전지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나노 와이어와 같은 나노구조체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주변 환경에 따라 태양광과 기계적 진동을 선택적으로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발생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발생장치는 태양전지 소자와 압전소자가 융복합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발생장치에서는 서로 다른 에너지 발생 방식, 즉 태양전지 방식과 압전방식에 의해 각각 전기에너지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태양전지 방식에서의 전극 컨택 특성과 압전 방식의 전극 컨택 특성은 서로 다르다. 따라서, 이러한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발생장치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사하기 위해서는 태양전지 소자에서는 오믹 커택(ohmic contact)을 필요로 하며, 압전 소자에서는 쇼트키 컨택(shottky contanct)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태양광 및 기계적 진동을 효율적으로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하이브리드 전기에너지 발생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압전 특성을 가지는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나노와이어;
상기 나노와이어들의 일단에 형성되는 층으로, 상기 나노와이어들과 p-n 접합을 형성하는 반도체층; 및
상기 나노와이어들의 타단에 접하는 층으로, 금속-절연체 전이(MIT; metal-insulation transition) 특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진 컨택층;을 포함하는 전기에너지 발생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컨택층은 온도에 따른 금속-절연체 전이 특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들의 타단과 상기 컨택층 사이에는 소정 온도 이상에서는 오믹 컨택(ohmic contact)이 형성되며, 소정 온도 이하에서는 쇼트키 컨택(shottky contact)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택층은 예를 들면, 바나듐 산화물(vanadium oxid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컨택층은 변형 가능한 재질의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들은 예를 들면, 산화아연(ZnO), 납-지르코늄-티타늄산화물(PZT; lead zirconate titanate) 또는 PVDF(ployvinylidene fluoride)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도체층은 무기물 및 유기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들은 n형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반도체층은 p형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와이어들은 p형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반도체층은 n형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들은 상기 반도체층 상에 수직 또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온도에 따른 금속-절연체 전이(MIT; metal-insulator transition)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이용하여 컨택층을 형성함으로써 온도에 따라 나노와이어들과 컨택층 사이에 오믹 컨택이나 쇼트키 컨택을 가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태양에너지나 기계적인 진동에너저가 전기에너지로 효율적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Ⅱ-Ⅱ'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발생장치가 태양광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발생장치가 기계적인 진동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VO2 박막에 대하여 온도에 따른 저항값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Ⅱ-Ⅱ'선을 따라 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기판(110,150)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 하부기판인 제1 기판(110) 상에는 반도체층(12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반도체층(120)은 후술하는 나노와이어들(130)과 p-n 접합을 형성하는 층으로서, p형 반도체 물질 또는 n형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반도체층(120)은 GaN 등과 같은 Ⅲ-Ⅴ족 반도체 화합물이나 Ⅱ-Ⅵ족 반도체 화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다. 상기 반도체층은 이외에도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무기물과 유기물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반도체층(120) 상에는 복수의 나노와이어(13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나노와이어들(130)은 상기 반도체층(120) 상에 수직으로 또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나노와이어들(130)은 반도체층(120)과 p-n 접합을 형성함으로써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하며, 또한 압전 특성에 의해 기계적인 진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나노와이어들(130)은 압전 특성을 가지는 n형 반도체 물질 또는 p형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나노와이어들(130)이 n형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반도체층(120)은 p형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나노와이어들(130)이 p형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반도체층(120)은 n형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반도체층(120)은 p형 GaN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나노와이어(130)는 n형 산화아연(ZnO)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외에도, 상기 나노와이어(130)는 예를 들면 납-지르코늄-티타늄 산화물(PZT; lead zirconate titanate) 또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상기 나노와이어(130)는 이외에도 다양한 압전 특성을 가지는 반도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150)의 하면에는 컨택층(140)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기판(150)으로는 예를 들면, 변형 가능한 투명 재질의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기판(150)은 예를 들면 PES(polyether sulfon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기판(150)의 하면에는 컨택층(140)이 상기 나노와이어들(130)의 상단에 접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컨택층(140)은 상기 나노와이어들(130)과의 컨택 특성이 가변되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택층(140)은 Mott 전이(Mott transition) 특정, 즉 금속-절연체 전이(MIT; metal-insulator transition)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컨택층(140)은 온도 변화에 따라 컨택 특성이 변화하는 금속-절연체 전이(MIT) 특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 온도 이상에서는 상기 컨택층(140)이 금속 특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컨택층(140)과 나노와이어들(130) 사이에 오믹 컨택(ohmic contact)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소정 온도 이하에서는 상기 컨택층(140)이 절연체 특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컨택층(140)과 나노와이어들(130) 사이에 쇼트키 컨택(shottky contact)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금속-절연체 전이(MIT) 특성을 가지는 물질로서 예를 들면 VO2 또는 V2O5 등과 같은 바나듐 산화물(vanadium oxide)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바나듐 산화물에서는 그 조성에 따라 대략 40℃ ~ 70℃의 온도 범위 내에서 금속-절연체 전이가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바나듐 산화물을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나듐 산화물 이외에도 온도에 따른 금속-절연체 전이(MIT) 특성을 가지는 물질은 컨택층(140)을 이루는 물질로 얼마든지 사용가능하다.
도 5는 VO2 박막에 대하여 온도에 따른 저항값을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100nm 두께의 VO2 박막에 대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전기 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 ~ 60℃의 온도 범위 내에서 대략 10Ω 정도의 저항값 변화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략 55℃ 이상의 온도 범위에서는 상기 VO2 박막은 전기 저항값이 매우 낮은 금속 특성을 가지게 되며, 55℃ 보다 낮은 온도 범위에서는 상기 VO2 박막은 전기 저항값이 매우 큰 절연체 특성을 가지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VO2 박막으로 상기 컨택층(140)을 형성하게 되면 55℃ 이상의 온도 범위에서는 상기 컨택층(140)의 금속 특성으로 인해 상기 컨택층(140)과 나노와이어들(130) 사이에는 오믹 컨택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55℃ 보다 작은 온도 범위에서는 상기 컨택층(140)의 절연체 특성으로 인해 상기 컨택층(140)과 나노와이어들(130) 사이에는 쇼트키 컨택을 형성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발생장치가 태양광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기에너지 발생장치가 소정 온도 이상에서는 컨택층(140)과 나노와이어들(130) 사이의 계면(140)에서 오믹 컨택이 형성됨으로써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택층(140)이 예를 들면 VO2 박막으로 이루어진 경우 대략 55℃ 이상의 온도에서는 상기 컨택층(140)과 나노와이어들(130) 사이의 계면(140a)에서 오믹 컨택이 형성된다. 이 경우, 외부의 태양광이 투명한 제2 기판(150)을 통하여 입사되면 p-n 접합을 형성하는 반도체층(120)과 나노와이어들(130)로부터 각각 전자 및 정공들이 분리되어 이동함으로써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발생장치가 기계적인 진동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전기에너지 발생장치가 소정 온도 이하에서는 컨택층(140)과 나노와이어들(130) 사이의 계면(140a)에서 쇼트키 컨택이 형성됨으로써 기계적인 진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컨택층(140)이 예를 들면 VO2 박막으로 이루어진 경우 대략 55℃ 이하의 온도에서는 상기 컨택층(140)과 나노와이어들(130) 사이에 쇼트키 컨택이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기판(150)이 외부의 기계적인 힘에 의해 진동하게 되면 상기 컨택층(140)과 나노와이어들(130) 사이의 마찰에 의해 전기에너지가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컨택층(140)이 상기 나노와이어들(1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이게 되면, 상기 나노와이어들(130)의 상부는 컨택층(140)의 움직임에 따라 휘어짐과 같은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나노와이어들(130)에 응력이 가해지고, 가해진 응력이 제거되는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상기 나노와이어들(130)의 양단 쪽에는 전위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전위차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의 흐름에 의해 전기에너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에너지 발생장치에서는 온도 변화에 따른 금속-절연체 전이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이용하여 컨택층(140)을 형성함으로써 주위 온도에 따라 컨택층(140)과 나노와이어들(130) 사이에 가변적인 컨택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정 온도 이상에서는 오믹 컨택에 의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고, 일정 온도 이하에서는 쇼트키 컨택에 의해 기계적인 진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게 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외부의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10... 제1 기판 120... 반도체층
130... 나노와이어 140... 컨택층
150... 제2 기판

Claims (10)

  1. 압전 특성을 가지는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진 복수의 나노와이어;
    상기 나노와이어들의 일단에 형성되는 층으로, 상기 나노와이어들과 p-n 접합을 형성하는 반도체층; 및
    상기 나노와이어들의 타단에 접하는 층으로, 온도에 따른 금속-절연체 전이(MIT; metal-insulation transition) 특성을 가지는 물질로 이루어진 컨택층;을 포함하는 전기에너지 발생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와이어들의 타단과 상기 컨택층 사이에는 소정 온도 이상에서는 오믹 컨택(ohmic contact)이 형성되며, 소정 온도 이하에서는 쇼트키 컨택(shottky contact)이 형성되는 전기에너지 발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층은 바나듐 산화물(vanadium oxide)을 포함하는 전기에너지 발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층은 변형 가능한 재질의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되는 전기에너지 발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와이어들은 산화아연(ZnO), 납-지르코늄-티타늄산화물(PZT; lead zirconate titanate) 또는 PVDF(ployvinylidene fluoride)을 포함하는 전기에너지 발생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층은 무기물 및 유기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에너지 발생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와이어들은 n형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반도체층은 p형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는 전기에너지 발생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와이어들은 p형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반도체층은 n형 반도체 물질로 이루어지는 전기에너지 발생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와이어들은 상기 반도체층 상에 수직 또는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배열되는 전기에너지 발생장치.
KR1020110019092A 2011-03-03 2011-03-03 전기 에너지 발생장치 Active KR101713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092A KR101713280B1 (ko) 2011-03-03 2011-03-03 전기 에너지 발생장치
US13/396,208 US8975805B2 (en) 2011-03-03 2012-02-14 Electrical energy generator
CN201210037452.8A CN102655206B (zh) 2011-03-03 2012-02-17 电能产生器
JP2012032795A JP6049271B2 (ja) 2011-03-03 2012-02-17 電気エネルギー発生装置
EP12157643.3A EP2495777B1 (en) 2011-03-03 2012-03-01 Electrical energy gen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9092A KR101713280B1 (ko) 2011-03-03 2011-03-03 전기 에너지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0294A KR20120100294A (ko) 2012-09-12
KR101713280B1 true KR101713280B1 (ko) 2017-03-08

Family

ID=45855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9092A Active KR101713280B1 (ko) 2011-03-03 2011-03-03 전기 에너지 발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75805B2 (ko)
EP (1) EP2495777B1 (ko)
JP (1) JP6049271B2 (ko)
KR (1) KR101713280B1 (ko)
CN (1) CN1026552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3840B2 (en) * 2009-06-15 2012-10-09 Farrokh Mohamadi High-efficiency compact miniaturized energy harvesting and storage device
KR101769459B1 (ko) 2011-08-10 2017-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 발전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861148B1 (ko) 2012-02-23 2018-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 압전 발전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9112432B2 (en) * 2012-12-14 2015-08-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iezoelectric gener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3779272B (zh) * 2013-01-11 2017-06-20 北京纳米能源与系统研究所 晶体管阵列及其制备方法
KR101409326B1 (ko) 2013-01-30 2014-06-2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zt가 코팅된 나노와이어를 압전소자로써 포함하는 나노발전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26607A (ko) * 2013-04-23 2014-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입력 모듈과 에너지 발생소자를 포함하는 스마트 장치 및 이 스마트 장치의 동작 방법
US9147845B2 (en) 2013-04-26 2015-09-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ngle walled carbon nanotube-based planar photodector
US9837933B2 (en) 2013-06-28 2017-12-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nergy harvester using mass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energy harvester
US9444031B2 (en) * 2013-06-28 2016-09-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nergy harvester using mass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energy harvester
CN103426938B (zh) * 2013-07-25 2015-12-02 苏州大学 一种新型结构的硅纳米材料太阳能电池及其制备方法
CN106253745A (zh) * 2016-08-22 2016-12-21 苏州聚冠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3d打印微纳可穿戴式纳米发电机
CN106571405B (zh) * 2016-11-01 2018-04-03 华南师范大学 一种带有GaN纳米线阵列的紫外探测器及其制作方法
KR102059087B1 (ko) 2017-05-19 2019-12-2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에너지 변환 소재
CN107171597B (zh) * 2017-06-14 2019-04-02 浙江理工大学 一种热电压电装置控制系统
CN107527962B (zh) * 2017-08-07 2019-02-26 北京工业大学 一种高感光面积的斜向ZnO纳米线/GaN异质结太阳能电池
US11283003B2 (en) * 2019-04-08 2022-03-22 Ramin Sadr Green energy harvesting methods for novel class of batteries and power supplies
US11664758B2 (en) * 2019-10-10 2023-05-30 University Of Louisiana At Lafayette Photopiezoelectric panel
CN114899304A (zh) * 2021-01-26 2022-08-12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隐形压力传感器及其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1083B2 (en) 2000-12-29 2003-09-1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igh-absorption wide-band pixel for bolometer arrays
KR100593264B1 (ko) 2003-06-26 2006-06-26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p-타입 반도체 박막과 n-타입 산화아연(ZnO)계나노막대의 이종접합 구조체, 이의 제법 및 이를 이용한소자
JP2005268578A (ja) * 2004-03-19 2005-09-29 Toudai Tlo Ltd サーミスタ素子
KR100695150B1 (ko) * 2005-05-12 2007-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절연체 변환 물질을 이용한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US8330154B2 (en) * 2005-12-20 2012-12-11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Piezoelectric and semiconducting coupled nanogenerators
WO2008140611A2 (en) * 2006-12-18 2008-11-2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Nanowire array-based light emitting diodes and lasers
JP5837299B2 (ja) 2007-05-17 2015-12-24 ユニバーシティ オブ カンタベリー コンタクトおよび作製方法
KR20090049008A (ko) 2007-11-12 2009-05-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금속-절연체 전이(mit)소자를 이용한 트랜지스터발열제어 회로 및 그 발열제어 방법
US8350252B2 (en) * 2008-03-14 2013-01-08 University Of Connecticut Boundary-modulated nanoparticle junctions and a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US7705523B2 (en) 2008-05-27 2010-04-27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Hybrid solar nanogenerator cells
KR101524766B1 (ko) * 2008-08-07 2015-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 에너지 발생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54686B1 (ko) * 2008-09-17 2014-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에너지 변환 장치 및 방법
US8354776B2 (en) * 2008-12-22 2013-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299105B2 (ja) * 2009-06-16 2013-09-25 ソニー株式会社 二酸化バナジウムナノワイヤとその製造方法、及び二酸化バナジウムナノワイヤを用いたナノワイヤデバイス
US8304759B2 (en) * 2009-06-22 2012-11-06 Banpil Photonics, Inc. Integrated image sensor system on common substrate
EP2290718B1 (en) 2009-08-25 2015-05-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344597B2 (en) 2009-10-22 2013-01-01 Lawrence Livermore National Security, Llc Matrix-assisted energy conversion in nanostructured piezoelectric arr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55206B (zh) 2016-08-03
JP6049271B2 (ja) 2016-12-21
EP2495777A3 (en) 2014-07-02
CN102655206A (zh) 2012-09-05
EP2495777A2 (en) 2012-09-05
KR20120100294A (ko) 2012-09-12
JP2012186471A (ja) 2012-09-27
US20120223617A1 (en) 2012-09-06
US8975805B2 (en) 2015-03-10
EP2495777B1 (en)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3280B1 (ko) 전기 에너지 발생장치
Zhu et al. Enhancing the efficiency of silicon-based solar cells by the piezo-phototronic effect
US8680514B2 (en) Electric energy generator
KR101539670B1 (ko) 전기에너지 발생장치
KR102255301B1 (ko) 강유전성 물질을 포함하는 광전자소자
KR102134818B1 (ko) 열전 발전 및 압전 발전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발전기
KR102703712B1 (ko) 마찰전기 발전기
KR101895025B1 (ko) 태양 전지 모듈 및 그의 제조 방법
JP6192742B2 (ja) 光電子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Sun et al. Nanostructured silicon used for flexible and mobile electricity generation
KR20160075093A (ko) 에너지 발생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271158B1 (ko) ZnO 나노선을 이용한 깃발형 하이브리드 솔라셀 제조 방법
US8859310B2 (en) Methods of fabricating optoelectronic devices using semiconductor-particle monolayers and devices made thereby
KR102215588B1 (ko) 반도체 공핍층을 이용한 마찰발전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7131B1 (ko) 전기 기기
KR101012565B1 (ko) 나노 와이어 및 나노입자를 가지는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75116A (ko) 광 발전 및 압전 발전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발전기 및 그 제조방법
US20150349159A1 (en) Bendable solar cell capable of optimizing thickness and conversion efficiency
US20120318337A1 (en) Solar Cell
KR101459039B1 (ko) 박막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396820B1 (ko) 태양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JP6616178B2 (ja) 光電変換装置
JP2014017450A (ja) 光電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30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3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1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3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