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1761B1 - 친환경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친환경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1761B1 KR101711761B1 KR1020150163110A KR20150163110A KR101711761B1 KR 101711761 B1 KR101711761 B1 KR 101711761B1 KR 1020150163110 A KR1020150163110 A KR 1020150163110A KR 20150163110 A KR20150163110 A KR 20150163110A KR 101711761 B1 KR101711761 B1 KR 1017117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nyl chloride
- parts
- weight
- viscosity
- plastis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4/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14/02—Monomers containing chlorine
- C08F14/04—Monomers containing two carbon atoms
- C08F14/06—Vinyl chloride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18—Suspension polymeris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by mixing gases into liquid compositions or plastisols, e.g. frothing with air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Description
[화학식 2a]
[화학식 2b]
[화학식 2c]
(상기 식에서, R, R'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다.)
[화학식 2a]
[화학식 2b]
[화학식 2c]
(상기 식에서, R, R'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다.)
구분 |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대조예 | 비교예1 | 비교예2 |
가소제 종류 | GL300 | GL300 | GL300 | DEHP* | GL300 | GL300 |
점도 조절제 종류 | HSD 7803 | HSD 7803 | HSD 7803 | BYK 4040 | BYK 4040 | HSD 7700 |
점도 조절제 함량(중량부) | 3 | 5 | 10 | 3 | 3 | 3 |
Va(초기 점도)(cps) | 8,450 | 6,600 | 6,200 | 10,650 | 23,000 | 24,000 |
Vb(경시 점도)(cps) | 9,300 | 7,000 | 6,800 | 15,500 | 40,800 | 38,300 |
경시 비율 | 1.10 | 1.06 | 1.09 | 1.45 | 1.77 | 1.59 |
경시 점도 변화율(%) | 10 | 6 | 9 | 45 | 77 | 59 |
Claims (15)
- 염화비닐 단량체의 시드 유화 중합체, 1차 가소제, 2차 가소제, 점도조절제, 발포제, 열 안정제, 지당(TiO2) 및 필러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플라스티졸로서,
상기 시드 유화 중합체는 평균 입경이 0.1 내지 0.25 ㎛인 소구경 시드와 평균 입경이 0.4 내지 0.7 ㎛인 대구경 시드를 상기 염화비닐 단량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하고,
상기 1차 가소제는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로 나타내는 테레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이고,
상기 2차 가소제는 하기 화학식 2a, 화학식 2b, 화학식 2c로 나타내는 파라핀계 화합물의 혼합물이고,
상기 점도 조절제는 불휘발성 하이드로카본계 점도 조절제이고,
상기 염화비닐 플라스티졸의 저전단 초기 점도(Va) 6,000 내지 9,000 cps 범위 내에서 하기 수학식 1
[수학식 1]
Y = (Vb-Va)/Va x 100
(상기 Y는 염화비닐 플라스티졸의 저전단 초기 점도 대비 24hr 경과 후 저전단 경시점도의 변화율이고, 상기 Va는 온도 25 ℃, 습도 50 %인 항온 항습 하에 1hr 보관한 다음 유변물성 측정기로 전단속도 0.01부터 100까지 측정중 전단 속도(shear rate) 1에서 측정된 저전단 초기 점도(cps)이며, 상기 Vb는 온도 25 ℃, 습도 50 %인 항온 항습하에 24hr 보관한 다음 유변물성 측정기로 전단속도 0.01부터 100까지 측정중 전단 속도 1에서 측정된 저전단 경시 점도(cps)을 나타낸다)로 산출되는 저전단 경시 점도의 변화율(Y)이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화학식 2a]
[화학식 2b]
[화학식 2c]
(상기 식에서, R, R'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다.)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비닐 플라스티졸의 저전단 경시 점도의 변화율(Y)이 6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레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상기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내 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40 내지 7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내 염화비닐 수지는 상기 소구경 시드와 상기 대구경 시드간 중량 비율이 0.65 내지 1.52인 시드의 유화 중합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휘발성 하이드로카본계 점도 조절제는 상기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내 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가소제는 상기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내 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안정제는 Ca-Zn계 화합물, Ba-Zn계 화합물, 머캡티드 (Mercaptide)계 화합물, 말레인산계 화합물, 카르복실산계 화합물, Mg-스테아레이트, Ca-스테아레이트, Pb-스테아레이트, Cd-스테아레이트, Ba-스테아레이트, 페놀계 화합물, 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및 아인산 에스테르계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내 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2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화학적 발포제 또는 물리적 발포제이고, 상기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내 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당(TiO2)은 상기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내 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는 탄산칼슘, 클레이, 탈크 및 규조토 중에서 선택되고, 상기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내 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 기준으로 30 내지 1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 삭제
- 염화비닐 단량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시드 1 내지 10 중량부를 44 내지 64℃ 하에 유화 중합하여 제조된 염화비닐계 라텍스를 건조하여 염화비닐 페이스트 분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염화비닐 페이스트 분체에 1차 가소제로서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의 테레프탈레이트계 가소제; 2차 가소제로서 하기 화학식 2a, 화학식 2b, 화학식 2c로 나타내는 파라핀계 화합물의 혼합물;과 불휘발성 하이드로카본계 점도 조절제; 발포제; 열 안정제; 지당(TiO2); 및 탄산칼슘, 클레이, 탈크 및 규조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필러;를 첨가하되, 상기 염화비닐 페이스트 분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1차 가소제 40 내지 75 중량부, 상기 2차 가소제 1 내지 10 중량부, 상기 열 안정제 2 내지 10 중량부, 상기 지당 1 내지 20 중량부, 그리고 상기 필러 30 내지 120 중량부를 첨가하고 염화비닐 플라스티졸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염화비닐 플라스티졸의 저전단 초기 점도(Va)는 6,000 내지 9,000 cps이고, 24hr 경과 후 저전단 경시 점도(Vb)는 6,000 내지 10,000 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염화비닐 플라스티졸의 제조방법.
[화학식 2a]
[화학식 2b]
[화학식 2c]
(상기 식에서, R, R'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이다.)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점도조절제는 상기 염화비닐 페이스트 분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염화비닐 플라스티졸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이산화탄소, 질소, 아르곤, 물, 공기, 및 헬륨 중에서 선택된 무기 발포제; 또는 탄소수 1 내지 9의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 탄소수 1 내지 3의 지방족 알코올, 및 탄소수 1 내지 4의 할로겐화 지방족 탄화수소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유기 발포제;이고, 상기 염화비닐 페이스트 분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염화비닐 플라스티졸의 제조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 중합은 소구경 시드와 대구경 시드간 중량 비율이 0.65 내지 1.52인 시드를 사용하여 수행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환경 염화비닐 플라스티졸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3110A KR101711761B1 (ko) | 2015-11-20 | 2015-11-20 | 친환경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63110A KR101711761B1 (ko) | 2015-11-20 | 2015-11-20 | 친환경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및 그 제조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43670A Division KR20130120629A (ko) | 2012-04-26 | 2012-04-26 | 친환경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0245A KR20150140245A (ko) | 2015-12-15 |
KR101711761B1 true KR101711761B1 (ko) | 2017-03-02 |
Family
ID=55021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63110A Active KR101711761B1 (ko) | 2015-11-20 | 2015-11-20 | 친환경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1176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203498A1 (ko) * | 2018-04-17 | 2019-10-24 |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 변색을 개선한 벽지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01083A (ja) * | 2002-04-12 | 2003-10-21 | Tosoh Corp | 塩化ビニル系樹脂ラテックス、ペースト加工用塩化ビニル系樹脂、その製造方法、ペースト加工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及び用途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2985B1 (ko) * | 2007-05-30 | 2010-06-10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벽지용 염화비닐계 수지조성물 |
KR20090067946A (ko) * | 2007-12-21 | 2009-06-25 | 주식회사 코렉스 | 2차 가소제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페이스트 pvc 플라스티졸 |
-
2015
- 2015-11-20 KR KR1020150163110A patent/KR101711761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301083A (ja) * | 2002-04-12 | 2003-10-21 | Tosoh Corp | 塩化ビニル系樹脂ラテックス、ペースト加工用塩化ビニル系樹脂、その製造方法、ペースト加工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及び用途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203498A1 (ko) * | 2018-04-17 | 2019-10-24 |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 변색을 개선한 벽지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0245A (ko) | 2015-12-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3211029B1 (en) | Plasticizer composition comprising di(2-ethylhexyl)cyclohexane-1,4-dicarboxylate and tributyl citrate, and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same | |
EP3255086B1 (en) | Environmentally friendly plasticizer composition, and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same | |
JP5650851B2 (ja) | ジ(2−エチルヘキシル)シクロへキサン−1,4−ジカルボキシレートを含む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 |
US8691927B2 (en) | Vinyl chloride resin with low viscosity for foaming applica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 |
KR20160134573A (ko) | 친환경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 |
CN111989367B (zh) | 具有改善的耐变色性的用于墙纸的氯乙烯树脂组合物 | |
KR20240136271A (ko) |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 |
KR101596996B1 (ko) | 가공성이 우수한 블렌드 수지,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711761B1 (ko) | 친환경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및 그 제조방법 | |
KR101961760B1 (ko) | 염화비닐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 |
KR20130120629A (ko) | 친환경 염화비닐 플라스티졸 및 그 제조방법 | |
KR102297786B1 (ko) |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 |
CN114127177B (zh) | 墙纸用氯乙烯树脂组合物 | |
EP3865518B1 (en) | Method for preparing polymerization initiator composition | |
KR102789144B1 (ko) | 벽지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 |
KR20210037462A (ko) | 염화비닐계 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스티졸 | |
KR20180040293A (ko) | 염화비닐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조성물 | |
KR20220107729A (ko) |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 |
KR20220111095A (ko) | 벽지용 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 |
KR20190050082A (ko) |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112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20426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2004367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