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11103B1 -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 - Google Patents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1103B1
KR101711103B1 KR1020150020412A KR20150020412A KR101711103B1 KR 101711103 B1 KR101711103 B1 KR 101711103B1 KR 1020150020412 A KR1020150020412 A KR 1020150020412A KR 20150020412 A KR20150020412 A KR 20150020412A KR 101711103 B1 KR101711103 B1 KR 101711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tank
clamping member
storage tank
ca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0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7918A (ko
Inventor
이동헌
마틴 안톤 페르뮬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트레이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트레이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트레이딩
Priority to KR1020150020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1103B1/ko
Priority to PCT/KR2015/012732 priority patent/WO2016129788A1/ko
Publication of KR20160097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1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110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4Arrangement or mounting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6Closures, e.g. cap, breakabl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11Closure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7Applications for household use
    • F17C2270/0745Gas bott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레버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고압의 가스저장 탱크를 펀칭하면서 밸브 등의 연결구에 쉽고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는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가스가 저장된 탱크를 지지하는 클램핑부재와; 상기 클램핑부재에 지지된 탱크의 상부에 설치되며, 탱크의 상단에 구비된 마개를 가압하면서 천공하여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접속유닛과; 상기 접속유닛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접속유닛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를 외부의 가스 사용처로 공급하는 컨넥팅부재와; 상기 클램핑부재 또는 본체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접속유닛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클램핑부재와 접속유닛을 상하로 상대 이동시켜 접속유닛을 탱크의 마개에 대해 가압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Apparatus for Mounting Gas Storage Tank}
본 발명은 가스가 저장되어 있는 탱크를 밸브와 연결하면서 장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산가스 등의 가스가 저장되어 있는 탱크의 상단 마개를 펀칭하면서 밸브 등의 연결구에 연결하는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료 생산 공장에서 대량 생산된 탄산음료도 있으나,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자신만의 독특한 탄산음료를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탄산음료 제조기도 알려져 있다. 통상적인 탄산음료 제조기는 음료를 담을 수 있는 용기와, 이 용기에 탄산가스(CO2)를 주입하는 탄산가스 주입기를 구비하며, 이 용기에 음용수, 쥬스 등의 음료를 넣고 탄산가스 주입기로 탄산가스를 주입하여 탄산음료를 만들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탄산음료 제조기에서 탄산음료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탄산가스가 저장된 가스 탱크를 제조기에 장착하고, 가스 탱크의 마개에 감압밸브를 연결하여 음료가 저장된 용기에 탄산가스를 공급하는 작업이 수반되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탄산음료 제조기에서는 탄산가스가 저장된 탱크를 회전하여 나사식으로 탄산가스 탱크를 감압밸브와 연결하게 되는데, 탱크를 회전하는 토오크가 사람마다 다르고, 특히 노약자나 여성의 경우 순간적으로 탄산탱크를 나사식으로 회전하지 못할 경우 탱크에 고압으로 채워진 탄산가스가 누출되어 위험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8895호(2005년01월20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36964호(2005년12월08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레버를 상하로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고압의 가스저장 탱크를 펀칭하면서 밸브 등의 연결구에 쉽고 안전하게 연결할 수 있는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가스가 저장된 탱크를 지지하는 클램핑부재와; 상기 클램핑부재에 지지된 탱크의 상부에 설치되며, 탱크의 상단에 구비된 마개를 가압하면서 천공하여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접속유닛과; 상기 접속유닛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접속유닛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를 외부의 가스 사용처로 공급하는 컨넥팅부재와; 상기 클램핑부재 또는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접속유닛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클램핑부재와 접속유닛을 상하로 상대 이동시켜 접속유닛을 탱크의 마개에 대해 가압하는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고압의 가스가 저장된 탱크를 클램핑부재에 장착하여 지지시킨 상태에서 작동레버를 회전하면, 접속유닛과 클램핑부재 간에 상하 방향으로의 상대 운동이 발생하여 접속유닛의 하단부가 탱크의 상단부에 가압되어 탱크의 상단부 마개와 접속유닛이 서로 접속되어 가스가 외부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힘이 약한 노약자나 여성도 쉽게 가스저장 탱크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서 작동레버의 회전에 의해 탱크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로서, 도 6a는 탱크가 접속되기 전 상태이고, 도 6b는 탱크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1의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의 정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의 측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의 요부 단면도로서, 도 13은 탱크가 접속되기 전 상태이고, 14는 탱크가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가스저장 탱크로서 리필형 탄산가스 저장 탱크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가스저장 탱크로서 탄산가스(CO2 가스)가 고압으로 저장되어 있는 탄산가스 탱크를 탄산음료 제조장치에 장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탄산가스 탱크 외에도 다양한 가스가 고압으로 저장되어 있는 가스저장 탱크를 다양한 장치에 장착하여 사용하는데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는, 탄산음료 제조장치와 같은 장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가스가 저장된 탱크(T)를 지지하는 클램핑부재(20)와, 상기 클램핑부재(20)에 지지된 탱크(T)의 상부에 설치되어 탱크(T)의 상단에 구비된 마개(L)를 가압하면서 천공하여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접속유닛(30)과, 상기 접속유닛(3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접속유닛(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를 외부의 가스 사용처로 공급하는 컨넥팅부재(40)와, 상기 클램핑부재(20)에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접속유닛(30)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클램핑부재(20)와 접속유닛(30)을 상하로 상대 이동시켜 접속유닛(30)을 탱크(T)의 마개(L)에 대해 가압하는 작동레버(50)를 포함한다.
상기 탱크(T)는 탄산가스가 저장된 탱크로서 원통형의 몸체를 가지며, 목 부분에 플랜지(F)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탱크(T)의 상부면은 마개(L)에 의해 폐쇄된다. 도 1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탱크(T)가 재충전이 가능한 리필형 탱크인 경우 상기 탱크(T)의 상부면은 탱크(T)의 상단부 내측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밸브(V)에 의해 폐쇄된다. 즉, 리필형 탱크는 밸브(V)가 마개(L)의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탱크(T)의 마개(L)라 함은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탱크(T)의 상부면을 완전히 폐쇄하는 구조와, 도 17에 도시한 것과 같이 탱크(T)의 상단 개구부를 개폐하는 밸브(V) 등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하며, 상기 접속유닛(30)은 마개(L)를 펀칭하여 구멍을 천공하거나 밸브(V)를 펀칭하여 눌러 탱크(T)를 개방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 본체(10)는 탄산음료 제조장치와 같은 장비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구성부로서, 본체(10)에는 탄산가스가 저장된 탱크(T)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오목한 홈 형태의 장착부(11)가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부(11)의 하부에는 장착부(11) 내측에 삽입된 탄산가스 탱크(T)의 하부면 양측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지지판(12)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램핑부재(20)는 본체(10)의 장착부(11) 상측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클램핑부재(20)는 대략 'ㄷ'자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후면부에 상기 본체(10)에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돌기(15)가 삽입되는 가이드홀(24)이 상하 방향으로 절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클램핑부재(20)의 하부면에는 탱크(T)의 목 부분이 삽입되는 U자형 홈(21a)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승강판(2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램핑부재(20)의 상단부 양측에는 상기 작동레버(5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힌지핀(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레버(5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누를 수 있도록 기다란 바아 형태를 가지며, 일단부는 직각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레버(50)의 절곡된 일단부의 양측면에는 상기 접속유닛(30)의 상부면에 접촉하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캠(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캠(52)에는 상기 클램핑부재(20)의 힌지핀(22)이 삽입되는 힌지연결공(5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작동레버(50)가 힌지핀(2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본체(10)에 고정된 접속유닛(30)에 대해 클램핑부재(20)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탱크(T)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접속유닛(30)은 상기 본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원통형의 캡(31)과, 상기 캡(31)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에 탱크(T)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수용홈(32a)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접속블록(32)과, 상기 접속블록(32)의 수용홈(32a) 외측에 설치되어 탱크(T)의 상단부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면서 가스의 누출을 막는 유연한 수지 재질의 외측패킹링(35)과, 상기 접속블록(32)과 외측패킹링(35) 사이에서 접속블록(32)에 대해 외측패킹링(35)을 탄력적으로 지탱하는 탄성체(35a)와, 상기 접속블록(32)의 수용홈(32a)의 상부에 설치되는 유연한 수지 재질의 내측패킹링(36)을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캡(31)은 하부면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하단부 양측에는 상기 클램핑부재(20)의 양측부와 연접하면서 클램핑부재(2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31a)가 하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캡(31)의 내측 공간 상단부에는 상기 컨넥팅부재(40)로서 상기 접속블록(32)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를 감압하여 외부로 공급하는 감압밸브가 설치된다. 상기 감압밸브는 탄산가스에 50~60 bar로 충진되어 있는 탄산가스를 2~5 bar로 감압시켜 탄산음료 제조 용기로 공급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접속블록(32)은 상부와 하부가 다른 직경을 갖는 2단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캡(31)의 내부 공간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접속블록(3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32a)의 상부면에는 상기 탱크(T)의 마개(L)를 천공하는 뾰족한 펀치돌기(34)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펀치돌기(34)는 원추형상을 가지며, 펀치돌기(34)의 중심부에는 메인 가스유로(33)의 하단부가 외측으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메인 가스유로(33)는 상기 펀치돌기(34)의 하단부에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접속블록(32)의 상부면으로 연통되어 상기 컨넥팅부재(40)인 감압밸브와 연결된다.
상기 외측패킹링(35)은 고무와 같은 유연하고 탄성력이 있는 수지로 만들어져, 상기 탱크(T)가 상향 이동하여 가압될 때 탱크(T)의 플랜지(F)에 탄성 변형되어 밀착되면서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접속블록(32)에 대해 외측패킹링(35)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35a)는 압축코일스프링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내측패킹링(36) 역시 고무와 같은 유연하고 탄성력이 있는 수지로 만들어져, 상기 접속블록(32)의 수용홈(32a)의 상부면에서 상기 펀치돌기(34)를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접속유닛(30)은 접속유닛(30)과 탱크(T)의 마개(L)가 서로 가압된 상태에서 접속유닛(30)을 클램핑부재(20)에 대해 고정하여 위치를 유지하는 록킹수단과, 상기 접속유닛(30)과 탱크(T)의 마개(L)가 서로 가압된 상태에서 탱크(T) 내의 잔여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록킹수단은 접속유닛(30)과 탱크(T)의 마개(L)가 서로 가압되어 탱크(T)가 감압밸브에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동레버(50)를 건드려 작동레버(50)가 회전하게 되면 고압의 탄산가스가 외부로 급격히 배출될 수 있으므로 작동레버(50)가 회전하여도 접속유닛(30)과 클램핑부재(20)의 상대 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록킹수단은, 일단이 상기 접속블록(32)의 메인 가스유로(33)에 연통되도록 상기 접속블록(32)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스도입유로(37a)와, 상기 가스도입유로(37a)의 다른 일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접속블록(32)의 일측면 및 캡(31)의 측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스도입유로(37a)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접속블록(32)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클램핑부재(20)에 형성된 록킹홀(25)에 삽입되는 록킹핀(37)과, 상기 록킹핀(37)에 접속블록(32)의 내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면서 록킹핀(37)을 접속블록(32)에 대해 지탱하는 록킹핀탄성부재(37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스배출수단은 탱크(T) 내의 가스를 소진하여 탱크(T)를 교체하거나 탱크(T)의 이상 작동이나 기타 요인으로 인하여 탱크(T)를 본체(10)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 탱크(T)의 교체 전에 탱크(T) 내의 잔여 가스를 모두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가스배출수단은, 일단이 상기 접속블록(32)의 메인 가스유로(33)에 연통되도록 상기 접속블록(32)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스배출유로(38a)와, 상기 가스배출유로(38a)의 다른 일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끝단부가 접속블록(32)의 측면부 및 캡(31)의 측면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가스배출유로(38a)를 개폐하는 드레인핀(38)과, 상기 드레인핀(38)에 접속블록(32)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접속블록(32)에 대해 드레인핀(38)을 지탱하는 드레인핀탄성부재(38b)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드레인핀(38)을 누르면 드레인핀(38)이 드레인핀탄성부재(38b)의 탄성력을 이기고 접속블록(32)의 가스배출유로(38a)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스배출유로(38a)의 출구 부분이 개방되면서 가스배출유로(38a)를 통해 가스가 외부로 방출된다.
한편, 상기 접속유닛(30)에는 탄산가스 내의 가스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압력감지수단은, 일단이 상기 접속블록(32)의 메인 가스유로(33)에 연통되는 압력감지유로(39a)와, 상기 압력감지유로(39a)의 다른 일단부에 설치되어 압력감지유로(39a)로 유동하는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압력센서(39)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39)는 탄산음료 제조장치의 컨트롤러(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컨트롤러에 압력 측정값을 전송하고, 컨트롤러는 측정된 압력이 설정값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사용자에게 탱크(T)를 교체할 시점임을 통보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초기에 작동레버(50)가 상측으로 젖혀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탱크(T)를 본체(10)의 장착부(11) 내측으로 삽입하고, 탱크(T)의 목 부분이 클램핑부재(20)의 플랜지승강판(21)에 형성된 U자형 홈(21a)에 삽입되도록 하여 탱크(T)를 장착한다. 이 때, 상기 탱크(T)의 하부는 본체(10) 하부에 설치된 한 쌍의 측면지지판(12) 사이로 삽입되어 측면지지판(12)에 의해 양측면이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작동레버(50)를 손으로 잡고 아래쪽으로 누르면, 도 6a 와 도 6b 및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작동레버(50)가 힌지핀(22)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작동레버(50)의 일단부에 형성된 캠(52)이 본체(10)에 고정되어 있는 접속유닛(30)의 캡(31)의 상부면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클램핑부재(20)가 접속유닛(30)에 대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클램핑부재(20)가 상승함에 따라 클램핑부재(20)의 플랜지승강판(21)이 탱크(T)의 목 부분의 플랜지(F)와 접촉하면서 탱크(T)를 상측으로 끌어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탱크(T)의 상단부가 접속블록(32)의 수용홈(32a)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탱크(T)의 상부면 마개(L)가 수용홈(32a) 상단부의 펀치돌기(34)에 가압되어 마개(L)가 천공된다.
상기 탱크(T)의 마개(L)가 천공됨에 따라 탱크(T) 내의 탄산가스가 메인 가스유로(33)를 통해 유동하게 된다. 상기 메인 가스유로(33)를 따라 유동하는 고압의 탄산가스는 가스도입유로(37a)로도 공급되고, 록킹핀탄성부재(37b)의 탄성력을 이기고 가스도입유로(37a) 내에 설치된 록킹핀(37)을 접속블록(32)의 외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에 따라 록킹핀(37)이 클램핑부재(20)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홀(25)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클램핑부재(20)가 접속유닛(30)에 대해 고정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작동레버(50)가 다시 상측으로 회전하여도 클램핑부재(20)가 하강하지 않고 접속유닛(3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탱크(T) 내의 탄산가스가 거의 대부분 소진되어 가스 압력이 저하되면, 록킹핀탄성부재(37b)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핀(37)이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록킹핀(37)이 클램핑부재(20)의 록킹홀(25)에서 이탈하여 클램핑부재(20)의 구속 상태가 해제된다.
또한 상기 접속유닛(30)과 탱크(T)가 서로 가압되어 펀치돌기(34)가 탱크(T)의 마개에 접속된 상태에서 메인 가스유로(33)를 통해 유동하는 고압의 탄산가스는 가스배출유로(38a)로 공급되어 드레인핀탄성부재(38b)와 함께 가스배출유로(38a)의 출구 부분을 막게 된다. 이 상태에서 탱크(T)를 교환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캡(31)의 홀(31b)에 위치되어 있는 드레인핀(38)의 끝단부를 누르면, 가스배출유로(38a)의 출구가 개방되면서 가스배출유로(38a)를 통해 탄산가스가 외부로 배출된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실시예의 가스저장 탱크는 클램핑부재(20)를 제외한 다른 구성부는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클램핑부재(20)의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클램핑부재(20)는 탱크(T)의 목 부분이 아닌 탱크(T)의 바닥면을 지탱하도록 탱크(T)의 바닥면이 안착되는 바닥면승강판(26)을 구비하며, 클램핑부재(20)의 상단부에는 전술한 실시예의 클램핑부재와 마찬가지로 작동레버(50)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힌지핀(2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클램핑부재(20)는 작동레버(50)의 회전에 의해 클램핑부재(2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바닥면승강판(26)이 탱크(T)의 바닥면을 들어올려 탱크(T)가 끌려 올라가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첫번째 실시예 및 두번째 실시예에서는 작동레버(50)가 클램핑부재(20)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었지만,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작동레버(50)가 본체(10)에 힌지축(5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작동레버(50)의 일단부에 장공(54)이 형성되고 클램핑부재(20)의 상단부에 상기 장공(54)에 삽입되는 연결핀(53)이 설치되어, 상기 작동레버(50)가 힌지축(5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클램핑부재(20)가 작동레버(5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접속유닛(30)이 고정된 상태에서 클램핑부재(20)가 상하로 이동하면서 탱크(T)를 상하로 이동시켜 접속유닛(30)과 탱크(T)를 서로 가압시켰지만,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것과 같이 클램핑부재(20)가 고정된 상태에서 접속유닛(30)이 작동레버(5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하여 접속유닛(30)이 탱크(T)의 상부면 마개(L)를 가압하면서 접속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실시예의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는, 상기 클램핑부재(20)가 본체(10)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접속유닛(30)이 본체(10) 또는 클램핑부재(20)에 대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작동레버(50)가 클램핑부재(20) 또는 본체(10)에 힌지축(55)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작동레버(50)가 회전하면서 작동레버(50)의 일단부가 접속유닛(30)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접속유닛(30)이 상기 클램핑부재(20)에 고정된 탱크(T)의 상부면 마개(L)를 천공하면서 접속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유닛(3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탄성체에 의해 클램핑부재(20) 또는 본체(10)에 대해 상측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되어 탄산가스 탱크(T)가 본체(10)에서 분리되었을 때에는 접속유닛(30)이 상측으로 자동으로 이동하여 대기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것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고압의 가스가 저장된 탱크(T)를 클램핑부재(20)에 장착하여 지지시킨 상태에서 작동레버(50)를 회전하면 접속유닛(30)과 클램핑부재(20) 간에 상하 방향으로의 상대 운동이 발생하여 접속유닛(30)의 하단부가 탱크(T)의 상단부에 가압되어 탱크(T)의 상단부 마개(L)와 접속유닛(30)이 서로 접속되어 가스가 외부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힘이 약한 노약자나 여성도 쉽게 가스저장 탱크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1 : 장착부
12 : 측면지지판 20 : 클램핑부재
21 : 플랜지승강판 25 : 클램핑홀
30 : 접속유닛 31 : 캡
32 : 접속블록 33 : 메인 가스유로
34 : 펀치돌기 35 : 외측패킹링
35a : 탄성체 36 : 내측패킹링
37 : 클램핑핀 38 : 드레인핀
40 : 컨넥팅부재 50 : 작동레버
51 : 힌지연결공 52 : 캠
T : 탱크 L : 마개
F : 플랜지

Claims (15)

  1.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가스가 저장된 탱크(T)를 지지하는 클램핑부재(20)와;
    상기 클램핑부재(20)에 지지된 탱크(T)의 상부에 설치되며, 탱크(T)의 상단에 구비된 마개(L)를 가압하면서 천공하여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접속유닛(30)과;
    상기 접속유닛(3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접속유닛(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를 외부의 가스 사용처로 공급하는 컨넥팅부재(40)와;
    상기 클램핑부재(20) 또는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부가 상기 접속유닛(30)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클램핑부재(20)와 접속유닛(30)을 상하로 상대 이동시켜 접속유닛(30)을 탱크(T)의 마개(L)에 대해 가압하는 작동레버(50);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유닛(30)은,
    상부면이 상기 작동레버(50)의 일단부와 접촉하며, 하부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단부에 상기 컨넥팅부재(40)가 설치되는 원통형의 캡(31)과;
    상기 캡(31) 내부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부에 상기 탱크(T)의 마개(L)를 천공하는 뾰족한 펀치돌기(34)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기 펀치돌기(34)에서부터 상부면으로 연통되어 상기 컨넥팅부재(40)와 연결되는 메인 가스유로(33)가 형성되어 있는 접속블록(32)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유닛(30)에는 상기 접속유닛(30)과 탱크(T)의 마개(L)가 서로 가압된 상태에서 접속유닛(30)을 클램핑부재(20)에 대해 고정하여 위치를 유지하는 록킹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록킹수단은, 일단이 상기 접속블록(32)의 메인 가스유로(33)에 연통되도록 상기 접속블록(32)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스도입유로(37a)와, 상기 가스도입유로(37a)의 다른 일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접속블록(32)의 일측면 및 캡(31)의 측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가스도입유로(37a)를 통해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접속블록(32)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클램핑부재(20)에 형성된 록킹홀(25)에 삽입되는 록킹핀(37)과, 상기 록킹핀(37)에 접속블록(32)의 내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면서 록킹핀(37)을 접속블록(32)에 대해 지탱하는 록킹핀탄성부재(37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블록(32)의 하부에 상기 탱크(T)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수용홈(32a)이 하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펀치돌기(34)는 상기 수용홈(32a)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유닛(30)은,
    상기 접속블록(32)의 수용홈(32a) 외측에 설치되어 탱크(T)의 상단부에 탄력적으로 접촉하면서 가스의 누출을 막는 유연한 수지 재질의 외측패킹링(35)과;
    상기 접속블록(32)과 외측패킹링(35) 사이에서 접속블록(32)에 대해 외측패킹링(35)을 탄력적으로 지탱하는 탄성체(35a)와;
    상기 접속블록(32)의 수용홈(32a)의 상부에 설치되는 유연한 수지 재질의 내측패킹링(3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유닛(30)과 탱크(T)의 마개(L)가 서로 가압된 상태에서 탱크(T) 내의 잔여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수단은, 일단이 상기 접속블록(32)의 메인 가스유로(33)에 연통되도록 상기 접속블록(32)의 내부에 형성되는 가스배출유로(38a)와, 상기 가스배출유로(38a)의 다른 일단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끝단부가 접속블록(32)의 측면부 및 캡(31)의 측면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가스배출유로(38a)를 개폐하는 드레인핀(38)과, 상기 드레인핀(38)에 접속블록(32)의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접속블록(32)에 대해 드레인핀(38)을 지탱하는 드레인핀탄성부재(38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접속블록(32)의 메인 가스유로(33)에 연통되는 압력감지유로(39a)와, 상기 압력감지유로(39a)의 다른 일단부에 설치되어 압력감지유로(39a)로 유동하는 가스의 압력을 측정하여 외부로 전송하는 압력센서(3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유닛(30)은 본체(10)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클램핑부재(20)는 본체(10)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동레버(5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클램핑부재(20)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탱크(T)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50)는 상기 클램핑부재(20)의 상단부에 힌지핀(22)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재(20)는 탱크(T)의 목 부분이 삽입되는 U자형 홈(21a)이 형성되어 있는 플랜지승강판(2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부재(20)는 탱크(T)의 바닥면이 안착되는 바닥면승강판(2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유닛(30)은 본체(10)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클램핑부재(20)는 본체(10)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작동레버(50)가 접속유닛(30)의 상부면을 가압하여 접속유닛(30)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탱크(T)의 마개(L)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팅부재(40)는 상기 접속블록(32)을 통해 배출되는 가스를 감압하여 외부로 공급하는 감압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
KR1020150020412A 2015-02-10 2015-02-10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711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412A KR101711103B1 (ko) 2015-02-10 2015-02-10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
PCT/KR2015/012732 WO2016129788A1 (ko) 2015-02-10 2015-11-25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0412A KR101711103B1 (ko) 2015-02-10 2015-02-10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918A KR20160097918A (ko) 2016-08-18
KR101711103B1 true KR101711103B1 (ko) 2017-02-28

Family

ID=56614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0412A Expired - Fee Related KR101711103B1 (ko) 2015-02-10 2015-02-10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11103B1 (ko)
WO (1) WO201612978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046B1 (ko) * 2018-07-03 2019-05-17 주식회사 유니락 가스 실린더 정렬 장치 및 방법
KR102057278B1 (ko) 2018-02-09 2019-12-18 하이리움산업(주) 액화수소 저장탱크용 카트리지형 아답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충전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40500C2 (en) * 2016-12-19 2018-09-25 Inventi Vidi Ab Fire extinguishing device and method for extinguishing a fire
CN109798440A (zh) * 2019-04-03 2019-05-24 清远市联升空气液化有限公司 一种安全高效的氮气充装设备
US11208310B2 (en) 2019-05-06 2021-12-28 Fountain Master, Llc Fluid filling systems and methods
LU500632B1 (en) 2021-09-08 2023-03-09 Rotarex Solutions S A Co2 cartridge valve with interlocking part
CN115681806B (zh) * 2022-10-31 2023-12-19 江苏乐聚医药科技有限公司 刺破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1094A (ja) 1998-12-28 2000-07-11 Sapporo Breweries Ltd 注出機能付き飲料容器
KR200302861Y1 (ko) 2002-11-07 2003-01-29 이종만 가스 충전 장치
JP2009148585A (ja) 2006-05-18 2009-07-09 Hideo Yoshida 消火ガス噴射器および災害警報システム
KR101385418B1 (ko) 2010-03-30 2014-04-14 히데오 요시다 소화가스 분사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7670B2 (ja) 2001-05-16 2005-03-0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高圧ガス容器の取付構造
JP4037088B2 (ja) * 2001-11-08 2008-01-23 株式会社メジャー通信 ガスボンベ装置及びガスボンベ装置を用いた液体注出装置
KR100468895B1 (ko) 2002-03-05 2005-02-02 강성만 가스 용기의 펀칭 겸용 보호캡
KR20120086608A (ko) * 2011-01-26 2012-08-03 주식회사 대유에스이 가스 누출 감지 압력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1094A (ja) 1998-12-28 2000-07-11 Sapporo Breweries Ltd 注出機能付き飲料容器
KR200302861Y1 (ko) 2002-11-07 2003-01-29 이종만 가스 충전 장치
JP2009148585A (ja) 2006-05-18 2009-07-09 Hideo Yoshida 消火ガス噴射器および災害警報システム
KR101385418B1 (ko) 2010-03-30 2014-04-14 히데오 요시다 소화가스 분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7278B1 (ko) 2018-02-09 2019-12-18 하이리움산업(주) 액화수소 저장탱크용 카트리지형 아답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충전시스템
KR101980046B1 (ko) * 2018-07-03 2019-05-17 주식회사 유니락 가스 실린더 정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918A (ko) 2016-08-18
WO2016129788A1 (ko)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1103B1 (ko) 가스저장 탱크 장착 장치
EP2165967B1 (en) Beverage server system
US11247183B2 (en)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and container for use in 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US9687796B2 (en) Carbonation device
US2158347A (en) Portable dispensing apparatus
KR101622949B1 (ko) 압축기체 공급장치
AU2016287520B2 (en) Engagement of gas cylinder with gas dispenser
DK2632845T3 (en) DRAFT APPLIANCE PROVIDED WITH Means for placing a container
US20170246597A1 (en) Safety Door for Carbonator
US20090014446A1 (en) Pressure top for beverage-containing vessels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US629752A (en) Means for effecting aeration of liquids in bottles.
JP4491593B2 (ja) 液体保存装置
CN213849983U (zh) 榨汁机
JP4472888B2 (ja) 飲料注出装置
JPS6221593Y2 (ko)
HK40041087B (en) Beverage extractor with controller
HK40041087A (en) Beverage extractor with controller
HK40041338A (en) Beverage extractor with controller
KR200396039Y1 (ko)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
US20170035081A1 (en) A device for the carbonation of liquids
JP2004043030A (ja) 詮交換装置及び詮交換方法
BRMU8801573U2 (pt) tampa-válvula para garrafas de bebidas
KR20060114799A (ko) 음용수 정량 취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