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09409B1 -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9409B1
KR101709409B1 KR1020150136939A KR20150136939A KR101709409B1 KR 101709409 B1 KR101709409 B1 KR 101709409B1 KR 1020150136939 A KR1020150136939 A KR 1020150136939A KR 20150136939 A KR20150136939 A KR 20150136939A KR 101709409 B1 KR101709409 B1 KR 101709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tooth
sector tooth
hollow body
sea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홍
최영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50136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9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9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940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1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g. sun and planet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3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60N2/225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with coiled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착공정에서 리클라이너의 내부로 전착액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섹터 투스의 치형부에 전착액의 고착에 따라 수반되는 록킹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리클라이너 장치는 시트의 쿠션 브래킷에 고정되는 홀더 플레이트(10), 시트의 백 브래킷에 고정되는 섹터 투스(20),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섹터 투스(20)와 치 결합되는 폴 투스(30),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폴 투스(30)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작동 캠(40),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와 상기 섹터 투스(20) 및 상기 작동 캠(4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작동 캠(4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축(50), 및 상기 섹터 투스(20)의 관통구멍(22)과 상기 회전축(50)의 외주면 사이의 조립부위에 설치되는 기밀 유지용 부싱(80)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Recliner device for automotive sea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클라이너의 내부로 전착액의 유입을 차단하여 록킹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고 실내의 바닥면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자의 하체부위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과, 이 시트 쿠션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자의 상체부위를 지지하는 시트 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시트에는 운전자나 탑승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춰 시트 쿠션을 전후방으로 당기거나 밀어 시트의 전후방 위치를 조절하는 슬라이딩 장치와, 시트 쿠션에 대하여 시트 백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시트에 앉았을 때 가장 쾌적한 자세가 되도록 시트 쿠션에 대하여 시트 백의 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수동식 리클라이너 장치가 구비된다.
종래 리클라이너 장치로는 등록특허 제10-1422419호에 개시된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를 일례로 들 수 있는 데, 상기와 같은 종래 리클라이너 장치는 조작 레버에 대한 선회 조작에 따라 폴 투스와 섹터 투스 사이의 치합이 해제되어 시트 쿠션에 대한 시트 백의 경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조작 레버에 제공된 회전력은 회전축을 통해 캠으로 전달되고, 캠으로 전달된 회전력은 폴 투스를 작동시켜 섹터 투스와의 치합을 해제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 리클라이너 장치는 부품의 녹 방지를 위해 전착공정을 거치게 되는 바, 전착공정에서 리클라이너의 내부로 유입되는 전착액은 섹터 투스의 치형부에 고착되어 폴 투스와의 치 결합에 의한 록킹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전착공정에서 리클라이너의 내부로 전착액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전착공정 전 리클라이너의 섹터 투스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마스킹하여 전착액의 내부 유입을 차단하거나 또는 섹터 투스의 관통구멍에 별도의 밀봉용 샤프트를 삽입하여 전착액의 유입을 차단하는 등의 방법을 마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공정의 추가는 작업 시간을 크게 지연시킬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생산성의 저하까지도 초래하게 되므로, 전착공정에서 리클라이너의 내부로 전착액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0-1422419호의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전착공정에서 리클라이너의 내부로 전착액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섹터 투스의 치형부에 전착액의 고착에 따라 수반되는 록킹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의 쿠션 브래킷에 고정되는 홀더 플레이트, 시트의 백 브래킷에 고정되는 섹터 투스, 상기 홀더 플레이트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섹터 투스와 치 결합되는 폴 투스, 상기 홀더 플레이트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폴 투스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작동 캠, 상기 홀더 플레이트와 상기 섹터 투스 및 상기 작동 캠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작동 캠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축, 및 상기 섹터 투스의 관통구멍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 사이의 조립부위에 설치되는 기밀 유지용 부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기밀 유지용 부싱은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끼워지도록 중앙에 관통구멍을 형성하는 중공형 몸체부, 상기 중공형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섹터 투스의 관통구멍의 외측 입구부위를 향해 절곡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중공형 몸체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작동 캠의 관통구멍의 내부로 삽입되는 분지형 다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중공형 몸체부의 관통구멍에는 중심부위를 향해 돌출되는 센터링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중공형 몸체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섹터 투스의 관통구멍과 접촉되는 다수의 밀착용 돌기가 축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플랜지부의 일측면에는 상기 섹터 투스의 관통구멍의 외측 입구부위와 접촉되는 다수의 밀착용 돌기가 동심원상으로 등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분지형 다리부에는 자유단부에 상기 작동 캠의 관통구멍에 대한 고정 지지를 위한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분지형 다리부는 상기 중공형 몸체부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분지형 다리부는 절개홈을 사이에 두고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는 회전축과 섹터 투스의 관통구멍 사이로 삽입되는 기밀 유지용 부싱의 설치를 통해 전착공정에서 리클라이너의 내부로 전착액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섹터 투스의 치형부에 전착액의 고착에 따라 수반되는 록킹 성능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밀 유지용 부싱의 관통구멍에 중심부위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센터링 돌기를 매개로 리클라이너의 작동시 회전축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회전축의 유동에 따라 기인하는 이상 소음(rattle noise)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에 대한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에 대한 구성을 다른 방향에서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과 도 4에 각각 도시된 기밀 유지용 부싱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기밀 유지용 부싱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차량용 시트의 수동식 리클라이너 장치는 시트 쿠션에 고정되는 쿠션 브래킷, 시트 백에 고정되는 백 브래킷, 쿠션 브래킷과 백 브래킷 사이에 설치되어 리클라이닝 기능을 구현하는 수동식 코어 조립체, 쿠션 브래킷을 관통하여 코어 조립체의 작동에 필요로 하는 조작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 및 쿠션 브래킷의 외부에서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회 조작되는 조작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에 대한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에 대한 구성을 다른 방향에서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에 있어, 코어 조립체는 시트의 쿠션 브래킷(미도시)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홀더 플레이트(10), 시트의 백 브래킷(미도시)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섹터 투스(20),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섹터 투스(20)와 치 결합되는 다수의 폴 투스(30),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폴 투스(30)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가압력을 제공하는 작동 캠(40),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와 상기 섹터 투스(20) 및 상기 작동 캠(4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작동 캠(40)에 회전방향 작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50), 상기 작동 캠(40)에 회전방향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리턴 스프링(60),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와 상기 섹터 투스(20)의 전 둘레부위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링(70), 및 상기 섹터 투스(20)와 상기 회전축(50) 사이의 조립부위에 설치되는 기밀 유지용 부싱(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더 플레이트(10)는 중앙부위에 상기 회전축(50)의 설치를 위한 관통구멍(1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홀더 플레이트(10)는 상기 폴 투스(30)를 향한 일측면에 폴 투스(30)의 반경방향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돌기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가이드 엠보(14)를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 엠보(14)는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의 일측면에서 상기 관통구멍(1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어, 리클라이닝 기능 작동시 상기 폴 투스(30)는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가이드 엠보(14) 사이에 마련된 공간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섹터 투스(20)는 중앙부위에 상기 회전축(50)의 설치를 위한 관통구멍(22)을 형성하고, 상기 폴 투스(30)의 치형부(32)와의 치 결합을 위해 일측 내주면의 전 둘레부위를 따라 내치부(24)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섹터 투스(20)는 타측면에 백 브라켓(미도시)과의 결합을 위해 두께 방향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단부(26)를 일체로 형성하는 바, 상기 돌출단부(26)는 관통구멍(2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구조물 형태로서 각각 백 브라켓과의 견고한 결합을 구현할 수 있는 외형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폴 투스(30)는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의 일측면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 엠보(14)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상기 섹터 투스(20)의 내치부(24)와의 치 결합을 위한 치형부(32)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폴 투스(30)는 반경방향 내주면에 상기 작동 캠(40)의 회전에 따른 연동을 위해 오목한 형태의 삽입홈(34)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34)의 입구 양측부위에는 상기 작동 캠(40)과의 접촉에 따른 연동을 위한 소정 형상의 캠 프로파일(36)을 함께 형성한다.
상기 작동 캠(40)은 중앙부위에 상기 회전축(50)과의 축 결합을 위한 관통구멍(4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작동 캠(40)은 외주면에 상기 폴 투스(30)의 삽입홈(34)으로 조립되어 반경방향 위치를 구속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돌기(44)를 전 둘레부위에 걸쳐 다수로 형성하고, 상기 걸림돌기(44) 사이에는 상기 폴 투스(30)의 캠 프로파일(36)과의 접촉을 통해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대응하는 형상의 캠 프로파일(46)을 함께 형성한다.
상기 회전축(50)은 코어 조립체의 작동에 필요로 하는 조작력을 전달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단부에 사용자에 의해 선회 조작되는 조작 레버(미도시)를 장착하게 된다. 특히, 상기 회전축(50)은 상기 작동 캠(40)의 관통구멍(42)과의 긴밀한 결합을 위해 사각단면의 봉상물로 이루어져 상기 작동 캠(40)에 대해 회전방향 조작력을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턴 스프링(60)은 일단부가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에 고정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폴 투스(30)에 고정 지지되어 있어, 상기 작동 캠(40)에 대해 회전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리턴 스프링(60)은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링(70)은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와 상기 섹터 투스(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와 상기 섹터 투스(20) 사이의 긴밀한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5는 도 3과 도 4에 각각 도시된 기밀 유지용 부싱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기밀 유지용 부싱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로 하면, 상기 기밀 유지용 부싱(80)은 상기 섹터 투스(20)의 관통구멍(22)과 상기 회전축(50)의 외주면 사이의 조립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50)의 외주면에 끼워져 상기 섹터 투스(20)의 관통구멍(22)으로 삽입되도록 중앙에 관통구멍(82a)을 형성하는 중공형 몸체부(82), 상기 중공형 몸체부(82)의 일단부에서 상기 섹터 투스(20)의 관통구멍(22)의 외측 입구부위를 향해 절곡되는 플랜지부(84), 및 상기 중공형 몸체부(82)의 타단부에서 상기 작동 캠(40)의 관통구멍(42)의 내부로 삽입되는 분지형 다리부(8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공형 몸체부(82)는 관통구멍(82a)의 중심부위를 향해 돌출되는 다수의 센터링 돌기(82b)를 더 포함하는 바, 상기 센터링 돌기(82b)는 상기 관통구멍(82a)의 내부로 삽입되는 상기 회전축(50)의 축 중심방향 정확한 조립을 안내함과 동시에 반경방향 유격을 흡수하여 리클라이너 장치의 작동을 위한 상기 회전축(50)의 회전시 불필요한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중공형 몸체부(82)는 외주면에 상기 섹터 투스(20)의 관통구멍(22)과 접촉되는 다수의 밀착용 돌기(82c)가 축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는 바, 상기 밀착용 돌기(82c)는 전착공정 중에 상기 회전축(50)의 외주면과 상기 섹터 투스(20)의 관통구멍(22) 사이로 전착액의 유입을 더욱 확실하게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밀착용 돌기(82c)는 상기 섹터 투스(20)의 관통구멍(22)의 내부로 상기 중공형 몸체부(82)의 삽입을 돕기 위해 나선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8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상기 섹터 투스(20)의 관통구멍(22)의 외측 입구부위와 접촉되는 다수의 밀착용 돌기(84a)가 동심원상으로 등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형성되는 바, 상기 밀착용 돌기(84a)는 전착공정 중에 상기 섹터 투스(20)의 관통구멍(22)의 입구로 전착액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돕게 된다.
또한, 상기 분지형 다리부(86)는 자유단부에 상기 작동 캠(40)의 관통구멍(42)에 대한 고정 지지를 위한 걸림돌기(86a)가 형성되는 바, 상기 걸림돌기(86a)는 상기 기밀 유지용 부싱(80)의 조립 과정에서 상기 작동 캠(40)의 관통구멍(42)을 지나 반경방향 외측으로 걸림지지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회전축(50)에 대한 상기 기밀 유지용 부싱(80)의 안정적인 설치를 돕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분지형 다리부(86)는 상기 중공형 몸체부(8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분지형 다리부(86)는 절개홈(86b)을 사이에 두고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는 회전축(50)의 외주면에 끼워져 섹터 투스(20)의 관통구멍(22)에 삽입되는 기밀 유지용 부싱(80)의 설치를 통해 전착공정 중에 리클라이너의 내부로 전착액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바, 특히, 상기 기밀 유지용 부싱(80)의 중공형 몸체부(82)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밀착용 돌기(82c)는 상기 섹터 투스(20)의 관통구멍(22)의 내주면과의 긴밀한 접촉을 통해 기밀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밀 유지용 부싱(80)의 플랜지부(84)는 상기 섹터 투스(20)의 관통구멍(22)의 외측 입구부위와의 밀착을 통해 전착액의 내부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데, 특히, 상기 플랜지부(84)의 일측면에서 상기 섹터 투스(20)의 관통구멍(22)의 외측 입구부위를 향해 돌출되는 다수의 밀착용 돌기(84a)는 상기 관통구멍(22)의 입구와의 긴밀한 접촉을 통해 전착액의 유입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기밀 유지용 부싱(80)은 관통구멍(82a)의 내주면에서 중심부위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센터링 돌기(82b)를 매개로 리클라이너의 작동시 상기 회전축(50)의 반경방향 유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축(50)의 유동에 따라 기인하는 이상 소음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홀더 플레이트 20-섹터 투스
30-폴 투스 40-작동 캠
50-회전축 60-리턴 스프링
70-가이드 링 80-기밀 유지용 부싱
82-몸체부 82a-관통구멍
82b-센터링 돌기 82c-밀착용 돌기
84-플랜지부 84a-밀착용 돌기
86-분지형 다리부 86a-걸림돌기
86b-절개홈

Claims (7)

  1. 시트의 쿠션 브래킷에 고정되는 홀더 플레이트(10), 시트의 백 브래킷에 고정되는 섹터 투스(20),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섹터 투스(20)와 치 결합되는 폴 투스(30),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폴 투스(30)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작동 캠(40),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와 상기 섹터 투스(20) 및 상기 작동 캠(4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작동 캠(4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축(50), 및 상기 섹터 투스(20)의 관통구멍(22)과 상기 회전축(50)의 외주면 사이의 조립부위에 설치되는 기밀 유지용 부싱(80)을 구비하는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밀 유지용 부싱(80)은,
    상기 회전축(50)의 외주면에 끼워지도록 중앙에 관통구멍(82a)을 형성하는 중공형 몸체부(82);
    상기 중공형 몸체부(82)의 일단부에서 상기 섹터 투스(20)의 관통구멍(22)의 외측 입구를 향해 절곡되는 플랜지부(84); 및
    상기 중공형 몸체부(82)의 타단부에서 상기 작동 캠(40)의 관통구멍(42)의 내부로 삽입되는 분지형 다리부(86)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형 몸체부(82)의 관통구멍(82a)에는 중심부위를 향해 돌출되는 센터링 돌기(82b)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몸체부(82)의 외주면에는 상기 섹터 투스(20)의 관통구멍(22)과 접촉되는 밀착용 돌기(82c)가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부(84)의 일측면에는 상기 섹터 투스(20)의 관통구멍(22)의 외측 입구부위와 접촉되는 밀착용 돌기(84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지형 다리부(86)에는 자유단부에 상기 작동 캠(40)의 관통구멍(42)에 대한 고정 지지를 위한 걸림돌기(86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지형 다리부(86)는 상기 중공형 몸체부(8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분지형 다리부(86)는 절개홈(86b)을 사이에 두고 상호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KR1020150136939A 2015-09-25 2015-09-25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709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939A KR101709409B1 (ko) 2015-09-25 2015-09-25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939A KR101709409B1 (ko) 2015-09-25 2015-09-25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9409B1 true KR101709409B1 (ko) 2017-02-23

Family

ID=58315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939A Expired - Fee Related KR101709409B1 (ko) 2015-09-25 2015-09-25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94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403A (ko)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용 매뉴얼 리클라이너의 연동 조절 장치
CN111546963A (zh) * 2020-05-22 2020-08-18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一种靠背骨架总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633A (ko) * 2004-02-16 2005-08-19 김지섭 터널 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앵커 볼트
KR20080002527U (ko) * 2007-01-05 2008-07-09 주식회사 청운하이테크 소켓용 밀폐구
KR20100113839A (ko) * 2009-04-14 2010-10-22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리클라이너의 작동장치
KR101251839B1 (ko) * 2011-06-30 2013-04-09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KR101422419B1 (ko) 2013-10-31 2014-07-22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1633A (ko) * 2004-02-16 2005-08-19 김지섭 터널 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앵커 볼트
KR20080002527U (ko) * 2007-01-05 2008-07-09 주식회사 청운하이테크 소켓용 밀폐구
KR20100113839A (ko) * 2009-04-14 2010-10-22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리클라이너의 작동장치
KR101251839B1 (ko) * 2011-06-30 2013-04-09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KR101422419B1 (ko) 2013-10-31 2014-07-22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8403A (ko)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용 매뉴얼 리클라이너의 연동 조절 장치
KR102360574B1 (ko) 2017-10-31 2022-02-09 주식회사 다스 차량 시트용 매뉴얼 리클라이너의 연동 조절 장치
CN111546963A (zh) * 2020-05-22 2020-08-18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一种靠背骨架总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8636B2 (ja) リクライナ
JP5614332B2 (ja) 車両用ロック装置
JP4355340B2 (ja) 車両座席用取り付け具
US9573493B2 (en) Seat reclining device
US10442323B2 (en) Method of producing seat reclining apparatus
KR20090099568A (ko) 편의된 동기화를 갖는 디스크 리클라이너 조립체
JP2007501036A5 (ko)
KR101725412B1 (ko) 시트의 리클라이너
JP2018199358A (ja) グロメット
KR101709409B1 (ko)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US20140008956A1 (en) Continuous manual recliner with integrated lock
JP2007526052A (ja) 車両シート用取付具
KR101775371B1 (ko)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너
KR101977064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393603B1 (ko) 웨지를 갖는 차량용 라운드 리클라이너
CN111757819B (zh) 用于交通工具的座椅倾角调节装置
US20130076094A1 (en) Reclining apparatus
JPH09142251A (ja) シートベルト用ショルダーアンカーアジャスター装置
JP5262072B2 (ja) 車両用シートの回転留め装置
KR102071474B1 (ko)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의 브레이크 장치
JP5556441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10688891B2 (en) Seat recliner for vehic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5225262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WO2008004696A1 (fr) Ottoman pour siège de véhicule
KR101972336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