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8679B1 - Drum type washing machine - Google Patents
Drum type wash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8679B1 KR101708679B1 KR1020090086531A KR20090086531A KR101708679B1 KR 101708679 B1 KR101708679 B1 KR 101708679B1 KR 1020090086531 A KR1020090086531 A KR 1020090086531A KR 20090086531 A KR20090086531 A KR 20090086531A KR 101708679 B1 KR101708679 B1 KR 1017086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front door
- support
- support body
- do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51 Hypersensitiv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6935 allerg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815 allerg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44 chemical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10 silicon-base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2—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23/025—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with a rotatable imperforate tub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부에 내부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일단부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회동하는 동작으로 상기 출입부를 개폐하는 전면 도어와, 상기 전면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출입부의 개폐시 상기 본체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전면 도어가 상기 본체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유지시키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드럼세탁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통기시켜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의 습도 등으로 인하여 곰팡이 등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um type washing machine which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formed therein, a front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access portion by an operation of rotating the other end about a hinge- And a support unit installed on the door to maintain the front door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front door has a predetermined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main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rum type washing machine capable of preventing the growth of germs such as molds due to the humidity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본체, 내부 공간, 도어래치, 지지 유닛, 지지 바디, 소음방지부 A main body, an inner space, a door latch, a support unit, a support body,
Description
본 발명은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럼세탁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 전면 도어를 약간 열어두어 본체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통기시킴으로써, 상기 내부 공간의 환경(습도 등)으로 인하여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드럼세탁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과 세제의 화학적 분해 작용과 물과 세탁물간의 마찰 등 물리적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약칭함)에 묻은 오염물질을 분리해내는 세탁장치와, 젖은 세탁물을 탈수하여 건조시키는 건조장치, 세탁물을 가열된 증기를 분사하여 세탁물로 인한 알러지를 방지함과 아울러, 세탁물을 간편하게 세탁하는 리프레셔 등, 세탁물에 물리적·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세탁물을 처리하는 각종 장치를 통칭한다.Generally, a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separates contaminants from clothing, bedding, and the like (hereinafter referred to as "laundry") by using physical action such as chemical decomposition of water and detergent and friction between water and laundry A washing machine, a drying device for dewatering and drying the wet laundry, a refresher for preventing the allergy caused by the laundry by spraying heated steam on the laundry, and a refresher for easily washing the laundry, And the like.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의 일종인 세탁장치는, 그 구조와 세탁방식에 따라 교반식(agitator type)과 드럼식(drum type) 및 와권식(pulsator type)으로 구분된 다. 이러한 세탁장치는, 통상 세척 행정, 헹굼 행정 및 탈수 행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게 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한 행정 중에서 소정의 행정만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적당한 세탁방법으로 세탁이 이루어지게 된다.Meanwhile, the washing machine, which is a kind of laundry processing equipment, is divided into an agitator type, a drum type, and a pulsator type according to its structure and washing method. Such a washing machine usually performs a washing process while sequentially performing a washing process, a rinsing process, and a dewatering process, and it is possible to perform only a predetermined process in the above-described processes according to a user's selection, Washing is done by the washing method.
특히,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의 종류 중 드럼식(drum type) 세탁물 처리기기를 줄여서 드럼세탁기라 칭하는데, 상기 드럼세탁기는 전면에 세탁물이 전후방향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부가 개구되게 형성되고 내부에 세탁물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출입부를 개폐하는 전면 도어를 포함한다.In particular, among the types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es, a drum typ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is shortened to be called a drum washing machine. The drum washing machine has an opening and an opening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aundr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a front door that is rotatably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opens and closes the access portion.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사용자가 드럼세탁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도 항상 상기 전면 도어가 상기 출입부를 폐쇄하고 있어 상기 내부 공간의 습한 공기와 밀폐된 환경에 의하여 쉽게 곰팡이 등 세균이 번식될 수 있어 의류의 청결 및 위생을 유지하고자 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의 본연의 의도에 부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even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drum washing machine, the front door always closes the entrance and the door so that bacteria such as fungi can easily breed due to the enclosed environment of the humid air in the interior spa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compatible with the intention of the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to maintain cleanliness and hygiene of the clothes.
위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서 세균이 번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시로 상기 전면 도어를 이용하여 상기 출입부를 개방시켜 두어야 하는 문제점도 아울러 지적된다.As described above, it is pointed out that the user has to open the access portion by using the front door at any time in order to prevent the propagation of bacteria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전면 도어가 과도하게 개방되어 있는 경우 주변 물건들과 간섭되거나 제품의 외관미를 훼손시키는 문제점도 지적된다.Also, when the front door is excessively opened, it is pointed out that it interferes with surrounding objects or damages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에 내부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일단부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회동하는 동작으로 상기 출입부를 개폐하는 전면 도어와, 상기 전면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출입부의 개폐시 상기 본체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전면 도어가 상기 본체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유지시키는 지지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 드럼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main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formed therein and a front door And a support unit installed on the front door to keep the front door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when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so that the front door ha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ain body. do.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전방에 세탁물이 출입되는 출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내부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에 일단부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타단부가 회동하는 동작으로 상기 출입부를 개폐하는 전면 도어와, 상기 전면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출입부의 개폐시 상기 본체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전면 도어가 상기 본체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유지시키는 지지 유닛을 포함한다.A drum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n inlet and an outlet for allowing laundry to be introduced into and discharged from a front of the drum and having an internal space formed therein and a second end rotatable about a hinge- And a support unit installed on the front door and holding the front door so that the front door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main body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access portion.
여기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본체에 상기 전면 도어를 연결시키되, 상기 전면 도어와 상기 본체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지지 바디와, 상기 지지 바디가 삽입 및 돌출되게 상기 전면 도어의 내측 단부에 삽입 홀이 형성된 마운트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unit may include a support body connecting the front door to the main body, the support body being movab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door and the main body, and a support body inserted into the inner end of the front door, And a mount frame formed with holes.
또한, 상기 전면 도어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배면에 부착되어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이너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트 프레임은, 상기 이너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front door may include an outer frame forming a front surface and an inner frame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outer frame to form a rear surface of the outer frame. The mounting frame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inner frame .
또한, 상기 삽입 홀에는 상기 지지 바디를 상기 본체 측으로 탄성지지하는 지지 탄성부재가 개재될 수 있다.Further, a support elastic memb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upport body to the main body side may be interposed in the insertion hole.
또한, 상기 지지 바디가 접촉되는 부분인 상기 본체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바디는, 상기 지지 바디와 상기 본체를 자석 결합시키는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which is the portion to which the support body contacts,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support body may include a magnet for magnetically coupling the support body and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지지 바디는, 상기 마그네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사출 성형될 수 있다.Further, the support body may be injection molded in a state where the magnet is inserted.
또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지지 바디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 바디와 상기 본체의 접촉시 소음발생을 방지하는 소음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noise preventing unit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supporting body to prevent noise from being generated when the supporting body and the main bod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마그네트와 상기 지지 바디의 선단부에는 결합 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소음방지부는 상기 결합 홀을 관통하는 체결단에 의하여 상기 지지 바디의 선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a coupling hole may be formed at the distal end of the magnet and the support body, and the noise prevention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distal end of the support body by a coupling end passing through the coupling hole.
또한, 상기 지지 바디에는 상기 마그네트가 선단부로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body may be formed with a seating portion for allowing the magnet to be inserted into the front end portion thereof to be seated.
또한, 상기 지지 바디와 상기 소음방지부는 이중사출 방식으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Also, the support body and the noise preventing portion may be injection molded by a double injection method.
또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마운트 프레임 내부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지지 바디를 지지하여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지지 바디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지지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unit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elastic member installed inside the mount frame and supporting the support body to project the support body to the outside when external force does not act.
또한, 상기 지지 바디는 상기 삽입 홀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전면 도어의 직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마운트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 탄성부재는 상기 힌지 결합부에 개재되어 일단부가 상기 마운트 프레임에 의하여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 바디의 타단부를 상기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지지하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The support body may be installed on the mount frame so that one end of the support body is hinged to the hinge coupling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ody is rotatable about the hinge coupling part so as to be movable to the room immediately after the front door, Member may be a torsion spring interposed in the hinge coupling part,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mount fram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suppor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ody is rotated about the hinge coupling part.
또한, 상기 토션 스프링의 일단부는 상기 마운트 프레임에 형성된 제1지지부에 지지되고, 상기 토션 스프링의 타단부는 상기 지지 바디에 형성된 제2지지부에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may be supported by a first support portion formed on the mount frame, and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spring may be supported by a second support portion formed on the support body.
또한, 상기 지지 바디가 접촉되는 상기 본체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 바디는, 상기 지지 바디와 상기 본체를 자석 결합시키는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to which the support body is contacted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the support body may include a magnet that magnetically couples the support body and the main body.
또한, 상기 지지 바디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본체를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Further, the support body may protrude obliquely toward the main body when external force does not act.
또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지지 바디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 바디와 상기 본체의 접촉시 소음발생을 방지하는 소음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uppor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noise preventing unit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supporting body to prevent noise from being generated when the supporting body and the main bod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소음방지부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noise prevention part may be made of a rubber material.
또한,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전면 도어의 내측단부에 적어도 2군데 이격되 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ing unit may be disposed at at least two places on the inner end of the front door.
또한, 상기 전면 도어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투과부와, 상기 투과부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유닛은, 상기 투과부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과 상기 전면 도어의 타단부 사이의 임의의 수직선상에 해당하는 상기 테두리부에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front door includes a transparent portion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a rim portion forming a rim of the transparent portion, and the supporting unit is disposed between a vertical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transparent portion and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front door And may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edge portion corresponding to an arbitrary vertical line of the display panel.
또한, 상기 임의의 수직선은 상기 전면 도어의 타단부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bitrary vertical line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other end of the front door.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사용자에 의하여 드럼세탁기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지지 유닛에 의하여 본체의 내부 공간과 외부를 통기시켜 둠으로써 세균이 번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의류의 청결 및 위생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propagation of germs by allowing the inside space a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o be ventilated by the support unit while the drum washing machine is not used by the user,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상기 내부 공간과 외부를 통기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면 도어를 조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since the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the user to manually operate the front door to ventilate the inner space and the outsid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is increased.
아울러, 상기 지지 유닛에 의하여 상기 전면 도어를 과도하게 개방하지 않아도 되므로 주변 물체와의 간섭이 없고 제품의 외관미를 개선시키는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since the front door is not opened excessively by the support unit, there is no interference with surrounding objects and the appearance of the product is improv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 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전면 도어를 잠금 또는 그 잠금을 해제시키는 도어래치 어셈블리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도 3은 도 1의 화살표 A방향의 평면도이고, 도 4a 및 도 4b와 도 5는 도 1의 B-B선에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의 구성 중 전면 도어의 배면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oor latch assembly for locking or unlocking a front door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4A and 4B and 5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1, and Figs. 6A to 6C are rear views of the back surface of the front door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Fi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1)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세탁물이 전후방으로 출입될 수 있도록 전방부에 출입부(23)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세탁물이 세탁을 위하여 수용되는 내부 공간(2)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전면(20)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회동되는 동작으로 상기 출입부(23)를 개폐하는 전면 도어(30)를 포함한다.1, the
상기 전면 도어(30)는 일단부(30b)가 상기 출입부(23)의 일측에 마련된 힌지 결합부(D)에 결합됨과 아울러 타단부(30a)가 상기 힌지 결합부(D)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출입부(23)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출입부(23)를 폐쇄시킨다.The
한편, 상기 전면 도어(30)의 타단부(30a)에 해당하는 배면부에는 후크부(60)가 배치되는데, 상기 후크부(60)는 상기 출입부(23)의 타측에 마련된 도어래치 어셈블리(70)에 의하여 걸림되어 상기 본체(10)의 세탁행정 시 상기 전면 도어(30)를 잠금시킴으로써 세탁 중 상기 전면 도어(30)가 열리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세탁수가 상기 내부 공간(2)으로부터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
상기 도어래치 어셈블리(70)는 세탁행정 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후크부(60)의 끝단을 잡아주어 상기 전면 도어(30)의 타단부(30a)가 전방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도어래치 어셈블리(70)는, 세탁행정이 끝난 후에는 상기 후크부(60)와의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잠금 상태가 그 잠금이 해제된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전면 도어(30)의 타단부(30a)가 전방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door latch assembly 70 prevents th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도어래치 어셈블리(70)는,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도어(30)의 타단부(30a)에 해당하는 상기 본체(10)의 측면부에 내장되는 도어래치 본체(71)와, 상기 도어래치 본체(71)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전면 도어(30)가 상기 출입부(23)를 폐쇄할 때 상기 후크부(60)를 걸림시키거나 그 걸림을 해제시키는 걸림부(72)와, 상기 도어래치 본체(71)에 상하 이동되게 배치되되 상기 걸림부(72)와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하 이동되는 동작으로 상기 걸림부(72)의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그 정지를 해제시키는 스토퍼부(73)와, 일단부가 상기 스토퍼단과 연결됨과 아울러 타단부가 상기 스토퍼부(73)를 상하 이동시키는 조작 로드(74)와 연결되어 상기 조작 로드(74)와 연동하여 이동되는 이동 로드(75)와, 상기 조작 로드(74)와, 상기 조작 로드(74)와 와이어(76)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하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80)를 포함한다.2, the door latch assembly 70 includes a door latch assembly 70 which is housed in a side portion of the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80)는 드럼세탁기(1)의 상기 본체(10)의 전면(20) 상부에 배치된 버튼 조작부(90)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전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버튼 조작부(90)는, 사용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상기 본체(10)의 전면(20) 상부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The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상기 도어래치 어셈블리(70)의 작동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상기 전면 도어(3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수동으로 버튼 조작부(90)를 조작하면 전자동으로 작동되는 상기 액추에이터(80)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76)가 상부로 당겨지고, 이때 상기 와이어(76)와 연결된 조작 로드(74)가 상기 도어래치 본체(71)의 내부에서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이동 로드(75)를 상부로 이동시키고 이와 연결된 상기 스토퍼부(73)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걸림부(72)를 회전시켜 상기 걸림부(72)에 걸림되어 있는 상기 후크부(60)의 걸림을 해제시킨다. The operation of the door latch assembly 70 having such a structure will be briefly described. First, when the user manually operates the
한편, 상기 전면 도어(30)의 일단부(30b)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출입부(23)의 일측에 마련된 상기 힌지 결합부(D)에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 결합부(D)에는 일단부(39')가 상기 출입부(23)의 일측에 형성된 제1지지부(39a)에 지지됨과 아울러 타단부(39")가 상기 전면 도어(30)와 상기 본체(10)를 연결시키는 힌지 로드(37)에 형성된 제2지지부(39b)에 지지되는 탄성부재(이하, 후술하는 용어가 같고 실제로 다른 구성인 탄성부재와의 용어 혼동을 피하기 위하여 "도어 탄성부재(39)"라 칭하기로 함)를 포함한다.3, one
상기 도어 탄성부재(39)는, 상기 전면 도어(30)의 상기 출입부(23) 폐쇄 시 상기 전면 도어(30)가 상기 출입부(23)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도어 탄성부재(39)가 과도하게 강한 탄성력을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으며, 단지 상기 후크부(60)가 상기 도어래치 어셈블리(70)와의 잠금이 해제되면 사용자가 구태여 외력을 가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상기 출입부(23)로부터 약간의 이격거리를 형성할 수 있을 정도의 작은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면 족하다.The door
사용자가 상기 본체(10)의 전면(20) 상부에 배치된 상기 버튼 조작부(90)를 누르면 상기 액추에이터(80)가 작동하여 상기 걸림부(72)와 상기 후크부(60)의 걸림 상태를 해제시킨다. 그러면, 상기 전면 도어(3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순간, 상기 도어 탄성부재(39)에 의하여 상기 전면 도어(30)의 타단부(30a)가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전면 도어(30)의 일단부(30b)인 상기 힌지 결합부(D)를 중심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 탄성부재(39)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전면 도어(30)가 전방으로 이동되므로 사용자가 충분한 작동감을 느낄 수 있는 이점이 있다.When the user presses the
또한, 상기 버튼 조작부(90)가 상기 본체(10)의 전면(20) 상부에 배치되고, 전자동으로 작동되는 상기 액추에이터(80)에 의하여 자동으로 상기 도어래치 어셈블리(70)와 상기 후크부(60)가 결합 또는 그 결합이 해제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이점이 있다.The
여기서, 상기 도어 탄성부재(39)는 상기 힌지 결합부(D)에 개재되는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door
한편, 상기 전면 도어(30)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투과부(35)와, 상기 투과부(35)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부(33)를 포함한다. 상기 테두리부(33)는, 도 4a 및 도 4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도어(30)의 전면(20)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아우터 프레임(31)과, 상기 아우터 프레임(31)의 배 면에 부착되어 상기 전면 도어(30)의 배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이너 프레임(32)을 포함한다.The
여기서, 상기 투과부(35)는 사용자가 외부에서 상기 내부 공간(2)을 관망할 수 있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또한, 상기 투과부(35)의 배면부는 상기 내부 공간(2)에 수용된 세탁물이 상기 전면 도어(30)와 상기 출입부(23) 사이에 끼이지 않도록 상기 내부 공간(2)을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rear portion of the transmitting
이를 보통 포끼임 방지턱이라 칭하는데, 실시예에 따라 상기 포끼임 방지턱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투과부(35)의 배면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테두리부(33) 중 상기 아우터 프레임(31)의 일부에 상기 내부 공간(2) 측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aw protector can be integrally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1)에서 상기 포끼임 방지턱은 상기 투과부(35)의 배면부가 상기 내부 공간(2)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Hereinafter, in the drum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1)는, 도 4a 및 도 4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도어(30)에 설치되고, 상기 출입부(23)의 개폐 시 상기 본체(10)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전면 도어(30)가 상기 본체(10)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지도록 유지시키는 지지 유닛(40)을 더 포함한다.4A and 4B, the
상기 지지 유닛(4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면 도어(30)와 상기 출입부(23)가 형성하는 소정의 이격거리 즉, 통기틈(50)을 통하여 상기 본체(10)의 내 부 공간(2)과 외부를 통기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이때, 상기 지지 유닛(40)에 의하여 상기 통기틈(50)을 형성할 경우, 상기 전면 도어(30)가 불필요하게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즉, 상기 전면 도어(30)가 상기 본체(1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상기 통기틈(50)을 형성하되, 주변 물체와 간섭되거나 사용자의 통행 방해를 해서는 안 된다. 특히, 드럼세탁기(1)와 같은 세탁물 처리기기는 보통 사용자의 통행이 잦은 곳인 주방에 직접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통기를 주목적으로 추가된 상기 지지 유닛(40)에 의하여 오히려 사용자에게 통행 방해를 주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현상이기 때문이다.At this time, when the
이와 같은 기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이하, 바람직한 일실시예라 칭함)로써, 상기 지지 유닛(40)은, 상기 전면 도어(30)와 상기 본체(10)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지지 바디(41)와, 상기 지지 바디(41)가 삽입 및 돌출되게 상기 전면 도어(30)의 내측 단부에 삽입 홀(43)이 형성된 마운트 프레임(42)을 포함한다.The
상기 지지 바디(41)는, 상기 후크부(60)가 상기 도어래치 어셈블리(70)로부터 잠금이 해제될 때 상기 전면 도어(30)의 타단부(30a)가 전방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본체(10)와 완전히 이격되기 전에 상기 본체(10)와 계속적으로 접촉되면서 상기 전면 도어(30)를 상기 본체(10)에 연결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The
이때, 상기 본체(10)와 상기 전면 도어(30)의 타단부(30a)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진 상기 통기틈(50)이 형성되게 된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지지 바디(41)는, 상기 전면 도어(30)의 타단부(30a)가 후방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후크부(60)가 상기 도어래치 어셈블리(70)와 완전히 잠금되기 전에 상기 본체(10)와 먼저 접촉됨으로써 상기 전면 도어(30)를 상기 본체(10)에 연결하여 주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The
이 때에도, 상기 본체(10)와 상기 전면 도어(30)의 타단부(30a) 사이에 소정의 이격거리를 가진 상기 통기틈(50)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이처럼, 상기 지지 유닛(40)은, 상기 전면 도어(30)가 상기 출입부(23)를 폐쇄 또는 개방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통기틈(5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본체(10)의 내부 공간(2)과 외부를 통기시키는 직접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When the
한편, 상기 마운트 프레임(42)은 상기 전면 도어(30)의 테두리부(33) 중 배면 외관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이너 프레임(3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마운트 프레임(42)에는 상기 지지 바디(41)가 삽입된 채로 상기 본체(10)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상기 삽입 홀(43)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 바디(41)에는 상기 삽입 홀(4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41a)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삽입 홀(43)의 깊이는 적어도 상기 지지 바디(41)의 길이에 비하여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depth of the
상기 지지 바디(41)는, 상기 삽입 홀(43)에 개재된 탄성부재(이하, 상기 도어 탄성부재(39)에 대응하여 "제1지지 탄성부재(44)"라 칭하기로 함)에 의하여 상기 본체(10)를 향하여 탄성지지된다. 상기 제1지지 탄성부재(44)는 상기 후크부(60)가 상기 도어래치 어셈블리(70)와의 잠금이 해제될 때, 상기 지지 바디(41) 를 상기 본체(10)를 향하여 탄성지지함으로써 상기 힌지 결합부(D)에 개재된 상기 도어 탄성부재(39)와 연동하여 상기 전면 도어(30)의 타단부(30a)를 전방으로 밀어내어 상기 통기틈(50)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The supporting
한편, 상기 지지 유닛(40)은, 상기 이탈방지턱(41a)이 형성된 상기 지지 바디(41)의 반대편에 해당되는 상기 지지 바디(41)의 선단부에는 상기 지지 바디(41)와 상기 본체(10)를 자석 결합시키는 마그네트(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마그네트(45)는 자장을 가진 일종의 자성체로써, 상기 지지 바디(41)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 바디(41)를 상기 본체(10)에 자석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마그네트(45)를 포함한 상기 지지 바디(41)는 상기 마그네트(45)가 삽입된 상태에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마그네트(45)가 삽입된 상태로 사출 성형할 경우, 제작된 상기 지지 바디(41)에 별도로 상기 마그네트(45)를 삽입하는 공정이 필요 없으므로 작업이 단순화된다.The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45)에 의하여 상기 지지 바디(41)가 접촉되는 부분인 상기 본체(10)는 상기 마그네트(45)와 자석 결합이 용이한 재료인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Here, the
한편, 상기 지지 유닛(40)은, 상기 지지 바디(41)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 바디(41)와 상기 본체(10)의 접촉시 소음발생을 방지하는 소음방지부(46)를 더 포함한다.The
상기 소음방지부(46)는, 상기 마그네트(45) 또는 상기 지지 바디(41)의 선단 부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본체(10)의 접촉부에 직접 접촉됨으로써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 바디(41)와 상기 본체(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바디(41)의 선단부에 결합된 것이다.The
여기서, 상기 소음방지부(46)는, 접촉 시의 소음 발생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실리콘 재질 또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이와 같은 상기 소음방지부(46)는, 상기 지지 바디(41)의 선단부 및 상기 마그네트(45)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결합 홀(41')(45')을 관통하여 상기 마그네트(45)에 걸림되도록 상기 지지 바디(41)의 선단부에 결합된다.The
여기서, 상기 결합 홀(41')(45')을 관통하는 상기 소음방지부(46)의 끝 부분에는 체결단(47)이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트(45)에 상기 체결단(47)이 걸림되면서 결합된다. A
그러나, 상기 지지 바디(41)가 상술한 바와 같이 항상 상기 마그네트(45)가 삽입된 상태에서 사출 성형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다른 실시예(140)로써,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이종 재질로 이루어진 성형물의 사출 성형에 적합한 이중사출 방식으로 상기 지지 바디(141)가 사출 성형될 수 있다.However, the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45)는 사출 성형의 재료로 적합하지 않으므로, 이중사출 방식으로 사출 성형되는 대상이 되는 것은 상기 지지 바디(141)와 상기 지지 바디(141)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상기 소음방지부(146)가 된다.Since the
즉, 상기 지지 바디(141)와 상기 소음방지부(146)는 이중사출 방식에 의한 성형 방법으로 한꺼번에 제작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at is, the
이와 같이, 이중사출 방식에 의하여 성형된 상기 지지 바디(141)의 선단부에는 상기 마그네트(145)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안착부(141')가 형성되고, 상기 안착부(141')에 상기 마그네트(145)가 안착된 상태에서 상술한 이중사출 방식에 의하여 성형된 상기 소음방지부(146)를 상기 지지 바디(141)의 선단부에 끼움 결합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유닛(140)의 결합이 완성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 유닛(40)(140)은, 상기 본체(10)와 상기 지지 바디(41)(141)가 접촉되는 등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상기 본체(10)를 향하여 소정 길이 직후방으로 돌출되는 특성을 가진다.The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1)에서 상기 지지 유닛(40)이 상술한 바와 같이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상기 본체(10) 측을 향하여 상기 전면 도어(30)의 직후방으로 돌출되는 것으로만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140)로써, 상기 지지 유닛(140)은, 상기 지지 바디(141)가 상기 삽입 홀(146)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부(142)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힌지 결합부(142)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전면 도어(30)의 직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However, in the drum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지지 바디(141)는,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 그 타단부가 상기 본체(10)를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된다. 5, the other end of the supporting
이와 같이, 상기 지지 바디(141)의 타단부가 상기 본체(10)를 향하여 경사지게 돌출되는 이유는 상기 본체(10)와 상기 지지 바디(141)의 타단부가 접촉되어 상기 통기틈(50)을 형성한 후, 사용자가 상기 전면 도어(30)에 외력을 더 가하여 상 기 도어래치 어셈블리(70)에 상기 후크부(60)를 잠금 상태로 전환할 경우 상기 지지 바디(141)에 의하여 잠금 상태로 전환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The other end of the
다시 말하면, 상기 지지 바디(141)의 타단부가 상기 본체(10)와 접촉된 상태 그대로는 더 이상 상기 전면 도어(30)의 타단부(47a)가 상기 본체(10)로 밀착되지 않게 되는 바, 상기 전면 도어(30)에 사용자에 의하여 외력이 제공되면 상기 지지 바디(141)가 회전하여 상기 삽입 홀(146)로 다시 복원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The other end portion 47a of the
이와 같은 상기 지지 바디(141)는, 상기 힌지 결합부(142)에 개재되어 일단부(143a)가 상기 삽입 홀(146)에 의하여 지지되고 타단부(143b)가 상기 지지 바디(141)의 타단부를 상기 힌지 결합부(142)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지지하는 제2지지 탄성부재(143)에 의하여 탄성지지된다. The supporting
여기서, 상기 제2지지 탄성부재(143)는 상기 힌지 결합부(142)에 개재된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Here, the second supporting
한편, 상기 토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상기 제2지지 탄성부재(143)는 그 일단부(143a)가 상기 삽입 홀(146)에 형성된 제1지지부(147a)에 지지되고 그 타단부(143b)가 상기 지지 바디(141)에 형성된 제2지지부(147b)에 지지된다. The second support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1) 의 구성 중 상기 지지 유닛(140)은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40) 및 다른 실시예(140)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지지 바디(141)가 접촉되는 상기 본체(10)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지 바디(141)는 상기 지지 바디(141)와 상기 본체(10)를 자석 결합시키는 마그네 트(145)를 더 포함한다. The supporting
또한, 상기 지지 바디(141)의 선단부에는 상기 지지 바디(141)와 상기 본체(10)의 접촉 시 소음발생을 방지하는 소음방지부(148)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소음방지부(148) 또한 상기 지지 바디(141)와 상기 본체(1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지지 바디(141)의 선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The
이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40)(140)에 의하여 제작되는 상기 지지 바디(41)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 유닛(40)은, 상기 전면 도어(30)의 내측단부에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에서, 도 6a 내지 도 6c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유닛(40)은, 상기 전면 도어(30)를 구성하는 상기 테두리부(33) 중 상기 이너 프레임(32)에 단수개가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이너 프레임(32)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6A to 6C, the supporting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설치 위치면에 있어서의 제1실시예로써, 도 6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유닛(40)은, 상기 투과부(35)의 중심(C)을 지나는 수직선(C1)의 상하에 해당되는 상기 테두리부(33) 중 상기 이너 프레임(32)에 상하 이격되게 2개가 설치될 수 있다.6A, the
그러나, 상기 지지 유닛(40)은 설치 위치면에 있어서의 제2실시예로써, 도 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투과부(35)의 중심을 지나는 상기 수직선(C1)과 상기 전면 도어(30)의 타단부(30a) 사이의 임의의 수직선(C2)상에 해당하는 상기 테두리부(33) 중 상기 이너 프레임(32)의 상하 어느 한 곳에 단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6B, the
그리고, 상기 지지 유닛(40)은 설치 위치면에 있어서의 제3실시예로써, 도 6c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임의의 수직선(C2)상에 해당하는 상기 테두리부(33) 중 상기 이너 프레임(32)의 상하에 이격되게 2개가 설치될 수 있다.6 (c), the supporting
여기서, 상기 임의의 수직선(C2)은 상기 전면 도어(30)의 타단부(30a)에 인접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arbitrary vertical line C2 is disposed adjacent to the
이처럼,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상기 제3실시예와 같이 상기 지지 유닛(40)의 설치 위치 및 설치 개수를 결정하는 요소는, 상기 전면 도어(30)의 일단부(30b)에 개재된 상기 도어 탄성부재(39)와 상기 지지 바디(41)를 지지하는 상기 제1지지 탄성부재(44)(또는 상기 제2지지 탄성부재(143))의 탄성력 및 상기 마그네트(45)의 자성력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lements for determin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the installation number of the
즉, 상기 도어 탄성부재(39)의 탄성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기 전면 도어(30)가 상기 출입부(23)를 폐쇄하는 방향의 힘이 상기 제1지지 탄성부재(44)의 탄성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기 본체(10)로부터 상기 전면 도어(30)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힘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전면 도어(30)가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되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지지 유닛(40)이 가지는 본연의 통기 기능을 확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 force gener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door
그리고, 상기 제1지지 탄성부재(44)의 탄성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기 본체(10)로부터 상기 전면 도어(30)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힘이 상기 도어 탄성부재(39)의 탄성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기 전면 도어(30)가 상기 출입부(23)를 폐쇄하는 방향의 힘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지지 유닛(40)이 가지는 본연의 통기 기능을 확보할 수 있으나, 상기 마그네트(45)의 자성력에 의한 접착력보다 상기 도어 탄성부재(39)의 탄성력에 의하여 발생되는 상기 전면 도어(30)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힘이 큰 경우에는 상기 전면 도어(30)와 상기 본체(10) 사이에 소정의 이격거리인 상기 통기틈(50)을 유지하고자 하는 애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게 된다. 상기 통기틈(50)을 유지시키는 이유는 상기 전면 도어(30)의 주변 물체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함은 이미 설명한 바 있다.A force for pushing th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지지 탄성부재(44)의 탄성력 및 상기 마그네트(45)의 자성력은 적어도 상기 도어 탄성부재(39)의 탄성력보다 큰 것으로 구비되어야 한다.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supporting
여기서, 상기 지지 유닛(40)이 상기 전면 도어(30)의 배면부에 2개소 구비되는 경우 당연히 상기 마그네트(45)의 자성력이 배가됨은 물론이다. It is needless to say that when the
한편, 상기 제1지지 탄성부재(44) 및 상기 마그네트(45)가 상기 전면 도어(30)의 배면부 중 어느 위치에 구비되느냐에 따라 상기 도어 탄성부재(39) 및 상기 제1지지 탄성부재(44)가 가져야 할 고유의 탄성력과 상기 마그네트(45)의 자성력이 결정되게 된다.The door
예를 들면, 도 6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유닛(40)이 상기 전면 도어(30)의 배면부 중 상기 투과부(35)의 중심 C를 지나가는 수직선(C1)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 탄성부재(39)와 상기 지지 유닛(40)이 가깝게 위치되는 바, 상기 마그네트(45)는 자성력이 비교적 큰 것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수직선(C1)의 상하에 이격되게 2개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6A, when the
한편, 도 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유닛(40)이 상기 전면 도어(30)의 배면부 중 상기 투과부(35)의 중심 C와 상기 전면 도어(30)의 타단부(30a) 사이에 위치된 임의의 수직선(C2) 상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 탄성부재(39)와 상기 지지 유닛(40)이 비교적 멀리 위치되는 바, 상기 마그네트(45)는 도 6a에 나타난 경우와는 달리 작은 탄성력을 가져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지지 유닛(40)은 상기 임의의 수직선(C2)상의 상하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도 좋다.6B, the
그러나 반드시 도 6b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유닛(40)이 상기 임의의 수직선(C2)상의 상하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것에 한정할 필요는 없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6c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임의의 수직선(C2)상의 상하 모두에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limit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작동과정을 전면 도어(30)에 의한 출입부(23)의 폐쇄 시와 전면 도어(30)에 의한 출입부(23)의 개방 시로 나누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전면 도어(30)에 의한 상기 출입부(23)의 폐쇄 시 사용자가 상기 출입부(23)를 폐쇄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면 도어(30)를 밀면 상기 전면 도어(30)의 타단부(30a)가 상기 전면 도어(30)의 일단부(30b)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출입부(23) 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지지 바디(41)는 상기 제1지지 탄성부재(44)에 의하여 상기 출입부(23) 측으로 돌출된 상태이고, 상기 전면 도어(30)가 계속적으로 이동되면 상기 지지 바디(41)의 선단부가 상기 출입부(23)의 일측과 접촉된다.4A, when the user pushes the
여기서, 사용자가 외력을 더 이상 가하지 않으면 상기 지지 바디(41)의 선단부에 배치된 상기 마그네트(45)가 상기 본체(10)에 접촉하여 상기 전면 도어(30)와 상기 본체(10) 사이에 소정의 이격거리인 상기 통기틈(50)을 형성/유지한 채 상기 전면 도어(30)를 상기 본체(10)에 자석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전면 도어(30)의 일단부(30b)인 상기 힌지 결합부(D)에 개재된 상기 도어 탄성부재(39)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전면 도어(30)가 전방으로 향하게 하는 힘이 상기 마그네트(45)의 접착력에 의한 힘보다 작으므로 상기 전면 도어(30)가 드럼세탁기(1)를 사용하지 않는 평상시에 상기 통기틈(50)을 계속적으로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If the user does not apply an external force any more, the
한편, 도 4a에 참조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세탁물을 상기 출입부(23)를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2)으로 투입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10)의 전면(20) 상부에 배치된 상기 버튼 조작부(90)를 조작하면, 상기 액추에이터(80)가 활성화되면서 상기 와이어(76)를 상부로 잡아당기고 이에 따라 각각 상기 조작 로드(74)와 상기 이동 로드(75) 및 상기 스토퍼부(73)가 함께 연동하면서 상기 걸림부(72)를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후크부(60)가 상기 걸림부(72)와의 걸림에서 해제되고, 상기 도어 탄성부재(39)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전면 도어(30)의 타단부(30a)가 상기 힌지 결합부(D)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약간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45)의 상기 본체(10)에 대한 접착력은 상기 도어 탄성부재(39)의 탄성력에 의한 상기 전면 도어(30)의 타단부(30a)가 전방으로 향하는 힘보다 크므로 상기 전면 도어(30)가 드럼세탁기(1)를 사용하지 않는 평상시에 상기 통기틈(50)을 계속적으로 유지시키게 되는 것이다.4A,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operation portion (not shown) disposed on the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세탁물을 상기 출입부(23)를 통하여 상기 내부 공간(2)으로 투입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전면 도어(30)의 임의의 한 부위를 잡고서 살짝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intends to put the laundry into the
한편, 상기 지지 유닛(4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활용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즉, 상기 지지 유닛(40)은 사용자가 세탁행정이 모두 완료된 후 상기 내부 공간(2)에서 세탁물을 회수하지 않는 동안에 자동적으로 상기 통기틈(50)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젖은 세탁물에 의하여 비교적 습기가 많은 상기 내부 공간(2)과 외부를 통기시키는데 활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와 같이 상기 지지 유닛(40)을 활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드럼세탁기(1)는,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하여 드럼세탁기(1)의 세탁행정(헹굼행정을 거쳐 탈수행정까지 모두 포함한 개념임)이 모두 완료되면, 사용자가 상기 버튼 조작부(90)를 수동으로 조작하지 않더라도 상기 액추에이터(80)를 활성화시켜 상기 도어래치 어셈블리(70)에 의하여 잠금된 상태인 상기 전면 도어(30)의 잠금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제어한다.In order to utilize the
그러면, 이후의 과정이 상술한 바와 같이 진행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전면 도어(30)와 상기 본체(10) 사이에 상기 통기틈(50)이 형성/유지될 것인 바, 여름철 상기 내부 공간(2)의 세균 번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a result, the above-described process proceeds as described above. As a result, the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의 구성 및 작동과정과 효과 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drum type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드럼세탁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um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구성 중 전면 도어를 잠금 또는 그 잠금을 해제시키는 도어래치 어셈블리를 나타낸 모식도이며,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door latch assembly for locking or unlocking the front door of the configuration of Fig. 1,
도 3은 도 1의 화살표 A방향의 평면도이고, 3 is a plan view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n Fig. 1,
도 4a와 도 4b 및 도 5는 도 1의 B-B선에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이며, 4A, 4B and 5 are partial cross-sectional views taken along line B-B of FIG. 1,
도 6a 내지 도 6c는 도 1의 구성 중 전면 도어의 배면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Figs. 6A to 6C are rear views of the back surface of the front door of Fig. 1;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1: 드럼세탁기 2: 내부 공간1: Drum washing machine 2: Interior space
10: 본체 20: 전면 10: main body 20: front
23: 출입부 30: 전면 도어 23: access door 30: front door
33: 테두리부 35: 투과부(포끼임 방지턱) 33: rim portion 35: transmitting portion (forbidden pin)
37: 힌지 로드 39: 도어 탄성부재 37: hinge rod 39: door elastic member
39': 39의 일단부 39": 39의 타단부 39 ': one end of 39 39': the other end of 39
39a,39b: 제1 및 제2지지부 40: 지지 유닛 39a, 39b: first and second supporting portions 40:
30a: 전면 도어의 일단부 30b: 전면 도어의 타단부30a: one end of the
41: 지지 바디 41a: 이탈방지턱41:
42: 마운트 프레임 43: 삽입 홀42: mount frame 43: insertion hole
44: 제1지지 탄성부재 45: 마그네트44: first support elastic member 45: magnet
41',45': 결합 홀 46: 소음방지부41 ', 45': coupling hole 46: noise prevention part
47: 체결단 50: 통기틈47: fastening end 50: ventilation gap
60: 후크부 70: 도어래치 어셈블리60: hook portion 70: door latch assembly
71: 도어래치 본체 72: 걸림부71: Door latch body 72:
73: 스토퍼부 74: 조작 로드73: stopper portion 74: operation rod
75: 이동 로드 76: 와이어75: moving rod 76: wire
80: 액추에이터 90: 버튼 조작부 80: actuator 90: button operation portion
Claims (20)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6531A KR101708679B1 (en) | 2009-09-14 | 2009-09-14 | Drum type washing machine |
US12/879,599 US9057151B2 (en) | 2009-09-14 | 2010-09-10 | Door assembly of a drum type washing machine |
EP10815665.4A EP2478144B1 (en) | 2009-09-14 | 2010-09-14 | Drum type washing machine |
PCT/KR2010/006275 WO2011031120A2 (en) | 2009-09-14 | 2010-09-14 | Drum type wash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6531A KR101708679B1 (en) | 2009-09-14 | 2009-09-14 | Drum type washing mach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8899A KR20110028899A (en) | 2011-03-22 |
KR101708679B1 true KR101708679B1 (en) | 2017-02-21 |
Family
ID=43934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86531A Active KR101708679B1 (en) | 2009-09-14 | 2009-09-14 | Drum type washing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0867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668123B2 (en) | 2020-03-03 | 2023-06-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ashing machin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16088B1 (en) * | 2015-03-02 | 2021-10-2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CN111519416B (en) | 2019-02-01 | 2023-05-30 | Lg电子株式会社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CN111519410B (en) | 2019-02-01 | 2022-09-27 | Lg电子株式会社 | Clothes treating device |
CN111519409B (en) | 2019-02-01 | 2022-09-09 | Lg电子株式会社 | Clothes treating device |
DE102020100945B4 (en) | 2019-02-01 | 2022-12-08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ment device |
CN111519408B (en) | 2019-02-01 | 2022-09-27 | Lg电子株式会社 | Clothes treating device |
CN111519412B (en) | 2019-02-01 | 2023-01-03 | Lg电子株式会社 | Clothes treating device |
CN111519411B (en) | 2019-02-01 | 2022-09-27 | Lg电子株式会社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CN111519407B (en) | 2019-02-01 | 2022-10-21 | Lg电子株式会社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KR102333379B1 (en) | 2019-02-01 | 2021-12-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CN111519406A (en) | 2019-02-01 | 2020-08-11 | Lg电子株式会社 | Clothes treating device |
KR20210076384A (en) * | 2019-12-16 | 2021-06-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Washing machine |
CN113152039B (en) * | 2021-03-25 | 2025-03-11 | 江苏康佳智能电器有限公司 | Washing machine door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633901B2 (en) * | 2000-09-11 | 2011-02-16 |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 Damper device |
KR100924589B1 (en) * | 2002-11-28 | 2009-11-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oor Hook Assembly of Drum Washing Machine |
KR20090028039A (en) * | 2007-09-13 | 2009-03-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rum washing machine |
-
2009
- 2009-09-14 KR KR1020090086531A patent/KR101708679B1/en active Active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668123B2 (en) | 2020-03-03 | 2023-06-0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ashing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8899A (en) | 2011-03-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8679B1 (en) | Drum type washing machine | |
US9057151B2 (en) | Door assembly of a drum type washing machine | |
KR101567825B1 (en) | washing machine | |
US9957656B2 (en) | Washing machine | |
US8959960B2 (en) | Appliance door prop mechanism | |
USRE49611E1 (en) | Washing machine | |
KR102145738B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101031124B1 (en) | Laundry treatment unit | |
US8733863B2 (en) | Washing machine | |
CN107532365A (en) | Washing machine | |
KR101443636B1 (en) | Door of drum type washing machine | |
AU2003235779B2 (en) | A door assembly and a washing machine and a dryer using the same | |
KR101187069B1 (en) | door assembly | |
CN104905748B (en) | Dish cleaning machine | |
KR101645192B1 (en) | Drum type washing machine | |
KR101631440B1 (en) | Washing machine | |
KR102304186B1 (en) | Laundry machine | |
CA2358976C (en) | Dishwasher | |
KR101252166B1 (en) | Door of drum washing machine | |
KR101661977B1 (en) | Washing machine | |
KR102790967B1 (en) | Open locking apparatus of door for laundary treating apparatus | |
KR101141640B1 (en) | door-latching apparatus of dishwasher | |
US20190226254A1 (en) | Apparatus for processing laundry | |
KR101940244B1 (en) | Laundry treatment machine | |
KR101730421B1 (en) | Wash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1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9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9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9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