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06068B1 -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6068B1
KR101706068B1 KR1020090007498A KR20090007498A KR101706068B1 KR 101706068 B1 KR101706068 B1 KR 101706068B1 KR 1020090007498 A KR1020090007498 A KR 1020090007498A KR 20090007498 A KR20090007498 A KR 20090007498A KR 101706068 B1 KR101706068 B1 KR 1017060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ayer
semiconductor
semiconductor integrated
fil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4749A (ko
Inventor
히데카주 타카하시
요헤이 몬마
다이키 야마다
타카히로 이구치
카주오 니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090084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0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06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7/30Coatings
    • H10F77/306Coatings f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F77/331Coatings f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for filtering or shielding light, e.g. multicolour filters for photodetec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element covered by group H10F30/00, e.g. radiation detectors comprising photodiode arrays
    • H10F39/80Constructional details of image sensors
    • H10F39/805Coatings
    • H10F39/8053Colour filt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7/93Interconnections
    • H10F77/933Interconnections f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10F77/935Interconnections f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for photovoltaic devices or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5/03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 H01L25/04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 H01L25/06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10D89/00
    • H01L25/0655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all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a single subclass of subclasses H10B, H10F, H10H, H10K or H10N, e.g. assemblies of rectifier diodes the devices not having separate containers the devices being of a type provided for in group H10D89/00 the devices being arranged next to each o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3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element covered by group H10F30/00, e.g. radiation detectors comprising photodiode arrays
    • H10F39/10Integrated devices
    • H10F39/12Image sensors
    • H10F39/18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CMOS] image sensors; Photodiode array image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스트레스에 의한 균열, 금, 깨짐 등, 외관상의 불량이 저감된 반도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의 하나로 한다. 또한, 박형화된 반도체 장치의 제작 수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의 하나로 한다.
인터포저 위에 실장된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를 가진다.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는 각각 광전 변환 소자와, 측면에 단차(段差)를 가지고, 폭 치수는 단차보다 한 쪽의 면을 향하는 앞의 부분이 작은 투광성 기판과, 투광성 기판의 한 쪽의 면에 형성된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층과, 투광성 기판의 다른 쪽의 면 및 측면의 일부를 덮는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을 포함한다.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에 있어서,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의 색깔이 상이하다.
반도체 장치, 센서, 광전 변환 소자, 수지, 유채색

Description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광전 변환 소자를 가지는 반도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센서에 있어서, 파장 400nm 내지 700nm의 가시광선 영역에 감도를 가지는 센서는, 광 센서 또는 가시광 센서라고 불리고 있다. 광 센서 또는 가시광 센서는 광 신호를 검지하여 정보를 판독하는 용도, 주변 환경의 밝기를 검지하여 전자 기기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용도 등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나 텔레비전 장치에서는 표시화면의 밝기를 그것이 놓인 주변 환경의 밝기에 따라, 조절하기 위하여 광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광 센서 또는 가시광 센서를 예로 하는 반도체 장치는, 유리나 웨이퍼 등의 기판 위에 트랜지스터를 형성하고, 그 다음에 기판을 절단(분단)함으로써, 형성된다.
기판의 분단은, 많은 경우에 있어서, 우선, 스크라이브 장치를 사용하여, 기판의 표면에 홈(스크라이브 라인이라고도 함)을 형성한다. 다음에, 커팅(cutting) 장치를 사용하여 홈을 따라, 강제적으로 분단한다. 또한, 레이저 빔을 사용한 기판의 분단은, 우선, 기판에 레이저 빔을 선택적으로 조사하여, 국소적으로 기판을 가열한다. 다음에, 가열한 기판의 표면을 냉매(冷媒)에 의하여 국소적으로 냉각한다. 이어서, 기판에 발생하는 열 응력을 이용하여 균열을 형성함으로써, 기판을 분단시킨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64029호 공보
그러나, 반도체 장치의 제작 공정, 또는 검사 공정에 있어서, 가해지는 압력 등의 외부 스트레스에 의하여, 반도체 장치가 파손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균열, 금, 깨짐 등의 파손은, 기판이 얇아짐으로써 강도가 낮아짐에 따라, 발생 빈도가 많아진다.
또한, 스크라이브 장치는 다이서 등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이와 같은 다이서 등의 날(다이싱 블레이드: dicing blade)은, 복수 횟수 사용하면 마모되므로 교환할 필요가 있었다. 다이싱 블레이드는 고가이므로 제작 비용의 삭감이 어려웠다.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외부 스트레스에 의한 균열, 금, 깨짐 등의 반도체 집적 회로 및 반도체 장치의 파손을 저감시키는 것을 과제의 하나로 한다. 반도체 집적 회로가 형성되는 기판은 얇게 하는 것을 과제의 하나로 한다. 또한, 박형화된 반도체 장치의 제작 수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의 하나로 한다. 또한, 박형화된 반도체 장치의 제작 비용을 저감시키는 것을 과제의 하나로 한다.
대면적 기판을 반도체 소자마다 분단함으로써,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를 칩 형으로 추출한다. 반도체 집적 회로는, 광전 변환 소자 및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를 포함하고, 칩 형의 반도체 집적 회로는, 인터포저에 실장된다. 인터포저에 실장되는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각각이 포함 하는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의 색깔이 상이한 반도체 집적 회로를 인터포저에 실장하여, 컬러 센서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반도체 집적 회로를 복수 색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의 투광성 수지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와, 녹색의 투광성 수지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와, 청색의 투광성 수지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를 인터포저에 실장하여, 적색(R), 녹색(G), 청색(B) 삼색의 광을 검출하는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인터포저에 실장할 때, 반도체 집적 회로에 검사 공정을 행하고, 우량품만을 선별하여 인터포저에 실장할 수 있으므로, 제작 공정에 있어서, 반도체 장치의 수율이 향상된다. 특히, 반도체 집적 회로에 증폭 회로 등, 복잡한 구성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층을 가지는 구성의 경우, 칩 형의 반도체 집적 회로에 불량이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인터포저에 실장하기 전에 반도체 집적 회로의 불량 검사를 행할 수 있는 것은 유익하다. 또한, 우량품 중에서도 고품질의 반도체 집적 회로를 선별하여 인터포저에 실장함으로써, 보다 고품질의 반도체 장치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는, 투광성 기판의 반도체 소자층의 형성 면과 반대 측의 일면 및 단부(측면)의 일부를 적어도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으로 덮는 구성이다. 따라서, 투광성 수지층이 제작 공정, 또는 검사 공정에 있어서 가해지는 압력 등의 외부 스트레스로부터의 충격 흡수층으로서도 기능함 으로, 반도체 집적 회로의 상처, 크랙(crack) 등의 불량을 저감하여, 신뢰성이 높은 반도체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반도체 집적 회로의 분단 방법에 있어서, 우선, 투광성 기판의 두께를 얇게 가공하고, 분단에 걸리는 공정 시간의 단축, 및 분단에 사용되는 다이서 등의 가공 수단의 마모를 경감한다. 또한, 분단 공정은, 한꺼번에 행하지 않고, 우선, 투광성 기판에 반도체 소자층을 분단하기 위한 홈을 형성하고, 홈이 형성된 투광성 기판 위에 투광성 수지층을 형성한다. 그 후, 투광성 수지층 및 투광성 기판을 홈에 있어서 절단하고,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로 분단(분할)한다. 투광성 수지층은 적어도 컬러 필터로서 기능하는 유채색의 착색층이며, 그 위에 또한, 충격 흡수층으로서 투명한 투광성 수지층을 적층하여도 좋다.
유채색은, 흑색, 회색, 백색 등의 무채색을 제외한 색깔이고, 착색층은, 컬러 필터로서 기능시키므로 그 착색된 유채색의 광만을 투과하는 재료로 형성된다. 유채색으로서는, 적색, 녹색, 청색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황색)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는, 인터포저에 땜납이나 이방성 도전층에 의하여 실장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집적 회로와 인터포저 사이에 수지를 형성하여 고착시키면, 고착 강도가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반도체 장치의 일 형태는, 인터포저 위에 실장된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를 가진다.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는 각각, 광전 변환 소자와, 측면에 단차를 가지고, 폭 치수는 단차보다 한 쪽의 면을 향하는 앞 의 부분이 작은 투광성 기판과, 투광성 기판의 한 쪽의 면에 형성된 반도체 소자층과, 투광성 기판의 다른 쪽의 면 및 측면의 일부를 덮는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을 포함한다.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에 있어서,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의 색깔이 상이하다. 따라서, 투광성 기판의 단면은, 철(凸)자 형상(거꾸로 된 T자 블록 형상)이라고도 한다. 단차보다 앞의 부분이란, 투광성 기판에 있어서, 반도체 소자층의 형성면을 밑으로 한 경우의 상부 방향에 있는 부분이다.
투광성 기판의 단면이 철자 형상이면, 철자 형상에 있어서, 투광성 기판 단부의 노치부를 메우도록, 투광성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반도체 장치의 일 형태는, 인터포저 위에 실장된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를 가진다.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는 각각, 광전 변환 소자와, 한 쪽의 면을 상저(上底)면으로 하는 단면에 있어서, 측면이 상단의 두께가 하단의 두께보다 두꺼운 계단 상태의 사다리꼴인 투광성 기판과, 투광성 기판의 한 쪽의 면에 형성된 반도체 소자층과, 투광성 기판의 다른 쪽의 면 및 측면의 일부를 덮는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을 포함한다.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에 있어서,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의 색깔이 상이하다. 홈의 형상에 따라서는, 사다리꼴의 상단은 하단을 향하여 만곡하는 형상이 된다.
투광성 기판의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사다리꼴의 상단은 하단을 향하여 만곡하는 향상이면, 만곡부에 형성되는 투광성 수지층의 피복성이 좋다.
투광성 기판과 접하는 투광성 수지층을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으로 하고, 투광성 수지층 위에 한층 더 투광성 수지층을 형성하면, 보호층으로서 기능하고, 충격 흡수층도 향상시키고,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의 열화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충격 흡수층으로서 기능하는 투광성 수지층의 막 두께는 착색층으로서 기능하는 투광성 수지층보다 두꺼워도 좋다. 충격 흡수층으로서 기능하는 투광성 수지층은, 막 두께를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보다 충격 흡수층으로서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은, 착색층(컬러 필터)으로서 기능시키므로 포함시키는 착색 재료의 농도와 빛의 투과율의 관계에 고려하여 최적인 막 두께를 적절히 제어하면 좋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반도체 장치의 일 형태는, 투광성 수지층이 접하는 투광성 기판의 측면은, 바닥을 향해 퍼지는 곡면을 가진다. 투광성 기판의 측면이 바닥을 향해 퍼지는 곡면을 가지므로, 그 곡면에 투광성 수지층을 덮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투광성 기판의 하저면 및 상저면은, 사각형이고, 하저면의 면적 쪽이 상저면의 면적보다 크다. 본 명세서의 반도체 장치의 투광성 기판에 있어서는, 투광성 수지층과 접하는 면을 상저면이라고 부르고, 반도체 소자층이 형성되는 면을 하저면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투광성 기판에 있어서, 하저면의 면적 쪽이 상저면의 면적보다 크면, 하저면과 상저면이 중첩하지 않는 영역의 측면에 투광성 기판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투광성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반도체 장치는, 복잡한 형상이므로, 반도체 장치의 천지의 판별이 용이하여, 기계에 의한 자동 조작에 있어서도, 오인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집적 회로에 있어서, 반도체 소자층에 광전 변환 소자의 출력 을 증폭하는 증폭 회로를 가지고, 광전 변환 소자는 p형 반도체층과, i형 반도체층과, n형 반도체층이 적층된 구조를 포함하는 구조라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i형 반도체란, 상기 반도체에 포함되는 p형 또는 n형을 부여하는 불순물이 1×1020cm-3 이하의 농도이며, 산소 및 질소가 1×1020cm-3 이하의 농도이고, 암(暗) 전도도에 대하여 광 전도도가 100배 이상인 반도체를 가리킨다. 이 i형 반도체에는, 주기율표 제 13족 또는 제 15족의 불순물 원소가 포함되는 것을 포함하다. 즉, i형 반도체는, 가전자(價電子) 제어를 목적으로 한 불순물 원소를 의도적으로 첨가하지 않을 때 약한 n형의 전기 도전성을 나타내므로, i형 반도체에 있어서는 p형을 부여하는 불순물 원소를 성막과 동시에 또는 성막한 후에, 의도적으로 또는 의도적이지 않게 첨가된 것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의 일 형태에 있어서, 제 1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 및 제 1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제 1 반도체 집적 회로를 제 1 투광성 기판으로부터 절단하고, 제 2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 및 제 2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제 1 반도체 집적 회로를 제 2 투광성 기판으로부터 절단하고, 제 3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 및 제 3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제 3 반도체 집적 회로를 제 3 투광성 기판으로부터 절단한다. 제 1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 및 제 1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제 1 반도체 집적 회로와, 제 2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 및 제 2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제 2 반도체 집적 회로와, 제 3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 및 제 3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제 3 반도체 집적 회로를 인터포저 위에 실장한다. 제 1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과, 제 2 유채색의 투 광성 수지층과, 제 3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과는 상이한 착색 재료를 포함시켜 형성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인터포저에 실장하기 전에, 제 1 반도체 집적 회로, 제 2 반도체 집적 회로, 및 제 3 반도체 집적 회로에 검사 공정을 실시하여도 좋다. 검사 공정을 행함으로써 우량품을 선택하여 인터포저에 실장함으로써 반도체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 1 반도체 집적 회로, 제 2 반도체 집적 회로, 및 제 3 반도체 집적 회로는 각각, 제 1 투광성 기판, 제 2 투광성 기판, 또는 제 3 투광성 기판 위에 복수의 반도체 소자층을 형성한다. 제 1 투광성 기판, 제 2 투광성 기판, 또는 제 3 투광성 기판의 두께를 얇게 한다. 제 1 투광성 기판, 제 2 투광성 기판, 또는 제 3 투광성 기판 위의 복수의 반도체 소자층들 사이에 홈을 형성한다. 홈이 형성된 제 1 투광성 기판, 제 2 투광성 기판, 또는 제 3 투광성 기판 위에 제 1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 제 2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 또는 제 3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을 형성한다. 제 1 투광성 기판, 제 2 투광성 기판, 또는 제 3 투광성 기판의 홈, 및 제 1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 제 2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 또는 제 3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을 절단하여 형성한다.
홈이 형성된 투광성 기판 및 투광성 수지층을 절단할 때에, 투광성 기판에 얼라인먼트의 위치 조정의 마커를 형성하는 경우는, 투광성 기판 측보다 다이서 등의 절단 수단을 사용하여 절단하면, 절단 개소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홈을 형성하는 공정, 투광성 기판을 분단하는 공정에서는, 모두 절삭(切削) 공구로서 다이서, 스크라이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다이서를 사용한다. 다이서로 홈을 형성하는 공정, 및 투광성 기판 및 반도체 소자층을 분단하는 공정은 다이싱 블레이드(dicing blade)를 사용하지만, 홈을 형성하는 공정의 다이싱 블레이드는, 분단하는 공정의 다이싱 블레이드보다, 칼날의 두께가 두꺼운 것을 사용한다. 즉, 각각의 절삭 자국을 비교하였을 때, 홈을 형성하는 공정 쪽이 넓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말하는 절삭 자국이란, 홈의 경우는 홈의 폭, 분단하는 공정의 경우는 분단 전후로 투광성 기판의 위치를 고정하였을 때에 소자간에서 투광성 기판 부재가 소실한 영역의 폭(절단면의 폭이라고도 함)을 의미한다.
투광성 기판을 연마하고, 두께를 작게 하는 공정은, 유리 연마기, 유리 연삭기 등을 적합하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연마하는 공정에 의하여 다이싱 블레이드의 소모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투광성 수지층을 형성함으로써, 두께가 얇은 투광성 기판을 핸들링할 때, 및 분단하는 공정에서, 원하는 소자에 크랙이 생기는 것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분단 후의 칩 형의 반도체 집적 회로를 취급할 때, 반도체 집적 회로끼리가 충돌한 경우의, 상처, 크랙을 저감하여, 반도체 장치의 외관 검사에 있어서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분단 후의 투광성 기판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반도체 집적 회로가 탑재되는 반도체 장치의 사이즈를 박형화할 수 있다.
절삭 자국의 폭은, 홈을 형성하는 공정 쪽이 분단하는 공정 쪽보다 넓기 때문에, 분단하는 공정으로 투광성 기판을 분단할 때, 수지층을 투광성 기판의 단면에 남길 수 있다. 즉, 홈이 형성된 투광성 기판 측면의 영역에는 수지층이 형성된 다. 한편, 반도체 소자층의 형성면, 및 분단하는 공정에서 다이싱 블레이드를 사용한 경우에, 투광성 기판이 다이싱 블레이드에 접촉한 영역에는 수지층은 피복되지 않는다.
투광성 기판에 형성된 반도체 소자층 측과는 반대의 면, 및 투광성 기판 측면의 일 영역을 수지로 피복함으로써, 상처, 크랙의 발생을 저감하여, 반도체 장치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박형이라도 취급하기 쉽고, 신뢰성이 높은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투광성 기판을 분단하기 전에, 투광성 기판의 두께를 작게 하여, 분단 공정을 2단계로 행함으로써, 투광성 기판을 분단 가공할 때의 절삭 공구의 소모를 저감할 수 있다. 투광성 기판의 대형화, 분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소형화에 따라, 절삭 공구의 처리 영역은 증가하므로, 한층 더 절삭 공구의 소모는 커진다. 따라서, 절삭 공구의 소모를 저감할 수 있는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발명은, 대면적 기판, 보다 소형인 반도체 집적 회로에 있어서, 특히 유익하다. 이에 따라 반도체 장치를 보다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투광성 기판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반도체 장치의 사이즈를 박형화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발명은 이하의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취지 및 그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형태 및 상세한 사항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하기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정하여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구성에 있어서, 동일 부분 또는 같은 기능을 가지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다른 도면간에서 공통으로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에서는, 보다 박형화, 및 소형화를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반도체 장치, 및 그 반도체 장치를 수율 좋게 제작하는 방법을, 도 1a 내지 8b를 사용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 본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다. 도 1a는 반도체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있어서 선 Y-Z의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의 반도체 장치는, 반도체 집적 회로(112R), 반도체 집적 회로(112G), 반도체 집적 회로(112B)를 인터포저(160)에 실장되어 가지는 구조이다. 반도체 집적 회로(112R), 반도체 집적 회로(112G), 반도체 집적 회로(112B)에는 외부와의 전기적 접속을 행하기 위한 도전층인 단자 전극(115R1, 115R2, 115G1, 115G2, 115B1, 115B2)이 형성된다.
반도체 집적 회로(112R), 반도체 집적 회로(112G), 반도체 집적 회로(112B)는, 각각의 단자 전극과 인터포저(160)에 형성된 전극(161a1, 161a2, 161b1, 161b2, 161c1, 161c2)과 이방성 도전층(162)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인터포저(160)는 도 1a 및 도 1b의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면과 이면을 관통 하는 개구를 가지고, 전극(161a1과 161a2, 161b1과 161b2, 161c1과 161c2)은 개구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접한다. 따라서, 전극(161a2, 161b2, 161c2)은 반도체 집적 회로(112R), 반도체 집적 회로(112G), 반도체 집적 회로 (112B)의 전극으로서 다른 기판에 실장할 수 있다.
반도체 집적 회로(112R), 반도체 집적 회로(112G), 반도체 집적 회로(112B)는, 각각 투광성 기판(109R, 109G, 109B),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층(101R, 101G, 101B), 및 컬러 필터로서 기능하는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114R, 114G, 114B)을 가지고, 컬러 센서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도체 집적 회로(112R)는 적색의 투광성 수지층(114R), 반도체 집적 회로(112G)는 녹색의 투광성 수지층(114G), 반도체 집적 회로(112B)는 청색의 투광성 수지층(114B)을 각각 가지고, 각각의 투광성 수지층(114R, 114G, 114B)에 착색된 색깔의 빛을 투과하여, 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집적 회로(112R), 반도체 집적 회로(112G), 반도체 집적 회로(112B)를 포함하는 본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는, 3종류의 색깔(적색, 녹색, 청색)의 광을 각각에 검지할 수 있는 반도체 장치이다.
또한, 반도체 집적 회로(112R), 반도체 집적 회로(112G), 반도체 집적 회로(112B)는, 투광성 기판(109R, 109G, 109B)의 반도체 소자층(101R, 101G, 101B)의 형성면과 반대 측의 일면, 및 단부(측면)의 일부를 적어도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114R, 114G, 114B)으로 덮는 구성이다. 따라서, 투광성 수지층(114R, 114G, 114B)이 제작 공정, 또는 검사 공정에 있어서, 가해지는 압력 등의 외부 스트레스로부터의 충격 흡수층으로서도 기능하므로, 반도체 집적 회로(112R, 112G, 112B)의 상처, 트랙 등의 불량을 저감하여, 신뢰성이 높은 반도체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유채색은, 흑색, 회색, 백색 등의 무채색을 제외한 색깔이고, 착색층은, 컬러 필터로서 기능시키므로 그 착색된 유채색의 빛만을 투과하는 재료로 형성된다. 유채색으로서는, 적색, 녹색, 청색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시안, 마젠타, 옐로우(황색) 등을 사용하여도 좋다.
투광성 수지층(114R, 114G, 114B)은, 적어도 컬러 필터로서 기능하는 유채색의 착색층이며, 그 위에 또 충격 흡수층으로서 투명한 투광성 수지층을 적층하여도 좋다. 도 1a 및 도 1b의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투광성 수지층을 적층하는 예를 도 2a 및 도 2b와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한다. 도 2a, 도 18a는, 반도체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있어서의 선 Y-Z의 단면도, 도 18b는 도 18a에 있어서의 선 Y-Z의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의 반도체 장치는, 투명한 투광성 수지층(110R, 110G, 110B)이 각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114R, 114G, 114B) 위에 적층되는 반도체 집적 회로(112R, 112G, 112B)를 인터포저(160)에 실장하는 예이다. 투광성 기판에 접하여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114R, 114G, 114B)이 형성되어,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114R, 114G, 114B) 위에 각각 투명한 투광성 수지층(110R, 110G, 110B)이 적층된다.
한편, 도 18a 및 도 18b의 반도체 장치는, 인터포저(160)에 반도체 집적 회로(112R, 112G, 112B)를 실장한 후, 반도체 집적 회로(112R, 112G, 112B) 위를 덮도록,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114R, 114G, 114B) 위에 투명한 투광성 수지층(110) 을 형성하는 예이다. 반도체 집적 회로(112R, 112G, 112B)를 인터포저(160)에 실장한 후에 투명한 투광성 수지층(110)을 형성하므로, 도 18a 및 도 18b에 있어서는, 투명한 투광성 수지층(110)은 반도체 집적 회로(112R, 112G, 112B) 측면 및 인터포저(160)와의 접속부도 연속적으로 덮는 형상으로 할 수가 있다.
투명한 투광성 수지층(110, 110R, 110G, 110B)은, 보호층으로서 기능하고, 충격 흡수성도 향상시키고,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114R, 114G, 114B)의 열화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투광성 수지층의 막 두께는, 1㎛ 내지 20㎛로 하면 좋다. 투광성 수지층을 적층하는 경우, 충격 흡수층으로서 기능하는 투명한 투광성 수지층(110, 110R, 110G, 110B)의 막 두께와, 착색층으로서 기능하는 투광성 수지층(114R, 114G, 114B)의 막 두께는, 같은 정도(예를 들어, 막 두께 1.2㎛)라도 좋고, 상이하여도 좋다.
또한, 충격 흡수층으로서 기능하는 투명한 투광성 수지층(110, 110R, 110G, 110B)의 막 두께는, 착색층으로서 기능하는 투광성 수지층(114R, 114G, 114B)보다 두꺼워도 좋다. 충격 흡수층으로서 기능하는 투명한 투광성 수지층(110, 110R, 110G, 110B)은 막 두께를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보다 충격 흡수층으로서 내충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114R, 114G, 114B)은, 착색층(컬러 필터)으로서 기능시키므로, 포함하게 하는 착색 재료의 농도와 빛의 투과율의 관계에 고려하여 최적인 막 두께를 적절히 제어하면 좋다.
예를 들어, 충격 흡수층으로서 기능하는 투명한 투광성 수지층(110, 110R, 110G, 110B)의 막 두께를, 착색층으로서 기능하는 투광성 수지층(114R, 114G, 114B)보다 두껍게 하는 경우, 예로서 충격 흡수층으로서 기능하는 투명한 투광성 수지층(110R, 110G, 110B)의 막 두께를 5㎛ 이상 10㎛ 이하로 하고, 착색층으로서 기능하는 투광성 수지층(114R, 114G, 114B)의 막 두께를 0.1㎛ 이상 1㎛ 이하로 하면 좋다.
투광성 기판(109R, 109G, 109B)의 측면에 단차를 가지고, 투광성 기판(109R, 109G, 109B)의 폭 치수는, 단차보다 앞의 부분이 작다. 따라서, 투광성 기판(109R, 109G, 109B)의 단면은 철자 형상(거꾸로 된 T자 블록 형상)이라고도 한다. 단차보다 앞의 부분이란, 투광성 기판(109R, 109G, 109B)에 있어서, 반도체 소자층(101R, 101G, 101B)의 형성면을 밑으로 한 경우의 상부 방향에 있는 부분이다.
투광성 기판의 단면이 철자 형상이면, 철자 형상에 있어서, 투광성 기판 단부의 노치부를 메우도록, 투광성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반도체 집적 회로에 있어서는, 투광성 수지층이 접하는 투광성 기판의 측면은, 바닥을 향해 퍼지는 곡면을 가진다. 투광성 기판의 측면이 바닥을 향해 퍼지는 곡면을 가지므로, 그 곡면에 투광성 수지층을 덮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투광성 기판의 하저면 및 상저면은, 사각형이고, 하저면의 면적 쪽이 상저면의 면적보다 크다. 투광성 기판에 있어서, 하저면의 면적 쪽이 상저면의 면적보다 크면, 하저면과 상저면이 중첩하지 않는 영역의 측면에 투광성 기판 주위를 둘러싸도록 투광성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대면적인 투광성 기판을 반도체 소자층마다 분단함으로써,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를 칩 형으로 절단한다. 분단 공정에 있어서, 우선, 기판의 두께를 얇게 가공하여, 분단에 걸리는 공정 시간의 단축, 및 분단에 사용하는 다이서 등의 기공 수단의 마모를 경감한다. 또한, 분단 공정은, 한꺼번에 행하지 않고, 우선, 투광성 기판에 반도체 소자층을 분단하기 위한 홈을 형성하고, 홈이 형성된 투광성 기판 위에 투광성 수지층의 적층을 형성한다. 그 후, 투광성 수지층 및 투광성 기판을 홈에 있어서, 절단하고,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로 분단(분할)한다.
투광성 기판(109)은, 단면에 있어서 측면이 계단 상태의 사다리꼴이며, 계단 상태의 사다리꼴은 상단의 두께가 하단의 두께보다 두껍다. 홈의 형상에 따라서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다리꼴의 상단은 하단을 향하여 만곡하는 형상이다.
투광성 기판의 사다리꼴의 단면 형상에 있어서, 사다리꼴의 상단이 하단을 향하여 만곡하는 형상이면, 만곡부에 형성되는 투광성 수지층의 피복성이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는, 복잡한 형상이므로, 반도체 집적 회로의 천지의 판별이 용이하여, 기계에 의한 자동 조작에 있어서도, 오인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도 17에 블랙 매트릭스로서 기능하는 차광층을 가지는 반도체 장치를 도시한다. 도 17의 반도체 장치(117R, 117G, 117B)는 컬러 필터로서 기능하는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114R, 114G, 114B) 위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차광층(116R, 116G, 116B)을 가진다. 차광 층(116R, 116G, 116B)은 스핀코팅법 등의 도포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고, 그 이외의 액적 토출법, 인쇄법, 디핑법, 디스펜서법, 브러쉬 페인팅(brush painting)법, 스프레이법, 플로 코팅법 등에 의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인쇄법을 사용하면, 차광층을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한 원하는 형상으로의 가공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차광층(116R, 116G, 116B)은, 반도체 소자층(101R, 101G, 101B)의 광전 변환 소자가 형성되는 영역에 대하여, 개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차광층(116R, 116G, 116B)은 블랙 매트릭스로서 기능하여, 광전 변환 소자에 외부로부터의 부적절한 빛이 조사되어,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빛을 차단한다. 따라서, 차광층(116R, 116G, 116B)의 개구로부터 입사하고, 컬러 필터로서 기능하는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114R, 114G, 114B)을 투과한 빛만을 광전 변환 소자는 수광(受光)할 수 있으므로, 반도체 장치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반도체 소자층에 형성되는 반도체 소자에 빛이 조사되면, 특성 변동이 생길 우려가 있지만, 차광층을 형성함으로써 그와 같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3a에 투광성 기판(100) 위에 형성된 광전 변환 소자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층(101a, 101b, 101c)을 도시한다. 반도체 소자층(101a, 101b, 101c)은 각각 단자 전극(115a1, 115a2, 115b1, 115b2, 115c1, 115c2)을 가진다.
다음에, 투광성 기판(100)의 두께를 연삭, 연마 처리에 의하여 얇게 하는 공 정을 행한다. 공정시의 투광성 기판(100)을 고정하는 고정 테이프(103)에 반도체 소자층(101a, 101b, 101c) 측을 향하여 투광성 기판(100)을 고정하고, 투광성 기판(100)을 가공하여 두께가 얇은 투광성 기판(102)으로 한다(도 3b 참조). 투광성 기판(100)이 두께 0.5mm의 유리 기판이면, 투광성 기판(102)은 0.25mm 내지 0.3mm 정도로 박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광성 기판의 두께를 얇게 가공함으로써, 투광성 기판의 분단에 걸리는 시간의 단축, 및 분단에 사용하는 다이서 등 가공 수단의 마모를 경감할 수 있다. 연삭 처리 및 연마 처리는, 적합하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연삭기에 의하여 연삭한 후, 연마기에 의하여 연마 처리로 표면을 평탄화한다. 연마 처리로서 화학적 기계 연마를 행하여도 좋다.
투광성 기판을 분단함으로써,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를 칩 형으로 추출한다. 분단 공정은, 한꺼번에 행하지 않고, 우선, 투광성 기판(102)에 반도체 소자층(101a, 101b, 101c)을 분단하기 위한 홈(106a, 106b, 106c, 106d)을 다이서(104)의 다이싱 블레이드로 형성한다(도 3c 참조). 투광성 기판(105)의 홈(106a, 106b, 106c, 106d)에 있어서, 투광성 기판(105)은 의도적으로 잔존시킨다. 잔존시키는 투광성 기판(105)의 두께는, 30㎛ 내지 100㎛(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정도로 하면 좋다.
다음에, 홈(106a, 106b, 106c, 106d)이 형성된 투광성 기판(105) 위에 투광성 수지층(107)을 적층을 형성한다(도 3d 참조). 투광성 수지층(113, 107)의 재료는 투광성 수지층을 형성한 후의 공정에 있어서(예를 들어, 인터포저에 실장시), 가열 처리를 사용하는 경우는, 그 가열 온도에 견딜 수 있는 수지 재료를 사용한 다. 적층하여 형성되는 투광성 수지층의 한 쪽은, 컬러 필터로서 기능하는 유채색의 착색층이며, 다른 쪽은, 충격 흡수층으로서 기능하는 수지층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광성 수지층(113)을 유채색의 착색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한다.
충격 흡수층으로서 기능하는 투광성 수지층(107)을 형성하면, 반도체 집적 회로 및 반도체 장치에, 더욱 내(耐) 스트레스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투광성 수지층이 형성된 반도체 집적 회로에 있어서는, 약 20N의 압력을 가하여도 파손되지 않으며 견딜 수 있다.
투광성 수지층으로서는, 비닐 수지, 에폭시수지, 페놀수지, 노볼락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우레탄수지, 실록산 수지 등의 수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수지층의 제작 방법은, 스핀코팅법 등의 도포법을 사용할 수 있고, 그 이외에 액적 토출법, 인쇄법, 디핑법, 디스펜서법, 브러쉬 페인팅(brush painting)법, 스프레이법, 플로 코팅법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 후, 투광성 수지층(113, 107) 및 투광성 기판(105)을 홈(106a, 106b, 106c, 106d)에 있어서 절단하여,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로 분단(분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광성 기판(105) 및 투광성 수지층(113, 107)을 고정 테이프(111)에 고정하여 투광성 기판(105) 측보다 홈(106a, 106b, 106c, 106d)에 잔존하는 투광성 기판(105) 및 투광성 수지층(113, 107)을 다이서(108)에 의하여 절단한다. 다이서(108)에 의하여 투광성 기판(105) 및 투광성 수지층(113, 107)은 분할되고, 투광성 기판(109a, 109b, 109c), 투광성 수지층(114a, 114b, 114c, 110a, 110b, 110c)이 된다(도 3e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 테이프(103, 111)로서 다이싱 테이프를 사용한다.
홈이 형성된 투광성 기판(105) 및 투광성 수지층(113, 107)을 절단할 때는, 투광성 기판(105) 측으로부터라도 투광성 수지층(113, 107) 측으로부터라도 절단할 수 있다. 투광성 기판(105)에 얼라인먼트의 위치 조정의 마커를 형성하는 경우는, 투광성 기판(105) 측보다 다이서 등의 절단 수단을 사용하여 절단하면, 절단 개소의 정확성을 높게 할 수 있다.
상술한 공정으로 반도체 집적 회로(112a, 112b, 112c)를 형성할 수 있다(도 3f 참조). 투광성 수지층(107) 및 투광성 기판(105)을 절단하는 절단면의 폭을 홈의 폭보다 좁게 함으로써 투광성 기판 측면에 홈에 형성된 수지층을 잔존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이서(104) 및 다이서(108)의 폭과는 처리 영역(다이서에 의하여 가공되는 영역)을 결정하는 다이싱 블레이드의 두께가 된다.
홈의 폭(a1)은, 다이서(104)의 다이싱 블레이드의 폭(a1)에 절단면의 폭은 다이서(108)의 다이싱 블레이드의 폭(a2)에 의하여 제어할 수 있으므로, 다이서(104)의 다이싱 블레이드의 폭(a1)보다 다이서(108)의 다이싱 블레이드의 폭(a2)을 좁게 하면 좋다.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에서는, 다이서(104)의 다이싱 블레이드의 폭(a1)을 0.16mm, 다이서(108)의 다이싱 블레이드의 폭(a2)을 0.1mm로 한다.
따라서, 반도체 집적 회로(112a, 112b, 112c)에 있어서, 반도체 소자층(101a, 101b, 101c)이 형성되지 않는 면 및 측면의 일부는, 수지층(114a, 114b, 114c, 110a, 110b, 110c)으로 덮이는 구조가 된다.
투광성 기판에 형성되는 홈의 형상은, 가공 수단에 의존한다. 본 실시형태 에서는, 다이서(104)의 약간 둥그스름해진 다이싱 블레이드의 형상이 반영되어, 홈(106a, 106b, 106c, 106d)도 도 1의 단면에 있어서 둥그스름한(곡률을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다이싱 블레이드의 형상을 직사각형으로 하면, 홈의 형상도 직사각형으로 되고, 분단 후의 반도체 집적 회로의 투광성 기판의 단부도 직사각형을 가지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f의 직사각형의 다이싱 블레이드로 가공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9a는 도 3b와 대응하여, 반도체 소자층(101a, 101b, 101c)이 형성된 투광성 기판(102)은, 고정 테이프(103) 위에서 연삭, 연마 가공된다.
형성된 투광성 기판(102)에 반도체 소자층(101a, 101b, 101c)을 분단하기 위한 홈(126a, 126b, 126c, 126d)을 다이서(124)로 형성한다(도 9b 참조). 다이서(124)는 직사각형의 다이싱 블레이드를 사용하므로, 투광성 기판(125)의 홈(126a, 126b, 126c, 126d)은 단면도에 있어서 직사각형이 된다.
다음에, 홈(126a, 126b, 126c, 126d)이 형성된 투광성 기판(125) 위에 투광성 수지층(133, 127)을 형성한다(도 9c 참조).
그 후, 투광성 수지층(133, 127) 및 투광성 기판(125)을 홈(126a, 126b, 126c, 126d)에 있어서, 절단하여,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로 분단(분할)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광성 기판(125) 및 투광성 수지층(133, 127)을 고정 테이프에 고정하고, 투광성 기판(125) 측으로부터 홈(126a, 126b, 126c, 126d)에 잔존되는 투광성 기판(125) 및 투광성 수지층(133, 127)을 다이서(128)에 의하여 절단한다. 다이서(128)에 의하여, 투광성 기판(125) 및 수지층(133, 127)은 분할되어, 투광성 기판(129a, 129b, 129c), 투광성 수지층(134a, 134b, 134c, 130a, 130b, 130c)이 된다(도 9d 참조).
상술한 공정으로, 반도체 집적 회로(132a, 132b, 132c)를 형성할 수 있다(도 9e 참조). 반도체 집적 회로(132a, 132b, 132c)는, 직사각형의 형상의 홈(126a, 126b, 126c, 126d)의 형상을 반영하여, 단면도에 있어서, 측면에 단차를 가지는 형상이 된다.
또한, 도 9f는, 도 4a 내지 도 4d와 마찬가지로 도 9a 내지 도 9f로 형성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를 인터포저(160)에 실장하는 예이다. 도 9f에 있어서, 반도체 집적 회로(132R, 132G, 132B)는 도 9e와 마찬가지로 각 기판으로 형성된 반도체 집적 회로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도체 집적 회로(132R)는 적색의 투광성 수지층(134R), 반도체 집적 회로(132G)는 녹색의 투광성 수지층(134G), 반도체 집적 회로(132B)는 청색의 투광성 수지층(134B)을 각각 가지고, 각각의 투광성 수지층(134R, 134G, 134B)에 착색된 색의 광을 투과하여, 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9f에 있어서, 반도체 집적 회로(132R, 132G, 132B)는 인터포저(160)의 전극(161a1, 161b1, 161c1)과 땜납으로 실장되고, 사이에 고정을 위한 수지층(163)을 형성하는 예이다.
또한, 기판의 두께는 투광성 수지층과 비교하여 두껍고, 기판 단부에서의 피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투광성 수지층도 두껍게 하면 바람직하다. 도 2a 및 도 2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광성 수지층을 적층 구조로 하면 두껍게 형성할 수 있다. 투광성 수지층의 구조나 막 두께, 또한 절단 개소에 따라서도 완성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형상을 자유롭게 변화시킬(상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에 있어서는, 투광성 수지층을 두껍게 형성하므로, 각 반도체 집적 회로에 있어서, 투광성 기판과 투광성 수지층 단부가 일치하는 형상이 된다.
다이싱 블레이드의 폭이 가는 다이서를 사용하여 분단하면, 투광성 기판의 홈의 영역을 완성한 반도체 집적 회로에 많이 남길 수도 있다. 충격 흡수 재료로서 기능하는 투광성 수지층을 적층하면, 반도체 집적 회로에, 보다 내 스트레스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홈을 형성하여, 홈 위에 투광성 수지층을 형성하므로, 홈 저면에 두껍게 투광성 수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한층 더 투광성 수지층을 형성한 후, 투광성 수지층과 투광성 기판을 적층하여 절단하므로, 측면에 있어서 투광성 수지층의 단부와 투광성 기판의 단부가 일치한다. 측면에 있어서, 투광성 기판의 상측의 단부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투광성 기판의 단부의 파손이나 깨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투광성 수지층을 적층에 의하여 두껍게 형성하면, 반도체 집적 회로의 측면에 있어서 투광성 기판의 단부와 투광성 수지층의 단부와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으므로, 보다 투광성 기판 단부에 주는 데미지를 경감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f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기판에 형성되고, 분단된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를 인터포저에 실장하여,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를 가지는 반도체 장치를 제작한다.
도 4a에 있어서, 반도체 집적 회로(112R, 112G, 112B)는 도 3a 내지 도 3f와 마찬가지로 각 기판에 형성된 반도체 집적 회로이다.
반도체 집적 회로(112R), 반도체 집적 회로(112G), 반도체 집적 회로(112B)는, 각각 투광성 기판(109R, 109G, 109B),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층(101R, 101G, 101B), 및 컬러 필터로서 기능하는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114R, 114G, 114B)을 가지고, 컬러 센서로서 기능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반도체 집적 회로(112R)는 적색의 투광성 수지층(114R), 반도체 집적 회로(112G)는 녹색의 투광성 수지층(114G), 반도체 집적 회로(112B)는 청색의 투광성 수지층(114B)을 각각 가지고, 각각의 투광성 수지층(114R, 114G, 114B)에 착색된 색의 광을 투과하여, 검지할 수 있다.
반도체 집적 회로(112R), 반도체 집적 회로(112G), 반도체 집적 회로(112B)에 있어서는, 반도체 소자층 표면에 실장할 때,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는 단자 전극(115R1, 115R2, 115G1, 115G2, 115B1, 115B2)으로서 도전층이 형성된다.
단자 전극(115R1, 115R2, 115G1, 115G2, 115B1, 115B2)은, 습식법을 사용하여 도전성 수지에 의하여 형성되어도 좋고, 건식법을 사용하여 도전성 박막에 의하여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도전성 수지층과 도전성 박막을 적층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스크린 인쇄법을 사용하여 도전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입경이 수nm 내지 수십㎛의 도전체 입자를 유기 수지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도전성의 페이스트를 선택적으로 인쇄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도전체 입자로서는, 은(Ag), 금(Au), 구리(Cu), 니켈(Ni), 백금(Pt), 팔라듐(Pd), 탄탈(Ta), 몰리브덴(Mo) 및 티타늄(Ti) 등의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 입자나 할로겐화 은의 미립자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페이스트에 포함되는 유기 수지는, 금속 입자의 바인더, 용 매, 분산제 및 피복재로서 기능하는 유기 수지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를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에폭시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의 유기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도전층을 형성할 때는, 도전성의 페이스트를 압출한 후에 소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땜납이나 납 프리의 땜납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립자를 사용하여도 좋다.
다음에, 전극(161a1, 161a2, 161b1, 161b2, 161c1, 161c2)을 포함하는 인터포저(160)에 반도체 집적 회로(112R), 반도체 집적 회로(112G), 반도체 집적 회로(112B)를 실장한다(도 4b 참조).
또한, 인터포저에 실장하기 전에, 반도체 집적 회로에 검사 공정을 행하여도 좋다. 검사 공정을 행함으로써, 우량품을 선택하여 인터포저에 실장함으로써 반도체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는 인터포저에 땜납이나 이방성 도전층에 의하여 실장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도체 집적 회로와 인터포저 사이에 이방성 도전층(162)을 형성한다.
또한, 반도체 집적 회로와 실장되는 인터포저의 전극과의 접속 부분의 구조로서는, 기판 위의 배선과 반도체 집적 회로의 단자 전극에 형성된 도전성의 돌기물인 범프를 접속시켜, 인터포저와 반도체 집적 회로간을 수지로 고정하여도 좋다. 또한, 인터포저의 전극과 반도체 집적 회로의 단자 전극 사이에 도전성의 입자를 분산시킨 수지를 형성하고, 이 도전성의 입자로 반도체 집적 회로와 인터포저의 전극과의 접속을 행하고, 도전성의 입자를 분산시킨 유기 수지로 접착, 고정하여도 좋다. 또한, 접착에 사용하는 수지로서는, 광 경화성의 수지나 열 경화성의 수지, 또는 자연 경화성의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집적 회로와 인터포저 사이에 수지를 형성하여 고착시키면, 고착 강도가 향상되므로 바람직하다.
인터포저(160)는, 도 4a 내지 도 4d에 있어서,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면과 이면을 관통하는 개구를 가지고, 전극(161a1과 161a2, 161b1과 161b2, 161c1과 161c2)은 개구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접한다. 인터포저의 전극 구조의 예를 도 4c 및 도 4d에 도시한다.
도 4c 및 도 4d는, 인터포저(160)에 형성된 개구를 분단하도록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c는, 인터포저(160)의 표리(表裏)에 형성된 전극(161a1과 161a2, 161b1과 161b2, 161c1과 161c2)을 접속하도록 도전막(164a1, 164a2, 164b1, 164b2, 164c1, 164c2)이 형성된다. 도전막(164a1, 164a2, 164b1, 164b2, 164c1, 164c2)은 도금법 등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개구는 수지나 도전성 재료 등에 의하여 충전되는 구조이면 바람직하다. 도 4d는, 인터포저(160)에 형성된 개구에 도전성 재료가 충전되는 예이며, 도전층(165a), (165b), (165c)에 의하여, 전극(161a1과 161a2, 161b1과 161b2, 161c1과 161c2)은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충전하는 도전성 재료로서, 도전성 수지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전극(161a2, 161b2, 161c2)은 반도체 집적 회로(112R), 반도체 집적 회로(112G), 반도체 집적 회로 (112B)의 전극으로서 다른 기판에 실장할 수 있다.
인터포저(160)로서는, 유기 폴리머, 무기 폴리머, 유리 에폭시계나 세라믹스 계, 폴리이미드, 불소 수지 등의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인터포저의 두께는, 50㎛ 내지 300㎛(대표적으로는, 100㎛ 내지 200㎛) 정도이다. 보다 두께가 얇은 인터포저를 사용하면, 반도체 장치의 박형화의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1a 및 도1b의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는, 투광성 기판(109R, 109G, 109B)과 인터포저(160)는 대략 같은 두께인 것을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지만, 인터포저는 투광성 기판보다 두께가 두꺼운 것을 사용하여도 좋고, 얇은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도체 집적 회로에 있어서, 투광성 수지층이 반도체 소자층 측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내열성이 높고, 땜납이나 이방성 도전층을 사용하여 반도체 집적 회로를 인터포저에 실장할 때에 가열 처리를 행함에 의한 불량의 발생을 경감시킬 수 있다.
반도체 집적 회로에 있어서, 얇게 성형된 투광성 기판은, 투광성 수지층으로 덮이는 상태라서 공정상 취급이 쉽고, 파손 등의 불량이 쉽게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보다 박형의 고성능의 반도체 집적 회로 및 반도체 장치를 수율 좋게 제작할 수 있다.
인터포저에 실장되는 복수의 반도체 집적 회로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각각이 포함하는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의 색깔이 상이한 반도체 집적 회로를 인터포저에 실장하고, 컬러 센서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반도체 집적 회로를 복수 색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인터포저에 실장할 때, 반도체 집적 회로에 검사 공정을 행하고, 우량 품만을 선별하여 인터포저에 실장할 수 있으므로, 제작 공정에 있어서, 반도체 장치의 수율이 향상된다. 특히, 반도체 집적 회로에 증폭 회로 등, 복잡한 구성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층을 가지는 구성의 경우, 칩 형의 반도체 집적 회로에 불량이 생길 우려가 있으므로, 인터포저에 실장하기 전에 반도체 집적 회로의 불량 검사를 행할 수 있는 것은 유익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는, 투광성 기판의 반도체 소자층의 형성 면과 반대 측의 일면 및 단부(측면)의 일부를 적어도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으로 덮는 구성이다. 따라서, 투광성 수지층이 제작 공정, 또는 검사 공정에 있어서 가해지는 압력 등의 외부 스트레스로부터의 충격 흡수층으로서도 기능하므로, 반도체 집적 회로의 상처, 크랙 등의 불량을 저감하여, 신뢰성이 높은 반도체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분단된 반도체 소자층으로서 기판 위에 광전 변환 소자 및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 5a 내지 도 7b의 단면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5a로서는, 투광성 기판(310)으로서, 유리 기판의 하나인 AN100을 사용한다. 기판 위에 형성하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로서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사용함으로써, 기판 위에, 광전 변환 소자와 박막 트랜지스터를 연속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반도체 집적 회로의 양산화를 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컬러 필터로서 기능하는 투광성 수지층 및 투광성 기판을 통과하여 광전 변환 소자에 광을 조사한다.
우선, 플라스마 CVD법으로 하지 절연막(312)이 되는 질소를 포함하는 산화실리콘막(막 두께 100nm)을 형성하고, 또 대기에 노출되지 않고, 반도체막, 예를 들 어 수소를 포함하는 비정질 실리콘막(막 두께 54nm)을 적층하여 형성한다. 또한, 하지 절연막(312)은 산화실리콘막, 질화실리콘막, 질소를 포함하는 산화실리콘막을 사용하여 적층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하지 절연막(312)으로서, 산소를 포함하는 질화실리콘막을 50nm, 또한 질소를 포함하는 산화실리콘막을 100nm 적층한 막을 형성하여도 좋다. 이 때, 질소를 포함하는 산화실리콘막이나 질화실리콘막은, 유리 기판으로부터의 알칼리 금속 등의 불순물 확산을 방지하는 블로킹층으로서 기능한다.
반도체 소자가 가지는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재료는, 실란이나 게르만으로 대표되는 반도체 재료 가스를 사용하여, 기상 성장법이나 스퍼터링법으로 제작되는 비정질(아모퍼스; 이하 AS라고도 함) 반도체, 상기 비정질 반도체를 빛 에너지나 열 에너지를 이용하여 결정화시킨 다결정 반도체, 또는 미결정(세미 아모퍼스 또는 마이크로 크리스털이라고도 불림. 이하, SAS라고도 함) 반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반도체층은, 스퍼터링법, LPCVD법, 또는 플라즈마 CVD법 등에 의하여 성막할 수 있다.
미결정 반도체막은, 깁스 자유 에너지(Gibbs free energy)를 고려하면 비정질과 단결정의 중간적인 준안정 상태에 속하는 것이다. 즉, 자유 에너지적으로 안정된 제 3 상태를 가지는 반도체이고, 단거리 질서와 격자 왜곡을 가지는 결정질의 것이다. 기둥 형상 결정 또는 침상(針狀) 결정이 기판 표면에 대하여 법선 방향으로 성장한다. 미결정 반도체의 대표적인 예인 미결정 실리콘은, 그 라만 스펙트럼이 단결정 실리콘을 나타내는 520cm-1보다 저주파수 측으로 시프트(shift)한다. 즉, 단결정 실리콘을 나타내는 520cm-1과, 아모퍼스 실리콘을 나타내는 480cm-1 사이에 미결정 실리콘의 라만 스펙트럼의 피크가 있다. 또한, 미결합수(댕글링 본드)를 종단하기 위하여 수소 또는 할로겐을 적어도 1atom%, 또는 그 이상 포함시킨다. 또한, 헬륨, 아르곤, 크립톤, 네온 등의 희가스 원소를 포함시켜, 격자 왜곡을 더욱 촉진시킴으로써, 안정성이 증가되어, 양호한 미결정 반도체막이 얻어진다.
이 미결정 반도체막은, 주파수가 수십 MHz 내지 수백 MHz 의 고주파 플라즈마 CVD법, 또는 주파수가 1GHz 이상의 마이크로파 플라즈마 CVD장치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는, SiH4, Si2H6, SiH2Cl2, SiHCl3, SiCl4, SiF4 등의 수소화 실리콘을 수소로 희석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수소화 실리콘 및 수소에 첨가하여 헬륨, 아르곤, 크립톤, 네온 중으로부터 선택된 1 종 또는 복수종의 희가스로 희석하여 미결정 반도체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때의 수소화 실리콘에 대하여 수소의 유량비율을 5배 이상 200배 이하, 바람직하게는 50배 이상 150배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00배로 한다.
아모퍼스 반도체로서는 대표적으로는 수소화 아모퍼스 실리콘, 결정성 반도체로서는 대표적으로는 폴리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실리콘(다결정 실리콘)에는 800℃ 이상의 프로세스 온도를 거쳐 형성되는 폴리실리콘을 주재료로서 사용한 소위 고온 폴리실리콘이나, 600℃ 이하의 프로세스 온도에서 형성되는 폴리실리콘을 주재료로서 사용한 소위 저온 폴리실리콘, 또한 결정화를 촉진하는 원소 등을 사용하여 비정질 실리콘을 결정화시킨 폴리실리콘 등을 포함한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미결정 반도체 또는 반도체층의 일부에 결정상을 포함하는 반도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반도체의 재료로서는, 실리콘(Si), 게르마늄(Ge) 등의 단체(單體) 이외에 GaAs, InP, SiC, ZnSe, GaN, SiGe 등과 같은 화합물 반도체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산화물 반도체인 산화아연(ZnO), 산화주석(SnO2) 등도 사용할 수 있고, ZnO을 반도체층에 사용하는 경우, 게이트 절연층에 Y2O3, Al2O3, TiO2, 그들의 적층 등을 사용하면 좋고, 게이트 전극층, 소스 전극층, 드레인 전극층으로서는 ITO, Au, Ti 등을 사용하면 좋다. 또한, ZnO에 In이나 Ga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반도체층에, 결정성 반도체막을 사용하는 경우, 그 결정성 반도체막의 제작 방법은, 다양한 방법(레이저 결정화법, 열 결정화법, 또는 니켈 등의 결정화를 촉진시키는 원소를 사용한 열 결정화법 등)을 사용하면 좋다. 또한 SAS인 미결정 반도체를 레이저 조사하여 결정화하여, 결정성을 높일 수도 있다. 결정화를 촉진시키는 원소를 도입하지 않는 경우에는, 비정질 실리콘막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기 전에, 질소 분위기하 500℃로 1시간 가열함으로써 비정질 실리콘막의 함유 수소농도를 1×1020atoms/cm3 이하까지 방출된다. 이것은 수소를 많이 포함하는 비정질 실리콘막에 레이저 광을 조사하면 비정질 실리콘막이 파괴되기 때문이다.
또한, 비정질 반도체막을 결정화하고, 결정성 반도체막을 형성하는 결정화 공정에서, 비정질 반도체막에 결정화를 촉진시키는 원소(촉매원소, 금속원소라고도 함)를 첨가하여, 열 처리(550℃ 내지 750℃에서 3분 내지 24시간)에 의하여 결정화 를 하여도 좋다. 결정화를 촉진시키는 원소로서는 철(Fe), 니켈(Ni), 코발트(Co), 루테늄(Ru), 로듐(Rh), 팔라듐(Pd), 오스뮴(Os), 이리듐(Ir), 백금(Pt), 구리(Cu) 및 금(Au)으로부터 선택된 일종 또는 복수 종류를 사용할 수 있다.
비정질 반도체층으로의 금속 원소의 도입의 방법으로서는 상기 금속 원소를 비정질 반도체막의 표면 또는 그 내부에 존재시킬 수 있는 수법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스퍼터링법, CVD법, 플라즈마 처리법(플라즈마 CVD법도 포함함), 흡착법, 금속염의 용액을 도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용액을 사용하는 방법은 간편하고, 금속 원소의 농도 조정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또한, 이때 비정질 반도체층의 표면의 흡습성을 개선하고, 비정질 반도체막의 표면 전체에 수용액을 고루 미치게 하기 위해서, 산소 분위기 중에서의 UV광의 조사, 열 산화법, 히드록시 라디칼을 포함하는 오존수 또는 과산화 수소에 의하여, 산화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화를 촉진시키는 원소를 결정성 반도체막으로부터 제거, 또는 경감하기 위하여, 결정성 반도체막에 접하여 불순물 원소를 포함하는 반도체막을 형성하고, 게터링 싱크로서 기능시킨다. 불순물 원소로서는 n형을 부여하는 불순물 원소, p형을 부여하는 불순물 원소나 희가스 원소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인(P), 질소(N), 비소(As), 안티몬(Sb), 비스무스(Bi), 붕소(B), 헬륨(He), 네온(Ne), 아르곤(Ar), 크립톤(Kr), 크세논(Xe)으로부터 선택된 일종 또는 복수종을 사용할 수 있다. 결정화를 촉진시키는 원소를 포함하는 결정성 반도체막에, 희가스 원소를 포함하는 반도체막을 형성하고, 열 처리(550℃ 내지 750℃에서 3분 내지 24시간)를 행한다. 결정성 반도체막 중에 포함되는 결정화를 촉진시키는 원소는 희가스 원소를 포함하는 반도체층 중으로 이동하여, 결정성 반도체막 중의 결정화를 촉진시키는 원소는 제거, 또는 경감된다. 그 후, 게터링 싱크가 된 희가스 원소를 포함하는 반도체막을 제거한다.
비정질 반도체막의 결정화는, 열 처리와 레이저 광 조사에 의한 결정화를 조합하여도 좋고, 열 처리나 레이저 광 조사를 단독으로, 복수 횟수 행하여도 좋다.
또한, 결정성 반도체막을, 직접 기판에 플라즈마법에 의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플라즈마법을 사용하여, 결정성 반도체막을 선택적으로 기판에 형성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도체막으로서 촉매 원소를 사용한 결정화 방법에 의하여 다결정 실리콘막을 형성한다. 중량 환산으로 10ppm의 니켈을 포함하는 아세트산 니켈 용액을 스피너(spinner)로 첨가한다. 이때, 용액을 첨가하는 방법 대신에 스퍼터링법으로 니켈 원소를 전체 면에 살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도 좋다. 다음에, 가열 처리를 행하여 결정화시켜, 결정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막(여기서는 다결정 실리콘막)을 형성한다. 여기서는 열 처리(500℃, 1시간) 후, 결정화를 위한 열 처리(550℃, 4시간)를 행하여 다결정 실리콘막을 얻는다.
이어서, 다결정 실리콘막 표면의 산화막을 희석된 플루오르화 수소산 등으로 제거한다. 그 후에 결정화율을 높이고, 결정립 내에 남는 결함을 보수하기 위한 레이저 광(XeCl: 파장 308nm)의 조사를 대기 중, 또는 산소 분위기 중에서 행한다.
레이저 광에는 파장 400nm 이하의 엑시머 레이저 광이나, YAG 레이저의 제 2 고조파 또는 제 3 고조파를 사용한다. 여기서는, 반복 주파수 10Hz 내지 1000Hz 정도의 펄스 레이저 광을 사용하고, 그 레이저 광을 광학계에 의하여 100mJ/cm2 내지 500mJ/cm2로 집광하고, 90% 내지 95%의 오버랩율을 가지고 조사하여, 실리콘막 표면을 주사시키면 좋다. 본 실시예형태에서는, 반복 주파수 30Hz, 에너지 밀도 470mJ/cm2로 레이저 광의 조사를 대기 중에서 행한다.
이때, 대기 중, 또는 산소 분위기 중에서 행하기 때문에,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하여 표면에 산화막이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펄스 레이저를 사용한 예를 게시하였지만, 연속 발진의 레이저를 사용하여도 좋고, 반도체막의 결정화시에, 대입경으로 결정을 얻기 위해서는, 연속 발진이 가능한 고체 레이저를 사용하고, 기본파의 제 2 고조파 내지 제 4 고조파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표적으로는, Nd: YVO4 레이저(기본파 1064nm)의 제 2 고조파(532nm)나 제 3 고조파(355nm)를 적용하면 좋다.
연속 발진의 레이저를 사용할 경우에는, 출력 10W의 연속 발진의 YVO4 레이저로부터 출사된 레이저 광을 비선형 광학 소자에 의하여 고조파로 변환한다. 또한, 공진기 내에 YVO4 결정과 비선형 광학 소자를 넣고, 고조파를 사출하는 방법도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광학계에 의하여 조사면에서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의 레이저 광으로 형성하여, 피처리물에 조사한다. 이 때의 에너지 밀도는 0.01MW/cm2 내지 100MW/cm2 정도(바람직하게는 0.1MW/cm2 내지 10MW/cm2)가 필요하다. 그리고 10cm/s 내지 2000cm/s 정도의 속도로 레이저 광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반도체막을 이동시켜 조사하면 좋다.
이어서, 상기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하여 형성된 산화막에 추가로, 오존수로 표면을 120초 처리하여 합계 1nm 내지 5nm의 산화막으로 이루어진 배리어층을 형성한다. 이 배리어층은, 결정화시키기 위하여 첨가한 촉매 원소, 예를 들어, 니켈(Ni)을 막 내에서 제거하기 위하여 형성한다. 여기서는 오존수를 사용하여 배리어층을 형성하였지만, 산소 분위기 하의 자외선의 조사로 결정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막의 표면을 산화하는 방법이나 산소 플라스마 처리에 의하여 결정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막의 표면을 산화하는 방법이나 플라스마 CVD법이나 스퍼터링법이나 증착법 등으로 1nm 내지 10nm 정도의 산화막을 퇴적하여 배리어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배리어층을 형성하기 전에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하여 형성된 산화막을 제거하여도 좋다.
이어서, 배리어층 위에 스퍼터링법으로 게터링 사이트가 되는 아르곤 원소를 포함하는 비정질 실리콘막을 10nm 내지 400nm, 여기서는 막 두께 100nm로 형성한다. 여기서는, 아르곤 원소를 포함하는 비정질 실리콘막은, 실리콘 타깃을 사용하여 아르곤을 포함하는 분위기 하에서 형성한다. 플라스마 CVD법을 사용하여 아르곤 원소를 포함하는 비정질 실리콘막을 형성할 경우, 성막 조건은, 모노실란과 아르곤의 유량비율(SiH4:Ar)을 1:99로 하고, 성막 압력을 6.665Pa로 하고, RF 파워 밀 도를 0.087W/cm2로 하고, 성막 온도를 350℃로 한다.
그 후에 650℃로 가열된 노(爐)에 넣어서 3분의 열 처리를 행하여, 촉매 원소를 제거(게터링)한다. 이에 따라, 결정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막 중의 촉매 원소 농도가 저감된다. 노 대신에 램프 어닐 장치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어서, 배리어층을 에칭 스토퍼로 사용하여, 게터링 사이트인 아르곤 원소를 포함하는 비정질 실리콘막을 선택적으로 제거한 후, 배리어층을 희석된 플루오르화 수소산으로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이때, 게터링 때, 니켈은 산소 농도가 높은 영역으로 이동하기 쉬운 경향이 있기 때문에, 산화막으로 이루어지는 배리어층을 게터링 후에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촉매 원소를 사용하여 반도체막의 결정화를 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술한 배리어층의 형성, 게터링 사이트의 형성, 게터링을 위한 열 처리, 게터링 사이트의 제거, 배리어층의 제거 등의 공정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어서, 얻어진 결정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막(예를 들어, 결정성 실리콘막)의 표면에 오존수로 얇은 산화막을 형성한 후, 제 1 포토마스크를 사용하여 레지스트로 이루어지는 마스크를 형성하고, 원하는 형상으로 에칭 처리하여 섬 형상으로 분리된 반도체막(331)을 형성한다(도 5a 참조). 반도체층(331)을 형성한 후, 레지스트로 이루어지는 마스크를 제거한다.
이어서, 필요에 따라 트랜지스터의 임계값 전압을 제어하기 위하여, 미량의 불순물 원소(붕소 또는 인)의 도핑을 행한다. 여기서는, 디보란(B2H6)을 질량 분리 하지 않고 플라즈마 여기한 이온 도핑법을 사용한다.
이어서, 불산을 포함하는 에천트로 산화막을 제거함과 동시에 반도체층(331)의 표면을 세정한 후, 게이트 절연막(313)이 되는 절연막을 형성한다.
게이트 절연막(313)은 산화실리콘, 혹은 산화실리콘과 질화규소의 적층구조로 형성하면 된다. 게이트 절연막(313)은 플라스마 CVD법이나 감압 CVD법에 의하여 절연막을 퇴적함으로써 형성하여도 되고, 플라스마처리에 의한 고상산화 혹은 고상질화로 형성하면 좋다. 반도체층을, 플라즈마 처리에 의하여 산화 또는 질화함으로써 형성하는 게이트 절연막은, 치밀하고 절연 내압이 높아 신뢰성이 우수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아산화질소(N2O)를 Ar로 1배 내지 3배(유량비)로 희석하고, 10Pa 내지 30Pa의 압력에 있어서 3kW 내지 5kW의 마이크로파(2.45GHz) 전력을 인가하여 반도체층의 표면을 산화 또는 질화시킨다. 이 처리에 의해 1nm 내지 10nm(바람직하게는 2nm 내지 6nm)의 절연막을 형성한다. 또한, 아산화질소(N2O)와 실란(SiH4)을 도입하고, 10Pa 내지 30Pa의 압력에 있어서 3kW 내지 5kW의 마이크로파(2.45GHz) 전력을 인가하여 기상 성장법에 의하여 산화질화실리콘막을 형성하여 게이트 절연층을 형성한다. 고상 반응과 기상 성장법에 의한 반응을 조합함으로써 계면 준위 밀도가 낮고 절연 내압이 우수한 게이트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절연막(313)으로서, 이산화지르코늄, 산화하프늄, 이산화티타늄, 오산화탄탈 등의 고유전율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게이트 절연막(313)에 고유전율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게이트 리크 전류를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게이트 절연층(313)으로서 플라스마 CVD법에 의하여 115nm의 두께로 질소를 포함하는 산화실리콘막을 형성한다.
이어서, 게이트 절연막(313) 위에 금속막을 형성한 후, 제 2 포토마스크를 사용하여, 게이트 전극(334), 배선(314 및 315), 단자 전극(350)을 형성한다(도 5b 참조). 이 금속막으로서, 예를 들어, 질화 탄탈 및 텅스텐(W)을 각각 30nm, 370nm 적층한 막을 사용한다.
또한, 게이트 전극(334), 배선(314 및 315), 단자 전극(350)으로서, 상기 이외에도 티타늄(Ti), 텅스텐(W), 탄탈(Ta), 몰리브덴(Mo), 네오디뮴(Nd), 코발트(Co), 지르코늄(Zr), 아연(Zn), 루테늄(Ru), 로듐(Rh), 팔라듐(Pd), 오스뮴(Os), 이리듐(Ir), 백금(Pt), 알루미늄(Al), 금(Au), 은(Ag), 구리(Cu)로부터 선택된 원소, 또는 상기 원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재료 혹은 화합물재료로 이루어지는 단층막, 또는, 이들의 질화물, 예를 들어, 질화 티타늄, 질화 텅스텐, 질화 탄탈, 질화 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지는 단층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334), 배선(314 및 315), 단자 전극(350)에 가시광에 대하여 투광성을 가지는 투광성의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투광성의 도전 재료로서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 산화규소를 포함하는 인듐 주석 산화물(ITSO), 유기 인듐, 유기 주석, 산화아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산화아연(ZnO)을 포함하는 인듐아연산화물(IZO(Indium Zinc Oxide)), 산화아연(ZnO), ZnO에 갈륨(Ga)을 도프한 것, 산화주석(SnO2), 산화텅스텐을 포함하는 인듐산화물, 산화텅스텐을 포함하는 인듐아연산화물, 산화티탄을 포함하는 인듐산화물, 산화티탄을 포함하는 인듐주 석산화물 등도 사용하여도 좋다.
이어서, 반도체층(331)에 일 도전형을 부여하는 불순물의 도입을 행하여, 트랜지스터(373)의 소스 영역 또는 드레인 영역(337)의 형성을 행한다(도 5c 참조). 본 실시형성에서는 n형 채널형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므로, n형을 부여하는 불순물, 예를 들어, 인(P), 비소(As) 등을 반도체층(331)에 도입한다. p형 채널형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경우는, p형을 부여하는 불순물, 예를 들어, 붕소(B)를 반도체층(331)에 도입하면 좋다.
이어서, CVD법에 의하여 산화실리콘막을 포함하는 제 1 층간 절연막(도시하지 않음)을 50nm 형성한 후, 각각의 섬 형상 반도체 영역에 첨가된 불순물 원소를 활성화 처리하는 공정을 행한다. 이 활성화 공정은 램프 광원을 사용한 래피드 서멀 어닐법(RTA법), 또는 YAG 레이저 또는 엑시머 레이저를 이면으로부터 조사하는 방법, 또는 노를 사용한 열 처리, 또는 이들 방법 중의 어느 것과 조합한 방법에 의하여 행한다.
이어서, 수소 및 산소를 포함하는 질화실리콘막을 포함하는 제 2 층간 절연막(316)을, 예를 들어 10nm의 막 두께로 형성한다.
이어서, 제 2 층간 절연막(316) 위에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3 층간 절연막(317)을 형성한다(도 5d 참조). 제 3 층간 절연막(317)은 CVD법으로 얻어지는 절연막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 3 층간 절연막(317)으로서, 900nm의 막 두께로 형성한 질소를 포함하는 산화실리콘막을 형성한다.
다음에 열 처리(300℃ 내지 550℃로 1시간 내지 12시간의 열 처리, 예를 들어, 질소 분위기 중 410℃로 1시간)를 행하여, 반도체층을 수소화한다. 이 공정은 제 2 층간 절연막(316)에 포함되는 수소에 의하여 반도체층의 댕글링 본드를 종단시키기 위하여 행하는 것이다. 게이트 절연막(313)의 존재에 상관없이 반도체층을 수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 3 층간 절연막(317)으로서, 실록산을 사용한 절연막, 및 그들의 적층 구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실록산은 실리콘(Si)과 산소(O)와의 결합으로 골격 구조로 구성된다. 치환기로서, 적어도 수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예를 들어, 알킬기, 알릴기)이 사용된다. 치환기로서, 불소를 사용하여도 좋다. 또는 치환기로서, 적어도 수소를 포함한 화합물과, 불소를 사용하여도 좋다.
제 3 층간 절연막(317)으로서 실록산을 사용한 절연막, 및 그들의 적층 구조를 사용한 경우에는, 제 2 층간 절연막(316)을 형성한 후, 반도체층을 수소화하기 위한 열 처리를 행하고, 다음에 제 3 층간 절연막(317)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제 3 포토 마스크를 사용하여 레지스트로 이루어지는 마스크를 형성하고, 제 1 층간 절연막, 제 2 층간 절연막(316) 및 제 3 층간 절연막(317) 또는 게이트 절연막(313)을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콘택트 홀을 형성한다. 그리고 레지스트로 이루어지는 마스크를 제거한다.
또한, 제 3 층간 절연막(317)은 필요에 따라 형성하면 좋고, 제 3 층간 절연막(317)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 2 층간 절연막(316)을 형성한 후에 제 1 층간 절연막, 제 2 층간 절연막(316) 및 게이트 절연막(313)을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콘택트 홀을 형성한다.
이어서, 스퍼터링법으로 금속 적층막을 성막한 후, 제 4 포토 마스크를 사용하여 레지스트로 이루어지는 마스크를 형성하고, 선택적으로 금속막을 에칭하여, 배선(319), 접속 전극(320), 단자 전극(351), 트랜지스터(373)의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341)을 형성한다. 그리고, 레지스트로 이루어지는 마스크를 제거한다. 이때, 본 실시형태의 금속막은, 막 두께 100nm의 Ti막과, 막 두께 350nm의 Si를 미량으로 포함하는 Al막과, 막 두께 100nm의 Ti막과의 3층을 적층한 것으로 한다.
또한, 배선(319), 접속 전극(320), 단자 전극(351), 및 트랜지스터(373)의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341)을 단층의 도전막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내열성 및 도전율 등의 점에서 티타늄막(Ti막)이 바람직하다. 또한, 티타늄막 대신에, 텅스텐(W), 탄탈(Ta), 몰리브덴(Mo), 네오디뮴(Nd), 코발트(Co), 지르코늄(Zr), 아연(Zn), 루테늄(Ru), 로듐(Rh), 팔라듐(Pd), 오스뮴(Os), 이리듐(Ir), 백금(Pt)으로부터 선택된 원소, 또는 상기 원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재료 혹은 화합물재료로 이루어지는 단층막, 또는, 이들의 질화물, 예를 들어, 질화 티타늄, 질화 텅스텐, 질화 탄탈, 질화 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지는 단층막을 사용할 수 있다. 배선(319), 접속 전극(320), 단자 전극(351), 및 트랜지스터(373)의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341)을 단층막으로 함으로써, 제작 공정에 있어서 성막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공정으로, 다결정 실리콘막을 반도체층으로서 사용한 톱 게이트형 트 랜지스터(373)를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도체 소자층에 포함되는 반도체 소자로서, n채널형 트랜지스터를 예로서 나타냈지만, p채널형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도 좋다. 다양한 형태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고, 사용하는 트랜지스터의 종류에 한정은 없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싱글 게이트 구조의 트랜지스터를 설명하였지만, 더블 게이트 구조 등의 멀티 게이트 구조라도 좋다. 이 경우, 반도체층의 위쪽, 아래쪽에 게이트 전극층을 형성하는 구조라도 좋고, 반도체층의 한 쪽(위쪽 또는 아래쪽)에만 복수의 게이트 전극층을 형성하는 구조라도 좋다.
잉크 젯이나 인쇄법을 사용하여 형성한 트랜지스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하여, 실온에서 제작, 저진공도에서 제작, 또는 대형 기판 위에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레티클)를 사용하지 않아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트랜지스터의 배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레지스트를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재료 비용이 낮아지고,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부분에만 막을 부착하기 때문에, 전체 면에 성막한 후에 에칭하는 제작 방법보다 재료가 낭비되지 않고,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는, 유기 반도체나 카본 나노 튜브를 가지는 트랜지스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하여, 구부릴 수 있는 기판 위에 트랜지스터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충격에 강하게 할 수 있다.
또는, 반도체 기판으로서 단결정 반도체층을 사용한 투광성의 SOI기판을 가 지는 기판 등을 사용하여 트랜지스터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들에 의하여, 특성이나 사이즈나 형상 등의 편차가 적고, 전류 공급 능력이 높고, 사이즈가 작은 트랜지스터를 제조할 수 있다. 이들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면, 회로의 저소비 전력화, 또는 회로의 고집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구성함으로써, 유리 기판 등의 투광성 기판 위에 형성할 수 있다. 그래서, 광전 변환 소자를 기판 위의 면에 형성하여도 기판의 이면으로부터 투광성 기판을 투과한 광을 광전 변환 소자로 수광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후에 형성되는 광전 변환층(대표적으로는 아모퍼스 실리콘)과 반응하여 합금이 되기 어려운 도전성의 금속막(티타늄(Ti) 또는 몰리브덴(Mo) 등)을 성막한 후, 제 5 포토 마스크를 사용하여 레지스트로 이루어지는 마스크를 형성하고, 선택적으로 도전성 금속막을 에칭하여 배선(319)을 덮는 보호 전극(318), 보호 전극(345), 보호 전극(346), 및 보호 전극(348)을 형성한다(도 6a). 여기서는 스퍼터링법으로 얻어지는 막 두께 200nm의 Ti막을 사용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접속 전극(320), 단자 전극(351), 트랜지스터(373)의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341)도 도전성 금속막으로 덮인다. 따라서, 도전성 금속막은 이들 전극에 있어서의 2층째의 Al막이 노출된 측면도 덮어, 도전성 금속막은 광전 변환층으로의 알루미늄 원자의 확산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배선(319), 접속 전극(320), 단자 전극(351), 및 트랜지스터(373)의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341)을, 단층의 도전막으로 형성하는 경우, 보호 전 극(318), 보호 전극(345), 보호 전극(346), 및 보호 전극(348)은 형성하지 않아도 좋다.
다음에 제 3 층간 절연막(317) 위에, p형 반도체층(371p), i형 반도체층(371i) 및 n형 반도체층(371n)을 포함하는 광전 변환층(371)을 형성한다.
p형 반도체층(371p)은 주기율표 제 13족의 불순물 원소, 예를 들어, 붕소(B)를 포함하는 세미 아모퍼스(미결정, 마이크로 크리스털이라고도 함) 실리콘막을 플라스마 CVD법으로 성막함으로써 형성하면 좋다.
미결정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방법의 일례는, 실란 가스와 수소 및/또는 희가스를 혼합하여, 글로우 방전 플라즈마에 의하여 형성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실란은 수소 및/또는 희가스로 10배 내지 2000배로 희석된다. 따라서, 다량의 수소 및/또는 희가스가 필요하게 된다. 기판의 가열 온도는 10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220℃로 행한다. 미결정 실리콘막의 성장 표면을 수소로 불활성화하고, 미결정 실리콘의 성장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120℃ 내지 220℃에서 성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막 처리 중, 활성종인 SiH 라디칼, SiH2 라디칼. SiH3 라디칼은 결정 핵을 기초로 하고, 결정 성장한다. 또한, 실란 등의 가스 중에 GeH4, GeF4 등의 수소화 게르마늄, 불화 게르마늄을 혼합하거나, 또는 실리콘에 탄소 또는 게르마늄을 더하여, 에너지 밴드 폭을 조절하여도 좋다. 실리콘에 탄소를 더한 경우는, 에너지 밴드 폭은 확대되고, 또한 실리콘에 게르마늄을 더한 경우는, 에너지 밴드 폭은 축소된다.
또한, 보호 전극(318)은 광전 변환층(371)의 최하층, 본 실시형태에서는 p형 반도체층(371p)에 접한다.
p형 반도체층(371p)을 형성한 후에, i형 반도체층(371i) 및 n형 반도체층(371n)을 순차적으로 더 형성한다. 이에 따라, p형 반도체층(371p), i형 반도체층(371i) 및 n형 반도체층(371n)을 가지는 광전 변환층(371)이 형성된다.
i형 반도체층(371i)으로서는, 예를 들어, 플라스마 CVD법으로 미결정 실리콘막을 형성하면 좋다. 또한, n형 반도체층(371n)으로서는, 주기율표 제 15족의 불순물 원소, 예를 들어 인(P)을 포함하는 미결정 실리콘막을 형성하여도 좋고, 미결정 실리콘막을 형성한 후, 주기율표 제 15족의 불순물 원소를 도입하여도 좋다.
또한, p형 반도체층(371p), i형 반도체층(371i), n형 반도체층(371n)으로서, 미결정 반도체막뿐만 아니라, 아모퍼스 반도체막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촉매나 레이저 결정화 처리에 의하여, 형성되는 다결정 반도체막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스마트 컷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단결정 실리콘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어서, 전체 면에 절연성 재료(예를 들어, 실리콘을 포함하는 무기 절연막)로 이루어지는 밀봉층(324)을 두께 1㎛ 내지 30㎛로 형성하여, 도 6b의 상태를 얻는다. 여기서는 절연성 재료막으로서 CVD법에 의하여, 막 두께 1㎛의 질소를 포함하는 산화 실리콘막을 형성한다. CVD법에 의한 절연막을 사용함으로써 밀착성의 향상을 도모한다.
이어서, 밀봉층(324)을 에칭하여 개구부를 형성한 후, 배선(374 및 375)을 형성한다. 배선(374 및 375)은,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티타늄막(Ti막(200nm)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이어서, 노출된 면을 덮어, 보호막(377)을 형성한다. 보호막(377)으로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질화 실리콘막을 사용한다. 이 보호층(377)에 의하여 광전 변환층(371)이나 트랜지스터(373)에 수분이나 유기물 등의 불순물이 혼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보호막(377) 위에 밀봉막(378)을 형성한다. 밀봉막(378)도 외부 스트레스로부터 반도체 소자층을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밀봉막(378)으로서 감광성의 에폭시-페놀계 수지를 사용하여 20㎛의 두께로 형성한다. 밀봉막(378)으로서는, 에폭시-페놀계 수지인 Ohmcoat 1012B(NAMICS 주식회사 제)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어서, 상층의 단자 전극이 하층의 배선(374), 또는 배선(375)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영역의 보호막을 에칭하여, 콘택트 홀을 형성한다.
이어서, 밀봉막(378) 위에 예를 들어, 니켈(Ni) 페이스트를 사용하고, 또한 스퍼터링법으로 티타늄막(Ti막(150nm))과, 니켈막(Ni막(750nm))과, 금막(Au막(50nm))과의 적층막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얻어지는 단자 전극(115a1) 및 단자 전극(115a2)의 고착 강도는 5N를 초과하고, 단자 전극으로서 충분한 고착 강도를 가진다.
상술한 공정으로 땜납에 의하여 접속될 수 있는 단자 전극(115a1) 및 단자 전극(115a2)이 형성되어, 도 7a에 도시하는 구조를 얻을 수 있다.
실제로는, 도 7a의 시점에서 형성된, 광전 변환 소자 및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1개의 반도체 소자층은, 대면적 기판 위에 각각 소자 재료를 형성됨으로써,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1장의 대면적 기판(예를 들어, 600cm×720cm)으로부터는, 대량의 반도체 소자층을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예를 들어, 2mm×1.5mm)를 제작할 수 있다. 그 모양을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다.
도 8a에 있어서는, 투광성 기판(100) 위에 소자층(151), 밀봉층(378), 단자 전극(115a1, 115a2)이 형성된다. 소자층(151)이란, 도 7a에 있어서, 투광성 기판(100)으로부터 밀봉층(378) 사이에 형성된 모든 구조를 포함한다.
인접하는 소자층(151) 사이에서, 투광성 기판(100)은 분단되어, 개개의 소자를 포함하는 투광성 기판(109)이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반도체 소자층(101)이 형성된 투광성 기판(109)은, 또한, 단자 전극(115a1, 115a2) 부분에서 땜납(363 및 364)으로 인터포저(360)에 실장되는 예이다(도 7b 참조). 또한, 인터포저(360) 위의 전극(361)은, 땜납(363)으로 단자 전극(115a1)에 실장된다. 또한, 인터포저(360)의 전극(362)은, 땜납(364)으로 단자 전극(115a2)에 실장된다.
도 7b에 도시하는 광전 변환 소자에 있어서, 광전 변환층(371)에 입사하는 광은, 투광성 기판(109) 및 투명한 투광성 수지층(110, 114)을 사용함으로써 투광성 기판(109) 및 투명한 투광성 수지층(110, 114) 측으로부터 입사할 수 있다.
반도체 장치는, 광전 변환 소자에 조사하는 빛의 입사 영역에 개구, 또는 투광성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하는 투광성 영역을 가지는 케이스에 형성되어도 좋다.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을 투과한 광을 광전 변환 소자에 검지시키므로,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의 비형성 영역을 케이스로 덮음으로써, 외부로부터 투광성 수지층의 비형성 영역을 투과하여 광전 변환 소자에 입사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로서, 반도체 장치의 정밀도를 높이고, 오차를 경감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작 방법으로 반도체 장치를 제작하면, 단가가 싸고, 또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투광성 기판을 분단하기 전에, 투광성 기판의 두께를 작게 하여, 분단 공정을 2단계로 행함으로써, 투광성 기판을 분단 가공할 때의 절삭 공구의 소모를 저감할 수 있다. 투광성 기판의 대형화, 분단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소형화에 따라, 절삭 공구의 처리 영역은 증가하므로, 한층 더 절삭 공구의 소모는 커진다. 따라서, 절삭 공구의 소모를 저감할 수 있는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발명은, 대면적 기판, 보다 소형인 반도체 집적 회로에 있어서, 특히 유익하다. 이에 따라 반도체 집적 회로 및 반도체 장치를 보다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투광성 기판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반도체 집적 회로 및 반도체 장치의 사이즈를 박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박형이라도 취급하기 쉽고, 신뢰성이 높은 반도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반도체 소자에 포함되는 반도체 소자로서 다양한 형태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반도체 소자로서 단결정 반도체층을 가지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대하 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 투광성 기판 위에 단결정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단결정 반도체층을 형성하고, 반도체 소자층에 포함되는 반도체 소자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 15a 내지 도 16c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5a에 도시하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은 청정화(淸淨化)되어, 그 표면으로부터 전계에 의하여 가속된 이온을 소정의 깊이에 조사하여, 취약화층(1110)을 형성한다. 이온의 조사는, 투광성 기판에 전치하는 단결정 반도체층의 두께를 고려하여 행해진다. 이온을 조사할 때의 가속 전압은 이러한 두께를 고려하여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에 조사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에 이온을 조사하여, 이온에 의하여 미소한 공동(空洞)을 가지도록 취약화된 영역을 취약화층이라고 한다.
반도체 기판(1108)에는, 시판하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단결정 실리콘 기판, 단결정 게르마늄 기판, 단결정 실리콘게르마늄 기판 등, 제 4족 원소로 이루어지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갈륨비소나 인듐인 등의 화합물 반도체 기판도 사용할 수 있다. 반도체 기판으로서 다결정 반도체 기판을 사용하여도 좋다. 물론, 단결정 반도체 기판은, 원형의 웨이퍼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의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방형,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시판하는 원형상의 단결정 반도체 웨이퍼를 단결정 반도체 기판에 사용할 수도 있다. 원형상의 단결정 반도체 웨이퍼에는, 실리콘이나 게르마늄 등의 반도체 웨이퍼, 갈 륨비소나 인듐인 등의 화합물 반도체 웨이퍼 등이 있다. 단결정 반도체 웨이퍼의 대표적인 예는,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이고, 직경 5인치(125mm), 직경 6인치(150mm), 직경 8인치(200mm), 직경 12인치(300mm) 사이즈, 직경 400mm, 직경 450mm의 원형의 웨이퍼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장방형의 단결정 반도체 기판은, 시판하는 원형상의 단결정 반도체 웨이퍼를 절단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기판의 절단에는, 다이서(dicer) 또는 와이어 소(wire-saw) 등의 절단장치, 레이저 절단, 플라즈마 절단, 전자 빔 절단, 그 외 임의의 절단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판으로서 박편화하기 전의 반도체 기판 제작용의 잉곳을, 그 단면이 장방형이 되도록 직방체형으로 가공하고, 이 직방체형의 잉곳을 박편화함으로써도, 장방형상의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단결정 반도체 기판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재이용하는 것을 고려하면, 두꺼운 쪽이 1장의 원료 웨이퍼로부터 보다 많은 단결정 반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시장에 유통되는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의 두께는, 그 사이즈는 SEMI 규격에 준하며, 예를 들어, 직경 6인치의 웨이퍼는 막 두께 625㎛, 직경 8인치의 웨이퍼는 막 두께 725㎛, 직경 12인치의 웨이퍼는 775㎛로 된다. 또한, SEMI 규격의 웨이퍼의 두께는 공차 ±25㎛를 포함한다. 물론, 원료가 되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의 두께는 SEMI 규격에 한정되지 않고, 잉곳을 슬라이스할 때에, 그 두께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물론, 재이용된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을 사용할 때에는, 그 두께는, SEMI 규격보다도 얇아진다. 투광성 기판 위에 얻어지는 단결정 반도체층은 모체가 되는 반도체 기판을 선택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은, 제작하는 반도체 소자(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의하여, 결정면 방위를 선택하면 좋다. 예를 들어, 결정면 방위로서 {100}면, {110}면 등을 가지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의 소정의 깊이에 수소, 헬륨, 또는 불소를 이온 조사함으로써 첨가하고, 그 후, 열 처리를 행하여 표층의 단결정 반도체층을 박리하는 이온 조사 박리법으로 형성하지만, 다공성(porous) 실리콘 위에 단결정 실리콘을 에피택시얼 성장(epitaxial growth)시킨 후, 다공성 실리콘층을 워터 젯(water jet)으로 벽개하여 박리하는 방법을 적용하여도 좋다.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으로서 단결정 실리콘 기판을 사용하여, 희석된 플루오르화 수소산으로 표면을 처리하여, 자연산화막의 제거와 표면에 부착되는 먼지 등의 오염물도 제거하여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 표면을 청정화한다.
취약화층(1110)은, 이온을 이온 도핑법(ID법이라고 함)이나 이온 주입법(II법이라고 함)에 의하여 조사하면 좋다. 취약화층(110)은 수소, 헬륨 또는 불소로 대표되는 할로겐의 이온을 조사함으로써 형성된다. 할로겐 원소로서 불소 이온을 조사할 경우에는 소스 가스로서 BF3를 사용하면 좋다. 또한, 이온 주입이란 이온화된 가스를 질량 분리하여 반도체 기판에 조사하는 방식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이온 주입법을 사용하여, 이온화된 수소 가스를 질량 분리하고, H+만(또는, H2 +만)을 선택적으로 가속하여 단결정 반도체 기판에 조사할 수 있다.
이온 도핑법은, 이온화된 가스를 질량 분리하지 않고, 플라즈마 중에서 복수종의 이온종을 만들고, 이들을 가속하여 단결정 반도체 기판에 조사한다. 예를 들어, H+, H2 +, H3 + 이온을 포함하는 수소에서는, 조사되는 이온은, 대표적으로 H3 + 이온이 50% 이상, 예를 들어 H3 + 이온이 80%, 다른 이온(H+, H2 + 이온)이 20%가 일반적이다. H3 + 이온의 이온종만으로 하여, 조사하는 것도 여기서는 이온 도프로 한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동일 원자로 이루어지는 질량이 상이한 이온을 조사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수소 이온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H+, H2 +, H3 + 이온을 포함시킴과 함께, H3 + 이온의 비율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소 이온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H+, H2 +, H3 + 이온을 포함시킴과 함께, H3 + 이온의 비율을 높이면, 조사 효율을 높일 수 있음으로써, 조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박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 이온 도핑법과 이온 주입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이온 도핑법에 사용하는 이온 도핑 장치(ID 장치라고도 함)에서는, 플라즈마 공간이 크고, 대량의 이온을 단결정 반도체 기판에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이온 주입 장치에 사용하는 이온 주입 장치(II 장치라고도 함)는, 플라즈마로부터 추출한 이온을 질량 분석하여 특정한 이온종만을 반도체 기판에 주입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고, 기본적으 로 점 빔을 스캔시켜 처리한다.
플라즈마 발생 방법으로서는, 어느 쪽의 장치나 예를 들어, 필라멘트를 가열함으로써 나오는 열 전자에 의하여 플라즈마 상태를 만든다. 그러나, 생성되는 수소 이온(H+, H2 +, H3 +)이 반도체 기판에 조사될 때의, 수소 이온종의 비율은, 이온 도핑법과 이온 주입법과는 크게 상이하다.
H3 +를 보다 많이 조사한다는 관점에서 보면, 이온 주입 장치보다 이온 도핑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할 수 있다.
단결정 실리콘 기판에 수소 이온이나 불소 이온과 같은 할로겐 이온을 조사한 경우, 첨가된 불소가 실리콘 결정 격자 내의 실리콘 원자를 녹 아웃(추방)함으로써 공백 부분을 효과적으로 만들어 내어, 취약화층에 미소한 공동(空洞)을 만든다. 이 경우, 비교적 저온의 열 처리에 의하여 취약화층에 형성된 미소한 공동의 체적 변화가 일어나, 취약화층을 따라 분리함으로써 얇은 단결정 반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불소 이온을 조사한 후에, 수소 이온을 조사하여 공동 내에 수소를 포함하도록 하여도 좋다. 단결정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얇은 반도체층을 박리하기 위하여 형성하는 취약화층은, 취약화층에 형성된 미소한 공동의 체적 변화를 이용하여 분리를 하므로, 이와 같이 불소 이온이나 수소 이온의 작용을 유효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결정 반도체 기판과 상기 단결정 반도체층과 접합하는 절연층 사이에, 보호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보호층은, 질화실리콘층, 산화실리콘층, 질화산화 실리콘층, 또는 산화질화실리콘층 중에서 선택된 한 층 또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구조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들의 층은, 단결정 반도체 기판에 취약화층이 형성되기 전에 단결정 반도체 기판 위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단결정 반도체 기판에 취약화층을 형성한 후에 단결정 반도체 기판 위에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산화질화실리콘층이란, 그 조성으로서, 질소보다도 산소의 함유량이 많은 것이며, 러더퍼드 후방 산란법(RBS: Rutherford Backscattering Spectrometry) 및 수소 전방 산란법(HFS: Hydrogen Forward Scattering)을 사용하여 측정한 경우에, 농도 범위로서 산소가 50atoms% 내지 70atoms%, 질소가 0.5atoms% 내지 15atoms%, Si이 25atoms% 내지 35atoms%, 수소가 0.1atoms% 내지 10atoms%의 범위에서 포함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질화산화실리콘층이란 그 조성으로서, 산소보다도 질소의 함유량이 많은 것으로, RBS 및 HFS를 사용하여 측정한 경우에, 농도범위로서 산소가 5atoms% 내지 30atoms%, 질소가 20atoms% 내지 55atoms%, Si가 25atoms% 내지 35atoms%, 수소가 10atoms% 내지 30atoms%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말한다. 다만, 산화질화실리콘 혹은 질화산화실리콘을 구성하는 원자의 합계를 100atoms%로 할 때, 질소, 산소, Si 및 수소의 함유 비율이 상기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취약화층의 형성에 있어서는 이온을 고도즈 조건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고,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의 표면이 거칠게 되어 버릴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이온이 조사되는 표면에 질화실리콘막, 질화산화실리콘막 혹은 산화실리콘막 등에 의하여 이온 조사에 대한 보호층을 50nm 내지 200nm의 두께로 설치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 위에 보호막으로서 플라즈마 CVD법에 의하여 산화질화실리콘막(막 두께 5nm 내지 300nm, 바람직하게는 30nm 내지 150nm(예를 들어 50nm))과 질화산화실리콘막(막 두께 5nm 내지 150nm, 바람직하게는 10nm 내지 100nm(예를 들어 50nm))의 적층을 형성한다. 일례로서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 위에 산화질화실리콘막을 막 두께 50nm 형성하고, 상기 산화질화실리콘막 위에 질화산화실리콘막을 막 두께 50nm 형성하여 적층한다. 산화질화실리콘막은 유기 실란 가스를 사용하여 화학 기상 성장법에 의하여 제작되는 산화실리콘막이라도 좋다.
또한,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을 탈지 세정하고,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하여 열 산화를 행하여도 좋다. 열 산화로서는 일반적인 드라이 산화도 좋지만, 산화 분위기 중에 할로겐을 첨가한 산화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산소에 대하여 HCl을 0.5부피% 내지 10부피%(바람직하게는 3부피%)의 비율로 포함하는 분위기 중에서, 700℃ 이상의 온도에서 열 처리를 행한다. 적합하게는 950℃ 내지 1100℃의 온도에서 열산화를 행하면 좋다. 처리 시간은 0.1시간 내지 6시간, 바람직하게는 0.5시간 내지 3.5시간으로 하면 좋다. 형성되는 산화막의 막 두께로서는, 10nm 내지 1000nm(바람직하게는 50nm 내지 200nm), 예를 들어 100nm의 두께로 한다.
할로겐을 포함하는 것으로서는 HCl 이외에, HF, NF3, HBr, Cl2, ClF3, BCl3, F2, Br2, 디클로로에틸렌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복수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도 범위에서 열 처리를 행함으로써 할로겐 원소에 의한 게터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터링으로서는, 특히 금속 불순물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즉, 염소의 작용에 의하여, 금속 등의 불순물이 휘발성의 염화물이 되어, 기상 중으로 이탈하여 제거된다.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의 표면을 화학적 기계 연마(CMP) 처리를 한 것에 대해서는 유효하다. 또한, 수소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과 형성되는 절연층의 계면의 결함을 보상하여, 계면의 국재 준위밀도를 저감하는 작용을 발휘하여,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과 절연층의 계면이 불활성화되어 전기적 특성이 안정화된다.
이 열 처리에 의하여 형성되는 산화막 중에 할로겐을 포함시킬 수 있다. 할로겐 원소는 1×1017/cm3 내지 5×1020/cm3의 농도로 포함됨으로써, 금속 등의 불순물을 포획하여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의 오염을 방지하는 보호막으로서의 기능을 발현시킬 수 있다.
취약화층(1110)을 형성할 때, 가속 전압과 전체 이온 수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 위에 퇴적한 막의 두께와, 목적으로 하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분리하여 투광성 기판 위에 전치되는 단결정 반도체층의 막 두께와, 조사하는 이온종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온 도핑법으로 원료로서 수소 가스를 사용하여, 가속 전압을 40kV, 이온의 총수 2×1016ions/cm2로 이온을 조사하여 취약화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의 막 두께를 두껍게 하면, 동일 조건으로 이온을 조사하여 취약화층을 형성 한 경우, 목적으로 하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분리하여 투광성 기판 위에 전치(전재(轉載))되는 단결정 반도체층으로서, 막 두께가 얇은 단결정 반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온종(H+, H2 +, H3 +이온)의 비율에 따라 다르지만, 상기 조건으로 취약화층을 형성하기로 하고, 보호층으로서 단결정 반도체 기판 위에 산화질화 실리콘막(막 두께 50nm)과 질화산화실리콘막(막 두께 50nm)을 보호층으로서 적층하는 경우, 투광성 기판에 전치되는 단결정 반도체층의 막 두께는 약 120nm가 되고, 단결정 반도체 기판 위에 산화질화실리콘막(막 두께 100nm)과 질화산화실리콘막(막 두께 50nm)을 보호층으로서 적층하는 경우에는, 투광성 기판에 전치되는 단결정 반도체층의 막 두께는 약 70nm가 된다.
헬륨(He)이나 수소를 원료 가스로 하는 경우, 가속 전압을 10kV 내지 200kV의 범위에서, 도즈량을 1×1016ions/cm2 내지 6×1016ions/cm2의 범위에서 조사하여, 취약화층을 형성할 수 있다. 헬륨을 원료 가스로 하면, 질량 분리를 하지 않아도 He+이온을 주된 이온으로서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수소를 원료 가스로 하면 H3 +이온이나 H2 +이온을 주된 이온으로서 조사할 수 있다. 이온종은, 플라즈마의 생성 방법, 압력, 원료 가스 공급량, 가속 전압에 따라서도 변화한다.
취약화층 형성의 다른 예로서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 위에 산화질화실리콘막(막 두께 50nm), 및 질화산화실리콘막(막 두께 50nm) 및 산화실리콘막(막 두께 50nm)을 보호층으로서 적층하여, 수소를 가속 전압 40kV, 도즈량 2×1016ions/cm2로 조사함으로써 단결정 반도체 기판에 취약화층을 형성한다. 그 후, 보호층의 최상층인 상기 산화실리콘막 위에 접합면을 가지는 절연층으로서 산화실리콘막(막 두께 50nm)을 형성한다. 취약화층 형성의 다른 예로서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 위에 산화실리콘막(막 두께 100nm), 및 질화산화실리콘막(막 두께 50nm)을 보호층으로서 적층하여, 수소를 가속 전압 40kV, 도즈량 2×1016ions/cm2로 조사함으로써 단결정 반도체 기판에 취약화층을 형성한다. 그 후, 보호층의 최상층인 상기 질화산화실리콘막 위에 접합면을 가지는 절연층으로서 산화실리콘막(막 두께 50nm)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산화질화실리콘막 및 질화산화실리콘막은 플라즈마 CVD법에 의하여 형성하면 좋고, 상기 산화실리콘막은 유기 실란 가스를 사용하여 CVD법에 의하여 형성하면 좋다.
또한, 투광성 기판과 단결정 반도체 기판 사이에 절연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절연층은, 투광성 기판 측, 또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 측, 어느 한 쪽이라도 좋고, 양 쪽에 형성하여도 좋다. 접합을 형성하는 면에 형성하는 절연층은, 평활면을 가지고, 침수성 표면을 형성한다. 상기 절연층으로서는, 신화실리콘막을 사용할 수 있다. 산화실리콘막으로서는 유기 실란 가스를 사용하여 화학 기상 성장법으로 제작되는 산화실리콘막이 바람직하다. 그 이외에 실란 가스를 사용하여 화학 기상 성장법에 의하여 제작되는 산화실리콘막을 적용할 수도 있다.
유기 실란 가스로서는, 규산 에틸(TEOS: 화학식 Si(OC2H5)4), 트리메틸실 란(TMS: (CH3)3SiH), 테트라메틸실란(화학식 Si(CH3)4), 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TMCTS),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OMCTS), 헥사메틸디실라잔(HMDS), 트리에톡시실란(SiH(OC2H5)3), 트리스디메틸아미노실란(SiH(N(CH3)2)3) 등의 실리콘 함유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료 가스에 유기 실란을 사용하여 화학 기상 성장법에 의하여, 산화실리콘층을 형성하는 경우, 산소를 부여하는 가스를 혼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소를 부여하는 가스로서는, 산소, 아산화질소, 이산화질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아르곤, 헬륨, 질소 또는 산소 등의 불활성 가스를 혼합시켜도 좋다.
또한, 접합을 형성하는 면에 절연층으로서, 모노실란, 디실란, 또는 트리실란 등의 실란을 원료 가스에 사용하여 화학 기상 성장법에 의하여 형성되는 산화실리콘막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도, 산소를 부여하는 가스나 불활성 가스 등을 혼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결정 반도체층과 접합하는 절연층이 되는 산화실리콘막은, 염소를 포함하여도 좋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화학 기상 성장(CVD; Chemical Vapor Deposition)법은, 플라즈마 CVD법, 열 CVD법, 광 CVD법을 범주에 포함한다.
그 외에, 접합을 형성하는 절연층으로서, 산화성 분위기하에 있어서 열 처리함으로써 형성되는 산화실리콘, 산화라디칼의 반응에 의하여 성장하는 산화실리콘, 산화성 약액에 의하여 형성되는 케미컬 옥사이드 등을 적용할 수도 있다. 절연층으로서, 실록산(Si-O-Si) 결합을 포함하는 절연층을 적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유기 실란 가스와, 산소 라디칼 또는 질소 라디칼을 반응시켜 절연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절연층에 있어서, 접합을 형성하는 면의 표면은, 산술 평균 거칠기 Ra가 0.8nm 미만, 제곱 평균 평방근 거칠기 Rms가 0.9nm 미만이 바람직하고, Ra가 0.4nm 이하, Rms가 0.5n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또한 Ra가 0.3nm 이하, Rms가 0.4nm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Ra가 0.27nm, Rms가 0.34nm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Ra는 산술 평균 거칠기이고, Rms는 제곱 평균 평방근 거칠기이고, 측정 범위는 2㎛2, 또는 10㎛2이다.
투광성 기판과 단결정 반도체층을 접합하는 것에 있어서, 접합을 형성하는 면의 한쪽 혹은 양쪽에, 바람직하게는 유기 실란을 원재료로 하여 성막한 산화 실리콘 막으로 이루어지는 절연층을 형성함으로써 강고한 접합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5b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광성 기판과 접합을 형성하는 면에 절연층(1104)으로서 산화실리콘막을 형성한다. 산화실리콘막으로서는, 유기 실란 가스를 사용하여 화학 기상 성장법에 의하여 제작되는 산화실리콘막이 바람직하다. 그 이외에 실란 가스를 사용하여 화학 기상 성장법에 의하여 제작되는 산화실리콘막을 적용할 수도 있다. 화학 기상 성장법에 의한 성막에서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에 형성한 취약화층(1110)으로부터 탈 가스가 일어나지 않는 온도로서, 예를 들어, 350℃ 이하(구체적인 예로서는 300℃)의 성막 온도가 적용된다. 또한, 단결정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단결정 반도체층을 박리하는 열 처리는, 성막 온도보다 높은 열 처리 온도가 적용된다.
투광성 기판에는, 불순물 원소의 확산을 방지하는 질화실리콘막 또는 질화산화실리콘막을 블로킹층(배리어층이라고도 함)으로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응력을 완화하는 작용이 있는 절연막으로서 산화질화실리콘막을 조합하여도 좋다.
도 15c는 투광성 기판(1101) 위에 형성된 블로킹층(1109)과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의 절연층(1104)이 형성된 면을 밀착시키고, 이 양자를 접합시키는 태양을 도시한다. 접합을 형성하는 면은, 충분히 청정화한 상태로 한다. 투광성 기판(1101) 위에 형성된 블로킹층(1109)과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의 절연층(1104)이 형성된 면은, 메가소닉(megasonic) 세정 등에 의하여 청정화시키면 좋다. 또한, 메가소닉 세정한 후에 오존수로 세정함으로써, 유기물을 제거시키고 표면의 친수성을 향상시켜도 좋다.
투광성 기판(1101) 위의 블로킹층(1109)과 절연층(1104)을 대향시켜, 1군데를 외부에서 가압하면, 국소적으로 접합면끼리의 거리가 짧아지는 것에 의한 반데르발스 힘(Van der Waal's forces)의 강함이나 수소 결합의 기여에 의하여, 서로 끌어 당긴다. 또한, 인접한 영역에서도 대향하는 투광성 기판(1101) 위의 블로킹층(1109)과 절연층(1104)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므로, 반데르발스 힘이 강하게 작용하는 영역이나 수소 결합이 관여하는 영역이 넓어지는 것에 의하여, 접합(본딩이라고도 함)이 진행되어, 접합면 전역에 접합이 확대된다.
가압할 때, 기판 네 모서리 중 1군데를 100kPa 내지 5000kPa의 압력으로 가압하면, 접합면끼리가 가까워지며, 반데르발스 힘으로부터 수소 결합으로 이행할 수 있다. 기판 내에 있어서, 1군데의 접합면이 근접되면, 인접하는 접합면도 근접 되어 수소 결합에 이행하므로, 접합면 전역이 수소 결합으로 이행할 수 있다.
양호한 접합을 형성하기 위하여, 표면을 활성화한 상태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접합을 형성하는 면에 원자 빔 혹은 이온 빔을 조사한다. 원자 빔 혹은 이온 빔을 이용할 경우에는, 아르곤 등의 불활성가스 중성 원자 빔 혹은 불활성 가스 이온 빔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이외에, 플라즈마 조사 혹은 라디칼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은 표면 처리에 의하여 200℃ 내지 400℃의 온도라도 이종 재료간의 접합을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투광성 기판과 절연층의 접합 계면의 접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열 처리를 행하면 좋다. 예를 들어, 오븐이나 노(爐, furnace) 등으로 70℃ 내지 350℃(예를 들면 200℃에서 2시간)의 온도 조건으로 열 처리를 행한다.
도 15d에 있어서, 투광성 기판(1101)과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을 부착한 후, 가열 처리를 행하여 취약화층(1110)을 벽개면으로 하여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을 투광성 기판(1101)으로부터 박리한다. 예를 들어, 400℃ 내지 700℃의 열 처리를 행함으로써, 취약화층(1110)에 형성된 미소한 공동의 체적 변화가 발생하여, 취약화층(1110)을 따라 벽개할 수 있게 된다. 절연층(1104)은 블로킹층(1109)을 통하여 투광성 기판(1101)과 접합하므로 투광성 기판(1101) 위에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과 같은 결정성의 단결정 반도체층(1102)이 잔존하게 된다.
400℃ 내지 700℃의 온도 영역에서의 열 처리는 상술한 접합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열 처리와 같은 장치로 연속하여 행하여도 좋고, 다른 장치로 행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노에서 200℃로 2시간 열 처리한 후에, 600℃ 근방까지 승온시 켜 2시간 유지하고, 400℃에서 실온까지의 온도 영역으로 강온시킨 후, 노로부터 추출한다. 또한, 열처리는 실온으로부터 승온하여도 좋다. 또한, 노를 사용하여 200℃로 2시간 열 처리한 후에, 순간 열 어닐링(RTA) 장치에 의하여 600℃ 내지 700℃ 의 온도 영역에서, 1분간 내지 30분간(예를 들어, 600℃로 7분간, 650℃로 7분간) 열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400℃ 내지 700℃의 온도 영역에서의 열 처리에 의하여, 절연층과 투광성 기판의 접합은 수소 결합에서 공유 결합으로 이행됨으로써, 취약화층에 첨가된 원소가 석출되고 압력이 상승되어, 단결정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단결정 반도체층을 박리할 수 있다. 열처리를 한 후에는 투광성 기판과 단결정 반도체 기판은, 한쪽이 다른 한 쪽에 실려 있는 상태이고, 큰 힘을 가하지 않고 투광성 기판과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쪽에 실려 있는 기판을 진공 척(chuck)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이 때, 하측의 기판을 진공 척이나 메커니컬 척으로 고정하면 수평 방향의 어긋남이 없이 투광성 기판 및 단결정 반도체 기판의 양 기판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도 15a 내지 도 16c에 있어서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이 투광성 기판(1101)보다 작은 사이즈의 예를 도시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과 투광성 기판(1101)이 같은 사이즈이어도 좋고,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이 투광성 기판(1101)보다 큰 사이즈이어도 좋다.
도 16a 내지 도 16c는 투광성 기판 측에 절연층을 형성하여 단결정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도시한다. 도 16a는 보호층(1121)으로서 산화실리콘막이 형성 된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에 전계에 의하여 가속된 이온을 소정의 깊이에 조사하여, 취약화층(1110)을 형성하는 공정을 도시한다. 이온의 조사는 도 15a의 경우와 같다.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의 표면에 보호층(1121)을 형성함으로써, 이온 조사에 의하여 표면이 데미지를 받아, 평탄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층(1121)에 의하여,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으로부터 형성되는 단결정 반도체층(1102)에 대한 불순물의 확산 방지 효과가 발현된다.
도 16b는, 블로킹층(1109) 및 절연층(1104)이 형성된 투광성 기판(1101)과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의 보호층(1121)이 형성된 면을 밀착시켜, 접합을 형성하는 공정을 도시한다. 투광성 기판(1101) 위의 절연층(1104)과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의 보호층(1121)을 밀착시킴으로써 접합이 형성된다.
그 후에, 도 1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을 박리한다. 단결정 반도체층을 박리하는 열 처리는 도 15d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행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16c에서 도시하는 절연층을 통하여, 단결정 반도체층을 가지는 SOI 구조의 반도체 기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단결정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분리하고, 투광성 기판에 전치된 단결정 반도체층은, 분리 공정 및 이온 주입 공정에 의하여, 결정 결함이 생기고, 또한, 그 표면은 평탄성이 손상되고, 요철이 형성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단결정 반도체층을 사용하여 반도체 소자로서 트랜지스터를 제작하는 경우, 이와 같은 요철이 있는 단결정 반도체층의 상면에 얇고, 절연 내압성이 높은 게이트 절연층을 형성하는 것은 어렵다. 또한, 단결정 반도체층에 결정 결함이 있으면, 게이트 절연층과 의 국재 계면 준위 밀도가 높아지는 등, 트랜지스터의 성능 및 신뢰성에 영향을 준다.
따라서 단결정 반도체층에 레이저 광과 같은 전자파를 조사하여, 결정 결함을 저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파를 조사함으로써, 단결정 반도체층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용융시켜, 단결정 반도체층 중의 결정 결함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전자파의 조사 전에 단결정 반도체층 표면에 형성된 산화막(자연산화막, 또는 케미컬 산화막)을 희석된 플루오르화 수소산으로 제거하면 좋다.
전자파는 단결정 반도체층에 높은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적합하게는 레이저 광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의 공급은, 고에너지를 가지는 입자를 조사 등에 의하여, 단결정 반도체층에 충돌시켜, 주로 열 전도에 의하여 행할 수도 있다. 고에너지를 가지는 입자를 제공하는 열원으로서는, 플라즈마를 사용할 수 있고, 상압 플라즈마, 고압 플라즈마, 열 플라즈마 제트, 가스 버너 등의 불꽃(炎)을 사용할 수 있고, 또, 다른 열원으로서는 전자 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전자파의 파장은, 단결정 반도체층에 흡수되는 파장으로 한다. 그 파장은, 전자파의 표피 깊이(skin depth)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파의 파장은 190nm 내지 600nm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파의 에너지는, 전자파의 파장, 전자파의 표피 깊이, 조사하는 단결정 반도체층의 막 두께 등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레이저 광을 발진하는 레이저는, 연속 발진 레이저, 유사 연속 발진 레이저 및 펄스 발진 레이저를 사용할 수 있다. 부분 용융시키기 때문에 펄스 발진 레이저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KrF 레이저 등의 엑시머 레이저, Ar 레이저, Kr 레이저 등의 기체 레이저가 있다. 이 이외에, 고체 레이저로서, YAG 레이저, YVO4 레이저, YLF 레이저, YAlO3 레이저, GdVO4 레이저, KGW 레이저, KYW 레이저, 알렉산드라이트 레이저, Ti: 사파이어 레이저, Y2O3 레이저 등이 있다. 또한, 엑시머 레이저는 펄스 발진 레이저이지만, YAG 레이저 등의 고체 레이저에는, 연속 발진 레이저, 유사 연속 발진 레이저, 펄스 발진 레이저가 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고체 레이저에 있어서는, 기본파의 제 2 고조파 내지 제 5 고조파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GaN, GaAs, GaAlAs, InGaAsP 등의 반도체 레이저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자파의 에너지를 단결정 반도체층에 조사할 수 있으면, 램프 광을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자외선 램프, 블랙 라이트, 할로겐 램프, 메탈 하라이드 램프, 크세논아크 램프, 카본 아크 램프, 고압 나트륨 램프, 또는 고압 수은 램프로부터 사출된 빛을 사용하여도 좋다. 상기 램프 광을 사용한 플래시 어닐링을 사용하여도 좋다. 할로겐 램프나 크세논 램프 등을 적합하게 사용하여 행하는 플래시 어닐링은 극단 시간의 처리로 충분하기 때문에, 투광성 기판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전자파의 형상이나 전자파의 진로를 조정하기 위하여, 셔터, 미러 또는 하프 미러 등의 반사체, 실린드리칼 렌즈나 볼록 렌즈 등에 의하여 구성되는 광학계가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전자파의 조사 방법은, 선택적으로 전자파를 조사하여도 좋고, 빛(전자파)을 XY축 방향으로 주사하여 빛(전자파)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광학계에 폴리곤 미러나 갈바노 미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파의 조사는, 대기 분위기 같은 산소를 포함하는 분위기, 또는 질소 분위기 같은 불활성 분위기에서 행할 수 있다. 불활성 분위기 중에서 전자파를 조사하기 위해서는, 기밀성이 있는 챔버 내에서 전자파를 조사하고, 이 챔버 내의 분위기를 제어하면 좋다. 챔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전자파의 피조사면에 질소 가스 등 불활성 가스를 분출함으로써, 질소 분위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전자파 조사 등의 고에너지가 공급되어, 결정 결함이 저감된 단결정 반도체층 표면에 연마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연마 처리에 의하여 단결정 반도체층 표면의 평탄성을 높일 수 있다.
연마 처리로서는 화학적 기계 연마(CMP)법이나 액체 제트 연마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연마 처리하기 전에 단결정 반도체층 표면을 세정함으로써, 청정화한다. 세정은, 메가소닉 세정이나 2 유체 젯 세정(two-fluid jet cleaning) 등을 사용하면 좋고, 세정에 의하여 단결정 반도체층 표면의 먼지 등을 제거한다. 또한, 희석된 플루오르화 수소산을 사용하여 단결정 반도체층 표면 위의 자연 산화막 등을 제거하여 단결정 반도체층을 노출시키면 바람직하다.
또한, 전자파를 조사하기 전에도 단결정 반도체층 표면에 연마 처리(또는 에칭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또한, 단결정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단결정 반도체층을 전재할 때,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선택적으로 에칭하여, 형상이 가공된 복수의 단결정 반도체층을, 투광성 기판에 전재하여도 좋다. 투광성 기판에는, 복수의 섬 형상의 단결정 반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미리, 단결정 반도체 기판에서 형상을 가공하여 전재하기 위하여, 단결정 반도체 기판의 크기나 형상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그래서, 대형 투광성 기판에 대한 단결정 반도체층의 전재를 더욱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투광성 기판 위에 부착된 단결정 반도체층에 대하여, 에칭을 행하여, 단결정 반도체층의 형상을 가공, 수정하여 정밀하게 제어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반도체 소자의 단결정 반도체층의 형상으로 가공할 수 있고, 레지스트 마스크 형성시에 노광의 유입 등에 의한 패턴 어긋남이나, 전재시의 접합 공정에 의한 위치 어긋남 등에 의한 단결정 반도체층의 형성 위치의 오차나 형상 불량을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투광성 기판에 원하는 형상의 복수의 단결정 반도체층을, 수율 좋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대면적 기판에 의하여 정밀한 고성능의 반도체 소자 및 집적 회로를 가지는 반도체 장치를 고(高)스루 풋으로 생산성 좋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단결정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단결정 반도체층을 분리하고 나서, 투광성 기판에 접합하여도 좋다. 벽개에 의하여 노출되는 단결정 반도체층의 표면을 투광성 기판 측을 향하여 접합하여도 좋고, 벽개에 의하여 노출되는 단결정 반도체층의 표면과 게이트 절연막이 접하도록 단결정 반도체층을 투광성 기판 위에 접합 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결정 반도체 기판(1108)으로서 단결정 실리콘 기판을 적용한 경우는, 단결정 반도체층(1102)으로서 단결정 실리콘층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프로세스 온도를 700℃ 이하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투광성 기판(1101)으로서 유리 기판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종래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마찬가지로 유리 기판 위에 형성할 수 있고, 또 단결정 실리콘층을 반도체층에 적용할 수 있게 된다. 이들에 의하여, 고속 동작이 가능하고, 서브 임계 값이 낮고, 전계 효과 이동도가 높고, 저소비 전압으로 구동 가능한 등, 고성능, 고신뢰성의 트랜지스터를 유리 기판 등의 투광성 기판 위에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과 적절히 조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2에 있어서, 단결정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투광성 기판으로 단결정 반도체층을 접합하는 공정의 다른 예를 나타낸다. 따라서, 실시형태 2와 동일 부분 또는 같은 기능을 가지는 부분의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단결정 반도체 기판 측의 처리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탈지 세정하여, 표면의 산화막을 제거하여 열 산화를 행한다. 열 산화로서는 산화 분위기 중에 할로겐을 첨가한 산화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산소에 대하여 HCl를 0.5부피% 내지 10부피%(바람직하게는 3부피%)의 비율로 포함하는 분위기 중에서, 700℃ 이상의 온도로 열 처리를 행한다. 적합하 게는 950℃ 내지 1100℃의 온도로 열 산화를 행하면 좋다. 처리 시간은 0.1시간 내지 6시간, 바람직하게는 0.5시간 내지 3.5시간으로 하면 좋다. 형성되는 산화막의 막 두께로서는, 10nm 내지 1000nm(바람직하게는, 50nm 내지 200nm), 예를 들어, 100nm의 두께로 한다.
할로겐을 포함하는 것으로서는 HCl 외에, HF, NF3, HBr, Cl2, ClF3, BCl3, F2, Br2 등으로부터 선택된 일종 또는 복수 종을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도 범위에서 열 처리를 행함으로써, 할로겐 원소에 의한 게터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터링으로서는, 특히 금속 불순물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즉, 염소의 작용에 의하여, 금속 등의 불순물이 휘발성의 염화물이 되어, 기상 중으로 이탈하여 제거된다. 단결정 반도체 기판의 표면을 화학적 기계 연마(CMP) 처리를 한 것에 대해서는 유효하다. 또한, 수소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과, 투광성 기판에 형성되는 절연층의 계면의 결함을 보상하여 계면의 국재 준위 밀도를 저감하는 작용을 가지고, 단결정 반도체 기판과 절연층의 계면이 불활성화되어 전기적 특성이 안정화된다.
이 열 처리에 의하여 형성되는 산화막 중에 할로겐을 포함시킬 수 있다. 할로겐 원소는 1×1017/cm3 내지 5×1020/cm3의 농도로 포함됨으로써 금속 등의 불순물을 포획하여 단결정 반도체 기판의 오염을 방지하는 보호층으로서의 기능을 발현시킬 수 있다.
단결정 반도체 기판에 이온을 도입하여, 취약화층을 형성한다. 취약화층이 형성되는 영역의 깊이는, 도입되는 이온의 가속 에너지와 입사각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다. 가속 에너지는, 가속 전압 등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이온을 도입할 때, 사용하는 가스로서는, 수소 가스, 희가스 등이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소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온 도핑법으로 수소 가스를 사용한 경우, 생성하는 이온 종은, H+, H2 + 및 H3 +이지만, H3 +가 가장 많이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3 +는, H+, H2 +보다 이온의 도입 효율이 좋고, 도입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그 후의 공정에 있어서, 취약화층에 균열이 생기기 쉬워진다.
다음에, 투광성 기판 측의 처리를 설명한다. 우선, 투광성 기판의 표면을 세정한다. 세정은, 염산 과수(HPM), 황산 과수(SPM), 암모니아 과수(APM), 희석된 플루오르화 수소산(DHF) 등을 사용하여 초음파 세정을 행하면 좋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염산 과수를 사용하여 초음파 세정을 행한다.
다음에, 세정에 의하여 표면의 먼지 등의 불순물 등이 제거된 투광성 기판에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평탄화 처리를 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라즈마 처리는 진공 챔버 내에서 아르곤(Ar)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를 사용하여, 피처리물인 투광성 기판에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플라즈마 상태로서 행한다. 불활성 가스와 함께, 산소(O2) 가스, 질소(N2) 가스를 도입하여도 좋다.
투광성 기판을 음극 방향으로 하고, 플라즈마 중의 Ar의 양 이온을 음극 방 향으로 가속하여, 투광성 기판에 충돌시킨다. Ar의 양 이온의 충돌에 의하여, 투광성 기판 표면이 스퍼터 에칭되어, 투광성 기판 표면의 볼록부를 에칭함으로써, 투광성 기판의 표면을 평탄화할 수 있다. 반응 가스는, 투광성 기판 표면의 스퍼터 에칭에 의하여 생기는 결함을 보상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에, 투광성 기판 위에 절연층을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리콘계의 절연층 이외의 절연층인 산화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산화막을 사용한다. 산화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산화막이란, 상기 산화막에 포함되는 성분의 합계를 100중량%로 할 때, 산화알루미늄을 10중량% 이상 포함하는 산화막을 말한다. 이 이외에도, 절연층으로서는, 산화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고, 산화마그네슘과 산화스트론튬 중, 한 쪽 또는 양쪽 모두가 포함되는 막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질소를 포함하는 산화알루미늄을 사용하여도 좋다.
절연층은, 스퍼터링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스퍼터링법에 사용하는 타깃으로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 또는 산화알루미늄 등의 금속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타깃의 재료는, 형성하는 막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좋다.
타깃으로서 금속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반응 가스(예를 들어, 산소)를 도입하면서 스퍼터링함(반응성 스퍼터링법)으로써, 절연층을 형성한다. 금속으로서는, 알루미늄 이외에 마그네슘(Mg), 알루미늄과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합금, 알루미늄과 스트론튬(Sr)을 포함하는 합금, 알루미늄과 마그네슘과 스트론튬(Sr)을 포함하는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퍼터링은, 직류(DC) 전원 또는 고주파(RF) 전 원을 사용하여 행하면 좋다.
타깃으로서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주파(RF) 전원을 사용하여 스퍼터링함(RF 스퍼터링법)으로써, 절연층을 형성한다. 금속 산화물로서는, 산화알루미늄 이외에 산화마그네슘, 산화스트론튬, 알루미늄과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산화물, 알루미늄과 스트론튬을 포함하는 산화물, 알루미늄과 마그네슘과 스트론튬을 포함하는 산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이외에도, 바이어스 스퍼터링법을 사용하여, 절연층을 형성하여도 좋다. 바이어스 스퍼터링법을 사용하면, 막의 퇴적과 표면의 평탄화를 양쪽 모두 행할 수 있다.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산화물은, 투광성 기판에 포함되는 가동 이온이나 수분 등의 불순물이, 그 후에 투광성 기판 위에 형성되는 단결정 반도체막에 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단결정 반도체 기판의 표면과 투광성 기판의 표면을 대향시켜, 단결정 반도체 기판과 절연층을 본딩한다. 단결정 반도체 기판과 투광성 기판 위에 형성된 절연층의 표면을 밀착시킴으로써, 접합이 형성된다.
또한, 단결정 반도체 기판과 투광성 기판을 본딩시키기 전에, 투광성 기판 위에 형성된 절연층의 표면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 2와 마찬가지로, 가열 처리를 행하고, 취약화층에서 분리(벽개)함으로써, 투광성 기판 위에 절연층을 통하여 단결정 반도체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단결정 반도체 기판 위에 형성되는 단결정 반도체층을 사용하여, 반도체 소자층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분리된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반복하여 이용하는 공정(반도체 기판 재생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분리된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추출한다. 에지 롤 오프의 영향에 따라, 단결정 반도체 기판의 단부에 있어서, 투광성 기판의 접합이 충분히 행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그 단부에 있어서, 단결정 반도체 기판은 취약화층에서 분리되지 않고, 절연층 등이 잔존하는 경우가 있다.
단결정 반도체 기판의 단부에 있어서의 잔사(殘渣) 부분을 제거한다. 잔사 부분은 웨트 에칭을 행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불화수소산과 불화암모늄과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혼합 용액(예를 들어, STELLA CHEMIFA사 제, 상품명: LAL500)을 에천트로서 사용하여 웨트 에칭을 행한다.
또한, 수소 이온이 도입된 취약화층은, TMAH(Tetra Methyl Ammonium Hydroxide,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시)로 대표되는 유기 알칼리계 수용액을 사용하여 웨트 에칭을 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처리를 행함으로써, 단결정 반도체 기판의 단부에 있어서의 잔사물에 의한 단차가 완화된다.
다음에,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할로겐 분위기 중에서 산화함으로써, 산화막을 형성하고, 그 후, 상기 산화막을 제거한다. 할로겐으로서는, 염화 수소(HCl)를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할로겐 원소에 의한 게터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터링으로서는, 특히 금속 불순물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즉, 염소의 작 용에 의하여, 금속 등의 불순물이 휘발성의 염화물이 되어, 기상 중으로 이탈하여 제거된다.
다음에, 단결정 반도체 기판에 연마 처리로서 CMP 처리를 행한다. 그 결과, 단결정 반도체 기판의 단부에 있어서의 단차를 제거하여, 단결정 반도체 기판의 표면을 평탄화할 수 있다. 그 후, 얻어진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모체 웨이퍼로서 다시 사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결정 반도체 기판의 재생 처리 공정에 의하여,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반복하여 사용함으로써,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단결정 반도체 기판의 재생 처리 공정을 사용함으로써,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반복하여 사용한 경우에도, 단결정 반도체 기판의 표면을 충분히 평탄화할 수 있으므로, 단결정 반도체 기판과 투광성 기판의 밀착성을 향상시켜, 접합 불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2와 조합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개시하는 발명에 의하여 얻어진 센서를 포함하는 다양한 전자 기기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발명이 적용되는 전자 기기로서, 컴퓨터, 디스플레이, 휴대전화, 텔레비전 등을 들 수 있다. 그들 전자 기기의 구체적인 예를 도 10a 내지 도 14에 도시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휴대전화이며, 도 10a는 본체(A(701)), 본체(B(702)), 케이스(703), 조작 키(704), 음성 출력부(705), 음성 입력부(706), 회로기판(707), 표시 패널(A(708)), 표시 패널(B(709)), 경첩(710), 투광성 재료부(711), 센서(712)를 가진다.
센서(712)는 투광성 재료부(711)를 투과한 광을 검지하고, 검지한 외부광의 조도에 맞추며, 표시 패널(A(708)) 및 표시 패널(B(709))의 휘도 컨트롤을 행하거나, 센서(712)에 의하여 얻어지는 조도에 맞추며, 조작 키(704)의 조명 제어를 행한다. 이에 따라 휴대전화의 소비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0b 및 도 10c에 휴대전화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10b 및 도 10c에 있어서, 본체(721), 케이스(722), 표시 패널(723), 조작 키(724), 음성 출력부(725), 음성 입력부(726), 센서(727), 센서(728)를 도시한다.
도 10b에 도시하는 휴대전화에서는, 본체(721)에 설치된 센서(727)에 의하여 외부의 빛을 검지함으로써 표시 패널(723) 및 조작 키(724)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0c에 도시하는 휴대전화에서는, 도 10b의 구성에 더하여, 본체(721)의 내부에 센서(728)를 설치하고 있다. 센서(728)에 의하여, 표시 패널(723)에 설치되는 백 라이트의 휘도를 검출할 수도 있게 된다.
도 11a는 컴퓨터이며, 본체(731), 케이스(732), 표시부(733), 키보드(734), 외부접속 포트(735), 포인팅 디바이스(736) 등을 포함한다.
또한, 도 11b는 표시장치의 예인 텔레비전 장치이며, 케이스(741), 지지대(742), 표시부(743) 등으로 구성된다.
도 11a의 컴퓨터에 설치되는 표시부(733), 및 도 11b에 도시하는 표시장치의 표시부(743)로서, 액정 패널을 사용한 경우의 자세한 구성을 도 12에 도시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액정 패널(762)은, 케이스(761)에 내장되고, 기판(751a) 및 기판(751b), 기판(751a) 및 기판(751b)에 끼워진 액정층(755), 편광 필터(752a) 및 편광 필터(752b), 및 백 라이트(753) 등을 가진다. 또한 케이스(761)에는 센서(754)가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발명을 사용하여 제작된 센서(754)는 백 라이트(753)로부터의 광량을 감지하고, 그 정보가 피드백 되어 액정 패널(762)의 휘도가 조절된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발명을 사용한 센서(810)를 포함하는 카메라,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a는 디지털 카메라의 전면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13b는 후면 방향에서 본 사시도다. 도 13a에 있어서, 디지털 카메라에는, 릴리스 버튼(801), 메인 스위치(802), 파인더 창(803), 플래시(804), 렌즈(805), 경통(806), 케이스(807)가 구비된다.
또한 도 13b에 있어서, 파인더 접안창(811), 모니터(812), 조작 버튼(813a, 813b)이 구비된다.
릴리스 버튼(801)은, 절반의 위치까지 눌리면, 초점 조정 기구 및 노출 조정 기구가 작동하고, 최하부까지 눌리면 셔터가 열린다.
메인 스위치(802)는, 가압 또는 회전에 의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전원의 온/오프(ON/OFF)를 전환한다.
파인더 창(803)은, 디지털 카메라의 전방 면의 렌즈(805)의 상부에 배치되 고, 도 13b에 도시하는 파인더 접안창(811)에서 촬영하는 범위나 초점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다.
플래시(804)는, 디지털 카메라의 전면 상부에 배치되고, 피사체 휘도가 낮을 때에, 릴리스 버튼이 눌림으로써 셔터가 열림과 동시에 보조광을 조사한다.
렌즈(805)는, 디지털 카메라의 정면에 배치된다. 렌즈는, 포커싱 렌즈, 줌 렌즈 등으로 구성되며, 도시하지 않는 셔터 및 조리개와 함께 촬영 광학계를 구성한다. 또한, 렌즈의 후방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촬상(撮像) 소자가 설치된다.
경통(806)은, 포커싱 렌즈, 줌 렌즈 등의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렌즈의 위치를 이동하는 것이며, 촬영시에는, 경통을 빼내는 것에 의하여, 렌즈(805)를 앞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휴대시에는, 렌즈(805)를 집어넣어서 콤팩트하게 한다. 이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경통을 빼내는 것에 의하여 피사체를 줌 촬영할 수 있는 구조로 하지만, 이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스(807) 내에서의 촬영 광학계의 구성에 의하여 경통을 빼내지 않더라도 줌 촬영이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라도 좋다.
파인더 접안창(811)은, 디지털 카메라의 후면 상부에 설치되어, 촬영하는 범위나 초점의 위치를 확인할 때에 접안하기 위하여 설치된 창이다.
조작 버튼(813)은, 디지털 카메라의 후면에 설치된 각종 기능 버튼이며, 셋 업 버튼, 메뉴 버튼, 디스플레이 버튼, 기능 버튼, 선택 버튼 등으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발명을 적용하여, 센서(810)를 13a 및 도 13b에 도시하는 카메라에 내장하면, 센서(810)가 빛의 유무 및 강도를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카메라의 노출 조정 등을 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센서는, 박형이기 때문에 실장하여도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센서와 같은 부품의 소형화는, 휴대용 전자 기기에 이용할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발명은, 음향 재생 기능을 가지는 휴대 정보 단말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4는, 디지털 플레이어를 도시하며, 오디오 장치의 하나의 대표적인 예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디지털 플레이어는, 본체(2130), 표시부(2131), 메모리부(2132), 조작부(2133), 이어폰(2134), 센서(2135), 센서(2136), 제어부(2137) 등을 포함한다. 또한, 이어폰(2134) 대신에 헤드폰이나 무선식 이어폰을 사용할 수 있다.
센서(2135)는 빛을 검출하는 광 센서이므로, 이어폰에 있어서, 이어폰을 장착할 때에 차광되는 영역에 설치된다. 한편, 센서(2136)는 감압 센서이므로, 이어폰에 있어서 이어폰을 장착할 때에 귀와 접촉하는 영역에 설치된다. 센서(2135)에 있어서는 광의 검출의 유무, 센서(2136)에서는 압력의 검출의 유무에 의하여, 이어폰의 장착, 비장착을 검출할 수 있다. 센서(2135) 및 센서(2136)로부터 검출된 정보에 의하여 제어부(2137)가, 이어폰의 장착시는 디지털 플레이어가 온(on), 비장착시는 오프(off)가 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디지털 플레이어 본체(2130)의 조작부(2133)를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이어폰의 장착, 비장착에 따라 자동적으로 디지털 플레이어의 온, 오프의 변환을 행할 수 있다.
센서(2138)로서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컬러 센서를 사용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광을 검지하고, 검지한 외부광의 조도에 맞춰서 표시부(2131)의 휘도를 제 어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2132)를 사용하여, 조작부(2133)를 조작함으로써, 영상이나 음성(음악)을 기록,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131)는 흑색 배경에 백색 문자를 표시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2132)에 형성된 메모리는, 추출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하는 발명의 반도체 장치는 그 외의 전자 기기, 예를 들어, 프로젝션 TV, 네비게이션 시스템 등에 응용할 수 있다. 즉, 빛을 검출할 필요가 있는 것이면 어떠한 것에나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 내지 실시형태 3과 조합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2a 및 도 2b는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f는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9a 내지 도 9f는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a 내지 도 10c는 반도체 장치를 실장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반도체 장치를 실장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반도체 장치를 실장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a 및 도 13b는 반도체 장치를 실장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반도체 장치를 실장한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a 내지 도 15d는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6a 내지 도 16c는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7은 실시예의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 18a 및 도 18b는 반도체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R, 101G, 101B: 반도체 소자층
109R, 109G, 109B: 투광성 기판
112R, 1121G, 112B: 반도체 집적 회로
114R, 114G, 114B: 투광성 수지층
115R1, 115R2: 단자 전극
115G1, 115G2: 단자 전극
115B1, 115B2: 단자 전극
160: 인터포저
161a1, 161a2: 전극
161b1, 161b2: 전극
161c1, 161c2: 전극
162: 이방성 도전층

Claims (28)

  1. 인터포저(interposer)상에 실장되는 제 1 및 제 2 반도체 집적 회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반도체 집적 회로들 각각은:
    단면에 있어서 철자 형상(거꾸로 된 T자 블록 형상)을 가지는 투광성 기판과;
    상기 투광성 기판의 제 1 표면 위에 제공된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층과;
    상기 투광성 기판의 제 2 표면 및 상기 투광성 기판의 측면의 일부를 덮는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반도체 집적 회로의 상기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 및 상기 제 2 반도체 집적 회로의 상기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은 상이한 착색 재료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은 서로에 반대인, 반도체 장치.
  2. 인터포저상에 실장되는 제 1 및 제 2 반도체 집적 회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반도체 집적 회로들 각각은:
    단면에 있어서 계단 상태의 사다리꼴의 형상을 가지는 투광성 기판과;
    상기 투광성 기판의 제 1 표면 위에 제공된 광전 변환 소자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층과;
    상기 투광성 기판의 제 2 표면 및 상기 투광성 기판의 측면의 일부를 덮는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반도체 집적 회로의 상기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 및 상기 제 2 반도체 집적 회로의 상기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은 상이한 착색 재료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표면 및 상기 제 2 표면은 서로에 반대인, 반도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을 통과하는 광의 색들은 적색, 녹색, 청색 중에서 임의의 2개인, 반도체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반도체 집적 회로들은 땜납에 의하여 상기 인터포저에 실장되는, 반도체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반도체 집적 회로들은 수지로 상기 인터포저에 고정되는, 반도체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들 각각 위에 적층되는 투광성 수지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투광성 수지층은 상기 제 1 반도체 집적 회로 및 상기 제 2 반도체 집적 회로의 측면들과, 상기 인터포저와의 접속부를 덮는, 반도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수지층의 두께는 상기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들의 두께보다 두꺼운, 반도체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들 중 하나와 접하는 상기 투광성 기판의 상기 측면은 곡면인, 반도체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기판의 하저면 및 상기 투광성 기판의 상저면은 사각형인, 반도체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반도체 집적 회로들은 상기 광전 변환 소자의 출력을 증폭하는 증폭 회로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 변환 소자는 p형 반도체층과, i형 반도체층과, n형 반도체층으로 형성된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기판은 유리 기판인, 반도체 장치.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채색의 투광성 수지층을 통과하는 광의 색들은 시안, 마젠타, 옐로우 중에서 임의의 2개인, 반도체 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090007498A 2008-02-01 2009-01-30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7060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22550 2008-02-01
JP2008022550 2008-0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749A KR20090084749A (ko) 2009-08-05
KR101706068B1 true KR101706068B1 (ko) 2017-02-14

Family

ID=40930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498A Expired - Fee Related KR101706068B1 (ko) 2008-02-01 2009-01-30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227886B2 (ko)
JP (1) JP5376961B2 (ko)
KR (1) KR1017060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75840B1 (en) * 2007-12-28 2014-08-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dicing a wafer with semiconductor elements formed thereon and corresponding device
JP5317712B2 (ja) * 2008-01-22 2013-10-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JP5518381B2 (ja) 2008-07-10 2014-06-1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カラーセンサ及び当該カラーセンサを具備する電子機器
KR20100088833A (ko) * 2009-02-02 2010-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어폰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WO2011035090A1 (en) * 2009-09-17 2011-03-24 Tetrasun, Inc. Selective transformation in functional films, and solar cell applications thereof
KR101128546B1 (ko) * 2010-09-06 2012-03-27 삼성전기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상기 태양전지 모듈을 구비하는 모바일 장치
US9496454B2 (en) 2011-03-22 2016-11-15 Micron Technology, Inc. Solid state optoelectronic device with plated support substrate
JP5982172B2 (ja) * 2012-05-15 2016-08-31 株式会社ディスコ ウエーハのレーザー加工方法
JP6264211B2 (ja) * 2014-07-10 2018-01-2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CN104218190B (zh) * 2014-08-26 2017-02-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器件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CN105097724A (zh) * 2015-08-13 2015-11-25 苏州晶方半导体科技股份有限公司 封装结构及封装方法
US10490583B2 (en) 2015-08-13 2019-11-26 China Wafer Level Csp Co., Ltd. Packaging structure and packaging method
TWI730017B (zh) 2016-08-09 2021-06-1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的製造方法、顯示裝置、顯示模組及電子裝置
JP2018113281A (ja) * 2017-01-06 2018-07-19 株式会社ディスコ 樹脂パッケージ基板の加工方法
DE102019116103B4 (de) * 2019-06-13 2021-04-22 Notion Systems GmbH Verfahren zum Beschriften einer Leiterplatte durch Erzeugen von Schattierungen in einer funktionalen Lackschicht

Family Cites Families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3894B1 (ko) 1989-01-25 1993-05-15 아사히가세이고오교가부시끼가이샤 신규한 프리프레그와 복합 성형체, 및 복합 성형체의 제조방법
JP2564728B2 (ja) 1991-02-28 1996-12-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集積回路チップの実装方法
US5261156A (en) 1991-02-28 1993-11-1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of electrically connecting an integrated circuit to an electric device
JPH0677510A (ja) 1992-08-24 1994-03-18 Canon Inc 光起電力素子
FR2714425B1 (fr) 1993-12-24 1996-03-15 Inst Francais Du Petrole Dispositif et méthode d'actionnement à distance d'un équipement - application à une garniture de forage.
JP3406727B2 (ja) 1995-03-10 2003-05-1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
US5757456A (en) 1995-03-10 1998-05-2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involving peeling circuits from one substrate and mounting on other
US5834327A (en) 1995-03-18 1998-11-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producing display device
JP3638656B2 (ja) 1995-03-18 2005-04-1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及びその作製方法
JPH1092980A (ja) 1996-09-13 1998-04-10 Toshiba Corp 無線カー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910687A (en) 1997-01-24 1999-06-08 Chipscale, Inc. Wafer fabrication of die-bottom contacts for electronic devices
JPH11160734A (ja) 1997-11-28 1999-06-1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液晶電気光学装置
JP3847494B2 (ja) 1998-12-14 2006-11-22 シャープ株式会社 二次元画像検出器の製造方法
US6224965B1 (en) 1999-06-25 2001-05-0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icrofiber dielectrics which facilitate laser via drilling
JP2001064029A (ja) 1999-08-27 2001-03-13 Toyo Commun Equip Co Ltd 多層ガラス基板及び、その切断方法
JP4423779B2 (ja) 1999-10-13 2010-03-03 味の素株式会社 エポキシ樹脂組成物並びに該組成物を用いた接着フィルム及びプリプレグ、及びこれらを用いた多層プリント配線板及びその製造法
US6882012B2 (en) 2000-02-28 2005-04-1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2329576A (ja) 2001-04-27 2002-11-15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US20050009298A1 (en) 2001-09-20 2005-01-13 Shuichi Suzuki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0430001B1 (ko) 2001-12-18 2004-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층기판의 제조방법, 그 다층기판의 패드 형성방법 및 그다층기판을 이용한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
US6607941B2 (en) 2002-01-11 2003-08-19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Process and structure improvements to shellcase style packaging technology
JP2003255386A (ja) 2002-03-01 2003-09-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装置
US6908784B1 (en) 2002-03-06 2005-06-21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for fabricating encapsulated semiconductor components
US7485489B2 (en) 2002-06-19 2009-02-03 Bjoersell Sten Electronics circuit manufacture
US7033664B2 (en) 2002-10-22 2006-04-25 Tessera Technologies Hungary Kft Methods for producing packaged integrated circuit devices and packaged integrated circuit devices produced thereby
TWI227550B (en) 2002-10-30 2005-02-01 Sanyo Electric Co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2004265889A (ja) 2003-01-16 2004-09-24 Tdk Corp 光電変換素子、光電変換装置、及び鉄シリサイド膜
JP2004363380A (ja) 2003-06-05 2004-12-24 Sanyo Electric Co Ltd 光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026314A (ja) 2003-06-30 2005-01-27 Sanyo Electric Co Ltd 固体撮像素子の製造方法
US20050233122A1 (en) 2004-04-19 2005-10-20 Mikio Nishimura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d substrat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of semiconductor device for module and laminated substrate for use therein
JP2006032886A (ja) 2004-06-15 2006-02-02 Fuji Photo Film Co Ltd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4365743B2 (ja) * 2004-07-27 2009-11-18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撮像装置
US8704803B2 (en) 2004-08-27 2014-04-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using the display device
US8153511B2 (en) 2005-05-30 2012-04-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JP2007134454A (ja) 2005-11-09 2007-05-31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7936062B2 (en) 2006-01-23 2011-05-03 Tessera Technologies Ireland Limited Wafer level chip packaging
JP2007331983A (ja) 2006-06-15 2007-12-27 Sony Corp ガラスのスクライブ方法
US9159888B2 (en) 2007-01-22 2015-10-13 Cree, Inc. Wafer level phosphor coating method and devices fabricated utilizing method
US7833881B2 (en) 2007-03-02 2010-11-16 Micron Technology, Inc. Methods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components and packaged semiconductor components
EP1970951A3 (en) 2007-03-13 2009-05-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1970952A3 (en) 2007-03-13 2009-05-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1976001A3 (en) 2007-03-26 2012-08-2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1441346B1 (ko) * 2007-04-27 2014-09-1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작 방법
US20090004764A1 (en) 2007-06-29 2009-01-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OI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101401528B1 (ko) 2007-06-29 2014-06-0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광전변환장치 및 그 광전변환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EP2075840B1 (en) 2007-12-28 2014-08-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dicing a wafer with semiconductor elements formed thereon and corresponding device
JP5437626B2 (ja) 2007-12-28 2014-03-1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JP5317712B2 (ja) 2008-01-22 2013-10-1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US8049292B2 (en) 2008-03-27 2011-11-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76961B2 (ja) 2013-12-25
US20090194154A1 (en) 2009-08-06
KR20090084749A (ko) 2009-08-05
JP2009206504A (ja) 2009-09-10
US8227886B2 (en) 201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6068B1 (ko)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
KR101641368B1 (ko) 반도체 장치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US8610152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TWI480984B (zh) 半導體裝置以及半導體裝置的製造方法
KR101644414B1 (ko) 컬러 센서 및 상기 컬러 센서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JP5587558B2 (ja) 光電変換装置
CN101714519B (zh) 半导体装置的制造方法
JP5303161B2 (ja)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US2012004588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oi subst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2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1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2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