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01811B1 -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811B1
KR101701811B1 KR1020140102470A KR20140102470A KR101701811B1 KR 101701811 B1 KR101701811 B1 KR 101701811B1 KR 1020140102470 A KR1020140102470 A KR 1020140102470A KR 20140102470 A KR20140102470 A KR 20140102470A KR 101701811 B1 KR101701811 B1 KR 1017018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red ginseng
curd
garlic
black garl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2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8997A (ko
Inventor
정병현
허진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허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허진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02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811B1/ko
Publication of KR20160018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81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OR TREATMENT THEREOF
    • A23C19/00Cheese; Cheese preparations; Making thereof
    • A23C19/06Treating cheese curd after whey separation; Products obtained thereby
    • A23C19/09Other cheese preparations; Mixtures of cheese with othe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Dairy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즈 제조 시 유청이 제거된 커드에 흑마늘 진액, 흑마늘 후레이크, 홍삼 또는 인삼 진액 및 진토닌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성분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함으로써 마늘의 섭취성 및 효능을 극대화시킨 흑마늘 진액과 체내 흡수율을 높인 홍삼 또는 인삼 진액 및 인삼으로부터 분리한 당지질단백질은 진토닌을 포함하여 흑마늘의 기능과 사포닌의 기능을 최적으로 함유하여 관능이 우수하고, 유통과 섭취가 간편하여 건강기능식품을 선호하는 현대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red ginseng cheese containing black garlic}
본 발명은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즈 제조 시 유청이 제거된 커드에 흑마늘 진액, 흑마늘 후레이크, 홍삼 또는 인삼 진액 및 진토닌(gintonin)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흑마늘의 기능, 사포닌의 기능 및 진토닌의 기능을 최적으로 함유하여 관능이 우수하고, 유통과 섭취가 간편한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백합과식물 중 가장 매운 맛과 가장 특유한 향취를 가지고 있는 마늘은 지난 수천 년 동안 음식물 양념재료로, 건강식품으로 많은 문화권에서 중요하게 사용되어 왔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기원전 2500년대에 최고의 강장식품으로 애용되었고, 그리스시대에서는 히포크라테스가 감염된 폐에 생마늘을 처방할 정도로 약리적 효과가 높은 식물로 취급하였다.
이후 마늘은 마늘의 특유한 향취와 맛 때문에 약용으로서 처방과 양념으로서의 가치를 제한적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18세기에는 유럽과 미주에서는 불결하고 저급한 식품재료로 취급되기도 하였으나, 세계 제2차 대전 중에는 페니실린이라 할 만큼 항균성작용이 강한 식품이기에 연구자들은 이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는 과학의 발달로 마늘에 대한 각종 석분의 분석과 각 물질의 약리적 작용이 밝혀지면서 건강에 아주 유익한 식품으로서의 가치에 대한 연구결과가 잇따라 발표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마늘 소비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비교적으로 마늘을 꺼린다는 미국도 1970년대에는 마늘 소비량이 265만 파운드에 지나지 않았지만 1990년대에는 4배인 2,500만 파운드로 급증하였다.
이와 같이 전 세계적으로 건강식품으로서 선호하는 마늘은 기본적으로 알린(alliin), 알리신(allicin)과 관련된 황화합물들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서 다양한 생리활성물질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는 것이 매우 구체적으로 보고되어 있다. 또한 이 물질들은 각종 병원미생물에 대한 항균효과와 혈관내 혈전형성 억제효과,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암세포의 성장 억제효과 및 암세포의 이동 억제 효과, 면역 증진 효과 등 많은 유익한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예방의학적 차원에서 질병을 예방 할 수 있는 매우 탁월한 건강식품으로 애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마늘의 생리활성물질의 기능에 대한 예방의학적 효험을 얻기 위해서는 적정량을 적정한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장기간 섭취하여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아래와 같은 여건에서 그 효험을 얻지 못하고 있다.
첫째, 인간의 본성으로 질병진단을 받았거나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약물의 효험이 가시적으로 나타나도록 적정량, 간격, 기간 동안 약물을 복용하게 되므로, 약물은 생체에서 약리적 작용으로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장기간 동안 먹어야 하는 건강식품을 당장에는 아무런 이상이 없는 가상의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먹는 사람의 대부분은 적정량을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장기간 섭취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
둘째, 기호성 문제에 있어서 마늘의 특이한 향취와 맛에 익숙하지 못한 사람이나 어린이들은 마늘의 향취나 맛 그 자체를 싫어할 뿐만 아니라, 특히 어린이들은 건강식품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부모가 질병 예방적 차원에서 어린이들에게 섭취를 권장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대부분 실행이 어렵다.
셋째, 마늘을 좋아하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마늘의 특이취를 좋아하는 사람은 드물다. 대부분 마늘은 음식에 포함되어 그 음식물의 기호성을 향상시키고 있으나, 상품화된 마늘제품에서 나오는 마늘 고유의 특이취를 좋아하는 사람은 드물다. 특히 마늘제품을 전시할 경우 주위의 공기는 물론 이와 접하고 있는 다른 제품에까지 마늘의 향취가 묻어나게 되는 특이성을 가지고 있어서 판매망 구축에 제한 적이다.
넷째, 마늘은 소화기관의 점막에 물리적 자극성에 있어서 마늘의 매운 맛 그 자체가 위점막을 자극하여 마늘 섭취 후 위장점막의 이물감을 느끼게 되며, 이에 마늘은 다른 음식과 함께 섭취해야하므로 적정양을 섭취할 기회가 제한적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국민들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누구나 쉽게 일정량을 연속적으로 마늘을 섭취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판매업소에서 다른 제품과 같은 장소에 진열이 가능하여야 하고,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어야 하고, 거부감이 있는 향취가 없고 기호성이 좋아야 하고, 안전하고 안정된 식품으로 제조과정이 간편하여 가격이 저렴하여야 한다.
또한 사포닌을 함유하는 인삼을 포함한 홍삼은 고대로부터 그 효험이 입증되어 있어서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인삼과 홍삼에서 유래되는 당지질단백질인 진토닌(gintonin)은 인삼 또는 홍삼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으로 최근에 알려진 신물질이다. 진토닌은 항암 및 암 전이 억제효과와 신경전구세포(neural progenitor cells)의 증식 또는 신경세포 신생(neurogenesis)을 촉진함으로 뇌졸중, 치매, 파킨슨병 등과 같은 퇴행성뇌신경계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물질임을 보고되어 있다. 이에 우리나라가 직면한 노령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사회에서 암이나 퇴행성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험이 있는 사포닌을 포함한 진토닌을 저렴한 가격으로 유통 및 섭취가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
국내등록특허 제10-1134545호 국내공개특허 제10-1996-0013217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마늘의 섭취성 및 효능을 극대화시킨 흑마늘 진액과 체내 흡수율을 높인 홍삼 또는 인삼 진액 및 인삼으로부터 분리한 당지질단백질은 진토닌을 포함하여 흑마늘의 기능, 사포닌의 기능 및 진토닌의 기능을 최적으로 함유하여 관능이 우수한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마늘 특유의 맛과 특이취 및 자극성을 없애주고, 기능성과 기호성을 향상시켜 마늘의 섭취성 및 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편리하게 가공 정제되어 기존 제품들과 같이 쉽게 유통되며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섭취가 간편하여 건강기능식품을 선호하는 현대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국민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는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S1)원유를 살균처리하는 단계;
(S2)상기 살균된 원유를 발효 및 응고시켜 커드를 제조하는 단계;
(S3)상기 커드를 절단한 후 유청을 제거하는 단계;
(S4)상기 유청이 제거된 커드에 흑마늘 진액 또는 흑마늘 후레이크 중 선택된 흑마늘 성분과, 홍삼 진액, 인삼 진액 및 진토닌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인삼 성분을 첨가하는 단계; 및
(S5)상기 흑마늘 성분과 인삼 성분이 첨가된 커드를 숙성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S2)단계의 발효는 스트렙토코커스속 균주(Streptococcus spp.), 락토바실러스속 균주(Lactobacillus spp.), 류코노스톡속 균주(Leuconostoc spp.), 락토코커스속 균주(Lactococcus spp.) 등의 스타터 균주를 첨가하여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 (S2)단계의 응고는 발효된 원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 또는 렌넷(rennet)을 10~50중량부를 첨가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3)단계의 유청 제거는 절단된 커드를 30~35℃에서 30~60분 동안 교반하여 유청을 1차 제거한 다음, 70~75℃의 온수를 첨가하여 35~40℃에서 30~60분 동안 교반하여 유청을 2차 제거하는 단계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S4)단계에서 흑마늘 진액, 흑마늘 후레이크, 홍삼 진액, 인삼 진액 또는 진토닌은 유청이 제거된 커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흑마늘 진액은 0.1~20중량부, 흑마늘은 0.01~10중량부, 홍삼 진액 또는 인삼 진액은 0.001~10중량부 및 진토닌은 0.001~10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S4)단계의 흑마늘 진액은 흑마늘을 50~80℃의 온도에서 10~25일간 발효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발효숙성된 흑마늘과 정제수를 1:1~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고압여과하는 단계; 및 상기 흑마늘 용해액을 80~120℃의 온도로 15~25일간 가열하여 40~50브릭스(brix)로 농축하는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S4)단계의 흑마늘 후레이크는 0.1~10㎜의 크기로 부정형이다.
상기 (S4)단계의 홍삼 진액 또는 인삼 진액은 인삼, 홍삼, 발효홍삼, 수삼, 백삼, 재배삼, 장뇌삼, 미삼, 산삼배양근, 산삼, 인삼진액을 추출한 찌꺼기인 인삼박이나 홍삼박 등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상기 (S4)단계의 진토닌은 인삼으로부터 분리한 당지질단백질이다.
상기 (S5)단계의 숙성은 10~15℃의 온도 및 90~95%의 습도를 유지시키면서 3~6개월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으로 제조되어 흑마늘 진액, 흑마늘 후레이크, 홍삼 또는 인삼 진액 및 진토닌을 포함하는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늘 특유의 맛과 특이취 및 자극성을 없애 마늘의 섭취성 및 효능을 극대화시킨 흑마늘 진액과 체내 흡수율을 높인 홍삼 또는 인삼 진액 및 인삼으로부터 분리한 당지질단백질은 진토닌을 포함하여 흑마늘의 기능, 사포닌의 기능 및 진토닌의 기능을 최적으로 함유하여 관능이 우수하며, 편리하게 가공 정제되어 기존 제품들과 같이 쉽게 유통되며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섭취가 간편하여 건강기능식품을 선호하는 현대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국민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건강식품으로의 효능이 입증된 마늘의 섭취를 증진시켜 인류 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고, 체내 흡수율을 높인 홍삼, 인삼 진액 및 진토닌을 포함하여 사포닌의 기능을 최적으로 발현할 수 있으며, 유통과 섭취가 간편하여 건강기능식품을 선호하는 현대인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원유를 살균처리하는 단계, 상기 살균된 원유를 발효 및 응고시켜 커드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커드를 절단한 후 유청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유청이 제거된 커드에 흑마늘 진액 또는 흑마늘 후레이크 중 선택된 흑마늘 성분과, 홍삼 진액, 인삼 진액 및 진토닌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인삼 성분을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흑마늘 성분과 인삼 성분이 첨가된 커드를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S1) 원유 살균
본 발명의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를 위하여 먼저 치즈의 주원료인 원유를 살균처리한다. 이때 상기 살균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실시하는 저온 또는 고온 살균법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65℃의 온도에서 20~40분 동안 저온살균하는 것이 좋다.
(S3) 발효 및 응고
상기와 같이 살균된 원유는 발효 및 응고시켜 커드(curd)를 제조한다.
상기 발효는 살균 처리된 원유에 스타터 균주를 첨가하여 발효시킬 수 있다.
상기 스타터(starter)는 우유를 발효시키는 것으로서 발효를 도와주는 유산균이나 곰팡이를 순수배양한 액체나 분말을 말한다. 유산균 스타터는 유산을 생성하고 단백질을 분해하여 풍미를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하고, 곰팡이를 이용한 치즈 제조 시에는 곰팡이 스타터와 함께 사용되기도 하며, 단백질 및 지방을 분해하여 특유의 풍미나 조직을 만들어 숙성을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스타터 균주로는 치즈를 발효시키는데 사용되는 통상의 균주라면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스트렙토코커스속 균주(Streptococcus spp.), 락토바실러스속 균주(Lactobacillus spp.), 류코노스톡속 균주(Leuconostoc spp.), 락토코커스속 균주(Lactococcus spp.)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타터 균주는 원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0.5~2.0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발효시간은 제조하고자 하는 치즈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0~60분 동안 발효시키는 것이 좋다.
상기 스타터 균주에 의한 발효 이후에는 원유를 응고시켜 커드를 제조한다.
액체 상태의 우유를 고체로 만드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우유 응고 과정은 산 응고법 또는 렌넷(rennet) 응고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산 응고법은 산을 이용하여 응고를 촉진시키는 방법으로 프레쉬 치즈나 크림치즈를 만들 경우에 사용되며, 그 외 대부분의 치즈는 렌넷을 첨가하여 응고를 촉진시키는 렌넷 응고법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원유의 응고를 위한 방법으로 산 응고법 또는 렌닛 응고법이 모두 사용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렌넷 응고법에 의해 응고시키는 것이다.
상기 렌넷은 레닌(rennin)이나 펩신(pepsin)과 같은 단백질 분해효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우유를 응고시키는 역할을 하는 응유효소로, 우유 단백질인 케이신(Casein) 분자가 서로 덩어리를 만들면서 우유가 부드러운 젤리와 같은 형태, 즉, 커드(curd)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렌넷과 같은 응유효소를 이용하여 우유 단백질을 가수분해 시키고 응고시키는 과정은 제조되는 치즈의 맛과 질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기 렌넷 응고법에 의한 원유의 응고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발효된 원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1~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4~8중량부의 렌넷을 첨가하여 수행하는 것이 좋다.
(S3) 유청 제거
유청은 우유가 응고되고 커드를 분리하고 남은 액체를 말하는 것으로, 우유를 원료로 하여 치즈 또는 케이신(casein)을 제조할 때 생기는 부산물이다. 따라서, 상기 응고과정을 거쳐 커드를 형성한 이후에는 커드를 절단하고 유청(whey)을 제거한다.
통상 치즈 제조 시 유청을 제거하는 방법은 제조하고자 하는 치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젤리형태로 굳은 커드를 자르게 되면 즉시 얇은 막이 코팅되며, 유청은 커드의 이 막을 통과하면서 빠져나가는 과정을 통해 제거된다. 따라서 커드를 잘게 자르면 자를수록 더 많은 유청이 제거된다. 즉, 커드를 어떻게 자르느냐에 따라 치즈의 수분 함량에 차이가 생기며, 커드를 잘게 자를수록 유청이 많이 빠져나가 더욱 단단한 치즈를 만들 수 있다.
상기 유청을 제거하는 단계는 커드를 절단한 후 교반과정을 통해 수행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커드 절단 후 30~35℃에서 30~60분 동안 교반하여 유청을 1차 제거한 다음, 70~75℃의 온수를 첨가하여 35~40℃에서 30~60분 동안 교반하여 유청을 2차 제거하는 단계에 의해 유청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교반을 통한 유청 제거는 수차례 반복하여 수행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물, 바람직하게는 온수를 첨가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S4) 흑마늘 진액, 흑마늘 후레이크, 홍삼 또는 인삼 진액 또는 진토닌 첨가
상기 유청이 제거된 커드에는 흑마늘 진액 또는 흑마늘 후레이크 중 선택된 흑마늘 성분과, 홍삼 진액, 인삼 진액 및 진토닌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인삼 성분을 첨가한다.
상기 흑마늘 진액은 햇마늘이나 저장마늘을 사용하여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흑마늘이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흑마늘은 보온밥솥이나 압력밥솥을 이용하여 10~15일 정도 고온 숙성시킨 후, 5~10일간 통풍이 잘되는 곳이나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흑마늘 진액의 제조는 특정한 추출방법이나 용매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진 추출방법이나 용매 및 여과법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나, 대량생산으로 정확한 브릭스(농도)를 산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조된 흑마늘 진액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상기 흑마늘 진액은 생마늘을 50~80℃의 온도에서 10~25일간, 바람직하게는 70℃에서 15일간 발효숙성시키고, 상기 발효숙성된 흑마늘과 정제수를 1:1~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고압여과한 다음 흑마늘 여과액을 80~120℃의 고온을 유지하는 흑마늘 진액 추출기에 넣어서 15~25일간, 바람직하게는 100℃로 20일간 가열하여 다려주면 20~60브릭스(brix)의 흑마늘 진액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정제수는 일반적인 식용수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흑마늘 치즈 고유의 효능과 맛을 얻기 위해서는 다른 식품첨가물이 첨가되지 않은 순수한 물(정제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흑마늘 진액은 20~3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동일한 온도로 가온된 정제수를 혼합하여 용해시키며, 제조하고자 하는 치즈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흑마늘 진액과 정제수는 1:2~1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용해한 후 90~130℃, 180~250bar의 조건에서 균질화하여 용해액으로 제조한다. 또한 상기 흑마늘 진액과 정제수의 온도를 전술한 범위로 유지하는 것은 흑마늘 진액이 정제수에 온전히 용해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와 같은 온도범위를 유지하면서 용해시킬 경우 흑마늘 진액의 불용해물이 남지 않고 정제수에 균일하게 용해될 수 있어 더욱 좋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용해액을 균질화할 경우 흑마늘 치즈에 흑마늘 유효성분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데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조된 흑마늘 진액 중 흑마늘의 농도는 크게 제한되지 않으나, 적정한 흑마늘 농도를 유지할 경우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과정이 보다 편리해지기 때문에 흑마늘 진액 중 흑마늘의 농도는 20~60브릭스, 특히 45브릭스인 것이 좋다.
상기 흑마늘 진액은 제조하고자 하는 치즈의 종류, 흑마늘 진액 중 흑마늘의 농도 등에 따라 첨가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5브릭스의 흑마늘 진액을 기준으로 유청이 제거된 커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흑마늘 진액을 0.1~2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색깔이나 향미가 가장 우수하며, 부담감 없이 섭취할 수 있는 치즈를 제조할 수 있어 더욱 좋다. 특히, 마늘 향취를 싫어하는 사람이나 학교급식을 통하여 어린이들에게 기호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흑마늘 진액은 0.1~1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으며, 반대로 마늘에 대한 기호성이 높거나 많은 양의 마늘을 섭취하고자하는 어른들을 대상으로 하는 제품을 생산 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흑마늘 진액을 2~20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흑마늘 후레이크는 생마늘을 50~80℃의 온도에서 10~25일간, 바람직하게는 70℃에서 15일간 발효숙성시킨 흑마늘을 슬라이스한 것으로, 0.1~10㎜, 바람직하게는 0.1~5㎜의 크기가 되도록 부정형으로 슬라이스하여 유청이 제거된 커드에 첨가한다.
삭제
상기 흑마늘 후레이크는 제조하고자 하는 치즈의 종류에 따라 첨가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흑마늘 후레이크는 유청이 제거된 커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1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1~3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마늘 향취에 대한 부담감 없이 섭취할 수 있는 치즈를 제조할 수 있어 더욱 좋다.
상기 홍삼 또는 인삼 진액은 인삼, 홍삼, 발효홍삼, 수삼, 백삼, 재배삼, 장뇌삼, 미삼, 산삼배양근, 산삼 등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발효하여 진액으로 얻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바실러스(Bacillus)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속의 균주, 스트렙토코코스(Streptococcus)속의 균주, 락토코코스(Lactococcus)속의 균주, 당 가수분해 효소 등에 의해 발효시켜서 통상의 방법에 의해 농축액 또는 분말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홍삼 또는 인삼 진액은 인삼의 뿌리, 잎, 줄기, 열매, 꽃 등으로부터 얻을 수도 있다.
상기 홍삼 또는 인삼 진액은 제조하고자 하는 치즈의 종류, 삼의 종류 등에 따라 첨가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청이 제거된 커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1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3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01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사포닌이 너무 소량으로 포함되어 사포닌 기능의 발현이 미미하며,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홍삼 또는 인삼 특유의 발효취와 신맛이 너무 강하여 치즈의 향미를 해칠 수 있다.
상기 진토닌(gintonin)은 인삼의 단백질, 탄수화물 및 지방으로 구성된 당지질단백질(glycolipoprotein)로, 분자량은 약 67kDa이고, 겉보기 분자량은 약 13kDa인 오량체(pentarm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아미노산조성 성분으로 시스테인과 시스틴(cysteine and cystine), 아스파라긴과 아스파르트산(asparagine and aspartic acid), 글루타민과 글루탐산(glutamine and glutamic acid), 세린(serine), 글리신(glycine), 아르기닌(arginine), 트레오닌(threonine), 알라닌(alanine), 프롤린(proline), 발린(valine), 이소류신(isoleucine), 류신(leucine),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트립토판(tryptophan) 및 리신(lysine)과; 탄수화물 조성 성분으로서 람노스(rhamnose), 아라비노오스(arabinose), 글루코오스(glucose), 만노오스(mannose), 크실로오스(xylose) 및 글루코사민(glucosamine); 및 지질 조성 성분으로 리놀레산(linole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올레산(oleic acid), 및 스테아르산(stearic acid) 등을 포함한다.
상기 진토닌은 인삼, 홍삼, 발효홍삼, 수삼, 백삼, 재배삼, 장뇌삼, 미삼, 산삼배양근, 산삼, 인삼진액을 추출한 찌꺼기인 인삼박, 홍삼박 등으로부터 추출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4~6년근 고려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으로 제조한 홍삼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진토닌은 인삼의 뿌리, 잎, 줄기, 열매, 꽃 등으로부터 얻을 수도 있다.
상기 진토닌의 분리 동정하는 방법은, 인삼으로부터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메탄올 추출물을 물과 n-부탄올로 분획하는 단계; 상기 분획물 중 n-부탄올 분획물(조종사포닌 분획물, CGSF)을 용출용매로 클로로메탄:메탄올:물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8개의 분획으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획물 중 가장 활성이 높은 분획물을 용출용매로 에탄올:에틸아세테이트:물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2개의 분획으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획물 중 활성이 높은 분획물을 투석하여 최종 생성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진토닌은 제조하고자 하는 치즈의 종류에 따라 첨가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청이 제거된 커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1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3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다. 그 함량이 0.001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너무 소량으로 포함되어 진토닌 기능의 발현이 미미하며,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비용적인 측면에서 좋지 않다.
상기와 같은 흑마늘 진액, 흑마늘 후레이크, 홍삼 또는 인삼 진액은 커드와의 혼합에 앞서 정제수에 용해시켜 혼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흑마늘 진액과 홍삼 또는 인삼 진액은 진액의 농도에 따라 각각 정제수에 1:1~10의 부피비로 혼합한 후 상기 커드와 혼합하는 것이 좋다.
(S5) 숙성
상기와 같이 유청이 제거된 커드를 숙성시킨 다음 포장과정을 통해 치즈로 제조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유청이 제거된 커드를 성형, 가압 또는 가염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가염은 치즈 제조과정에서 커드에 소금을 가하는 과정으로, 소금의 양에 따라 맛, 수분함량 및 질감 등이 달라지게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유산의 형성을 돕고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건조 과정을 촉진시켜 치즈의 외피 형성에 도움을 주기도 하며 특수한 숙성 균의 성장을 도와 치즈의 맛과 향을 좋게 한다.
상기 가염처리는 소금의 농도가 커드 무게의 1.5~20.0%(w/w)가 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소금을 직접 커드 상에 뿌리거나 또는 도포할 수 있으며, 또는 소금물에 침지시키는 과정을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성형 및 가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염처리는 제조하려는 치즈의 종류에 따라 유청이 제거된 커드를 성형 및 가압하기 이전에 수행할 수도 있고, 성형 및 가압과정 이후에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가염된 커드는 이후 적절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는 곳에서 숙성시키는 과정을 통해 독특한 색과 질감, 맛 및 향을 지닌 치즈를 형성하게 되는데, 좋은 치즈를 만들기 위해서는 숙성실의 환경이 일정한 습도 및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숙성은 10~15℃의 온도 및 80~95%의 습도를 유지시키면서 6주~12개월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를 제공하는 바, 본 발명의 치즈는 마늘 특유의 맛과 특이취 및 자극성을 없애주고, 기능성과 기호성을 향상시켜 마늘의 섭취성 및 효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으며, 편리하게 가공 정제되어 기존 치즈와 같이 쉽게 유통되며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섭취가 간편하여 건강기능식품을 선호하는 현대인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국민건강에 이바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는 비교적 단순한 공정을 통해 편리하게 가공 정제되어 생산되므로 상업적인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나. 이들 실시예는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흑마늘 진액은 서산시 소재 (주)산수향에서 압출하여 생산된 흑마늘 진액 45브릭스를 사용하였다.
제조예 1. 흑마늘 진액 제조
45브릭스의 흑마늘 진액의 온도가 20~30℃를 유지하면서 30℃로 가온한 정제수를 흑마늘 진액 대비 1:2~10의 부피비가 되도록 혼합하여 흑마늘 진액을 용해시켰다. 이어서, 상기 용해액을 120℃, 180~250bar의 조건에서 호모게나이저로 균질화한 흑마늘 용해액을 준비하였다.
제조예 2. 흑마늘 후레이크 제조
생마늘을 70℃에서 15일간 발효숙성시킨 흑마늘을 0.1~5㎜의 크기가 되도록 부정형으로 슬라이스하여 흑마늘 후레이크를 준비하였다.
제조예 3. 홍삼 진액 제조
규격에 적합한 홍삼을 선별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하였다. 선별한 원료를 홍삼근과 홍미삼을 약 7:3(w/w)의 비율로 칭량하여 추출탱크에 투입하였다. 추출용매로 30~50%의 주정 또는 정제수 100%를 사용하여 일정량 투입한 후 70~80℃에서 7~8시간, 약 3~5회에 걸쳐 추출하였다. 이때 1회 추출 시 마다 얻은 추출물을 60~70℃로 5~8시간 농축하여 농축물을 제조하였다. 1~5회에 걸쳐 얻은 농축물을 혼합하여 60브릭스의 혼합 농축물을 제조하였다. 이 혼합 농축물에 2~3배(v/v)의 정제수를 가한 후 교반하여 20브릭스로 조정하고, 85~95℃이상에서 30~60분간 살균하였다. 살균 후, 35~40℃로 냉각하여 혼합액의 3.5~4.5%(v/v)에 해당하는 유산균을 무균상태에서 접종하여 온도를 유지하면서 20~30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완료 후 농축하여 고형분 60중량%의 진액으로 제조하였다. 상기 홍삼 진액 대비 정제수 1:2~10의 부피비가 되도록 혼합하여 홍삼 진액을 용해시켰다. 이어서, 상기 용해액을 120℃, 180~250bar의 조건에서 호모게나이저로 균질화한 홍삼 용해액을 준비하였다.
제조예 4. 인삼 진액 제조
인삼을 선별 및 세척하고, 근과 미를 7:3의 비율로 추출탱크에 투입하고, 원료삼의 7~8배(w/w)에 해당하는 추출용매를 첨가하였다. 이때, 추출용매로는 30~95% 주정 또는 정제수 100%를 사용하였다. 추출탱크의 온도를 70~75℃로 유지하면서 10~20시간, 3~5회에 거쳐 추출하였다. 1회 추출시 마다 얻은 추출물을 1,200rpm 이상의 원심분리여과기로 여과한 후, 농축기에서 40~50℃로 4~6시간 감압 농축하여, 고형분 60중량%의 인삼 진액을 얻었다. 상기 인삼 진액 대비 정제수 1:2~10의 부피비가 되도록 혼합하여 인삼 진액을 용해시켰다. 이어서, 상기 용해액을 120℃, 180~250bar의 조건에서 호모게나이저로 균질화한 인삼 용해액을 준비하였다.
제조예 5. 진토닌 제조
80% 메탄올 30ℓ를 가하여 80℃에서 8시간 환류냉각추출 한 다음, 진공 여과하여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상층액을 모은 후 감압농축하고(메탄올 추출물 총 6.2 ㎏ 수득), 물과 n-부탄올의 혼합용매(1:1)로 용매 분획하여 물과 n-부탄올의 분획물을 수득하였다(n-부탄올 분획물 총 908 g 수득).
상기 n-부탄올 분획물(조총사포닌 분획, CGSF)은 농축하여, 클로로포름:메탄올: 물(CHCl3MeOH:H2O=13:7:2) 혼합용매로 용리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고 8개의 분획으로 분리한 후, 각각의 분획물에 대해 Xenopus oocytes(개구리알)에서 내인성으로 존재하는 칼슘 의존성 염소이온 채널(Ca2+-activated Chloride Channel; CaCC)에 대한 활성을 실험하여 CaCC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분획에 다시 에틸아세테트:에탄올:물(EtOAc:EtOH:H2O=1:3:0.5) 혼합용매로 용리하여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고 2개의 분획을 수득하였다.
상기 2개의 분획물 중 EAT(Ehrlich Ascites Tumor) 세포에서의 세포내 칼슘방출실험 평가와 개구리알에서 강한 CaCC 활성을 보인 분획물 Ⅱ를 4℃에서 8시간 동안 과량의 증류수(distilled water, DW)와 Spectra/Por 투석막(molecular weight cut off 6,000~8,000)(Spectrum Laboratories, Inc., Califoinia, USA)을 이용하여 투석하고 진세노사이드 및 다른 저분자 물질을 제거한 후 최종적으로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흑마늘 함유 홍삼 모짜렐라 치즈 제조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를 제조하기 위해 신선원유에 청정수를 원유의 10% 양으로 첨가한 뒤 63℃에서 30분 동안 저온 살균한 다음, 신속히 36℃로 냉각하였다. 이때, 상기 청정수는 원유의 10%에 해당하는 양으로 첨가함으로써 온화한 풍미의 치즈를 얻을 수 있다. 이후 치즈 뱉(vat)에 정치한 후 스타터 균주로 락토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와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의 혼합 균주를 원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1.5중량부로 접종하고, 40분간 배양하였다. 그 다음, 응유효소인 렌넷(Chr. Hansen Co. Denmark)을 원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로 첨가하여 원유를 응고시켰다. 응고된 커드는 0.7㎝의 크기로 절단한 뒤 정치 및 교반을 반복하면서 커드의 산도가 pH 5.5에 도달하면 유청제거를 실시하였다. 상기 유청은 30℃의 온도에서 1시간에 걸친 교반과정을 통해 1차적으로 유청을 제거하였다. 이후 유청을 10% 제거하고 남은 부분에 다시 뜨거운 물(72℃)을 제거된 유청량과 같은 양으로 첨가하여 혼합액의 온도를 39℃로 가온시킨 후 다시 약 40분 교반하여 적절한 유청 제거상을 가진 커드를 확인 후 삼베 천을 이용하여 커드를 건져 올린 다음 유청을 제거하였다. 이때, 유청에 뜨거운 물(72℃)을 첨가한 것은 유청 내 유당을 희석시켜 유산균 증식도를 억제함으로써 온화한 풍미의 치즈를 얻기 위한 것이다. 이후, 유청이 제거된 커드에 상기 제조 예들에서 준비한 흑마늘 진액(45브릭스 기준) 0.1~20중량부 및 홍삼 진액은 0.001~10중량부로 포함되도록 첨가한 후 압착 및 성형하였다. 그 다음, 14℃의 온도 및 90%의 습도가 유지되는 곳에서 4개월 동안 숙성시켜 흑마늘 함유 홍삼 모짜렐라 치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흑마늘 함유 홍삼 모짜렐라 치즈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유청이 제거된 커드에 흑마늘 진액(45브릭스 기준) 0.1~20중량부, 홍삼 진액은 0.001~10중량부 및 진토닌은 0.001~10중량부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흑마늘 함유 홍삼 모짜렐라 치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흑마늘 후레이크 함유 모짜렐라 치즈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유청이 제거된 커드에 흑마늘 후레이크 0.01~10중량부를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흑마늘(통마늘)함유 모짜렐라 치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흑마늘 함유 홍삼 체다 치즈 제조
흑마늘 함유 홍삼 체다 치즈의 제조는 Hill에 의해 공지된 체다 치즈 제조공법에 의거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스타터 균주로 Danisco Cultor사의 Choozit Alp D를 사용하고, 인삼 진액은 0.001~10중량부 및 진토닌은 0.001~10중량부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흑마늘 함유 홍삼 체다 치즈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흑마늘 함유 홍삼 아펜젤러 치즈 제조
흑마늘 함유 홍삼 아펜젤러 치즈의 제조는 원전(Kessler 등, 1990)에 의해 공지된 아펜젤러 치즈 제조공법에 의거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스타터 균주로 Danisco사에서 구입한 스타터인 Starter Culture ALP-DIP D(CHOOZIT Alp D, 2005)를 사용하고, 유청이 제거된 커드에 흑마늘 진액(45브릭스 기준) 0.1~20중량부, 인삼 진액은 0.001~10중량부 및 진토닌은 0.001~10중량부로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흑마늘 함유 홍삼 아펜젤러 치즈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생마늘과 흑마늘 가루의 농도별 기호성 시험
마늘에 익숙하지 않은 성인이나 어린이들의 기호성을 짐작하기 위한 실험으로, 4주령 랫트 총 40마리를 각 8마리씩 5군으로 나누었다. 생마늘 가루와 흑마늘 가루를 기존의 랫트 사료에 1, 3%의 농도로 포함되도록 혼합한 후 4개의 군에 생마늘 가루와 흑마늘 가루를 30일간 급여하도록 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는 기존 랫트 사료를 섭취하도록 하였다. 30일간 급여 후 농도별 섭취량으로 기호성을 판단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초기 체중
(g/28일령)
일사료섭취량 (g/마리) 사료섭취총량 (g/마리/30일) 종료시 체중
(g/58일령)
대조군 94.37(755) 2.158 518.5 191
생마늘 가루 1% 95.12(761) 1.881 451.5 167
생마늘 가루 3% 94.87(759) 1.708 410.0 158
흑마늘 가루 1% 93.50(748) 2.078 498.7 182
흑마늘 가루 3% 96.00(768) 1.908 458.0 176
상기 표 1를 통하여, 흑마늘 가루 1%, 흑마늘 가루 3%, 생마늘 가루 1%, 생마늘 가루 3%의 순으로 기호성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예상과 같이 식이 초기에는 랫트가 마늘향 자체를 기피하는 현상이 일어났으나 점차적으로 익숙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 시작 30일 경과 후에는 흑마늘 가루군은 대조군과 사료섭취량에 있어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예 2. 관능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에 대하여, 20명의 패널요원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상기 관능검사는 실시예 1 내지 4에서 각각 제조한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를 마시게 한 다음 느낀 정도를 맛, 향, 색, 시각적 평가, 전반적인 만족도의 항목에 대하여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5점 매우 좋음
4점 좋음
3점 보통
2점 나쁨
1점 매우나쁨
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4.4 4.5 4.6 4.0 4.0
3.4 4.0 4.4 3.8 3.8
4.0 4.3 4.8 4.0 4.3
시각적 평가 4.2 4.2 5.0 4.0 4.3
전반적인 만족도 4.0 4.25 4.7 3.95 4.1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한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는 성분의 침전이나 흑마늘 진액, 흑마늘 후레이크, 홍삼 또는 인삼 진액, 진토닌 등의 응집 없이 균일하게 분포되어 소비자의 시각적 평가와 색에서 우수한 기호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흑마늘 특유의 맛과 향이 없어 맛, 향에 있어서도 우수한 관능을 보였으며,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11)

  1. (S1)원유를 살균처리하는 단계,
    (S2)상기 살균된 원유를 발효 및 응고시켜 커드를 제조하는 단계,
    (S3)상기 커드를 절단한 후 유청을 제거하는 단계,
    (S4) 상기 유청이 제거된 커드에 40 내지 50brix의 흑마늘 농도를 갖는 흑마늘 진액; 및
    홍삼 진액, 인삼 진액 및 진토닌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인삼 성분;을 첨가하는 단계; 및
    (S5) 상기 흑마늘 진액과 인삼 성분이 첨가된 커드를 10~15℃ 의 온도 및 90~95%의 습도를 유지시키면서 4개월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흑마늘 진액은 유청이 제거된 커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0.1~20중량부;
    상기 홍삼 진액 또는 인삼 진액은 유청이 제거된 커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10중량부;
    상기 진토닌은 유청이 제거된 커드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1~10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단계의 발효는 스트렙토코커스속 균주(Streptococcus spp.), 락토바실러스속 균주(Lactobacillus spp.), 류코노스톡속 균주(Leuconostoc spp.) 및 락토코커스속 균주(Lactococcus spp.)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스타터 균주를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2)단계의 응고는 발효된 원유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 또는 렌넷(rennet)을 10~50중량부를 첨가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3)단계의 유청 제거는 절단된 커드를 30~35℃에서 30~60분 동안 교반하여 유청을 1차 제거한 다음, 70~75℃의 온수를 첨가하여 35~40℃에서 30~60분 동안 교반하여 유청을 2차 제거하는 단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4)단계의 흑마늘 진액은 생마늘을 50~80℃의 온도에서 10~25일간 발효숙성시키는 단계; 상기 발효숙성된 흑마늘에 정제수를 1:1~3의 중량비로 첨가하고 고압여과하는 단계; 및 상기 흑마늘 용해액을 80~120℃의 온도로 15~25일간 가열하여 40~50brix로 농축하는 단계;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4)단계의 진토닌은 인삼, 홍삼, 발효홍삼, 수삼, 백삼, 재배삼, 장뇌삼, 미삼, 산삼배양근, 산삼, 인삼박 및 홍삼박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부터 분리한 당지질단백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방법.
  10. 삭제
  11.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며,
    흑마늘 진액; 및
    홍삼 진액, 인삼 진액 및 진토닌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인삼 성분을 포함하는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
KR1020140102470A 2014-08-08 2014-08-08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701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470A KR101701811B1 (ko) 2014-08-08 2014-08-08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2470A KR101701811B1 (ko) 2014-08-08 2014-08-08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997A KR20160018997A (ko) 2016-02-18
KR101701811B1 true KR101701811B1 (ko) 2017-02-03

Family

ID=55457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2470A Expired - Fee Related KR101701811B1 (ko) 2014-08-08 2014-08-08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8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764A (ko) * 2018-05-29 2019-12-0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및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타지 치즈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5818B1 (ko) * 2017-12-13 2018-08-06 박은영 치즈옹심이
KR101959323B1 (ko) * 2017-12-22 2019-03-19 주식회사 씨엔케이푸드 곤충분말치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545B1 (ko) * 2009-10-30 2012-04-13 (주)네오스푸드시스템 동결건조 연질치즈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217A (ko) 1994-10-11 1996-05-22 이영길 알리신을 함유하는 가공치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57545B1 (ko) * 2004-12-27 2006-12-14 주식회사 한불후치피아 동·식물성 식품이 첨가된 치즈 및 그 제조방법
KR100950808B1 (ko) * 2007-11-30 2010-04-02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용 천연물 함유 치즈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545B1 (ko) * 2009-10-30 2012-04-13 (주)네오스푸드시스템 동결건조 연질치즈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5764A (ko) * 2018-05-29 2019-12-0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및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타지 치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5916B1 (ko) 2018-05-29 2020-04-29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및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타지 치즈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997A (ko) 2016-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18285B (zh) 一种干酪的生产方法
KR20210051134A (ko) 전두유와 식물성 유산균을 이용한 콩치즈 및 이의 제조방법
Hamid Effect of cumin oil concentrations on chemical composi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udanese white cheese during ripening
KR20190001234A (ko) 클로렐라를 첨가한 비살균 숙성치즈의 제조방법
KR101761840B1 (ko) 프로바이오틱스 균주 및 황칠 추출물이 함유된 에다머 치즈의 제조방법
KR101701811B1 (ko) 흑마늘 함유 홍삼 치즈의 제조방법
CN102948490B (zh) 一种加入发酵剂和酶进行凝乳的大豆奶酪及其制备方法
CN107637662B (zh) 豆瓣酱软质奶食品及其制备方法
US20120045547A1 (en) Functional Fruits and Vegetables Bean Curd without Salt Wat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103355420B (zh) 一种白霉软质干酪
RU2612157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мягкого сычужного сыра
RU234755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косметической маски
KR102045040B1 (ko) 백년초의 줄기 및 열매를 이용하는 요구르트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요구르트
CN108497064B (zh) 一种搅拌型铁皮石斛水牛酸乳及其制备方法
CN116138315A (zh) 一种黄精复合发酵的功能性豆乳及其制备方法
CN105713839B (zh) 一株烟色红曲霉菌株及其在制备红曲干酪中的应用
KR101701809B1 (ko) 흑마늘 함유 홍삼 유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784091B1 (ko) 베리류를 함유하는 발효유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발효유
KR101718724B1 (ko) 치즈 스낵식품의 제조방법
KR102808820B1 (ko) 못난이 과실 및 발효유 함유 곤약젤리 및 그 제조 방법
KR101708008B1 (ko) 허브 성분을 포함하는 치즈 제조방법
RU2771754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творожного продукта
KR101776794B1 (ko) 무당 발효 초콜릿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RU2665543C2 (ru) Получение творожного продукта повышенной пищевой ценности
JP2004057043A (ja) 大豆系飲食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AMND Amendment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AMND Amendment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X0901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001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126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