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00112B1 -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112B1
KR101700112B1 KR1020140079271A KR20140079271A KR101700112B1 KR 101700112 B1 KR101700112 B1 KR 101700112B1 KR 1020140079271 A KR1020140079271 A KR 1020140079271A KR 20140079271 A KR20140079271 A KR 20140079271A KR 101700112 B1 KR101700112 B1 KR 101700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pin
lock
hole
d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230A (ko
Inventor
이상구
고광훈
박세훈
연제성
오성용
조우연
최장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40079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112B1/ko
Publication of KR20160001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1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4Closure faste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4Arrangement of several locks or locks with several bolts, e.g. arranged one behind the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26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도어 잠금 장치는 본체 프레임을 개폐하는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고, 본체 프레임에 형성된 잠금공에 삽입 및 삽입 해제 가능하게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고, 잠금공으로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재잠금 걸림공이 형성된 잠금부와;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재잠금 걸림공에 삽입되는 걸림 위치와 재잠금 걸림공으로부터 삽입 해제되는 걸림 해제 위치 간을 이동하는 재잠금 걸림핀과,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재잠금 걸림핀을 걸림 위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를 갖는 재잠금부와; 재잠금 걸림핀이 걸림 해제 위치를 유지하도록 걸림 위치로의 이동을 구속하고, 재잠금 걸림핀이 걸림 위치로 이동하도록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재잠금 걸림핀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는 재잠금 작동부를 포함하고, 본체 프레임에는 재잠금 걸림핀의 이동 방향으로 잠금공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재잠금 걸림핀은 잠금공의 외부로부터 연통공을 통해 잠금공의 내부로 삽입되어 잠금공의 재잠금 걸림공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 프레임과 도어 사이의 틈으로 탈취자가 공구를 삽입하여 잠금공에 삽입된 잠금부로 삽입 해제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더라도 해당 외력에 의해 재잠금 작동부가 작동하여 재잠금 걸림핀이 잠금부에 형성된 재잠금 걸림공에 삽입되어 잠금부가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여 탈취자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Door locking apparatus and keep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정이나 회사 등에서 지폐나 유가 증권, 귀금속과 같은 귀중품을 보관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보관 장치가 금고이다. 또한, 매체 자동 처리기의 경우에도 출납되는 지폐나 유가 증권을 그 내부에 보관하는 보관 장치의 하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금고나 매체 자동 처리기와 같은 보관 장치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본체 프레임이 그 외관을 형성하고, 수용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설치된다. 여기서, 금고나 매체 자동 처리기와 같은 보관 장치의 특성상 내부에 보관된 귀중품의 분실을 차단하기 위해, 도어는 탈취자의 공격으로부터 안전하게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금고나 매체 자동 처리기와 같은 보관 장치의 도어에는 키이(Key)에 의해서만 잠금 및 잠금 해제되는 키뭉치가 설치되고, 키뭉치 외에도 별도로 도어를 본체 측에 결합시키는 구성을 두고 있다.
예를 들어, 키이를 통해 도어를 잠금 해제 상태로 두고 도어에 설치된 손잡이 형태의 조작부(352)를 회전시키게 되면, 본체 프레임에 형성된 잠금공에 삽입되어 있던 잠금부가 삽입 해제되어 도어의 개방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어의 실질적인 잠금 상태는 잠금공에 삽입된 잠금부가 유지시키고, 잠금부의 삽입 해제를 위한 조작부(352)의 조작을 키이 조작이 허용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런데, 탈취자 들은 각종 도구를 이용하여 도어와 본체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공격하여 도어가 본체 프레임을 잠그는 구성을 훼손시켜 도어를 강제로 개방하려는 시도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일 예로, 도어와 본체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이용하여 잠금공에 삽입된 잠금부를 삽입 해제 방향으로 각각 도구를 이용하여 충격을 가하여 잠금부를 강제적으로 삽입 해제시키는 방법으로 보관 장치를 개방하려는 시도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금고나 매체 자동 처리기 등과 같은 보관 장치에 있어서, 도어와 본체 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통해 잠금부로 외력을 가해 도어를 강제 개방시킬 수 없도록 하는 기술이 금고나 매체 자동 처리기와 같은 보관 장치 분야에서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프레임 내부에 형성된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가 본체 프레임에 잠금되어 있는 상태를 외부에서 훼손하려는 시도가 발생하더라도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적인 잠금 장치가 지속적인 외력에 의해 파손되더라도 추가적인 잠금 장치의 작동으로 인해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서, 도어 잠금 장치는 본체 프레임을 개폐하는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고, 본체 프레임에 형성된 잠금공에 삽입 및 삽입 해제 가능하게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고, 잠금공으로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재잠금 걸림공이 형성된 잠금부와;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재잠금 걸림공에 삽입되는 걸림 위치와 재잠금 걸림공으로부터 삽입 해제되는 걸림 해제 위치 간을 이동하는 재잠금 걸림핀과,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재잠금 걸림핀을 걸림 위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를 갖는 재잠금부와; 재잠금 걸림핀이 걸림 해제 위치를 유지하도록 걸림 위치로의 이동을 구속하고, 재잠금 걸림핀이 걸림 위치로 이동하도록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재잠금 걸림핀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는 재잠금 작동부를 포함하고, 본체 프레임에는 재잠금 걸림핀의 이동 방향으로 잠금공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재잠금 걸림핀은 잠금공의 외부로부터 연통공을 통해 잠금공의 내부로 삽입되어 잠금공의 재잠금 걸림공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 다른 예에서, 상기 탄성 가압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재잠금 걸림핀을 상기 걸림 위치와 상기 걸림 해제 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재잠금 걸림핀이 통과하도록 상기 연통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 브래킷과; 상기 재잠금 걸림핀과 상기 지지 브래킷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재잠금 걸림핀을 상기 걸림 위치 방향으로 가압하는 걸림핀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재잠금 작동부는 상기 잠금공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재잠금 걸림핀의 상기 걸림 해제 위치로의 이동을 구속 및 구속 해제하는 걸림핀 구속부재와, 상기 걸림핀 구속부재의 상기 재잠금 걸림핀의 구속이 유지되도록 상기 걸림핀 구속부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구속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핀 구속부재는 상기 연통공의 적어도 일 영역을 차단하여 상기 재잠금 걸림핀의 구속을 유지하고,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통공을 개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도어 잠금 장치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형성된 재잠금공에 삽입되는 삽입 위치와 상기 재잠금공으로부터 삽입 해제되는 삽입 해제 위치 간을 이동하는 재잠금 삽입핀과,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재잠금 삽입핀을 상기 삽입 위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재잠금 가압부를 갖는 재잠금 삽입부와; 상기 재잠금 삽입핀이 상기 삽입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고,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상기 재잠금 작동부의 일 영역이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재잠금 삽입핀에 대한 구속을 해제시켜 상기 재잠금 삽입핀을 상기 재잠금공에 삽입시키는 삽입핀 작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재잠금 가압부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재잠금 삽입핀을 상기 삽입 위치와 상기 삽입 해제 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삽입핀 브래킷과; 상기 재잠금 삽입핀과 상기 삽입핀 브래킷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재잠금 삽입핀을 상기 삽입 위치 방향으로 가압하는 삽입핀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도어 잠금 장치는 상기 재잠금 작동부는 상기 구속 탄성부재의 일측이 상기 걸림핀 구속부재를 가압하도록 상기 구속 탄성부재의 타측을 지지하는 작동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상기 작동 커버가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작동 커버의 일 영역이 상기 삽입핀 작동부를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밀어 상기 재잠금 삽입핀에 대한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삽입핀 작동부는 상기 재잠금 삽입핀의 삽입 방향으로의 단부에 접하여 상기 재잠금 삽입핀의 상기 삽입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는 삽입핀 구속부재와, 일측은 상기 삽입핀 구속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작동 커버가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접촉되는 핀 푸시를 포함하며; 상기 핀 푸시가 상기 작동 커버의 일 영역에 의해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밀리는 경우, 상기 삽입핀 구속부재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재잠금 삽입핀에 대한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작동 커버와 상기 핀 푸시 간의 간격은 외력에 의해 상기 재잠금 걸림공에 삽입된 상기 재잠금 걸림핀이 파손되어 상기 작동 커버가 상기 핀 푸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접촉되게 설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재잠금 삽입부는 상기 잠금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내측 판면으로부터 상기 본체 프레임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잠금부가 통과하는 제1 통과공과, 상기 제1 통과공의 양측에 한 쌍의 상기 재잠금 삽입부의 상기 재잠금 삽입핀이 각각 통과하는 한 쌍의 제2 통과공과, 상기 핀 푸시가 통과하는 제3 통과공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핀 구속부재와 상기 핀 푸시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핀 푸시의 일측이 상기 제3 통과공을 통해 상기 삽입핀 구속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삽입핀 구속부재의 반대편에서 상기 작동 커버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삽입핀 구속부재는 상기 재잠금 삽입핀의 상기 삽입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도록 한 쌍의 상기 제2 통과공의 적어도 일 영역을 차단하고, 상기 핀 푸시가 상기 작동 커버의 일 영역에 의해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밀리는 경우 한 쌍의 상기 제2 통과공을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 도어 잠금 장치는 본체 프레임에 형성된 잠금공에 삽입 및 삽입 해제 가능하게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는 잠금부와; 본체 프레임에 형성된 재잠금공에 삽입되는 삽입 위치와 재잠금공으로부터 삽입 해제되는 삽입 해제 위치 간을 이동하는 재잠금 삽입핀과, 도어에 설치되어 재잠금 삽입핀을 삽입 위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재잠금 가압부를 갖는 재잠금 삽입부와; 재잠금 삽입핀이 삽입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고,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재잠금 삽입핀에 대한 구속을 해제시켜 재잠금 삽입핀을 재잠금공에 삽입시키는 삽입핀 작동부를 포함하고, 재잠금 삽입부는 잠금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도어는 도어의 내측 판면으로부터 본체 프레임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고, 잠금부가 통과하는 제1 통과공과, 제1 통과공의 양측에 한 쌍의 재잠금 삽입부의 재잠금 삽입핀이 각각 통과하는 한 쌍의 제2 통과공과, 핀 푸시가 통과하는 제3 통과공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삽입핀 구속부재와 핀 푸시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되, 핀 푸시의 일측이 제3 통과공을 통해 삽입핀 구속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이 삽입핀 구속부재의 반대편에서 작동 커버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삽입핀 구속부재는 재잠금 삽입핀의 삽입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도록 한 쌍의 제2 통과공의 적어도 일 영역을 차단하고, 핀 푸시가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밀리는 경우 한 쌍의 제2 통과공을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에서, 상기 삽입핀 작동부는 상기 재잠금 삽입핀의 삽입 방향으로의 단부에 접하여 상기 재잠금 삽입핀의 상기 삽입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는 삽입핀 구속부재와, 일측은 상기 삽입핀 구속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을 전달받는 핀 푸시를 포함하며; 상기 핀 푸시가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밀리는 경우, 상기 삽입핀 구속부재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재잠금 삽입핀에 대한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
삭제
또 다른 예에서, 상기 잠금부에는 상기 잠금공으로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재잠금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상기 재잠금 걸림공에 삽입되는 걸림 위치와 상기 재잠금 걸림공으로부터 삽입 해제되는 걸림 해제 위치 간을 이동하는 재잠금 걸림핀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재잠금 걸림핀을 상기 걸림 위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를 갖는 재잠금부와; 상기 재잠금 걸림핀이 상기 걸림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고, 상기 재잠금 걸림핀이 상기 걸림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상기 재잠금 걸림핀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는 재잠금 작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상기 재잠금 작동부의 일 영역이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밀리는 경우, 상기 재잠금 작동부의 일 영역이 상기 핀 푸시를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밀어 외력이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서, 보관 장치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는 상기의 도어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 프레임과 도어 사이의 틈으로 탈취자가 공구를 삽입하여 잠금공에 삽입된 잠금부로 삽입 해제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더라도 해당 외력에 의해 재잠금 작동부가 작동하여 재잠금 걸림핀이 잠금부에 형성된 재잠금 걸림공에 삽입되어 잠금부가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여 탈취자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재잠금 걸림핀이 재잠금 걸림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탈취자가 지속적으로 외력을 가해 재잠금 걸림핀이 파손되더라도 재잠금 작동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삽입핀 작동부가 작동하여 재잠금 삽입핀이 재잠금공에 삽입됨으로써, 탈취자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가 설치된 도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가 설치된 도어의 정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의 Ⅳ-Ⅳ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2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가 설치된 도어(100)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가 설치된 도어(100)의 정면도이다. 여기서, 도 2 및 도 3에서는 보관 장치(1)를 구성하는 본체 프레임(200)의 측벽(210) 측이 함께 도시된 상태이며, 본체 프레임(200)의 측벽(210)과 도어(100)를 이격시켜 도시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보관 장치(1)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고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으나, ATM(Automatic Teller Machine) 등의 매체 자동 처리기와 같이 내부에 수공 공간이 형성되고, 도어(100)에 의해 개폐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에 의해 도어(100)가 잠금 및 잠금 해제되는 다른 형태의 보관 장치(1)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 장치(1)는 내부에 수용 공간(미도시)이 형성된 본체 프레임(200)과, 본체 프레임(2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본체 프레임(200)의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100)와, 도어(100)를 본체 프레임(200)에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는 도어 잠금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어(100)는 일 예로 본체 프레임(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첩과 같은 힌지 구조에 의해 본체 프레임(200)과 결합된다.
도어 잠금 장치는 도어(100)에 설치되어 도어(100)가 본체 프레임(200)을 폐쇄한 상태에서 도어(100)를 본체 프레임(200)에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잠금부(311,312)와 조작부(352)를 포함한다.
잠금부(311,31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200), 예를 들어 본체 프레임(200)의 측벽(210)에 형성된 잠금공(211)에 삽입 및 삽입 해제 가능하게 도어(100)의 내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잠금부(311,312)가 잠금공(211)에 삽입되는 경우 도어(100)가 본체 프레임(200)을 잠그는 잠금 상태가 되고, 잠금부(311,312)가 잠금공(211)으로부터 삽입 해제되는 경우 도어(100)가 본체 프레임(200)을 잠금 해제하는 잠금 해제 상태가 된다.
조작부(352)는 도어(100)의 외측에 설치되어 잠금부(311,312)가 잠금공(211)에 삽입 및 삽입 해제되도록 조작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조작부(352)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에 파지하여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손잡이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일 방향으로 잠금부(311,312)를 회전시키면 잠금부(311,312)가 잠금공(211)에 삽입되고, 반대로 사용자가 반대 방향으로 잠금부(311,312)를 회전시키면 잠금부(311,312)가 잠금공(211)으로부터 삽입 해제되어, 도어(100)가 본체 프레임(200)을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게 된다.
여기서, 조작부(352)의 정역 회전 운동을 잠금부(311,312)의 삽입 방향 및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구조는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100)의 외측에 설치된 조작부(352)가 도어(100)를 관통하는 회전축부(미도시)를 통해, 도 3에 도시된 작동 레버(351)와 연결되어, 조작부(352)의 정역 회전 운동이 작동 레버(351)의 정역 회전 운동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 레버(351)의 일측이 잠금부(311,312)에 형성된 걸림턱부(미도시)에 삽입되어, 작동 레버(351)의 정역 회전 운동이 잠금부(311,312)의 왕복 운동으로 전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잠금부(311,312)가 마련되고, 중앙에 배치된 잠금부(311)에 걸림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다.
그리고, 걸림턱부가 형성된 잠금부(311)와 나머지 한 쌍의 잠금부(312)는 잠금 플레이트(313)에 고정되어 걸림턱부가 형성된 잠금부(311)의 왕복 이동이 잠금 플레이트(313)를 통해 나머지 한 쌍의 잠금부(312)로 전달됨으로써, 조작부(352)의 정역 회전 운동이 3개의 잠금부(311,312)의 왕복 운동으로 전환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의 참조번호 353 및 354는 도어(100)를 잠그기 위한 키뭉치로, 사용자가 키를 통해 키뭉치(353,354)를 잠그게 되면, 잠금부(311)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도어(100)가 잠기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조작부(352)의 조작, 예컨대 정역 회전 운동이 복수의 잠금부(311,312)의 삽입 방향 및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으로 전환되는데, 상술한 조작부(352)와 복수의 잠금부(311,312) 간의 연결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기 구성에 국한되지 않으며, 기 공지된 다양한 연결 구조의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의 Ⅳ-Ⅳ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는 재잠금부(320) 및 재잠금 작동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재잠금부(320) 및 재잠금 작동부(330)는 3개의 잠금부(311,312) 중 어느 하나와 작동하도록 설치되는데, 통상적인 보관 장치(1)에서 조작부(352)와 실질적으로 연동하는 잠금부(311,312)가,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재잠금부(320) 및 재잠금 작동부(330)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위치하는 잠금부(311,312)와 작동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하에서는 재잠금부(320)와 작동하는 잠금부(311,312)와, 해당 잠금부(311,312)가 삽입되는 잠금공(211) 만의 참조번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재잠금부(320)와 작동하는 잠금부(311)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부(311)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재잠금 걸림공(311a)이 형성된다.
재잠금부(320)는 재잠금 걸림핀(321)과, 탄성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재잠금 걸림핀(321)은 재잠금 걸림공(311a)에 삽입되는 걸림 위치와, 재잠금 걸림공(311a)으로부터 삽입 해제되는 걸림 해제 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4는 재잠금 걸림핀(321)이 걸림 해제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재잠금 걸림핀(321)이 걸림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재잠금 걸림핀(321)이 걸림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즉 재잠금 걸림핀(321)이 재잠금 걸림공(311a)에 삽입된 상태가 되면, 잠금부(311)가 잠금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잠금공(211)을 형성하는 본체 프레임(200)에는 잠금공(21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공(211a)이 형성되는데, 재잠금 걸림핀(321)은 연통공(211a)을 통해 잠금공(211)의 외부에도 내부로 삽입되어 잠금부(311)에 형성된 재잠금 걸림공(311a)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탄성 가압부는 본체 프레임(200)의 측벽(210)에 설치되어 재잠금 걸림핀(321)을 걸림 위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여기서, 탄성 가압부는 지지 브래킷(322)과 걸림핀 탄성부재(323)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지지 브래킷(322)은 본체 프레임(200)의 측벽(210)에 설치되는데, 재잠금 걸림핀(321)이 걸림 위치와 걸림 해제 위치 간을 이동할 수 있도록 재잠금 걸림핀(321)을 지지한다. 여기서, 지지 브래킷(322)에는 본체 프레임(200)의 연통공(211a)과 연통되는 관통공(322a)이 형성되어, 재잠금 걸림핀(321)이 지지 브래킷(322)의 관통공(322a)과 본체 프레임(200)의 연통공(211a)을 통해 잠금공(21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걸림핀 탄성부재(323)는 재잠금 걸림핀(321)과 지지 브래킷(322) 사이에 배치되어 재잠금 걸림핀(321)을 걸림 위치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걸림핀 탄성부재(323)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으며, 걸림핀 탄성부재(323)의 일측이 지지 브래킷(322)의 내측벽(210)에 접촉된 상태에서 타측이 재잠금 걸림핀(321)의 외경에 설치된 걸림 스커트(324)를 가압하여 재잠금 걸림핀(321)이 걸림 위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한편, 재잠금 작동부(330)는 재잠금 걸림핀(321)이 걸림 해제 위치를 유지하도록 걸림 위치로의 이동을 구속한다. 그리고, 재잠금 작동부(330)는 잠금부(311)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해당 외력에 의해 재잠금 걸림핀(321)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여 재잠금 걸림핀(321)이 걸림 위치로 이동하여 잠금부(311)의 재잠금 걸림공(311a)에 삽입되도록 한다. 도 4는 재잠금 작동부(330)가 재잠금 걸림핀(321)의 걸림 위치로의 이동을 구속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5는 재잠금 작동부(33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되어 재잠금 걸림핀(321)이 걸림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탈취자가 각종 도구를 이용하여 도어(100)와 본체 프레임(200) 사이의 틈새를 공격하여 잠금부(311)에 삽입 해제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게 되면, 해당 외력에 의해 재잠금 작동부(330)가 작동하게 되는데, 재잠금 작동부(330)의 작동에 의해 재잠금 걸림핀(321)이 잠금부(311)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즉 잠금부(311)가 잠금공(211)으로부터 삽입 해제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잠금부(311)의 재잠금 걸림공(311a)에 삽입됨으로써, 외력에 의해 잠금부(311)가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탈취자가 도어(100)를 강제적으로 개방하기 위해 가한 외력에 의해 잠금부(311)가 잠금공(211) 내부에 보다 더 견고하게 삽입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탈취자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재잠금 작동부(33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잠금 작동부(330)는 걸림핀 구속부재(331) 및 구속 탄성부재(332)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핀 구속부재(331)는 잠금공(211) 내부에 설치되어 재잠금 걸림핀(321)의 걸림 해제 위치로의 이동을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한다. 그리고, 구속 탄성부재(332)는 걸림핀 구속부재(331)의 재잠금 걸림핀(321)에 대한 구속이 유지되도록 걸림핀 구속부재(331)를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걸림핀 구속부재(331)가 본체 프레임(200)의 연통공(211a)의 적어도 일 영역을 차단하여 재잠금 걸림핀(321)이 잠금공(211)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재잠금 걸림핀(321)의 구속을 지지하는 것을 예로 한다. 그리고, 잠금부(311)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이 발생하게 되면, 잠금공(211) 내부에서 잠금부(311)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여 연통공(211a)을 개방함으로써, 재잠금 걸림핀(321)이 연통공(211a)을 통해 잠금공(211) 내부로 유입되어 잠금부(311)의 재잠금 걸림공(311a)에 삽입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걸림핀 구속부재(331)가 일 방향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고, 측면에 연통공(211a)과 연통 가능한 개방공(331a)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를 통해, 구속 탄성부재(332)가 걸림핀 구속부재(331)를 잠금공(211) 내부로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연통공(211a)과 개방공(331a)이 엇갈린 상태가 되어 연통공(211a)이 차단되고, 외력에 의해 걸림핀 구속부재(331)가 잠금부(311)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연통공(211a)과 개방공(331a)이 연통되어 재잠금 걸림핀(321)이 재잠금 걸림공(311a)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잠금공(211)의 입구 측에는 구속 탄성부재(332)의 일측이 걸림핀 구속부재(331)를 가압하도록 구속 탄성부재(332)의 타측을 지지하는 작동 커버(333)가 설치된다. 작동 커버(333)에는 잠금부(311)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과공(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재잠금부(320) 및 재잠금 작동부(33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탈취자가 도구를 이용하여 잠금부(311)를 잠금 해제 방향으로 후퇴시키기 위한 외력을 가하게 되면, 해당 외력이 구속 탄성부재(332)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잠금공(211) 내부의 걸림핀 구속부재(331)를 잠금부(311)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때, 걸림핀 구속부재(331)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개방공(331a)과 연통공(211a)이 연통되고, 걸림핀 구속부재(331)에 의해 걸림 위치로의 이동이 구속되어 있던 재잠금 걸림핀(321)의 구속이 해제되어 탄성 가압부, 즉 걸림핀 탄성부재(323)의 탄성력에 의해 재잠금 걸림핀(321)이 걸림 위치로 이동하여 재잠금 걸림공(311a)에 삽입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잠금부(311)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이 저지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잠금 삽입부(340)와, 삽입핀 작동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2의 A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재잠금 삽입부(340)는 재잠금 삽입핀(341)과, 재잠금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재잠금 삽입부(340)가 상하 방향으로 한 쌍이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으나, 그 개수에 본 발명의 권리가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재잠금 삽입핀(341)은 삽입 위치와 삽입 해제 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게 재잠금 삽입부(340)에 의해 지지된다. 도 6는 재잠금 삽입핀(341)의 삽입 해제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도 7은 재잠금 삽입핀(341)의 삽입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재잠금 삽입핀(341)은 삽입 위치에서 본체 프레임(200)에 형성된 재잠금공(221)(도 2 참조)에 삽입된다. 여기서, 본체 프레임(200)에 형성된 재잠금공(221)은 재잠금 삽입핀(341)의 개수에 대응하게 형성되며, 재잠금 삽입핀(341)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재잠금 가압부는 도어(100)에 설치되어 재잠금 삽입핀(341)을 삽입 위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재잠금 가압부가 재잠금 삽입핀(341)을 삽입 위치로 탄성적으로 가압함에 따라, 삽입핀 작동부(350)에 의한 구속이 제거되는 경우 재잠금 삽입핀(341)은 삽입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삽입핀 작동부(350)는 재잠금 삽입핀(341)이 삽입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한다. 그리고, 삽입핀 작동부(350)는 잠금부(311)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재잠금 작동부(330)의 일 영역이 잠금부(311)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재잠금 삽입핀(341)에 대한 구속을 해제시킨다. 여기서, 재잠금 삽입핀(341)에 대한 재잠금 작동부(330)의 구속이 해제되면 재잠금 가압부의 탄성적인 가압에 의해 재잠금 삽입핀(341)이 삽입 위치로 이동하여 재잠금공(221)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서는 삽입핀 작동부(350)는 삽입핀 브래킷(343)과 삽입핀 탄성부재(342)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삽입핀 브래킷(343)은 도어(100)에 설치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후술할 가이드 플레이트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그리고, 삽입핀 브래킷(343)은 재잠금 삽입핀(341)이 삽입 위치와 삽입 해제 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재잠금 삽입핀(341)을 지지한다. 여기서, 삽입핀 탄성부재(342)는 재잠금 삽입핀(341)과 삽입핀 브래킷(343) 사이에 배치되어 재잠금 삽입핀(341)을 삽입 위치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삽입핀 탄성부재(342)가 스프링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으며, 삽입핀 탄성부재(342)의 일측이 삽입핀 브래킷(343)의 내측벽(210)에 접촉된 상태에서 타측이 재잠금 삽입핀(341)의 외경에 설치된 핀 스커트(344)를 가압하여 재잠금 삽입핀(341)이 삽입 위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지지 브래킷(322)의 내측벽(210)에 접촉된 상태에서 타측이 재잠금 걸림핀(321)의 외경에 설치된 걸림 스커트(324)를 가압하여 재잠금 걸림핀(321)이 걸림 위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재잠금 작동부(330)의 작동 커버(333)의 일 영역이 잠금부(311)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이동하여 삽입핀 작동부(350)를 가압하여 삽입핀 작동부(350)를 작동시키는 것을 예로 한다.
작동 커버(333)는 재잠금 작동부(330)의 구속 탄성부재(332)의 일측이 걸림핀 구속부재(331)를 가압하도록 구속 탄성부재(332)의 타측을 지지한다. 여기서, 작동 커버(333)는 본체 프레임(200)의 잠금공(211)이 형성된 표면에 설치되는데, 잠금공(211)보다는 작은 내경의 통과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잠금부(311)가 통과하면서도 구속 탄성부재(332)의 타측이 걸리도록 마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재잠금 삽입부(340)와 삽입핀 작동부(350)가 재잠금 작동부(330)의 이동에 따라 작동하는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을 참조하여, 재잠금 삽입부(340)와 삽입핀 작동부(350)의 작동과 상술한 재잠금부(320) 및 재잠금 작동부(330)의 작동과 연계하여 작동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먼저, 탈취자가 도구를 이용하여 잠금부(311)를 삽입 해제 방향으로 후퇴시키기 위한 외력을 가하게 되면, 해당 외력에 의해 재잠금 작동부(330)의 걸림핀 구속부재(331)가 구속 탄성부재(332)의 탄성력에도 불구하고 잠금부(311)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걸림핀 구속부재(331)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재잠금 걸림핀(321)의 걸림 해제 방향으로의 구속이 해제되고, 재잠금 걸림핀(321)이,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공(211)의 재잠금 걸림공(311a)에 삽입됨으로써, 탈취자의 1차적인 공격에 의한 외력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취자의 1차적인 공격이 차단된 상태에서 탈취자가 지속적으로 외력을 가하는 경우, 재잠금 작동부(330)가 잠금부(311)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후퇴할 수 있다. 이 때, 재잠금 작동부(330)의 일 영역, 예컨대,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 커버(333)의 일 영역이 삽입핀 작동부(350)를 밀어 삽입핀 작동부(350)를 작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삽입핀 작동부(35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삽입핀 구속부재(351)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핀 푸시(352)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핀 구속부재(351)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잠금 삽입핀(341)의 삽입 방향으로의 단부에 접하여 재잠금 삽입핀(341)의 삽입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게 된다. 그리고, 핀 푸시(352)는 일측이 삽입핀 구속부재(351)와 연결되고 타측은 작동 커버(333)가 잠금부(311)의 삽입 해제방향으로 이동할 때 접촉하여 밀리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재잠금 삽입부(340)가 중앙의 잠금부(311)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였다. 이 때, 도어(100)의 내측에는 도어(100)의 내측 판면으로부터 본체 프레임(20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가이드 플레이트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플레이트에는 잠금부(311)가 통과하는 제1 통과공(미도시)과, 제1 통과공의 양측에 한 쌍의 재잠금 삽입핀(341)이 각각 통과하는 제2 통과공(미도시)과, 핀 푸시(352)가 통과하는 제3 통과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핀 구속부재(351)와 핀 푸시(352)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나사부재(353)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예로 한다. 여기서, 핀 푸시(352)의 일측은 제3 통과공을 통해 삽입핀 구속부재(351)와 연결되고 타측은 삽입핀 구속부재(351) 반대편에서 작동 커버(333)와 상술한 바와 같이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이 때, 삽입핀 구속부재(351)는 재잠금 삽입핀(341)의 삽입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도록 제2 통과공의 적어도 일 영역을 차단한다. 반면, 삽입핀 구속부재(351)는 핀 푸시(352)가 작동 커버(333)에 의해 잠금부(311)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밀리게 되면, 그 설치 위치가 변경되어 제2 통과공을 개방하게 된다.
상기 구성을 통해, 핀 푸시(352)가 작동 커버(333)의 일 영역에 의해 잠금부(311)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밀리게 되면, 삽입핀 구속부재(351)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어 재잠금 삽입핀(341)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어 재잠금 삽입핀(341)이 재잠금공(221)에 삽입됨으로써, 탈취자의 지속적인 공격에 의해서도 추가적인 잠금 장치가 작동하여 탈취자의 의도를 무력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탈취자의 공격에 의한 외력에 의해 1차적으로 작동한 재잠금 걸림핀(321)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손되어 작동 커버(333)가 후퇴하는 경우에 작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작동 커버(333)와 핀 푸시(352) 간의 간격을 재잠금 걸림핀(321)이 파손된 후에 작동 커버(333)와 핀 푸시(352)가 접촉될 수 있는 정도로 배치하여, 재잠금 걸림핀(321)의 파손 후에 삽입핀 작동부(350)가 작동하도록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핀 푸시(352)와 작동 커버(333) 간의 간격 유지와, 작동 커버(333)가 핀 푸시(352)를 정확하게 밀 수 있도록 작동 커버(333)에 핀 푸시(352)를 향해 돌출된 돌출 푸시(333a)가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재잠금 삽입부(340)와 삽입핀 작동부(350)의 작동과 상술한 재잠금부(320) 및 재잠금 작동부(330)의 작동과 연계하여 작동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즉, 재잠금부(320) 및 재잠금 작동부(330)가 탈취자의 1차 공격에 의해 작동한 후 지속적인 공격에 의한 외력에 의해 재잠금부(320)가 파손된 후 이동(또는 파손 전 이동)에 의해 재잠금 삽입부(340) 및 삽입핀 작동부(350)가 작동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다.
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재잠금 삽입부(340)와 삽입핀 작동부(350)가 재잠금부(320) 및 재잠금 작동부(330)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잠금부(311)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이 재잠금 작동부(330)를 통하지 않고 삽입핀 작동부(350)도 가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력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가 설치된 보관 장치(1)의 구성 중 외력에 의해 잠금부(311)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움직이는 영역이 삽입핀 작동부(350)를 밀어 작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재잠금 삽입부(340) 및 삽입핀 작동부(350) 만이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작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보관 장치 200 : 도어
210 : 측벽 211,212 : 잠금공
211a : 연통공 221 : 재잠금공
311,312 : 잠금부 311a : 재잠금 걸림공
320 : 재잠금부 321 : 재잠금 걸림핀
322 : 지지 브래킷 322a : 관통공
322a : 관통공 323 : 걸림핀 탄성부재
324 : 걸림 스커트 330 : 재잠금 작동부
331 : 걸림핀 구속부재 332 : 구속 탄성부재
333 : 작동 커버 333a : 돌출 푸시
340 : 재잠금 삽입부 341 : 재잠금 삽입핀
342 : 삽입핀 탄성부재 343 : 삽입핀 브래킷
344 : 핀 스커트 350 : 삽입핀 작동부
351 : 삽입핀 구속부재 352 : 핀 푸시
353 : 나사부재

Claims (15)

  1. 본체 프레임을 개폐하는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는 도어 잠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 형성된 잠금공에 삽입 및 삽입 해제 가능하게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고, 상기 잠금공으로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재잠금 걸림공이 형성된 잠금부와;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상기 재잠금 걸림공에 삽입되는 걸림 위치와 상기 재잠금 걸림공으로부터 삽입 해제되는 걸림 해제 위치 간을 이동하는 재잠금 걸림핀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재잠금 걸림핀을 상기 걸림 위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를 갖는 재잠금부와;
    상기 재잠금 걸림핀이 상기 걸림 해제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걸림 위치로의 이동을 구속하고, 상기 재잠금 걸림핀이 상기 걸림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상기 재잠금 걸림핀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는 재잠금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상기 재잠금 걸림핀의 이동 방향으로 상기 잠금공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재잠금 걸림핀은 상기 잠금공의 외부로부터 상기 연통공을 통해 상기 잠금공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잠금공의 상기 재잠금 걸림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가압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재잠금 걸림핀을 상기 걸림 위치와 상기 걸림 해제 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재잠금 걸림핀이 통과하도록 상기 연통공과 연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 지지 브래킷과;
    상기 재잠금 걸림핀과 상기 지지 브래킷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재잠금 걸림핀을 상기 걸림 위치 방향으로 가압하는 걸림핀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잠금 작동부는
    상기 잠금공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재잠금 걸림핀의 상기 걸림 해제 위치로의 이동을 구속 및 구속 해제하는 걸림핀 구속부재와,
    상기 걸림핀 구속부재의 상기 재잠금 걸림핀의 구속이 유지되도록 상기 걸림핀 구속부재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구속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핀 구속부재는 상기 연통공의 적어도 일 영역을 차단하여 상기 재잠금 걸림핀의 구속을 유지하고,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연통공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 형성된 재잠금공에 삽입되는 삽입 위치와 상기 재잠금공으로부터 삽입 해제되는 삽입 해제 위치 간을 이동하는 재잠금 삽입핀과,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재잠금 삽입핀을 상기 삽입 위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재잠금 가압부를 갖는 재잠금 삽입부와;
    상기 재잠금 삽입핀이 상기 삽입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고,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상기 재잠금 작동부의 일 영역이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재잠금 삽입핀에 대한 구속을 해제시켜 상기 재잠금 삽입핀을 상기 재잠금공에 삽입시키는 삽입핀 작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재잠금 가압부는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재잠금 삽입핀을 상기 삽입 위치와 상기 삽입 해제 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삽입핀 브래킷과;
    상기 재잠금 삽입핀과 상기 삽입핀 브래킷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재잠금 삽입핀을 상기 삽입 위치 방향으로 가압하는 삽입핀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재잠금 작동부는 상기 구속 탄성부재의 일측이 상기 걸림핀 구속부재를 가압하도록 상기 구속 탄성부재의 타측을 지지하는 작동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상기 작동 커버가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작동 커버의 일 영역이 상기 삽입핀 작동부를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밀어 상기 재잠금 삽입핀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핀 작동부는
    상기 재잠금 삽입핀의 삽입 방향으로의 단부에 접하여 상기 재잠금 삽입핀의 상기 삽입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는 삽입핀 구속부재와,
    일측은 상기 삽입핀 구속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작동 커버가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접촉되는 핀 푸시를 포함하며;
    상기 핀 푸시가 상기 작동 커버의 일 영역에 의해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밀리는 경우, 상기 삽입핀 구속부재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재잠금 삽입핀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커버와 상기 핀 푸시 간의 간격은 외력에 의해 상기 재잠금 걸림공에 삽입된 상기 재잠금 걸림핀이 파손되어 상기 작동 커버가 상기 핀 푸시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접촉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재잠금 삽입부는 상기 잠금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내측 판면으로부터 상기 본체 프레임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잠금부가 통과하는 제1 통과공과, 상기 제1 통과공의 양측에 한 쌍의 상기 재잠금 삽입부의 상기 재잠금 삽입핀이 각각 통과하는 한 쌍의 제2 통과공과, 상기 핀 푸시가 통과하는 제3 통과공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핀 구속부재와 상기 핀 푸시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핀 푸시의 일측이 상기 제3 통과공을 통해 상기 삽입핀 구속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삽입핀 구속부재의 반대편에서 상기 작동 커버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삽입핀 구속부재는 상기 재잠금 삽입핀의 상기 삽입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도록 한 쌍의 상기 제2 통과공의 적어도 일 영역을 차단하고, 상기 핀 푸시가 상기 작동 커버의 일 영역에 의해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밀리는 경우 한 쌍의 상기 제2 통과공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11. 본체 프레임을 개폐하는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는 도어 잠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에 형성된 잠금공에 삽입 및 삽입 해제 가능하게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를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는 잠금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에 형성된 재잠금공에 삽입되는 삽입 위치와 상기 재잠금공으로부터 삽입 해제되는 삽입 해제 위치 간을 이동하는 재잠금 삽입핀과,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재잠금 삽입핀을 상기 삽입 위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재잠금 가압부를 갖는 재잠금 삽입부와;
    상기 재잠금 삽입핀이 상기 삽입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고,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상기 재잠금 삽입핀에 대한 구속을 해제시켜 상기 재잠금 삽입핀을 상기 재잠금공에 삽입시키는 삽입핀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잠금 삽입부는 상기 잠금부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내측 판면으로부터 상기 본체 프레임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고, 상기 잠금부가 통과하는 제1 통과공과, 상기 제1 통과공의 양측에 한 쌍의 상기 재잠금 삽입부의 상기 재잠금 삽입핀이 각각 통과하는 한 쌍의 제2 통과공과, 핀 푸시가 통과하는 제3 통과공이 형성된 가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삽입핀 구속부재와 상기 핀 푸시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되, 상기 핀 푸시의 일측이 상기 제3 통과공을 통해 상기 삽입핀 구속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삽입핀 구속부재의 반대편에서 작동 커버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상기 삽입핀 구속부재는 상기 재잠금 삽입핀의 삽입 방향으로의 이동이 구속되도록 한 쌍의 상기 제2 통과공의 적어도 일 영역을 차단하고, 상기 핀 푸시가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밀리는 경우 한 쌍의 상기 제2 통과공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핀 작동부는
    상기 재잠금 삽입핀의 삽입 방향으로의 단부에 접하여 상기 재잠금 삽입핀의 상기 삽입 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하는 삽입핀 구속부재와,
    일측은 상기 삽입핀 구속부재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을 전달받는 핀 푸시를 포함하며;
    상기 핀 푸시가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밀리는 경우, 상기 삽입핀 구속부재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어 상기 재잠금 삽입핀에 대한 구속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에는 상기 잠금공으로의 삽입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재잠금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상기 재잠금 걸림공에 삽입되는 걸림 위치와 상기 재잠금 걸림공으로부터 삽입 해제되는 걸림 해제 위치 간을 이동하는 재잠금 걸림핀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재잠금 걸림핀을 상기 걸림 위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를 갖는 재잠금부와;
    상기 재잠금 걸림핀이 상기 걸림 해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구속하고, 상기 재잠금 걸림핀이 상기 걸림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상기 재잠금 걸림핀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는 재잠금 작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의 외력에 의해 상기 재잠금 작동부의 일 영역이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밀리는 경우, 상기 재잠금 작동부의 일 영역이 상기 핀 푸시를 상기 잠금부의 삽입 해제 방향으로 밀어 외력이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잠금 장치.
  15.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기 수용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잠금 및 잠금 해제시키는 제 1 항, 제 3항 내지 제12항,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도어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관 장치.
KR1020140079271A 2014-06-26 2014-06-26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Active KR101700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271A KR101700112B1 (ko) 2014-06-26 2014-06-26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271A KR101700112B1 (ko) 2014-06-26 2014-06-26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230A KR20160001230A (ko) 2016-01-06
KR101700112B1 true KR101700112B1 (ko) 2017-01-26

Family

ID=55165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271A Active KR101700112B1 (ko) 2014-06-26 2014-06-26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1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108B1 (ko) * 2004-06-04 2006-10-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이중잠금 기능을 포함하는 도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3022A (ja) * 1996-11-21 1998-06-09 Oki Electric Ind Co Ltd 扉のロック機構及び耐防犯性機器装置
KR20130113111A (ko) * 2012-04-05 2013-10-1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3108B1 (ko) * 2004-06-04 2006-10-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이중잠금 기능을 포함하는 도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230A (ko) 201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67461A1 (en) Lockable enclosure
AU2011357333B2 (en) Security safe and self-service terminal provided with same
EP2313581A1 (en) Electronic lock box with mechanism immobilizer features
KR100825446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KR101700112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JP2007285002A (ja) 施錠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ゴミ箱
KR101372371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JP2012519243A (ja) 手荷物検査の際に掛け金を切断してその後再施錠することができる、例えば南京錠用の施錠機構
KR101629188B1 (ko) 도어용 잠금장치
EP2171187B1 (en) Lock for reinforced doors and the like comprising a selector
EP2171184B1 (en) Lock for reinforced doors and the like
KR100825447B1 (ko) 전자식 도어록의 비상시 록킹 해정장치
KR101305019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101631873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101667101B1 (ko) 금고 도어의 잠금 장치
KR20140025854A (ko) 2단 출몰 구조를 갖는 튜블러형 래치
KR101127548B1 (ko) 도어록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KR101481324B1 (ko) 데드볼트를 구비한 문잠금장치
KR20130035505A (ko) 도어용 잠금장치
TW201544669A (zh) 具有附加安全改善之安全鎖
KR100972305B1 (ko) 대여금고의 도어 해정장치
WO2014086888A1 (en) A blockage mechanism for a plate tumbler lock
KR200451700Y1 (ko) 금고용 잠금장치
KR101740141B1 (ko) 도어 잠금장치 및 금고
KR20240051512A (ko) 자동잠금장치를 구비한 금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0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