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30035505A - 도어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35505A
KR20130035505A KR1020110099833A KR20110099833A KR20130035505A KR 20130035505 A KR20130035505 A KR 20130035505A KR 1020110099833 A KR1020110099833 A KR 1020110099833A KR 20110099833 A KR20110099833 A KR 20110099833A KR 20130035505 A KR20130035505 A KR 20130035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sliding member
sliding
linear li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9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복렬
이호행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99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35505A/ko
Publication of KR20130035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5505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4Closure faste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7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safes, strongrooms, vaults, fire-resisting cabin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2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one sliding bar for fastening when moved in one direction and unfastening when moved in opposite direction;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0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도어의 잠금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도어용 잠금장치가 개시된다. 대상체의 보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잠금장치는, 도어의 내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가이드슬롯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 가이드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연동돌기를 구비하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연동되며 직선 이동하는 직선링크부재 및 직선링크부재에 연결되어 직선링크부재와 함께 직선 이동하며 선택적으로 도어를 대상체에 구속시키는 록킹핀을 포함하는 도어록킹부, 도어의 내면에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는 록킹조립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용 잠금장치{LOCKING DEVICE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금고 및 금융자동화기기와 같이 보호가 필요한 대상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고는 현금, 유가증권, 보석류, 귀중 서류 등을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식의 사용자 외에 제3자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금고 관련 기술이 발전하는 만큼, 불법적으로 금고를 열기 위한 기술도 지속적으로 개량되고 있어 좀더 안전하면서 도난 등의 가능성이 적은 금고가 필요되고 있다. 특히, 현금인출기와 같이 고액의 현금을 보관하고 있는 금융자동화기기가 대중적인 장소에 사용됨으로써, 금고에 대한 보안의 필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금고의 1차적인 목적은 제3자가 어떠한 장치 및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금고를 개방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며, 2차적인 목적은 개방이 되더라도 최대한의 시간을 경과하게 함으로써 경찰 또는 사설 경비 기관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을 때까지 개방을 늦추도록 하는 것일 것이다. 요즘과 같이, 각종 절삭장비 및 용접장치가 개발된 시점에서는 오히려 아예 금고를 못 열도록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이라 할 것이며, 금고가 개방되는 시간을 최대한 늦추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참고로, 미국의 안전 관련 규정인 UL(Underwriters Laboratory) 인증 관련 내용을 살피면, 안전규정 레벨1에 속하기 위해서 금고 전문가가 약 30분간 해당 금고를 열지 못하여야 하는 것을 규정으로 하고 있다. 즉, 현금인출기와 같이, 기기 전체를 이송하는 것이 어려운 장치에 있어서 금고를 최대 시간 동안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금고 및 금융자동화기기와 같이 보호가 필요한 대상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도어용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강제적인 충격에 의해 록킹 장치에 변형이 발생될 경우에도 도어의 잠금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도어용 잠금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체의 보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잠금장치는, 도어의 내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가이드슬롯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 가이드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연동돌기를 구비하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연동되며 직선 이동하는 직선링크부재 및 직선링크부재에 연결되어 직선링크부재와 함께 직선 이동하며 선택적으로 도어를 대상체에 구속시키는 록킹핀을 포함하는 도어록킹부, 도어의 내면에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는 록킹조립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대상체라 함은 현금, 유가증권, 보석류, 귀중 서류 등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장치로서 일반적인 금고나 금융자동화기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은 통상의 자동 또는 수동 조작 수단에 의해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조작 수단과 슬라이딩부재 간의 연동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핸들의 회전 조작에 의해 연동되며 슬라이딩부재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슬롯은 연동돌기가 이동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슬롯은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경사진 직선 구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시 연동돌기가 가이드슬롯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직선링크부재가 상하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슬롯이 곡선 구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슬롯의 형태 및 각도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록킹조립체는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록킹조립체는 도어의 내면에 고정되는 록킹바디, 및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위치와 허용하는 해제위치로 록킹바디에 대해 직선 이동하는 록킹저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회전 방식과 같은 여타 다른 방식으로 록킹저널이 해제위치에서 구속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어의 내면에는 록킹바디를 덮도록 보강커버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보강커버부재는 록킹바디를 덮도록 배치되어 록킹바디를 구속함으로써 도어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강제적인 충격에 의해 록킹바디가 도어의 내측 방향을 따라 유동 및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어의 내면에는 도어의 외부로부터의 강제적인 충격이 감지될 시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보조록킹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보조록킹부는 도어의 내면에 제공되는 안전플레이트, 및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위치와 허용하는 해제위치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도어의 내면에 제공되는 록킹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해제위치에 배치된 록킹브라켓은 안전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며 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강제적인 충격에 의해 안전플레이트가 파괴되면 록킹브라켓이 구속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의 내면에는 록킹브라켓을 덮도록 지지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지지부재는 록킹브라켓을 덮도록 배치되어 록킹브라켓을 구속함으로써 도어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강제적인 충격에 의해 록킹브라켓이 도어의 내측 방향을 따라 유동 및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에 의하면, 금고 및 금융자동화기기와 같이 보호가 필요한 대상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슬라이딩부재에 형성된 가이드슬롯을 따라 직선링크부재에 연결된 연동돌기가 이동하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시 직선링크부재가 직접 연동되며 직선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설계자유도 및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의 강제적인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록킹바디의 배치상태 및 록킹조립체에 의한 슬라이딩부재의 구속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침입자에 의해 금고가 개방되는 시간을 최대한 늦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로부터의 강제적인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록킹브라켓의 배치상태 및 록킹브라켓에 의한 슬라이딩부재의 구속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침입자에 의해 금고가 개방되는 시간을 최대한 늦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가 적용된 금고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상기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가 적용된 금고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의 작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는 대상체의 보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선택적으로 록킹하기 위해 제공되며, 슬라이딩부재(220), 도어록킹부(230), 및 록킹조립체(240)를 포함한다.
참고로, 대상체라 함은 현금, 유가증권, 보석류, 귀중 서류 등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장치로서 일반적인 금고나 금융자동화기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아울러 금융자동화기기라 함은 현금출금기와 현금입출금기 등과 같이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용 잠금장치가 금고(100)에 적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금고(100)는 전면이 개구된 보관공간을 가지며, 상기 보관공간의 전면 개구는 금고(100)에 힌지 결합되는 도어(11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도어(110)의 닫힘 상태는 도어용 잠금장치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속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어핸들(210)은 도어(110)의 외면에 회전 조작 가능하게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도어핸들(210)에 일체로 연결되어 도어핸들(210)의 작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212)는 도어(110)를 관통하여 도어(110)의 내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220)는 도어(110)의 내면에 평행하게 제공되며, 상기 도어핸들(210)의 회전 조작에 의해 연동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도어(110)의 내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12)가 일체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부재(220)는 베이스 플레이트(112)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재(220)에는 가이드슬롯(222)이 형성되며, 후술할 연동돌기(232a)는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시 가이드슬롯(2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연동돌기(232a)가 이동함에 따라 직선링크부재(232)가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슬롯(222)은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경사진 직선 구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시 연동돌기(232a)가 상기 가이드슬롯(222)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직선링크부재(232)가 상하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가이드슬롯이 곡선 구간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슬롯의 형태 및 각도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어핸들(210)과 슬라이딩부재(220) 간의 연동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110)의 내면에는 도어핸들(210)의 샤프트(212)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회전편(214)이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편(214)에는 안내슬롯(214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재(220)에는 안내슬롯(214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안내돌기(220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핸들(210)의 회전 조작에 의해 회전편(214)이 회전함에 따라 안내슬롯(214a)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돌기(220a)에 의해 슬라이딩부재(220)가 연동되며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어핸들(210)이 회전 조작 가능하게 제공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도어핸들이 슬라이딩 조작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도어핸들의 슬라이딩 조작에 의해 슬라이딩부재가 연동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부재(220)의 측단에는 구속홈(221)이 형성되며, 후술할 록킹저널(244)이 구속위치에서 구속홈(221)에 구속됨에 따라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상기 구속홈(221)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구속홈(221)은 도어의 내측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부재(220)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속홈(221)은 록킹저널(244)에 구속 가능한 개방된 홈 또는 턱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속홈(221)이 슬라이딩부재(220)의 측단부 선단에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도어의 내측 방향이라 함은 도어의 판면에 수직한 방향(또는 도어를 관통 방향)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속홈(221)은 록킹저널(244)에 접촉되는 구속벽(232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속벽(232a)은 슬라이딩부재(220)의 측단 일부를 절곡함으로써 슬라이딩부재(2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속홈(221)은 개방된 홈 또는 턱 형태로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후술할 록킹저널(244)이 구속홈(221)으로 진입될 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구속홈(221)이 개방된 홈 또는 턱 형태로 제공될 경우에는, 사방이 막힌 홀 형태를 갖는 구속홈과 달리 상하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구속홈 주변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속홈이 단순히 록킹저널에 대해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할 수 있는 개방된 홈 또는 턱 형태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구속홈 자체를 록킹저널의 단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일종의 홀(hole) 또는 굴(cave)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도어록킹부(230)는 도어(110)의 내면에 제공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연동되며 선택적으로 도어(110)를 금고(100)에 구속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도어록킹부(230)는 가이드슬롯(222)을 따라 이동하는 연동돌기(232a)를 구비하며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연동되며 직선 이동하는 직선링크부재(232), 및 상기 직선링크부재(232)에 일체로 연결되어 직선링크부재(232)와 함께 직선 이동하며 선택적으로 도어(110)를 금고(100)에 구속시키는 록킹핀(23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금고(100)에는 돌출된 록킹핀(234)의 자유단이 수용되기 위한 결속홈(미도시)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슬라이딩부재(220)의 상하부에 각각 직선링크부재(232)가 구비되고,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연동되며 각 직선링크부재(232)가 상하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슬라이딩부재 상에 복수개의 가이드슬롯을 형성하고, 각 가이드슬롯을 따라 복수개의 직선링크부재가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직선링크부재의 개수 및 배치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어록킹부(230)는 슬라이딩부재(220)의 말단에 직접 연결되어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도어(110)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측면록킹핀(236)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금고(100)에는 돌출된 측면록킹핀(236)이 수용되기 위한 측면결속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조립체(240)는 도어의 내면에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기 위해 제공된다. 일 예로, 상기 록킹조립체(240)는 베이스 플레이트(112)에 고정되는 록킹바디(242), 및 상기 구속홈(221)에 구속되는 구속위치와 구속홈(221)으로부터 해제되는 해제위치로 록킹바디(242)에 대해 직선 이동하는 록킹저널(244)을 포함한다. 즉, 상기 록킹저널(244)은 슬라이딩부재(220)의 전방에서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딩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바, 상기 록킹저널(244)이 해제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이 허용될 수 있고, 상기 록킹저널(244)이 구속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부재(220)의 구속홈(221)이 록킹저널(244)에 구속됨으로써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록킹저널(244)이 구속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슬라이딩부재(220)의 해제 방향 슬라이드 이동이 구속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부재(220)의 해제 방향 슬라이드 이동이 구속된다 함은, 전술한 도어록킹부(230)에 의한 도어(110)의 록킹 상태가 유지되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록킹바디에 대해 록킹저널이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회전 방식과 같은 여타 다른 방식으로 록킹저널이 해제위치에서 구속위치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록킹저널(244)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록킹저널(244)은 사각 단면 형상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록킹저널이 원형 또는 비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록킹저널의 단면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상기 록킹바디(242)는 도어(110)의 외면에 설치되는 잠금모듈(미도시)과 기구적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잠금모듈의 작동에 의해 록킹저널(244)이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잠금모듈로서는 허가된 특정 사용자만이 사용할 수 있도록 금고 등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키(key) 잠금모듈, 다이얼(dial)식 잠금모듈 또는 키패드(key-pad)식 잠금모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10)의 내면에는 록킹저널(244)을 덮도록 커버부재(250)가 제공될 수 있으며, 커버부재(250)의 측면에는 록킹저널(244)이 통과되는 관통부(252)가 형성되는 바, 상기 관통부(252)에 의해 도어(110)의 내측 방향을 따른 록킹저널(244)의 유동이 구속될 수 있다.
참고로, 도어(110)의 내측 방향을 따른 록킹저널(244)의 유동이라 함은, 도어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강제적인 충격에 의해 록킹조립체(240)가 도어(110)로부터 들려지는 유동 또는 분리되는 유동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부(252)를 갖는 커버부재(250)의 형상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커버부재(250)는 대략 "ㄷ"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버부재(250)의 양 측면에는 각각 록킹저널(244)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폐쇄된 홀 형태의 관통부(25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록킹저널(244)은 관통부(252)를 통과하며 전술한 구속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록킹저널(244)이 구속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록킹저널(244)은 커버부재(250)에 의해 도어(110)의 내측 방향을 따른 유동이 구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커버부재의 관통부가 폐쇄된 홀 형태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관통부가 도어의 내측 방향을 따른 록킹저널의 유동을 구속할 수 있는 개방된 홈(예를 들어 "U" 형상의 홈)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도어(110)의 내면에는 록킹바디(242)를 덮도록 보강커버부재(246)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강커버부재(246)는 록킹바디(242)를 덮도록 배치되어 록킹바디(242)를 구속함으로써 도어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강제적인 충격에 의해 록킹바디(242)가 도어의 내측 방향을 따라 유동 및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한다. 일 예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록킹바디(242)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덮도록 보강커버부재(246)가 고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보강커버부재가 록킹바디를 전면적으로 덮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보강커버부재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의 내면에는 도어의 외부로부터의 강제적인 충격이 감지될 시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보조록킹부(260)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보조록킹부(260)는 도어의 내면에 제공되는 안전플레이트(262),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위치와 허용하는 해제위치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도어의 내면에 제공되는 록킹브라켓(26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플레이트(262)는 도어의 내면과 베이스 플레이트(112)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으며, 도어(110) 외부로부터 일정 이상의 강제적인 충격이 가해질 시 파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안전플레이트(262)로서는 일정 이상의 충격에 의해 파괴될 수 있는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브라켓(264)은 베이스 플레이트(112) 상에서 상기 구속위치와 해제위치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바, 상기 해제위치에 배치된 록킹브라켓(264)은 안전플레이트(262)에 의해 지지되며 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외부로부터의 강제적인 충격에 의해 안전플레이트(262)가 파괴되면 록킹브라켓(264)이 구속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록킹브라켓(264)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한쌍이 제공될 수 있으며, 각 록킹브라켓(264)은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각 록킹브라켓(264)이 구속위치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지만, 안전플레이트(262)가 파괴되기 전에는 각 록킹브라켓(264)이 안전플레이트(262)에 연결된 연결돌기(미도시)에 구속될 수 있기 때문에 해제위치에 배치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안전플레이트(262)가 파괴되면, 각 록킹브라켓(264)의 구속 상태(해제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속된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각 록킹브라켓(264)이 구속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의 내면에는 록킹브라켓(264)을 덮도록 지지부재(266)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266)는 록킹브라켓(264)을 덮도록 배치되어 록킹브라켓(264)을 구속함으로써 도어(110)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강제적인 충격에 의해 록킹브라켓(264)이 도어(110)의 내측 방향을 따라 유동 및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한다. 일 예로, 상기 지지부재(266)는 플레이트 형태로 제공되어 각 록킹브라켓(264)을 함께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각 록킹브라켓이 각각 별도의 지지부재에 의해 구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재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전술한 금고(100)와 같은 대상체를 열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으로서는 해머와 같은 도구를 이용해 외부로부터 강제적인 충격을 가해 록킹조립체(240) 및 록킹브라켓(264)을 파괴하는 방법이 예상될 수 있다. 즉, 록킹바디(242) 및 록킹브라켓(264)이 파괴될 경우에는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이 허용될 수 있기 때문에 조작핸들을 조작하여 도어록킹부(230)에 의한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록킹바디(242)가 보강커버부재(246)에 의해 구속되고, 록킹브라켓(264)이 지지부재(266)에 의해 구속되는 구조에서는, 외부로부터 강제적인 충격이 가해져도 슬라이딩부재(220)의 슬라이딩 구속상태를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외부로부터 강제적인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록킹바디(242)는 보강커버부재(246)에 의해 지지되며 도어(110)의 내측 방향을 따른 유동이 구속될 수 있기 때문에, 록킹조립체(240)에 의한 슬라이딩부재(220)의 구속상태 역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침입자는 보강커버부재(246)에 의한 록킹바디(242)의 구속상태를 해체시키거나, 도어록킹부(230)의 록킹상태를 해체시키기 위한 또 다른 해체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그만큼 금고(100)의 개방에 필요한 시간이 늦춰지게 되고 침입자는 의도한 대로 단시간에 금고(100)를 개방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외부로부터 강제적인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록킹브라켓(264)은 지지부재(266)에 의해 지지되며 도어(110)의 내측 방향을 따른 유동이 구속될 수 있기 때문에, 록킹브라켓(264)에 의한 슬라이딩부재(220)의 구속상태 역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침입자는 지지부재(266)에 의한 록킹브라켓(264)의 구속상태를 해체시키기 위한 또 다른 해체 작업을 진행하여야 하며, 그만큼 금고(100)의 개방에 필요한 시간이 늦춰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금고 110 : 도어
210 : 도어핸들 220 : 슬라이딩부재
222 : 가이드슬롯 230 : 도어록킹부
232 : 직선링크부재 232a : 연동돌기
234 : 록킹핀 240 : 록킹조립체
242 : 록킹바디 244 : 록킹저널
246 : 보강커버부재 260 : 보조록킹부
262 : 안전플레이트 264 : 록킹브라켓
266 : 지지부재

Claims (7)

  1. 대상체의 보관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면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가이드슬롯이 형성된 슬라이딩부재;
    상기 가이드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연동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연동되며 직선 이동하는 직선링크부재, 및 상기 직선링크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직선링크부재와 함께 직선 이동하며 선택적으로 상기 도어를 상기 대상체에 구속시키는 록킹핀을 포함하는 도어록킹부;
    상기 도어의 내면에 제공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는 록킹조립체;
    를 포함하는 도어용 잠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슬롯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연동돌기가 상기 가이드슬롯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직선링크부재가 상하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잠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조립체는,
    상기 도어의 내면에 고정되는 록킹바디;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위치와 허용하는 해제위치로 상기 록킹바디에 대해 직선 이동하는 록킹저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잠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바디를 덮도록 상기 도어의 내면에 고정되는 보강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잠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면에 제공되며 상기 도어의 외부로부터 강제적인 충격이 감지될 시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는 보조록킹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잠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록킹부는,
    상기 도어의 내면에 제공되는 안전플레이트; 및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위치와 허용하는 해제위치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상기 도어의 내면에 제공되는 록킹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해제위치에 배치된 상기 록킹브라켓은 상기 안전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며 배치상태를 유지하고, 외부로부터의 강제적인 충격에 의해 상기 안전플레이트가 파괴되면 상기 록킹브라켓이 상기 구속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잠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브라켓을 덮도록 상기 도어의 내면에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잠금장치.
KR1020110099833A 2011-09-30 2011-09-30 도어용 잠금장치 Withdrawn KR201300355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833A KR20130035505A (ko) 2011-09-30 2011-09-30 도어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9833A KR20130035505A (ko) 2011-09-30 2011-09-30 도어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5505A true KR20130035505A (ko) 2013-04-09

Family

ID=48437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9833A Withdrawn KR20130035505A (ko) 2011-09-30 2011-09-30 도어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355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527A (ko) * 2014-09-05 2016-03-1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WO2023043192A1 (ko) * 2021-09-16 2023-03-23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9527A (ko) * 2014-09-05 2016-03-1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도어용 잠금장치
WO2023043192A1 (ko) * 2021-09-16 2023-03-23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고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금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6902B1 (ko) 도어용 잠금장치
EP2480740B1 (en) Lockable enclosure
KR100726008B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101306899B1 (ko) 도어용 잠금장치
WO1997034068A1 (en) Secure enclosure for automated banking machine
KR101306900B1 (ko) 도어용 잠금장치
EP1854946A2 (en) Door lock structure
KR20130035505A (ko) 도어용 잠금장치
KR20130113111A (ko) 도어용 잠금장치
EP3509043B1 (en) Self-locking cash deposit equipment and cashbox thereof
KR20130113105A (ko) 도어용 잠금장치
KR20120101256A (ko) 도어용 잠금장치
KR101325682B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20090002449A (ko) 도어 잠금구조
KR100869609B1 (ko) 도어 잠금구조
KR101306901B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101372371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100726004B1 (ko) 도어용 잠금장치
KR20140086422A (ko) 도어용 잠금장치
KR20120094808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도어 잠금 장치
KR20110132707A (ko) 도어 잠금 장치
KR100633108B1 (ko) 이중잠금 기능을 포함하는 도어
KR20140086427A (ko) 도어용 이중 잠금장치
KR101305019B1 (ko) 도어 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보관 장치
KR100716755B1 (ko) 도어 잠금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