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6765B1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at display glass cel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at display glass ce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6765B1 KR101696765B1 KR1020160088030A KR20160088030A KR101696765B1 KR 101696765 B1 KR101696765 B1 KR 101696765B1 KR 1020160088030 A KR1020160088030 A KR 1020160088030A KR 20160088030 A KR20160088030 A KR 20160088030A KR 101696765 B1 KR101696765 B1 KR 1016967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sher
- bracket
- glass substrate
- bar
- sti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8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666 vacuum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74 adsor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823 cell divi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2—Rigid substrates, e.g. inorganic substrates
-
- G02F2001/13330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평판표시소자 글라스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글라스기판으로부터 글라스셀을 제조하기 위한 평판표시소자 글라스셀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lat panel display element glass ce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at panel display element glass cell manufactur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glass cell from a glass substrate.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와 같은 액정표시소자(Flat display)는, 스마트폰, 스마트탭등의 해당제품에 장착되어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조작을 위한 터치스크린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평판표시소자의 모재가 되는 글라스셀(Glass cell)은, 예를 들면 1100 ㅧ 1300mm 크기의 글라스기판을 스틱형 글라스기판으로 절단하고, 이후 스틱형 글라스기판을 완성될 제품의 크기에 따라 다시 소정의 크기,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탭에 적용될 크기로 절단됨으로서 구현된다. 이후 글라스셀은 얼라인공정 및 검사공정등을 거친후 다음 제조공정으로 이송되어 평판표시소자를 제조하는 모재가 된다. In general,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display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is mounted on a corresponding product such as a smart phone or a smart tap to be used as a touch screen do. For example, a glass cell having a size of 1100 to 1300 mm is cut into a stick-shaped glass substrate, and then the stick-shaped glass substrate is cut into a predetermined size For example, a size to be applied to a smart phone or a smart tap. Thereafter, the glass cell is transferred to the next manufacturing process after the alignment process and the inspection process, and becomes the base material for manufacturing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이때 완성된 글라스셀은 공정간에 외부의 작은 충격에 의해 파손(깨짐, 스크래치 등)의 우려가 있고, 또한 오염원(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으로부터 오염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카세트에 차례로 적층되거나, 세정설비를 통하여 평판표시소자 제조공정으로 평판표시소자 제조공정으로 운반된다. At this time, the finished glass cell may be damaged (broken or scratchy) due to a small external impact between the processes and may be contaminated by a contamination source (foreign matter such as dust or the like). Therefore, To a flat panel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through a flat panel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process.
한편 수많은 수요가 있는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탭과 같은 제품은 기술발전에 의하여 기능이 업그레이드됨에 따라, 소비자들은 1~2년 주기로 해당 제품을 교체하고 있다. 즉 따라서 짧은 라이프타임동안 대량의 수요 및 공급이 요구되므로, 평판표시소자의 모재가 되는 글라스셀을 대량으로 제조하기 위한 필요성이 점차로 증대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products such as smartphones and smart tabs, which have a lot of demand, are being upgraded by technological advancement, so consumers are replacing the products every one or two years. That is, therefore, a large amount of demand and supply is required during a short lifetime, and therefore, there is a growing need to mass-produce glass cells to be the base material of flat panel display devices.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특허등록번호 10-0730459호에 액정표시장치의 글라스셀 자동 로딩장치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A prior art related to this is disclosed in Patent Registration No. 10-0730459 entitled " Glass Cell Automatic Loading Device of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글라스셀을 정확하고 빠르게 분단함으로써 대량 제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평판표시소자 글라스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lat panel display glass cell capable of mass production by accurately and rapidly dividing a glass cel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다수의 스크라이빙 라인(L)이 형성된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이송하는 컨베이어(100); 상기 컨베이어(100)로 이송되는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그 컨베이어(100)의 표면으로 가압하기 위한 푸셔장치(200); 및 상기 푸셔장치(200)가 상기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상기 컨베이어(100)의 표면으로 가압하는 동안, 상기 스틱형 글라스기판(G)으로부터 글라스셀(C)을 흡착한 상태에서 분단한 후 취출하기 위한 분단취출장치(300)를 포함하고; 상기 푸셔장치(200)는, 베이스프레임(F)에 지지되는 한쌍의 포스트(210)와; 상기 포스트(210)에 지지되어 컨베이어(100)를 가로지르는 가이드레일(220)과; 상기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왕복이송되는 한쌍의 수평이송구동부(230)와; 상기 수평이송구동부(230) 각각에 결합된 것으로서,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브라켓(241)을 가지는 한쌍의 수직이송구동부(240)와; 상기 승강브라켓(241)에 설치되어 상기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상기 컨베이어(100) 표면으로 선택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푸셔유니트(250)를 포함하며; 상기 푸셔유니트(250)는, 상기 승강브라켓(241)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는 연장브라켓(251)과; 상기 연장브라켓(251)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셔브라켓(252)과; 상기 연장브라켓(251)과 푸셔브라켓(252) 사이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253)과; 상기 푸셔브라켓(252)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글라스기판(G)의 표면을 가압되기 위한 푸셔바아(254)와; 상기 푸셔바아(25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글라스기판(G)과의 밀착면에 진공을 형성하기 위한 진공패드(255)와;상기 푸셔브라켓(252)과 푸셔바아(254)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256)를 포함하고; 상기 분단취출장치(300)는, 상기 스틱형 글라스기판(G)로부터 글라스셀을 흡착 및 틸팅하여 분단하는 한쌍의 틸팅분단헤드(310)와; 상기 틸팅분단헤드(310)를 상기 베이스프레임(F) 상에서 이송시키는 이송로봇(320)을 포함하며; 상기 틸팅분단헤드(310)는, 상기 이송로봇(320)의 팔(321)에 장착되는 헤드본체(311)와; 상기 헤드본체(311)의 하단에 제1힌지(h1)를 축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글라스셀(C)을 흡착하여 분단하기 위한 분단바아(312)와; 상기 헤드본체(311)의 하부측에 상기 제1힌지(h1) 방향으로 왕복이송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블럭(313)과; 상기 기과 이송블럭(313)의 제2힌지(h2)와 상기 분단바아(312)의 제3힌지(h3)를 연결하는 레버부재(314); 상기 제1힌지(h1)를 중심으로 상기 레버부재(314)의 반대측에서 상기 분단바아(312)와 상기 헤드본체(311)를 연결하는 스프링(315)과; 상기 헤드본체(311)에 설치되어 상기 분단바아(312)가 상기 제1힌지(h1)를 축으로 틸팅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틸팅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푸셔유니트(250)는, 상기 푸셔브라켓(252)에 설치되어 상기 푸셔바아(254)의 움직임 변위를 조절하는 스토퍼볼트(257)를 더 포함한다. The
삭제dele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푸셔유니트(250)는, 상기 연장브라켓(251)에 설치된 제1서브브라켓(251a)과 상기 푸셔브라켓(252)에 설치된 제2서브브라켓(252a) 사이에 설치되어, 그 푸셔브라켓(252)의 영점위치를 확정하는 영점접점(258); 및 상기 푸셔브라켓(252)에 설치되어 상기 스틱형 글라스기판(G)의 양측단의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259)를 더 포함한다.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분단바아(312)는, 분단대상인 글라스셀(C)의 표면에 밀착되는 밀착면(312a)과; 상기 밀착면(312a)으로 개구되어 상기 글라스셀(C)과 밀착면(312a) 사이에 진공압을 형성하는 다수의 흡착홀(312b);를 포함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viding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셀의 분단취출도중 발생되는 글라스기판 잔여물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홈(400)을 더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ecovery groove (400) for recovering glass substrate residue generated during division and extraction of the glass cell.
본 발명에 따르면, 분단취출장치가 스틱형 글라스기판으로부터 글라스셀을 분단하는 동안, 푸셔바아에 결합된 진공패드가 스크라이빙 라인에 근접한 스틱형 글라스기판을 가압하고, 이에 따라 분단과정에서 글라스기판(G)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정확한 분단을 가능하게 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acuum pads coupled to the pusher bar press the stick-shaped glass substrate close to the scribing line while the divisional take-out unit divides the glass cells from the stick-shaped glass substrate, (G) is prevented from moving, thereby enabling accurate division.
또한 연장브라켓과 푸셔브라켓 사이에 설치된 영점접점을 채용함으로써 진공패드가 글라스기판(G)에 밀착되는 시점인 영점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기준으로 수직이송구동부는 연장브라켓의 하강정도를 제어함으로서 연장브라켓이 과도하게 하강함으로써 스틱형 글라스기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by employing the zero point contact point provided between the extension bracket and the pusher bracket, the zero point position at which the vacuum pa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lass substrate G can be confirmed. On the basis of this, the vertical feed driver controls the degree of descent of the extension bracke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ick type glass substrate from being damaged by the excessive lowering of the bracket.
또한 글라스셀에 밀착되는 분단바아에 진공압을 형성하고, 분단바아를 틸팅시켜 글라스셀 분단하므로, 스크라이빙 라인(L)을 따라 정확한 분단이 가능하다. In addition, vacuum pressure is formed in the division bar closely attached to the glass cell, and the division bar is tilted to divide the glass cell, so that accurate division along the scribing line (L) is possible.
그리고 분단바아는 분단된 글라스셀을 흡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분단된 글라스셀을 자동으로 다음 공정으로 취출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빠른 시간동안 대량의 글라스셀 분단 및 취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ivided bar can maintain the adsorbed state of the separated glass cells, the separated glass cells can be automatically taken out to the next process, and as a result, a large amount of glass cell dividing and extracting operations can be performed in a short ti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소자 글라스셀 제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판표시소자 글라스셀 제조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컨베이어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 및 도 2의 글라스기판 푸셔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푸셔유니트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푸셔유니트에 정면도,
도 7은 도 6의 푸셔브라켓과 푸셔바아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 및 스토퍼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7의 푸셔유니트에 설치되는 위치감지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1 및 도 2의 글라스셀 분단취출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틸팅분단헤드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틸팅분단헤드의 분단바아에 형성된 밀착면 및 흡착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틸팅분단헤드의 틸팅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도 12의 틸팅분단헤드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틸팅분단헤드가 스틱형 글라스기판으로부터 글라스셀을 틸팅 및 분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lat panel display device glass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the flat panel display element glass cell producing apparatus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conveyor of FIGS. 1 and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lass substrate pusher device of Figs. 1 and 2,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usher unit of Fig. 4,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pusher unit of Fig. 4,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spring and a stopper bolt installed between the pusher bracket and the pusher bar of FIG. 6;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sition sensor installed in the pusher unit of FIG. 7;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glass cell division / take-out apparatus of Figs. 1 and 2,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tilting and dividing head of FIG. 9,
1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act surface and a suction hole formed in the dividing bar of the tilting dividing head of Fig. 10,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tilting driving unit of the tilting dividing head of FIG. 11;
13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tilting and dividing head of FIG. 12,
14 is a view for explaining that the tilting and dividing head of Fig. 11 tilts and divides the glass cell from the stick-shaped glass substrate;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소자 글라스셀 제조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lat panel display glass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소자 글라스셀 제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판표시소자 글라스셀 제조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컨베이어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2 is a side view of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lat panel display device glass cell of FIG. 1,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veyor of FIGS. 1 and 2 It is a perspective view.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판표시소자 글라스셀 제조장치는, 다수의 스크라이빙 라인(L)이 형성된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이송하는 컨베이어(100)와; 컨베이어(100)로 이송되는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그 컨베이어(100)의 표면으로 가압하기 위한 푸셔장치(200)와; 컨베이어(100)에 의하여 이송되는 스틱형 글라스기판(G)으로 부터 글라스셀(C)을 분단 및 취출하기 위한 분단취출장치(300)와; 상기 글라스셀의 분단취출도중 발생되는 글라스기판 잔여물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홈(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lat 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스틱형 글라스기판(G)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글라스기판을 스틱형태로 절단함으로써 구현되고, 이후 컨베이어(100)의 상부면에 안착된 후 분단취출장치(300)에 의하여 분단되여 대각선이 4인치에서 7인치 내외 크기인 글라스셀(C)로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글라스셀(C)은 주로 스마트폰이나 스마트탭등에 채용되는 액정표시장치 모재가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tick-type glass substrate G is realized by cutting a glass substrat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nto a stick shape, and then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컨베이어(100)는, 다수의 스크라이빙 라인(L)이 형성된 다수의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이송시킨다. 이러한 컨베이어(1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110)에 의하여 회전되는 롤러(120)(120')에 컨베이어벨트(130)가 권회된 형태로 된 것을 사용한다. The
도 4는 도 1 및 도 2의 글라스기판 푸셔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푸셔유니트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푸셔유니트에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푸셔브라켓과 푸셔바아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 및 스토퍼볼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푸셔유니트에 설치되는 위치감지센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glass substrate pusher device of Figs. 1 and 2, Fig.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usher unit of Fig. 4, Fig. 6 is a front view of the pusher unit of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spring and a stopper bolt installed between the pusher bracket and the pusher bar in FIG. 6, and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sition sensor installed in the pusher unit of FIG.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기판 푸셔장치(200)는, 베이스프레임(F)에 지지되는 한쌍의 포스트(210)와; 포스트(210)에 지지되어 컨베이어(100)를 가로지르는 가이드레일(220)과;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왕복이송되는 한쌍의 수평이송구동부(230)와; 수평이송구동부(230) 각각에 결합된 것으로서,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브라켓(241)을 가지는 한쌍의 수직이송구동부(240)와; 승강브라켓(241)에 설치되어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컨베이어(100) 표면으로 선택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푸셔유니트(250);를 포함한다. As shown, the glass
포스트(210)는 가이드레일(220)이 컨베이어(100)를 가로지르도록 지지한다.The
수평이송구동부(230)는 이송모터(231)에 의한 구동력에 의하여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좌우 수평 방향으로 독립적으로 이송되고, 수직이송구동부(240)는 푸셔유니트(250)를 지지하는 승강브라켓(241)을 승강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푸셔유니트(250)는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송된다. The horizontal
푸셔유니트(25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브라켓(241)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는 연장브라켓(251)과; 연장브라켓(251)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셔브라켓(252)과; 연장브라켓(251)과 푸셔브라켓(252) 사이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253)과; 푸셔브라켓(252)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글라스기판(G)의 표면을 가압되기 위한 푸셔바아(254)와; 푸셔바아(25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글라스기판(G)과의 밀착면에 진공을 형성하기 위한 진공패드(255)와; 푸셔브라켓(252)과 푸셔바아(254)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256)과; 푸셔브라켓(252)에 설치되어 푸셔바아(254)의 움직임 변위를 조절하는 스토퍼볼트(257)와; 연장브라켓(251)에 설치된 제1서브브라켓(251a)과 푸셔브라켓(252)에 설치된 제2서브브라켓(252a) 사이에 설치되어, 그 푸셔브라켓(252)의 영점위치를 확정하는 영점접점(258)과; 푸셔브라켓(252)에 설치되어 스틱형 글라스기판(G)의 양측단의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259);를 포함한다. 이때 위치감지센서(259)로 본 실시예에서 레이저변위 센서를 사용한다.As shown in FIGS. 5 and 6, the
연장브라켓(251)은 승강브라켓(241)에 고정되어 전방측으로 연장된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단턱(251b)이 형성되고, 수직 방향으로 브라켓가이드레일(251c)이 설치된다. 5, the
푸셔브라켓(252)은 브라켓가이드레일(251c)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연장브라켓(251)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The
제1스프링(253)은 연장브라켓(251)의 단턱(251b)과 푸셔브라켓(252)의 상단 사이에 설치되어 연장브라켓(251)과 푸셔브라켓(252) 사이에서 탄성력을 인가한다. 이러한 제1스프링(253)은, 연장브라켓(251)과 푸셔브라켓(252)이 하강함에 따라 후술할 진공패드(255)가 스틱형 글라스기판(G)에 접촉되는 순간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스틱형 글라스기판(G)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푸셔바아(254)는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컨베이어(100)의 표면으로 가압하는 진공패드(255)가 장착된다. 진공패드(255)는, 스틱형 글라스기판(G)과의 밀착면에 진공압을 형성하며, 이를 위하여 진공패드(255)의 밀착면에는 다수의 진공압형성홀(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러한 진공압형성홀은 베이스프레임(F)에 설치되는 진공형성장치(미도시)와 진공형성튜브(미도시)로 연결된다. The
제2스프링(256)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브라켓(252)을 중심으로, 그 푸셔브라켓(252)과 푸셔바아(254) 사이의 양측에 설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푸셔브라켓(252)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4개가 설치된다. 즉 제2스프링(256)은 푸셔브라켓(252)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설치됨으로써, 진공패드(255)가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가압할 때 진공패드(255)의 바닥면이 스틱형 글라스기판(G)의 표면 전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푸셔바아(254)의 틀어짐(기울기) 정도를 보상하고, 이에 따라 진공패드(255)가 글라스기판(G)에 접촉되는 순간에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스틱형 글라스기판(G)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상기한 제1스프링(253)의 탄성계수는 제2스프링(256)의 탄성계수보다 크다. 따라서 제2스프링(256)이 푸셔바아(254)의 틀어짐을 보정하는 동안에 제1스프링(253)이 압착되지 않게 된다. The elastic modulus of the
스토퍼볼트(257)는 푸셔바아(254)가 푸셔브라켓(252)으로 이동하기 위한 변위를 제한한다. 이러한 스토퍼볼트(257)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브라켓(252)을 관통하여 푸셔바아(254)의 상부면에서 이격거리(D), 본 실시예에서 0.5mm 의 이격거리(D)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스토퍼볼트(257)는 푸셔브라켓(252)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총 4개가 설치된다.The
상기한 제2스프링(256)과 스토퍼볼트(257)는 상호 유기적인 연결관계에 의하여, 진공패드(255)가 글라스기판(G)을 가압할 때 푸셔바아(254)의 틀어짐 정도를 보상함과 동시에, 푸셔바아(254)가 과도하게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The
영점접점(258)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브라켓(251)에 설치된 제1서브브라켓(251a)에 설치된 제1영점볼트(258a)와, 푸셔브라켓(252)에 설치된 제2서브브라켓(252a)에 설치되어 제1영점볼트(258a)와 접촉되는 제2영점볼트(258b)를 포함하며, 그 푸셔브라켓(252)의 영점위치를 확인한다. The zero
제1영점볼트(258a)와 제2영점볼트(258b)는 평소 접촉되어 있으며, 푸셔브라켓(252)이 연장브라켓(251)과 함께 하강하다가 진공패드(255)가 스틱형 글라스기판(G)에 접촉될 때 푸셔브라켓(252)의 하강은 멈추게 되고, 이때 제1,2영점볼트(258a)(258b)는 상호 분리된다. 이에 따라 제1,2영점볼트(258a)(258b)가 분리될 때, 진공패드(255)가 글라스기판(G)에 밀착되는 시점인 영점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수직이송구동부(240)는 연장브라켓(251)의 하강정도를 제어한다. 즉, 제1,2영점볼트(258a)(258b)를 채용함으로써, 연장브라켓(251)의 하강정도를 정확히 제어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연장브라켓(251)이 과도하게 하강함으로써 스틱형 글라스기판(G)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rst zero
상기 제1,2영점볼트(258a)(258b)의 접점부분은 하나는 원형이고 나머지 하나는 편편한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zero
위치감지센서(259)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형 글라스기판(G)의 양측단의 위치를 센싱하여 글라스기판(G)의 위치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위치감지센서(259)를 채용함으로써, 수평이송구동부(230)에 의하여 이송되는 푸셔유니트(250)의 이송 거리가 스틱형 글라스기판(G)의 길이만큼 제한된다. The
도 9는 도 1 및 도 2의 글라스셀 분단취출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틸팅분단헤드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틸팅분단헤드의 분단바아에 형성된 밀착면 및 흡착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도 12는 도 11의 틸팅분단헤드의 틸팅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틸팅분단헤드의 내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1의 틸팅분단헤드가 스틱형 글라스기판으로부터 글라스셀을 틸팅 및 분단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ilting and dividing head of FIG. 9, FIG. 11 is a sectional view of the tilting and dividing head of FIG. 10, and FIG.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tact surface and a suction hole formed in a bar. 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tilting driving unit of the tilting dividing head of FIG. 11, FIG. 13 is a 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tilting dividing head of FIG. 12, and FIG. 14 is a cross- Type glass substrate by tilting and dividing the glass cell.
도시된 바와 같이, 분단취출장치(300)는, 베이스프레임(F)에 지지되어 상기 푸셔장치(200)에 의하여 가압되는 상기 스틱형 글라스기판(G)로부터 글라스셀을 흡착 및 틸팅하여 분단하는 한쌍의 틸팅분단헤드(310); 및 상기 틸팅분단헤드(310))를 상기 베이스프레임(F) 상에서 이송시키는 이송로봇(32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divisional take-out
이송로봇(320)은 틸팅분단헤드(310)에 의하여 분단된 글라스셀을, 베이스프레임(F)에 설치되는 얼라인부(미도시)나 검사장치(미도시)로 이송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이송로봇(320)은 다축 관절팔을 가지는 형태이거나, X-Y 축으로 이송시키는 형태등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The
틸팅분단헤드(310)는, 이송로봇(320)의 팔(321)에 장착되는 헤드본체(311)와; 헤드본체(311)의 하단에 제1힌지(h1)를 축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글라스셀(C)을 분단하기 위한 분단바아(312)와; 헤드본체(311)의 하부측에 제1힌지(h1) 방향으로 왕복이송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블럭(313)과; 이송블럭(313)의 제2힌지(h2)와 분단바아(312)의 제3힌지(h3)를 연결하는 레버부재(314)와; 제1힌지(h1)를 중심으로 상기 레버부재(314)의 반대측에서 분단바아(312)와 헤드본체(311)를 연결하는 스프링(315)과; 헤드본체(311)에 설치되어 상기 분단바아(312)가 상기 제1힌지(h1)를 축으로 틸팅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틸팅구동부;를 포함한다.The tilting and dividing
분단바아(31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형 글라스기판(G)으로부터 스크라이빙라인(L)을 기준으로 글라스셀(C)을 흡착하여 분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헤드본체(311)의 하부측에 제1힌지(H1)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분단바아(312)는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단대상인 글라스셀(C)의 표면에 밀착되는 밀착면(312a)과; 밀착면(312a)으로 개구되어 글라스셀(C)과 밀착면(312a) 사이에 진공압을 형성하는 다수의 흡착홀(312b)과; 흡착홀(312)에 진공압을 형성하는 진공형성튜브(312c);를 포함한다. 이때 진공형성튜브(312c)는 틸팅분단헤드(310)를 관통하여 베이스프레임(F)에 설치되는 진공형성장치(미도시)와 연결된다. 10, the dividing
이러한 분단바아(312)의 구조에 의하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면(312a)이 스틱형 글라스기판(G)으로부터 분단될 대상 글라스셀(C)에 밀착된 상태에서 흡착홀(312b)에 진공압을 형성하면 대상 글라스셀은 밀착면(312a)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분단바아(312)가 후술할 틸팅동작을 하면서 스틱형 글라스기판(G)으로부터 글라스셀(C)을 분단하는 것이다. 14, in the state in which the
이송블럭(313)은 분단바아(312)의 전방측으로 왕복이송되고, 레버부재(314)는 제2,3힌지(h2)(h3)에 의하여 이송블럭(313)과 분단바아(312)를 연결한다. 이에 따라, 이송블럭(313)이 이송방향에 의하여 레버부재(314)는 분단바아(312)를 제1힌지(h1)를 축으로 틸팅시키는 것이다. The conveying
스프링(315)은 제1힌지(h1)를 중심으로 이송블럭(313) 반대측에서, 분단바아(312)와 헤드본체(311)를 연결된다. 이러한 스프링(315)은 분단바아(312)가 틸팅되는 동안 분단바아(312)에 진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틸팅구동부는 분단바아(312)가 제1힌지(h1)를 축으로 틸팅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본체(31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1풀리(316a)를 가지는 모터(316)와; 이송블럭(313)과 스큐류결합되는 것으로서 제2풀리(317a)를 가지는 샤프트(317)와; 제1,2풀리(316a)(317a)를 연결하는 벨트(318);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모터(416)가 회전되면 벨트(318)에 의하여 제2풀리(317a)가 회전되고, 제2풀리(317a)와 축결합된 샤프트(317)가 회전되면서 스크류 결합된 이송블럭(313)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며, 이에 따라 이송블럭(313)이 전후방측으로 이송되면서 분단바아(312)를 제1힌지(h1)를 축으로 틸팅시킨다. 12 and 13, the tilting drive unit is provided in the
회수홈(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100)의 하부측 베이스프레임(F)에 설치된 것으로서, 글라스셀(C)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글라스 잔여물, 예를 들면 태그나 정확하게 분단되지 않은 글라스셀을 회수할 수 있는 것이다.2, the
다음, 본 발명의 평판표시소자 글라스셀 제조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flat panel display element glass cell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컨베이어(100)에 이송되는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가압하기 위하여, 푸셔유니트(250)는 수평이송구동부(230) 및 수직이송구동부(240)에 의하여 스틱형 글라스기판(G)의 상부측까지 이송된다. The
이후, 승강브라켓(241)에 의하여 연장브라켓(251)이 하강하여 진공패드(255)가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가압하게 하고, 이때 진공패드(255)에 진공압을 형성함으로써 글라스셀(C)이 진공패드(255)에 견고하게 흡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Thereafter, the
이후, 이송로봇(320)에 의하여 이송되는 틸팅헤드(310)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형 글라스기판(G)에 스크라이빙 라인(L)으로 연결된 해당 글라스셀(C)의 상부측으로 접근한다. 11, the tilting
이후, 틸팅헤드(310)가 하강하여 분단바아(312)가 해당 글라스셀(C)에 밀착되고, 이 상태에서 분단바아(312)의 흡착홀(312b)에 진공압이 형성되어 글라스셀(C)은 밀착면(312a)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Thereafter, the tilting
이후, 틸팅구동부의 모터(316)가 작동되어 제1,2풀리(316a)(317a), 샤프트(317) 및 벨트(318)의 연동동작에 의하여 레버부재(314)가 잡아당겨지면서 이송블럭(313)을 전방측으로 이송시키고, 이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블럭(313)과 연결된 레버부재(314)가 분단바아(312)를 잡아당기면서 분단바아(312)를 제1힌지(h1)를 축으로 틸팅시킨다. 이에 따라 분단바아(312)에 진공흡착된 글라스셀(C)은 스틱형 글라스기판(G)으로부터 분리된다. The
이후, 이송로봇(320)은 글라스셀(C)을 흡착한 틸팅헤드(310)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킨다. Then, the
한편 분단 과정에서 발생되는 글라스셀 잔여물은, 컨베이어(100)의 벨트(130)에 의하여 이송되어 컨베이어(100) 하부측의 회수홈(400)으로 회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glass cell residue generated in the separation process is conveyed by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분단출장치가 스틱형 글라스기판(G)으로부터 글라스셀(C)을 분단하는 동안, 푸셔바아(254)에 결합된 진공패드(255)가 스크라이빙 라인(L)에 근접한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가압하고, 이에 따라 분단과정에서 글라스기판(G)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정확한 분단을 가능하게 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한 연장브라켓(251)에 설치된 제1서브브라켓(251a)과 푸셔브라켓(252)에 설치된 제2서브브라켓(252a) 사이에 설치된 영점접점(258)을 채용함으로써, 진공패드(255)가 글라스기판(G)에 밀착되는 시점인 영점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기준으로 수직이송구동부(240)는 연장브라켓(251)의 하강정도를 제어함으로서 연장브라켓(251)이 과도하게 하강함으로써 스틱형 글라스기판(G)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또한 글라스셀(C)에 밀착되는 분단바아(312)에 진공압을 형성하고, 분단바아(312)를 틸팅시킴으로써 글라스셀(C)을 분단하므로, 스크라이빙 라인(L)을 따라 정확한 분단이 가능하다. Further, since the glass cell C is divided by forming vacuum pressure in the
그리고 분단바아(312)는 분단된 글라스셀(C)을 흡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분단된 글라스셀(C)을 자동으로 다음 공정으로 취출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빠른 시간동안 대량의 글라스셀 분단 및 취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vid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컨베이어 200 ... 푸셔장치
210 ... 포스트 220 ... 가이드레일
230 ... 수평이송구동부 240 ... 수직이송구동부
250 ... 푸셔유니트 251 ... 연장브라켓
251a ... 제1서브브라켓 251b ... 단턱
251c ... 브라켓가이드레일 252 ... 푸셔브라켓
253 ... 제1스프링 254 ... 푸셔바아
255 ... 진공패드 256 ... 제2스프링
257 ... 스토퍼볼트 258 ... 영점접점
258a, 258b ... 제1,2열점볼트 259 ... 위치감지센서
300 ... 분단취출장치 310 ... 틸팅분단헤드
311 ... 헤드본체 312 ... 분단바아
312a ... 밀착면 312b ... 흡착홀
313 ... 이송블럭 314 ... 레버부재
315 ... 스프링 316 ... 모터
316a ... 제1풀리 317 ... 샤프트
317a ... 제2풀리 318 ... 벨트
320 ... 이송로봇 100 ...
210 ... post 220 ... guide rail
230 ... horizontal
250 ...
251a ... first sub-bracket 251b ... step
251c ...
253 ...
255 ...
257 ...
258a, 258b ... first and second
300 ... division / take-out
311 ...
312a ...
313 ...
315 ...
316a ...
317a ...
320 ... Transfer robot
Claims (8)
상기 컨베이어(100)로 이송되는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그 컨베이어(100)의 표면으로 가압하기 위한 푸셔장치(200); 및
상기 푸셔장치(200)가 상기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상기 컨베이어(100)의 표면으로 가압하는 동안, 상기 스틱형 글라스기판(G)으로부터 글라스셀(C)을 흡착한 상태에서 분단한 후 취출하기 위한 분단취출장치(300);를 포함하고;
상기 푸셔장치(200)는, 베이스프레임(F)에 지지되는 한쌍의 포스트(210)와; 상기 포스트(210)에 지지되어 컨베이어(100)를 가로지르는 가이드레일(220)과; 상기 가이드레일(220)을 따라 왕복이송되는 한쌍의 수평이송구동부(230)와; 상기 수평이송구동부(230) 각각에 결합된 것으로서, 수직방향으로 승강되는 승강브라켓(241)을 가지는 한쌍의 수직이송구동부(240)와; 상기 승강브라켓(241)에 설치되어 상기 스틱형 글라스기판(G)을 상기 컨베이어(100) 표면으로 선택적으로 가압하기 위한 푸셔유니트(250)를 포함하며;
상기 푸셔유니트(250)는, 상기 승강브라켓(241)에 전방으로 돌출되게 연결되는 연장브라켓(251)과; 상기 연장브라켓(251)에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푸셔브라켓(252)과; 상기 연장브라켓(251)과 푸셔브라켓(252) 사이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253)과; 상기 푸셔브라켓(252)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글라스기판(G)의 표면을 가압되기 위한 푸셔바아(254)와; 상기 푸셔바아(25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글라스기판(G)과의 밀착면에 진공을 형성하기 위한 진공패드(255)와;상기 푸셔브라켓(252)과 푸셔바아(254) 사이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256)를 포함하고;
상기 분단취출장치(300)는, 상기 스틱형 글라스기판(G)로부터 글라스셀을 흡착 및 틸팅하여 분단하는 한쌍의 틸팅분단헤드(310)와; 상기 틸팅분단헤드(310)를 상기 베이스프레임(F) 상에서 이송시키는 이송로봇(320)을 포함하며;
상기 틸팅분단헤드(310)는, 상기 이송로봇(320)의 팔(321)에 장착되는 헤드본체(311)와; 상기 헤드본체(311)의 하단에 제1힌지(h1)를 축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글라스셀(C)을 흡착하여 분단하기 위한 분단바아(312)와; 상기 헤드본체(311)의 하부측에 상기 제1힌지(h1) 방향으로 왕복이송 이송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블럭(313)과; 상기 이송블럭(313)의 제2힌지(h2)와 상기 분단바아(312)의 제3힌지(h3)를 연결하는 레버부재(314); 상기 제1힌지(h1)를 중심으로 상기 레버부재(314)의 반대측에서 상기 분단바아(312)와 상기 헤드본체(311)를 연결하는 스프링(315)과; 상기 헤드본체(311)에 설치되어 상기 분단바아(312)가 상기 제1힌지(h1)를 축으로 틸팅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틸팅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 글라스셀 제조장치.A conveyor 100 for conveying a stick-shaped glass substrate G on which a plurality of scribing lines L are formed;
A pusher device (200) for pressing a sticky glass substrate (G) conveyed to the conveyor (100) to the surface of the conveyor (100); And
While the pusher device 200 presses the stick-shaped glass substrate G onto the surface of the conveyor 100, the push-pull device 200 is divided into a state in which the glass cells C are adsorbed from the stick-shaped glass substrate G (300) for taking out the sheet bundle;
The pusher device 200 includes a pair of posts 210 supported on a base frame F; A guide rail 220 supported by the post 210 and crossing the conveyor 100; A pair of horizontal feed driving units 230 reciprocated along the guide rails 220; A pair of vertical conveyance driving units 240 coupled to the horizontal conveyance driving units 230 and having a lifting bracket 241 vertically elevated; And a pusher unit (250) installed on the lifting bracket (241) for selectively pressing the stick-shaped glass substrate (G) to the surface of the conveyor (100);
The pusher unit 250 includes an extension bracket 251 protruding forward from the lift bracket 241; A pusher bracket 252 slidably coupled to the extension bracket 251 in a vertical direction; A first spring 253 installed between the extension bracket 251 and the pusher bracket 252; A pusher bar 254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pusher bracket 252 to press th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G; A vacuum pad 255 for detachably attaching to the pusher bar 254 and forming a vacuum on a contact surface of the pusher bar 254 with the glass substrate G; And a second spring (256) installed in the second housing
The division / take-out device 300 includes a pair of tilting / dividing heads 310 for adsorbing and tilting the glass cells from the stick-shaped glass substrate G and dividing the glass cells, And a transfer robot (320) for transferring the tilting and dividing head (310) on the base frame (F);
The tilting and dividing head 310 includes a head body 311 mounted on an arm 321 of the transfer robot 320; A dividing bar 312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head body 311 along the first hinge h1 for adsorbing and separating the glass cell C; A conveying block 313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head body 311 so as to be reciprocally convey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h1; A lever member 314 connecting the second hinge h2 of the transport block 313 and the third hinge h3 of the division bar 312; A spring 315 connecting the division bar 312 and the head body 311 on the opposite side of the lever member 314 with respect to the first hinge h1; And a tilting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head body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tilting the first hinge h1 by the dividing bar 312.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la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푸셔브라켓(252)에 설치되어 상기 푸셔바아(254)의 움직임 변위를 조절하는 스토퍼볼트(25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 글라스셀 제조장치.The pusher unit (25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usher unit (250)
Further comprising a stopper bolt (257) installed on the pusher bracket (252) to adjust a displacement of the pusher bar (254).
상기 연장브라켓(251)에 설치된 제1서브브라켓(251a)과 상기 푸셔브라켓(252)에 설치된 제2서브브라켓(252a) 사이에 설치되어, 그 푸셔브라켓(252)의 영점위치를 확정하는 영점접점(258); 및
상기 푸셔브라켓(252)에 설치되어 상기 스틱형 글라스기판(G)의 양측단의 위치를 센싱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25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 글라스셀 제조장치.The pusher unit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usher unit (250)
A first sub bracket 251a provided on the extension bracket 251 and a second sub bracket 252a provided on the pusher bracket 252 to establish a zero point position of the pusher bracket 252, (258); And
Further comprising a position sensor (259) installed on the pusher bracket (252) for sensing the positions of both side ends of the stick-shaped glass substrate (G).
분단대상인 글라스셀(C)의 표면에 밀착되는 밀착면(312a)과;
상기 밀착면(312a)으로 개구되어 상기 글라스셀(C)과 밀착면(312a) 사이에 진공압을 형성하는 다수의 흡착홀(31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 글라스셀 제조장치.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dividing bar (312)
A close contact surface 312a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glass cell C to be divided;
And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312b) opened to the close contact surface (312a) and forming vacuum pressure between the glass cell (C) and the close contact surface (312a) .
상기 글라스셀의 분단취출도중 발생되는 글라스기판 잔여물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홈(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판표시소자 글라스셀 제조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covery groove (400) for recovering the glass substrate residue generated during the separation and extraction of the glass cel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8030A KR101696765B1 (en) | 2016-07-12 | 2016-07-12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at display glass ce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88030A KR101696765B1 (en) | 2016-07-12 | 2016-07-12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at display glass cel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6765B1 true KR101696765B1 (en) | 2017-02-02 |
Family
ID=58151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88030A Expired - Fee Related KR101696765B1 (en) | 2016-07-12 | 2016-07-12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at display glass cel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6765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390399A (en) * | 2017-08-25 | 2017-11-24 | 深圳市山本光电股份有限公司 | FPC lamp bar press fit devices |
CN114291574A (en) * | 2021-11-25 | 2022-04-08 | 彩虹(合肥)液晶玻璃有限公司 | Automatic collecting system for glass scrap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69881A (en) * | 2003-09-24 | 2006-06-22 |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Substrate Cutting System, Substrate Manufacturing Equipment and Substrate Cutting Method |
KR20070010855A (en) * | 2005-07-20 | 2007-01-24 |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 Multi cutting system |
KR20120085083A (en) * | 2011-01-21 | 2012-07-31 |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 A breaking apparatus of glass panel |
KR20140056431A (en) * | 2012-10-25 | 2014-05-1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chamfering of flexible display |
-
2016
- 2016-07-12 KR KR1020160088030A patent/KR10169676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69881A (en) * | 2003-09-24 | 2006-06-22 |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Substrate Cutting System, Substrate Manufacturing Equipment and Substrate Cutting Method |
KR20070010855A (en) * | 2005-07-20 | 2007-01-24 |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 Multi cutting system |
KR20120085083A (en) * | 2011-01-21 | 2012-07-31 |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 A breaking apparatus of glass panel |
KR20140056431A (en) * | 2012-10-25 | 2014-05-1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chamfering of flexible display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7390399A (en) * | 2017-08-25 | 2017-11-24 | 深圳市山本光电股份有限公司 | FPC lamp bar press fit devices |
CN107390399B (en) * | 2017-08-25 | 2023-08-15 | 深圳市山本光电股份有限公司 | FPC lamp strip compression fittings |
CN114291574A (en) * | 2021-11-25 | 2022-04-08 | 彩虹(合肥)液晶玻璃有限公司 | Automatic collecting system for glass scraps |
CN114291574B (en) * | 2021-11-25 | 2023-10-03 | 彩虹(合肥)液晶玻璃有限公司 | Automatic glass ear material collecting syst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7664B1 (en) | Scribing stage for cutting LCD glass and one-stage LCD glass cutting system having the same | |
KR101650684B1 (en) | One-stage LCD glass cutting system | |
KR100836588B1 (en) | Polarizer Film Attaching Device to Glass Panel | |
KR101991267B1 (en) | Apparatus for cutting substrate | |
US716359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ticking polarizer to substrate | |
KR101397094B1 (en) | Laminating apparatus and laminating method | |
JP3918556B2 (en) | Sticking wafer separating apparatus and sticking wafer separating method | |
KR101650683B1 (en) | Clamper for clamping LCD glass and one-stage LCD glass cutting system | |
KR101696765B1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at display glass cell | |
WO2019067361A1 (en) | Glass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separating a glass ribbon | |
KR20190124558A (en) | Endless track module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 |
CN213382974U (en) | Large curved surface material conveying structure | |
KR20170115635A (en) | Scribing apparatus | |
KR101696763B1 (en) | Apparatus of devide glass cell with glass substrate of Flat display manufacturing device | |
KR100849025B1 (en) | Alignment device for display panel | |
KR102067981B1 (en) | Substrate cutting apparatus | |
KR102067983B1 (en) | Apparatus for cutting substrate | |
CN109824261B (en) | Substrate cutting device and substrate cutting method | |
KR100806919B1 (en) | In-line auto cog bonding m/c | |
KR20150096029A (en) | Attach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same | |
KR20190046142A (en) | Automated device with polarizer of glass for liquid crystal display | |
KR101696762B1 (en) | Apparatus for pushing glass substrate of Flat display manufacturing device | |
KR20080089853A (en) | Dummy glass removal system of liquid crystal panel and its method | |
KR102176870B1 (en) | Method of controlling scribing apparatus | |
KR102114025B1 (en) | Apparatus for cutting substra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7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10806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021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