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221B1 - Terminal for providing realistic effect of sound using vibration device - Google Patents
Terminal for providing realistic effect of sound using vibra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0221B1 KR101690221B1 KR1020150100635A KR20150100635A KR101690221B1 KR 101690221 B1 KR101690221 B1 KR 101690221B1 KR 1020150100635 A KR1020150100635 A KR 1020150100635A KR 20150100635 A KR20150100635 A KR 20150100635A KR 101690221 B1 KR101690221 B1 KR 1016902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ibration
- information
- control signal
- diaphragm
- curr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33764 rhythmic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20 rhythm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22 thirs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02—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진동을 통해 보다 실감나는 음악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including a vibration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including a vibration module that enables more realistic music to be enjoyed through vibration.
CD(Compact Disc)가 처음 나왔을 때에는 이전 LP(Long Playing record)를 재생할 때에 먼지 등으로 발생하는 화이트 노이즈가 없는 맑고 깨끗한 음질로 반응이 좋았지만 어딘가 모르게 풍부함이 부족하고 건조하다는 평도 있었다. 이는 CD가 아날로그 원음 그대로가 아닌 압축되고 잘려나간 음원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LP에 비해 크기도 훨씬 작아지고 관리가 편리해 CD는 점점 인기가 높아졌으며, 반대로 LP는 점차 사라져 갔다.When a CD (Compact Disc) was first introduced, it was appreciated that the LP (Long Playing record) was reproduced with clean and clear sound without white noise caused by dust when reproducing the LP (Long Playing record), but lacked richness and dryness somewhere. This is because the CD is a sound source that has been compressed and cut off, not just the analog sound. However, CD is much more popular than LP, and LP is gradually disappearing.
이후 정보통신의 시대가 오면서 작은 저장공간 및 초기 네트워크 속도에 부합하기 위하여 음원은 더욱 압축되었고, 급기야 원음대비 일정 주파수 대역 위로는 과감하게 삭제함으로써 음질에선 후퇴하였으나, 파일 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이게 된 것이 MP3(MPEG Audio Layer-3) 파일이며, CD 조차 밀어내며 MP3 음원은 디지털 음원의 대세가 되었다.Since the era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has come, the sound source has been further compressed to meet the small storage space and the initial network speed, and the sound quality has been reduced by daringly deleting over a certain frequency band compared with the original sound. However, (MPEG Audio Layer-3) file, pushing even CD and MP3 sound source became the mainstream of digital sound source.
하지만, 이제 시간이 많이 흐르고 스토리지 기술도 크게 발전해서 USB 메모리도 기가바이트급이 기본이 되었고, PC에 장착되는 하드디스크는 테라바이트급이 사용되고 있다. However, it is now time consuming and the storage technology has developed so much that the gigabyte of the USB memory has become the basis, and the terabyte of the hard disk installed in the PC is used.
이렇게 저장공간에 대한 제약이 크게 줄어들고 음향기기의 성능이 올라가자, 고음질에 대한 니즈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고품질 사운드에 대한 갈증은 파일 용량이 다소 커지더라도 음질을 우선시하는 저압축 MP3 파일로는 채워지지 않았다. 음악 매니아들은 MP3 보다 뛰어난 음질을 원하기 시작했고, 무손실 음원이 점차 인기를 얻기 시작하고 있다. As the constraints on the storage space were greatly reduced and the performance of the sound device increased, the need for high sound quality began to arise. The thirst for high-quality sound was not satisfied with low-compression MP3 files, which tend to favor sound quality even though the file capacity is somewhat larger. Music enthusiasts have begun to want better sound quality than MP3, and lossless sound sources are starting to gain popularity.
이렇게, 점차 대중들에게까지 알려지기 시작한 것이 일명 MQS(mastering quality sound)로 스튜디오에서 녹음한 마스터링 음원의 퀄리티를 동일하게 내준다는 무손실 음원이다. 전문 음향기기나 PC에서는 예전부터 이미 이런 무손실 음원을 재생할 수 있었지만 휴대용 기기에서는 대부분 지원되지 않았으며, 국내에서는 MP3 플레이어로 유명했던 아이리버가 무손실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기기를 출시하면서 MQS를 재생하는 휴대용 기기 시장을 개척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다양한 휴대폰 제조업체에서 무손실 음원을 재생할 수 있는 고급형 스마트폰을 출시하면서 무손실 음원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In this way, it is gradually becoming known to the public that a mastering quality sound (MQS) is a lossless sound source that gives the same quality of mastering sound recording in the studio. I have been able to play these lossless sound sources in professional sound equipment and PC, but most of them have not been supported in portable devices. Iriver, which is famous as an MP3 player in Korea, introduced portable devices that can play lossless sound sources, And started exploring the device market. Since then, the interest in lossless sound sources has been increasing as the launch of high-end smartphones that can play lossless sound sources from a variety of mobile phone manufacturers.
그러나, 무손실 음원의 고음질은 사용중인 이어폰이나 헤드폰이 제대로 사운드를 들려주기 힘든 구성이라면 그 효과가 반감되며, 192KHZ 이상으로는 음질의 차이는 더 이상 차이가 나지 않는 다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 high-quality sound of a lossless sound source is half the effect if the earphone or headphone being used does not sound properly, and the sound quality difference above 192 KHz is no longer different.
따라서, 고음질은 기본이고 차별적인 요소의 필요성이 등장하였으며, 고음질 외의 음악을 좀더 현실적으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4D 효과(시각, 청각, 촉각, 연출, 조명)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Therefore, the need for high-quality and basic elements has emerged, and interest in 4D effects (visual, auditory, tactile, directing, lighting) has been increasing to enable more enjoyment of music other than high-quality sound.
근래의 스마트 기기는 진동발생장치가 내장되어 있으며, 착신신호 시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통화가 왔음을 알려준다. 이와 같이 스마트 기기는 음성을 재생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스마트 기기에 내장된 진동장치를 이용한다면, 음악을 보다 현실감 있게 즐길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진동장치는 규칙적인 진동만을 발생시키도록 설계되어 있어, 음악을 보다 현실감 있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진동 효과를 발생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Modern smart devices have built-in vibration generators and generate vibrations in the incoming signal, thereby notifying the user of the incoming call. As such, the smart device includes a function for reproducing the voice. At this time, if the vibration device built in the smart device is us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enjoying music more realistically. However, the conventional vibrating device is designed to generate only regular vibrations, so that there are limitations in generating various vibrating effects that allow music to be enjoyed more realistically.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진동을 통해 보다 실감나는 음악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진동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안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terminal including a vibration module for enjoying more realistic music through vibra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example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모듈을 이용하여 현실감 있는 사운드를 제공하는 단말기에 있어서, 입력된 음원의 저주파 대역의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진동 제어 신호를 추출하거나, 상기 입력된 음원에 미리 삽입된 진동 제어 신호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진동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음원에 대응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듈; 및 상기 진동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진동 모듈을 구동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모듈은 복수의 진동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기 진동 제어 신호는 진동 효과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rminal for providing a realistic sound using a vibration module, the method comprising: extracting a vibration control signal using frequency information of a low frequency band of an input sound source; An extracting unit for extracting a vibration control signal previously inserted into the input sound source; A vibration module for generating vibration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vibration control signal; And a controller for driving the vibration module using the vibration control signal, wherein the vibration module can generate a plurality of vibration effects, and the vibration control signal includes vibration effect information. do.
상기 진동 모듈은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코일; 상기 코일내에 구비되어 상기 코일의 자력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자석과 중량체가 결합된 진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vibration module comprises: a housing for receiving a component; A coil received in the housing; And a vibrating body provided in the coil and coupled with a magnet moving up and down by a magnetic force of the coil.
상기 진동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진동체의 상하 운동에 의해 충돌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상부 진동판 및 하부 진동판을 포함할 수 있다.The vibration module may include an upper diaphragm and a lower diaphragm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vibrating body of the housing is collided by the up and down movement.
상기 복수의 진동 효과는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 제어를 통해 발생되며, 상기 진동 효과 정보는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방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vibration effects may be generated through direction control of a current applied to the coil, and the vibration effect information may include current direction information applied to the coil.
상기 전류 방향 정보는 시계 방향 전류 공급 정보, 전류 공급 차단 정보 및 반시계 방향 전류 공급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들의 시계열적인 조합 정보일 수 있다.The current direction information may be time series combin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clockwise current supply information, current supply cutoff information, and counterclockwise current supply information.
상기 진동 효과 정보는 상기 전류 공급시의 전류의 세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The vibration effect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current at the time of supplying the current,
상기 전류의 세기 정보는 제1 세기 정보 및 제2 세기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세기 정보는 상기 진동체가 상승 또는 하강 하여 상기 하우징, 상기 상부 진동판 또는 상기 하부 진동판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세기를 의미하며, 상기 제2 세기 정보는 상기 진동체가 상기 하우징, 상기 상부 진동판 또는 상기 하부 진동판의 일면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상승 또는 하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세기 정보일 수 있다.The current intensity information may include first intensity information and second intensity information, wherein the first intensity information may cause the vibrating body to contact the one surface of the housing, the upper diaphragm, or the lower diaphragm, And the second intensity information may be intensity information that allows the vibrator to rise or fall without contacting the housing, the upper diaphragm, or one surface of the lower diaphragm.
상기 상부 진동판과 하부 진동판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upper diaphragm and the lower diaphragm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상기 진동판과 충돌하는 중량체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weight which collides with the diaphragm.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하면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housing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 음악의 리듬 따른 다양한 진동 효과를 촉감으로 전달하여 입체적으로 음악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terminal including a vibration module capable of reproducing various music, various vibration effects according to the rhythm of the music are transmitted to the touch, so that the music can be appreciated in three dimens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악 재생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의 단면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usic reproduc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ib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ibration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But also includes a case in which other elemen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middle thereof.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and like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음원 입력부(110), 음원 출력부(120), 추출부(130), 진동모듈(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단말기(100)는 MP3 플레이어, CD 플리에어와 같은 휴대용 오디오 플레이어나, 오디어 출력을 갖는 다양한 종료의 전자제품(PMP, PDA, 휴대폰, 스마트폰)등의 다양한 재생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음원 입력부(110)는 음악 재생 장치에서 재생될 음원을 입력 받는다. 음원의 입력은 음원이 저장된 별도의 메모리부(미도시)로부터 입력 받거나, 통신모듈(미도시)을 통해 스트리밍 되는 음원을 입력 받을 수 있다.The sound
음원 출력부(120)는 입력된 음원을 음원 출력부(120)와 연결된 스피커, 헤드폰, 이어폰 등으로 출력한다.The sound
추출부(130)는 입력된 음원의 저주파 대역의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진동 제어 신호를 추출하거나, 입력된 음원에 태그 방식등으로 미리 삽입된 진동 제어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The
보다 상세하게, 추출부(130)는 음원에 진동 제어 신호가 삽입되어 있는지 우선 확인하고, 삽입된 진동 제어 신호가 없다면, 저주파 성분을 추출하는 저역통과필터(LPF)를 통해 음원의 저주파 대역의 주파수 정보를 분석하여 진동 제어 신호를 추출한다. 주파수가 높을수록 고음이고, 사람은 저음에서 더 큰 체감진동을 느끼기 때문에 음원을 이용하여 체감진동을 구현할 때에는 저주파 대역의 주파수 정보를 이용한다. 추출부(130)는 주파수 파형에서 일정 크기 이상의 주파수, 각 주파수에서의 에너지, 첨예도 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소리를 진동으로 느끼기 유효한 정보를 추출한다. 일례로, 음원의 박자감, 리듬감등을 느낄수 있도록 하는 진동 제어 신호를 추출한다.More specifically, the extracting
진동 제어 신호는 진동의 세기, 진동의 길이, 진동 효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vibration control sign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vibration intensity, vibration length, and vibration effect information.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later.
진동모듈(140)은 상기 진동 제어 신호에 따라 음원에 대응되는 진동을 발생시킨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vib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진동 모듈(140)은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하우징(11a, 11b), 하우징(11a, 11b)에 수용되는 코일(13), 코일(13) 내에 구비되어 코일(13)의 자력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자석(15a)과 중량체(15b)가 결합된 진동체(15) 및 하우징(11a, 11b)에서 진동체(15)의 상하 운동에 의해 충돌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진동판(10a, 10b)를 포함한다.The
하우징(11a, 11b)은 함체 형상의 하우징 본체(11a), 하우징 본체(11a)의 개방부를 차단하는 덮개(11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 본체(11a)와 덮개(11b)의 결합은 실시예적으로 커링(Curing)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하우징 본체(11a)의 개방부 내주연 부분에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단턱에 덮개(11b)가 안착되고, 하우징 본체(11a)의 개방부 주연 선단부가 덮개(11b)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안착된 덮개(11b)를 압착 결합할 수 있다.The
하우징 본체(11a) 또는 덮개(11b)에는 코일(13)의 선단부가 인출되어 납땜 용접되는 외부 접속단자가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이 마련될 수 있다. 연성회로기판을 통해 단말기에서 공급되는 진동 주파수 정보에 대응되는 전류가 코일(14)로 인가되어 플레밍의 왼손 법칙에 의해 신호의 흐름이 교번하는 전기장에 자기장이 반응하여 진동체(15)가 진동하게 된다. The housing
진동체(15)는 코일(14)에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에 의해 상하로 진동한다. 진동체(15)의 자석(15a)은 영구자석 일 수 있다. 중량체(15b)는 비자성체 예컨대 텅스텐일 수 있으며, 상기 텅스텐은 비중이 자석(15a)에 비해 높아 같은 체적으로도 중량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다. 중량을 증가시키는 경우 진동 시 진동력 증대를 기대할 수 있으며, 중량체(15b)는 사용자가 원하는 진동효과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될 수 있다.The vibrating body (15) vibrates up and down by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14). The
하우징(11)의 진동체(15)의 상하 운동에 의해 충돌되는 부분에는 상부 진동판(10a) 및 하부 진동판(10b)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판(10a, 10b)은 진동체(15)의 상하 운동에 의한 진동 효과 외에 진동체(15)가 진동판(10a, 10b)에 충돌함에 따른 추가적인 진동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진동판(10a, 10b)은 진동 효과의 구성을 위해 진동체(15)와 충돌하는 부분은 얇은 막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진동판(10a, 10b)에 진동체(15)가 충돌 시 드럼이나, 북을 칠 때 나오는 진동이 생성될 수 있도록 다양한 두께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진동판(10a)과 하부 진동판(10b)이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됨으로써 규칙적으로 다른 진동효과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 모듈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ib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를 참조하면, 자석(15a)의 상방에 N극이 하방에 S극이 위치하도록 착자된 상태이면, 주지하는 바와 같이 자기장의 방향은 N극에서 나와 S극으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된다.Referring to Fig. 3 (a), if the N pole is located above the
이와 같이 자기장이 형성되는 상태에서 코일(13)에 시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경우 진동체(15)는 도 3(b)에서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하고, 다시 코일(13)에 시계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를 경우 도 3(c)에서와 같이 진동체(15)는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를 연속하면서 진동하게 된다.When a current flows in the
이때, 진동체(15)가 상하 운동 즉 진동과정에서 상부 진동판(10a)과 하부 진동판(10b)과의 충돌을 통해, 북이나 드럼을 칠 때 나오는 진동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a vibrating effect generated when the drum or the drum is hit through the collision between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서와 같이 진동판(10a, 10b)과 충돌하는 중량체(15b)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5c)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돌출부(15c)에 의해 돌출부(15c)와 진동판(10a, 10b)과의 충돌 시 보다 현실감 있는 북이나 드럼을 치는 것과 같은 진동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을 것이다.4, one o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진동판(10a)과 하부 진동판(10b)의 두께를 서로 달리함으로써 코일(13)에 시계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경우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는 경우 서로 다른 진동 효과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진동체(15)가 상부 진동판(10a)과 충돌하는 경우에는 "쿵"의 진동 효과가, 하부 진동판(10b)과 충돌하는 경우 "짝"의 진동 효과가 나도록 상부 진동판(10a)과 하부 진동판(10a)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urrent flows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모듈에서 진동판(10a, 10b)의 구성을 제외하고, 하우징의 상면(11a) 및 하면(11b)의 두께를 서로 달리함으로써, 진동체(15)체가 하우징의 상면(11a) 또는 하면(11b)에 충돌할 때 서로 다른 진동효과가 나오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es of the
제어부(150)는 추출부(130)에서 추출된 진동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진동 모듈(140)을 구동함으로써 음원을 보다 현실감 있게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진동 효과를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음원을 실제 공연장에서 듣는 것과 같은 체험을 할 수가 있다.The
진동 모듈(140)에서 발생하는 복수의 진동 효과는 코일(13)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 제어를 통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진동 제어 신호에 포함되는 진동 효과 정보는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방향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vibration effects generated in the
전류 방향 정보란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시계 방향 전류 공급 정보(이하, A), 전류 공급 차단 정보(이하, B) 및 반시계 방향 전류 공급 정보(이하, 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들의 시계열적인 조합 정보를 의미한다.The current direction information is a time series of at least one of clockwise current supply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urrent supply cutoff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B), and counterclockwise current supply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 Means combination information.
일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시계 방향의 전류 공급에 의해 진동체(15)가 상부로 이동하여 충돌하는 경우 "쿵"의 진동 효과가 발생하며, 반시계 방향의 전류 공급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여 충돌하는 경우 "짝"의 진동효과가 발생한다고 가정한다.For example, when the vibrating
이때, 음원의 주파수 분석 결과 "쿵쿵짝"과 같은 효과가 필요한 경우, ABAC과 같은 전류 방향 정보를 진동 모듈(140)에 인가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an effect such as a "thumping pulse" is required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of a sound source, current direction information such as ABAC can be applied to the
또한, 진동 효과 정보는 전류 세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vibration effect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current intensity information.
상기 전류의 세기 정보는 제1 세기 정보(이하, X) 및 제2 세기 정보(이하, Y)를 포함하며, 제1 세기 정보는 진동체(15)체가 상승 또는 하강 하여 하우징(11), 상부 진동판(10a) 또는 하부 진동판(10b)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는 세기를 의미하며, 제2 세기 정보는 진동체(15)가 하우징(11), 상부 진동판(10a) 또는 하부 진동판(10b)의 일면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상승 또는 하강을 할 수 있는 세기 정보를 의미한다.The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current includes first intensity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X) and second intensity inform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Y), and the first intensity information indicates that the vibrating
따라서, 전류 방향 정보가 A 이고, 전류 세기 정보가 X인 경우 진동체(15)는 상부로 이동하여 상부 진동판(10a)과 충돌하며, 전류 방향 정보가 A이고 전류 세기 정보가 Y인 경우, 진동체(15)는 상부로 이동하기는 하나 상부 진동판(10a)과 충돌하지는 않는다. Therefore, when the current direction information is A and the current intensity information is X, the vibrating
이하에서, A(X)는 제1 세기로 시계 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정보, C(X)는 제1 세기로 반시계 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정보, A(Y)는 제2 세기로 시계 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정보, C(X)는 제2 세기로 반시계 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정보를 의미한다.Hereinafter, A (X) is information for supplying a current in a clockwise direction to a first intensity, C (X) is information for supplying a current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a first intensity, A (Y) Direction, C (X) means information supplying current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to the second intensity.
이 경우, 만약, A(Y)C(X)로 진동 모듈(140)을 구동시키는 경우, 진동체(15)는 상부로 이동하다가 상부 진동판(10a)에 충돌하기 전에 하부로 이동하여 하부 진동판(10b)과 충돌한다. 따라서, C(X)만으로 진동 모듈(140)을 구동 시킬 때와 비교하여 진동체(15)가 하부 진동판(10b)에 충돌하기까지의 거리가 길어지므로 더 큰 세기의 "짝"의 진동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C(Y)A(X)로 진동 모듈(140)을 구동시키는 경우, A(X)만으로 진동 모듈(140)을 구동 시킬 때와 더 큰세기의 "쿵"의 진동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하기의 표 1은 다양한 진동 효과에 따른 조합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표이다.Table 1 below shows an example of combin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various vibration effects.
따라서, 추출부(130)는 음원을 분석하여 음원을 현실감 있게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상기 표 1에 근거한 진동 효과 정보를 포함하는 진동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부(150)는 상기 진동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진동 모듈을 구동함으로써, 진동 모듈에서 다양한 진동 효과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extracting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종 음악을 재생할 수 있는 진동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 음악의 리듬 따른 다양한 진동 효과를 촉감으로 전달하여 입체적으로 음악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various vibration effects according to a rhythm of a music to be transmitted through a tactile sensation in a terminal including a vibration module capable of reproducing various music, so that the music can be appreciated in three dimension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nd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단말기 110: 음원 입력부
120: 음원 출력부 130: 추출부
140: 진동모듈
11a, 11b: 하우징 10a, 10b: 진동판
13: 코일 15: 진동체100: terminal 110: sound source input section
120: sound source output unit 130:
140: Vibration module
11a, 11b:
13: coil 15: oscillating body
Claims (9)
입력된 음원의 저주파 대역의 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진동 제어 신호를 추출하거나, 상기 입력된 음원에 미리 삽입된 진동 제어 신호를 추출하는 추출부;
상기 진동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음원에 대응되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듈; 및
상기 진동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진동 모듈을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모듈은 복수의 진동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기 진동 제어 신호는 진동 효과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 모듈은 구성요소를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코일; 상기 코일내에 구비되어 상기 코일의 자력에 의해 상하 운동하는 자석과 중량체가 결합된 진동체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진동체의 상하 운동에 의해 충돌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상부 진동판 및 하부 진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A terminal for providing a realistic sound using a vibration module,
An extraction unit for extracting a vibration control signal using frequency information of a low frequency band of the input sound source or extracting a vibration control signal inserted in the input sound source;
A vibration module for generating vibration corresponding to the sound source according to the vibration control signal; And
And a controller for driving the vibration module using the vibration control signal,
The vibration module may generate a plurality of vibration effects,
Wherein the vibration control signal includes vibration effect information,
The vibration module comprises: a housing for receiving a component; A coil received in the housing; And an upper diaphragm and a lower diaphragm which are provided in a portion of the housing that is collided by the up-and-down motion of the vibrating body of the housing, and a vibrating body provided in the coil and coupled to the weight and the magnet moving up and down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coil. .
상기 복수의 진동 효과는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 제어를 통해 발생되며, 상기 진동 효과 정보는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vibration effects are generated through directional control of a current applied to the coil, and the vibration effect information includes current direction information applied to the coil.
상기 전류 방향 정보는 시계 방향 전류 공급 정보, 전류 공급 차단 정보 및 반시계 방향 전류 공급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들의 시계열적인 조합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urrent direction information is time series combination information of at least one of clockwise current supply information, current supply cutoff information, and counterclockwise current supply information.
상기 진동 효과 정보는 상기 전류 공급시의 전류의 세기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류의 세기 정보는 제1 세기 정보 및 제2 세기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세기 정보는 상기 진동체가 상승 또는 하강하여 상기 하우징, 상기 상부 진동판 또는 상기 하부 진동판의 일면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세기를 의미하며, 상기 제2 세기 정보는 상기 진동체가 상기 하우징, 상기 상부 진동판 또는 상기 하부 진동판의 일면에 접촉되지 않으면서 상승 또는 하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세기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6. The method of claim 5,
The vibration effect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intensity information of the current at the time of supplying the current,
The current intensity information may include first intensity information and second intensity information, wherein the first intensity information may cause the vibrating body to contact the one surface of the housing, the upper diaphragm, or the lower diaphragm, Wherein the second intensity information is intensity information that allows the vibrator to rise or fall without contacting the housing, the top diaphragm, or one surface of the bottom diaphragm.
상기 상부 진동판과 하부 진동판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diaphragm and the lower diaphragm have different thicknesses.
상기 진동판과 충돌하는 중량체의 표면에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t least one protrusion is formed on a surface of the weight which collides with the diaphragm.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하면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have different thickness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0635A KR101690221B1 (en) | 2015-07-15 | 2015-07-15 | Terminal for providing realistic effect of sound using vibra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00635A KR101690221B1 (en) | 2015-07-15 | 2015-07-15 | Terminal for providing realistic effect of sound using vibration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90221B1 true KR101690221B1 (en) | 2016-12-27 |
Family
ID=57736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0635A Expired - Fee Related KR101690221B1 (en) | 2015-07-15 | 2015-07-15 | Terminal for providing realistic effect of sound using vibra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9022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319444A (en) * | 2018-01-30 | 2018-07-24 | 广州市百果园信息技术有限公司 | Based on music drumbeat control terminal vibrating method, storage device and computer equipment |
KR102383088B1 (en) * | 2020-12-21 | 2022-04-08 | 원헤르츠 주식회사 | Speaker driver without surround suspenti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43991A (en) * | 1999-10-22 | 2002-06-12 | 우에시마 세이스케 | Device for driving vibration source |
KR20060015904A (en) * | 2004-08-16 | 2006-02-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erminal having vibration function in harmony with music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2015
- 2015-07-15 KR KR1020150100635A patent/KR10169022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43991A (en) * | 1999-10-22 | 2002-06-12 | 우에시마 세이스케 | Device for driving vibration source |
KR20060015904A (en) * | 2004-08-16 | 2006-02-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Terminal having vibration function in harmony with music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319444A (en) * | 2018-01-30 | 2018-07-24 | 广州市百果园信息技术有限公司 | Based on music drumbeat control terminal vibrating method, storage device and computer equipment |
CN108319444B (en) * | 2018-01-30 | 2021-06-29 | 广州市百果园信息技术有限公司 | Music drumbeat-based control terminal vibration method, storage device and computer device |
KR102383088B1 (en) * | 2020-12-21 | 2022-04-08 | 원헤르츠 주식회사 | Speaker driver without surround suspention |
WO2022139065A1 (en) * | 2020-12-21 | 2022-06-30 | 원헤르츠 주식회사 | Surrounding-omitted speaker driver |
JP2023510992A (en) * | 2020-12-21 | 2023-03-16 | ワン ハーツ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Speaker driver with omitted surround |
US11882424B2 (en) | 2020-12-21 | 2024-01-23 | Good Networks Co., Ltd. | Speaker driver from which surrounding has been omitted |
JP7462166B2 (en) | 2020-12-21 | 2024-04-05 | グッド ネットワー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 Speaker driver with no surrounding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85430B2 (en) |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haptic effects | |
KR102204606B1 (en) | Sound to haptic effect conversion system using multiple actuators | |
JP4467601B2 (en) | Beat enhancement device, audio output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beat output method | |
CN104981869A (en) | Signaling audio rendering information in a bitstream | |
CN106126184B (en) | A kind of audio signal playback method and mobile terminal | |
KR20110040190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music on a portable terminal | |
KR20130075323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gernerating vibration by using sound characteristics | |
CN110874203A (en) | Screen sounding controller, metho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 |
CN105284127A (en) | Sound generator | |
CN105679345A (en) | Audio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 |
CN204559866U (en) | Audio frequency apparatus | |
CN103973955A (en)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 |
KR101690221B1 (en) | Terminal for providing realistic effect of sound using vibration device | |
US8494206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thereof | |
CN107527631B (en) | Gramophone | |
CN113096693B (en) |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 |
CN103974168A (en) |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s | |
KR20170009129A (en) | Coin Type vibrator | |
CN206793026U (en) | One kind is clapped hands device | |
CN207397706U (en) | A kind of gramophone | |
KR102747213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actile sense converting sound signal into tactile signal | |
CN106095383A (en) | A kind of mobile terminal and acoustic pattern method to set up thereof | |
JP6266701B2 (en) | Audio signal extraction input device for smart devices | |
CN103297900B (en) | Spring plate and multifunctional acoustic generator with same | |
KR10274721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actile sense converting sound signal into tactile sig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