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058B1 - ClO2 GAS GENERA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ClO2 GAS GENERATION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8058B1 KR101688058B1 KR1020150100897A KR20150100897A KR101688058B1 KR 101688058 B1 KR101688058 B1 KR 101688058B1 KR 1020150100897 A KR1020150100897 A KR 1020150100897A KR 20150100897 A KR20150100897 A KR 20150100897A KR 101688058 B1 KR101688058 B1 KR 1016880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lorine dioxide
- carrier
- raw material
- storage portion
- storage pa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23L3/3409—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4/00—Preservation of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14—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 A23B4/16—Preserv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s A23B4/02 or A23B4/12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 A23B7/08 or A23B7/10
- A23B7/144—Preserving or ripening with chemicals not covered by group A23B7/08 or A23B7/10 in the form of gases, e.g. fumigation; Compositions or apparatus there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2—Oxides of chlorine
- C01B11/022—Chlorine dioxide (ClO2)
- C01B11/023—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 C01B11/024—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from chlori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는 제1 원료물질을 저장하는 제1 물질 저장부, 및 상기 제1 물질 저장부 내부에 배치되어 제2 원료물질을 저장하는 제2 물질 저장부를 포함하며,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2 물질 저장부가 파손될 경우 상기 제1 원료물질과 상기 제2 원료물질이 혼합되어 이산화염소가 발생할 수 있다. A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bstance storage section for storing a first raw material and a second substance storage section disposed inside the first substance storage section and storing a second raw material, If the second material storage portion is broken by an external force, the first raw material and the second raw material may be mixed to generate chlorine dioxi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이산화염소는 식약청에 등록된 식품첨가물이며 농수산식품부에서 식품 표면의 세척, 소독 목적으로 등록된 유기적 취급물질로 친환경적이다.Chlorine dioxide is a food additive registered with the KFDA and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s an organic handling substance registered for the purpose of cleaning and disinfecting food surfaces in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이산화염소는 곰팡이에서 세균, 바이러스에 이르기까지 산화 살균제로서 광범위한 효력을 갖고 있으며, 미생물 살균 메커니즘은 미생물의 보호막을 뚫고 들어가 산화력에 의한 세포의 효소작용을 방해하여 미생물을 죽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hlorine dioxide has a wide range of effects as an antimicrobial agent from fungi to bacteria and viruses. Microbiological sterilization mechanism penetrates the protective membrane of microorganisms and kills microorganisms by interfering with the enzymatic action of the cells by oxidative power.
이같은 살균력은 넓은 PH 범위에서 유효하며 염소에 비해 2.5배 이상 살균력이 강하고 THM(trihalomethane)과 같은 발암물질을 생성하지 않으므로 유럽이나 미국에서 환경 친화적 그린(Green) 살균제로 각광 받고 있다. UN 산하 세계보건기구(WHO) 및 식량농업기구(FAO)는 이산화염소를 살균제로 추천하고 있다. These sterilizing powers are effective in a wide PH range, and are more than 2.5 times more sterilizing power than chlorine and do not generate carcinogens such as THM (trihalomethane), and thus they are being regarded as environmentally friendly green fungicides in Europe and USA. The UN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n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recommend chlorine dioxide as a disinfectant.
최근 메르스, 사스나 조류독감과 같은 바이러스가 공중 보건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이산화염소를 이용하여 이들 바이러스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Recently, as viruses such as mers, sas and avian influenza are emerging as public health problems,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on devices that can prevent the propagation of these viruses by using chlorine dioxi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는 사용자가 편하게 보관하고 이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for a user to conveniently store and us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사화염소 발생장치는 이산화염소의 방출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A chlorofluorocarbon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increase the release time of chlorine dioxide.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other task which i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제1 원료물질을 저장하는 제1 물질 저장부, 및 상기 제1 물질 저장부 내부에 배치되어 제2 원료물질을 저장하는 제2 물질 저장부를 포함하며,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2 물질 저장부가 파손될 경우 상기 제1 원료물질과 상기 제2 원료물질이 혼합되어 이산화염소가 발생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first material reservoir for storing a first source material; and a second material reservoir disposed inside the first material reservoir for storing a second source material, When the second material storage portion is broken, the first raw material and the second raw material are mixed to generate chlorine dioxide.
상기 제1 물질 저장부는 벤딩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물질 저장부는 상기 제1 물질 저장부에 비하여 딱딱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material reservoir may be made of a bendable material, and the second material reservoir may be made of a harder material than the first material reservoir.
상기 제1 원료물질 및 상기 제2 원료물질 중 하나는 액상의 아염소산나트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원료물질 및 상기 제2 원료물질 중 다른 하나는 액상의 산성기 공급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One of the first raw material and the second raw material includes liquid sodium hypochlorite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raw material and the second raw material may include a liquid acidic group supplying material.
상기 산성기 공급물질은 구연산(C6H8O7), 초산(CH3COOH), 젖산(CH3CHOHCOO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cidic feed materi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itric acid (C 6 H 8 O 7 ), acetic acid (CH 3 COOH), and lactic acid (CH 3 CHOHCOOH).
상기 제1 물질 저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LDPE(Low Density Polyethylene)나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material storage part may be made of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or 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상기 제1 원료물질 및 상기 제2 원료물질은 액상 물질일 수 있다.The first raw material and the second raw material may be a liquid material.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는 내부에 상기 제1 물질 저장부가 배치되는 담체 저장부와, 상기 담체 저장부의 내측면과 상기 제1 물질 저장부 사이에 배치되는 담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물질 저장부가 상기 이산화염소를 방출하는 기간 중 상기 제1 물질 저장부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이산화염소의 방출속도가 상기 담체 저장부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이산화염소의 방출속도보다 큰 기간이 존재할 수 있다. The apparatus for chlorine dioxide genera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arrier storage portion in which the first material storage portion is disposed, and a carrier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arrier storage portion and the first material storage portion, There may be a period in which the release rate of the chlorine dioxide released from the first material reservoir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 first material reservoir releases the chlorine dioxide is greater than the release rate of the chlorine dioxide released from the carrier reservoir .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는 상기 이산화염소를 흡착할 수 있는 담체와, 상기 제1 물질 저장부와 상기 제2 물질 저장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담체를 저장하는 담체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rier capable of adsorbing the chlorine dioxide and a carrier storage portion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material storage portion and the second material storage portion and storing the carrier .
상기 제1 물질 저장부 내의 이산화염소 압력이 증가하면, 상기 담체는 상기 담체 저장부를 통과한 이산화염소를 흡착할 수 있다.When the chlorine dioxide pressure in the first material storage portion increases, the carrier can adsorb chlorine dioxid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arrier storage portion.
상기 제1 물질 저장부 내의 이산화염소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담체는 상기 흡착된 이산화염소를 방출할 수 있다.As the chlorine dioxide pressure in the first material reservoir decreases, the carrier can release the adsorbed chlorine dioxide.
상기 담체 저장부의 두께는 상기 제1 물질 저장부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carrier storage portion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material storage portion.
상기 제1 물질 저장부의 색깔에 따라 상기 제1 물질 저장부 외부로 방출되는 이산화염소의 농도가 달라지거나,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가 상기 제1 물질 저장부의 개구를 막는 캡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캡의 색깔에 따라 상기 제1 물질 저장부 외부로 방출되는 이산화염소의 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material storage por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first material storage portion, or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p for blocking the opening of the first material storage portion.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material storage portion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cap.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는 제1 물질 저장부 내부에 배치된 제2 물질 저장부를 포함하여 제1 물질 저장부를 휠 수 있는 정도의 외력에 의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econd substance storage unit disposed inside the first substance storage unit to generate chlorine dioxide by an external force to the first substance storage unit, It is easy to us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는 제1 물질 저장부를 휠 수 있는 정도의 외력에 의하여 이산화염소를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사용자 주변의 공간을 소독할 수 있다.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chlorine dioxide by an external force to the extent that the first substance storage section can be rotated, so that the user can disinfect the space around the user at a desired tim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는 담체와 담체 저장부를 포함하여 이산화염소의 방출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rrier and a carrier storage unit to increase the release time of chlorine dioxide.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 내지 도 3, 도 6 및 도 7은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를 나타낸다.
도 4는 이산화염소 가스에 대한 다양한 재질의 투과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다. Figs. 1 to 3, Fig. 6 and Fig. 7 show a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graph showing the permeability of various materials to chlorine dioxide gas.
5 shows various shapes of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designation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and further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3은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는 제1 물질 저장부(110) 및 제2 물질 저장부(120)를 포함한다.1 to 3 show a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제1 물질 저장부(110)는 제1 원료물질을 저장한다.The first
제2 물질 저장부(120)는 제1 물질 저장부(110) 내부에 배치되어 제2 원료물질을 저장하는 제2 물질 저장부(120)를 포함한다. 즉, 제2 물질 저장부(120)는 제1 물질 저장부(110) 내부에 배치되어 제2 원료물질을 제1 원료물질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The second
이 때 외력에 의하여 제2 물질 저장부(120)가 파손될 경우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이 혼합되어 이산화염소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발생된 이산화염소는 가스 상태로 제1 물질 저장부(110)를 통과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second
제1 물질 저장부(110)의 재질에 대해서는 이후에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The material of the first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는 캡(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원료물질이 채워진 제2 물질 저장부(120)가 제1 물질 저장부(110)의 개구(미도시)를 통하여 삽입된다.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이 때 제1 물질 저장부(110)에 제1 원료물질이 채워진 상태에서 제2 물질 저장부(120)가 삽입될 수도 있고, 비어있는 제1 물질 저장부(110)에 제2 물질 저장부(120)가 삽입된 후 제1 물질 저장부(110)에 제1 원료물질이 채워질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이와 같이 제2 물질 저장부(120)와 제1 원료물질이 내부에 배치된 후 캡(130)이 제1 물질 저장부(110)의 개구를 막을 수 있다. After the second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물질 저장부(110)의 끝단이나 캡(130)의 외측면에 후크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후크부(140)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는 와이어나 봉과 같은 지지부에 걸쳐질 수 있다. Also, as shown in FIG. 3, the
또한 후크부(140) 대신에 제1 물질 저장부(110)의 끝단이나 캡(130)의 외측면에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Instead of the
이와 같은 제1 원료물질 또는 제2 원료물질 중 하나는 액상의 아염소산나트륨(NaClO2)이고, 다른 하나는 액상의 산성기 공급 물질일 수 있다. 아염소산나트륨이 Na+와 ClO2 -로 분해될 때 산성기 공급 물질은 ClO2 -의 전자를 잃게 하여 ClO2를 형성시킨다. One of the first raw material or the second raw material may be liquid sodium hypochlorite (NaClO 2 ), and the other may be a liquid acidic feed material. Sodium chlorite and the Na + ClO 2 - acidic group when the feed material is digested with ClO 2 - lose electrons to thereby form a ClO 2.
또한 산성기 공급 물질은 물과 같은 용매에 산성기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산성기 공급 물질은 염산과 같이 인체에 미치는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구연산(C6H8O7), 초산(CH3COOH), 젖산(CH3CHOHCOO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연산, 초산, 젖산과 같은 산성기 공급 물질은 약산성 물질이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고 취급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구하기 쉽다. 산성기 공급 물질이 구연산을 포함할 경우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 사이의 화학반응은 다음과 같다. The acidic feed material may also be a mixture of acidic groups in a solvent such as water. At this time, the acidic feeder materia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itric acid (C 6 H 8 O 7 ), acetic acid (CH 3 COOH), and lactic acid (CH 3 CHOHCOOH) to reduce damage to human body such as hydrochloric acid. Since acidic feed materials such as citric acid, acetic acid and lactic acid are weakly acidic substances, they are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are easy to handle and easy to obtain. When the acidic feeder contains citric acid, the chemical rea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aw materials is as follows.
15NaClO2 + 4C6H8O7 = 12ClO2 + 4C6H5Na3O7 + 3NaCl + 6H2O 15NaClO 2 + 4C 6 H 8 O 7 = 12ClO 2 + 4C 6 H 5 Na 3 O 7 + 3NaCl + 6H 2 O
이와 같은 화학 반응에 따라 이산화염소 가스(12ClO2)와 부산물(4C6H5Na3O7, 3NaCl, 6H2O)이 생성되며, 이들 부산물은 인체에 해롭지 않다.Chlorine dioxide gas (12ClO 2 ) and byproducts (4C 6 H 5 Na 3 O 7 , 3NaCl, 6H 2 O) are produced by such a chemical reaction, and these byproducts are not harmful to human body.
이와 같이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의 혼합에 따라 발생한 기상의 이산화염소는 제1 물질 저장부(110)를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즉, 제1 물질 저장부(110)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제1 물질 저장부(110)의 외부로 투과시키고, 제1 원료물질, 제2 원료물질,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의 화합물 및 화학반응에 따른 부산물이 제1 물질 저장부(110)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The gaseous chlorine dioxide generated due to the mixing of the first raw material and the second raw material can be relea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irst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염소 가스(ClO2)에 대한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및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의 투과성이 나머지 재질(PS : Polystyrene, PVC : Polyvinyl chloride, HDPE : High Density Polyethylene, PLA : Poly Lactic Acid, BOPP :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Nylon, PET : Polyethylene phthalate, EVA : Ethylene Vinyl Acetate, EVOH : Ethylene Vinyl Alcohol)에 비하여 우수함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permeability of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to chlorine dioxide gas (ClO 2 ) is higher than that of other materials (PS: Polyvinyl chloride, HDPE: Polyethylene, PLA: Poly Lactic Acid, BOPP: Biaxially Oriented Polypropylene, Nylon, PET: Polyethylene phthalate, EVA: Ethylene Vinyl Acetate, and EVOH: Ethylene Vinyl Alcohol).
도 4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시간(단위 : 초)을 나타내고, 세로축은 각 재질을 통과한 이산화염소 가스의 투과량을 나타낸다.In the graph of FIG. 4,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ime (unit: second)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as that has passed through each material.
이와 같은 LDPE 및 LLDPE는 이산화염소 가스를 투과시키지만 제1 원료물질, 제2 원료물질, 상기 화합물 및 화학반응에 따른 부산물의 누출을 막을 수 있다. The LDPE and LLDPE permeate the chlorine dioxide gas but can prevent the leakage of the first raw material, the second raw material, the compound, and the by-product due to the chemical reaction.
이에 따라 제1 물질 저장부(110)의 적어도 일부는 LDPE 또는 LLDPE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ly,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한편,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물질 저장부(110)의 측면에 수직한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면 타원 역시 가능하다. 5 (a) and 5 (b),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또한 제2 물질 저장부(120)의 측면에 수직한 단면 역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이나 타원 역시 가능하다. Also, the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은 액상 물질일 수 있다. 액체 상태의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이 혼합되므로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 사이의 반응성이 우수하여 이산화염소의 생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raw material and the second raw material may be liquid materials. Since the first raw material and the second raw material in a liquid state are mixed, the reactivity between the first raw material and the second raw material is excellent, so that chlorine dioxide can be smoothly produc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다르게 제1 원료물질이나 제2 원료물질이 고체나 반고체인 경우 원료물질을 굳히는 고화 공정이 필요하므로 제조원가 및 제조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Also, unlik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raw material or the second raw material is a solid or a semi-solid material, a solidification process for hardening the raw material is required,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manufacturing time can be increas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는 액상의 제1 원료물질와 제2 원료물질을 포함하므로 제조비용과 제조시간을 줄일 수 있다. Therefore,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iquid raw materials and the raw materials,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manufacturing time can be reduced.
한편,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물질 저장부(120) 측면의 두께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다르게 제2 물질 저장부(120)의 측면에 홈이 형성될 경우 외력에 의하여 제2 물질 저장부(120)의 파손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S. 5 (a) and 5 (b), the thickness of the side surface of the second
이는 제2 물질 저장부(120)의 제조를 어렵게 만들 뿐만 아니라 글라스와 같이 제1 물질 저장부(110)에 비하여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2 물질 저장부(120)가 자그마한 외력에도 쉽게 파손되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시점에 이산화염소가 생성될 수 있다. This makes it difficult to manufacture the second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1 물질 저장부(110)는 벤딩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제2 물질 저장부(120)는 제1 물질 저장부(110)에 비하여 딱딱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외력이 가해지면 제2 원료물질이 제2 물질 저장부(120) 외부로 누출되어야 하는 반면에 제1 물질 저장부(110)는 제1 원료물질, 제2 원료물질, 화합물 및 부산물의 누출을 막아야 한다.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second raw material should leak out of the second
따라서 제1 물질 저장부(110)는 외력의 인가에 따라 파손없이 벤딩가능해야 하며, 제2 물질 저장부(120)는 파손되기 위하여 글라스와 같은 딱딱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rs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의 경우 휴대가 간편하므로 사용자가 호주머니나 가방에 갖고 다니다 필요시 또는 사용자가 원할 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를 휨으로써 이산화염소를 생성할 수 있다.Since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ortable, it is possible to generate chlorine dioxide by bending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needs to carry it in a pocket or a bag, can do.
또한 사용자가 제1 물질 저장부(110)를 휘는 동작만으로 이산화염소 가스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가 위치하는 공간으로 이산화염소 가스가 퍼져나가 상기 공간에 있는 바이스러나 세균을 줄일 수 있다. Also, since the user can generate chlorine dioxide gas only by bending the firs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는 사용자의 휴대 편의성 향상을 위하여 끈(미도시)이나 클립(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를 목에 걸거나 옷 등에 부착시킬 수 있다.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rap (not shown) or a clip (not shown) to improve the portable convenience of the user, The generator can be hooked on the neck or attached to clothes or the like.
한편, 제1 물질 저장부(110) 및 캡(130) 중 적어도 하나의 색깔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가 방출하는 이산화염소의 농도가 달라질 수 있다.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emitted by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color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의 양, 농도 및 원료의 종류 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가 방출하는 이산화염소의 농도가 달라질 수 있다.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emitted by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ed depending on the amount and concentration of the first raw material and the second raw material,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이산화염소의 농도를 시각적으로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방출되는 이산화염소의 농도에 따라 제1 물질 저장부(110)나 캡(130)의 색깔이 다를 수 있다.Accordingly, the colors of the first
예를 들어, 제1 물질 저장부(110) 및 캡(130) 중 적어도 하나의 색깔이 빨간 색일 경우, 고농도의 이산화염소가 제1 물질 저장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lor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또한 제1 물질 저장부(110) 및 캡(130) 중 적어도 하나의 색깔이 파란 색일 경우, 저농도의 이산화염소가 제1 물질 저장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t least one of the first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는 담체 저장부(150) 및 담체(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6,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담체 저장부(150)의 내부에 제1 물질 저장부(110)가 배치되고, 담체 저장부(150)의 내측면과 제1 물질 저장부(110) 사이에 담체(160)가 배치될 수 있다. A first
이에 따라 담체(160)는 제1 물질 저장부(110)의 외측면 중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담체 저장부(150)는 LDPE나 LLDPE로 이루어져 기체 상태의 이산화염소를 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이 때 담체(160)는 이산화염소를 흡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체(160)은 실리카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리카겔은 다공성 물질이므로 이산화염소를 흡착할 수 있다. 담체(160)의 성분은 실리카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산화염소를 흡착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담체(160)는 담체(160) 주변의 이산화염소 농도가 낮으면 흡착된 이산화염소를 방출할 수 있다. 또한 담체(160)는 담체(160) 주변의 이산화염소 농도가 높으면 이산화염소를 흡착하여 포화될 수 있다.The
이에 따라 담체(160)는 이산화염소가 담체 저장부(150)로부터 방출되는 기간을 늘릴 수 있다. 즉,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이 섞이면 이산화염소가 발생량이 급하게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물질 저장부(110)로부터 방출되는 이산화염소의 양 역시 급하게 증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이에 따라 담체 저장부(150) 내의 이산화염소 농도가 증가하므로 담체(160)가 이산화염소를 흡착할 수 있는 제1 기간 동안 담체 저장부(150)로부터 방출되는 이산화염소의 양은 제1 물질 저장부(110)로부터 방출되는 이산화염소의 양에 비하여 작을 수 있다. Accordingly,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discharged from the
즉, 제1 물질 저장부(110)가 이산화염소를 방출하는 기간 중 제1 물질 저장부(110)로부터 방출되는 이산화염소의 방출속도가 담체 저장부(150)로부터 방출되는 이산화염소의 방출속도보다 큰 기간이 존재할 수 있다.That is, the rate of release of chlorine dioxide released from the first
한편, 제1 물질 저장부(110)로부터 방출되는 이사화염소의 양이 감소하면, 담체 저장부(150) 내의 이산화염소 농도가 감소하므로 담체(160)는 흡착되어 있던 이산화염소를 제1 기간 이후의 제2 기간 동안 방출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amount of chlorine displaced from the first
따라서 담체 저장부(150)로부터 방출되는 이산화염소의 양은 제1 물질 저장부(110)로부터 방출되는 이산화염소의 양에 비하여 클 수 있다.Therefore,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released from the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는 담체 저장부(150)와 담체(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7, the apparatus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담체 저장부(150)는 제1 물질 저장부(110)와 제2 물질 저장부(12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담체 저장부(150)는 담체(160)를 저장할 수 있다. 담체 저장부(150)는 LDPE나 LLDPE로 이루어져 기체 상태의 이산화염소가 통과할 수 있다. The
도 7의 담체(150)는 이산화염소가 제1 물질 저장부(110)로부터 방출되는 기간을 늘릴 수 있다. 즉,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이 섞이면 이산화염소의 발생량이 급하게 증가할 수 있다. The
이와 같이 제1 물질 저장부(110) 내의 이산화염소 압력이 증가하면 담체 저장부(150)를 통과하는 이산화염소의 량이 증가하므로 담체 저장부(150) 내의 이산화염소 압력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담체(160)는 담체 저장부(150)를 통과한 이산화염소를 제1 기간 동안 흡착할 수 있다. As the chlorine dioxide pressure in the first
또한 이산화염소의 발생량이 감소하면, 제1 물질 저장부(110) 내의 이산화염소 압력이 감소하여 담체 저장부(150) 내의 이산화염소 압력이 감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담체(160)는 흡착된 이산화염소를 제1 기간 이후 제2 기간 동안 담체 저장부(150)를 통하여 방출할 수 있다. Also, as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decreases, the chlorine dioxide pressure in the first
이 때 담체 저장부(150)의 두께는 제1 물질 저장부(11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산화염소의 압력 증감에 따라 이산화염소가 담체 저장부(150)를 통과하는 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이와 같이 담체 저장부(150) 및 담체(160)는 제1 물질 저장부(110)로부터 이산화염소의 방출량 변화를 줄여 이산화염소가 제1 물질 저장부(110)로부터 방출되는 기간을 늘릴 수 있다. Thus, the
즉, 제1 원료물질과 제2 원료물질이 섞여 이산화염소의 발생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면 담체(150)가 이산화염소의 일부를 흡착하고, 이산화염소의 발생량이 감소할 때 흡착된 이산화염소를 방출하므로 이산화염소가 제1 물질 저장부(110)로부터 방출되는 기간을 늘릴 수 있다.That is, when the amount of chlorine dioxide generated by mixing the first raw material and the second raw material increases sharply, the
도 7에서 도면번호 130은 제1 물질 저장부(121)의 개구부를 막는 캡일 수 있다.In FIG. 7,
도 7에서 담체 저장부(150)가 제2 물질 저장부(120)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배치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물질 저장부(120)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In FIG. 7,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산화염소 발생장치는 사용자의 몸에 착용됨으로써 바이러스나 세균이 사용자의 몸에 침투하기 전에 바이러스나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orn on the user's body so that viruses or bacteria can be removed before the virus or germs penetrate the user's bod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but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제1 물질 저장부(110)
제2 물질 저장부(120)
캡(130)
후크부(140)
담체 저장부(150)
담체(160)The first
The second
The
The
The carrier storage part (150)
The carrier (160)
Claims (12)
상기 제1 물질 저장부 내부에 배치되어 제2 원료물질을 저장하는 제2 물질 저장부를 포함하며,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2 물질 저장부가 파손될 경우 상기 제1 원료물질과 상기 제2 원료물질이 혼합되어 이산화염소가 발생하며,
상기 제1 물질 저장부의 적어도 일부는 LDPE(Low Density Polyethylene)나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로 이루어져 상기 이산화염소를 상기 제1 물질 저장부의 외부로 투과시키고 상기 제1 원료물질 및 상기 제2 원료물질이 제1 물질 저장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막고,
상기 제1 원료물질 및 상기 제2 원료물질은 액상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A first material storage for storing the first raw material, and
And a second material storage unit disposed in the first material storage unit to store a second source material,
When the second material storage portion is broken by an external force, the first raw material and the second raw material are mixed to generate chlorine dioxide,
At least a part of the first material storage part is made of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or 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so that the chlorine dioxide is permeat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material storage part and the first raw material and the second raw material Is prevented from leaking out of the first substance storage portion,
Wherein the first raw material and the second raw material are liquid materials.
상기 제1 물질 저장부는 벤딩가능한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물질 저장부는 상기 제1 물질 저장부에 비하여 딱딱한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material reservoir comprises a bendable material,
Wherein the second material storage portion is made of a hard material as compared to the first material storage portion.
상기 제1 원료물질 및 상기 제2 원료물질 중 하나는 액상의 아염소산나트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원료물질 및 상기 제2 원료물질 중 다른 하나는 액상의 산성기 공급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one of the first raw material and the second raw material includes liquid sodium hypochlorite,
Wherein the other of the first raw material and the second raw material comprises a liquid acidic feed material.
상기 산성기 공급물질은 구연산(C6H8O7), 초산(CH3COOH), 젖산(CH3CHOHCOOH)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acidic feed material comprises at least one of citric acid (C 6 H 8 O 7 ), acetic acid (CH 3 COOH), and lactic acid (CH 3 CHOHCOOH).
내부에 상기 제1 물질 저장부가 배치되는 담체 저장부와,
상기 담체 저장부의 내측면과 상기 제1 물질 저장부 사이에 배치되는 담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물질 저장부가 상기 이산화염소를 방출하는 기간 중 상기 제1 물질 저장부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이산화염소의 방출속도가 상기 담체 저장부로부터 방출되는 상기 이산화염소의 방출속도보다 큰 기간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arrier storage portion in which the first material storage portion is disposed;
And a carrier dispos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arrier storage portion and the first material storage portion,
There is a period in which the release rate of the chlorine dioxide released from the first substance storage portion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 first substance storage portion releases the chlorine dioxide is larger than the release rate of the chlorine dioxide released from the carrier storag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hlorine dioxide generating device.
상기 이산화염소를 흡착할 수 있는 담체와, 상기 제1 물질 저장부와 상기 제2 물질 저장부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담체를 저장하는 담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arrier capable of adsorbing the chlorine dioxide; and a carrier storage part dispos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material storage part and the second material storage part to store the carrier.
상기 제1 물질 저장부 내의 이산화염소 압력이 증가하면, 상기 담체는 상기 담체 저장부를 통과한 이산화염소를 흡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when the pressure of the chlorine dioxide in the first substance storage portion increases, the carrier adsorbs chlorine dioxid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arrier storage portion.
상기 제1 물질 저장부 내의 이산화염소 압력이 감소함에 따라 상기 담체는 상기 흡착된 이산화염소를 방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arrier discharges the adsorbed chlorine dioxide as the chlorine dioxide pressure in the first material reservoir decreases.
상기 담체 저장부의 두께는 상기 제1 물질 저장부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carrier storage portion i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material storage portion.
상기 제1 물질 저장부의 색깔에 따라 상기 제1 물질 저장부 외부로 방출되는 이산화염소의 농도가 달라지거나,
상기 제1 물질 저장부의 개구를 막는 캡을 더 포함하는 경우, 상기 캡의 색깔에 따라 상기 제1 물질 저장부 외부로 방출되는 이산화염소의 농도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centration of the chlorine dioxide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substance storage par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first substance storage part,
Wherein the concentration of chlorine dioxide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material storage par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cap when the cap further comprises an opening for closing the opening of the first material storage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7110 | 2015-06-19 | ||
KR20150087110 | 2015-06-1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88058B1 true KR101688058B1 (en) | 2016-12-21 |
Family
ID=57734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00897A Active KR101688058B1 (en) | 2015-06-19 | 2015-07-16 | ClO2 GAS GENERATION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8058B1 (en)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8680A (en) * | 2018-07-16 | 2020-01-29 | (주)푸르고팜 | Apparatus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gas |
KR20210082295A (en) | 2019-12-24 | 2021-07-05 | 주식회사 애니텍 | Pollutant treatment system using ozone generator and ultraviolet led |
KR102298630B1 (en) | 2020-03-30 | 2021-09-03 | 천석태 | Powder and liquid reaction type sterilizing gas diffusing stick |
KR20210113783A (en) * | 2020-03-09 | 2021-09-17 | 김경태 | Sterilization stick |
KR20210125257A (en) | 2020-04-08 | 2021-10-18 | 천석태 | Apparatus for production of chlorine dioxide solution |
KR20210126958A (en) * | 2020-04-13 | 2021-10-21 | 이명오 | Portable space sterilizer using chlorine dioxide gas |
KR20210127289A (en) * | 2020-04-13 | 2021-10-22 | 방지철 | System of manufacturing high concentrated chlorine deoxide |
KR20210127287A (en) * | 2020-04-13 | 2021-10-22 | 이명오 | Autonomous driving space sterilization robot for indoor space prevention |
KR20210148780A (en) | 2020-06-01 | 2021-12-08 | (주)푸르고팜 | Chlorine dioxide generator |
KR20210157746A (en) | 2020-06-22 | 2021-12-29 | 주식회사 애니텍 | A method for pollutant treatment using an ozone generator and ultraviolet led |
KR20220088066A (en) * | 2020-12-18 | 2022-06-27 | 박병권 | Portable unit removed bad flavor for sterilizing and deodorizing life space |
KR20230166537A (en) | 2022-05-31 | 2023-12-07 | 주식회사 바이텍코리아 | Apparatus for diffusing sterilizing gas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11901A (en) * | 1998-11-17 | 2000-08-02 | Hisao Ishiguro | Gel composition containing chlorine dioxide, its production, its storage, filling material composed of gel composition containing chlorine dioxide, bag for holding filling material composed of gel composition containing chlorine dioxide and vessel for holding gel composition containing chlorine dioxide |
KR100364235B1 (en) * | 2002-04-29 | 2002-12-11 | (주)에스케이 아쿠아테크 | Apparatus and Method for Long-Term Storage and Producing Chlorine Dioxide in a Small Scale and Controlled Release Pattern |
KR20110095118A (en) | 2010-02-18 | 2011-08-2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
JP2011230956A (en) * | 2010-04-27 | 2011-11-17 | Taiko Pharmaceutical Co Ltd | Stick-like chlorine dioxide generator |
WO2012128022A1 (en) * | 2011-03-23 | 2012-09-27 | 大幸薬品株式会社 | Chlorine dioxide generator |
-
2015
- 2015-07-16 KR KR1020150100897A patent/KR10168805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11901A (en) * | 1998-11-17 | 2000-08-02 | Hisao Ishiguro | Gel composition containing chlorine dioxide, its production, its storage, filling material composed of gel composition containing chlorine dioxide, bag for holding filling material composed of gel composition containing chlorine dioxide and vessel for holding gel composition containing chlorine dioxide |
KR100364235B1 (en) * | 2002-04-29 | 2002-12-11 | (주)에스케이 아쿠아테크 | Apparatus and Method for Long-Term Storage and Producing Chlorine Dioxide in a Small Scale and Controlled Release Pattern |
KR20110095118A (en) | 2010-02-18 | 2011-08-2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Secondary battery |
JP2011230956A (en) * | 2010-04-27 | 2011-11-17 | Taiko Pharmaceutical Co Ltd | Stick-like chlorine dioxide generator |
WO2012128022A1 (en) * | 2011-03-23 | 2012-09-27 | 大幸薬品株式会社 | Chlorine dioxide generator |
Cited B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08680A (en) * | 2018-07-16 | 2020-01-29 | (주)푸르고팜 | Apparatus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gas |
KR102125782B1 (en) * | 2018-07-16 | 2020-06-23 | (주)푸르고팜 | Apparatus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gas |
KR20210082295A (en) | 2019-12-24 | 2021-07-05 | 주식회사 애니텍 | Pollutant treatment system using ozone generator and ultraviolet led |
KR20210113783A (en) * | 2020-03-09 | 2021-09-17 | 김경태 | Sterilization stick |
KR102338058B1 (en) * | 2020-03-09 | 2021-12-10 | 김경태 | Sterilization stick |
KR102298630B1 (en) | 2020-03-30 | 2021-09-03 | 천석태 | Powder and liquid reaction type sterilizing gas diffusing stick |
KR20210125257A (en) | 2020-04-08 | 2021-10-18 | 천석태 | Apparatus for production of chlorine dioxide solution |
KR20210127287A (en) * | 2020-04-13 | 2021-10-22 | 이명오 | Autonomous driving space sterilization robot for indoor space prevention |
KR20210127289A (en) * | 2020-04-13 | 2021-10-22 | 방지철 | System of manufacturing high concentrated chlorine deoxide |
KR20210126958A (en) * | 2020-04-13 | 2021-10-21 | 이명오 | Portable space sterilizer using chlorine dioxide gas |
KR102373424B1 (en) | 2020-04-13 | 2022-03-11 | 이명오 | Autonomous driving space sterilization robot for indoor space prevention |
KR102413976B1 (en) | 2020-04-13 | 2022-06-27 | 이명오 | Portable space sterilizer using chlorine dioxide gas |
KR102480574B1 (en) * | 2020-04-13 | 2022-12-30 | 방지철 | System of manufacturing high concentrated chlorine deoxide |
KR20210148780A (en) | 2020-06-01 | 2021-12-08 | (주)푸르고팜 | Chlorine dioxide generator |
KR20210157746A (en) | 2020-06-22 | 2021-12-29 | 주식회사 애니텍 | A method for pollutant treatment using an ozone generator and ultraviolet led |
KR20220088066A (en) * | 2020-12-18 | 2022-06-27 | 박병권 | Portable unit removed bad flavor for sterilizing and deodorizing life space |
KR102583237B1 (en) * | 2020-12-18 | 2023-09-26 | 박병권 | Portable unit removed bad flavor for sterilizing and deodorizing life space |
KR20230166537A (en) | 2022-05-31 | 2023-12-07 | 주식회사 바이텍코리아 | Apparatus for diffusing sterilizing ga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88058B1 (en) | ClO2 GAS GENERATION APPARATUS | |
JP6929396B2 (en) | Individually sealed disinfection applicator | |
JP6052508B2 (en) | Chlorine dioxide generator | |
US10358347B1 (en) | Portable chlorine dioxide generator | |
US7758807B2 (en) | Microbial control with reduced chlorine | |
JP2017536310A5 (en) | ||
US20080003171A1 (en) | Microbial Control Using Hypochlorous Acid Vapor | |
ES3008859T3 (en) | Multi-chambered storage and delivery container | |
AU2017277070B2 (en) | Chlorine dioxide disinfecting cloth | |
ES2833399T3 (en) | Product and procedure for generating hydrogen peroxide vapor | |
KR101680305B1 (en) | ClO2 EMISSION APPARATUS | |
KR101557811B1 (en) | ClO2 GAS FUMIGATION APPARATUS | |
KR20160011341A (en) | Chlorine Dioxide Releasing Apparatus | |
JPH06233985A (en) | Bactericidal disinfectant and its use | |
KR102125782B1 (en) | Apparatus for Generating Chlorine dioxide gas | |
CN101143225A (en) | Air purifying agent and its preparing process | |
JP2017031002A (en) | Chlorine dioxide generator | |
KR102338058B1 (en) | Sterilization stick | |
KR20190057036A (en) | Container for storing an eco-disinfectant consisted with highly concentrated liquid and using method thereof | |
KR101824245B1 (en) | Disposable cartridge of sterilization apparatus for medica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2015073773A (en) | Deodorization and sterilization pendant | |
KR101460003B1 (en) | ClO2 GAS FUMIGATION APPARATUS | |
KR101718760B1 (en) | A device for maintain freshness of fruit, vegetable and flowering plant | |
CN204016150U (en) | A kind of 2% chlorhexidine gluconate antibacterial wet tissue | |
US8636919B1 (en) | Reactive solution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7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3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0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3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1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9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4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3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1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J204 |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 ||
PJ0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0042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16121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00423 Decision date: 20200929 Appeal identifier: 2020100001296 |
|
J206 |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 ||
PJ0206 |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
Patent event code: PJ02062R01D Patent event date: 20200630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61E01I Patent event date: 20161214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Decision date: 20211116 Request date: 20200630 Appeal identifier: 2020100001954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129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0423 Effective date: 20200929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200929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200423 Decision date: 20200929 Appeal identifier: 2020100001296 |
|
PJ2001 | Appeal |
Patent event date: 20200929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Patent event code: PJ20011S05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Appeal identifier: 2020200007319 Request date: 2020112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J202 |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 ||
PJ0202 | Trial for correction |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date: 20210114 Patent event code: PJ02022R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14 Patent event code: PJ02021E01I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Decision date: 20220513 Request date: 20210114 Appeal identifier: 2021105000002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1954;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00630 Effective date: 20211116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2D Patent event date: 20211116 Commen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a Right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 date: 20200630 Decision date: 20211116 Appeal identifier: 202010000195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5000002;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210114 Effective date: 20220513 |
|
PJ1301 | Trial decision |
Patent event code: PJ13011S03D Patent event date: 2022051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Correction (Patent, Utility Model) Appeal kind category: Correction Request date: 20210114 Decision date: 20220513 Appeal identifier: 2021105000002 |
|
J302 |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0007319;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01126 Effective date: 20230126 |
|
PJ1302 | Judgment (patent court) |
Patent event date: 20230330 Comment text: Written Judgment (Patent Court) Patent event code: PJ13021S01D Request date: 20201126 Decision date: 20230126 Appeal identifier: 2020200007319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