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87590B1 - Floating structure for install solar module on the sea - Google Patents

Floating structure for install solar module on the se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590B1
KR101687590B1 KR1020160005035A KR20160005035A KR101687590B1 KR 101687590 B1 KR101687590 B1 KR 101687590B1 KR 1020160005035 A KR1020160005035 A KR 1020160005035A KR 20160005035 A KR20160005035 A KR 20160005035A KR 101687590 B1 KR101687590 B1 KR 1016875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module
buoyant
buoyancy
buoy frame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0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인권
지영수
이화수
김용복
조민성
Original Assignee
전인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인권 filed Critical 전인권
Priority to KR1020160005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59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5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590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3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 B63B2035/4453Floating structures carrying electric power plants for converting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20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B63B2221/22Joining substantially rigid elements together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telescoping joints, elastic expansion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by means that allow one or more degrees of angular freedom, e.g. hinges, articulations, pivots, universal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이 설치되는 부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수중 바닥면에 설치되는 앵커부와 부력 구조물을 연결시키는 로프를 스프링 형태로 구성하여 로프에 가해지는 장력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복수 개의 부력 구조물 상호 간을 연결하고 상하좌우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한 연결 부재를 구비하여 너울성 파도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해상에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부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은 판(板)형으로 구성되고, 상단에 공지의 태양광 모듈이 고정 설치되는 복수 개의 부표 프레임과 부표 프레임 상호 간을 연결 시키는 연결 부재와 부표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부력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ant structure in which a solar module is installe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ancy structure in which a rope for connecting an anchor portion and a buoyancy structure installed on a water floor is formed in a spring shape to flexibly cope with a tension applied to the rope A buoyant structure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buoyant structures to each other and having a connecting member rotatabl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by a predetermined angle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waved waves .
A buoyant buoyancy structure for mounting a sola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ate-type buoyancy frame, a plurality of buoyant frames to which a known solar module is fixedly installed at the upper end, a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buoyant frames to each other, And at least one buoyancy member fixed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Description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Floating structure for install solar module on the sea} {Floating structure for install solar module on the sea}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이 설치되는 부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수중 바닥면에 설치되는 앵커부와 부력 구조물을 연결시키는 로프를 스프링 형태로 구성하여 로프에 가해지는 장력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복수 개의 부력 구조물 상호 간을 연결하고 상하좌우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한 연결 부재를 구비하여 너울성 파도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해상에 태양광 모듈을 설치하기 위한 부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ant structure in which a solar module is installe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ancy structure in which a rope for connecting an anchor portion and a buoyancy structure installed on a water floor is formed in a spring shape to flexibly cope with a tension applied to the rope A buoyant structure for connecting a plurality of buoyant structures to each other and having a connecting member rotatabl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by a predetermined angle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waved waves .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이란 반도체로 구성되는 태양전지에 빛 에너지가 투입되면 발생하는 전자의 이동을 통해 전류가 흐르며 전기가 발생되는 원리를 이용한 발전방식을 말한다. Generally,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refers to a power generation method using the principle that electricity flows through the movement of electrons generated when light energy is injected into a solar cell composed of a semiconductor.

이러한 태양광 발전은 무한정으로 제공되는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므로 연료비가 들지 않고 대기오염이나 폐기물 발생 등의 공해가 발생하지 않는다. Such solar power generation uses solar energy provided for an infinite amount of time, so it does not incur fuel costs and does not cause pollution such as air pollution or waste generation.

그러나 초기투자비 및 발전단가가 높은 점, 넓은 설치 면적이 필요하다는 점 등이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However, it is pointed out that the initial investment cost, high power generation cost, and the need for a large installation area are limitations.

최근에는 이러한 설치 면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강이나 호수에 태양광 발전 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이 주목받고 있으며 실용화에도 성공한 사례가 있으나 아직까지 바다에는 설치가 시도된 사례가 없으며, 강이나 호수에 비해 훨씬 혹독한 환경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이 예상되는 실정이다.Recently, a method of installing a photovoltaic device in a river or a lake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in order to solve such a mounting area problem, and there have been successful cases of commercialization, but there has not been an attempt to install it in the sea yet. Many difficulties are expected due to the harsh environment.

수면 위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기 위한 장치 또는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2473호의 "가변형 지지로프가 구비된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8791호의 "가변형 로프 지지식 수상 태양광 발전 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7258호의 "수상 태양광발전 장치의 지지구조"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6520호의 "수상설치형 태양광 발전시스템"가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An invention relating to an apparatus or method for installing a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y on a water surfac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162473 entitled " Aquatic Photovoltaic Power System with Variable Supporting Rope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18791 "Supporting structure of a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device"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77258 and "Support structure of a solar photovoltaic device" of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06520, Power generation system "has been proposed and disclosed.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2473호의 "가변형 지지로프가 구비된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는 일정 크기로 수면에 부유할 수 있도록 한 부유체에 다수의 태양광 모듈을 등 간격으로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에서 부유체를 고정하는 지지로프가 수위가 변하는 상황에도 항상 팽팽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장치가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8791호의 "가변형 로프 지지식 수상 태양광 발전 장치"에는 지지로프를 수위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부유체 및 태양광발전설비가 수상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되 기준 이상의 풍압 발생시에는 지지로프의 길이를 고정하여 부유체가 표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제안되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62473 entitled "Aquatic Photovoltaic Power System Including a Variable Supporting Rope ", the above-mentione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62473, A support rope for fixing a float in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has been proposed in which the support rope can be always kept taut even in the event of a change in the water level. In the above-mentione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18791, Device "is used to adjust the supporting rop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so as to stably support float and sola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on the water phase, but when the wind pressur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level, the supporting rope is fixed to prevent the floating float from drifting .

또한,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7258호의 "수상 태양광발전 장치의 지지구조"에는 부유체를 수면상에 항상 안정감 있게 고정지지 되는 상태로 부유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부유체의 상면에 회전체 프레임을 설치함으로써 태양광을 받아들이는 위치와 각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발전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으며 물의 흐름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체 프레임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제안되었고,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6520호의 "수상설치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에는 브라켓 및 부력재의 강도를 크게 하여 파도 등에 의해 부유물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수상설치형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직, 병렬로 연결하여 대단위 발전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게 함으로써 많은 양의 전력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가 제안되었다.In addition,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4-0077258, the " supporting structure of a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pparatus "in which the float can be floated in a state of being fixedly supported on the surface of the float,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position and the angle of receiving the sunlight constantly by installing the rotary frame, thereby improving the power generation efficiency and reducing the load of the rotary frame by using the flow of water , The above-mentioned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06520, "water-mounted solar power generation system", the strength of the bracket and the buoyant material is increased to prevent the floating matter from being damaged by the wave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large-scale power generation system by connecting in parallel so that a large amount of power can be produced A device has been propo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은 바다에 비해 잔잔한 강이나 호수에 설치되기 위한 목적으로써 제안된 것이며, 풍속과 유속이 빠르며 너울이 발생하는 바다에 설치되기 위한 내구성은 갖추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for the purpose of being installed in calm rivers or lakes compared with the sea, and have problems in that the wind speed and the flow velocity are fast and the durability to be installed in the sea where the wounds are generated has not been developed.

따라서, 풍속과 유속이 빠르고 빈번한 수위변화에 의해 부력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로프에 과다한 장력이 가해지는 문제와, 너울로 인해 복수 개의 부력 구조물을 상호 간에 연결하는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이 요구되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excessive tension is applied to the rope fixing the buoyancy structure due to rapid and frequent changes in the water level and the flow rate, and a problem in which the connection portion for connecting the plurality of buoyancy structures due to the swell is damaged. A marine buoyancy structure for mounting an optical module is require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2473호(2012. 06. 27)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62473 (June 27, 201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8791호(2013. 10. 10)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318791 (Oct. 10, 201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77258호(2014. 06. 24)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77258 (Apr. 24, 2014)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6520호(2015. 01. 19)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5-0006520 (2015. 01. 19)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써,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arine buoyant structure for mounting a solar module, which is a technology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바람 및 수류(水流)의 작용을 받는 수면에서는 부력 구조물의 위치 이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부력 구조물을 일정한 지점에 고정시켜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였고;Since the buoyant structures are displaced in the water surface affected by the wind and water flow, the buoyancy structures have to be fixed at certain points;

부력 구조물에 로프를 연결하여 일정한 지점에 고정시킨 경우에는, 빈번한 수위변화에 의해 부력 구조물을 고정하는 로프에 장력이 과다하게 가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When the rope is connected to the buoyant structure and fixed at a certain point, there is a problem that excessive tension is applied to the rope fixing the buoyancy structure by the frequent change of the water level;

복수 개의 부력 구조물을 고정 방식으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너울성 파도로 인한 호깅(hogging) 및 새깅(sagging) 작용으로 인해 연결부위에 파손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When a plurality of buoyant structures are connected in a fixed manner, there is a problem that hogging and sagging due to a waved wave cause breakage of the connecting portion. Accordingly, .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arine buoyant structure for mounting a sola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판(板)형으로 구성되고, 상단에 공지의 태양광 모듈이 고정 설치되는 복수 개의 부표 프레임; 상기 부표 프레임 상호 간을 연결 시키는 연결 부재; 상기 부표 프레임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부력 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을 제시한다.A plurality of buoy-frame frames constituted of a plate type and having a known solar module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side thereof;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sub-frame frames with each other; At least one buoyancy member fixedly installed at a lower end of the buoy frame; And a water buoyant structure for mounting the solar module.

상기 연결 부재는 상단과 하단을 관통하는 곡선의 형태의 관통홀이 대칭되게 양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방홀이 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조인트 연결 부재; 상기 관통홀을 따라 이동되는 체결축; 상기 개방홀을 관통하며 상기 체결축과 결합되는 유니버셜 조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formed with symmetrical through-holes each having a curved shape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ends, the joint connecting member having openings for communicating the through holes with the outside, A fastening shaft moved along the through hole; And a universal joint penetrating the opening hole and coupled with the fastening shaft.

또한, 상기 부표 프레임의 일측에는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제 1자성체가 구비되고, 수중 바닥면에 설치되는 중량체인 앵커부; 인력에 의해 상기 제1 자성체와 상호 간에 부착되는 제2 자성체가 일측에 구비되는 부유체; 일단이 상기 앵커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부유체와 연결되는 스프링 로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anchor portion provided with a first magnetic body made of a permanent magnet on one side of the buoy frame and provided on the underwater floor, A secondary fluid having a second magnetic body attached to the first magnetic body by a force; A spring ro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anchor portion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loat; And further comprising: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은,In the marine buoyancy structure for installing a sola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수중 바닥면에 설치된 앵커부와 부력 구조물을 연결시키는 로프를 구비하여,부력 구조물을 일정한 지점에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였고;The buoyancy structure can be fixed at a certain point by providing a rope connecting the anchor portion and the buoyancy structure installed on the underwater floor;

앵커부와 부력 구조물을 연결시키는 로프를 스프링 형태로 구성하여, 부력 구조물을 일 지점에 고정시키는 로프에 가해지는 장력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였으며;The rope connecting the anchor portion and the buoyancy structure is formed into a spring shape, and the buoyancy structure can be flexibly coped with the tension applied to the rope fixing the buoyancy structure to one point;

상하좌우 방향으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한 연결 부재를 구비하여 너울성 파도에 의한 심한 흔들림과 호깅(hogging) 및 새깅(sagging) 작용에도 부력 구조물 상호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가 발생하였다.The coupling member capable of rotating at a certain angle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provided,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buoyancy structures is firmly maintained even in the severe shaking due to waviness waves, hogging and sagg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의 부표 프레임에 테이퍼 홀이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의 구성요소인 부표 프레임이 상호 간에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의 연결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의 연결 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이 좌우로 흔들리는 경우의 연결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이 상하로 흔들리는 경우의 연결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이 앵커부와 스프링 로프에 의해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marine buoyant structure for installing a sola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apered hole formed in a buoy frame of a buoyant buoyant structure for mounting a sola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uoy frame, which is a component of a sea buoyant structure for mounting a sola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ed to each other.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ion member of a marine buoyancy structure for installing a sola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a)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 buoyant structure for mounting a sola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moving. FIG.
FIG. 5 (b) is a plan view showing a connection member when the sea buoyant structure for mounting a sola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aken to the left and right.
FIG. 5 (c) is a side view showing a connection member when the sea buoyant structure for mounting a sola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aken up and down.
6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marine buoyant structure for mounting a sola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by an anchor portion and a spring rope.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이 설치되는 부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써,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oyancy structure in which a solar module is installed,

판(板)형으로 구성되고, 상단에 공지의 태양광 모듈이 고정 설치되는 복수 개의 부표 프레임(100); 상기 부표 프레임(100) 상호 간을 연결 시키는 연결 부재(120); 상기 부표 프레임(10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부력 부재(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A plurality of buoy frame (100) having a plate type and a known solar module mounted on the upper side; A connecting member 120 connecting the buoy frame 100 with each other; At least one buoyancy member (130) fixed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buoy frame (100);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rine buoyancy structure for mounting a solar module.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은 강, 호수 및 바다의 수면 위에 위치되어 태양광을 집광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판(板)형으로 구성되고, 상단에 공지의 태양광 모듈이 고정 설치되는 복수 개의 부표 프레임(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a sea buoyant structure for mounting a sola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for collecting solar light, which is located on a water surface of a river, a lake and a sea, And a plurality of buoy frame (100) in which a known solar module is fixedly installed on the upper side.

상기 부표 프레임(100)은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의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수면 위와 아래에 위치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써, 판(板)형으로 구성된다.The buoy frame 100 is a component for placing various components of the offshore buoyant structure for mounting a sola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water surface and below the water surface, and is formed in a plate shape.

이때, 상기 판형이라 함은 사각의 형상뿐만 아니라 원형의 형상 등 어떠한 형상이어도 무방하고, 외곽의 선이 유지되며 전체적인 판형의 상태가 유지되는 한도에서는 일정 부분이 뚫린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At this time, the plate shape may be any shape such as a square shape as well as a circular shape, and the outer line may be maintained, and a certain portion may be formed in a shape where the overall plate shape is maintained.

상기 부표 프레임(100)은 판형으로 형성되므로 상단에는 파도 또는 우천 등의 원인으로 인해 물이 고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Since the buoy frame 1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water may be accumulated at the upper end due to a wave or rain.

특히, 해수에는 염분이 함유되어 있어 해수와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는 상기 부표 프레임(100)의 접촉이 오래 유지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표 프레임(100)에는 상단과 하단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테이퍼 홀(101)이 형성될 수 있다.Particularly, it is not preferable that the contact of the buoy frame 100, which may be composed of seawater and metal, is long since the seawater contains salt, so that, as shown in FIG. 2, One or more tapered holes 101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may be formed.

상기 테이퍼 홀(101)은 관통되는 상단 및 하단의 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내부 중공의 단면 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관통홀과는 달리, 관통되는 상단의 면적이 관통되는 하단의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aper hole 101 is formed to have the same area as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taper hole 101. Unlike the general through hole in which the inner hollow has a constant cross sectional area, And is formed to be wide.

따라서, 상기 부표 프레임(100)의 상단에 안착된 빗물, 해수 등은 수월하게 상기 테이퍼 홀(101)을 통해 하방으로 배출되지만 상기 부표 프레임(100)의 하단으로는 강물 또는 해수 등이 상승하기 어려운 구조이다.Therefore, rainwater, seawater, and the like, which are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buoy frame 100, are easily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taper hole 101. However, the bottom of the buoy frame 100 is not easily raised Structure.

상기 부표 프레임(10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태양광 모듈(110)은 공지의 태양광 모듈로서, 상기 부표 프레임(100)이 수면에서 균형을 유지하는 것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상기 부표 프레임(100)의 면적 및 모양을 고려하여 적합한 모델이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lar module 110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buoy frame 100 is a known solar module and is mounted on the buoy frame 100 so as not to hinder the buoy frame 100 from being balanced on the water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an appropriate model is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area and the shape of the area.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은 복수 개의 상기 부표 프레임(100)으로 구성되므로, 상기 부표 프레임(100) 상호 간을 연결 시키는 연결 부재(120)가 구비되어야 한다.In addition, since the sea buoyant structure for installing a sola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e buoy frames 100, a connecting member 120 for connecting the buoy frames 100 to each other must be provid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부재(120)는 일단이 하나의 부표 프레임(100)의 일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다른 하나의 부표 프레임(100)의 일단에 연결되어, 복수 개의 상기 부표 프레임(100)이 일체로써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하는 연결구로써의 구성요소이다.3, the connecting member 120 has one end connected to one end of one buoy frame 10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one end of another buoy frame 100, (100) are integrally formed as connectors for forming a floating buoyant structure for mounting a sola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부재(120)는 상단과 하단을 관통하는 곡선의 형태의 관통홀(121)이 상단과 하단의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된 형태로 상기 중심선의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21)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방홀(122)이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하여 외주면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조인트 연결 부재(123)를 일 구성요소로 한다.As shown in FIG. 4, the connecting member 120 is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with respect to a virtual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through hole 121 in the shape of a curve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ends, And a joint connecting member 123 forme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121 and having an opening 122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t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c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do.

도 4에서는 상기 조인트 연결 부재(123)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In FIG. 4, the joint connecting member 123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but it is obvious that the joint connecting member 123 may have various shapes.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부재(120)는 상기 관통홀(121)을 따라 이동되는 체결축(124)을 일 구성요소로 하고, 상기 개방홀(122)을 관통하며 상기 체결축(124)과 결합되는 유니버셜 조인트(125)를 일 구성요소로 한다.4, the connecting member 120 has a fastening shaft 124 that moves along the through hole 121 as a component, passes through the opening hole 122, And a universal joint 125 coupled with the shaft 124 as one component.

상기 체결축(124)은 상기 관통홀(121)을 관통하며 관통홀(121)에서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양단에 상기 관통홀(121)보다 넓은 너비의 이탈 방지부가 구비되는 형상일 수 있다.The fastening shaft 124 may have a shape having a width greater than that of the through hole 121 at both ends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121 through the through hole 121.

상기 체결축(124)은 상기 이탈 방지부에 의해 상기 관통홀(121)에서 이탈되지 아니하나, 상기 이탈 방지부는 상기 체결축(124)을 일 지점에 고정시키는 구성은 아니므로 상기 체결축(124)은 곡선 형태의 상기 관통홀(121)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The fastening shaft 124 is not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121 by the release preventing portion but the release preventing portion is not configured to fasten the fastening shaft 124 to one point so that the fastening shaft 124 Are movable along the through-holes 121 in a curved shape.

또한, 상기 체결축(124)은 상기 개방홀(122)을 통해 상기 조인트 연결 부재(123)의 내부로 내입되는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125)의 일부를 관통하는 구성이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체결축(124)은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125)와 상기 조인트 연결 부재(123)를 연결한다.The fastening shaft 124 is configured to pass through a part of the universal joint 125 which is inserted into the joint connecting member 123 through the opening hole 122. With this configuration, (124) connects the universal joint (125) and the joint connecting member (123).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125)는 파도 등에 의해 일측의 상기 부표 프레임(100)이 타측의 부표 프레임(100)보다 높거나 낮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연결 부재(120)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대처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요소로써, 그 모양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그 기능은 공지의 유니버셜 조인트와 동일하다.The universal joint 125 is provided to cope with a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connecting member 120 when the buoy frame 100 on one side moves in a direction higher or lower than the buoy frame 100 on the other side by waves or the like The shape of which can be variously formed, but its function is the same as that of a known universal joint.

또한, 상기 조인트 연결 부재(123)는 파도 등에 의해 일측의 상기 부표 프레임(100)이 타측의 부표 프레임(100)의 좌측이나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연결 부재(120)에 가해지는 인장력에 대처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성요소이다.The joint connecting member 123 may be configured to cope with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connecting member 120 when the buoy frame 100 on one side moves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buoy frame 100 on the other side, And the like.

즉,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125)는 타측의 상기 부표 프레임(100)에 대한 일측의 상기 부표 프레임(100)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인장력이 상기 연결 부재(120)를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조인트 연결 부재(123)는 일측의 상기 부표 프레임(100)에 대한 타측의 상기 부표 프레임(100)의 상방 또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는 인장력이 상기 연결 부재(120)를 파손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다.That is, the universal joint 125 can prevent the tensile force generated by the upward or downward movement of the buoy frame 100 on one side of the buoy frame 100 on the other side from damaging the connecting member 120 And a tensile force generated by movement of the other side of the buoy frame 100 to the upper side, left side, or right side of the buoy frame 100 on one side relative to the connecting member 120, To prevent it from being broken.

상기 부표 프레임(100)의 움직임에 의한 상기 연결 부재(120)의 작동 모습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120 due to the movement of the buoy frame 100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의 상기 연결 부재(120)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5 (a)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the connection member 120 in a state where the floating buoyancy structure for installing a sola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moving.

상기 부표 프레임(100) 각각에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부표 프레임(100) 상호 간의 간격은 모두 동일하므로 상기 연결 부재(120)는 도 5(a)와 같은 상태를 유지한다.When no movement occurs in each of the sub-frame frames 100, since the intervals between the sub-frame frames 100 are the same, the connection member 120 maintains the state shown in FIG. 5 (a).

도 5(b)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이 좌우로 흔들리는 경우에 상기 연결 부재(120)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5 (b)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the connecting member 120 when the sea buoyant structure for mounting a sola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aken to the left and right.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도 등에 의해 일측의 상기 부표 프레임(100)이 타측의 부표 프레임(100)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일측의 부표 프레임(100)에 연결된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125)가 함께 이동하게 되고,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125)에 결합된 상기 체결축(124)은 상기 관통홀(121)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구성이다.5 (b), when the buoy frame 100 on one side is moved to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buoy frame 100 on the other side by waves or the like, the universal frame 100 connected to the buoy frame 100 on one side The joint 125 is moved together and the fastening shaft 124 coupled to the universal joint 125 is moved to the left or right along the through hole 121. [

이때, 타측의 상기 부표 프레임(100)에 연결된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 (125)및 상기 체결축(124) 또한 제자리에 고정되어 있거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At this time, it is obvious that the universal joint 125 and the fastening shaft 124 connected to the buoy frame 100 on the other side are also fixed in place or can be moved to the left or right.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이 상하로 흔들리는 경우에 상기 연결 부재(120)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5C is a side view of the connection member 120 when the sea buoyant structure for mounting a sola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aken up and down.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도 등에 의해 일측의 부표 프레임(100)이 타측의 부표 프레임(100)보다 높거나 낮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일측의 부표 프레임(100)에 연결된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125)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구부러지게 되는 구성이다.5 (c), when the buoy frame 100 on one side moves in the direction higher or lower than the buoy frame 100 on the other side due to a wave or the like, The joint 125 is bent upward or downward.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125)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구부러지기 원활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유니버셜 조인트(125)만이 독자적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체결축(124)의 이동은 발생하지 않는다.Since the universal joint 125 is smoothly bent upward or downward, only the universal joint 125 is bent independently, and the movement of the fastening shaft 124 does not occur.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은 상기 연결 부재(120)가 구비됨으로써, 너울에 의해 발생하는 새깅 및 호깅 현상을 해결한다. Therefore, the buoyant buoyant structure for mounting a sola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the connecting member 120, thereby solving the sagging and hogging phenomenon caused by the swell.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강, 호수 및 바다의 수면 위에 위치되기 때문에 물에 뜨기 위한 수단으로써 부력 부재(130)를 반드시 포함하여 구성되어야 한다. In addition, since the sea buoyant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sola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water surface of the river, lake and sea as described above, the buoyancy member 130 must be included as a means for flooding the water.

상기 부력 부재(130)는 상기 부력 프레임(100) 및 상기 태양광 모듈(110)의 무게를 지탱하며 쉽게 물에 뜰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를 불문하나, 비용의 절감 및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가장 효율적인 고무 튜브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buoyancy member 130 supports the weight of the buoyancy frame 100 and the solar module 110 and can be easily floated in water. However, the buoyancy member 130 is most effective in terms of cost reduction and durability,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ubber tube.

상기 부력 부재(130)는 상기 부표 프레임(10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어야 함이 자명하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부표 프레임(100)의 수에 따라 동일한 수 또는 그 이상의 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배치되는 형태 또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It is obvious that the buoyancy member 130 should be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buoy frame 100 and the same number or more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the buoy frames 10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loyed form can also be configured in a variety of ways.

도 2는 상기 부력 부재(130)를 상기 부표 프레임(100)의 하단에 고정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일 실시예이다. FIG. 2 is an embodiment showing the buoyancy member 130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buoy frame 10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력 부재(100)는 설치 비용 및 안정성을 모두 고려하여 가장 안정적으로 상기 부표 프레임(100)을 지탱하며 수면 위에 부유할 수 있는 배치 형태로써 상기 부표 프레임의 하단 양 끝단에 각각 위치되는 배치형태를 가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buoyancy member 100 supports the buoy frame 100 most stably in consideration of installation cost and stability. The buoyancy member 100 can be floated on the water surface, Each of which is located at the en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은 수면 위에 위치되기 때문에 물의 흐름에 따른 이동성을 가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ffshore buoyancy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sola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water surface, it has mobility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따라서, 상기 부력 구조물이 일정한 위치를 계속 유지하도록 하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으면, 물의 흐름에 따른 이동 후 지형지물과의 충돌 또는 먼 바다로의 이동으로 인한 유실 등의 문제가 반드시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Therefore, if the buoyant structure is not provided with a means for keeping the buoyant structure constant, problems such as collision with the feature or movement due to the movement of the water to the distant sea, A means is required.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이 위치될 지점 수면 아래의 수중 바닥면에는 중량체인 앵커부(150)가 설치된다. 6, an anchor portion 150 of a weight chain is installed on a floor surface under a water surface at which a sea buoyant structure for installing a sola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ocated,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do.

상기 앵커부(150)는 바람 및 수류에 의해 상기 부력 구조물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중량체로써, 상기 앵커부(150)의 무게는 상기 부력 구조물의 총 무게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어야 함은 자명하다.It is obvious that the weight of the anchor part 150 sh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total weight of the buoyancy structure.

이때, 상기 부력 구조물은 하나의 상기 앵커부(150)와 연결되어 이동이 방지될 수 있으나, 복수 개의 상기 앵커부(150)를 상기 부력 구조물과 연결시키는 것이 구조 및 장력의 분산에 있어서 더욱 안정적이다 할 것이다. At this time, the buoyant structur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nected with one of the anchor parts 150, but connecting the plurality of anchor parts 150 with the buoyant structure is more stable in structure and dispersion of tension something to do.

상기 앵커부(150)만으로는 상기 부력 구조물의 이동을 방지할 수는 없으므로, 상기 앵커부(150)와 함께 상기 부력 구조물의 이동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써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체(160), 상기 앵커부(150)와 상기 부유체(160)를 연결시키는 스프링 로프(170)가 더 구비된다.Since the movement of the buoyant structure can not be prevented by only the anchor part 150, the float 160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as the means for preventing the buoyant structure from moving together with the anchor part 150, And a spring rope 170 for connecting the float 150 and the float 160.

상기 부유체(160)는 유지 보수 등의 이유로 상기 부력 구조물을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 로프(170) 일단의 위치를 수면에 유지시켜 이후에 상기 앵커부(150)와 상기 부력 구조물과의 연결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써, 일측에는 상기 부력 구조물과 연결되는 연결 수단을 구비한다.When the float 160 needs to move the buoyancy structure due to maintenance or the like, the float 160 maintains the position of one end of the spring rope 170 on the water surface and then connects the anchor portion 150 and the buoyancy structure Which is connected to the buoyancy structure at one side thereof.

상기 부력 구조물과 상기 부유체(160)를 상호 간에 연결시키는 연결 수단으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표 프레임(100)의 일측에는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제1 자성체(14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부유체(16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자성체(140)와 상호 간에 부착되는 제2 자성체(161)가 구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as a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buoyant structure and the float 160 to each other, a first magnetic body 140 composed of a permanent magne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uoy frame 100 And a second magnetic body 161 attached to the first magnetic body 140 with respect to the first magnetic body 14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loat 160.

상기 제1 자성체(140)는 일측은 S극이고 타측은 N극으로 구성되며, 상기 S극 또는 상기 N극 중 어느 한 극은 상기 부표 프레임(100)을 향하여 배치되고 반대의 극은 상기 부표 프레임(100)의 외부를 향하여 배치된다. The first magnetic body 140 has an S pole on one side and an N pole on the other side, and one of the S pole and the N pole is disposed toward the buoy frame 100, (100).

상기 제2 자성체(161)도 영구자석이므로 일측은 S극이고 타측은 N극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부표 프레임(100)의 외부를 향하여 배치되는 상기 제1 자성체(140)의 극과 반대의 극이 상기 부유체(160)의 외부를 향하여 배치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Since the second magnetic body 161 is also a permanent magnet, it has an S pole on one side and an N pole on the other side. The pole opposite to the pole of the first magnetic body 140 dispo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buoy frame 100 It must be disposed toward the outside of the float 160.

따라서, 상기 제1 자성체(140)와 상기 제2 자성체(161)를 부착하여 상기 부력 구조물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제1 자성체(140)와 상기 제2 자성체(161)를 탈착하여 상기 부력 구조물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first magnetic body 140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161 can be attached to fix the buoyancy structure to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first magnetic body 140 and the second magnetic body 161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he buoyant structure can be moved to a desired position.

상기 스프링 로프(170)는 일단이 상기 앵커부(150)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부유체(160)와 연결되어, 상기 앵커부(150)와 상기 부유체(160)를 상호 간에 연결시키는 수단으로써, 스프링 형태로 구성되어 풍속과 유속이 빠르고 빈번한 수위변화가 발생하는 해상 환경에서 상기 부표 프레임(100)과 상기 앵커부(150)를 연결시키는 상기 스프링 로프(170)에 발생할 수 있는 과다한 장력에 유연하게 대처가 가능하다.The spring rope 170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anchor 15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loat 160 to connect the anchor 150 and the float 160 to each other And the spring rope 170 connecting the buoy frame 100 and the anchor part 150 in a marine environment in which the wind speed and flow velocity are rapidly and frequently changed, It is possible to cope with.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by way of example for the purpose of enabling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sufficiently transf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without limitatio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rom the drawings, and in the drawings, the width, length, thickness, etc. of the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Further,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100 : 부표 프레임 101 : 테이퍼 홀
110 : 태양광 모듈 120 : 연결 부재
121 : 관통홀 122 : 개방홀
123 : 조인트 연결 부재 124 : 체결축
125 : 유니버셜 조인트 130 : 부력 부재
140 : 제1 자성체 150 : 앵커부
160 : 부유체 161 : 제2 자성체
170 : 스프링 로프
100: buoy frame 101: taper hole
110: solar module 120: connecting member
121: Through hole 122: Open hole
123: joint connecting member 124: fastening shaft
125: universal joint 130: buoyancy member
140: first magnetic body 150: anchor portion
160: Float 161: Second magnetic body
170: Spring rope

Claims (5)

판(板)형으로 구성되고, 상단에 공지의 태양광 모듈이 고정 설치되는 복수 개의 부표 프레임(100);
상단과 하단을 관통하는 곡선의 형태의 관통홀(121)이 대칭된 형태로 양측으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21)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방홀(122)이 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조인트 연결 부재(123)와 상기 관통홀(121)을 따라 이동되는 체결축(124)과 상기 개방홀(122)을 관통하며 상기 체결축(124)과 결합되는 유니버셜 조인트(12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부표 프레임(100) 상호 간을 연결 시키는 연결 부재(120);
상기 부표 프레임(100)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부력 부재(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
A plurality of buoy frame (100) having a plate type and a known solar module mounted on the upper side;
A through hole 121 in the form of a curved line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ends is formed on both sides in a symmetrical manner and an opening hole 122 for communicating the through hole 121 with the outside is formed on the side portion, And a universal joint 125 passing through the member 123 and the through hole 121 and the opening hole 122 and coupled with the coupling shaft 124, A connecting member 120 connecting the buoy frame 100 with each other;
At least one buoyancy member (130) fixed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buoy frame (100); Wherein the buoyant structure is mounted on the buoyant structu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 프레임(100)은,
상단과 하단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테이퍼 홀(10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oy frame (100)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tapered hole (101)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ends is forme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표 프레임(100)의 일측에는 영구자석으로 구성되는 제 1자성체(1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irst magnetic body (140) composed of a permanent magne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uoy frame (100).
제 4항에 있어서,
수중 바닥면에 설치되는 중량체인 앵커부(150);
인력에 의해 상기 제1 자성체(140)와 상호 간에 부착되는 영구자석인 제2 자성체(161)가 일측에 구비되는 부유체(160);
일단이 상기 앵커부(150)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부유체(160)와 연결되는 스프링 로프(17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모듈 설치용 해상 부력 구조물.
5. The method of claim 4,
A weight chain anchor portion 150 installed on the water floor;
A float (160) having a second magnetic body (161) as a permanent magnet attached to the first magnetic body (140) by a force;
A spring rope 17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anchor portion 15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loat 160; Further comprising: a water buoyant structure for mounting a solar module.
KR1020160005035A 2016-01-15 2016-01-15 Floating structure for install solar module on the sea Expired - Fee Related KR1016875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035A KR101687590B1 (en) 2016-01-15 2016-01-15 Floating structure for install solar module on the s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035A KR101687590B1 (en) 2016-01-15 2016-01-15 Floating structure for install solar module on the se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7590B1 true KR101687590B1 (en) 2016-12-20

Family

ID=5773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035A Expired - Fee Related KR101687590B1 (en) 2016-01-15 2016-01-15 Floating structure for install solar module on the se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590B1 (en)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80364A (en) * 2017-08-01 2017-11-24 湖南大学 A kind of flexible base radial type connector
KR101807998B1 (en) * 2017-07-17 2017-12-11 조경록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for floating type
CN108322158A (en) * 2018-02-28 2018-07-24 江苏鼎阳绿能电力有限公司 Floatation type sea photovoltaic bracket
KR101933824B1 (en) 2018-03-15 2018-12-28 홍성민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KR101950788B1 (en) 2017-10-11 2019-02-21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Block assembly type aquatic structure
KR20190040609A (en) 2017-10-11 2019-04-1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Aquatic structure for installing solar module
CN109703713A (en) * 2019-01-22 2019-05-03 绿华能源(福建)有限公司 A kind of floating on water surface system
KR20190045695A (en) 2017-10-24 2019-05-03 이종용 A maritim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pparatus
KR200489239Y1 (en) * 2018-11-16 2019-05-20 장영철 Buoyance structure for sunlight generation on the water and sunlight generation system on the water using this
KR102005924B1 (en) * 2018-12-20 2019-08-01 에프엔에스솔루션 주식회사 Marine Photovoltaic Structure using Wave-Resistant Apparatus
JP2019130955A (en) * 2018-01-29 2019-08-08 積水ハウス株式会社 Float type solar system
KR102010768B1 (en) * 2019-02-27 2019-08-14 이점식 Wind-power and solar hybrid generating system
CN110775213A (en) * 2019-11-15 2020-02-11 浙江精工能源科技集团有限公司 Floating type overwater photovoltaic rigid connection device
WO2021025227A1 (en) * 2019-08-02 2021-02-11 유한회사 세미엘이디 Floating photovoltaic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and buoyant body for installing floating photovoltaic panel
KR102298426B1 (en) 2020-03-04 2021-09-06 에이피에너지 주식회사 Fastening device for floating body for solar energy generating system
KR20210146041A (en) * 2020-05-26 2021-12-03 (주)유에너지 Land weight type solar energy generating apparatus capable of facilitating installation and dismantlement
KR20220036450A (en) * 2020-09-15 2022-03-23 주식회사 한국프롭 Connection device of floating facility for solar-cell power generation
CN114228926A (en) * 2021-12-14 2022-03-25 中国华能集团清洁能源技术研究院有限公司 Floating type marine photovoltaic fishery integrated system
CN114670977A (en) * 2022-04-08 2022-06-28 天津大学 An offshore photovoltaic floating bas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4954815A (en) * 2022-04-11 2022-08-30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Waterborne photovoltaic equipment, control method thereof and waterborne photovoltaic power station
CN115709783A (en) * 2022-12-28 2023-02-24 华能(广东)能源开发有限公司 Offshore photovoltaic floating body system
KR20240004048A (en) * 2022-07-04 2024-01-11 주식회사 해성 Magnetic Seaweed bed
CN117508460A (en) * 2023-11-24 2024-02-06 天津大学 A mooring system with one anchor and multiple chains
KR102672476B1 (en) 2023-10-05 2024-06-05 에이피에너지 주식회사 Fastening device for floating body
CN118646332A (en) * 2024-05-30 2024-09-13 南通理工学院 Floating flexible photovoltaic array system
KR102783712B1 (en) 2022-07-04 2025-03-19 주식회사 해성 Magnetic Seaweed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3660B2 (en) * 1988-07-07 1997-01-22 株式会社 ジャパンテクノロジ How to fix floating structures
KR101162473B1 (en) 2011-08-19 2012-07-03 한국수자원공사 A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with variable supporting rope
KR101318791B1 (en) 2012-08-13 2013-10-17 (주)탑인프라솔라 Variable rope supporting type floating solar power plant
KR20140077258A (en) 2012-12-12 2014-06-2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Support structure for solar generating apparatus
KR101481093B1 (en) * 2014-06-18 2015-01-15 (주)에이치에스쏠라에너지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KR20150006520A (en) 2013-07-08 2015-01-19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Award-winn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KR101543727B1 (en) * 2015-01-16 2015-08-11 (주)썬트랙 sunlight power generation apparatus for float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3660B2 (en) * 1988-07-07 1997-01-22 株式会社 ジャパンテクノロジ How to fix floating structures
KR101162473B1 (en) 2011-08-19 2012-07-03 한국수자원공사 A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with variable supporting rope
KR101318791B1 (en) 2012-08-13 2013-10-17 (주)탑인프라솔라 Variable rope supporting type floating solar power plant
KR20140077258A (en) 2012-12-12 2014-06-24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Support structure for solar generating apparatus
KR20150006520A (en) 2013-07-08 2015-01-19 주식회사 대성에프앤비 Award-winn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KR101481093B1 (en) * 2014-06-18 2015-01-15 (주)에이치에스쏠라에너지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KR101543727B1 (en) * 2015-01-16 2015-08-11 (주)썬트랙 sunlight power generation apparatus for floating structure

Cited B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998B1 (en) * 2017-07-17 2017-12-11 조경록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for floating type
CN107380364B (en) * 2017-08-01 2019-04-19 湖南大学 A flexible base hinged connector
CN107380364A (en) * 2017-08-01 2017-11-24 湖南大学 A kind of flexible base radial type connector
KR20190040609A (en) 2017-10-11 2019-04-19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Aquatic structure for installing solar module
KR101950788B1 (en) 2017-10-11 2019-02-21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Block assembly type aquatic structure
KR20190045695A (en) 2017-10-24 2019-05-03 이종용 A maritim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pparatus
JP2019130955A (en) * 2018-01-29 2019-08-08 積水ハウス株式会社 Float type solar system
CN108322158A (en) * 2018-02-28 2018-07-24 江苏鼎阳绿能电力有限公司 Floatation type sea photovoltaic bracket
KR101933824B1 (en) 2018-03-15 2018-12-28 홍성민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KR200489239Y1 (en) * 2018-11-16 2019-05-20 장영철 Buoyance structure for sunlight generation on the water and sunlight generation system on the water using this
KR102005924B1 (en) * 2018-12-20 2019-08-01 에프엔에스솔루션 주식회사 Marine Photovoltaic Structure using Wave-Resistant Apparatus
CN109703713A (en) * 2019-01-22 2019-05-03 绿华能源(福建)有限公司 A kind of floating on water surface system
CN109703713B (en) * 2019-01-22 2024-07-16 绿华能源(福建)有限公司 Water floating system
KR102010768B1 (en) * 2019-02-27 2019-08-14 이점식 Wind-power and solar hybrid generating system
US11290054B2 (en) 2019-08-02 2022-03-29 Semi Led Co., Ltd. Floating photovoltaic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and buoyancy body for installation of floating photovoltaic panel
WO2021025227A1 (en) * 2019-08-02 2021-02-11 유한회사 세미엘이디 Floating photovoltaic panel installation structure and buoyant body for installing floating photovoltaic panel
CN110775213A (en) * 2019-11-15 2020-02-11 浙江精工能源科技集团有限公司 Floating type overwater photovoltaic rigid connection device
KR102298426B1 (en) 2020-03-04 2021-09-06 에이피에너지 주식회사 Fastening device for floating body for solar energy generating system
KR20210146041A (en) * 2020-05-26 2021-12-03 (주)유에너지 Land weight type solar energy generating apparatus capable of facilitating installation and dismantlement
KR102398005B1 (en) * 2020-05-26 2022-05-16 (주)유에너지 Land weight type solar energy generating apparatus capable of facilitating installation and dismantlement
KR102481094B1 (en) * 2020-09-15 2022-12-27 주식회사 한국프롭 Connection device of floating facility for solar-cell power generation
KR20220036450A (en) * 2020-09-15 2022-03-23 주식회사 한국프롭 Connection device of floating facility for solar-cell power generation
CN114228926A (en) * 2021-12-14 2022-03-25 中国华能集团清洁能源技术研究院有限公司 Floating type marine photovoltaic fishery integrated system
CN114670977B (en) * 2022-04-08 2023-12-19 天津大学 An offshore photovoltaic floating infrastructur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114670977A (en) * 2022-04-08 2022-06-28 天津大学 An offshore photovoltaic floating bas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4954815A (en) * 2022-04-11 2022-08-30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Waterborne photovoltaic equipment, control method thereof and waterborne photovoltaic power station
KR20240004048A (en) * 2022-07-04 2024-01-11 주식회사 해성 Magnetic Seaweed bed
KR102779512B1 (en) 2022-07-04 2025-03-12 주식회사 해성 Magnetic Seaweed bed
KR102783712B1 (en) 2022-07-04 2025-03-19 주식회사 해성 Magnetic Seaweed
CN115709783A (en) * 2022-12-28 2023-02-24 华能(广东)能源开发有限公司 Offshore photovoltaic floating body system
CN115709783B (en) * 2022-12-28 2024-11-26 华能(广东)能源开发有限公司 An offshore photovoltaic floating system
KR102672476B1 (en) 2023-10-05 2024-06-05 에이피에너지 주식회사 Fastening device for floating body
CN117508460A (en) * 2023-11-24 2024-02-06 天津大学 A mooring system with one anchor and multiple chains
CN118646332A (en) * 2024-05-30 2024-09-13 南通理工学院 Floating flexible photovoltaic array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590B1 (en) Floating structure for install solar module on the sea
EP2585711B1 (en) Ocean wave energy system
JP5244822B2 (en) Floating device for generating energy from water streams
KR101757206B1 (en) Mooring devices for a floating photovoltaic power plant
JP3944445B2 (en)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ies
US7930885B2 (en) Water wave-based energy transfer system
BR112018073762B1 (en) FLOATING PHOTOVOLTAIC POWER PLANT, AND INSTALLATION METHOD
JP2005504205A (en) Floating offshore wind power generation facility
JP2003229593A (en) Solar battery power generating apparatus to be installed above water surface
KR102042017B1 (en) Turbine for Tidal Current Power Plant and Lift euipment for the turbine and fixing device for the turbine
US20130139499A1 (en) Support unit for a device for recovering energy from marine and fluvial currents
KR20200120335A (en) Floating body having improved strength and using the same
KR20170028329A (en) Tidal energy converter system
KR101521163B1 (en) Floating teby wind power generator
KR101765057B1 (en) A maritim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quipment
JP7174503B1 (en) Flui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its installation structure
WO2017118228A1 (en) Aquatic photovoltaic system
GB2443697A (en) Floating water wheel with buoyant blades
JP7538111B2 (en) Solar power plant and installation method for solar power plant
KR102162397B1 (en) Floating structure for solar panel
JP2015212505A (en) Tide embankment
KR101852879B1 (en) A maritime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quipment
KR102030065B1 (en) Floating solar power generating system
KR102713691B1 (en) Combined mooring device for the maintance of effective mooring force, creation of a relaxation area and monitoring of mooring lines of floating structure
US2015029247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rvesting Renewable Ener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0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09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220908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924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