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81503B1 - 지폐 자동정렬장치 및 사행조정유닛 - Google Patents

지폐 자동정렬장치 및 사행조정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503B1
KR101681503B1 KR1020140135713A KR20140135713A KR101681503B1 KR 101681503 B1 KR101681503 B1 KR 101681503B1 KR 1020140135713 A KR1020140135713 A KR 1020140135713A KR 20140135713 A KR20140135713 A KR 20140135713A KR 101681503 B1 KR101681503 B1 KR 101681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unit
driving roller
banknot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1538A (ko
Inventor
박종성
김경식
김준영
박창호
이용철
황진용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5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503B1/ko
Priority to US14/875,887 priority patent/US9580263B2/en
Publication of KR20160041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50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G07D11/17Alig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65H5/062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between rollers or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002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changing orientation of sheet by only controlling movement of the forwarding means, i.e. without the use of stop or registe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10Pusher and like movable registers; Pusher or gripper devices which move articles into registered position
    • B65H9/103Pusher and like movable registers; Pusher or gripper devices which move articles into registered position acting by friction or suction on the article for pushing or pulling it into registered position, e.g. against a stop
    • B65H9/106Pusher and like movable registers; Pusher or gripper devices which move articles into registered position acting by friction or suction on the article for pushing or pulling it into registered position, e.g. against a stop using rotary driven elements as part acting on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16Inclined tape, roller, or like article-forwarding side registers
    • B65H9/166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5Roller assembly, particular roller arrangement
    • B65H2404/152Arrangement of roller on a movable frame
    • B65H2404/1521Arrangement of roller on a movable frame rotating, pivoting or oscillating around an axis, e.g. parallel to the roller axis
    • B65H2404/15212Arrangement of roller on a movable frame rotating, pivoting or oscillating around an axis, e.g. parallel to the roller axis rotating, pivoting or oscill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roller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지폐 자동정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폐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지폐를 이동시키는 구동롤러부와, 상기 구동롤러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폐의 사행 발생시 상기 지폐의 진행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기어부와, 상기 몸체부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를 회전시켜 상기 지폐의 사행을 조정하는 제2기어부가 구비된 복수 개의 사행조정유닛; 상기 제1기어부와 제1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롤러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부; 상기 제2기어부와 제2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부; 및 상기 지폐 타측면과 접촉하며 구(球) 형상으로 이루어진 볼캐스터부를 포함하는 지폐 자동정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지폐 자동정렬장치 및 사행조정유닛{APPARATUS FOR AUTOMATICAL ALIGNMENT AND UNIT FOR ADJUSTING SKEWNESS}
본 발명은 지폐 자동정렬장치 및 사행조정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폐류 자동 수납처리기의 지폐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사행을 바로 잡아 지폐를 자동으로 정렬하는 지폐 자동정렬장치 및 그 지폐 자동정렬장치에 적용되어 지폐의 사행을 조정하는 지폐의 사행조정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 자동화기기(ATM, Automatic Teller Machine)는 금융 서비스와 관련하여 시간 및 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 카드나 통장을 이용하여 현금 및 수표의 입출금과 같은 금융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이다.
최근, 은행과 같은 금융 기관뿐만 아니라 편의점, 백화점 및 공공장소 등에서도 금융 자동화기기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금융 자동화기기는 입출금 여부에 따라 출금기, 입금기 및 입출금기로 구분될 수 있는데, 최근 들어 금융 자동화기기는 현금의 입출금은 물론 수표의 입출금, 통장 정리, 지로요금 납부, 티켓 발매 등 여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금융 자동화기기 중에는 현금, 수표와 같은 지폐류를 투입받아 자동으로 수납처리하는 기기도 있다. 지폐류 자동 수납처리기는 투입된 지폐에 대해 진위 여부를 확인하고 정상적인 경우에만 수납 처리하게 되는데, 외부에서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지폐를 이송시키면서, 해당 지폐를 스캐닝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해당 지폐의 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획득된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지폐의 진위 여부를 확인한 다음, 이상이 없는 경우에만 최종 수납 처리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지폐를 반출 처리하게 된다.
따라서, 정보 획득을 위해 스캐닝을 할 때, 해당 지폐는 스캐너가 있는 위치로 정확하게 정렬된 상태로 진입해야 하지만, 지폐 이송 과정에서 정 위치로 진행하지 못하고 비스듬하게 경사 진행(이하, "사행"이라 한다)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지폐의 정보 획득에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7-79669 (2007.08.08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폐류 자동 수납처리기의 지폐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사행 발생시 지폐의 사행을 바로 잡아 지폐를 자동으로 정렬하는 지폐 자동정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폐의 사행을 조정하는 구성 및 구조가 간단하여 내구성이 우수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지폐 자동정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지폐 자동정렬장치에 적용되어 지폐가 정렬될 수 있도록 지폐의 사행을 바르게 조정하는 지폐의 사행조정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폐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지폐를 이동시키는 구동롤러부와, 상기 구동롤러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폐의 사행 발생시 상기 지폐의 진행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기어부와, 상기 몸체부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를 회전시켜 상기 지폐의 사행을 조정하는 제2기어부가 구비된 복수 개의 사행조정유닛; 상기 제1기어부와 제1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롤러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부; 상기 제2기어부와 제2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부; 상기 지폐 타측면과 접촉하며 구(球) 형상으로 이루어진 볼캐스터부를 포함하는 지폐 자동정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구동력을 제공받은 메인기어; 상기 메인기어 상부에 일체 결합되는 베벨 링기어; 및 상기 베벨 링기어의 일측에 기어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구동롤러부와 동일 축으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러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어부와 상기 몸체부 일측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모터부는, 제1베벨기어를 매개로 제1구동축에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1구동축에는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되는 제1구동기어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모터부는, 제2베벨기어를 매개로 제2구동축에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2구동축에는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되는 제2구동기어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은 타이밍벨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에는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텐셔너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캐스터부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볼부재; 및 상기 볼부재의 일 부분을 감싸서 상기 볼부재가 이탈되지 않고 제자리에서 구 운동을 하도록 파지하는 하우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캐스터부는, 상기 지폐에 대한 협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볼부재를 상기 구동롤러부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폐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지폐를 이동시키는 구동롤러부; 상기 구동롤러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폐의 사행 발생시 상기 지폐의 진행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기어부; 및 상기 몸체부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를 회전시켜 상기 지폐의 사행을 조정하는 제2기어부를 포함하는 사행조정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기어부는, 제1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구동력을 제공받은 메인기어; 상기 메인기어 상부에 일체 결합되는 베벨 링기어; 및 상기 베벨 링기어의 일측에 기어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구동롤러부와 동일 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롤러부를 회전시키는 베벨 피니언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어부와 상기 몸체부 일측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지폐류 자동 수납처리기의 지폐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지폐의 사행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바로 잡아 지폐를 자동으로 정렬하는 지폐 자동정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지폐의 사행을 조정하기 위해 구동롤러부가 각도 변경될 때 볼캐스터부는 별도의 외부 동력이나 각도변경수단 없이 구동롤러부의 각도에 대응하여 자유자재로 회전방향이 가변될 수 있기 때문에 지폐 자동정렬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자동정렬장치를 부분 투시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의 저면도,
도3은 본 실시예의 사행조정유닛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4는 도3의 분해사시도,
도5는 도3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도1의 저면 사시도,
도7은 도1의 "B-B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8 및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행조정유닛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자동정렬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자동정렬장치(10)를 부분 투시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저면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자동정렬장치(10)는 복수개의 사행조정유닛(100), 제1모터부(200), 제2모터부(300), 볼캐스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 자동정렬장치(1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지폐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지폐의 사행(지폐가 비스듬하게 경사 진행하는 것을 의미)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사행이 발생한 지폐가 다시 정상적으로 이송되도록 정렬할 수 있다. 여기서 지폐의 사행을 감지하여 소정의 제어신호를 보내는 것은 공지기술에 속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지폐 자동정렬장치(10)는 지폐의 이송경로를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프레임(11)과, 그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프레임(12)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하부프레임(11)에는 상기 사행조정유닛(100), 상기 제1모터부(200), 상기 제2모터부(300)를 포함하는 구성들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상부프레임(12)에는 상기 볼캐스터부(400)를 포함하는 구성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프레임(11)과 상부프레임(12) 사이로 지폐가 이송될 때 사행이 발생하면 상기 사행조정유닛(100)과 상기 볼캐스터부(400)가 작동하여 지폐의 사행을 조정하는바, 이에 따라 지폐가 정렬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행조정유닛(100)은 하부프레임(11)에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며, 설치 위치는 지폐의 이송 경로 중에서 중간 부위가 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사행조정유닛(10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지폐 사행조정유닛(100)을 나타낸 결합사시도이고, 도4는 도3의 분해사시도이며, 도5는 도3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사행조정유닛(100)은 구동롤러부(110), 몸체부(120), 제1기어부(130), 제2기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롤러부(110)는 지폐의 일측면(예컨대, 하부면)과 접촉하면서 상기 지폐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롤러부(110)는 상기 하부프레임(11)에 설치되어 외부(예컨대, 동력전달수단)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면서, 구동롤러부(110)의 상부 일부분은 지폐의 이송경로 쪽(즉, 상기 하부프레임(11) 상부)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20)는 상기 구동롤러부(11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몸체부(120)는 지폐의 사행 발생시 이를 바로 잡아 정렬하기 위해 상기 하부프레임(11)에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20) 일측에는 장공(122)이 형성되고 이 장공(122)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미도시)이 체결되어 상기 하부프레임(11)에 결합되는바, 상기 몸체부(120)는 상기 하부프레임(11) 상에서 장공(122) 길이만큼 회전(각도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기어부(130)는 상기 몸체부(120)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부(11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부(130)는 상기 몸체부(120)의 회전축(121)과 별개의 회전을 수행하는바, 상기 제1기어부(130)의 회전력이 상기 몸체부(120)에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제1기어부(130)와 상기 몸체부(120) 일측 사이에는 베어링(123)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부(130)는 메인기어(131)와, 베벨 링기어(132) 및 베벨 피니언기어(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기어(131)는 체인이나 벨트와 같은 동력전달수단(편의상, '제1동력전달수단(1)'이라 한다)을 매개로 구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메인기어(131)가 회전되어도 상기 몸체부(120)는 회전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베벨 링기어(132)는 상기 메인기어(131) 상부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메인기어(131)가 회전되면 상기 베벨 링기어(132)도 동일하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베벨 피니언기어(133)는 상기 베벨 링기어(132)의 일측에 기어 결합되어 베벨 링기어(132)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구동롤러부(110)와 동일 축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롤러부(1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기어부(130)가 회전되면 상기 구동롤러부(110)가 구동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지폐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기어부(140)는 상기 몸체부(120)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120)를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구동롤러부(110)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지폐의 사행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부(140)는 또 다른 동력전달수단(편의상, '제2동력전달수단(2)'이라 한다)을 매개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기어부(140)의 회전력은 상기 몸체부(120)에 전달되어야 하는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기어부(140)는 상기 몸체부(120)의 회전축(121)에 축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기어부(140)와 상기 몸체부(120) 사이에 슬립(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고 회전력이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기어부(140)와 상기 회전축(121)의 결합면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평면부(121a, 140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2 및 도6을 참조하여 상기 제1모터부(200)와 상기 제2모터부(300) 및 관련 구성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2는 도1의 저면도이고, 도6은 도1의 저면 사시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모터부(200)는 각 사행조정유닛(100)의 제1기어부(130)와 제1동력전달수단(1)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각 사행조정유닛(100)에 설치된 구동롤러부(11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모터부(200)는 제1베벨기어(210)를 매개로 제1구동축(22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제1구동축(220)에는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1)과 연결되는 제1구동기어부(2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1)은 상기 제1구동기어부(230) 및 복수 개의 제1기어부(130)와 무한궤도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모터부(300)는 각 사행조정유닛(100)의 제2기어부(140)와 제2동력전달수단(2)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120)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20)가 회전되면 지폐의 사행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제2모터부(300)는 제2베벨기어(310)를 매개로 제2구동축(32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고, 상기 제2구동축(320)에는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2)과 연결되는 제2구동기어부(3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2) 역시 제2구동기어부(330) 및 복수 개의 제2기어부(140)와 무한궤도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모터부(200)는 단독으로 동작될 수도 있고, 상기 제1모터부(200)와 제2모터부(300)가 동시에 동작될 수도 있다. 상기 제1모터부(200)와 제2모터부(300)는 정, 역회전이 모두 가능한 양방향 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1)과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2)은 각각의 제1,2기어부(130,140)와 슬립이 일어나지 않도록 타이밍벨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2기어부(130,140)는 회전방향 및 회전각도가 모두 동일해야 하는바, 동력전달 과정에서 슬립이 발생하면 이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타이밍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1)과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2)에는 동력전달수단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텐셔너(T)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텐셔너(T)는 상기 제1,2동력전달수단(1,2)을 적절한 힘으로 밀어서 최적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텐셔너(T)는 동력전달수단에 의해 회전되는 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7을 참조하여 상기 볼캐스터부(400)에 대해 설명한다.
도7은 도1의 "B-B선"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캐스터부(400)는 구(球) 형상으로 이루어져 지폐(p) 타측면(예컨대, 상부면)과 접촉하며 지폐가 이송될 때 제자리에서 구 운동을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볼캐스터부(400)는 상부프레임(12)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부(110)와 외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롤러부(110)는 외부로부터 구동력을 제공받아 구동되는 반면, 상기 볼캐스터부(400)는 별도의 구동원 없이 이송되는 지폐 또는 상기 구동롤러부(110)와의 접촉에 의하여 제자리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볼캐스터부(400)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회전 방향이 특별히 정해져 있지 않고, 외력을 받는 방향에 따라 제자리에서 모든 방향으로 공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지폐의 사행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구동롤러부(110)가 각도 변경될 때 상기 볼캐스터부(400)는 별도의 외부 동력이나 각도변경수단 없이 상기 구동롤러부(110)의 각도에 대응하여 자유자재로 회전방향이 가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폐 자동정렬장치(10)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내구성이 향상되며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볼캐스터부(400)는 볼부재(410)와 하우징부(420)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 탄성부재(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부재(410)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폐 또는 상기 구동롤러부(110)와 외접하며 제자리에서 구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420)는 상기 볼부재(410)의 일 부분을 감싸서 상기 볼부재(410)가 이탈되지 않고 제자리에서 구 운동을 하도록 파지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420)는 상기 볼부재(410)가 이탈되지 않도록 적어도 볼부재(410)의 절반 이상을 감쌀 수 있다.
또한, 상기 볼캐스터부(400)는 지폐에 대한 협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볼부재(410)를 상기 구동롤러부(110)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4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30)가 없더라도 상기 볼부재(410)와 하우징부(420)의 자중에 의해 소정의 힘이 상기 구동롤러부(110)에 가해져 협지력은 발생하지만, 지폐의 원활하고 신속한 이송 및 협지력 증대를 위해서는 상기 탄성부재(430)에 의한 탄성력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8 및 도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8 및 도9는 사행조정유닛(100)의 구동롤러부(1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로서, 각 구성들의 구체적인 작용은 앞에서 일부 설명하였는바, 여기서는 지폐의 사행 발생시 사행 조정에 관한 작용을 설명한다.
지폐(p)의 이송시 상기 구동롤러부(110)는 제1모터부(200)와 제1동력전달수단(1) 및 제1기어부(130)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지폐를 기 설정된 경로로 이동시킨다.
이때 지폐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행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이동하면 상기 몸체부(120)의 각도는 변경되지 않는바, 상기 구동롤러부(110)의 구동방향은 상기 지폐의 이송방향과 일치하게 된다.
반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가 사행되면 상기 구동롤러부(110)는 계속해서 구동되면서 상기 몸체부(120)는 상기 제2모터부(300)와 제2동력전달수단(2) 및 상기 제2기어부(140)에 의해 소정 각도로 회전된다. 상기 몸체부(120)가 회전되면서 각도가 변경되면 상기 구동롤러부(110)의 구동방향은 지폐의 이송방향과 소정의 각을 이루게 되는바, 이에 따라 사행되었던 지폐가 점차 정상적으로 조정된다.
상기 구동롤러부(110)의 구동방향(각도)가 변경되는 것과 동시에 지폐의 이송방향도 변경되므로 상기 지폐와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볼캐스터부(400)는 외부의 동력 제공 없이 자연스럽게 회전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 : 제1동력전달수단 2 : 제2동력전달수단
10 : 지폐 자동정렬장치
11 : 하부프레임 12 : 상부프레임
100 : 사행조정유닛 110 : 구동롤러부
120 : 몸체부 130 : 제1기어부
131 : 메인기어 132 : 베벨 링기어
133 : 베벨 피니언기어 140 : 제2기어부
200 : 제1모터부 210 : 제1베벨기어
220 : 제1구동축 230 : 제1구동기어부
300 : 제2모터부 310 : 제2베벨기어
320 : 제2구동축 330 : 제2구동기어부
400 : 볼캐스터부 410 : 볼부재
420 : 하우징부 430 : 탄성부재
p : 지폐 T : 텐셔너

Claims (12)

  1. 지폐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지폐를 이동시키는 구동롤러부와, 상기 구동롤러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폐의 사행 발생시 상기 지폐의 진행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기어부와, 상기 몸체부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를 회전시켜 상기 지폐의 사행을 조정하는 제2기어부가 구비된 복수 개의 사행조정유닛;
    상기 제1기어부와 제1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롤러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모터부;
    상기 제2기어부와 제2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몸체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모터부; 및
    상기 지폐 타측면과 접촉하며 구(球) 형상으로 이루어진 볼캐스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기어부는,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구동력을 제공받은 메인기어;
    상기 메인기어 상부에 일체 결합되는 베벨 링기어; 및
    상기 베벨 링기어의 일측에 기어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구동롤러부와 동일 축으로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러부를 회전시키는 베벨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지폐 자동정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부와 상기 몸체부 일측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된, 지폐 자동정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터부는,
    제1베벨기어를 매개로 제1구동축에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1구동축에는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되는 제1구동기어부가 설치된, 지폐 자동정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모터부는,
    제2베벨기어를 매개로 제2구동축에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제2구동축에는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과 연결되는 제2구동기어부가 설치된, 지폐 자동정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은 타이밍벨트인, 지폐 자동정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제2동력전달수단에는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텐셔너가 설치된, 지폐 자동정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캐스터부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볼부재; 및
    상기 볼부재의 일 부분을 감싸서 상기 볼부재가 이탈되지 않고 제자리에서 구 운동을 하도록 파지하는 하우징부;
    를 포함하는 지폐 자동정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볼캐스터부는, 상기 지폐에 대한 협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볼부재를 상기 구동롤러부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지폐 자동정렬장치.
  10. 지폐의 일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지폐를 이동시키는 구동롤러부;
    상기 구동롤러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지폐의 사행 발생시 상기 지폐의 진행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기어부; 및
    상기 몸체부 타측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를 회전시켜 상기 지폐의 사행을 조정하는 제2기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기어부는,
    제1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구동력을 제공받은 메인기어;
    상기 메인기어 상부에 일체 결합되는 베벨 링기어; 및
    상기 베벨 링기어의 일측에 기어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구동롤러부와 동일 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롤러부를 회전시키는 베벨 피니언기어를 포함하는 사행조정유닛.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부와 상기 몸체부 일측 사이에는 베어링이 설치된, 사행조정유닛.
KR1020140135713A 2014-10-08 2014-10-08 지폐 자동정렬장치 및 사행조정유닛 Active KR101681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713A KR101681503B1 (ko) 2014-10-08 2014-10-08 지폐 자동정렬장치 및 사행조정유닛
US14/875,887 US9580263B2 (en) 2014-10-08 2015-10-06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ligning bill and skew control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713A KR101681503B1 (ko) 2014-10-08 2014-10-08 지폐 자동정렬장치 및 사행조정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538A KR20160041538A (ko) 2016-04-18
KR101681503B1 true KR101681503B1 (ko) 2016-12-01

Family

ID=55654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713A Active KR101681503B1 (ko) 2014-10-08 2014-10-08 지폐 자동정렬장치 및 사행조정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580263B2 (ko)
KR (1) KR1016815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1945A1 (ko) * 2013-05-10 2014-11-1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정렬장치
DE202015102333U1 (de) * 2015-05-07 2015-05-20 Francotyp-Postalia Gmbh Gutverarbeitungsgerät zum Anlegen und Vereinzeln von flachem Gut
CN106023425B (zh) * 2016-06-13 2018-08-17 湖南文理学院 一种小型纸币清分机
DE102017105842B4 (de) * 2017-03-17 2019-05-29 Wincor Nixdorf International Gmbh Vorrichtung zum Ausrichten von Wertscheinen
IT201800009647A1 (it) * 2018-10-22 2020-04-22 Fives Intralogistics Spa Con Socio Unico Modulo di guida per la realizzazione di un piano di movimentazione
US11008175B1 (en) * 2019-03-09 2021-05-18 Titus Gadwin Watts Multi-directional ball rotation apparatus for maneuvering an item
US10584009B1 (en) * 2019-08-02 2020-03-10 Capital One Services, Llc Sheet orienting apparatus using ball drive
EP4119474B1 (en) * 2020-03-11 2025-01-29 Fujitsu Frontech Limited Centering mechanism and paper-sheet handl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2828A (ja) * 2001-04-16 2002-10-25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0077A (en) 1910-03-14 1912-03-12 S F Bowser & Co Inc Fill and vent fitting device.
US4669718A (en) * 1986-02-14 1987-06-02 Herman Rovin Bi-directional actuator
JP3727411B2 (ja) * 1995-06-01 2005-12-1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集積装置
US6053494A (en) * 1997-08-04 2000-04-25 Lexmark International, Inc. Job offset assembly
JP4601792B2 (ja) * 2000-09-14 2010-12-22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処理装置
JP4194437B2 (ja) * 2003-07-17 2008-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1059143B1 (ko) 2006-02-03 2011-08-2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자동 수납처리기의 지폐정렬장치
US8348267B2 (en) * 2011-02-18 2013-01-08 Xerox Corporation Media rotation and translation apparatus
KR101459825B1 (ko) 2012-05-15 2014-11-07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금융기기
KR20140084742A (ko) * 2012-12-27 2014-07-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 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2828A (ja) * 2001-04-16 2002-10-25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01958A1 (en) 2016-04-14
KR20160041538A (ko) 2016-04-18
US9580263B2 (en) 201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1503B1 (ko) 지폐 자동정렬장치 및 사행조정유닛
CN107871357B (zh) 纸币堆积装置
KR101258773B1 (ko) 매체 정렬 장치
EP2801542B1 (en) Apparatus for aligning bill and method for aligning bill using the same
CN107301722B (zh) 可换向且能处理异常钞的纸币传输通道装置
KR101258809B1 (ko)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 정렬 방법
JP2006227951A (ja) 鑑別装置及びローラ
CN108622692B (zh) 用于对齐有价票据的装置
KR10107739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JP5608814B2 (ja) 紙葉類識別装置
KR102210391B1 (ko) 지폐 자동정렬장치
CN105492355A (zh) 纸页类蓄积装置和纸页类处理装置
KR102177762B1 (ko) 금융 자동화 기기의 매체 이송장치
KR101314388B1 (ko) 금융 자동화기기 및 그의 매체 정렬에 따른 게이트 제어 방법
KR101558229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 장치
KR20140084742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 기구
KR10256422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동력전달장치
KR20160149778A (ko) 매체 이송 장치
KR101120918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분리 장치
US9472041B2 (en) Clamping of media items
KR101399097B1 (ko) 종이매체 인식 장치 및 그의 종이매체 인식 방법
KR20240047544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정렬장치
KR101556328B1 (ko) 낱장 분리 기능이 강화된 지폐 입출금 장치
JP2015082298A (ja) 紙葉類鑑別装置
KR20110009474A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