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80973B1 - Chair of Move Back - Google Patents

Chair of Move Ba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0973B1
KR101680973B1 KR1020150086998A KR20150086998A KR101680973B1 KR 101680973 B1 KR101680973 B1 KR 101680973B1 KR 1020150086998 A KR1020150086998 A KR 1020150086998A KR 20150086998 A KR20150086998 A KR 20150086998A KR 101680973 B1 KR101680973 B1 KR 101680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r
backrest
guide shaft
chair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69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영호
Original Assignee
박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호 filed Critical 박영호
Priority to KR1020150086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09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0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0973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A chair with a movable backrest comprises: a guide shaft (10) fixed to a chair seat or a chair fram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seat; and a mover coupled to the guide shaft to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hair. The left and right lower portions of a backrest structure (2) for supporting a back plate (1) of a backrest are coupled to the mover. The guide shaft (10) has saw teeth, and the mover also has saw teeth engaged with the saw teeth of the guide shaft. The backrest coupled to the mover is inclined forward or backward to engage or disengage the saw teeth formed on the guide shape and the mover, thereby controll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backrest.

Description

등받이 이동 의자{Chair of Move Back}{Chair of Move Back}

본 발명은 의자에 앉아 작업하는 작업자가 자세를 앞이나 뒤로 기울이거나, 의자 좌판의 전후로 이동하여 앉거나 할 때도 작업자의 몸을 잘 지지할 수 있도록 등받이가 전후진 하여 변동하는 의자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in which a backrest is shifted forward and backward so that a worker sitting on a chair can tilt his or her posture forward or backward, or move back and forth around a chair seat and sit comfortably.

일본 실용신안출원공고 소45-20210(출원일 1966.7.23.)는 등받이가 이동하도록 구성된 최초의 종래 기술을 나타낸다. 이러한 방식은 등받이가 전후진 하기는 하지만 후진했을 때, 사람이 등받이에 기대려면 엉덩이가 좌판을 벗어나 등받이에 기대어야 한다. 이는 좌판을 벗어나므로 앉을 수가 없다. 전혀 쓸 수가 없는 방식이다.
Japanese utility model application publication no. 45-20210 (filed on July 22, 1966) shows the first prior art that is configured to move the backrest. This way, when the back is up and down, but when you are backing up, you have to lean against your back to get your butt off the seat. It can not sit because it is off the seat. I can not write at all.

이후 개선된 방법으로 KR 20-0448295와 같이 등받이의 하단을 U 자형으로 한 방법이 또 한 주류를 이루어 출원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의자의 후방에 돌출부를 가지는 이상한 형식이 되어 실용적으로 쓸 수 없다. 이후 좌판의 양옆으로 가이드레일을 설치하여 후방으로 돌출하지 않는 방법이 JPA_1999113674에서와 같이 제시되었고 또 한 주류를 이루었다.
Thereafter, a method of making the U-shaped bottom of the back of the back, such as KR 20-0448295, was filed as an improved method. However, this method can not be practically used because it becomes a strange form with protrusions at the rear of the chair. A method of installing a guide rail on both sides of the seat so as not to protrude rearward has been proposed as in JPA_1999113674 and has become mainstream.

한편, 등받이의 이동을 고정하는 방식으로는 핀을 꼽아 고정하는 방법이 여러 가지로 출원되었다. JPA_1999113674에서 등받이가 후방으로 돌출하지 않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나, 이 역시 등받이의 고정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구성이 없이 핀을 꼽아 고정할 수 있다는 정도의 언급을 할 뿐이었고, 특허는 등받이가 locking 하는 기능으로 특허를 받았다.
On the other hand, in a method of fixing the movement of the backrest, various methods for pinning and fixing the pins have been filed. JPA_1999113674 suggests a method in which the backrest does not protrude rearward. However, this also mentions that the backrest can be fixed by pin-fitting without any specific configuration. The patent is a function of locking the backrest received.

이후 한국에서 KR 20-0448295에서 보이는 것과 같은 식으로 핀을 꼽아 고정하는 구성이 고정의 방법으로 주를 이루었다. In the following, a fixing method in which a pin is fixed by the same method as that shown in KR 20-0448295 in Korea is a fixed method.

즉, 등받이가 전후이동 하는 발명의 역사를 보면 등받이가 후방으로 돌출하는 구성으로 된 것과 좌판의 양 옆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된 것으로 이루어졌다.
That is, in the history of the invention in which the backrest moves back and forth, the backrest is configured to protrude rearward, and the backrest moves to both sides of the seat.

이때, 이동하는 등받이를 고정하는 방법은 핀을 꼽아 고정하는 방법이 제시된 방법으로써, 이는 고정의 확실성을 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확실한 방법이다. 그러나 불연속적으로 떨어져 있는 구멍에 핀을 끼우는 것은 조정이 필요한 일이고 접속과 이탈시 클릭음이 필연적이다. 또한, 핀을 꼽는 위치도 좌측과 우측 한곳에 각각 설치되거나 양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하였다. At this time, the method of fixing the moving back is a method of fixing the pin by fixing the pin, which is a reliable method in that it can secure the certainty of fixation. However, inserting a pin into a discontinuously spaced hole requires adjustment, and a clicking sound is inevitable when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In addition, the positions where the pins are inserted are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or on both sides.

고정핀이 좌측이나 우측 어느 한쪽에만 구성되었을 경우 등받이에 기댔을 때 고정되지 않은 쪽이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렇다고 양쪽에 설치하여 각각을 조작하는 것은 매우 성가신 일이 된다.
If the fixing pin is configured only on either the left or right side, there is a phenomenon that the unfixed side is pushed when the backrest is tilted. However, it is very annoying to install it on both sides and operate each.

이에 이러한 불편을 개선하기 위해서 본인은 10-1103154이하 10-1092785, 10-1243018 등등 일련의 발명을 해왔다. 이는 기본적으로 고정의 방법으로 마찰을 이용한 것이다. 이는 표면의 거칠기를 조절함으로써 적은 힘으로도 충분한 고정력을 얻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리고 고정력을 작동하게 하는 수단으로써 캠이나 나사를 사용하였고 마모를 줄이기 위해 접촉면을 조정하고 접촉을 하는 pad를 개입시켰다. 그러나 시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빈번히 이동하고 고정할 것을 상정한 상황에서, 마찰을 얻기 위한 접속과 이탈의 기구로 쓰이는 캠이나 나사의 마모와 접촉면의 마모 문제가 심각하게 나타났다. In order to remedy these inconveniences, I have made a series of inventions such as 10-1103154 and 10-1092785, 10-1243018 and so on. This is basically a fixed method using friction. It is thought that by adjusting the roughness of the surface, sufficient fixing force can be obtained even with a small force. A cam or screw was used as a means of actuating the clamping force, and a contact pad was interposed to adjust the contact surface to reduce wear. However, in the case of assuming frequent movement and fixation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prototype, abrasion of the cam or screw used as the connection and disconnection mechanism to obtain the friction and abrasion of the contact surface were serious.

이에 고정이 용이하면서도 마모 등의 문제가 없는 발명을 제시한다.
Thu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vention which is easy to fix and does not have a problem such as abrasion.

책상을 앞에 두고 연구나 학습 등의 작업을 할 때, 작업자는 상반신을 작업대에 접근하게 마련이고, 이때 의자의 등받이는 작업자의 등과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등받이의 지지를 받지 못한 작업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세가 불안정해지고 피로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 대처하기 위한 시도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있었으나, 사용상 실제로 사용할 수 없거나 사용상의 불완전과 불편함으로 인하여 실용성이 없었다. 이에 그러한 단점들을 극복하며 본인은 일련의 발명을 해왔다.
When studying or studying in front of a desk, the worker approaches the upper part of the workbench, and the back of the chair falls off the back of the worker. Therefore, the worker who is not supported by the backrest becomes unstable and fatigued over time. Although attempts have been made to cope with such a situation as mentioned above, there has been no practicality due to incomplete use and inconvenience in practical use. Overcoming these shortcomings, I have invented a series of inventions.

그러나 시제품의 제작과정에서 본인의 선행발명에 쓰인 마모되는 부분들로 인하여 충분한 내구성이 보장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여겨졌다. 이에 편리성과 원리적인 확실성은 유지되면서 본질적으로 마모의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의 발명이 바람직하다.
However, it was considered that there was difficulty in ensuring sufficient durability due to the worn parts used in the preceding invention of the prototype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invent a method that can escape the problem of abrasion inherently while maintaining convenience and certain certainty.

의자 좌판 또는 의자프레임에, 좌판에 대해 앞뒤 방향으로 가이드축(10)이 고정되어 있다. 의자는 상기 가이드축에 결합하여 의자의 앞뒤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자를 포함하고, 의자의 앞뒤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의자등받이를 포함하고 있다.The guide shaft 10 is fixed to the seat back or the chair frame in the front-back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at. The chair includes a chair back which is movab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hair, including a mover which is coupled to the guide shaft and moves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hair.

상기 등받이의 등판(1)을 지지하는 등받이 구조체(2)의 좌우 양 하부는 이동자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축(10)에는 톱니의 형상이 형성되고, 이동자(6)에도 상기 톱니와 결합할 수 있는 톱니의 형상이 구성되어 있어서, 이동자에 결합된 등받이의 경사를 앞이나 뒤로 기울임에 따라 상기 가이드축과 이동자에 구성된 톱니형상이 결합하거나 분리됨으로써 등받이의 앞뒤방향 이동을 단속할 수 있다.
The left and right lower portions of the backrest structure 2 for supporting the back plate 1 of the backrest are coupled to the mover and the shape of the teeth is formed on the guide shaft 10 and the mover 6 can be engaged with the teeth So that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coupled to the mover can be tilted forward or backward so that the guide shaft and the mover can be engaged or separated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backres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상기한 가이드축(10)과 결합하는 이동자(6)는 가이드축(10)에 대해 등받이를 앞뒤로 기울일 수 있도록 축공을 형성하며, 가이드축(10)의 하부에 형성한 톱니형상과 이에 대응하도록 상기 이동자(6)에 구성한 톱니형상은 등받이가 뒤로 기울어지는 상태에서는 결합하여 등받이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고; 등받이를 앞으로 기울이는 상태에서는 분리되어 등받이가 가이드축(10)을 따라 앞뒤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The mover 6 engaged with the guide shaft 10 forms a shaft hole for tilting the backrest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guide shaft 10. The mover 6 forms a sawtooth shap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shaft 10, The sawtooth configuration of the mover 6 is combined when the backrest is inclined backward to limit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backrest; So that the backrest can be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guide shaft 10 when the backrest is tilted forward.

상기한 이동자(6)의 한 구성 방법은 이동자(6)를 내측이동자(6a)와 외측이동자(6b)로 나누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내측인 상기 내측이동자(6a)는 가이드축(10)을 따라 앞뒤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이동자의 외측인 상기 외측이동자(6b)는 등받이구조체(2)에 결합된다. One method of constructing the mover 6 is to divide the mover 6 into an inner mover 6a and an outer mover 6b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The inner mover 6a on the inner side is coupled to move back and forth along the guide shaft 10 and the outer mover 6b on the outer side of the mover is coupled to the backrest structure 2. [

상기 외측이동자에 구성한 톱니형상은 등받이가 뒤로 기울어질 때에 가이드축(10)에 형성된 톱니형상과 결합하여 이동자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며; 등받이를 앞으로 기울일 때에 상기 이동자에 구성한 톱니형상은 가이드축(10)의 톱니형상과 분리되어 이동자가 앞뒤로 이동 가능하도록 된다.
The saw tooth configuration of the outer mover combines with the saw tooth shape formed on the guide shaft 10 when the backrest is inclined backward to limit the rearward movement of the mover; When the backrest is tilted forward, the sawtooth shape formed on the mover is separated from the sawtooth shape of the guide shaft 10 so that the mover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등받이 이동의 고정은 고정된 부분인 가이드축(10)에 형성한 톱니형상에, 이동 가능한 등받이에 포함된 이동자(6)에 구성한 톱니형상을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들을 결합시키는 작동은 등받이를 뒤로 기울임으로써 결합되고, 이들의 해제는 등받이를 앞으로 약간 기울임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Fixation of the backrest movement is achieved by engaging a saw tooth formed on the guide shaft 10, which is a fixed portion, with a saw tooth formed on the mover 6 included in the movable back. The action of engaging them is combined by tilting the backrest back, and their release is done by slightly tilting the backrest forward.

등받이의 기울임에 의해 이동자에 구성한 톱니형상과 가이드축(10)에 형성한 톱니의 형상이 결합될 때에, 결합은 톱니형상 전체에 걸쳐 일시에 결합되고, 떨어질 때에도 전체에 걸쳐 일시에 떨어지게 되므로 외력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파손의 위험도 훨씬 줄어들게 된다.
When the saw tooth shape formed on the mover is combined with the shape of the teeth formed on the guide shaft 10 by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the joint is temporarily engaged over the entire saw tooth shape, . Therefore, the risk of breakage is greatly reduced.

이들의 작동은 마찰되는 부분이 없음으로써 선행 발명에 있어서의 마모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마모로 인한 내구성의 문제가 해소된다. These operations are fundamentally able to solve the problem of wear in the prior art by eliminating friction parts. Therefore, the problem of durability due to abrasion is solved.

또한, 본인의 선행 발명과 비교하여, 작동하는 구성품이 최소화될 수도 있어서 구성이 간단하고, 따라서 경제적인 이득이 될 수 있게 되었다.
In addition, compared with my prior art, the components to be operated can be minimized, so that the configuration is simple, and therefore, it is economically advantageous.

도 1: 앞뒤 기울임 가능한 이동자 통공을 포함한 등받이 의자의 사시도
도 2: 도 1의 후면 사시도.
도 3: 도 1 의자의 오른쪽에 구성한 오른쪽 이동자의 사시도
도 4: 이동자와 가이드축의 톱니형상의 결합과 분리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회전하는 이동자를 구성한 등받이 의자의 사시도
도 6: 회전하는 이동자와 스토퍼와 가이드축 구성의 분해도
도 7: 회전하는 이동자를 포함한 등받이의 앞쪽 기울임 상태도
Figure 1: A perspective view of a backrest chair including inclined front and rear inclined mating apertures
2: a rear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ure 3: A perspective view of the right mover on the right side of Figure 1,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of the saw tooth shape of the mover and the guide shaft;
Figure 5: A perspective view of a backrest chair comprising a rotating mover
6: Exploded view of rotating mover, stopper and guide shaft configuration
7: forward tilting state of the backrest including the rotating mover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서 도 4는 이동 가능한 등받이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들 예의 이동자(6)는 가이드축(10)에 결합하는 이동자의 통공이 등받이의 앞뒤 기울임이 가능하도록 형성한 것이다. 1 to 4 show an example of a movable backrest. The mover 6 of these examples is formed such that the through hole of the mover coupled to the guide shaft 10 can be inclined forward and backward of the backrest.

도 1, 도 2는 등받이를 앞뒤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좌판 또는 의자의 몸체에 가이드축(10)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축(10)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이동자(6)를 포함한 상태를 나타낸다. 1 and 2 show a state in which a guide shaft 10 is fixed to a body of a seat or a chair so that the backrest can be moved back and forth and a mover 6 which is coupled to the guide shaft 10 and moves .

도 3은 도 1 의자의 오른쪽에 구성한 오른쪽 이동자(6)를 나타낸다. 가이드축(10)이 통과하는 통공의 아래쪽에 톱니형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보인다. Fig. 3 shows the right mover 6 constructed on the right side of Fig. 1 chair. It is seen that a serrated shape is formed below the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guide shaft 10 passes.

도 4는 도 1 의자의 등받이구조체(2)와 이에 결합한 이동자(6)와, 이동자에 결합한 가이드축(10)이 결합된 모습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ackrest structure 2 of Fig. 1, the mover 6 coupled thereto, and the guide shaft 10 coupled to the mover.

한편, 도 5~ 도 7은 등받이가 회전가능 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동자(6)를 내측이동자(6a)와 외측이동자(6b)로 나누어 서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한 예이다. 5 to 7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the mover 6 is divided into an inner mover 6a and an outer mover 6b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이에는 가이드축(10) 하단에 형성한 톱니형상에 결합하는 톱니형상을 외측이동자(6b)의 전면에 스토퍼(19)를 구성하여 결합하였다. 도 5에는 이러한 톱니형상이 가이드축(10)에 형성된 톱니형상과 결합하여 등받이가 고정되어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A stopper 19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mover 6b so as to engage with a saw tooth shap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shaft 10. In FIG. 5, such a sawtooth shape is combined with a sawtooth formed on the guide shaft 10, and the backrest is fixed and can not move.

도 6은 내측이동자(6a)와 외측이동자(6b)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내측이동자(6a)에는 가이드축(10)이 결합되며, 스토퍼(19)가 외측이동자(6b)에 결합된 모습의 분해도이다.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inner mover 6a and the outer mover 6b are rotatably engaged and the guide shaft 10 is coupled to the inner mover 6a and the stopper 19 is coupled to the outer mover 6b Fig.

도 7은 등받이가 앞쪽으로 약간 회전하여 가이드축(10)에 형성한 톱니형상과 스토퍼(19)에 형성한 톱니형상이 서로 분리되어 등받이가 앞뒤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된 모습을 나타낸다.
7 shows a state in which the backrest slightly rotates forward and the saw tooth formed on the guide shaft 10 and the saw tooth formed on the stopper 19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allow the backrest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등받이는 사용자의 몸에 접촉하는 등판(1)과 등판을 지지하는 등받이구조체(2)를 포함한다. 의자의 등판(1)은 이를 지지하는 등받이구조체(2)에 결합되어 있다. The backrest includes a back plate (1) for contacting the user's body and a back structure (2) for supporting the back plate. The back plate (1) of the chair is coupled to the backrest structure (2) supporting the back plate (1).

의자의 고정된 부분인 좌판(15) 또는 의자 프레임에, 가이드축(10)을 의자의 앞뒤 방향으로 고정한다. 상기 가이드축(10)에는 상기 가이드축(10)과 결합하여 의자의 앞뒤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자(6)를 결합한다. The guide shaft 10 is fixed to the seat 15 or the chair frame, which is a fixed part of the chair,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hair. The guide shaft 10 is coupled with a mover 6 which is coupled with the guide shaft 10 and is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hair.

이동자(6)에는 등받이구조체(2)의 양쪽 하부를 결합하여 지지한다. The lower ends of the backrest structure 2 are engaged with and supported by the mover 6.

가이드축(10)의 하부에는 톱니형상이 형성되어있다. A saw-tooth shape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guide shaft 10.

이동자(6)에는 등받이를 의자의 앞뒤로 회전하여 기울일 때에 가이드축(10)에 형성된 톱니형상과 결합하는 톱니형상이 구성되어 있다.
The mover 6 has a sawtooth shape that engages with a sawtooth formed on the guide shaft 10 when the backrest is rotated back and forth of the chair and tilted.

가이드축(10)에 형성된 톱니형상의 위치는 가이드축(10)의 어느 부분에라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마모의 문제와 미관상, 상기 제시된 도면 도 1~도 7 등에서와 같이 가이드축(10)의 하부에 형성하는 예를 보였다. The position of the sawtooth shape formed on the guide shaft 10 can be formed at any portion of the guide shaft 10. [ However, there has been shown an example in which the problem of wear and aesthetics ar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guide shaft 10 as shown in the above-mentioned drawings 1 to 7,

가이드축(10)의 형상도 상기 제시된 도 1~도 7 도면에서는 원형의 축으로 하였으나, 사각이나 오각, 육각 등 원형이 아니어도 상관없으며; 상기 제시된 도면에서는 이동자(6)에 관통부를 형성하여 결합하였으나 이동자의 일부를 파서 가이드홈을 만들고 이 가이드홈 형상에 가이드축(10)의 형상을 맞추어 결합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원리 하에 다른 형상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The shape of the guide shaft 10 is also a circular axis in the drawings of FIGS. 1 to 7, but may not be a square, a pentagon, a hexagon, or the like; In the above-described drawings,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mover 6, but a part of the mover may be joined to the guide shaft 10 by making a parser guide groove and matching the shape of the guide shaft 10. May be combined.

상기 도 1, 도 2, 도 5, 도 7의 도면에서는 가이드축(10)을 고정된 대상 중의 하나인 좌판 아래 구성하였으나, 굳이 좌판이 아니라도 고정된 대상이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좌판 아래 의자 프레임에 고정할 수도 있다.
1, 2, 5, and 7, the guide shaft 10 is configured as a seat under one of the fixed objects, but it may be a fixed object even if it is not a seat. For example, it can be fixed to the chair frame below the seat.

도 1~도 2, 도 4~도 7에서 톱니의 형상은 가이드축(10)의 아래쪽과 이동자(6)의 관통공 아래쪽에 형성하였으나 이의 위치는 상부쪽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톱니형상을 꼭 이동자(6)의 관통공에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도 5~도 7의 구성에서 보이듯이 통공의 외부측에 따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한 한 예로서 도 5~도 7에서 이동자의 외부측에 구성한 스토퍼(19)를 보였다.
In Figs. 1 to 2 and Figs. 4 to 7, the teeth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guide shaft 10 and on the lower side of the through hole of the mover 6, but their positions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Further,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saw tooth shape in the through hole of the mover 6, and it may be formed separately on the outer side of the through hole as shown in the configuration of Figs. 5 to 7. As an example of such a case, the stopper 19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mover is shown in Figs. 5 to 7.

가이드축(10)과 이동자에 구성되어 서로 결합하는 톱니의 형상은 사각이나, 오각이나, 둥근 모양 등 결합할 수 있는 다른 모양일 수 있으며 본원의 "톱니형상"이란 이러한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The shape of the teeth formed on the guide shaft 10 and the mover and engaged with each other may be a square shape, a shape that can be combined with a pentagon, a round shape, or the like, and the term "sawtooth shape"

도 1~도 4와 같이 이동자(6)에 구성한 톱니형상과 가이드축(10)에 형성한 톱니형상을 결합하거나 분리하기 위해서 등받이를 기울여 회전하는 구조로서, 가이드축(10)이 결합하는 이동자(6)의 통공을 도 4에서 보이듯이 가이드축(10)에 결합하여 등받이의 경사를 앞뒤로 약간 경사지게 할 수 있을 정도의 여유를 가지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4, a structure in which the backrest is tilted and rotated to engage or separate a saw tooth formed on the mover 6 and a saw tooth formed on the guide shaft 10, 6 may be coupled to the guide shaft 10 as shown in FIG. 4 so that the backrest can be inclined slightly back and forth.

또는 다른 방법으로 도 5~도 7에서 보이듯이 이동자를 내측이동자(6a)와 외측이동자(6b)로 구분하여 제작한 후 이들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방법을 나타내었다.
Alternatively, as shown in FIGS. 5 to 7, a mover is divided into an inner mover 6a and an outer mover 6b, and then the mover is rotatably coupled.

등받이에 힘을 가하지 않은 상태일 때, 도 1, 도 2, 도 5, 도 7과 같은 상태에서, 등받이는 고정된 가이드축(10)에 이동자(6)에 구성한 톱니형상이 접촉하여 결합된 상태로 있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의자 사용자가 등받이에 기대어 등받이에 후방으로 향하는 힘을 가해도 등받이는 후방으로 밀리지 않게 된다.
1, 2, 5, and 7, when the backrest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guide shaft 10 in a state in which the teeth of the mover 6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In this state, the backrest is not pushed backward even if the chair user leans against the backrest and exerts a backward force on the backrest.

등받이를 의자의 앞쪽으로 기울이면 가이드축(10)과 이동자(6)의 톱니결합은 해제되고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등받이를 의자의 앞뒤로 이동 조정하여 원하는 위치에 둘 수 있게 된다. When the backrest is tilted toward the front of the chair, the toothed engagement between the guide shaft 10 and the mover 6 is released. In this state, the backrest can be moved back and forth to the chair to be positioned at a desired position.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는 등판이나, 이동자(6)나, 등받이구조체(2)가 이동자의 하방으로 연장하여 돌출된 부분을 잡고 앞쪽으로 기울어지도록 기울이고, 이러한 상태로 등받이를 의자의 전후로 이동하여 원하는 위치에 둘 수가 있다. In use, the user tilts so that the backrest, the mover 6, or the backrest structure 2 extend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ver to project the mover and tilts to the front. In this state, the backrest is mov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chair, There are two.

도 1에서 오른쪽 이동자의 전면에 손잡이를 결합하여 상기와 같은 등받이의 회전과 이동을 돕도록 하였으나 이는 좀 더 편리함을 위한 것이다. 굳이 이러한 손잡이를 구성하지 않아도 의자 사용자가 등받이구조체(2)나 등판(1)을 잡고 앞뒤로 기울여 조작함으로써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다.
In Fig. 1, a handle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right mover to assist the rotation and movement of the backrest as described above, but this is for convenience. The chair user can easily operate by holding the backrest structure 2 or the back plate 1 and tilting it back and forth without constructing such a handle.

이와 같은 앞뒤 기울임에 의해 이동자(6)에 구성한 톱니형상과 가이드축(10)에 형성한 톱니의 형상이 결합될 때에, 결합은 톱니형상 전체에 걸쳐 일시에 결합되고, 떨어질 때에도 전체에 걸쳐 일시에 떨어지게 되므로 외력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When the tooth shape formed on the mover 6 and the shape of the teeth formed on the guide shaft 10 are combined by such front and back tilting, the coupling is temporarily engaged over the whole tooth shape, It acts effectively against external force.

등받이의 무게중심을 등받이와 이동자(6)가 결합한 점의 뒤쪽에 있도록 함으로써 등받이는 항시 뒤로 기울어지는 힘이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면에서는 보이지 않으나 이동자(6)가 뒤쪽으로 기울어져서 이동자(6)에 구성한 톱니형상이 가이드축(10)에 형성한 톱니형상과 결합하도록 작용하는 탄성요소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한 예로서, 이동자의 앞쪽에 탄성판스프링이나, 압축스프링 등을 구성하여 가이드축(10)을 누르도록 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때 마찰을 줄이기 위해 가이드축을 누르는 부분에 바퀴를 구성하여 바퀴가 가이드축을 누르게 할 수도 있다. 탄성요소는 좌우 한 쪽에 구성하거나 양쪽에 구성할 수도 있다.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ackrest is located behind the point at which the backrest and the mover 6 are engaged, so that the backrest can always be tilted backward. Alternatively, although not shown in the figure, the mover 6 may be inclined rearward to constitute an elastic element acting on the mover 6 to engage with a saw tooth formed on the guide shaft 10. As one such example, it is possible to constitute an elastic plate spring, a compression spring, or the like in front of the mover to press the guide shaft 10. At this time, in order to reduce the fric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stitute a wheel at the portion where the guide shaft is pressed, so that the wheel presses the guide shaft. The elastic element may be constituted on one side or on both sides.

이어서 등받이를 앞으로 기울어지게 하던 힘을 해제하면 등받이는 자중 또는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등받이는 다시 뒤로 기울어져서 이동자(6)와 가이드축(10)의 톱니형상이 결합하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시 등받이의 움직임이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The backrest is restored back to its original position where the backrest is inclined backw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its own weight or the elastic body so that the mover 6 and the saw tooth shape of the guide shaft 1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s a result, the motion of the backrest is fixed again.

이러한 작동상태를 도 4에 단면도로 보였다. This operating state is shown in Fig. 4 as a sectional view.

도 4 도면의 왼쪽은 이동자(6)에 구성한 톱니형상과 가이드축(10)에 형성한 톱니형상이 서로 맞물려서 등받이의 앞뒤 이동이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The left side of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saw tooth shape formed on the mover 6 and the saw tooth formed on the guide shaft 1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back and forth movement of the back is fixed.

이러한 상태에서 의자 사용자가 등받이에 기댈 때, 등받이는 의자의 뒤쪽으로 회전하여 기울어지는 힘을 받는 동시에 뒤쪽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이러한 힘의 작용은 이동자(6)에 구성한 톱니 형상이 가이드축(10) 하부에 형성한 톱니형상과 더욱 강하게 결합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고 등받이의 고정은 유지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chair user leans against the backrest, the backrest rotates to the back of the chair and receives a tilting force while applying a force to the back. The action of this force acts such that the saw tooth shape formed on the mover 6 is more strongly engaged with the saw tooth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guide shaft 10, and the backrest is fixed.

도 4의 오른쪽 모습은 등받이구조체(2)를 앞으로 약간 기울임으로써 이동자(6)의 아래쪽에 형성된 톱니형상이 가이드축(10)에 형성된 톱니형상과 분리되어 그 상태로 등받이를 앞뒤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sawtooth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over 6 is separated from the sawtooth formed on the guide shaft 10 by slightly inclining the backrest structure 2 forward, .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의자는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The above-described 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embodied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ttached drawings, and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구성은 본인의 선행 발명들과 비교하여 외형상 톱니의 형상이 나타남으로써 깔끔함이 덜하고, 톱니의 결합이 완전히 이루어지기 전에는 걸리적거림이 있거나 톱니형상이 손상될 염려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은 본인의 선행 발명들과 비교하여 구성이 간결하며, 서로 결합하여 마모되는 부분이 없음으로써 선행 발명에서 걱정하던 내구성의 문제에서 자유스러울 수가 있게 되었다.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ess neat because the shape of the external teeth is shown compared with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re is jaggies or the saw tooth shape is damaged before the engagement of the teeth is completed.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mple in construction compared with the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free from the problem of durability that was worried about in the prior art since there is no part to be worn by being joined with each other.

각각의 장단점이 있을 수 있으나 실제 상품화 과정에서 일단 내구성의 걱정을 덜고, 제작상의 용이함과 경제성이 대두되어 본 발명을 더 하게 된 것으로, 현실적인 상품출시에 보다 유리할 것으로 생각되어 일단 이로써 상품화에 착수한다.
Although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respective products can be obtained, the present invention is added to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the worry of durability is reduced in the actual merchandising process, easiness of production and economical efficiency arise, and it is thought that it is more advantageous for actual product launch.

1: 등판 2: 등받이구조체
6: 이동자 6a: 내측이동자 6b: 외측이동자
8: 손잡이 10: 가이드축
14: 지지대 15: 좌판 16: (등받이 상하이동)스토퍼
18: 브래킷 19: 스토퍼
1: back plate 2: backrest structure
6: mover 6a: inner mover 6b: outer mover
8: Handle 10: Guide shaft
14: Support 15: Seat 16: (Up and down movement of the backrest) Stopper
18: Bracket 19: Stopper

Claims (3)

의자 좌판 또는 의자프레임에, 좌판에 대해 앞뒤 방향으로 고정된 가이드축(10)과, 상기 가이드축에 결합하여 의자의 앞뒤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자를 포함하여, 의자의 앞뒤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의자등받이를 포함한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등판(1)을 지지하는 등받이구조체(2)의 좌우 양 하부는 이동자에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축(10)에는 톱니의 형상이 형성되고, 이동자에는 상기 톱니와 결합할 수 있는 톱니의 형상이 구성되어 있어서, 이동자에 결합된 등받이의 경사를 앞이나 뒤로 기울임에 따라 상기 가이드축(10)과 이동자에 포함된 톱니형상이 결합하거나 분리됨으로써 등받이의 앞뒤방향 이동을 단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이동 의자.
A chair backrest which is movab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hair, including a guide shaft 10 fixed to the seat back and fixed to the seat in a chair seat plate or a chair frame and a mover moving in the front- In the chair,
The left and right lower portions of the backrest structure 2 for supporting the back plate 1 of the backrest are coupled to the mover, and the guide shaft 10 is formed with a saw tooth shape, and the mover is provided with teeth The guide shaft 10 and the mover can be engaged or disengaged by inclining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coupled to the mover so that the back and forth movement of the backrest can be interrupted A backrest moving chair.
1항에 있어서, 가이드축(10)과 결합하는 이동자(6)는 가이드축(10)에 대해 등받이를 앞뒤로 기울일 수 있도록 축공을 형성하며, 가이드축(10)에 형성한 톱니형상과 이에 대응하도록 이동자에 구성한 톱니형상은 등받이가 뒤로 기울어지는 상태에서는 결합하여 등받이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고; 등받이를 앞으로 기울이는 상태에서는 분리되어 등받이가 가이드축(10)을 따라 앞뒤로 이동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이동 의자.The mover 6 that engages with the guide shaft 10 forms a shaft hole so that the backrest can be inclined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guide shaft 10. The mover 6 has a serrated shape formed on the guide shaft 10, The saw tooth configuration on the mover may be combined to restrain the back movement of the back when the back is inclined backward; Wherein the backrest is separated from the backrest when the backrest is tilted forward so that the backrest can be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guide shaft. 1항에 있어서, 이동자는 상대적으로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되는 내측이동자(6a)와 외측이동자(6b)를 구성하며, 상기 내측이동자(6a)는 가이드축(10)을 따라 의자의 앞뒤방향으로 이동가능 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외측이동자(6b)는 등받이구조체(2)에 결합되며; 상기 외측이동자에 구성한 톱니형상은 등받이가 뒤로 기울어질 때에 가이드축(10)에 형성된 톱니형상과 결합하여 이동자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며; 등받이를 앞으로 기울일 때에 상기 이동자에 구성한 톱니형상은 가이드축(10)의 톱니형상과 분리되어 이동자가 앞뒤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 이동 의자.
The inner mover 6a constitutes an inner mover 6a and an outer mover 6b that are relatively rotatably coupled and the inner mover 6a is movable along the guide shaft 10 in the front- , And the outer mover (6b) is coupled to the backrest structure (2); The saw tooth configuration of the outer mover combines with the saw tooth shape formed on the guide shaft 10 when the backrest is inclined backward to limit the rearward movement of the mover; Wherein when the backrest is tilted forward, the sawtooth shape formed on the mover is separated from the sawtooth shape of the guide shaft (10) so that the mover can move back and forth.
KR1020150086998A 2015-06-18 2015-06-18 Chair of Move Back Active KR1016809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998A KR101680973B1 (en) 2015-06-18 2015-06-18 Chair of Move B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6998A KR101680973B1 (en) 2015-06-18 2015-06-18 Chair of Move Ba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0973B1 true KR101680973B1 (en) 2016-11-29

Family

ID=57706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6998A Active KR101680973B1 (en) 2015-06-18 2015-06-18 Chair of Move Ba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097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754Y1 (en) 2006-02-15 2006-05-26 주식회사 바우 Swivel chair with backrest moved before and after
KR101167816B1 (en) 2011-07-25 2012-07-25 박영호 Backrest Chair
KR101243018B1 (en) 2011-10-04 2013-03-12 박영호 Chai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754Y1 (en) 2006-02-15 2006-05-26 주식회사 바우 Swivel chair with backrest moved before and after
KR101167816B1 (en) 2011-07-25 2012-07-25 박영호 Backrest Chair
KR101243018B1 (en) 2011-10-04 2013-03-12 박영호 Chai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67188B1 (en) Angle-adjustable hinge and sofa
FR2938230A1 (en) DEVICE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BACKREST OF A STROLLER
KR100954226B1 (en) Chair with a movable back support
WO2012034344A1 (en) Chair
CN113163948A (en) Locking device for seat
JP2013528101A (en) Chair
JP2019216860A (en) Chair
KR101008889B1 (en) Armrest Shifter
KR101490435B1 (en) The chair with adjustable backrest angle
KR101729041B1 (en) Chair arm
KR200436739Y1 (en) Headrest
KR101167816B1 (en) Backrest Chair
KR20140065308A (en) Headrest controlling apparatus of a chair
KR101680973B1 (en) Chair of Move Back
KR102161119B1 (en) Lumber support device for chairs
CN103284505A (en) Backrest tilting structure supporting the human waist
JP5860513B2 (en) Chair
KR101680974B1 (en) Chair of Move Back
KR101722316B1 (en) Chair of Move Back
KR101722317B1 (en) Chair of Move Back
US20130313878A1 (en) Angle adjusting/positioning device for a backrest of a chair
JP4145409B2 (en) Chair armrest height adjustment device
KR101495325B1 (en) A structure to control angle of the back of chair
JP5284339B2 (en) Chair headrest device
JP3061146U (en) Chair armres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1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