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5308A - Headrest controlling apparatus of a chair - Google Patents
Headrest controlling apparatus of a chai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40065308A KR20140065308A KR1020120132671A KR20120132671A KR20140065308A KR 20140065308 A KR20140065308 A KR 20140065308A KR 1020120132671 A KR1020120132671 A KR 1020120132671A KR 20120132671 A KR20120132671 A KR 20120132671A KR 20140065308 A KR20140065308 A KR 201400653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fixing bracket
- cylindrical
- headrest
- fix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e.g. detachabl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 머리받침의 높낮이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의자 등받이의 배면에 설치되는 후방 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과; 사용자의 목 또는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받침 부재의 받침부의 후방에 상단이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고정 브라켓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로서 반원통형으로서 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 슬롯이 제공되는 이동 지지대와;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지지대의 상하 다단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다단 슬라이딩 가이드 장치로서, 상기 다수개의 걸림 슬롯의 반원통형 오목홈에 일측이 수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 브라켓 내부의 걸림구 고정 포켓에 수용되는 원통형 걸림구; 상기 원통형 걸림구의 고정된 상하 위치를 지지하는 걸림구 고정 포켓; 상기 걸림구 고정 포켓의 관통공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원통형 걸림구의 가변적인 전후 이동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부재; 상기 스위칭 부재의 일단과 상기 고정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복원 스프링을 포함하는 다단 슬라이딩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comprising: a stationary bracket for adjusting a height of a headrest of a chair, the stationary bracket being fixedly mounted on a rear frame provided on the back of a chair back; A movable member which is coupled to an upper end of a receiving portion of a head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a neck or head of a user and which is received in the fixing bracket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 movable suppor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atching slots; The multi-stage sliding guide device is provided inside the fixing bracket and controls the upper and lower multi-step sliding movement of the movement support. The multi-stage sliding guide device includes one half of the half- A cylindrical fastener accommodated in a stationary pocket; A locking hole fixing pocket for supporting the fixed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cylindrical locking hole; A switching member provided at a rear of the through-hole of the stopper fixing pocket to switch a variable back and forth movement of the cylindrical stop; And a restoring spring installed between one end of the switching member and the fixing bracket.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headrest adjusting device for a chair comprising the multi-stage sliding guide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머리받침의 높낮이와 전후방 위치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조절 동작시에 간편성을 높이며 동작감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drest adjusting device for a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drest adjusting device for a chair, which is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a headrest and its front and rear positions while improving simplicity, To provide a chair headrest adjusting device.
일반적으로, 머리받침은 의자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하여 목을 기대거나 착석한 상태에서 머리를 기대어 수면을 취할 경우 사용자의 목 또는 머리를 편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사람 마다 신체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맞게 머리받침의 위치와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머리받침 조절 장치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Generally, a headrest is provided in a chair, and when the user is seated on the chair and leans his / her head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seated, he / she can comfortably support the user's neck or head. In particular, since the physical conditions are different for each person, researches on a headrest adjusting device that can easily adjust the position and height of the headrest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physical condition are being continuously conducted.
특히, 이러한 연구에 의해 개발된 종래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는 높낮이 조절을 위해 상기 지지부를 고정 부재와 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 부재로 구성하고 이에 스위칭 부재와 누름 버튼을 채용하는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Particularly, in the conventional headrest adjusting apparatus developed by such a study, the supporting unit is composed of a fixing member and a moving member slidably provided for adjusting the height, and the apparatus adopts the switching member and the push button .
따라서, 사용자가 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머리받침이 머리 또는 목 등의 원하는 위치에 놓여 있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의자에서 일어나 고정 부재에 구비된 누름 버튼을 눌러 스위칭 부재의 잠금 상태(고정 부재에 구비된 스위칭 부재의 걸림 돌기가 이동 부재의 걸림홈에 걸린 상태)를 해제한 상태에서 원하는 위치로 머리받침을 이동시키고, 누름 버튼을 놓으면 스위칭 부재가 탄성체에 의해 원 위치되면서 상기 잠금 상태에 있게 된다. 특히, 스위칭 부재는 만곡 형상을 가지며 일단에는 걸림 돌기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누름 버튼이 구비된다. 또한, 지렛대 원리가 적용되도록 스위칭 부재의 중심은 고정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Therefore, when the user is seated in the chair and the headrest is not placed at a desired position such as the head or the neck, the user stands up from the chair and presses the push button provided on the fixing member to set the locking state of the switching member When the push button is released, the switching member is placed in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 body, and is in the locked state. Particularly, the switching member has a curved shape, and one end is provided with a latching protrusion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push button. Further, the center of the switching member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so that the lever principle is applied.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의 경우에는 스위칭 부재가 절곡 형상을 가짐과 함께 회전하는 동작을 취함에 따라, 고정 부재와 이동 부재 사이에는 만곡 형상의 스위칭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과 함께 스위칭 부재가 회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공간은 결과적으로 이동 부재가 고정 부재에 헐거운 상태로 존재하게 되어, 머리받침의 높낮이 조절시 전후/좌우 요동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되거나 동작감이 떨어질 수 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headrest adjusting device, since the switching member takes a bending shape and rotates, th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urved switching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fixing member and the moving member, It is necessary to secure a sufficient space for the member to rotate. As a result, the moving member is loosely held on the fixing member, and noise is generated due to the front / rear / It can fall.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머리받침 높낮이 조절구조가 가진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로서 첨부 도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은 머리받침 높낮이 조절구조가 제안되어 이용되고 있는데, 이에 따르면 의자 등받이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 프레임(1)에 설치되는 고정 부재(3) 내에 제공되는 다단 이동 유닛(5)은 고정 부재(3)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개의 걸림공(5a)과, 그리고 머리받침(4)을 지지하는 이동 부재(4a)에 탄성적으로 구비되며 복수개의 걸림공(5a) 중 어느 하나의 걸림공에 걸리는 걸림 돌기(5b1)를 갖는 판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5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머리받침 높낮이 조절장치가 제시되는데, 여기에서는 조절 기능을 담당하는 스위칭 부재 자체가 직접적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판 스프링으로 만들어지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제한적인 내구성을 가지며, 의자를 운반하기 위하여 머리받침을 잡고 이동시키는 경우와 같이 예상치 않은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이러한 외력에 의해 머리받침의 높낮이가 변화될 수 있기에 신뢰성에 문제점을 나타낼 수 있다.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headrest height control structure, a headrest height adjustment structure as illustrated in FIG. 5 has been proposed and used. According to this, a rear frame (not shown) The multistage moving
아울러 이와 같은 구조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의 경우에는 실용신안 등록 제 20-0395900호(2005. 9. 14. 공고)와 같이 직선형의 고정 부재와 이동 부재로 구성되어서 높낮이 조절만 가능할 뿐 머리받침의 전후 위치를 변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바 기능적인 제한성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headrest adjusting device having such a structure, it is constituted by a linear fixing member and a moving member as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95900 (published on September 14, 2005) It does not present a structure that can change the position, but it has functional limitations.
특히, 고급형 의자의 경우에 보다 높은 안락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좌판과 등받이 및 머리받침을 지지하는 후방 프레임 자체가 후방으로 틸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바 후방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머리받침의 높낮이를 높이도록 조절하는 경우에 경사진 후방 프레임 상에 설치된 지지대의 경사진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머리받침의 위치도 후방으로 이동되어서 사용자의 머리로부터 멀어지게 되어서 사용상 상당한 불편함을 나타낸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a high-grade chair, the rear frame itself supporting the seat back, the backrest, and the headrest is tilted rearward to provide a higher level of comfort, so that the height of the headrest provided on the rear frame is increased The position of the head restraint is also moved rearwardly away from the user's head in accordance with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upport rest on the inclined rear frame in the inclined direction, which is considerably inconvenient in us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머리받침의 높낮이 조절시에 동작감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아울러 높낮이 조절 장치의 내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머리 받침 조절장치를 제공하며, 나아가 머리받침의 높낮이 조절시에 인체공학적인 측면에서 사용자에게 보다 높은 편의성을 제공하도록 머리받침의 전후 위치도 함께 적절히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drest which is capable of improving the operation feeling whe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adrest, minimizing noise, A headrest adjuster for improving the height of the headrest, and a headrest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adrest so that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headrest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so as to provide a higher convenience to the user in terms of ergonomics And to provide a regulating device.
또한, 사용자가 머리받침을 잡고 의자를 이동시키는 등의 상황에서 머리받침이 완전히 빠지지 않게 됨으로써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Furth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ans for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by not completely releasing a headrest in a situation where a user holds a headrest and moves a chai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는, 의자 머리받침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chair headres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ir headrest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a height of a chair headrest,
의자 등받이의 배면에 설치되는 후방 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과; A stationary bracket fixedly installed on a rear frame provided on a back surface of the seat back;
사용자의 목 또는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받침 부재의 받침부의 후방에 상단이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고정 브라켓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로서 반원통형으로서 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 슬롯이 제공되는 이동 지지대와; 그리고A movable member which is coupled to an upper end of a receiving portion of a head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a neck or head of a user and which is received in the fixing bracket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 movable suppor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atching slots; And
상기 고정 브라켓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지지대의 상하 다단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다단 슬라이딩 가이드 장치로서, 상기 다수개의 걸림 슬롯의 반원통형 오목홈에 일측이 수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 브라켓 내부의 걸림구 고정 포켓에 수용되는 원통형 걸림구; 상기 원통형 걸림구의 고정된 상하 위치를 지지하는 걸림구 고정 포켓; 상기 걸림구 고정 포켓의 관통공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원통형 걸림구의 가변적인 전후 이동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부재; 및 상기 스위칭 부재의 일단과 상기 고정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복원 스프링을 포함하는 다단 슬라이딩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장치를 제공한다.The multi-stage sliding guide device is provided inside the fixing bracket and controls the upper and lower multi-step sliding movement of the movement support. The multi-stage sliding guide device includes one side of the semi-cylindrical recessed groov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slots, A cylindrical jaw which is received in the pocket; A locking hole fixing pocket for supporting the fixed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cylindrical locking hole; A switching member provided at a rear of the through-hole of the stopper fixing pocket to switch a variable back and forth movement of the cylindrical stop; And a restoring spring installed between one end of the switching member and the fixing bracket. The chair headres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여기에서,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이동 지지대는 측면에서 볼 때 전방측으로 오목하게 만곡진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Her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fixing bracket and the movable support are formed to be concavely curved toward the front side when viewed from the side.
한편, 상기 원통형 걸림구는 내마모성이 강한 강철제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cylindrical fastener may be formed of a steel having a high abrasion resistance.
나아가, 상기 이동 지지대를 고정 브라켓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킬 때 전후/좌우의 요동이 거의 없도록 이동 지지대의 보다 정확한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고정 브라켓의 전방 가이드판에 스케이트 날과 같은 형상으로 종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레일과, 그리고 이와 맞물리도록 이동 지지대에 종방향으로 요입 형성된 가이드 레일홈이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머리받침 부재의 이동 지지대를 상승시킬 경우 이동 지지대가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이탈 방지 수단을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order to guide a more accurate sliding movement of the movable support so that the movable support is slidably moved in the fixed bracket, the guide plate of the fixed bracket is provided with a shape similar to a skate bla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guide rail groove formed in the movable support so as to engage with the protruded guide rail may be provided. In addition, when the movable support of the head support member is raised, Is further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이동 부재와 고정 부재 사이에 절곡 형상의 스위칭 부재가 회동되어야 할 공간이 요구되지 않기에 결과적으로, 이동 부재와 고정 부재 사이에 공간이 최소화되므로 머리받침의 높낮이 조절시 전후/좌우 요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전후/좌우 요동이 최소화되므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동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chair headres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pace in which a folding switching member must be rotated between the moving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So that it is possible to minimize front / rear / left / right fluctuations whe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headrest, and to minimize noise due to front / rear / left / right fluctuations.
나아가, 고정 부재와 이동 부재의 형상을 측면에서 볼 때 전방측으로 오목하게 만곡진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후방으로 일정 각도 만큼 틸팅된 상태의 후방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머리받침의 높낮이를 높이도록 조절하는 경우에 경사진 후방 프레임 상의 고정 브라켓에 설치되는 이동 지지대의 경사진 방향의 상향 슬라이딩 이동이 발생하더라도 머리받침의 위치는 과도하게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전방 변위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인체공학적인 제품에 대한 수요에 부응하는 효과를 제공한다.Further, when the shape of the fixing member and the moving member is formed to have a concavely curved shape toward the front side when viewed from the sid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rest provided on the rear frame that is tilted backward at a certain angle Even if an upward slidable movement of the movable support provided on the fixed bracket on the inclined rear frame occurs in an inclined direction, the position of the headrest can be displaced forward so as not to be excessively moved backward, And provides the effect of responding to the demand for.
또한, 실질적인 다단 걸림 작용을 하는 원통형 걸림구 자체에 탄성이 제공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내마모성이 강한 강성체(예컨대, 강철제)로 구성할 수 있어서, 탄성적인 걸림 작용을 위하여 걸림구 자체 또는 일부가 탄성 소재로 형성되는 다른 일반적인 종래 기술과 달리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elasticity to the cylindrical fastening hole that performs the substantial multi-step fastening action, it can be constituted by a rigid body (for example, made of steel) having high abrasion resistance. The dur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as compared with other general conventional technique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나아가, 사용자가 머리받침 부재를 잡고 의자를 이동시키는 등의 상황에서 머리받침 부재가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완전히 빠지지 않게 되므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막을 수 있다.Further,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 holds the headrest member and moves the chair, the headrest member is not completely released from the fixing bracket, so that a safety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 조절 장치가 장착된 의자의 머리받침 및 후방 프레임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 조절 장치를 배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 조절 장치를 전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에 의해 머리받침이 상승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4c 및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를 사용하여 머리받침이 상승 조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머리받침 높낮이 조절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headrest and a rear frame of a chair equipped with a headrest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adrest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the back. FIG.
3A and 3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headrest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and 4B are enlarged views showing a state before a headrest is lifted by a headrest adjusting device of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C and 4D are cross-sectional views and enlarged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adrest is adjusted upward by using a chair headrest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eadrest height adjus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머리받침 부재의 고정 지지대가 머리받침 조절 장치를 구성하는 다단 슬라이딩 가이드 장치가 내장된 고정 브라켓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후방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rest adjusting device of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eadrest adjusting device of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ar perspective view.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 조절 장치를 배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 조절 장치를 전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eadrest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a and 3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headrest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에 의해 머리받침이 상승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로서, 도 4a는 스위칭 부재의 작동 전 상태, 그리고 도 4b는 스위칭 부재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4A and 4B are a cross-sectional view and a main part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headrest is lifted by a headrest adjusting device of a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4A is a state before operation of the switching member, And Fig. 4B shows the operating state of the switching member.
도 4c 및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를 사용하여 머리받침이 상승 조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로서, 도 4c는 스위칭 부재의 복원 전 상태, 그리고 도 4d는 스위칭 부재의 복원 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FIGS. 4C and 4D are cross-sectional views and a main part enlarged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eadrest is adjusted upward by using a chair headrest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C is a state before restoration of the switching member, 4D shows the state after the switching member is resto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는 기본적으로 머리받침 부재(40)의 높낮이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도 1,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브라켓(30)과, 이동 지지대(45)와, 그리고 다단 슬라이딩 가이드 장치(50)를 포함한다.The chair headres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adjusts the height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는, 의자 등받이(20)의 배면에 설치되는 후방 프레임(10) 상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30)과; 사용자의 목 또는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받침 부재(40)의 받침부(41)의 후방에 상단이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고정 브라켓(30)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로서 반원통형으로서 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 슬롯(46)이 제공되는 이동 지지대(45)와;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3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지지대(45)의 상하 다단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다단 슬라이딩 가이드 장치(50)로서, 상기 다수개의 걸림 슬롯(46)의 반원통형 오목홈에 일측이 수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 브라켓(30) 내부의 걸림구 고정 포켓(55)에 수용되는 원통형 걸림구(53); More specifically, the
상기 원통형 걸림구(53)의 직경 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며 전후방으로 관통공을 구비하여 원통형 걸림구(53)의 전후방 이동은 허용하나 상하 이동은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포켓이 제공되며 상기 이동 지지대(45)의 상하 슬라이딩을 지지 가이드하는 걸림구 고정 포켓(55); A pocket is provided which has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상기 걸림구 고정 포켓(55)의 관통공 후방에 설치되는 스위칭 부재로서 상기 걸림구 고정 포켓(55)의 후면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걸림구(53)가 상기 걸림구 고정 포켓(55)으로부터 이탈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걸림구 지지면(54a)과, 상기 걸림구 고정 포켓(55)의 후면과 이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서 상기 원통형 걸림구(53)가 상기 걸림구 고정 포켓(55)으로부터 이탈하여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구 수용면(54b)이 전면에 형성되고, 후면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30)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54c)가 형성된 스위칭 부재(54); 및A switching memb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hrough hole of the latching
상기 스위칭 부재(54)의 걸림구 수용면(54b)이 상기 원통형 걸림구(53)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스위칭되는 경우에 탄성 변형되어서 상기 스위칭 부재(54) 전면의 걸림구 지지면(54a)이 상기 원통형 걸림구(53)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위치로 복원하도록 상기 스위칭 부재(54)의 일단과 상기 고정 브라켓(53) 사이에 설치되는 복원 스프링(56)을 포함하는 다단 슬라이딩 가이드 장치(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이하,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의 좌판(또는 좌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베이스 또는 틸팅 장치)에는 의자 등받이(20)의 배면에 설치되는 후방 프레임(10)의 하단이 고정 설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후방 프레임(10)의 상부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30)이 장착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고정 브라켓(30)은 그 길이를 길게 하여 좌판(또는 좌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베이스 또는 틸팅 장치)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1, a lower end of a
머리받침 부재(40)의 받침부(41)를 지지하는 이동 지지대(45)는 고정 브라켓(30)을 따라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도 1의 화살표 참조).A
또한, 머리받침 부재(40)를 구성하는 받침부(41)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축 부재(43)는 받침부(41)의 배면에 형성된 안착부(42)에 삽입되어 볼트 체결된다. 참고로, 볼트 체결을 위해, 축 부재(43)의 중심에 제1 볼트 통과공이 형성될 수 있고, 안착부(42)의 양측에 체결 리브가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그리고 체결 리브에 제2 볼트 통과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트가 제2 볼트 통과공 및 제1 볼트 통과공에 순차적으로 삽입된 후, 너트에 의해 체결되면, 볼트 체결이 완료된다. 이후, 볼트와 너트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즉, 외관미가 향상되도록 캡으로 마감처리될 수 있다.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는, 도 1 및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브라켓(30)에 머리받침 부재(40)의 이동 지지대(45)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시키되 다단으로 이동되도록 구비시키는 다단 슬라이딩 가이드 장치(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하에서는 그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1 and 4D, the headrest adjusting device of the chai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먼저, 원통형 걸림구(53)는 상기 고정 브라켓(3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지지대(45)의 상하 방향의 다단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다수개의 걸림 슬롯(46)의 반원통형 오목홈에 일측이 수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 브라켓(30) 내부의 걸림구 고정 포켓(55)에 수용되게 된다(도 4a 및 도 4d 참조).First, a
한편, 고정 브라켓(30)은 후방 가이드판(31)과 전방 가이드판(32)을 조립하여 구성되며, 바람직하기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가이드판(32)의 상단부에는, 상기 이동 지지대(45)의 상하 슬라이딩을 지지 가이드하고 그리고 상기 원통형 걸림구(53)의 직경 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고 전후방으로 관통공을 구비함으로써 원통형 걸림구(53)의 전후방 이동은 허용하나 상하 이동은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포켓이 형성된 걸림구 고정 포켓(55)이 제공된다.2, the fixed
그리고, 도 2에 분해 상태로 작동 상태가 자세히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걸림구 고정 포켓(55)의 관통공 후방에는 스위칭 부재(54)가 설치되는데, 상기 스위칭 부재(54)는, 상기 걸림구 고정 포켓(55)의 후면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걸림구(53)가 상기 걸림구 고정 포켓(55)으로부터 이탈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걸림구 지지면(54a)과, 상기 걸림구 고정 포켓(55)의 후면과 이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서 상기 원통형 걸림구(53)가 상기 걸림구 고정 포켓(55)으로부터 이탈하여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구 수용면(54b)이 전면에 형성되고, 그리고 후면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30)의 후방 가이드판(31)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54c)가 제공된다.As shown in detail in FIG. 2 in an exploded state, the switching
한편, 머리받침의 높낮이 조절을 위하여 상기 스위칭 부재(54)의 손잡이(54c)를 상방으로 들어 올리면 걸림구 수용면(54b)이 상기 원통형 걸림구(53)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스위칭(도 4a의 상태에서 도 4b의 상태로 스위칭)되는데, 이 경우에 상기 스위칭 부재(54)의 일단과 상기 고정 브라켓(53) 사이에 제공되는 복원 스프링(56)은 탄성 변형(도 4a 내지 도 4d에서는 인장 변형)되어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 받침 부재(40)의 높낮이 조절이 완료되고서,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54c)를 상방으로 들어 올리는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 스프링(56)에 의해 스위칭 부재(54) 전면의 걸림구 지지면(54a)이 원통형 걸림구(53)의 후방에 위치(걸림 위치)하도록 복원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복원 스프링(56)은 다단 걸림 작용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원통형 걸림구(53) 자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강한 탄성력을 가진 강성 재료로 만들어져야 할 필요성은 없다.4A).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headrest, when the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머리받침 부재(40)의 받침부(41)를 지지하는 이동 지지대(45)를 상부로 당기거나 아래로 밀어 넣으면서 머리받침 부재(40)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동안에는 다단 슬라이딩 가이드 장치(50)을 구성하는 원통형 걸림구(53)가 이동 지지대(45)에 형성된 복수개의 반원통형의 걸림 슬롯(46) 중 해당 걸림 슬롯(46)에 위치되거나 빠지면서 동작감을 부여하게 된다. 특히, 원통형 걸림구(43)가 이동 지지대(45)에 형성된 반원통형의 걸림 슬롯(46)에 위치되거나 빠질 때 연속적으로 "딸깍"하는 마찰음 소리가 나면서 사용자에게 설정 높이에 대한 거리감과 동작감이 더욱 극대화될 수 있다.4C, the height of th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머리받침 조절 장치는,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지지대(45)를 고정 브라켓(30)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킬 때 전후/좌우의 요동이 거의 없도록 이동 지지대(45)의 보다 정확한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고정 브라켓(30)의 전방 가이드판(32)에 스케이트 날과 같은 형상으로 종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레일(57)과, 그리고 이와 맞물리도록 이동 지지대(45)에 종방향으로 요입 형성된 가이드 레일홈(47)을 구비하고 있다.2 and 3A, the headrest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adjust the headrest when the
나아가, 머리받침 부재(40)의 이동 지지대(45)를 상승시킬 경우 이동 지지대(45)가 고정 브라켓(30)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이탈 방지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이탈 방지 수단으로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57)에 돌출 제공되는 멈춤 돌기(57a)와, 그리고 이러한 멈춤 돌기(57a)에 걸리도록 상기 지지대(45)의 가이드 레일홈(47) 하단부에 도 3a에 도시(V-V 단면 참조)된 바와 같이 형성되는 멈춤 쐐기(47a)가 제공될 수 있다.Further,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departure preventing means for preventing the
따라서, 사용자가 머리받침 부재(40)를 잡고 의자를 이동시키는 등의 상황에서 머리받침 부재(40)가 고정 브라켓(30)으로부터 완전히 빠지지 않게 되므로 안전 사고를 미연에 막을 수 있다.Therefore,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 holds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air headrest adjus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 지지대(45)와 고정 브라켓(30) 사이의 공간이 최소화되므로 머리받침 부재(40)의 높낮이 조절시 전후/좌우 요동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요동이 최소화 되므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음과 함께 동작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pace between the
또한, 고급형 의자의 경우에 보다 높은 안락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좌판과 등받이 및 머리받침을 지지하는 후방 프레임 자체가 후방으로 틸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경우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프레임(10) 상에 설치되는 머리받침 부재(40)의 높낮이를 높이도록 조절하는 경우에 후방 프레임(10)이 후방으로 틸팅되어 경사진 상태가 되더라도 이동 지지대(45)가 고정 브라켓(30)을 따라 상향 이동하게 되면 전방을 향하여 오목하게 만곡 경사진 방향의 슬라이딩 이동의 결과로써 머리받침 부재(40)의 받침부(41)의 위치가 상향 이동(△V)되면서 아울러 전방 이동(△H)도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틸팅 경사에 의해 자동적으로 발생하는 후방 이동(도시 생략)과 서로 상쇄되도록 하여 받침부(41)의 과도한 후방 이동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high-grade chair, the rear frame itself supporting the seat back, the backrest, and the headrest is tilted rearward to provide a higher level of comfort.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그리고, 다단 슬라이딩 이동 과정 중에서 실질적인 다단 걸림 작용을 하는 원통형 걸림구 자체에 탄성력이 직접 제공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내마모성이 강한 강성체(예컨대, 강철제)로 구성할 수 있어서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elastic force directly to the cylindrical fastening hole that performs a substantial multi-step fastening action in the cascade sliding movement process, it can be constituted of a rigid body having high abrasion resistance (for example, made of steel) / RTI >
아울러, 머리받침 부재(40)의 이동 지지대(45)를 상승시킬 경우 이동 지지대(45)가 고정 브라켓(30)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이탈 방지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기에 머리받침 부재(40)가 고정 브라켓(30)으로부터 이탈하는 안전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0: 후방 프레임 20: 의자 등받이
30: 고정 브라켓 31: 전방 가이드판
32: 후방 가이드판 40: 머리받침 부재
41: 받침부 45: 이동 지지대
50: 다단 슬라이딩 가이드 장치
53: 원통형 걸림구 54: 스위칭 부재
55: 걸림구 고정 포켓 55: 복원 스프링10: rear frame 20: chair back
30: fixing bracket 31: front guide plate
32: rear guide plate 40: headrest member
41: Support part 45: Moving support
50: Multistage sliding guide device
53: cylindrical engaging member 54: switching member
55: Retaining wall fixing pocket 55: Restoring spring
Claims (6)
의자 등받이의 배면에 설치되는 후방 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과;
사용자의 목 또는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받침 부재의 받침부의 후방에 상단이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고정 브라켓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로서 반원통형으로서 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 슬롯이 제공되는 이동 지지대와;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지지대의 상하 다단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다단 슬라이딩 가이드 장치로서, 상기 다수개의 걸림 슬롯의 반원통형 오목홈에 일측이 수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 브라켓 내부의 걸림구 고정 포켓에 수용되는 원통형 걸림구; 상기 원통형 걸림구의 고정된 상하 위치를 지지하는 걸림구 고정 포켓; 상기 걸림구 고정 포켓의 관통공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원통형 걸림구의 가변적인 전후 이동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부재; 및 상기 스위칭 부재의 일단과 상기 고정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복원 스프링을 포함하는 다단 슬라이딩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장치.A chair headrest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a height of a chair headrest,
A stationary bracket fixedly installed on a rear frame provided on a back surface of the seat back;
A movable member which is coupled to an upper end of a receiving portion of a head supporting member for supporting a neck or head of a user and which is received in the fixing bracket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 movable suppor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atching slots; And
The multi-stage sliding guide device is provided inside the fixing bracket and controls the upper and lower multi-step sliding movement of the movement support. The multi-stage sliding guide device includes one side of the semi-cylindrical recessed groove of the plurality of locking slots, A cylindrical jaw which is received in the pocket; A locking hole fixing pocket for supporting the fixed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cylindrical locking hole; A switching member provided at a rear of the through-hole of the stopper fixing pocket to switch a variable back and forth movement of the cylindrical stop; And a restricting spring installed between one end of the switching member and the fixing bracket. The chair headres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고정 브라켓과 상기 이동 지지대는 측면에서 볼 때 전방측으로 오목하게 만곡진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ing bracket and the movement support are formed to have a concave curved shape forward when viewed from the side.
의자의 등받이를 지지하는 후방 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30)과;
사용자의 목 또는 머리를 지지하는 머리받침 부재(40)의 받침부(41)의 후방에 상단이 결합하고 하단은 상기 고정 브라켓(30) 내부에 수용되어 상/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부재로서 반원통형으로서 횡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다수개의 걸림 슬롯(46)이 제공되는 이동 지지대(45)와;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3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지지대(45)의 상하 다단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다단 슬라이딩 가이드 장치(50)로서, 상기 다수개의 걸림 슬롯(46)의 반원통형 오목홈에 일측이 수용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 브라켓(30) 내부의 걸림구 고정 포켓(55)에 수용되는 원통형 걸림구(53);
상기 원통형 걸림구(53)의 직경 보다 작은 두께를 가지며 전후방으로 관통공을 구비하여 원통형 걸림구(53)의 전후방 이동은 허용하나 상하 이동은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포켓이 제공되며 상기 이동 지지대(45)의 상하 슬라이딩을 지지 가이드하는 걸림구 고정 포켓(55);
상기 걸림구 고정 포켓(55)의 관통공 후방에 설치되는 스위칭 부재로서 상기 걸림구 고정 포켓(55)의 후면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원통형 걸림구(53)가 상기 걸림구 고정 포켓(55)으로부터 이탈하여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걸림구 지지면(54a)과, 상기 걸림구 고정 포켓(55)의 후면과 이격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어서 상기 원통형 걸림구(53)가 걸림구 고정 포켓(55)으로부터 이탈하여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구 수용면(54b)이 전면에 형성되고, 후면에는 상기 고정 브라켓(30)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54c)가 형성된 스위칭 부재(54); 및
상기 스위칭 부재(54)의 걸림구 수용면(54b)이 상기 원통형 걸림구(53)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스위칭되는 경우에 탄성 변형되어서 상기 스위칭 부재(54) 전면의 걸림구 지지면(54a)이 상기 원통형 걸림구(53)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위치로 복원하도록 상기 스위칭 부재(54)의 일단과 상기 고정 브라켓(53) 사이에 설치되는 복원 스프링(56)을 포함하는 다단 슬라이딩 가이드 장치(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장치.A chair headrest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a height of a chair headrest,
A fixing bracket (30) fixedly mounted on a rear frame for supporting a back of a chair;
A moving member that is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41 of the head supporting member 40 that supports the user's neck or head and that has a lower end accommodated in the fixing bracket 30 and movable up and down A movement support (45)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ngagement slots (46) formed in a transversely concave shape as a semi-cylindrical shape; And
A multi-stage sliding guide device (50) installed inside the fixing bracket (30) for controlling the upward and downward multi-step sliding movement of the movable support (45), wherein one side of the semi-cylindrical recessed groove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received in a locking hole fixing pocket 55 in the fixing bracket 30;
A pocket is provided which has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holding hole 53 and has a through hol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o limit the movement of the cylindrical holding hole 53 forward and backward but restrict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s, A locking pawl fixing pocket 55 for guiding the up and down sliding of the locking pawl 55;
A switching member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hrough hole of the latching hole fixing pocket 55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latching hole fixing pocket 55 so that the cylindrical latching hole 53 is in contact with the latching hole 55 (54a) for supporting the latching hole (54a) to prevent the latching hole (53) from moving backward, and a recessed portion A locking member 54 having a locking hole receiving surface 54b for allowing the locking member 54 to move rearward away from the fixing bracket 55 and a handle 54c projecting outward from the fixing bracket 30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cking member 54; And
The engaging hole 54a of the switching member 54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engaging hole 54b of the switching member 54 is switched to be positioned behind the cylindrical engaging hole 53, And a restoring spring (56) installed between one end of the switching member (54) and the fixing bracket (53) to restore the position to be positioned behind the cylindrical fastening hole (53) The chair headrest adjus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고정 브라켓(30)과 상기 이동 지지대(45)는 측면에서 볼 때 전방측으로 오목하게 만곡진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xing bracket (30) and the movement support member (45) are formed to have a concavely curved shape toward the front side when viewed from the side.
상기 고정 브라켓(30)은 후방 가이드판(31)과 전방 가이드판(32)을 조립하여 구성되며,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30)의 전방 가이드판(32)에 종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레일(57)과, 그리고 이와 맞물리도록 이동 지지대(45)에 종방향으로 요입 형성된 가이드 레일홈(4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장치.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xing bracket 30 is constructed by assembling the rear guide plate 31 and the front guide plate 32,
A guide rail 57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front guide plate 32 of the fixing bracket 30 and a guide rail groove 47 formed in the movement support 4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headrest restraining device comprises:
상기 이동 지지대(45)를 상승시킬 경우 이동 지지대(45)가 상기 고정 브라켓(30)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는 이탈 방지 수단으로서, 상기 가이드 레일(57)에 돌출 제공되는 멈춤 돌기(57a)와, 그리고 상기 멈춤 돌기(57a)에 걸리도록 상기 지지대(45)의 상기 가이드 레일홈(47) 하단부에 형성되는 멈춤 쐐기(47a)가 추가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의 머리받침 조절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A detent protrusion 57a protruding from the guide rail 57 and preventing detachment of the movable support 45 from the fixed bracket 30 when the movable support 45 is raised, A stop wedge 47a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rail groove 47 of the support base 45 is additionally provided so as to be caught by the detent projection 57a Wherein the headrest restraining device compris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2671A KR101413697B1 (en) | 2012-11-21 | 2012-11-21 | Headrest controlling apparatus of a chai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32671A KR101413697B1 (en) | 2012-11-21 | 2012-11-21 | Headrest controlling apparatus of a chai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5308A true KR20140065308A (en) | 2014-05-29 |
KR101413697B1 KR101413697B1 (en) | 2014-08-06 |
Family
ID=5089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2671A Active KR101413697B1 (en) | 2012-11-21 | 2012-11-21 | Headrest controlling apparatus of a chai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13697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24139A (en) * | 2018-11-07 | 2019-01-04 | 浙江粤强家具科技有限公司 | Headrest lift adjustment integral type seat |
CN113475887A (en) * | 2021-07-29 | 2021-10-08 | 恒林家居股份有限公司 | Chair with headrest |
RU208647U1 (en) * | 2019-11-06 | 2021-12-29 | Цзянсу Бест Бейби Кар Сит Мфг Ко., Лтд | SEAT HEADREST CONVERSION MECHANISM |
KR20220153812A (en) * | 2021-05-12 | 2022-11-21 | 임정묵 | Chair Headrest with Angle and Height Adjustmen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2955B1 (en) | 2014-08-19 | 2015-03-16 | 사승진 | Pillow for leisure chai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79474A (en) * | 2001-09-14 | 2003-03-18 | Itoki Crebio Corp | Headrest for chair and chair provided with the same |
KR200422123Y1 (en) * | 2006-04-27 | 2006-07-24 | (주)제일씨텍 | Chair with height adjustable headrest |
KR101075872B1 (en) * | 2008-12-09 | 2011-10-25 |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 Headrest controlling apparatus of a chair |
KR100994822B1 (en) * | 2009-02-19 | 2010-11-16 | 주식회사 리바인 | Chair headrest |
-
2012
- 2012-11-21 KR KR1020120132671A patent/KR101413697B1/en active Active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124139A (en) * | 2018-11-07 | 2019-01-04 | 浙江粤强家具科技有限公司 | Headrest lift adjustment integral type seat |
RU208647U1 (en) * | 2019-11-06 | 2021-12-29 | Цзянсу Бест Бейби Кар Сит Мфг Ко., Лтд | SEAT HEADREST CONVERSION MECHANISM |
KR20220153812A (en) * | 2021-05-12 | 2022-11-21 | 임정묵 | Chair Headrest with Angle and Height Adjustment |
CN113475887A (en) * | 2021-07-29 | 2021-10-08 | 恒林家居股份有限公司 | Chair with headrest |
CN113475887B (en) * | 2021-07-29 | 2023-12-26 | 恒林家居股份有限公司 | Chair with headres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13697B1 (en) | 2014-08-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699315B1 (en) | Chair with adjustable seat depth | |
CN103747706B (en) | Rocking chair | |
JPH0243481B2 (en) | ||
KR101413697B1 (en) | Headrest controlling apparatus of a chair | |
EP3568046B1 (en) | Chair back tilt mechanism | |
WO2006119209A2 (en) | Chair with recline control mechanism, recline limit control and back tilt mechanism | |
JPH08308680A (en) | Leg rest for vehicle seat | |
KR101075872B1 (en) | Headrest controlling apparatus of a chair | |
JP5562025B2 (en) | Chair | |
JP4153740B2 (en) | Seat front / rear sliding device in a chair | |
KR101296612B1 (en) | Waist support for chair back | |
CN216454189U (en) | Waist rest movable adjusting structure applied to office chair | |
JP2015163241A (en) | chair | |
KR102210240B1 (en) | Apparatus for adjusting chair backrest tilting with elasticity control | |
KR101753786B1 (en) | Chair with adjustable chair arm | |
JP4067347B2 (en) | Chair | |
JP4202687B2 (en) | Seat front / rear sliding device in a chair | |
JP2002119347A (en) | Chair | |
JP4199965B2 (en) | Chair backrest device | |
JP4475490B2 (en) | Chair | |
JP2001057917A (en) | Seal sliding structure for office chairs | |
JP4547019B2 (en) | Seat front / rear sliding device in a chair | |
JP2010099489A (en) | Chair | |
JP4682460B2 (en) | Chair | |
KR20240083454A (en) | Seat adjust apparatus and chair with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406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