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9787B1 - Drinage for bathtub - Google Patents
Drinage for bathtub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9787B1 KR101679787B1 KR1020140137777A KR20140137777A KR101679787B1 KR 101679787 B1 KR101679787 B1 KR 101679787B1 KR 1020140137777 A KR1020140137777 A KR 1020140137777A KR 20140137777 A KR20140137777 A KR 20140137777A KR 101679787 B1 KR101679787 B1 KR 1016797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htub
- pipe body
- cup
- pipe
- water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0070 Sarracenia purpur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744 fore-foo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9—Odour seals having housing containing dividing wall, e.g. tubular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욕조 배수관 장치 및 그 교체 지그 장치에 따르면, 욕조 배수시 이물질들을 걸러주는 걸름관이 배수관 몸체 내부에서 봉수컵으로부터 분리되며 인출 가능하게 고정 플렌지 내부에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걸름관을 인출하여 내부에 걸러진 이물질을 좀더 쉽고 간편하게 청소해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배수관 몸체 내부에서 봉수컵이 걸름망부가 형성된 걸름관 하부에 이중관 형태를 이루도록 체결 고정되기 때문에 걸름관과 봉수컵과 사이에 욕조 배수기 유입된 이물질의 끼임 발생 없이 좀더 효과적으로 봉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욕조 배수관 교체 지그 장치를 이용해 욕조 외부로 노출되어 쉽게 스크레치, 파손 및 부식이 발생하는 욕조 배수관 장치의 고정 플렌지 부품을 화장실에 기설치된 욕조를 해체하지 않고도 좀더 쉽게 간편하게 분리하여 교체 및 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bathtub water pipe device and the replacement ji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e for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in the tub drainage is separated from the sewing cup inside the water pipe body and is fixed by being hooked inside the fixed flange so as to be drawn out. And the sewing cup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tube formed with the squeezing part in the inside of the water pipe body so as to form a double pipe. Therefore, the foreign matter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icks more effectively without the occurrence of the pinch of the tub and to fix the flange part of the tub drainage device which is easi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ub using the jig device for replacing the tub drainage pipe, Easier and easier So that replacement and repair can be perfo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욕조 배수관 장치 및 그 교체 지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욕조 배수시 걸러진 이물질들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욕조 외부로 노출되는 부품의 수리 및 교체가 좀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욕조 배수관 장치 및 그 교체 지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htub water pipe device and its replacement jig devi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htub water pipe device and a replacement jig device thereof, which are capable of easily cleaning foreign matters filtered during a bathtub drainage and repairing and replacing parts exposed to the outside of a bathtub A tub drainage device, and a replacement jig device.
주지된 바와 같이, 욕조 배수관 장치는 욕조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에 설치되어 욕조에서 사용된 물을 욕조와 연결되는 화장실 바닥 배수관 장치를 통해 배출할 수 있도록 연결하여 장치를 말한다.As is well known, a bathtub water pipe device is installed in a drain port formed on the bottom of a bathtub, and refers to a device that connects the water used in the bathtub to a toilet floor drain pipe device connected to the bathtub so as to be discharged.
종래 욕조 배수관 장치의 경우 이를 통해 욕조 배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이와 함께 배출되는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들이 배수구들이 형성되는 봉수컵 상부에 걸려 배수구가 막혀 욕조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봉수 컵 상부에 걸린 이물질들에 의해 봉수 내컵 내에 삽입되는 유입관의 분리가 제대로 이루지지 못하여 이물질들의 청소 자체가 어려워지는 단점을 갖는다.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ub drainage apparatus, foreign matter such as hair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bathtub drainage is blocked by the upper part of the sewage cup where the drainage holes are formed, so that the drainage hole is blocked and the tub drainage can not be smoothly performed.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inflow pipe inserted into the inner cup of the bead by the foreign matter that is caught and thus the cleaning of the foreign matters becomes difficult.
또한, 우리나라의 경우 가구형태로 취급 설치되는 외국과는 달라 화장실에 빌트인 방식으로 고정 설치되기 때문에 욕조 시공 후 사용 과정에서 욕조 배수관 장치의 파손이나 부식 등의 이유로 이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 종래 욕조 배수관 장치는 화장실에 기설치된 욕조를 들어 내기 전에는 욕조 배수관 장치의 수리 및 교체 자체가 불가능한 단점을 갖는다.In addition, in Korea, since it is fixed in a built-in manner in a bathroom, it is fixed and installed in a built-in manner, unlike a foreign country which is installed in a furniture form. Therefore, in case of trying to replace the bathtub water pipe device due to breakage or corrosion,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impossible to repair or replace the tub drainage device before the tub installed in the toilet is lifted.
특히, 욕조 배수관 장치를 욕조에 시공하는 과정에서 욕조 바닥면에 노출되게 체결 고정되는 고정 플렌지의 경우 사용자의 사용 안정상의 이유로 금속재질을 사용하지 못하고 비금속 재질인 플라스틱 재질에 크롬 도금한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욕조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고정 플렌지에 쉽게 스크레치 하자가 발생하여 잦은 교체 요구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교체 자체가 이루지기는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fixed flange which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th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tub drainage device in a bathtub, the metal material can not be used because of the stability of the user's use, It is very difficult to replace the bathtub because it is easy to scratch the fixing flange in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bathtub so that frequent replacement is required.
따라서, 소비자의 요구에 따라 욕조를 들어 내지 않고도 욕조 배수관 장치를 이루는 부품의 수리 및 교체가 좀더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욕조 배수관 장치 및 욕조 배수관 교체 지그 장치의 개발이 절실이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it is urgently required to develop a bathtub drain pipe device and a bathtub drain pipe replacement jig device that allow repair and replacement of parts constituting the bathtub drain pipe device to be made more freely without lifting the bathtub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consumer.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욕조 배수시 걸러진 이물질들의 청소가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욕조 외부로 노출되는 부품의 수리 및 교체가 좀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욕조 배수관 장치 및 그 교체 지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bathtub water pipe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for facilitating the cleaning of foreign matters filtered during a bathtub drainage and for repairing and replacing parts exposed to the outside of a bathtub more easily. Thereby providing a jig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욕조 배수관 장치는 배수구가 형성된 욕조 바닥 상측에 걸림판부가 걸린 상태로 상기 배수구를 통과해 체결관부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 플렌지; 욕조 바닥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배수구를 통과한 상기 고정 플렌지의 연장관부에 나사 체결되어 연장 결합되며 고정되고 내부에 집수공간이 구획되는 배수관 몸체; 상기 고정 플렌지를 통해 인출 가능하게 상기 배수관 몸체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부가 상기 고정 플렌지의 체결관부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걸름관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고, 하부에 유입된 욕조 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내부에 걸러지게 걸름망이 형성되는 걸름관; 및 상기 걸름관 하부가 수납되게 상기 배수관 몸체 내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걸름관과의 사이에 유입된 욕조 배수가 채워져 봉수를 이루며 상기 배수관 몸체에 연결되는 배수 배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봉수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athtub water pipe apparatus comprising: a fixing flange having a fastening pipe portion fixed on a bottom of a bathtub with a drain hole formed therein; A drain pipe body having a bottom of the bathtub, screwed to an extension pipe portion of the fixing flange that has passed through the drain pipe, extended and fixed, and a water collecting space inside; The upper end of the upper flange is inserted into the drain pipe body so as to be drawn out through the fixing flange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fastening pipe portion of the fixing flange, A tube for forming a squeeze screen; And a sewage cup inserted into the drain pipe body to receive the lower portion of the bulb pipe and to discharge the bath water drained between the drain pipe and the drain pipe through the drain pipe connected to the drain pipe body. .
여기서, 상기 봉수컵이 상기 걸름관의 하단부에 이중관 형태를 이루며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봉수컵 체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봉수컵 체결 수단은 상기 걸름관 바닥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체결공 내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상기 봉수컵 내측 바닥면 중심에 돌출 형성되어 봉수컵 체결 돌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wing cup fasten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formed through the bottom of the squeeze pipe, and fastened to the sewing cup by fastening the sewing cup to the lower end of the squeeze pipe. And a sewing cup fasten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ewing cup.
또한, 상기 봉수컵은 상기 배수관 몸체의 내측 바닥면에 일체로 고정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wing cup may be integrally fix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pipe body.
또한, 상기 배수관 몸체의 내주면 상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몸체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플렌지의 체결관부에 형성된 상기 걸름관 걸림턱 상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공구 체결홈이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ool engaging grooves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llar tube engaging protrusion formed on the fastening tube portion of the fastening flange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pipe body, have.
또 다른 본 발명의 욕조 배수관 장치를 욕조 배수구로부터 분리 및 조립하기 위한 욕조 배수관 교체 지그 장치는, 상기 고정 플렌지 내부에 끼워져 상기 배수관 몸체에 나사 체결된 상기 고정 플렌지를 회전시켜 상기 배수관 몸체로부터 분리 및 조립하도록 상기 고정 플렌지의 공구 체결홈들에 대응되게 공구 체결 돌기들이 돌출 형성되는 고정 플렌지 조립 공구; 및 상기 고정 플렌지 조립 공구 내부를 관통하도록 연장 형성된 두 개의 집게 다리 하단부에 상기 배수관 몸체의 몸체 걸림턱에 끼워져 걸리도록 걸림 돌기를 절곡 형성하여 상기 고정 플렌지로부터 분리된 상기 배수관 몸체를 욕조 바닥쪽으로 잡아 당겨 고정하도록 하는 배수관 몸체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athtub drainage pipe replacement jig device for separating and assembling the bathtub drainage pip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bathtub drainage 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ture flange which is inserted into the fixing flange and screwed to the drainage pipe body is rotated and separated from the drainage pipe body, A fixing flange assembly tool in which tool clamping protrusions are protrud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tool clamping grooves of the fixed flange; And a fixing protrusion is bent so as to be engaged with a body engaging jaw of the water pipe body at two lower leg end portions extend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fixing flange assembling tool so that the water pipe body separated from the fixing flange is pulled toward the bottom of the tub And a water pipe body fixture for fixing the water pipe.
상기한 본 발명의 욕조 배수관 장치에 따르면, 욕조 배수시 이물질들을 걸러주는 걸름관이 배수관 몸체 내부에서 봉수컵으로부터 분리되며 인출 가능하게 고정 플렌지 내부에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걸름관을 인출하여 내부에 걸러진 이물질을 좀더 쉽고 간편하게 청소해낼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배수관 몸체 내부에서 봉수컵이 걸름망부가 형성된 걸름관 하부에 이중관 형태를 이루도록 체결 고정되기 때문에 걸름관과 봉수컵과 사이에 욕조 배수기 유입된 이물질의 끼임 발생 없이 좀더 효과적으로 봉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 to the bathtub water pip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e for filtering out foreign substances in the tub drainage is detached from the sewing cup inside the water pipe body and is fixed to be hooked inside the fixed flange so as to be pulled out. The sewing cup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lower part of the tube formed with the squeezing part in the inside of the water pipe body so as to form a double pipe. Therefore, the foreign body inserted between the squeezing tube and the sewing cup is pinched So that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maintain the seal.
또한, 본 발명의 욕조 배수관 교체 지그 장치에 따르면 욕조 외부로 노출되어 쉽게 스크레치, 파손 및 부식이 발생하는 욕조 배수관 장치의 고정 플렌지 부품을 화장실에 기설치된 욕조를 해체하지 않고도 좀더 쉽게 간편하게 분리하여 교체 및 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bathtub drainage pipe replacement ji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flange parts of the bathtub drain pipe device which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athtub and easily scratch, break, and corrode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placed without disassembling the bathtub installed in the toilet. So that repair can be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조 배수관 장치가 구비된 욕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욕조 배수관 장치에 대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욕조 배수관 장치의 대한 분해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욕조 배수관 장치를 통한 욕조 배수 과정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욕조 배수관 장치에 끼인 이물질 청소 과정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조 배수관 교체 지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도 6의 욕조 배수관 교체 지그 장치를 이용해 욕조 배수관 장치의 부품 교체를 위해 분해하는 과정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athtub having a bathtub water pip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bathtub drainage device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ub drainage device of FIG. 2;
FIG. 4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bathtub drainage process through the bathtub drain pipe device of FIG. 2. FIG.
5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oreign matter cleaning process carried out in the bathtub water pipe device of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ub drainage pipe replacement ji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10 are front sectional views showing a process of disassembling for replacement of parts of the bathtub drain pipe apparatus using the bathtub drain pipe replacement jig apparatus of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조 배수관 장치가 구비된 욕조의 측단면도이다.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bathtub having a bathtub drainag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욕조 배수관 장치(1)는 화장실 바닥으로부터 이격 설치되는 욕조(100) 바닥에 형성되는 배수구(110)에 설치되어, 욕조(100)에서 사용된 물을 이와 연결되는 욕조 배수 배관(12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1, the bathtub
한편, 욕조 배수관 장치(1)는 욕조(100)에 포함된 이물질(150)들을 걸러내 이물질(150)들에 의해 욕조 배수 유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봉수를 이루며 욕조 배수 배관(120)을 통해 악취가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Meanwhile, the tub
도 2는 도 1의 욕조 배수관 장치에 대한 정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욕조 배수관 장치의 대한 분해 정단면도이다. FIG. 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tub drainage device of FIG. 1,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tubing of the tubular drainage device of FIG. 2;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욕조 배수관 장치(1)는 고정 플렌지(20), 배수관 몸체(10), 걸름관(30) 및 봉수컵(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2 and 3, the bathtub
먼저, 고정 플렌지(20)는 욕조(100)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110) 상측에 고정판부(22)가 걸린 고정된 상태로 고정판부(22)로부터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체결관부(21)가 상기 배수구(110)를 관통하여 상기 배수구(110)가 형성되는 욕조(100) 바닥을 사이에 두고 하측에 상기 배수관 몸체(10)가 나사 체결되며 연장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고정 플렌지(20) 상부에는 배수관 마개(60)는 삽입되어 욕조(100)에서 사용중인 물인 욕조 배수관 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다. The
배수관 몸체(10)는 상기 배수구(110)가 형성되는 욕조(100) 바닥 하측에서 고정 플렌지(20)에 체결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턱이지게 돌출 형성되는 받침판부(12) 하측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욕조 배수에 필요한 집수공간이 형성하는 집수관부(11)로 이루어진다. The
한편, 집수관부(11)의 일측 벽면을 관통하며 욕조 배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욕조 배수 배관(120)을 연결하기 위한 배수 배관 연결부(14)가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 drain
걸름관(30)은 상기 고정 플렌지(20)를 통해 상기 배수관 몸체(10) 내부로 인출 가능하게 삽입된 상태로 연장관부(31)의 상측 단부에 형성된 걸림판부(32)가 상기 고정 플렌지(20)의 체결관부(21)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걸름관 걸림턱(24)에 걸려 안착 고정되도록 한다. The
한편, 연장관부(31)의 하부 측벽면 상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의 배수 통공(33)들이 관통 형성되어 욕조 배수중에 포함된 이물질(150)들을 걸러주기 위한 걸름망부를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따라서, 걸름관(30)은 고정 플렌지(20)의 내부 통공을 통해 유입된 욕조 배수가 배수관 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1차 내부 배출 유로를 형성하도록 함과 아울러 연장관부(31) 하부에 형성된 걸름망부를 통해 욕조 배수에 포함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150)을 걸러주어 이물질(150)들에 의해 욕조 배수 유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refore, the
봉수컵(40)은 상기 걸름관(30) 하단부를 수납되게 상기 배수관 몸체(10) 내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걸름관(30)을 통해 유입된 욕조 배수가 이들 사이에 채워져 봉수를 이루는 2차 내부 유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The
한편, 상기 봉수컵(40)은 상기 걸름관(30) 하부에서 이중관 형태를 이루며 봉수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걸름관(30)의 하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봉수컵 체결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봉수컵 체결 수단은 상기 걸름관(30) 바닥면에 관통 형성되는 체결공(34) 내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상기 봉수컵(40) 내측 바닥면 중심에 돌출 형성되어 걸름관 체결 돌기(41)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wing cup fastening means is protruded from the center of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따라서, 봉수컵(40)에 내측 바닥면에서 서로 분지되며 돌출 형성된 걸름관 체결 돌기(41)들이 서로 간격이 좁혀진 상태로 탄성 변형되며 걸름관(30) 바닥면에 형성된 체결공(34) 내부를 통과해 삽입된 후, 걸름관 체결 돌기(41)들의 형상이 탄성 복원되며 봉수컵(40)이 걸름관(30) 하단부에 체결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Therefore, the thread tube fastening
물론, 봉수컵(40) 내부에 돌출 형성된 걸름관 체결 돌기(41)를 외주면 상에 나사선이 형성된 볼트 형태로 구성하여, 봉수컵(40)의 걸름관 체결 돌기(41)가 걸름관(30)의 체결공(34) 내부에 나사 결합되며 체결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여 봉수컵 체결 수단을 좀더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The
한편, 봉수컵(40)은 상기 배수관 몸체(10)의 집수관부(11) 내측 바닥면에 고정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걸러진 이물질(150)들을 제거를 위해 걸름관(30)을 배수관 몸체(10) 내부로부터 인출하는 과정에서 걸름관(3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고정 플렌지(20)에 걸려 간섭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봉수컵(40)이 걸름관(30) 하부에서 이중관 형태를 이루며 체결되어 욕조 배수 과정에서 봉수를 이루도록 하는 한 배수관 몸체(10)와 별도로 분리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걸름관(30)과 함께 고정 플렌지(20)부를 통과해 배수관 몸체(10)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배수관 몸체(10) 내부의 청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한편, 봉수컵(40)의 높이는 걸름관(30)과의 사이에 봉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걸름관(30) 하부에 형성되는 걸름망부의 높이보다 더 높게 연장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욕조 배수관 장치(1)를 통해 욕조 배수 과정 및 걸러진 이물질(150)들을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ocess of draining the bath through the
도 4는 도 2의 욕조 배수관 장치를 통한 욕조 배수 과정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FIG. 4 is a front sectional view showing a bathtub drainage process through the bathtub drain pipe device of FIG. 2. FIG.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욕조(100)에서 사용된 물은 고정 플렌지(20)의 내부 통공을 통해 걸름관(30) 내부에 형성된 1차 내부 유로로 유입된 후, 걸름관(30) 하부에 형성된 걸름망부를 통해 걸름관(30)과 봉수컵(40) 사이에서 봉수를 이루는 2차 내부 유로로 상항 이송되며 빠져나간다.4, the water used in the
이때, 욕조(100)배수와 함께 걸름관(30) 내부로 유입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150)들은 걸름관(30)의 하부에서 배수 통공(33)들이 형성된 걸름망부에서 걸러져 걸름관(30)부 내부에 포집되게 된다. At this time, the
걸름관(30)과 봉수컵(40) 사이의 2차 내부 유로 내부에 상향 유입된 욕조 배수는 봉수컵(40)의 높이만큼 봉수를 이루도록 채워진 후, 넘쳐 배수관 몸체(10) 내부에 흘러 내리게 된다. The tub drain water flowing upward into the secondary flow path between the
그리고, 배수관 몸체(10)의 집수관부(11) 내부로 넘쳐 흘러 내린 욕조 배수는 집수관부(11)의 배수 배관 연결부(14)에 연장 결합되는 욕조 배수 배관(12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The tub drain drained down to the inside of the
도 5는 도 4의 욕조 배수 과정에서 욕조 배수관 장치(1)에 끼인 이물질(150)을 청소 과정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5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of cleaning the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욕조 배수관 장치(1)를 통해 지속적으로 욕조 배수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욕조 배수에 포함된 이물질(150)들이 걸름관(30) 내부에 걸러져 걸름망부에 형성된 배수 통공(33)들을 막아 욕조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As shown in FIG. 5, in the process of continuously discharging the bathtub through the bathtub
이 경우 고정 플렌지(20)를 통해 배수관 몸체(10) 내부에 삽입된 걸름관(30)을 잡아 당겨 봉수컵(40)에 체결된 걸름관(30)을 분리시킨 후, 배수관 몸체(10) 밖으로 인출하여 걸름관(30) 내부에 포집된 이물질(150)들 제거하도록 한다. In this case, the
이처럼, 본 실시예의 욕조 배수관 장치(1)는 욕조 배수시 이물질(150)들을 걸러주는 걸름관(30)이 배수관 몸체(10) 내부에서 봉수컵(40)으로부터 분리되며 인출 가능하게 고정 플렌지(20) 내부에 걸려 고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걸름관(30)을 인출하여 내부에 걸러진 이물질(150)을 좀더 쉽고 간편하게 청소해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또한, 배수관 몸체(10) 내부에서 봉수컵(40)이 걸름망부가 형성된 걸름관(30) 하부에 이중관 형태를 이루도록 체결 고정되기 때문에 걸름관(30)과 봉수컵(40)과 사이에 욕조 배수기 유입된 이물질(150)의 끼임 발생 없이 좀더 효과적으로 봉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Since the
다시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화장실에 욕조 배수관 장치(1)가 체결된 욕조(100)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노출이 이루어지는 고정 플렌지(20)의 고정판부(22)에 스크레치가 발생하거나, 욕조(100) 시공 후 사용하는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손 및 부식 들의 이유로 분리 및 교체가 필요한 경우 후술하는 욕조 배수관 교체 지그 장치(50)를 이용해 이를 수행할 수 있다. 1 to 3, when the
한편, 상기한 욕조 배수관 교체 지그 장치(50)의 사용을 위해 본 실시예의 욕조 배수관 장치(1)는 상기 배수관 몸체(10)의 집수관부(11) 내주면 상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요홈지게 몸체 걸림턱(17)이 형성됨과 상기 고정 플렌지(20)의 체결관부(21)에 형성된 걸름관 걸림턱(24)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공구 체결홈(25)을 더 형성될 수 있다. In order to use the bathtub drainage pip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욕조 배수관 교체 지그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ub drainage pipe replacement ji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욕조 배수관 교체 지그 장치(50)는 플렌지 조립 공구(51) 및 배수관 몸체 고정구(55)로 이루어져 배수관 몸체(10)를 잡아 욕조(100)의 배수구(110) 하측에 고정한 상태로 나사 결합된 고정 플렌지(20)를 풀어 분리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한다. 6, the bathtub water pipe
플렌지 조립 공구(51)는 고정 플렌지(20) 내부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원통형의 조립 공구 몸체(52)하단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상기 고정 플렌지(20)의 공구 체결홈(25)들에 대응되게 공구 체결 돌기(53)들이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The
한편, 플렌지 조립 공구(51)의 조립 공구 몸체(52) 상측 단부의 외주면 상에서 작업자가 쉽게 파지하며 조작할 수 있도록 외주면 상에 널링 처리된 손잡이 돌기(54)가 더 형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end of the
배수관 몸체 고정구(55)는 탄성 결합되는 플렌지 조립 공구(51) 내부를 관통하도록 연장 형성된 두 개의 집게 다리(56) 하단부에 상기 배수관 몸체(10)의 몸체 걸림턱(17)에 끼워져 걸리도록 걸림 돌기(57)를 절곡 형성하여 상기 고정 플렌지(20)로부터 분리된 상기 배수관 몸체(10)를 잡아 당겨 욕조(100)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water
본 실시예서 배수관 몸체 고정구(55)는 하나의 탄성 와이어의 중심부를 절곡하여 2개의 집게 다리(56)를 형성하고, 각각의 집게 다리(56) 단부를 외측으로 절곡하여 걸림 돌기(57)들을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예시한다. The water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한 플렌지 조립 공구(51)의 내부를 관통하며 집게 다리(56)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 돌기(57)들이 배수관 몸체(10)의 몸체 걸림턱(17)에 걸러 고정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이하, 욕조 배수관 교체 지그 장치(50)를 이용해 본 실시예의 욕조 배수관 장치(1)의 고정 플렌지(20)의 교체를 위해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process for separating the fixing
도 7 내지 도 10은 도 6의 욕조 배수관 교체 지그 장치를 이용해 욕조 배수관 장치의 부품 교체를 위해 분해하는 과정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7 to 10 are front sectional views showing a process of disassembling for replacement of parts of the bathtub drainage pipe apparatus using the bathtub drainage pipe replacement jig apparatus of FIG.
먼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욕조(100)에 설치된 욕조 배수관 장치(1)의 고정 플렌지(2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걸름관(30)을 배수관 몸체(10) 내부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이 체결된 봉수컵(40)으로부터 분리하여 인출한다. 7, in order to separate the fixing
그 다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관 몸체 고정구(55)의 집게 다리(56) 상에 플렌지 조립 공구(51)가 끼워진 상태로 걸림 돌기(57)가 형성된 집게 다리 하부를 배수관 몸체(10) 내부로 삽입하여 걸림 돌기(57)가 상기 배수관 몸체(10)의 몸체 걸림턱(17) 내에 끼워져 걸리도록 한다.8, the lower portion of the grip leg, on which the locking
그 다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관 몸체 고정구(55)를 이용해 배수관 몸체(10)를 잡아 당긴 상태로 플렌지 조립 공구(51)의 조립 공구 몸체(52)가 고정 플렌지(20) 내부에 삽입되게 하측으로 이동시켜, 조립 공구 몸체(52)하단부에 형성된 공구 체결 돌기(53)들이 상기 고정 플렌지(20)의 공구 체결홈(25)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한다.9, the
그리고, 조립 공구 몸체(52)의 상단부에 형성된 손잡이 돌기(54)를 잡고 돌려 배수관 몸체(10)에 나사 체결된 고정 플렌지(20)부를 분리한다.Then, the holding
이때, 배수관 몸체(10)는 이를 욕조(100) 바닥에 나사 체결되며 잡아 고정하던 고정 플렌지(20)부가 분리되더라도 배수관 몸체 고정구(55)로 잡가 당겨 고정되기 때문에 욕조(100) 바닥으로부터 분리되어 욕조(100)가 설치된 화장실 바닥 위로 떨어지지 않고 욕조(100) 바닥에 결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even if the fixed
그 다음, 도 10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관 몸체(10)로부터 분리된 고정 플렌지(20)는 플렌지 조립 공구(51)와 함께 배수관 몸체 고정구(55)의 집게 다리(5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시켜 분리한다. 10, the fixed
그리고, 교체할 고정 플렌지(20)를 욕조(100)의 배수구(110) 끼워 배수관 몸체(10)에 다시 나사 결합하는 과정은 도 7 내지 도 10를 통해 설명한 고정 플렌지(20)에 대한 상기 분해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process of screwing the fixing
이처럼, 본 실시예의 욕조 배수관 장치(1)는 욕조(100) 외부로 노출되어 쉽게 스크레치, 파손 및 부식이 발생하는 욕조 배수관 장치(1)의 고정 플렌지(20) 부품을 화장실에 기설치된 욕조(100)를 해체하지 않고도 좀더 쉽게 간편하게 분리히여 교체 및 수리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athtub
따라서, 욕조(100) 바닥면에 노출되게 체결 고정되는 고정 플렌지(20)를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 안정상의 이유로 금속재질을 사용하지 못하고 비금속 재질인 플라스틱 재질에 크롬 도금한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함에 따라 욕조 시공 및 사용 과정에서 쉽게 스크레치 하자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좀더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불만 사항들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Accordingly, since the fixing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many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nd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y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욕조 배수관 장치 10: 배수관 몸체
11: 집수관부 12: 받침판부
14: 배수 배관 연결부 17: 몸체 걸림턱
20: 고정 플렌지 21: 체결관부
22: 고정판부 24: 걸름관 걸림턱
25: 공구 체결홈 30: 걸름관
31:연장관부 32: 걸림판부
33: 배수 통공 34:체결공
40: 봉수컵 41: 걸름관 체결 돌기
50: 욕조 배수관 교체 지그 장치 51: 플렌지 조립 공구
52: 조립 공구 몸체 53: 공구 체결 돌기
54: 손잡이 돌기 55: 배수관 몸체 고정구
56: 집게 다리 57: 걸림 돌기
100: 욕조 110: 배수구
120: 욕조 배수 배관 150: 이물질1: tub drainage device 10: drain pipe body
11: Sewer pipe section 12:
14: drain pipe connection part 17: body jaw jaw
20: Fixing flange 21: Fastening portion
22: fixing plate portion 24: clamping jaw
25: Tool fastening groove 30: Strain tube
31: extension tube portion 32:
33: drainage hole 34: fastening hole
40: Sewing cup 41: Tightening projection
50: Bathtub drain replacement jig 51: Flange assembly tool
52: Assembly tool body 53: Tool fastening projection
54: Handle projection 55: Drain pipe body fastener
56: forefoot bridge 57:
100: bathtub 110: drain
120: Bathtub drainage piping 150: Foreign matter
Claims (6)
욕조 바닥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배수구를 통과한 상기 고정 플렌지의 체결관부에 나사 체결되며 연장 결합되고 내부에 집수공간이 구획되는 배수관 몸체;
상기 고정 플렌지를 통해 인출 가능하게 상기 배수관 몸체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부가 상기 고정 플렌지의 체결관부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걸름관 걸림턱에 걸려 고정되고, 하부에 유입된 욕조 배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내부에 걸러지게 걸름망부가 형성되는 걸름관; 및
상기 걸름관 하부가 수납되게 상기 배수관 몸체 내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걸름관과의 사이에 유입된 욕조 배수가 채워져 봉수를 이루며 상기 배수관 몸체에 연결되는 욕조 배수 배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봉수컵: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관 몸체의 내주면 상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몸체 걸림턱이 형성되는 욕조 배수관 장치.
A fixing flange through which the fastening pipe portion is fitted and fixed through the drain port in a state where the fastening plate is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thtub bottom formed with the drain port;
A drain pipe body having a bottom of the bathtub, screwed to the fastening pipe portion of the fixing flange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drain pipe, extended and joined, and a collecting space inside;
The upper end of the upper flange is inserted into the drain pipe body so as to be drawn out through the fixing flange and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fastening pipe portion of the fixing flange, A tube for forming a squeezing portion to be squeezed inside; And
And a sewer cup inserted into the drain pipe body to receive the lower portion of the drain pipe and to discharge the bath water drained between the drain pipe and the drain pipe through a tub drain pipe connected to the drain pipe body, ,
Wherein a body catching jaw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pipe body.
상기 봉수컵이 상기 걸름관의 하단부에 이중관 형태를 이루며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봉수컵 체결 수단을 포함하는 욕조 배수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 sewing cup fixing means for releasably fastening the sewing cup to the lower end of the squeezing pipe in a double pipe shape.
상기 봉수컵 체결 수단은,
상기 걸름관 바닥을 관통하며 형성되는 체결공 내에 끼워져 체결되도록 상기 봉수컵 내측 바닥면 중심에 돌출 형성되어 걸름관 체결 돌기로 이루어지는 욕조 배수관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ewing cup fastening means comprises:
And a thread tube fastening protrusion protruded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up cup so as to be inserted and fastened in a fastening hole formed through the bottom of the tube.
상기 봉수컵은,
상기 배수관 몸체의 내측 바닥면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욕조 배수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beverage cup
Wherein the tub is integrally fixed to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water pipe body.
상기 고정 플렌지의 체결관부에 형성된 상기 걸름관 걸림턱 상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공구 체결홈이 형성되는 욕조 배수관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tool engagement groov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lamping tube formed on the clamping tube portion of the fixing flange at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고정 플렌지 내부에 끼워져 상기 배수관 몸체에 나사 체결된 상기 고정 플렌지를 회전시켜 상기 배수관 몸체로부터 분리 및 조립하도록 상기 고정 플렌지의 공구 체결홈들에 대응되게 공구 체결 돌기들이 돌출 형성되는 고정 플렌지 조립 공구; 및
상기 고정 플렌지 조립 공구 내부를 관통하도록 연장 형성된 두 개의 집게 다리 하단부에 상기 배수관 몸체의 몸체 걸림턱에 끼워져 걸리도록 걸림 돌기를 절곡 형성하여 상기 고정 플렌지로부터 분리된 상기 배수관 몸체를 욕조 바닥쪽으로 잡아 당겨 고정하도록 하는 배수관 몸체 고정구;를 포함하는 욕조 배수관 교체 지그 장치.
A bathtub drainage pipe replacement jig device for separating and assembling the bathtub drainage pipe device of claim 5 from a bath drainage port,
A fixing flange assembly tool having tool fixing protrusions protruded to correspond to the tool clamping grooves of the fixing flange so as to be separated and assembled from the water pipe body by rotating the fixing flange screwed into the water pipe body inserted into the fixing flange; And
The fixing protrusion is bent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body engaging jaw of the water pipe body at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two legs formed to extend through the inside of the fixing flange assembly tool so that the water pipe body separated from the fixing flange is pulled toward the bottom of the bathtub And a water pipe body fixing fixture for fixing the water pip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7777A KR101679787B1 (en) | 2014-10-13 | 2014-10-13 | Drinage for bathtub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7777A KR101679787B1 (en) | 2014-10-13 | 2014-10-13 | Drinage for bathtub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3416A KR20160043416A (en) | 2016-04-21 |
KR101679787B1 true KR101679787B1 (en) | 2016-11-28 |
Family
ID=55917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37777A Active KR101679787B1 (en) | 2014-10-13 | 2014-10-13 | Drinage for bathtub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9787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785767S1 (en) | 2015-09-16 | 2017-05-02 | Juka Innovations Corporation | Tub drain hair collector |
USD794759S1 (en) | 2017-03-21 | 2017-08-15 | Juka Innovations Corporation | Strainer device for a drain |
US10570594B2 (en) | 2017-03-21 | 2020-02-25 | Juka Innovations Corporation | Hair straining device |
US12116766B2 (en) | 2019-12-18 | 2024-10-15 | Kohler Co. | Blind install drain for bath or show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168049A (en) * | 2016-08-19 | 2016-11-30 | 苏州德品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water trough cabinet with water purification funct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3435B1 (en) * | 2009-12-30 | 2011-08-03 | 임회규 | Dry sink drain |
-
2014
- 2014-10-13 KR KR1020140137777A patent/KR10167978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3435B1 (en) * | 2009-12-30 | 2011-08-03 | 임회규 | Dry sink drai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D785767S1 (en) | 2015-09-16 | 2017-05-02 | Juka Innovations Corporation | Tub drain hair collector |
US10344460B2 (en) | 2015-09-16 | 2019-07-09 | Juka Innovations Corporation | Hair straining device |
USD794759S1 (en) | 2017-03-21 | 2017-08-15 | Juka Innovations Corporation | Strainer device for a drain |
US10570594B2 (en) | 2017-03-21 | 2020-02-25 | Juka Innovations Corporation | Hair straining device |
US12116766B2 (en) | 2019-12-18 | 2024-10-15 | Kohler Co. | Blind install drain for bath or show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3416A (en) | 2016-04-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9787B1 (en) | Drinage for bathtub | |
RU2615490C2 (en) | Drain filter | |
US6153095A (en) | Drainpipe filter kit | |
HK1203222A1 (en) | Popup installation structure for a sink and installation method | |
KR200459796Y1 (en) | A singk for draining set structure | |
KR101699850B1 (en) | waste trap for bathtub | |
KR101391478B1 (en) | A one-touch pop-up type opening/closing device for drainage hole | |
KR101354687B1 (en) | Drainage pipe device for installing washbowl | |
KR20120098273A (en) | A pop-up type opening/closing device for washstand | |
KR200368837Y1 (en) | Water plug having a filter box for a wash bowl | |
JP2010007297A (en) | Drain trap structure | |
JP4936441B2 (en) | Drain trap | |
KR101594899B1 (en) | A draining trap apparatus for a washstand | |
KR200426500Y1 (en) | Wash basin drain pipe foreign matter filtering device | |
KR200395213Y1 (en) | Trap for Washstand | |
KR20160003178U (en) | sink hose connector | |
KR20140005630A (en) | A filtration apparatus of drain trap | |
TWI758548B (en) | Drainage outlet mesh member | |
KR200479005Y1 (en) | For easy cleaning drain trap drain pipe wall | |
KR102075758B1 (en) | Joint device for removal of debris in plughole | |
KR101920560B1 (en) | Drain trap structure for wash basin with separation cap | |
KR100943995B1 (en) | Trench drainage system with check | |
JP5106897B2 (en) | Eye plate in drain trap | |
KR200484438Y1 (en) | fulfill filter section and bell-shaped drain-trap. | |
KR101312665B1 (en) | A Drain trap for a washstan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1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