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76785B1 - 소형 줌 렌즈 - Google Patents

소형 줌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785B1
KR101676785B1 KR1020090097438A KR20090097438A KR101676785B1 KR 101676785 B1 KR101676785 B1 KR 101676785B1 KR 1020090097438 A KR1020090097438 A KR 1020090097438A KR 20090097438 A KR20090097438 A KR 20090097438A KR 101676785 B1 KR101676785 B1 KR 1016767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group
positive
refractive power
grou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0246A (ko
Inventor
이와사와 요시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7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785B1/ko
Priority to US12/901,688 priority patent/US8503100B2/en
Priority to CN201010508576.0A priority patent/CN102043234B/zh
Publication of KR20110040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0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78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 G02B15/1441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 G02B15/144113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four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arrang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3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our components onl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줌 렌즈가 개시된다. 개시된 줌 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 및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군;을 포함하며,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변배시, 상기 제1렌즈군은 상기 제2렌즈군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이동하고, 제2렌즈군은 상측으로 볼록한 궤적으로 이동하고, 제3렌즈군은 상측에서 물체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4렌즈군은 물체측으로 볼록한 궤적으로 이동하며, 하기의 식을 만족한다.
νd1ave>68.2
Nd1ave>1.53
여기서, νd1ave와 Nd1ave 는 각각 상기 제1렌즈군 중에 포함되는 정렌즈의 아베수 평균치 및 상기 제1렌즈군에 포함되는 정렌즈의 굴절률 평균치이다.

Description

소형 줌 렌즈{Compact zoom lens}
본 개시는 소형 컴팩트화 된 구조이면서 변배비가 높은 줌 렌즈에 관한 것이다.
최근, 광학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 (Charge Coupled Device)나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고체 촬상 소자를 이용한 디지털 스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등의 결상광학기기가 급속히 확대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보급에 따라 촬상 소자의 고화소화가 요구되고, 화소수가 많은 고체 촬상 소자에 대응하여, 결상 성능이 우수한 촬영용 렌즈, 특히 줌 렌즈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10배를 넘는 높은 변배비, 광화각에 대한 요구 등 고성능화가 요구되며, 이와 함께 휴대성이 중시되고 있어, 고성능 및 소형 경량화를 위한 다양한 설계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줌 렌즈로서, 물체측에서 순서대로 각각 정, 부, 정, 정의 굴절력을 갖는 제1 내지 제4렌즈군을 포함하는 4군 구성의 줌렌즈가 많이 이용되는데, 높은 변배비를 가지며 수차 보정이 잘 되고, 소형화에 유리한 구조를 구현하는 설계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실시예들은 소형화되고 변배비가 높은 줌 렌즈를 제공하고자 한다.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 및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군;을 포함하며,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변배시, 상기 제1렌즈군은 상기 제2렌즈군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이동하고, 제2렌즈군은 상측으로 볼록한 궤적으로 이동하고, 제3렌즈군은 상측에서 물체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4렌즈군은 물체측으로 볼록한 궤적으로 이동하며,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줌 렌즈가 제공된다.
νd1ave>68.2
Nd1ave>1.53
여기서, νd1ave와 Nd1ave 는 각각 상기 제1렌즈군 중에 포함되는 정렌즈의 아베수 평균치 및 상기 제1렌즈군에 포함되는 정렌즈의 굴절률 평균치이다.
하기의 식을 더 만족하는 줌 렌즈.
0.85<|β2T|<1.5
여기서, β2T는 망원단에서 상기 제2렌즈군의 배율이다.
상기 줌 렌즈는 하기의 식을 더 만족할 수 있다.
6.3<f1/fw<9.15
여기서, f1과 fw는 각각 상기 제1렌즈군의 초점거리 및 광각단에서의 초점거리이다.
상기 줌 렌즈는 하기의 식을 더 만족할 수 있다.
0.32<β234T/fw<0.5
여기서, β234T는 상기 제2렌즈군, 제3렌즈군, 제4렌즈군의 합성 배율이고, fw는 광각단에서의 초점거리이다.
상기 줌 렌즈는 하기의 식을 더 만족할 수 있다.
|νd1ave -νd3ave|<9.0
여기서, νd1ave, νd3ave는 각각 제1렌즈군에 포함된 정렌즈의 아베수 평균치, 제3렌즈군에 포함된 정렌즈의 아베수 평균치이다.
상기 줌 렌즈는 하기의 식을 더 만족할 수 있다.
β4T>0.6
또한,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 및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을 포함하며,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변배시, 상기 제1렌즈군은 상기 제2렌즈군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이동하고, 제2렌즈군은 상측으로 볼록한 궤적으로 이동하고, 제3렌즈군은 상측에서 물체측으로 이동하며,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줌 렌즈가 제공된다.
νd1ave>68.2
Nd1ave>1.53
0.85<|β2T|<1.5
|νd1ave -νd3ave|<9.0
ft/fw>11
여기서, νd1ave, νd3ave, Nd1ave 는 각각 상기 제1렌즈군 중에 포함되는 정렌즈의 아베수 평균치, 상기 제3렌즈군에 포함된 정렌즈의 아베수 평균치 및 상기 제1렌즈군에 포함되는 정렌즈의 굴절률 평균치이고, β2T는 망원단에서 상기 제2렌즈군의 배율이고, ft, fw는 각각 망원단에서의 초점거리, 광각단에서의 초점거리이다.
또한,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 및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을 포함하며,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변배시, 상기 제1렌즈군은 상기 제2렌즈군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이동하고, 제2렌즈군은 상측으로 볼록한 궤적으로 이동하고, 제3렌즈군은 상측에서 물체측으로 이동하며,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줌 렌즈가 제공된다.
νd1ave>68.2
Nd1ave>1.53
0.32<β234T/fw<0.5
여기서, νd1ave와 Nd1ave 는 각각 상기 제1렌즈군 중에 포함되는 정렌즈의 아베수 평균치 및 상기 제1렌즈군에 포함되는 정렌즈의 굴절률 평균치이고, β234T는 상기 제2렌즈군, 제3렌즈군, 제4렌즈군의 합성 배율이고, fw는 광각단에서의 초 점거리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 도 5, 도 9 및 도 13은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 및 제4실시예에 의한 줌 렌즈의 광학적 배치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줌 광학계는 물체(OBJ)쪽에서 상(IMG)측으로 순서대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G1),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G2),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G3)을 포함한다. 제3렌즈군(G3)의 상측에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군(G4)이 마련될 수 있으며, 제4렌즈군(G4)의 상측에 적외선 필터(510)가 마련될 수 있다. 상면(IMG)은 CCD (Charge Coupled Device)나 CMOS와 같은 촬상소자(미도시)의 촬상면이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줌 렌즈의 각 렌즈군들은 광축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데,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변배시 제1렌즈군(G1)은 제2렌즈군(G2)과의 간격이 커지도록 이동하고, 제2렌즈군(G2)은 상측으로 볼록한 궤적을 따라 이동하고, 제3렌즈군(G3)은 물체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4렌즈군(G4)은 물체측으로 볼록한 궤적을 따라 이동한다. 변배시의 궤적은 도시된 화살표 방향이다. 조리개(ST)는 제3렌즈군(G3)의 가장 물체측에 배치되어, 주밍(zooming) 시에 제3렌즈군(G3)과 함께 이동한다. 이와 같이 각 렌즈군의 궤적을 정한 것은 광학계의 소형 화와 수차를 고려한 것이다. 특히, 제2렌즈군(G2)이 상측으로 볼록한 궤적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망원단에서의 광학계 전체 길이가 작아지며, 제3렌즈군(G3)의 굴절력을 지나치게 강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제3렌즈군(G3)의 굴절력이 강해지면 제3렌즈군(G3)의 이동량이 줄어들 수 있으나, 상면만곡의 악화를 수반하여 적은 렌즈 매수로 광학계를 구현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줌 렌즈는 소형화, 박형화에 유리한 구조를 가지며, 높은 변배비를 구현하는 설계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다음 식을 만족한다.
νd1ave>68.2
Nd1ave>1.53
여기서, νd1ave와 Nd1ave는 각각 제1렌즈군(G1)에 포함되는 정렌즈의 아베수 평균치 및 제1렌즈군(G1)에 포함되는 정렌즈의 굴절률 평균치이다.
상기 수학식 1과 수학식 2는 렌즈계의 소형화와 색수차 보정을 함께 고려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1렌즈군(G1)의 정렌즈에 아베수가 큰 재질을 선택하는 경우 굴절률이 낮아져, 소형화 달성이 어려워진다. 제1렌즈군(G1)의 정렌즈에 높은 굴절률의 재질을 선택하는 경우 아베수가 작아져 고 변배비를 달성하면서 동시에 색수차를 보정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1렌즈군(G1)에 포함되는 정렌즈의 아베수 평균치의 하한과 굴절률 평균치의 하한을 정하여, 고 변배비, 색수차 보정 및 소형화를 도모한 것이다.
실시예들에 의한 줌 렌즈는 또한,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0.85<|β2T|<1.5
여기서, β2T는 망원단에서 상기 제2렌즈군(G2)의 배율이다.
이 조건식은 제2렌즈군(G2)의 배율을 규정한 식으로, 하한을 벗어나는 범위에서 제2렌즈군(G2)에 의한 변배의 작용이 작아져 고 변배비를 구현하기 어렵다. 또한, 상한을 넘는 범위에서, 제2렌즈군(G2)에 의한 변배의 작용이 커지는데, 망원단에서의 수차 발생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적은 렌즈 매수로 제2렌즈군(G2)을 구성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실시예들에 의한 줌 렌즈는 또한,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6.3<f1/fw<9.15
여기서, f1과 fw는 각각 상기 제1렌즈군(G1)의 초점거리 및 광각단에서의 초점거리이다.
이 식은 광각단에서의 초점거리에 대한 제1렌즈군(G1)의 초점 거리의 비를 규정한 식으로, 하한을 벗어나는 범위에서 코마수차 및 상면만곡 발생량이 많아진다. 또한, 편 중심 민감도가 높아져 조리개 정밀도가 요구된다. 또한, 상한을 벗어나는 범위에서, 제1렌즈군(G1)의 초점거리가 길어지는 것이 되고 광학계의 소형화 달성이 어려워진다.
실시예들에 의한 줌 렌즈는 또한,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0.32<β234T/fw<0.5
여기서, β234T는 제2렌즈군(G2), 제3렌즈군(G3), 제4렌즈군(G4)의 합성 배율이고, fw는 광각단에서의 초점거리이다.
이 식은 망원단에 있어서의 제2렌즈군(G2), 제3렌즈군(G3), 제4렌즈군(G4)의 합성 배율을 광각단의 초점거리에 대해 규정하는 식이다. 하한을 벗어나는 경우, 즉 망원 단에 있어서의 제2렌즈군(G2), 제3렌즈군(G3), 제4렌즈군(G4)의 합성 배율이 작아지면, 망원 단에서의 초점 거리가 짧아져, 고 변배비의 달성이 곤란이 된다. 상한을 넘는 경우, 망원단에서의 초점 거리가 지나치게 길어져, 적은 렌즈 매수로 광학계를 구성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실시예들에 의한 줌 렌즈는 또한,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νd1ave -νd3ave|<9.0
여기서, νd1ave, νd3ave는 각각 상기 제1렌즈군(G1) 중에 포함되는 정렌즈의 아베수 평균치, 상기 제3렌즈군(G3)에 포함된 정렌즈의 아베수 평균치이다.
이 식은, 색수차를 규정하기 위한 식으로, 제1렌즈군(G1)과 제3렌즈군(G3)에 포함되는 정렌즈의 아베수 차이를 규정하고 있다. 제시된 범위에서, 망원단의 축상 색수차와 광각단의 배율색수차가 적은 렌즈 매수로 균형있게 보정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의한 줌 렌즈는 또한,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β4T>0.6
여기서, β4T는 망원단에서 상기 제4렌즈군(G4)의 배율이다.
이 식은 제4렌즈군(G4)의 배율을 규정하는 식이다. 하한을 벗어나는 경우, 즉 제4렌즈군(G4)의 배율이 작을 경우, 제4렌즈군(G4)의 상면과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이 되고, 소형화에 방해가 된다.
실시예들에 의한 줌 렌즈는 또한, 다음 식을 만족할 수 있다.
ft/fw>11
여기서, ft, fw는 각각 망원단에서의 초점거리 및 광각단에서의 초점거리이다.
이 식은 변배비를 규정한 것으로, 실시예들은 11보다 큰 고 변배비를 구현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줌 렌즈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구성과 렌즈 데이터들을 기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나타나는 비구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9062775695-pat00001
여기서, h는 광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의 높이, Z는 높이 h에서 렌즈 정점까 지광축 방향의 거리, C는 근축 곡률, ε는 코닉 상수(conic constant)이며, A4, A6, A8, A10은 비구면계수이다.
이하에서, f는 줌 광학계 전체의 합성초점거리를, Fno는 F수를, ω는 반화각을 나타낸다. 면 번호에 표시된 *은 그 면이 비구면임을 의미하며, ST는 조리개를 의미한다. 각 실시예에서 광각단, 중간단, 망원단에서의 가변거리를 D1, D2, D3, D4로 나타낸다.
<제1실시예>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를 도시한 것이다. 제1렌즈군(G1)은 적어도 일 매의 부렌즈와 적어도 일 매의 정렌즈를 포함하며, 3매 이하의 렌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으로 오목한 부렌즈인 제1렌즈(110), 물체측으로 볼록한 제2렌즈(120), 물체측으로 볼록한 정렌즈인 제3렌즈(130)를 포함한다. 제1렌즈(110)와 제2렌즈(120)는 접합렌즈를 이루고 있다. 제2렌즈군(G2)은 상측으로 오목한 부렌즈인 제4렌즈(210), 양오목렌즈인 제5렌즈(220), 정렌즈인 제6렌즈(230)를 포함한다. 제3렌즈군(G3)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전군과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후군을 포함하며, 전군과 후군은 공기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또한, 제3렌즈군(G3)은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으로 된 정렌즈를 적어도 1매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렌즈군(G3)은 양면이 비구면으로 된 정렌즈인 제7렌즈(310), 정렌즈인 제8렌즈(320), 부렌즈인 제9렌즈(330)를 포함하며, 제8렌즈(320)와 제9렌즈(330)는 접합렌즈를 이룬다. 제4렌즈군(G4)은 1매의 정렌즈로 구성되며, 예를 들어, 양면이 비구면인 제10렌즈(410)로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서의 종방향 구면 수차, 상면 만곡(astigmatic field curvature), 왜곡 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종방향 구면수차는 파장이 656.28(nm)인 c선, 587.56(nm)인 d선, 435.83(nm)인 g선의 광에 대해 각각 나타내었고, 상면 만곡은, 자오상면 만곡(T: tangential field curvature)과 구결상면 만곡(S: sagittal field curvature)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은 제1실시예의 렌즈데이터이다.
Fno   3.29 ~ 4.73 ~ 5.77
f  4.39 ~ 17.22 ~ 50.15
ω 41.48 ~ 12.63 ~ 4.34
D1  0.395 ~ 8.186 ~ 17.958
D2 17.886 ~ 3.372 ~ 1.340
D3 5.610 ~ 3.397 ~ 17.899
D4 4.323 ~ 13.531 ~ 6.462
면 곡률반경(R) 두께(D) 굴절률(nd) 아베수(vd)
1     26.188   0.900   1.90366  31.32
2    17.688   3.548 1.49700 81.61
3 68.854   0.100
4   19.305   2.765 1.61800 63.40
5    89.244    D1
6  47.618 0.540   1.88300  40.81
7    5.321   3.148
8 -19.859   0.550   1.80420  46.50
9 19.859   0.319
10 12.322   1.480 1.94595 17.98
11 88.691 D2
ST    INF 0.400
13*   6.423 2.448   1.51470  63.80
14*  -11.271   0.100
15 5.538 1.355 1.48749 70.44
16 -16.701 0.400 1.64769 33.84
17 4.114 D3
18* 14.914 1.600 1.52510 56.00
19* -106.241 D4
20 INF 0.800   1.51680   64.20
21 INF 0.730
면 ε   A4    A6    A8     A10
13 2.3958 -0.134264E-02 -0.609164E-04 -0.587352E-06 -0.289112E-06
14 1.0000 -0.123019E-04 -0.218169E-04 -0.158110E-05 -0.514118E-07
18 1.0000 0.837715E-04 -0.105159E-04 -0.445684E-06 0.357061E-07
19 1.0000 0.155347E-03 -0.131933E-04 -0.499882E-06 0.408832E-07
<제2실시예>
도 5은 제2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를 도시한 것이다. 제1렌즈군(G1)은 상측으로 오목한 부렌즈인 제1렌즈(110), 물체측으로 볼록한 제2렌즈(120), 물체측으로 볼록한 정렌즈인 제3렌즈(130)를 포함한다. 제1렌즈(110)와 제2렌즈(120)는 접합렌즈를 이루고 있다. 제2렌즈군(G2)은 상측으로 오목한 부렌즈인 제4렌즈(210), 양오목렌즈인 제5렌즈(220), 정렌즈인 제6렌즈(230)를 포함한다. 제3렌즈군(G3)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전군과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후군을 포함하며, 전군과 후군은 공기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또한, 제3렌즈군(G3)은 적어도 양면이 비구면으로 된 정렌즈인 제7렌즈(310), 정렌즈인 제8렌즈(320), 부렌즈인 제9렌즈(330)를 포함하며, 제8렌즈(320)와 제9렌즈(330)는 접합렌즈를 이룬다. 제4렌즈군(G4)은 양면이 비구면인 제10렌즈(410)로 구성된다.
도 6 내지 도 8은 제2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서의 종방향 구면 수차, 상면 만곡(astigmatic field curvature), 왜곡 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종방향 구면수차는 파장이 656.28(nm)인 c선, 587.56(nm)인 d선, 435.83(nm)인 g선 의 광에 대해 각각 나타내었고, 상면 만곡에서, 자오상면 만곡(T: tangential field curvature)과 구결상면 만곡(S: sagittal field curvature)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은 제2실시예의 렌즈데이터이다.
Fno 3.29 ~ 4.71 ~ 5.99
f  4.43 ~ 17.41 ~ 61.89
ω 41.23 ~ 12.55 ~ 3.53
D1  0.400 ~ 8.276 ~ 18.712
D2 18.471 ~ 3.498 ~ 1.333
D3 5.430 ~ 3.491 ~ 23.743
D4 4.861 ~ 13.877 ~ 4.652
면 곡률반경(R) 두께(D) 굴절률(nd) 아베수(vd)
1     27.179   0.900   1.90366  31.32
2    18.778   3.518 1.49700 81.61
3 92.739   0.100
4   19.167   2.725 1.59282 68.63
5    71.461    D1
6  46.730 0.570   1.88300  40.81
7    5.409   3.101
8 -20.159   0.570   1.88300  40.81
9 20.159   0.303
10 12.786   1.406 1.94595 17.98
11 474.661 D2
ST    INF 0.417
13*   6.636 2.430   1.58313  59.46
14*  -14.895   0.100
15 6.274 1.280 1.49700 81.61
16 -32.927 0.420 1.67270 32.17
17 4.281 D3
18* 15.232 1.673   1.58313  59.46
19* -92.982 D4
20 INF 0.800   1.51680   64.20
21 INF 0.810
면 ε   A4    A6     A8     A10
13 2.3844 -0.115854E-02 -0.436641E-04 -0.134805E-05 -0.101686E-06
14 1.0000 -0.855484E-05 -0.140015E-04 -0.180618E-05 0.720190E-07
18 1.0000 0.765238E-04 -0.583692E-05 0.226681E-07 0.172550E-08
19 1.0000 0.133370E-03 -0.101203E-04 0.162454E-06 0.000000E+00
<제3실시예>
도 9는 제3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를 도시한 것이다. 제1렌즈군(G1)은 상측으로 오목한 부렌즈인 제1렌즈(110), 물체측으로 볼록한 제2렌즈(120), 물체측으로 볼록한 정렌즈인 제3렌즈(130)를 포함한다. 제1렌즈(110)와 제2렌즈(120)는 접합렌즈를 이루고 있다. 제2렌즈군(G2)은 상측으로 오목한 부렌즈인 제4렌즈(210), 양오목렌즈인 제5렌즈(220), 정렌즈인 제6렌즈(230)를 포함한다. 제3렌즈군(G3)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전군과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후군을 포함하며, 전군과 후군은 공기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또한, 제3렌즈군(G3)은 적어도 양면이 비구면으로 된 정렌즈인 제7렌즈(310), 정렌즈인 제8렌즈(320), 부렌즈인 제9렌즈(330)를 포함하며, 제8렌즈(320)와 제9렌즈(330)는 접합렌즈를 이룬다. 제4렌즈군(G4)은 양면이 비구면인 제10렌즈(410)로 구성된다.
도 10 내지 도 12는 제3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서의 종방향 구면 수차, 상면 만곡(astigmatic field curvature), 왜곡 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종방향 구면수차는 파장이 656.28(nm)인 c선, 587.56(nm)인 d선, 435.83(nm)인 g선의 광에 대해 각각 나타내었고, 상면 만곡에서, 자오상면 만곡(T: tangential field curvature)과 구결상면 만곡(S: sagittal field curvature)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은 제3실시예의 렌즈데이터이다.
다음은 제3실시예의 렌즈데이터이다.
Fno   3.08 ~ 4.30 ~ 5.99
f  4.43 ~ 17.40 ~ 58.40
ω 41.25 ~ 12.54 ~ 3.75
D1  0.400 ~ 9.270 ~ 18.633
D2 18.399 ~ 3.940 ~ 1.372
D3 5.356 ~ 3.432 ~ 22.611
D4 4.841 ~ 13.235 ~ 5.719
면 곡률반경(R) 두께(D) 굴절률(nd) 아베수(vd)
1     27.425   0.900   1.90366  31.32
2    18.085   3.411 1.59282 68.63
3 63.625   0.100
4   20.110   2.777 1.59282 68.63
5    79.345    D1
6  45.428 0.570   1.88300  40.81
7    5.364   3.130
8 -20.100   0.570   1.88300  40.81
9 20.100   0.303
10 12.731   1.407 1.94595 17.98
11 392.168 D2
ST    INF 0.400
13*   6.382 2.550   1.58313  59.46
14*  -13.102   0.116
15 5.855 1.275 1.49700 81.61
16 -30.836 0.420 1.64769 33.84
17 4.243 D3
18* 15.232 1.758   1.58313  59.39
19* -188.298 D4
20 INF 0.800   1.51680   64.20
21 INF 0.800
면  ε   A4     A6    A8   A10
13 2.4415 -0.126519E-02 -0.390142E-04 -0.273319E-05 -0.390860E-07
14 1.0000 0.102004E-03 0.372324E-05 -0.409894E-05 0.264563E-06
18 1.0000 0.833053E-04 -0.980199E-05 0.205683E-06 0.705237E-09
19 1.0000 0.138003E-03 -0.135617E-04 0.311966E-06 0.000000E+00
<제4실시예>
도 13은 제4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를 도시한 것이다. 제1렌즈군(G1)은 상측으로 오목한 부렌즈인 제1렌즈(110), 물체측으로 볼록한 제2렌즈(120), 물체측으로 볼록한 정렌즈인 제3렌즈(130)를 포함한다. 제1렌즈(110)와 제2렌즈(120)는 접합렌 즈를 이루고 있다. 제2렌즈군(G2)은 상측으로 오목한 부렌즈인 제4렌즈(210), 양오목렌즈인 제5렌즈(220), 정렌즈인 제6렌즈(230)를 포함한다. 제3렌즈군(G3)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전군과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후군을 포함하며, 전군과 후군은 공기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또한, 제3렌즈군(G3)은 적어도 양면이 비구면으로 된 정렌즈인 제7렌즈(310)와, 정렌즈인 제8렌즈(320)와 부렌즈인 제9렌즈(330)가 접합된 접합렌즈 및 정렌즈인 제10렌즈(340)를 포함한다. 제4렌즈군(G4)은 양면이 비구면인 제11렌즈(410)로 구성된다.
도 15 내지 도 16은 제4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에서의 종방향 구면 수차, 상면 만곡(astigmatic field curvature), 왜곡 수차를 나타낸 것이다. 종방향 구면수차는 파장이 656.28(nm)인 c선, 587.56(nm)인 d선, 435.83(nm)인 g선의 광에 대해 각각 나타내었고, 상면 만곡에서, 자오상면 만곡(T: tangential field curvature)과 구결상면 만곡(S: sagittal field curvature)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은 제4실시예의 렌즈데이터이다.
Fno   3.29 ~ 4.48 ~ 5.99
f  4.44 ~ 17.41 ~ 65.79
ω 41.28 ~ 12.33 ~ 3.31
D1  0.400 ~ 11.819 ~ 19.568
D2 18.246 ~ 6.155 ~ 1.331
D3 4.393 ~ 2.899 ~ 23.514
D4 4.893 ~ 12.159 ~ 2.707
면 곡률반경(R) 두께(D) 굴절률(nd) 아베수(vd)
1     32.557   0.900   1.90366  31.32
2    20.658   3.412 1.49700 81.61
3 197.613   0.100
4   21.399   2.803 1.59282 68.63
5    136.038    D1
6  81.895 0.570   1.88300  40.81
7    5.339   2.887
8 -19.894   0.570   1.80420  46.50
9 19.894   0.347
10 12.060   1.401 1.94595 17.98
11 84.737 D2
ST    INF 0.417
13*   6.041 1.732   1.58313  59.46
14*  -33.182   0.254
15 6.122 1.747 1.48749 70.44
16 -10.619 0.420 1.83400 37.35
17 4.908 0.564
18 46.461 0.900 1.48749 70.44
19 -9.678 D3
20* 15.156 1.650   1.58313  59.46
21* 33.945 D4
22 INF 0.800   1.51680   64.20
23 INF 0.800
면  ε   A4    A6     A8    A10
13 2.2022 -0.958566E-03 -0.413376E-04 -0.657337E-06 -0.246907E-06
14 1.0000 0.151758E-04 0.181944E-05 -0.272186E-05 0.796420E-07
20 1.0000 -0.177361E-03 -0.779975E-05 0.858112E-06 -0.118847E-07
21 1.0000 -0.217800E-03 -0.820042E-05 0.693812E-06 0.000000E+00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수학식 1 내지 수학식 8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보이는 표이다.
조건식 제1실시예 제1실시예 제1실시예 제1실시예
(1)νd1ave 72.51 75.12 68.63 75.12
(2) Nd1ave 1.558 1.545 1.593 1.545
(3)|β2T| 1.052 1.170 1.081 1.050
(4) f1/fw 7.762 7.788 7.903 7.850
(5) β234T/fw 0.337 0.405 0.377 0.427
(6) |νd1ave -νd3ave| 5.380 4.585 4.075 8.340
(7) β4T 0.649 0.693 0.666 0.871
(8) ft/fw 11.45 13.98 13.18 14.86
이상, 설명한 실시예들은 상술한 렌즈 구성을 통해, 소형화 및 박형화에 유리한 구조를 가지며 수차가 잘 보정되고 고변배비를 구현하는 줌 렌즈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의 줌 렌즈는, 이러한 줌 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으로부터 피사체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상소자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촬상 장치에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원 발명인 줌 렌즈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줌 렌즈의 광학적 배치와 변배시 움직임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2,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 각각에서의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을 보인 수차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줌 렌즈의 광학적 배치와 변배시 움직임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6,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 각각에서의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을 보인 수차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줌 렌즈의 광학적 배치와 변배시 움직임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0,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 각각에서의 구면수차, 상면만곡,왜곡을 보인 수차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줌 렌즈의 광학적 배치와 변배시 움직임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4, 도 15 및 도 16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줌 렌즈의 광각단, 중간단 및 망원단 각각에서의 구면수차, 상면만곡, 왜곡을 보인 수차도이다.

Claims (21)

  1.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 및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1매의 렌즈로 이루어진 제4렌즈군; 을 포함하며,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변배시, 상기 제1렌즈군은 상기 제2렌즈군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이동하고, 제2렌즈군은 상측으로 볼록한 궤적으로 이동하고, 제3렌즈군은 상측에서 물체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4렌즈군은 물체측으로 볼록한 궤적으로 이동하며,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줌 렌즈.
    νd1ave>68.2
    Nd1ave>1.53
    0.85<|β2T|<1.5
    여기서, νd1ave와 Nd1ave는 각각 상기 제1렌즈군 중에 포함되는 정렌즈의 아베수 평균치 및 상기 제1렌즈군에 포함되는 정렌즈의 굴절률 평균치이고, β2T는 망원단에서 상기 제2렌즈군의 배율이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하기의 식을 더 만족하는 줌 렌즈.
    6.3<f1/fw<9.15
    여기서, f1과 fw는 각각 상기 제1렌즈군의 초점거리 및 광각단에서의 초점거리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하기의 식을 더 만족하는 줌 렌즈.
    0.32<β234T/fw<0.5
    여기서, β234T는 상기 제2렌즈군, 제3렌즈군, 제4렌즈군의 합성 배율이고, fw는 광각단에서의 초점거리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군은 적어도 일 매의 부렌즈와 적어도 일 매의 정렌즈를 포함하며, 3매 이하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줌 렌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군과 상기 제3렌즈군 중에 포함되는 정렌즈가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줌 렌즈.
    |νd1ave -νd3ave|<9.0
    여기서, νd1ave, νd3ave는 각각 제1렌즈군에 포함된 정렌즈의 아베수 평균치, 제3렌즈군에 포함된 정렌즈의 아베수 평균치이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군은 적어도 한 면이 비구면으로 된 정렌즈를 포함하는 줌 렌즈.
  8. 제1항에 있어서,
    하기의 식을 더 만족하는 줌 렌즈.
    β4T>0.6
    여기서, β4T는 망원단에서 상기 제4렌즈군의 배율.
  9.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군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전군과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후군을 포함하며,
    상기 전군과 후군은 공기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줌 렌즈.
  10.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 및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을 포함하며,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변배시, 상기 제1렌즈군은 상기 제2렌즈군과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이동하고, 제2렌즈군은 상측으로 볼록한 궤적으로 이동하고, 제3렌즈군은 상측에서 물체측으로 이동하며,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줌 렌즈.
    νd1ave>68.2
    Nd1ave>1.53
    0.85<|β2T|<1.5
    |νd1ave -νd3ave|<9.0
    ft/fw>11
    여기서, νd1ave, νd3ave, Nd1ave 는 각각 상기 제1렌즈군에 포함되는 정렌즈의 아베수 평균치, 상기 제3렌즈군에 포함된 정렌즈의 아베수 평균치 및 상기 제1렌즈군에 포함되는 정렌즈의 굴절률 평균치이고, β2T는 망원단에서 상기 제2렌즈군의 배율이고, ft, fw는 각각 망원단에서의 초점거리, 광각단에서의 초점거리이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군은 적어도 일 매의 부렌즈와 적어도 일 매의 정렌즈를 포함하며, 3매 이하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줌 렌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군의 상측에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군이 마련되고,
    상기 제4렌즈군은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변배시 물체측으로 볼록한 궤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13. 제10항에 있어서,
    하기의 식을 더 만족하는 줌 렌즈.
    β4T>0.6
    여기서, β4T는 망원단서의 상기 제4렌즈군의 배율.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군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전군과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후군을 포함하며,
    상기 전군과 후군은 공기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줌 렌즈.
  15. 물체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 및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을 포함하며,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변배시, 상기 제1렌즈군은 상기 제2렌즈군과의 간격 이 넓어지도록 이동하고, 제2렌즈군은 상측으로 볼록한 궤적으로 이동하고, 제3렌즈군은 상측에서 물체측으로 이동하며,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줌 렌즈.
    νd1ave>68.2
    Nd1ave>1.53
    0.32<β234T/fw<0.5
    여기서, νd1ave와 Nd1ave 는 각각 상기 제1렌즈군 중에 포함되는 정렌즈의 아베수 평균치 및 상기 제1렌즈군에 포함되는 정렌즈의 굴절률 평균치이고, β234T는 상기 제2렌즈군, 제3렌즈군, 제4렌즈군의 합성 배율이고, fw는 광각단에서의 초점거리이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군은 적어도 일 매의 부렌즈와 적어도 일 매의 정렌즈를 포함하며, 3매 이하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줌 렌즈.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군과 상기 제3렌즈군 중에 포함되는 정렌즈가 하기의 식을 만족하는 줌 렌즈.
    |νd1ave -νd3ave|<9.0
    여기서, νd1ave, νd3ave는 각각 제1렌즈군에 포함된 정렌즈의 아베수 평균치, 제3렌즈군에 포함된 정렌즈의 아베수 평균치이다.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군의 상측에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군이 마련되고,
    상기 제4렌즈군은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변배시 물체측으로 볼록한 궤적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줌 렌즈.
  19. 제15항에 있어서,
    하기의 식을 더 만족하는 줌 렌즈.
    β4T>0.6
    여기서, β4T는 망원단에서의 상기 제4렌즈군의 배율이다.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렌즈군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전군과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후군을 포함하며,
    상기 전군과 후군은 공기 간격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줌 렌즈.
  21. 제1항, 제3항 내지 제8항, 제10항 내지 제13항,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의 줌 렌즈;
    상기 줌 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으로부터 피사체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촬상소자;를 포함하는 촬상장치.
KR1020090097438A 2009-10-13 2009-10-13 소형 줌 렌즈 Expired - Fee Related KR1016767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438A KR101676785B1 (ko) 2009-10-13 2009-10-13 소형 줌 렌즈
US12/901,688 US8503100B2 (en) 2009-10-13 2010-10-11 Compact zoom lens
CN201010508576.0A CN102043234B (zh) 2009-10-13 2010-10-13 紧凑变焦镜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438A KR101676785B1 (ko) 2009-10-13 2009-10-13 소형 줌 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0246A KR20110040246A (ko) 2011-04-20
KR101676785B1 true KR101676785B1 (ko) 2016-11-16

Family

ID=43854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438A Expired - Fee Related KR101676785B1 (ko) 2009-10-13 2009-10-13 소형 줌 렌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03100B2 (ko)
KR (1) KR101676785B1 (ko)
CN (1) CN1020432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1472B2 (ja) * 2012-01-25 2016-02-16 株式会社ニコン ズームレンズ及び光学機器
KR101971475B1 (ko) * 2013-01-03 2019-04-2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줌 렌즈계
JP6541470B2 (ja) * 2015-06-30 2019-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JP6076513B2 (ja) * 2016-01-13 2017-02-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6399166B2 (ja) * 2017-07-20 2018-10-03 株式会社ニコン ズームレンズ、光学機器及びズームレンズの製造方法
JP7321127B2 (ja) * 2020-06-29 2023-08-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撮像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2271A (ja) * 2007-08-06 2009-02-26 Canon Inc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5628A (ja) 1987-02-20 1988-08-25 Canon Inc 高変倍比ズ−ムレンズ
US6101043A (en) * 1998-02-26 2000-08-08 Minolta Co., Ltd. Zoom lens system
JP3391342B2 (ja) 1999-10-29 2003-03-31 ミノルタ株式会社 撮像レンズ装置
JP4513049B2 (ja) * 2003-09-29 2010-07-28 株式会社ニコン ズームレンズ
JP5202076B2 (ja) * 2008-04-08 2013-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2271A (ja) * 2007-08-06 2009-02-26 Canon Inc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43234A (zh) 2011-05-04
KR20110040246A (ko) 2011-04-20
CN102043234B (zh) 2015-06-17
US8503100B2 (en) 2013-08-06
US20110085251A1 (en) 2011-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8321B2 (ja) ズームレンズ系、撮像装置及びカメラ
JP6129023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撮像装置
KR101950999B1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2422126B1 (ko) 줌 렌즈계
KR101994284B1 (ko) 줌 렌즈계
KR101890304B1 (ko) 줌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20150062803A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JP6292403B2 (ja) ズームレンズ
KR20140125680A (ko) 광각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상장치
KR20070115771A (ko) 줌렌즈 및 촬상장치
JP2014228807A5 (ko)
KR101595881B1 (ko) 줌 렌즈
JP4366063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有するカメラ
KR101676785B1 (ko) 소형 줌 렌즈
JP4933276B2 (ja) ズームレンズ
US8111467B2 (en) Compact zoom lens
KR101623450B1 (ko) 와이드 컨버터 렌즈
KR20150068194A (ko) 줌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영 장치
KR101880633B1 (ko) 줌 렌즈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KR101571337B1 (ko) 소형 줌 렌즈
KR101204095B1 (ko) 줌 렌즈계 및 이를 구비한 촬영 장치
US8085480B2 (en) Compact zoom lens
KR101416237B1 (ko) 줌 렌즈
CN115598810A (zh) 变焦透镜及摄像装置
KR101538657B1 (ko) 소형 줌 렌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13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004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9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0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7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1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7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2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81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7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22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