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75892B1 -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을 연결하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을 연결하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892B1
KR101675892B1 KR1020140185849A KR20140185849A KR101675892B1 KR 101675892 B1 KR101675892 B1 KR 101675892B1 KR 1020140185849 A KR1020140185849 A KR 1020140185849A KR 20140185849 A KR20140185849 A KR 20140185849A KR 101675892 B1 KR101675892 B1 KR 101675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arm
wiper
wiper arm
li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5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6105A (ko
Inventor
이우성
Original Assignee
케이비와이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비와이퍼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비와이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5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892B1/ko
Priority to JP2015160793A priority patent/JP6153576B2/ja
Priority to US14/967,104 priority patent/US9932016B2/en
Priority to CN201510964159.XA priority patent/CN105711553B/zh
Priority to DE102015122357.0A priority patent/DE102015122357B4/de
Publication of KR20160076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89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 B60S1/4009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 B60S1/401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hook-shaped end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3Multi-purpose connections for two or more kinds of arm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1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a blade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 B60S1/4009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 B60S1/401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hook-shaped end of the arm
    • B60S2001/4022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hook-shaped end of the arm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a locking element movable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Ink Jet (AREA)

Abstract

와이퍼 블레이드에 와이퍼 암을 연결하는 커넥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는, 개구부(125)를 포함하며, 와이퍼 암(A)이 체결되는 어댑터부(110) 및 개구부(125)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어댑터부(110)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부(150)를 포함하며, 덮개부(150)는, 커넥터(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면(152) 및 상면(15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날개면(154)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덮개부의 이탈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의 폭방향 벌어짐을 억제하여, 와이퍼 암의 U-후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이퍼 암이 와이퍼 블레이드와 일체감 있게 체결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을 연결하는 커넥터{CONNECTOR FOR CONNECTING A WIPER BLADE AND A WIPER ARM}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을 연결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덮개부를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와이퍼 블레이드는 자동차 운행 중 눈이나 비, 혹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깨끗한 시계를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와이퍼 암과 연결된다. 와이퍼 암의 일단에는 구동장치가 구비되어 왕복운동을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와이퍼 암의 타단에 연결된 와이퍼 블레이드가 부채꼴 모양의 왕복운동을 반복하면서, 자동차 전면유리창을 닦는다.
와이퍼 블레이드는 연결부재를 통해, 와이퍼 암의 일단에 구비된 후크(hook)와 연결되는데, 후크는 와이퍼 암의 일단에서 구부러진 U자 형태를 갖는다.
와이퍼 블레이드에는 연결홀더부가 형성되고, 연결홀더부 내부에 커넥터가 놓여지는데, 커넥터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와이퍼 암의 일단에 구비된 후크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개구부의 존재는 이물질이나 빗물의 침투를 허용하기 때문에, 이를 커버하기 위한 덮개부의 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U자 형태의 후크(U-후크)를 가지는 와이퍼 암을 이용한 와이퍼에서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덮개부가, 와이퍼 암과 와이퍼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커넥터에서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되어 분실의 우려가 매우 컸다.
뿐만 아니라, 덮개부가 단순히 개구부를 커버하는 기능만을 했기 때문에, 덮개부가 분실되는 경우, 커넥터에 체결되어 있던 와이퍼 암의 후크가 이탈함으로써 와이프 블레이드가 분리되는 고장이 생기기도 하였다. 만약, 차량 운행 중 이와 같은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대형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존재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덮개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부를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덮개부가 커넥터의 폭방향 벌어짐을 억제함으로써, 와이퍼 암의 U-후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의 암체결부를 와이퍼 암의 체결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와이퍼 암이 와이퍼 블레이드와 일체감 있게 체결될 수 있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을 연결하는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와이퍼 암(A)을 연결하는 커넥터(100)로서, 개구부(125)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퍼 암(A)이 체결되는 어댑터부(110) 및 상기 개구부(125)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상기 어댑터부(110)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150)는, 상기 커넥터(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면(152) 및 상기 상면(15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날개면(15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부(11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112) 및 상기 측벽(112)의 일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150)가 회전하면서, 상기 날개면(154)이 상기 오목부(130)의 바깥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날개면(154)과 상기 어댑터부(110)는, 고정돌기(155) 또는 고정홈(135)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댑터부(110)는, 상기 와이퍼 암(A)이 체결되는 암체결부(115) 및 상기 암체결부(11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암지지부(117-1,117-2,117-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암지지부(117-1,117-2,117-3)는, 상기 개구부(125)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암체결부(115)로부터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체결부(115)는, 상기 어댑터부(110)의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소정각도는, 상기 수평면에 대하여 상기 와이퍼 암(A)이 진입하는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부(110) 및 상기 덮개부(125)에는, 서로 힌지 결합되는 결합돌기(140) 또는 결합홈(156)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을 연결하는 커넥터와, 이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및 와이퍼에 의하면, 덮개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을 연결하는 커넥터와, 이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및 와이퍼에 의하면, 커넥터의 폭방향 벌어짐을 억제함으로써, 와이퍼 암의 U-후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을 연결하는 커넥터와, 이를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및 와이퍼에 의하면, 커넥터의 암체결부를 와이퍼 암의 체결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와이퍼 암이 와이퍼 블레이드와 일체감 있게 체결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측면도,
도 3a는 도 1의 X-X'선을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면사시도,
도 3b는 와이퍼 암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를 나타내는 결합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상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부분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와이퍼 암이 결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의 사시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의 사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당업자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용이하게 재현할 수 있는 것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의 분해사시도이다. 먼저, 위치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도 1의 좌측하단에 좌표를 도시하였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별다른 언급이 없는 한, X축은 좌우방향 혹은 폭방향으로, Y축은 전후방향 혹은 길이방향으로, 그리고 Z축은 상하방향 혹은 높이방향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어댑터부(110)와 덮개부(150)를 포함한다.
어댑터부(110)는, 한 쌍의 측벽(112), 암체결부(115), 축결합홈(120), 개구부(125), 오목부(130), 고정홈(135) 및 결합돌기(140)를 포함할 수 있고, 도 1에 명확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암체결부(115)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암지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부(110)의 측벽(112)은 커넥터(100)의 양측뼈대를 이룬다. 양 측벽(112)의 사이에는 암체결부(115)가 구비되고, 와이퍼 암(A)의 결합시, 암체결부(115)에 와이퍼 암(A)의 U-후크가 체결된다.
측벽(112)은, 와이퍼 암(A)이 연결되는 암체결부(115)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덮개부(150)가 위치하는 영역까지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축결합홈(120)은 와이퍼 블레이드에 형성된 중심축(미도시)에 맞물리는 형태로 결합된다. 축결합홈(120)에 의해 커넥터(100)가 와이퍼 블레이드에 고정되며, 커넥터(100)에 와이퍼 암(A)이 체결됨으로써,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이 연결될 수 있다.
개구부(125)는 와이퍼 암(A)의 일단이 체결될 수 있을 정도의 여유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개구부(125)의 길이는, 와이퍼 암(A)의 일단, 구체적으로는 U-후크의 U자 암체결부위가 암체결부(115)에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여유를 제공할 수 있는 길이면 족하다.
오목부(1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측벽(112)이 연장되는 길목에 개구부(125)가 위치하는 영역에서, 개구부(125)의 내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도 1에서는, 오목부(130)의 일부가 어댑터부(110)의 측벽(112)에서 절단되어 있지만, 이와 달리 오목부(130) 전체가 측벽(112)과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어댑터부(110)는 덮개부(140)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돌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돌기(140)는, 도 1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결합돌기(140)가 측벽(112)의 일단에 구비되어도 좋고, 측벽(112) 사이를 가로지르는 브릿지 형태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측벽(112) 사이를 가로지르는 브릿지 형태의 결합돌기로 구성되는 경우, 덮개부(150)의 결합홈(156)의 형상도 이에 대응하여 결합 가능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오목부(130)는, 덮개부(150)가 하강했을 때, 회전을 저지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홈(135)을 구비할 수 있다. 고정홈(135)은 후술할 덮개부(150)의 고정돌기(155)를 수용함으로써, 덮개부(150)를 어댑터부(11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홈(135)이 오목부(130)에 구비되고, 고정돌기(155)가 덮개부(150)에 구비된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되었지만, 이와 달리 고정홈(135)이 덮개부(150)에 구비되고, 고정돌기(155)가 오목부(130)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술한 어댑터부(110)의 구성들은, 모두 개별적으로 구비될 필요가 없고,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면, 둘 이상의 구성이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이 다수의 구성으로 분리되어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덮개부(150)는, 상면(152), 날개면(154), 고정돌기(155), 결합홈(156), 리브보강부(158) 및 리브(159)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152)은 어댑터부(110)의 개구부(125)를 커버하여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거나, 와이퍼 암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날개면(154)은 상면(152)과 연결되어 높이방향을 따라 상면(15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날개면(154)은, 회전에 의하여, 어댑터부(110)의 오목부(130) 바깥쪽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에 따라, 오목부(130)가 폭방향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날개면(154)에는 고정돌기(155)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돌기(155)는 어댑터부(110)의 오목부(130)에 구비된 고정홈(135)에 수용되어, 덮개부(150)의 회전을 저지한다.
덮개부(150)의 결합홈(156)은 어댑터부(110)의 결합돌기(140)와 동일축(회전축)상에 구비될 수 있고, 덮개부(150)의 결합홈(156)과 어댑터부(110)의 결합돌기(140)에 의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이 가능해진다.
리브보강부(158)는, 덮개부(150)가 회전하면서, 어댑터부(110)의 개구부(125) 속으로 삽입된다. 리브보강부(158)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된 리브(159) 역시, 덮개부(150)의 회전에 의하여, 어댑터부(110)의 개구부(125) 속으로 삽입된다.
리브(159)를 포함하는 리브보강부(158)의 전체 외폭(外幅)은, 어댑터부(110)의 개구부(125)가 가지는 내폭(內幅)과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구부(125)가 완전히 폐쇄되어, 어댑터부(110)의 내부로의 이물질 침투, 더욱 상세하게는 개구부(125)를 통한 이물질 침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리브보강부(158)와 리브(159) 각각은 다양한 폭과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위의 설명과 달리, 리브(159)를 포함하는 리브보강부(158)의 전체 외폭이, 어댑터부(110)의 개구부(125)가 가지는 내폭보다 작을 수 있다. 그 경우에도, 덮개부(150)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물질 침투가 방지된다.
덮개부(150)에 포함되는 구성들 역시 서로 다른 구성으로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면, 둘 이상의 구성이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이 다수의 구성으로 분리된 방식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의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50)는 결합홈(156)을 통해 어댑터부(110)의 결합돌기(140)와 결합된다. 결합홈(156)과 결합돌기(140)가 체결되는 축을 중심으로, 덮개부(150)는 회전 가능하게 어댑터부(110)와 연결된다. 도 2에서 덮개부(150)는 고정위치(R)와 해제위치(R') 사이에서 회전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에서는, 결합홈(156)이 덮개부(150)에 구비되고, 결합돌기(140)가 어댑터부(110)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정하여 도시했지만, 이와 다른 실시예에서는, 덮개부가 결합돌기를 포함하고, 어댑터부가 결합홈을 포함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어댑터부(110)와 덮개부(150)의 결합은, 회전 가능한 다양한 구조(예: 힌지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50)가 회전하면, 덮개부(150)의 양 측면에 구비된 날개면(154)이, 오목부(130)의 바깥면을 감싸는 형태로 하강한다. 회전에 의해, 덮개부(150)가 고정위치(R)에 있을 때의 모습을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였다.
도 3a는 도 1의 X-X'선을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의 단면사시도이고, 도 3b는 와이퍼 암(A)이 결합된 상태에서의 커넥터(100)를 나타내는 결합구성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에 의하여, 덮개부(150)의 날개면(154)은 오목부(130)의 바깥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하강하고, 덮개부(150)의 리브보강부(158)와 리브(159)는, 개구부(125) 속으로 삽입된다.
와이퍼 암(A)이 체결된 상태에서, U-후크의 선단(先端)과 인접하는 오목부(130)는, U-후크가 전후방향으로 유동하는 경우 폭방향으로 벌어질 우려가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덮개부(150)의 날개면(154)이 오목부(130)의 바깥면을 감싸는 형태로 하강하여, 어댑터부(110)의 내측방향으로 힘(F)이 작용하기 때문에, U-후크가 전후방향으로 유동해도, 오목부(130)가 폭방향으로 벌어지지 않는다. 이는, 어댑터부(110)의 내구성이 향상됨을 의미한다. 거꾸로, 와이퍼 암(A)은 오목부(13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유동하지 않게 된다.
다시 정리하면, 도 3b와 같이, 덮개부(150)의 날개면(154)이, 와이퍼 암(A)의 선단과 인접하는 오목부(130)의 바깥면을 감싸고 있어서, 오목부(130)의 폭방향 벌어짐을 방지하는 한편, 와이퍼 암(A)의 U-후크도 전후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도모하게 된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날개면 대신 하나의 날개면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오목부(130)가 어댑터부(110)의 한쪽 측벽(112)에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의 상면도이다. 도 4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어댑터부(110)와 덮개부(150)를 분리해서 도시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부(150)의 상면(152)은, 날개면(154)이 위치하는 부분에서 더 큰 폭을 갖는다. 이에 따라, 상면(152)에서 폭이 넓은 부분, 즉, 상면(152)에서 날개면(154)이 위치하는 부분과 날개면(154)은, 덮개부(150)를 열고 닫기 위한 손잡이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이 위치를 손잡이로 이용하여, 더욱 수월하게 덮개부(15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날개면(154)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깥으로 돌출된 리브를 더 포함해도 좋다. 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걸리는 영역을 넓게 하여, 손잡이로서의 기능을 더욱 충실하게 한다. 이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다른 실시예에서는, 날개면(154)을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 재질로 구성하거나, 날개면(154)의 패터닝을 통해 표면질감을 달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어댑터부(110)에 와이퍼 암(A)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며, 암체결부(115)의 구성을 더욱 확대하여 보여주고 있다.
암체결부(115)는 와이퍼 암(A)이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암체결부(115)의 선단(先端), 즉,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고 둥글게 형성된 영역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는 U-후크의 선단과 맞닿게 된다.
한편, 암체결부(115)는, 어댑터부(110)의 수평면에 대하여 일정각도(θ1)를 가지고 비스듬히 경사진 형상을 가진다. 이때, 암체결부(115)가 경사진 각도(θ1)는, 와이퍼 암(A)과 수평면(어댑터부(110)의 수평면, 혹은 와이퍼 블레이드의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θ2)와 동일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와이퍼 암(A)의 일단은 모터와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와이퍼 블레이드와 연결되며, 와이퍼 스트립이 구비된 와이퍼 블레이드가 차량유리에 밀착된 상태에서, 와이퍼 암(A)이 원호형상의 왕복운동을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위한, 와이퍼 암(A)과 와이퍼 블레이드의 체결구조상, 와이퍼 암(A)과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합은 완전한 수평면상에서 이루어지기 어렵고, 일정각도를 가지고 경사진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와이퍼 암(A)은 커넥터(100)오 결합시, 소정각도(θ2)를 가지고 진입하는데, 와이퍼 암(A)이 체결되는 암체결부(115)가, 와이퍼 암(A)이 진입하는 각도(즉, 커넥터(100)의 수평면(H)에 대한 와이퍼 암(A)의 진입각도)와 동일한 각을 이루며 경사진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와이퍼 암(A)과 일체감 있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의 일구성인 암체결부(115)는, 어댑터부(115)의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각도(θ1)를 이루며 경사진 형상을 갖고, 그 소정각도(θ1)는, 커넥터(100)의 수평면(H)에 대한 와이퍼 암(A)의 진입각도(θ2)와 동일하기 때문에, 와이퍼 암(A)을 일체감 있는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와이퍼 암(A)이 결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암체결부(115)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복수의 암지지부(117-1,117-2,117-3)를 포함할 수 있다.
U-후크 타입의 와이퍼 암(A)은 다양한 두께를 가지며, 두께에 따른 곡률반경도 각양각색이다. 큰 곡률반경을 가지며 넓게 구부러지는 U-후크도 있고, 작은 곡률반경을 가지며 좁게 구부러지는 U-후크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다양한 와이퍼 암(A)을 와이퍼 블레이드에 연결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체결부(115)는, 복수의 암지지부(117-1,117-2,117-3)를 구비할 수 있고, 암지지부(117-1,117-2,117-3)는 다양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구부(125)에서 멀어질수록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는, 작은 곡률반경을 가지는 U-후크를 구비한 와이퍼 암(A)이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다. 작은 곡률반경을 가지는 U-후크는 가장 짧은 암지지부(117-1)와 맞닿는 상태로 체결된다.
여기서는, 짧은 암지지부(117-1)를 하나만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했지만, 더 많은 수의 짧은 암지지부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 6b는 큰 곡률반경을 가지는 U-후크를 구비한 와이퍼 암(A)이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 곡률반경을 가지는 U-후크는,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암지지부(117-2,117-3)와 맞닿은 상태로 체결된다.
여기서는, 2개의 긴 암지지부(117-2,117-3)를 상정하여 도시했지만, 더 적거나 더 많은 수의 긴 암지지부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다양한 길이를 가지는 암지지부(117-1,117-2,117-3)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와이퍼 암(A)을 체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200)의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200)는, 차량의 유리면을 와이핑하는 와이퍼 스트립(미도시), 와이퍼 스트립을 지지하는 요크레버(미도시), 요크레버와 연결되는 주레버(210), 주레버(21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연결홀더부(미도시)를 가진다.
와이퍼 스트립(미도시)은 직접 차량의 유리면에 접촉하여 와이핑함으로써, 유리면의 이물질이나, 눈, 비 등을 제거한다. 와이퍼 스트립은 고무재와 같은 탄성재료나 탄성 합성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요크레버(미도시)는 와이퍼 스트립을 직접 지지한다. 요크레버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고, 와이퍼 스트립을 지지하는 부분이 요크형상일 수 있다.
연결홀더부에는 중심축(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의 축결합홈(120)과 맞물려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200)의 연결홀더부 안에 수용(결합)된다.
한편, 와이퍼 블레이드(200)에 포함된 커넥터(100)는, 어댑터부(110)와 덮개부(150)를 포함하며, 이와 관련해서는 위에서 상세히 설명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300)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300)는, 와이퍼 블레이드(200) 및 와이퍼 암(A)을 포함하며, 와이퍼 블레이드(200)는 커넥터(100)를 구비한다. 커넥터(100)는 어댑터부(110)와 덮개부(150)를 포함하며, 이와 관련해서는 위에서 상세히 설명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커넥터 110‥‥‥‥‥‥어댑터부
112‥‥‥‥‥‥측벽 115‥‥‥‥‥‥암체결부
117-1,117-2,117-3‥‥‥‥‥암지지부
120‥‥‥‥‥‥축결합홈 130‥‥‥‥‥‥오목부
135‥‥‥‥‥‥고정홈 140‥‥‥‥‥‥결합돌기
150‥‥‥‥‥‥덮개부 152‥‥‥‥‥‥상면
154‥‥‥‥‥‥날개면 155‥‥‥‥‥‥고정돌기
156‥‥‥‥‥‥결합홈 158‥‥‥‥‥‥리브보강부
159‥‥‥‥‥‥리브 200‥‥‥‥‥‥와이퍼 블레이드
300‥‥‥‥‥‥와이퍼 A‥‥‥‥‥‥‥와이퍼 암

Claims (7)

  1. 와이퍼 블레이드에 와이퍼 암(A)을 연결하는 커넥터(100)로서,
    개구부(125)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퍼 암(A)이 체결되는 어댑터부(110); 및
    상기 개구부(125)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상기 어댑터부(110)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덮개부(150);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부(150)는,
    상기 커넥터(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면(152); 및
    상기 상면(15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날개면(154);을 포함하고,
    상기 어댑터부(11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112); 및
    상기 측벽(112)에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125) 측을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와이퍼 암(A)이 길이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오목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150)의 상기 날개면(154)은 상기 오목부(130)의 바깥면에 결합되어 상기 오목부(130)의 폭방향 벌어짐을 방지하는 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면(154)과 상기 어댑터부(110)는, 고정돌기(155) 또는 고정홈(135)을 각각 포함하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110)는,
    상기 와이퍼 암(A)이 체결되는 암체결부(115); 및
    상기 암체결부(11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암지지부(117-1,117-2,117-3);를 포함하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암지지부(117-1,117-2,117-3)는, 상기 개구부(125)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암체결부(115)로부터 길게 형성되는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체결부(115)는,
    상기 어댑터부(110)의 수평면에 대하여 소정각도를 이루며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소정각도는, 상기 수평면에 대하여 상기 와이퍼 암(A)이 진입하는 각도와 동일한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110) 및 상기 덮개부(150)에는, 서로 힌지 결합되는 결합돌기(140) 또는 결합홈(156)이 각각 형성된 커넥터.
KR1020140185849A 2014-12-22 2014-12-22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을 연결하는 커넥터 Active KR101675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5849A KR101675892B1 (ko) 2014-12-22 2014-12-22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을 연결하는 커넥터
JP2015160793A JP6153576B2 (ja) 2014-12-22 2015-08-18 ワイパーブレードとワイパーアームを連結するコネクタ
US14/967,104 US9932016B2 (en) 2014-12-22 2015-12-11 Connector for connecting a wiper blade and a wiper arm
CN201510964159.XA CN105711553B (zh) 2014-12-22 2015-12-21 用于连接雨刮器和雨刮臂的连接器
DE102015122357.0A DE102015122357B4 (de) 2014-12-22 2015-12-21 Verbindungs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wischerblatts mit einem wischera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5849A KR101675892B1 (ko) 2014-12-22 2014-12-22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을 연결하는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105A KR20160076105A (ko) 2016-06-30
KR101675892B1 true KR101675892B1 (ko) 2016-11-14

Family

ID=56097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5849A Active KR101675892B1 (ko) 2014-12-22 2014-12-22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을 연결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932016B2 (ko)
JP (1) JP6153576B2 (ko)
KR (1) KR101675892B1 (ko)
CN (1) CN105711553B (ko)
DE (1) DE10201512235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6905A (zh) * 2016-12-26 2017-05-24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雨刷组件及具有其的车辆
FR3071795B1 (fr) * 2017-09-29 2021-07-16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connexion d'un balai d'essuyage a un bras d'entrainemant pour vehicule
KR101905818B1 (ko) * 2018-01-18 2018-10-08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와이퍼 암팁과 지지 부재 간 배치 구조가 개선된 와이퍼 장치
FR3103767B1 (fr) * 2019-11-29 2021-10-29 Valeo Systemes Dessuyage Capot d’un dispositif d’essuyage de surface vitrée
FR3107681B1 (fr) * 2020-02-28 2025-03-14 Valeo Systemes Dessuyage Capot pour un dispositif de connexion d’un système d’essuyag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7646A (ja) 2004-04-07 2005-10-27 Asmo Co Ltd ワイパブレードの連結構造及び車両用ワイパ装置
WO2014194085A1 (en) * 2013-05-29 2014-12-04 Federal-Mogul Corporation Connecting device for a windscreen wipe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7141A (en) * 1956-09-24 1961-03-28 Gen Motors Corp Connector for windshield wiper blade
DE2943288A1 (de) * 1979-10-26 1981-05-07 SWF-Spezialfabrik für Autozubehör Gustav Rau GmbH, 7120 Bietigheim-Bissingen Wischblatt,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US4445249A (en) * 1982-03-30 1984-05-01 The Anderson Company Of Indiana Rock-to-lock connection arm-to-blade
FR2738201B1 (fr) * 1995-08-30 1997-10-03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connecteur muni d'un capot articule perfectionne
US5920950A (en) * 1997-12-09 1999-07-13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per blade attachment adapter
FR2788027B1 (fr) 1998-12-30 2001-02-23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des moyens perfectionnes d'articulation du balai sur le bras d'essuie-glace
JP2001163188A (ja) * 1999-09-30 2001-06-19 Ngk Spark Plug Co Ltd ワイパーブレード連結具
FR2830823B1 (fr) * 2001-10-15 2004-02-27 Valeo Systemes Dessuyage Essuie-glace de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fermoir de securite
JP4067912B2 (ja) * 2002-08-19 2008-03-26 日本ワイパブレード株式会社 ワイパーブレード用の結合部材及びワイパーブレード
JP4091493B2 (ja) * 2003-07-08 2008-05-28 アスモ株式会社 連結装置、及びワイパブレード
DE102004019541A1 (de) * 2004-04-22 2005-11-10 Robert Bosch Gmbh Wischblatt
JP4276606B2 (ja) * 2004-09-29 2009-06-10 アスモ株式会社 車両用ワイパ
KR100617017B1 (ko) * 2005-04-18 2006-08-30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와이퍼 커넥터 캡
TW200736100A (en) * 2006-03-25 2007-10-01 Shih-Hsien Huang Connecting device for a windshield wiper having no support frame and hook type windshield wiper arm
JP5138531B2 (ja) * 2008-10-08 2013-02-06 アスモ株式会社 車両用ワイパ
KR101170905B1 (ko) * 2010-09-10 2012-08-06 김인규 후크 와이퍼 아암용 연결유닛 및 이를 구비한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EP2711253B1 (en) * 2010-11-04 2017-02-15 Trico Products Corporation Windshield wiper having a coupler with positive locking features
JP5400023B2 (ja) * 2010-12-27 2014-01-29 株式会社ミツバ ワイパブレード
US9751499B2 (en) 2010-12-27 2017-09-05 Mitsuba Corporation Wiper blade
KR101350276B1 (ko) * 2011-11-09 2014-01-13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
KR101350277B1 (ko) * 2012-01-27 2014-01-14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DE202012102614U1 (de) * 2012-07-13 2012-08-14 Xiamen Fuke Car Accessories Co., Ltd. Verbindungsvorrichtung für Scheibenwischer
KR101285317B1 (ko) * 2012-11-07 2013-07-11 (주)에이치에스테크놀로지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
KR101254778B1 (ko) * 2012-11-07 2013-04-15 (주)에이치에스테크놀로지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와이퍼 블레이드 장치
EP2762369B1 (en) * 2013-02-05 2016-11-23 Scan Top Enterprise Co. Ltd. Wiper connection sea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7646A (ja) 2004-04-07 2005-10-27 Asmo Co Ltd ワイパブレードの連結構造及び車両用ワイパ装置
WO2014194085A1 (en) * 2013-05-29 2014-12-04 Federal-Mogul Corporation Connecting device for a windscreen wipe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53576B2 (ja) 2017-06-28
CN105711553B (zh) 2018-04-10
US20160176383A1 (en) 2016-06-23
JP2016117471A (ja) 2016-06-30
DE102015122357B4 (de) 2020-09-17
CN105711553A (zh) 2016-06-29
KR20160076105A (ko) 2016-06-30
DE102015122357A1 (de) 2016-06-23
US9932016B2 (en) 2018-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5892B1 (ko)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을 연결하는 커넥터
KR101189981B1 (ko) 유리창용 와이퍼 장치
JP5660844B2 (ja) 自動車用ワイパーブレード
KR101514227B1 (ko)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그 결합방법
JP5058250B2 (ja) フロントガラス用ワイパー装置
KR101608257B1 (ko)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그 결합방법
KR101503661B1 (ko) 차량용 와이퍼 커넥터
JP5009999B2 (ja) ワイパーブレードとワイパーアームとを枢着結合するための結合部材
JP4681647B2 (ja) ワイパブレードをウィンドガラスワイパのワイパアームとジョイント式に結合するための装置
US9321431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JP6833464B2 (ja) 風防ガラスワイパーブレードホルダを駆動アームに接続するためのシステム用要素
KR100868798B1 (ko) 자동차 유리 세척용 블레이드 조립체
JP2005029060A (ja) 連結装置、及びワイパブレード
JP5870466B2 (ja) ウインドスクリーンワイパ装置
JP5833389B2 (ja) ワイパブレード及び車両用ワイパ
KR101766944B1 (ko) 차창용 와이퍼장치
JP6081116B2 (ja) 車両用ワイパ
KR200437875Y1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어댑터
JP5015726B2 (ja) 車両用ワイパ
KR101822599B1 (ko)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JP2015214168A (ja) ワイパ
JP6104343B2 (ja) ワイパブレード
TWM499348U (zh) 刮水片用轉接器及其刮水片組件
KR20150068041A (ko) 차량용 와이퍼의 구조
KR101584313B1 (ko) 다양한 마운트 타입의 와이퍼 암 장착이 가능한 클립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06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