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75422B1 - Automatic updating system of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using geotag module, and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Automatic updating system of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using geotag module, and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5422B1
KR101675422B1 KR1020150105609A KR20150105609A KR101675422B1 KR 101675422 B1 KR101675422 B1 KR 101675422B1 KR 1020150105609 A KR1020150105609 A KR 1020150105609A KR 20150105609 A KR20150105609 A KR 20150105609A KR 101675422 B1 KR101675422 B1 KR 101675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lity
space information
geotag
information
modu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56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기태
김태헌
김희주
신현섭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105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542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5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542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241
    • G06F17/3026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04W4/185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by embedding added-value information into content, e.g. geo-tag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시설물 공간정보가 변동된 경우, 시설물에 설치된 지오태그 모듈의 지오태깅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시설물 공간정보를 자동으로 갱신할 수 있고, 기존의 불필요한 수동 입력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가 지오태그 모듈로부터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시설물 공간정보를 자동으로 갱신하고, 전자지도 상에 변경 내용을 자동으로 갱신함으로써, 다양한 시설물의 공간정보를 이용하는 전자지도 서버, GIS 서버 또는 공간정보 서버 등 시설물 공간정보 연동서버에서 즉각적으로 정확하게 활용될 수 있는,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In the case where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s changed,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can be updated more efficiently by the geotagging of the geotag module installed in the facility, the unnecessary manual inputting can be prevented, and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The server receives the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from the geotag module in real time, automatically updates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and automatically updates the changed contents on the electronic map. Thus, the electronic map server, the GIS server, or the space There is provided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updating facility space information using a geotag module, which can be instantaneously and accurately utilized in a facility space information interworking server such as an information server.

Description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 및 그 방법 {AUTOMATIC UPDATING SYSTEM OF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USING GEOTAG MODULE, AND METHOD FOR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updating facility space information using a geotag module,

본 발명은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시설물 공간정보가 변동된 경우, 시설물에 설치된 지오태그 모듈의 지오태깅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시설물 공간정보를 자동으로 갱신(Update)할 수 있는,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 및 그 방법 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updating facility space information by geotagging of a geotag module installed in a facil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updating facility space information using a geotag module.

일반적으로, 지오태깅(Geo-Tagging)은 사진 촬영시 내장된 GPS 수신기를 통해 사진에 촬영한 위치를 자동적으로 표시해주는 기능으로서, 사진촬영장소의 GPS 정보가 자동 기록된다. 이에 따라 촬영시에 장소가 자동으로 저장된다.In general, Geo-Tagging is a function that automatically displays the location of a photograph taken with a built-in GPS receiver when photographing, and automatically records GPS information of the photographing location. Accordingly, the place is automatically stored at the time of photographing.

도 1은 일반적인 지오태그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general geota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GPS 수신기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10)를 통해 촬영한 사진(11) 상에 지오태그(12)를 표시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이러한 지오태깅은 지리 식별 메타데이터를 다양한 미디어, 예를 들면, 이미지, 영상, 웹사이트, SMS 메시지 등에 부가하는 과정이며, 공간 메타데이터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오태깅을 통해서 사용자들은 다양한 형태의 특정 위치정보를 찾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위도 및 경도 좌표를 적당한 이미지 검색엔진에 입력함으로써 주어진 위치 인근에서 촬영된 영상을 찾을 수 있다.1, a geotag 12 may be displayed on a photograph 11 taken through a mobile terminal 10 having a GPS receiver. Specifically, such a geotagging may be represented by a geographical identification metadata For example, an image, an image, a website, an SMS message, or the like, and is a form of spatial metadata. Through geotagging, users can find various types of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 user may enter latitude and longitude coordinates into a suitable image search engine to find images photographed near a given location.

또한, 이러한 지오태깅은 사용자에게 주어진 이미지 또는 다른 미디어의 내용에 대한 위치 또는 시점(Point Of View: POV)을 알려주는 것이 가능하며, 역으로 일부 미디어 플랫폼에서 주어진 위치와 관련된 미디어를 보여줄 수 있다.In addition, such geotagging can inform the user of the location or point of view (POV) of the contents of a given image or other media, and conversely, it can display media related to a given location in some media platforms.

예를 들면, 지오태깅이 가능한 정보 서비스는 위치-기반의 뉴스, 웹사이트 또는 다른 정보자원을 찾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지오태깅의 적용 방법 및 그 응용에 대한 연구가 발전 중에 있다.For example, an information service capable of geotagging can be used to find location-based news, web sites, or other information resources, and research on application methods and applications of such geotagging is under development.

한편, 관련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796045호에는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지오태깅 방법 및 이를 위한 지리적 명칭정보 제공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s a related art, Korean Patent No. 10-796045 discloses an invention titled " a method for providing geographic tagging information for digital data and a method for providing geographical name information therefor ", and FIGS. 2, 3A and 3B .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지오태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서버 및 단말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geotagging system for digital data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echnique, and FIGS. 3A and 3B are diagrams showing a server and a terminal shown in FIG. 2, respectively.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지오태깅 시스템은, 서버(20) 및 단말기(30)를 포함하며, 단말기(30)는 자신의 위치정보를 서버(20)에 송신하고, 서버(20)는 단말기(3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이때, 단말기(30)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에 대해 태깅하기 위하여 단말기(30)가 서버에게 지리적 명칭정보를 요청하면, 서버(20)는 단말기(30)가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한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지리적 명칭정보를 단말기(30)에 전송한다. 여기서, 디지털 데이터는 사진, 동영상, SMS, 메일, MP3 음원, 웹서핑 기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리적 명칭정보는 사진에 대한 위치 좌표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친근한 지명이나 명칭을 포함한 정보일 수 있다.2, the geotagging system for digital data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server 20 and a terminal 30, and the terminal 30 transmits its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20 And the server 20 generates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database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30. [ At this time, if the terminal 30 requests the server for the geographical name information in order to tag the digital data generated by the terminal 30, the server 20 estimates the location where the terminal 30 has generated the digital data , And transmits to the terminal 30 the geographical nam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estimated position. Here, the digital data may include a photograph, a moving picture, an SMS, a mail, an MP3 sound source, a web surfing record,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geographical nam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including a location name or a name familiar to the user, as well as the location coordinates of the photograph.

구체적으로, 서버(2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30)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22), 위치에 따른 지리적 명칭을 저장한 지리적 명칭 DB(21), 및 시간에 따른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위치정보 DB(25)를 포함하며, 제어부(23) 및 사용자 태깅 DB(24)를 포함한다.3A, the server 2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22 for communication with the terminal 30, a geographic name DB 21 storing a geographic name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a user location information DB 25 for storing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DB 25 includes a control unit 23 and a user's tagging DB 24.

서버(20)는 예를 들면 단말기(30)의 대기화면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위치정보를 주기적인 시간 간격으로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30)의 대기화면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지 않고, 단말기(30)의 사용자가 수동으로 단말기를 조작하여 원하는 때에 위치정보를 서버(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모바일 주소(WINC) 등의 입력수단을 사용해서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및 HTML 등으로 구성된 웹페이지를 호출하고, 이때 서버(20)에 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server 20 receives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idle screen application of the terminal 30 at periodic time intervals, for example. At this time, the user of the terminal 30 may manually operate the terminal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20 at any time, without depending on the idle screen application of the terminal 30. [ Specifically, the user may be implemented in such a manner that a web page composed of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and HTML is called using input means such as a mobile address (WINC),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erver 20 at this time have.

서버(20)는 단말기(30)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위치정보 DB(25)를 생성한다. 사용자 위치정보 DB(25)는 단말기(30)가 위치정보를 송신한 시각과 그 시각에 해당되는 단말기의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다.The server 20 generates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DB 25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30.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DB 25 includes the time at which the terminal 30 transmitted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at that time.

단말기(3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정보 획득부(33), 사용자가 단말기(3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31), 디스플레이부(32), 메모리(35), 서버(20)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36) 및 제어부(34)를 포함한다.3B, the terminal 30 includes a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33 for obtaining location information, an input unit 31 for receiving a user's command so that the user can control the terminal 30, A display unit 32, a memory 35, a communication unit 36 for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20, and a control unit 34.

위치정보 획득부(33)는 단말기(30)의 위치정보를 제공한다.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33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30.

통신부(36)는 주기적으로 단말기(30)의 위치정보를 서버에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36)는 단말기(30)가 사진을 찍었을 때 찍은 사진에 대한 지리적 명칭정보를 요청한다. 이러한 통신부(36)는 단말기(30)가 사진을 찍자마자 바로 서버에 사진에 대한 지리적 명칭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으며, 차후에 요청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36)는 단말기(30)가 서버(20)에 위치정보를 전송할 때 사진에 대한 지리적 명칭정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6 periodically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erminal 30 to the server.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36 requests the geographical name information of the picture taken when the terminal 30 takes a picture. The communication unit 36 may request the geographical name information about the photograph to the server as soon as the terminal 30 takes a picture, and may request the geographical name information later.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36 may request the geographical name information on the photograph when the terminal 30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20. [

단말기(30)가 사진을 촬영한 직후에 지리적 명칭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단말기(30)는 서버(20)에게 시각정보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 그렇지만 위치정보를 전송할 때 사진에 대한 지리적 명칭정보를 요청하는 경우, 사진을 촬영한 시각에 대한 정보를 서버에 함께 전송해야 한다. 왜냐하면 사진을 찍은 시각과 지리적 명칭정보를 요청하는 시간이 다르기 때문이다. The terminal 30 does not need to transmit the time information to the server 20 when the terminal 30 requests the geographical name information immediately after shooting the photograph. However, when requesting geographical name information about a photo when transmitting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about the time when the photograph was taken must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This is because the time of taking the picture and the time of requesting the geographical name information are different.

또한, 통신부(36)는 서버가 전송한 지리적 명칭정보를 수신하는데, 지리적 명칭정보에는 복수의 지리적 명칭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입력부(31)를 이용하여 지리적 명칭을 선택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36 receives the geographical name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server, and the geographical name information may include a plurality of geographical names. In this case, the user may select the geographical name using the input unit 31. [

또한, 사용자는 수신된 지리적 명칭정보에 적당한 지리적 명칭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진에 대한 지리적 명칭을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통신부(36)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지리적 명칭을 서버로 송신한다.In addition, the user can manually enter a geographical name for the photograph if the geographical name information does not include the appropriate geographical name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unit 36 transmits the geographical name input by the user to the server.

제어부(34)는 이러한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에 따라 단말기(30)의 동작을 제어하며, 선택된 지리적 명칭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지리적 명칭을 이용하여 사진에 대하여 태깅한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지리적 명칭은 차후에 찍은 사진에 태깅을 할 때에 태그로서 추천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4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30 according to the program for this operation and tags the pictures using the selected geographic name or the geographic name input by the user. The geographic name entered by the user may be recommended as a tag when tagging a subsequent photo.

종래의 기술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지오태깅 시스템에 따르면, 단말기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에 사용자 친화적으로 지리적 위치 관련 태깅을 하도록 도와줄 수 있고,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지오태깅을 위하여 디지털 데이터가 생성된 위치에 관련하여 합리적으로 지리적 명칭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geotagging system for digital data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t is possible to help the user to perform geo-location-related tagging on the digital data generated by the terminal, and to generate digital data for geotagging on the digital data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geographical name information reasonably in relation to the location.

한편, 시설물(Facility)은 그 위치와 용도 및 목적 하에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건설되며, 인간이 생활하는 공간이므로 보다 안락한 생활환경과 편의를 제공하는 각종 설비들이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facility is construct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for its location, purpose, and purpose, and various facilities are provided to provide a more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and convenience since it is a living space for humans.

이러한 시설물은 인간의 기술력 한계 및 다양한 외적요인에 의해 영구적으로 활용될 수는 없으며, 단지, 기후와 같은 자연환경적 요소와 거주자의 생활습관 및 관리방식과 같은 인위적 요소에 따라 그 수명의 가감이 가능할 뿐이다. 또한, 이러한 시설물에 설치되는 각종 설비는 거주자의 생활에 직결되므로 최적의 성능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정기적인 검진이 요구되며, 특히, 인간의 생명과 관련되는 설비에 있어서는 거주자의 안전을 위해 필수적으로 관리되어야 한다.These facilities can not be used permanently due to human technological limitations and various external factors, but they can be added or subtracted according to natural factors such as climate and human factors such as lifestyle and management method of residents. Only. In addition, since various facilities installed in such facilities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lives of the residents, periodic screening is required to be operated with optimum performance. Especially, in facilities related to human life, .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시설물 공간정보의 갱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update of facility space information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echnique.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제1 내지 제N 시설물(41, 42, 43)로 구성되는 시설물(40)에 대한 시설물 공간정보는, 예를 들면, 시설물(40)이 신설된 경우, 신설된 시설물(40)의 위치를 시설물 관리자가 수동으로 입력하여 갱신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철거된 시설물(40)에 대해서도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50)의 공간정보 DB(51)에 그대로 존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50)와 연동하는 시설물 공간정보 연동 시스템(60), 예를 들면, 전자지도 서버 또는 GIS 서버가 변동된 시설물 공간정보를 즉각적으로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Referring to FIG. 4,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on the facilities 40 constituted by the first to Nth facilities 41, 42 and 43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s obtained, for example, when the facility 40 is newly installed ,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facility manager must manually input the location of the newly installed facility 40 and update it. In addition, the dismantled facility 40 is present in the space information DB 51 of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50 as it is. Accordingly,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nterlock system 60, for example, the electronic map server or the GIS server, interlocked with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50 can not accurately reflect the changed facility space information.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432593호(출원일: 2008년 8월 20일), 발명의 명칭: "이동단말기 및 그 지오태깅 방법"Korean Patent No. 10-1432593 filed on Aug. 20, 2008, entitled "Mobile terminal and its geotagging method"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796045호(출원일: 2007년 2월 8일), 발명의 명칭: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지오태깅 방법 및 이를 위한 지리적 명칭정보 제공 방법"Korean Patent No. 10-796045 filed on Feb. 8, 2007, entitled "Geotagging method for digital data and method for providing geographical name information therefor"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3-6215호(공개일: 2013년 1월 16일), 발명의 명칭: "지오태깅 시스템에서 지리 식별 메타데이터를 동적으로 태깅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3-6215 (Publication Date: January 16, 2013), entitled "Apparatus and method for dynamically tagging geographic identification metadata in a geotagging system"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1-19184호(공개일: 2011년 2월 25일), 발명의 명칭: "지오태깅 기능 이용 장치"Korean Patent Laid-Open No. 2011-19184 (Publication date: February 25, 2011), title of invention: "Geotagging function utilizing device"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11-69993호(공개일: 2011년 6월 24일), 발명의 명칭: "멀티미디어 정보 지오태깅 서비스 방법"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69993 (Publication date: June 24, 2011), title of the invention: "Multimedia information geotagging service method"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설물 공간정보가 변동된 경우, 시설물에 설치된 지오태그 모듈의 지오태깅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시설물 공간정보를 자동으로 갱신(Update)할 수 있는,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geotagging method for geotagging a geotag module installed in a facility, the method compris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updating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using a geotag modul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가 지오태그 모듈로부터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시설물 공간정보를 자동으로 갱신하고, 전자지도 상에 변경 내용을 자동으로 갱신할 수 있는,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that can automatically update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by automatically receiving the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from the geotag module in real time, , A system for automatically updating facility space information using a geotag module, and a method thereof.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은, 시설물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GPS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GPS 위성; 상기 시설물에 설치되고, 상기 시설물에 대한 시설물 공간정보를 내장하며,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시설물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오태그를 생성하고,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와 상기 지오태그가 결합된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전송하는 지오태그 모듈; 및 상기 지오태그 모듈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시설물에 각각 설치된 상기 지오태그 모듈로부터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시설물 공간정보를 자동으로 갱신하는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는 시설물 명칭, 시설물 제원, 위치정보, 지리적 명칭, 도면정보 및 상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에서 생성되는 지오태그는 상기 시설물(200)의 경도 및 위도 좌표를 포함하며, 상기 지오태그가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와 결합하여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형성하며, 상기 시설물의 신축, 철거 또는 구조 변경 시에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가 변동되고, 상기 지오태그 모듈에서 생성된 지오태그는 상기 변동된 시설물 공간정보와 결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automatically updating facility space information using a geota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at least three GPS satellites transmitting GPS signals so as to confirm location information of facilities;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the GPS signals from the GPS satellites to generate a geo tag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facility and providing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to the geo tag combined with the geo tag, A geotag module for transmitting geotagging spatial information; And a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that perform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geotag module and automatically receives the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from the geotag module installed in the facility to automatically update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ncludes a facility name, a facility specification, location information, a geographic name, drawing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and the geotag generated by the geotag module 120 includes the longitude and latitude coordinates of the facility 200 And the geospatial information is combined with the geospatial information to form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The geospatia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eotag module is changed when the facility is expanded, demolished, or changed in structure. And is transmitted in combination with the changed facility space information.

삭제delete

여기서, 상기 지오태그 모듈은 상기 시설물의 이상거동을 검출하도록 상기 시설물에 설치되는 계측기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geotag module may be integrated with a meter installed in the facility to detect abnormal behavior of the facility.

여기서, 상기 지오태그 모듈은, 시설물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시설물의 공간정보를 저장하는 시설물 공간정보 저장부; 상기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 상기 GPS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GPS 신호에 따라 상기 시설물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오태그를 생성하는 지오태그 생성부;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시설물 공간정보 및 상기 지오태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지오태그를 결합하여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생성하는 지오태그 결합부; 및 상기 지오태그 결합부에 의해 생성된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geotag module may include a facility space informa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space information of the facilities inputted from the facility manager; A GPS receiver for receiving GPS signals from the GPS satellites; A geotagging unit for generating a geotag that corresponds to the location of the facility according to the GPS signal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 A geo tag combining unit for generating geo tagging space information by combining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stored in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storage unit and the geo tag generated by the geo tag generation unit; And a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o transmit the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eotagging unit to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여기서,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는, 상기 지오태그 모듈로부터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수신하도록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상기 시설물의 변동전 시설물 공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가 변동된 경우에 갱신된 시설물 공간정보를 저장하는 공간정보 DB; 상기 통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지오태깅 공간정보 및 상기 공간정보 DB에 저장된 변동전 시설물 공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시설물의 공간정보가 변동되었는지 확인하는 지오태깅 공간정보 확인부; 및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가 변동된 경우,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를 자동으로 갱신하고, 갱신된 시설물 공간정보를 상기 공간정보 DB에 저장하는 시설물 공간정보 갱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o receive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from the geotag module; A spatial information DB for storing the pre-change facility spac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and storing the updated facility space information when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s changed; A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verifying unit comparing the geo tagging spac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module with the pre-change facility space information stored in the space information DB to check whether the spac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has changed; And a facility space information updating unit for automatically updating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and storing the updated facility space information in the space information DB when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s changed.

본 발명에 따른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은,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와 연동되며,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시설물 공간정보를 수신하여 활용하는 시설물 공간정보 연동서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The system for automatically updating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using the geota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for automatically updating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using the geota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is interlocked with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ceives and utilizes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A facility space information interworking server may be additionally included.

여기서,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연동서버는 전자지도 서버, GIS 서버 또는 공간정보 서버일 수 있다.Here, the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interworking server may be an electronic map server, a GIS server, or a spatial information server.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방법은,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설물에 각각 지오태그 모듈을 설치하고, 상기 지오태그 모듈에 시설물 공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지오태그 모듈이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지오태그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지오태그 모듈이 상기 저장된 시설물 공간정보와 상기 생성된 지오태그를 결합하여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지오태그 모듈이 상기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가 상기 전송된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기저장된 시설물 공간정보와 비교 및 확인하는 단계; 및 f)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가 상기 전송된 지오태깅 공간정보에 대응하는 시설물 공간정보를 자동 갱신하고 공간정보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는 시설물 명칭, 시설물 제원, 위치정보, 지리적 명칭, 도면정보 및 상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에서 생성되는 지오태그는 상기 시설물(200)의 경도 및 위도 좌표를 포함하며, 상기 지오태그가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와 결합하여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형성하며,상기 시설물의 신축, 철거 또는 구조 변경 시에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가 변동되고, 상기 지오태그 모듈에서 생성된 지오태그는 상기 변동된 시설물 공간정보와 결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automatically updating facility space information using a geota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the steps of: a) installing a geotag module in each of at least one facility, Storing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n the space; b) the geotag module receiving a GPS signal from a GPS satellite to generate a geotag; c) the geotag module combines the stored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with the generated geotag to generate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d) the geotag module transmits the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to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e) the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compares and verifies the transmitted geotagging spatial information with previously stored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And f) automatically updating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by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and storing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n the space information DB, wherein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ncludes a facility name, Geographical name, drawing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and the geotag generated by the geotag module 120 includes the longitude and latitude coordinates of the facility 200, and the geotag is associated with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And the geospatial information is changed when the facility is expanded, demolished, or changed in structure, and the geotag generated in the geotag module is transmitted in combination with the changed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

본 발명에 따른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방법은, h)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가 변동된 경우,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가 갱신된 시설물 공간정보를 시설물 공간정보 연동서버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automatically updating facility space information using a geota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h) when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s changed,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updated facility space information to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nterworking server . ≪ / RTI >

본 발명에 따르면, 시설물 공간정보가 변동된 경우, 시설물에 설치된 지오태그 모듈의 지오태깅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시설물 공간정보를 자동으로 갱신(Update)할 수 있고, 기존의 불필요한 수동 입력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s changed,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can be updated more efficiently by geotagging of the geotag module installed in the facility, and the existing unnecessary manual input can be prevented Thereby minimizing waste of manpower.

본 발명에 따르면,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가 지오태그 모듈로부터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시설물 공간정보를 자동으로 갱신하고, 전자지도 상에 변경 내용을 자동으로 갱신함으로써, 다양한 시설물의 공간정보를 이용하는 전자지도 서버, GIS 서버 또는 공간정보 서버 등 시설물 공간정보 연동서버에서 즉각적으로 정확하게 활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from the geotag module in real time, automatically updates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automatically updates the changed contents on the electronic map, It can be used instantaneously and precisely at the interoperable facility space information server such as electronic map server, GIS server or spatial information server.

도 1은 일반적인 지오태그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지오태깅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2에 도시된 서버 및 단말기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시설물 공간정보의 갱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에서 지오태그 모듈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에서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에서 공간정보 변동 시설물에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
FIG.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cept of a general geota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geotagging system for digital data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echnique.
3A and 3B are configuration diagrams specifically showing the server and the terminal shown in FIG. 2, respectively.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update of facility space information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echnique.
5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automatically updating facility space information using a geota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 geotag module in a system for automatically updating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using a geota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in a system for automatically updating facility space information using a geota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a spatial information change facility occurs in a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automatic update system using a geota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updating facility space information using a geota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Also, the term "part" or the like, a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s a unit for processing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100)][System for Automatic Updating of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Using Geotag Module (10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에서 지오태그 모듈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에서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FIG. 5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automatically updating facility space information using a geota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ystem for automatically updating facility space information using a geota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a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in a facility space information automatic update system using a geota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100)은, GPS 위성(110), 지오태그 모듈(Geo-Tag Module: 120),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 및 시설물 공간정보 연동서버(300)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설물 공간정보 저장부(121), GPS 수신부(122), 지오태그 생성부(123), 지오태그 결합부(124) 및 통신모듈(125)을 포함하고,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모듈(131), 지오태깅 공간정보 확인부(132), 시설물 공간정보 갱신부(133) 및 공간정보 DB(134)를 포함한다.5 to 7, a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automatic updating system 100 using a geota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PS satellite 110, a geo-tag module 120, 6, the geo-tag module 120 includes a facility space information storage unit 121,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database 130, 7, the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includes a reception unit 122, a geotagging unit 123, a geo tag coupling unit 124, and a communication module 125. The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Module 131, a geotagging spatial information verifying unit 132, a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updating unit 133, and a spatial information DB 134.

GPS 위성(110)은 적어도 3개 이상 구비되며, 제1 내지 제N 시설물(210, 220)을 포함하는 시설물(200) 각각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GPS 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GPS는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삼각측량 방법에 의하여 현재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으므로, 시설물(200)의 위치 파악에 매우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즉, GPS 수신기를 사용하여 단독 측정을 수행할 경우, 비교적 낮은 정확도에도 불구하고 시설물(200) 관리와 같은 기존의 속성 정보를 검색 수정하기 위한 작업에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설물은 사회기반시설물(Social Infrastructure)일 수 있고, 사회기반시설물은 국가의 기반 형성을 위하여 대규모 투자로 건설되고 경제적 효과가 장기간에 거쳐 나타나는 자산을 말하며, 예를 들면, 도로, 철도, 항만, 댐, 공항, 상수도, 하천 및 어항시설 등을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three GPS satellites 110 are provided and transmit GPS signals so that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of the facilities 200 including the first to Nth facilities 210 and 220 can be confirmed. Such a GPS can accurately calculate the current position by measuring the accurate time and distance from three or more satellites by using the triangulation method, and thus it can be said that it is very efficient in locating the facility 200. That is, when the single measurement is performed using the GPS receiver, the existing property information such as the management of the facility 200 can be sufficiently utilized to search and modify the information despite the relatively low accuracy. Here, the facility may be a social infrastructure, a social infrastructure is an asset that is constructed as a large-scale investment for the formation of a national infrastructure, and has long-term economic effects, for example, roads, railways, Harbors, dams, airports, waterworks, rivers and aquaculture facilities.

지오태그 모듈(120)은 상기 시설물(200)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시설물(200)에 대한 시설물 공간정보를 내장하며, 상기 GPS 위성(110)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시설물(2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오태그(Geo-Tag)를 생성하고,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와 상기 지오태그가 결합된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은 상기 시설물(200) 자체에 부착될 수 있지만, 또한, 상기 시설물(200)의 이상거동을 검출하도록 상기 시설물(200)에 설치되는 계측기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geotag module 120 is installed in each of the facilities 200 and incorporates facility space information for the facilities 200. The geotag module 120 receives GPS signals from the GPS satellites 110, (Geo-Tag) corresponding to the geo-tag space, and transmits the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combined with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and the geo-tag. At this time, the geotag module 120 may be attached to the facility 200 itself, but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a meter installed in the facility 200 to detect abnormal behavior of the facility 200 have.

여기서,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는 시설물 명칭, 시설물 제원, 위치정보, 지리적 명칭, 도면정보 및 상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에서 생성되는 지오태그는 상기 시설물(200)의 경도 및 위도 좌표를 포함하고, 상기 지오태그가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와 결합하여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시설물(200)의 신축, 철거 또는 구조 변경 시에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가 변동되고,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에서 생성된 지오태그는 상기 변동된 시설물 공간정보와 결합하여 전송한다.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ncludes a facility name, a facility specification, location information, a geographical name, drawing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and the geotag generated by the geotag module 120 includes geographical information such as the longitude and latitude Coordinates, and the geotag is combined with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to form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In addition,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s changed when the facility 200 is expanded, demolished, or changed in structure, and the geotag generated by the geotag module 120 is transmitted in combination with the changed facility space information.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의 시설물 공간정보 저장부(121)는 시설물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시설물(200)의 공간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면, 시설물 관리자는 현장 단말기를 사용하여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저장부(121)에 시설물 명칭, 시설물 제원, 위치정보, 지리적 명칭, 도면정보 및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시설물 공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6, the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storage unit 121 of the geotag module 120 stores spatial information of the facility 200 input from the facility manager. For example, the facility manager can store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ncluding the facility name, the facility specific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geographical name, the drawing information, and the status information in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storage unit 121 using the field terminal.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의 GPS 수신부(122)는 상기 GPS 위성(110)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한다.The GPS receiver 122 of the geotag module 120 receives GPS signals from the GPS satellites 110.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의 지오태그 생성부(123)는 상기 GPS 수신부(122)로부터 수신된 GPS 신호에 따라 상기 시설물(2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오태그를 생성한다.The geotag generator 123 of the geotag module 120 generates a geotag that corresponds to the location of the facility 200 according to the GPS signal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 122.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의 지오태그 결합부(124)는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저장부(121)에 저장된 시설물 공간정보 및 상기 지오태그 생성부(123)에 의해 생성된 지오태그를 결합하여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생성한다.The geotagging unit 124 of the geotag module 120 combines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stored in the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storage unit 121 and the geotag generated by the geotag generator 123, And generates spatial information.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의 통신모듈(125)은 상기 지오태그 결합부(124)에 의해 생성된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module 125 of the geotag module 120 perform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o transmit the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eotagging unit 124 to the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do.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는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시설물(200)에 각각 설치된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로부터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시설물 공간정보를 자동으로 갱신(Update)한다.5,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perform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geotag module 120 and receives geotag data from the geotag module 120 installed in the facility 200, And automatically updates facility space information by receiving spatial information.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의 통신모듈(131)은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로부터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수신하도록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한다.7, the communication module 131 of the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perform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o receive the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from the geotag module 120. As shown in FIG.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의 지오태깅 공간정보 확인부(132)는 상기 통신모듈(131)에 의해 수신된 지오태깅 공간정보 및 상기 공간정보 DB(134)에 저장된 변동전 시설물 공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시설물(200)의 공간정보가 변동되었는지 확인한다.The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verifying unit 132 of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receives the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module 131 and the pre-change facility space information stored in the space information DB 134 And determines whether the spatial information of the facility 200 has been changed.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의 시설물 공간정보 갱신부(133)는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가 변동된 경우,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를 자동으로 갱신하고, 갱신된 시설물 공간정보를 상기 공간정보 DB(134)에 저장한다.When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s changed,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updating unit 133 of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automatically updates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and updates the updated facility space information to the space information DB 134 ).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의 공간정보 DB(134)는 상기 시설물(200)의 변동전 시설물 공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가 변동된 경우에 갱신된 시설물 공간정보를 저장한다.The space information DB 134 of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stores the pre-change facility spac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200 and stores the updated facility space information when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s changed.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시설물 공간정보 연동서버(300)는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와 연동되며,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로부터 제공되는 시설물 공간정보를 수신하여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연동서버(300)는 전자지도 서버, GIS 서버 또는 공간정보 서버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5,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nterworking server 300 is interlocked with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ceives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from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Can be received and utilized. Here, the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interworking server 300 may be an electronic map server, a GIS server, or a spatial information serv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에서 공간정보 변동 시설물에 발생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Meanwhile,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case in which a spatial information changing facility occurs in a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automatic updating system using a geota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에서, 시설물의 신축, 철거 또는 구조 변경 등 공간정보 변동 시설물(230)이 발생한 경우, 상기 공간정보 변동 시설물(230)에 설치된 지오태그 모듈(120)은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에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는 시설물 공간정보를 갱신하여 공간정보 DB1(134)에 저장하고, 또한, 갱신된 시설물 공간정보를 시설물 공간정보 연동 서버(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in a system for automatically updating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using a geota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patial information fluctuation facility 230 such as expansion, demolition, or structural change of a facility occurs, The geotag module 120 installed in the facility 230 transmits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in real time to the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by wire or wirelessly through a network, Update the spatial information, store the spatial information in the spatial information DB 1 (134), and transmit the updated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to the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interworking server (30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에 따르면, 시설물(200) 또는 대상 구조물에 부착되는 지오태그 모듈(120)을 통하여 GPS와 연계되고, GPS 연계 결과를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 또는 시설물 공간정보 연동서버(300)에 자동으로 연동시킬 수 있다. 이때, 시설물(200) 또는 대상 구조물에 부착 또는 설치되는 지오태그 모듈(120)에서는 GPS를 통하여 해당 지오태그 모듈(120)의 위치정보 및 기타 정보를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 또는 시설물 공간정보 연동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ystem for automatically updating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using the geotag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PS is linked with the GPS through the facility 200 or the geotag module 120 attached to the target structure, Th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or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nterworking server 300 automatically. At this time, in the geotag module 120 attached to or installed in the facility 200 or the target structure,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other information of the geotag module 120 are transmitted to the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or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To the interworking server (300).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방법][How to update facility space information automatically using geotag module]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방법의 동작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updating facility space information using a geota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방법은, 먼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설물(200)에 각각 지오태그 모듈(120)을 설치하고,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에 시설물 공간정보를 저장한다(S110). 이때,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은 상기 시설물(200)의 이상거동을 검출하도록 상기 시설물(200)에 설치되는 계측기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9, a method for automatically updating facility space information using a geota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installing a geotag module 120 in at least one facility 200,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module 120 (S110). At this time, the geotag module 120 may be integrated with a meter installed in the facility 200 to detect an abnormal behavior of the facility 200.

다음으로,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이 GPS 위성(110)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지오태그를 생성한다(S120).Next, the geotag module 120 receives a GPS signal from the GPS satellite 110 and generates a geotag (S120).

다음으로,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이 상기 저장된 시설물 공간정보와 상기 생성된 지오태그를 결합하여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생성한다(S130). 이때,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는 시설물 명칭, 시설물 제원, 위치정보, 지리적 명칭, 도면정보 및 상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에서 생성되는 지오태그는 상기 시설물(200)의 경도 및 위도 좌표를 포함하고, 상기 지오태그가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와 결합하여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형성한다.Next, the geotag module 120 combines the stored facility space information with the generated geotag to generate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S130). In this case,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ncludes a facility name, a facility specification, location information, a geographical name, drawing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and a geotag that is generated by the geotag module 120 includes geographical information such as longitude and latitude Coordinates, and the geotag is combined with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to form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다음으로,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이 상기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에게 전송한다(S140). 즉, 상기 시설물(200)의 신축, 철거 또는 구조 변경 시에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가 변동되고,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에서 생성된 지오태그는 상기 변동된 시설물 공간정보와 결합하여 전송한다.Next, the geotag module 120 transmits the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to the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S140). That is,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changes when the facility 200 is expanded, demolished, or changed in structure, and the geotag generated by the geotag module 120 is transmitted in combination with the changed facility space information.

다음으로,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가 상기 전송된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기저장된 시설물 공간정보와 비교 및 확인한다(S150).Next,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compares and confirms the transmitted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with previously stored facility space information (S150).

다음으로,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가 상기 전송된 지오태깅 공간정보에 대응하는 시설물 공간정보를 자동 갱신(Update)하고 공간정보 DB(134)에 저장한다(S160).Next,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updates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and stores it in the space information DB 134 (S160).

다음으로,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가 변동된 경우,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가 갱신된 시설물 공간정보를 시설물 공간정보 연동서버(300)에게 전달한다(S170). 여기서,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연동서버(300)는 전자지도 서버, GIS 서버 또는 공간정보 서버일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Next, when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s changed,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transmits the updated facility space information to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nterworking server 300 (S170). Here, the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interworking server 300 may be an electronic map server, a GIS server, or a spatial information serv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설물 공간정보가 변동된 경우, 시설물에 설치된 지오태그 모듈의 지오태깅에 의해 보다 효율적으로 시설물 공간정보를 자동으로 갱신할 수 있고, 기존의 불필요한 수동 입력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가 지오태그 모듈로부터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실시간 수신하여 시설물 공간정보를 자동으로 갱신하고, 전자지도 상에 변경 내용을 자동으로 갱신함으로써, 다양한 시설물의 공간정보를 이용하는 전자지도 서버, GIS 서버 또는 공간정보 서버 등 시설물 공간정보 연동서버에서 즉각적으로 정확하게 활용될 수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can be updated more efficiently by geotagging of the geotag module installed in the facility when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s changed, and the existing unnecessary manual input is prevented So that the waste of manpower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receives the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from the geotag module in real time, automatically updates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automatically updates the changed contents on the electronic map, and displays the electronic map Server, GIS server, or spatial information server can be instantly and accurately utiliz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
200: 시설물
300: 시설물 공간정보 연동서버
110: GPS 위성
120: 지오태그 모듈
130: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
121: 시설물 공간정보 저장부
122: GPS 수신부
123: 지오태그 생성부
124: 지오태그 결합부
125: 지오태그 모듈용 통신모듈
131: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용 통신모듈
132: 지오태깅 공간정보 확인부
133: 시설물 공간정보 갱신부
134: 공간정보 DB
210: 제1 시설물
220: 제N 시설물
230: 공간정보 변동 시설물
100: Facility information automatic update system
200: Facility
300: Facilities space information interworking server
110: GPS satellite
120: Geotag module
130: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21: Facility space information storage unit
122: GPS receiver
123: Geotag generator
124: Geo tag coupling part
125: Communication module for geotag module
131: Communication module for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2: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verifying unit
133: Facility space information update section
134: Spatial information DB
210: First facility
220: Facilities N
230: Spatial Information Fluctuation Facility

Claims (12)

시설물(200)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GPS 신호를 전송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GPS 위성(110);
상기 시설물(200)에 설치되고, 상기 시설물(200)에 대한 시설물 공간정보를 내장하며, 상기 GPS 위성(110)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시설물(2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오태그(Geo-Tag)를 생성하고,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와 상기 지오태그가 결합된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전송하는 지오태그 모듈(Geo-Tag Module: 120); 및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시설물(200)에 각각 설치된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로부터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각각 수신하여 시설물 공간정보를 자동으로 갱신(Update)하는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
를 포함하되,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는 시설물 명칭, 시설물 제원, 위치정보, 지리적 명칭, 도면정보 및 상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에서 생성되는 지오태그는 상기 시설물(200)의 경도 및 위도 좌표를 포함하며, 상기 지오태그가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와 결합하여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형성하며, 상기 시설물(200)의 신축, 철거 또는 구조 변경 시에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가 변동되고,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에서 생성된 지오태그는 상기 변동된 시설물 공간정보와 결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
At least three GPS satellites (110) for transmitting GPS signals so tha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acilities (200) can be confirmed;
Geo-ta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facility 200 is received by the GPS satellite 110 and installed in the facility 200 and includes facility space information for the facility 200, A geo-tag module 120 for generating the geo-tag information and the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combined with the geo-tag; And
Perform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geotag module 120 and receives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from the geotag module 120 installed in the facility 200 to automatically update facility space information, A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 ≪ / RTI &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ncludes facility name, facility specification, location information, geographical name, drawing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and the geotag that is generated by the geotag module 120 may include the longitude and latitude coordinates of the facility 200 The geotag module 120 forms the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by combining the geotag with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s changed when the facility 200 is expanded, demolished, or structured, and the geotag module 120 ) Is transmitted in combination with the changed facility space information, and the geotag generated in the geotag module is transmitted in combination with the changed facility space informa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은 상기 시설물(200)의 이상거동을 검출하도록 상기 시설물(200)에 설치되는 계측기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eotag module (120) is integrated with a meter installed in the facility (200) to detect abnormal behavior of the facility (2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은,
시설물 관리자로부터 입력된 상기 시설물(200)의 공간정보를 저장하는 시설물 공간정보 저장부(121);
상기 GPS 위성(110)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부(122);
상기 GPS 수신부(122)로부터 수신된 GPS 신호에 따라 상기 시설물(2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지오태그를 생성하는 지오태그 생성부(123);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저장부(121)에 저장된 시설물 공간정보 및 상기 지오태그 생성부(123)에 의해 생성된 지오태그를 결합하여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생성하는 지오태그 결합부(124); 및
상기 지오태그 결합부(124)에 의해 생성된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125)을 포함하는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eotag module (120)
A facility space information storage unit 121 for storing spac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200 inputted from the facility manager;
A GPS receiver 122 for receiving GPS signals from the GPS satellites 110;
A geotag generator 123 for generating a geotag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of the facility 200 according to the GPS signal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 122;
A geotagging unit 124 for generating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by combining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stored in the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storage unit 121 and the geotag generated by the geotag generator 123; And
And a communication module 125 that perform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o transmit the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geotagging unit 124 to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Automatic update system of facility spac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는,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로부터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수신하도록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131);
상기 시설물(200)의 변동전 시설물 공간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가 변동된 경우에 갱신된 시설물 공간정보를 저장하는 공간정보 DB(134);
상기 통신모듈(131)에 의해 수신된 지오태깅 공간정보 및 상기 공간정보 DB(134)에 저장된 변동전 시설물 공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시설물(200)의 공간정보가 변동되었는지 확인하는 지오태깅 공간정보 확인부(132); 및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가 변동된 경우,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를 자동으로 갱신하고, 갱신된 시설물 공간정보를 상기 공간정보 DB(134)에 저장하는 시설물 공간정보 갱신부(133)를 포함하는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A communication module 131 for performing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o receive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from the geotag module 120;
A spatial information DB (134) for storing the pre-change facility space information of the facility (200) and storing the updated facility space information when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s changed;
The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module 131 and the pre-change facility space information stored in the space information DB 134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o check whether or not the spatial information of the facility 200 is changed. 132; And
A facility space information updating unit 133 for automatically updating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and storing the updated facility space information in the space information DB 134 when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s changed, Automated Renewal System for Spatial Information of Facilities.
제1항에 있어서,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와 연동되며,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로부터 제공되는 시설물 공간정보를 수신하여 활용하는 시설물 공간정보 연동서버(300)를 추가로 포함하는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acility space information interworking server 300 interlocked with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vi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ceiving and using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is additionally provided Automatic Spatial Information Updating System Using Geotag Module Includ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연동서버(300)는 전자지도 서버, GIS 서버 또는 공간정보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interworking server (300) is an electronic map server, a GIS server, or a spatial information server.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시설물(200)에 각각 지오태그 모듈(120)을 설치하고,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에 시설물 공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이 GPS 위성(110)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지오태그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이 상기 저장된 시설물 공간정보와 상기 생성된 지오태그를 결합하여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d)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이 상기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에게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가 상기 전송된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기저장된 시설물 공간정보와 비교 및 확인하는 단계; 및
f)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가 상기 전송된 지오태깅 공간정보에 대응하는 시설물 공간정보를 자동 갱신(Update)하고 공간정보 DB(134)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는 시설물 명칭, 시설물 제원, 위치정보, 지리적 명칭, 도면정보 및 상태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에서 생성되는 지오태그는 상기 시설물(200)의 경도 및 위도 좌표를 포함하며, 상기 지오태그가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와 결합하여 지오태깅 공간정보를 형성하며, 상기 시설물(200)의 신축, 철거 또는 구조 변경 시에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가 변동되고,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에서 생성된 지오태그는 상기 변동된 시설물 공간정보와 결합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방법.
a) installing a geotag module (120) in at least one facility (200), and storing facility space information in the geotag module (120);
b) receiving the GPS signal from the GPS satellite 110 to generate a geotag;
c) generating the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by combining the stored facility space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geotag by the geotag module 120;
d) transmitting the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from the geotag module (120) to the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e)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compares and confirms the transmitted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with previously stored facility space information; And
f)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updates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and stores the updated facility space information in the space information DB 134
, ≪ / RTI &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ncludes facility name, facility specification, location information, geographical name, drawing information, and status information, and the geotag that is generated by the geotag module 120 may include the longitude and latitude coordinates of the facility 200 The geotag module 120 forms the geotagging space information by combining the geotag with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s changed when the facility 200 is expanded, demolished, or structured, and the geotag module 120 ) Is transmitted in combination with the changed facility space information. The method of automatically updating facility space information using the geotag module according to claim 1,
제8항에 있어서,
h)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가 변동된 경우,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관리서버(130)가 갱신된 시설물 공간정보를 시설물 공간정보 연동서버(300)에게 전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h) transferring the updated facility space information to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nterworking server (300) when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is changed, the facility spa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130) Automatic update of spatial informa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물 공간정보 연동서버(300)는 전자지도 서버, GIS 서버 또는 공간정보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interworking server (300) is an electronic map server, a GIS server, or a spatial information server.
삭제dele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오태그 모듈(120)은 상기 시설물(200)의 이상거동을 검출하도록 상기 시설물(200)에 설치되는 계측기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오태그 모듈을 이용한 시설물 공간정보 자동 갱신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geotag module (120) is integrated with a meter installed in the facility (200) to detect abnormal behavior of the facility (200).


KR1020150105609A 2015-07-27 2015-07-27 Automatic updating system of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using geotag module, and method for the same Active KR10167542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609A KR101675422B1 (en) 2015-07-27 2015-07-27 Automatic updating system of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using geotag module, and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5609A KR101675422B1 (en) 2015-07-27 2015-07-27 Automatic updating system of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using geotag module, and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5422B1 true KR101675422B1 (en) 2016-11-11

Family

ID=57527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5609A Active KR101675422B1 (en) 2015-07-27 2015-07-27 Automatic updating system of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using geotag module, and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542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220B1 (en) * 2021-08-25 2022-01-04 (주)스페이스 Facilities digital map correction system using GIS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833B1 (en) * 2006-07-26 2007-12-27 한국수자원공사 GS-based river and river facility management method
KR100796045B1 (en) 2007-02-08 2008-01-21 (주)올라웍스 Geotagging Method for Digital Data and Geographic Name Information Method for It
KR100955592B1 (en) * 2009-12-02 2010-04-30 (주) 지오매틱스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and gi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19184A (en) 2009-08-19 2011-02-25 (주)비글 Geo tagging feature
KR20110069993A (en) 2009-12-18 2011-06-24 주식회사 비첸비앤아이 Multimedia Information Geotagging Service Method
KR101044252B1 (en) * 2010-09-14 2011-06-28 주식회사 티엠이앤씨 Facility maintenance system and facility maintenance method using spatial model
KR20130006215A (en) 2011-07-08 2013-01-16 (주)로딕스 Apparatus for dynamically tagging geographical identification metadata in gio-tagg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30117248A (en) * 2012-04-18 2013-10-25 인덕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iver bed variation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KR101432593B1 (en) 2008-08-20 201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its geotagging method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833B1 (en) * 2006-07-26 2007-12-27 한국수자원공사 GS-based river and river facility management method
KR100796045B1 (en) 2007-02-08 2008-01-21 (주)올라웍스 Geotagging Method for Digital Data and Geographic Name Information Method for It
KR101432593B1 (en) 2008-08-20 2014-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its geotagging method
KR20110019184A (en) 2009-08-19 2011-02-25 (주)비글 Geo tagging feature
KR100955592B1 (en) * 2009-12-02 2010-04-30 (주) 지오매틱스 Facilities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and gi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10069993A (en) 2009-12-18 2011-06-24 주식회사 비첸비앤아이 Multimedia Information Geotagging Service Method
KR101044252B1 (en) * 2010-09-14 2011-06-28 주식회사 티엠이앤씨 Facility maintenance system and facility maintenance method using spatial model
KR20130006215A (en) 2011-07-08 2013-01-16 (주)로딕스 Apparatus for dynamically tagging geographical identification metadata in gio-tagg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30117248A (en) * 2012-04-18 2013-10-25 인덕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iver bed variation using location based ser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220B1 (en) * 2021-08-25 2022-01-04 (주)스페이스 Facilities digital map correction system using GI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10361B1 (en) Creating and monitoring alerts for a geographical area
US11776185B2 (en) Server, user terminal,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control method thereof for displaying photo images within a map
US8639803B2 (en) Systems and method for predicting the future location of an entity
JP62086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ushing point of interest information
US10122845B2 (en) Location based personal organizer
US20150370828A1 (en) Tile-Based Distribution of Searchable Geospatial Data to Client Devices
KR100649040B1 (en) Method of managing·browsing image data
CN104335013A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nowcasts along a route on a map
CN102037466A (en) File creation method and system
JP6279468B2 (en) How to access the augmented reality user context
CN1013394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icture file
US20140098249A1 (en) Terminal, method of forming video, apparatus to form an image, driving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101226731B1 (en) Digital map making method
KR20110027251A (en) Method and device for storing and retrieving content in a portable terminal
CN102722347A (en) A method for generating dynamic wallpaper and an electronic device
US9418351B2 (en) Automated network inventory using a user device
KR101675422B1 (en) Automatic updating system of facility spatial information using geotag module, and method for the same
KR20130068463A (en) System for providing history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service and the method
KR102624726B1 (en) Augmented reality base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wireless network design information
JP4363338B2 (en) POSITION INFORMATION SEARCH SYSTEM, POSITION INFORMATION SEARCH SERVER, AND POSITION INFORMATION SEARCH METHOD
JP2018018299A (en) Server and information terminal
JP4656586B2 (en) Mobile terminal, map distribution system, and program for displaying map data outside communication service area
Maheen et al. Development of Smart Complaint Portal based on Geotagging and Proximity Search
KR101226729B1 (en) Digital map making system
JP2013041088A (en) Map data providing system, server, and map data provid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