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73619B1 - 배터리 제어 회로를 구비한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제어 회로를 구비한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619B1
KR101673619B1 KR1020100129764A KR20100129764A KR101673619B1 KR 101673619 B1 KR101673619 B1 KR 101673619B1 KR 1020100129764 A KR1020100129764 A KR 1020100129764A KR 20100129764 A KR20100129764 A KR 20100129764A KR 101673619 B1 KR101673619 B1 KR 101673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power supply
automatic load
battery
swit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9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8232A (ko
Inventor
윤진석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9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619B1/ko
Publication of KR20120068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61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66Power reset mechanisms
    • H01H71/70Power reset mechanisms actuated by electric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0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 H02J1/108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using diodes blocking reverse current flow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with a programmable schedu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with digital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ontrol Of Multiple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제어 회로를 구비한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를 주전원에 연결되도록 회전하는 제1 모터;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를 보조 전원에 연결되도록 회전하는 제2 모터; 상기 제1 모터 및 제2 모터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전원 연결 스위치를 온, 오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1 모터 및 제2 모터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공급 전원; 및 상기 공급 전원에 상기 전원 연결 스위치를 통하여 병렬 연결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2개의 구동 모터가 모두 동작하는 경우에만 공급 전원(SMPS) 및 배터리를 병렬 연결하여 2개의 구동 모터에 구동 전류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SMPS 전원 용량 저감으로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배터리 제어 회로를 구비한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Automatic load transfer switch having battery control circuit}
본 발명은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Automatic load transfer switch, 일명 ALTS)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진공 회로 차단기(VCB:Vacuum circuit breaker}에 설치된 2개의 구동 모터의 전원 공급을 함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구동 모터의 동작 상태를 센싱하여 배터리 전원을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 전원과 병렬 연결하여 전원 용량을 증가할 수 있는 배터리 제어 회로를 구비한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ALTS)는 정전시에 큰 피해를 입는 공공 기관, 병원, 인텔리전트 빌딩, 전산 센터, 군사 시설 등의 수용가에 이중 전원을 확보하도록 하여 주전원 정전시 보조 전원으로 자동 전환시켜 수용가가 안정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기이다.
그래서, 주전원이 정전시 또는 주전원이 기준 전압 이하로 떨어질 경우 보조 전원으로 자동 전환시켜 수용가가 안정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런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ALTS)는 설치되는 곳의 특성상 설치 장소의 무정전 확보가 중요함과 동시에 설치된 기기의 안정성 또한 중요시된다.
한편, 종래에는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ALTS)의 진공 회로 차단기(VCB)에 1개의 구동 모터를 설치하여 정전시 자동 부하 절환을 하였다.
상기 구동 모터는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의 크기에 따른 구동 모터의 용량이 증가됨에 따른 전원 용량이 증가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ALTS)의 품질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하여 전원 용량은 증가 되어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2개의 구동 모터, 공급 전원 및 배터리를 구비하여 구동 모터의 최대 전류를 저감하는 동시에 공급 전원의 용량도 저감시키는 배터리 제어 회로를 구비한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제어 회로를 구비한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는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를 주전원에 연결되도록 회전하는 제1 모터;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를 보조 전원에 연결되도록 회전하는 제2 모터; 상기 제1 모터 및 제2 모터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전원 연결 스위치를 온, 오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1 모터 및 제2 모터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공급 전원; 및 상기 공급 전원에 상기 전원 연결 스위치를 통하여 병렬 연결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 전원과 배터리의 전원 용량은 동일하고, 상기 전원 용량은 상기 제1 모터 또는 제2 모터의 기동 전류량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는 SCR이며 상기 SCR의 게이트와 캐소드 사이의 전압차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터 및 제2 모터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적어도 하나가 동작하면 상기 전원 연결 스위치를 오프하여 공급 전원으로부터 배터리를 분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2개의 구동 모터가 모두 동작하는 경우에만 공급 전원(SMPS) 및 배터리를 병렬 연결하여 2개의 구동 모터에 구동 전류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SMPS 전원 용량 저감으로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ALTS)의 전체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ALTS 제어 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SCR의 구동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ALTS)의 전체 시스템 블록도는 주전원(110), 보조 전원(120), ALTS 시스템(100) 및 부하(150)를 포함한다.
ALTS 시스템(100)은 ALTS 제어 장치(140)와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160)를 포함한다.
부하(150)는 빌딩의 냉/난방 시스템, 전열기, 램프와 같은 전기 소모를 하는 소자이다.
주전원(110)은 ALTS 제어 장치(140)의 온 또는 오프 제어 신호에 따라 절체 스위치(160)를 접점(a)에 붙이고, 주전원(110)은 절체 스위치(160)를 통하여 부하(150)로 공급된다.
이때, 주전원(110)에 고장이 생기면 ALTS 제어 장치(140)는 이를 감지하고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160)를 접점(b)에 붙여 주전원(110)은 오프 시키고 보조 전원(120)을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160)를 통하여 부하(150)로 공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ALTS 제어 장치의 구성 블록도는 제어부(141), 센싱부(142), 제1 모터(143), 제2 모터(144), 전원 연결 스위치(147), 공급 전원(145) 및 배터리(146)를 포함한다.
공급 전원(145)은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이다.
제1 모터(143)는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160)에 축(미도시)을 결합하여 절체 스위치(160)가 움직여 주전원(110)에 연결되도록 회전 방향을 시계 방향으로 한다.
제2 모터(143)는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160)에 축(미도시)을 결합하여 절체 스위치(160)가 움직여 보조 전원(120)에 연결되도록 회전 방향을 반시계 방향으로 한다.
센싱부(142)는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이고, 제1 모터(143) 및 제2 모터(144)의 동작 상태를 감지한다.
감지하는 방법은 도 3에서 설명한다.
제어부(141)는 센싱부(142)로부터 출력(감지)된 신호에 따라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전원 연결 스위치(147)를 온 또는 오프 제어한다.
센싱부(142)는 제1 모터(143) 및 제2 모터(144) 둘 다 회전을 하는지 또는 제1 모터(143)와 제2 모터(144) 중 하나가 회전을 하는지 또는 제1 모터(143)와 제2 모터(144) 둘 다 회전을 하지 않는지의 3가지 경우를 감지한다.
제1 모터(143) 및 제2 모터(144) 둘 다 회전을 하거나 하나가 회전을 하는 경우에, 제어부(141)는 전원 연결 스위치(147)을 오프하여 배터리(146)를 공급 전원으로부터 분리하여 제1 모터(143) 및 제2 모터(144)로 공급되는 전류를 제한한다.
또한, 제1 모터(143)와 제2 모터(144) 둘 다 회전을 하지 않는 경우에, 제어부(141)는 전원 연결 스위치(147)을 온하여 배터리(146)를 공급 전원에 병렬 연결하여 제1 모터(143) 및/또는 제2 모터로 공급되는 전류를 충분히 한다.
여기서, 공급 전원(145)과 배터리(146)의 전원 용량은 동일하다.
보통 모터 하나 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160)의 부하 증가에 따른 모터 용량 증가는 공급 전원(145)의 용량 증가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두 개의 모터를 사용함에 따른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160)의 부하 감소와 그에 따른 모터 용량의 감소로 인하여 공급 전원(145)의 용량을 감소 할수 있다.
상기 용량이란 예를 들어서 24V/100A 등으로 정격 용량을 의미한다.
배터리(146)는 연료를 이용한 제너레이터(미도시)에 연결되어 전원 연결 스위치(147)가 오프된 경우에 제너레이터로부터 충전된다.
본 발명은 모터가 2개가 동시에 회전하는 경우는 시스템 불량 또는 테스트 모드 이므로 이때에 배터리(146)를 공급 전원(145)으로부터 분리하여 충분한 전류를 공급하지 않는다.
제1 구동 모터(143) 및 제2 구동 모터(144)는 동일하고, 공급 전원(145)의 용량은 최소한 구동 모터 하나의 기동 전류의 2배 이상 되어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CR 구동 회로는 저항(R), 제너다이오드(ZD) 및 개시 스위치(148)를 포함한다.
상기 SCR 구동 회로는 제어부(141)에 내장되고, 상기 개시 스위치(148)는 온 시키고 조금 있으면 자동 오프되는 즉, 개시 신호만 주는 토글 스위치로 제어부(141)의 전면 판넬에 위치된다.
공급 전원(145)은 저항(R)과 제너다이오드(ZD)를 바이어스한다.
그리고 개시 스위치(148)가 온 되고 조금 있다 오프된다.
온 된 순간 제너 전압은 전자 소자(Q2)를 온 시키고 다음에 전자 소자(Q1)을 온 시킨다.
공급 전원(145)은 전자 소자(Q1,Q2)를 통하여 제1 모터(143) 및/또는 제2 모터(144)에 공급된다.
센싱부(142)는 모터가 둘 다 동작하는 경우에 게이트-캐소드간 전압이 H(예를 들어 0.7V), 모터가 하나만 동작하는 경우에 게이트-캐소드간 전압이 L(예를 들어 0.6V), 모터가 둘 다 동작하는 않는 경우에 게이트-캐소드간 전압이 0V이다.
SCR의 전압/전류 특성을 이용하여 모터의 상태를 센싱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응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배터리
20 : SMPS 전원
30 : 입력 스위치부

Claims (4)

  1.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를 주전원에 연결되도록 회전하는 제1 모터;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를 보조 전원에 연결되도록 회전하는 제2 모터;
    상기 제1 모터 및 제2 모터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전원 연결 스위치를 온, 오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1 모터 및 제2 모터에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공급 전원; 및
    상기 공급 전원에 상기 전원 연결 스위치를 통하여 병렬 연결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터 및 제2 모터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적어도 하나가 동작하면 상기 전원 연결 스위치를 오프하여 공급 전원으로부터 배터리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어 회로를 구비한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전원과 배터리의 전원 용량은 동일하고, 상기 전원 용량은 상기 제1 모터 또는 제2 모터의 기동 전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어 회로를 구비한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는 SCR이며 상기 SCR의 게이트와 캐소드 사이의 전압차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제어 회로를 구비한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
  4. 삭제
KR1020100129764A 2010-12-17 2010-12-17 배터리 제어 회로를 구비한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 Active KR101673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764A KR101673619B1 (ko) 2010-12-17 2010-12-17 배터리 제어 회로를 구비한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9764A KR101673619B1 (ko) 2010-12-17 2010-12-17 배터리 제어 회로를 구비한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232A KR20120068232A (ko) 2012-06-27
KR101673619B1 true KR101673619B1 (ko) 2016-11-07

Family

ID=46686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9764A Active KR101673619B1 (ko) 2010-12-17 2010-12-17 배터리 제어 회로를 구비한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6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39072B (zh) * 2020-09-14 2022-12-16 天赋智能科技研究院(南京)有限公司 基于自适应计算方式的配电网负荷转供优化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543B1 (ko) * 2005-07-26 2007-04-10 황수명 복수개의 모터를 기동/정지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7202298A (ja) * 2006-01-26 2007-08-09 Mitsubishi Electric Corp 開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1744U (ko) * 2008-08-08 2010-02-18 한국서부발전 주식회사 자동 부하절체 시스템
KR20100043762A (ko) * 2008-10-21 2010-04-29 한국전기연구원 보조전원 스위치를 이용한 전력 절감용 전원공급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4543B1 (ko) * 2005-07-26 2007-04-10 황수명 복수개의 모터를 기동/정지하는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7202298A (ja) * 2006-01-26 2007-08-09 Mitsubishi Electric Corp 開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232A (ko)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64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an electrical backfeed
US11031807B2 (en) Power supply device and power supply system
JP5486400B2 (ja) 省電力ラインインタラクティブ無停電電源装置
CN102122839B (zh) 低压交流控制回路中防晃电辅助电源及供电方法
CN108933431B (zh) 用于核电站盘车电机的启动保护电路及启动保护系统
CN103296738A (zh) 一种双重备用节约型直流供电系统
KR101021598B1 (ko) 순간정전 보상장치
KR101417492B1 (ko) 전력계통과 연계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73619B1 (ko) 배터리 제어 회로를 구비한 자동 부하 절체 개폐기
CN205666679U (zh) 一种旁路自动切换型的ups
CN116195166A (zh) 具有双稳态开关单元的逆变器
CN109936139B (zh) 一种配电网双端柔性互联配电系统及其配电方法
CN113555948A (zh) 供电控制系统、供电控制方法以及通信设备
EP4224669A1 (en) Power sup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US7345380B2 (en) Backup power supply system with a null transfer time
CN203301212U (zh) 一种双重备用节约型直流供电系统
JP5707184B2 (ja) 配電システム
WO2023216566A1 (zh) 一种配电电路、控制配电电路供电的方法和供电系统
CN220797869U (zh) 一种配电系统及用户系统
JP2011041427A (ja) 無停電工事用電源装置
CN103887872A (zh) Ups装置
JPH06253457A (ja) 単相3線式線路における不平衡の改善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電力供給装置
CN211456775U (zh) 储能变流器及其供电系统
CN216409904U (zh) 一种空气预热器控制系统
CN216355978U (zh) 多电源转换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1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1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21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