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66422B1 -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 - Google Patents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422B1
KR101666422B1 KR1020150140902A KR20150140902A KR101666422B1 KR 101666422 B1 KR101666422 B1 KR 101666422B1 KR 1020150140902 A KR1020150140902 A KR 1020150140902A KR 20150140902 A KR20150140902 A KR 20150140902A KR 101666422 B1 KR101666422 B1 KR 101666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fabric layer
layer
cushion portion
adhes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형
남택준
임호섭
이명진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50140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42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42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with circulation of air through a layer inside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75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adhesion, e.g. glu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부직포 재질로 형성된 판상의 형상이며, 상면이 통풍시트 쿠션부의 하면에 결합되어 쿠션부 하면의 공기유로홈을 외부와 차단되도록 막아주는 제1부직포층;
상면이 제1부직포층의 하면에 결합된 제2부직포층; 및
제1부직포층의 하면과 제2부직포층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어 제1부직포층과 제2부직포층을 상호 접합시키고, 비통기성 재질로 형성되어 쿠션부의 공기유로홈이 외부와 실링되도록 하는 통풍차단부재;를 포함하는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가 소개된다.

Description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 {CUSHION COVER FOR AIR VENTILATION SEAT}
본 발명은 차량의 통풍시트의 쿠션부 하단에 마련되어 공기의 유로를 형성시키는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풍시트의 쿠션부 하단에는 공기가 유통되나 세어나가지 않을 수 이도록 별도의 커버를 구비하게 된다.
종래의 경우 플라스틱 재질의 경질 커버를 사용하여, 통풍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하지만, 플라스틱 재질의 경질 커버를 이용하는 경우 승객의 착좌시 이물감을 느낄 수 있어 착좌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플라스틱 재질의 커버는 커버를 제작하기 위해 투자되는 사출금형 비용 등으로 인하여 제조 단가가 상승하고 결과적으로 제품 단가의 상승으로 이어지며 이는 전체 시트 제품의 원가 경쟁력의 저하를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이 외에도 시트 패드와 상이한 재료 물성에 의한 변형량의 차이로 인해, 착좌 시 커버가 쿠션부에서 이탈되며, 밀폐성을 상실하는 등 성능에 문제가 될 수 있는 요소가 존재하였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JP 2013-233860 A
본 발명은 시트의 쿠션부와 결합되어 밀폐성을 제공하고 승객의 착좌감을 향상시키는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는 부직포 재질로 형성된 판상의 형상이며, 상면이 통풍시트 쿠션부의 하면에 결합되어 쿠션부 하면의 공기유로홈을 외부와 차단되도록 막아주는 제1부직포층; 상면이 제1부직포층의 하면에 결합된 제2부직포층; 및 제1부직포층의 하면과 제2부직포층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어 제1부직포층과 제2부직포층을 상호 접합시키고, 비통기성 재질로 형성되어 쿠션부의 공기유로홈이 외부와 실링되도록 하는 통풍차단부재;를 포함한다.
제1부직포층의 상면과 쿠션부 하면을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는 접착제일 수 있다.
통풍차단부재는 비통기성 접착제일 수 있다.
비통기성 접착제는 유동성을 갖는 액체로써, 제1부직포층의 하면 및 제2부직포층의 상면의 표면 공극으로 스며들며 제1부직포층 및 제2부직포층을 결합시킬 수 있다.
비통기성 접착제는 제1부직포층의 하면 및 제2부직포층의 상면의 표면으로 스며들지 않은 중앙부가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비통기성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비통기성 접착제는 Acrylic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또는 Rubber PSA 또는 Hot Melt PSA일 수 있다.
통풍차단부재는 비통기성 필름이고, 비통기성 필름과 제1부직포층의 하면 및 제2부직포층의 상면은 상호 접착제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비통기성 필름은 Olefin계 수지 재질일 수 있다.
제1부직포층에는 제1부직포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접착홀이 형성되고, 접착홀을 통해 제1부직포층의 상방으로 노출된 통풍차단부재가 쿠션부의 하면과 결합됨으로써 통풍차단부재를 통하여 쿠션부, 제1부직포층 및 제2부직포층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제1부직포층은 쿠션부의 하면 중 공기유로홈의 테두리 부분과 접촉되고, 접착홀은 제1부직포층 중 쿠션부의 하면과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에 따르면, 착좌시 이물감이 없고 밀폐성을 유지하면서도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 배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의 구성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 배치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의 구성도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100)는 부직포 재질로 형성된 판상의 형상이며, 상면이 통풍시트 쿠션부(107)의 하면에 결합되어 쿠션부(107) 하면의 공기유로홈을 외부와 차단되도록 막아주는 제1부직포층(101); 상면이 제1부직포층(101)의 하면에 결합된 제2부직포층(103); 및 제1부직포층(101)의 하면과 제2부직포층(103)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어 제1부직포층(101)과 제2부직포층(103)을 상호 접합시키고, 비통기성 재질로 형성되어 쿠션부(107)의 공기유로홈이 외부와 실링되도록 하는 통풍차단부재;를 포함한다.
통풍시트의 경우 시트의 쿠션부(107)에 공기유로홈을 가공해두고, 쿠션부(107) 하단을 쿠션 커버를 이용하여 밀폐시킴으로서 냉난방 공조공기가 시트의 착좌면으로 공급되도록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종래의 경우 플라스틱 재질의 경질 쿠션 커버를 사용하여, 쿠션부(107) 하단을 밀폐시켰다. 하지만, 플라스틱 재질의 경질 커버를 이용하는 경우 승객의 착좌시 이물감을 느낄 수 있어 착좌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플라스틱 재질의 커버는 커버를 제작하기 위해 투자되는 사출금형 비용 등으로 인하여 제조 단가가 상승하고 결과적으로 제품 단가의 상승으로 이어지며 이는 전체 시트 제품의 원가 경쟁력의 저하를 야기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100)는 유연성이 뛰어나며 차폐성능이 있는 부직포에 통풍차단부재를 통하여 차폐성능을 향상시켜 사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착좌시 승객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플라스틱 커버의 높이, 두께, 강도를 제거하고 판상의 부착식 커버를 적용함으로서 승객의 착좌감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하였다.
또한, 쿠션 커버를 유연성을 갖는 부직포 재질로 제조함으로써, 쿠션부(107) 하단이 복잡한 형상으로 형성되더라도 그 형상을 따라 부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쿠션부(107) 하단의 형상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부착 가능하게 되고, 쿠션부(107)의 종류와 형상이 다양하더라도, 쿠션 커버는 일원화하여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제1부직포층(101)의 상면과 쿠션부(107)의 하면을 결합시키는 고정부재(3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301)는 접착제일 수 있다.
통풍차단부재는 비통기성 접착제(201)일 수 있다. 비통기성 접착제(201)는 유동성을 갖는 액체로써, 제1부직포층(101)의 하면 및 제2부직포층(103)의 상면의 표면 공극으로 스며들며 제1부직포층(101) 및 제2부직포층(103)을 결합시킬 수 있다. 비통기성 접착제(201)는 제1부직포층(101)의 하면 및 제2부직포층(103)의 상면의 표면으로 스며들지 않은 중앙부가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비통기성 층을 형성할 수 있다. 비통기성 접착제(201)는 Acrylic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또는 Rubber PSA 또는 Hot Melt PSA일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제1부직포층(101)과 제2부직포층(103)을 비통기성 접착제(201)를 통하여 결합시키고 있는데, 제1부직포층(101)의 하면 및 제2부직포층(103)의 상면의 표면에 형성된 공극으로 비통기성 접착제(201)가 스며들어 결합함으로서 양층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하여 반복되는 승객의 승차 또는 하차에도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100)를 구성하는 각 층이 박리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강하게 결합시키는 특성이 있다.
통풍차단부재는 비통기성 필름(203)이고, 비통기성 필름(203)과 제1부직포층(101)의 하면 및 제2부직포층(103)의 상면은 상호 접착제(205)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비통기성 필름(203)은 Olefin계 수지 재질일 수 있다.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100)와 시트의 쿠션부(107)의 결합력은 공기유로홈과의 밀폐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는 곳 통풍시트의 토출공기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시트에는 승객이 반복적으로 승하차를 반복하면서 쿠션부(107)의 형상이 반복적으로 변형되며, 변형 및 회복이 반복되더라도 쿠션 커버와 시트의 쿠션부(107)의 결합력은 유지되어야 한다.
또한 시트가 장착되는 차량의 종류에 따른 영향도 고려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세단 등의 일반도로를 주행하는 차량 대비 험로 및 오프로드 주행의 가능성이 높은 RV/SUV 차량의 경우 그 결합력은 더욱 강하게 필요하다.
도 3 내지 4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은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100)를 구성하는 제1부직포층(101)과 제2부직포층(103) 및 통풍차단부재로 구성되어있다. 통풍차단부재는 비통기성 필름(203)과 이를 제1부직포층(101) 및 제2부직포층(103)과 결합시키는 접착제(205)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같이 점착성능과 비통기 성능을 이원화하여 별도 레이어로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성능을 강화할 수 있다.
제1부직포층(101)에는 제1부직포층(101)을 관통하는 복수의 접착홀이 형성되고, 접착홀을 통해 제1부직포층(101)의 상방으로 노출된 통풍차단부재가 쿠션부(107)의 하면과 결합됨으로써 통풍차단부재를 통하여 쿠션부(107), 제1부직포층(101) 및 제2부직포층(103)이 함께 결합될 수 있다. 제1부직포층(101)은 쿠션부(107)의 하면 중 공기유로홈의 테두리 부분과 접촉되고, 접착홀은 제1부직포층(101) 중 쿠션부(107)의 하면과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제1부직포층(101)의 상면에는 제1부직포층(101)을 관통하는 복수의 접착홀이 마련되고 제1부직포층(101)의 상방으로 노출된 통풍차단부재가 쿠션부(107)의 하면과 결합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정부재(301)를 사용하지 않고 시트의 쿠션부(107)와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100)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되어, 시트의 생산단가 및 생산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속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 101 : 제1부직포층
103 : 제2부직포층 105 : 접착홀
201 : 비통기성 접착제 203 : 비통기성 필름
301 : 고정부재

Claims (11)

  1. 부직포 재질로 형성된 판상의 형상이며, 상면이 통풍시트 쿠션부의 하면에 결합되어 쿠션부 하면의 공기유로홈을 외부와 차단되도록 막아주는 제1부직포층;
    상면이 제1부직포층의 하면에 결합된 제2부직포층; 및
    제1부직포층의 하면과 제2부직포층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어 제1부직포층과 제2부직포층을 상호 접합시키고, 비통기성 재질로 형성되어 쿠션부의 공기유로홈이 외부와 실링되도록 하는 통풍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제1부직포층의 상면과 쿠션부 하면에는 접착제로 이루어진 고정부재가 마련됨으로써 고정부재에 의해 제1부직포층의 상면과 쿠션부 하면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
  2. 삭제
  3. 삭제
  4. 부직포 재질로 형성된 판상의 형상이며, 상면이 통풍시트 쿠션부의 하면에 결합되어 쿠션부 하면의 공기유로홈을 외부와 차단되도록 막아주는 제1부직포층;
    상면이 제1부직포층의 하면에 결합된 제2부직포층; 및
    제1부직포층의 하면과 제2부직포층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어 제1부직포층과 제2부직포층을 상호 접합시키고, 비통기성 재질로 형성되어 쿠션부의 공기유로홈이 외부와 실링되도록 하는 통풍차단부재;를 포함하며,
    통풍차단부재는 유동성을 갖는 액체로 이루어진 비통기성 접착제이며,
    제1부직포층의 하면 및 제2부직포층의 상면의 표면으로 스며들지 않은 중앙부가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비통기성 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
  5. 청구항 4에 있어서,
    비통기성 접착제는 제1부직포층의 하면 및 제2부직포층의 상면의 표면 공극으로 스며들며 제1부직포층 및 제2부직포층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
  6. 삭제
  7. 청구항 4에 있어서,
    비통기성 접착제는 Acrylic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또는 Rubber PSA 또는 Hot Melt PS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
  8. 부직포 재질로 형성된 판상의 형상이며, 상면이 통풍시트 쿠션부의 하면에 결합되어 쿠션부 하면의 공기유로홈을 외부와 차단되도록 막아주는 제1부직포층;
    상면이 제1부직포층의 하면에 결합된 제2부직포층; 및
    제1부직포층의 하면과 제2부직포층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어 제1부직포층과 제2부직포층을 상호 접합시키고, 비통기성 재질로 형성되어 쿠션부의 공기유로홈이 외부와 실링되도록 하는 통풍차단부재;를 포함하며,
    통풍차단부재는 Olefin계 수지 재질인 비통기성 필름이고, 비통기성 필름과 제1부직포층의 하면 및 제2부직포층의 상면은 상호 접착제를 통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
  9. 삭제
  10. 부직포 재질로 형성된 판상의 형상이며, 상면이 통풍시트 쿠션부의 하면에 결합되어 쿠션부 하면의 공기유로홈을 외부와 차단되도록 막아주는 제1부직포층;
    상면이 제1부직포층의 하면에 결합된 제2부직포층; 및
    제1부직포층의 하면과 제2부직포층의 상면 사이에 개재되어 제1부직포층과 제2부직포층을 상호 접합시키고, 비통기성 재질로 형성되어 쿠션부의 공기유로홈이 외부와 실링되도록 하는 통풍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제1부직포층에는 제1부직포층을 관통하는 복수의 접착홀이 형성되고, 접착홀을 통해 제1부직포층의 상방으로 노출된 통풍차단부재가 쿠션부의 하면과 결합됨으로써 통풍차단부재를 통하여 쿠션부, 제1부직포층 및 제2부직포층이 함께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1부직포층은 쿠션부의 하면 중 공기유로홈의 테두리 부분과 접촉되고, 접착홀은 제1부직포층 중 쿠션부의 하면과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
KR1020150140902A 2015-10-07 2015-10-07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 Active KR101666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902A KR101666422B1 (ko) 2015-10-07 2015-10-07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902A KR101666422B1 (ko) 2015-10-07 2015-10-07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422B1 true KR101666422B1 (ko) 2016-10-17

Family

ID=57250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902A Active KR101666422B1 (ko) 2015-10-07 2015-10-07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4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0021B2 (en) 2016-11-04 2020-05-05 Hyundai Dymos Incorporated Cushion cover for ventilation seat
KR102113559B1 (ko) 2019-04-02 2020-05-22 현대트랜시스(주) 시트의 통풍기구용 커넥터 연결구조 및 그 제조장치
KR102164042B1 (ko) * 2019-04-02 2020-10-13 현대트랜시스(주) 통풍시트용 채널 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25881A (ko) 2019-04-26 2020-11-05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 및 통풍 시트용 주름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1456A (ja) * 1997-09-18 1999-04-06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内装材
JP2001145542A (ja) * 1999-11-18 2001-05-2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
JP2009120025A (ja) * 2007-11-14 2009-06-04 Japan Vilene Co Ltd 自動車用内装材及び自動車用内装基材
JP2013233860A (ja) 2012-05-09 2013-11-21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KR20150072564A (ko) * 2013-12-20 2015-06-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층구조의 흡차음재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1456A (ja) * 1997-09-18 1999-04-06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内装材
JP2001145542A (ja) * 1999-11-18 2001-05-29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
JP2009120025A (ja) * 2007-11-14 2009-06-04 Japan Vilene Co Ltd 自動車用内装材及び自動車用内装基材
JP2013233860A (ja) 2012-05-09 2013-11-21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KR20150072564A (ko) * 2013-12-20 2015-06-3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다층구조의 흡차음재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0021B2 (en) 2016-11-04 2020-05-05 Hyundai Dymos Incorporated Cushion cover for ventilation seat
KR102113559B1 (ko) 2019-04-02 2020-05-22 현대트랜시스(주) 시트의 통풍기구용 커넥터 연결구조 및 그 제조장치
KR102164042B1 (ko) * 2019-04-02 2020-10-13 현대트랜시스(주) 통풍시트용 채널 커버 및 그 제조방법
US11124098B2 (en) 2019-04-02 2021-09-21 Hyundai Transys Incorporated Channel cover for ventilation sea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200125881A (ko) 2019-04-26 2020-11-05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통풍 시트용 주름관의 제조방법 및 통풍 시트용 주름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422B1 (ko) 통풍시트용 쿠션 커버
US20150129325A1 (en) Solar battery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JP5617686B2 (ja) 表皮一体の発泡成形体の成形金型
KR102164042B1 (ko) 통풍시트용 채널 커버 및 그 제조방법
US20170037970A1 (en) Method for Producing a Functional Element, and Functional Element
JP6552826B2 (ja) 車両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10166892B2 (en) Pad
JP5488883B2 (ja) 車両用内装材
KR101281022B1 (ko) 차량용 통풍시트
US10640021B2 (en) Cushion cover for ventilation seat
JP5136193B2 (ja) 枠体付きガラスの射出成形用金型および枠体付きガラスの製造方法
KR101987976B1 (ko) 차량의 통풍시트
CN103764447B (zh) 一种用于制造覆件的方法
JP2010506779A (ja) 特には自動車用の、ドア張り、及び製造方法
KR20200115853A (ko) 자동차용 인슐레이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인슐레이션
US20180072145A1 (en) Panel structure of sun roof
US20140265422A1 (en) Encapsulated windshield molding
KR102113559B1 (ko) 시트의 통풍기구용 커넥터 연결구조 및 그 제조장치
KR102183196B1 (ko) 차량용 통풍시트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12863330A (zh) 柔性垫及显示设备
JP2009254669A (ja) 車両用シートパッド体及び車両用シートパッド体の製造法
US20240174144A1 (en) Seat pad
KR100829854B1 (ko) 시트제조방법
JP7643264B2 (ja) 車両の表皮付き内装品
KR101345639B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백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0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