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410B1 - Control method of freeze prevention device and bridges freeze prevention device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of freeze prevention device and bridges freeze preven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6410B1 KR101666410B1 KR1020160048671A KR20160048671A KR101666410B1 KR 101666410 B1 KR101666410 B1 KR 101666410B1 KR 1020160048671 A KR1020160048671 A KR 1020160048671A KR 20160048671 A KR20160048671 A KR 20160048671A KR 101666410 B1 KR101666410 B1 KR 1016664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bridge
- sensor
- road surface
- sea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UXVMQQNJUSDDNG-UHFFFAOYSA-L Calc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a+2] UXVMQQNJUSDDNG-UHFFFAOYSA-L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29910001628 calc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01110 calc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0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0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0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06010060904 Freezing phenomenon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108010053481 Antifreeze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1513371 Knautia arv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28 anti-freez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67 b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PALAKNZSZLMCH-UHFFFAOYSA-M sodium;chloride;hydrate Chemical compound O.[Na+].[Cl-] HPALAKNZSZLMC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0—Improving gripping of ice-bound or other slippery traffic surfaces, e.g. us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 Roadside storage of gritting or solid thawing materials; Permanently 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Mobile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reating wintry roads by applying liquid, semi-liquid or granular materials
- E01H10/005—Permanently-installed devices for applying gritting or thawing materials, e.g. for spreading grit, for spraying de-icing liquid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 H01L41/113—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1/00—Generators or motors not provided for elsewhere; Alleged perpetua mobilia obtained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H02N11/002—Genera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30—Thermophotovoltaic system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3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mechanical input and electr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generators or sens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60—Thermal-PV hyb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f Streets, Tracks, Or Beach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결빙 방지장치 및 결빙 방지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바다 또는 강을 지나는 교량 노면에 겨울철 발생하는 결빙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교량에 결빙 방지장치를 설치하여 해수를 분사함으로 결빙을 방지 및 제거하는 것이며, 강의 교량일 경우 강물에 염화칼슘을 혼합한 염화칼슘 액을 분사함으로 교량 노면의 결빙을 방지 및 제거하기 위한 교량 결빙 방지장치 및 결빙 방지장치 제어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freeze prevention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freeze prevention device. In order to prevent the freezing phenomenon occurring in the winter on a bridge road passing through the sea or a river, an anti-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freezing prevention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freezing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and removing freezing of a road surface by spraying a calcium chloride solution mixed with calcium chloride into a river when the bridge is a steel bridge.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 결빙 방지장치 및 결빙 방지장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바다 또는 강을 지나는 교량 노면에 겨울철 발생하는 결빙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교량에 결빙 방지장치를 설치하여 해수를 분사함으로 결빙을 방지 및 제거하는 것이며, 강의 교량일 경우 강물에 염화칼슘을 혼합한 염화칼슘 액을 분사함으로 교량 노면의 결빙을 방지 및 제거하기 위한 교량 결빙 방지장치 및 결빙 방지장치 제어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freeze prevention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freeze prevention device. In order to prevent the freezing phenomenon occurring in the winter on a bridge road passing through the sea or a river, an anti-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freezing prevention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freezing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and removing freezing of a road surface by spraying a calcium chloride solution mixed with calcium chloride into a river when the bridge is a steel bridge.
일반적으로 교량이나 고가도로 도로면에서 겨울철 눈 또는 비에 의해 결빙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Generally, there is freezing phenomenon by snow or rain in the winter on the bridge or overpass road.
교량이나 고가도로에서 결빙이 발생하는 이유 중 겨울철 강우 또는 강설시 도로면 양측으로 흘러 배수가 원할하게 이루어져야 하지만, 배수로가 얼거나, 이물질이 발생하는 경우 강우 또는 강설로 인해 발생된 물이 배수되지 않고 고여지게되며, 고인물이 바로 얼려져 도로면에 결빙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Among the reasons for freezing in bridges and overpasses, it is necessary to drain water on both sides of the road during winter rainfall or snowfall, but when the drainage channel is frozen or foreign matter is generated, water generated by rainfall or snowfall is not drained There is a problem that freezing occurs on the road surface due to the frost being frozen immediately.
최근에는, 도로면 결빙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설차 또는 교량 및 고가도로 양측으로 염화칼슘 용액을 분사 가능하도록 하여 도로의 결빙을 제거하고 있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prevent freezing of the road surface, freezing of roads is removed by making a calcium chloride solution sprayable to both sides of a snowmobile or a bridge and an overpass.
하지만, 염화칼슘 용액을 분사하도록 구비되는 교량에 관할 관리자가 사용량에 따라 염화칼슘 용액을 직접 이동하며 보충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고, 폭설로 인한 염화칼슘 용액 분사가 자주 발생함에 따라 염화칼슘 용액이 소진되었는지를 알 수 없어 관리자가 직접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it is inconvenient for the administrator in charge of the bridges provided for spraying the calcium chloride solution to directly move and replenish the calcium chloride solution depending on the usage amount, and it is known whether the calcium chloride solution is exhausted due to frequent injection of the calcium chloride solution due to heavy snowfall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an administrator has to check directly.
또한, 염화칼슘 용액을 일정한 장소에서 생산하여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lcium chloride solution must be produced and transported in a certain place.
전국에 시공된 교량에서 염화칼슘 용액을 생산하여 운반하고, 각각의 교량에 보충함에 생산비, 인건비 등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The production of calcium chloride solution from the bridges installed in the whole country and transporting them, and replenishing them to the respective bridges causes problems such as low production cost and labor cost efficiency.
<참고문헌><References>
출원번호 10-2008-0125242 염수를 이용한 해상 교량의 자동제설장치Application No. 10-2008-0125242 Automatic Snow Removal System for bridges using brine
본 발명은 바다의 교량, 강의 교량 노면에서 발생되는 결빙현상에 대해 집수장치를 이용하여 바닷물을 이용한 해수분사와 강물의 분사시 강물과 염화칼슘을 혼합한 염화칼슘액의 분사로 교량 노면의 결빙 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venting freezing of bridge road surface by spraying seawater using seawater using a water collecting device for sea ice bridges and river bridges, and spraying a calcium chloride solution mixed with river and calcium chloride .
또한, 분사장치는 교량에 설치되는 제어부를 통한 자동 분사 또는 관제센터에서 모니터링 후 원격을 통한 강제 분사로 이루어지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jection device is intended to consist of automatic injection through a control part installed in a bridge or forced injection through a remote after monitoring at a control center.
또한, 분사노즐에 히팅코일을 적용함으로 분사장치 미작동시 분사노즐에 잔류되는 물이 결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by applying a heating coil to the spray nozzle, it is intended to prevent water remaining on the spray nozzle from freezing during operation of the spray device.
또한, 분사노즐의 분사 방향이 다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하여 노면 전체 결빙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event the entire surface of the road from freezing by spraying the spraying direction of the spraying nozzle in multiple directions.
또한, 야간 및 심야시간에 이동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결빙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집수탱크에 형광액을 투입하여 빙판길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ice road accidents by injecting a fluorescent liquid into a collecting tank so that a driver of a vehicle moving at night and at night time can easily check the icing state.
또한, 에어펌프를 통해 분사노즐로 공기를 분사함으로 야간 또는 심야시간 차량의 이동이 없을 경우 쌓이는 눈을 제거해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ir is injected through the air pump to the injection nozzle, thereby removing accumulated snow when there is no movement of the vehicle at night or at night.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의 도로면 결빙을 방지하기 위한 결빙 방지장치(10)는, 수중에 구비되는 집수펌프(110)와 집수펌프(110)를 통해 집수탱크(130)로 해수가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집수관(120)과, 집수관(120)을 통해 공급된 해수를 저장하는 집수탱크(130)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해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부(100)와;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vice for preventing freezing of a bridge from being frozen on a road surface, comprising a water collecting tank (130) through a collecting pump (110)
집수탱크(130)에 저장된 해수가 분사관(230)까지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이송관(210)과 도로면 양측 가드레일(30)에 설치되는 분사관(230)과 상기 분사관(230)과 이송관(210) 사이에 분사펌프(220)가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해수를 도로면에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200)와;A
야간에 운전자에게 도로면 결빙상태를 알려주도록 집수탱크(130)에 형광액을 투입하는 혼합부(300)와;A
현재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410)와 현재 강설을 감지하는 강설센서(420)와, 현재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430)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센서(410), 강설센서(420), 조도센서(430)의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제공하는 센서부(400)와;A temperature sensor 410 for sensing a current temperature, a
상시 전원의 공급중단시 결빙 방지장치(10)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여 공급하는 보조전원부(500)와;An auxiliary power unit (500) for generating and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icemaker (10) when the supply of the constant power source is interrupted;
센서부(400)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집수부(100)와 분사부(200)를 통해 집수된 해수를 도로면에 분사하도록 제어하며, 조도상태를 파악하여 혼합부(300)를 통해 집수탱크(130)에 형광액 투입을 제어하며, 상시전원 공급중단시 보조전원부(500)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a sens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400,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본 발명의 상기 결빙 방지장치(10)는, 센서부(400)의 오류 및 파손으로 인해 자동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원격관제수단(900)에서 직접 확인 가능하도록 감시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교량(20)에 형성된 감시카메라부(700)와;The
상기 감시 영상을 모니터링 후 결빙 방지장치(10)의 집수부(100)와 분사부(200)와 혼합부(300)를 강제로 원격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원격관제수단(900);A remote control means 900 for monitoring the monitor image to forcibly remotely control the
상기 원격관제수단(900)으로부터 원격 제어신호를 받아 제어부(600)로 전송하기 위해 형성되는 원격통신수단(80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emote communication means 800 configured to receive a remote control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means 900 and transmit the remote control signal to the
본 발명의 교량의 도로면 결빙을 방지하기 위한 결빙 방지장치 제어방법은,A method for controlling a freezing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freezing of a road surface of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교량(20)에 설치되는 온도센서(410)와 조도센서(430)를 통해 기상을 관측하는 기상관측단계(S10)와;A meteorological observing step (S10) of observing the gas phase through a temperature sensor (410) installed in the bridge (20) and an illuminance sensor (430);
온도센서(410)에 의해 기설정 온도 이하일 경우, 집수펌프(110)를 가동하고, 동시에 제1솔레노이드 밸브(140)를 개방하여 해수를 집수탱크(130)에 집수하도록 하는 집수단계(S20)와;A water collecting step S20 for activating the
기상악화 또는 야간으로 감지된 경우, 도로면의 결빙상태를 운전자가 확인하도록 집수탱크(130)에 형광액을 투입하는 형광액 투입단계(S30)와;(S30) of injecting a fluorescent liquid into the collecting tank (130) so that the driver confirms the freezing state of the road surface when the weather is deteriorated or detected at night;
분사펌프(220)를 가동시켜 저장된 해수를 분사노즐(250)을 통해 도로면에 분사하도록 하는 분사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jetting step (S40) in which the jet pump (220) is operated to jet the stored seawater onto the road surface through the jetting nozzle (250).
또한, 상기 제어방법은, 센서부(400)의 작동 불능에 의해 도로면 결빙에도 결빙 방지장치(10)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 원격관제수단(900)에서 원격신호를 원격통신수단(800)으로 전송하여 원격제어 하도록 하는 원격제어단계(S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trol method, when the
또한, 상기 원격제어단계(S70)는, 상기 감시카메라부(700)가 생성한 감시영상을 통해 도로면 결빙에 따른 자동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감시단계(S70-1)와;The remote control step S70 may include a monitoring step S70-1 for determining whether automatic control according to road surface freezing is performed through the monitoring image generated by the
상기 감시단계(S80-1)를 통해 도로면이 결빙상태에도 자동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원격관제수단(900)이 원격통신수단(800)으로 원격신호를 전송하여 집수부(100)와 분사부(200)와 혼합부(300)를 구동시키는 원격신호전송단계(S70-2)와;The remote control means 900 transmits a remote signal to the remote communication means 800 and transmits the remote signal to the
원격신호에 따라 제어부(600)가 집수부(100)와 분사부(200)와 혼합부(300)를 구동하여 도로면에 해수를 강제분사 하는 강제분사단계(S7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orced injection step S70-3 in which the
본 발명은 바닷물 또는 강물과 염화칼슘이 혼합된 염화칼슘액을 통해 바다 또는 강의 교량 도로면에 센서에 의한 자동 분사와 관제센터에서 감시에 의한 강제 분사로 결빙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preventing freezing by automatic injection by a sensor on the road surface of a sea or a river through a calcium chloride solution in which sea water or river and calcium chloride are mixed, and forced injection by monitoring in a control center.
또한, 분사노즐에 히팅코일이 구비되어 분사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 분사노즐에 미열을 발생시켜 잔류되는 물이 결빙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a heating coil is provided in the spray nozzle to generate a slight heat in the spray nozzle when the spray device is not operated, thereby preventing the remaining water from freezing.
또한, 교량 도로면에 분사노즐에 다방향으로 분사홈을 형성시켜 도로면 전체에 분사되어 결빙을 신속하게 제거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jetting grooves are formed in the injection nozzles in many directions on the road surface of the bridge to spray the entire road surface to quickly remove the ice.
또한, 바닷물 또는 강물이 집수되는 집수탱크에 운전자가 야간 및 심야시간에 도로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형광액을 투입하여 결빙시 분사됨으로 도로의 상태를 쉽게 알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fluorescent water is injected into the collecting tank in which seawater or river water is collected so that the driver can check the road condition at night and at night time, and it is sprayed when icing, so that the condition of the road can be easily recognized.
또한, 분사노즐을 통해 중앙 가드레일에서 도로면 양측으로 에어펌프를 작동함으로 공기를 분사하여 야간 또는 심야시간 차량의 이동이 없을 경우 쌓이는 눈을 제거하여 도로면이 결빙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Also, the air pump is operated from the center guard rail to both sides of the road surface through the spray nozzle to spray the air, thereby removing snow accumulated in the nighttime or at nighttime when the vehicle does not move, thereby preventing the road surface from freezing.
도 1은 본 발명 교량 결빙 방지장치에 대한 바다 교량에 설치되는 방지장치 구성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교량 결빙 방지장치에 대한 각 구성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교량 결빙 방지장치에 대한 강 교량에 설치되는 방지장치 구성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교량 결빙 방지장치 제어방법에 대한 자동제어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교량 결빙 방지장치 제어방법에 대한 강제제어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교량 결빙 방지장치 제어방법에 대한 구성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교량 결빙 방지장치 제어방법에 대한 자동분사제어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교량 결빙 방지장치 제어방법에 대한 에어펌프제어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교량 결빙 방지장치 제어방법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의 강제분사제어 흐름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nti-freezing device for 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each component of the bridge freeze preve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vention device installed on a steel bridge for the bridge freeze prevent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automatic control flowchar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a bridge anti-ic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of a forced control process for a method of controlling a bridge freeze preven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ridge anti-freeze apparatus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of automatic injection control for a method of controlling a bridge freeze preven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 chart of the air pump control for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bridge anti-freez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lowchart of a forced injection control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controlling a bridge freez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 바다 교량에 설치되는 방지장치 구성 단면도이고, 도 2는 각 구성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강 교량에 설치되는 분사장치 구성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에 대한 자동제어 순서도이고, 도 5는 제어방법에 대한 강제제어 순서도이며, 도 6은 제어방법에 대한 구성 블록도이다. 또한, 도 7은 제어방법에 대한 자동분사제어 흐름도이며, 도 8은 제어방법에 대한 에어펌프제어 흐름도이고, 도 9는 제어방법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의 강제분사제어 흐름도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ventive device installed in a sea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each constitution, and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injection device installed in a steel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automatic control flowchart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orced control flowchart for the control method, and FIG. 6 is a configuration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method. 7 is an automatic injection control flowchart for the control method, FIG. 8 is an air pump control flowchart for the control method, and FIG. 9 is a forced injection control flowchart in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 method.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교량(20)의 도로면 결빙을 방지하기 위한 결빙 방지장치(10)는,As shown in Fig. 1, the
수중에 구비되는 집수펌프(110)와 집수펌프(110)를 통해 집수된 해수를 집수탱크(130)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집수관(120)과, 집수관(120)을 통해 공급된 해수를 저장하는 집수탱크(130)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해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부(100)와;The
집수탱크(130)에 저장된 해수가 분사관(230) 까지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이송관(210)과 도로면 양측 가드레일(30)에 설치되는 분사관(230)과 상기 분사관(230)으로 해수가 이동되도록 분사관(230)과 이송관(210) 사이에 분사펌프(220)가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해수를 도로면에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200)와;A
야간에 운전자에게 도로면 결빙상태를 알려주도록 집수탱크(130)에 형광액을 투입하는 혼합부(300)와;A
현재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410)와 현재 강설을 감지하는 강설센서(420)와, 현재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430)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센서(410), 강설센서(420), 조도센서(430)의 감지신호를 제어부(600)에 제공하는 센서부(400)와;A temperature sensor 410 for sensing a current temperature, a
상시 전원의 공급중단시 결빙 방지장치(10)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여 공급하는 보조전원부(500)와;An auxiliary power unit (500) for generating and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icemaker (10) when the supply of the constant power source is interrupted;
센서부(400)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집수부(100)와 분사부(200)를 통해 집수된 해수를 도로면에 분사하도록 제어하며, 조도상태를 파악하여 혼합부(300)를 통해 집수탱크(130)에 형광액 투입을 제어하며, 상시전원 공급중단시 보조전원부(500)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a sens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400,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집수펌프(110) 일측으로 형성되는 집수관(120)이 교각을 따라 상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집수관(120)을 따라 이동되는 해수가 저장되도록 교각에 집수탱크(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1, a collecting
따라서, 집수펌프(110)에서 집수되는 해수가 집수관(120)을 따라 이동되어 집수탱크(130)에 저장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ly, the sea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상기 집수펌프(110)는 수중에 항상 위치하여 내부가 부식될 우려가 있으므로,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상태를 확인하며, 필요 시 교체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ince the
상기 집수부(100)는 조수간만이나 우기/건기에 따른 수면 높이의 변화에도 항상 수면근처 수중에 집수펌프(110)가 위치하도록 하는 부유구(180)와; 집수펌프(110)의 위치변화에 관계없이 집수관(120)과 집수펌프(110)가 연결되도록 집수관(120)과 집수펌프(110) 사이에 형성되는 플렉서블 관(160)과;The water collecting part (100) includes a floating unit (180) for always placing the water collecting pump (110) in the water near the water surface even when the water level varies according to the tide interval or the rainy / dry season; A
상기 집수관(120)의 관 내부에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집수관(120) 외주면에 형성되는 보온재(170)와;A
상기 플렉서블 관(160) 일측에 집수펌프(110) 작동시 전자식 개폐로 해수가 집수되도록 형성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140)와 상기 집수탱크(130) 내부에 집수되는 물이 얼지 않도록 형성되는 히팅수단(15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상기 플렉서블 관(160)과 집수펌프(110) 사이에 제1솔레노이드 밸브(140)가 형성되며, 상기 집수펌프(110)과 집수탱크(130) 사이의 집수관(120) 일측에는 집수되는 해수 내의 이물질을 걸러내주기 위해 집수필터(18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상기 집수펌프(110)의 가동시 제1솔레노이드 밸브(140)가 동시에 개방되어 해수를 집수하는 것으로, 제1솔레노이드 밸브(140)는 상기 집수펌프(110)의 가동이 정지될 경우 닫혀 집수탱크(130)에 저장된 해수가 압력에 의해 역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집수탱크(130)는 내부에 수위센서(190)를 포함하며, 집수되는 해수는 수위센서(190)에 의해 집수량이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수위센서(190)는 집수탱크(130)에 저장되는 해수를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수위 값에 도달하면 감지신호를 제어부(600)에 전달하고, 신호를 받은 제어부(600)는 집수펌프(110)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상기 집수탱크(130) 내부 일측면에 형성되는 히팅수단(150)은 해수 인 경우, 집수탱크(130) 외면에 발생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고, 강 또는 하천에 설치시 집수되는 물이 얼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ting means 150 formed on one side of the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사부(200)는, 이송관(210)이 집수탱크(130) 내부에서 외부로 교각을 따라 상측으로 형성되며, 일정한 위치에서 도로면 양측으로 형성된 분사관(230) 방향으로 이송관(21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분사관(230) 일측과 이송관(210) 사이에 분사펌프(2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he
상기 분사부(200)는, 분사관(230) 외주면 일측으로 해수가 도로면에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분사노즐(2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jetting unit (200) includes a jetting nozzle (250) formed such that seawater is sprayed on a road surface to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jetting tube (230); And further comprising:
이송관(210)을 통해 분사관(230)으로 해수가 이동되고, 분사펌프(220)에서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해수가 분사노즐(250)을 통해 도로면에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awater is moved to the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250)은 전면에 상부, 중부, 하부로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제1노즐홈(251), 제2노즐홈(252), 제3노즐홈(253)과;2, the
상기 분사노즐(250) 외주면에 분사 후 잔류되는 해수의 결빙 또는 습기로 인한 결빙현상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히팅코일(26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상기 도 2에서 (A)~(D)는 각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A)에서는 상기 분사노즐(250)에 형성되는 제1노즐홈(251)은 분사방향에서 좌측방향, 제2노즐홈(252)의 분사방향은 중앙, 제3노즐홈(253)의 분사방향은 제1노즐홈(251)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분사되도록하여 사선의 형태로 정렬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 (A) to 2 (D) are enlarged view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In FIG. 2 (A), the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250)의 각 노즐홈(251, 252, 253)의 방향은 사용자의 임의에 맞게 제작하여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directions of the
또한, 상기 분사노즐(250)을 통해 분사되는 해수는 상당한 압력을 가하여 분사되거나, 물이 흐르는 형태로 분사되는 것으로 도로면의 폭 내지는 도로 교통상황에 따라 분사노즐(250) 구경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awater injected through the
또한, 상기 히팅코일(260)은 분사노즐(250)의 노즐 전체에 미열을 가해줌으로 얼지 않을 정도로만 열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에서는 도로면 양측 가드레일(30)에 형성되는 분사펌프(220)에 의해 분사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D)에서는 집수탱크(130)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으로, 집수탱크(130)에서 이송관(210)을 통해 해수가 이동되는 것으로 이송관(210) 내부에 발생되는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이송관(210) 외주면에 보온재(17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 shows an enlarged view of the
상기 분사부(200)는 중앙 측 가드레일(30)의 중심 양측으로 형성되는 분사관(230)과, 상기 분사관(230) 일측에 형성되어 도로면에 쌓이는 눈을 공기를 통해 제거하기 위한 에어펌프(2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jetting
도 2의 (C)에서 중앙 측 가드레일(30) 양측에 형성된 분사관(230)으로 공기를 분사하도록 에어펌프(270)가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2C shows that the
따라서, 상기 에어펌프(270)의 작동으로 해수가 아닌 공기만 분사되어 도로면에 쌓이는 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ly, only the air other than the seawater is inj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상기 에어펌프(270)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는 야간 및 심야 시간에 교량(20)을 통행하는 차량이 적을 경우, 눈 쌓임을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ir injected through the
상기 에어펌프(270)는 강설센서(420)의 감지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상기 분사펌프(220)는 분사가 완료되면 제어부(600)의 제어에 의해 역회전하여 분사관(230)과 이송관(210) 내부에 존재하는 잔존 해수를 집수탱크(130) 내부로 회수하여 이송관 내부에서 해수의 결빙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injection is completed, the
도 1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혼합부(300)는 형광액을 집수탱크(130)에 투입하는 것으로, 운전자에게 결빙상태에 대한 경각심을 심어줌으로 차량의 서행으로 안전하게 통행하도록 하고, 도로의 사각지대에 발생하는 빙판(블랙아이스 현상)에 의한 빙판교통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S. 1 and 3, the
상기 혼합부(300)는, 집수탱크(130)에 투입되는 형광액을 저장하도록 상기 집수탱크(130) 일측으로 형성되는 형광액 저장부(310)와;The
상기 형광액 저장부(310)와 집수탱크(130) 사이에 형성되는 형광액 투입부(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luorescent-
상기 형광액 저장부(310)는 집수탱크(130)의 일측으로 교각에 설치되어 형광액을 저장하며, 상기 형광액 투입부(320)는 형광액의 양을 조절하여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luorescence
상기 집수탱크(130)에 투입되는 형광액은 도로면에 해수 분사시 형광액에 의해 도로면 결빙상태를 운전자가 미리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luorescent liquid to be injected into the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부(300)는, 집수탱크(130) 내에서 염화칼슘을 이용하여 염화칼슘 액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집수탱크(130) 일측으로 형성되는 염화칼슘 저장부(330)와; 상기 염화칼슘 저장부(330)와 집수탱크(130) 사이에 형성되어 집수되는 물의 양에 따라 투입되는 염화칼슘의 양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염화칼슘 투입부(3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3, the
상기 결빙 방지장치(10)가 강 또는 하천 등의 교량(20)에도 설치되는 경우 집수되는 것이 물이므로, 물에는 소금성분이 없어 결빙방지 효과가 없다. When the freezing
따라서, 상기 염화칼슘 저장부(330)와 염화칼슘 투입부(340)는 집수된 물에 소금성분을 첨가하여 결빙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한 구성수단이다.Accordingly, the calcium
상기 염화칼슘 투입부(340)는 제어부(600)를 통해 저장수단(610)에 저장된 염화칼슘 투입량 정보에 맞게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lcium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집수탱크(130) 내부에 해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농도측정센서(191); 를 더 포함하며,As shown in FIG. 1, a
상기 농도측정센서(191)에 의해 집수탱크에 집수된 해수의 농도를 측정하며,해수의 농도가 기설정된 기준 농도 이하 일 경우, 염화칼슘 저장부(330)에서 염화칼슘이 집수탱크(130)에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centration of the sea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tank is measured by the
상기 농도측정센서(191)는 집수탱크(130)의 내부 벽면에 위치하여 해수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으로,The
기준 농도 이하인 해수를 도로면에 분사하는 경우 도로면의 결빙방지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염화칼슘을 집수탱크(130)에 투입하여 기설정 된 해수의 기준 농도와 동일하게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seawater having the reference concentration or less is sprayed on the road surfac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freezing of the road surface is reduced.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calcium chloride is put into the collecting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400)는 온도센서(410), 강설센서(420), 조도센서(430)를 포함한다.1 to 3, the sensor unit 400 includes a temperature sensor 410, a
상기 온도센서(410)는 도로면상의 현재 온도를 감지하기 위해 교량의 어느 일측에 형성된다. 예들 들어 교량(20)의 중앙이나 갓길 측의 도로면에 형성될 수 도 있으나 특정 장소에 제한되지 않고 도로면상의 현재 온도를 측정 가능한 위치면 상관없다.The temperature sensor 410 is formed on either side of the bridge to sense the current temperature on the road surface. For example, at the center of the
상기 강설센서(420)는, 도로면에 쌓이는 눈을 감지하기 위해 교량의 어느 일측에 형성된다. 예들 들어 가드레일(30) 상면이나 도로면에 형성될 수 도 있으나 특정 장소에 제한되지 않고 도로면에 쌓이는 눈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면 상관없다. The
상기 조도센서(430)는, 주간/야간 또는 기상악화로 인한 교량 주변 조도의 변화를 감지하도록 교량의 어느 일측에 형성된다. 예들 들어 가드레일(30) 상면에 형성될 수 도 있으나 특정 장소에 제한되지 않고 교량 주변 조도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위치면 상관없다. The
상기 온도센서(410)는 기설정 온도 이하를 감지하게 되면 감지신호를 제어부(600)로 제공한다. 상기 기 설정온도란 결빙이 예상되는 일반적인 영하 온도면 족하며, 0℃ 인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temperature sensor 410 senses a temperature lower than a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temperature sensor 410 provides a sensing signal to the
온도센서(410)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은 제어부(600)는 집수부(100)와 분사부(200)를 제어하여 집수된 해수를 도로면에 분사하게 된다.The
또한, 도로면에 설치되는 강설센서(420)는 도로면에 쌓이는 눈을 감지하는 것으로 강설센서(420)에 의한 감지신호는 에어펌프(27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로 사용되며, 강설센서(420)로부터 감지신호를 제공받는 제어부(600)는 어에펌프(270)를 구동시켜 도로면 상의 눈을 제거함으로 1차 결빙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조도센서(430)는 교량(20) 주변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며, 조도센서(430)는 주간/야간 이외에 기상악화로 인해 주변의 조도가 낮아질 경우를 감지하는 것으로, 조도센서(430)에 의한 감지신호는 혼합부(30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즉, 조도센서(43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제어부(600)는 혼합부(300)를 제어하여 형광액을 집수탱크(130)에 투입하게 된다.That is, the
상기 조도센서(430)는 기설정된 조도값 이하를 감지하게 되면 감지신호를 제어부(600)에 제공한다.The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조전원부(500)는 태양광 모듈(510)과 압전소자(520)를 이용하여 결빙 방지장치(10)에서 필요로 하는 전력을 생산하는 것으로, 상시 전원의 공급이 중단될 경우 보조전원으로 사용될 전력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to 3, the
상기 보조전원부(500)는 결빙 방지장치(10)가 상용전원을 사용할 수 없는 비상상황 시 결빙 방지장치(10)에 보조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교량(20) 일측에 설치되어 태양열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모듈(510)과;The
도로면에 매립되어 전력을 발생시키는 압전소자와(520);A piezoelectric element (520) embedded in the road surface to generate electric power;
상기 압전소자(520)와 태양광모듈(510)에 의해 생산된 전력이 충전되는 보조배터리(5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상기 압전소자(520)는 도로면에 다량 매립되도록 구성되어, 차량이 진행할 경우 차량의 무게가 압전소자(520)를 눌러줌으로 전력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따라서, 압전소자(520)와 태양광 모듈(510)을 설치하여 전력을 생산하고 보조배터리(530)에 전력을 충전함으로 상시전력이 차단될 경우, 보조배터리(530)에 충전된 전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when the constant voltage is cut off by installing the
도 1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어부(600)는, 온도센서(410)에서 감지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집수부(100)와 분사부(200)를 제어하여 해수를 도로면에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집수부(100)를 제어하여 해수가 집수탱크(130)에 저장되도록 하고, 일정량 해수가 집수탱크(130)에 저장되면 분사부(200)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and 3, the
또한, 제어부(600)는 조도센서(430)에 조도상태를 파악하여 혼합부(300)를 통해 집수탱크(130)에 형광액을 투입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형광액 저장부(310)에서 형광액을 집수탱크(130)로 투입시 형광액 투입부(320)에서 집수되는 해수의 양에 맞게 형광액의 양을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제어부(600)는 강설센서(420)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으면 분사부(200)의 에어펌프(270)를 구동하여 도로면상의 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제어부(600)는 평상시 외부에서 전력을 공급받아 집수부(100)와 분사부(200)와 혼합부(300)가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보조전원부(500)를 통해 상시 전원 공급중단시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여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제어부(600)는 해수의 분사가 완료되면 분사펌프(220)를 역회전 시켜 이송관(210)과 분사관A(230) 내부에 잔존하는 해수를 집수탱크 내부로 회수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injection of the seawater is completed, the
상기 제어부(600)는, 저장수단(610)을 포함하고, 저장수단(610)에 분사량, 분사시간, 분사횟수, 도로면 온도, 적설량 등의 데이타 정보를 저장하며,The
상기 저장수단(610)의 데이타 정보는 관제센터에서 유/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하거나, 관리자가 저장매체를 통해 직접 저장수단(610)에 저장한다.Data information of the storage means 610 may be input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t a control center or may be directly stored in a storage means 610 by a manager through a storage medium.
상기 저장수단(610)에 저장된 데이타를 기초로 감지되는 온도센서(410)와 강설센서(420)의 감지신호에 따라 자동 분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automatic injec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s of the temperature sensor 410 and the
또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구간별 설치되는 결빙 방지장치(10)에서 해수의 분사구동상태와 분사횟수, 분사시간, 분사량 등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ossible to check in real time the jet driving state of the seawater, the number of times of jetting, the jetting time, the jetting amount, and the like in the freezing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써, 도 1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결빙 방지장치(10)는 센서부(400)의 오류 및 파손으로 인해 자동분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원격관제수단(900)에서 직접 확인 가능하도록 감시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교량(20)에 형성된 감시카메라부(700)와;1 and 3, when the automatic injection is not performed due to an error or breakage of the sensor unit 400, the
감시카메라부(700)가 생성한 감시영상을 원격관제수단(900)으로 전송하거나, 원격관제수단(900)으로부터 원격 신호를 전송받기 위해 형성되는 원격통신수단(800)와;Remote communication means 800 formed to transmit the surveillance image generated by the
상기 감시 영상을 모니터링 후 결빙 방지장치(10)의 집수부(100)와 분사부(200)와 혼합부(30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신호를 생성하는 원격관제수단(90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mote control means (900) for generating a remote signal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100), the jetting portion (200) and the mixing portion (300) of the freezing prevention device (10) after monitoring the surveillance image; Further comprising:
자동분사제어가 되지 않는 주된 이유는 도로면에 설치되는 온도센서(410)와 강설센서(420)가 차량 또는 보행자에 의해 파손되어 오류가 발생하거나, 폭설 등에 의해 감지기능이 저하되는 것이다.The main reason that the automatic injection control is not performed is that the temperature sensor 410 and the
상기 감시카메라부(700)는 실시간으로 도로면의 상태를 감시하여 감시 영상을 생성하며, 생성된 감시 영상을 원격통신수단(800)을 통해 원격관제수단(900)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원격통신수단(800)은 상기 감시카메라부(700)에서 생성한 감시 영상을 제공받은 원격관제수단(900)으로부터 제어부(600)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신호를 전송받으며, 원격통신수단(800)으로 전송된 원격 신호를 제어부(6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mote communication means 800 receives a remote signal for controlling the
상기 원격관제수단(900)은 감시카메라부(700)에서 결빙 상태에도 결빙 방지장치(10)가 작동되지 않는 감시 영상을 제공받을 경우, 즉시 제어부(600)를 구동하도록 원격통신수단(800)으로 원격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mote control means 900 controls the remote control means 800 to immediately start the
상기 원격관제수단(900)에서 전송하는 원격신호를 원격통신수단(800)이 수신하며, 수신되는 원격신호를 제어부(600)로 전송하여 집수부(100), 분사부(200), 혼합부(300) 등을 제어하게 된다.The remote communication means 800 receives the remot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means 900 and transmits the received remote signal to the
즉, 센서부(400)의 작동불능 시 원격지에서도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when the sensor unit 400 can not be operated, remote control is enabled from a remote place.
본 발명의 결빙 방지장치(10)는 교량(20)이 바다 또는 강 이외의 지역에 설치됨으로 해수 또는 물을 공급하는 수원이 없는 경우, 집수펌프(130)는 지하수를 이용하기 위한 지하(심정)나 빗물을 모아 저장하는 빗물저장탱크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따라서, 결빙 방지장치(10)는 도로면 폭이 좁아 보행자만 통행하거나 차량만 통행하도록 시공되는 규모가 작은 다리 등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refore, the
아래에서는 도 4 내지 도 6 참고하여 결빙 방지장치에 대한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4 to 6, the control method for the icemak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량의 도로면 결빙을 위한 결빙 방지장치 제어방법에 있어서,As shown in FIG. 4,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controlling a freezing prevention device for freezing a road surface of a bridge,
교량(20)에 설치되는 온도센서(410)와 조도센서(430)를 통해 기상을 관측하는 기상관측단계(S10)와;A meteorological observing step (S10) of observing the gas phase through a temperature sensor (410) installed in the bridge (20) and an illuminance sensor (430);
온도센서(410)에 의해 기설정 온도 이하일 경우, 집수펌프(110)를 가동하고, 동시에 제1솔레노이드 밸브(140)를 개방하여 해수를 집수탱크(130)에 집수하도록 하는 집수단계(S20)와;A water collecting step S20 for activating the
조도센서(430)에 의해 기상악화 또는 야간으로 감지된 경우, 도로면의 결빙상태를 운전자가 확인하도록 집수탱크(130)에 형광액을 투입하는 형광액 투입단계(S30)와;A fluorescent liquid applying step (S30) of injecting a fluorescent liquid into the collecting tank (130) so that the driver confirms the freezing state of the road surface when the weather sensor is sensed by the illuminance sensor (430) or at nighttime;
분사펌프(220)를 가동시켜 저장된 해수를 분사노즐(250)을 통해 도로면에 분사하도록 하는 분사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jetting step (S40) in which the jet pump (220) is operated to jet the stored seawater onto the road surface through the jetting nozzle (250).
상기 기상관측단계(S10)는, 도로면 중앙과 갓길 측으로 형성된 온도센서(410) 중 어느 하나의 센서가 기설정 온도 이하가 될 경우를 감지하거나,In the meteorological observation step S10, when any one of the temperature sensors 410 formed at the center of the road surface and at the shoulder side is detected to be below a preset temperature,
또는 교량(20) 중앙 가드레일(30) 상면과 도로면에 형성된 강설센서(420)가 눈이 쌓이는 정도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r the
상기 집수단계(S20)는, 수중에 형성된 집수펌프(110)가 구동되고, 집수펌프(110)에 의해 집수되는 해수가 집수탱크(130)에 저장되도록 하는 것으로, 집수탱크(130)에 형성된 수위센서(190)가 미리 설정한 데이타 정보에 따라 집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ater collecting step S20 includes driving the
상기 형광액 투입단계(S30)는 분사되는 해수와 혼합되도록 집수탱크(130)에 형광액을 투입하는 것으로, 도로면의 결빙상태를 운전자가 미리 확인하도록 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The fluorescence liquid applying step S30 is to inject the fluorescent liquid into the
상기 형광액 투입단계(S30)는, 조도센서(430)에 의해 교량 주변의 조도가 기설정된 조도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조도판단단계(S30-1);The fluorescent material applying step S30 may include an illumination determining step S30-1 for determining whether the illuminance around the bridge is equal to or lower than a preset illuminance value by the
상기 조도판단단계(S30-1)에서 현재 조도가 기설정된 조도값 이하로 판단된 경우, 상기 형광액 투입부(320)를 통해 저장수단(610)에 입력된 형광액 투입량에 맞게 형광액을 집수탱크(130)에 투입하는 조절량투입단계(S30-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illuminanc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illuminance value in the illuminance determination step S30-1, the fluorescent liquid is col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the fluorescent liquid input to the
상기 조도판단단계(S30-1)는 교량(20) 주변의 조도가 기상악화 또는 야간 일 경우를 조도센서(430)에 의해 판단하여 기설정된 조도값 이상인지,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The roughness determination step S30-1 determines whether the roughness around the
교량(20) 주변의 조도가 밝은 경우는 형광액이 집수탱크(130)에 투입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illuminance around the
상기 형광액 투입량은 집수탱크(130) 수위량에 따라 투입되도록 저장수단(610)에 미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mount of the fluorescent liquid to be supplied is set in advance in the storage means 610 so as to be inputt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of the
상기 분사단계(S40)는 도로면의 결빙상태를 온도센서(410)의 감지에 의해서 분사노즐(250)을 통해 해수를 분사하며, 해수 분사 후 도로면이 기설정된 온도 이상일 경우 분사를 중단하는 것으로, 기설정된 온도는 0℃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praying step S40, the icemaking state of the road surface is sprayed with the seawater through the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 교량(20)이 강 또는 하천에 위치하는 경우 집수탱크(130) 일측으로 형성된 염화칼슘 저장부(330)에서 염화칼슘을 염화칼슘 투입부(340)를 통해 집수탱크(130)에 투입하는 염화칼슘 투입단계(S5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상기 염화칼슘 투입단계(S50)는 저장수단(610)에 저장된 집수량에 따른 투입량 등의 데이타에 따라 제어부(600)에서 염화칼슘 투입부(340)를 제어하여, 염화칼슘을 집수탱크(130)에 투입하게 된다.The calcium chloride injecting step S50 controls the calcium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 강설센서(420)에 의해 감지시, 에어펌프(270)가 쌓이는 눈을 제거하기 위한 에어펌프가동단계(S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ir pump operation step (S60) for removing snow accumulated by the air pump (270) when sensed by the snowfall sensor (420); And further comprising:
상기 에어펌프가동단계(S60)는, 도로면에 설치되는 강설센서(420)가 쌓이는 눈을 감지하는 강설감지단계(S60-1);The air pump operation step S60 includes a snowfall sensing step S60-1 in which the
강설 감지시 에어펌프(270)가 가동되고, 분사노즐(250)을 통해 공기를 분사하는 펌프가동 및 분사단계(S60-2);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ump operation and injection step (S60-2) in which the air pump (270) is activated when snowfall is sensed and air is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250); .
상기 강설감지단계(S60-1)에서 강설센서(420)는 기설정된 강설량에 따라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nowfall sensing step S60-1, the
따라서, 에어펌프(270)로 쌓이는 눈을 제거해줌으로 도로면이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ly, the snow accumulated on the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써, 센서부(400)의 작동 불능에 의해 도로면 결빙에도 결빙 방지장치(10)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 원격관제수단(900)에서 원격신호를 원격통신수단(800)으로 전송하여 원격제어 하도록 하는 원격제어단계(S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freezing
상기 원격제어단계(S70)는, 상기 감시카메라부(700)가 생성한 감시 영상을 통해 도로면 결빙에 따른 자동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감시단계(S70-1)와;The remote control step S70 may include a monitoring step S70-1 for determining whether automatic control according to road surface freezing is performed through the monitoring image generated by the
상기 감시단계(S70-1)를 통해 도로면이 결빙상태에도 자동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원격관제수단(900)이 원격통신수단(800)으로 원격신호를 전송하는 원격신호전송단계(S70-2)와;If the remote control means 900 does not automatically control the frozen road surface through the monitoring step S70-1, the remote control means 900 transmits a remote signal to the remote communication means 800 (S70- 2);
원격신호에 따라 제어부(600)가 집수부(100)와 분사부(200)와 혼합부(300)를 구동하여 도로면에 해수를 강제분사 하는 강제분사단계(S7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orced injection step S70-3 in which the
상기 원격제어단계(S70)는, 감시카메라부(700)가 생성한 감시 영상을 통해 결빙 방지장치(10)의 자동분사제어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을 판단하면, 원격관제수단(900)에서 원격신호를 원격통신수단(800)으로 전송하며, 원격신호를 전송받은 원격통신수단(800)은 원격신호를 제어부(600)로 전송하여, 집수부(100)와 분사부(200)와 혼합부(300)를 원격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remote control unit S70 determines that the automatic injection control of the
상기 원격제어단계(S70)에서 결빙 방지장치(10)가 자동분사제어 되지 않는 것은, 대부분 충격 등에 취약한 센서부(400)의 오류로 발생되는 것이다.The fact that the
도 7은 본 발명 결빙 방지장치의 자동분사제어 흐름도이다.7 is a flowchart of automatic injection control of the ice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결빙 방지장치(10)의 자동 분사제어에 대한 것으로, 기상 관측에 따라 도로면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하 일 경우 집수펌프(110)가 가동되고, 동시에 제1솔레노이드 밸브(140)가 개방되어 해수가 집수탱크(130)에 집수 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injection control of the
여기서, 도로면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계속해서 기상 관측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when the road surface temperature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the weather observation is continuously performed.
상기 집수탱크(130)에 집수되는 해수가 수위센서(190)에 감지에 따라 만수 시 집수펌프(110)가 정지되고, 제1솔레노이드 밸브(140)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여기서, 집수탱크(130)에 형성되는 수위센서(190)에 의해 만수가 되지 않았을 경우 계속해서 집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when the
상기 집수펌프(110)의 정지와 제1솔레노이드 밸브(140)차단 후 조도센서(430)에서 야간인지를 감지하며, 야간일 경우에는 집수탱크(130)에 형광액 투입부(320)가 개방되어 형광액이 투입되며, 분사펌프(220)가 가동되어 분사노즐(250)을 통한 분사가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여기서, 조도센서(430)에 따라 야간이 아닌 주간일 경우 또는 주변 조도가 밝은 경우 형광액이 투입되지 않고 바로 분사펌프(220)가 가동되어 분사노즐(250)을 통한 분사가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when the
상기 분사노즐(250)을 통한 분사시 도로면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상일 경우 분사펌프(220)가 정지되어 분사가 중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여기서, 도로면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하 일 경우에는 계속해서 분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when the road surface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preset temperature, the injection is continued.
도 8은 본 발명 결빙 방지장치의 에어펌프제어 흐름도이다.8 is a flow chart of an air pump control of the anti-ic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결빙 방지장치(10)는 차량 이동이 없는 시간에 도로면에 눈이 쌓을 제거하여 1차 결빙현상을 방지하도록 공기를 분사하는 것으로, 기상 관측을 통해 강설센서(420)에 의해 눈 감지시 중앙 가드레일(30)에 형성된 분사관(230) 일측 끝단 또는 중앙 내지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는 에어펌프(270)가 가동되고, 상기 에어펌프(270) 가동으로 분사노즐(250)을 통해 공기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nti-ic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ejects air so as to prevent accumulation of snow on the road surface during a time when there is no vehicle movement, thereby preventing primary ice-freezing phenomenon. A plurality of
여기서, 도로면에 쌓이는 눈이 소량이거나, 강설센서(420)에 감지되지 않을 만큼의 양일 경우 계속해서 기상관측 작업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if the amount of snow accumulated on the road surface is small or the snowfall amount is not detected by the
상기 분사노즐(250)을 통한 공기 분사 시 도로면에 쌓인 눈이 제거되어 강설센서(420)를 통해 감지가 되지 않을 경우 에어펌프(270)가 정지되어 공기 분사가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snow accumulated on the road surface is removed during the air injection through the
여기서, 도로면에 쌓인 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아 강설센서(420)에 지속적으로 감지 시 공기분사가 계속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snow accumulated on the road surface is not completely removed, and air is continuously sprayed when the
상기 에어펌프(270)를 통한 공기 분사 이후, 도로면 온도를 온도센서(410)에 의해 감지하며, 도로면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하가 아닐 경우에는 모든 작업이 종료되어 기상관측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fter air injection through the
하지만, 도로면 온도가 기설정 온도 이하 일 경우 도로면이 결빙될 우려가 있으므로, 자동분사제어 작업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owever, since the road surface may freeze when the road surface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preset temperature, the automatic injection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강제분사제어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of a forced injection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상 관측시 관제센터에서 이상을 감지하여 감시카메라부(700)로 교량(20)의 도로면을 확인함에 따라 자동분사제어 오류발생 인식 후 원격관제수단(900)에서 결빙 방지장치(10)의 원격통신수단(800)으로 원격으로 신호를 전송하며, 전송된는 원격신호를 제어부(600)로 전송하여 집수부(100)와 분사부(200)와 혼합부(300)의 가동이 시작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The control unit senses an abnormality in the control center at the time of meteorological observation and confirms the road surface of the
여기서, 원격관제수단(900)에서 전송되는 원격신호를 원격통신수단(800)에서 전송받지 못하는 경우, 원격관제수단(900)에서 재차 원격신호를 전송한다.If the remote control means 900 does not receive the remot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means 900, the remote control means 900 transmits the remote signal again.
상기 집수부(100)와 분사부(200)와 혼합부(300)의 가동으로 강제분사가 시작되며, 원격관제수단(900)에서 감시카메라부(700)로 강제분사되는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도로면의 결빙상태가 양호한 경우 집수부(100)와 분사부(200)와 혼합부(300)의 가동을 정지한다.Forced injection is started by the operation of the
여기서, 감시카메라부(700)를 통해 모니터링시 도로면이 양호하지 못할 경우는 계속해서 강제분사가 이루어진다.Here, if the road surface is not good during monitoring through the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결빙 방지장치 20 : 교량
30 : 가드레일
100 : 집수부 110 : 집수펌프
120 : 집수관 130 : 집수탱크
140 : 제1솔레노이드 밸브 150 : 히팅수단
160 : 플렉서블 관 170 : 보온재
180 : 부유구 181 : 집수필터
190 : 수위센서 191 : 농도측정센서
200 : 분사부 210 : 이송관
220 : 분사펌프 230 : 분사관
250 : 분사노즐 251 : 제1노즐홈
252 : 제2노즐홈 253 : 제3노즐홈
260 : 히팅코일 270 : 에어펌프
300 : 혼합부 310 : 형광액 저장부
320 : 형광액 투입부 330 : 염화칼슘 저장부
340 : 염화칼슘 투입부
400 : 센서부 410 : 온도센서
420 : 강설센서 430 : 조도센서
500 : 보조전원부 510 : 태양광 모듈
520 : 압전소자 530 : 보조배터리
600 : 제어부 610 : 저장수단
700 : 감시카메라부 800 : 원격통신수단
900 : 원격관제수단10: Anti-icing device 20: Bridge
30: Guard rail
100: collecting section 110: collecting pump
120: House water pipe 130: Collecting tank
140: first solenoid valve 150: heating means
160: Flexible tube 170: Insulating material
180: float 181: collecting filter
190: Level sensor 191: Concentration sensor
200: jetting section 210: transfer pipe
220: injection pump 230: injection pipe
250: injection nozzle 251: first nozzle groove
252: second nozzle groove 253: third nozzle groove
260: Heating coil 270: Air pump
300: mixing part 310: fluorescent material storage part
320: Fluorescent liquid input part 330: Calcium chloride storage part
340: calcium chloride input part
400: sensor part 410: temperature sensor
420: snowfall sensor 430: illuminance sensor
500: auxiliary power unit 510: solar module
520: piezoelectric element 530: auxiliary battery
600: control unit 610: storage means
700: surveillance camera unit 800: remote communication means
900: remote control means
Claims (16)
수중에 구비되는 집수펌프(110)와 집수펌프(110)를 통해 집수된 해수가 집수탱크(130)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집수관(120)과, 집수관(120)을 통해 공급된 해수를 저장하는 집수탱크(130)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해수를 집수하기 위한 집수부(100)와;
집수탱크(130)에 저장된 해수가 분사관(230)까지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이송관(210)과 도로면 양측 가드레일(30)에 설치되는 분사관(230)과 상기 분사관(230)과 이송관(210) 사이에 분사펌프(220)가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해수를 도로면에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200)와;
야간에 운전자에게 도로면 결빙상태를 알려주도록 집수탱크(130)에 형광액을 투입하는 혼합부(300)와;
현재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410)와 현재 강설을 감지하는 강설센서(420)와, 현재 조도를 감지하는 조도센서(430)를 포함하며 상기 온도센서(410), 강설센서(420), 조도센서(430)의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제공하는 센서부(400)와;
상시 전원의 공급중단시 결빙 방지장치(10)에 필요한 전력을 생산하여 공급하는 보조전원부(500)와;
센서부(400)로부터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집수된 해수를 분사부(200)를 통해 도로면에 분사하도록 제어하며, 분사완료 후 분사펌프(220)를 역회전시켜 이송관(210)과 분사관(230)에 잔존하는 해수를 집수탱크(130)로 회수하도록 제어하며, 조도상태를 파악하여 혼합부(300)를 통해 집수탱크(130)에 형광액 투입을 제어하며, 상시전원 공급중단시 보조전원부(500)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600)를 포함하며,
상기 집수부(100)는,
조수간만이나 우기/건기에 따른 수면 높이의 변화에도 항상 수면근처 수중에 집수펌프(110)가 위치하도록 하는 부유구(180)와;
집수펌프(110)의 위치변화에 관계없이 집수관(120)과 집수펌프(110)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플렉서블 관(160)과;
상기 집수관(120)의 관 내부에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집수관(120) 외주면에 형성되는 보온재(170)와;
상기 집수탱크(130) 내부에 집수되는 물이 얼지 않도록 형성되는 히팅수단(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결빙 방지장치.
The anti-icing device (10) for preventing freezing of the road surface of a bridge
A collecting pipe 120 formed to allow the seawater collected through the water collecting pump 110 and the water collecting pump 110 to move to the collecting tank 130 and the seawater supplied through the collecting pipe 120 A collecting part 100 formed to include a collecting tank 130 for collecting the seawater;
A transfer tube 210 formed to move the seawater stored in the collecting tank 130 to the spray tube 230, a spray tube 230 installed on both side surface guard rails 30, A jetting part 200 formed to include a jetting pump 220 between the tubes 210 and spraying seawater onto the road surface;
A mixing unit 300 for injecting a fluorescent liquid into the catchment tank 130 so as to inform the driver of a frost on the road at night;
A temperature sensor 410 for sensing a current temperature, a snowfall sensor 420 for sensing a current snowfall and an illuminance sensor 430 for sensing a current illuminance. The temperature sensor 410, the snowfall sensor 420, A sensor unit 400 for providing a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430 to the control unit;
An auxiliary power unit (500) for generating and supplying power required for the icemaker (10) when the supply of the constant power source is interrupted;
When the sensing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nsor unit 400, the collected seawater is sprayed to the road surface through the spray unit 200. After the spray is completed, the spray pump 220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collection water tank 230 to collect the seawater remaining in the water collecting tank 130 and grasp the illuminance state and control the injection of the fluorescent liquid into the water collecting tank 130 through the mixing unit 300, And a control unit (600)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through the power supply unit (500)
The collecting part (100)
A float (180) for always placing the water collecting pump (110) in the water near the water surface even when the water level changes according to the tide interval or the rainy season / dry season;
A flexible pipe 160 formed to connect the collecting pipe 120 and the collecting pump 110 to each other regardless of a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collecting pump 110;
A heat insulating material 170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llector pipe 120 to prevent condensation inside the pipe of the collector pipe 120;
And a heating means (150) for preventing water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tank (130) from freezing.
상기 분사부(200)는,
해수가 도로면에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 분사관(230)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는 분사노즐(2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결빙 방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jetting unit (200)
Further comprising an injection nozzle (250)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pray pipe (230) to spray seawater on the road surface.
상기 혼합부(300)는,
집수탱크(130)에 투입되는 형광액을 저장하도록 상기 집수탱크(130) 일측으로 형성되는 형광액 저장부(310)와;
상기 형광액 저장부(310)에서 집수탱크(130) 사이에 형성되는 형광액 투입부(3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결빙 방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ixing unit 300 includes:
A fluorescent liquid storage unit 310 formed at one side of the collecting tank 130 to store a fluorescent liquid to be supplied to the collecting tank 130;
A fluorescent liquid injecting unit 320 formed between the fluorescence liquid storing unit 310 and the collecting tank 130; Wherein the bridge freeze prevention device comprises:
상기 혼합부(300)는,
집수탱크(130)로 투입될 염화칼슘을 저장하기 위해 상기 집수탱크(130) 일측으로 형성되는 염화칼슘 저장부(330)와;
상기 염화칼슘 저장부(330)와 집수탱크(130) 사이에 형성되어 집수되는 물의 양에 따라 투입되는 염화칼슘의 양을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염화칼슘 투입부(3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결빙 방지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ixing unit 300 includes:
A calcium chloride storage unit 330 formed at one side of the catchment tank 130 to store calcium chloride to be introduced into the catchment tank 130;
A calcium chloride injecting unit 340 formed between the calcium chloride storage unit 330 and the collecting tank 130 to regulate the amount of calcium chloride add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water collected; Further comprising: a bridge-freezing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bridging of the bridge.
상기 집수탱크(130) 내부에 해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형성되는 농도측정센서(191); 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농도측정센서(191)에 의해 집수탱크에 집수된 해수의 농도가 측정되며, 해수의 농도가 기설정된 기준 농도 이하 일 경우, 염화칼슘 저장부(330)에서 염화칼슘이 집수탱크(130)에 투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결빙 방지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A concentration measuring sensor 191 form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seawater in the catchment tank 130; Further compri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seawater collected in the collecting tank is measured by the concentration measuring sensor 191.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seawater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concentration, the calcium chloride storage portion 330 charges the calcium chloride into the collecting tank 130 And the bridge freeze prevention device.
상기 보조전원부(500)는,
결빙 방지장치(10)가 상용전원을 사용할 수 없는 비상상황 시 결빙 방지장치(10)에 보조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교량(20) 일측으로 설치되어 태양열에 의해 전력을 생산하는 태양광 모듈(510)과;
외부에서 전력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도로면에 매립되어 전력을 발생시키는 압전소자(520)와;
상기 태양광 모듈(510)과 압전소자(520)에 의해 생산된 전력이 충전되는 보조배터리(5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결빙 방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uxiliary power unit 500 includes:
The solar battery module (51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ridge (20) to supply auxiliary power to the freeze preventing device (10) in an emergency situation where the freezing prevention device (10) and;
A piezoelectric element 520 that is embedded in the road surface to generate electric power when power supply is interrupted from the outside;
An auxiliary battery 530 charged with electric power produced by the solar module 510 and the piezoelectric element 520; Further comprising: a bridge-freezing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bridging of the bridge.
상기 결빙 방지장치(10)는,
센서부(400)의 오류 및 파손으로 인해 자동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원격관제수단(900)에서 직접 확인 가능하도록 감시 영상을 생성하기 위해 교량(20)에 형성된 감시카메라부(700)와;
상기 감시카메라부(700)의 감시영상을 원격관제수단(900)에 전송하고, 원격관제수단(900)으로부터 원격 신호를 전송받아 제어부(600)로 전송하기 위해 형성되는 원격통신수단(800)과;
상기 감시 영상을 모니터링 후 결빙 방지장치(10)의 집수부(100)와 분사부(200)와 혼합부(30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원격신호를 생성하는 원격관제수단(90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결빙 방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nti-icing device (10)
A surveillance camera unit 700 formed on the bridge 20 to generate a surveillance image so that the remote control means 900 can directly confirm the automatic surveillance if the sensor unit 400 is not automatically injected due to an error or breakage;
A remote communication means 800 for transmitting a monitoring image of the monitoring camera unit 700 to the remote control means 900 and receiving a remote signal from the remote control means 900 and transmitting the remote signal to the control unit 600; ;
Remote control means (900) for generating a remote signal for remotely controlling the water collecting portion (100), the jetting portion (200) and the mixing portion (300) of the freezing prevention device (10) after monitoring the surveillance image; Further comprising: a bridge-freezing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bridging of the bridge.
상기 분사부(200)는,
중앙 측 가드레일(30)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분사관(230)과, 상기 분사관(230) 일측에 형성되어 도로면에 쌓이는 눈을 공기를 통해 제거하기 위한 에어펌프(2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결빙 방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jetting unit (200)
An air pump 270 formed at one side of the spray pipe 230 to remove snow accumulated on the road surface through the air, a spray pipe 23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guardrail 30, Further comprising: a bridge-freezing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bridging of the bridge.
교량(20)에 설치되는 온도센서(410)와 강설센서(420)와 조도센서(430)를 통해 기상을 관측하는 기상관측단계(S10)와;
온도센서(410)에 의해 기설정 온도 이하일 경우, 집수펌프(110)를 가동하고, 동시에 제1솔레노이드 밸브(140)를 개방하여 해수를 집수탱크(130)에 집수하도록 하는 집수단계(S20)와;
조도센서에 의해 기상악화 또는 야간으로 감지된 경우, 도로면의 결빙상태를 운전자가 확인하도록 집수탱크(130)에 형광액을 투입하는 형광액 투입단계(S30)와;
분사펌프(220)를 가동시켜 저장된 해수를 분사노즐(250)을 통해 도로면에 분사하도록 하는 분사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결빙 방지장치 제어방법.
A method for controlling a freezing prevention device for preventing freezing of a road surface of a bridge,
A meteorological observing step (S10) of observing the gas phase through a temperature sensor (410) installed in the bridge (20), a snowfall sensor (420) and an illuminance sensor (430);
A water collecting step S20 for activating the water collecting pump 110 and opening the first solenoid valve 140 to collect the seawater in the collecting tank 130 when the temperature is lower than a preset temperature by the temperature sensor 410; ;
A fluorescent liquid applying step (S30) of injecting a fluorescent liquid into the collecting tank (130) so that the driver confirms the freezing state of the road surface when the weather sensor is sensed by weather sensor or at night;
And a spraying step (S40) of operating the spray pump (220) to spray the stored seawater onto the road surface through the spray nozzle (250).
상기 형광액 투입단계(S30)는,
조도센서(430)에 의해 교량 주변의 조도가 기설정된 조도값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조도판단단계(S30-1);
상기 조도판단단계(S30-1)에서 현재 조도가 기설정된 조도값 이하로 판단된 경우, 형광액 투입부(320)를 통해 저장수단(610)에 입력된 형광액 투입량에 맞게 형광액을 집수탱크(130)에 투입하는 조절량투입단계(S30-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결빙 방지장치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fluorescent material applying step (S30)
An illuminance determination step (S30-1) of determining whether the illuminance around the bridge is equal to or lower than a predetermined illuminance value by the illuminance sensor (43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urrent illuminance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set illuminance value in the illuminance determination step S30-1, the fluorescence liquid is supplied to the collecting tank 630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the fluorescent material input to the storage unit 610 through the fluorescent material injecting unit 320, (130);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교량(20)이 강 또는 하천에 위치하는 경우,
집수탱크(130) 일측으로 형성된 염화칼슘 저장부(330)에 저장된 염화칼슘을 염화칼슘 투입부(340)를 통해 집수탱크(130)에 투입하는 염화칼슘 투입단계(S50); 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결빙 방지장치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bridge 20 is located in a river or a river,
A step (S50) of charging calcium chloride into the collection tank 130 through the calcium chloride injecting unit 340, the calcium chloride being stored in the calcium chloride storage unit 330 formed at one side of the catchment tank 130;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controlling the bridge anti-icing device.
강설센서(420)에 의해 강설 감지시, 에어펌프(270)가 동작하여 쌓이는 눈을 제거하기 위한 에어펌프가동단계(S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결빙 방지장치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n air pump operation step (S60) for removing snow accumulated by operating the air pump (270) when snowfall is sensed by the snowfall sensor (420);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상기 에어펌프가동단계(S60)는,
강설센서(420)가 쌓이는 눈을 감지하는 강설감지단계(S60-1)와;
강설 감지시 에어펌프(270)가 가동되고, 분사노즐(250)을 통해 공기를 분사 하도록하는 펌프가동 및 분사단계(S60-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결빙 방지장치 제어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In the air pump operation step S60,
A snowfall sensing step (S60-1) of sensing snow accumulating in the snowfall sensor (420);
A pump operation and injection step (S60-2) in which the air pump (270) is activated when snowfall is sensed and air is injected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250);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bridge anti-icing device.
센서부(400)의 작동 불능에 의해 도로면 결빙에도 결빙 방지장치(10)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 원격관제수단(900)에서 원격신호를 결빙 방지장치(10)로 전송하여 원격제어 하도록 하는 원격제어단계(S7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결빙 방지장치 제어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n the freezing prevention device 10 is not driven even on the road surface freezing due to the inability of the sensor part 400 to operate, the remote control part 900 transmits a remote signal to the anti- Control step S70;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상기 원격제어단계(S70)는,
감시카메라부(700)가 생성한 감시영상을 통해 도로면 결빙에 따른 자동제어가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감시단계(S70-1)와;
상기 감시단계(S70-1)를 통해 도로면이 결빙상태에도 자동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원격관제수단(900)이 원격통신수단(800)으로 원격신호를 전송하는 원격신호전송단계(S70-2)와;
원격신호에 따라 제어부(600)가 집수부(100)와 분사부(200)와 혼합부(300)를 구동하여 도로면에 해수를 강제분사 하는 강제분사단계(S7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결빙 방지장치 제어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remote control step (S70)
A monitoring step (S70-1) of determining whether automatic control according to road surface freezing is performed through the monitoring image generated by the surveillance camera unit (700);
If the remote control means 900 does not automatically control the frozen road surface through the monitoring step S70-1, the remote control means 900 transmits a remote signal to the remote communication means 800 (S70- 2);
A forced injection step S70-3 in which the control unit 600 drives the water collecting unit 100, the jetting unit 200, and the mixing unit 300 according to a remote signal to forcibly spray seawater on the road surfac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bridge anti-icing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8671A KR101666410B1 (en) | 2016-04-21 | 2016-04-21 | Control method of freeze prevention device and bridges freeze preven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48671A KR101666410B1 (en) | 2016-04-21 | 2016-04-21 | Control method of freeze prevention device and bridges freeze prevention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66410B1 true KR101666410B1 (en) | 2016-10-14 |
Family
ID=57157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48671A Active KR101666410B1 (en) | 2016-04-21 | 2016-04-21 | Control method of freeze prevention device and bridges freeze preven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6410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9874B1 (en) * | 2017-02-16 | 2018-05-31 |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 Tunnel entrance blocking device using head sprinkler |
CN109505232A (en) * | 2019-01-08 | 2019-03-22 | 武汉轻工大学 | A kind of bridge pier thermoregulation mechanism |
KR20240138606A (en) | 2023-03-08 | 2024-09-20 | 박채원 | road, the freeze prevention and apparatus for removing using near-infrared ray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33284A (en) * | 1999-07-19 | 2001-02-09 | Seiwa Electric Mfg Co Ltd | Spraying measuring device and spraying measuring method |
KR20100066776A (en) * | 2008-12-10 | 2010-06-18 | 대림산업 주식회사 | Automatic Snow Removal Device for Offshore Bridge Using Brine |
-
2016
- 2016-04-21 KR KR1020160048671A patent/KR10166641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33284A (en) * | 1999-07-19 | 2001-02-09 | Seiwa Electric Mfg Co Ltd | Spraying measuring device and spraying measuring method |
KR20100066776A (en) * | 2008-12-10 | 2010-06-18 | 대림산업 주식회사 | Automatic Snow Removal Device for Offshore Bridge Using Brin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9874B1 (en) * | 2017-02-16 | 2018-05-31 | 대보정보통신 주식회사 | Tunnel entrance blocking device using head sprinkler |
CN109505232A (en) * | 2019-01-08 | 2019-03-22 | 武汉轻工大学 | A kind of bridge pier thermoregulation mechanism |
KR20240138606A (en) | 2023-03-08 | 2024-09-20 | 박채원 | road, the freeze prevention and apparatus for removing using near-infrared ra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85772B1 (en) |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quid spray apparatus in a road part having difficulty in removing snow | |
KR101221616B1 (en) | Freezing keep off device of road surface | |
KR102333543B1 (en) | System and mehtod for managing road surface condition | |
KR102199732B1 (en) | System for automatically spraying snow removal agent for road having freezing protection and snow removal function by radar detection | |
KR102254840B1 (en) | Clean Road and Snow Removal System using online integrated management | |
KR101666410B1 (en) | Control method of freeze prevention device and bridges freeze prevention device | |
US6592288B2 (en) | High-traction anti-icing roadway cover system | |
KR102025094B1 (en) | Salt spraying system monitoring spray pressure of salt spraying zone | |
KR101425639B1 (en) | A roads automatic cleaning device | |
KR100464356B1 (en) | In order to prevent freezing of the road the system which jet the liquid which melts the ice | |
KR101565568B1 (en) | Apparatus for injecting liquid anti-freezer including potassium acetate and glycerin | |
KR20170128879A (en) | Roof melting of snow system using the geothermy | |
JP2018188915A (en) | Antifreezing liquid circulation apparatus | |
KR102237612B1 (en) | A Automatic spraying system of liquid freezing inhibitor of road-diffusion calcium acetate to prevent black ice and prevent slip in winter | |
KR102209345B1 (en) | Spray System Spray System for Two Type Liquid Using Circulated Pipeline | |
KR102126854B1 (en) | Road surface sprinkling system | |
KR102547008B1 (en) | Apparatus for detecting snow falling and snow removal solution spraying system having therof | |
KR102572315B1 (en) | Anti-freezing smart safety system | |
KR101326251B1 (en) | Snow melting system using natural energy | |
KR100964820B1 (en) | Auto snow-removing apparatus of sea bredge by sea-water | |
KR20200038830A (en) | A device for snow-melting of around railroad switch | |
KR102465878B1 (en) | Eco-friendly snow removal and fine dust removal multi-purpose system using water | |
KR100965788B1 (en) | System for sprinkling of salt water for ramp section | |
KR100912341B1 (en) | Water sensor and operating method of sea ice-liquid spreading device using the same | |
KR101477744B1 (en) | Snowplow and water management System using remote contro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6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0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